KR102533759B1 - 건축용 차음시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차음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759B1
KR102533759B1 KR1020220116504A KR20220116504A KR102533759B1 KR 102533759 B1 KR102533759 B1 KR 102533759B1 KR 1020220116504 A KR1020220116504 A KR 1020220116504A KR 20220116504 A KR20220116504 A KR 20220116504A KR 102533759 B1 KR102533759 B1 KR 10253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heet
me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현 filed Critical (주)보현
Priority to KR1020220116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음시트는 상기와 같이 폴리올레핀의 발포시트로 형성한 차음층, 그리고 고분자 필름에 금속이 증착된 금속층을 포함하되, 다수의 차음층과 금속층을 서로 교호로 적층함으로써 각 층의 밀도, 경도차에 따른 진동의 반사, 흡수를 유도함으로써 기존의 건축용 차음시트에 비해 월등한 차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차음시트{A noise interception sheet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차음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층간 슬래브에 시공되는 건축용 차음시트로, 상층세대의 뛰는 소리나 보행음에 의해 발생하는 중진동음과 경진동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여 하층세대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건축용 차음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으로 축조되는 공동주택에는 층간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이 하층 또는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으로부터 각 거주자의 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층간 바닥구조에 관하여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20-0287084호 등에 의하여 층간소음 및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층간 바닥구조를 통해 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충격음이 하층 또는 벽재를 따라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마감 모르타르층과 그 위에 설치되는 바닥재(딱딱한 마루 또는 대리석 등)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의 역작용에 의하여 층간 소음이 더 증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제안된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층으로부터 마감 모르타르층에 이르는 방진·방음구조를 통한 층간소음의 저감 및 차단을 꾀한다. 그러나, 바닥구조의 최상층인 마감 모르타르층과 그 위에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바닥재(딱딱한 마루 또는 대리석 등)가 상호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소음이 증폭되어 실내 또는 하층으로 전달되었던 것이다.
또한,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마감 모르타르층은 미장 평활도가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다소 굴곡 및 상하 편차가 발생되는 바, 이에 딱딱한 마루 또는 대리석 등의 바닥재를 설치할 경우 그 사이에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들뜸 현상에 의하여 충격 및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이고, 바닥재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더구나, 마감 모르타르층 상에 단순히 바닥재만을 깔아 설치한 경우 실내에서 뛰거나 걸을시 바닥재와 마감 모르타르층의 딱딱한 충격이 발을 통하여 신체로 직접 전달됨으로써 연약한 신체구조를 갖는 여성노약자 또는 어린이에게 신체적 충격과 압박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온돌 마루 바닥재에 폴리에틸렌수지(PE)의 발포제품이 부착된 것이 제공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소재 자체에 탄성이 거의 없고, 두께가 2mm정도에 불과하며, 열적 안정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어 충격흡수기능 및 평활도의 보상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87084호 (2002년 08월 1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상층에서 발생하여 마감 모르타르층과 층간 바닥구조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이 역으로 증폭되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차음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용 차음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고분자 수지 필름의 표면에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은(Ag), 산화아연(ZnO) 및 산화주석(SnO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을 증착하여 제조된 다수의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구비되며, 폴리올레핀, 발포제, 충전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수의 차음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음층과 금속층은 서로 교호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건축용 차음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재는 밀도가 2.0 내지 5.0 g/㎤이며,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 삼산화안티몬, 탄산칼슘, 탈크, 카올린, 황산바륨, 글래스섬유, 이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글래스비드 및 미카(mica)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음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40 내지 60 중량%, 충전재 10 내지 20 중량%, 발포제 20 내지 40 중량% 및 첨가제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레핀은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에틸렌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가교제, 발포촉진제, 염료, 안료,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및 열전달촉진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차음층 및 금속층은 각각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고, 상기 차음층은 1 내지 10 ㎜ 및 상기 금속층은 1 내지 1,00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음시트는 상기와 같이 폴리올레핀의 발포시트로 형성한 차음층과 고분자 필름에 금속이 증착된 금속층을 포함하되, 다수의 차음층과 금속층을 서로 교호로 적층함으로써 각 층의 밀도, 경도차에 따른 진동의 반사, 흡수를 유도함으로써 기존의 건축용 차음시트에 비해 월등한 차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차음시트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차음시트가 시공된 건축물의 바닥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차음시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차음시트(100)는 다층의 건축물에서 각 층별로 형성되는 바닥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200)부터 순차적으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300), 마감 모르타르(400) 및 바닥마감재(500)로 이루어지거나,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또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생략된 바닥에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마감 모르타르 사이에 위치하여 층간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경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차음시트(100)는 고분자 수지 필름의 표면에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은(Ag), 산화아연(ZnO) 및 산화주석(SnO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을 증착하여 제조된 다수의 금속층(110); 및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구비되며, 폴리올레핀, 발포제, 충전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수의 차음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음시트는 가장 바깥층을 금속층(110)이 이루게 되며, 금속층의 안쪽 면에 차음층(120)이 적층되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차음층은 다수가 구비되되 도 1과 같이 각 차음층과 차음층의 사이에 금속층(110)이 포함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에 적층되는 차음층 중 가장 바깥에 적층되어 노출되는 차음층의 일면에는 필요에 따라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안티슬립층(130)을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층(110)은 상술한 차음층과 차음층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음층과의 밀도 차이를 유도하여 전해지는 진동을 반사시키거나 굴절을 일으켜 시트의 차음성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금속층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필름의 표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분자 수지 필름의 표면에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은(Ag), 산화아연(ZnO) 및 산화주석(SnO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을 증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수지 필름은, 일반적인 고분자를 필름이나 시트 형태로 압출 또는 성형한 것을 뜻하며, 상기 고분자 수지는 본 발명에서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이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페이트, 폴리카아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폴리페닐렌황화물, 폴리페닐렌황화물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불소계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이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의 성분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들 중에 주쇄(主鎖)중에 방향족고리를 포함하는 열가소성수지를 성분으로 하는 필름에 경우에 효과가 크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페틸렌황화물, 폴리페닐렌황화물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를 성분으로 하는 필름의 경우가 필름의 제막성(製膜性)이나 필름의 물성, 차음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수지 필름은 2축 연신된 필름인 것이 좋으며,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수지가 공중합되어 있거나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금속층은 상술한 고분자 수지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금속을 증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증착되는 물질이 전부 금속일 필요는 없으며, 증착막의 부착력, 차음성 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다른 금속, 비금속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증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금속으로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은(Ag), 산화아연(ZnO) 및 산화주석(SnO2) 등이 있으며, 이들 금속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증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금속은 필요에 따라 이들의 산화물이나 질화물 형태로 증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 필름에 금속을 증착하기 전에 우선 금, 은, 구리, 니켈, 주석 등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을 프라이머로 증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플라스틱필름이 증착되는 쪽의 표면이 주쇄중에 방향족고리를 포함하는 열가소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에 있어서 효과가 크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황화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에서 선택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에 있어서 그 효과가 현저하다.
이때 상기 프라이머의 증착량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는 않으나, 0.1 내지 50 m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후술할 금속의 증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금속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져 차음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이후에 증착되는 금속은 증착량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증착방법이나 증착 두께 등은 한정하지는 않으며, 일예로 금속막의 두께는 1 내지 1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증착방법은 도가니 가열방식 피이드 가열방식 등 주로 실시되고 있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실시 분위기는 5.0 × 10-4 torr 이하의 불활성기체 분위기 하에 진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금속층은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1 내지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은 후술할 차음층과 서로 교호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음층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제1금속층-제2차음층-제2금속층-제3차음층 등으로 반복하여 교호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음층과 금속층은 구비되는 개수를 한정하지는 않으나, 차음층과 금속층 각각 하나가 적층된 것을 1사이클(cycle)로 하였을 때, 4 내지 10 사이클이 적층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이클 형태의 적층이 끝난 후에는 금속층의 노출면에 다시 차음층을 적층하여 금속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음층(120)은 시트로 전해지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폴리올레핀, 발포제, 충전재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상기 금속층과 교호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상기 시트의 대부분을 이루는 베이스 수지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는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수지로서는, 치글러·나타 화합물, 메탈로센 화합물, 산화크롬 화합물 등의 중합 촉매로 중합된 폴리에틸렌 수지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화합물의 중합 촉매로 중합된 폴리에틸렌 수지가 이용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 예를 들면,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에틸렌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발포 시트에 높은 유연성이 얻어짐과 함께, 발포 시트의 균일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 화합물 등의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예를 들면, 전체 모노머량에 대하여 7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과 필요에 따라 소량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으로 예를 들면,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및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의 밀도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나, 0.870 내지 0.910g/㎤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75 내지 0.907g/㎤가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880 내지 0.905g/㎤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복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한 밀도 범위 이외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추가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폴리올레핀의 분자량은 중량평균분자량을 기준으로 15,000 내지 3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내충격성, 압축강도, 층간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할 수 있으며, 유연성, 회복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제는 상기 수지조성물에 발포성을 부여하여 저밀도화를 가능하게 하며, 충분한 완충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기 또는 무기 열분해형 고체 발포제; 물, 탄화수소계 용제, 플론계 용제 등의 액체 발포제; 질소, 이산화탄소, 프로판, 부탄 등의 기체 발포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분해성 발포제의 예를 들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아질산나트륨 등의 무기계 발포제,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등의 니트로소 화합물, 아조디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시클로헥실니트릴, 아조디아미노벤젠, 바륨 아조디카르복실 레이트 등의 아조 화합물,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p,p'-옥시비스(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디페닐설폰-3,3'-디설포닐히드라지드 등의 설포닐히드라지드 화합물 및 칼슘아지드, 4,4'-디페닐디설포닐아지드, p-톨루엔설포닐아지드 등의 아지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지드 화합물은 150 내지 250℃에서 분해하여 질소 가스를 생성하며, 이 질소 가스에 따라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암모늄, 아질산나트륨 등의 무기 열분해형 발포제는 고온에서 열분해되어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방출시킨 후에 나트륨 이온이나 암모늄 이온 등의 무기 잔류물을 소량 잔류시키는데, 이러한 무기 잔류물은 핵제를 첨가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따라서 셀이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게 하며 셀의 분포도 균일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는 상기 유기 발포제 중 아지드 화합물과 무기 발포제 중에서 금속 화합물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발생된 기포를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발포 능력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발포강화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포강화제는 상기 발포제를 통해 생성된 기포의 지속기간을 더욱 증가시키며, 조성물의 점도에 관계없이 일정 크기 및 분포도를 가지는 기포를 안정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발포강화제의 예를 들면, 탄소수 14 내지 18의 포화지방산,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파르미틴산(Palmitic Acid)과 같은 유기계 발포강화제와, 수산화마그네슘(Mg(OH)2),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수산화칼슘(Ca(OH)2), 산화베릴륨(BeO), 수산화칼륨(KOH), 수산화나트륨(NaOH) 등의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과 같은 무기계 발포강화제를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무기계 발포강화제의 경우 발포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 이외에도 발포제의 열분해 시 생성되는 포름아미드,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유해성분을 카르복실레이트 등과 같은 형태로 변환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되어 시트의 진동 흡수력을 높이고 동시에 열가소성 수지 수지의 단점인 기계적인 물성과 내열성 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화성이 높아야 하며, 동시에 열안정성이나 열접착성이 우수하여야 하고 친환경적이어야 한다. 상기 충전재는 상기와 같은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충전재로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탈크, 카올린, 황산바륨, 글래스섬유, 이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글래스비드 및 미카(mica)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산화안티몬이나 탄산마그네슘, 클레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탈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탈크는 Mg3H2(SiO3)4의 화학식을 가지며, 보통 활석이라 통칭되는 경도가 가장 낮은 광물이다. 돌로마이트 또는 돌로마이트질석 회암 이나 마그네사이트가 열변성 작용을 받아 생성된 것으로 철 함량이 적고 무색이며 매우 부드럽고 촉감이 매끄러우며 주파수에 대한 차폐성과 비중이 높기 때문에 다른 충전재에 비해 차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을 차음하는 경우에 차음되는 정도는 매질의 단위 면적당 중량과 주파수에 비례하는 질량의 법칙(mass law)으로 결정된다. 이 법칙에 의하면 매질이 무거울수록, 그리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차음 성능이 좋아지는데, 상기와 같이 탈크를 사용하는 경우 비중이 2.6 내지 2.8로 비중이 높고 그 자체로도 차폐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물질에 비해 차음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입자의 크기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입자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좋게는 0.1 내지 1㎛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뛰어난 기계적 물성과 차음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충전재는 구형, 비정형, 판상형, 무정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들 중에서, 무정형의 입자를 충전재로 사용할 경우, 진동 전달에 대한 가장 큰 감쇠특성을 가질 수 있으나, 고분자 수지와의 혼합 시 혼합물의 점도를 급격히 상승시켜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충전재의 형상은 구형 또는 구형과 무정형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발포제를 도와 발포 효과를 증진시키거나 발포 이외의 효과, 예를 들어 기계적 물성, 분해성 개선 등의 기타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가교제, 발포촉진제, 염료, 안료,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및 열전달촉진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제는 당 분야에 잘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유기과산화물,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벤젠(Isopropylbenzene) 또는 디큐밀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DCP)을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포촉진제는 발포체 분해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아연 파라-톨루엔설피네이트, 파라-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지드 또는 변성 아조카본디아마이드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적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난연제는 상기 시트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의 예를 들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보론산아연, 황산아연, 산화안티몬, 오산화이안티몬 등의 무기계 또는 유기인산염계를 들 수 있으며, 이 중 상기 유기인산염계는 페닐 비스도데실 포스페이트, 페닐 에틸 히드로겐포스페이트, 페닐 비스(3,5,5-트리메틸헥실) 포스페이트, 에틸 디페닐포스페이트, 2-에틸헥실 디톨릴 포스페이트, 디페닐 히드로겐포스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p-톨릴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페닐 포스페이트, 디노닐 페닐 포스페이트, 페닐 메틸 히드로겐포스페이트, 디도데실 p-톨릴 포스페이트, p-톨릴비스(2,5,5-트리메틸헥실) 포스페이트 및 2-에틸헥실 디페닐 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계; 디소디움 디하이드로겐 디포스페이트(산성피로인산나트륨), 레조르시놀 테트라페닐 디포스페이트, 비스-페놀 A 테트라페닐 디포스페이트, 레조르시놀 디포스페이트, 비스페놀 A 디포스페이트 등의 디포스페이트계; (5-에틸-2-메틸-1,3,2-디옥사포스포리난-5-일)메틸 디메틸 포스포네이트 P-옥사이드, 펜타에리쓰리톨 포스포네이트 등의 포스포네이트계; 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4-카르복시페닐)페닐포스핀옥사이드, 트리헥실포스핀옥사이드, 트리데실포스핀옥사이드, 트리부틸포스핀옥사이드, 트리옥틸포스핀옥사이드,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다이부틸부틸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핀옥사이드계; 페녹시 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 옥타페녹시 사이클로테트라포스파젠, 데카페녹시 사이클로펜타포스파젠 등의 포스파젠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장애 페놀계 산화방지제, 유기 인 안정화제, 디알킬히드록실아민 안정화제, 아민 옥시드 안정화제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하게는 유기 인 안정화제 및 장애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조합물, 디알킬히드록실아민 안정화제, 유기 인 안정화제 및 디알킬히드록실아민 안정화제의 조합물, 아민 옥시드 안정화제 또는 유기 인 안정화제 및 아민 옥시드 안정화제의 조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제는 합성수지 가공 시 마찰 및 마찰열을 줄이고 중합제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가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된다. 통상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제는 사용방법에 따라 2종류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첫째는 성형가공중의 윤활작용을 주체로 한 것으로 예를 들면 금형면과 수지의 접착성을 방지하기 위해 수지에 혼련하여 수지의 용융점도를 저하시켜 성형가공성을 개량한 것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예로서는 금속비누, 지방산과 그 유도체, 지방산아미드, 고급 알콜, 파라핀왁스 등이 있다. 활제를 그 작용기능에 따라 분류해보면 내부활제와 외부활제로 구분된다.
내부활제는 고분자와 압출기와의 접촉면 및 고분자 고리, 상호간에 생기는 마찰력을 저하시켜 조성물의 이형성과 사출유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활제 첨가에 의해서 고분자간의 힘을 약하게 하여 분자 고리 사이에 미끄러움을 부여하고 스크래치 개선에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 특징이다. 내부활제로서 주로 사용하는 것은 고급 알코올지방산의 저급 알코올에스텔, 지방족의 다가 알코올에스텔 유동파라핀 등이 있다.
외부활제는 고분자와 압출기 표면과의 마찰저하를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화학구조로 비극성기와 극성기 양쪽을 가지고 있고, 이때 극성기는 고분자와의 상용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비극성 기는 가공기계 표면에 대해서 유활 작용을 나타내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예로는 고급지방산, 지방산 아미드화합물, 왁스류, 실리콘류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활제로서 실리콘계 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실리콘계 활제의 구성에 한정은 없으나, 실리콘 오일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은 중합도가 비교적 낮은 액체 상태의 규소 수지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 실록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은 열가소성 수지 수지의 상용성 유지 및 압출 실린더 표면에 대한 윤활 작용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폴리디메틸실록산의 경우 그 효과가 현저하여 바람직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실리카를 실리콘 오일에 첨가하는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의 상용성 유지 효과 및 압출 실린더 표면에 대한 윤활 작용효과는 더 효율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폴리디메틸 실록산 사이에 슬립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장점이다.
상기 열전달촉진제는 시트 내부로의 열전달을 유도하여 발포를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의 예로는 산화아연,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량 또한 상기 조성비 내에서 자유롭게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음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40 내지 60 중량%, 충전재 10 내지 20 중량%, 발포제 20 내지 40 중량% 및 첨가제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상술한 충격과 진동 흡수력이 우수하며, 동시에 시트의 형태 안정성과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음층은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차음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발포제, 충전재 및 첨가제를 용융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혼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압출 성형의 조작을 간편화하고, 분말의 날림 등과 같은 작업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펠렛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성형, 숙성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제조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믹서 등을 통해 혼합, 압출된 펠렛 형태의 조성물은, 다시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시킨 후, 이를 스크류에 의해 다이헤드 쪽으로 이송시켜 압출한다. 다이헤드에는 용융상태의 조성물에 에어를 공급하여 기계방향(가이드부)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냉각이 이루어져 시트 형태로 성형된다. 이후 권취기에 감겨져 1차적으로 시트 형태로 완성된다.
상기 압출기는 온도 조건을 한정하지 않으나, 100 내지 150℃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주성분인 열가소성 수지, 폴리올레핀의 용융온도를 만족하기 때문에 시트의 형태를 성형하기 유리하며, 발포제의 불필요한 발포를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형단계 시 압출되는 시트는 펠렛 형태의 조성물을 0.1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두께로 압출 성형하는 것이 시트의 형태 유지성과 동시에 기계적 물성, 차음성, 충격 흡수성 등을 만족할 수 있어 좋다.
상기 숙성은 조성물의 압출 후 안정화에 따른 경시변화를 유도하여 시트의 기계적 물성을 더욱 높임과 동시에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조성물 내의 발포제의 성분 변화를 유도하여 발포 후에도 포름아마이드와 같은 유해성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조건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10 내지 30℃에서 24 내지 60시간 동안 보관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숙성된 시트는 발포 공정을 통해 유연성, 충격흡수성, 차음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 공정은 본원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조성물에 열풍을 가하여 가열하거나, 적외선을 조사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염료, 안료 및 오일 등이 있는 욕조에 침지시켜 가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발포 공정은 조건을 한정하지 않으나, 먼저 200 내지 220℃의 온도로 1 내지 10초간 조성물을 가열하여 예열한 후, 150 내지 250℃의 온도에서 발포시켜 차음층을 완성할 수 있다. 발포 공정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거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라 발포가 순식간에 진행되나 다른 조성물의 유동성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조성물 내부의 기공이 파괴되거나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아 시트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하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발포를 진행한 후에 후공정을 거쳐 발포제나 기타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 필요에 따라 상기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스킨층을 더 적층하여 시트의 물성을 더 보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킨층은 두께, 재질, 제조방법, 시트와의 접착 방법 등을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비닐클로라이드나 논슬립성을 위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수지로 이루어진 시트를 접착제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음층 또한 두께나 구비 개수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차음층은 두께가 1 내지 10 ㎜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상술한 차음 특성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구비 개수는 후술할 금속층과 마찬가지로 많으면 많을수록 파장이 전달되는 매질의 경계면이 많이 생성되기 때문에 차음 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차음층 및 금속층을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이외에도 고탄성을 가져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이나 음파를 일부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기본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올류의 쇄연장제가 배합된 핫멜트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층간에 강한 결속력을 가지면서도 층간 전달되는 진동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디올(Polyethylen adiphate diol), 폴리디에틸렌아디페이트 디올(Polydiethylene adipate diol), 폴리부탄아디페이트 디올(Polybuthane adipate diol), 폴리헥산아디페이트 디올(Polyhexane adipate diol) 및 폴리카프락톤 디올(Polycaprola tactone diol) 등이 있으며, 이들 외에도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과 같은 친수성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예를 들면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diisocyanate; X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diisocyanate; IP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및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12MDI) 등이 있으며, 이들 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공단량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쇄연장제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MEG),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1,4-부탄디올(1.4-butanediol, butylene glycol), 1,5-펜탄디올(1,5-Pentanediol), 1,6-헥산디올(1,6-Hexandiol), 하이드로퀴논디-(β-하이드로자이에틸)에터(Hydroquinonedi-(β-hydrozyethyl)ether),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yclohexandimethanol) 및 카프락탐글리콜(Caproratam Glyco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이외에도 저분자량의 다양한 글리콜류, 디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첨가량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이소시아네이트 10 내지 100 중량부 및 쇄연장제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기공 형성을 위한 충전재, 계면활성제, 기타 첨가제를 필요에 맞게 첨가하여도 좋다.
상기 접착층은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여 조성물 상태로 제조한 후, 이를 캐스팅하거나 압출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름을 연신하여 기공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두께를 한정하지 않으나, 10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원하는 접착력을 얻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두께 증가에 비해 접착력의 향상이 미비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차음시트의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차음층, 금속층을 모두 준비한 후, 각 층간 접합되는 위치에 상기 핫멜트 접착 조성물이나 접착 필름을 도포하고, 이를 가열 및 가압하여 다층의 시트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 및 가압 조건은 100℃ 내외의 온도 및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음시트는 상기와 같이 폴리올레핀의 발포시트로 형성한 차음층과 고분자 필름에 금속이 증착된 금속층을 포함하되, 다수의 차음층과 금속층을 서로 교호로 적층함으로써 각 층의 밀도, 경도차에 따른 진동의 반사, 흡수를 유도함으로써 기존의 건축용 차음시트에 비해 월등한 차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시공부)
하기 시편이 시공된 바닥의 제원은 하기 표 1과 같다. 또한 시편은 도 2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사이에 시공하였다.
[표 1]
Figure 112022096983610-pat00001
(시편)
시편에 사용된 차음층 및 금속층의 제원은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22096983610-pat00002
(충격시험)
상기 충격시험은 KS F 2810-1, 2(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현장 측정방법 - 제1부 : 표준 경량 충격원에 의한 방법, 제2부 : 표준 중량 충격원에 의한 방법) 및 KS F 2863-1, 2(건물 및 건물부재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충격원에 대한 차단성능 평가방법 - 제1부 : 표준경량 충격원에 대한 차단성능, 제2부 : 표준중량 충격원에 대한 차단성능)에 의거하여 상기 제원의 시공부에 각 시편이 시공된 바닥의 중앙점을 뱅머신(SNVT, S&V korea)을 이용하여 타격하였으며, 타격 시 발생하는 소음을 분석기(SA-02M, Rion), 마이크로폰(UC-59, Rion) 및 음향교정기(CB006, CESVA)를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다.
또한 중량바닥충격음 차단성능에 대한 평가(역A특성곡선)는 측정된 옥타브 밴드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기재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중심주파수 63 내지 500 ㎐의 옥타브 대역 측정결과를 연결한 곡선에 대하여 기준 곡선을 상하 1 dB 간격으로 이동시켜, 4개의 옥타브 밴드에 있어서 측정값이 기준 곡선을 상회하는 값의 총합이 8 dB를 상회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기준곡선이 낮게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시킨다. 이상의 수순으로 이동한 기준곡선 중 500 ㎐ 대역에 있어서의 값(dB)을 역A특선 가중 바닥 충격음 레벨의 값으로 하였다.
[표 3]
Figure 112022096983610-pat00003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4에 기재된 대로 각각 차음층 및 금속층을 적층하여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각 층을 접합하기 위해 접착층이 각 층과 층 사이에 구비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저밀도폴리에틸렌 핫멜트 필름을 각 층과 층 사이에 구비한 후, 이를 125±2℃의 열롤러로 가열 가압하여 접착하였다. 또한 가장 상층인 금속층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이격되어 적층되는 층에는 폴리올레핀계 필름인 안티슬립층(anti-slip 필름)을 더 적층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시편을 도 2와 같이 시공하였다. 시공 후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표 4]
Figure 112022096983610-pat00004
[표 5]
Figure 112022096983610-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충격흡수용 매트리스는 다양한 음역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어린이나 뛰는 소리나 보행음에 의한 층간소음이 주로 63 내지 125 ㎐의 결정주파수를 가지는 바, 상기 주파수에서 실시예들의 매트리스는 각각 83 ㏈ 이하(63 ㎐), 73 ㏈ 이하 (125 ㎐)를 만족하며, 125 ㎐의 결정주파수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비교예에 비해 더욱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실시예 1과 2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최대 15 ㏈ 이상 저감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차음시트
110 : 금속층
120 : 차음층
130 : 안티슬립층
200 : 콘크리트 슬래브
300 : 경량 기포 콘크리트
400 : 마감 모르타르
500 : 바닥 마감재

Claims (9)

  1. 고분자 수지 필름의 표면에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은(Ag), 산화아연(ZnO) 및 산화주석(SnO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을 증착하여 제조되며, 1 내지 20㎛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구비되며, 폴리올레핀, 발포제, 충전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차음층;
    을 포함하며,
    상기 차음층과 금속층은 각각 하나가 적층된 것을 1사이클(cycle)로 하였을 때, 4 내지 10 사이클이 적층되며,
    상기 차음층 중 일면에만 금속층이 적층되는 차음층의 타면에 안티슬립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밀도가 2.0 내지 5.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 삼산화안티몬, 탄산칼슘, 탈크, 카올린, 황산바륨, 글래스섬유, 이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글래스비드 및 미카(mica)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시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에틸렌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가교제, 발포촉진제, 염료, 안료,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및 열전달촉진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 및 금속층은 각각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시트.
  8. 삭제
  9. 삭제
KR1020220116504A 2022-09-15 2022-09-15 건축용 차음시트 KR102533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504A KR102533759B1 (ko) 2022-09-15 2022-09-15 건축용 차음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504A KR102533759B1 (ko) 2022-09-15 2022-09-15 건축용 차음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759B1 true KR102533759B1 (ko) 2023-05-18

Family

ID=8654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504A KR102533759B1 (ko) 2022-09-15 2022-09-15 건축용 차음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84Y1 (ko) 2002-06-03 2002-08-27 (주)삼세대시공 공동주택의 층간 단열 및 소음방지 뜬바닥구조
KR20020074644A (ko) * 2001-03-21 2002-10-04 엘지전선 주식회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KR20040039255A (ko) * 2004-04-20 2004-05-10 동양화성(주) 3중 구조의 건물 바닥용 방음판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644A (ko) * 2001-03-21 2002-10-04 엘지전선 주식회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KR200287084Y1 (ko) 2002-06-03 2002-08-27 (주)삼세대시공 공동주택의 층간 단열 및 소음방지 뜬바닥구조
KR20040039255A (ko) * 2004-04-20 2004-05-10 동양화성(주) 3중 구조의 건물 바닥용 방음판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8936B (zh) 覆盖面板以及制造覆盖面板的方法
US9944793B2 (en) Aerogel-containing polyurethane composite material
KR101381933B1 (ko) 난연성 경량 복합패널
TW201638198A (zh) 酚樹脂發泡體及其製造方法
KR20190036690A (ko)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
KR102533759B1 (ko) 건축용 차음시트
KR20200024416A (ko) 층간 소음 저감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KR100750628B1 (ko) 차음성이 우수한 건축용 소음차단재
KR102042249B1 (ko) 준불연 성능을 갖는 발포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JP6064414B2 (ja) 床材
KR102228045B1 (ko) 엘리베이터 천정용 미끄럼 방지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방음방진 패드
KR100407780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94242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차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 차음재
KR20220050480A (ko) 차음 성능이 향상된 차음재, 및 이를 포함하는 흡차음재
KR102556626B1 (ko) 단열성 및 열안정성을 가지는 층간소음 저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KR102496901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적층형 층간 차음재
JP3615662B2 (ja) 床材
JP3448449B2 (ja) 床材及びこれを使用したマンション
JP2003166335A (ja) 床 材
KR102149815B1 (ko) 무독성 발포시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독성 발포시트
JP2013209850A (ja) 床材
KR200215099Y1 (ko) 방음기능을 가진 바닥장식재
KR20170116362A (ko) 층간방음재
KR102442788B1 (ko) 타일 바닥재
JP6935427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発泡シートおよび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