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112B1 -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112B1
KR101200112B1 KR1020110020055A KR20110020055A KR101200112B1 KR 101200112 B1 KR101200112 B1 KR 101200112B1 KR 1020110020055 A KR1020110020055 A KR 1020110020055A KR 20110020055 A KR20110020055 A KR 20110020055A KR 101200112 B1 KR101200112 B1 KR 10120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screen data
charge
generated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312A (ko
Inventor
사토시 무코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과제) 장치의 보수 작업에 요하는 시간 및 개발 비용을 저감한다.
(해결수단)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1)는, 조작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수단(2)과, 본체 장치(9)의 보수 작업에 이용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과,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4)과,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외부의 단말(8)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5)과, 외부의 단말(8)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6)과, 입력 수단(2)이 생성한 입력 신호 및 수신 수단(6)이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본체 장치(9)의 보수 작업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실행 수단(7)을 갖는다.

Description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PERSON IN CHARGE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PERSON IN CHARGE OPER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조작을 제어하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금융 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거래 장치(ATM : Automated Teller Machine) 등, 보수 작업이 필요한 장치에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이 갖춰져 있는 것이 존재한다. 담당자 조작용 화면에는, 장치의 운용 상태 등, 장치의 보수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가 표시된다. 담당자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을 열람함으로써, 장치의 운용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담당자 조작용 화면에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이 갖춰져 있고, 담당자는 이 터치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보수 작업에 필요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담당자 조작용 화면은, 예를 들어 컴플라이언스, 개인 정보 보호, 범죄 억지의 관점 등에서, 장치의 외측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고, 장치의 내부 기기의 보안을 겸하는 도어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담당자는 이 도어를 열지 않고서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의 열람 및 조작을 행할 수 없다. 이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경비 회사에 연락하여 도어의 경보를 해제해야 한다. 이 때문에, 담당자 조작용 화면의 열람 및 조작에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장치의 운용 상태를 장치로부터 별도의 단말에 송신하고, 그 별도의 단말을 담당자가 열람 및 조작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장치에 설치된 담당자 조작용 화면을 열람 및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보수 작업에 요하는 시간을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복수 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데이터 교신이 가능한 통신부,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 및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키를 갖는 조작부를 갖는 자동 거래 장치용 메인터넌스 단말로서, 조작 패널을 제거한 복수의 자동 거래 장치와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하여, 복수의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원거리에서 패널 조작을 행하는 회선부, 및 백업 센터와의 사이에서 정보 전달을 행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존재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 입력부와, 표시부와, 복수대의 자동 거래 장치로부터의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가 들어왔을 때, 그 데이터를 발신원마다 표시부에 표시하는 운용 감시부와, 개개의 자동 거래 장치가 갖는 자동 거래 기능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입력부의 조작에 의한 자동 거래 기능의 전환을 검지했을 때에는 그 정보를 조작 대상인 자동 거래 장치에 송출하여 제어시키는 운용 제어부를 포함하는 담당자 조작장치가 존재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 자동 거래 장치와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을 실현하여, 자동 거래 장치에 보수의 동작을 실시시키는 동작 지시를 입력하는 조작부와, 이 동작 지시에 기초하는 동작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단말이 존재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536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54351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5-274336호 공보
그러나, 장치의 운용 상태를 장치로부터 별도의 단말에 송신하고, 그 별도의 단말을 담당자가 열람 및 조작하는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장치의 운용 기능이 증가하면, 별도의 단말에서 업데이트가 필요해지고, 그 때마다 별도의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한다. 또, 장치의 종류마다 별도의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한다. 이 때문에, 개발비가 대폭 증대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장치의 보수 작업에 요하는 시간 및 개발 비용을 저감하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는, 조작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수단과, 본체 장치의 보수 작업에 이용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과,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외부의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외부의 단말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입력 수단이 생성한 입력 신호 및 수신 수단이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본체 장치의 보수 작업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실행 수단을 갖는다.
또, 이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은, 본체 장치의 보수 작업에 이용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단말로부터의 의뢰에 기초하여, 생성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단말에 송신하고, 단말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본체 장치의 보수 작업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개시된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장치의 보수 작업에 요하는 시간 및 개발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거래 장치의 하드웨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담당자 단말의 하드웨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담당자 단말에 의한 조작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1)는, 예를 들어, 보수 작업의 대상이 되는 본체 장치(9)에 설치되어 있다.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1)는, 입력 수단(2)과,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과, 표시 수단(4)과, 송신 수단(5)과, 수신 수단(6)과, 처리 실행 수단(7)을 갖고 있다.
입력 수단(2)은, 담당자에 의해 조작되고, 담당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입력 수단(2)에는, 예를 들어 표시 수단(4)에 중복하여 배치된 터치 패널이 이용되고 있다.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은, 본체 장치(9)의 보수 작업에 이용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본체 장치(9)의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나, 커맨드 버튼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표시 수단(4)은,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송신 수단(5)은,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외부의 단말(8)에 송신한다. 송신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진다. 외부의 단말(8)은, 표시 수단(10)을 갖고 있고, 송신 수단(5)이 송신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는, 이 표시 수단(10)에 표시된다. 또, 외부의 단말(8)은, 담당자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 수단(11)을 가지며, 담당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 수단(6)은, 외부의 단말(8)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처리 실행 수단(7)은, 입력 수단(2)이 생성한 입력 신호 및 수신 수단(6)이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본체 장치(9)의 보수 작업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본체 장치(9)의 보수 작업에 관한 처리란, 예를 들어,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의 전환이나, 본체 장치(9)의 운용 상태에 관한 데이터 수집이나, 본체 장치(9)에 설치된 내부 기기의 복구 등이다.
담당자가 표시 수단(4)을 열람하여 본체 장치(9)의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 표시 수단(4)이,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 담당자가 입력 수단(2)을 조작하면, 입력 수단(2)이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처리 실행 수단(7)이 생성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한다.
담당자가 외부의 단말(8)을 이용하여 본체 장치(9)의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 송신 수단(5)이,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외부의 단말(8)에 송신한다. 외부의 단말(8)에 송신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는, 외부의 단말(8)의 표시 수단(10)에 표시된다.
또, 담당자가 외부의 단말(8)의 입력 수단(11)을 조작하면, 외부의 단말(8)이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수신 수단(6)이 생성된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처리 실행 수단(7)이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1)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외부의 단말(8)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5)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단말(8)에서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1)로부터 송신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 수단(10)에 표시하면 되기 때문에, 외부의 단말(8)에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즉,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본체 장치(9)의 운용 기능이 증가한 경우라 하더라도, 새롭게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필요가 없다. 또, 종류가 상이한 본체 장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도, 본체 장치의 종류마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필요도 없다. 이에 따라, 본체 장치의 보수 작업에 요하는 시간 및 개발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1)에서는, 외부의 단말(8)에 송신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 수단(4)에 표시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3)이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단말(8)에 송신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1)에서는, 외부의 단말(8)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을, 입력 수단(2)이 생성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실행 수단(7)이 행하기 때문에, 외부의 단말(8)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처리 실행 수단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1)는, 종래의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에 대하여, 대규모 개조를 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1)를 금융 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거래 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제2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담당자 조작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자동 거래 장치(100a, 100b, 100c, 100d)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라우터(20)와, 무선 LAN 중계 장치(21)와, 복수의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을 포함한다.
자동 거래 장치(100a~100d)는, 예를 들어, 금융 기관의 점포 코너(22)에 설치되어 있다. 자동 거래 장치(100a~100d)와 무선 LAN 라우터(20)는 각각 LAN(23)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LAN 라우터(20)는, 무선 LAN 중계 장치(21)와 무선 접속된다. 무선 접속 대신 유선 접속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은, 예를 들어 금융 기관의 사무소 스페이스(24) 내에서 이용된다.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은 각각 무선 LAN 중계 장치(21)와 무선 접속된다. 무선 접속 대신 유선 접속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자동 거래 장치(100a~100d)와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은, LAN(23), 무선 LAN 라우터(20), 무선 LAN 중계 장치(21)를 통해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자동 거래 장치(100a~100d) 및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는 각각 별개의 IP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100a~100d)의 하드웨어에 관해 설명한다. 자동 거래 장치(100a~100d)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여기서는 대표로 자동 거래 장치(100a)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거래 장치의 하드웨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동 거래 장치(100a)는, 제어부(101)와, 제어부(101)에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제어부(101)에 의해 제어되는 카드 판독 인자(印字)부(108)와, 영수증 인자부(109)와, 저널 인자부(110)와, 통장 인자부(111)와, 지폐 입출금부(112)와, 동전 입출금부(113)와, 전원(120)을 갖는다. 전원(120)에는, 예를 들어 무정전 전원 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가 이용되고 있다.
제어부(101)는, 회선 제어부(102)와, 고객 화면 제어부(103)와, 담당자 화면 제어부(104)와, 보조 기억부(105)를 갖고 있다. 보조 기억부(105)는, HDD(Hard Disk Drive)(106)와 광학 드라이브(107)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 거래 장치(100a)는, 고객 화면 제어부(103)에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고객 화면 제어부(103)에 의해 제어되는 고객 조작부(114)와, 담당자 화면 제어부(104)에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담당자 화면 제어부(104)에 의해 제어되는 담당자 조작부(117)를 갖는다. 고객 조작부(1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115)와 터치 패널(116)을 포함한다. 담당자 조작부(117)는, LCD(118)와 터치 패널(119)을 포함한다.
여기서, 담당자 화면 제어부(104) 및 담당자 조작부(117)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를 구성한다. 또, 담당자 화면 제어부(104) 및 담당자 조작부(117)에 추가하여, 보조 기억부(105)의 일부를 이용하여,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를 구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의 하드웨어에 관해 설명한다.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여기서는 대표로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담당자 단말의 하드웨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은, 제어 보드(301)와, 제어 보드(301)에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제어 보드(301)에 의해 제어되는 LCD(304)와, 터치 패널(305)과, 네트워크 화상 어댑터(306)와, 장치 선택 스위치(307)와, 보안 키(308)와, 카드 리더 라이터(309)와, 배터리(310)를 갖는다.
제어 보드(301)는, LCD(304)의 화면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LCD 표시부(302)와, USB(Universal Serial Bus)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USB-IF(Interface)부(303)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화상 어댑터(306), 외부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면 데이터 및 USB 신호를 수신한다. 또, 네트워크 화상 어댑터(306)는, 제어 보드(301)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외부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화상 어댑터(306)는, 무선 LAN 또는 유선 LAN에 접속된다.
장치 선택 스위치(307)는, 자동 거래 장치(100a~100d) 중에서 접속처의 장치를 선택한다. 보안 키(308)는, 물리적으로 조작을 허가하는 키 또는 생체 인증에 의해 조작을 허가하는 생체 정보 등이다. 카드 리더 라이터(309)는, 조작자의 특정이 가능한 IC(Integrated Circuit) 카드나 자기 ID(Identification) 카드의 리더 라이터이다. 생체 인증 장치(312)는, 조작자의 생체 정보를 판독한다. 배터리(310)는, 외부 전원 케이블(311)에 접속되고, 제어 보드(301) 및 네트워크 화상 어댑터(306)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하드웨어에 의해, 자동 거래 장치(100a~100d)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는, LCD(304)에 표시된다. 또, 담당자가 터치 패널(305)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입력 신호는 자동 거래 장치(100a~100d)에 송신된다. 또, 조작을 행하는 담당자를 식별하는 식별 신호가, 자동 거래 장치(100a~100d)에 송신된다. 또, 담당자가 장치 선택 스위치(307)를 누름으로써, 자동 거래 장치(100a~100d) 중 선택된 장치에 접속 의뢰 신호가 송신된다.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설치된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의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는, 입력 수단(201)과, 표시 수단(202)과,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과, 화면 구동 수단(205)과, 화면 제어 수단(206)과, LAN 변환 제어 수단(207)과, LAN 구동 수단(208)과, 통신 제어 수단(209)과, 처리 실행 수단(210)과,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을 갖는다.
입력 수단(201)은, 담당자에 의해 조작되고, 담당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신호를 처리 실행 수단(210) 및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에 출력한다.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은, 자동 거래 장치(100a)의 보수 작업에 이용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자동 거래 장치(100a)의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나, 커맨드 버튼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은, 조작을 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면 구동 수단(205)은,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이 생성한 화면 데이터를, 화면 제어 수단(206) 및 LAN 변환 제어 수단(207)에 출력한다. 화면 제어 수단(206)은, 화면 구동 수단(205)으로부터 출력된 화면 데이터를 표시 수단(202)에 표시시킨다.
LAN 변환 제어 수단(207)은, 화면 구동 수단(205)으로부터 출력된 화면 데이터를, LAN의 통신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LAN 구동 수단(208)에 출력한다. 또, LAN 변환 제어 수단(207)은, 통신 제어 수단(209)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내부의 통신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여 처리 실행 수단(210) 및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에 출력한다.
LAN 구동 수단(208)은, LAN 변환 제어 수단(207)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통신 제어 수단(209)에 출력한다.
통신 제어 수단(209)은, LAN 변환 제어 수단(207)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LAN(23)을 통하여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 송신한다. 또, 통신 제어 수단(209)은,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로부터 출력된 입력 신호 및 접속 의뢰 신호를 LAN(23)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 및 접속 의뢰 신호를 LAN 변환 제어 수단(207)에 출력한다.
처리 실행 수단(210)은, 입력 수단(201)이 생성한 입력 신호 및 LAN 변환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 거래 장치(100a)의 보수 작업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자동 거래 장치(100a)의 보수 작업에 관한 처리란, 예를 들어,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의 전환이나, 자동 거래 장치(100a)의 운용 상태에 관한 데이터 수집이나,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설치된 내부 기기의 복구 등이다.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자동 거래 장치(100a) 및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 의한 담당자의 조작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 검출은, 예를 들어,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가 천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의한 조작의 유무의 검출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설치된 보안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화면 구동 수단(205)으로부터 화면 제어 수단(206) 및 LAN 변환 제어 수단(207)에의 화면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처리 실행 수단(210)에서의 처리의 실행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이 생성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운용 확인시의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220)를 나타낸다.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220)에는, 예를 들어, 장치 상태 데이터(221), 보수 데이터 커맨드(222), 휴지 데이터 커맨드(223), 담당자 처리 커맨드(224)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6의 (B)는, 휴지 처리시의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230)를 나타낸다.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230)에는, 예를 들어, 장치 상태 데이터(231), 보수 데이터 커맨드(232), 운용 데이터 커맨드(233), 담당자 처리 커맨드(234), 복구 처리 커맨드(235)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6의 (C)는, 담당자 처리시의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240)를 나타낸다.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240)에는, 예를 들어, 스케쥴 설정 데이터(241), 보수 데이터 커맨드(242), 휴지 데이터 커맨드(243), 운용 데이터 커맨드(244)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의 처리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또는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b)에 의한 조작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처리는,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또는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b)로부터 송신된 접속 의뢰 신호를, 통신 제어 수단(209)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시작된다.
[단계 S100]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자동 거래 장치(100a) 및 접속 의뢰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담당자 단말이 아닌 다른 모바일 담당자 단말에 의한 조작의 유무를 판정한다. 조작이 없는 경우,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처리를 단계 S101로 진행시킨다. 조작이 있는 경우,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처리를 단계 S104로 진행시킨다.
[단계 S101]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화면 구동 수단(205)을 제어하여,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LAN 변환 제어 수단(207)에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통신 제어 수단(209)에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가 출력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수단(209)이, 접속 의뢰가 있었던 모바일 담당자 단말에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통신 제어 수단(209)이, 액세스 로그를 남기도록 해도 좋다.
[단계 S102]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통신 제어 수단(209)을 통해 수신한, 접속 의뢰가 있었던 모바일 담당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조작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허가하는 경우,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처리를 단계 S103로 진행시킨다. 허가하지 않는 경우,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처리를 단계 S105로 진행시킨다.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조작의 허가를 담당자의 액세스 레벨에 따라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단계 S103] 처리 실행 수단(210)이, 통신 제어 수단(209)을 통해 수신한, 접속 의뢰가 있었던 모바일 담당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04]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화면 구동 수단(205)을 제어하여,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이 생성한 통지 화면 데이터를, LAN 변환 제어 수단(207)에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통신 제어 수단(209)에 통지 화면 데이터가 출력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수단(209)이, 접속 의뢰가 있었던 모바일 담당자 단말에 통지 화면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통신 제어 수단(209)이, 액세스 로그를 남기도록 해도 좋다.
[단계 S105]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처리 실행 수단(210)에 의한 처리의 실행을 금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접속 의뢰가 있었던 모바일 담당자 단말에 의한 조작이 억지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자동 거래 장치(100a) 및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의 사이에서, 조작이 중복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의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처리는,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의한 조작 의뢰를 검출함으로써 시작된다. 조작 의뢰의 검출은, 예를 들어,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입력 수단(201)을 통해 조작 의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행해진다.
[단계 S200]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 의한 조작의 유무를 판정한다. 조작이 없는 경우,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처리를 단계 S201로 진행시킨다. 조작이 있는 경우,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처리를 단계 S204로 진행시킨다.
[단계 S201]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화면 구동 수단(205)을 제어하여,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화면 제어 수단(206)에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표시 수단(202)에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가 표시된다.
[단계 S202]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조작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의 허가의 판정은, 예를 들어,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입력 수단(201)을 통해 담당자를 식별하는 식별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행해진다. 허가하는 경우,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처리를 단계 S203으로 진행시킨다. 허가하지 않는 경우,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처리를 단계 S205로 진행시킨다.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은, 조작의 허가를 담당자의 액세스 레벨에 따라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단계 S203] 처리 실행 수단(210)이, 입력 수단(201)으로부터 출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04]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화면 구동 수단(205)을 제어하여,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이 생성한 통지 화면 데이터를, 화면 제어 수단(206)에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표시 수단(202)에 통지 화면 데이터가 표시된다.
[단계 S205]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처리 실행 수단(210)에 의한 처리의 실행을 금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의한 조작이 억지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자동 거래 장치(100a) 및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의 사이에서, 조작이 중복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의한 조작이 있을 때,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 의한 조작이 검출된 경우, 통신 제어 수단(209)이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의 접속을 강제적으로 절단해도 좋다.
또,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의한 조작이 있을 때,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 의한 조작이 검출된 경우, 조작 상황 검출 수단(211)이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 수단(202)에 표시시키고, 조작에 관해서는 억지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에 의한 조작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담당자 단말에 의한 조작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300] 담당자가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의 전원을 투입한다.
[단계 S301]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이, 자동 거래 장치(100a~100d) 중 디폴트의 장치에 접속한다.
[단계 S302]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이, 보안 키(308)에 의해 키 또는 생체 인증으로 조작을 허가한다. 또한, 카드 리더 라이터(309)에 의해 IC 카드나 자기 ID를 판독하거나, 또는 생체 인증 장치(312)에 의해 생체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담당자의 인증을 행한다.
[단계 S303] 담당자가, 장치 선택 스위치(307)를 눌러, 접속처의 자동 거래 장치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에서 선택된 자동 거래 장치에, 접속 의뢰 신호가 송신된다. 또, 이 때 담당자의 식별 신호도 송신된다.
[단계 S304]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이, 접속처의 자동 거래 장치로부터 송신된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면 데이터를 LCD(304)에 표시한다.
[단계 S305] LCD(304)에 표시된 화면 데이터가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인 경우, 담당자는 처리를 단계 S306로 진행시킨다. LCD(304)에 표시된 화면 데이터가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가 아닌 경우, 즉 통지 화면 데이터인 경우, 담당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대기한 후, 처리를 단계 S303로 진행시킨다.
[단계 S306] 담당자가 터치 패널(305)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로부터 접속처의 자동 거래 장치에 입력 신호가 송신되고, 보수 작업이 실시된다.
[단계 S307] 보수 작업이 종료하면, 담당자는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의 전원을 끄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의한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로부터 자동 거래 장치(100a)에 대하여 접속 의뢰가 있을 때의, 자동 거래 장치(100a)의 LCD(118) 및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의 LCD(304)에 각각 표시되는 화면 데이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거래 장치(100a)의 LCD(118)에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가 표시되고,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의 LCD(304)에 통지 화면 데이터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100a)에 대하여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에 의한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자동 거래 장치(100a)에 의한 조작 의뢰가 있을 때의, 자동 거래 장치(100a)의 LCD(118) 및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의 LCD(304)에 각각 표시되는 화면 데이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거래 장치(100a)의 LCD(118)에 통지 화면 데이터가 표시되고,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의 LCD(304)에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서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로부터 송신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면 되기 때문에,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즉,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자동 거래 장치(100a)의 운용 기능이 증가한 경우라 하더라도, 새롭게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필요가 없다. 또, 종류가 상이한 자동 거래 장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도, 자동 거래 장치의 종류마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필요도 없다. 이에 따라, 자동 거래 장치의 보수 작업에 요하는 시간 및 개발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에서는,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 송신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 수단(202)에 표시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204)이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에 송신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에서는,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을, 입력 수단(201)이 생성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실행 수단(210)이 행하기 때문에, 모바일 담당자 단말(300a, 300b)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처리 실행 수단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200a)는, 종래의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에 대하여, 대규모 개조를 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1, 200a :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2, 11, 201 : 입력 수단
3, 204 :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 4, 10, 202 : 표시 수단
5 : 송신 수단 6 : 수신 수단
7, 210 : 처리 실행 수단 8 : 외부의 단말
9 : 본체 장치 20 : 무선 LAN 라우터
21 : 무선 LAN 중계 장치 22 : 점포 코너
23 : LAN 24 : 사무소 스페이스
100a, 100b, 100c, 100d : 자동 거래 장치 101 : 제어부
102 : 회선 제어부 103 : 고객 화면 제어부
104 : 담당자 화면 제어부 105 : 보조 기억부
106 : HDD 107 : 광학 드라이브
108 : 카드 판독 인자부 109 : 영수증 인자부
110 : 저널 인자부 111 : 통장 인자부
112 : 지폐 입출금부 113 : 동전 입출금부
114 : 고객 조작부 115, 118, 304 : LCD
116, 119, 305 : 터치 패널 117 : 담당자 조작부
120 : 전원 205 : 화면 구동 수단
206 : 화면 제어 수단 207 : LAN 변환 제어 수단
208 : LAN 구동 수단 209 : 통신 제어 수단
211 : 조작 상황 검출 수단
220, 230, 240 :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
221, 231 : 장치 상태 데이터
222, 232, 242 : 보수 데이터 커맨드
223, 243 : 휴지 데이터 커맨드
224, 234 : 담당자 처리 커맨드
233, 244 : 운용 데이터 커맨드
235 : 복구 처리 커맨드 241 : 스케쥴 설정 데이터
300a, 300b : 모바일 담당자 단말 301 : 제어 보드
302 : LCD 표시부 303 : USB-IF부
306 : 네트워크 화상 어댑터 307 : 장치 선택 스위치
308 : 보안 키 309 : 카드 리더 라이터
310 : 배터리 311 : 외부 전원 케이블
312 : 생체 인증 장치

Claims (6)

  1. 조작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수단과,
    본체 장치의 보수 작업에 이용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외부의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외부의 단말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이 생성한 입력 신호 및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 장치의 보수 작업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실행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은, 조작을 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통지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통지 화면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장치 및 상기 외부의 단말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상황 검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조작 상황 검출 수단은, 검출한 조작 상황에 따라서, 상기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 또는 통지 화면 데이터 중 하나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고, 다른 하나를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의 단말에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단말의 보안 키는 생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장치는, 금융 기관에 설치되는 자동 거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6. 본체 장치의 보수 작업에 이용되는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단말로부터의 의뢰에 기초하여, 생성된 담당자 조작용 화면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 장치의 보수 작업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
KR1020110020055A 2010-07-28 2011-03-07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 KR101200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9456 2010-07-28
JP2010169456A JP5476250B2 (ja) 2010-07-28 2010-07-28 係員操作制御装置、および、係員操作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312A KR20120011312A (ko) 2012-02-07
KR101200112B1 true KR101200112B1 (ko) 2012-11-12

Family

ID=4554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55A KR101200112B1 (ko) 2010-07-28 2011-03-07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76250B2 (ko)
KR (1) KR101200112B1 (ko)
CN (1) CN102346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2155A (ja) * 2014-02-28 2015-09-07 アズビル株式会社 表示操作制御装置
JP7122236B2 (ja) * 2018-11-28 2022-08-1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検査装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62372B2 (ja) 2019-09-05 2023-10-17 日立チャネ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システムの遠隔保守システム、および遠隔保守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340B1 (ko) 1995-03-16 1999-10-15 타테이시 요시오 안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3189B2 (ja) * 1994-05-31 2003-10-06 富士通株式会社 取引装置の現金区別処理方法
GB9806843D0 (en) * 1998-03-24 1998-05-27 Kal Software application development system
US20020138431A1 (en) * 2000-09-14 2002-09-26 Thierry Antoni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ervision of a plurality of financial services terminals with a document driven interface
JP2003085364A (ja) * 2001-09-11 2003-03-20 Hitachi Ltd Atm用メンテナンス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4054351A (ja) * 2002-07-16 2004-02-19 Oki Electric Ind Co Ltd 係員操作装置
JP2004348548A (ja) * 2003-05-23 2004-12-09 Toshiba Corp 制御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の保守サービス方法
JP2008204407A (ja) * 2007-02-22 2008-09-04 Fujitsu Fsas Inc 保守管理方法および保守管理システム
JP2009043041A (ja) * 2007-08-09 2009-02-26 Oki Electric Ind Co Ltd 操作表示部付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340B1 (ko) 1995-03-16 1999-10-15 타테이시 요시오 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6939A (zh) 2012-02-08
KR20120011312A (ko) 2012-02-07
CN102346939B (zh) 2015-08-26
JP5476250B2 (ja) 2014-04-23
JP2012032870A (ja)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226B1 (ko) 엘리베이터의 시큐리티 시스템
KR101200112B1 (ko) 담당자 조작 제어 장치 및 담당자 조작 제어 방법
WO2011025122A1 (ko) 리모콘 제어가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의 개장 및 마감조작 방법
JP2010174516A (ja) 引き出し開閉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端末装置、引き出し開閉管理プログラム、及び引き出し開閉管理方法
KR100745812B1 (ko) 휴대용 계원조작장치, 금융자동화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휴대용 계원장치의 이용방법
JP5232490B2 (ja) 料金自動収受機監視システム、料金自動収受機監視方法
JP6093133B2 (ja) 駅務機器保守システム
KR102204891B1 (ko) 고장시 비상 제어 기능이 부가된 무인보관시스템
KR101263816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식 뱅킹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JP2003085364A (ja) Atm用メンテナンス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10056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用プログラム
JP2008258978A (ja) 複数の機器の操作システム及び製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8046898A (ja) カードリーダ付キー入力装置
CN112447001B (zh) 纸币处理装置的远程维护系统、及远程维护方法
JP6803243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貨幣処理装置、及び、貨幣処理方法
KR101592522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작동 방법
KR2012001449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관리자모듈 실행시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
KR20230001969U (ko)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Electronic Security Remote Automatic Set System
KR20150072676A (ko) Pc 기반의 금융자동화기기 원격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시스템
CN104794806A (zh) 一种货币转换装置
KR101419605B1 (ko)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45265A (ko)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Electronic Security Remote Automatic Set System
JP6242360B2 (ja) 決済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13449288A (zh) 电子钥匙监控仪及电子钥匙监控方法
JP2000163633A (ja) 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