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441B1 -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441B1
KR101428441B1 KR1020140064855A KR20140064855A KR101428441B1 KR 101428441 B1 KR101428441 B1 KR 101428441B1 KR 1020140064855 A KR1020140064855 A KR 1020140064855A KR 20140064855 A KR20140064855 A KR 20140064855A KR 101428441 B1 KR101428441 B1 KR 10142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soundproofing
noise
block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숙
Original Assignee
김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숙 filed Critical 김형숙
Priority to KR102014006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은,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 건축용 입출수공(14), 그리고 기능 충진재(15)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에 있어서,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은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진동 흡수를 위해 고무재질로 건축물 시공시 하부 슬레이브(20)와 대면하여 형성되며, 측벽(30)과도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이 측벽(30)과 맞닿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의해, 경량충격 및 중량충격 모두에 대해 층간소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과 이어지는 측벽에 대한 공간적 구조 설계에 의해 하부층 뿐만 아니라, 측면에 거주하는 거주자에 대한 층간소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Noise proofing block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본 발명은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적 공간 설계에 의해 다중 소음 차단 구조를 통해 하부 및 측부에 거주하는 다른 실내 공간으로 진동에 의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은 다층 공동주택의 건축시에는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층의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상부에 소음차단재를 설치하고, 상기 소음차단재의 상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형성한 후 난방파이프 등이 매설되는 마감모르타르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음차단재의 경우 스티로폼과 같은 흡음재를 주로 사용하나 힘을 주어 걷는 걸음걸이 등에 의한 경량충격에 의한 소음에 대해서는 소음 차단 효과가 어느 정도 있으나 뛰거나 무거운 물건을 떨어뜨리는 등의 중량충격에 의한 소음에 대해서는 차단 효과가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관련기술문헌]
1.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Assembling structure of panel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7-0007791호)
2.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방진구(Vibration-absorber composition for reduction of crashing sound) (특허 출원번호 제10-2012-0093629호)
3. 습기와 소음 및 진동 차단용 매트와 이의 시공방법 및 이시공방법에 의해 조성된 슬래브단층 구조물(Mat assembly for interception the noise and its sitemethod and slab fault structure) (특허 출원번호 제10-2003-000681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량충격 및 중량충격 모두에 대해 층간소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과 이어지는 측벽에 대한 공간적 구조 설계에 의해 하부층 뿐만 아니라, 측면에 거주하는 거주자에 대한 층간소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은,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 건축용 입출수공(14), 그리고 기능 충진재(15)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에 있어서,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은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진동 흡수를 위해 고무재질로 건축물 시공시 하부 슬레이브(20)와 대면하여 형성되며, 측벽(30)과도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이 측벽(30)과 맞닿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은,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과 동일하게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시공 후, 하단이 내측으로 깎인 단턱 형태의 제 1 단부면(A)을 통해 상단이 내측으로 깎인 형태의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단턱 위에 얹히는 구조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은,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의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 상의 양측면에 모두 직교하게 시공된 뒤, 하단이 내측으로 깎인 단턱 형태의 제 2 단부면(B)을 통해 상단이 내측으로 깎인 형태의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2개의 단턱 위에 얹히는 구조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은,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은, 상부면에 각종 칼러(color) 또는 그림 인쇄가 형성되며,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의 건축용 입출수공(14) 및 기능 충진재(15)는,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시공 후,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 시공 전에 형성되며, 건축용 입출수공(14)은, 전열선 및 냉/온수관, 그리고 고무호수를 포함하는 다수개로 형성되며 기능 충진재(15)의 충진에 의해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의 기능 충진재(15)는, 현무암 혼합물을 용융상태로 주입하여 다공질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도록 하여,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상부면에서 전달된 진동음이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에 의해 1차로 흡수된 뒤 전달되면 2차로 다공질의 미세 기공을 통해 흡수되어 상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은, 경량충격 및 중량충격 모두에 대해 층간소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은, 바닥면과 이어지는 측벽에 대한 공간적 구조 설계에 의해 하부층 뿐만 아니라, 측면에 거주하는 거주자에 대한 층간소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이 건축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이 아파트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 1 단부면(A) 및 제 2 단면부(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이 건축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이 아파트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도 도 6은 도 3의 제 1 단부면(A) 및 제 2 단면부(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은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 건축용 입출수공(14), 그리고 기능 충진재(15)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은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진동 흡수를 위해 고무재질로 건축물 시공시 하부 슬레이브(20)와 대면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은 측벽(30)과도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이 측벽(30)과 맞닿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측벽(30)은 불연성 소재의 단열재(31)를 중심으로 벽돌(32)을 쌓는 형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 및 재질에 의해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은 하부면 뿐만 아니라, 측부로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상부면의 진동에 의한 전달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은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과 동일하게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시공 후, 하단이 내측으로 깎인 단턱 형태의 제 1 단부면(A)을 통해 상단이 내측으로 깎인 형태의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단턱 위에 얹히는 구조로 시공된다.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은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의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 상의 양측면에 모두 직교하게 시공된 뒤, 하단이 내측으로 깎인 단턱 형태의 제 2 단부면(B)을 통해 상단이 내측으로 깎인 형태의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2개의 단턱 위에 얹히는 구조로 시공된다.
여기서,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은 상부면에 각종 칼러(color), 그림 인쇄가 가능하며,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건축용 입출수공(14) 및 기능 충진재(15)는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시공 후,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 시공 전에 형성되는데, 건축용 입출수공(14)은 다수개로 형성됨으로써, 전열선 및 냉/온수관, 고무호수 등의 건축용 입출수공(14)이 기능 충진재(15)에 의해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은 전체적으로 재질이 고무로 형성됨으로써,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진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이 아니라서 수분 흡수로 인하여 손상 및 변질을 방지하는 내구성을 갖는다.
즉,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은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보면 원가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기능 충진재(15)는 기본적으로 콘크리트로 채워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현무암 혼합물을 용융상태로 주입하여 다공질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상부면에서 전달된 진동음이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에 의해 1차로 흡수된 뒤 전달되면 2차로 다공질의 미세 기공을 통해 흡수되어 상쇄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현무암 혼합물은 자연 상태에서 채취된 현무암을 분말화시킨 후 물과 같은 용매와 함께 소량의 안정제와 함께 적정 비율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예로서 현무암분말 30~70%, 물 5~10% 및 안정제 12~30%, 수용성접착제인 DH7000 등을 기타 잔여 비율로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에 의해 고주파의 진동음 상쇄에 이어, 기능 충진재(15)의 다공질을 형성하는 미세 기공에 의해 대부분의 저주파수의 진동음은 상쇄되며, 잔여 진동음은 최종적으로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 그 밖의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에 의해 소진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기능 충진재(15)를 형성하는 현무암 혼합물의 현무암 재질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생시켜,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능 충진재(15)를 형성하는 현무암 혼합물의 조성물은 숯, 맥반석, 인진 쑥, 게르마늄 광석 분말, 맥섬석, 황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하여 형성하며, 편백 나무 정유도 추가 혼합물로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현무암 혼합물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술한 현무암 혼합물을 형성하는 현무암과 숯 조성비를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형성하여야 하며, 제 1 실시예로, 여기서 사용되는 현무암과 숯은 분말화하여 배합할 수 있다.
1:1의 조성비를 구성하는 이유는, 현무암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과 숯에서 나오는 음이온의 조화를 위한 최적 비율이며, 현무암과 숯을 분말화 하였을 경우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이 극대화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로, 현무암 혼합물 형성시 직경이 0.5 내지 2cm의 현무암과 분말화된 숯을 배합하되, 현무암의 공극에 분말화된 숯을 채워 형성할 수 있으며, 현무암간의 공간에는 분말화된 숯을 채워넣을 수 있다.
여기서, 현무암의 공극에 숯을 메우면 현무암 원석이 가지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미활용되는 공극에 숯을 넣어 공간 활용성 및 기능성이 극대화되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발생 효능이 배가되어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
여기서, 현무암 직경이 0.5cm 미만이면 현무암의 공극이 너무 적어져서 공극에 들어가는 숯의 함량이 줄어 현무암 원석이 가지는 기능성이 저하되면서 숯과의 시너지 효능이 저하되고, 반면에 직영이 2cm 초과이면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한 현무암 혼합물에 바람직한 비율, 즉 현무암:숯의 중량비가 1:1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현무암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동일한 체적내에서 많은 양의 현무암이 들어가지 못하여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동일한 부피내에서 상기한 수치의 현무암과 숯을 배합하여 구성하게 되면 최대량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로 인한 극대화된 기능성을 발휘하게 된다.
제 3 실시예로, 기능 충진재(15)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육면체 형상과 내부의 격실 구조 자체를 열에 따른 균열에 강한 현무암 재질로 형성하되, 현무암으로 형성된 지지체와 격실 구조의 공극에 숯 분말을 메워 형성하되, 이 경우 격실 내에는 소량의 맥반석과 인진 쑥, 게르마늄 광석 분말, 맥석섬, 황토가 함유된 참나무로 된 숯체로 형성된 현무암 혼합물이 장입된다. 이 경우, 지지체 및 격실 구조를 현무암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지체 역할과 함께 기능성을 발휘하는 구성요소로서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면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대량 방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현무암 공극에 숯을 메꾸어 배합하는 구성 또는 현무암으로 구성되는 지지체 등의 구성에 의해 현무암 혼합물에 대한 공간활용성 즉, 부피의 효율적 사용에 따른 체적활용성, 기능 및 효능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기능성 충진재의 내부 균열이 열에 강한 현무암이라는 구성요소에 의해 방지되어 내구성 및 품질력을 최초 생산시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 4 실시예로, 현무암 혼합물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현무암과 숯에 추가로 배합가능한 한약재 성분, 자연꽃, 편백나무 정유 등을 함유시킨다. 이와 함께,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과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에 미세구멍을 내어 건축용 입출수공(14) 중 온수관에 가열되어 현무암 혼합물을 구성하는 현무암과 숯에 의해서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시키고, 한약재 성분, 자연꽃, 편백나무 정유에 의해서는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과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에 형성된 미세구멍에 의해 직접 인체로 발산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후각적인 효과가 추가되어 평온함, 안정, 휴식시 효과를 증대시키며,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현무암은 아토피 알레르기원인인 진드기 곰팡이 번식억제 효과, 포름알데이드(새집증후군) 저감효과, 화장실, 담배, 생활쓰레기, 애완동물 냄새, 생활악취제거 탁월한 효과, 습도조절 기능으로 결로예방,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며, 체내의 중금속 흡착 분해하는 성질로서 혈액순환 개선과 신진대사 촉진을 도모하며, 풍부한 산소량과 높은 수치의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방출로 성인병 예방/피로회복 탈취력이 탁월하다. 뿐만 아니라, 현무암은, 각종 악취제거, 정수 및 정화작용 능력이 탁월하고, 알카리나염에 대한 내성이 강한작극에 민감한 분에게 효과가 있으며, 화산석의 추출물인 파이버(암면)는 인체에 해로운 건축자제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숯은 음이온 방출효과, 전자파 차단효과, 정수효과 등이 있다.
자연꽃은 민들레 등이 될 수 있으며, 민들레는 위염을 다스리고 암세포를 죽이며 간은 보호하고 머리카락을 검게 한다. 또한, 민들레는 갖가지 질병에 두루 효과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유방암, 유종의 고름을 없애는 힘이 매우 강하다. 한편, 민들레는 일 실시예로 기능에 따라 다른 자연꽃으로 대체 가능하다.
편백나무 정유는 피톤치드(Phytoncide Oil) 오일 이라고도 하며, 강한 항균력을 갖고 있어 아토피의 가렴움증을 줄여주며 상처 내의 균을 죽이는 것은 물론 혈액순환을 돕고 면역력을 증가시켜, 빠른 시간에 새살이 올라오도록 도와준다.
또한, 편백나무 정유는, 편백정유를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0.1g을 여성 생리대에 첨가했을 때, 생리시 발생되는 냄새를 약 80 %까지 줄여 줄 수 있다는 실험치를 토대로 정밀 연구를 의뢰한 결과, 한국화학시험연구소에서는 4시간 후 약 50 % 소취 효과가 있는 등 피하 지방샘에 기생하는 세균을 강한 살균력으로 살균하고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과 여드름을 치료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여 주는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제공한다.
한약재는 가자, 갈근, 감초, 개자, 검실, 견우자, 결명자, 계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가자(訶子)는 만성후염, 후두결핵, 장출혈, 대하, 자궁염에 효능이 있으며, 갈근(葛根)은 발한, 해열, 진통, 어깨결림, 목결림에 효능이 있으며, 감초(甘草)는 근육의 통증, 진해, 거담과 위경련, 위통, 위궤양, 해독에 효능이 있으며, 개자(芥子)는 신경통, 폐렴에 효능이 있으며, 검실은 자양강장, 허리와 무릎의 통증, 실금, 설사, 대하에 효능이 있으며, 견우자(牽牛子)는 이뇨, 수종, 구충제로 쓰이며, 결명자(決明子)는 완화, 강장, 이뇨, 변비, 혈압강하, 눈을 맑게하며, 계피(桂皮)는 건위, 구풍, 발한, 해열, 혈액순환, 강장, 감기, 두통, 발열, 신체동통에 효능이 있다. 한편, 한약재는 일 실시예로 기능에 따라 다른 성분이 추가 가능하다.
제 5 실시예로,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에 시온안료(감온안료)가 포함된 마감재로 형성하여, 건축용 입출수공(14) 중 온수관의 가열에 따른 온도변화에 따라 온화한 따뜻한 색이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평온함 및 안정감을 느끼는 시각적인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11: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
12: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
13: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
14: 건축용 입출수공
15: 기능 충진재

Claims (5)

  1.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 건축용 입출수공(14), 그리고 기능 충진재(15)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에 있어서,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은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진동 흡수를 위해 고무재질로 건축물 시공시 하부 슬레이브(20)와 대면하여 형성되며, 측벽(30)과도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이 측벽(30)과 맞닿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은,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과 동일하게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시공 후, 하단이 내측으로 깎인 단턱 형태의 제 1 단부면(A)을 통해 상단이 내측으로 깎인 형태의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의 단턱 위에 얹히는 구조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3. 청구항 2에 있어서,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은,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의 하층 방음용 고무 깔판(11) 상의 양측면에 모두 직교하게 시공된 뒤, 하단이 내측으로 깎인 단턱 형태의 제 2 단부면(B)을 통해 상단이 내측으로 깎인 형태의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2개의 단턱 위에 얹히는 구조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4.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축용 입출수공(14) 및 기능 충진재(15)는,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시공 후,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 시공 전에 형성되며,
    건축용 입출수공(14)은,
    전열선 및 냉/온수관, 그리고 고무호수를 포함하는 다수개로 형성되며 기능 충진재(15)의 충진에 의해 주변 방음용 고무 측판(12)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능 충진재(15)는
    현무암 혼합물을 용융상태로 주입하여 다공질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도록 하여,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10)의 상부면에서 전달된 진동음이 방음 블럭 커버용 장판(13)에 의해 1차로 흡수된 뒤 전달되면 2차로 다공질의 미세 기공을 통해 흡수되어 상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KR1020140064855A 2014-05-29 2014-05-29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KR10142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855A KR101428441B1 (ko) 2014-05-29 2014-05-29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855A KR101428441B1 (ko) 2014-05-29 2014-05-29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441B1 true KR101428441B1 (ko) 2014-08-07

Family

ID=5174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855A KR101428441B1 (ko) 2014-05-29 2014-05-29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034B1 (ko) 2022-11-23 2024-01-29 최영근 층간소음 방지 바닥 시공방법 및 그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757B1 (ko) 2004-08-06 2005-05-19 금강하이텍주식회사 이중바닥구조용 지지완충부재,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을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67855A (ko) * 2005-12-26 2007-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저감장치
KR100799650B1 (ko) 2007-06-26 2008-02-01 김진만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시트, 블록 및 층간 소음 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757B1 (ko) 2004-08-06 2005-05-19 금강하이텍주식회사 이중바닥구조용 지지완충부재,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을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67855A (ko) * 2005-12-26 2007-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저감장치
KR100799650B1 (ko) 2007-06-26 2008-02-01 김진만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시트, 블록 및 층간 소음 방지시스템
KR100839204B1 (ko) 2007-06-26 2008-06-17 김진만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층간 소음 방지 구조물 및 그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034B1 (ko) 2022-11-23 2024-01-29 최영근 층간소음 방지 바닥 시공방법 및 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290B1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KR19990018493A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28441B1 (ko) 층간소음 차단용 방음 블럭
WO2007139284A1 (en) Interior decoration panel
KR100779997B1 (ko) 원적외선 방사 침대
KR101645559B1 (ko) 공기 질 개선효과와 결로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KR101043794B1 (ko) 황토판재로 제공되는 기능성 황토방
KR101602564B1 (ko) 건강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315461B1 (ko) 건축용내장재의패널
KR20060011912A (ko) 원적외선방사 편백나무 온열침대
KR101414819B1 (ko) 친환경 황토 단열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5570B1 (ko) 친환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899B1 (ko) 친환경 실내외 건축 보드
KR20070096176A (ko) 황토매트 제조방법과 그 매트
KR200401927Y1 (ko) 기능성 매트
KR100994288B1 (ko) 통 원목마루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3119B1 (ko) 바닥마감용 건축자재
KR100816644B1 (ko) 대마황토를 이용한 찜질방
KR20140019133A (ko) 친환경 황토패널
KR20030008857A (ko) 황토와 활성탄을 이용한 단열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402806B1 (ko) 일인용 휴면캡슐
KR20110090864A (ko)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KR101096075B1 (ko) 황토 방바닥의 난방구조
KR100702915B1 (ko) 기능성 매트
KR100577337B1 (ko) 실내 건축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