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963B1 -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4963B1 KR101624963B1 KR1020160011075A KR20160011075A KR101624963B1 KR 101624963 B1 KR101624963 B1 KR 101624963B1 KR 1020160011075 A KR1020160011075 A KR 1020160011075A KR 20160011075 A KR20160011075 A KR 20160011075A KR 101624963 B1 KR101624963 B1 KR 1016249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sound
- pet
- eva
- insulating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3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7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KKEYFWRCBNTPAC-UHFFFAOYSA-N Tere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group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82 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97 foam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01 laminat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28 sand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9 shock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2 stretch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7 thermoplastic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 탄성체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슬래브 기초층; 상기 기초층 상면에 분쇄된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적층된 차음층; 상기 차음층의 상면에 마련되어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시트 재질의 침투방지층; 상기 침투방지층 상면에 적층되는 그물 구조 형태의 메쉬층; 및 상기 메쉬층 상면에 마감 타설되는 몰탈층;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 탄성체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은 구조체의 진동을 통하여 전달되는 고체음으로서, 발생원에 따라 음의 특성이 달라지는데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분류된다.
경량 충격음은 의자를 끌 때 나는 소리와 같이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원에 의한 중고음이며, 서양과 같이 실내에서 구두를 신고 생활하는 경우에 주로 문제가 된다. 경량 충격음은 흡음재나 차음재를 사용함으로써 층간 전달을 적절히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반해, 중량 충격음은 보행과 같이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원에 의한 저음으로서, 한국과 일본과 같이 맨발로 생활하는 경우에 집중적으로 문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 슬래브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 슬래브 강성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온돌의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한 단열재가 사용되므로, 구조체인 슬래브와 온돌 배관을 고정하는 마감 몰탈층의 분리된 이중 구조로서, 슬래브와 마감 몰탈층 사이의 공진이 발생하게 되어 중량 충격음을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기존 바닥 충격층 완충재에 대한 물성 필수 포함 항목으로 진동에 관한 것은 동탄성계수, 손실계수, 밀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동탄성계수는 충격 진동에 대한 흡수 및 반사 투과율을 낮추는데 중요한 물성으로서, 동탄성계수 측정은 물체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하여 탄성계수를 나타내는 측정으로 완충재의 고유주파수는 충격음이 가진 주파수보다 -1.4배 이하의 경우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1.4배 이상이 될 경우 공진이 발생하여 오히려 충격음이 커지게 되어, 장기 처짐 등 사용상 지장이 없는 한 차음재의 고유주파수를 낮추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동탄성계수가 낮으면 낮을수록 바닥 충격음 차단 효과가 커지나, 낮은 동탄성계수를 적용하는 경우 걸을 때 흔들림이 발생하여 보행감이 떨어지며 후행 작업시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동탄성계수가 높으면 바닥 충격음 차단 효과가 떨어진다.
고유주파수는 슬래브의 공진 현상에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슬래브의 고유주파수가 보통 거실인 경우 약 35Hz 내지 45Hz이며, 침실인 경우 약 45Hz 내지 60Hz로 형성된다. 반면 공통주택에서 흔히 들릴 수 있는 충격음, 예를 들어 피아노 소리나 아이들의 뛰는 소리, 물건이 낙하하는 소리의 대역대가 40Hz에서 80Hz 사이에서 형성되므로 슬래브가 충격음에 같이 진동하는 이른바 공진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공진현상에 의하여 슬래브와 완충재의 고유주파수 대역이 일치하게 되면, 완충재의 기능을 상실하고 슬래브층과 같이 공진을 일으켜 충격음에 대한 음압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공동주택생활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중량 충격음의 고유주파수인 63Hz 부근 (50~80Hz)에서 완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차음재의 고유주파수가 50/1.4≒35Hz 이하가 되어야 하며, 완충재 내의 공기저항 등을 고려하면 26Hz 정도가 이상적이다. 압축 스트로폼류의 제품은 고유주파수가 50~60Hz로 125Hz 이상인 경량 충격음에서는 약간의 차음 성능이 가능하지만, 중량 충격음의 고유주파수인 63Hz 대역(40~80Hz)에서는 공진이 발생하여 소음이 오히려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의 규정으로는 바닥 충격음 차단재의 동탄성계수를 40MN/㎥ 이하로만 정하고 있어서, 대다수의 완충재의 동탄성계수가 20~30MN/㎥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중량 충격음 63Hz 대역에서 공진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오히려 소음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차음재는 대부분 고가로 형성되어 있어 시공 비용이 높게 책정될 수 밖에 없으며, 작업 방법이 간편하지 않아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 충격음은 물론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감쇠시켜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 방법을 간편해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에 있어서, 슬래브 기초층; 상기 기초층 상면에 분쇄된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적층된 차음층; 상기 차음층의 상면에 마련되어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시트 재질의 침투방지층; 상기 침투방지층 상면에 적층되는 그물 구조 형태의 메쉬층; 및 상기 메쉬층 상면에 마감 타설되는 몰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음층에서 PET의 점유 비율은 6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분쇄된 EVA 입자는 흩어 뿌려져 상기 EVA 입자 간에 소정 간극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분쇄된 PET 입자는 서로 뭉쳐져 상기 EVA 입자 간의 간극을 메우고 응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차음층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EVA 입자와 상기 PET 입자가 서로 엉겨붙어 경화된 일체형의 패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차음층 및 상기 몰탈층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 층높이를 가지는 격자 형태의 지지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지지틀은, 일측벽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벽과 대향하는 타측벽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단위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틀은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너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시공방법에 있어서, 슬래브 바닥에 시공을 위한 기초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초층 상면에 분쇄된 EVA 및 PET를 흩어 뿌려 혼합 적층시켜 차음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차음층 상면에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시트를 덮어 침투방지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침투방지층 상면에 그물 구조 형태의 메쉬부재를 적층하여 메쉬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쉬층 상면을 마감 타설하여 몰탈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차음층을 이루는 분쇄 혼합된 EVA와 PET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층간소음 방지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 능률이 크게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음층을 이루는 EVA와 PET의 가격이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PET는 폐기된 제품을 소각하지 않고 분쇄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 보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서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서 부가될 수 있는 다른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4는 도3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서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서 부가될 수 있는 다른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4는 도3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기초층(100)과, 상기 기초층 상면에 분쇄된 EVA(320) 및 PET(340)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적층된 차음층(300)과, 상기 차음층(300)의 상면에 마련되어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시트 재질의 침투방지층(500)과, 상기 침투방지층(500) 상면에 적층되는 그물 구조 형태의 메쉬층(700)과, 상기 메쉬층(700) 상면에 마감 타설되는 몰탈층(900)을 포함한다.
먼저, 건물은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에 따라 인접한 가구 또는 호실 간에 상층과 하층의 관계가 성립하는데, 상기 기초층(100)은 상층과 하층 사이에 층을 경계하는 슬래브 바닥층을 말한다. 이러한 기초층(100)은 밀도가 높은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차음층(300)은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EVA(320)와 PET(340)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적층되는데, 이러한 EVA(320)와 PET(340)는 서로 다른 대역을 주파수를 가지는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바닥 충격음이 차음층(300)을 따라 기초층(100)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흡수되며, 음파가 분쇄된 EVA(320)와 PET(340)의 불규칙한 표면에 반사되고 굴절되므로 감쇠 효과가 탁월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차음층(300)은 기초층(100)에 수직하는 벽면에도 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도1에서는 차음층이 시공된 것이 아닌 차음 기능의 완충패드(200)가 시공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는 에틸렌과 초산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이다. 초산 비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지만 한편 결정화도는 저하하여 유연성은 늘어난다. 저함량EVA는 보통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이 가공되어 내충격성(특히 저온시), 내스트레스 크랙킹성이 우수하여 중포장재, 라미네이트 필름의 접착제 등에 이용된다. 10~20%의 EVA는 샌달이나 구두창 등의 발포성형품이나 농업용필름, 업무용 스트레치 필름 등 연질염화 비닐과 같은 용도에 쓰인다. 고농도의 EVA는 접착제의 원료로 사용된다. 따라서, EVA 입자 사이의 간극에 분쇄된 PET 입자가 메워진 상태에서 달라붙어 응집 구조를 형성하는데에 유리하다.
그리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HO-CH2-CH2-OH)의 축합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이다. 섬유용에 쓰이는 외에 필름이나 열가소성 성형재료로 사용된다. 필름은 일반적으로 이축연신되고 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나 가열용 포장재의 기재 특히 레토르트 포장에 쓰인다. 또한 전자레인지용 발열체(susceptor)와 같은 증착필름의 기재로도 사용된다.
상기한 EVA(320)와 PET(340)가 혼합된 차음층(300)에서 PET(340)의 점유 비율은 60% 내지 90%로서 과반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폐기물로서 처리되는 PET(340)를 소각하지 않고 재활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은 물론 환경적으로 대단히 활용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분쇄된 EVA(320) 입자는 흩어 뿌려져 상기 EVA(320) 입자 간에 소정 간극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분쇄된 PET(340) 입자는 서로 뭉쳐져 상기 EVA(320) 입자 간의 간극을 메우고 응집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PET(340)는 서로 뭉쳐져 복잡하게 얽힌 섬유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탄성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한 자체적인 흡음성능이 향상되며 단열효과까지 상승하게 된다. 더욱이, 분쇄된 PET(340)가 복잡하게 얽혀 음파가 얽힌 면을 따라서 굴절하다가 소실되며, 중간 중간 섞여있는 EVA(320) 입자가 주파수의 공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므로 바닥 충격에 따른 음파의 차음 효과가 탁월해지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차음층은,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에 의해 상기 EVA(320) 입자와 상기 PET(340) 입자가 서로 엉겨붙어 경화된 일체형의 패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패드 형태의 차음층은 EVA(320)와 PET(340)를 흩뿌리고 평탄화하는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시공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차음층(300)이 패드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후술할 격자 형태의 지지틀(400)은 사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침투방지층(500)은 일반적인 방수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차음층(300)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새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차음 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쉬층(700)은 얇은 섬유그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메쉬층(700)에 타설되는 몰탈층(900)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타설되는 몰탈층(900)의 균열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음층(300) 및 상기 몰탈층(900) 중 적어도 하나는,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정 층높이를 가지는 격자 형태의 지지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틀(400)은 시공시 차음층(300)이나 몰탈층(900)의 평탄화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차음층(300)이나 몰탈층(900)의 두께를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지지틀(400)은 일측벽에는 결합홈(420)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벽과 대향하는 타측벽에는 상기 결합홈(420)에 대응하는 결합돌기(440)가 형성된 단위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400)은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결합홈(420)과 상기 결합돌기(44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너비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바닥 너비에 맞게 현장에서 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는, 슬래브 바닥에 시공을 위한 기초층(100)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층(100) 상면에 분쇄된 EVA(320) 및 PET(340)를 흩어 뿌려 혼합 적층시켜 차음층(300)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차음층(300) 상면에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시트를 덮어 침투방지층(500)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침투방지층(500) 상면에 그물 구조 형태의 메쉬부재를 적층하여 메쉬층(700)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쉬층(700) 상면을 마감 타설하여 몰탈층(900)을 마련하는 단계로 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시공 단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차음구조에서 이미 구체적으로 설명된 내용에 의해 충분한 뒷받침이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성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바닥 충격음 성능의 평가는 KS F 2863-1, 2 "건물 및 건물부재의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 평가방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역A특성 곡선을 이용한 단일수치량으로 평가하였다.
배경소음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서 각 주파수별로 배경소음을 측정하였으며, 배경소음과의 레벨차가 6dB 내지 15dB일 때 다음의 수학식1과 같이 보정하였다. 레벨차이가 6dB 미만인 경우 그 때의 측정값은 사용하지 않았다.
여기서, L은 보정된 바닥 충격음 레벨(dB)이고, Lsb는 신호와 배경소음이 합쳐진 레벨이고, Lb는 배경 소음 레벨(dB)이다.
시험모델 바닥구조의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 충격음 레벨은 각 측정 주파주별로 다음의 수학식2에 따라 구하였다.
여기서, Li는 측정점 i에서의 바닥 충격음 레벨(dB)이고, n은 측정점의 수이다.
경량 충격음의 경우는 바닥 충격음 레벨이 측정된 후에는 수음실의 흡음면적을 다음의 수학식3에 따라 보정하였다.
여기서, A0은 10㎡이고, A는 흡음 면적(㎡)으로서 0.16V/T로 계산되며, 이때 V는 수음실 체적(㎥)이고, T는 잔향 시간(s)이다.
측정결과에 대한 평가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KS F 2863-1, KS F2863-2의 역A특성 기준곡선을 이용한 단일수치 평가량으로 하였다.
건물 및 건물부재의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 평가방법의 역A특성 기준곡선을 이용한 단일수치 평가량 표시방법은 역A특성 기준곡선을 사용하여 경량 충격음의 경우 주파수 125Hz 내지 2000Hz의 측정결과를 연결한 곡선에 대해서 기준곡선을 상하 1dB 간격으로 이동시켜, 5개의 주파수에 있어서 측정값이 기준곡선을 상회하는 값의 총합이 10.0dB를 상회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기준곡선이 낮게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시켜, 이때 이동 가능한 기준곡선의 500Hz 대역에 있어서의 값(dB)을 단일수치 평가량으로 표기하는 방법이다. 중량 충격음의 경우 중심주파수 63Hz 내지 500Hz의 4개 주파수를 기준으로 기준곡선을 상회하는 값의 총합이 8.0dB를 상회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일수치 평가량을 구한다.
경량 바닥 충격음 결과 | |||||
주파수 (Hz) |
측정값 (dB) |
역A특성 가중 규준화 바닥 충격음 레벨 (dB) |
역A특성 기준곡선(dB) |
기준곡선 상회값 |
단일수치 평가량(dB) |
125 | 52.1 | 52.0 | 71 | 0.0 | 48 |
250 | 48.6 | 47.0 | 64 | 0.0 | |
500 | 52.4 | 50.2 | 58 | 0.0 | |
1000 | 60.3 | 48.0 | 55 | 0.0 | |
2000 | 45.0 | 42.0 | 54 | 0.0 | |
기준곡선 상회값의 합계 0.0 (<10.0) |
상기 표1은 경량 바닥 충격음 결과이며, 이때의 바닥 단면 구성은 기초층 210mm, 차음층 60mm, 몰탈층 40mm, 바닥 마감(강마루) 7mm였다.
중량 바닥 충격음 결과 | ||||
주파수 (Hz) |
측정값 (dB) |
역A특성 기준곡선(dB) |
기준곡선 상회값 |
단일수치 평가량(dB) |
63 | 48.5 | 72 | 0.0 | 43 |
125 | 37.5 | 62 | 0.0 | |
250 | 47.7 | 55 | 0.0 | |
500 | 38.3 | 49 | 0.0 | |
기준곡선 상회값의 합계 0.0 (<8.0) |
상기 표2는 중량 바닥 충격음 결과이며, 이때의 바닥 단면 구성은 기초층 210mm, 차음층 60mm, 몰탈층 40mm, 바닥 마감(강마루) 7mm였다.
위 표1 및 표2의 결과치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단일수치 평가량이 기준곡선을 상회하지 않으며 표준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의 등급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음층을 이루는 분쇄 혼합된 EVA와 PET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층간소음 방지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 능률이 크게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음층을 이루는 EVA와 PET의 가격이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PET는 폐기된 제품을 소각하지 않고 분쇄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 보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초층
200: 완충패드
300: 차음층
320: EVA
340: PET
400: 지지틀
420: 결합홈
440: 결합돌기
500: 침투방지층
700: 메쉬층
900: 몰탈층
200: 완충패드
300: 차음층
320: EVA
340: PET
400: 지지틀
420: 결합홈
440: 결합돌기
500: 침투방지층
700: 메쉬층
900: 몰탈층
Claims (7)
- 슬래브 기초층;
상기 기초층 상면에 분쇄된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적층되되, 상기 PET의 점유 비율이 60% 내지 90%로 이루어지는 차음층;
상기 차음층의 상면에 마련되어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시트 재질의 침투방지층;
상기 침투방지층 상면에 적층되는 그물 구조 형태의 메쉬층; 및
상기 메쉬층 상면에 마감 타설되는 몰탈층;을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EVA 입자는 흩어 뿌려져 상기 EVA 입자 간에 소정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분쇄된 PET 입자는 서로 뭉쳐져 상기 EVA 입자 간의 간극을 메우고 응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EVA 입자와 상기 PET 입자가 서로 엉겨붙어 경화된 일체형의 패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 및 상기 몰탈층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 층높이를 가지는 격자 형태의 지지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일측벽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벽과 대향하는 타측벽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단위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틀은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너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2210 | 2015-08-10 | ||
KR20150112210 | 2015-08-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4963B1 true KR101624963B1 (ko) | 2016-05-27 |
Family
ID=5610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1075A KR101624963B1 (ko) | 2015-08-10 | 2016-01-29 |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496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8787B1 (ko) | 2020-01-13 | 2020-12-08 | 김규진 | 척력을 이용한 건축 층간 구조 |
KR102372873B1 (ko) | 2021-10-28 | 2022-03-08 | 주식회사 월드뷰종합건설 | 자동차 폐시트를 이용한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음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3550A (ja) | 1999-06-22 | 2001-01-09 | Fukuvi Chem Ind Co Ltd | 環境共生型非ハロゲン系床材 |
-
2016
- 2016-01-29 KR KR1020160011075A patent/KR1016249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3550A (ja) | 1999-06-22 | 2001-01-09 | Fukuvi Chem Ind Co Ltd | 環境共生型非ハロゲン系床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8787B1 (ko) | 2020-01-13 | 2020-12-08 | 김규진 | 척력을 이용한 건축 층간 구조 |
KR102372873B1 (ko) | 2021-10-28 | 2022-03-08 | 주식회사 월드뷰종합건설 | 자동차 폐시트를 이용한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음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50729A1 (en) | Acoustical and energy absorbent flooring underlayment | |
US20100018133A1 (en) | Tile for a covering with enhanced acoustic properties | |
CN101473095A (zh) | 隔声地板垫层系统 | |
KR100839203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및 블록 | |
KR100987212B1 (ko) |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충격음 흡수 패널 | |
KR101624963B1 (ko) |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81826B1 (ko) | 층간 소음완충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0783117B1 (ko) |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 |
KR100398073B1 (ko) |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뜬바닥 시공방법 | |
KR101206929B1 (ko) | 탄성체를 이용한 층간소음 완충재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 |
KR101505094B1 (ko) |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의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CA2329880C (en) | Composite sound insulation system for room boundary surfaces | |
KR102119407B1 (ko) | 층간소음 저감용 고강성 방진구 | |
KR101428590B1 (ko) |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JPH055356A (ja) | 防音緩衝材およびこれを有する木質系防音床材 | |
KR101833475B1 (ko) |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KR101748231B1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20110126398A (ko) | 층간 흡음패널 | |
KR101079645B1 (ko) | 공동주택의 층간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 |
KR100927358B1 (ko) |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 |
KR101774494B1 (ko) | 층간차음재 | |
KR101774493B1 (ko) | 층간차음재 | |
KR20160103658A (ko) |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동 감쇠시트 및 진동 감쇠블록 | |
KR101837501B1 (ko) |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층간 차음재 | |
KR200447489Y1 (ko) | 온돌마루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