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671B1 -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 Google Patents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671B1
KR100370671B1 KR10-2000-0027707A KR20000027707A KR100370671B1 KR 100370671 B1 KR100370671 B1 KR 100370671B1 KR 20000027707 A KR20000027707 A KR 20000027707A KR 100370671 B1 KR100370671 B1 KR 10037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seat
type motorcycle
scoot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387A (ko
Inventor
오미카야스시
이나야마요이치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62M7/06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directly under the saddle or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longitudinal, endless element, e.g. belt or chain, for transmitting drive t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46Luggage carriers forming part of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7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f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2075/1804Number of cylinders
    • F02B2075/1808Number of cylinders tw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과는 별개의 뒷바퀴 지지부재를 요동자유롭게 하여 고속주행성을 향상시켜, 부품배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플로어 공간을 넓게 널리 확보할 수 있는 스쿠터형 자동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낮은 바닥식 플로어(64a)를 갖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내연기관(20)을 플로어(64a)의 뒤쪽에서 운전자용 시트(66)의 아래쪽으로 배치하고, 내연기관(20)과 독립하여 요동하는 지지부재(32)를 통해서 뒷바퀴(44)를 지지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SCOOTER TYPE AUTOBICYCLE}
본 발명은, 낮은 바닥식 플로어를 갖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관한 것이다.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는 일반적으로 유닛 스윙식 내연기관이 채용되고, 변속기를 일체적으로 갖는 내연기관의 일 단부를 차체에 링크를 통해서 지지하며, 상하로 요동자유로운 후단에 뒷바퀴가 축 지지되며, 이 후단과 차체와의 사이에 쿠션이 끼워져 있다.
또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서, 내연기관과는 별개의 전동 케이스를 후단에축 지지된 뒷바퀴와 함께 요동자유롭게 지지한 예(일본국 특공평 1-39397호 공보)가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축보다 뒤쪽의 출력축을 중심으로 요동자유롭게 전동 케이스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좌우의 플로어부의 사이까지 내연기관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전자의 유닛 스윙식 내연기관을 탑재한 자동 이륜차에서는 쿠션 아래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고속 주행성에 한계가 있었다.
또 차량에 대해서 내연기관 전체가 요동하기 때문에, 내연기관 주위의 공간을 간섭하지 않도록 크게 확보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부품배치가 어렵다.
후자의 공보 기재의 예에서는 뒷바퀴를 지지하는 전동 케이스가 크랭크 축보다 뒤쪽의 출력축을 중심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휠 베이스가 크다.
또 내연기관이 좌우의 플로어부의 사이까지 연이어 설치되어 있고, 플로어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없는 동시에, 좌우 플로어부 사이에 보조기구류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기관과는 별개의 뒷바퀴 지지부재를 요동자유롭게 하여 고속 주행성을 향상하고, 부품 배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플로어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낮은 바닥식 플로어를 갖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내연기관을 상기 플로어의 뒤쪽에서 운전자용 시트 아래쪽으로 배치하고, 상기 내연기관과는 독립하여 요동하는 지지부재를 통해서 뒷바퀴를 지지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로 하였다.
내연기관과는 독립하여 요동하는 지지부재를 통해서 뒷바퀴를 지지하였기 때문에, 요동부분의 중량이 작고, 고속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요동부분이 작아서 주위에 공간을 넓게 확보할 필요가 없고, 효율적인 부품 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내연기관을 플로어의 뒤쪽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플로어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플로어부에 보조기구류 등의 배치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벨트식 자동변속기를 가지며, 상기 내연기관의 크랭크 축과 동일 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뒷바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내연기관의 크랭크축과 동일 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휠 베이스를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내연기관의 앞쪽에 적절한 배치공간과 플로어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실린더를 앞쪽으로부터 기울이고, 그 앞쪽에 보조기구류 또는 물품의 배치공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연기관의 실린더를 앞쪽으로부터 기울임으로써, 그 위쪽의 시트를 낮게 설정하여 느긋한 승차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내연기관의 앞쪽에 보조기구류 또는 물품의 배치공간을 설치하여, 효율적인 부품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용 시트의 뒤쪽에 탑승원용 시트를 한 단계 높게 설치하고, 상기 탑승원용 시트의 아래쪽에 헬멧 수납 박스를 배치하고, 상기 헬멧 수납 박스의 하면을 따라서 에어 클리너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탑승원용 시트를 운전자용 시트의 뒤쪽에 한 단계 높게 설치하고, 그 아래쪽에 헬멧 수납 박스를 배치하는 동시에, 그 하면을 따라서 에어 클리너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대형의 헬멧 수납 박스 및 에어 클리너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를 부분적으로 생략한 평면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1에서 IV-IV선을 따라서 절단하였을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2 : 헤드 파이프
3 : 메인 파이프 4 : 다운 파이프
5 : 연결 파이프 6, 7, 8, 9 : 지지 축
11 : 스티어링 샤프트 12 : 핸들
13 : 프론트 포크 14 : 앞바퀴
20 : 내연기관 21 : 크랭크 케이스
22 : 실린더 23 : 크랭크 축
24 : 커버 케이스 25 : 베어링
26 : 회전축 27 : AC 제너레이터
28 : 고리형상 지지부재 29 : 베어링
30 : 벨트식 변속기 31 : 우측 변속기 케이스
32 : 좌측 변속기 케이스 33 : 구동 풀리
34 : 피동 축 35 : 피동 풀리
36 : V 벨트 37 : 원심 클러치
38 : 소직경 기어 39 : 중간 축
40 : 대직경 기어 41 : 소직경 기어
42 : 차축 43 : 대직경 기어
44 : 뒷바퀴 45 : 리어 쿠션
51 : 흡기관 52 : 기화기
53 : 에어 클리너 54 : 헬멧 수납 박스
55 : 배기관 56 : 머플러
57 : 연료 탱크 58 : 방열기
59 : 메인 스탠드 61 : 프론트 커버
62 : 레그 실드 63 : 플로어 터널 커버
64 : 플로어 커버 65 : 리어 커버
66 : 운전자용 시트 67 : 탑승원용 시트
70 :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71 : 리어 커버
72 : 헬멧 수납 박스 73 : 뚜껑부재
74 : 탑승원용 시트 75 : 연료탱크
80 :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81 : 내연기관
82 : 변속기 83 : 리어 포크
84 : 뒷바퀴 85 : 헤드 파이프
86 : 메인 파이프 87 : 다운 파이프
88 : 운전자용 시트 89 : 탑승자용 시트
90 : 헬멧 수납 박스 91 : 에어 클리너
92 : 기화기 95 : 블래킷
96 : 피봇 97 : 리어 쿠션
98 : 연료 탱크 99 : 플로어부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1)의 전체 측면도를 도 1에 나타내고, 부분적으로 생략한 평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차체 프레임은 헤드 파이프(2)의 상부로부터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3, 3)가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온 앞쪽 경사부(3a, 3a)를 이루고, 그 하단에서 뒤쪽으로 굴곡하여 중앙 수평부(3b, 3b)를 형성하며, 약간 비스듬히 윗쪽으로 굴곡하여 뒤쪽 경사부(3c, 3c)를 이룬 후 수평으로 굴곡하여 뒤쪽 수평부(3d, 3d)에 이르고 있다.
또, 헤드 파이프(2)의 하부에서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파이프(4, 4)가 좌우로 벌어져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앞쪽 연직부(4a, 4a)를 이루고, 하단에서 뒤쪽으로 굴곡하여 중앙 수평부(4b, 4b)를 형성하며, 상기 중앙 수평부(4b, 4b)는 상기 메인 파이프(3, 3)의 중앙 수평부(3b, 3b)의 아래쪽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후단에서 위쪽으로 굴곡하여 뒤쪽 경사부(4c, 4c)를 이루며, 그 상단은 메인 파이프(3, 3)의 중앙 수평부(3b, 3b)의 후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메인 파이프(3)와 다운 파이프(4)의 사이에는 연결 파이프(5)가 3개정도 장착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2)는 스티어링 샤프트(11)를 축 지지하고, 스티어링 샤프트(11)로부터 위쪽으로 핸들(12, 12)이 좌우로 형성되며, 스티어링 샤프트(11)로부터 아래쪽으로 프론트 포크(13)가 연장되고, 그 하단에 앞바퀴(14)가 축 지지되어 있다.
메인 파이프(3)의 중앙 수평부(3b)와 뒤쪽 경사부(3c)에 지지 블래킷(3e, 3f)이 돌출 설치되고, 다운 파이프(4)의 중앙 수평부(4b)의 후단에 지지 블래킷(4e)이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뒤쪽 경사부(4c)의 하부로부터 뒤쪽으로 길이가 긴 지지 블래킷(4f)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좌우 각각 4개씩의 지지 블래킷(3e, 3f, 4e, 4f)에 내연기관(20)이 매달려 있다.
내연기관(20)은 4사이클 2기통 내연기관으로, 크랭크 케이스(21)를 다운 파이프(4)의 뒤쪽 경사부(4c)보다 뒤쪽으로 위치시키고, 앞쪽으로 경사진 실린더(22)가 좌우 뒤쪽 경사부(4c, 4c) 사이 및 메인 파이프(3)의 중앙 수평부(3b, 3b) 사이에 삽입된 모양으로 필요한 곳에 돌출 설치된 마운트 블래킷 등이 상기 지지 블래킷(3e, 3f, 4e, 4f)에 지지 축(6, 7, 8, 9)을 통해서 각각 지지됨으로써 내연기관(20)은 차체 프레임에 매달리게 된다.
이 내연기관(20)의 크랭크 케이스(21)에 벨트식 자동변속기(30)가 전부를 원추형으로 접합되어 뒤쪽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 케이스(21) 내의 좌우 수평방향으로 지향한 크랭크 축(23)의 우단에는 AC 제너레이터(27)의 아우터 로터(27a)가 끼워 붙여져 있고, 그 옆쪽을 커버 케이스(24)가 덮고 있으며, 상기 커버 케이스(24)에 AC 제너레이터(27)의 인너 스테이터(27b)가 지지되고 있다.
이 커버 케이스(24)의 크랭크 축(23)과 상기 축의 개구부에 베어링(25)을 통해서 회전축(26)이 오른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설부에 밸트식 자동변속기(30)의 우측 변속기 케이스(31)의 전단부(31a)가 끼워 붙여져 있다(도 3 참조).
우측 변속기 케이스(31a)는 전단부(31a)로부터 크랭크 케이스(21)의 후면을 따라서 내측으로 돌아서 들어간 연결부(31b)를 통해서 뒤쪽으로 포크부(31c)를 연장하고 있다.
한편 크랭크 축(23)의 좌측 단부는 크랭크 케이스(21)를 관통하여 왼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 원심 변속기구를 구비한 구동 풀리(33)가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 케이스(21)의 크랭크 축(23)이 관통하는 외측면의 크랭크 케이스(21)의 주위에 고리형상 지지부재(28)가 고착되고, 상기 고리형상 지지부재(28)에 베어링(29)을 통해서 좌측 변속기 케이스(32)의 전단부(32a)가 요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좌측 변속기 케이스(32)는 전단부(32a)로부터 크랭크 케이스(21)의 후면을 따라서 내측으로 돌아서 들어간 연결부(32b)와 뒤쪽으로 연장된 포크부(32c)를 갖는다.
크랭크 케이스(21)의 후면을 따라 돌아서 들어간 좌우의 연결부(31b, 32b)끼리는 붙어서 연결되어 좌우의 변속기 케이스(31, 32)는 일체로 합체되고, 크랭크 축(23)을 중심으로 좌우 포크부(31c, 32c)가 상하로 요동자유롭게 지지된다.
좌측 변속기 케이스(32)의 포크부(32c)의 후부는 미션실을 이루고, 피동 축(34)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피동 축(34)에 원심 클러치(37)를 통해서 피동 풀리(35)가 축 지지되어 있다.
이 피동 풀리(35)와 상기 구동 풀리(33)의 사이에 V벨트(36)가 걸쳐져 벨트식의 자동 변속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포크부(32c)의 후부의 미션실 내에서, 피동 축(34)의 우단의 소직경 기어(38)와 중간축(39)의 대직경 기어(40)가 맞물리고, 중간축(39)의 소직경 기어(41)와 차축(42)의 대직경 기어(43)가 맞물려서 감속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차축(42)은 좌우의 포크부(31c, 32c)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포크부(31c, 32c) 사이에서 뒷바퀴(44)가 차축(4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식 변속기(30)를 지지한 좌우 변속기 케이스(31, 32)는 크랭크 축(23)을 중심으로 포크부(31c, 32c)를 뒷바퀴(44)와 함께 상하로 요동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좌측 변속기 케이스(32)의 후단과 메인 파이프(3)의 후단의 사이에 리어 쿠션(45)이 장착되어 있다.
좌우의 실린더(22, 22)로부터 위쪽으로 각각 연장된 흡기관(51, 51)이 뒤쪽으로 절곡하여 크랭크 케이스(21) 상에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기화기(52, 52)에 접속되고, 기화기(52, 52)는 그 뒤쪽으로 배치된 에어 클리너(53)에 연결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53)는 좌우 메인 파이프(3, 3)의 뒤쪽 경사부(3c, 3c)사이 또는 아래에 배치되고, 그 위쪽으로 헬멧 수납 박스(54)가 뒤쪽 수평부(3d, 3d) 사이에 설치 지지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53)는 이 상면이 헬멧 수납 박스(54)의 앞쪽 하면을 따라서 절곡한 형상을 하고, 양자가 끼워 맞춰져서, 대형으로 부피가 늘어나는 헬멧 수납 박스(54) 및 에어 클리너(53)의 공간이 효율 좋게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22, 22)로부터 아래쪽으로 각각 연장된 배기관(55, 55)은 크랭크 케이스(21)의 아래쪽으로 돌아서 들어가서 뒤쪽으로 연장되고,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차체의 우측면으로 나와서 상승하며, 뒷바퀴(44)의 우측에 지지되는 머플러(5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 케이스(21)의 하단에는 메인 스탠드(59)가 기복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22, 22)의 앞쪽에는 위쪽의 메인 파이프(3, 3)의 중앙 수평부(3b, 3b) 및 다운 파이프(4, 4)의 중앙 수평부(4b, 4b)의 4개의 파이프에 둘러싸여 연료탱크(57)가 설치되어 있다.
다운 파이프(4, 4)의 앞쪽 연직부(4a, 4a) 사이에는 방열기(58)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2)의 앞쪽은 프론트 커버(61)로 덮여져 있고, 그 좌우 아래쪽 양측을 레그 실드(62)가 덮혀 있으며, 메인 파이프(3, 3)의 앞쪽 경사부(3a, 3a) 및 중앙 수평부(3b, 3b)를 채널형상을 한 플로어 터널 커버(63)가 위쪽에서 덮고 있으며, 그 좌우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좌우 옆쪽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플로어 스텝(64a, 64a)을 갖는 플로어 커버(64, 64)가 다운 파이프(4, 4)의 중앙 수평부(4b, 4b)를 외측에서 덮고 있다(도 4 참조).
플로어 터널 커버(63)의 뒤쪽 상부는 큰 U자 형상으로 개방하고, 상기 개구에 실린더(22) 및 기화기(52) 등을 향하고 있고, 플로어 터널 커버(63)의 후단 가장자리에 연결하여 접속한 리어 커버(65)가 메인 파이프(3, 3)의 후측 경사부(3c, 3c) 및 후측 수평부(3d, 3d)를 옆쪽에서 덮고 있다.
그리고, 플로어 터널 커버(63)의 뒤쪽 상부의 U자형상 개구를 운전자용 시트(66)가 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자유롭게 덮고 있으며, 리어 커버(63)의 상부 개구를 탑승원용 시트(67)가 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자유롭게 덮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용 시트(66)는 실린더(22) 및 기화기(52) 등을 위에서 덮고, 탑승원용 시트(67)는 헬멧 수납 박스(54)의 개구를 위에서 덮게 된다.
차체 프레임에 매달린 내연기관(20)은 실린더(22)를 앞쪽으로부터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그 위쪽을 덮는 운전자용 시트(66)는 낮게 배치할 수 있고, 느긋한 승차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또, 탑승원용 시트(67)는 운전자용 시트(66)의 뒤쪽으로 한 단계 높은 위치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그 아래쪽에 헬멧 수납 박스(54)를 배치하는 동시에, 그 하면을 따라서 에어 클리너(53)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대형의 헬멧 수납 박스(54) 및 에어 클리너(53)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플로어 스텝(64a, 64a)의 발을 얹는 플로어부(64b, 64b)보다 뒤쪽으로 내연기관(20)이 위치하기 때문에, 내연기관(20)에 방해되지 않고 플로어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내연기관(20)의 앞쪽으로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연료탱크(57) 등의 대형의 보조기구류를 배치할 수 있다.
차체 프레임에 매달린 내연기관(20)과는 별도로 독립하여 벨트식 변속기(30)가 뒷바퀴(44)를 후단에 축 지지하여 요동자유롭게 지지되기 때문에, 내연기관(20)을 일체로 하지 않는 만큼, 리어 쿠션(45)이 지지하는 요동부분이 대폭적으로 경량화되고,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1)로서의 고속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 140㎞/h 전후의 최고속 영역의 것이, 160㎞/h 정도로 최고속 영역을 높일 수 있다.
뒷바퀴(44)를 축 지지하는 변속기 케이스(31, 32)가 크랭크 케이스(21)에 크랭크 축(23)과 동일 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휠 베이스를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내연기관(20)의 앞쪽에 적당한 배치공간과 플로어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차체 후부의 구성을 변화시킨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70)의 실시 형태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 부재는 동일 부호를 이용한다.
본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70)는 리어 커버(71)의 후부에 헬멧 수납 박스(7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헬멧 수납 박스(72)의 뒤쪽을 향한 개구를 뚜껑부재(73)가 개폐자유롭게 닫혀 있다.
이 헬멧 수납 박스(72)와 운전자용 시트(66)의 사이에 탑승원용 시트(74)가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이 탑승원용 시트(74)의 아래쪽에는 연료탱크(75)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탱크(75)의 앞쪽 하면을 따라서 에어 클리너(53)가 배치된다.
탑승원용 시트(74)는 운전자용 시트(66)보다 한 단계 높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아래쪽에 연료탱크(75)를 배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연료탱크(75)의 뒤쪽으로 헬멧 수납 박스(72)도 구비할 수 있다.
내연기관(20) 앞쪽의 공간이 비어 있기 때문에, 물품수납부 또는 보조기구류 등의 배치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별도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80)에 대해 도 6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80)는 탑재되는 내연기관(81)이 크랭크 케이스에일체적으로 변속기(82)를 구비하고, 내연기관(81)과는 독립하여 변속기(82)와는 별개의 리어 포크(83)가 후단에 뒷바퀴(84)를 축 지지하여 요동자유롭게 지지된 구성의 것이다.
차체 프레임은 헤드 파이프(85)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86, 86)가 상기 메인 파이프(2)와 대략 동일 형상을 이루고, 앞쪽 경사부(86a), 중앙 수평부(86b), 뒤쪽 경사부(86c), 뒤쪽 수평부(86d)로 이루어지며, 헤드 파이프(85)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파이프(87, 87)가 앞쪽 경사부(87a), 중앙 수평부(87b), 뒤쪽 경사부(87c)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다운 파이프(4)와는 달리, 중앙 수평부(87b)가 뒤쪽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후단을 비스듬히 위쪽으로 굴곡한 뒤쪽 경사부(87c)가 메인 파이프(86)의 뒤쪽 수평부(86d)에 연결하고 있다.
상하의 메인 파이프(86), 다운 파이프(87)의 중앙 수평부(86b, 87b)의 후반부에 내연기관(81)이 탑재되고, 전반부에는 연료탱크(98)가 탑재되어 있으며, 연료탱크(98)의 좌우 옆쪽이 플로어부(99)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연기관(81)은 플로어부(99)보다 뒤쪽으로 위치한다.
내연기관(81)의 위쪽을 운전자용 시트(88)가 개폐자유롭게 덮고 있다.
운전자용 시트(88)의 뒤쪽에 탑승자용 시트(89)가 한 단계 높게 배치되고, 그 아래쪽으로 헬멧 수납 박스(90)가 설치되며, 헬멧 수납 박스(90)와 실린더 사이에 에어 클리너(91) 및 기화기(92)가 배치되어 있다.
내연기관(81)의 크랭크 케이스의 뒤쪽으로 설치된 변속기(82)의 변속기 케이스 후단에 블래킷(95)이 설치되고, 이 블래킷(95)에 리어 포크(83)의 전단이 피봇(9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로 요동하는 리어 포크(83)의 후단에 뒷바퀴(84)가 축 지지되어 있다.
이 리어 포크(83)의 중앙 뒤쪽 부근과 메인 파이프(86)의 뒤쪽 수평부(86d)의 전방부의 사이에 리어쿠션(97)이 장착되어 있다.
내연기관(81)과는 독립하여 요동하는 리어 포크(83)를 통해서 뒷바퀴(84)를 지지하였기 때문에, 요동부분이 대폭적으로 경량화되고, 고속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요동부분이 작아서 주위에 공간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부품 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내연기관(81)을 플로어부(99)의 뒤쪽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플로어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플로어부(99)에 연료탱크(98)를 설치할 수 있다.

Claims (4)

  1. 낮은 바닥식 플로어를 갖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내연기관을 상기 플로어의 뒤쪽에서 운전자용 시트 아래쪽으로 배치하고,
    상기 내연기관과는 독립하여 요동하는 지지부재를 통해서 뒷바퀴를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벨트식 자동 변속기를 갖고, 상기 내연기관의 크랭크축과 동일 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실린더를 앞쪽으로부터 기울이고, 그 앞쪽에 보조기구류 또는 물품의 배치공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용 시트의 뒤쪽에 탑승원용 시트를 한 단계 높게 설치하고,
    상기 탑승원용 시트의 아래쪽에 헬멧 수납 박스를 배치하고,
    상기 헬멧 수납 박스의 하면을 따라서 에어 클리너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KR10-2000-0027707A 1999-05-25 2000-05-23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KR100370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44444 1999-05-25
JP14444499 1999-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387A KR20010049387A (ko) 2001-06-15
KR100370671B1 true KR100370671B1 (ko) 2003-02-05

Family

ID=1536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707A KR100370671B1 (ko) 1999-05-25 2000-05-23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49785B1 (ko)
EP (1) EP1055594B1 (ko)
KR (1) KR100370671B1 (ko)
CN (1) CN1274663A (ko)
DE (1) DE60010177T2 (ko)
ES (1) ES2219220T3 (ko)
TW (1) TW4466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8155B2 (ja) * 2000-01-11 2006-06-21 スズキ株式会社 小型車両のエンジンユニット
JP3971549B2 (ja) * 2000-06-09 2007-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836665B2 (ja) * 2000-09-06 2006-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3831186B2 (ja) * 2000-09-08 2006-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収納ボックス構造
JP4205297B2 (ja) 2000-09-08 2009-0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取付構造
US20030213632A1 (en) * 2002-05-16 2003-11-20 Electric Cycle Company Swing arm for an electric motor driven vehicle
CN100402366C (zh) * 2002-07-31 2008-07-1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四轮车辆
JP4057384B2 (ja) * 2002-09-26 2008-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低床式車両のエンジン搭載構造
EP1459973B1 (en) * 2003-03-19 2015-12-09 Honda Motor Co., Ltd. Low deck vehicle
ITMI20031053A1 (it) * 2003-05-26 2004-11-27 Piaggio & C Spa Sistema di accoppiamento tra telaio e gruppo motore-sospensione posteriore di un motoveicolo
US20050139407A1 (en) * 2003-07-31 2005-06-30 Michael Czysz Motorcycle with coaxial swingarm pivot and drive sprocket
US7255191B2 (en) * 2003-10-31 2007-08-14 Vectrix Corporation Composite construction vehicle frame
JP4291184B2 (ja) * 2004-03-19 2009-07-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取付構造
JP2006088895A (ja) * 2004-09-24 2006-04-06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ITTO20050666A1 (it) * 2004-09-29 2006-03-30 Honda Motor Co Ltd Motociclo
EP1710155B1 (en) * 2005-04-04 2008-08-13 HONDA MOTOR CO., Ltd. Motorcycle with fuel cell
JP4767603B2 (ja) * 2005-07-04 2011-09-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及び該パワーユニットを備えた鞍乗型車両
JP4580314B2 (ja) 2005-08-31 2010-1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739038B2 (ja) * 2006-01-31 2011-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クッション配置構造
JP4829641B2 (ja) * 2006-02-28 2011-1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2008001278A (ja) * 2006-06-23 2008-01-10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5036329B2 (ja) * 2007-01-25 2012-09-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3154660U (ja) * 2008-08-19 2009-10-2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387132B2 (ja) * 2009-05-20 2014-01-15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燃料電池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5498812B2 (ja) * 2010-02-18 2014-05-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
JP2012035668A (ja) 2010-08-04 2012-02-23 Kawasaki Heavy Ind Ltd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配管構造
JP5694788B2 (ja) * 2011-01-17 2015-04-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5969232B2 (ja) * 2012-03-22 2016-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ラジエータホース配置構造
JP5893459B2 (ja) * 2012-03-22 2016-03-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燃料タンク及びラジエータ配置構造
DE102013224562A1 (de) * 2013-11-29 2015-06-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Endschalldämpfers eines Zweirads
US10507703B2 (en) * 2016-06-27 2019-12-17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Strut mount and suspension mechanism using the same
WO2019207712A1 (ja) * 2018-04-26 2019-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124A (ko) * 1994-04-04 1995-11-22 가와모토 노부히코 소형 차량의 시이트 하부 수납박스의 지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7373A (en) * 1948-12-06 1952-02-27 Brockhouse J &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tor cycles
US2687048A (en) * 1952-09-08 1954-08-24 Butler Frank David Internal fluid pressure variable combined hydrodynamical and planetary gearing driven transmission coupler applicable to a traction wheel of an automotive vehicle
DE967035C (de) * 1952-09-26 1957-09-26 Duerkoppwerke Ag Motorroller mit einer die Antriebsorgane umhuellenden Blechverkleidung
DE962578C (de) * 1954-03-25 1957-04-25 Duerkoppwerke Ag Motorroller
JPS6439397A (en) 1987-08-04 1989-02-09 Nippon Steel Corp Production of zinc-iron composite electroplated steel sheet
US4964483A (en) * 1987-09-25 1990-10-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 scooter
US5433286A (en) * 1988-09-27 1995-07-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cycle
JP2918116B2 (ja) * 1989-06-22 1999-07-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三輪車の燃料供給部構造
US5020847A (en) * 1990-02-27 1991-06-04 Shih Chun Jih Scooter body open frame of loop form with a lateral beam joining longitudinal, laterally spaced side bars
JP3675894B2 (ja) * 1995-06-29 2005-07-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DE19629879A1 (de) * 1996-07-24 1998-01-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rahmen mit Durchstieg, insbesondere für ein Zweirad
JP3745852B2 (ja) * 1996-12-17 2006-02-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形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配置構造
JP3816210B2 (ja) * 1997-09-30 2006-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低床式自動二輪車の車体構造
JP4057112B2 (ja) * 1997-10-28 2008-03-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124A (ko) * 1994-04-04 1995-11-22 가와모토 노부히코 소형 차량의 시이트 하부 수납박스의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0177D1 (de) 2004-06-03
DE60010177T2 (de) 2004-08-26
EP1055594A2 (en) 2000-11-29
CN1274663A (zh) 2000-11-29
US6349785B1 (en) 2002-02-26
ES2219220T3 (es) 2004-12-01
KR20010049387A (ko) 2001-06-15
TW446664B (en) 2001-07-21
EP1055594A3 (en) 2002-07-17
EP1055594B1 (en)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671B1 (ko)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US6986400B2 (en) Scooter-type motorcycle
EP1520968A1 (en) Exhaust control device of motorcycle
JP2001328583A (ja)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JP4573745B2 (ja) ピリオンステップおよびマッドガードを備える自動二輪車
JP5715844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内燃機関下部の保護構造
JP4887349B2 (ja) 鞍乗り型車両
JP2009046017A (ja) エンジンユニット、及び鞍乗型車両
JP3745852B2 (ja) スクータ形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配置構造
EP1000845A2 (en) Motorcycle
TWI277555B (en) Two-wheeled vehicle
JP6870035B2 (ja) 鞍乗型車両のラジエータ
JP2004026023A (ja) 自動二輪車用パワーユニット
JP3847087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カバー構造
AU2012367781A1 (en) Vehicle
JP4015418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4303361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2012228983A (ja) 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のアシストモータ配置構造
JP3847085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前部灯火器構造
JP2003335284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用ベルト式自動変速機の冷却構造
JP4544677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156416U (ja) エンジンユニット、及び鞍乗型車両
JP5946367B2 (ja) 鞍乗型車両の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
JP2533766Y2 (ja) 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を備える車両
JP3835101B2 (ja) スノーモービル用4サイクルエンジン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