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679B1 - 대물렌즈구동장치및대물렌즈구동장치를사용한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대물렌즈구동장치및대물렌즈구동장치를사용한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679B1
KR100296679B1 KR1019940030336A KR19940030336A KR100296679B1 KR 100296679 B1 KR100296679 B1 KR 100296679B1 KR 1019940030336 A KR1019940030336 A KR 1019940030336A KR 19940030336 A KR19940030336 A KR 19940030336A KR 100296679 B1 KR100296679 B1 KR 100296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coil
bobbin
optical axis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쯔까다까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3Integrated head arrangements, e.g. with source and detectors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쉽고, 안정된 대물렌즈의 구동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장치 자체의 소형, 박형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물렌즈가 일단측에 유지되고, 중앙부에 개방구멍이 형성된 보빈으로된 구동부와, 이 구동부를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지지부재와, 평판형상의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이 설치되어져, 그 평면이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 평판 영상의 부재와, 이 평판 형상의 부재에 배설된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과 상대해서 이들 포커싱 코일 및 트래킹 코일과 함께 작용하여 구동부를 구동 변위하는 자석을 가진 자기 회로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대물렌즈 구동장치 및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사용한 광 픽업 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에 도시한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다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포커싱 코일과 자석과의 배치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트랙킹 코일과 자석과의 배치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 5도는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이 설치된 코일 설치 기판과 자기회로부를 나타낸 측면도.
제 6도는 보빈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 7도는 탄성지지부재의 코일 설치 기판으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자기 회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9도는 제 8도에 도시한 자기회로부와 포커싱 코일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10도는 제 8도에 도시한 자기회로부와 트랙킹 코일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11도는 제 8도에 나타낸 자기회로부와 코일 설치기판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 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자기회로부의 그 위에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 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자기회로부의 그 위에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 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자기회로부와 코일 설치기판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 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자기회로부와 코일 설치기판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제 16도는 제 14도 및 제 15도에 나타낸 자기회로부와 코일설치기판에 설치된 포커싱 코일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17도는 제 14도 및 제 15도에 나타낸 자기회로부와 코일 설치기판에 설치된 트랙킹 코일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18도는 2극자화된 자석을 이용한 자기회로부와 코일 설치기판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 19도는 2극자화된 자석을 이용한 자기회로부와 포커싱 코일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20도는 2극자화된 자석을 이용한 자기회로부와 트랙킹 코일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21도는 단극자화된 자석을 복수이용한 자기회로부와 코일 설치기판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 22도는 단극자화된 자석을 복수이용한 자기회로부와 포커싱 코일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 23도는 단극자화된 자석을 복수이용한 자기회로부와 트랙킹 코일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24도는 다극자화한 자석을 이용안 자기회로부와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과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25도는 다극자화한 자석을 이용한 자기회로부와 기판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 26도는 다극자화한 자석을 이용한 자기회로부의 다른예와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27도는 다극자화한 자석을 이용한 자기회로부의 다른 예와 코일 트랙킹 기판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 28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코일 설치기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 29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코일 설치기판의 그 위에 다른예와 그 코일 설치 기판에 이용되어지는 탄성지지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제 30도는 제 29도에 나타낸 코일설치기판에 이용되어진 탄성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제 31도는 제 28도에 나타낸 코일설치기판에 이용되어진 탄성지지부재가 끼워맞춤된 끼워맞츰 오목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 32도는 제 29도에 나타낸 코일 설치기판에 설치되어진 탄성지지부재가 끼워맞춤된, 끼워맞춤 오목부를 나타낸 측면도.
제 33도는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의 통전을,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을 이용한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 34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보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35도는 탄성지지부재로 보빈을 직접 지지한 예를 나타낸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사시도.
제 36도는 자석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
제 37도는 자석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 38도는 자석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 39도는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의 전기 공급을,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을 이용해서 행하는 코일 설치기판의 사시도.
제 40도는 가요성 프린트 배선을 접속한 코일 설치기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41도는 코일 가동형의 대물 구동장치를 이용해 구성한 본 발명에 관계된 광픽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 42도는 제 41도에 나타낸 광픽업장치에 이용되는 발광수광 복합소자를 나타낸 사시도.
제 43도는 발광수광 복합소자와 반사경의 배치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 44도는 발광수광 복합소자와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설치된 대물렌즈의 배치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 45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광픽업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46도는 홀로그램(hologram)을 이용한 발광수광 복합소자와 반사경의 배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 47도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발광수광 복합소자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복귀광의 검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48도는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 49도는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50도는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51도는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과 자기회로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제 52도는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과 자기회로부와의 배치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53도는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회로장치에 있어서의 포커싱 코일과 자기회로부의 자속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54도는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포커싱 코일과 자석과의 대향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55도는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트랙킹 코일과 자석과의 대향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대물렌즈 구동장치 21 : 대물렌즈
22 : 보빈 23 : 보빈에 설치한 개방구멍
27 : 코일설치판 삽입구 28 : 코일설치판
31 : 포커싱 코일 34 : 트랙킹 코일
35 : 탄성지지부재 36 : 자기회로부
37 : 요크(yoke) 45, 46 : 요크를 구성하는 기립편
47, 48 : 자석 93 : 가이드축 삽통부
94 : 가이드 걸어맞춤부 95 : 광픽업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96 : 발광수광복합소자 106 : 반사경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광디스플레이어등의 광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장치에 이용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및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광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등의 광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장치에는, 반도체 레이저등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해서 광디스크에 조사시키는 대물렌즈를, 이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구동변위시키는 대물렌즈 구동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에 따라 대물렌즈를 이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구동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크 회전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광디스크 신호기록면에 초점을 일치시키고, 또한 광빔이 광디스크에 형성된 기록 트랙에 추종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 이용되고 있는 대물렌즈 구동장치로서, 제 48도 및 제 49도에 나타난 것처럼 구성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일단측에 대물렌즈(1)를 설치한 보빈(2)을 와이어 같은 선 형상의 4개의 탄성지지부재(3)를 이용하여 자기회로부(4)를 구성하는 요크(5)위에 설치되는 고정 지지부재(6)에 한쪽만 받쳐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대물렌즈(1)가 설치된 보빈(2)에는, 중앙부에 상기 대물렌즈(1)의 광축방향에 관통하는 개방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구벙(7)내에는, 거의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포커싱 코일(8)이 배설되어 있다. 이 포커싱 코일(8)의 외주측 일측면에는, 평판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코일(9b, 9c)로 된 트랙킹 코일(9)이 병렬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빈(2)의 대향하는 각 측면에는,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에서 각각 꺼내진 코일 단말(8a, 9a)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중계용의 프린트 배선기판(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기판(10)위에는, 이 프린트 배선기판(10)에 형성된 접속패턴(10a)에, 전기공급선으로서 기능하는 전도성재료에 의해 형성된 탄성지지부재(3)의 일단부(3a)측이 땜납등의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해 전기적 및 기능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일단부(3a)에 의해 보빈(2)을 지지한 탄성지지부재(3)는, 보빈(2)의 양측에 각각 1쌍씩 평행하게 배설되고, 타단부(3b)측을 요크(5)위에 설치한 고정지지부재(6)의 각 코너부에 뚫은 관통구멍(11)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고정지지부재(6)에 고정지지시키게 된다. 이들 탄성지지부재(3)의 상기 관통구멍(11)에서 돌출된 탄성지지부재(3)의 타단부(3b)는, 대물렌즈(1)를 구동변위시키는 구동 제어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으로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양측을 2개씩의 탄성지지부재(3)를 통해서 고정지지부재(6)에 한쪽만 받쳐 지지된 보빈(2)에 설치된 대물렌즈(1)는, 상기 탄성지지부재(3)를 변위부로서 제 48도중 화살표 F 방향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제 48도중 화살표 T 방향의 대물렌즈(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고정지지부재(6)가 설치된 요크(5)에는, 서로 대향해서 1쌍의 기립편(12,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기립편(12)의 다른쪽 기립편(13)과 대향하는 면에는, 자기회로부(4)를 구성하는 자석(14)이 접합 배설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탄성지지부재(3)를 통해서 보빈(2)을 지지한 고정지지부재(6)가, 요크(5)의 타단측의 상면에 설치된 것에 의해,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을 통해서, 1쌍의 기립편(12,13)이 제 48도에 나타난 것처럼, 보빈(2)의 개방구멍(7)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은, 자석(14)으로부터 다른쪽의 기립편(13)으로 향하는 자속에 연쇄교차, 즉 쇄교하는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된다.
상술한 것처럼 구성된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이 구동제어 회로부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에 근거한 제어 전류가 전도성을 지닌 탄성지지부재(3)를 통해서 포커싱 코일(8)에 공급되면, 자기회로부(4)의 자속과 함께 작용해서 보빈(2)을 대물렌즈(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변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보빈(2)은 탄성지지부재(3)를 탄성변위 시키면서 대물렌즈(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제 48도중 화살표 F 방향의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그리고, 보빈(2)이 구동변위되는 것에 의해, 이 보빈(2)에 설치된 대물렌즈(1)도 같은 방향으로 구동 변위해서 포커싱 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구동제어 회로부에서 트랙킹 에러 신호에 근거한 제어 전류가 전도성을 지닌 탄성지지부재(3)를 통해서 트랙킹 코일(9)에 공급되면, 자기회로부(4)의 자속과 함께 작용해서 보빈(2)을 대물렌즈(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구동변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보빈(2)은, 탄성지지부재(3)를 탄성 변위시키면서 대물렌즈(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제 48도중 화살표 T방향의 트랙킹방향으로 구동변위된다. 그리고, 보빈(2)이 구동변위되는 것에 의해, 이 보빈(2)에 설치된 대물렌즈(1)도 동방향으로 구동변위해서 트랙킹 조정이 행해진다.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보빈(2)의 양측에 중계용의 프린트 배선기판(10)을 배설하고, 이 프린트 배선기판(10)에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의 코일 단말(8a, 9a)을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10)에 일단부를 접속한 탄성지지부재(3)를 접속하고, 이 탄성지지부재(3)를 통해서 제어 전류를 포커싱 코일(8) 또는 트랙킹 코일(9)에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가요성 프린트기판(16)을 통해서 포커싱 코일(8) 또는 트랙킹 코일(9)에 제어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도 사용되고 있다.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제 50도에 나타난 것처럼, 보빈(2)의 상단면에 제어회로부에 접속된 가요성 프린트기판(16)의 일단부를 접합하고, 이 가요성 프린트기판(16)의 일단부에 형성한 접속 패턴(16a)에 포커싱 코일(8) 또는 트랙킹 코일(9)의 각 코일 단말(8a, 9a)을 접속한 것이다. 이 가요성 프린트기판(16)을 이용한 것에 의해, 탄성 지지부재(3)를 전도성 재료로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고, 소망하는 탄성 특성등의 특성을 지닌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용성 프린트기판(16)을 이용한 경우에는, 보빈(2)에 중계용의 프린트 배선기판(10)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탄성지지부재(3)의 일단부(3a)측은, 제 50도에 나타난 것처럼 보빈(2)의 양측에 형성된 끼워맞춤 지지부(17)를 통해서 직접 보빈(2)에 설치된다.
[발명이 해결할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사용된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은, 임의의 선재(선형상 재료)를 둘러감아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포커싱 코일(8)은, 제 49도에 나타난 것처럼, 1개의 선재를 사각형 형상의 통모양을 이루도록 둘러감고, 상하의 각 단부에서 접속용의 코일 단말(8a)을 끌어내도록 형성된다. 또한, 트랙킹 코일(9)은, 제 49도에 나타난 것처럼,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코일부(9b, 9c)가 병렬하여 구성되도록 1개의 선재를 둘러감고, 각 코일부(9b, 9c)의 일측에서 접속용의 코일 단말(9a)을 끌어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트랙킹 코일(9)은, 제 49도에 나타난 것처럼, 통모양으로 형성된 포커싱 코일(8)의 일측면상에 접합되어 이 포커싱 코일(8)과 일체화된다. 이 트랙킹 코일(9)이 설치된 포커싱 코일(8)은, 제 48도에 나타난 것처럼, 트랙킹 코일(9)이 접합된,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개방구멍(7)의 내벽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보빈(2)에 직접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에서 끌어내어진 각 코일 단말(8a, 9a)을, 중계용의 프린트 배선기판(10) 또는 가요성 프린트 기판(16)에 땜납등의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조립도중에서 코일 단말(8a, 9a)의 결선 작업이 필요하고, 조립효율이 나쁘게 되어 버리고 있다.
또한, 코일 단말(8a, 9a)을 결선할때, 코일 단말(8a, 9a)이 보빈(2)위에서 느슨하게 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코일 단말(8a, 9a)에 느슨해짐이 있으면, 대물렌즈(1)가 구동변위될때에 코일 단말(8a, 9a)이 부주의하게 크게 진동하기도 하고 이동하는 등으로 해서, 제어 전류에 따라 대물렌즈(1)가 구동변위될때에 코일 단말(8a, 9a)이 부주의하게 크게 진동하기도 하고 이동하는 등으로 해서, 제어 전류에 따라 대물렌즈(1)를 정확히 구동시킬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대물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는,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응답성이 좋고, 또한 안정하게 대물렌즈(1)를 광축방향 및 광축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기 위해서는, 가동부로서의 대물렌즈(1)를 설치한 보빈(2)의 중심(P)와, 이 보빈(2)을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의 발생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대물렌즈(1)를 이 대물렌즈(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포커싱 방향의 구동력은, 제 48도 및 제 52도에 나타난 것처럼, 1쌍의 기립편(12, 13) 사이에 삽입된 포커싱 코일(8)의 일측면부를 구성하는 대물렌즈(1)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둘러감는 방향으로 한 코일(8b)에 흐르는 제어 전류와, 자석(14)에서 방사되고 한쪽의 기립편(12)에서 다른쪽 기립편(13)으로 향해 자석(14)에서 방사되어 상기 코일부(8b)와 쇄교하는 자속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대물렌즈(1)를 이 대물렌즈(1)의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구동 변위되는 트랙킹 방향의 구동력은, 제 48도 및 제 51도에 나타난 것처럼, 1쌍의 기립편(12, 13) 사이에 삽입된 포커싱 코일(8)의 일측면상에 설치된 트랙킹 코일(9)을 구성하는 1쌍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부(9b, 9c)의 한쌍의 기립편(13, 13)사이에 삽입되고 대물렌즈(1)의 광축과 평행한 직선부(19a, 19b)에, 흐르는 제어 전류와, 자석(14)에서 방사되어 한쪽의 기립편(12)에서 다른쪽 기립편(13)으로 향해 자석(14)에서 방사되어 상기 직선부(19a, 19b)와 쇄교하는 자속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트랙킹 코일(9)를 구성하는 1쌍의 코일부(9b, 9c)는, 1쌍의 기립편(12, 13) 사이에 삽입된 직선부(19a, 19b)의 동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대물렌즈(1)를 광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구동력을 정확히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포커싱 코일(8)의 1쌍의 기립편(12, 13) 사이에 삽입되는 코일부(8b)를 이들 기립편(12, 13) 사이에 형성된 자기갭(gap) 중심인 제 51도중 Y-Y'선상에 일치시키고, 상기 코일부(8b)를 흐르는 제어 전류와 1쌍의 기립편(12, 13) 사이에 방사되는 쇄교자속이 고정밀도로 직교하도록 한다. 또한, 대물렌즈(1)를 광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의 구동력을 정확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트랙킹 코일(9)을 구성하는 1쌍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부(9a, 9c)의 직선부(19a, 19b) 사이의 중심을 1쌍의 기립편(12, 13)의 폭방향의 중심인 제 51도중 X-X' 선상에 일치시키고, 상기 직선부(19a, 19b)를 흐르는 제어 전류와 1쌍의 기립편(12, 13) 사이에 방사되는 쇄교자속이 고정밀도로 직교하도록 한다. 또한, 대물렌즈(1)를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 및 대물렌즈(1)를 광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의 각각에 대해 균등히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포커싱 코일(8)의 코일부(8b) 및 트랙킹 코일(9)의 직선부(19a, 19b)의 높이 방향인 대물렌즈(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의 제 52도중 Z-Z' 선상의 중심을 자석(14)의 높이 방향으로 중심 일치시킨다.
상술한 것처럼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을 자기회로부(4)에 대해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들 포커싱(8) 및 트랙킹 코일(9)에 공급되는 제어 전류와 자석(14)에서 방사되는 자속에 의해 발생하는 대물렌즈(1)를 광축방향과 평행한 방향 및 이 광축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의 발생중심은, 제 51도중의 Y-Y'선, 제 51도중의 X-X'선 및 제 52도중의 Z-Z' 선의 교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대물렌즈(1)를 설치한 가동부로서의 보빈(2)의 중심(P)을 제 51도의 Y-Y'선, 제 51도중의 X-X'선 및 제 52 도중의 Z-Z' 선의 교점에 일치시키는 것에 의해, 보빈(2)은 대물렌즈(1)의 광축과 평행한 구동력 및 대물렌즈(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의 구동력에 대해 뒤틀림등의 변위력을 발생시킴없이 응답성 좋게 구동변위되는 것으로, 이 보빈(2)에 설치된 대물렌즈(1)도,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에 공급되는 제어전류에 응해 상기 대물렌즈(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대물렌즈(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정확히 구동변위된다.
또한, 대물렌즈는, 광축을 제 51도중 X-X'선상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제 52도중 Z-Z'선과 평행이 이루어지도록 해서 보빈(2)에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이용된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은, 상술한 것처럼 1개의 선재를 통모양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둘러감아 형성된 입체적인 구조를 지니게 된다. 그 때문에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이용된 각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을 전부 통일한 일정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다. 이와 같은 크기에 벗어남이 있는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을 보빈(2)에 설치하면, 대물렌즈(1)를 포함하는 보빈(2)의 중심(P)을 일정하게 알 수 없게된다. 특히, 보빈(2)에 설치했을 때, 이 보빈(2)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부분으로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에 형상과 길이의 벗어남이 있으면, 대물렌즈(1)를 포함하는 보빈(2)의 중심(P)의 위치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또한, 일측면에 트랙킹 코일(9)을 설치한 포커싱 코일(8)은, 보빈(2)의 개방구멍(7)내에 접착제등을 사용해 직접 접합되어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보빈(2)에의 조립작업이 곤란할 뿐 아니라, 보빈(2)에 대한 설치 위치 정밀도를 정확히 하는 일이 극히 곤란하다. 그 때문에 대물렌즈 구동 장치마다 대물렌즈(1)를 포함하는 보빈(2)의 중심(P) 위치가 상이해지고, 이 중심(P)을 고정밀도로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
게다가, 보빈(2)은 합성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형성되고,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은 동선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보빈(2)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비중은 악 1.5정도인 것에 비하며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을 구성하는 동선의 비중은 8, 9 이다. 그 때문에,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에 영상과 길이의 벗어남이 생기고, 보빈(2)에 대한 설치 위치 정밀도에 벗어남이 있으면, 대물렌즈 구동장치마다 대물렌즈(1)를 포함하는 가동부로서의 보빈(2)의 중심(P)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상술한 것처럼 가동부의 중심(P) 위치가 각 대물렌즈 구동장치마다 일정하지 않으면,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과 자기회로부(4)의 공동 작용으로 생기는 구동력의 발생중심과 가동부의 중심(P)이 일치하지 않게 되고, 비틀림등의 변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고 제어 전류에 대해 응답성 좋게 대물렌즈(1)를 그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이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킬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대물렌즈(1)를 통해서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되는 광빔의 포커싱 및 트랙킹 제어가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없게 되고, 양호한 기록 또는 재생으로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할 수 없게 되버린다.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 장치는, 제 48도 및 제 53도에 나타난 것처럼, 요크(5)를 구성하는 1쌍의 기립편(12, 13) 사이에 거의 사각형의 통모양으로 둘러감긴 포커싱 코일(8)의 일측부측의 코일부(8b)를 삽입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포커싱 코일(8)은, 1쌍의 기립편(12, 13)에 삽입된 일측부측의 코일부(8b)와 대향하는 타측부측의 코일부(8c)도 자석(14)을 설치한 한쪽의 기립편(12)에 대향한다. 이 포커싱 코일(8)에 제어 전류가 공급되면, 1쌍의 기립편(12, 13) 사이에 자석(14)에서 방사되는 유효자속(Bg)과 쇄교하는 일측부측의 코일부(8b)와의 공동 작용에 의해 생기는 구동력(f1)외에, 제 53도에 나타난 것처럼, 한쪽의 기립편(12)의 배면측을 향해 자석(14)에서 방사되는 누설자속(Bg')과 쇄교하는 타측부측의 코일부(8b)와의 공동 작용에 의해 생기는 구동력(f2)도 발생한다. 이 누설 자속(Bg')과 쇄교하는 타측부측의 코일부(8b)와의 공동 작용에 의해 생기는 구동력(f1)과는 역방향의 힘이고, 대물렌즈(1)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없애도록 작용하고, 대물렌즈(1)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에서는, 누설자속의 영향을 없애도록 하기 위해서, 이 누설자속을 실드하기 위한 실드판등의 실드 수단을 마련하고, 또는 포커싱 코일(8)을 대형화하고 있다. 이처럼 실드 수단을 마련하기도 하고, 포커싱 코일(8)을 대형화하면, 대물렌즈 구동 장치 자체가 대형화해 버린다.
또한,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이용된 포커싱 코일(8)중, 자석(14)에서 방사되는 자속과 함께 작용해서 대물렌즈(1)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작용하는 부분은, 1쌍의 기립편(12, 13) 사이에 삽입된 일측부측의 코일부(8b)의 자석(14)에 대향하는 제 54도중 사선으로 도시한 부분만이다. 또한, 트랙킹 코일(9)에 있어서도, 자석(14)에서 방사되는 자속과 함께 작용해서 대물렌즈(1)를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작용하는 부분은, 각 코일부(9b, 9c)의 자석(14)에 대향하는 직선부(19a, 19b)중 제 55도의 사선으로 도시한 부분만이다. 즉,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중, 대물렌즈(1)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작용하는 부분은, 전체의 1/4정도이고 이용효율이 극히 나쁘다. 이와 같은 포커싱 코일(8) 및 트랙킹 코일(9)의 이용효율이 나쁘기 때문에, 대물렌즈(1)를 구동변위시키는데 필요한 구동 전류도 많이 필요하게 되고, 광픽업 장치를 구성하는 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의 동작에 악영향을 주고, 안정한 광빔의 발전을 저해할 염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이용된 포커싱 코일(8)은, 통모양으로 둘러감겨져 있기 때문에 자기 인덕턴스가 크게 되기 쉽다. 게다가 자기 회로부(4)를 구성하는 요크(5)의 기립편(12)이 통모양의 포커싱 코일(8)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립편(12)이 철심의 작용을 이루고, 포커싱 코일(8)의 자기 인덕턴스를 크게 하고 있다. 이처럼 포커싱 코일(8)의 자기 인덕턴스가 크게 되면, 포커스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를 구동 제어 회로를 통해서 포커싱 코일(8)에 공급해 대물렌즈(1)를 구동변위시킬때, 포커스 에러 신호의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 위상의 주위가 180도를 넘어 급속히 회전하고, 포커스 에러 신호에 추종하는 포커스 제어를 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이처럼 포커스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포커스 에러 신호를 검출하고 포커스 코일(8)에 제어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 회로측에서 전기적인 위상 보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위상 보정량이 크게 되면, 이 보정량에 비례해서 포커싱 코일(8)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고주파문이 증가하고, 소비 전력을 증가시킨다. 소비 전력이 증가되면 발열등에 의해 광픽업 장치를 구성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동작을 불안정하게 하는 등의 폐해를 생기게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의 보빈에의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안정한 대물렌즈의 구동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커스 에러 신호 또는 트랙킹 에러에 신호에 정확히 추종하며 대물렌즈의 구동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물렌즈를 구동 변위하기 위한 전력의 절약화를 실현하고, 대물렌즈 구동시의 발열을 억제하고, 대물렌즈를 통해 광디스크에 조사되는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을 구성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안정한 동작을 보증하고, 양호한 특성으로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광픽업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안정한 대물렌즈의 구동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용이한 광픽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 경량이면서,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광픽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계된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물렌즈가 일단측에 유지되고, 중앙부에 개방구멍이 형성된 보빈으로 된 가동부와, 이 가동부를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와, 평판형상의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이 설치되며 그 평면이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설된 평판 형상의 부재와, 이 평판 형상의 부재에 배설된 상기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과 상대해서, 이들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가동부를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지닌 자기회로부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 형상의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이 설치된 자기회로부를 구성하는 평판 형상의 부재가 가동부측에 설치된, 코일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회로부를 구성하는 자석이 가동부측에 설치된 자석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포커싱 코일을 이 코일이 설치된 평판 형상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변을 지닌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에 의해 구성하고, 트랙킹 코일을 이 코일이 설치된 평판 형상부재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변을 지닌 적어도 두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을 적층하도록 하고 평판 형상부재의 평면상에 배설하고, 또한 포커싱 코일의 평판 형상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변중 적어도 한쪽의 변과 트랙킹 코일을 구성하는 적어도 두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의 상호 인접하는 변이 공통자속내에 배설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포커싱 코일을 이 코일이 설치된 평판 형상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장변을 지닌 적어도 2 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에 의해 구성하고, 트랙킹 코일을 구성하는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의 상호 인접하는 장변과 함께 공통자속내에 상기 포커싱 코일의 상호 인접하는 장변을 배설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가동부를 지지하는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전도성 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가동부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부재에 배설된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에 전기 공급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1 쌍의 평행 가이드부와 각각 걸어맞춤하는 가이드 지지부를 양단측에 각각 설치한 베이스 위에 배설하고, 상기 베이스 위에 레이저 광원과, 이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의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와, 이 수광 소자에서 출사된 광빔과 복귀광을 분산하는 분산 소자로 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의 광축이 상기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설치된 대물렌즈의 광축 둘레에 약 45 로 되는 발광 수광 복합소자와, 상기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설치된 대물렌즈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이 대물렌즈 바로 아래의 광축에 대해 반사면을 45 도로 경사시킴과 아울러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 주위에 45 도 경사시킨 상태로 반사경을 배설하여 이루어진다.
[작용]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포커싱 코일에 포커싱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포커싱 코일과 자기회로부를 구성하는 자석과의 공동작용에 의해 가동부를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하고, 대물렌즈를 그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킨다.
또한, 트랙킹 코일에 트랙킹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트랙킹 코일과 자기회로부를 구성하는 자석과의 공동 작용에 의해 가동부를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하고, 대물렌즈를 그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을 평판 형상의 부재에 설치하고, 상기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을 자기회로부를 구성하는 자석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자석의 한쪽면에만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이 마주향하는 구성이 된다.
또한, 평판 형상의 부재가 가동부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평판 형상의 부재에 설치된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은 가동부와 일체로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가동 변위한다.
또한,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을 설치한 평판 형상의 부재를 가동부측에 설치하고, 가동부를 지지하는 탄성자지부재를 전도성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은 상기 탄성지지부재를 통해서 전기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렌즈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이 반사경에 의해 광축이 90 도 꺾여 구부러져 대물렌즈에 입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레이저 광원과 이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의 되돌아오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로 된 발광 수광 복합 소자를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의 광축이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대물렌즈의 광축 주위에 악 45 도로 되도록 하고, 대물렌즈 구동장치가 배설된 베이스 위에 배설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폭이 발광 수광 복합소자를 기울인 부분만큼, 폭이 좁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장치(20)를 설명한다.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20)는 제 1도에 나타난 것처럼, 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에서 출사된 광빔을 집광해서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조사하고, 또한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복귀광이 입사된 대물렌즈(21)를 일단측에 유지하고, 이 대물렌즈(21)와 더불어 가동부를 구성하는 보빈(22)을 갖추고 있다.
이 가동부를 구성하는 보빈(22)은 폴리스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를 성형해 형성되어진 것으로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난 것처럼, 중앙부에 사각형을 이루는 개방구멍(23)을 형성한 보빈 본체(24)와, 이 보빈 본체(24)의 일단측의 위쪽 가장자리 측에서 측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된 대물렌즈 설치부(25)로 구성된다. 그리고, 대물렌즈(21)는 대물렌즈 설치부(25)의 중앙부에 설치한 설치 오목부(26)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오목부(26)의 저면부에는 대물렌즈(21)에 입사되는 반도체 레이저에서 출사된 광빔 및 대물렌즈(21)에서 투광되는 광디스크에서의 복귀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광투과 구멍이 뚫려 있다.
그리고, 보빈 본체(24)의 대향하는 양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개방구멍(23)을 횡단하도록 하고 코일 설치판 삽입 홈(27, 27)이 뚫려 있다. 이들 코일 설치판 삽입 홈(27, 27)은 제 2 도에 나타난 것처럼, 보빈 본체(24)의 상단면측에서 하단측을 향해 대물렌즈 설치부(25)에 설치된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하게 뚫려진 오목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코일 설치판 삽입홈(27, 27)을 통해, 보빈(22)에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형성된 코일 설치판(28)이 설치된다. 이 코일 설치판(28)은 글라스 에폭시 수지판과 합성수지 재료판과 같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 1 도에 나타난 것처럼, 코일 설치판 삽입홈(27, 27)에 삽입해서 보빈(22)에 설치했을 때, 양단부(28a, 28b)측이 보빈 본체(24)의 양측에 각각 돌출하는 크기를 가진 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일 설치판(28)의 일측면측에는 제 2 도 및 제 3도에 나타난 것처럼, 1 쌍의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1쌍의 코일부(29, 30)로 된 포커싱 코일(31)이 설치되고, 타측면측에는 제 4 도에 나타난 것처럼, 1 쌍의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1쌍의 코일부(32, 33)로 된 트랙킹 코일(3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을 구성하는 각 코일부(29, 30 및 32, 33)은 글라스 에푹시 수지로 된 코일 설치판(28) 위에 피착된 동박을 에칭해서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 패턴을 형성해서 구성되어졌다. 이처럼 동박을 에칭하여 형성되어진 코일부(29, 30 및 32, 33)로 된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은 평판인 것으로서 설치기판(28) 위에 설치되어진다.
또한,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을 구성하는 각 코일부(29, 30 및 32, 33)는 평판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이라면 좋고, 코일용 선재를 평판 형상을 이루는 직사각형 형상에 둘러감은 것이어도 좋다. 이 코일용 선재를 둘러감아 형성한 각 코일부(29, 30 및 32, 33)는 접착제를 사용해서 코일 설치판(28)의 일측면쪽 및 타측면쪽에 각각 접합된다.
상술한대로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을 설치한 코일 설치 기판(28)은 코일 설치판 삽입구(27, 27) 사이에 걸쳐 삽입되고,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24)이 설치되어진 평면이 보빈(22)에 설치되어진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해서 보빈(22)에 위치 결정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진다. 이 코일 설치판(28)의 보빈(22)으르의 설치는 코일 설치판 삽입구(27, 27)에 접착제를 도포함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 코일 설치판(28)은 보빈(22)을 성형하는 금형내에 미리 배설해두고, 이 보빈(22)의 성형과 동시에 설치되도록 하는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보빈(22)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진다.
또, 대물렌즈(21)는 보빈(22)에 코일 설치판(28)을 설치한 후, 대물렌즈 설치부(25)에 설치되어진다. 이것은 코일 설치판(28)을 보빈(22)에 설치할 때에 대물렌즈(21)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대로, 코일 설치판(28) 및 대물렌즈(21)가 설치된 보빈(22)은 복수의 선형상을 하는 와이어와 같은 탄성 지지부재(35)를 통해서, 자기회로부(36)를 구성하는 요크(37)에 형성된 홀더 설치부(38)에 설치된 지지홀더(39)에 한쪽만 받혀 지지된다. 이때, 보빈(22)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을 한쌍씩의 탄성지지부재(35)에 의해 지지홀더(39)에 한쪽만 받혀 지지되므로써, 상기 탄성 지지부재(35)를 탄성 변위부로서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2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진다.
또한, 여기에서 이용된 탄성 지지부재(35)는 가늘고 긴 금속 와이어 또는 가늘고 긴 금속성의 판 스프링 등의 전도성을 가진 재료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그런데, 4개의 탄성지지부재(35)에 의해 브빈(22)을 지지하기 때문에, 이 보빈(22)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코일 설치판(28)의 보빈 본체(24)의 양측에 각각 돌출한 양단부(28a, 28b)에는 4개의 탄상지지부재(35)의 일단측이 각각 삽입 통과된 4개의 탄성지지부재 삽통 구멍(19)이 뚫려 있다. 즉, 탄성 지지부재 삽통 구멍(19)은 코일 설치판(28)의 양단부(28a, 28b)의 각 코너부 근방에 위치해서, 한쌍씩 서로 평행하게 뚫려 있다. 또, 탄성 지지부재 삽통 구멍(19)이 뚫린 주위에는,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의 코일 단부에서 연장된 접속 단자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일단부(35a)측은, 탄성 지지부재 삽통 구멍(19)에 각각 삽입 통과되어,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탄성 지지부재 삽통 구멍(19)내로부터 접속 단자부(40)상에 도포된 땜납(41)에 의해 코일 설치 기판(28)에 고정된다.
또한, 각 탄성 지지부재(35)는 접속 단자부(40)에 통전이 도모되어 코일 설치 기판(28)에 고정되면 좋고, 땜납(41)을 대신해서 전도성을 가진 접착제를 이용해도 좋다.
상술한대로, 코일 설치 기판(28)을 통해서 보빈(22)을 일단측에 지지한 4개의 탄성 지지부재(35)의 다른 단부(35b)측은 지지 홀더(39)에 고정 지지된다. 이 지지 홀더(39)의 양단측에는 끼워맞춤 구멍(42, 42)이 설치되어져 있다. 이들 끼워맞춤 구멍(42, 42)내에는 제 1 도 및 제 6 도에 나타낸 것처럼, 점탄성을 가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진동을 감쇄 혹은 흡수시키는 작용을 가진 댐퍼(damper)(43)에 삽통되어 지지홀더(39)에 고정 지지되게 된다. 이처럼, 각 탄성 지지부재(33)의 다른 단부(35b)를 댐퍼(43)를 통해서 지지 홀더(39)에 고정 지지하므로써 대물렌즈(21)가 구동 변위시켜질 때에 탄성 변위하는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불필요한 진동을 급히 상쇄시키고, 더욱이 공진의 발생을 불러오는 것이 가능하고,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에 응답성 좋게 대물렌즈(21)의 구동 변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댐퍼(43)를 통해서 지지 홀더(39)에 고정 지지된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다른 단부(35b)는 상기 지지 홀더(39)의 보빈(22)이 배설된 쪽과 대향하는 배면쪽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대물렌즈 구동 제어회로에 접속된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탄성 지지부재(33)의 가요성 프린트 기판(44)에의 접속은 이 가요성 프린트 기판(44)에 형성한 접속 패턴부로 뚫은 투공으로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타단부를 삽통하고, 땜납 혹은 전도성 접착제를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타단부의 주위로부터 접속 패턴부에 걸쳐서 도포하므로서 행해진다.
그런데,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일단부(35a) 및 타단부(35b)는 각각 코일 설치기판(28)에 뚫은 탄성 지지부재 삽통 구멍(19) 및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44)에 뚫은 투공(44a)에 삽통되고, 바깥 둘레 전부에 걸쳐서 땜납(41) 혹은 전도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지되게 되기 때문에 코일 설치 기판(28) 및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42)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 및 기계적인 결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각 탄성지지부재(35)의 일단부(35a) 및 타단부(35b)가 삽통된 코일 설치 기판(28) 및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44)에 뚫어 설치된 탄성 지지부재 삽통 구멍(19) 및 투공(44a)은 탄성지지부재(35)의 외주위에 땜납(41) 혹은 전도성 접착제를 도포한때, 제 6도에 나타난 것처럼, 탄성 지지부재 삽통 구멍(19) 및 투공(42a)과 탄성 지지부재(35)와의 사이에 땜납(41) 혹은 전도성 접착제가 진입하지 않을 정도의 간극(d)이 형성되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일단부(35a) 및 타단부(35b)의 각각을 코일 설치 기판(28)에 뚫어 설치한 탄성 지지부재 삽통 구멍(19) 및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44)에 뚫어 설치한 투공(44a)에 삽통된 상태로 제 6도에 나타낸 것처럼, 땜납(41) 혹은 전도성 접착제를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일단부(35a) 및 타단부(35b)가 돌출측의 면의 주위에 도포한다. 이처럼 땜납(41) 혹은 전도성 접착제를 도포해서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일단부(35a) 및 타단부(35b)를 지지부재로서의 코일 설치 기판(28) 및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44)에 고정 지지함에 의해, 각 탄성부(35)이 길이 L1을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다. 즉, 탄성 변위하는 각 탄성 지지부재(35)의 길이 L1이, 코일 설치 기판(28) 및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44)의 외측 면을 기준해서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복수의 탄성 자지부재(35)를 통해서 보빈(22)을 지지한 지지 홀더(39)가 설치된 홀더 설치부(38)를 가진 자기 회로부(36)를 구성하는 요크(37)는 제 2도에 나타낸 것처럼, 거의 중앙부에 한쌍의 기립편(45, 46)이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립편(45, 46)의 마주향하는 면에는 코일 설치 기판(26)에 설치되어진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과 공동해서 대물렌즈(21)를 그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2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자석(47, 48)이 설치되어져 있다.
또, 요크(37)의 배면측에는 자석(47, 48)이 설치된 기립편(45, 46)과 평행하게 홀더 설치부(38)가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홀더(39)는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한 끼워맞춤 지지부(39a,39b)를 홀더 설치부(38)의 양측에 끼워맞춤시키는 것에 의해서 요크(37)에 설치된다. 이처럼 지지 홀더(39)를 요크(35)에 설치하면, 자석(47,48)을 설치한 기립편(45,46)이 보빈(37)에 설치된 개방구멍(23)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한쌍의 기립편(45,46) 사이에 코일 설치판(28)이 설치되고,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이 제 5도에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자석(47,48)에 의해 구성되어 자기 갭 G1내에 배치되고, 제 1도에 나타낸 것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 장차가 구성되어진다.
여기에서, 코일 설치기판(28)에 설치된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의 구성 및 이들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과 대향시킨 자석(47,48) 및 이 자석(47,48)이 설치된 기립편(45,46)을 설치한 요크(37)의 배치 구성을 설명한다.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는 제 3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빈(22)에 설치된 대물렌즈(21)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인 코일 설치 기판(28)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수평부(29a,29b 및 30a,30b)를 장변으로 하고, 상기 대물렌즈(21)의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코일 설치 기판(28)의 단변 방향과 평행한 수직부(29c,29d 및 30c,30d)를 단변으로 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들 한쌍의 코일부(29,30)는 서로 감기는 방항을 역방향으로 해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한쪽의 수평부(29a,30a)간에 약간의 간극을 설치하여 병렬로 코일 설치기판(28)의 한측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코일부(29,30)는 대물렌즈(21)가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될 때, 수직부(29c,29d 및 30c,30d)가 일쌍의 자석(47,48)에 의해 구성되는 자기 갭 G1내에 면하는 것이 없는 길이를 가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는 수직부(29c,29d 및 30c,30d) 사이의 간극(W1)이 적어도 자석(47,48)의 폭.
(W2)에 대물렌즈(1) 트랙킹 방향의 구동 변위량을 더한 길이로 설정된다. 이것은 수직부(29c,29d 및 30c,30d)가 자석(47,48)사이에 구성된 자기 갬 G1내에 위치함에 의해서, 프커싱 코일(29,30)으로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의해, 대물렌즈(21)를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 이외의 불필요안 구동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트랙킹 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32,33)는 제 4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빈(22)에 설치된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코일 설치 기판(28)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변 방향과 평행한 수직부(32a,32b 및 33a 및 33b)를 장변으로 하고, 상기 대물렌즈(21)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인 코일 설치 기판(28)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수평부(32c, 32d 및 33c,33d)를 단변으로 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이들 한쌍의 코일부(32,33)는 서로 감겨지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해서 형성되어 제 4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인접하는 한쪽의 수직부(32a,33a)간에 약간의 간극을 설치하여 병렬로 코일 설치 기판(28)의 타단면 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코일부(32,33)는 대물렌즈(21)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켜질 때, 수평부(32c,32d 및 33c,33d)가 한쌍의 자석(47,48)에 의해 구성된 자기 갭 G1내에 면함이 없는 길이를 가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트랙킹 코일(34)을 구성한 한쌍의 코일부(32,33)는 수평부(32c,32d 및 33c,33d) 사이의 간극(W3)이, 적어도 자석(47,48)의 높이(H1)에 대물렌즈(1)의 포커싱 방향의 구동 변위량을 더한 길이로 설정된다. 또, 한쌍의 코일부(32,33)는 상호 인접하는 한쪽의 수직부(32a,33a)가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의 서로에 인접한 한쪽의 수평부(29a,30a)의 중앙에서 적층되도록 하여 코일 설치기판(28) 위에 설치된다.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포커싱 코일(31)과 트랙킹 코일(34)은 코일 설치 기판(28)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지지만, 코일 설치기판(28)의 한측면쪽 또는 타측면쪽에 상호 적층하여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대로, 포커싱 코일(31)과 트랙킹 코일(34)을 형성함에 의해, 이들 코일(31,34)을 설치한 코일 설치기판(28)을 설치한 보빈(22)이 지지홀더(39)를 통해서 자기 회로부(36)위에 배설되면, 제 3도 및 제 4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의 상호 인접한 한쪽의 수평부(29a,30a) 및 상기 트랙킹 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32,33)의 상호 인접한 한쪽의 수직부(32a,33a)가 한쌍의 자석(47,48)에 의해 구성된 자기갭 G1내에 공통 자속 Bg중에 위치시켜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각 자석(47,48)은 단극 자화로서 두께 방향으로 자화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들 자석(47,48)은 서로 마주하는 측면을 각각 다른 극성으로 하여 놓여져 있다.
여기에서, 포커싱 에러 신호에 응한 제어 전류가 대물렌즈 구동 제어회로로부터 전도성을 가진 탄성 지지부재(33)를 통해서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로 공급되면, 이들 코일부(29,30)의 상호 인접하는 한쪽의 수평부(29a,30a)로 흐른 전류 I1또는 I2와 자기갭 G1내에 방사된 자석(47,48)으로부터 자속 Bg에 의해, 보빈(22)을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이 구동력에 의해 보빈(22)이 탄성 지지부재(35)를 탄성 변위부로 해서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킴에 의해, 상기 보빈(22)에 설치된 대물렌즈(21)가 그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제 1 도중의 화살표 F 방항으로 구동 변위되어, 이 대물렌즈(21)을 통해서 조사되는 광빔의 포커싱 제어가 행해진다.
그런데,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는 서로 감기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해서 감겨져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 코일부(29,30)에 동일 방향의 구동 전류 I1또는 I2을 공급할 때, 서로 인접한 한쪽의 수평부(29a,30a)에 있어서 전류의 방향은 동일하게 된다.
또, 트랙킹 에러 신호에 따른 제어 전류가 대물렌즈 구동 제어회로로부터 전도성을 가진 탄성 지지부재(35)를 통해서 트랙킹 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32,33)로 공급되면, 이들 코일부(32,33)의 서로 인접한 한쪽의 수직부(32a,33a)에 흐르는 전류 I1또는 I2와 자가갭 G1내에 방사된 자석(47,48)으로부터의 자속 Bg에 의해, 보빈(22)을 대물렌즈(2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이 구동력에 의해 보빈(22)이 탄성 지지부재(35)를 탄성변위부로서 대물렌즈(2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탄성변위시킴에 의해, 상기 보빈(22)에 설치되어진 대물렌즈(21)가 그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의 제 1 도중 화살표 T 방향으로 구동 변위되고, 이 대물렌즈(21)를 통해서 조사되는 광빔의 트랙킹 제어가 행해진다.
이 트랙킹 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32,33)도,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와 같은 모양으로 서로 감기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해서 감겨져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코일부(32,33)에 동일 방향의 구동 전류 I1또는 I2를 공급할 때, 서로 인접한 한쪽의 수직부(32a,33a)에 있어서 전류의 방향은 동일하다.
또한, 코일 설치판(28)의 아래쪽 가장자리와 요크(37)의 윗면과의 사이에는 제 5도에 나타낸 것처럼, 포커싱 코일(31)이 제 1 도중 화살표 F 방향으로 구동 변위하는 최대 스트럭 1s 분의 간극이 설치되어진다. 이것은 대물렌즈(21)의 제 1도중 화살표 F 방향으로의 구동 변위를 저해하지 않토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대로, 평판 형상을 한 코일부(29,30 및 32,33)로부터 구성된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을 설치한 평판 형상의 코일 설치 기판(28)을 보빈(22)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때문에,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의 전부를 자기회로부(36)의 자석(47,48)에 마주향하는 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기회로부(36)의 누설 자속에 의해 불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 평판 형상을 한 코일부(29,30 및 32,33)로부터 구성된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을 설치한 평판 형상의 코일 설치기판(28)을 보빈(22)에 설치하도록 하여져 있기 때문에, 포커스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의 보빈(22)에 대한 설치 위치 정밀도를 용이하게 낼 수 있고, 보빈(22)의 가동 중심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대물렌즈(21)의 안정한 구동 변위가 실현된다.
상술의 자기회로부(36)는 요크(37)에 대향하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기립편(45,46)을 설치해, 이들 기립편(45,46)의 개방된 상단측의 대향하는 면에 단극 자화된 자석(47,48)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때문에,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과 함께 작용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효 자속 Bg 는 한쌍의 자석(47, 48)에 의해 구성된 자기갭 G1내에 방사되는 자속만이다. 그리고,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의 유효자속 Bg과 함께 작용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은 상기 가지 갭 G1내에 위치하는 서로 인접한 한쌍의 코일부(32,33)의 한쪽 수평부(29a,30a) 및 한쌍의 코일부(32,33)의 수직부(32a,33a)의 한변만이다.
그래서, 적어도 구동력을 발생되기 위해서 이용된 포커싱 코일(31)의 이용 효을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크(37)를 구성하는 기립편(45,46)의 자석(47,48)이 설치되어진 면의 상, 하단측에, 제 8 도 및 제 11 도에 나타낸 것처럼,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의 상기 자석(47,48)과 대향하지 않는 타방의 수평부(29b,30b)에 근접 대향하는 돌출편(45a,45b 및 46a,46b)을 형성한다. 이들 돌출편(45a,45b)은 자석(47,48)의 두께 W4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절곡되어, 한쌍의 코일부(29,30)의 타방의 수평부(29a,30a)가 위치한 부분에 자석(47,48) 사이에 구성되는 자기갭 G1에 거의 동등한 자기갭 G2, G3을 구성한다. 이들 자기갭 G2, G3사이에는 자석(47,48)로 부터의 자속이 집중해, 각 코일부(29,30)의 다른쪽의 수평부(29b,30b)에 작용하는 유효자속 Bgl및 Bg2가 얻어진다. 그리고 돌출편의 자속 Bgl및 Bg2와 이들 자기갭 G2, G3내에 위치한 코일부(29,30)의 다른쪽 수평부(29b,30b)에 흐른 전류에 의해 보빈(22)을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포커싱 코일(31)의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그런데, 돌출편(45a,45b 및 46a,46b)에 의해 구성된 자기갭 G2, G3에 방사된 자속 Bg1및 Bg2와 자석 (47,48) 사이에 방사된 자속 Bg 와는 제 11도에 나타난 것처럼 방향이 역으로 된다. 그러나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0,30)에 한쪽 방향의 구동 전류가 공급될 때, 제 9도에 나타낸 것처럼 직사각형 형상로 형성된 한쌍의 코일부(29, 30)의 다른쪽의 수평부(29b, 30b)에 흐르는 전류와 한쪽의 수평부(29a, 30a)에 흐르는 전류도 서로 역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자기갭 G2, G3의 자속 Bg1및 Bg2와 이들 자기갭 G2, G3내에 위치하는 다른쪽의 수평부(29b, 30b)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과 한쪽의 수평부(29a, 30a)에 흐르는 전류와 자석(47, 48) 사이에 방사되는 자속 Bg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의 방향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포커싱 코일(31)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대한 발생 구동력의 비율이 향상하고, 대물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전력의 절약이 실현된다.
또한 상술과 같은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의 다른쪽의 수평부(29b, 30b)에 근접 대항하는 돌출편(45a, 45b, 46a, 46b)을 기립편(45,46)에 설치해서 자기 갭 G2, G3을 형성하고, 다른쪽의 수평부(29b, 30b)에 작용하는 자속 Bg1및 Bg2을 얻도록 요크(37)을 구성하면, 상기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에 적층하도록 하여, 코일 설치기판(28)우에 설치되어진 트랙킹 코일(34)를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32,33)의 수평부(32c, 32d 및 33c, 33d)의 일부가 자기갭 G2, G3중에 위치한다. 그리고, 한쌍의 코일부(32, 33)의 수평부(32c, 32d 및 33c, 33d)에 흐르는 구동 전류와 자기 갭 G2, G3내의 자속(Bg1및 Bg2)와의 작용에 의해, 보빈(22)을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르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한쌍의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32, 33)는, 감기는 방향이 서로 역 방향이기 때문에, 각 코일부(32, 33)에 한쪽 방향의 구동전류가 공급될 때, 제 10 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수평부(32a, 32d 및 33c, 33d)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역 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각 코일부(32, 33)의 수평부(32c, 32d 및 33c, 33d)에 흐르는 구동 전류와 자기갭 G2, G3내에 자속 Bg1및 Bg2와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은, 서로 역 방향으로 되어 서로 부정한 것으로 되고,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에 흐르는 구동 전류와 자기 회로부(36)의 자속 Bg, Bg1및 Bg2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에 큰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또, 상술의 자기 회로부(36)은, 한쌍의 자석(47, 48)을 이용하고 있지만, 1개의 자석(47)만으로 구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12도에 나타낸 것처럼 자석(47)이 설치된 측의 한쪽에 기립편(45) 및 다른쪽의 기립편(46)에 전술했던 것과 같은 형상의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의 다른쪽 수평부(29b, 30b)에 근접 대향하는 돌출편(45a, 53b) 및 돌출편(46a, 46b)을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기립편(46)의 중앙부에 자석(45)에 근접 대향하는 팽출부(46c)를 설치한다. 이처럼 구성한 자기 회로부(36)에 있어서도, 자석(47)과 다른쪽의 기립편(46)에 설치한 돌출편(46a, 46b) 사이에 자기갭 Gl, G2, G3이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자기갭 Gl, G2, G3내에는, 자석(47)로부터의 자속이 집중해, 이들 자기갭 G1, G2, G3내에 배치된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각 코일부(29,30)의 각 수평부(29a, 29b 및 30a, 30b)에 작용하는 유효 자속 Bg, Bg1및 Bg2가 얻어진다.
제 12 도에 도시한 팽출부(46c)를 설치한 기립편(46)은, 한장의 금속판을 단조함에 의해서 형성되지만, 제 13 도에 나타낸 것처럼, 안장의 얇은 금속판을 절곡 형성함에 의해서 자석(47)과 대향하는 위치로 팽출부(46c)를 설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의 배치구성 및 자기회로부(36)의 구성은, 포커싱코일(31,40)의 이용효율의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이지만, 그위에 트랙킹코일(34)의 이용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포커싱코일(31) 또는 트랙킹코일(34)로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대한 구동효율의 개선을 도모하기 때문에,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의 배치구성 및 자기회로부(36)의 구성을 제 14 도 및 제 15 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성하면 좋다.
우선 자기회로부(36)의 구성을 설명하면, 이 자기회로부(36)는, 요크(37)를 구성하는 기립편(45,46)의 자석(47,48)이 설치된 면의 상, 하단측에, 제 14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근접 대향하는 수평방향 돌출편(45a, 45b 및 46a, 46b)을 설치해, 자기갭 G2및 G3을 형성한다. 그위에 기립편(45, 46)의 자석(47, 48)이 설치된 면의 양측에, 제 15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근접 대향하는 수직방향돌출편(45e, 45f 및 46e, 46f)을 설치해, 자기갭 G4및 G5을 형성한다.
한편, 코일설치기판(28)의 한측면 쪽 및 다른 측면쪽에는, 각각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 30) 및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30)는, 제 16도에 나타낸 것처럼,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평부(29a, 29b 및 30a, 30b)와 상기 코일 설치기판(28)의 단변방향과 평행한 수직부(29c, 39d 및 30c, 30d)를 가진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에 감겨져서, 한쪽의 수평부(29a, 30a)를 서로 인접시켜서, 코일 설치기판(28)의 일측면쪽에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이들 코일부(29, 30)는, 서로 인접하는 한쪽의 수평부(29a, 30a)가 한쌍의 자석(47, 48)에 의해 구성되는 자기갭 G1내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한쪽의 코일부(29)의 다른쪽의 수평부(29b)가 한쪽의 수직 방향돌출편(45a, 46a)에 의해 구성된 자기갭 G2내에 위치해, 다른쪽의 코일부(30)의 다른쪽의 수평부(30b)가 다른쪽의 수평방향 돌출편(45b, 46b)에 의해 구성된 자기갭 G3내의 위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코일부(29, 30)는, 대물렌즈(21)가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인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변위시켜질 때, 각 수직부(29c, 29d 및 30c, 30d)가 수직방향 돌출편(45e,46f 및 46e, 46f)에 의해 구성되는 자기갭 G4및 G5내에 향하는 것이 없는 폭 W4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코일 설치기판(28)의 안측면 위에는,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32, 33)이, 제 17 도에 나타낸 것처럼,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직부(32a, 32b 및 33a, 33b)와 상기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평부(32c, 32d 및 33c, 33d)를 가진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에 감겨져, 한쪽의 수직부(32a, 33a)를 서로 인접시켜서 코일 설치기판(28)의 다른측면쪽에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이들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32, 33)는, 서로 인접하는 한쪽의 수집부(32a, 33a)가 한쌍의 자석(47, 48)에 의해 구성된 자기갭 G1내의 거의 중앙에 위치해, 한쪽의 코일부(32)의 다른 수직부(32b)가 한쪽의 수직방향돌출편(45e, 46e)에 의해 구성되는 자기갭 G4내에 위치해, 다른쪽의 코일부(33)의 다른쪽의 수직부(33b)가 다른쪽의 수직방향돌출편(45f) 및 (46f)에 의해 구성되는 자기갭 G5내에 위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랙킹코일(34)를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32, 33)은, 대물렌즈(21)이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켜질 때, 수평부(32c, 32d 및 33c, 33d )가 수평방향 돌출편(45a, 45b 및 46a, 46b)에 의해 구성되는 자기갭 G2및 G3내에 향하는 것이 없는 높이 H2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대로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 및 자기회로부(36)를 구성함에 의해,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각 코일부(29, 30)의 각 수평부(29a, 29b 및 30a, 30b)가 자속 Bg, Bg1, Bg2이 집중하는 자기갭 Gl, G2, G3내로 향하여진다. 또,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각 코일부(32, 33)의 각 수직부(32a, 32b 32b 및 33a, 33b)도, 자속 Bg, Bg3, Bg4이 집중하는 자기갭 G1, G4, G5내로 향하여진다.
자기회로부(36)으로부터의 자속과 함께 작용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용되는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29, 30) 및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32, 33)의 이용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로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대한 발생구동력의 향상이 실현가능하다.
상술의 자기회로부(36)는 단극 자화를 시행한 자석(47, 48)을 이용하고 있지만, 2 극 자화를 행한 자석(47, 48)을 이용함에 의해서 적어도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2 극 자화를 행한 자석(47, 48)을 이용하여 자기회로부(36)를 구성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 이용된 자석(47, 48)은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높이방향의 중심에서 자화의 방향을 바꾸어 2 극 자화로 행하여지고 있다. 즉, 이들 자석(47,48)은, 제 18도에 나타낸 것처럼, 두께방향에 자화의 방향을 다르게 하는 제 1 의 자화부(47a, 48a) 및 제2의 자화부(47b, 48b)를, 제 19 도에 나타낸 것처럼, 높이방향에 병렬로 설치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들 자석(47, 48)은, 요크(37)를 구성하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기립편(45, 46)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설치되어져, 각 자석(47,48)의 제 1 의 자화부(47a 및 48a)에 의해 제 1 의 자기갭 G1을 구성해, 제 2 의 자화부(47b, 48b)에 의해 제 2 의 자기갭 G2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자석(47, 48)의 제 1 의 자화부(47a, 48a) 및 제 2 의 자화부(47b, 48b)는 서로 자화의 방향을 역으로 하여 되기 때문에, 제 1 의 자기갭 G1및 제 2 의 자기갭 G2에는 방향을 역으로 하는 자속 Bg1및 자속 Bg2이 방사된다.
이 자기회로부(36)에 적용되는 프커싱코일(31)은,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을 하는 하나의 코일부(51)에 의해 구성된다. 즉,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1)는,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평부(51a, 51b)와 코일설치기판(28)의 단변방향과 평행한 수직부(51c, 51d)를 가진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에 감겨져 코일 설치기판(28)의 한측면쪽에 설치되어진다. 이 코일부(51)는, 한쪽의 수평부(51)가 제1의 자화부(47a, 48a)에 의해 구성되는 제 1의 자기갭 G1내에 위치해, 다른쪽의 수평부(51b)가 제 2 의 자화부(47b, 48b)에 의해 구성된 제 2 의 자기갭 G2내에 위치하는 크기로서 형성되어진다.
또, 코일부(51)는, 대물렌즈(21)가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트랙킹 방향에 구동 변위시켜질 때, 각 수직부(51c, 51d)가 한쌍의 자석(47, 48)에 의해 구성된 제 1 및 제2의 자기갭(G1, G2)내에 위치하지 않을 것 같은 폭으로서 형성되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수직부(51c, 51d) 사이의 간격(W5)이, 자석(47,48)의 폭(W2)에 대물렌즈(21)의 트랙킹 방향의 구동 변위량을 더한폭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1)에 한방향의 구동 전류 I, 또는 (I2)가 공급되면, 각 수평부(51a, 51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지만, 제 1 및 제 2 의 자화부(47a, 48a 및 47b, 48b)는 두께 방향에 자화의 방향을 바꾸고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의 자기갭(G1, G2)내의 자속(Bg1, Bg2)도 역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코일부(51)에 구동 전류를 공급함에 의해, 코일부(51)의 각 수평부(51a, 51b)를 동시에 이용해서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트랙킹코일(34)은, 제 20도에 나타낸 것처럼, 각 자석(47,48)의 제 1의 자화부(47a, 48a)에 마주향해 배치되는 한쌍의 코일부(52, 53)와 제 2 의 자화부(47b, 48b)에 마주향해 배치되는 한쌍의 코일부(54, 55)로부터 구성되어진다. 이들 코일부(52, 53 및 54, 55)는, 어느 도면에나 나타낸 것처럼,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단변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직부(52a, 52b, 53a, 53b) 및 (54a, 54b, 55a, 55b)와 상기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평부(52c, 52d, 53c, 53d) 및 (54c, 54d, 55c, 55d)을 가진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그리고, 제 1의 자화부(47a, 48a)에 마주향해 배치되는 한쌍의 코일부(52, 53) 및 제 2 의 자화부(47b, 48b)에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코일부(54, 55)는, 어느것이든 한쪽의 수직부(52a, 53a 및 54a, 55a)를 서로 인접시켜 코일 설치기판(28)의 다른 측면쪽에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이들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씩의 코일부(52, 53 및 54, 55)는, 서로 인접한 한쪽의 수직부(52a, 53a 및 54a, 55a)가 제 1 의 자화부(47a, 48a) 및 제 2 의 자화부(47b, 48b)에 의해, 각각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의 자기갭(G1, G2)내에 위치해, 다른쪽의 수직부(52b, 53b 및 54b, 55b)가 제 1 및 제 2 의 자기갭(G1, G2)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진다.
상술의 예에서는, 단일의 자석(47, 48)에 자화방향을 다르게하는 두개의 자화부를 설치한 2 극 자화로서 구성하고 있지만, 제 21도는, 제 22도 및 제 23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 1의 자화부(47a, 48a) 및 제 2의 자화부(47b, 48b)에 대응해서, 단극자화의 자석(147, 148 및 149, 150)을 설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요크(37)을 구성하는 각 기립편(45,46)에 설치되어진 자석(147, 148) 및 (149, 150)은, 제 21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자화의 방향을 달리하여져 있다.
그위에, 코일 설치기판(28)에 설치되어진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 및 자기회로부(36)의 구성을 제 24도 및 제 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코일 설치기판(28)의 한쪽면쪽에, 제 24도에 나타낸 것처럼, 트랙킹코일(34)를 구성하는 코일부(56)의 양측에 위치하여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한 코일부(57, 58)를 병렬 배치한다. 그리고, 트랙킹코일(34)를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56)는, 제 24도에 나타낸 것처럼,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변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직부(56a, 56b) 및 상기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평부(56c, 56d)를 가진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감겨져 구성되어 있다. 또,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7, 58)는, 제 24 도에 나타낸 것처럼,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평부(57a, 57b 및 58a, 58b)와 상기 코일 설치기판(28)의 단변방향과 평행한 수직부(57c, 57d) 및 (58c, 28d)를 가진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감겨져 구성되어진다.
한편, 자기회로부(36)를 구성하는 자석(247)은, 다극 자화가 행하여져 요크(37)을 구성하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기립편(45, 46)의 한쪽내측면에 설치되어져 있다. 이 자석(247)은, 코일 설치기판(28)에 설치된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에 마주 향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석(247)에는,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56)의 한쪽의 수직부(56a)로부터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7)의 한쪽의 수평부(57a)에 마주향하는 부분에 걸쳐서, 제 24도에 나타낸 것처럼 L자 형상으로 자화가 행하여진 제 1의 자화부(247a)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56)의 다른쪽의 수평부(58b0에 대향하는 부분에 걸쳐서 수직부(56b)로부터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다른쪽의 코일부(58)의 다른쪽의 제 24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 1의 자화부(2247a)와는 역방향의 L자형상으로 자화가 행하여진 자화부(247b)가 설치되어져 있다. 그 위에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한쪽의 코일부(57)의 다른쪽의 수평부(57b)에 마주향하는 부분에는, 제 3의 작자부(247c)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다른쪽의 코일부(58)의 한쪽의 수평부(58a)에 마주향하는 부분에는, 제 4의 자화부(247d)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의 자화부(247a 내지 247d)는, 자석(247)의 두께 방향으로 자화가 행하여진 것이고, 서로 인정하는 자화부는 제 24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자화의 방향을 달리해서 자화가 행해지고 있다.
상술한대로 트랙킹코일(34) 및 포커싱코일(31)과 자기회로부(36)를 구성함에 의해, 대물렌즈(2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56)의 모든 수직부(56a, 56b)가 자석(247)의 제 1 및 제 2 의 자화부(247a, 247b)에 각각 대향시켜진다. 또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각 코일부(57, 58)의 각 수평부(57a, 57b 및 58a, 58b)가 각각 제 1 내지 제 4의 자화부(247a 내지 247d)에 대향하게 되어진다. 따라서,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의 이용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트랙킹코일(34) 및 포커싱코일(31)과 자기회로부(36)의 구성에 있어서는,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56)에 제어전류(I1) 또는 (I2)가 공급되면, 이 코일부(56)의 각 수직부(56a, 56b)에 상호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지만, 이들 수직부(56a, 56b)에 대향하는 제 1 및 제 2의 자화부(247a, 247b)가 서로 역방향의 자화가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각 수직부(56a, 56b)와 제 1 및 제 2의 자화부(247a, 247b)와의 공동작용에 의해 대물렌즈(2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의 구동력이 동방향으로 발생한다.
또,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7, 58)에 제어전류(I1) 또는 (I2)가 공급되면, 이들 코일부(57, 58)의 각 수평부(57a, 57b 및 58a, 58b) 상호에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지만, 이들 수평부(57a, 57b 및 58a, 58b)에 대향하는 제 1 내지 제4의 자화부(247a 내지 247d)는, 서로 인접한 자화부(247a, 247c, 247b와 247d)마다 자화의 방향을 다르게 하고있기 때문에, 각 수평부(57a, 57b 및 58a, 58b)와 제 1 내지 제 4의 자화부(247a 내지 247d)와의 공동 작용에 의해,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의 구동력이 동방향으로 발생한다.
상술한 제 24도 및 제 25도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구성하는 코일부(56)의 양측에 위치해서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7, 58)를 병렬 배치하였지만, 제 26도에 나타낸 것저럼,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9)의 양측에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60, 61)를 배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여기에 이용되어진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9)는, 제 26도에 나타낸 것처럼,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한쌍의 수평부(59a, 59b)와 상기 코일 설치기판(28)의 단변방향과 평행한 수직부(59c, 59d)를 가진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감겨져 구성되어진다.
또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60, 61)는, 제 26도에 나타낸 것처럼,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수직부(60a, 60b 및 61a, 61b)와 상기 코일 설치기판(28)의 단변방향과 평행한 수직부(60c, 60d 및 61c, 61d)를 가진 평판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감겨져 구성되어진다.
한편, 자기회로부(36)를 구성하는 자석(347)은 2 극 자화가 행하여져, 제 27도에 나타낸 것처럼, 요크(37)를 구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기립편(45, 46)의 한쪽의 내측면에 설치되어지고 있다. 이 자석(347)에는,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9)의 한쪽의 수평부(59a)로부터 트랙킹코일(31)을 구성하는 다른쪽의 코일부(10)의 한쪽의 수직부(61a)에 마주 향하는 부분에 걸쳐서, 제 26도에 나타낸 것 같이, L자 형상으로 자화가 행하여진 제 1의 자화부(347a)가 설치되어 있다. 또,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59)의 다른쪽의 수직부(59b)로부터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한쪽의 코일부(60)의 한쪽의 수직부(61a)에 대향하는 부분에 걸쳐서, 제 26도에 나타낸 것저럼, 제 1의 자화부(347a)와는 역방향의 L자 형상으로 자화가 행하여진, 제 2의 자화부(347b)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의 자화부(347a, 347b)는, 자석(347)의 두께 방향으로 자화가 행하여지는 것이고, 제 26도에 나타난 것 같이, 서로 자화의 방향을 다르게 해서 자화가 행하여지고 있다.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을 제 26 도에 나타낸 것처럼 배치함과 더불어, 자석(347)의 자화를 상술한대로 구성함에 의해, 자석(347)은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부(60, 61)의 한쪽의 수직부(60a, 61a)에 걸친 폭(W6)으로 하는 것이고, 제 24도 및 제 25도에 나타낸 예에 이용된 것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다. 또 트랙킹코일(34)은, 코일설치기판(28)의 단변방향을 유효하게 이용함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코일부(60, 61)의 유효 이용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장치(20)를 구성한 대물렌즈(21)가 설치된 보빈(22)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35)는, 상기 보빈(22)에 설치된 코일 설치기판(28)의 각 코너에 설치한 접속단자부(40)내에 위치해서 뚫려진 탄성 지지부재 삽통구멍(19)에 삽입한 한 단부(35a)를 땜납(41)등의 확실한 전도성을 가진 접착제를 이용해서 코일 설치기판(28)에 고정 지지시켜서 보빈(22)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처럼 코일 설치기판(28)에 탄성지지부재 삽통구멍(19)를 뚫어설치해, 이 삽통구멍(19)에 한단부(35a)를 삽입해서 탄성 지지부재(35)의 지지를 행함에 의해, 땜납(41)등의 접착제가 탄성 지지부재(35)의 외주위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도포되기 때문에, 탄성 지지부재(35)와 접속단자부(40)사이의 전기적인 소통을 도모하고, 코일 설치기판(28)에 대한 설치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지지부재(35)의 한단부(35a)를 탄성지지부재 삽통구멍(19)에 삽입시킬 필요가 있고, 탄성 지지부재(35)의 코일 설치기판(28)으로의 설치작업성을 나쁘게 하는 염려가 있다.
그곳에서, 탄성 지지부재 삽통구멍(19)를 대신해, 제 28도에 나타낸 것처럼, 접속 단자부(40)내에 위치해서 길이방향의 변측을 개방한 끼워맞춤 오목부(71)를 코일 설치 기판(28)에 에 설치해, 이 끼워맞춤 오목부(71)에 한 단부(35a)를 끼워맞춤시켜 탄성지지부재(35)의 코일 설치기판(28)으로의 설치를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코일 설치 기판(28)의 길이 방향의 변측을 개방시킨 끼워맞춤 오목부(71)를 이용함에 의해, 코일설치 기판(28)의 부근에 길이방향을 직교시켜서 끼워맞춤시킬 뿐으로, 탄성지지부재(35)의 끼워맞춤 오목부(71)으로의 배치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 지지부재(35)의 코일 설치 기판(28)으로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탄성 지지부재(35)는, 끼워맞춤 오목부(71)내에 남게되어진 상태에서 접속 단자부(40)에 피착된 땜납(41)등의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코일 설치기판(28)에 전기적인 소통이 도모되어져 고정지지된다.
또, 각 끼워맞춤 오목부(71)는, 제 29도에 나타낸 것처럼, 코일 설치기판(28)의 길이방향의 변과 직교하는 단변방향의 변을 개방시겨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처럼 각 끼워맞춤 오목부(71)를 형성함에 의해, 보빈(22)의 양측에 각각 배설된 한쌍의 탄성 지지부재(35, 35)의 일단부(35a, 35a)측 및 타단부(35b, 35b)측의 중도부를, 제 30도에 나타낸 것처럼, 연결구(72, 72)에 의해 연결한 상태에서, 코일 설치기판(28)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구(72)에 의해 연결함에 의해, 한쌍의 탄성 지지부재(35, 35)의 서로 평행도를 정확히 유지한 상태에서, 코일 설치기판(28)으로의 설치를 행할 수 있다. 연결구(72, 72)는 전도성을 가진 한쌍의 탄성 지지부재(35, 35)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각 탄성 지지부재(35)는 코일 설치기판(28)의 코일이 설치된 평면에 설치한 접속 단자부(40)에 비착되는 땜납(41)등의 전도성 재료에 의해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을 설치한 코일 설치기판(28)의 판 두께에 벗어남이 있으면, 탄성 지지부재(35)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보빈(22)의 중심 밸런스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그곳에서, 제 31도 및 제 32도에 나타낸 것처럼, 끼워맞춤 오목부(71)의 내주면에 접속단자부(73)을 형성해, 이 끼워맞춤 오목부(71)내에 피착된 땜납(41)등의 전도성 재료에 의해 각 탄성 지지부재(35)와 접속 단자부(73)간의 전기적인 접속 및 기계적인 접속을 도모하도록 한다. 이처럼 코일 설치기판(28)의 판두께내에서 탄성 지지부재(35)의 고정을 행함에 의해, 코일 설치기판(28)의 판 두께에 벗어남에 큰 영향을 받는일 없이 보빈(22)의 지지를 행함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보빈(22)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35)를 전도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 이 탄성 지지부재(35)을 통해서 코일 설치기판(28)에 설치한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으로의 전기 공급을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제 33도에 나타낸 것처럼, 코일 설치기판(28)에 전기 공급선으로 되는 가요성 프린터 배선기판(74)을 설치해, 이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74)을 통해서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로의 전기 공급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탄성 지지부재(35)에는 전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할 필요성이 없게 된다. 그때문에, 탄성 지지부재(35)는 보빈(22)을 포함한 가동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탄성 특성 등에 적절한 특성을 가진 재료를 마음대로 선택해 형성할 수 있다. 이를테면, 탄성 지지부재(35)를 전기적 특성이 좋지 않은 금속성의 판 스프링이나 절연체인 합성수지, 고무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 이용되는 코일 설치기판(28)로서는, 제29도에 나타낸 것 같은 단변방향을 개방한 끼워맞춤 오목부(71)을 설치한 것이 이용된다. 즉,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로의 전기기공급용의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74)가 연재된 코일 설치기판(28)으로의 탄성 지지부재(35)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로의 전기공급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74)을 이용한 경우, 코일 설치기판(28)에 전도성을 가진 탄성 지지부재(35)와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기 위한 접속 단자부(40)을 형성할 필요도 없게 된다. 그 위에, 탄성지지부재(35)의 타단부(35b)를 외부의 구동 제어회로에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 프린트 배선기판(44)을 지지 홀더(39)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탄성 지지부재(35)의 타단부(35b)는, 지지홀더(39)에 직접 혹은 이 지지홀더(39)에 설치된 고정판(39a)를 통해서 고정 지지된다.
그런데, 상술의 대물렌즈 구동장치(20)에 있어서는, 코일 설치판 삽입홈(27, 27)이 보빈(22)의 양측을 개방한 오목형상의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설치판(28)을 보빈(22)에 설치할 때, 지지구를 이용해서 보빈(22)에 대한 길이방향의 위치 맞춤을 행한 상태로 접착제를 도포해서 고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즉, 코일 설치기판(28)에 설치한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과 자기회로부(36)를 구성하는 자석(47, 48)과의 대향 위치를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코일 설치기판(28)의 보빈(22)에 대한 길이방향의 위치 맞춤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곳에서 보빈(22)의 양측에, 제 34도에 나타낸 것 같이, 측방에 돌출한 칼라부(76, 76)를 설치해, 이들 칼라부(76, 76)의 중도부에 이르기까지 코일 설치판 삽입홈(27, 27)을 뚫어서 타단부(27a, 27b)를 폐쇄한다. 그리고 이들 측단부(72a, 72b)를 코일 설치기판(28)의 보빈(22)에 대한 길이 방향의 위치 규제부로 하는 것에 의해 지지구를 이용함 없이 코일 설치기판(28)의 보빈(28)으로의 위치 결정을 도모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 전술한 가용성 프린터 배선 기판(74)을 이용해서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로의 전기공급을 행하도록 구성한 경우는, 탄성 지지부재(35)를 통해서 코일 설치기판(35)에 설치한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로의 전기공급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래서, 지지홀더(39)에 타단부(35b)를 고정지지된 탄성 지지부재(35)의 한단부(35a)측을 보빈(22)에 직접 지지시키도룩 해도 좋다.
이 경우, 이를테면 합성수지로 된 보빈(22)의 측면에, 제 35도로 나타낸 것처럼, 보빈(22)과 일체로 형성한 탄성 지지부재 설치부(75)를 설치해, 이 탄성 지지부재 설치부(75)에 뚫어설치한 관통구멍(75a)에 탄성 지지부재(35)의 일단부(35a)를 삽입통과시겨서 지지시키도록 한다.
그 위에 또,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 장치(20)는,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을 설치한 코일 설치기판(28)을 보빈(22)에 설치해, 이 보빈(22)에 설치되어진 코일 설치기판(28)을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35)에 의해 지지한 코일 가동형의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자석(47, 48)을 설치한 요크(37)를 보빈(22)측에 설치해, 코일 설치기판(28)을, 고정부를 구성하는 지지기판(78)쪽으로 배설한 자석 가동형의 것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자석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 장치(120)는, 제 36도 및 제 37도에 나타낸 것 같이, 보빈(22)을 구성하는 보빈 본체(24)에 형성한 개방구멍(23)내에, 자석(47, 48)을 설치한 요크(37)를 끼워맞춤하며 배설한다. 이 요크(37)는, 서로 마주보는 기립편(45, 46)을 가진 단면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기립편(45, 4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자석(47, 48)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요크(37)는, 개방된 선단측을 보빈(22)의 아래쪽 면을 향해서 보빈 본체(24)의 개방구멍(23)내에 끼워맞춤하여 배설된다. 이처럼 요크(37)를 개방구멍(23)내에 배설함에 의해, 기립편(45, 4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자석(47, 48)은 서로 마주하는 면을 개방구멍(23)에 향하게 한 상태로 보빈(22)에 배설되어진다.
뿐으로도 좋다. 또 한쌍의 자석(47, 48)을 이용하는 경우는, 이들 자석(47, 48)은, 요크(37)를 이용함 없이 직접 보빈(22)의 개방구멍(23)내에 서로 마주 향하게 해서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즉, 한쌍의 자석(47, 48)을 이용함에 의해, 이들 자석(47, 48)간에 자속의 집중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요크(35)를 통해서, 자석(47, 48)을 설치한 보빈(22)은, 전술의 코일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20)와 같은 모양으로, 제 36도 및 제 37도에 나타낸 것처럼, 지지기판(78)에 설치된 지지홀더(39)에 지지된 한쌍 씩의 선 형상을 한 와이어와 같은 탄성 지지부재(35)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양측을 지지한다. 이 보빈(22)을 이등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35)는, 한단부(35a)가 보빈(22)의 양측에 뚫어 설치한 지지부재 지지부(79)에 지지되고, 타단부(35b)가 지지홀더(39)에 지지됨에 의해, 대물렌즈(21)를 유지한 보빈(22)을 상기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21)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자석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 장치(120)에 있어서는, 보빈(22)을 포함한 가동부쪽에 전기공급부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탄성 지지부재(35)를 전도성 재료로 형성할 필요성은 없다.
한편, 코일 설치기판(28)은,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이 설치된 평면을 보빈(22)에 유지된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해서, 탄성 지지부재(35)를 통해서 이동가능하게 보빈(22)이 배설되는 지지기판(78)위에 설치된다. 이 코일 설치기판(28)은, 지지기판(78)위에 설치된 상태로, 보빈(22)에 설치된 요크(37)를 구성하는 한쌍의 기립편(45, 46)에 위치되어, 포커싱코일(31) 및 트랙킹코일(34)을 자석(47, 48)로 하게 하여진다.
여기에서 이용된 코일 설치기판(28)은, 제 36도에 나타낸 것처럼, 기단측에, 지지기판(78)에 뚫어 설치한 끼워맞춤 홈(78a)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면(8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편(80)의 평면에는,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하는 코일부(29, 30) 및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31, 32)로부터 연장된 접속 단자부(81)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 코일설치기판(28)은, 끼워맞춤편(80)을 끼워맞춤 홈(79)에 끼워맞춤시켜 지지기판(78)에 끼워세우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끼워맞춤 홈(79)을 통해서 지지기판(78)의 아래면쪽에 돌출한 끼워맞춤편(80)에 설치한 접속 단자부(81)가, 지지기판(78)의 아래면쪽에 형성된 배선패턴(82)에 땜납(83)등의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의해, 제 38도에 나타낸 것처럼, 포커싱코일(31)을 구성한 코일부(29, 30) 및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31, 32)가 상기 배선 패턴(82)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 제어 회로에 접속된다.
또,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29, 30) 및 트랙킹 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31, 32)를 구동 제어 회로에 접속하기 때문에, 제 39도에 나타낸 것처럼, 끼워맞춤편(80)으로부터 가용성 프린트 기판(84)을 연장한다. 그리고, 이 가요성 프린트 기판(84)을 제 40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동 제어 회로가 설치된 프린트 배선기판(85)에 접속 패턴(85a)에, 땜납(84a)등의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해서 접속함에 의해서,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29, 30) 및 트랙킹코일(34)을 구성하는 코일부(32, 32)를 구동 제어 회로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 하단측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84)을 연장하고, 이 가요성 프린트 기판(84)을 통해서 구동 제어 회로가 설치된 프린트 배선기판(85)에 포커싱 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부(29, 30) 및 트랙킹 코일(34)을 접속하는 구성은, 가요성 프린트 기판(84)이 가요성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코일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20)에 이용된 코일 설치기판(28)도 적용할 수 있다. 코일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20)에 적용하는 경우는, 지지기판(78)에 지지시키기 위한 끼워맞춤편(80)은 불필요하다.
또, 코일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20)에 적용하는 경우는, 가요성 프린트 기판(84)을 대신해, 가요성을 가진 가는 선인 리츠선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자석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120)에 있어서도, 전술한 코일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20)에 적용되는 코일 설치기판(28) 및 자기회로부(36)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포커싱 코일(31) 및 트랙킹 코일(34)이 설치되는 코일 설치기판(28)을 고정측에 배치하고, 자기회로부(36)를 구성하는 자석(47, 48, 147, 148, 247, 347)을 가동부를 구성하는 보빈(22)쪽으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에 의해, 자석 가동형의 대물렌즈 구동장치(120)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장치(20, 120)는 광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과 광 디스크로부터의 복귀 광을 검출하는 수광소자를 설치한 베이스상에 배치되어 광픽업 장치를 구성한다.
그래서, 전술한 코일 가동형 대물렌즈 구동장치(20)를 이용해서, 광픽업 장치를 구성한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이 광픽업 장치는 제 41 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광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내에 서로 평행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기준축(91) 및 슬라이드 가이드축(92)이 각각 삽입통과되고, 또는 맞물리게되는 피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축 삽통부(93) 및 가이드축 걸어맞춤부(94)를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설치된 거의 평판형상을 이룬 베이스(95)를 갖추고 있다. 이 베이스(95)의 양쪽에 설치된 가이드축 삽통부(93)는 슬라이드 가이드 기준축(91)이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93a)을 뚫어설치해서 구성되고, 또 가이드축 걸어맞춤부(94)는, 일측쪽을 개방한 오목홈을 가진 단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대물렌즈 구동장치(20)는 제 41도에 나타낸 것처럼, 대물렌즈(21)를 유지한 보빈(22)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35)의 연장방향을, 서로 평행한 슬라이드 가이드 기준축(91) 및 슬라이드 가이드축(92)의 축방향에 직교시켜, 이들 슬라이드 가이드 기준축(91) 및 슬라이드 가이드축(92)사이의 중앙부분에 위치해서 베이스(95)상에 배설되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빈의 일단측에 유지된 대물렌즈(21)의 광축이, 슬라이드 가이드 기준축(91) 및 슬라이드 가이드축(92)간의 거의 중심에 위치해서 배설되어진다.
또한,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20)는, 자기 회로부(36)를 구성하는 요크(37)를 비스등을 이용해서 고정함에 의해서 베이스(95)위에 설치되어진다.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20)가 설치된 베이스(95)위에는, 대물렌즈 구동장치(20)에 설치된, 대물렌즈(21)를 통해서 기록매체로서의 광 디스크에 조사되는 광 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광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과 상기 복귀광을 분리하는 분리 광학 소자를 일체식으로 구성한 발광 수광 복합소자(96)가 배설되어 있다.
이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는, 패키지(97)내에 장착되어, 이 패키지(97)를 통해서 베이스(95)에 설치된다. 그리고,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는, 제 42도에 나타낸 것처럼, 반도체 기판(98)을 포함한 복수의 반도체층을 적층해서 반도체 레이저 소자(99)를 형성하고 있다. 또 반도체 기판(98) 위에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99)의 한쪽의 광빔 출사면(99a)과 대향해서, 이 반도체 소자(99)로부터 출사된 광빔과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된 복귀광을 분리하는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은 접착제(101)를 통해서 반도체 기판(98)위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은, 반도체 레이저 소자(99)의 한쪽의 광빔 출사면(99a)에 대향하는 면을, 제 42도 및 제 43도에 나타낸 것처럼, 반도체 레이저 소자(99)로부터 출사된 광빔 LS의 광축에 대해서 경사하게한 경사면으로 하고 있다. 이 경사면은, 구체적으로는 광빔의 광축에 대해서 45도의 경사각으로서 경사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위에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99)로부터 출사된 광빔 LS을 반사시켜, 복귀광 Lb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가진 반투과 반사막(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투과 반사막(101)을 경사면에 형성함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 소자(99)로부터 출사된 광빔 LS는, 반투과 반사막(101)에 의해 광축이 90도 꺾여 구부러져 진행한다.
또, 반투과반사막(101)은, 광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복귀광을 투과시켜,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내에 투과시킨다. 이 반투과막(101)을 투과한 복귀광은, 빔 스프릿러 프리즘(100)내를 반사되면서 진행한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98)위의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이 배설된 아래면쪽에는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내를 반사되면서 진행하는 광 디스크로부터의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인 제 1 및 제 2의 분할 디텍터(detector)(102, 103)는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의 분할 디텍터(102, 103)은 분할 디스크(102, 103)를 구성하는 특수의 수광 소자에서, 복귀광을 검출함에 의해서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및 광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판독 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대로 공통의 반도체 기판(98)위에 반도체 레이저 소자(99) 및 제 1 및 제 2의 분할 디텍터(102, 103)를 설치하여 구성된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반도체 레이저 소자(99)로부터 출사되는 광빔 LS의 출사 방향이 베이스(95)상에 배설된 대물렌즈 구동장치(20)에 설치되어진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해서 베이스(95)위에 설치된다. 즉 반도체 기판(98)이, 반도체 레이저 소자(99) 및 제 1 및 제 2의 분할 디텍터(102, 103)를 형성한 면을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하게 하여 베이스(95)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99) 및 제 1 및 제 2의 분할 디텍터(102, 103)를 형성한 반도체 기판(98)이 패키지(97)에 장착되어 이 패키지(97)내에 수납 배치되어진다. 그리고,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는 패키지(97)가 베이스(95)에 형성된 한쌍의 복합소자 설치부(105, 105)사이에 설치됨에 의해 베이스(95)에 배치되어진다. 이 발광 수광 복합소자(96)가 설치되어진 복합소자 설치부(105, 105)는, 대물렌즈(1)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베이스(95)면에 수직으로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99)로부터 출사된 광빔 LS의 광로를 90도 편향한 반투과 반사막(101)을 복합소자 설치부(105, 105)사이를 향하게 하여, 패키지(97)의 양측을 각각 복합소자 설치부(105, 105)에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베이스(95)위에 설치되어진다.
이처럼 반도체 기판(98)의 반도체 레이저 소자(99) 및 제 1 및 제 2의 분할 디텍터(102, 103)를 형성한 면을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하게 하고,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의 반투과 반사막(101)을 복합소자 설치부(105, 105)사이에 면하게 해서,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를 베이스(95)위에 배치함에 의해, 대물렌즈(1)의 광축과 평행하게, 평행한 방향으로 반도체 레이저 소자(99)로부터 광빔 LS의 출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 광빔 LS는 반투과 반사막(101)에 의해 광로가 90도 편향시킴에 의해 대물렌즈(21)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인 베이스(95)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는 제 44도에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95)위에 배설된 대물렌즈 구동장치(20)의 일단측에 설치된 대물렌즈(21)의 경사진 방향으로 위치한 대물렌즈(21)의 광축 둘레에 약 45도 기울어진 위치로 배치되어진다. 즉, 발광 수광 복합소자(96a), 반투과 반사막(101)에 의해 광로를 90도 편향되어 진행하는 광빔 LS의 광로가, 대물렌즈(21)를 설치한 보빈(22)을 한쪽만 받쳐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35)의 연장방항 X1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해서 베이스(95)상에 배치되어진다.
또, 베이스(95)위에는, 이 베이스(95) 위에 배설된 대물렌즈 구동장치(20)에 설치된 대물렌즈(2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해서 반사경(10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사경(106)은, 반도체 레이저 소자(99)로부터 출사되어,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의 반투과 반사막(101)에 의해 광로가 90도 편향되어 진행하는 광빔 LS의 광로를 제 43도에 나타낸 것저럼, 9O도 편향해서, 이 광빔 LS을 대물렌즈(21)에 입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광빔 LS의 광로를 9O도 편향시키는 반사경(106)의 반사면(106a)은, 제 43도에 나타낸 것저럼, 대물렌즈(21)의 바로 아래 광축에 대해 45도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다. 또, 반사경(106)은, 반사면(106a)이 반투과 반사막(101)에 의해 광로를 90도 편향되어 진행하는 광빔 LS에 바로 마주하도록 하기 때문에, 대물렌즈(21)의 광폭 둘레의 약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베이스(95)상에 설치되어 있다. 즉, 반사경(106)은, 대물렌즈(21)를 설치한 보빈(22)을 한쪽만 받혀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35)의 연장방향 X1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를 하도록 해서 베이스(95)상에 배치되어진다.
또, 베이스(95)상에 배설된 대물렌즈 구동장치(20)를 구성하는 보빈(22)의 대물렌즈(21)가 설치된 쪽의 단부 아래면쪽에서 베이스(95)상에 배설된 반사경(106)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제 1도 및 제 41도에 나타낸 것처럼, 절취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절취부(107)는 보빈(22)을 구성하는 보빈 본체(24)의 일단측에 돌출 설치한 대물렌즈(21)를 유지하는 대물렌즈 설치부(25)의 아래면쪽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절취부(107)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반사경(106)을 대물렌즈(21)에 한층 근접시킬 수 있고, 광 픽업 장치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어 장치의 박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공통의 반도체 기판(98)상에 반도체 레이저 소자(99) 및 제 1 및 제 2의 분할 디텍터(102,103)를 설치해, 그위에 광빔의 분리 광학 소자로서의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을 패키지(97)에 수납해서 구성한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를 이용함에 의해, 광 디스크에 입사되는 광빔의 광로와 광 디스크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의 광로를 분리해서 베이스(95)에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학 블럭의 구성은 소형화할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를 구성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99)로부터 출사된 광빔 LS는 베이스(95)면과 평행하게 진행하므로 광픽업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발광 수광 복합소자(96)는, 대물렌즈(21)의 비스듬한 측방에 위치하는 대물렌즈(21)의 광축 둘레에 약 45도 기울어진 위치에 배치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광픽업 장치의 대물렌즈(21)가 그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랙킹 방향에 폭을 작게할 수 있다.
상술한 광픽업 장치에 이용되는 발광수광 복합소자(96)는, 이 반도체 소자(99)에서 출사된 광빔과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복귀광을 분리하는 분리 광학 소자로서, 반도체 레이저 소자(99) 및, 제 1및 제 2의 분할 디텍터(102, 103)가 공통으로 형성된 반도체 기판(98)위에 설치된 빔 스프릿터 프리즘(100)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제 45도 및 제 46도에 나타낸 것처럼, 홀로그램 소자(110)를 이용한 것이여도 좋다.
이 홀로그램 소자(110)를 이용한 발광 수광 복합소자(111)는 제 46도에 나타낸 것처럼, 전술한 발광 수광 복합소자(96)와 동일하게 공통 기판(112)위에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 및 5 분할 디텍터(114)를 병렬 설치한다. 이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 및 5 분할 디텍터(114)를 설치한 공통 기판(112)은 패키지(115)에 장착되어진다. 그리고,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에서 출사된 광빔 LS의 광로상에 위치해서 홀로그램 소자(110)를 배치한다. 이 홀로그램 소자(110)는 접착제등을 이용해 패키지(115)의 앞면쪽에 설치된다.
또한,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와 홀로그램 소자(110) 사이에는, 글레이팅(116)이 설치된다.
이 홀로그램 소자(110)를 이용한 발광수광 복합소자(111)는, 제 45도에 나타낸 것처럼,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 및 5 분할 디텍터(114)를 내장해, 홀로그램 소자(110)를 설치한 패키지(115)를 베이스(95)위에 설치한 레이저 홀로그램 유닛 설치부(117)에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95)상에 설치되어진다.
이 홀로그램 소자(110)를 이용한 발광 수광 복합소자(111)도, 전술한 발광 수광 복합소자(96)와 마찬가지로, 기판(112)이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 및 5 분할 디텍터(114)를 설치한 면을 대물렌즈(21)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해서 베이스(95)위에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에서 출사된 광빔 LS은 기판(112)에 수직이고, 베이스(95)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출사된다.
또, 상기 발광 수광 복합소자(111)도, 베이스(95)위에 배설된 대물렌즈 구동장치(20)의 일단측에 설치된 대물렌즈(21)의 경사진 측방에 위치하는 대물렌즈(21)의 광축 둘레에 약 45도 기울어진 위치에 배치되어진다. 즉, 발광 수광 복합소자(111)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에서 출사된 광빔 LS의 출사 방향이, 대물렌즈(21)를 설치한 보빈(22)을 한쪽만 받혀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35)의 연장방향 X1에 대해, 약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베이스(95)위에 배치되어진다.
상술한 홀로그램 소자(110)를 이용한 발광 수광 복합소자(111)를 구성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111)에서 출사된 광빔 LS은, 글레이팅(113)에 의해, 두개의 트랙킹용 서브빔과 정보 신호 판독용의 주빔으로 분리된다. 이 세개의 빔으로 분리된 광빔 LS는, 홀로그램 소자(11O)를 통해서 베이스(95)상에 배설한 반사경(106)에 입사되고, 이 반사경(106)에 의해 광로가 90도 편향되어 대물렌즈(21)에 입사되고, 이 대물렌즈(21)릍 통해서 광 디스크에 조사된다.
또, 광 디스크에 의해 반사된 복귀광 Lb은, 대물렌즈(21)를 통해서 반사경(106)으로 입사되고, 이 반사경(106)에 의해 광로가 90도 편향되어 홀로그램 소자(110)로 입사되어 회절된다. 이 홀로그램소자(110)에 의해 회절된 복귀광은 5 분할 디텍터(114)위에 인도되어진다.
그런데, 홀로그램 소자(110)은, 격자 주기가 다른 두개의 영역을 설치함에 의해, 글레이팅(116)에 의해 분리된 주빔에 기초한 광 디스크(Ds)로부터의 복귀광 Lb중, 한쪽의 영역에 입사한 것은, 제 47도에 나타낸 것처럼, 5 분할 디텍터(114)를 구성한 광 검출부(D2, D3)의 분할선상에, 다른쪽의 영역에 입사한 것은, 광 검출부(D4)상에 집광된다. 또 서브빔에 기초한 복귀광 Lb는 각각 광 검출부(D1, D5)에 집광된다. 그리고, 각 광 검출부(D1∼D5)로부터 얻어진 복귀광 Lb의 검출 출력(S1∼S5)에 기초해서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및 정보 신호 판독 신호가 얻어진다.
즉, 포커스 에러 신호는, 주빔에 기초해 복귀광 Lb을 검출하는 광검출부(D2, D3)의 검출 출력(S2, S3)의 차에서 얻어지고, 트랙킹 에러 신호는, 서브 빔에 근거한 복귀광 Lb을 검출하는 광 검출부(D1, D5)의 검출 출력(S1, S5)의 차에서 얻어진다. 그리고, 정보 신호 판독 신호는, 주빔에 기초한 복귀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부(D2, D3, D4)의 검출 출력(S2, S3, S4)의 총합에서 얻어진다.
이 홀로그램 소자(110)를 이용한 발광 수광 복합소자(111)를 베이스(95)상에 설치한 광픽업 장치도, 기판(112)위에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 및 5 분할 디텍터(114)를 공통 기판(112)에 설치해, 더욱 더 광빔의 분리 광학 소자로서의 홀로그램 소자(110)를 일체화해서 되기 때문에, 광 디스크에 입사된 광빔의 광로와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복귀광의 광로를 분리해서 광 베이스(95)에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학 홀로그램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발광 수광 복합소자(111)를 구성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113)에서 출사된 광빔 LS는 베이스(95)면과 평행하게 진행하기 때문에, 광픽업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위에, 발광 수광 복합소자(111)는, 대물렌즈(21)의 경사진 측방에 위치하는 대물렌즈(21)의 광축 둘레에 약 45도 기울어진 위치로 배치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광픽업 장치의 대물렌즈(21)가 그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방향으로 이동 트랙킹 방향의 폭을 작게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구동 장치는, 평판 형상의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을 설치한 평판 형상의 부재를, 가동부를 구성하는 보빈 혹은 고정측에 고정기판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을 자기회로부를 구성하는 자석에 대향 배치시킬 수 있고, 코일 설치 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특히,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부의 제어 회로부로의 전기적인 접속을, 선형상의 코일 단말의 접속을 행하지 않고서 코일 설치 기판을 통해서 행할 수 있기때문에, 자동 조립 장치에 의한 자동 조립이 극히 용이하게 되고, 양산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로된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을 설치한 평판형상의 부재인 코일 설치 기판은, 보빈에 정밀도 좋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빈을 포함한 가동부의 중심 벗어남의 발생을 없앨 수 있고, 포커스 에러 신호 또는 트랙킹 에러 신호에 정확하게 추종해서 대물렌즈의 구동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대물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평판 형상의 부재인 코일 설치기판에 설치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로 된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은, 자기 회로부를 구성하는 자석의 한쪽면에 모두를 대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기 회로부의 누설 자속에 영향됨 없이, 안정한 대물렌즈의 구동 변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포커싱 코일내에 요크의 일부가 개재되지 않기 때문에, 포커싱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를 크게 하지 않으므로 전력의 절약화를 실현하고, 대물렌즈 구동시의 발열을 억제하고, 대물렌즈를 통해서 광 디스크에 조사되는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을 구성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안정한 동작을 보증하여 양호한 특성으로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광픽업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로 된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은, 자기 회로부의 자속과 함께 작용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용가능한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대물렌즈를 구동 변위하기 위한 전력의 절약화를 실현하고, 대물렌즈 구동시의 발열을 억제하고, 대물렌즈를 통해서 광 디스크에 조사되는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을 구성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안정한 동작을 보증하여 양호한 특성으로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광픽업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베이스상에 배설된 대물렌즈 구동 장치에 대해, 레이저 광원과, 이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의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이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빔과 복귀광을 분리하는 분리 소자를 일체화한 발광 수광 복합소자를 대물렌즈의 광축 둘레에 약 45도로 된 위치에 배치하고, 발광 소자에서 출사된 광빔과 복귀광의 광로를 90도 만곡시키는 반사경을 대물렌즈의 바로 아래의 괌축에 대해서 반사면을 45도 경사시킴과 함께 대물렌즈의 광축 둘레에 45도 경사시킨 상태로 배치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폭을 발광 수광 복합 소자를 경사시킨 정도 만큼 폭을 좁게하여 그 높이를 작게할 수 있고,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1)

  1. 대물렌즈가 일단측에 유지되고 중앙부에 개방구멍이 형성된 보빈(bobbin)으로 된 가동부, 상기 가동부를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 및 평판 형상의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이 설치되고, 그 평면이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이 되도록 배설된 평판 형상의 부재와, 상기 평판형상의 부재에 설치된 상기 포커싱 코일과 상기 트랙킹 코일과 상대해서 이들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가동부를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가진 자기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로부를 구성하는 평판 형상의 부재와 상기 자석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가동부에 설치함과 함께 다른 하나를 상기 보빈의 개방구멍내에 배설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3. 일단측에 대물렌즈가 유지되고 중앙부에 개방구멍이 형성된 보빈과, 평판 형상을 이루는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포커싱 코일과 상기 트랙킹 코일을 상기 보빈의 개방구멍내에 면하게 한 상태로 양단 부분이 상기 보빈의 양면에 각각 돌출됨과 함께 그 평면이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설되어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판 형상의 부재와, 일단측을 평판 형상부재의 상기 보빈의 양측에서 돌출한 부분에 연결함과 함께 타단측을 고정부에 지지시키고, 상기 보빈을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와, 상기 평판 형상의 부재에 설치된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에 대향 설치된 자석을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립부를 지닌 요크를 갖추고, 이 요크의 어느 한쪽 기립부에 상기 자석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한쌍의 기립부 사이에 상기 평판 형상의 부재를 개재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코일은 상기 평판 형상부재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장변을 지닌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트랙킹 코일은 상기 평판 형상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장변을 지닌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은 적층하도록 상기 평판 형상부재의 평면상에 배설되고, 또한 상기 포커싱 코일의 상기 평판 형상부재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변중 적어도 한쪽의 변과 상기 트랙킹 코일을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 코일의 상호 인접하는 변이 공통 자속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코일은, 상기 평판 형상 부재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장변을 지닌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트랙킹 코일을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 코일의 상호 인접하는 장변과 함께 상기 공통 자속내에 상기 포커싱 코일을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의 상호 인접하는 장변이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코일은,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포커싱 코일을 끼워 이 포커싱 코일의 양측에 배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코일은,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트랙킹 코일을 끼워 이 트랙킹 코일의 양측에 배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전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평판 형상부재의 상기 보빈의 양측에서 돌출한 부분에는 도전 패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부재의 상기 보빈에서 돌출해 있는 부분에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의 일단측에 설치하기 위한 오목형상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부재의 상기 보빈에서 돌출해 있는 부분에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의 일단측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2. 일단측에 대물렌즈가 유지되고 중앙부에 개방구멍이 형성된 보빈과, 평판 형상을 이루는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이 설치되고 이들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을 설치한 평면이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설되어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판 형상 부재와, 일단측을 상기 보빈에 설치함과 함께 다단측을 고정부에 지지시키고 상기 보빈을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와, 상기 평판 형상 부재에 설치된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에 대향하여 상기 보빈의 개방구멍에 면하도록 배설된 자석을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1쌍의 기립부를 지닌 요크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는 상기 1쌍의 기립부 사이에 상기 평판 형상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보빈에 배설되며 상기 어느 한쪽 기립부에 상기 자석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한쌍의 자석을 구비하며, 이들 자석은 상기 평판 형상부재를 끼워 상기 보빈의 개방구멍내에 배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코일은 상기 평판 형상 부재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장변을 지닌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트랙킹 코일은 상기 평판 형상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장변을 지닌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은 적층하도록 상기 평판 형상 부재의 평면상에 배설되고, 또한 상기 포커싱 코일의 상기 평판 형상 부재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변중 적어도 한쪽의 면과 상기 트랙킹 코일을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의 상호 인접하는 변이 공통 자속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코일은, 상기 평판 형상 부재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장변을 지닌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코일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트랙킹 코일을 구성하는 형상의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의 상호 인접하는 장변과 함께 상기 공통 자속내에 상기 포커싱 코일을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의 상호 인접하는 장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코일은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포커싱 코일을 끼워 이 포커싱 코일의 양측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코일은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트랙킹 코일을 끼워 이 트랙킹 코일의 양측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19. 한쌍의 평행 가이드부와 각각 맞물리는 가이드 지지부를 양단측에 각각 설지한 베이스, 일단측에 대물렌즈가 설치된 보빈과, 이 보빈의 타단측에 일단이 설치된 타단측을 고정부에 설치하고 상기 보빈을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등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와, 평판 형상을 이루는 포커싱 코일과 트랙킹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보빈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부재와, 상기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보빈을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석을 지닌 자기 회로부를 갖추어 상기 베이스 위에 배설되어 이루어진 대물렌즈 구동장치, 레이저 광원과, 이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의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이 수광소자에서 출사된 광빔과 복귀 빔을 분산하는 분산소자로 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의 광축이 상기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대물렌즈의 광축 둘레에 약 45도로 되는 상기 베이스상의 위치에 배설되어 이루어진 발광 수광 복합소자, 및 상기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대물렌즈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이 대물렌즈 바로 아래의 광축에 대해 반사면을 45도 경사시킴과 함께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 둘레에 45도 경사시킨 상태로 상기 베이스 위에 배설된 반사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보빈은 대물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측단부의 아래면쪽으로 상기 반사경과 대향하는 부분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광 복합소자는 레이저 광원과 수광 소자를 공통의 기판에 배설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짐과 함께, 기판이 상기 대물렌즈 구동 장치의 대물렌즈의 광축과 거의 평형이 되도록 상기 베이스 위에 배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KR1019940030336A 1993-11-16 1994-11-16 대물렌즈구동장치및대물렌즈구동장치를사용한광픽업장치 KR100296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09849 1993-11-16
JP30984993A JP3246140B2 (ja) 1993-11-16 1993-11-16 対物レンズ駆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6679B1 true KR100296679B1 (ko) 2001-10-24

Family

ID=1799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336A KR100296679B1 (ko) 1993-11-16 1994-11-16 대물렌즈구동장치및대물렌즈구동장치를사용한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55228A (ko)
JP (1) JP3246140B2 (ko)
KR (1) KR100296679B1 (ko)
CN (2) CN1047863C (ko)
MY (1) MY1141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7158A (ja) * 1994-12-13 1996-06-25 Sony Corp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3834831B2 (ja) * 1995-03-20 2006-10-18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991725A (ja) * 1995-09-20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の光ピックアップ
US5999972A (en) 1996-07-01 1999-12-07 Sun Microsystems, In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framework
US6272555B1 (en) 1996-07-01 2001-08-07 Sun Microsystems, Inc. Object-oriente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lient-server-centric interprise computing framework system
US6434598B1 (en) 1996-07-01 2002-08-13 Sun Microsystems, Inc. Object-oriente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lient-server graphical user interface (#9) framework in an interprise computing framework system
US6424991B1 (en) 1996-07-01 2002-07-23 Sun Microsystems, Inc. Object-oriente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lient-server communication framework
US6304893B1 (en) 1996-07-01 2001-10-16 Sun Microsystems, Inc. Object-oriente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lient-server event driven message framework in an interprise computing framework system
US5987245A (en) 1996-07-01 1999-11-16 Sun Microsystems, Inc. Object-oriente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12) for a client-server state machine framework
US6266709B1 (en) 1996-07-01 2001-07-24 Sun Microsystems, Inc. Object-oriente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lient-server failure reporting process
US6038590A (en) 1996-07-01 2000-03-14 Sun Microsystems, Inc. Object-oriente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lient-server state machine in an interprise computing framework system
US5848246A (en) 1996-07-01 1998-12-08 Sun Microsystems, Inc. Object-oriente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lient-server session manager in an interprise computing framework system
JPH1069674A (ja) * 1996-08-27 1998-03-10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US6052358A (en) * 1996-10-04 2000-04-18 Sony Corporation Head feeding mechanism and optical pick-up feeding mechanism
FR2762431A1 (fr) * 1997-02-28 1998-10-23 Daewoo Electronics Co Ltd Dispositif d'enregistrement / lecture optique
US6385156B1 (en) * 1998-03-31 2002-05-07 Ken'ichi Furukawa Positioning structur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for a pick-up used in a disc drive and pick-up assembly used in a disc drive
DE19814777A1 (de) * 1998-04-02 1999-10-07 Thomson Brandt Gmbh Optische Abtasteinrichtung mit verbesserter Ansprechcharakteristik
KR100333328B1 (ko) 1998-09-19 2002-06-20 윤종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엑추에이터
WO2000030082A1 (fr) * 1998-11-17 2000-05-25 Fujitsu Limited Support optique
KR100344586B1 (ko) * 1998-11-18 2002-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픽업엑추에이터
KR100329931B1 (ko) * 1999-09-14 2002-03-22 윤종용 픽업 엑추에이터
EP1583086A3 (en) * 1999-09-21 2006-04-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 optical pickup with improved optical properti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pickup
KR100690595B1 (ko) * 1999-12-0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TW522394B (en) * 2000-07-14 2003-03-01 Tdk Corp Objective lens drive apparatus for use in optical pickup
KR100518873B1 (ko) * 2000-11-04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픽업 액츄에이터
JP2002260255A (ja) * 2001-02-28 2002-09-13 Sony Corp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2312963A (ja) * 2001-04-12 2002-10-25 Sankyo Seiki Mfg Co Ltd 光ヘッド装置
JP4522027B2 (ja) * 2001-07-31 2010-08-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用マグネット、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着磁装置
KR100486246B1 (ko) * 2002-02-26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광기록/재생 장치
EP1355301A3 (en) * 2002-04-20 2006-03-29 Lg Electronics Inc. Optical pick-up actuator
JP2003346359A (ja) * 2002-05-27 2003-12-05 Pioneer Electronic Corp レンズ駆動装置用コイル基板及びレンズ駆動装置
KR100505648B1 (ko) * 2002-11-14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회로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광 기록및/또는 재생기기
JP2004265518A (ja) * 2003-02-28 2004-09-24 Toshiba Corp 光ヘッド装置および光ヘッド装置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KR100493056B1 (ko) * 2003-03-15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004296039A (ja) * 2003-03-28 2004-10-21 Teac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547360B1 (ko) * 2003-09-16 200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권선 코일이 일체화된 보빈, 이를 채용한 광픽업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 방법
JP4166715B2 (ja) * 2004-02-25 2008-10-15 株式会社リコー 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302334A (ja) * 2005-04-15 2006-11-02 Sanyo Electric Co Ltd ピックアップ装置
CN100437778C (zh) * 2005-07-25 2008-11-26 夏普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及光拾取装置
EP1914763B1 (en) * 2006-10-17 2013-01-09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printed coils thereon
EP1978514A1 (en) * 2007-04-03 2008-10-08 Deutsche Thomson OHG Pickup for accessing moving storage media and drive having the pickup
JP2011154765A (ja) * 2010-01-28 2011-08-11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JP2011181146A (ja) * 2010-03-02 2011-09-15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JP2012014767A (ja) * 2010-06-30 2012-01-19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6140A (en) * 1979-10-11 198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necting method of lead wire of rotary electric machine
JPS57103131A (en) * 1980-12-18 1982-06-26 Sony Corp Biaxial driver
JPS6020023U (ja) * 1983-07-15 1985-02-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学式ピツクアツプにおける支持装置
JPS6095735A (ja) * 1983-10-31 1985-05-29 Hitachi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0239939A (ja) * 1984-05-14 1985-11-28 Hitachi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123307A (ja) * 1984-07-11 1986-01-31 Kijima Musen Kk 電気巻線部品におけるピン状端子
JPH0668843B2 (ja) * 1985-08-16 1994-08-31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ピツクアツプ装置
EP0273367B1 (en) * 1986-12-26 1994-02-16 Kabushiki Kaisha Toshiba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JPS63195834A (ja) * 1987-02-10 1988-08-12 Pioneer Electronic Corp 可動体支持装置
JPS63219113A (ja) * 1987-03-06 1988-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US5073883A (en) * 1988-01-27 1991-12-17 Sony Corporation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including parallalogram structure
JP2684738B2 (ja) * 1988-12-29 1997-12-03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684762B2 (ja) * 1989-04-20 1997-12-03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728496B2 (ja) * 1989-04-21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320005A (ja) * 1989-05-16 1991-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部品
JPH0322509A (ja) * 1989-06-20 1991-01-30 Tokyo Electric Co Ltd 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ボビン
JP2798719B2 (ja) * 1989-08-15 1998-09-1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系支持装置
JP2765633B2 (ja) * 1989-11-02 1998-06-1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系支持装置
JP3048243B2 (ja) * 1990-05-26 2000-06-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
JPH0478005A (ja) * 1990-07-12 1992-03-12 Canon Electron Inc 巻線ボビン端子
JP2761972B2 (ja) * 1990-08-21 199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5313334A (en) * 1991-07-29 1994-05-17 Sony Corporation Objective lens moving actuator
KR950004797B1 (ko) * 1991-12-31 1995-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장치
JP2981351B2 (ja) * 1992-10-22 1999-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208751B2 (ja) * 1993-03-23 2001-09-17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ピックア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636A (zh) 1996-02-28
MY114141A (en) 2002-08-30
JPH07141670A (ja) 1995-06-02
CN1047863C (zh) 1999-12-29
CN1122985C (zh) 2003-10-01
CN1229979A (zh) 1999-09-29
US5555228A (en) 1996-09-10
JP3246140B2 (ja) 200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679B1 (ko) 대물렌즈구동장치및대물렌즈구동장치를사용한광픽업장치
JP3834831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5663840A (en) Objective lens actuator for optical head and used for high speed access
US7028318B2 (en) Optical head with lens holder supported by suspension wires at central and end portions
JPH0310402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338169B1 (ko) 대물렌즈구동장치및코일보빈
KR100220520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US6879747B2 (en) Galvanometer mirror and optical switching device using the same
JPS63104228A (ja) 光電装置
JP4868662B2 (ja) 光学素子のアクチュエータ
KR0153766B1 (ko) 광픽업장치
JPH10334486A (ja) 光ピックアップ
JP5108927B2 (ja) 光学素子のアクチュエータ
JP5108928B2 (ja) 光学素子のアクチュエータ
US6925036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 parts accommodation module for optical pickup
JP3884297B2 (ja) 光学素子のアクチュエータ
JP3268809B2 (ja) 光学系駆動装置
JP3713742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268885B2 (ja) 光ピックアップ
JP2703602B2 (ja) ピックアップ装置のガルバノミラー支持装置
JPH10334485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06197519A (ja) 電磁駆動装置
KR0181816B1 (ko) 단순구조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205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001023200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