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864A -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 Google Patents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864A
KR20110090864A KR1020110062859A KR20110062859A KR20110090864A KR 20110090864 A KR20110090864 A KR 20110090864A KR 1020110062859 A KR1020110062859 A KR 1020110062859A KR 20110062859 A KR20110062859 A KR 20110062859A KR 20110090864 A KR20110090864 A KR 20110090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oil
frame
ston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5661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84859A/ko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6258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90863A/ko
Publication of KR20110090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864A/ko
Priority to KR102012004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96Generators releasing in a self-sustaining way pure oxygen from a solid charge, without interaction of it with a fluid nor external heating, e.g. chlorate candles or canister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이중으로 구성되는 이중 프레임의 하부 중간에 칸막이가 구성되고 상부 프레임에는 흙 또는 돌 또는 흙과 해초와 식물성 소재와 광물성 물질 및 향기 발산부재을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이 삽입되고 상기 흙 혼합물의 사이에는 산소를 공급하여 주는 산소공급용 호스가 설치되고 상기 산소공기공급용 호스에는 산소가 상기 흙 혼합물로 스며들 수 있도록 통공(미도시)이 구성됨과 함께
상기 이중으로 구성되는 이중 프레임의 하부프레임에는 탄성 발생용 스프링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부에 밀착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는 결합체에 의해 지지판과 결합 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상기 이중 프레임은 침대프레임에 배열 안치하여 침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일 측에는 산소통 수납함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산소통 수납함에는 산소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노즐과 결합 된 산소통이 수납됨과 함께
상기 산소통은 상기 흙 혼합물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산소 공급호스에 선택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흙 침대를 특징으로 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
본 발명은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흙 침대에 사용되는 이중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흙과 같은 광물성부재, 목재 분쇄물 또는 국화와 같은 식물성 물질 또는 분쇄물 또는 목재 칩과 같은 식물성 부재 등으로 된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을 주입해주어 이로부터 발산되는 성분을 통해 침대가 놓이는 건축물의 독성을 중화 또는 제거토록 하고, 향기를 발산하여 항상 상쾌한 기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되, 이중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온도조절가능하게 열선을 내장하여 열선의 발열에 의해 이중프레임의 상부에 채워지는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의 부패를 방지하여 줌은 물론 침대 사용자가 온열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열선의 온열에 의해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로부터 독성제거성분 및 향기성분의 추출이 더욱 활발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침대는 사람이 누워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가구의 일종으로서, 프레임에 매트리스가 얹혀져 이루어진다.
그런데, 일반적인 침대는 누워서 자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시대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건축물은 콘크리트, 목재,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로 축조되므로 이러한 건축물의 재료가 되는 시멘트, 내장재, 각종 접착제 등에 포함된 라돈,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독성 물질이 지속적으로 발산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또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건축물을 신축하였을 때에는 상기와 같은 독성물질들이 대기와 중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러한 독성물질들에 의해 아토피의 발생이 증가 되고, 호흡기 계통의 질환이 발생하는 등 사용자에게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를 새집증후군이라 한다.
물론, 오래된 건축물 역시 그 구성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독성물질들이 지속적으로 발산되므로 알게 모르게 사용자들은 독성물질에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독성을 제거시켜주기 위한 방법으로, 특허 제10-0557007호가 있는데 이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수시로 공기청정기의 공기 정화판을 세척하여 주어야만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결점이 있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또한 영구히 사용하지 못하는 중대한 결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광촉매 코팅을 건물 벽체에 도포하여주어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들이 제거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 또한 건축물 내외부의 온도차이에 의해 공기 속에 섞여 있는 수분이 응축되는 현상, 즉 결로현상에 의해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이 외부로 발산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막아줄 수는 없어 유해물질들을 원천적으로 제거시켜 주지 못하는 중대한 결점들이 있었다.
또한, 건축물을 순수하게 목재로만 구성하는 경우에도 그 내부에는 수많은 독성물질이 존재하고,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재료 속에도 수많은 독성물질이 존재하지만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함으로써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감안하여 특허출원 제 2007-104543 호에서는 매트리스의 일측 또는 외주면 위치에 매트리스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다수의 통공을 각각 형성하고, 이러한 통공을 통해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을 주기적으로 교체 충전하여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을 통해 발산되는 성분에 의해 매트리스, 침대, 침대가 놓여진 건축물 및 그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재료의 독성들을 지속적으로 중화 또는 제거하고, 향기 성분에 의해 항상 상쾌한 기분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독성을 제거하면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매트리스의 구성방법을 개시한 바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구성되는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쿠션이 자유롭게 조절되지 아니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중압감을 주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출원 제 2007-104543 호에 따른 독성을 제거하면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매트리스의 구성방법은 매트리스가 건축물의 실내온도에만 의지 하게 유지되는 것이므로 매트리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의 부패를 방지하지 못하는 기능상의 단점이 있음은 물론 매트리스 내부의 온도환경이 활성화되지 못하여 매트리스에 충전되어 있는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 물질로부터 독성제거성분 및 향기성분의 추출이 미진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독성제거물질 또는 향기발산물질들끼리 뭉쳐 지면서 부패하는 결점과 조성물들의 함량 기준이 설정되지 않아 실제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또한 피톤치드 추출물을 용기 담아 놓고 환풍기를 이용하여 피톤치드 성분이 휘산되도록 구성되는 휘산기가 있으나 이렇게 구성되는 휘산기는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들이 다양하게 작용하는 다양성의 기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건축물 또는 건축물의 내부에 있는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켜주는 작용을 확실하게 발휘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휘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환풍기 모터에서 발생 되는 전자파와 소음으로 인해 오히려 사용자에게 해를 주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중프레임의 상부에 채워지는 흙 또는 돌 또는 흙 혼합물 또는 이중프레임에 삽입되는 식물성 부재의 작용에 의한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이 부패 되지 않도록 작용함은 물론 이중프레임의 상부에 충전되는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로부터 독성제거성분 및 향기성분의 발산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독성을 중화시켜주거나 제거하면서 향기를 발산하여주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또는 돌 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ㅊe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흙 또는 돌 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중프레임의 상부공간에 흙 또는 돌 또는 흙과 식물성 부재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흙 혼합물에 의한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을 충전하여 이로부터 독성제거성분 및 향기성분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의 독성을 중화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이중프레임의 상부공간에 열선을 포설하고, 열선의 발열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센서를 열선과 연결하며, 이중프레임의 외부에는 열선과 연결되어 열선의 온도를 조절해주는 온도조절기를 설치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프레임의 상부공간에 채워지는 흙 또는 돌 또는 흙과 혼합되는 식물성 부재에 의한 독성제거작용과 그들 물질로부터 발산되는 성분에 의해 침대가 놓여 진 건축물 및 그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재료의 독성 들을 지속적으로 중화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향기발산물질로부터 발산되는 향기 성분에 의해 항상 상쾌한 기분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열선의 발열에 의해 이중프레임의 상부공간에 채워지는 흙과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이 부패하지 않으면서 그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중프레임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중프레임의 상부에 충전되어 있는 흙 또는 돌 또는 흙과 독성제거 및 향기발산물질로부터 독성제거성분 및 향기성분이 보다 원활하게 추출되어 건축물의 독성중화 또는 독성제거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1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이중프레임세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이중프레임세트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 2 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의 단면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침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1의 실시 예에 따라 이중 프레임세트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이중프레임세트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이중프레임세트의 단면사 시도 이며,
제 5 도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침대의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 제1의 실시 예에 따라 이중 프레임세트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의 분해 사시도 이다.
상,하 이중으로 구성되는 이중 프레임세트(1)의 하부 중간에 중간 칸막이(3)를 구성하여 상부 프레임(55)과 하부 프레임(77)으로 분리하여 구성함과 함께;
상기 이중프레임세트(1)에 구성되는 상부프레임(55)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중간 칸막이(3)의 상단부에는 열선 또는 열발생장치 (99)가 온도 조절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55)에 삽입되어 있는 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5)의 온도를 조절하여주도록 구성시킴과 함께;
상기 상부 프레임(55) 내부에 흙 혼합물 또는 흙 또는 돌을 삽입시켜서 상기 상부 프레임(55)을 완성시킴과 함께;
상기 이중 프레임 세트(1)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하부프레임(77)의 내부에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을 밀착 삽입시키고 상기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의 하단부는 결합체(7)를 이용하여 지지판(6)의 상판에 결합시킴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상기 이중 프레임세트(1)를 침대프레임(88)의 내부에 배열 안치하여 푹신푹신한 또는 흙 또는 돌 또는 흙 혼합물 침대(100)를 제조하는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중프레임세트(1)에 구성되는 상부프레임(55)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발열하는 열선(99)을 포설하고, 열선(99)의 발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열선(99)과 연결하며, 상기 침대(88)의 일정한 곳에 열선(99)의 온도를 조절해주는 온도조절기(미도시)를 설치하여 침대(88)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항상 유지시켜주도록 구비한다.
또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이중프레임세트(1)의 상부 프레임(55)의 내부에 채워지는 흙 또는 돌 또는 흙 혼합물(5)의 상부 표면에는 종이를 포설하거나 천을 포설하여 침대(100)의 외부를 아름답게 장식하여 주게 되면 본 발명의 구성은 완성된다.
그러나 상부 프레임(55)의 상부 표면을 꾸미는 것은 당해 업자 라면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침대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만 도시하고 부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 발생용 스프링(5)을 대신하여 쿠션 발생용 쇼바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흙 또는 돌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추가적인 구조를 구성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55)의 내부에는 산소를 공급하여 주는 산소공급용 호스(22)와 산소 공급관(23)이 결합 되어 설치됨과 함께;
상기 산소공급용 호스(22)에는 산소가 상기 흙 또는 돌 또는 흙 혼합물(5) 사이로 스며들 수 있도록 통공(상세도면 미도시)이 구성됨과 함께;
상기 산소 공급관(23)의 중간에는 산소 공급 조절 노즐(33)이 구성되고 상기 산소 공급 조절 노즐(33)의 끝단에는 산소통(9)이 구성됨과 함께;
상기 산소통(9)은 침대(88)의 일단에 구성되는 산소통 수납함(11)에 수납되어 침대(88)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더욱 많은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푹신푹신한 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5)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8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5)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88)는 상부 프레임(55)의 내부에 채워지는 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 또는 식물성 부재에서 발생 되는 다양한 물질들이 침대 사용자에게 전달됨으로 인해 침대 사용자의 편안한 숙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하부프레임(77)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의 탄성 작용에 의해 침대(88) 사용자에게 편안한 숙면 상태를 유지하여주는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다음은 발명에 따른 제2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 2 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의 단면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의 분해 사시도 이다..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하단부에는 중간 칸막이(3)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칸막이(3)의 하단부에 원형의 테두리(32)를 구비시키고 상기 원형테두리(32)의 내면에는 암나사(34)를 구비하여 상부 이중 프레임(58)을 완성 시킴과 함께;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상단부 내면에 상부 암나사(36)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 캡(38)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 캡(38)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통공구(35)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상부캡(38)의 외주면에 상부 숫 나사(39)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 이중프레임(58)의 내면에 구성되어 있는 상부 암나사(36)와 결합하여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상단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상부 캡(38)을 개봉하여 상부 이중프레임(58)의 내부에 흙 또는 돌 또는 흙 혼합물(5)을 투입한 후에 상기 상부 캡(38)을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상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상부 이중프레임(58)의 구성을 완성 시킴과 함께;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하단부에는 하부이중 프레임(78)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이중 프레임(78)의 상단부 외면에는 하부 원형 테두리(54)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원형 테두리(54)의 외면에 숫 나사(37)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 이중프레임(58) 하부의 원형테두리(32) 내면에 구성되어 있는 암나사(34)와 결합하여 이중 결합 프레임 세트(1)를 완성 시킴과 함께;
상기 하부 이중 프레임(78)의 하부에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을 투입한 후 상기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의 하단부를 결합체(7)를 이용하여 지지판(6)의 상판에 결합시킴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상기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를 침대프레임(88)에 배열 안치하여 푹신푹신한 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100)를 제조하는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5)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5)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의 하단부를 결합체(7)를 이용하여 지지판(6)의 상판에 결합할 때에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동시 성형이 가능함으로 이러한 변경된 방법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탄성 발생용 스프링을 제작할 때에 지지판과 탄성 발생용 스프링이 한개의 구조물이 되도록 제작할 수가 있음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는 이중프레임세트(1)의 상부 이중 프레임(58)에 채워지는 돌 또는 흙 또는 흔 혼합물 또는 식물성 소재의 수명이 다했을 때에 상부 캡(38)을 열고서 상부 이중프레임(58)에 채워져 있는 소재를 꺼내고 다시 채워줄 수가 있다.
또한 암나사(34)와 숫 나사(37)를 돌려서 상부 이중 프레임(58)을 교체하여 줄 수가 있다.
또한 상부 이중프레임(58)과 하부 이중프레임(78)의 형상을 구성할 때에 그 모양을 육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할 수가 있음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함으로 그 종류와 형상과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여 정하지 않는다 .
그 이유는 매우 다양하게 탄성 작용을 발생시키는 재료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프링의 형태를 매우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프링 대신에 유압 또는 공기의 압축작용에 의해 작용하는 실린더식 쇼바를 이중프레임의 하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음으로 이러한 설계 병경 또는 본 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침대 프레임의 형태를 매우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어느 한가지 침대 프레임의 모양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중프레임세트(1)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상단 프레임(55)의 내부에 해초0.5~5wt%와 식물성 소재 10~60wt%와 흙과 같은 광물성 물질40~90wt%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5)을 넣어서 푹신푹신한 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한 침대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설계 변경은 공지된 기술로서 당해 업자라면 얼마든지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임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부프레임(55)과 상부이중 프레임(58)의 내부에 온 갓 종류의 물질을 투입하여 만든 침대들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하부 프레임(77)과 하부 이중 프레임(78)의 내부에 투입하는 탄성 발생용 소재들은 공기를 투입하여 만든 공 또는 에어에 의해 작동하는 쇼바등을 투입하여 만들 수가 있음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들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이중프레임세트(1)와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가 이 옆으로 밀리지 못하도록 침대(88)의 프레임에 ▦ 이러한 형태로 칸막이를 구성한 후에 칸막이 사이에 이중프레임세트(1)와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를 투입하여 침대(88)를 구성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55)과 하부 프레임(77)과 이중프레임세트(1)와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와 탄성 발생용 스프링(2)과 침대(100)와 침대 프레임(88)을 구성하는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재료의 성질과 구성요소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구성이론들과 구성요소들을 세계 최초의 원천 특허공법에 해당함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론을 이용하여 침대를 구성한 모든 모방제품들은 본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1.이중프레임 세트, 이중결합 프레임 세트 2. 탄성 발생용 스프링 3.칸막이 5.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 또는 목재 혼합물 6. 지지판 7.결합체
8.침대 9. 산소통 11. 산소통 수납함 22. 유공관 형태로 구성되는 산소공급 호스 23. 산소 공급관 32.원형 테두리 33.산소공급 조절노즐 34.숫 나사 35.통공구 36.상부 숫 나사 37.암 나사 38.상부 캡 39.상부 암나사 54. 하부 원형테두리 55.상부 프레임 58. 상부 이중 프레임 77.하부 프레임 78. 하부 이중 프레임 88.침대프레임 99.열선 또는 열 발생장치 100. 침대

Claims (5)

  1. 흙 또는 돌 또는 식물성 소재와 향기 발산 부재와 해초와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과 산소가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침대와 흙 혼합물 또는 흙 또는 돌의 온도를 높여 주도록 구비되는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에 있어서

    상,하 이중으로 구성되는 이중 프레임세트(1)의 하부 중간에 중간 칸막이(3)를 구성하여 상부 프레임(55)과 하부 프레임(77)으로 분리하여 구성함과 함께;

    상기 이중프레임세트(1)에 구성되는 상부프레임(55)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중간 칸막이(3)의 상단부에는 열선 또는 열발생장치 (99)가 온도 조절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55)에 삽입되어 있는 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5)의 온도를 조절하여주도록 구성시킴과 함께;

    상기 상부 프레임(55) 내부에 흙 혼합물 또는 흙 또는 돌을 삽입시켜서 상기 상부프레임(55)을 완성시킴과 함께;

    상기 이중 프레임 세트(1)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하단프레임(77)의 내부에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을 밀착 삽입시키고 상기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의 하단부는 결합체(7)를 이용하여 지지판(6)의 상판에 결합시킴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상기 이중 프레임세트(1)를 침대프레임(88)의 내부에 배열 안치하여 푹신푹신한 또는 흙 또는 돌 또는 흙 혼합물 침대(100)를 제조하는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2. 흙 또는 돌 또는 식물성 소재와 향기 발산 부재와 해초와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과 산소가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침대와 흙 혼합물 또는 흙 또는 돌의 온도를 높여 주도록 구비되는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에 있어서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하단부에는 중간 칸막이(3)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칸막이(3)의 하단부에 원형의 테두리(32)를 구비시키고 상기 원형테두리(32)의 내면에는 암나사(34)를 구비하여 상부 이중 프레임(58)을 완성 시킴과 함께;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상단부 내면에 상부 암나사(36)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 캡(38)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캡(38)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통공구(35)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상부캡(38)의 외주면에 상부 숫 나사(39)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 이중프레임(58)의 내면에 구성되어 있는 상부 암나사(36)와 결합하여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상단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상부 캡(38)을 개봉하여 상부 이중프레임(58)의 내부에 흙 또는 돌 또는 흙 혼합물(5)을 투입한 후에 상기 상부 캡(38)을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상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상부 이중프레임(58)의 구성을 완성 시킴과 함께;

    상기 상부 이중 프레임(58)의 하단부에는 하부이중 프레임(78)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이중 프레임(78)의 상단부 외면에는 하부 원형 테두리(54)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원형 테두리(54)의 외면에 숫 나사(37)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 이중프레임(58) 하부의 원형테두리(32)의 내면에 구성되어 있는 암나사(34)와 결합하여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를 완성 시킴과 함께;

    상기 하부 이중 프레임(78)의 하부에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을 투입한 후 상기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의 하단부를 결합체(7)를 이용하여 지지판(6)의 상판에 결합시킴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상기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를 침대프레임(88) 내부에 배열 안치하여 푹신푹신한 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100)를 제조하는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5)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5)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대
  3. 제1항과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77) 또는 상기 하부이중 프레임(78)을 사출 성형할 때에 사출성형 프레스 기계(미도시)에 탄성 발생용 스프링(2)을 동시에 투입하여 상기 하부프레임(77) 또는 상기 하부 이중 프레임(78)을 성형하여 이중프레임 세트(1)
    또는 상기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를 제작 한 후 제작된 상기 이중프레임 세트(1) 또는 상기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를 침대(88)의 내부에 안치하여 돌 또는 흙 또는 흙 혼합물 침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4.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77) 또는 상기 상부 프레임(55) 또는 상기 상부 이중프레임(58)과 상기 하부 이중프레임(78)의 형상을 구성할 때에 상기 하부 프레임(77) 또는 상기 상부 프레임(55) 또는 상기 상부 이중프레임(58)과 상기 하부 이중프레임(78)의 모양을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5.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이중프레임세트(1)와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가 이 옆으로 밀리지 못하도록 침대(88)의 프레임에 ▦ 이러한 형태로 칸막이를 구성한 후에 칸막이 사이에 상부 프레임(55)과 하부 프레임(77) 또는 이중프레임세트(1) 또는 이중 결합 프레임세트(1)를 투입하여 침대(8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
KR1020110062859A 2011-05-09 2011-06-28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KR20110090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881A KR101399974B1 (ko) 2011-05-09 2012-05-09 흙 혼합물로 구성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611A KR20110084859A (ko) 2011-06-13 2011-06-13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또는 돌 침대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흙 또는 돌 침대
KR1020110056611 2011-06-13
KR1020110062587 2011-06-28
KR1020110062587A KR20110090863A (ko) 2011-06-28 2011-06-28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864A true KR20110090864A (ko) 2011-08-10

Family

ID=4492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859A KR20110090864A (ko) 2011-05-09 2011-06-28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08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50B1 (ko) * 2011-08-17 2012-02-28 유병준 침대용 매트리스 구조체
KR102153706B1 (ko) * 2019-09-17 2020-09-09 윤원호 충격 차단용 이중 쿠션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50B1 (ko) * 2011-08-17 2012-02-28 유병준 침대용 매트리스 구조체
KR102153706B1 (ko) * 2019-09-17 2020-09-09 윤원호 충격 차단용 이중 쿠션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0864A (ko)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KR20130079938A (ko) 알레르겐 방지 건강침구재 제조방법
JP4578343B2 (ja) 機能性立体ネット編地シート
KR101331072B1 (ko) 솔잎과 편백나무 추출 피톤치드의 복합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0725819B1 (ko) 원적외선방사 편백나무 온열침대
KR20120067980A (ko)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로 구성되는 쿠션 침대
KR20110090863A (ko)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KR20110001563U (ko) 침구에 사용되는 기능성 솜
KR100774386B1 (ko) 향기발산 침대의 구성방법
KR20090115985A (ko) 편백나무를 마감재로 한 온열침대
KR20130081752A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20120068789A (ko) 인체에 이로운 향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어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를 제조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면서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
KR101012597B1 (ko) 찜질용 평상
KR20150141357A (ko) 애완동물용 돌침대
KR100798888B1 (ko) 황토 흙을 이용한 실내장식품 및 그 이용방법
KR20140013866A (ko)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20110084859A (ko)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또는 돌 침대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흙 또는 돌 침대
KR20110069749A (ko)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KR200473719Y1 (ko) 자연향을 발산하는 친환경 나무침대
KR20140006173A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CN204105554U (zh) 一种地暖用地垫
KR200257660Y1 (ko)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KR100757668B1 (ko) 황토 베개
KR20090058631A (ko) 건축물의 독성을 중화시켜주거나 제거하면서 향기를발산하여주는 매트리스의 구성방법
KR20120069628A (ko) 인체에 이로운 향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어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를 제조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면서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