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203B1 -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및 블록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및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203B1
KR100839203B1 KR1020070135684A KR20070135684A KR100839203B1 KR 100839203 B1 KR100839203 B1 KR 100839203B1 KR 1020070135684 A KR1020070135684 A KR 1020070135684A KR 20070135684 A KR20070135684 A KR 20070135684A KR 100839203 B1 KR100839203 B1 KR 10083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amping
viscoelastic
weight
block
viscoelastic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만
이윤준
Original Assignee
김진만
이윤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이윤준 filed Critical 김진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08L9/08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구조물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sheet) 및 이를 이용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에 관한 것으로, 비투멘(Bitumen),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2), 유화제, 연화제, 소포제,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점도가 낮고 저장탄성계수와 손실계수가 큰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이용하여 판상의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성형하고 이를 직육면체 형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표면에 부착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작한 것으로, 탁월한 공간 소음 방지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열효과에 있어서도 만족할만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공동주택구조물, 점탄성, 진동감쇠조성물, 비투멘, 라텍스, 점도, 저장탄성계수, 손실계수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및 블록{Sheet and Block for Reducing Vibration Using Viscoelas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및 블록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주거형태로서 공동주택의 경우 층간 소음 차단과 단열을 만족시키는데 있어서, 단열 문제는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우나 층간 소음 차단문제는 아직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되어 있다.
최근, 공동주택에 살면서도 독립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는 특히, 소음 차단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바닥층을 시공할 때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발포합성고무 또는 폴리에틸렌 폼으로 된 완충재를 포설하여 완충재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을 형성한 후,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상부에 온수 배관이 삽입 되는 마감 몰탈을 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완충재를 포설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 소음을 차단하는 종래 방법은 아이들이 뛰어 노는 소음원인 중량충격원중 저주파수대역((63Hz, 125Hz)차단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계속되는 소음으로 인하여 공동주택의 상하층 이웃 간의 불화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0-0506986호가 층밀성을 높일 목적으로 결합제를 다량 사용하고, 소음효과를 증대할 목적으로 충진재와 면, 폐지등 셀룰로즈화이버를 다량 사용하므로써 7500cps 이상의 고점도, 고비중의 고주파수대역 소음 차단 효과가 있는 소음방지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나 저장탄성계수와 손실계수가 극히 낮아 상기 저주파수대역의 소음방지효과는 달성할 수 없었다.
건교부에서는 2005년 7월 들어 중량충격음 차단성능에 대한 법적 최저기준(경량 충격음(작은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은 58dB 이하, 중량충격음(어린이가 뛰는 소리)은 50dB 이하)을 마련하여 시행중에 있으며, 특히 2006년 1월부터 시행된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주택법 제 21조의 2)는 주택을 분양받고자 하는 수요자에게 입주자 모집 공고 시 중량충격 등 성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선호도에 따라 주택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과 동시에 표시된 성능수준으로 주택을 건설하게 함으로서 쾌적한 주거환경의 확보를 목적으로 음환경을 비롯해 5개 분야에 대해 성능표시를 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특히, 상기의 제도에서 음환경 성능 항목으로 규정하고 있는 주된 성능표시항목으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경량충격음, 중량충격음)이 매우 비중 높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상기 종래의 방법 또는 특허방법으로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충격음중 경량 충격음 58dB 이하 및 중량충격음 50dB 이하의 규정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차단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예의 연구한 결과, 발포합성고무,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및 폴리우레탄 폼 등의 재료를 사용한 뜬바닥 구조로는 상기 저주파수대역 내지 경량 충격음 58dB 이하 및 중량충격음 50dB 이하의 소음 차단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바닥 구조체에 대한 충격에 의하여 전달되는 진동전달에너지를 감쇠하면 층간 소음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고,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진동을 감안하여 바닥 구조물의 바닥 충격원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진동의 감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점도가 낮으면서도 저장탄성계수와 손실계수가 높은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제조하고(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79255), 그를 이용한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sheet) 및 이를 이용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안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투멘(Bitumen),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2), 유화제, 연화제, 소포제, 무기 충진재를 혼합하여 제조된 점탄성 진동 감쇠용 조성물을 일정 두께의 다양한 형상체로 판상화하여 진동 감쇠 효과가 탁월한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적어도 2면 이상의 측면에 상기 일정두께의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진동 감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건축물에 있어서, 바닥충격원에 의한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감쇠 조성물은 공동주택에서 충격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 나타나는 방사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진동 감쇠 특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특성은 진동 감쇠 조성물의 저장탄성계수(Storage modulus)와 손실계수(Loss factor)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저장탄성계수 (Storage modulus)과 손실탄성률(Loss modulus) 그리고 시료의 변형계수는 온도(temperature), 시간(Time) 및 가변적인 하중을 주는 주기(Hz)의 함수를 이용해 측정하게 되며, 열분석 기법인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 DIN 53513, DIN 53440, ASTM D 4065, ASTM D 4092)를 통해 시간과 하중의 변화를 주면서 온도를 조절하여 시료의 기계적인 거동을 측정한다.
시료에 일정한 주기의 힘(force)을 가하면 시료 내에 응력(stress)이 발생하여 이 응력에 따른 변형(deformation)을 하게 되며, 기계적인 탄성률은 이 응력, 변형에 의해 결정된다.
즉, 재료의 점탄성 특성(viscoelastic)에 의한 시간지연(time delay)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하는 응력(통상 사인파 응력; sinusoidal stress)에 따라 위상차가 발생된다. 이는 가해진 응력(stress)과 팽창(expansion) 사이에 위상차(phase shift)를 발생시키며, 이 위상차를 고려해 동적으로 측정된 탄성률은 G'(storage modulus; 저장탄성율)과 G"(loss modulus; 손실탄성율) 설명된다. G'은 DMA 측정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로써 주기적 응력과 함께 발생하는 시료의 반응이며 시료의 가역적 탄성도(reversible elasticity)에 해당한다. 가상의 물성인 G"은 손실탄성율이라 하며 90˚까지 상이동(phase shift)된 반응이며 열로 전환되어 비가역적으로 손실되는 기계적 에너지에 해당된다. 이 위상차(phase shift)의 tanδ(탄젠트 델타)는 손실계수(loss factor)이며 물질의 진폭감쇄거동(damping behavior)을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공동주택에서 바닥 구조체의 진동 특성은 뜬바닥을 이용한 완충재의 사용으 로 공진을 크게 야기시키는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공진을 크게 야기시키는 각 레이어(Layer) 층의 전단 변형을 줄여주므로 저주파수(63Hz, 125Hz)에서 큰 소음 특성을 나타내는 중량 충격음과 같은 소음원의 저감에 있어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높은 손실 계수를 가지며, 온도에 대한 물성의 변화가 적고, 내구성이 큰 진동 감쇠 조성물이 건축물의 바닥 구조에 적용하는 경우 층간 소음 방지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시트화한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의 손실계수(loss factor)는 1.2~2.0 사이로 고무의 손실계수(0.1~1)에 비해서 2배 이상의 손실계수를 가지며, 콘크리트(0.02~0.06)와 목재(0.005~0.01)에 비하여 탁월한 손실계수를 가지므로, 진동저감을 통한 소음저감 측면에서 본 발명의 진동 감쇠재가 탁월한 감쇠 성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저주파수(63Hz, 125Hz)에서의 큰 에너지와 파장이 불쾌하고 시끄러운 소음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데, 본 발명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는 저주파수에서의 충격음을 저감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온도 변화에 따른 진동 감쇠재의 물성 변화에서도 진동 감쇠 특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적으로도 탁월한 소음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동 감쇠 조성물의 저장탄성계수(Storage modulus)와 손실계수(Loss factor) 및 온도의 변화에 대한 물성의 유지, 내구성은 각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크게 영향을 받음에 따라 우수한 진동 감쇠 특성을 갖는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진동 감쇠재의 성분 및 조성비의 선택이 우선되어야 한다.
상기 성분 및 조성비의 선택은 진동 감쇠 특성뿐만 아니라 제품으로서의 형상 제작 및 시공성에도 큰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은 비투멘(Bitumen),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2), 유화제, 연화제, 소포제, 무기 충진재를 구성요소로 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은 비투멘(Bitumen) 20-42중량%,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12-32중량%,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2) 12-32중량%, 유화제 2-4중량%, 연화제 6-8중량%, 소포제 1-3중량%, 무기 충전재 15 -20중량%를 믹서기에 넣고 100-150℃ 온도로 20-30분 혼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 점탄성 진동 감쇠용 조성물은 비투멘(Bitumen)을 믹서기에 투입하고 100~150 ℃로 가열한 다음, 상기 가열된 비투멘(Bitumen)에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2), 유화제, 연화제를 넣어 균일하게 혼합하고, 상기 균질화된 혼합물에 무기 충전제와 소포제를 첨가하고 재차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에서의 가열 온도가 100 ℃ 이하이면 상기 비투멘(Bitumen)이 충분히 녹지 않아 균질 혼합이 어려우며, 온도가 150 ℃ 이상이 되면 비투멘(Bitumen)이 타는 현상이 발생하여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투멘(Bitumen)은 방습성, 점성이 크고 감온성(感溫性)이 좋으며, 접착성, 가소성, 내수성 및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여 특히, 공동주택 상부 바닥구조에서 발생하는 충격음에 의한 진동이 적층구조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 전달에너지의 전단 변형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진동가속도 레벨의 저감을 통한 소음 감소 성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비투멘(Bitumen)은 미국과 프랑스에서는 역청물질로서 아스팔트(asphalt)라 부르고 있으나, 영국과 독일에서는 도로건설용 재료라는 뜻으로 비투멘(Bitumen)으로 부르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미국과 같이 아스팔트란 명칭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목재나 석탄의 건류로부터 얻어지는 역청물질은 주로 타르(Tar)라 부르고 타르를 증류하여 얻어진 흑색의 탄소질 고형 잔유물은 피치(Pitch)라 부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투멘은 아스팔트와 타르와 피치를 포함한다.
상기 비투멘은 점성을 표시하는 엥글어도(25℃) 1~15, 침입도(25℃, 100g 5sec)(1/10mm)가 40~300이고, 연화점(℃)이 30~60℃, 신도(15℃, 5mm/min)(cm)가 100 이상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투멘으로 사용 가능하다. 비투멘(Bitumen)이 고온에서 높은 점도와 저온에서의 낮은 강성을 갖게 되는데 엥글어도가 상기의 범위 미만이면 제조 공정에서 작업성이 악화되고, 점탄성 진동 감쇠재의 물리적 특성 중 손실계수(Loss factor)가 저하되며, 상기의 범위 이상이면 점탄성 진동 감쇠재 제품 형상의 제조 공정에서 작업성이 저하된다.
침입도(25℃, 100g 5sec)(1/10mm)는 비투멘(Bitumen)의 경도를 표시한 값으로 소정의 온도(25℃), 하중(100g), 시간(5초)에 규정된 침이 수직으로 관입한 길이로 상기의 범위보다 침입도가 높으면 제조 공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며, 상기의 범위보다 침입도가 낮으면 연화점이 높아지므로 내열성을 가지 못해 유동성에 대한 제품의 파괴가 나타난다.
연화점은 재료가 연화하기 시작하여 규정된 거리(25.4mm)로 처졌을 때의 온도를 말하는 것으로 비투멘(Bitumen)에 발생하는 상태의 열적 변화온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범위보다 낮은 비투멘(Bitumen)는 내열성이 낮아 고온에서 사용 및 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의 범위 이상인 경우 제품 형상 작업성이 저하된다. 신도는 침입도 등 다른 물성을 만족하더라도 신율 특성이 상기의 범위에서 벗어나며 내구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재중 비투멘(Bitumen)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0~42 중량% 를 사용한다. 비투멘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진동 감쇠성이 저하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잘 흐르므로 흐름성이 나빠 조성물의 제작을 위한 혼합 과정에서 균일한 혼합이 어려우며, 시트 제작 시 연성이 증가하여 제품형상의 어려움과 에너지 소비가 증가에 의한 작업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비투멘(Bitumen) 자체만으로도 충격원 중 저주파수(63Hz, 125Hz)에서의 큰 에너지와 파장이 큰 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충격음을 저감하는 특성을 나타내지만, 온도의 변화에 따른 진동 감쇠성 및 물리적 내구성에 한계가 있으므로 적정 저장탄성계수(Storage modulus)를 갖는 제품을 제작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성의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2종류의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를 사용하였으며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1)은 뛰어난 폼(Foam)안전성을 가진 고농도의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로서 단독으로 폼 라버(Foam Rubber), 폼 배킹(Foam Backing)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내충격 보강제로 사용 입자경이 크고 고농도로, 고무 스폰지 제품에서 우수한 가공품질을 나타내었다.
한편,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2)는 높은 스티렌(Styrene)함량의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로서 폼(Foam)제품의 강도보강용으로 사용한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2종류의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 물성을 정리한 것이다.
2종의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물성
구 분 Styrene-Butadiene Latex(1) Styrene-Butadiene Latex(2)
고형분 60~70% 40~59%
pH(25℃) 8.0~10.5 8.0~10.5
표면장력(dyne/cm) 30~35 35~50
점도(cps) <800 100~200
비중(25℃) 0.90~0.99 1.0~1.1
상기 2제품은 비투멘(Bitumen)과 혼합되어 충격 보강재로서 바닥충격음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뛰어난 작용을 한다.
특히,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은 높은 고형분(60~70%)의 구성으로 인하여 점도 및 표면장력에 의한 물리적 특성에 의해 상기 비투멘(Bitumen)와의 반응에서 저주파수 대역의 충격력을 감쇠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점성과 내구성을 부여하며, 감온성(感溫性)이 좋고, 접착성, 가소성, 내수성, 전기 절연성이 모두 우수한 혼합물의 특성을 부여한다.
라텍스 전체량에 대한 고형분의 중량비는 라텍스의 점도에 영향을 미치고, 라텍스가 혼합된 진동 감쇠 조성물의 부착력, 투수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이다. 즉, 고형분 함유량이 많을수록 라텍스의 점도는 증가하고, 허용 고형분 함유량 보다 적을 경우 진동 감쇠 특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비투멘(Bitumen)과의 반응을 통한 저주파수 대역의 진동감쇠 능력과 함께 중.고파수 대역의 진동감쇠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은 고형분이 60-70중량%, pH 8.0~10.5, 표면장력 30~35dyne/cm, 점도 800cps이하, 비중0.90~0.99로 되는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은 분자가 액체를 형성하게 되면 표면에 있는 분자와 내부에 있는 분자의 입장이 서로 달라지면서 표면의 분자는 내부의 분자에 비하여 주변에 다른 분자가 거의 반만 존재하기 때문에 결합에너지가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액체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많은 수의 분자가 표면에 존재하게 되어 액체를 형성하는 에너지가 커져야 하므로 되도록이면 표면적을 줄이려고 한다. 이에 따라 구형을 띠게 되는데 중력이 작용한다면 질량중심을 낮추려는 하는 힘 때문에 결국에는 납작한 타원체의 모양을 할 것이다. 따라서 액체의 내부 분자의 결합력에 의해 표면적을 줄이려고 하는 경향은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라는 힘으로 나타난다.
특히, 공동주택 바닥구조에서 상부의 충격력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전달에너지의 영향을 적층 구조(layer층)에서의 전단 변형을 감쇠시키면서 중·고파수 대역의 소음도 저감하는 특성을 갖도록 30~35의 표면장력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를 12중량%이하로 사용하게 되면 진동 감쇠의 특성 중 특정주파수 대역(63Hz, 125Hz)의 감쇠특성은 효과적이나, 중.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제품 형상의 어려움이 있다. 반대로 상기 물질을 32중량% 이상 혼합하게 되면 점성이 커지므로 저주파수의 진동 감쇠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2)는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와 비투멘(Bitumen)의 반응에서 첨가량에 따라 경도 조절이 가능하며, 진동감쇠재가 가져야 할 공동주택 구조물에서의 적층구조에 따른 충격력, 집중 및 동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과 함께 진동 감쇠 특성을 보완하는 작용을 하게 할 목적으로 첨가한다.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2)는 고형분이 40~59중량%로서, pH 8.0~10.5, 표면장력 35~50dyne/cm, 점도 100~200cps, 비중1.0~1.1이 바람직하고 복합구조를 구성하는 온돌 바닥구조에서 구조적 안전성 효과를 최적화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2)가 12중량% 이하가 되면 공동주택 구조물에서의 복합구조에 따른 충격력, 집중 및 동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에 효과적이지 않으며, 32중량% 이상이 되면 점성이 부족하게 되므로 진동 감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2)는 큰 충격 흡수성을 가져 바닥 충격음의 충격 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작용을 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2)를 대신하여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이소프렌 고무(I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styren-butadiene-styren,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styren-isoprene-styren, SIS),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틸 고무(IIR), 아크릴 고무(ACM), 클로로 폴리에틸렌 고무(CSM)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그 대체물질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앞서 언급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투엔과의 화학반응상 보다 안정적이고 강력한 결합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진동 감쇠용 시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 구조물의 바닥충격음 저감효과에서도 소망하는 저감특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본 발명에서 비투멘(Bitumen)과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2)의 혼합물의 화학 반응에서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균일하게 혼합 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유화제로는 파라핀계 오일이 적합하였다.
상기 파라핀계 오일은 비투멘(Bitumen) 방울에 전하를 띄게 하여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물과 잘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비투멘(Bitumen)와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2)와의 혼합을 원활히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라핀계 오일은 전체 점탄성 조성물 내에서 2 내지 4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핀계 오일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전술한 바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이와 반대로 4중량%를 초과하면 점탄성 및 부착성이 저하되어 기대하는 효과가 현저히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탄성 진동 감쇠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습식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각 조성을 균일하게 혼합할 목적으로 연화제로서 프로세스 오일(Process-Oil)을 사용한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아로마틱계 탄화수소 5~25중량%, 나프텐계 탄화수소 35~55중량%, 및 파라핀계 탄화수소가 35~45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전체 점탄성 진동감쇠 조성물 내에서 6~8 중량%로 사용한다. 프로세스 오일 함량이 6중량% 미만이면 작업성이 저하되며, 이와 반대로 8중량%를 초과하면 진동 감쇠성 및 부착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무기 충전제는 충진 및 보강제 역할을 하며, 다른 조성과 쉽게 혼합될 수 있도록 입자 크기가 0.01㎛~10.0mm인 것을 사용한다. 입자 크기가 0.01㎛ 미만이거나 10mm를 초과하면 무기 충전제간 응집 또는 분리가 발생하여 균일한 혼합을 이룰 수 없어 점탄성 진동감쇠 성능뿐 만 다른 물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크레이, 실리카 및 운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단독 물질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무기 충진제는 전체 진동 감쇠 조성물 내에서 15~20중량% 사용한다.
상기 무기 충진제가 15중량% 미만이면 작업성이 저하되며, 이와 반대로 20중량%를 초과하면 진동 감쇠성 및 부착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구성요소 즉, 비투멘(Bitumen),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1), (2), 유화제, 연화제 및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은 그 혼합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기포는 점탄성 진동 감쇠재의 바닥 구조에 적용시 감쇠 특성의 저하를 가져오기 쉽기 때문에 가능하면 혼합 과정에서의 기포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내에 미네랄 오일 타입의 소포제를 1~3중량% 사용하여 상기 기포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소포제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기포가 발생하여 물성 저하를 가져오고, 3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효과상의 증가가 없어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포제는 상기 미네랄 오일타입의 소포제 외에도 실리콘 변성타입의 소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시트(sheet)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1-20mm의 두께를 가지도록 판상으로 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용 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 판상 즉, 시트화 하는 방법으로는, 압출 성형기에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넣고 티 다이(T-Die)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로 압출 성형하는 방법, 또는 상하로 배치된 양 롤러 사이에 본 발명의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삽입하고 압착하여 성형하는 방법, 또는 압출 성형기에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넣고 티 다이를 통과하여 압출 성형한 후 다시 롤러로 압착하여 성형하는 복합 성형방법 등이 채택 가능하나, 본 발명의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의 판상 즉, 시트화는 상기 어떠한 방법으로도 성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 본 발명 상기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트화 된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는 용도에 따라 1-20mm의 두께로 성형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시트의 (가로×세로)의 길이와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일정 크기의 정육면체, 직육면체, 삼각면체, 사각면체, 팔각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절삭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ALC;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블록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 에이엘씨(ALC) 블록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증기 양생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일종으로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 블록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각각 300-600mm 정도가 되는 정사각면체 형상이 진동 감쇠 효과 및 작업성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고 높이는 20-60mm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육각면체, 직육각면체, 삼각면체, 사각면체, 육각면체, 팔각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 블록의 형상 제작시 상기 블록의 하부 또는 상부에 온수배관용 요홈을 형성한 것 또는 중공층을 갖도록 한 것으로 제작할 수 있다(도 10; 도 12a, 도 12b 및 도 12c 참조).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ALC;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블록은 석회석(CaCO3)이나 슬러지(Sludge) 등의 축열성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의 표면에 절삭 부착되는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의 두께는 1-20mm의 두께에서 진동 감쇠의 효과를 발휘하는데 바람직하나 3mm의 두께가 진동 감쇠의 효과와 경제성면에서 가장 바람직하고 1mm 미만에서는 시공효과가 급격히 저하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의 표면에 부착되는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는 도3 내지 도4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 블록의 이웃하는 2 측면에 부착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이며 경제적이다. 즉,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가 이웃하는 2 측면에 부착된 블록을 포설하면 블록과 블록 사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가 개재되어 진동 감쇠 효과가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가 4 측면에 부착된 블록의 진동 감쇠 효과와 실험결과 유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2-4 측면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도 5 참조), 더 나아가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2-4 측면 및 저면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도 6 참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2-4 측면과 저면 때로는 상면, 즉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전체에 미리 부착하여 점탄성용 진동 감쇠 블록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의 독일국 등에서 제안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뜬바닥 구조의 완충재층과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으로 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의 모델 개념은 독일에서 공동주택 내 경량충격음에 대한 문제가 있어서 뜬바닥 구조를 사용하였고, 이는 경량충격음에 대하여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독일국 등에서 제안된 뜬바닥 구조 즉, 완충재층과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에 의해 마감몰탈층과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이 떨어져 있는 구조에 의하면 완충이라는 개념에서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특정 주파수까지는 저하 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이는 방사된 소음이 특히 250Hz 이상에서만 관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 같은 규모의 소음 방지에는 충분히 만족한 제어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독일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주택형태가 온돌, 벽식 구조가 주를 이루는 구조형태이므로, 충격원으로 부터 마감 몰탈층에 전달되는 충격력은 그 하부에 형성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과 완충재층에 전달되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대부분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저감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과 완충재층으로 구성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 이른바, 뜬바닥 구조의 진동 전달과 저감원리에 대한 상세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 바닥충격음은 충격원에 의한 상부슬래브의 진동이 구조체를 통해 전달되어 하부층에 방사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그래서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해서는 구조체의 진동을 저감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구조체의 질량(m), 강성(K) 그리고 감쇠를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하기 수학식 1을 충족시켜야 한다.
Figure 112007092221298-pat00001
일반적으로 바닥은 굽힘진동에 의해 음향방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고체전달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파동은 굽힘파이다. 굽힘파는 횡방향으로의 변위가 종파나 횡파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에너지의 상당부분이 굽힘파에 의해 전달된다. 그리고 인접한 매질과 상호간섭을 일으키며 에너지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구조요소의 변형을 일으키며 전달한다. 따라서 굽힘파는 에너지의 주된 전달매개체이자 공기 전달음과 같은 다 매체와의 에너지 상호교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음향방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의 굽힘파는 벽식구조의 바닥슬래브를 평판으로 가정할 때 다음의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평판의 변위 ω(x,y,z)는 xy평면에 수직인 z방향으로 일어나며 평판의 두께 h에 비해 변위가 매우 작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평판의 가운데를 지나는 중립평면은 굽힘 중에는 변형되지 않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판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응력은 무시한다고 가정할 때의 이 평판의 자유진동 운동방정식은 다음 수학식 2 및 3과 같다.
Figure 112007092221298-pat00002
상기 식에서, DE는 평판의 굽힘강성, ∇4는 중조화연산자, ρ는 질량밀도이다.
Figure 112007092221298-pat00003
상기 식에서, E는 탄성계수, ν는 푸아송비, h는 평판의 두께이다.
중조화연산자(biharmonic operator)는 4차 미분 연사자로 직각좌표계의 경우,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한다.
Figure 112007092221298-pat00004
평판의 경계조건은 Clamped edge일 때, 변위 및 가장자리에서의 수직방향 변형률이 모두 0 이다. 즉, 사각형 형태의 평판의 단순지지 경계조건은 다음 수학식 5 내지 7과 같다. 수학식 5는 모든 경계에서, 수학식 6은 경계 x=0, x=l1에서, 수학 식 7은 경계 x=0, x=l2에서의 경계조건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92221298-pat00005
Figure 112007092221298-pat00006
Figure 112007092221298-pat00007
상기 수학식을 통해서 균질한 평판에 있어서 판의 변위는 탄성계수와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제어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탄성의 물리적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 뜬바닥이나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벽식구조 내에서 상층부에 충격력이 작용할 때 바닥구조는 진동을 하게 되고, 이는 여러 가지 형태로 거동을 하여 굴절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굴절파는 하층부의 공간을 구성하는 고체에 전달되고 이는 공기로 방사되어 공기 전달음을 수음자가 듣게 되는데, 고체음은 고체를 매질로 전달하기 때문에 상층부에 충 격이 가해질 시 온돌구조에서 바닥 슬래브로 충격력이 전달되고, 이는 하층부 벽과 바닥에 진동으로 전달되어 굴절파를 발생시켜 방사된다.
이때 중량충격음의 주요 영역인 125Hz이하에서 방사되는 고체음을 절연하지 못하는 한계가 나타나며 도리어 소음이 더 커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완충재 등의 기존에 사용되어 오는 재료가 탄성체이고, 벽식구조가 탄성 변형을 하는 재료이기에 완충재에 의한 감쇠가 저주파에서는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구조체의 중량과 함께 슬래브의 강성도 증가하므로 이에 대한 공진주파수의 이동에 따른 소음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1b와 같이 설명이 가능한 블록형 진동감쇠시스템을 발명하였다.
우선 점탄성 재료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주파수에 대한 함수로 곡선 보정(curve fitting)하여 점탄성 재료의 주파수에 따른 물성치를 다음 수학식 8과 같은 함수로 얻었다.
Figure 112007092221298-pat00008
윗 식의 실수 부분은 저장 탄성계수(storage modulus)를 나타내고, 허수 부분은 손실 탄성계수(loss modulus)를 나타낸다.
RKU 방정식의 주파수 의존성을 반영하기 위해 다음 수학식 9와 같은 오차 함수(error function)를 선정했다.
Figure 112007092221298-pat00009
RKU 방정식에 주파수 의존성을 반영한다는 것은 점탄성 재료의 특정 주파수에서의 물성치를 적용하여 얻어진 고유진동수가 점탄성 재료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즉, 위의 오차 함수가 0이 된다면, 점탄성 재료의 주파수와 고유진동수가 같게 되어 주파수 의존성이 반영되는 것이다. 따라서 RKU 방정식에 주파수 의존성을 반영하는 것은 Iteration 방법을 통해 오차 함수가 0이 되는 근을 구하는 문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가지 Iteration 방법 중 Newton-Raphson 방법을 선택했다. Newton-Raphson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근에 대한 초기 가정값이 xi라면 점 [xi, f(xi)]에 접하는 접선을 구할 수 있고, 이 접선이 x축과 교차하는 점이 개선된 근 xi+1가 된다. 기하학적으로 보면 [xi, f(xi)]에서 기울기는 하기 수학식 10이 되고 xi+1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 수학식 11과 같은 Newton - Raphson 공식을 얻을 수 있 다.
Figure 112007092221298-pat00010
Figure 112007092221298-pat00011
이 방법을 사용하여 위에서 언급한 오차 함수의 해를 구하기 위해 다음 수학식 12를 두고 Iteration을 수행하였다. 즉, 입력값 xi를 주파수로 하여 대입하면, 다음 수학식 13과 같이 출력값 xi +1,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7092221298-pat00012
Figure 112007092221298-pat00013
xi +1을 다음 반복 계산에 입력하여 오차 함수가 0에 수렴할 때까지 반복 계산하여 얻어지는 x가 점탄성 재료의 입력 주파수, 또는 RKU 샌드위치 보/평판 방정식에서 얻어지는 고유진동수가 된다. 이 주파수의 물성치를 사용하여 감쇠재의 최적의 두께를 얻었다.
또한 바닥슬래브를 블록화하고 블록과 블록사이에 점탄성 재료를 구성하므로 마감몰탈층(온돌구조)에서 슬래브로 전달되는 1차 충격력을 줄여주고, 반복되는 진동을 감소 또는 제어로 굴절파의 크기를 줄였다.
이는 마감몰탈층에서 슬래브로 가는 충격력은 개별 블록이 각각 진동감쇠를 시키는 원리이다.
도 1b에서, 상기의 마감몰탈층(온돌구조)에서 바닥 슬래브와 벽체로 전달되어 수음실로 진행하는 진동력은 온돌구조 부분의 하중 저감으로 진동력을 줄여주고, 하중 저감을 시킨 분리된 블록이 진동감쇠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접착한 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는 물체에 충격원으로부터 힘이 가해질 때 탄성변형과 점성을 지닌 흐름이 동시에 나타나서 상부에서 오는 진동과 블록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수평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진동절연을 하여, 벽식구조에 전달되는 진동에너지를 줄여 준다.
충격원으로부터 마감 몰탈층(온돌구조)에 전달되는 충격력이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블록 중 특정의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에 전달된 경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 전체에서 전단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을 일정크기의 블록 형상으로 나누어 일정크기의 블록으로 제작함과 동시에,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 블록의 2-4 측면에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부착하여 충격력이 가해진 특정의 진동 감쇠 블록에서만 전단 변형이 일어나도록 하고 다른 진동 감쇠 블록에는 전단 변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의 진동 감쇠 블록은 진동 감쇠 효과는 떨어지지만 경쟁자에 의하여 하부구조를 중공층이 되도록 형상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도 12a 참조), 블록의 상부도 경쟁자에 의하여 난방배관을 설치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도 10 및 도 12b, 12c 참조).
본 발명 진동 감쇠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 블록의 2-4 측면 및 저면에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용 시트를 부착하여 하부 쪽으로도 전단 변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 진동 감쇠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 블록의 2-4 측면과 저면 및 상면에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부착하여 상,하부 쪽으로도 전단 변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점탄 성 진동 감쇠 시트에서 진동을 감쇠하여 공진 현상을 제어 하므로서 소음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는 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 블록에 부착할 때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잘 부착되고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점탄성 진동 감쇠용 시트는 종래의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폴리에틸렌 폼, 폴리우레탄 폼 등의 완충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 시트에 비하여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본 발명은 점도가 낮고 저장탄성계수와 손실계수가 큰 신규한 형태의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감쇠용 신규한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점탄성 진동감쇠 시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점탄성 진동감쇠 시트를 이용한 블록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점탄성 진동 감쇠용 시트와 점탄성 진동 감쇠용 블록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건축물의 바람직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은, 도 7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물의 단멸을 보인 바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10) 상부에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5)를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층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블록(40)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65)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이다.
실시예 2는, 도 8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구조물의 단면을 보인 바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10)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20)를 포설하여 일정두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5)를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층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40)의 4 측면에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65)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이다.
실시예 3은, 도 9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구조물의 단면을 보인 바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10) 상부에 발포합성고무 또는 폴리에틸렌 폼으로 되는 완충재를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완충재층(16)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층의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40)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65)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이다.
상기와 같이 완충재층(16)의 상부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를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층을 형성하면 진동감쇠 시트가 전단변형하는 상하 구조체와 일체화하여 거동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구조물에서의 점탄성 재료의 저감 원리인 CLD(Constrained-layer damping)에 부합하지 못하므로 소음을 크게 저감할 수는 없다.
실시예 4는, 도 10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구조물의 단면을 보인 바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10) 상부에 폴리에틸렌폼(PEF)으로 되는 완충재를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완충재층(16)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층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블록(40)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65)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연하여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이다.
실시예 5는, 도 11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구조물의 단면을 보인 바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10) 상부에 EPS(Expandable Polystyrene) 완충재를 포 설하여 일정 두께의 완충재층(16)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층의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40)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40)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65)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이다.
실시예 6은,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로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10) 상부에 실시예 5의 EPS와 달리 EPP(Expanded Polypropylene) 완충재를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완충재층(16)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층의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40)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65)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이다.
실시예 7은,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로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10) 상부에 실시예 5와 실시예 6과 달리 폴리우레탄 폼(PUF, Polyurethane foam)으로 되는 완충재를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완충재층(16)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층의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40)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65)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 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이다.
실시예 8은,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로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10) 상부에 상기 실시예 7과 달리 발포알루미늄 폼 시트(16)를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구조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알루미늄 층의 상부에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를 포설한 다음,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층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65)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이다.
상기 실시예 외에도 블록의 재질은 축열재로서 CaCO3, Sludge를 첨가한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재질의 변경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단열을 고려하여 본 발명 블록 제조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대신 에이엘시(ALC)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재질의 변경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비투멘(Bitumen) 3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1) 2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2) 20중량%, 유화제로서 파라핀계 오일 3중량%, 연화제로서 프로세스 오일 7중량%, 미네랄 오일 타입 소포제 2중량%, 탄산칼슘 18중량%를 믹서기에 넣고 130℃ 온도로 30분간 혼합하여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압출 성형기에 넣고 티 다이(T-Die)를 통과시켜 압출 성형한 후 다시 롤러로 압착하여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절단하여 에이엘씨 블록의 4 측면에 부착하여 가로 세로 각각 600mm, 두께 60mm인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조하고,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1800mm) 상부에 상기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깔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층 상부에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포설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 50mm를 포설하여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로 시공한 다음, 경량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비투멘(Bitumen) 3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1) 2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2) 20중량%, 유화제로서 파라핀계 오일 3중량%, 연화제로서 프로세 스 오일 7중량%, 미네랄 오일 타입 소포제 2중량%, 탄산칼슘 18중량%를 믹서기에 넣고 130℃ 온도로 30분간 혼합하여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압출 성형기에 넣고 티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 성형한 후 다시 롤러로 압착하여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절단하여 에이엘씨 블록의 4 측면에 부착하여 가로 세로 각각 600mm, 두께 40mm인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조하였다.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부에 두께 20mm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상부에 상기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포설한 다음, 다시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층 상부에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포설한 후,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 50mm를 포설하여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로 시공하고 경량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비투멘(Bitumen) 3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1) 2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2) 20중량%, 유화제로서 파라핀계 오일 3중량%, 연화제로서 프로세스 오일 7중량%, 미네랄 오일 타입 소포제 2중량%, 탄산칼슘 18중량%를 믹서기에 넣고 130℃ 온도로 30분간 혼합하여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압출 성형기에 상기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넣고 티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 성형한 후 다시 롤러로 압착하여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제작하 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절단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부착하여 가로 세로 각각 600mm, 두께 40mm인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작하고,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부에 폴리에틸렌 폼으로 되는 두께 20mm의 완충재를 포설하고, 상기 완충재의 상부에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포설한 다음,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 50mm를 포설하여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로 시공하고 경량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비투멘(Bitumen) 3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1) 2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2) 20중량%, 유화제로서 파라핀계 오일 3중량%, 연화제로서 프로세스 오일 7중량%, 미네랄 오일 타입 소포제 2중량%, 탄산칼슘 18중량%를 믹서기에 넣고 130℃ 온도로 30분간 혼합하여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압출 성형기에 넣고 티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 성형한 후 다시 롤러로 압착하여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제작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절단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부착하여 가로 세로 각각 600mm, 두께 40mm인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작하고,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블록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65)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로 시공하고 경량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비투멘(Bitumen) 3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1) 2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2) 20중량%, 유화제로서 파라핀계 오일 3중량%, 연화제로서 프로세스 오일 7중량%, 미네랄 오일 타입 소포제 2중량%, 탄산칼슘 18중량%를 믹서기에 넣고 130℃ 온도로 30분간 혼합하여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압출 성형기에 넣고 티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 성형한 후 다시 롤러로 압착하여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제작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절단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부착하여 가로 세로 각각 600mm, 두께 40mm인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작하고,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부에 EPS(Expandable Polystyrene) 완충재(16)를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완충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층의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65)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로 시공하고 경량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비투멘(Bitumen) 3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1) 2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2) 20중량%, 유화제로서 파라핀계 오일 3중량%, 연화제로서 프로세스 오일 7중량%, 미네랄 오일 타입 소포제 2중량%, 탄산칼슘 18중량%를 믹서기에 넣고 130℃ 온도로 30분간 혼합하여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압출 성형기에 넣고 티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 성형한 후 다시 롤러로 압착하여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절단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부착하여 가로 세로 각각 600mm, 두께 40mm인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작하고,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부에 EPP(Expanded Polypropylene) 완충재(16)를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완충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층의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65)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로 시공하고 경량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비투멘(Bitumen) 3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1) 2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2) 20중량%, 유화제로서 파라핀계 오일 3중량%, 연화제로서 프로세 스 오일 7중량%, 미네랄 오일 타입 소포제 2중량%, 탄산칼슘 18중량%를 믹서기에 넣고 130℃ 온도로 30분간 혼합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압출 성형기에 넣고 티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 성형한 후 다시 롤러로 압착하여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제작하였다.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절단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부착하여 가로 세로 각각 600mm, 두께 40mm인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작하고,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부에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되는 완충재(16)를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완충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층의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65)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로 시공하고 경량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비투멘(Bitumen) 3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1) 20중량%,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2) 20중량%, 유화제로서 파라핀계 오일 3중량%, 연화제로서 프로세스 오일 7중량%, 미네랄 오일 타입 소포제 2중량%, 탄산칼슘 18중량%를 믹서기에 넣고 130℃ 온도로 30분간 혼합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조성물을 압출 성형기에 넣고 티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 성형한 후 다시 롤러로 압착하여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제작하였다.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절단하여 에이엘씨 블록의 4 측면에 부착하여 가로 세로 각각 600mm, 두께 40mm인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을 제작하고,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부에 발포알루미늄 폼 시트를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구조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알루미늄 층의 상부에 두께 3mm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포설한 다음,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층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4 측면에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50)가 부착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65)을 포설하여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층의 상부에 온수 배관(30)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층(35)을 형성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로 시공하고 경량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에 대한 층간 소음 성능 시험은 한국산업규격(KS)인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 현장 측정방법 중에서 표준 경량 충격원에 의한 방법은 KS F2810-1에 의거하고, 표준 중량 충격원에 의한 방법은 KS F2810-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대상 바닥 위에 표준 경량/중량 충격원을 이용해서 충격음을 발생시키고 주변 벽으로부터 75cm이상 떨어진 바닥 평면 내로 중앙점 부근 1점을 포함해서 평균적으로 분포하는 5점으로 하고, 측정 주파수는 63 내지 2000Hz까지를 1/1 옥타브 주파수 분석으로 중량충격음의 경우에는 충격원을 3회가진에 대한 Fast 특성 소음특성 최대값으로 계산으로 충격음레벨을 산출했으며 경량충격음의 경우에는 6초간 의 등가소음레벨(Leq)로 계산하였다.
각각의 단일수치평가레벨은 KS F 2863-1 및 2863-2에서 규정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역A 특성곡선에 의한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층간 소음 방지 성능 시험 결과
구   분 주파수 (Hz) 실시 예 비교 예
1 2 3 4 5 6 7 8 1 2
경량충격음량 (dB) 125 51 53 51 52 56 57 55 52 66 65
250 52 55 52 55 53 54 51 51 62 61
500 54 51 51 53 49 48 47 55 60 57
1000 46 49 47 49 45 44 41 51 57 54
2000 38 41 39 43 39 37 37 45 54 53
중량충격음량 (dB) 63 69 66 68 67 69 71 68 66 79 81
125 59 57 60 58 59 61 57 53 71 68
250 49 48 50 51 47 48 46 51 55 53
500 41 40 42 45 39 40 38 47 41 42
상기 표 2에서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발포합성고무(비교예 1) 또는 폴리에틸렌 폼(비교예 2)로 된 완충재를 포설하여 완충재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을 형성한 후,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상부에 온수 배관이 삽입되는 마감 몰탈을 시공한 후 시험 평가하였으나, 완충재 재질의 차이는 경량충격음량과 중량충격음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상기 표 2에서 비교예 1, 2와 본 발명의 실시예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은 진동 감쇠의 효과에 의하여 층간 소음 방지에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저주파수(63Hz, 125Hz)에서도 큰 소음 특성을 나타내는 중량 충격음을 63Hz와 125Hz에서 비교하여 볼 때, 10dB이상의 소음이 저감되어 층간 소음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실시예와 실험결과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점도가 낮고 저장탄성계수와 손실계수가 큰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감쇠용 신규한 점탄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탄성 진동감쇠 시트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점탄성 진동감쇠 시트를 이용한 블록 및 그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건자재산업 및 건축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a는 종래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 해석 모델 그림.
도 1b는 본 발명의 진동감쇠 구조 해석 모델 그림.
도 2a, 도 2b는 종래의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진동 감쇠 블록을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의 제1실시예를 보인 구조물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진동 감쇠 블록을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의 제2실시예를 보인 구조물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진동 감쇠 블록을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의 제3실시예를 보인 구조물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진동 감쇠 블록을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조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진동 감쇠 블록을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조 단면도.
도 12a, 도 12b 및 도12c는 본 발명 진동 감쇠 블록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변형된 실시예시도이다.

Claims (7)

  1. 비투멘 20~42중량%; 고형분이 60-70중량%, pH가 8.0~10.5, 표면장력이 30~35dyne/cm, 점도 800cps이하, 비중0.90~0.99인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1) 12~32중량%; 고형분이 40-59중량%, pH가 8.0~10.5, 표면장력이 35~50dyne/cm, 점도 100~200cps, 비중1.0~1.1인 스티렌- 부타티엔 라텍스(2) 12~32중량%; 유화제 2~4중량%; 아로마틱계 탄화수소 5~25중량%, 나프텐계 탄화수소 35~55중량%, 파라핀계 탄화수소 35~45중량%로 구성된 연화제 6~8중량%, 소포제 1~3중량%, 무기충진제 15~2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점탄성 조성물을 판상으로 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 조성물이 비투멘을 믹서기에 투입하고 100~150℃로 가열한 다음 상기 가열된 비투멘에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1), (2), 유화제, 연화제를 넣어 균일하게 혼합하고 상기 균질화된 혼합물에 무기충전제와 소포제를 첨가하고 재차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는 두께가 1~20mm이고, 형상이 직사각면체, 정사각면체, 정육각면체, 직육각면체, 삼각면체, 팔각면체 중 어느 하나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ALC) 블록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특 징인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ALC) 블록 표면의 2 내지 4 측면에 부착함으로써 제작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ALC) 블록 표면의 2 내지 4 측면과 저면에 부착함으로써 제작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
  6.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점탄성 진동 감쇠 시트를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또는 에이엘씨(ALC) 블록 표면의 2 내지 4 측면과 저면 또는 상면에 부착함으로써 제작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의 상부 또는 하부에 온수배관(30)이 형성된 점탄성 진동 감쇠 블록.
KR1020070135684A 2007-06-26 2007-12-21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및 블록 KR100839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2740 2007-06-26
KR1020070062740 2007-06-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255A Division KR100799650B1 (ko) 2007-06-26 2007-08-07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시트, 블록 및 층간 소음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203B1 true KR100839203B1 (ko) 2008-06-17

Family

ID=3934195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255A KR100799650B1 (ko) 2007-06-26 2007-08-07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시트, 블록 및 층간 소음 방지시스템
KR1020070135684A KR100839203B1 (ko) 2007-06-26 2007-12-21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및 블록
KR1020070135685A KR100839204B1 (ko) 2007-06-26 2007-12-21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 및 그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255A KR100799650B1 (ko) 2007-06-26 2007-08-07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시트, 블록 및 층간 소음 방지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685A KR100839204B1 (ko) 2007-06-26 2007-12-21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 및 그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0799650B1 (ko)
WO (1) WO200900198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658A (ko) 2015-02-25 2016-09-02 (주)친환경건축디자인시공연구센터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동 감쇠시트 및 진동 감쇠블록
KR20160111117A (ko)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씨쓰리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180131785A (ko) 2017-06-01 2018-12-11 (주)친환경건축디자인시공연구센터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KR200491312Y1 (ko) 2019-01-17 2020-03-18 백선영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441B1 (ko) 2014-05-29 2014-08-07 김형숙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CN104893257A (zh) * 2015-06-10 2015-09-09 周彩球 一种高温静音排水管
KR102213237B1 (ko) * 2018-11-20 2021-02-08 이정혜 단열층이 형성된 벽돌
KR102209207B1 (ko) * 2020-09-27 2021-01-29 김황래 층간소음 저감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CN113462172B (zh) * 2021-05-14 2022-08-12 河海大学 一种现场存储sbs改性沥青的性能提升方法
KR102610874B1 (ko) * 2022-11-15 2023-12-07 주식회사 포유엔지니어링 장력저항부가 구비된 단열재를 이용한 복층구조물용 층간소음 방지 바닥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002A (ja) * 1995-02-08 1996-08-13 Kobe Steel Ltd 構造部材用加熱融着性制振樹脂、制振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00768B1 (ko) * 1996-12-17 1999-06-15 윤종용 나노메모리 반도체 소자
KR20010095461A (ko) * 2000-03-30 2001-11-07 류 중근 절연 필름을 이용한 방수구조
JP2003268706A (ja) * 2002-03-19 2003-09-25 Taiheiyo Cement Corp 保水性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60032718A (ko) * 2004-10-13 2006-04-18 박영준 방수시트본체와 도막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방수시트본체와 도막방수층이 일체로 형성되는복합방수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757B1 (ko) 2004-08-06 2005-05-19 금강하이텍주식회사 이중바닥구조용 지지완충부재,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을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05845B1 (ko) * 2004-12-14 2007-04-1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KR100680555B1 (ko) * 2005-06-27 2007-02-12 주식회사페트로산업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67855A (ko) * 2005-12-26 2007-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002A (ja) * 1995-02-08 1996-08-13 Kobe Steel Ltd 構造部材用加熱融着性制振樹脂、制振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00768B1 (ko) * 1996-12-17 1999-06-15 윤종용 나노메모리 반도체 소자
KR20010095461A (ko) * 2000-03-30 2001-11-07 류 중근 절연 필름을 이용한 방수구조
JP2003268706A (ja) * 2002-03-19 2003-09-25 Taiheiyo Cement Corp 保水性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60032718A (ko) * 2004-10-13 2006-04-18 박영준 방수시트본체와 도막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방수시트본체와 도막방수층이 일체로 형성되는복합방수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658A (ko) 2015-02-25 2016-09-02 (주)친환경건축디자인시공연구센터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동 감쇠시트 및 진동 감쇠블록
KR20160111117A (ko)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씨쓰리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180131785A (ko) 2017-06-01 2018-12-11 (주)친환경건축디자인시공연구센터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KR200491312Y1 (ko) 2019-01-17 2020-03-18 백선영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650B1 (ko) 2008-02-01
KR100839204B1 (ko) 2008-06-17
WO2009001980A1 (en)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203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및 블록
US20220010550A1 (en) Utility materials incorporating a microparticle matrix formed with a setting agent
US5187905A (en) Complex sound-insulating material and flooring
KR100900641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MX2008016091A (es) Sistema de aislamiento acustico en capa bituminosa de piso.
RU2645558C2 (ru) Композитная волокнистая панель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200399170Y1 (ko) 소음차단제
KR100860061B1 (ko) 소음차단제
KR200433755Y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214079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KR102119407B1 (ko) 층간소음 저감용 고강성 방진구
KR101269113B1 (ko) 바닥충격음 저감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4963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76747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KR20090088209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KR20160103658A (ko)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동 감쇠시트 및 진동 감쇠블록
KR20070088233A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200401924Y1 (ko) 건축물용 층간소음 저감패널
KR100741454B1 (ko)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층간 차음재
KR100734945B1 (ko)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제진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1843893B1 (ko)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적용한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용 보강보
US20240191499A1 (en) Utility materials incorporating a microparticle matrix formed with a setting agent
KR200257123Y1 (ko) 단열과 차음·방진용 고무 시이트
KR200370453Y1 (ko) 고기능성 제진 완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