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340B1 -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340B1
KR100226340B1 KR1019960007475A KR19960007475A KR100226340B1 KR 100226340 B1 KR100226340 B1 KR 100226340B1 KR 1019960007475 A KR1019960007475 A KR 1019960007475A KR 19960007475 A KR19960007475 A KR 19960007475A KR 100226340 B1 KR100226340 B1 KR 100226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failure
opening
displayed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326A (ko
Inventor
미카 나카무라
마코토 하야시
도시야 하마사키
히데유키 사와야마
Original Assignee
타테이시 요시오
오무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테이시 요시오, 오무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타테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960035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장해가 발생했을 때에 상기 장해를 회복하는 순서를 화상을 포함한 정보로 표시함으로써, 장해를 회복할 때에 매뉴얼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해의 회복이 간단히 행해지는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ATM(1)은 지폐 잼 등의 장해를 검출하면,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에 RAM(4)에 기억하고 있는 회복 순서도와 상기 순서도의 설명문 및 기호를 판독하고, 이것을 상기 장해를 회복하는 회복 순서로서 표시한다. 이때, 장치 내부의 개폐부를 개폐할 때에 조작하는 레버에 붙여진 기호 또는 번호를 이용하여 회복 순서를 설명한다. 또한, 장해의 회복 처리시에 세트 미스가 있는 경우에는 이 세트 미스를 회복하는 순서를 상기와 같이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안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ATM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ATM을 정면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TM의 배면 판넬을 개방한 상태에서 배면에서 본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ATM의 장해 발생시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5a도 및 제5b도는 잼 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장해 발생시에 있어서의 담당자 안내 표시부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RAM의 메모리 에리어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회복 순서도 및 설명문, 기호를 판독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9도는 회복 순서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지폐 유닛을 닫았을 때의 외관도.
제11도는 지폐 유닛을 열었을 때의 외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TM 11 : 담당자 안내 표시부
12 : 개폐 검지부 13 : 잼 검지부
14 : 제 2 음성 안내부 15 : 통신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장해의 회복 순서를 안내하는 안내 장치 및 상기 안내 장치를 구비한 ATM(Automated Teller Machine: 자동 예금 인출ㆍ예입장치) 등의 자동 거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종래, ATM 등의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지폐 잼 등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장치 내부에 설치된 담당자 안내 표시부에 발생한 장해 코드 등을 표시하고 있다. 담당자는 상기 표시되어 있는 장해의 코드등에 의거하여 장치의 매뉴얼에서 해당하는 장해의 회복 순서가 기재되어 있는 페이지를 찾아서 매뉴얼과 장치를 보면서 장해의 회복 작업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해의 회복 작업이 시간이 걸리게 되어 장해를 회복하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이 길고, 자동 거래 장치의 가동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해 발생시에 상기 장해를 회복하는 순서를 화상을 포함한 정보로 표시함으로써, 장해를 회복시킬 때에 매뉴얼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해 회복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안내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기동율을 향상시킨 자동 거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안내 장치는 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장해를 검출하는 장해 검출 수단과, 장해별로 장치 내부에서의 회복 순서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 회복 순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회복 순서 기억 수단과, 상기 회복 순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생한 장해의 회복 순서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 장치는, 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장해를 검출하는 장해 검출 수단과, 장해별로 장치내부에서의 회복 순서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 한 회복 순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회복 순서 기억 수단과, 회복 순서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지시하는 회복 순서 지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장해 검출 수단으로 장해를 검출한 경우에 장해 개소를 표시하고, 상기 회복 순서 지시 수단으로 부터의 지시가 있은 경우에 장해의 회복 순서를 도시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복 순서 데이터는 발생한 장해를 제거하는 제거 순서와 장해를 제거한 후의 복구 설정 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마다 개폐를 검지하는 개폐 검지 수단과, 장해의 회복 처리 완료 후에 상기 개폐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개폐부의 세트 불량을 검지하는 세트 불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세트 불량 검출 수단에서 세트 불량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세트 불량의 회복 순서을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개폐부를 개폐할 때에 조작하는 레버 등의 개폐 조작부에 붙여진 기호나 번호 등과 동일한 기호나 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 검지 수단이 발생한 장해를 제거할 때에 마지막에 개폐되는 상기 개폐부의 개폐를 검지했을 때,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를 상기 제거 순서에서 상기 복구 설정 순서로 전환하는 표시 전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복 순서 데이터에는 회복 순서를 나타내는 화상 설명문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화상과 설명문을 대응시켜 표시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복 순서 데이터에는 회복 순서를 나타내는 화상을 설명하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음성으로 설명하는 음성 안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거래 장치는 청구항 1 및 2에 기재된 상기 안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해 검출 수단은 지폐의 잼을 검출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해 검출 수단은 지폐의 잼을 검출하는 센서의 오염 등에 의한 불량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는 장해 검출 수단이 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장해를 검출하면, 이 발생한 장해의 회복 순서의 화상을 포함한 데이타를 회복 순서 기억 수단에서 판독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장해를 회복할 때 매뉴얼을 보지않고, 발생하고 있는 장해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에, 장해의 회복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장해를 회복한 후에 장치 본체를 복구하는 복구 설정 순서도 표시되기 때문에 장해를 회복한 후의 장치 본체의 복구가 간단히 행해진다.
또한, 개폐부마다 개폐를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장해의 회복이 종료한 후에 상기 개폐부가 정확히 세트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세트 불량을 검출하면, 이것을 회복하는 순서를 표시한다. 따라서, 세트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 세트 불량을 간단히 회복할 수 있다.
또한 , 상기 개폐부를 개폐할 때에 조작하는 레버에 붙여진 기호나 부호 등과 동일한 기호나 번호를 표시하기 때문에, 회복 조작에 있어서의 오조작을 없앨 수 있고, 회복에 요하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장해를 회복할 때에 마지막에 개폐되는 개폐부의 개폐를 검지하면, 표시를 제거 순서에서 복구 설정 순서로 전환한다. 따라서, 특별히 제거 순서에서 복구 설정 순서로 표시를 전환하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또한, 회복 순서로서 표시한 화상에 대해 해당 화상의 설명문도 표시하고 해당 화상의 설명을 음성으로 출력하므로써 담당자에게 장해의 회복 순서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자동 거래 장치는 상기 안내 장치에 의해 지폐 잼이나 지폐 잼을 검출하는 센서의 오염 등에 의한 장해의 회복 작업이나 보수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자동 거래 장치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ATM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제 2 도는 ATM의 정면 사시도, 제 3 도는 배면 판넬을 개방한 상태의 배면에서의 사시도이다. ATM(1)은 CPU(2)와 ROM(3)과 RAM(4)과 거래 전표의 발행이나 캐시카드를 받아들이는 전표 및 카드유닛(5)과, 통장을 받아들여 거래 내용을 인쇄하는 통장유닛(6)과, 입금 또는 출금하는 지폐의 반송 등을 행하는 지폐 유닛(7)과, 입금 또는 출금하는 경화의 반송 등을 행하는 경화 유닛(8)과, 거래 내용의 입력 등을 행하는 조작부(9)와, 조작 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제 1 음성 안내부(10)와, 발생한 장해 내용의 표시등을 행하는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와, 장치 내부에 있어서 장해의 회복 처리시에 개폐되는 모든 개폐부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개폐 검지부(12)와, 지폐나 전표 등의 잼을 검출하는 잼 검지부(13)와, 장해 회복의 순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제 2 음성 안내부(14)와, 센터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5)를 구비하고 있다. CPU(2)와 ROM(3)과 RAM(4)의 일부와,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의 개폐 검지부(12)와 잼 검지부(13)와 제 2의 음성 안내부(14)로 본 발명의 안내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ATM(1)에는 CPU(2)와 ROM(3)와 RAM(4)과 개폐 검지부(12)와 잼 검지부(13)는 본 발명의 안내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ATM에도 구비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는 이것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ATM(1)의 가격 상승도 생기지 않는다.
ATM(1)의 접객부측(전면측)에는 캐시카드를 삽입하는 카드 삽입구(5a), 거래 전표를 발행하는 전표 발행구(5b), 통장을 삽입하는 통장 삽입구(6a), 지폐의 투입 또는 인출을 행하는 지폐 투입구(7a), 경화의 투입 또는 인출을 행하는 경화 투입구(8a) 및, 회복 순서의 표시나 암증(暗證: (은행에서) 캐시카드를 쓸 때의 약호(略號) 번호등의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조작 판넬(9a)이 설치되어 있다(제 2 도 참조). 또한, 담당자 안내 표시부(11)는 배면 판넬(1a)의 장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제 3 도 참조). 또한, ATM(1)에서의 입금이나 인출등의 거래 처리에 관해서는 공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도는 동일 ATM의 장해 발생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로우챠트의 각 스텝을 (Si)로 나타낸다. ATM(1)은 장해의 발생을 검지하면(S1), 통신부(15)에서 센터에 장해가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S2). 여기서는 지폐 유닛(7)에서 지폐 잼이 발생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지폐의 잼은 잼 검지부(13)에서 검출된다. 잼 검지부(13)는 제 5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의 반송 중에는 다수의 포토센서 S1~Sn 과 LED1~LEDn이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각 포토센서 S1~Sn마다 비교기(X1~Xn)에서 출력과 기준 전압 V1이 비교되어 있다. 비교기(X1~Xn)의 출력은 CPU(2)에 입력되어 있다(제 5b 도 참조). 또한, 스위치(SW1~SW3)에 의해 비교기(X1~Xn)에 기준 전압 V1, V2, V3을 전환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통상의 운용시에는 비교기 X1~Xn에는 기준 전압 V1을 입력하고, 이하에 나타낸 처리로 지폐의 잼을 검지하고 있다. 한편, 상승시에는 비교기 X1~Xn에 기준 전압 V2를 입력하여, 각 포토센서 S1~Sn의 먼지 등에 의한 오염으로, 운용 중에 각 포토센서 S1~Sn이 오동작하지 않는가를 판정하고 있다. 더욱이, 메인티넌스시에는 비교기 X1~Xn 에 기준 전압 V3를 입력하여, 다음에 메인티넌스를 행할 때까지 각 포토센서 S1~Sn이 먼지등에 의한 오염에 의해 오동작하지 않는가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 기준 전압 V1~V3는 V1 V2 V3의 관계가 있다.
센서 S의 설치 위치를 SIHE1가 통과하면, 해당 센서 S의 출력이 접속되어 있는 비교기 X의 출력이 반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비교기 X의 출력은 통상시에는 L 레벨이고, 지폐의 통상시에 H레벨로 변화하도록 하고 있다. CPU(2)는 각 비교기 X1~Xn의 출력을 집어넣어 지폐 잼이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센서 S1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지한 후에 소정의 시간내에 센서 S2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 센서 S1과 센서 S2사이에서 지폐의 잼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또한, 전표의 반송로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표의 잼을 검출하고 있다.
담당자는 단계2에서 센터에 장해가 발생했다는 것이 통지 되어오면, 해당 ATM(1)의 설치 장소에 가서 배면 판넬(1a)을 연다. 그리고, 배면 판넬(1a)에 설치되어 있는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한다. ATM(1)은 단계2에서 센터에 장해 발생을 통지한 후에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에 발생한 장해의 개요를 표시하고 있다(단계3). 제 6 도는 지폐 유닛(7)에서 지폐잼이 발생한 경우의 예이다. 표시 화면의 좌측에는 장해 내용 및 회복 방법을 표시하고 있고, 우측에는 장치 내부의 지폐가 잼하고 있는 장소를 붉게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표시면은 터치 판넬로 되어 있고, 하부에는 CE용 정보기(21), 회복 순서 상세키(22), 장해 일람키(23), 다른 장해키(24)를 표시하고 있다.
CE방향 정보키(21)가 조작되면(단계4), 에러 코드 및 메인티넌스 코드를 표시한다(단계5). 장해 일람키(23)가 조작되면(단계6), 현재 발생하고 있는 모든 장해내용을 문장만으로 표시한다(단계7). 이 경우에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의 표시는 행하지 않는다. 다른 장해키(24)가 조작되면(단계8), 현재 발생하고 있는 다른 장해[예를 들면, 전표 및 카드 유닛(5)에서 전표의 잼도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장해]에 대해 제 6 도에 도시한 표시를 행한다(단계9). 회복 순서 상세키(24)가 조작되면(단계10), CPU(2)가 장해 발생 장소 및 장해 내용에 의거하여 회복 순서 및 해당 회복 순서도의 설명문 및 기호를 RAM(4)에서 판독한다(단계11). RAM(11)에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복 순서를 나타내는 그림 a1~an을 기억하는 회복 순서도 기억 에리어(31)와 회복 순서도의 설명문이나 기호 b1~bn을 기억하는 설명문 기억 에리어(32)와 장해의 종류마다 장해의 회복에 필요한 상기 회복 순서도 번호와 상기 설명문 번호를 각각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 데이터 기억 에리어(33)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단계11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8 도는 회복 순서도 및 해당 회복 순서도의 설명문 및 기호를 RAM(4)에서 판독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CPU(2)는 대응 데이터 기억 에리어(33)에서 해당하는 장해의 대응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21). 여기서, 판독된 대응 데이터가 예을 들면(a1,b1), (a2,b2), (a3,b3)...이라고 한다. CPU(2)는 이 대응 데이터에 의거하여 회복 순서도 기억 에리어(31)에 기억되어 있는 회복 순서도 (a1~a3...)와, 설명문 기억 에리어(32)에 기억되어 있는 설명문 및 기호(b1~b3...)를 판독한다(단계22, 단계23).
이와 같이하여 판독한 회복 순서도(a1~a3)와 설명문 및 기호(b1~b3)을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에 표시한다(단계12). 이때의 표시예를 제 9 도에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표시화면을 3개로 분할하여, 좌로부터 회복 순서도(a1, a2, a3)를 표시하고, 설명문을 그림 밑에 표시하는 동시에 기호를 도면내에 표시한다. 여기서, 도면중에 표시한 L4등의 기호는 장치 내부의 개폐부를 개폐할 때에 조작하는 레버에 부착된 시일등에 기재되어 있는 기호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이 기호는 설명문 기억 어레이(32)에 설명문과 함께 기억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발생한 장해를 제거하기까지의 제거 순서만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하부에는 이 장해의 회복 처리를 행할 때에 주의해야만 하는 것을 기억하는 에리어가 설치되어 있다(도면내에 문장이 기재되지 않은 에리어가 이것이다). 또한, 하부에는 헬프키가 설치되어 있다. 이 헬프키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 10 도는 지폐 유닛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제 9 도에 도시된 회복 순서에 의거하여 장해의 회복을 행한다. 최초에 레버(L4)를 잡고 안전 로크가 걸릴 때까지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올리고, 레버(L12)를 잡고 도면내의 화살표 방향으로 올린다. 지폐 유닛(7)이 열려진 상태를 제 11 도에 도시한다.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에 포토 인터럽트 등의 센서(41)를 설치하여, 개폐 상태를 검지하고 있다. 담당자는 이 상태에서 막힌 지폐를 제거하고, 상기 처리와 반대의 순서로 개폐부를 닫는다. 이때 안전 로크가 작용하고 있는 개폐부를 닫는 경우에는 안전 로크를 해제할 필요가 있다. 담당자는 이때에 안전 로크의 해제 방법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헬프키를 조작하면(단계13), 이 안전 로크의 해제 방법을 포함한 장해의 제거 후(여기서는 재밍된 지폐를 제거한 후) 복수 설정 순서가 표시된다(단계14). 따라서, 담당자는 장해 제거 후의 복구 설정 순서를 알 수 없는 경우라도 헬프키를 조작하면, 복구 설정 순서가 표시되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서 간단히 장치의 세트를 행할 수 있다.
담당자는 장해의 회복 처리를 완료하면, 도시하지 않은 리셋키를 조작한다. 리셋키가 조작되면(단계15), 각 개폐부가 모두 닫혀 있는가를 확인하여 세트 불량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16). 이것은 개폐 검지부(12)가 포토 인터럽트 등의 센서(41)의 출력을 확인함으로써 행한다. 이때, 개폐부가 닫혀 있지 않는 등의 세트 불량을 검출하면,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에 세트 불량이라는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이 세트 불량의 회복 순서를 나타낸다(단계17). 세트 불량의 회복 순서 역시, 상기 장해 발생 경우와 마찬가지로 RAM(4)에서 회복 순서도와 설명문 및 기호를 판독하여 표시함으로써 행한다.
이상과 같이, 담당자는,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에 장해를 회복하기 위한 회복 순서가 표시되기 때문에, 매뉴얼을 보지 않고 장해가 회복되기 때문에, 장해의 회복에 요하는 시간이 짧고, ATM(1)의 가동율이 향상된다. 또한, 장치 내부의 개폐부를 개폐할 때에 조작하는 레버에 부여한 번호 또는 기호와 동일한 번호, 기호도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담당자에게 장해 회복 순서를 보다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장해의 회복 처리시에 세트 미스를 행하여도, 이것에 대한 회복 순서도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세트 미스도 간단히 회복할 수 있다. 또한 회복 순서도와 설명문 및 기호를 따로따로 기억하도록 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개폐부의 베거가 2개 있고 조작이 다른 경우에도 동일 회복 순서도를 사용하고, 설명 및 기호를 변환시키므로써 이들 2개의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의 설명이 행해진다. 즉, 회복 순서도를 기억하는 기억 에리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장해의 제거후에 복구 설정 순서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헬프키를 조작하여 복구 설정 순서가 표시된다고 했지만, 장해 제거시에 마지막의 개폐부가 개폐된 것을 검지했을 때에, 담당자 안내 표시부(11)의 표시를 복구 설정 순서로 전환하는 용도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회복 순서도의 설명을 제 2의 음성 안내부(14)로부터 음성 출력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같이 하면, 표시 된 설명문을 읽을 필요가 없이, 장해의 회복 처리가 보다 간단히 행해지고, 더욱이 ATM(1)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복 순서를 애니메이션 등에 의해 표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승시에 상기한 포토센서(S1~Sn)의 먼지 등에 의한 오염으로, 운용 중에 각 포토센서(S1~Sn)가 오동작하지 않는지를 판정했을 때에도 센터에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장해 발생시와 마찬가지로 이 오염되어 있는 포토센서 S의 청소순서를 담당자 안내 표시부에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토 센서 S의 청소 등의 보수 작업도 매뉴얼을 보지 않고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안내 장치를 ATM에 적용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사기 등의 OA기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안내 장치에 의하면, 발생한 장해의 회복 순서를 화상을 포함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담당자는 이 표시에 따라서 장해의 회복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해의 회복시에 매뉴얼을 볼 필요가 없어지고, 장해의 회복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장해의 회복이 완료한 후에 상기 개폐부가 정확히 세트되지 않은 세트 불량을 검출하면 이것을 회복하는 순서를 표시한다. 따라서, 세트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 세트 불량을 간단히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장해의 회복 순서가 개폐부를 개폐할 때에 작업하는 레버 등에 붙여진 기호나 번호와 동일한 기호나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기 때문에 정확히 장해의 회복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는 장해의 회복에 요하는 시간이 안내 장치에 의해 단축되고,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장해를 검출하는 장해검출수단(13)과, 장해별로 장치내부에서의 회복 순서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a1, a2 ...)를 포함한 회복순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회복 순서 기억수단(4)과, 상기 회복 순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생한 장해의 회복 순서를 도시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
  2. 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장해를 검출하는 장해검출수단(13)과, 장해별로 장치내부에서의 회복 순서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a1, a2 ...)를 포함한 회복 순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회복 순서 기억수단(4)과, 회복 순서의 화상데이타(a1, a2 ...)를 표시하는 것을 지시하는 회복 순서 지시수단(22)을 구비하고, 상기 장해 검출수단(13)으로 장해를 검출한 경우에 장해 개소를 표시하고, 상기 회복 순서 지시 수단(22)으로부터의 지시가 있은 경우에 장해의 회복 순서를 도시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
KR1019960007475A 1995-03-16 1996-03-16 안내 장치 KR100226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86295 1995-03-16
JP7086295A JPH08255280A (ja) 1995-03-16 1995-03-16 案内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326A KR960035326A (ko) 1996-10-24
KR100226340B1 true KR100226340B1 (ko) 1999-10-15

Family

ID=1388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475A KR100226340B1 (ko) 1995-03-16 1996-03-16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55280A (ko)
KR (1) KR1002263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12B1 (ko) 2010-07-28 2012-11-12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
KR101900765B1 (ko) * 2016-02-05 2018-09-20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기기 장애 처리 장치 및 장애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9812B2 (ja) * 2003-02-25 2006-10-04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説明方法、および操作説明装置
JP5271670B2 (ja) * 2008-11-05 2013-08-21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機システム
JP6309383B2 (ja) * 2014-07-25 2018-04-1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12B1 (ko) 2010-07-28 2012-11-12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
KR101900765B1 (ko) * 2016-02-05 2018-09-20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기기 장애 처리 장치 및 장애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326A (ko) 1996-10-24
JPH08255280A (ja) 199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2707B2 (ja) 自動取引装置
KR100849045B1 (ko) 복구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 거래 장치
KR850000295B1 (ko) 거래처리 장치
JP4866021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216564B1 (ko) 현금처리기
US20050091159A1 (en) Bill handling apparatus
CN104881918B (zh) 金钱处理装置用的操作指南显示系统、程序及记录介质
JP5025908B2 (ja) 棒金収納庫と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WO2014024613A1 (ja)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KR100226340B1 (ko) 안내 장치
KR20090018769A (ko) 자동거래장치
JP4475972B2 (ja) 現金処理装置
JP5244540B2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機システム
WO2015019696A1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19106014A (ja) 現金自動預払機、端末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2971278B2 (ja) 紙幣処理装置における障害の復旧方法
KR0148725B1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JPS5925263B2 (ja) 通帳類取扱装置
KR101268711B1 (ko) 지폐인출장치 및 이의 인출방법
JP2011258116A (ja) 自動機
JP4785446B2 (ja) 自動取引機及び硬貨入出金機の係員取扱案内装置
JP6436622B2 (ja) 現金処理装置
KR100641250B1 (ko) 지엽류 모서리 접힘 검출 방법 및 지엽류 모서리 접힘 검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H11203539A (ja) 自動取引装置
JPH09153164A (ja) 係員操作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