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660Y1 -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 Google Patents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660Y1
KR200257660Y1 KR2020010027177U KR20010027177U KR200257660Y1 KR 200257660 Y1 KR200257660 Y1 KR 200257660Y1 KR 2020010027177 U KR2020010027177 U KR 2020010027177U KR 20010027177 U KR20010027177 U KR 20010027177U KR 200257660 Y1 KR200257660 Y1 KR 200257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plate
furniture
strength holding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김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일 filed Critical 김종일
Priority to KR2020010027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660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의 내판과 외판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태를 갖는 숯을 내장시키고, 가구의 내부 또는 외부로 숯과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가구 내부의 탈취효과와 실내의 공기 정화효과 등을 얻을 수 있으며, 숯을 내장시킨 구조로 인해 실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나 숯을 그대로 방치함에 따른 주변의 오염문제 등을 배제하면서 숯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그에 따른 숯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잇점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숯을 포함하는 가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Plate with charcoal for Furniture}
본 고안은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의 내판과 외판 사이에 공간을 조성하여 이곳에 소정의 형태를 갖는 숯을 내장시킴으로써, 탈취나 항균은 물론 습도조절과 실내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은 다공체로서 습도 조절, 탈취, 항균, 전자파 차단, 정수, 공기정화 등의 탁월한 효능을 가짐에 따라 최근 실생활 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전부터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으로써 원적외선 방출물질이나 자석, 자연옥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품의 건강증진물이나 이 물질을 이용한 건강증진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땔감 목적의 숯에 대하여 다른 효능이 밝혀지기 시작하면서 숯을 이용한 각종 응용물품들이 개발되고 시판되고 있다.
숯(Charcoal)이란 '신선한 힘'의 뜻을 지닌 순 우리말로서 나무를 숯가마 속에서 구워낸 덩어리(목탄)이며, 목재를 600∼900℃의 온도로 열분해를 일으켜 생겨나는 무정형 탄소체를 말한다. 즉 목재에 열분해를 가하면 고체 생산물이 생기며 목초액(木醋液)과 목타르(木tar)라는 액체 생산물이 생기고 목가스라고 하는 기체 생산물이 생기며 맛과 냄새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1차 가열, 즉 탄화시킨 숯에는 탄화작용 시에 많은 구멍들이 생기며, 이 구멍이 많을수록 좋기 때문에 건강재나 의학 목적으로 할 때에 상기 온도로 2차 가열을 하여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것이 활성탄(活性炭)이다.
활성탄은 구멍, 틈과 모서리가 많은 다공질(多孔質)이다. 구체적으로 각 면이 1㎝인 정육면체의 숯을 펴면 1,000㎡의 넓이가 되며, 이는 강한 흡착성, 흡수성을 지니고 있어, 예로부터 색소나 냄새를 빨아들이는 용매로 사용하고 있다.
숯이 활성화될 때에 생성되는 내표면(internal serface)의 화학적 특성은 미세공을 액체 상태로 채울 수 있는 어떤 분자가 있으면 끌어 당긴다는 것이다. 이것이 숯의 흡착력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숯을 만드는 나무는 밤나무, 붉나무, 야합수, 갈참나무, 참나무, 상수리 나무 등이며, 숯을 만드는 나무는 반드시 싱싱한 것이어야 하며 폐건축 자재나 독성이 있는 페인트칠한 것은 피해야 한다.
예전부터 선인들은 간장독에 숯을 띄워 물을 정화하고 세균번식을 억제하는 효능, 화학비료가 없을 때 타다 남은 재를 논에 뿌리는 것 등은 널리 알려진 바다.
또 최근의 효능으로서는 전자파 제거 효과, 정전기 방지 및 공기 청정기능이 있고, 숯베개의 경우에는 숙면을 취할 수 있고 코골이가 방지되며, 냉장고나 신발장 또는 싱크대에 놓아두면 냄새제거 효과가 뛰어나고 목욕 시 욕탕에 숯을 넣으면 물이 정화되어 피부에 윤기가 난다고 알려져 있다.
입상(粒狀; 가루상태)은 독한 가스의 흡수, 가스 종류의 정제에 쓰이며 미립상(微粒狀)은 탈색 탈취제로 쓰이는 한편 정장제로 약용된다.
오래 전부터 숯의 의학적 효능이 검증되어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지유, 형개, 측백 등의 약재를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태워서 숯이나 잿가루로 만들어 조제하였으며 지금도 행하여지고 있는 한방술이다.
숯의 일반적 구성은 탄소가 85%, 수분이 10%, 미네랄이 4%, 휘발성분이 약 2% 정도이다.
본 고안자는 수십년을 가구업에 종사한 가구 전문가로서, 이러한 숯의 효능을 소파에 접목함에 고안성이 있음을 착안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통 가정이나 업소에서는 숯 자체를 그대로 방치하거나 정수기나 냉장고 등에 넣어 두는 방법으로 정수 및 탈취 효과를 도모하고 있으나, 가정에서는 숯을 놓을 만한 마땅한 장소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아 실내의 냄새 제거나 공기 정화를 위해 숯을 활용하는 정도는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종래의 가구용 판상체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2장의 강도유지판(24)을 배치하고 이들 2장의 강도유지판(24) 사이에 충전재(12)로서 각종 목재, 즉 나왕건조목이나 파티칼 보드 등을 채워 넣거나, 아니면 중량을 감안하여 공간 상태로 그내로 두고, 상기 강도유지판(24)의 외면에는 외장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외장지(22)로서 각종 무늬목이나 HPM(고압상형 멜라민)이 접착되어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구에 주로 쓰이는 판상체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태를 갖는 숯을 내장시키고, 가구의 내부 또는 외부로 숯과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가구 내부의 탈취효과와 실내의 공기 정화효과 등을 얻을 수 있게 하고, 숯을 내장시킨 구조로 인해 실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나 숯을 그대로 방치함에 따른 주변의 오염문제 등을 배제하면서 숯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그에 따른 숯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잇점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판상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판 11 : 외판
12 : 목재(충전재) 13 : 공간부
14 : 숯 15,15a : 마감판
16,16a : 통기구멍 20 : 직물함체
22 : 외장지(각종 무늬목, 고압성형멜라민 등)
24 : 강도유지판(합판, MDF, 파티칼 보드 등)
30 : 책상 40 : 탁자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가구용 판상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숯의 고유 특성을 발산할 수 있는 가구용 판상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2장의 강도유지판(24)을 배치하고 이들 2장의 강도유지판(24) 사이에 충전재(12)를 충전하여 이루는 가구용 판상체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의 일면 일부를 제거하여 공간부(13)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13)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숯(14)을 수용하며, 상기 숯(14)을 포함하는 공간부(13)는통기구멍(16)을 갖는 별도의 마감판(15)으로 마감하여 외부와 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숯(14)은 헝겊과 같은 직물함체(20)에 의하여 포장되는 구조로 하면 숯의 고유 특성을 만긱하면서 숯가루가 무단히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마감판(15)의 표면을 외장지(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면, 숯 발산효과는 더 커진다.
또 상기 마감판(15)을 ABS 소재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하면 판상체의 외관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은, 적당한 간격을 두고 2장의 강도유지판(24)을 배치하고 이들 2장의 강도유지판(24) 사이에 충전재(12)를 충전하여 이루는 가구용 판상체에 있어서,
상기 강도유지판(24)과 외장지(22)는 모두 관통하여 절개되고,
이 절개된 테두리면에 끼워져 부착되는 통기구멍(16,16a)을 가지는 2개 1조의 카트리지식 마감판(15,15a)과,
이 카트리지식 마감판(15,15a) 내에 내장되는 숯(14)(내장함체 포함)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할 때에는 숯을 중심으로 가구의 내부와 외부가 통하여 숯의 각종 효과는 배가된다. 이것은 카트리지 식으로 가구용 판상체의 일면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의 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판상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가구의 각 판상체는 적당간격을 두고 배치한 강도유지판(24) 및 외장지(22)와, 그 사이에 충전되는 목재(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상체는 합판이나 MDF, HDF 등에서 선택된 강도유지판(24)의 외면에 HPM(고압성형멜라민), 무늬목, 도장층 등과 같은 재료에서 선택된 외장지(22)로 적층 조합시킨 2겹구조이다.
이러한 가구의 판상체에 숯을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목재(12)(충전재)의 일부 면적을 제거하여 공간부(13)를 만든 후, 이곳에 적당한 크기를 갖는 덩어리 형태 또는 여러 개를 모아서 헝겊 등과 같은 직물함체(20)에 싼 숯을 삽입하고, 숯의 삽입을 위해 확보해 놓았던 판상체의 일부 절개부위를 마감판(15)으로 마감하면 숯의 내장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마감판(15)은 기존의 접착제 등으로 절개부위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것이 기본적인 형태이며 도 2에 도시한 것은 마감판(15)을 윗면을 향하여 돌출형성한 것이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은 도 2 및의 변형례로서 양측으로 숯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가구에 내장되는 숯은 보통 가구 1개당 1∼3㎏ 정도를 헝겊에 싸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상기 마감판(15)은 공간부(13)의 면적과 동일하게 일부 절개한 판상체의 절개부위에 꼭맞게 끼워지는 구조로 부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소정의 접착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판(15)은 판상체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성 측면이나 설치 작업성 측면에 볼 때 ABS 소재의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판(15)은 판상체의 표면과 동일하게 제작하거나, 또는 판상체의 표면보다 돌출되게 제작할 수 있다.
가구에 내장되어 있는 숯은 마감판(15)의 통기구멍(16)을 통해 외부와 통하면서 각종 효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마감판(15)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다수의 통기구멍(16)을 형성함으로써, 숯이 들어있는 공간부(13)와 외부 간에 공기의 연락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숯에 의해 발휘되는 각종 효능, 예를 들면 습도조절 기능, 항균 기능, 유해전자파 방지, 공기정화 기능, 탈취효과, 방충 등의 효능이 가구가 배치되어 있는 주변의 환경으로 파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숯을 포함하는 가구는 보통 도 5 및 도 6에서 보여주고 있는 사무실의 책상(30)이나 탁자(40) 등과, 도 7의 가정의 장농과 같이 폭넓게적용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목재를 사용하는 제품이나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하는 칸막이 등에도 그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특히,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구의 주변 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숯의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보여주고 있다.
숯이 들어있는 공간부(13)의 내외측, 즉 강도유지판(24)과 외장지(22) 모두 를 절개 성형하는 동시에 양측면에 각각 통기구멍(16)을 갖는 마감판(15)을 부착하여 숯을 중심으로 가구의 내부와 외부가 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카트리지 식으로 가구용 판상체의 일면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때의 삽입되는 숯은 위와 같은 단일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양쪽에 마감판(15)을 배치함에 따라 고려되는 부착력의 약화를 해소하기 위해 마감판(15) 서로를 연결시키는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숯을 양편으로 분산시켜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숯을 사이에 두고 가구의 내외측을 통하게 하는 경우에는 활발한 통기성을 기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숯의 성능이 최대한 발휘되면서 가구 내부에 넣어져 있는 각종 의류나 이불 등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 및 탈취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가구에 숯을 내장시킨 제품은 그 뛰어난 습도조절 기능, 항균 기능, 유해전자파 방지, 공기정화 기능, 탈취효과, 방충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가정용 가구, 각종 병원, 유치원 등의 유아시설, 노인복지시설, 지하 사무실, 밀폐형 사무실, 화공제품 취급장소, 염색섬유제품 취급장소, 봉제공장, 공해발생공장등에 그 사용범위를 폭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가구의 판상체 내부에 소정의 형태를 갖는 숯을 내장시키고, 숯이 들어있는 부분과 가구의 내부 또는 외부를 서로 통할 수 있도록 한 숯을 포함하는 가구를 제공함으로써, 가구 내부의 탈취효과 및 실내의 공기 정화효과 등을 얻을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숯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각종 효능을 생활하는 주변에서 최대한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적당한 간격을 두고 2장의 강도유지판(24)을 배치하고 이들 2장의 강도유지판(24) 사이에 충전재(12)를 충전하여 이루는 가구용 판상체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의 일면 일부를 제거하여 공간부(13)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13)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숯(14)을 수용하며, 상기 숯(14)을 포함하는 공간부(13)는 통기구멍(16)을 갖는 별도의 마감판(15)으로 마감하여 외부와 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14)은 헝겊과 같은 직물함체(20)에 의하여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15)의 표면은 외장지(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15)은 ABS 소재의 플라스틱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5. 적당한 간격을 두고 2장의 강도유지판(24)을 배치하고 이들 2장의 강도유지판(24) 사이에 충전재(12)를 충전하여 이루는 가구용 판상체에 있어서,
    상기 강도유지판(24)과 외장지(22)는 모두 관통하여 절개되고,
    이 절개된 테두리면에 끼워져 부착되는 통기구멍(16,16a)을 가지는 2개 1조의 카트리지식 마감판(15,15a)과,
    이 카트리지식 마감판(15,15a) 내에 내장되는 숯(14)(내장함체 포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KR2020010027177U 2001-09-05 2001-09-05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KR200257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77U KR200257660Y1 (ko) 2001-09-05 2001-09-05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77U KR200257660Y1 (ko) 2001-09-05 2001-09-05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660Y1 true KR200257660Y1 (ko) 2001-12-24

Family

ID=7306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177U KR200257660Y1 (ko) 2001-09-05 2001-09-05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6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82B1 (ko) 2005-10-06 2006-06-28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숯과 황토를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KR101136988B1 (ko) * 2011-10-31 2012-04-20 안효정 탈취가 가능한 친환경 가구용 패널
KR20180071630A (ko) 2016-12-20 2018-06-28 (주)캠퍼스라인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82B1 (ko) 2005-10-06 2006-06-28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숯과 황토를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KR101136988B1 (ko) * 2011-10-31 2012-04-20 안효정 탈취가 가능한 친환경 가구용 패널
KR20180071630A (ko) 2016-12-20 2018-06-28 (주)캠퍼스라인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782B1 (ko) 숯과 황토를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KR200257660Y1 (ko)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KR101331073B1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331072B1 (ko) 솔잎과 편백나무 추출 피톤치드의 복합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CN209924325U (zh) 一种绣花复合墙板
KR101031895B1 (ko) 천연 콜크를 이용한 항균 가구 제조방법
KR200192058Y1 (ko) 숯 내장체를 구비한 소파
KR200211891Y1 (ko) 기능성 가구
KR20110115464A (ko) 장식용 서적 및 그 제조방법
JP2009261924A (ja) 敷体
KR200216484Y1 (ko) 도어용 장식틀
KR200175797Y1 (ko) 황토를 이용한 탈취제
KR200347441Y1 (ko) 황토와 대나무숯이 내장된 가구
KR200391918Y1 (ko) 항균 및 방향 기능이 부여된 탈취ㆍ제습구
KR200207209Y1 (ko) 숯,황토,소금 및 쑥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128147B1 (ko) 황토석 - 편백나무제 침구속재
KR200402943Y1 (ko) 천연콜크를 이용한 붙박이장
KR20130121542A (ko) 숯이 내장된 친환경 황토마감재 제조방법
KR20050071852A (ko) 황토와 대나무숯이 내장된 가구
KR20110090864A (ko)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침대를 구성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또는 돌침대 또는 흙 혼합물 침대
KR200440050Y1 (ko) 침대용 건강 매트리스
CN2671579Y (zh) 室内空气净化剂
KR20210037154A (ko) 옷걸이 탈부착형 제습 장치
KR200234531Y1 (ko) 다목적 칸막이
JP3177997U (ja) 日本杉(Cryptomeria japonica)赤身角材を切断して作った木口面状板を平面状に接合した木口面露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