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664B1 - 광학수지용 조성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광학수지용 조성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664B1
KR100237664B1 KR1019970014381A KR19970014381A KR100237664B1 KR 100237664 B1 KR100237664 B1 KR 100237664B1 KR 1019970014381 A KR1019970014381 A KR 1019970014381A KR 19970014381 A KR19970014381 A KR 19970014381A KR 100237664 B1 KR100237664 B1 KR 10023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mpound
resin
refractive index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111A (ko
Inventor
켄이찌 후지이
노부야 카와우찌
토시유키 스즈키
세이이찌 코바야시
마사오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니시 히로유끼
Publication of KR97007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111A/ko
Priority to KR101999003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76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mercap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C08G18/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 C08F291/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on to irradiated or oxidised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성분으로서, 분자내에 술피드결합을 가진 3작용성이상의 폴리티올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SH/-NCO몰 비가 3.0∼7.0의 범위에서 반응시켜서 얻어진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을 10∼50중량%, B성분으로서, 적어도 1종의 2작용성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35∼70중량% 및 C성분으로서, A성분 및 B성분과 래디컬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을 5∼30중량% 함유해서 이루어진 광학수지용 조성물, 광중합에 의한 광학수지의 제조법, 광학수지 및 광학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속으로 중합할 수 있는 신규의 광학수지용 중합성 조성물이며,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수지는, 고굴절률, 고압베수이며, 투명성, 광학적 균일성도 우수하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광학수지용 조성물 및 그 용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고굴절률이며, 투명성, 광학변형, 내열성, 염색성, 내충격성 등의 균형이 잡힌 수지를 부여하는 광학수지용 조성물, 이 조성물을 중합·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광학수지 및 광학렌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안경렌즈용도 등으로 실용화되고 있는 열경화형의 광학용 수지 및 그 모노머는, 2종류로 대별된다. 1개는 티오우레탄수지로 대표되는 중축합형의 것이고, 또 1개는 아크릴, 비닐화합물로 대표되는 래디컬형의 것이다.
티오우레탄수지는, 고굴절률이며, 내충격성이 우수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고, 안경렌즈용을 중심으로 광학용 수지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티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축합반응에 의해 우레탄결합을 생성시켜 수지를 제조하기 때문에, 광학적인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중합을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24시간 이상이라고 하는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황함유우레탄수지는, 수지로서의 성능면에서는 뛰어나지만, 생산성면에서는 아직 개량의 여지가 남아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메타)아크릴레이트수지는, 모노머를 래디컬반응에 의해 고속중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수지로서의 물성면에서 보면, 내충격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치명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을 뿐아니라, 일부의 티오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굴절률을 그다지 향상시킬 수 없다. 마찬가지로, 폴리엔-폴리티올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수지는, 모노머를 래디컬반응에 의해 고속중합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고생산성이라고 하는 일면을 가진다. 그러나, 경화시(중합시)의 제적수축률이 크고, 정밀한 주형중합이 어렵다고 하는 결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또, 수지로서의 물성면에서 보아도, 일반적으로 무르기 때문에, 그 용도에는 자연적으로 제한이 가해진다. 또, 수지의 굴절률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모노머속의 티올의 함유율을 높이지 않으면 안되나, 티올화합물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면, 중합해서 얻어진 수지는 보다 고무형상으로 되어, 광학제품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즉, 물성이 뛰어난 티오우레탄수지는 생산성면에, 생산성이 높은 래디컬중합형의 수지는 물성면에, 문제가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수지의 생산성(고속중합)과 물성의 양립을 위하여, 우레탄 결합과 폴리엔, (메타)아크릴레이트나 티올의 래디컬중합을 조합시키는 수법이 이미 몇 가지 보고된 바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62-29692호 공보에는, 폴리엔화합물만으로 이루어진 수지의 취성이나 중합시의 체적수축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티올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얻어지는 프레폴리머와, 폴리엔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의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주로 일렉트로닉스용도의 캐스팅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광학용도에 대해서는 기재가 없고, 광학적으로 균일할 것이 요구되는 고굴절률광학수지로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들면, 이 공보에 예시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중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면 내광성이 불충분하고, 기타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면 압베수가 부족하고,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것에서는 굴절률이 낮아지고, 또, 이 공보 중에서 최적이라고 추천장려되고 있는 메르캅토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티올화합물에 사용한 경우도 굴절률이 낮아져서, 고굴절률광학용 수지를 실현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또, SH기와 NCO기의 당량비에 대해서도 1.5∼50으로 밖에 기재된 것이 없고, 특단의 배려는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당량비야말로, 프레폴리머의 성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며, 엄밀한 관리가 필요하다. 즉, 이 비가 너무 작으면 얻어지는 프레폴리머는 매우 고점도가 되어, 다른 폴리엔화합물과 혼합할 수 없게 되고, 너무 큰 경우에는 충분한 프레폴리머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 잉여SH기와 불포화기의 비율에 대해서도 1:1이 일반적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나, 불포화기쪽이 충분히 과잉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얻어진 수지는 고무형상으로 되기 쉽다. 따라서, 광학수지제조에 프레폴리머화티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잉여SH기와 불포화기의 비율에 대해서도 충분히 적정한 값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결국, 적절한 모노머화합물과 그 비율을 선택하지 않으면, 높은 굴절률과 높은 압베수를 가지고, 경도나 내충격성도 우수한 광학용 수지를 얻을 수는 없다.
또, 일본국 특개소 63-199210호 공보, 동 63-207805호 공보에는, 우레탄결합을 가진 폴리엔화합물과 폴리티올화합물의 래디컬중합에 의한 광학수지의 제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폴리엔과 폴리티올반응에서는, 폴리티올의 비율을 올리면 얻어지는 수지가 고무형상으로 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우레탄결합을 함유하는 폴리엔화합물에, 폴리티올을 반응시켜서 충분한 강도를 가진 수지를 얻고자 하면, 수지전체에 차지하는 폴리티올의 비율은, 상당히 낮게 억제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얻어지는 수지의 황함유량은 낮고, 고굴절률수지(굴절률 약 1.6)를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일본국 특개평 5-25240호 공보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티올의 혼합물과 래디컬중합성 불포화화합물로 이루어진 고굴절률광학수지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보에는 전혀 프레폴리머화의 중요성에 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얻어진 수지의 내충격성이 21g∼31g(낙구시험)으로 낮은 것에서도 명백하다. 충분한 프레폴리머화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단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티올을 혼합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SH기와 NCO기가 반응하기 위한 명확한 조건이 선택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 SH기와 NCO기의 비유을 0.5∼2로 하고 있으나, 만약 이 비율로 충분한 프레폴리머화를 행한 경우, 얻어진 프레폴리머는 매우 고점도로 되어, 그후의 불포화중합성기를 가진 화합물과의 혼합은 곤란하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이 조성물은, 단순한 이소시아네이트와 티올과 불포화기를 가진 모노머의 단순한 혼합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없다. 그 경우, 이 조성물은 래디컬반응과 우레탄축합이라고 하는 전혀 다른 타입의 반응을 동시에 행하여 경화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중합해서 얻어진 수지속의 우레탄결합의 비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합반응을 엄밀하게 관리하는 일이 필수로 된다. 즉, 중합조건에 따라서는, 반응이 느린 우레탄결합생성반응이 뒤로 처지고, 래디컬부가에 의해서 SH기가 먼저 소비되어 버린다. 그 결과, 미반응의 이소시아네이트가 수지속에 잔류되는 일이 염려된다. 만약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잔류하면, 수지절삭가공자의 건강상 문제나, 렌즈후가공(코트나 염색얼룩)에의 영향 등 중대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 근소한 중합조건의 진폭에 의해서, 수지속의 화학결합의 존재비도 변동되는 것이 고려된다. 즉, 중합조건의 관리가 불충분하면, 수지제품의 물성이 불균일해지는 것이 염려된다. 또, 중합시에 개별적인 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중합해서 생성된 수지의 광학변형이나 광학적인 불균일에도 충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 주형(注型)중합시에 우레탄축합반응을 행하기 때문에 이형제도 필요하게 된다.
또 일본국 특개평 7-228659호 공보에는, 폴리티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및 1분자속에 수산기 또는 메르갑토기와 (메타)아크릴 등의 불포화기의 양쪽을 가진 화합물로 이루어진 중합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예시되어 있는 높은 황함유율을 가진 폴리티올을 사용하면, 확실히 고굴절률수지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공보에서도 명확한 프레폴리머화는 제안된 바 없고, 중합반응을 엄밀히 제어할 필요성은 남아있다. 또 불포화결합기를 가진 모노머가, 동시에 티올기 또는 수산기를 가지기 때문에, 수지의 내열성은 높아지지만, 염색성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1) 가열이나 광에 의해 단시간에 중합이 가능하여, 수지의 높은 생산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
(2) 굴절률이 높고, 투명성, 내열성, 염색성,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광학변형이나 불균일이 매우 적은 수지를 제조하는 것,
(3) 안정된 품질로, 또한, 잔류모노머가 적은 렌즈를 용이하게 생산하는 것 등이다. 즉, 물성적으로, 또한, 생산성으로도 뛰어난 광학수지, 그것을 위한 광학수지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렌즈를 제공하는 일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검토를 행한 결과, 특정구조의 폴리티올화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로 프레폴리머화해서 얻어진 성분, 특정구조의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로 이루어진 성분 및 그들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성분을 함유해서 이루어진 조성물을 중합·경화해서 얻어지는 수지가, 고굴절률광학수지로서 적합하게 사용되고, 이 수지가 광학렌즈에 적합하며, 또 이 조성물의 경화에는 가열에 의한 단시간의 경화나, 자외선에 의한 광중합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① 하기 A성분을 10∼50중량%, B성분을 35∼70중량%, 및 C성분을 5∼30중량% 함유해서 이루어진 광학수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성분 : 분자내에 술피드결합을 가진 3작용성 이상의 폴리티올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SH/-NCO몰비가 3.0∼7.0의 범위에서 반응시켜서 얻어진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
B성분 : 적어도 1종의 2작용성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
C성분 : A성분 및 B성분과 래디컬공중합가능한 화합물.
또, 본 발명은,
② A성분의 조제에서 사용되는 폴리티올화합물이 하기 식(1) 또는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광학수지용 조성물;
Figure kpo00001
③ B성분이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광학수지용 조성물;
Figure kpo00002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표시하고, R2는 -CH2-, -C(CH3)2- 또는 -SO2-를 표시하고, m,n은 각각 0∼4의 정수를 표시하고, m+n은 0∼4이다)
④ C성분이 디비닐벤젠, 디이소프로페닐벤젠, 스티렌, 핵치환스티렌, 단작용성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의 어느 것인 광학수지용 조성물;
⑤ 상기 각종의 조성물을 중합·경화해서 얻어지는 굴절률(nd) 1.58이상을 가진 고 굴절률광학수지 및 광학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단시간에 경화가 가능한 수지 조성물이며, 이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고굴절률이며, 투명성, 광학변형, 내열성, 염색성, 내충격성 등의 균형이 뛰어난 광학수지 및 뛰어난 성능을 가진 광학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수지용 조성물은, A성분으로서, 분자내에 술피드결합을 가진 3작용성 이상의 폴리티올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SH/-NCO몰비가 3.0∼7.0의 범위에서 반응시켜서 얻어진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을 10∼50중량%,
B성분으로서, 적어도 1종의 2작용성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35∼70중량% 및 C성분으로서, A성분 및 B성분과 래디컬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을 5∼30중량% 함유하는 것이다.
A성분의 조제에서 사용되는 폴리티올화합물은,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로서 사용되므로, 고굴절률이며, 또한 저점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얻어진 수지의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3작용성 이상의 폴리티올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에 적합한 폴리티올화합물로서는, 분자속의 술피드결합에 의해 굴절률을 증대시킨 3작용성 이상의 폴리티올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예를들면, 2-메르캅토-3-티아헥산-1,6-디티올, 5,5-비스(메르캅토메틸)-3,7-디티아노난-1,9-디티올, 2,4,5-트리스(메르캅토메틸)-1,3-디티오란, 5-(2-메르캅토에틸)-3,7-디티아노난-1,9-디티올, 상기 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상기 식(1) 또는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보다 적합하게 사용된다.
식(1)로 표시되는 폴리티올화합물은, 일본국 특개평 2-270859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즉, 에피할로히드린과 2-메르캅토에탄올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요소를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된다.
또, 식(2)로 표시되는 폴리티올화합물은, 일본국 특개평 7-25220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즉, 에피클로로히드린과 2-메르캅토에탄올을 반응시키고, 얻어진 디올체를, 또 황화나트륨과 반응시켜서 테트라올체를 얻고, 이어서, 이 테트라올체를 염산속에서 티오요소와 반응시키고, 암모니아수로 가수분해하는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된다.
또, A성분의 조제에서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은, 분자속에 티올기와 반응 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가진 화합물이면, 특히 한정되는 일없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이소포론디이시소아네이트(IPDI), 수소화XDI(H-XDI), 수소화MDI(H-MDI), 노르보르넨디이소시아네이트(NBDI) 등의 지방족,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트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TODI)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최종적인 수지의 물성향상이란 관점에서 3량화나 다량화 등의 변성을 받은 물질이 선택되는 경우도 있다.
또 이들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중에서는 얻어지는 수지의 내후성이나 압베수 등으로부터, 지방족,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보다 적합하게 사용되고, 또 수지의 굴절률도 고려하면, XDI, NBDI, TXMDI, H-MDI 등이 가장 적합하다.
A성분은, 상기 폴리티올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SH/-NCO몰비가 3.0∼7.0, 바람직하게는 3.5∼6.5, 더 바람직하게는 4.0∼6.0의 범위에서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이다. -SH/-NCO의 몰비가 3.0보다 작으면, 얻어지는 프레폴리머의 점도가 너무 커서 취급이 곤란해지기 쉽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다른 모노머화합물과 혼합할 수 없게 되거나 결정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 -SH/-NCO의 몰비가 7.0보다 크면, 프레폴리머속에 함유하는 티오우레탄 결합의 농도가 너무 낮아서, 최종경화물에 있어서, 프레폴리머로 한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폴리티올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의 반응은, 예를들면 공지의 우레탄화반응에 의해 행한다. 그때에는, 불활성가스속에서,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등의 주석계, 또는,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디-n-부틸에탄올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의 아민계 등의 반응촉매를 사용해서, 반응온도를 40℃ 이상으로 올려서 충분한 시간에 걸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폴리머화반응의 종료는, 예를들면, 반응물의 일부를 채취해서, 충분한 감도가 얻어질 때까지 적산된 FT-IR스펙트럼을 측정하여, NCO기의 흡수가 소실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얻어진 프레폴리머속의 유리SH기의 당량수는, 정확히 칭량된 프레폴리머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하고, 요드표준액으로 적정함으로써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그 굴절률은 압베굴절계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B성분은, 래디컬공중합가능하며, 또한 A성분의 티올기가 래디컬부가가능한 적어도 1종의 2작용성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이다. 여기서, 래디컬부가란 폴리엔화합물이나 (메타)아크릴화합물의 불포화결합에 대한 티올의 부가반응을, 또 래디컬공중합과는 불포화결합끼리의 부가반응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1,3,3,5,5-헥사[(메타)아크릴옥시]시클로트리포스포젠, 1,1,3,3,5,5-헥사[(메타)아크릴옥시에틸렌디옥시]시클로트리포스포젠,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얻어지는 수지의 종합적인 물성균형을 고려하면, B성분은,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3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표시하고, R2는 -CH2-, -C(CH3)2- 또는 -SO2-를 표시하고, m 및 n은 각각 0∼4의 정수를 표시하고, m+n은 0∼4임)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페닐]메탄,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페닐]술폰,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메탄,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술폰,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메탄,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술폰 등을 들 수 있다.
C성분은, A성분 및 B성분과 래디컬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모노머의 점도나 최종적인 수지의 굴절률의 관점에서는, 디비닐벤젠, 디이소프로페닐벤젠, 스티렌, 핵치환스티렌, 단작용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o-디비닐벤젠, m-디비닐벤젠, p-디비닐벤젠, m-디이소프로페닐벤젠, p-디이소프로페닐벤젠, 스티렌, 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알릴에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디비닐벤젠이 보다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광학수지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의 각 성분의 비율은, 각 성분의 굴절률이나 점도, 얻어지는 수지의 각종 물성 등에 따라,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으나, A성분을 10∼50중량%, B성분을 35∼70중량%, C성분을 5∼30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A성분을 15∼35중량%, B성분을 45∼65중량%, C성분을 10∼25중량%의 범위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광학 수지용 조성물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예를들면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황변방지제, 블루잉제, 안료, 염료, 기능성 색재, 이형제 등의 각종의 첨가제를 배합해서 소망의 물성이나 기능을 발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고굴절률광학수지는, 본 발명의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중합·경화해서 얻어지는 것이며, 굴절률(nd) 1.58이상을 가진다.
경화방법은, 예를들면, 공지의 래디컬중합을 사용한 주형중합에 의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광학수지용 조성물에, 예를들면, 래디컬중합개시제, 광중합개시제 등의 래디컬발생제를 첨가해서, 잘 혼합한 후, 여과하고, 또 감압하에서 충분히 탈포한 후에, 몰드속에 주입해서 래디컬중합을 행한다.
몰드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가스킷을 개재한 경면연마한 2매의 주형(鑄型)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주형으로서는, 유리와 유리, 유리와 플라스틱판, 유리와 금속판 등의 조합 주형이 있다. 또, 가스킷으로서는, 상기한 연질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외에, 2매의 주형을 폴리에스테르점착테이프 등으로 고정해도 된다. 또, 주형에 이형처리 등을 행하여도 된다.
열중합에 있어서는 래디컬발생제, 즉, 래디컬중합개시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과산화벤조일, p-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1,1-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산오에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등의 과산화물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 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은,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의 혼합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5∼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열중합법에 의해서 경화하는 경우의 중합온도, 중합시간은, 사용하는 래디컬중합개시제, 경화물의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된다.
자외선에 의한 광중합에 있어서의 래디컬발생제, 즉, 광중합개시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톤,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 페닐)-2-하이드로록시-2-메틸프로판-1-온, 1-(4-도데실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1-프로판온,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부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벤조일벤조산메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메틸,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 4-페닐 벤조페논, 하이드록시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디클로로티옥산톤, 1-페닐-1,2-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히스핀옥사이드, 메틸페닐글리옥시레이트, 벤질, 9,10-페난트레퀴논, 캄퍼퀴논, 디벤조수베론, 2-에틸안트라퀴논, 4',4"-디에틸이소프탈로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등이 사용된다. 이들의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은,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의 혼합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0.005∼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또 상기 광중합개시제에 상술한 래디컬중합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감마선에 의한 중합에서는, 래디컬중합개시제 등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경화종료후, 냉각한 후에, 주형을 이형시켜서 수지를 꺼낸다. 꺼낸 수지는, 필요에 따라서, 내부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어닐링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렌즈는, 본 발명의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중합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것으로, 굴절률(nd)은 1.58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는, 렌즈용 몰드를 사용해서 주형중합해서 제조해도 되고, 중합 경화시켜서 얻어진 괴상의 광학수지를 연삭하는 방법으로 제조해도 된다. 주형중합하는 경우에는, 경화후, 필요에 따라서, 어닐링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광학렌즈는, 필요에 따라, 반사방지, 고경도부여, 혹은 패션성 부여 등의 개량을 행하기 위해, 표면연마, 대전방지처리, 하드코트처리, 무반사코트처리, 염색처리 등의 물리적 혹은 화학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에 표시한 부는 모두 중량부이다.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수지 및 렌즈의 물성평가는,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1) 투명성 : 육안으로 관찰해서, 색, 탁함, 변형이 없는 것을 양호한 것으로 하였다.
(2) 굴절률, 압베수 : 플프리히굴절계에 의해 측정하였다. 단, 프레폴리머의 굴절률은 압베굴절계에 의해 측정하였다.
(3) 내충격성 : 중심두께 1.5㎜인 렌즈를 67g의 강철구를 사용한 낙구(FDA규격에 따름)시험을 행하여, 합격된 것을 ○, 합격되지 않은 것을 ×로 하였다.
(4) 내열성 : 침입법에 의한 TMA를 측정하여, 80℃이하에 변형점이 있는 것을 ×, 80℃ 이상인 것을 ○로 하였다.
(5) 염색성 : 염색욕속에서,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수지와, 동시에 염색을 행하여, 육안관찰에 의해 동등 혹은 그 이상으로 염색되어 있는 것을 ○, 떨어지는 것을 ×로 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트리티올화합물 78.1부(0.300몰)에,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1.9부(0.090몰)를 첨가해서 혼합하였다. 이것을 교반하면서,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0.1부를, 질소분위기하, 40℃에서 첨가해서 혼합하였다.
반응온도를 60℃까지 승온하고, 6시간 교반을 행하여 반응시키고, 무색투명 점조액체로서,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1)을 얻었다. 이 화합물의 IR스펙트럼을 측정하였던 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는 소실되어 있고, 반응은 완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이 프레폴리머 약 5g을 정확히 칭량해서, 클로로포름:메탄올=1:1용액 50㎖에 용해하여, 1규정요드표준액의 적정에 의해 유리메르캅토기를 정량하였던 바 7.2m당량/g이었다. 또, 이 프레폴리머화합물의 굴절률은 1.63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트리티올화합물 78.1부를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테트라티올화합물 80.7부(0.220몰)로, 또,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1.9부를 수소화MDI 19.3부(0.074몰)로 바꾼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무색투명점조액체로서,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2)을 얻었다. 또 이 프레폴리머 약 5g을 정확히 칭량해서 클로로포름:메탄올=1:1용액 50㎖에 용해하여, 1규정요드표준액의 적정에 의해 유리메르캅토기를 정량하였던 바 7.3m당량/g이었다. 또, 굴절률은 1.62였다.
[실시예 3]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트리티올화합물 78.2부(0.30몰)에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0.1부를 첨가 용해시켰다. 이것을 교반하면서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0.8부(0.11몰)를 질소분위기하, 40℃에서 15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종료후, 반응온도를 60℃까지 승온하고, 6시간 교반을 행하여 반응시키고, 무색투명점조액체로서,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3)을 얻었다. 이 화합물의 IR스펙트럼을 측정하였던 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는 소실되어 있고, 반응은 완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이 프레폴리머 약 5g을 정확히 칭량해서, 클로로포름:메탄올=1:1용액 50㎖에 용해하여, 1규정요드표준액의 적정에 의해 유리메르캅토기를 정량하였던 바 6.9m당량/g이었다. 또, 굴절률은 1.64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트리티올화합물 78.2부를.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테트라티올화합물 76.5부(0.21몰)에,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0.8부를 소수화MDI 23.5부(0.09몰)로 바꾼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무색투명점조액체로서,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4)을 얻었다. 또 이 프로폴리머 약 5g을 정확히 칭량해서, 클로로포름:메탄올=1:1용액 50㎖에 용해하여, 1규정요드표준액의 적정에 의해 유리메르캅토기를 정량하였던 바 6.6m당량/g이었다. 또, 굴절률은 1.62였다.
[합성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트리티올화합물 78.1부를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88.6부(0.181몰)에,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1.9부를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4부(0.061몰)로 바꾼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무색투명점조액체로서,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5)을 얻었다. 또 이 프레폴리머 약 5g을 정확히 칭량해서, 클로로포름:메탄올=1:1용액 50㎖에 용해하여, 1규정요드표준액의 적정에 의해 유리메르캅토기를 정량하였던 바 6.0m당량/g이었다. 또, 굴절률은 1.58이었다.
[합성예 2]
실시예 3에 있어서, 트리티올화합물 78.2부를,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86.7부(0.18몰)에,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0.8부를 13.4부(0.07몰)로 바꾼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행하여, 무색투명점조액체로서,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6)을 얻었다. 또 이 프레폴리머 약 5g을 정확히 칭량해서, 클로로포름:메탄올=1:1용액 50㎖에 용해하여, 1규정요드표준액의 적정에 의해 유리메르캅토기를 정량하였던 바 5.8m당량/g이었다. 또, 굴절률은 1.58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1) 20.0부,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메탄 45.0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15.0부, 디비닐벤젠 20.0부를 잘 혼합하고, 래디컬중합개시제로서 비스(4-t-부틸 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0.2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산오에이트 0.2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해서,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유리몰드와 가스킷으로 이루어진, 외경 80㎜, 중심두께 1.5㎜, 주위두께 10㎜의 오목렌즈몰드에 주입하여, 50℃에서 130℃까지 3시간에 걸쳐 승온경화시킨 후, 또 130℃에서 1시간 가열경화시켰다.
실온까지 방랭한 후, 유리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해서,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2) 30.0부,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0.0부,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30.0부, 디비닐벤젠 20.0부를 잘 혼합하고, 래디컬중합개시제로서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0.2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산오에이트 0.2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해서,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키고,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1) 20.0부,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메탄 45.0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5.0부, 디비닐벤젠 20.0부를 잘 혼합하고, 래디컬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2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산오에이트 0.2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하여,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키고,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3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3) 32.0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58.0부, 디비닐벤젠 10.0부를 잘 혼합하고, 여기에 광중합개시제로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1-온 0.04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하여,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2매의 유리형과 폴리에스테르제 점착테이프에 의해 구성된, 외경 80㎜, 중심두께 1.5㎜, 주위두께 10㎜의 오목렌즈몰드에 주입하고 80W/㎝의 고압수은 등의 광을, 15㎝의 거리에서 5분간 조사해서 경화시켰다. 실온까지 방랭한 후, 점착테이프를 박리하고, 유리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해서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3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3) 33.0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57.0부,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5.0부, 디비닐벤젠 5.0부를 잘 혼합하고, 여기에 광중합개시제로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0.04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해서,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키고,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4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4) 45.0부를,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35.0부, 디비닐벤젠 20.0부를 잘 혼합하고, 여기에 광중합개시제로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0.04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하여,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키고,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3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3) 20.0부,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메탄 45.0부,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5.0부, 디비닐벤젠 20.0부를 잘 혼합하고, 여기에 광중합개시제로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1-온 0.10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해서,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키고,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1]
합성예 1의 티오우레탄 프레폴리머화합물(TUPP-5) 30.0부,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0.0부,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30.0부, 디비닐벤젠 20.0부를 잘 혼합하고, 래디컬중합개시제로서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0.2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산오에이트 0.2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하여,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키고,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티오우레탄 프레폴리머화합물(TUPP-1) 20.0부를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트리티올화합물 20.0부로 바꾼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켜,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티오우레탄 프레폴리머화합물(TUPP-1) 20.0부를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트리티올화합물 15.6부(0.06몰)로 대신하고,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부(0.018몰),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메탄 45.0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15.0부, 디비닐벤젠 20.0부를 잘 혼합하고, 래디컬중합개시제로서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0.2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산오에이트 0.2부, 우레탄반응촉매로서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0.03부, 내부이형제로서 디옥틸산성 인산에스테르 0.1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하였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켜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4]
합성예 2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6) 45.0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35.0부, 디비닐벤젠 20.0부를 잘 혼합하고, 여기에 광중합개시제로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0.04부를 첨가하고, 혼합, 탈포해서, 광학수지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켜,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3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3) 32.0부를,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트리티올화합물 32.0부로 바꾼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시켜, 무색투명한 오목렌즈를 얻었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3의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TUPP-3) 30.0부,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70.0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광중합개시제로서 2-하이드로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0.04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하였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과시키 후, 점착테이프를 박리하고, 수냉했으나 수지가 고무형상으로 이형되지 않았다.
[비교예 7]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트리티올화합물 26.1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6.9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57.0부,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5.0부, 디비닐벤젠 5.0부를 잘 혼합하고, 여기에 광중합개시제로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0.04부, 우레탄반응촉매로서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0.03부, 내부이형제로서 디옥틸산성인산에스테르 0.1부를 첨가해서 혼합, 탈포하였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과시킨 후, 점착테이프를 박리하여, 쇄기를 치고 이형시켰다. 얻어진 렌즈는 표면이 더욱 부드러웠다. 이 렌즈의 물성측정의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4
[표 2]
Figure kpo00005
표 1 및 표 2의 설명 : 티오카르복시산에스테르형의 티올로부터 얻어지는 프레폴리머를 사용해서 열 중합에 의해 얻어진 비교예 1의 수지는, 본원의 수지에 비해, 굴절률이 낮고 불충분하다. 트리티올화합물을 프레폴리머화 하는 일없이 직접 사용해서 열중합에 의해 얻어진 비교예 2의 수지는, 내열성이 부족하다.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티올화합물 및 폴리엔화합물을 동시에 반응시켜서 열중합에 의해 얻어진 비교예 3의 수지에서는, 맥리(脈理)가 확인되고, 또, 내열성이 부족하였다.
또, 광중합해서 얻어진 비교예 4∼7의 수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결과였다. 즉, 비교예 4의 수지에서는 굴절률이 불충분하다. 비교예 5의 수지는 내열성이 부족하다. 비교예 7의 수지는 경화가 불충분하며,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부족하였다.

Claims (8)

  1. 하기의 A성분 10∼50중량%, B성분 35∼70중량% C성분을 5∼30중량%를 함유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수지용 조성물. A성분 : 분자내에 술피드결합을 가진 3작용성이상의 폴리티올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SH/-NCO몰비가 3.0∼7.0의 범위에서 반응시켜서 얻어진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 B성분 : 적어도 1종의 2작용성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 C성분 : A성분 및 B성분과 래디컬공중합가능한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A성분의 폴리티올화합물이, 하기 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수지용 조성물.
    Figure kpo00006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성분이,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수지용 조성물.
    Figure kpo00007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표시하고, R2는 -CH2-, -C(CH3)2- 또는 -SO2-를 표시하고, m 및 n은 각각 0∼4의 정수를 표시하고, m+n은 0∼4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성분이, 디비닐벤젠, 디이소프로페닐벤젠, 스티렌, 핵치환스티렌 또는 단작용성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의 어느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수지용 조성물.
  5.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중합경화해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nd) 1.58이상을 가진 고굴절률광학수지.
  6.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자외선을 사용한 광중합에 의해 중합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nd) 1.58이상을 가진 고굴절률광학수지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중합경화해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nd) 1.58이상을 가진 광학렌즈.
  8.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렌즈주형에 주입한 후, 자외선을 사용한 광중합에 의해 중합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nd) 1.58이상인 광학렌즈의 제조방법.
KR1019970014381A 1996-04-19 1997-04-18 광학수지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237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108A KR100241989B1 (ko) 1996-04-19 1999-07-23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1996 1996-04-19
JP96-97919 1996-04-19
JP21850296 1996-08-20
JP96-218502 1996-08-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108A Division KR100241989B1 (ko) 1996-04-19 1999-07-23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111A KR970070111A (ko) 1997-11-07
KR100237664B1 true KR100237664B1 (ko) 2000-01-15

Family

ID=2643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381A KR100237664B1 (ko) 1996-04-19 1997-04-18 광학수지용 조성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908876A (ko)
EP (1) EP0802208B1 (ko)
KR (1) KR100237664B1 (ko)
CN (1) CN1120188C (ko)
DE (1) DE6970646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881B1 (ko) 2001-11-05 2008-12-03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투명 폴리티오우레탄 기재 특히 광학 기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8296A (en) * 1995-04-19 1999-12-28 Optima, Inc. Optical terpolymer of polyisocyanate, polythiol and polyene monomers
US5917006A (en) * 1998-01-16 1999-06-29 Ppg Industries Ohio, Inc. Optical resin composition
US5976422A (en) * 1998-03-09 1999-11-02 Ppg Industries Ohio, Inc. Optical resin composition
FR2783829B1 (fr) * 1998-09-29 2005-12-09 Corning Sa Preparation de pieces organiques de qualite optique et notamment de lentilles organiques
CN1304421A (zh) * 1999-05-27 2001-07-18 日本油脂株式会社 用于塑料光学材料的单体组合物,塑料光学材料和透镜
CA2391854C (en) * 1999-11-18 2007-01-23 Ppg Industries Ohio, Inc. Optical resin composition
US7473754B1 (en) 2000-10-17 2009-01-06 Ppg Industries Ohio, Inc. Optical resin composition
US6835844B2 (en) * 2001-05-15 2004-12-28 Mitsui Chemicals, Inc. Acrylic esters and use thereof
KR20020002342A (ko) * 2001-09-21 2002-01-09 전오근 저 비중, 고굴절률 광학 렌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8017720B2 (en) * 2005-12-16 2011-09-13 Ppg Industries Ohio, Inc. Sulfur-containing oligomers and high index polyurethanes prepared therefrom
US20040138401A1 (en) * 2002-11-05 2004-07-15 Nina Bojkova High impact poly (urethane urea) polysulfides
US6872333B2 (en) * 2002-02-07 2005-03-2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Ltd. Enic compounds, sulfur-containing polyenic compound, sulfur-containing polythiol compound, high refractive index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cured product thereof
KR20030075401A (ko) * 2002-03-18 2003-09-26 장동규 신규 폴리티올 화합물로 부터 얻은 초 고굴절 광학 재료및 렌즈의 제조방법
DE10223652A1 (de) * 2002-05-28 2003-12-24 Basf Coatings Ag Pfropfmischpolymerisate auf Polyurethanbasis,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CN1276934C (zh) * 2002-07-22 2006-09-27 三井化学株式会社 含有无机超微粒子的树脂组合物
DE10252006A1 (de) * 2002-11-06 2004-05-27 Röhm GmbH & Co. KG Hochtransparenter Kunststoff für optische Materialien
EP2325234B1 (en) * 2002-12-20 2017-03-29 PPG Industries Ohio, Inc. High impact poly(urethane urea) polysulfides
US7009032B2 (en) 2002-12-20 2006-03-07 Ppg Industries Ohio, Inc. Sulfide-containing polythiols
CA2573072A1 (en) * 2004-07-09 2006-01-19 Rafael Rosell Costa Use of ecteinascidin in the treatment of cancer in patients with low level of brca1
US11591436B2 (en) 2004-09-01 2023-02-28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than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248083B2 (en) 2004-09-01 2022-02-15 Ppg Industries Ohio, Inc. Aircraft windows
US9598527B2 (en) 2004-09-01 2017-03-21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thanes, articles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90280709A1 (en) 2004-09-01 2009-11-12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thanes, Articles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90280329A1 (en) 2004-09-01 2009-11-12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thanes, Articles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008418B2 (en) 2004-09-01 2021-05-18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thanes, articles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149107B2 (en) 2004-09-01 2021-10-19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thanes, articles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464169B2 (en) 2004-09-01 2016-10-11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thanes, articles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0973858B1 (ko) * 2005-04-11 2010-08-0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용수지의 제조 방법
CN101437874B (zh) 2006-05-05 2011-09-21 Ppg工业俄亥俄公司 硫醚官能的低聚多硫醇以及由其制备的制品
KR20090092225A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신대특수재료 열변형 온도가 높고 열안정성이 우수한 초고굴절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 및 그 제조방법
WO2009107946A2 (ko) * 2008-02-26 2009-09-03 주식회사 신대특수재료 열변형 온도가 높고 열안정성이 우수한 초고굴절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 및 그 제조방법
CN101665552B (zh) * 2008-09-03 2012-10-31 浙江海洋学院 光学树脂单体材料
KR101157497B1 (ko) * 2009-05-04 2012-06-20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내열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광학 렌즈용 수지조성물
US8470948B2 (en) * 2009-08-28 2013-06-25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High refractive index polymers
CN102666676B (zh) 2009-11-13 2015-11-25 三井化学株式会社 膜及其用途
CN103547608B (zh) * 2011-06-23 2016-04-13 三井化学株式会社 聚合性组合物
JP6228599B2 (ja) 2013-05-24 2017-11-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接着剤、接着シート及び積層体
EP2821436A1 (en) 2013-07-01 2015-01-07 Allnex Belgium, S.A. Transparent composite composition
US20150011957A1 (en) * 2013-07-08 2015-01-08 Pascal Cloutier Nightwear absorbent, washable and reusabl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WO2015074080A1 (en) 2013-11-18 2015-05-21 Florida State Research Foundation, Inc. Thiol-ene polymer metal oxide nanoparticle high refractive index composites
JP6225066B2 (ja) * 2014-04-18 2017-11-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ト形成体、接着シート及び積層体
EP3135703B1 (en) * 2014-04-25 2019-10-16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opt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material
US10160141B2 (en) * 2014-11-25 2018-12-25 Novartis Ag Molds for making contact lenses
CN105062037A (zh) * 2015-08-14 2015-11-18 深圳市三十一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光学树脂透镜的制备方法
US11214650B2 (en) 2016-04-11 2022-01-0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sition for high refractive index low dispersion resins for composi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and composi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using the same
DE102016111418A1 (de) * 2016-06-22 2017-12-28 Carl Zeiss Smart Optics Gmbh Temporärer Schutzlack für Optikelement
CN107643607A (zh) * 2017-10-09 2018-01-30 苏州骏丰光学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蓝紫光性能的1.56折射率树脂镜片及制造方法
CN108329453B (zh) * 2018-03-07 2020-12-29 江阴市广豫感光材料有限公司 一种水性光固化树脂的制备方法
WO2019209703A1 (en) 2018-04-27 2019-10-31 Novol, Inc. Method and system for molding of thermoplastic optical polymers
EP3816201A4 (en) * 2018-06-29 2022-04-20 Hoya Lens Thailand Ltd.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ELEMENT AND OPTICAL ELEMENT
KR102652307B1 (ko) * 2019-01-21 2024-03-29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페놀성 수산기 함유 수지, 감광성 조성물, 레지스트막, 경화성 조성물 및 경화물
US11583388B2 (en) 2019-04-05 2023-02-21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spectacle independence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with an intraocular lens
US11944574B2 (en) 2019-04-05 2024-04-02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layer intraocular lens and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529230B2 (en) 2019-04-05 2022-12-20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power of an intraocular lens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564839B2 (en) 2019-04-05 2023-01-31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vergence matching of an intraocular lens with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583389B2 (en) 2019-04-05 2023-02-21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photic phenomenon from an intraocular lens and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678975B2 (en) 2019-04-05 2023-06-20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ar disease with an intraocular lens and refractive index writing
CN110028649A (zh) * 2019-05-07 2019-07-19 河南达人视界眼镜有限公司 一种具有高透光抗蓝光耐冲击的轻型镜片
CN112080199B (zh) * 2020-08-11 2021-07-30 山东益丰生化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增亮膜用光固化组合物
CN112759734A (zh) * 2020-12-28 2021-05-07 山东益丰生化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3d打印展示材料的聚硫氨酯树脂及其合成方法和应用
CN113088067B (zh) * 2021-04-30 2023-02-17 江苏可奥熙光学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折射环硫改性树脂及其制备方法
EP4282444A1 (en) * 2022-05-26 2023-11-29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Facile fabrication of a 3d-printable (bio)material, us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24003383A1 (en) 2022-06-30 2024-01-04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of fast curing a polythiourethane based substrate using a delayed-action catalyst
WO2024074596A1 (en) 2022-10-05 2024-04-11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of curing a polythiourethane based substrate with a salt catalys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301A (ja) * 1993-05-31 1994-12-06 Toray Ind Inc プラスチック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0428A (en) * 1980-11-10 1982-05-20 Sumitomo Bakelite Co Ltd Curable composition
JPS60199016A (ja) * 1984-03-23 1985-10-08 Mitsui Toatsu Chem Inc チオカルバミン酸s―アルキルエステル系レンズ用樹脂の製造方法
AU573471B2 (en) * 1986-03-01 1988-06-09 Mitsui Chemicals, Inc. Polythiocarbamate lense material
JPS6329692A (ja) * 1986-07-22 1988-02-08 工業技術院長 立体縫製における袖支持体
DE3784152T3 (de) * 1986-12-26 1997-03-20 Nippon Catalytic Chem Ind Harz mit hohem Brechungsindex,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optische Materialien aus diesem Harz.
JPS63199210A (ja) * 1987-02-13 1988-08-17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ラスチツクレンズ材料の製造方法
JPS63207805A (ja) * 1987-02-23 1988-08-29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ラスチツクレンズ材料の製造方法
DE68918356T2 (de) * 1988-07-14 1995-05-11 Mitsui Toatsu Chemicals Linse, ein Kunstharz mit hohem Brechungsindex enthalte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Linse.
US5270439A (en) * 1988-10-20 1993-12-14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Method of producing a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4,4'-bis(methacryloylthio)diphenylsulfide
US5087758A (en) * 1988-12-22 1992-02-11 Mitsui Toatsu Chemicals, Inc. Mercapto compound, a high refractive index resin and len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JP2621991B2 (ja) * 1988-12-22 1997-06-18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メルカプト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247041A (en) * 1989-02-22 1993-09-21 Toray Industries, Inc. Thiol methacrylate or acrylate resin obtained by polymerizing a thiol methacrylate or acrylate compound
DE4017940A1 (de) * 1990-06-05 1991-12-12 Univ Schiller Jen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pha), (omega)-difunktionellen praepolymeren mit zwei thiolendgruppen
JPH0525240A (ja) * 1991-07-19 1993-02-02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ラスチツクレンズ用組成物
JP2808992B2 (ja) * 1992-07-03 1998-10-08 東レ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
DE4234253A1 (de) * 1992-10-10 1994-04-14 Roehm Gmbh Monomere für hochlichtbrechende Kunststoffe
FR2699541B1 (fr) * 1992-12-22 1995-04-28 Essilor Int Compositions polymères à faible indice de jaune, compositions polymérisables et lentilles les mettant en Óoeuvre.
JPH06294901A (ja) * 1992-12-28 1994-10-21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材料
JP3205107B2 (ja) * 1993-02-09 2001-09-04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注型重合方法
US5578658A (en) * 1993-12-20 1996-11-26 Mitsui Toatsu Chemicals, Inc. High-speed polymerizable resin composition and lenses obtained therefrom
JP3279848B2 (ja) * 1993-12-20 2002-04-30 三井化学株式会社 高速重合性樹脂組成物およびレンズ
US5608115A (en) * 1994-01-26 1997-03-04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olythiol useful for preparing sulfur-containing urethane-based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300902B (ko) * 1994-11-17 1997-03-21 Mitsui Toatsu Chemicals
US5736609A (en) * 1995-06-30 1998-04-07 Mitsui Toatsu Chemicals, Inc. Sulfur-containing urethane-based resin composition, its resin, and optical element and lens comprising resin
US5679756A (en) * 1995-12-22 1997-10-21 Optima Inc. Optical thermoplastic thiourethane-urethane copolym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301A (ja) * 1993-05-31 1994-12-06 Toray Ind Inc プラスチックレン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881B1 (ko) 2001-11-05 2008-12-03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투명 폴리티오우레탄 기재 특히 광학 기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111A (ko) 1997-11-07
DE69706464T2 (de) 2002-04-11
EP0802208A1 (en) 1997-10-22
CN1172819A (zh) 1998-02-11
DE69706464D1 (de) 2001-10-11
CN1120188C (zh) 2003-09-03
US6019915A (en) 2000-02-01
EP0802208B1 (en) 2001-09-05
US5908876A (en)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664B1 (ko) 광학수지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930003464B1 (ko) 주형중합용 활성 광선 경화성 조성물 및 주형중합 성형물
JP3830227B2 (ja) 光学樹脂用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US4443588A (en) Highly refractive urethane polymers for use in optical lenses and lenses prepared therefrom
JP2005298736A (ja) 硫黄含有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含硫黄重合体並びに光学材料
JP3556332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レンズ
KR100241989B1 (ko) 티오우레탄프레폴리머화합물
JP3556027B2 (ja) 含硫(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1124903A (ja) 光硬化性樹脂製レンズ
JP3362987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
JP3859265B2 (ja) 光学樹脂用組成物、光学樹脂及び光学レンズ
JP2904840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材料
JPH02289622A (ja) 光学用樹脂の製造方法
JP3695838B2 (ja) 光学樹脂用組成物、光学樹脂及び光学レンズ
US5147959A (en) Optical resin articles
JPH06294901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材料
KR100477182B1 (ko) 수지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광학 렌즈
JP2804840B2 (ja) 重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製品
JPH10298260A (ja) 合成樹脂製レンズ
JP3739676B2 (ja) 合成樹脂製レンズ
JPH0532735A (ja) プラスチツクレンズ用組成物およびプラスチツクレンズの製造方法
KR20020002342A (ko) 저 비중, 고굴절률 광학 렌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86131B2 (ja) 重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製品
JPH03255117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
JP3104068B2 (ja) 高屈折率レンズ用モノ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