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209A -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 Google Patents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209A
KR20090088209A KR1020080013612A KR20080013612A KR20090088209A KR 20090088209 A KR20090088209 A KR 20090088209A KR 1020080013612 A KR1020080013612 A KR 1020080013612A KR 20080013612 A KR20080013612 A KR 20080013612A KR 20090088209 A KR20090088209 A KR 2009008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ustproof
styrene
s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민
이석희
조남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Priority to KR102008001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8209A/ko
Publication of KR2009008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원 발명자가 선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01707호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를 개량한 것으로서, 특히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여 그 충격음이 인접세대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함은 물론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바닥충격음의 감쇠 기능을 유지 및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1방진물질 40중량부와 제2방진물질 20중량부와 제3방진물질 20중량부 및 젤리 2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상부방진구와;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4방진물질 48.28중량부와 제5방진물질 51.72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하부방진구를 포함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가 개시된다.
층간소음, 상부방진구, 하부방진구, 방진링, 하드층, 소프트층

Description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VIBRATION-ABSORBER COMPOSITION FOR REDUCTION OF CRASHING SOUND}
본 발명은 본원 발명자가 선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01707호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를 개량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여 그 충격음이 인접세대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함은 물론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바닥충격음의 감쇠 기능을 유지 및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복층구조 건축물의 경우 공기전파음은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에 의해 대다수가 차단되나 상층에서 사람의 보행이나 물건의 낙하 시 등에 그 바닥에 직접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은 고체전파음으로 변하여 거의 감쇠 되지 않고 바닥 슬래브나 천장 및 벽체 등 건물의 구조체를 따라 진동에 의해 하층 또는 인접한 세대로 방사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바닥충격음은 그릇이나 물건의 낙하 및 의자를 이동시킬 때 나는 소리와 같이 고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경량충격음과, 어린이의 뛰는 소 리, 성인의 보행 등과 같이 저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중량충격음으로 대별된다.
최근 들어 바닥충격음(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분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2004년 3월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기준"을 정해 건설교통부 고시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표준바닥 구조 5종을 포함하여 바닥충격음 성능등급 등을 발표하였고, 이 기준에 정해진 일정 품질 이상의 층간소음 차단 규정을 충족하는 제품이나 공법만을 건설현장에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일례로서 난방배관을 포함하는 온돌구성층이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뜬 상태로 시공되는 이른바 뜬바닥구조(floating floor system, 이중바닥구조)가 바닥충격음 저감방안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제안되고 있다.
즉, 뜬바닥구조는 고체전달음이 구조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슬래브와 온돌구성층 사이에 완충재를 설치하는 구조이며, 그 완충재로는 글라스울, 록울, 스티로폼, 방음보드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뜬바닥구조에 사용되는 완충재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온돌구성층에서 발생되는 고체전파음과 바닥충격음을 대부분 그대로 하층에 전달시키는 등 층간소음 방지기준을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방진특성을 갖는 고체 화합물을 매질로 하여 진동을 절연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7-61770에 개시된 바 있으나, 이 또한 매질(완충재)이 고무를 주요 소재로 사용하여 온돌구성층을 지지 및 방진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특성상 시공 후 오랜 시간이 지날 경우에는 하중과 변위에 따른 내피로도와 노화에 의한 내구성 및 특성이 저하되고, 그 결과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탄성지지력 및 완충흡수력이 약화되어 차음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닥충격음의 저감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당한 손실계수를 갖는 유연한 완충재를 사용하여 스프링상수를 낮게 하고, 진동 절연(isolation)과 내구력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 상반된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내구력을 개선하면 동배율(dynamic multiplication factor) 특히 스프링상수가 높아지는 문제로 인해 진동 절연성이 저하되며, 이와 반대로 동배율을 개선하면 내구력이 저하되어 실용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내구력을 강화하여 바닥구조물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동배율을 개선하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에 대한 방음 및 방진 성능이 우수한 방진구를 개발하고자 다년간 예의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충격음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방음성능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1방진물질 40중량부와 제2방진물질 20중량부와 제3방진물질 20중량부 및 젤리 2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상부방진구와;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4방진물질 48.28중량부와 제5방진물질 51.72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하부방진구를 포함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1방진물질 40중량부와 제2방진물질 20중량부와 제3방진물질 20중량부 및 젤리 2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상부방진구와;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4방진물질 48.28중량부와 제5방진물질 51.72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하부방진구; 및 상기 상부방진구와 하부방진구 사이에 결합하되, 이소프렌고무 100중량부로 형성된 방진링을 포함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는 동배율, 내구력 및 노화특성이 개선 및 강화되고 온도 변화에 따른 체적 등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고유의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온돌상부층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는 상부 및 하부방진구 각각의 하드층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1차적으로 탄성반발력을 발생하고, 상부 및 하부방진구 각각의 소프트층이 하드층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는 작용을 유기적으로 수행하면서 진동의 전달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방음 및 방진 성능이 탁월하고 월등하여 경량충격은 물론이고 중량충격에 의한 층간 진동이나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 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진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진구(100)는 각각 하드층(10a/20a)과 소프트층(10b/20b)으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방진구(10/20)와 방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부방진구(10)는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한 하드층(10a)과, 제1방진물질 40중량부와 제2방진물질 20중량부와 제3방진물질 20중량부 및 젤리 20중량부를 혼합한 소프트층(10b)이 이중사출 등의 방법으로 하여 원기둥 형태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방진구(10)의 하드층(10a)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1차적으로 탄성반발력을 발생하고, 소프트층(10b)은 그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는 작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드층(20a)이 방진구 전체의 지지력 강화로 변형은 막아주면서 외력에 대한 반발력을 극대화시켜 완벽한 완충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하드층(10a)은 유연한 특성의 소프트층(10b)이 갖는 한계를 극복 및 보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온돌층의 흔들림(rolling) 현상 등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부방진구의 하드층(10a)은 그 단면상의 상부가 호형으로 형성되어 설치 작업 시 온돌구성층의 밸런스 조절 등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방진물질은 목분 17.71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70.90중량부와 젤리 1.77중량부와 경탄 0.53중량부 및 경화제 9.09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제2방진물질은 목분 14.39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71.93중량부와 젤리 2.88중량부와 경탄 1.73중량부 및 경화제 9.07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제3방진물질은 목분 17.79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71.17중량부와 젤리 0.18중량부와 경탄 1.77중량부 및 경화제 9.09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방진구(10)는 하부방진구(20) 및 방진링(30)과 서로 유기적인 결합을 위해 저면의 둘레를 따라 제1결합돌기(12)가 형성되고, 그 제1결합돌기(12)의 내측 중심부에 고정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방진구(10)을 구성하는 하드층(10a)의 전체 높이(h1)는 소프트층(10b)의 전체 높이(h2)에 대해 1/2 비율로 형성되어 하드층(10a)이 소프트층(10b)의 상부에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하부방진구(20)는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한 하드층(20a)과, 제4방진물질 48.28중량부와 제5방진물질 51.72중량부를 혼합한 소프트층(20b)이 상부방진구와 마찬가지로 이중사출 등의 방법으로 하여 원기둥 형태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방진구(20)의 하드층(20a)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1차적으로 탄성반발력을 발생하고, 소프트층(20b)은 그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는 작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드층(20a)이 방진구 전체의 지지력 강화로 변형은 막아주면서 외력에 대한 반발력을 극대화시켜 완벽한 완충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하드층(20a)은 유연한 특성의 소프트층(20b)이 갖는 한계를 극복 및 보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온돌층의 흔들림(rolling) 현상 등을 감소시킨다.
제4방진물질은 목분 33.84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33.84중량부와 젤리 22.56중량부와 경탄 0.67중량부 및 경화제 9.09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제5방진물질은 목분 54.22중량부와 젤리 36.18중량부와 경탄 0.54중량부 및 경화제 9.06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방진구(20)는 상부방진구(10) 및 방진링(30)과 서로 유기적인 결합을 위해 상부방진구의 고정돌기(11)와 대응하는 중심부에 제1공명구멍(21)을 갖 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둘레를 따라 제1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방진구(20)을 구성하는 하드층(20a)의 전체 높이(h3)는 소프트층(20b)의 전체 높이(h4)에 대해 1/2 비율로 형성되어 하드층(20a)이 소프트층(20b)의 상부에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5방진물질과 상부 및 하부방진구의 하드층(10a/20a)에 포함되는 목분은 폐목 또는 나무를 분말화한 것으로서, 일명 톱밥으로 통칭된다.
이러한 목분이 적정량 미만일 경우에는 방진구가 필요로 하는 충분한 강도를 얻지 못하게 되며, 적정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방진구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적절한 형상으로의 성형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소성되어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5방진물질과 상부 및 하부방진구의 하드층(10a/20a)에 포함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Butadiene-Styren, SBS)은 신율 및 인장 인열 강도가 우수하여 여름철에도 탄력성이 저하되지 아니하고 가공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균 입자 크기가 2.0 ∼ 3.0 ㎛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입자크기가 3.0 ㎛인 보다 클 경우에는 균일한 배합의 곤란성으로 인한 재료분리 현상이 유발되어 양질의 방진구를 얻기 어렵다.
이러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은 저온에서의 균열 저항성 증진과 고온에서의 소성변형 감소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및 하부방진구(10/20)와 제1 내지 제5방진물질에 포함되는 젤리(Jelly)는 일정 점도 및 완충성을 갖고, 특히 열변형이 적으며 친화성이 양호한 것으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83 내지 85중량부와 파라핀유 15 내지 17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젤리에 포함되는 파라핀유(Paraffin Oil)는 석유에서 분류한 것으로서, 상온에서도 고체로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모은 무색무취의 액체. 파라핀계 고급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리전이 온도를 저하시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의 분자 간 결합이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방진구의 가공 시 기계적인 마찰로 인한 소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료의 탄성력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파라핀유는 젤리 전체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17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라핀유의 함량이 젤리 전체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미만이면 윤활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고, 17중량부를 초과하면 각 소재 간의 결합력이 나빠져 흡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파라핀유는 염소화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열성, 내한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경탄(탄산칼슘,CaCO3)은 경도, 물리적 특성의 균형을 위해 충진재 및 중화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방진구의 강도를 보강하고 치수안정성을 유지시키며 노화를 방지한다.
이러한 경탄이 적정량 미만일 경우에는 각 소재 간에 탈리현상이 일어나거나 공극이 파손되어 방진구가 필요로 하는 충분한 강도를 얻지 못하게 되며, 적정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적절한 형상으로의 성형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완제품의 강도가 너무 강하여 쉽게 깨어지는 단점 및 표면에 경탄이 부분적으로 배어나는 사용상의 문제점을 초래 및 차음 또는 방음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5방진물질에 포함되는 경화제(Hardener)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열경화성수지용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제의 함유량이 9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수지의 경화가 부족하게 되어 다른 성분과 모듈러스(Modulus) 차이가 지나치게 커지고, 9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수지의 경화가 지나치게 되어 각기 방진물질의 탄성 및 내충격성 등 다른 물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방진링(30)은 신장이나 균열 발생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발열이 적으며, 내마멸성, 내노화성, 전기특성 등이 우수한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 100중량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진링(30)은 상부방진구(10)와 하부방진구(20) 사이에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하부방진구의 제1공명구멍(21)과 연결되는 제2공명구멍(31)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를 따라서는 상부방진구의 제1결합돌기(12)에 대응결합되는 제2결합홈(33)이, 저면 둘레를 따라서는 하부방진구의 제1결합홈(22)에 대응결합되는 제2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방진구(100)의 전체 높이는 50mm 이내이고, 방진링(30)은 4mm 이내이며, 하부방진구의 제1공명구멍(21)과 공명홈(23) 및 방진링의 제2공명구멍(31)의 각기 지름은 12mm 이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진구(100)는 상/하부방진구(10/20)와 방진링(30)에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와 이에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홈을 이용하여 별도의 접착과정 없이 간단하고 안정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진구(10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각 하드층(10a'/20a')과 소프트층(10b'/20b')으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방진구(10/20)와 방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하부방진구는 상부방진구의 고정돌기(11)와 대향하는 면에 공명홈(23)을 갖는 원기둥형으로 이루어지고, 설치장소의 바닥면과 유동없이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저면에 모르타르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진구(100')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성분을 해당비율로 혼련시킨 후, 그 혼련물을 이중사출성형하여 제조된 방진구를 이용하여 뜬바닥공법으로 온돌바닥구조에 설치한 후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표준시험실측정을 실시하였다.
이 시험은 (주)한국소음진동에 의뢰하여 KS F 2810-1 및 KS F 2810-2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KS F 2863-1 및 KS F 2863-2의 역 A특성곡선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시험결과에 따른 경량충격음은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125 ~ 2 ㎑에서, 중량충격음은 63 ~ 500 ㎐에서 시험한 측정값으로 하였다.
이러한 평가결과 경량충격음 성능레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은 1층 수음실에서 측정한 잔향시간 측정결과로부터 산출된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로서, 역A특성 기준곡선에 의해 산출된 단일수치 평가량인 역A특성 가중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 L'n , AW 는 39 dB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중량충격음 성능레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은 1층 수음실에서 측정한 바닥충격음레벨로서, 역A특성 기준곡선에 의해 산출된 역A특성 가중 바닥충격음레벨 L i , Fmax , AW 는 43 dB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진구(100)를 적용한 온돌바닥구조는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이 매우 월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진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진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진구를 적용한 온돌바닥구조의 경량충격음 성능레벨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진구를 적용한 온돌바닥구조의 중량충격음 성능레벨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방진구 10a: 하드층
10b: 소프트층 11: 고정돌기
12: 제1결합돌기 20: 하부방진구
20a: 하드층 20b: 소프트층
21: 제1공명구멍 22: 제1결합홈
23: 공명홈 24: 모르타르홈
30: 방진링 31: 제2공명구멍
32: 제2결합돌기 33: 제2결합홈
100: 방진구

Claims (12)

  1.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1방진물질 40중량부와 제2방진물질 20중량부와 제3방진물질 20중량부 및 젤리 2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상부방진구와;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4방진물질 48.28중량부와 제5방진물질 51.72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하부방진구;
    를 포함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2.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1방진물질 40중량부와 제2방진물질 20중량부와 제3방진물질 20중량부 및 젤리 2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상부방진구와;
    목분 24 내지 26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8 내지 22중량부 및 경탄 0.2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하드층과, 제4방진물질 48.28중량부와 제5방진물질 51.72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진 하부방진구; 및
    상기 상부방진구와 하부방진구 사이에 결합하되, 이소프렌고무 100중량부로 형성된 방진링;
    을 포함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링은,
    내측에 하부방진구의 제1공명구멍과 연결되는 제2공명구멍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를 따라서는 상부방진구의 제1결합돌기에 대응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저면 둘레를 따라서는 하부방진구의 제1결합홈에 대응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진구의
    제1방진물질은 목분 17.71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70.90중량부와 젤리 1.77중량부와 경탄 0.53중량부 및 경화제 9.09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제2방진물질은 목분 14.39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71.93중량부와 젤리 2.88중량부와 경탄 1.73중량부 및 경화제 9.07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 고,
    제3방진물질은 목분 17.79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71.17중량부와 젤리 0.18중량부와 경탄 1.77중량부 및 경화제 9.09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83 내지 85중량부와 파라핀유 15 내지 17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진구의
    제4방진물질은 목분 33.84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33.84중량부와 젤리 22.56중량부와 경탄 0.67중량부 및 경화제 9.09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제5방진물질은 목분 54.22중량부와 젤리 36.18중량부와 경탄 0.54중량부 및 경화제 9.06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83 내지 85중량부와 파라핀유 15 내지 17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83 내지 85중량부와 파라핀유 15 내지 17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진구는,
    저면의 둘레를 따라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그 제1결합돌기의 내측 중심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진구는,
    중심부에 제1공명구멍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둘레를 따라 제1결합홈이 형성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진구는,
    상면에 공명홈을 갖는 원기둥형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모르타르홈이 형성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진구와 하부방진구 각각의 하드층 높이는 상부방진구와 하부방진구 각각의 소프트층 높이에 대해 1/2인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KR1020080013612A 2008-02-14 2008-02-14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KR20090088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612A KR20090088209A (ko) 2008-02-14 2008-02-14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612A KR20090088209A (ko) 2008-02-14 2008-02-14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209A true KR20090088209A (ko) 2009-08-19

Family

ID=4120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612A KR20090088209A (ko) 2008-02-14 2008-02-14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82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208B1 (ko) * 2012-08-27 2013-10-28 이금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열전도판
KR101417380B1 (ko) * 2012-10-30 2014-07-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448452B1 (ko) * 2021-06-10 2022-09-27 (주)영진배수판 바닥 충격음 차단 완충재의 방진마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208B1 (ko) * 2012-08-27 2013-10-28 이금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열전도판
KR101417380B1 (ko) * 2012-10-30 2014-07-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448452B1 (ko) * 2021-06-10 2022-09-27 (주)영진배수판 바닥 충격음 차단 완충재의 방진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203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및 블록
KR101269110B1 (ko) 바닥충격음 저감 패널과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942048B1 (ko) 층간 소음방지 구조물
KR100827424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 온돌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KR20090088209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KR10030825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100827425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 온돌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1903938B1 (ko) 3중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체
KR20090076747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1269113B1 (ko) 바닥충격음 저감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9407B1 (ko) 층간소음 저감용 고강성 방진구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100827426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 온돌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KR200378945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KR20110126398A (ko) 층간 흡음패널
KR100734945B1 (ko)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제진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0401924Y1 (ko) 건축물용 층간소음 저감패널
KR100397449B1 (ko) 건축물의 층간 바닥 충격음 방지재
KR100629954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KR100420826B1 (ko) 건축물 슬라브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1058658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101843893B1 (ko)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적용한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용 보강보
KR102500306B1 (ko)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0883058B1 (ko)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