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182B1 - 대전 장치 및 이 대전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대전 장치 및 이 대전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182B1
KR100340182B1 KR1020000043686A KR20000043686A KR100340182B1 KR 100340182 B1 KR100340182 B1 KR 100340182B1 KR 1020000043686 A KR1020000043686 A KR 1020000043686A KR 20000043686 A KR20000043686 A KR 20000043686A KR 100340182 B1 KR100340182 B1 KR 10034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roller
charging
contact
photosensitive memb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144A (ko
Inventor
투루야마사하루
사이토다이수케
사와다아키라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1002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2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the charg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 G03G2215/021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 G03G2215/025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using contact charging means having lateral dimensions related to other apparatus means, e.g. photodrum, developing roller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飛散) 토너나 뭉치로 떨어진 토너가 대전 롤러의 단부에 부착해도, 그것이 유효 현상 폭 내에 들어와 대전 불량이 되지 않도록 한다.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의 대전 롤러(8)의 축선 방향에 따르는 길이(L2)를 감광체 드럼(1)상의 유효 현상폭(Wde) 이상으로 하되, 대전 롤러(8)와 감광체 드럼(1)이 접하는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Wch) 및 감광체의 폭(Wex) 이하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대전 롤러(8)의 단부(8a)나 단부(8b)에 토너가 낙하한다 해도, 그 토너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에 의해 대전 롤러(8)에 미끄럼 접촉되지 않으므로 그 토너가 유효 현상폭(Wde) 내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전 장치 및 이 대전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의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되며, 회전하는 감광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 종동 회전하면서 그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그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구비한 대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복사기나 팩시밀리 등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현상 장치 및 대전 장치 등을 일체의 케이스 안에 수납하여 토너 화상 형성 유닛으로 하고,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도록 한 것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토너 화상 형성 유닛에서는 대전 롤러를 감광체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그 대전 롤러에 전압을 가함으로써, 감광체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롤러 대전 방식의 대전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롤러 대전 방식의 대전 장치에서는 예컨대,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대전 롤러의 표면에 적당량이 침입되도록 접촉시키고, 대전 롤러가 감광체의 회전에 의해 종동 회전 되었을 때,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가 대전 롤러의 표면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대전 롤러의 표면에 부착한 토너나 종이 분말 등 이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7-32552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럼형의 감광체에 접촉하여 그 감광체에 종동 회전되는 대전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한 클리닝 롤러가 있다.
이 클리닝 롤러는 금속 축의 표면에 고무층을 피복한 후, 그 표면에 스폰지, 섬유재 혹은 연질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끈 형상체를 스파이럴 형으로 감아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클리닝 롤러의 축 길이(유효 클리닝 폭)를 대전 롤러와 감광체가 접하는 부분의 대전 접촉폭보다 크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길이가 대전 롤러와 감광체가 접하는 대전 접촉폭보다 큰 경우에는 대전 불량이 쉽게 발생하였다.
스폰지체로 이루어지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사용하고 있는 도 4에 나타낸 대전 장치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이 대전 장치에서는 드럼형의 감광체(31)에 대전 롤러(32)가 대전 접촉폭(Wch)의 길이로 압접하고 그 대전 롤러(32)에는 스폰지체로 이루어지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33)가 대전 롤러(32)의 축선 방향(화살표 A방향)에 따라 압접하고 있다.
그리고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33)의 대전 롤러(32)의 축선 방향에 따른 길이 L1은 대전 접촉폭(Wch) 이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그 대전 접촉폭(Wch)은 감광체(31)상의 유효 현상폭(Wde)(유효 현상 영역을 해칭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전 장치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일련의 토너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하면 대전 롤러(32)의 단부(32a)나 단부(32b)가 클리닝 장치로부터 낙하하는 비산 토너 등에 의해 더러워지기 쉽다. 그 오점은 유효 현상폭(Wde) 내에 들어 오지 않는다면 대전 불량 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컨대, 뭉치로 떨어지는 상태의 작은 토너 뭉치가 화상 형성 장치 안의 클리닝 장치로부터 대전 롤러(32)의 단부(32a)나 단부(32b)에 낙하하며, 대전 롤러(32)가 감광체(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그 작은 토너 뭉치가 대전 롤러(32)와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와의 압력에 의해 눌려 넓어져서, 감광체(31)의 유효 현상 영역(Wde)에 상당한 대전 롤러(32)상의 영역 폭 내로 들어온다. 통상, 감광체로부터 대전 롤러로 전이한 이물(토너나 종이 분말) 등은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에 의해 대전 롤러로부터 제거되지만, 상기 작은 토너 뭉치 등이 대전 롤러 상에 낙하하여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로 유지 가능한 일정량을 초과하면, 다 흡수되지 못하고 상기 토너가 눌려 넓어져 감광체(31)의 유효 현상 영역(Wde)에 상당한 대전 롤러(32)상의 영역 폭 내에 잔류하고, 마찰열에 의해 대전 롤러 표면에 고착된다.
그 결과, 상기 잔류 토너에 의해 대전 롤러(32)의 대전 특성이 열화하여 바탕 오점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한 것으로, 비산 토너나 뭉치로 떨어진 토너가 유효 현상폭 내에 들어와 대전 불량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감광체와 함께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도 1의 대전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화상 형성 유닛을 나타낸 개략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 장치를 일체로 수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종래 대전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체 드럼
2 : 대전 장치
8 : 대전 롤러
8a, 8b : 단부
9, 19 :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감광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 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상기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구비한대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에 따른 길이를 상기 감광체 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상기 대전 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이하로 한 것이다.
또한 회전하는 감광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 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그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구비한 대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와 대전 롤러의 상기 축선 방향에 따른 최대 접촉폭을 상기 감광체 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상기 대전 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이하로 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어느 한 대전 장치에 있어서,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는 스폰지로 형성하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감광체와 함께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대전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화상 형성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에 토너 화상 형성부를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담지체인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 대전 장치(2)와, 감광체 드럼(1)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장치(3)와, 그 감광체 드럼(1)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화하여 토너 화상으로 하는 현상 장치(4)와, 상기 토너 화상을 전사지(P)에 전사하는 전사 벨트(5)와, 상기 토너 화상을 전사한 후에 감광체 드럼(1)상에 남은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6)와, 감광체 드럼(1)상의 잔류 전하를 제거하는 방전 램프(7)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대전 장치(2)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 화살표 C방향으로 종동 회전하면서, 그 감광체 드럼(1)을 대전하는 대전 롤러(8)와, 대전 롤러(8)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대전 롤러(8)를 클리닝하는 예컨대,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대전 장치(2)는 대전 롤러(8)의 금속축(11)에 고압 전원(12)으로부터 전압을 가하여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또한, 도 2b에 나타낸 프로세스 카트리지(14)는 화상 형성 장치 전체를 작게 하기 위하여 감광체(1), 대전 장치(2), 현상 장치(4) 및 클리닝 장치(6)를 일체로 수용하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4)는 대전 장치(2), 감광체(1), 현상 장치(4) 및 클리닝 장치(6)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일체로 수용해도 좋다.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면 감광체 드럼(1)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표면이 방전 램프(7)에 의해 방전되어 표면 전위가 0 ∼ -150Ⅴ의 기준 전위로 평균화된다.
다음에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은 대전 롤러(8)에 의해 대전 되어 표면 전위가 -1000Ⅴ 전후로 된다.
그 대전면은 노광 장치(3)의 빛La에 의해 노광되고, 그 빛이 조사된 부분(화상부)의 표면 전위가 0 ∼ -200Ⅴ로 되어 잠상이 형성된다.
그 잠상은 감광체 드럼(1)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 장치(4)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그 위치에서 현상 슬리부(10)에 의해 토너가 부착되어 토너 화상(현상)으로 된다.
한편, 미도시한 급지부로부터 전사지 P가 공급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13)에서 일단 정지되고, 그 전사지 P의 선단과 감광체 드럼(1)상의 화상 선단이 일치하는 정확한 타이밍에 이송되어, 그 전사지 P에 전사 벨트(5)에 의해 감광체 드럼(1)상의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상기 전사지 P는 전사 벨트(5)에 의해 미도시한 정착부로 이송되어, 열과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토너가 전사지 P에 융착된 후 그것이 용지 받이 등으로 배출된다.
그 후, 감광체 드럼(1)상에 남은 잔류 전하는 방전 램프(7)에 의해 방전되어 토너가 없는 초기 상태로 되고, 다시 다음의 토너 화상 형성 동작으로 넘어간다.
이와 같이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일련의 토너 화상 형성 동작을 거쳐 전사지 P에 화상이 형성되는데, 이 토너 화상 형성 동작의 과정에서 도 1에 나타낸 대전 롤러(8)의 긴 쪽 방향의 단부(8a)나 단부(8b)가 클리닝 장치로부터 낙하하는 비산 토너 등에 의해 더러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 토너는 유효 현상폭(Wde)(유효 현상 영역을 해칭으로 도시하고 있다)에 들어오지 않으면 문제는 없지만, 그 유효 현상폭(Wde) 내에 들어오게 되면 대전 불량의 원인으로 되어 바탕 오점이 생기게 된다.
특히, 뭉치로 떨어지는 상태의 작은 토너 뭉치가 화상 형성 장치 안의 클리닝 장치로부터 대전 롤러(32)의 단부(32a)나 단부(32b)에 낙하하며, 대전 롤러(32)가 감광체(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그 작은 토너 뭉치가 대전 롤러(32)와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와의 압력에 의해 대전 롤러(8)의 축선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눌려 넓어져 감광체(31)의 유효 현상 영역(Wde)에 상당한 대전 롤러(32)상의 영역 폭 내로 들어온다.
통상, 감광체로부터 대전 롤러로 전이한 이물(토너나 종이 분말) 등은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에 의해 대전 롤러(8)로부터 제거되지만, 상기 작은 토너 뭉치 등이 대전 롤러 상에 낙하하여 그 토너량이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로 유지 가능한 일정량을 초과하면, 상기 토너가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에 다 흡수되지 못하고 대전 롤러(8) 및 대전 롤러 클리닝 장치(9)에 의해 눌려 넓어져 감광체(1)의 유효 현상 영역(Wde)에 상당한 대전 롤러(8)상의 영역 폭 내에 잔류하고, 그 잔류 토너가 마찰열에 의해 대전 롤러(8) 표면에 고착되므로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대전 장치(2)에서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의 대전 롤러(8)의 축선 방향에 따르는 길이(L2)를 감광체 드럼(1)상의 유효 현상폭(Wde) 이상으로 하되, 대전 롤러(8)와 감광체 드럼(1)이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Wch) 및 감광체의 폭(Wex) 이하로 하고 있다.
즉, Wex ≥ Wch > L2 ≥ Wde의 관계로 되도록 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예컨대, Wex를 334 mm, Wch를 314 mm, L2를 304 mm, Wde를 302 mm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전 롤러(8)의 단부(8a)나 단부(8b)에 토너가 뭉치로 떨어지는 상태로 낙하한다 해도, 그 토너는 미끄럼 접촉 영역 바깥쪽에 있으므로,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에 의해 대전 롤러(8)에 미끄럼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 토너가 유효 현상폭(Wde) 내에 들어와서 생기는 대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가 쉽게 더러워지지 않는 만큼 내구성이 증가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한 대전 장치에서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의 재질로서 토너의 유지성이 뛰어난 스폰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대전 롤러(8)의 표면으로부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9)에 의해 제거된 토너가 대전 롤러(8)에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과 동일한 개략도이고, 도 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19)를 대전 롤러(8)의 화살표 A방향으로 나타낸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그 대전 롤러(8)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형태의 대전 장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19)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이물(토너, 종이 분말)을 흡수하는 폭을 넓혀 보다 큰 면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으므로 클리닝 부재의 흡수 용량을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대전 장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19)를 일체로 유지하는 클리닝 유지부재(21)의 일단 부근에 요동 컴(22)을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여 클리닝 유지부재(21)를 스프링(23)에 의해 요동 컴(22)으로 밀어 클리닝 유지 부재(21)의 일단이 요동 컴(22)의 컴 면(22a)에 맞대이도록 하고 있다.
요동 컴(22)은 축부(22b)가 미도시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이것에 의해 클리닝 유지 부재(21)가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19)와 일체로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19)의 대전 롤러(8) 축선 방향에 따르는 최대 접촉폭(Wmax)을 감광체 드럼(1)상의 유효 현상폭(Wde)(유효 현상 영역을 해칭으로 도시하고 있다)이상으로 하되, 대전 롤러(8)와 감광체 드럼(1)이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Wch) 및 감광체의 폭(Wex) 이하로 하고 있다.
즉, Wex ≥ Wch > Wmax ≥ Wde의 관계로 되도록 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예컨대, Wex를 334 mm, Wch를 314 mm, Wmax 를 308 mm, Wde를 302 mm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대전 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19)가 대전 롤러(8)의 축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형태이거나, 대전 롤러(8)의 단부(8a)나 단부(8b)에 토너가 뭉치로 떨어지는 상태로 낙하한 경우라도, 그 토너는 미끄럼 접촉 영역 바깥쪽에 있으므로,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19)에 의해 대전 롤러(8)에 미끄럼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가 유효 현상폭(Wde) 내에 들어옴으로써 생기는 대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19)가 쉽게 더러워지지 않는 만큼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19)의 내구성이 증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범위 제1항, 제4항 및 제7항의 발명에 의하면,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대전 롤러(8)의 축선 방향에 따르는 길이를 감광체 드럼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대전 롤러와 감광체 드럼이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및 감광체의 폭 이하로 하였으므로,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의 단부에 부착한 토너를 유효 현상폭 내에 쉽게 들어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가 유효 현상폭 내에 들어왔을 때 생기는 대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 제5항 및 제8항의 발명에 의하면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대전 롤러 축선 방향에 따른 최대 접촉폭을 감광체 드럼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대전 롤러와 감광체 드럼이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이하로 하였으므로, 청구범위 제1항의 대전 장치와 같이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의 단부에 부착한 토너가 유효 현상폭 내에 쉽게 들어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가 유효 현상폭 내에 들어왔을 때 생기는 대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 제6항 및 제9항의 발명에 의하면,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로서 토너의 유지성이 뛰어난 스폰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대전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클리닝하여 제거한 토너가 다시 대전 롤러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회전하는 감광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 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상기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구비한 대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상기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에 따른 길이를 상기 감광체 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상기 대전 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장치.
  2. 회전하는 감광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 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그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구비한 대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상기 대전 롤러의 상기 축선 방향에 따른 최대 접촉폭을 상기 감광체 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상기 대전 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는 스폰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장치.
  4. 잠상을 표면에 담지하고 회전 가능한 감광체와, 이 감광체의 표면에 남은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와, 상기 회전하는 감광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 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상기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포함한 대전 장치와, 토너에 의해 상기 감광체 표면의 잠상을 현상화하는 현상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상기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에 따른 길이를 상기 감광체 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상기 대전 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이하로 하는 대전 장치와, 상기 감광체, 상기 현상 장치 및 상기 클리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로 수용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잠상을 표면에 담지하고 회전 가능한 감광체와, 이 감광체의 표면에 남은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와, 상기 회전하는 감광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 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상기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포함한 대전 장치와, 토너에 의해 상기 감광체 표면의 잠상을 현상화하는 현상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상기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에 따른 최대 접촉폭을 상기 감광체 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상기 대전 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이하로 하는 대전 장치를 일체로 수용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는 스폰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잠상을 표면에 담지하고 회전 가능한 감광체와, 이 감광체의 표면에 남은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와, 상기 회전하는 감광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 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상기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포함한 대전 장치와, 토너에 의해 상기 감광체 표면의 잠상을 현상화하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상기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에 따른 길이를 상기 감광체 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상기 대전 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이하로 하는 대전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잠상을 표면에 담지하고 회전 가능한 감광체와, 이 감광체의 표면에 남은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와, 상기 회전하는 감광체에 항상 압접한 상태에서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의 표면에 항상 압접하여 그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를 포함한 대전 장치와, 토너에 의해 상기 감광체 표면의 잠상을 현상화하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의 상기 대전 롤러의 축선 방향에 따른 최대 접촉폭을 상기 감광체 상의 유효 현상폭 이상으로 하되, 상기 대전 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하는 상기 축선 방향의 대전 접촉폭 이하로 하는 대전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클리닝 부재는 스폰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00043686A 1999-07-29 2000-07-28 대전 장치 및 이 대전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0340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14729 1999-07-29
JP21472999A JP3878363B2 (ja) 1999-07-29 1999-07-29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144A KR20010021144A (ko) 2001-03-15
KR100340182B1 true KR100340182B1 (ko) 2002-06-12

Family

ID=1666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686A KR100340182B1 (ko) 1999-07-29 2000-07-28 대전 장치 및 이 대전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89255B1 (ko)
JP (1) JP3878363B2 (ko)
KR (1) KR100340182B1 (ko)
CN (1) CN1238773C (ko)
DE (1) DE1003687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807A (ja) * 2001-08-27 2003-03-05 Fuji Xerox Co Ltd クリーニング部材、帯電装置、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
JP3649437B2 (ja) * 2002-06-20 2005-05-18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該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4361916A (ja) * 2003-05-12 2004-12-24 Ricoh Co Ltd 帯電ローラクリーニング機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05017316A (ja) * 2003-06-23 2005-01-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複写装置
US7421239B2 (en) * 2003-08-26 2008-09-02 Ricoh Company, Ltd. Cleaning apparatus for removing toner adhered onto endless belt
US20050089346A1 (en) * 2003-10-28 2005-04-28 Xerox Corporation Spaced biased roll charging member having clipped AC input voltage
US7215908B2 (en) * 2005-03-30 2007-05-08 Xerox Corporation Non-contact bias charge roll biased with burst modulation waveform
US7356278B2 (en) * 2005-03-31 2008-04-08 Lexmark International, Inc. Cleaning member for charging device
US7933533B2 (en) 2006-06-26 2011-04-26 Oki Data Corporation Charging device having charging roller with specific characteristic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25527B2 (ja) * 2007-01-29 2011-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像保持体ユニット
US7657196B2 (en) * 2007-02-02 2010-02-02 Ricoh Company, Limited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moveable optical sensor
CN102540841A (zh) * 2012-03-14 2012-07-04 珠海联合天润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预防充电辊被污染及清洁充电辊的装置
US8849160B2 (en) 2012-08-03 2014-09-30 Xerox Corporation Bias charge roller having a continuous raised pattern on the outer surface
CN102785487B (zh) * 2012-08-24 2015-07-29 东莞井上五金橡塑有限公司 一种无研磨粉尘粒的清洁滚筒
US8897675B2 (en) 2013-03-26 2014-11-25 Xerox Corporation Semi-contact bias charge roller
JP6877906B2 (ja) * 2016-07-22 2021-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068A (ja) * 1983-10-12 1985-05-11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写真複写機における残留現像剤の回収装置の構造
JPS62264070A (ja) * 1986-05-12 1987-11-17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5430527A (en) * 1987-06-30 1995-07-0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cleaning width larger than charging width
JPH06230650A (ja) * 1993-01-29 1994-08-19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US5572293A (en) * 1993-10-14 1996-11-05 Ricoh Company, Ltd. Method of and system for cleaning a charge inducing member
JPH07110618A (ja) 1993-10-14 1995-04-2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7146601A (ja) * 1993-11-25 1995-06-06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H07199604A (ja) * 1993-12-27 1995-08-04 Fuji Xerox Co Ltd 帯電ローラの清掃装置
JP3260971B2 (ja) * 1994-05-31 2002-02-25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110683A (ja) * 1994-10-07 1996-04-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261927B2 (ja) * 1995-05-22 2002-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形成装置
JPH11160966A (ja) 1997-11-26 1999-06-18 Ricoh Co Ltd 帯電ローラクリーニング機構
JP3936046B2 (ja) * 1997-11-28 2007-06-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624937B2 (ja) * 1999-10-19 2005-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144A (ko) 2001-03-15
DE10036872B4 (de) 2007-03-22
US6389255B1 (en) 2002-05-14
JP3878363B2 (ja) 2007-02-07
DE10036872A1 (de) 2001-05-31
CN1238773C (zh) 2006-01-25
CN1282890A (zh) 2001-02-07
JP2001042608A (ja) 200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182B1 (ko) 대전 장치 및 이 대전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0314950B1 (ko) 화상형성장치용대전장치
JPH10282854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70933A (ja) 画像形成装置
JP2745726B2 (ja) 帯電装置
JP2004144803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8867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該クリーニング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H09134056A (ja) 画像形成装置
JP3657121B2 (ja) 画像形成装置
JP3434413B2 (ja) 画像形成装置
JP334261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5188738A (ja) 接触帯電装置
JP3680567B2 (ja) 荷電ブラシ
JP2005114755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87081A (ja) 画像形成装置
JP3299878B2 (ja) 転写装置
JP4152047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68041B2 (ja) 帯電又は除電部材
JP2009003482A (ja) クリーニング部材と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199606A (ja) 画像形成装置
JP285310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31941A (ja) 現像装置、現像カ−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233652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74784A (ja) 帯電装置
JPH0217367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