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475B1 -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475B1
KR101833475B1 KR1020170020727A KR20170020727A KR101833475B1 KR 101833475 B1 KR101833475 B1 KR 101833475B1 KR 1020170020727 A KR1020170020727 A KR 1020170020727A KR 20170020727 A KR20170020727 A KR 20170020727A KR 101833475 B1 KR101833475 B1 KR 101833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insulating
building
insulating material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근
Original Assignee
래오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래오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래오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인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전달이 최소화되는 용도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된 차음기재 및, 상기 차음기재 외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1차음부와, 상기 다수개의 제 1차음부의 사이에 일정길이로 절단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2차음부와, 상기 제 1,2차음부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와 직선형 공간부인 유로로 구성된,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a soundproof mat use for noise insulation material of multi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인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전달이 최소화되는 용도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된 차음기재 및 상기 차음기재 외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1차음부와, 상기 다수개의 제 1차음부의 사이에 일정길이로 절단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2차음부와, 상기 제 1,2차음부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유로로 구성된, 본 발명의 차음재에 의하여;
특히,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된 층간소음이 차음기재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1차로 방지되고, 차음기재를 경유한 전달소음이 제 1,2차음부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는 동시에, 전달소음이 다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수직방향인 건물바닥면으로 미전달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서 전달소음이 더욱 최소화되어,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전달이 최대한 방지되며:
종래기술의 차음재에 비하여, 차음기재 및 제 1,2차음부의 평균밀도가 70 내지 85㎏/㎥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강화되고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기술구성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충격음은 사람의 말소리나 외부의 전달 소리에 의한 경량충격음과, 사람의 보행 또는 진동에 의한 중량충격음으로 분류되며;
충격력의 특성, 바닥구조의 진동특성, 하부실의 음향 특성에 따라 전파특성과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지며, 그중에서 바닥구조에 의한 영향정도는 슬래브의 두께, 면적, 단부의 고정조건, 공법, 시공관리 등 슬래브 전체의 강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거주공간으로서의 하부실의 공간조건도 대부분 유사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은 바닥구조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바닥구조는 콘크리트면인 슬래브(SLAB)에 충격이 직접 가해짐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뜬바닥(Floating floor)구조를 적용하여 건물바닥면인 슬래브(SLAB)의 상부에 진동저감용 완충재("차음재를 의미함")를 설치 후, 온돌층을 구성하여 그곳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가 직접 구조체인 슬라브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건물바닥면인 슬래브의 상부에 완충재("차음재를 의미함")를 설치, 뜬바닥 구조로 형성할 경우에 횡방향으로 공기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공기의 탄성계수가 부가되기는 하나, 완충재(차음재)의 두께가 얇으면 탄성계수가 크고, 동시에 공기의 탄성계수도 커지기 때문에(두께가 절반이면 2배) 특히 저음역에서 뜬바닥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키로 하며,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허 공개 제 10-2012-0032608호(2012. 04. 06. 공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인용하여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기술 및 종래 기술의 추가 문제점을 기술하였다.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공동주택의 건물바닥면(40)의 구조는 바닥 슬래브층(41), 기포 콘크리트층(42), 마감몰탈층(43), 온돌용파이프(60), 바닥장식재(70)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물벽면(50)은 콘크리트 벽면(51)으로 구성되어,
상부층에서 발생하는 사람의 보행 및 진동에 의한 중량음 소음이나, 사람의 말소리나 외부의 전달 소리에 의한 경량음 소음이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건물바닥면의 바닥 슬래브층(41)과 기포 콘크리트층(42)의 사이에 차음재(100,200)가 설치되고, 건물벽면의 콘크리트 벽면(51)에 절연재(52)가 부착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사용되는 차음재(100,200)는, 스치로폼(EPS)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고무 재질의 기재(201)와, 상기 기재(201)의 하부에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부(202)가 구비된 차음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차음재는 스치로폼(EPS) 차음재(100)의 경우 손실되는 열이 최소화되어 보온 및 단열효과에서는 우수하나, 경량음이나 중량음 소음이 상기 기재의 재질로 인한 차음 효과가 적어, 상부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하부층으로 전달 됨으로서 차음재로서의 기능상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차음재(100,200)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건물바닥면인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 차음재(100,200)를 설치 후,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포 콘크리트층(42)을 형성하고, 상부에 온돌용파이프(60)를 설치 및 마감몰탈층(43)으로 마감처리를 한 후, 바닥장식재(70)가 시공 되는 설치방법으로 인하여,
상기 차음재(100,200)를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 적층 및 차음재(100, 200)의 상부에 기포 콘크리트층(42)을 매설시에 상기 차음재가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서 유동 되거나, 또는 시공지점에서 외부로 부분 이탈이 됨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며, 제품 불량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시공 후, 실제 사용시에 상부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하부층으로 전달되어 차음재로서의 소음방지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기존 EVA를 주원료로 생산된 차음재는 동탄성계수를 낮출시에 바닥충격음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인지하고는 있으나, 발포기술 및 바닥충격음 발생시에 공기의 흐름에 방해를 하지않고 적절히 상쇠 시킬 수 있는 설계가 곤란하여 동탄성계수가 높게 형성됨으로 인한 차음재의 전체두께 20 내지 45㎜가 밀도 10 내지 50㎏/㎥의 저밀도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저하되는 동시에 바닥충격음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 구성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된 층간소음이 차음기재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1차로 방지되고,
차음기재를 경유한 전달소음이 제 1,2차음부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는 동시에 건물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 및 건물 바닥면과의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층간소음 전달이 최대한 방지되며,
전달소음이 다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수직방향인 건물바닥면으로 미전달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전달소음이 더욱 최소화되고:
상기 차음기재 및 제 1,2차음부의 평균밀도가 70 내지 85㎏/㎥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강화되고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며: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구성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구성의, 평균밀도가 70 내지 85㎏/㎥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된 '차음기재' 및, 상기 차음기재 외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1차음부'와, 상기 다수개의 제 1차음부의 사이에 일정길이로 절단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2차음부'와, 상기 제 1,2차음부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와 직선형 공간부인 '유로'로, 구성된: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된 층간소음이 차음기재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1차로 방지된 효과와;
차음기재를 경유한 전달소음이 제 1,2차음부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어,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전달이 더욱 방지된 효과와;
제 1,2 차음부에 의하여 건물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 및 건물 바닥면과의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층간소음 전달이 최대한 방지된 효과와:
전달된 층간소음이 다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수직방향인 건물바닥면으로 미전달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전달소음이 더욱 최소화된 효과와;
상기 차음기재 및 제 1,2차음부의 평균밀도가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강화되고,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된 효과와;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차음재 및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차음재를 180도 회전,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차음재를 180도 회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차음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차음재의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SHEE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본 발명에 도시된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차음재를 구체적으로 설명키 위하여, 편의상 180도 회전 도시한 일 실시예에 해당된 도면으로서;
건물바닥면에 실제 설치시에는,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수개의 제 1,2차음부가 건물바닥면의 상부에 적층 설치되며;
건물바닥면의 설치면적에 따라, 본 발명의 차음재가 좌,우로 연속 반복되어 확장된 다수개의 차음재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물과, 두께, 밀도, 길이는, 단순히 수치로서 한정 기재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차음재가, 종래 기술의 차음재에 비하여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전달이 최대한 방지되며,
내구성 성능이 강화되고,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며,
전달된 층간소음이 다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수직방향인 건물바닥면으로 미전달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전달소음이 더욱 최소화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적정 구성의 각 구성물과, 차음기재 및 제 1,2차음부의 두께와, 제 1,2차음부의 단면적 하단길이와, 유로의 단면적 하단길이와, 종래기술 차음재의 평균밀도인 10 내지 50㎏/㎥에 비하여 고밀도인 차음재 전체의 평균밀도가 70 내지 85㎏/㎥의 차음재" 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더욱 구체화 되어 있는바; 이는, 단순한 수치 한정에 불과 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도 2는 본 발명 차음재를 180도 회전, 도시한 참고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차음재를 180도 회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차음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차음재의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SHEET이다.
도 2 및 도3에 도시된바와 같이;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인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전달이 최소화되고, 내구성 성능이 강화되며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며,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목적을 해결키 위한,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는,
1)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이 방지되는 목적의,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수지 중 선택된 1종 재질로 평균밀도 70 내지 85㎏/㎥인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된, 차음기재(110) 및:
2) 상기 차음기재(110) 외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1차음부(120)와:
3) 상기 다수개의 제 1차음부(120)의 사이에 구비된 곡선형 돌출부의 상, 하단(132,133)이 절단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2차음부(130)와:
4) 상기 제 1,2차음부(120,130)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수평유로(141)와, 상기 제 2차음부(130)의 상,하단에 구비된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로 구성된 유로(140)가: 구비된,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로 구성된다.
상기 차음기재(110)는;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이 1차로 방지되는 목적의,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수지 중 선택된 1종 재질의, 평균밀도 70 내지 85㎏/㎥인 고밀도의 탄성체인 두께 10 내지 15㎜의 차음기재(110)로 구성되어;
본 발명 차음재(1000)를 설치 사용시에,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이 차음기재(110)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1차로 방지되며:
특히, 종래기술의 평균밀도 10 내지 50㎏/㎥로 저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된 차음재에 비하여,
차음기재의 평균밀도가 70 내지 85㎏/㎥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강화되는 동시에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기술구성의, 차음기재(11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차음부(120)는;
상기 차음기재(110)를 경유한 전달소음이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는 목적의, 상기 차음기재(11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밀도로 구성된,
두께 5 내지 10㎜, 단면적 하단길이(121) 10 내지 25㎜의 곡선형 돌출부로 상기 차음기재(110) 외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1차음부(120)로 구성되어;
특히, 상기 차음기재(110)를 경유한 전달소음이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는 동시에,
건물바닥면의 외부에 설치 사용시에 차음기재의 외부에서 차음기재(110)의 전체면적이 아닌, 단면적 하단길이(121)가 10 내지 25㎜로 극소화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만이 건물바닥면에 접촉 됨으로서 건물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고, 차음기재(110)가 건물바닥면의 외부에서 들뜨어 설치되는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층간소음 전달이 더욱 방지된 기술구성과,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 1, 2차음부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수평유로(141)가 구비 가능한 기술구성과,
본 발명 제 2차음부(130)의 두께 5 내지 10㎜, 단면적 하단길이(131) 20 내지 45㎜의 돌출부에 비하여, 단면적 하단길이(121)가 1/2 범위의 10 내지 25㎜의 돌출부로 구성 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차음기재(110) 외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되어, 본 발명 차음재가 건물바닥면에 설치 사용시에 내구성 성능이 강화된 기술구성의, 제 1차음부(120)로 구성된다.
또한, 평균밀도가 70 내지 85㎏/㎥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더욱 강화되는 동시에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기술구성의, 제 1차음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차음부(130)는;
상기 제 1차음부(110)와 동시에 차음기재(110)를 경유한 전달소음이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는 목적의, 상기 차음기재(11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밀도로 구성된,
상기 다수개의 제 1차음부(120)와 제 1차음부(120)의 사이에 두께 5 내지 10㎜, 단면적 하단길이(131) 20 내지 45㎜의 곡선형 돌출부로, 곡선형 돌출부의 상, 하단(132,133)이 일정길이로 절단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2차음부(130)로 구성되어;
특히, 상기 제 1차음부(110)와 동시에 차음기재(110)를 경유한 전달소음이 건물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며,
건물바닥면의 외부에 설치 사용시에 차음기재의 외부에서 차음기재(110)의 전체면적이 아닌, 단면적 하단길이(131) 20 내지 45㎜의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만이 건물바닥면에 접촉 됨으로서 건물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고, 차음기재(110)가 건물바닥면의 외부에서 들뜨어 설치되는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층간소음 전달이 더욱 방지된 기술구성과,
단면적 하단길이(131) 20 내지 45㎜의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에 의하여 본 발명 차음재가 건물바닥면에 설치 사용시에 내구성 성능이 강화되고, 제 1,2차음부(120,130)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수평유로(141)와, 제 2차음부(130)의 상, 하단(132,133)이 일정길이로 절단되어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가 구비 가능한 기술구성의, 제 2차음부(130)로 구성된다.
또한, 평균밀도가 70 내지 85㎏/㎥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더욱 강화되는 동시에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기술구성의, 제 2차음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유로(140)는;
상기 차음기재(110)와 제 1, 2차음부(120,130)로 전달된 전달소음이 다수개의 유로(140)를 통하여 수직방향인 건물바닥면으로 미전달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됨으로서 전달소음이 더욱 최소화되는 목적의,
상기 제 1,2차음부(120,130)의 측면에 구비된 단면적 하단길이(143)가 20 내지 25㎜ 범위의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로 구성된 수평유로(141)와, 상기 제 2차음부(130)의 상,하단에 구비된 단면적 하단길이(144)가 20 내지 25㎜ 범위의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로 구성된, 유로(140)로 구성되어;
특히, 상기 차음기재(110)와 제 1, 2차음부(120,130)로 전달된 전달소음이 상기 제 1,2차음부(120,130)의 측면에 구비된 단면적 하단길이(143)가 20 내지 25㎜ 범위의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횡방향 배열의 수평유로(141)에 의하여 수직방향인 건물바닥면으로 미전달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됨으로서 전달소음이 더욱 최소화된 기술구성과,
상기 수평유로(141)에 의한 전달소음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제 2차음부(130)의 상,하단에 구비된 단면적 하단길이(144)가 20 내지 25㎜ 범위의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에 의하여, 다수개의 수평유로(141)가 서로 관통되어 전달소음이 이동 됨으로서 더욱 신속히 수평방향으로 전달소음이 이동되는 기술구성의, 유로(140)로 구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 차음재(1000)의 횡방향 길이가 1,149㎜이고, 종방향 길이가 2,150㎜의 경우는, 상기 제 1차음부(120)의 횡방향 길이가 1,150㎜이고, 제 2차음부(130) 단수개의 횡방향 길이가 168㎜의 6개로 구성되고, 제 2차음부(130)의 상,하단에 구비된 수직유로(142) 단수개의 횡방향 길이가 23.5㎜의 6개로 구성되며;
이는, 본 발명 차음재(1000)의 차음구조를 설명키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 1,2차음부(120,130)와 수직유로(142)가 상기 수치에 의하여 한정 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한다.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제품 상세 구성: 도 2 및 도 3 참조)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가 건물바닥면(40)에 설치 사용시에,
차음기재(110)와 다수개의 제 1,2차음부(120,130), 다수개의 수평유로(141)와 수직유로(142) 구성의 유로(140)가 구비된, 본 발명 차음재(1000))가 설치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차음기재(110)에 의하여,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이 건물바닥면(40)으로 전달되는 것이 1차로 방지되며:
차음기재(110)의 평균밀도가 70 내지 85㎏/㎥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강화되는 동시에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기술구성과;
본 발명의 제 1,2차음부(120,130)에 의하여, 상기 차음기재(110)를 경유한 전달소음이 건물바닥면(40)으로 전달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는 동시에,
건물바닥면(40)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 및 건물바닥면(40)과의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층간소음 전달이 최대한 방지되고, 본 발명 차음재가 건물바닥면에 설치 사용시에 내구성 성능이 강화된 기술구성과;
제 1, 2차음부(120,130)의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에 의하여 제 1, 2차음부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수평유로(141)와, 제 2차음부(130) 상,하단에 구비된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가 구비 가능한 기술구성과;
또한, 평균밀도가 70 내지 85㎏/㎥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더욱 강화되는 동시에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제 1,2차음부(120,130)의 기술구성과;
본 발명의 유로(140)에 의하여, 차음기재(110)와 제 1, 2차음부(120,130)로 전달된 전달소음이 상기 제 1,2차음부(120,130)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수평유로(141)에 의하여 수직방향인 건물바닥면(40)으로 미전달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됨으로서 전달소음이 더욱 최소화된 기술구성과,
상기 수평유로(141)에 의한 전달소음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제 2차음부(130)의 상,하단에 구비된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에 의하여, 다수개의 수평유로(141)가 서로 관통되어 전달소음이 이동 됨으로서 더욱 신속히 수평방향으로 전달소음이 이동되는 기술구성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 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가;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의 상부에,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타일렌(PS), 염화비닐(PVC) 수지 중 선택된 1종 재질의 수지, 또는 직물지가 시트 형태로 가공된 차음부재가 적층된 구성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두께 10 내지 15㎜의 차음기재(110)와, 두께 5 내지 10㎜의 제 1,2차음부(120,130)로 구성된 차음재 전체두께 15 내지 25㎜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가,
두께 10 내지 25㎜의 차음기재(110)와, 두께 5 내지 20㎜의 제 1,2차음부(120,130)로 구성된 차음재 전체두께 15 내지 45㎜로 구성된,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차음부(120)가 배제된 구성의, 차음기재(110)와 제 2차음부(130), 유로(140)로 구성된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차음부(130)가 배제된 구성의, 차음기재(110)와 제 1차음부(120), 수평유로(141)로만 구성된 유로(140)로 구성된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가 건물벽면에도 설치되어, 건물벽면에서 전달되는 층간 소음이 더욱 방지되는 구성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2차음부(120,130)의 하단길이(121,131)와, 유로(140)인 수평유로(141)와 수직유로(142)의 하단길이(143,144)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키 위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치를 기재 한 것으로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길이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품 구성도 및 설치상태도: 도 2 내지 도 4 참조)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전달이 방지되는 용도의,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는, 다음과 같은 S1 내지 S4 단계의 설치방법인:
S1 단계: 차음기재(110)의 외부에 다수개의 제 1,2차음부(120,130)와 다수개의 수평유로(141)와 수직유로(142)로 구성된 유로(140)가 구비된 두께 15 내지 25㎜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가, 제 1,2 차음부(120,130), 차음기재(110)의 적층순으로 건물바닥면(40)인 두께 210 내지 350㎜의 슬래브(41) 상부에 적층되는 단계; 및,
S2 단계: 차음기재(110)의 상부에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 두께 40 내지 50㎜의 기포콘크리트층(42) 양생 단계; 와,
S3 단계: 기포 콘크리트층(42)의 상부에 난방배관을 설치 및, 마감몰탈을 타설, 두께 40 내지 45㎜의 마감몰탈층(43) 양생 단계; 와,
S4 단계; 마감몰탈층(43)의 상부에, 바닥장식재(70)가 설치되어, 건물바닥면(40)의 설치 완료 단계; 로, 건물바닥면(4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S1 내지 S4 단계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의 설치방법으로;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전달되는 층간소음이 차음기재(110)에 의하여 1차로 전달이 방지된 설치 구성과;
제 1,2차음부(120,130)에 의하여, 상기 차음기재(110)를 경유한 전달소음이 건물바닥면(40)으로 전달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는 동시에, 건물바닥면(40)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 및 건물바닥면(40)과의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층간소음 전달이 최대한 방지되고, 본 발명 차음재가 건물바닥면에 설치 사용시에 내구성 성능이 강화된 설치 구성과;
제 1, 2차음부(120,130)의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에 의하여 제 1, 2차음부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수평유로(141)와, 제 2차음부(130) 상,하단에 구비된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가 구비 가능한 설치 구성과;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수평유로(141)와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가 구비된 유로(140)에 의하여, 차음기재(110)와 제 1, 2차음부(120,130)로 전달된 전달소음이 상기 제 1,2차음부(120,130)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수평유로(141)에 의하여 수직방향인 건물바닥면(40)으로 미전달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됨으로서 전달소음이 더욱 최소화 및 전달소음이 더욱 신속히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설치 구성과;
차음기재와 제 1,2차음부의 평균밀도가 70 내지 85㎏/㎥로 고밀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내구성 성능이 더욱 강화되는 동시에 바닥충격음 성능 또한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설치 구성의;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의 설치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S1 단계의 후속 설치방법으로, 하기 S11 단계가 추가 구성되어 건물벽면에서 전달되는 층간 소음이 더욱 방지되는 설치방법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S11 단계: 상기 S1 단계의 건물바닥면인 슬래브(41) 상부에 차음재(1000) 적층시에, 건물벽면에 S1 단계의 차음재(1000) 또는 완충재의 설치단계;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은,
상기 S1 내지 S4 단계의 설치방법으로 두께 210㎜의 슬래브층과, 타설두께 40㎜의 기포 콘크리트층과, 상기 기포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온돌배관과 타설두께 40㎜의 마감몰탈층과, 12.5㎜의 바닥장식재로 구성된 건물바닥면의 슬래브층의 외부에 설치된,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재질의 두께 13㎜의 차음기재와: 두께 7㎜, 단면적 하단길이 20㎜의 제 1차음부와: 두께 7㎜, 단면적 하단길이 40㎜의 제 2차음부와: 단면적 하단길이 20㎜의 유로로: 구성된, 차음재 전체두께 20㎜의 본 발명 구성의 차음재이고;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의 차음재가, 건물바닥면과 건물벽면에 모두 설치된 차음재 전체두께 20㎜의 본 발명 구성의 차음재이며;
비교예 1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재질의 두께 20㎜ 차음재가 실시예 1과 동일한 설치방법으로 설치된 차음재이고;
비교예 2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스치로폼 재질의 두께 20㎜ 차음재가 실시예 1과 동일한 설치방법으로 설치된 차음재로서;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일반 물성 결과치를 표 1,2에 나타 내었으며, 차음성 기준치를 표 3에 기재 및 차음성 결과치를 표 4에 나타 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기준
시험방법
시험 결과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동탄성계수 Mn/㎤ 40 이하 KSF 2868 4 4 9 42
밀도 Kg/㎥ - KSM 845 80 80 47 11
시험항목
단위
기준
시험방법
시험 결과
실시예 1,2 비교예1 비교예2

칫수안전성

%

±5 이하

KSM 4898

1.8

4.7

7.8/ 불합격

하중지지력

-

변형여부

외관판단

미변형/우수

찢어짐/ 불량

파손/ 불량
상기 표 1,2에서 알수 있는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1과 실시예 2, 비교예 1의 시중 유통분인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재질의 차음재가 일반물성 항목의 기준치를 만족하여 사용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특히, 비교예 2의 스치로폼 재질의 차음재는 동탄성계수가 42Mn/㎤로 기준치에 미달 및 동탄성계수가 높음에 의한 밀도가 11Kg/㎥의 저밀도로 구성되어 칫수안정성이 7.8%로 기준치에 미달 되었으며: 차음재 상부에 설치된 건물의 바닥면인 기포콘크리트층, 마감몰탈층, 바닥장식재층에서 전달된 하중에 의하여 차음재가 파손 됨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어, 하중지지력(내구성) 저하로 인한 사용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비교예 1은 동탄성계수는 9Mn/㎤로 기준치에 충족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비하여 밀도가 47Kg/㎥의 저밀도로 구성 됨에 의한 차음재 상부에 설치된 건물의 바닥면인 기포콘크리트층, 마감몰탈층, 바닥장식재층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하여 차음재가 찢어짐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어, 하중지지력(내구성) 저하로 인한 사용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 1,2가 비교예 1,2에 비하여 동탄성 계수가 우수함이 판명 되었으며, 밀도가 80Kg/㎥의 고밀도로 구성 됨에 의하여 비교예 1,2에 비하여 하중지지력(내구성)과 칫수안정성 물성항목이 강화된 것으로 판명 되었다.
판정급수 차음성능(dB)
경량음 중량음
1 급 43 이하 40 이하
2 급 44 내지 48 41 내지 43
3 급 49 내지 53 44 내지 47
4 급 54 내지 58 48 내지 50
시험방법 (KSF 2810) 시험 결과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차음성
경량음 39 / 1급 35 / 1급 54 / 4급 62 / 불합격
중량음 37 / 1급 33 / 1급 50 / 4급 59 / 불합격
상기 표 3,4와 같이, 본 발명 구성의 차음기재와 제 1,2차음부, 유로로 구성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차음재의 경량음과 중량음의 차음성능이 모두 1급으로서, 비교예 1,2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판명 되었고;
특히, 실시예 2의 건물 바닥면 및 건물벽면에 동시에 설치된 본 발명 차음재의 경량음과 중량음의 차음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비교예 1의 시중 유통분인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차음재는, 경량음 4급, 중량음 4급으로 실시예 1,2에 비하여 차음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명 되었고;
비교예 2의 스치로폼 재질의 차음재는, 경량음과 중량음의 차음성 결과가 모두 등급외로 불합격 판정되어 차음재로서의 차음성능이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0 : 본 발명 차음재(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110: 차음기재
120: 제 1차음부
121: 단면적 하단길이
130: 제 2차음부
131: 단면적 하단길이 132, 133: 상,하단
140: 유로
141: 수평유로 142: 수직유로
143,144: 단면적 하단길이
40 건물바닥면
41 : 바닥 슬래브층 42 : 기포 콘크리트층
43 : 마감몰탈층
50 건물벽면
51 : 벽면 52 : 절연재
60 : 온돌파이프
70 : 바닥장식재
100 종래기술 스치로폼 차음재
200 종래기술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차음재
201 : 기재 202 : 적층부

Claims (9)

  1. 건축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이 방지되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수지 중 선택된 1종 재질로 평균밀도 70 내지 85㎏/㎥인 고밀도의 탄성체인 차음기재(110)로 구성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에 있어서;

    상기 차음기재(110) 외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1차음부(120)와:
    상기 다수개의 제 1차음부(120)의 사이에 구비된 곡선형 돌출부의 상, 하단(132,133)이 절단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된 제 2차음부(130)와:
    상기 제 1,2차음부(120,130)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인 수평유로(141)와, 상기 제 2차음부(130)의 상,하단에 구비된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로 구성된 유로(140)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음부(120)가;
    단면적 하단길이(121) 10 내지 25㎜의 곡선형 돌출부로 상기 차음기재(110) 외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음부(130)가;
    단면적 하단길이(131) 20 내지 45㎜의 곡선형 돌출부로, 곡선형 돌출부의 상, 하단(132,133)이 절단된 다수개의 곡선형 돌출부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140)가;
    상기 제 1,2차음부(120,130)의 측면에 구비된 단면적 하단길이(143)가 20 내지 25㎜ 범위의 다수개의 곡선형 공간부로 구성된 수평유로(141)와, 상기 제 2차음부(130)의 상,하단에 구비된 단면적 하단길이(144)가 20 내지 25㎜ 범위의 다수개의 직선형 공간부인 수직유로(142)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1000).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20727A 2017-02-15 2017-02-15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833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727A KR101833475B1 (ko) 2017-02-15 2017-02-15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727A KR101833475B1 (ko) 2017-02-15 2017-02-15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475B1 true KR101833475B1 (ko) 2018-02-28

Family

ID=6140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727A KR101833475B1 (ko) 2017-02-15 2017-02-15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6755A (zh) * 2019-10-30 2020-01-07 安徽绿谷新材料有限公司 基于橡胶垫的楼板隔声减震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609Y1 (ko) 2005-07-14 2005-10-13 주식회사 익성 건축물의 바닥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609Y1 (ko) 2005-07-14 2005-10-13 주식회사 익성 건축물의 바닥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6755A (zh) * 2019-10-30 2020-01-07 安徽绿谷新材料有限公司 基于橡胶垫的楼板隔声减震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434B1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재
CN101571002B (zh) 缓冲材料和具有该缓冲材料的吸音板
KR102295294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102077086B1 (ko) 건물 바닥충격음 방지구조체
KR10240374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38751B1 (ko)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262286B1 (ko) 주파수 제어 설계기술을 적용한 건식온돌용 모듈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중량바닥충격음 레벨 최적화 방법
KR101833475B1 (ko)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922009B1 (ko) 직물기재를 이용한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429103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뜬바닥층 구조 및 건축용 바닥재
KR101428590B1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624963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18884A (ko) 주택 건축물의 층간소음 바닥패널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22521B1 (ko) 슬래브 바닥구조물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JP3021365B2 (ja) 遮音床板
KR20190050305A (ko) 층간소음 저감재
JP2774020B2 (ja) 床下吸音材ブロックを備えた防音床
KR20210047101A (ko)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KR200315058Y1 (ko)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음 차단판
KR200359989Y1 (ko) 층간 소음 방지재의 적층구조
KR102535739B1 (ko) 층간진동소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79075Y1 (ko) 소음방지재
KR101136031B1 (ko) 방음벽용 흡음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JPH03253662A (ja) 木質防音床材および防音用下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2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26

Effective date: 201801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