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559B1 -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559B1
KR100473559B1 KR10-2001-0071514A KR20010071514A KR100473559B1 KR 100473559 B1 KR100473559 B1 KR 100473559B1 KR 20010071514 A KR20010071514 A KR 20010071514A KR 100473559 B1 KR100473559 B1 KR 100473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polyme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934A (ko
Inventor
이정희
이경원
서일건
황선호
손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5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공동주택에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층부(10)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부(20)는 폐 고분자 분쇄칩을 바인더로 압축성형한 재활용 플라스틱 결합층으로 이루어지고, 하층부(30)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40 ~ 70 중량부, 폴리에틸렌 10 ~ 40 중량부 및 천연 또는 합성고무 10 ~ 30 중량부로 구성되는 고무복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바닥충격음을 차단하여 실내 소음을 감소시킴으로써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쾌적한 생활공간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학적 안정성 및 단열성을 보유한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Polymer composite for reducing impact sound and establish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용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공동주택에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충격을 흡수시키기 위한 충격흡수용 다공질 고분자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또는 다층구조의 건축물의 상층에서 뛰거나, 물건을 떨어뜨리거나, 의자 등 생활용품을 사용함으로써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이 하층으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바닥충격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충격음 저감재 및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층간에서 발생하는 바닥충격음은 공동주택 거주자의 가장 큰 불만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물체의 낙하나 이동, 뜀이나 보행 등에 의해 구조체인 슬라브가 진동하여 발생되는 소리로서, 공기에 의하여 전달되는 공기 전달음과는 다른 고체 전달음이다. 이러한 바닥충격음으로 인한 문제는 주거 형태가 50% 이상이 공동주택으로 집중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거주자의 실내환경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사회적 문제까지 되고 있다.
종래에는 국내의 경우 이러한 바닥충격음에 대한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관계로 건물의 시공시 바닥충격음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은 거의 없었으나 최근에는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바닥충격음 감소를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은 바닥슬라브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소정의 두께로 시공하거나 발포 폴리스티렌을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소음의 감소보다는 난방이나 단열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바닥충격음의 감소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바닥충격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충격음 저감 완충재를 적용하는 방법이 최근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완충재로는 유리솜, 암면, 폐타이어 칩, 화이버, PE(polyethylene) 발포스폰지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솜, 암면의 경우 절삭, 운반, 시공 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분진 등으로 인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국부적 순간하중 및 장기적 하중에 의한 침하 등으로 인해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국내의 건축 방식인 습식공법에서 시공되는 경량콘크리트가 유리솜 또는 암면의 사이에 스며들어 소음 저감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폐타이어 분쇄칩은 폐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충격음 완충재로 활용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충격음 감소 성능은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칩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바인더의 사용으로 시공시 발생하는 용매의 휘발냄새, 하중에 대한 역학적 안정성 부족, 경량콘크리트 타설시의 경량콘크리트 침투에 의한 양생의 불안정으로 몰탈층의 크랙발생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바닥충격음의 저감 대책으로 건축물의 슬라브 강성을 높이는 방안이 있는데, 이것은 슬라브의 두께가 두꺼워져 층고가 낮아지고, 건축물의 하중의 문제점 등으로 현실적이지 못하다.
폐타이어 분쇄물을 이용한 단열 및 차음용 바닥 콘크리트 조성물 또한 폐자원의 활용면에서는 유용하나 실질적인 차음성능은 매우 떨어져 원래의 목적인 소음 저감의 재료로 쓰기에는 적당치 못하다. 지금까지의 공동주택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충격음 저감재는 주로 폐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므로 바닥충격음의 저감기능에는 효과적이지 못하고, 국내의 건축공법인 습식공법에 적절하지 못하며, 구조적 안정성 및 단열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충격음을 차단하여 실내 소음을 감소시킴으로써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쾌적한 생활공간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학적 안정성 및 단열성을 보유한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층부(10)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부(20)는 폐 고분자 분쇄칩을 바인더로 압축성형한 재활용 플라스틱 결합층으로 이루어지고, 하층부(30)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40 ~ 70 중량부, 폴리에틸렌 10 ~ 40 중량부 및 천연 또는 합성고무 10 ~ 30 중량부로 구성되는 고무복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이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을 해치는 가장 큰 원인인 점을 고려하여 층간 바닥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구조와 이를 응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국내의 습식건축방식에 있어서 경량기포콘크리트 시공시 경량기포 콘크리트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성능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폐자원의 활용도 가능한 우수한 충격음 저감특성의 고분자 복합체 및 그 구조와 이를 활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는 상층부(10), 중간층부(20) 및 하층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층부(10)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1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이 각각 단독으로 구성되는 고분자층이거나,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조사 또는 화학가교된 혼합고분자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고분자 발포체의 폴리프로필렌은 조사가교를 위하여 프로필렌의 중합시 측쇄를 발달시켜 녹는점이 약 140 ~ 150℃인 특징을 가지며,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또는 선형저밀도, 중밀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고분자 발포체는 폴리프로필렌 50 ~ 90 중량부와 폴리에틸렌 10 ~ 50 중량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이 10 중량부 이하에서는 충격에 대한 흡수효과가 저하되며, 50 중량부 이상에서는 열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정적탄성계수는 20mm 두께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폴레에틸렌의 혼합고분자층 시편에 대해 10 ~ 50kg/mm, 겉보기 밀도는 20 ~ 100 kg/m3, 경도(Shore C type)는 5 ~ 20의 특징을 가지며, 겉보기 밀도 30 ~ 70 kg/m3, 경도 5 ~ 12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체의 셀은 독립기포로 되어 있다.
상기 중간층부(20)는 폐 폴리우레탄 또는 부산물인 폴리우레탄을 분쇄한 칩에 대하여 우레탄계, 아크릴계, 페놀계 등의 바인더로 연결하고 압축 성형하여 시트로 제조한 재활용 플라스틱 결합층(20)이다. 상기 폐 폴리우레탄 또는 부산물인 폴리우레탄의 분쇄칩은 다양한 강도의 폴리우레탄이 무작위로 바인더에 의하여 연결되어 압축성형된 시트형태로 되어 있다.
정적탄성계수는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폐 폴리우레탄 시편에 대해 20 ~ 100kg/mm, 밀도는 15 ~ 150kg/m3이다. 밀도가 15kg/m3 이하로 낮을 경우 하중에 대한 저항이 취약하여 하중안정성이 불안정하며, 밀도가 150kg/m3 이상으로 높게 되면 충격음에 대한 흡수효과가 저하된다.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결합층(20)은 폴리우레아 폼,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폴리스타이렌 폼,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폼 또는 고무 폼을 비롯하여 일반적인 플라스틱 부산물의 칩들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층부(30)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40 ~ 70 중량부, 폴리에틸렌 10 ~ 40 중량부 및 천연 또는 합성고무 10 ~ 30 중량부로 구성되는 고무복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복합층(30)에 대하여 입자경 1 ~ 5㎛, 비표면적 10 ~ 30m2/g의 특징을 가지는 마그네시움실리케이트 10 ~ 50 중량부, 입자경 0.03 ~ 10㎛,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DOP) 흡유량 25 ~ 40㎖/100g의 특징을 가지는 탄산칼슘 10 ~ 50 중량부 또는 입자경 0.2 ~ 10㎛, 비표면적 5 ~ 30m2/g의 특징을 가지는 알루미늄실리케이트 10 ~ 50 중량부를 1종 이상을 병용한다. 그 외에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등을 0.5 ~ 5 중량부 첨가하며 가교제로는 DCP(Dicumyl peroxide)를 0.5 ~ 2 중량부 사용한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는 비닐아세테이트(VA) 함량 15 ~ 30 중량부, 용융지수 2 ~ 5g/10min.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 1 ~ 6g/10min.의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합성고무는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 부틸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혹은 아크릴로니트릴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정적탄성계수는 30 ~ 80kg/mm, 밀도는 20 ~ 100kg/m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고분자 발포체(10, 20, 30)를 열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3층으로 적층시킨 구조의 고분자 발포체가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이며, 이 때 상층부, 중간층부, 하층부는 그 위치가 각각 자유롭게 바뀌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의 원리를 응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층부(30) 성형단계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40 ~ 70 중량부, 폴리에틸렌 10 ~ 40 중량부 및 천연 또는 합성고무 10 ~ 30 중량부로 구성되는 고무복합층(30)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무복합층(30)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중간층부(20) 성형단계는 폐 고분자 분쇄칩을 바인더로 압축성형한 재활용 플라스틱 결합층(20)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결합층(20)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끝으로, 상층부(10) 성형단계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이 각각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폴리프로필렌 50 ~ 9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10 ~ 50 중량부가 조사 또는 화학가교된 혼합고분자로 구성되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10)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10)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의 작용 및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충격음 저감 작용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이종 재료의 구조적인 복합화를 통해 충격음에 대해 각 층에서 폭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충격음의 저감 효과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고분자 발포체층간의 이종 매질 적층에 따라 진동, 충격 에너지 감쇄율이 극대화되고 공진 주파수 대역의 차이에 따라 주파수 대역별로 고르게 충격음의 감쇄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발포체층간의 밀도 및 경도의 조합에 의해 발포체 층간의 점탄성 최적화로 진동, 소음에너지 흡수 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또한, 각 재료들은 다공질을 갖는 발포체로서 기포 또는 섬유의 틈새에 대한 공기의 점성을 통해 흡음 작용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고분자 발포체층의 뒤에 공기층을 둔 구조에서 음이 접촉되면 발포체층은 진동하게 되고 이 때 재료의 내부손실 등에 대항하여 진동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할 필요가 없어, 이것이 음의 흡수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는 재료에 따른 효과 즉, 경도, 밀도, 점탄성의 최적화에 따른 작용과 발포체층을 구성하고 있는 다공질에 따른 작용, 그리고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이종재료간의 복합화에 따른 구조적인 작용이 결합되어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충격음 저감재로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모형테스트(mock-up test)를 통해 측정된 충격음 저감재의 충격음 저감 정도를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현재 충격음 저감 특성의 측정은 일본 공업규격을 받아들여 케이에스 에프(KS F) 2810으로 제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평가할 때 일본건축학회 및 일본공업규격에서 제안하고 있는 L곡선과 단일 평가지수인 전체음압레벨 (Overall sound pressure level) [dB (A)]에 의거한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바닥충격음은 비교적 중,고음역을 발생시키는 경량충격음 발생 장치인 태핑머신(Tapping Machine)과 저음역을 발생시키는 뱅머신(Bang Machin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L-곡선에 의한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 평가
경량 충격음의 경우 본 발명 제품이 적용된 후의 차음성능은 약 3등급(15dB) 소음이 감소되었으며, 중량 충격음의 경우 본 발명제품의 설치 전에 비하여 약 1등급(5dB)의 소음이 감소되었다. 도 2,3에서는 L-곡선에 의한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의 차단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표 1,2에서는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경량충격음 측정 데이터
중심주파수(Hz) 63 125 250 500 1000 2000 4000
충격음레벨(dB) 적용전 68.5 71.6 74.3 67.5 65.2 57.5 44.7
적용후 67.6 66.6 61.7 47.0 37.6 30.3 25.6
중량충격음 측정 데이터
중심주파수(Hz) 63 125 250 500 1000 2000 4000
충격음레벨(dB) 적용전 70.1 63.9 54.4 43.7 36.7 24.5 19.3
적용후 63.6 62.8 41.5 22.7 21.8 17.0 17.1
(2) 제품 구성에 따른 물성평가
표 3에서는 제품의 구성에 따른 충격음 저감 특성, 내하중 특성 및 열변형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비교예와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3층 적층구조는 충격음 저감효과에 있어, 경량충격음은 15dB, 중량층격음은 5dB 저감시키게 되는데, 이는 비교예에서 나타난 다른 제품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제품의 구성에 따른 물성평가 결과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
제품구성 경량콘크리트 폐타이어칩 유리솜 A/B/C적층구조1)
경량충격음 저감 - 10dB 10dB 15dB
중량충격음 저감 - - - 5dB
정적변형2)(400kgf/m2) - 0.75mm 7.50mm 0.45mm
잔류변형3) 0 ~ 1회 - 0.58mm 3.20mm 0.30mm
1 ~ 2회 - 0.20mm 2.74mm 0.07mm
내하중 변형율4) 변형없음 4.8% 35.5% 3.4%
열변형율5) 변형없음 5.6% 변형없음 변형없음
경량콘크리트 침투깊이6) - 7.5mm 14.9mm 침투없음
1) A/B/C 적층구조
A : 조사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혼합폼, B : 폐 폴리우레탄 폼, C : 폴리올레핀-고무 혼합폼
2) 정적변형
시험조건 : 시험체의 중앙에 가압판을 적재하고 100kgf/m2, 250kgf/m2, 400kgf/m2의 하중을 인가, 감소시킨 후 각각의 단계에서 2분 후의 변형을 0.05mm까지 측정
3) 잔류변형
시험조건 : 시험체의 중앙에 재하질량 100kgf/m2의 가압판을 올려 놓고 5분 경과 후 재하질량 500kgf/m2가 되도록 5분간 하중을 가한 후 가력 장치만큼의 하중을 제거하고 5분 경과 후 변형을 정탄성계수 측정방법에 준하여 측정하며, 이 때의 값을 0 ~ 1 회의 잔류 변형값으로 한다. 이 후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0 ~ 1 회의 잔류 변형으로부터 증가한 양을 1 ~ 2회의 잔류 변형값으로 한다.
4) 내하중 변형율
시험조건 : 400kgf/m2, 14days.의 조건으로 하중을 인가한 후 시험 전후의 시편 두께의 변화율을 측정한다.
5) 열변형율
시험조건 : 80℃, 48hrs.의 조건으로 500 ×500 (mm) 시편에 대해 시험한 후 시편 사이즈의 변화율을 측정한다.
6) 경량 콘크리트 침투깊이
시험조건 : 설치된 충격음 저감재 (두께 약 15mm)의 경계면에 OPP 테이프로 마감한 후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60mm로 그 위에 타설하여 14일 동안 양생, 경화된 후 단면을 절단하여 표면 박리 및 각 충격음 저감재로의 침투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표 3에서는 역학적 안정성과 장기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한 정적변형 특성과 잔류변형 특성, 내하중 변형 특성과 열변형 특성에 있어서도 유리솜의 경우가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고 폐타이어칩 제품이 열적으로 취약한 특성을 나타내는데 반해 본 발명에 적용된 3중 적층 고분자 발포체는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3중 적층고분자 발포체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침투도 미미하여 우리나라의 습식공법에 매우 적합한 충격음 저감재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3중 적층의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는 다른 충격음 저감재에 비해 충격음 저감효과는 물론 건축 자재로서의 역학적 안정성과 장기 신뢰성면에 있어서도 뛰어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구조에 의하면, 충격음 저감 특성은 물론 하중에 대한 안정성에서도 우수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완충바닥재로서 적합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는 낮은 열전도율을 통해 뛰어난 단열효과를 갖게 됨으로써 단열재로서의 기능도 갖추고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L-곡선에 의한 경량충격음의 차단성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3는 L-곡선에 의한 중량충격음의 차단성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상층부)
20 : 재활용 플라스틱 결합층(중간층부)
30 : 고무복합층(하층부)

Claims (7)

  1. 상층부(10)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부(20)는 폐 고분자 분쇄칩을 바인더로 압축성형한 재활용 플라스틱 결합층으로 이루어지고,
    하층부(30)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40 ~ 70 중량부, 폴리에틸렌 10 ~ 40 중량부 및 천연 또는 합성고무 10 ~ 30 중량부로 구성되는 고무복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1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이 각각 단독으로 구성되는 고분자층이거나, 폴리프로필렌 50 ~ 9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10 ~ 50 중량부가 조사 또는 화학가교된 혼합고분자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정적탄성계수는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혼합고분자층 시편에 대해 10 ~ 50kg/mm, 밀도는 20 ~ 100kg/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 고분자 분쇄칩은 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정적탄성계수는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폐 폴리우레탄 시편에 대해 20 ~ 100kg/mm, 밀도는 15 ~ 150kg/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 고분자 분쇄칩은 폴리우레아 폼,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폼, 고무 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복합층(30)은 정적탄성계수가 30 ~ 80kg/mm, 밀도는 20 ~ 100kg/m3이며, 상기 합성고무는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 부틸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혹은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7. 청구항 1에 의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40 ~ 70 중량부, 폴리에틸렌 10 ~ 40 중량부 및 천연 또는 합성고무 10 ~ 30 중량부로 구성되는 고무복합층으로 이루어진 하층부(30) 성형단계;
    청구항 1에 의한 폐 고분자 분쇄칩을 바인더로 압축성형한 재활용 플라스틱 결합층으로 이루어진 중간층부(20) 성형단계; 및
    청구항 1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층으로 이루어진 상층부(10)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의 시공방법.
KR10-2001-0071514A 2001-11-16 2001-11-16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73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514A KR100473559B1 (ko) 2001-11-16 2001-11-16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514A KR100473559B1 (ko) 2001-11-16 2001-11-16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934A KR20030039934A (ko) 2003-05-22
KR100473559B1 true KR100473559B1 (ko) 2005-03-08

Family

ID=2956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514A KR100473559B1 (ko) 2001-11-16 2001-11-16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65B1 (ko) 2008-11-25 2011-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102368121B1 (ko) 2021-03-22 2022-02-28 나윤호 소음 및 진동 차단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895B1 (ko) * 2002-05-28 2005-08-18 쌍용건설 주식회사 차음시트
KR100705477B1 (ko) * 2004-12-14 2007-04-10 삼성토탈 주식회사 경량 충격음 및 중량 충격음 차음성이 우수한 건축용소음차단재
KR102186295B1 (ko) * 2020-01-07 2020-12-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다층구조 매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4318A (en) * 1988-05-18 1992-03-10 Honda Giken Kogyo K.K. Automotive sound-proof materials and damping materials therefor
KR970064899A (ko) * 1996-03-25 1997-10-13 전종윤 건축용 바닥 완충재
JPH1110798A (ja) * 1997-04-30 1999-01-19 Kanebo Ltd 防水通気緩衝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複合被覆防水工法
KR20010027935A (ko) * 1999-09-16 2001-04-06 권문구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뜬바닥 구조 및 뜬바닥 시공방법
KR20010036969A (ko) * 1999-10-13 2001-05-07 권문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20020074644A (ko) * 2001-03-21 2002-10-04 엘지전선 주식회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KR100397449B1 (ko) * 2000-11-14 2003-09-19 김민배 건축물의 층간 바닥 충격음 방지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4318A (en) * 1988-05-18 1992-03-10 Honda Giken Kogyo K.K. Automotive sound-proof materials and damping materials therefor
KR970064899A (ko) * 1996-03-25 1997-10-13 전종윤 건축용 바닥 완충재
JPH1110798A (ja) * 1997-04-30 1999-01-19 Kanebo Ltd 防水通気緩衝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複合被覆防水工法
KR20010027935A (ko) * 1999-09-16 2001-04-06 권문구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뜬바닥 구조 및 뜬바닥 시공방법
KR20010036969A (ko) * 1999-10-13 2001-05-07 권문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100397449B1 (ko) * 2000-11-14 2003-09-19 김민배 건축물의 층간 바닥 충격음 방지재
KR20020074644A (ko) * 2001-03-21 2002-10-04 엘지전선 주식회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65B1 (ko) 2008-11-25 2011-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102368121B1 (ko) 2021-03-22 2022-02-28 나윤호 소음 및 진동 차단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934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337B1 (ko)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KR100398073B1 (ko)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뜬바닥 시공방법
KR100788746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KR100473559B1 (ko)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1681826B1 (ko) 층간 소음완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30825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200399170Y1 (ko) 소음차단제
KR100860061B1 (ko) 소음차단제
KR100429103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뜬바닥층 구조 및 건축용 바닥재
KR102104870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난방 배관 패널
KR100407780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26470B1 (ko) 비발포체형 소음 저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
KR100485954B1 (ko) 올레핀-고무 복합 고분자 발포체
KR10046839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KR101624963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19652Y1 (ko)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20070065989A (ko) 방수시트, 마그네슘 보드, pet 흡음재 및 방진고무를사용한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0741950B1 (ko) 건축물 층간 바닥 충격음 완충재
KR100543103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37501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층간 차음재
KR20090088209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KR200378945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KR0147842B1 (ko) 주택바닥 방음방진재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