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092B1 -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092B1
KR100206092B1 KR1019950056458A KR19950056458A KR100206092B1 KR 100206092 B1 KR100206092 B1 KR 100206092B1 KR 1019950056458 A KR1019950056458 A KR 1019950056458A KR 19950056458 A KR19950056458 A KR 19950056458A KR 100206092 B1 KR100206092 B1 KR 10020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oller
circumferential surface
ga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114A (ko
Inventor
요시노리 우에라
다이이치 이치자와
고지 요시자와
다카시 이이지마
Original Assignee
시바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기카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기카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시바 고헤이
Publication of KR97001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07Removing water from ink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비교적 고점도의 잉크를 사용하는 키레스 잉크공급에 의한 평판인쇄에 있어서, 쇄판면의 비화상부에 공급된 습윤수가 잉크공급장치에 침입하고 잉크통내의 잉크에 분산혼재하여 인쇄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수기능을 제공한다.
비교적 고점성의 잉크에 일시적으로 유동성을 주어서 계량롤러의 둘레면의 움푹 패인 곳으로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구성, 즉 잉크통(1)과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과의 제1간극(13) 및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과 그 바로 하류의 롤러(3)의 둘레면과의 사이의 제1간극(13)보다도 좁은 제2간극(21)을 잉크가 통과할때에 잉크에 주어지는 전단작용을 이용하여, 고점성의 잉크로부터 물을 분리회수한다.

Description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공급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공급장치에서의 계량롤러 둘레면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그 둘레면 일부의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공급장치에서의 계량롤러 둘레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그 둘레면 일부의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공급장치에서의 제1중간롤러의 둘레면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그 둘레면 일부의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확대도.
제5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로, 닥터수단을 닥터브레이드로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실시형태에서의 닥터수단을 닥터바로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실시형태에서의 닥터수단을 닥터롤러로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중간롤러(3) 및 (4)를 제거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중간롤러(3) 및 (4)를 제거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중간롤러(3) 및 (4)를 제거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1도는 제5도의 실시형태에서의 제3 및 제4중간롤러(41) 및 (42)를 증설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2도는 제6도의 실시형태에 제3 및 제4중간롤러(41) 및 (42)를 증설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3도는 제7도의 실시형태에 제3 및 제4중간롤러(41) 및 (42)를 증설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4도는 제5도의 실시형태에 의한 잉크공급장치를 공통압등(IC)에 대하여 방사 4방향으로부터 배열설치한 새털라이트(Satellite)형 오프셋트인쇄기의 개략 측단면도로, 4조의 잉크공급장치에는, 공통압동(IC)에 대한 부착방향 및 부착높이의 차이로부터, 계량롤러(5)와 도포롤러(7)와의 사이에 0으로부터 3개의 하류부 중간롤러(43,44,45)가 각각 적절하게 조립되어 있는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잉크통
11 : 기초대 12 : 측판
13 : 제1간극(잉크통의 기초대 앞테두리와 파운틴 롤러 둘레면 사이)
16 : 비교적 점성이 높은 잉크
2 : 파운틴 롤러
21 : 제2간극(파운틴 롤러의 둘레면과, 중간롤러(3)의 둘레면과의 사이, 또는 파운틴 롤러의 둘레면과 계량롤러(5)의 둘레면과의 사이)
※ 상류부 중간롤러
3 : 제1중간롤러(요철롤러)
31 : 돌기(제4도) 32 : 홈(제4도)
4 : 제2중간롤러
41 : 제3중간롤러(잉크 실린더)(제11도,제12도,제13도)
42 : 제4중간롤러(제11도,제12도,제13도)
※ 하류부 중간롤러
43 : 제5중간롤러(제14도)
44 : 제6중간롤러(제14도) 45 : 제7중간롤러(제14도)
5 : 계량롤러
51 : 움푹패인 곳(셀)(제3도) 52 : 둑(제3도)
53 : 바깥둘레층(제2도) 54 : 기재(제2도)
55 : 미소공동(微小空洞)(제2도)
6 : 닥터수단
61 : 닥터브레이드(제1도,제5도,제8도,제11도,제14도)
611 : 브레이드 612 : 브레이드 홀더
62 : 닥터바(제6도,제9도,제12도) 621 : 바
622 : 백 업 스테이 3 : 닥터롤러(제7도,제10도,제13도)
7 : 도포롤러
8 : 판동
9 : 습기공급장치
10 : 위로 열린 용기(받는 수단)
BC : 블랭킷동(Blanket胴)
IC : 공통판동
IN1, IN2, IN3, IN4 : 잉크공급장치
본 발명은, 판동의 쇄판면에 비교적 점성이 높은 잉크와 습윤수를 공급하여 인쇄하는 평판인쇄기에 있어서, 잉크공급량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소위 키레스(key less), 즉 계량롤러의 사용에 의해서 잉크의 두께를 평상시 대략 균등하게 하여 쇄판 전면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키레스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습윤수공급장치로부터 쇄판면을 거쳐서 잉크공급장치로부터 잉크통내의 잉크에 침입하는 습윤수의 잉여수를, 잉크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회수할 수 있도록 한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굽장치에 관한 것이다.
습윤수와 잉크를 쇄판면에 공급하는 평판인쇄에서는, 종래, 일반적으로, 쇄판면의 화상부와 비화상부의 비율과 위치와는 관계없이 대략 일정한 양의 습윤수를 쇄판면에 똑같이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비화상부에 공급된 습윤수가 남고, 그것이 도포롤러 둘레면 잉크에 혼입하여, 잉크공급장치에 침입한다. 그리고, 키레스 잉크공급장치에서는, 이 잉크공급장치를 구성하는 계량롤러의 둘레면에 이른 습윤수가, 계량롤러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닥터수단(doctor means)에 의해서 잉크와 함께 섞이고, 잉크공급의 최상류로 되돌려진다. 인쇄가동의 진행에 따라서, 잉크공급의 최상류의 잉크에 함유되는 물의 양이 증대하고, 이 물이 원인이 되어, 종이면 농도의 저하, 또는 롤러 스트립핑 등, 인쇄품질의 저하와 잉크공급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대책으로서, 종래, 잉크로부터 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원발명은, 잉크에 전단력(前斷力)을 부여함으로써 잉크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그 선행기술로서 일본국 특개소 61-98537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2-62761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2-160241호 공보, 일본국 실개소 62-109940호 공보(전문명세서)에 기재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소 61-98537호 공보는, 잉크공급장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물분리장치를 설치하고, 이 물분리장치는, 둘레면이 접촉하는 위치에서 동일방향으로 다른 둘레면 속도에서 변위하여 회전하는 2개의 롤러와, 그들 둘레의 한 쪽에 인접한 막두께 콘트롤러 브레이드와, 상기 2개의 롤러의 다른 쪽에 접촉한 분리잉크를 휘젓는 브레이드와, 상기 2개의 롤러 아래측에 설치한 분리수의 수취용기로 이루어지고, 잉크공급장치로부터 휘젓는 잉크를 막두께 콘트롤 브레이드로 받아서, 한 쪽의 롤러 둘레면에 의해서 2개의 롤러의 접촉위치에 이르게 하고, 2개의 롤러의 둘레면속도의 차에 의해서 잉크에 전단력을 가하여서, 잉크와 잉크내에 혼재하는 물(습윤수)을 분리시키고, 분리한 물을 수취용기에 회수하고, 분리한 잉크는, 잉크탱크로 되돌리는 기구이다.
일본국 특개소 61-62761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2-160241호 공보, 일본국 실개소 62-109940호 공보(전문명세서)에는, 물분리기구를 조립한 잉크공급장치가 나타나 있다. 이들에 나타난 각 잉크공급장치는, 모두, 아래쪽에 설치한 잉크저장탱크, 잉크탱크내의 잉크를 흡인, 압송하는 잉크펌프를 포함하는 배관기구, 배관기구의 하류끝단에 연결하는 잉크토출노즐, 잉크토출노즐의 토출구에 근접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둘레면을 가지는 잉크원 롤러로부터 판동의 쇄판면에 둘레면을 접촉하는 잉크도포롤러까지의 서로 접촉하여 연계하고 접촉위치의 둘레면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회전하는 잉크 공급롤러군, 쇄판에 잉크를 공급한 후의 잉여잉크를 잉크도포롤러의 바로 상류의 롤러 둘레면을 통해서 휘젖는 잉크 휘젖기용 브레이드를 기지며, 잉크탱크내의 잉크를 잉크펌프에 의해서 흡인, 압송하여, 잉크토출노즐로부터 토출시켜서 잉크원 롤러로 공급하고, 잉크 공급롤러군을 통해서 판동의 쇄판에 공급하는 한편, 잉크공급후의 잉여잉크를 잉크도포롤러의 바로 상류 로러의 둘레면으로부터 잉크 휘젓기용 브레이드에 의해서 휘젓고, 잉크탱크로 되돌리는 기구를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일본국 특개소 62-62761호 공보에 나타나는 잉크공급장치는, 상기 기본기구에 더하여, 잉크원 롤러 및 잉크원 롤러의 바로 하류에서 잉크원 롤러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받아넘김 롤러를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잉크원 롤러와 받아넘김 롤러와의 아래쪽으로 분리수탱크를 설치하고, 잉크원 롤러, 받아넘김 롤러, 구동장치, 분리수탱크를 가진 물분리기구로 이루어지고, 잉크원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잉크원 롤러와 받아넘김 롤러와의 접촉부에 이른 잉크에, 잉크원 롤러와 받아넘김 롤러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전단력을 가하여서, 잉크에 혼재하는 물을 분리하고, 그 물을 분리수 탱크에 회수하는 것이다.
일본국 특개소 62-160241호 공보에 나타난 잉크공급장치는, 상기 기본기구에 더하여, 잉크원 롤러의 바로 상류에, 잉크원 롤러의 둘레면에 접촉하고, 접촉위치에서 잉크원 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또한 잉크원 롤러의 다른 속도로 변위하여 회전하는 물분리롤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기본기구의 잉크토출노즐은, 그 토출구가 물분리롤러의 둘레면에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잉크원 롤러와 물분리롤러와의 아래쪽에 분리수탱크를 설치하고, 잉크원 롤러, 물분리롤러, 분리수탱크를 가진 물분리기구로 이루어지고, 물분리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물분리롤러와 잉크원 롤러와의 접촉부에 이른 잉크에, 물분리롤러와 잉크원 롤러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전단력을 가하여서, 잉크에 혼재하는 물을 분리하고, 이 물을 분리수탱크에 회수하는 것이다.
일본국 실개소 62-109940호 공보(전문명세서)에 나타나는 잉크공급장치는, 상기의 기본기구에 더하여서, 잉크원 롤러의 바로 하류에서 잉크원 롤러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잉크 받아넘김롤러의, 잉크원 롤러와의 접촉위치로부터 회전방향하류의 둘레면에, 라이더(rider) 롤러와 같이 접촉하는 물분리롤러를 설치함과 동시에, 물분리롤러의 잉크 받아넘김롤러와의 접촉위치가, 잉크 받아넘김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또한, 잉크 받아넘김롤러와 다른 속도로 변위하여 회전하도록 물분리롤러를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잉크 받아넘김롤러와 물분리롤러와의 아래쪽에 분리수탱크를 설치하고, 잉크받아넘김롤러, 물분리롤러, 물분리롤러의 구동기구, 분리수탱크를 가지는 물분리기구로 이루어지고, 잉크 받아넘김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잉크 받아넘김롤러와 물분리롤러와의 접촉부에 이른 잉크에, 잉크 받아넘김롤러와 물분리롤러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전단력을 가하여서, 잉크에 혼재하는 물을 분리하고, 그 물을 분리수 탱크에 회수하는 것이다.
한편, 비교적 점도가 높은 잉크에 대응할 수 있는 키레스 잉크공급장치로서는, 본원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일본국 특공편 7-45244호 공보가 이미 알려져 있다. 이 키레스 잉크공급장치는, 경사판과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잉크통, 판동의 쇄판면에 둘레면이 접촉하는 잉크도포롤러, 서로 둘레면이 접촉 또는 미세한 간극을 통해서 대향하여 연계하는 파운틴롤러로부터 잉크도포롤러까지의 잉크롤러군, 판동의 쇄판면에 공급하는 잉크를 전폭에 걸쳐서 대략 균등량으로 하도록, 잉크도포롤러 상류의 롤러 둘레면으로부터 잉크를 휘젓는 닥터 브레이드, 경사판과 파운틴롤러로 이루어지는 상기 잉크통으로부터 파운틴롤러의 하류롤러까지의 아래쪽에 설치한 잉크받이를 구비하고,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 부착한 잉크통내의 잉크를, 파운틴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파운틴롤러의 둘레면과, 경사판의 아래쪽 끝단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간극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밈과 동시에, 파운틴롤러 하류롤러와의 대향위치에 이르게 하고, 대향위치의 둘레면이 파운틴롤러와 역방향으로 변위하여 회전하는 상기 하류롤러의 둘레면에 공급하고, 또한, 이 잉크를, 상기 잉크도포롤러의 상류롤러 둘레면에 공급한 후, 닥터 브레이드에 의해서 잉크도포롤러의 상류롤러 둘레면으로부터 과잉잉크를 휘저어서, 전폭에 걸쳐 대략 균등량으로 한 잉크를 잉크도포롤러를 통해서 판동의 쇄판면에 공급하는 한편, 잉크도포롤러의 상류롤러 둘레면으로부터 휘젓는 잉크를 잉크통에서 회수하는 기구이다.
그러나, 상기 각 공지기술에는 , 각각 해결해야할 과제가 있다.
먼저, 일본국 특공평 7-45244호 공보에 나타나는 비교적 점도가 높은 잉크에 대응할 수 있는 키레스 잉크공급장치는, 잉크에 혼재하는 물을 잉크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려고 하는 기술사상이 전혀 없다. 왜냐하면, 파운틴롤러의 둘레면과 경사판의 아래쪽 끝단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간극으로부터 잉크를 내밀 때에, 잉크에 전단력이 가해져서, 잉크로부터 물이 분리되기 쉬운 상태 또는 물의 분리가 약간 있었다고 하여도, 파운틴 롤러와 파운틴롤러의 바로 하류롤러와의 근접대향위치에 있어서는, 잉크통 아래쪽으로의 잉크도출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피운틴롤러 둘레면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그 바로 하류롤러 둘레면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의 관계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운틴롤러로부터 바로 하류롤러에 잉크가 공급될때에, 잉크에 비산이 발생하는 것만으로 물의 분리가 보이지 않고, 인쇄가동에 의해서 잉크에 함유되는 물의 양이 증대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상기 잉크의 비산은, 롤러의 회전속도가 빨라짐에 따라서, 그 양이 늘고, 잉크의 공급효율자체가 저하한다는 잉크공급상에서의 과제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잉크에 전단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잉크로부터 물을 제거하도록 한, 일본국 특개소 61-98537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2-62761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2-160241호 공보, 일본국 실개소 62-109940호 공보(전문명세서)에 나타나는 기술에는, 하기와 같은 과제가 있다.
일본국 특개소 61-98537호는, 상기와 같이, 잉크공급장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잉크공급장치와는 별개로 독립한 물분리장치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그 설치공간을 좁은 공간에 확보하는 것을 요하는 관계상, 잉크에 전단력을 가하는 2개의 롤러의 지름을 가늘게 설계하여야 하고, 가늘기 때문에 생기는 롤러의 굴곡이 켜져서 안정된 회전을 얻을 수 없고, 처리용기, 물분리효율이 낮으며, 또한, 2개의 롤러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잉크막이 얇고, 따라서 전단작용에 의해서 잉크로부터 분리하는 물도 미량이 되고, 그 물이 집합하여 분리수탱크에 낙하할 수 있을 때까지 성장하는 사이에 물이 2개의 롤러의 접촉부를 통과해 버리고, 잉크 휘젓기용 브레이드에 의하여 잉크와 함께 물도 휘저어져서 잉크탱크로 되돌려지므로, 인쇄가동, 특히 고속의 인쇄가동에 있어서 효과적인 물의 분리를 이룰 수 없다.
또한, 이 물분리장치는, 잉크공급장치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분리장치는 물론, 잉크공급장치의 롤러 닙(nip)조정과, 롤러, 브레이드의 교환 등의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물분리장치가 잉크공급장치로부터 독립되어 있으므로, 그 제조코스트는 물론, 소모품인 롤러와 브레이드의 예비도 각각 독자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고, 런닝비용이 높다.
이에 대해서, 일본국 특개소 62-62761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2-160241호 공보, 일본국 실개소 62-109940호 공보(전문명세서)는 물분리기구를 잉크공급장치 안에 조립함으로써, 물분리장치를 독립시킨 것에서 발생하는 과제를 없애는 것을 시도한다. 그러나, 상기 3개의 공보에 나타나는 잉크공급장치는, 모두, 잉크 공급롤러군으로부터 휘젓은 잉크를 잉크탱크로 되돌리고, 이것을 잉크펌프를 포함하는 배관기구에 의해서 흡인, 압송하고, 잉크토출노즐로부터 잉크공급에서의 최상류롤러 둘레면에 공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따라서, 상기 최상류롤러 둘레면에 공급된 잉크는, 상기 잉크펌프를 함유하는 배관기구에 의한 흡인, 압송에 따라서 양호하게 교반되고, 그 교반에 의해서, 잉크내의 물은 극히 안정성이 높은 상태에서 잉크내에 혼재함으로써, 이 상태의 물혼재잉크를 잉크 공급롤러군의 물분리기구에 공급하여 전단력을 가하여도, 높은 물분리효율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물분리기구를 구성하는 2개의 롤러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잉크막이 얇고, 따라서, 전단작용에 의해서 잉크로부터 성장하는 사이에 물이 2개의 롤러의 접촉부를 통과해 버리고, 이들 2개의 롤러의 하류롤러를 통해서, 잉크와 함께 보다 더 하류를 향해서 공급되는 물이 많고, 그 점에서 인쇄가동, 특히 고속의 인쇄가동에 있어서 효과적인 물의 분리를 이룰 수 없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이상 기재한 공지기술이 미해결된 과제를 일거에 해결하고, 인쇄가동시에, 잉크 안에 혼재하는 물을 잉크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고, 인쇄가동에 의해서 잉크에 혼재하는 물이 증가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키레스 잉크공급방식에 의한 평판인쇄기에 비교적 점성이 높은 잉크를 사용할 경우에, 비교적 점성이 높은 잉크에 일시적으로 유동성을 주어서 계량롤러 둘레면의 움푹 패인 곳에 잉크가 부착하기 쉽도록 하는 고점성 잉크유동화기구와의 관련에 있어서, 특별한 물분리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공급되는 잉크에 분산혼재하는 물을 잉크로부터 분리하여 그것을 회수할 수 있도록 극히 효율좋게 낭비가 적은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탈수기구를 가지는 잉크공급장치는, 판동의 쇄판에 비교적 고점성의 잉크와 습윤수를 공급하여 인쇄하는 평판인쇄기에 있어서, 둘레면이 상기 쇄판에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에서 쇄판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그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도포롤러와, 둘레면이 상기 도포롤러의 둘레면에 직접 또는 그 도포롤러와 회전을 맞추기 위한 1개이상의 하류부 중간롤러를 통해서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에서 접촉하는 롤러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또한, 그 둘레면에 잉크를 수용하는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를 균등하게 배치한 계량롤러와, 그 계량롤러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닥터수단과, 그 닥터수단을 윗쪽으로 향하는 잉크공급의 최상류에 위치하여, 상부와 앞부분을 개방하고, 양측판과 경사진 기초대로 이루어진 잉크통과, 그 잉크통의 앞부분을 막는 위치 및 상기 잉크통의 기초대 앞테두리에 제1간극을 통해서 근접하는 위치 및 상기 계량롤러에 상기 닥터수단이 접촉하는 위치보다도 상류의 계량롤러 둘레면에 상기 제1간극보다도 좁은 제2간극을 통해서 근접하는 위치에 둘레면을 설치하고, 그 둘레면이 그 잉크통의 앞부분을 막는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보다도 느린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파운틴롤러와, 그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서의 상기 제1간극의 위치로부터 회전방향 하류측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계량롤러의 둘레면과의 상기 제2간극의 위치까지의 공간을 아래쪽을 향해서 개방함과 동시에, 그 개방공간을 윗쪽으로 향하는 위치에 상부를 개방하는 용기를 배치한 물받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 부착한 잉크통내의 잉크가 그 파운틴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간극으로부터 내밀릴 때에 그 잉크에 첫번째 전단력이 가해지고, 또, 그 잉크가 상기 파운틴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간극에 이르러서 상기 계량롤러의 둘레면에 잉크가 전이할 때에 상기 파운틴롤러와 계량롤러와의 회전속도의 차에 의해서 그 잉크에 두번째 전단력이 가해지고, 그들 2번의 전단력의 부가에 의해서, 잉크내에 분산혼입해 있는 잉크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물받이수단의 용기내에 낙하하여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분 발명에 의한 탈수능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는, 판동의 둘레면에 비교적 고점도의 잉크와 습윤수를 공급하여 인쇄하는 평판인쇄기에 있어서, 둘레면이 상기 쇄판에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에서 쇄판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그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도포롤러와, 둘레면이 상기 도포롤러의 둘레면에 직접 또는 그 도포롤러와 회전을 맞추기 위한 1개이상의 하류부 중간롤러를 통해서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에서 접촉하는 롤러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또, 그 둘레면에 잉크를 수용하는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를 균등하게 배치한 계량롤러와, 그 계량롤러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닥터수단과, 그 닥터수단을 윗쪽으로 향하는 잉크공급의 최상류에 위치하여, 상부와 앞부분을 개방하고, 양측판과 경사진 기초대로 이루어진 잉크통과, 그 잉크통의 앞부분을 막는 위치, 및 상기 잉크통의 기초대 앞테두리에 제1간극을 통해서 근접하는 위치에 둘레면을 설치하고, 그 둘레면이 잉크통의 앞부분을 막은 위치로부터 윗쪽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보다도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파운틴롤러와, 상기 파운틴롤러와 계량롤러와의 사이에 설치한 짝수개의 상류부 중간롤러로, 그 중, 상기 파운틴롤러의 바로 하류에 위치하는 제1중간롤러의 둘레면을 상기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 상기 제1간극보다도 좁은 제2간극을 통해서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그 제1중간롤러의 둘레면이 그 근접위치에서 상기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그 제1중간롤러를 포함하는 각 상류부 중간롤러의 둘레면과 상기 계량롤러의 둘레면이 각각 순차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그들의 둘레면이 그들의 접촉위치에서 서로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짝수개의 상기 상류부 중간롤러와, 상기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서의 상기 제1간극의 위치로부터 회전방향 하류측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제2간극을 통해서 상기 제1중간롤러의 둘레면에 이르는 공간을 아래쪽을 향해서 개방함과 동시에, 그 개방공간을 윗쪽으로 향하는 위치에 상부를 개방하는 용기를 배치한 물받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파운틴 롤러의 둘레면에 부착한 잉크통내의 잉크가 그 파운틴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간극으로부터 내밀릴 때에 그 잉크가 첫번째 전단력이 가해지고, 또, 그 잉크가 상기 파운틴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간극에 이르러서 상기 제1중간롤러의 둘레면에 잉크가 전이할 때에 상기 파운틴롤러와 그 제1중간롤러의 회전속도의 차에 의해서 그 잉크에 두번째 전단력이 가해지고, 그들 2번의 전단력의 부하에 의해서 잉크내에 분산혼입하고 있는 물이 잉크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물받이수단의 용기내에 낙하하여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파운틴 롤러의 바로 하류에 위치하는 제1중간롤러를, 요철이 균등하게 배치된 요철롤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상류부 중간롤러를 4개이상의 짝수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 상류부 중간롤러의 상류로부터 세어서 첫번째를 제외한 홀수번째의 중간롤러를, 축방향으로 소정의 스트로크로 왕복운동하는 잉크 실린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잉크공급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제1도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제1도에 있어서, 잉크통(1)은,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을 향해 내려오면서 경사지는 기초대(11)와, 이 기초대와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에 의해서 형성된 홈의 양측을 구획짓는 측판(12,12)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잉크통(1)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홈내에서 잉크를 저장한다. 기초대(11)의 경사 아래쪽 끝단과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과의 사이에 제1간극(13)을 설치하고, 그 제1간극(13)으로부터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 부착한 잉크가, 파운틴롤러(2)의 회전에 의해서 내밀린다.
잉크통(1)의 개방 앞테두리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초대(11)의 경사아래쪽끝단에 대하여 제1간극(13)을 통해서 설치한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에 의해서 막힌다.
파운틴롤러(2)는, 상기 잉크통의 개방 앞테두리부를 막는 둘레면이 아래쪽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속도는, 판동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하나, 판동의 회전속도보다도 느리고, 그 대비는, 예를 들면 1/30 내지 1/100이다.
잉크공급에서의 파운틴롤러(2)와 계량롤러(5)와의 사이에는 0 내지 짝수개의 상류부 중간롤러가 사이에 끼워 설치된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부 중간롤러가 0의 경우를 나타내며, 제1도, 제5도 내지 제7도, 제14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상류부 중간롤러, 즉, 제1중간롤러(3) 및 제2중간롤러(4)를 개재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며, 제11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상류부 중간롤러, 즉, 제1, 제2, 제3 및 제4중간롤러(3,4,41) 및 (42)를 개재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잉크공급에서의 파운틴롤러(2)의 바로 하류에는, 전항에 기재된 각 실시형태에 의해서 배치되는 롤러의 종류가 다르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각 실시형태에서는, 계량롤러(5)의 둘레면이, 상기 제1간극(13)보다도 좁은 제2간극(21)을 통해서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대하여, 제1도, 제5도 및 제7도, 제11도 내지 제13도, 제14도에 나타낸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중간롤러(3)의 둘레면이, 상기 제1간극(13)보다도 좁은 제2간극(21)을 통해서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제1중간롤러(3)는, 둘레면에 대략 균등한 요철을 설치한 요철롤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요철롤러(3)의 둘레면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를 홈(32)으로 구획지은 다수의 돌기(31)를 설치하고, 파운틴 롤러(2)의 둘레면의 잉크를 수취하기 쉽고 또 받아들이기 쉽게 함과 동시에, 파운틴 롤러(2)와 요철롤러(3)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잉크막에 대한 누르는 힘으로 구분적인 강약을 발생시키고, 그 누르는 힘의 부하가 구분적으로 약하게 작용한 위치에 잉크로부터 분리한 물이 집중하기 쉬운 조건을 만든다. 돌기(31)의 형상은, 제4도에 나타낸 다이아몬드형 외에, 삼각형, 원형 등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0.5 내지 5㎜의 피치로 설치한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규칙적인 요철을 대신하여, 균등한 격자형상의 요철을 설치한 둘레면으로 하여도 좋다.
제1도, 제5도 내지 제7도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공급에서의 요철롤러(3)(제1중간롤러)의 하류측에는, 제2중간롤러(4), 계량롤러(5), 도포롤러(7)를, 순차적으로 서로 둘레면을 접촉시켜서 설치하고, 도포롤러(7)의 둘레면은, 판동(8)의 쇄판에 접촉시켜서 설치한다. 그리고, 요철롤러(3), 제2중간롤러(4), 계량롤러(5), 도포롤러(7)는, 모두, 판동의 회전속도와 대략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또한, 파운틴롤러(2), 제1중간롤러(요철롤러)(3), 제2중간롤러(4), 계량롤러(5), 도포롤러(7)는, 상호대향부 또는 상호접촉부에 있어서, 양 롤러의 둘레면이 동일방향으로 변위하여 회전하고, 도포롤러(7)는, 쇄판과의 접촉부에서, 그 둘레면이 쇄판이 변위하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상의 롤러배열의 레이아웃에 있어서, 제2중간롤러(4)가. 제1중간롤러(요철롤러)(3)로부터 잉크가 공급되고, 이 잉크를 하류측의 계량롤러(5)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잉크에 압축과 분열을 2번 반복하고, 이 반복에 의해서, 잉크는 일시적 연화현상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증가하여, 하류로의 공급에 양호한 조건이 설정된다. 또한, 제2중간롤러(4)는, 예를 들면 표면의 경도가 20 내지 40도 (쇼어 A)의 고무표면층의 롤러이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낸 4개로 이루어진 상류부 중간롤러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중간롤러(41)는, 그보다 상류의 제2중간롤러(4)의 둘레면과 하류의 제4중간롤러(42)의 둘레면 양쪽에 둘레면을 접촉하는 금속제 실린더로, 그 둘레면은, 잉크에 대한 습윤성을 좋게 하고, 잉크의 받아넘김을 좋게 하기 위해서, 동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 금속제의 제3중간롤러(41)는, 또한 상류의 제1중간롤러인 요철롤러(3)와 대략 같은 속도이며, 또한 같은 회전방향이 되도록 구동되어서 회전하며, 또한, 그 회전은, 바로 상류의 제2중간롤러(4)의 둘레면과의 접촉위치에 있어서, 그 둘레면이 바로 상류의 제2중간롤러(4)의 둘레면과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회전하는 한편, 하류의 제4중간롤러(42)의 둘레면과의 접촉위치에 있어서, 그 둘레면이 하루의 제4중간롤러(42)의 둘레면과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회전한다.
또한, 이 금속제의 제3중간롤러(41)는, 상기 회전하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소정의 스트로크로 왕복작동하도록, 그 끝단축에, 공지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57-15552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변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연계시키고, 자전에 의해서, 예를 들면 3 내지 50㎜의 스트로크로 20회전마다 1번 왕복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대해서, 제4중간롤러(42)는, 예를 들면, 표면의 경도 20 내지 40도(쇼어 A)의 고무표면층을 가지는 롤러이고, 그 둘레면이 제3중간롤러(41)의 둘레면과 계량롤러(5)의 둘레면 양 방향에 접촉하고, 또한, 제3중간롤러(41)의 둘레면과의 접촉위치에서, 둘레면이 제3중간롤러(41)의 둘레면과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변위하여 회전(단, 축방향으로는 변위하지 않음)함과 동시에, 계량롤러(5)의 둘레면과의 접촉위치에서, 둘레면이 계량롤러(5)의 둘레면과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변위하여 회전하도록 설치한다.
계량롤러(5)는, 그 둘레면에,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량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가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들 오목부는, 계량롤러(5)의 바깥둘레층(53)을 구성하는 기재(54)에 균등하게 산재된 미소공동(55), 즉,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기재(54)의 합성수지에 마이크로 버튼이라고 칭하는 직경 5 내지 300μm정도의 미소중공체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것에 의해서, 롤러의 바깥둘레층(5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깥둘레층(53)을 구성하는 기재(54)에 미소공동(55)을 균등하게 분산한 계량롤러(5)는, 후술하는 닥터수단(6)에 의한 잉크 휘젓기작용을 받을 때에, 계량롤러(5)의 둘레면이 마모하여 표면에 개구되어 있는 미소공동(55)이 소멸하여도, 그 아래측에 있던 미소공동(55)이 새롭게 표면에 개구하게 되므로, 계량롤러(5)로서의 둘레면의 오목부가 수용하는 잉크량에, 유의한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합성수지에 미소중공체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바깥둘레층을 가지는 계량롤러(5)는, 예를 들면, 표면의 경도를 70 내지 100도(쇼어 A)로 작성된다.
계량롤러(5) 둘레면의 오목부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칙적으로 배치한 움푹 패인 곳(셀)(51)과 그것을 둘러싸는 둑(52)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움푹 패인 곳(51)은, 예를 들면, 금속, 합성수지, 텅스텐 커버이트 등의 소재로, 전조, 레이저 가공, 부식 등의 가공을 하고, 80선/㎝ 내지 200선/㎝의 밀도로 형성된다.
닥터수단(6)은, 계량롤러(5)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제2중간롤러(4)와의 접촉위치보다도 하류이며, 또한 도포롤러(7)와의 접촉위치보다도 상류인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하고,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제5도에 나타낸 닥터 브레이드(61), 제6도에 나타낸 닥터 바(62), 제7도에 나타낸 닥터롤러(63)로, 그들 닥터수단은, 모두, 인쇄가동시에는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그 전장에 걸쳐서 접촉하며, 그들 접촉에 의해서, 계량롤러(5)의 둘레면으로부터 과잉한 잉크가 휘저어진다.
제5도에 있어서, 상기 닥터브레이드(61)는,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브레이드(611)와, 그것을 지지하는 브레이드 홀더(612)로 이루어지며, 도시를 생략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제6도에 있어서, 상기 닥터바(62)는,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바(621)와, 그 바의 굴곡변형에 억제하는 백 업 스테이(622)로 이루어지며, 도시를 생략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제7도에 있어서, 상기 닥터롤러(63)는,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닥터롤러(63)로 이루어지며, 도시를 생략한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시를 생략한 적절한 구동수단에 의해서, 계량롤러(5)와의 접촉위치에 있어서, 둘레면이 계량롤러(5)의 둘레면과 역방향으로 변위하여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닥터롤러(63)는, 계량롤러(5)와의 접촉위치에 있어서, 둘레면이 계량롤러(5)의 둘레면과 같은 방향으로, 또, 계량롤러(5)의 둘레면보다 느리게 변위하여 회전하도록 구동되게 설치하여도 좋다. 닥터수단(6)의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부분은, 계량롤러(5)의 둘레면의 소재, 경도에 의해서 그 소재, 경도를 선정하고, 닥터수단(6)과 계량롤러(5)의 쌍방의 소모를 가능한 한 작게하면서, 초기의 잉크 휘젓기 작용을 할 수 있는 소재를 선정하여 사용한다.
도포롤러(7)는, 닥터수단(6)에 의해서 과잉잉크가 휘저어진 후의 계량롤러(5)의 둘레면으로부터 전장에 걸쳐서 대략 균일한 잉크가 공급되고, 이 잉크를, 판동(8)의 쇄판으로 공급한다. 도포롤러(7)는, 예를 들면 표면경도 20 내지 40도(쇼어 A)의 고무표면층의 롤러이다. 도포롤러(7)의 둘레면은 상기 쇄판에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에서 쇄판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 회전하고, 그리고, 그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제1도, 제5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계량롤러(5)의 바로 하류에 도포롤러(7)가 배치되어 있다. 그들에 대해서, 제14도에 나타낸 새털라이트형 오프세트인쇄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중앙에 위치하는 큰 지름의 공통압동(IC)을 향하여 4조의 잉크공급장치(IN1,IN2,IN3)및 (IN4)가 각각 판동(8) 및 블랭킷등(BC)을 통해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구성상, 각 잉크공급장치는, 부착방향 및 부착위치의 차이를 초월하여 회전방향을 맞출 필요가 있으므로, 계량롤러(5)와 도포롤러(7)와의 사이에, 0으로부터 3개의 하류부 중간롤러, 즉, 제5중간롤러(43), 제6중간롤러(44) 및 제7중간롤러(45)를 각각 적절하게 조립함으로써, 상기 맞추기를 달성한다. 그들의 관계를 제14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계량롤러(5)와 도포롤러(7)의 직결형은 제14도내의 우측 하부에 둘 수 있는 잉크공급장치(IN1)뿐으로, 다른 3개의 계통의 잉크공급장치에서는, 모두 계량롤러(5)와 도포롤러(7)와의 사이에 하류부 중간롤러를 사이에 끼워 설치한다. 즉, 좌측 하부에서의 잉크공급장치(IN2)에서는 제5중간롤러(43)가 우측 상부에서의 잉크공급장치(IN3)에서는 제5 및 제6중간롤러(43,44)가, 그리고, 좌측 상부에서의 잉크 공급장치(IN4)에서는 제5, 제6 및 제7중간롤러(43,44) 및 (45)가 사이에 끼워 설치되고, 그들 롤러를 경유하여 계량롤러(5)로부터 도포롤러(7)로 잉크가 전해진다.
한편, 판동(8)의 쇄판면에 도포롤러(7)와 접촉하는 위치보다도 회전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서의 판동(8)의 쇄판둘레면에, 습윤수 공급장치(9)에서의 습윤수 공급롤러의 둘레면이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를 통해서 쇄판면에 습윤수가 공급된다.
그러나, 쇄판면에 공급된 습윤수는, 쇄판의 비화상부로의 잉크의 부착을 배제하는 역할을 가지는, 습윤수의 쇄판면으로의 공급은 쇄판의 비화상부에만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쇄판의 전면에 걸쳐서 공급되므로, 잉여수가 발생하고, 그 잉여수가 잉크공급장치의 각 롤러에 역류하여 마침내는 잉크통(1)내의 잉크(16)에 침입하고, 잉크농도에 지장을 발생시키기에 이른다. 이 잉여수 역류현상은 잉크공급장치의 롤러수를 적게 한 키레스 잉크공급방식에 특유한 것이므로, 본원발명과 같이 비교적 고점도의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예외는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습윤수의 잉여수를 잉크 안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에서의 제1간극(13)의 위치로부터 그 파운틴롤러(2)의 회전방향 하류측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적어도 바로 하류의 롤러, 즉, 제1도, 제5도 내지 제7도 및 제11도 내지 제13도에 있어서는 요철롤러(3)의 둘레면과의 제2간극(21)의 위치까지의 공간, 제8도 내지 제10도에 있어서는 계량롤러의 둘레면과의 제2간극(21)의 위치까지의 공간을 아래쪽을 행해서 개방하는 한편, 그 개방공간을 윗쪽으로 원하는 위치에 상부를 개방하는 용기(10)를 배치한 물받이수단을 설치한다.
이상에 설치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에 분산혼입하는 습윤수의 분리, 제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잉크통(1)에 점도가 높은 잉크(16)를 넣으면, 잉크(16)는,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잉크통(1)의 바닥부 앞테두리와의 파운틴 롤러(2)의 둘레면과의 사이의 제1간극(13)으로부터 늘어뜨리지 않고, 잉크통(1)에 저장된다.
이 상태에서, 파운틴롤러(2)를, 잉크통(1)의 개방 앞부분을 막는 둘레면이 아래를 행해서 변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둘레면에 부착해 있는 잉크통(1)에 저장된 잉크(16)가,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의 변위에 추종하여, 잉크통(1)의 바닥부 앞테두리에 의해서 제1간극(13)을 통과할 수 있는 두께로 이루어져서, 잉크통(1)의 바깥으로 내밀린다.
상기 잉크통(1)의 바닥부 앞테두리에 의해서 균등하게 함으로써, 잉크(16)에 첫번째 전단력이 가해져서, 잉크(16)내에 물이 분산혼재하고 있는 때에는, 그 전단력에 의해서 안정성이 파괴되고, 일부의 물이 잉크로부터 분리하고, 그리고, 다시 전단력의 부하에 의해서 물이 잉크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극히 불안정한 혼재상태로 변화된다.
상기 첫번째 전단력을 받은 잉크(16)는, 파운틴롤러(2)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서, 일정한 두께로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에 부착하여 순차적으로 내밀리고, 하류에서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에 둘레면을 근접하는 제1중간롤러, 예를 들면 요철롤러(3)(이하, 요철롤러(3)로서 설명한다)와의 사이의 제2간극(21)에 이른다. 이 제2간극(21)은, 상기 제1간극(13)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요철롤러(3)는,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과 같은 방향으로, 또한,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보다도 빠르게 변위하여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파운틴롤러(2)의 둘레면에 의해서 제2간극(21)으로 보내어진 잉크(16)에 대하여, 파운틴롤러(2)의 회전속도와 요철롤러의 회전속도와의 차에 의해서, 두번째 전단력이 가해진다.
이 두번째 전단력이 가해진 잉크(16)는, 상기와 같이, 첫번째 전단력에 의해서, 잉크(16)내의 물이 매우 분리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물을 분리한다. 또한, 제2간극(21)을 통과하여 두번째 전단력이 주어지는 잉크(16)는, 그 막이 두꺼우므로, 거기로부터 분리되는 물의 양이 많고, 분리한 물은 그 높은 유동성에 의해서 서로 모여서, 한 번에 성장하여 용기(10)내로 낙하한다.
또한, 파운틴롤러(2)와 제2간극(21)을 통해서 근접하는 제1중간롤러로서 요철롤러(3)를 사용함으로써, 파운틴롤러(2)와 요철롤러(3)에 의하는 제2간극(21)을 통과하는 잉크(16)에 대한 누르는 힘에 부분적인 강약이 생기고, 그 때문에, 잉크보다도 유동성이 높은 물이 누르는 힘이 약한 부분에 집중하기 쉽고, 분리한 물이 보다 빠르게 성장하므로, 분리한 물의 제거효율이 높아진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파운틴롤러(2)와 제2간극(21)을 통해서 계량롤러(5)가 근접하여 설치되나, 파운틴 롤러(2)의 회전속도와 계량롤러(5)의 회전속도에 차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잉크(16)에 두번째 전단력이 가해져서, 물이 분리된다.
제2간극(21)에 이른 잉크(16)는, 제1도, 제5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요철롤러(3), 제2중간롤러(4)의 둘레면을 거쳐서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공급되고, 제8 내지 제10도의 실시형태에서는, 파운틴 롤러(2)로부터 직접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공급되고, 제11도 내지 제13도의 실시형태에서는 요철롤러(3), 제2중간롤러(4), 제3중간롤러(41), 제4중간롤러(42)의 둘레면을 거쳐서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공급된다.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 공급된 잉크(16)는, 계량롤러(5)의 회전에 의해서 닥터수단(6)의 접촉위치에 이르고,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서의 잉크(16)의 과잉분이 닥터수단(6)으로 휘저어진다. 휘저어진 잉크(16)는, 닥터수단(6)의 아래쪽으로 상부를 개방하여 설치되어 있는 잉크통(1)내에 회수된다.
닥터수단(6)에 의해서 과잉잉크(16)가 휘저어진 후에서의 계량롤러(5)둘레면의 움푹패인 곳(셀 )내의 잉크(16)는, 계량롤러(5)의 회전에 의해서 도포롤러(7)의 접촉위치에 이르고, 거기로부터 도포롤러(7)의 둘레면에 공급되고, 도포롤러(7)의 둘레면에 공급된 잉크(16)는, 도포롤러(7)의 회전에 의해서 쇄판의 접촉위치에 이르고, 거기로부터 판동(8)둘레면의 쇄판에 공급된다.
쇄판과의 접촉을 끝낸 도포롤러(7)의 둘레면에는, 쇄판의 비화상부로 부터의 습윤수가 전이하고, 또한, 이 물은, 도포롤러(7)의 회전에 의해서 계량롤러(5) 둘레면의 과잉분의 잉크(16)와 함께 휘저어지고, 잉크통(1)내에 낙하하여 잉크(16)에 분산혼재한다.
닥터수단(6)에 휘저어져서 잉크통(1)에 회수된 잉크(16)는, 파운틴롤러(2)에 의해서 다시 잉크통로부터 내밀리고, 상기의 공급을 반복하는 한편, 잉크(16)내에 함유된 물은, 상기한 2번에 걸친 전단력이 잉크(16)에 가해질 때에, 잉크(16)로부터 분리, 낙하하여, 용기(10)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계량롤러(5)의 둘레면에는 수분의 혼입이 적은 순도높은 잉크(16)가 평상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통(1)에, 상기 제1간극(13)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적절한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공급장치 4개 IN1, IN2, IN3 및 IN4를 공통압동(IC)을 향해서 4방향으로부터 방사형상으로 설치한 새털라이트형의 오프세트인쇄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각 잉크공급장치는 모두 판동(8) 및 블랭킷등(BC)을 통해서 공통압동(IC)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각 잉크공급장치의 부착방향, 부착위치의 차이를 초월하여 회전방향을 맞출 필요가 있으므로, 계량롤러(5)와 도포롤러(7)와의 사이에 0으로부터 3개의 하류부 중간롤러(43,44,45)가 각각 적절하게 조립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의 동일부재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 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잉크공급장치는, 비교적 고점도의 잉크를 사용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 키레스 잉크공급방식에 의한 평판인쇄기에 사용되는 특질로부터 발생하는 다음의 과제, 즉, 판동의 쇄판면의 비화상부에 공급된 습윤수가 잉크공급장치에 침입하여 잉크통내의 잉크에 분산혼재하여 인쇄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 즉, 비교적 고점성의 잉크에 일시적으로 유동성을 주어서 계량롤러 둘레면의 움푹 패인 곳으로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즉, 잉크통과 파운틴롤러 둘레면과의 제1간극 및 파운틴롤러의 둘레면과 그 바로 하류롤러 둘레면과의 사이의 상기 제1간극보다도 좁은 제2간극을, 비교적 고점성의 잉크가 통과할 때에 전단력이 발생하는, 그 전단력의 작용을 이동함으로써, 그 외의 독자적인 물분리기구를 하등 설치하지 않고, 교묘하게 고점성의 잉크 안으로부터 물을 효율좋게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인쇄가동이 계속되어도, 잉크에 함유되는 물이 증가하지 않게 되고, 잉크에 함유되는 물의 증가에 의해서 발생하는 인쇄품질의 저하와 잉크공급의 문제가 방지되고, 안정된 인쇄를 장시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잉크통내의 잉크를 펌프로 흡인, 압송함에 의한 강한 교반을 행하지 않고, 파운틴 롤러의 둘레면이 두꺼운 잉크막에, 2회연속해서 전단력이 작용하는 기구로 하였으므로, 잉크내의 물을 다량 또는 효율좋게 분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중간롤러를 요철롤러로 함으로써, 두번째 전단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잉크로부터 분리한 물이 요철롤러의 움푹 패인 곳의 부분에 집중하기 쉬운 환경이 설치되었으므로, 그것에 의해서 집중하여 질량을 증가한 물의 낙하가 촉진되고, 잉크로부터 신속하게 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와 같은 점에서 고속가동에서 충분히 추종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판동의 쇄판에 비교적 고점성의 잉크(이하, 간단히 잉크라고 한다)와 습윤수를 공급하여 인쇄하는 평판인쇄기에 있어서, 둘레면이 상기 쇄판에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에서 쇄판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그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도포롤러와, 둘레면이 상기 도포롤러의 둘레면에 직접 또는 그 도포롤러와 회전을 맞추기 위한 1개이상의 하류부 중간롤러를 통해서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에서 접촉하는 롤러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과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또한, 그 둘레면에 잉크를 수용하는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를 균등하게 배치한 계량롤러와, 그 계량롤러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닥터수단과, 그 닥터수단을 윗쪽으로 향하는 잉크공급의 최상류에 위치하고, 상부와 앞부분을 개방하고, 양 측판과 경사진 기초대로 이루어진 잉크통과, 그 잉크통의 앞부분을 막는 위치 및 상기 잉크통의 기초대 앞테두리에 제1간극을 통해서 근접하는 위치 및 상기 계량롤러에 상기 닥터수단이 접촉하는 위치보다도 상류의 계량롤러의 둘레면에 상기 제1간극보다도 좁은 제2간극을 통해서 근접하는 위치에 둘레면을 설치하고, 그 둘레면이 그 잉크통의 앞부분을 막은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보다도 느린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파운틴 롤러와, 그 파운틴 롤러의 둘레면에서의 상기 제1간극의 위치로부터 회전방향 하류측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계량롤러의 둘레면과의 상기 제2간극의 위치까지의 공간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개방함과 동시에, 그 개방공간을 윗쪽으로 향하는 위치에 상부를 개방하는 용기를 배치한 물받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운틴 롤러의 둘레면에 부착한 잉크통내의 잉크가 그 파운틴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간극으로부터 내밀릴 때에 그 잉크에 첫번째 전단력이 가해지고, 또한, 그 잉크가 상기 파운틴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간극에 이르러 상기 계량롤러의 둘레면에 잉크가 전이할때에 상기 파운틴롤러와 계량롤러와의 회전속도차에 의해서 그 잉크에 두번째 전단력이 가해지며, 그들 2번의 전단력의 부가에 의해서, 잉크내에 분산혼입해 있는 있는 물이 잉크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물받이수단의 용기내에 낙하하여 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2. 판동의 둘레면에 비교적 고점도의 잉크(간단히, 잉크라고 한다)와 습윤수를 공급하여 인쇄하는 평판인쇄기에 있어서, 둘레면이 상기 인쇄판에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에서 쇄판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그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도포롤러와, 둘레면이 상기 도포롤러의 둘레면에 직접 또는 그 도포롤러와 회전을 맞추기 위한 1개이상의 하류부 중간롤러를 통해서 접촉하고 그 접촉위치에서 접촉하는 롤러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또한, 그 둘레면에 잉크를 수용하는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를 균등하게 배치한 계량롤러와, 그 계량롤러의 둘레에 접촉하는 닥터수단과, 그 닥터수단을 윗쪽으로 향하는 잉크공급의 최상류에 위치하고, 상부와 앞부분을 개방하고, 양 측판과 경사진 기초대로 이루어진 잉크통과, 그 잉크통의 앞부분을 막는 위치 및 상기 잉크통의 기초대 앞테두리에 제1간극을 통해서 근접하는 위치에 둘레면을 설치하고, 그 둘레면이 잉크통의 앞부분을 막는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보다도 늦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파운틴롤러와, 상기 파운틴롤러와 계량롤러와의 사이에 설치한 짝수개의 상류부 중간롤러로 그 중, 상기 파운틴롤러의 바로 하류에 위치하는 제1중간롤러의 둘레면을 상기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 상기 제1간극보다도 좁은 제2간극을 통해서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그 제1중간롤러의 둘레면이 그 근접위치에서 상기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그 제1중간롤러를 포함하는 상기 각 상류부의 중간롤러의 둘레면과 상기 계량롤러의 둘레면이 각각 순차적으로 접촉하고, 그들 둘레면이 그들 접촉위치에서 서로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판동의 쇄판면의 회전속도와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짝수개의 상기 상류부 중간롤러와. 상기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서의 상기 제1간극의 위치로부터 회전방향 하류측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제2간극을 통해서 상기 제1중간롤러의 둘레면에 이르는 공간을 아래쪽을 향해서 개방함과 동시에, 그 개방공간을 윗쪽으로 향하는 위치에 상부를 개방하는 용기를 배치한 물받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운틴롤러의 둘레면에 부착한 잉크통내의 잉크가 그 파운틴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간극으로부터 내밀릴때에 그 잉크에 첫번째 전단력이 가해지고, 또, 그 잉크가 상기 파운틴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간극에 이르고 상기 제1중간롤러의 둘레면에 잉크가 전이할 때에 상기 파운틴롤러와 그 제1중간롤러와의 회전속도차에 의해서 그 잉크에 두번째 전단력이 가해지고, 그들 2번 전단력의 부하에 의해서, 잉크내에 분산혼입하고 있는 물이 잉크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물받이수단의 용기내에 낙하하여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파운틴 롤러의 바로 하류에 위치하는 제1중간롤러를, 요철이 균등하게 배치된 요철롤러로 한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수단.
  4. 제2항에 있어서, 상류부 중간롤러를 4개이상의 짝수개로 한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류부 중간롤러의 상류로부터 세어서 첫번째를 제외한 홀수번째의 중간롤러를, 축방향으로 소정의 스트로크로 왕복운동하는 잉크 실린더로 한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KR1019950056458A 1995-08-28 1995-12-26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KR100206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43716 1995-08-28
JP7243716A JP2873925B2 (ja) 1995-08-28 1995-08-28 脱水機能を有するインキ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114A KR970010114A (ko) 1997-03-27
KR100206092B1 true KR100206092B1 (ko) 1999-07-01

Family

ID=1710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6458A KR100206092B1 (ko) 1995-08-28 1995-12-26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09147A (ko)
EP (1) EP0761437B1 (ko)
JP (1) JP2873925B2 (ko)
KR (1) KR100206092B1 (ko)
AT (1) ATE195903T1 (ko)
DE (1) DE6951864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2211B2 (en) 1999-03-03 2004-01-06 James F. Price Inking systems for printing presses
ATE295781T1 (de) * 1999-03-03 2005-06-15 James F Price Schraubenloses farbwerk für eine druckmaschine
US6895861B2 (en) * 2003-07-11 2005-05-24 James F. Price Keyless ink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subtractive and clean-up rollers
JP2001310447A (ja) * 2000-04-28 2001-11-06 Komori Corp 輪転印刷機のインキ装置
DE102010001594A1 (de) 2010-02-04 2011-08-04 KOENIG & BAUER Aktiengesellschaft, 97080 Farbwerke und Druckeinheit einer Druck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97939A1 (fr) * 1977-07-22 1979-02-16 Chambon Machines Dispositif d'encrage pour impression a l'encre grasse
JPS6198537A (ja) * 1984-10-22 1986-05-16 Mitsubishi Heavy Ind Ltd オフセツト輪転機
JPS61163857A (ja) * 1985-01-17 1986-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輪転機の水分離装置
JPS6262761A (ja) * 1985-09-13 1987-03-19 Mitsubishi Heavy Ind Ltd オフセツト輪転機
US4661156A (en) * 1985-10-03 1987-04-28 General Electric Company Nickel aluminide base compositions consolidated from powder
JPS62160241A (ja) * 1986-01-10 1987-07-16 Mitsubishi Heavy Ind Ltd 輪転機の水分離装置
JPS62288041A (ja) * 1986-06-09 1987-12-14 Tokyo Kikai Seisakusho Ltd メッシュローラーの水取り装置
DE3622550C2 (de) * 1986-07-04 1994-05-05 Koenig & Bauer Ag Offset-Kurzfarbwerk
JPH0286449A (ja) * 1988-09-22 1990-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インキ供給装置
GB8825411D0 (en) * 1988-10-31 1988-11-30 Vickers Plc Improvements in/relating to lithographic printing
JPH0299641U (ko) * 1989-01-25 1990-08-08
FR2650535A1 (fr) * 1989-08-02 1991-02-08 Corse Louis Dispositif d'elimination de l'eau en exces associe a un dispositif d'encrage et de mouillage d'une imprimeuse rotative offset
JP2954260B2 (ja) * 1990-03-09 1999-09-27 株式会社 東京機械製作所 オフセット印刷機
JPH0745244B2 (ja) * 1990-03-19 1995-05-17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インキ装置
JP2607177B2 (ja) * 1990-10-03 1997-05-07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インキ供給装置
JPH0745244A (ja) * 1993-07-30 1995-02-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ジュメット線、管球およびガラス封止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57947A (ja) 1997-03-04
US5709147A (en) 1998-01-20
DE69518644D1 (de) 2000-10-05
KR970010114A (ko) 1997-03-27
ATE195903T1 (de) 2000-09-15
JP2873925B2 (ja) 1999-03-24
EP0761437B1 (en) 2000-08-30
DE69518644T2 (de) 2001-05-03
EP0761437A1 (en) 199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3856B1 (en) Stencil printing machine and stencil printing drum
EP0293586A2 (de) Geteilter Farbkasten für eine Flexodruckmaschine
DE59206870D1 (de) Farbkammerrakel für einen farbübertragenden körper
KR20070094812A (ko) 코팅액 패턴 형성 방법 및 장치
US5121689A (en) Ultrasonic ink metering for variable input control in keyless lithographic printing
JP2008105189A (ja) 液体供給装置
KR100206092B1 (ko) 탈수기능을 가지는 잉크공급장치
GB2139561A (en) Dampening system
DE69911910T2 (de)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Schichten aus Glasur und dergleichen auf keramischen Gegenständen
KR100225907B1 (ko) 잉크 공급장치
WO1999051439A1 (en) Flexographic printing on smoking article web material
DE102006030057B4 (de) Farbwerk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EP1157836B1 (en) Ink scraper
DE102007015595B3 (de) Vorrichtung zum Druckplattenwechsel an einer Verarbeitungsmaschine
JP7161082B1 (ja) インキ装置シリンダを備える凹版印刷装置
EP2353864B1 (de) Farbwerke und Druckeinheit einer Druckmaschine
JP2003145718A (ja) フレキソ印刷機
WO1992004190A1 (en) A flexographic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JPS63274544A (ja) 線条体連続印刷装置
JPS6322647A (ja) インキング装置
JPH06297688A (ja) 孔版印刷装置におけるインキ供給装置
JPH04193536A (ja) インキ装置
DE202005010049U1 (de) Beschichtungseinrichtung mit einem Kammerrakel
EP0210133A2 (de) Vorrichtung zum Feindosieren eines Flüssigkeitsfilms auf einer rotierenden Walze einer Druckmaschine
JPH07246766A (ja) 孔版印刷機におけるインキ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