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133A - 친환경 황토패널 - Google Patents
친환경 황토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9133A KR20140019133A KR20120085581A KR20120085581A KR20140019133A KR 20140019133 A KR20140019133 A KR 20140019133A KR 20120085581 A KR20120085581 A KR 20120085581A KR 20120085581 A KR20120085581 A KR 20120085581A KR 20140019133 A KR20140019133 A KR 201400191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cher
- loess
- paper
- molding frame
- bodie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abstract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abstract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abstract 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3563 Calcium 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I2O3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1397173 Kali <angiosper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23 Muscl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1441724 Tetraodont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5 asbesto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79 physiological effects,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95 rieb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은 다이아몬드의 형태가 반복적으로 상하로 형성된 종이성형틀과, 상기 종이성형틀의 내부에 충진되고 볏집이 혼합된 복수의 황토체와, 상기 황토체와 종이성형틀의 전면에 부착되며 미세한 다수의 숨구멍이 천공된 종이장식면과, 상기 황토체와 종이성형틀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다량의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황토가 볏집과 혼합되어 다수의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이아몬드와 같은 성형틀상에 매립되어 복수의 황토체가 성형되므로서 상기 복수의 황토체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게 되어 실내에 거주하는 실내거주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기존의 아파트와 같은 실내의 벽에 용이하게 부착되게 되어 용이하게 황토체로 벽을 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황토벽으로 마감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친환경 황토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황토가 볏집과 혼합되어 다수의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이아몬드와 같은 성형틀상에 매립되어 복수의 황토체가 성형되므로서 상기 복수의 황토체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게 되어 실내에 거주하는 실내거주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다이아몬드와 같은 성형틀상에 매립되어 복수의 황토체가 성형된 황토패널이 기존의 실내의 벽에 용이하게 부착되게 표면상에 종이장식면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황토체로 벽을 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친환경 황토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축용 내·외장판넬은 합판과 합판을 수겹을 적층시켜서 제조된 목재판넬이 사용되거나 또는 일 측면에 단열재가 부착된 석고보드, 밤라이트(평스레트)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건축판넬은 단순히 공간을 분할하여 더위나 추위를 막고자하는 건축용벽재 혹은 칸막이를 하기 위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건축판넬의 자체에서 원적외선의 발생과 같은 다른 부차적인 효과가 없이 사용시 공간분할의 의미만 있는 것으로 인간의 건강에는 조금의 도움도 되지못하는 것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건축자재의 실정이며 이 또한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이와 같이 건축 내·외장재가 콘크리트나 석면, 석고, 돌가루와 석고 또는 돌가루와 종이 및 석고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판넬를 사용하므로서 단열 및 방음의 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환경호르몬이 방출되게 되어 인체건강에는 도움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딱딱한 느낌을 주어 현대의 복잡한 사회구조와 경직된 콘크리트 생활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사무적이고 감정이 메말라가는 요인의 일부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98771호에는, 억새로부터 수득한 억새펄프를 닥펄프, 목재펄프, 고지펄프 등과 같은 천연펄프와 혼합하여 실내내장재인 벽지, 바닥지 및 천장지 등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통기성, 항균성 및 탈취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인체에 전혀 무해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시각적인 심미성이 가미된 실내내장재가 제안된 바가 있으며, 이러한 실내내장재는 환경호르몬이 발생되는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효과는 미미하므로 친환경적인 문제만을 해결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황토가 볏집과 혼합되어 다수의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이아몬드와 같은 성형틀상에 매립되어 복수의 황토체가 성형되므로서 상기 복수의 황토체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게 되어 실내에 거주하는 실내거주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한 친환경 황토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이아몬드와 같은 성형틀상에 매립되어 복수의 황토체가 성형된 황토패널이 기존의 실내의 벽에 용이하게 부착되게 표면상에 종이장식면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황토체로 벽을 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친환경 황토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다이아몬드의 형태가 반복적으로 상하로 형성된 종이성형틀과, 상기 종이성형틀의 내부에 충진되고 볏집이 혼합된 복수의 황토체와, 상기 황토체와 종이성형틀의 전면에 부착되며 미세한 다수의 숨구멍이 천공된 종이장식면과, 상기 황토체와 종이성형틀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은 다이아몬드의 형태가 반복적으로 상하로 형성된 종이성형틀과, 상기 종이성형틀의 내부에 충진되고 볏집이 혼합된 복수의 황토체와, 상기 황토체와 종이성형틀의 전면에 부착되며 미세한 다수의 숨구멍이 천공된 종이장식면과, 상기 황토체와 종이성형틀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다량의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황토가 볏집과 혼합되어 다수의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이아몬드와 같은 성형틀상에 매립되어 복수의 황토체가 성형되므로서 상기 복수의 황토체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게 되어 실내에 거주하는 실내거주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기존의 아파트와 같은 실내의 벽에 용이하게 부착되게 되어 용이하게 황토체로 벽을 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황토벽으로 마감할 수가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의 종이성형틀의 황토충진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의 원적외선의 방사상태가 도시된 확대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의 종이성형틀의 황토충진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의 원적외선의 방사상태가 도시된 확대 종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A)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의 형태의 황토충진부(11)가 반복적으로 상하로 형성된 종이성형틀(1)과, 상기 종이성형틀(1)의 내부에 충진되고 볏집이 혼합된 복수의 황토체(2)와, 상기 황토체(2)와 종이성형틀(1)의 전면에 부착되며 미세한 다수의 숨구멍이 천공된 종이장식면(3)과, 상기 황토체(2)와 종이성형틀(1)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층(4)을 포함한다.
상기 종이성형틀(1)의 황토충진부(11)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형태가 상하로 반복된 골판지가 사용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아몬드의 대각선의 길이(a)는 약 7 cm 이고, 높이(h)는 약 5 mm 이고, 폭(w)는 5 mm 로 성형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대각선의 길이는 5~10 cm, 높이는 3~10 mm, 폭은 3~10 mm 정도로 설정될 수가 있을 것이다.
상기 종이성형틀(1)에서 황토충진부(11)의 폭(w)은 대단히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폭이 있어서 전면에 종이장식면(3)이 접착되게 되고 후면에 접착층(4)이 접착되므로 폭이 설정된 3~10 mm 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된 황토충진부(11)를 갖는 종이성형틀(1)이 성형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충진부(11)는 삼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황토충진부를 갖는 종이성형틀이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고 할 것이다.
상기 황토체(2)를 구성하는 주성분인 황토는 지표의 약 10%를 덮고 있을 정도로 다량이 존재하고, 그 주성분이 다량의 탄산칼슘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탄산칼슘에 의해 황토는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가지게 되고,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고, 그 성분은 탄산칼슘외에 실리카, 알루미나, 철, 마그네슘, 나트륨, 칼리 등의 다양한 성분에 다양한 효소들이 첨가되어 있어, 이러한 황토는 동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므로 황토를 살아있는 생명체라고 불리워 지고 있다. 이러한 황토의 효능은 독버섯이나 복어알에 중독될 경우에는 황토가 가라앉은 물인 지장수가 해독작용을 가지며, 가열하면 원적외선이 발생되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으며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는 혈액순환개선 효능이 있으며, 이러한 원적외선은 관절염, 근육통, 요통 등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체내의 노폐물을 분해하고 자정능력이 있어서 피부미용에 좋으며, 황토의 카타라제, 디페놀오시라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 등의 항균효소가 다량이 함유되어 있어 곰팡이균과 세균이 살균되며, 습도가 높을 때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하면 습기를 발산하는 습도조절효과가 있으며, 원적외선의 방사로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하는 효능이 있다.
이러한 황토에 다량의 볏집이 첨가되어 황토의 갈라짐이 없이 지속적인 형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여 황토체(2)가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종이장식면(3)은 종이, 바람직하게는, 투공성이 우수한 한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종이성형틀(1)의 1개의 다이아몬드 형의 황토충진부(11)당 20개 정도의 바늘구멍이 타공되게 많은 타공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황토체(2)에서 발산되는 다량의 원적외선이 타공구멍(31)을 통하여 실내에 방사되어 실내거주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이장식면(3)상에는 벽지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역시 타공구멍이 천공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동일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황토체(2)의 후면에 형성되는 접착층(4)은, 본 실시예에서는, 구입하여 실내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면접착제가 사용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풀이나 친환경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A)은, 인테리어 자재로 사용되거나 일반적인 가정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가로 및 세로가 50 cm 의 크기로 패널형태로 제작되므로 용이하게 구입이 가능하고, 접착층(4)의 양면테이프를 떼어서 시공이 가능하게 되므로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의 친환경 황토패널(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체(2)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종이장식면(3)의 타공구멍(31)을 통하여 실내로 방출되므로 실내거주자들은 이와 같은 원적외선을 체내로 흡입하여 건강이 증진되는 것은 물론이고 황토체(2)에서 실내의 습기를 조절하게 되므로서 항상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은 어디에서도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기존의 아파트나 일반 주택에서도 용이하게 시공하여 황토의 효능을 저렴한 비용으로 누릴 수가 있게 되므로 국민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황토패널은 일반적인 벽지의 제조공장이나 골판지의 제조공장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종이성형틀 2. 황토체 3. 종이장식면
4. 접착층
4. 접착층
Claims (1)
- 친환경 황토패널(A)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황토패널(A)은, 황토가 충진되는 중공의 황토충진부가 반복적으로 상하로 형성된 종이성형틀(1)과,
상기 종이성형틀(1)의 내부에 충진되고 볏집이 혼합된 복수의 황토체(2)와,
상기 황토체(2)와 종이성형틀(1)의 전면에 부착되며 미세한 다수의 숨구멍이 천공된 종이장식면(3)과,
상기 황토체(2)와 종이성형틀(1)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층(4)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성형틀(1)의 상기 황토충진부는 폭(w)은 3~10 mm 정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황토패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85581A KR20140019133A (ko) | 2012-08-06 | 2012-08-06 | 친환경 황토패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85581A KR20140019133A (ko) | 2012-08-06 | 2012-08-06 | 친환경 황토패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9133A true KR20140019133A (ko) | 2014-02-14 |
Family
ID=5026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085581A KR20140019133A (ko) | 2012-08-06 | 2012-08-06 | 친환경 황토패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19133A (ko) |
-
2012
- 2012-08-06 KR KR20120085581A patent/KR20140019133A/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1566B1 (ko) | 마감패널 | |
KR100844845B1 (ko) |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237015B1 (ko) | 건축물의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와 그 제조방법 | |
KR101645559B1 (ko) | 공기 질 개선효과와 결로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 |
KR20080071825A (ko) | 숯을 이용한 건축내장용 마감재 및 마감재 조성물 | |
KR100725819B1 (ko) | 원적외선방사 편백나무 온열침대 | |
KR20140019133A (ko) | 친환경 황토패널 | |
KR101515570B1 (ko) | 친환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10919B1 (ko) | 마그네슘 보드와 콜크를 이용한 바닥재 | |
KR20130000419U (ko) | 황토 부재 | |
KR19980078008A (ko) | 흙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010000308A (ko) |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 |
JP2007130409A (ja) | マイナスイオン・遠赤外線・高湿度・発生装置及び省エネ抗菌床暖房ユニットバス付やく石の癒。 | |
KR101187169B1 (ko) | 황토 부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08914Y1 (ko) | 숯을 이용한 건축자재 | |
KR20160149375A (ko) | 친환경 바닥재 | |
KR200482798Y1 (ko) | 애완동물용 집 | |
KR100816644B1 (ko) | 대마황토를 이용한 찜질방 | |
KR200370310Y1 (ko) | 황토가 내장된 건축판넬 | |
KR100577337B1 (ko) | 실내 건축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 |
KR102198607B1 (ko) | 이동식 다용도 개인 룸 | |
KR20070007756A (ko) | 건축용 보드 | |
KR200394434Y1 (ko) |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 | |
KR200430172Y1 (ko) | 실내 건축용 내장재 | |
KR101126934B1 (ko) | 통기성을 갖는 황토벽 시공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