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426B1 - 현금 자동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현금 자동 취급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426B1
KR0131426B1 KR1019940021160A KR19940021160A KR0131426B1 KR 0131426 B1 KR0131426 B1 KR 0131426B1 KR 1019940021160 A KR1019940021160 A KR 1019940021160A KR 19940021160 A KR19940021160 A KR 19940021160A KR 0131426 B1 KR0131426 B1 KR 0131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temperature
heating
banknote
he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658A (ko
Inventor
미노루 가도와끼
아쯔꼬 미조구찌
료조 마가무라
리이찌 가또
고우스께 노다
히로유끼 가시와다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248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11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626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670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95000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현금 자동 취급 장치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폐의 입금 또는 출금 거래를 실행하고, 지폐를 넣고 빼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저장하는 보관고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고, 반송되는 지폐를 가열 살균하는 살균 유니트를 사용함으로써 온도 검출기로 살균 유니트의 온도를 검출하고, 살균 유니트의 온도를 특정 온도 범위로 되도록 제어하고, 검출된 온도에 따라 거래를 예를 들면, 일시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거래의 처리를 제어한다

Description

현금 자동 취급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살균 또는 소독을 위한 살균/소독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살균부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지폐 살균시의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제5도는 살균 반송 제어의 상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살균/소독부가 입금 루트 및 장전 루트에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내열 벨트의 오픈/클로즈 제어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가열 살균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가열 온도와 살균률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가열 시간과 살균률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가열 시간과 가열 온도 사이의 관계에 의한 살균 효과를 도시한 도면.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금구 2,4,7 : 반송로
3 : 감식부 5 : 일시 축적 장치
8,9 : 종별 박스 10 : 게이트
11 : 살균/소독 유니트 12 : 카세트
13 : 분리기
본 발명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현금을 인입 및 인출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폐를 살균 또는 소독하는 기능을 갖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를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는 가열, 자외선, 약품에 의한 살균법을 개시한 JP-A-3-209595호에 기재되어 있다. 가열 살균에 의해 지폐를 살균함에 있어서는 반송로상에 제공된 가열 수단에 의해 지폐를 가열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지폐의 가열 살균법은 JP-A-4-114652호에 기재되어 있다. JP-A-4-114652호에는 가열 롤러에 감긴 내열(heat-resistant) 벨트 및 반송로상에 제공된 히터등의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가열 롤러를 구비하는 가열 살균부가 마련되어 있다. 지폐는 반송로상으로 반송될 때 가열 롤러와 내열 벨트 사이로 움직이고, 가열 롤러 및 내열 벨트를 포함하는 지폐 유지부에서 지폐가 가열 살균된다.
가열 롤러 및 내열 벨트가 고온으로 상승되고, 지폐가 가열 롤러와 내열 벨트사이를 지나가는 가열 살균 처리에 있어서, 지폐는 열에 의해 살균되고, 지폐의 온도는 가열 롤러와 내열 벨트 사이로 들어가기 전에 겨우 실온 정도이므로, 지폐를 가열 롤러와 내열 벨트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실온의 지폐를 살균가능한 온도로 올리기 위해서는 대량의 열이 필요하다. 지폐를 연속해서 살균할 때, 가열 롤러 및 내열 벨트는 단시간에 상당한 양의 열을 빼앗기므로, 가열 롤러 및 내열 벨트의 온도는 급격히 떨어진다. 가열 롤러 및 내열 벨트는 지폐에 열을 빼앗길 뿐만 아니라 그 자신도 방열한다. 따라서, 살균시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 롤러 및 내열 벨트를 가열하기 위해, 빼앗긴 열과 동일한 양의 열을 공급하는 큰 용량의 열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력 소비 및 설치 공간 등의 이유로 큰 용량의 열원을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가열 롤러 및 내열 벨트를 살균 온도로 어떻게 유지하는가가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자는 유통중인 지폐의 세균을 검사하여, 황색 포도상 구균 및 바실루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세균이 유통중인 지폐에 묻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종류의 세균들을 포함하는 세균을 열적으로 죽이는 가열 조건에 대하여 실험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일례로서, Principal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in Practice - revised edition- (issued by Nihon Iji Shimposha, July 31, 1989)에 따르면, 살균 조건은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하여 60℃에서 5 내지 10분, 바실루스 서브틸리스에 대하여 104℃에서 15분이다.
그러나, 지폐 취급 기계에 있어서, 지폐 가열부가 반송로를 따라 제공되어 지폐가 한 장씩 반송되어 살균될 때, 이 종류의 기계는 초당 약 1m의 속도로 일초에 7장 내지 12장의 지폐를 반송하므로, 가열부를 연장하여도, 확보할 수 있는 가열 시간이 겨우 0.05초 내지 0.15초이어서, 상술한 살균 조건중의 하나인 가열 시간을 만족하지 않는다.
이들 균의 사멸 처리에 있어서, 가열 조건이 일정하면, 죽는 균의 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가열 시간이 줄어들수록, 살균 효과는 저감된다.
따라서, 지폐 취급 기계에 있어서, 지폐 취급부가 반송로에 제공되고 반송되는 지폐가 한 장씩 살균되는 경우, 가열 시간이 상술한 바와 같이 0.05초 내지 0.15초로 짧을 때, 가열 온도를 상술한 문헌에서 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강력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가열 롤러 및 벨트의 온도가 너무 높게 상승하면, 발열량의 증가와 연기 발생 및 화재 위험 등의 기계 구성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살균 기구를 지폐 취급 장치에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살균된 지폐를 일상 생활중에 오염된 사람들의 손으로 만지고 지갑에 저장하는 동안 많은 균이 지폐에 부착되므로, 의학적으로 사용되는 살균 기구와 같은 높은 살균 효과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이것을 고려하여, 가열 조건을 설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인 살균 효과를 보장할 수 있고 종래의 자동 현금 자동 취급 장치 및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실장될 수 있는 지폐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현금 자동 취급 장치는 지폐를 인입 및 인출하는 입출금구, 지폐를 저장하는 지폐 저장 박스, 입출금구와 지폐 저장 박스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 반송 수단과 지폐를 반송하고 열에 의해 지폐를 살균하는 살균 수단, 살균 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 및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따라 특정 온도 범위로 되도록 살균 수단의 지폐 가열 온도를 제어하고 온도에 따라 거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폐에 부착된 황색 포도상 구균의 90%를 죽이는 조건으로 살균 수단을 제어한다. 즉, 가열 수단에 의한 가열 온도 및 시간은 각각 140℃ 이상 및 0.05초 내지 0.15초가 되도록 제어된다. 지폐가 가열부를 통과할 때 가열되어 지폐에 부착된 황색 포도상 구균의 90% 이상이 파괴되므로, 일상 생활에 있어 충분히 위생적으로 된다.
연속해서 살균되는 지폐의 수가 가열 온도가 특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수로 제한되면, 특징 수 이하의 지폐를 연속해서 살균할 수 있다. 연속해서 살균할 수 있는 지폐의 수를 한번의 거래에서 입금 또는 인출되는 지폐의 수 이상으로 정함으로써, 거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폐를 확실하게 살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현금 자동 취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금 거래에 있어서, 사용자는 입출금구(1)로 지폐를 투입한다. 투입된 지폐는 입출금구(1)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분리 기구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감식부(3)으로 반송로를 거쳐 반송된다. 감식부(3)은 지폐의 금액, 위조인가 아닌가, 깨끗한가 손상되었는가 및 매수를 감식한다. 지폐는 또 반송로(4)를 거쳐 반송되어 일시 축적 장치(5)에 축적된다. 사용자가 실행한 거래가 성립하면, 도시하지 않은 분리 기구에 의해 지폐는 분리되고 일시 축적 장치(5)에서 감식부(3)으로 감식을 위해 다시 반송되고 반송로(4,7,2)를 통과하여 종별 박스(8,9)로 반송되고 금액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입금 거래가 완료된다. 예를 들어, 종별 박스(8)에는 1000엔 지폐를 저장하고, 종별 박스(9)에는 10000엔 지폐를 저장한다.
출금 거래에 있어서, 종별 박스(8,9)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한 양의 지폐가 도시하지 않은 분리 기구에 의해 한 장씩 분리되어 반송로(2)상으로 반송된다. 반송로(2)의 중간에는 게이트(10)이 마련되어 있다. 출금 거래에 있어서, 게이트(10)이 살균/소독 유니트(11) 측으로 전환되어, 지폐는 살균 또는 소독되는 살균/소독 유니트(11)로 반송된다. 지폐가 살균/소독 유니트(11)에 의해 살균 또는 소독된 후, 반송로(2,4,7)를 통과하여 입출금구(1)에 축적되고 방출되어, 출금 거래가 종료된다. 살균/소독 유니트(11)이 다음에 기술하는 가열 살균을 실행하여, 입출금구(1)에 축적된 지폐는 때때로 뜨거울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불쾌한 느낌을 주지 않도록 살균/소독 유니트(11)에 의해 가열 살균된 지폐를 냉각하기 위해 반송로(7)에 지폐 냉각 유니트(7a)를 마련해도 좋다. 반송로의 일부가 살균/소독 유니트(11)을 우회하므로, 게이트(10)의 전환에 의해, 살균/소독 유니트(11)을 우회시킬 수 있다.
종별 박스(8,9)내의 지폐의 잔량이 작은 경우, 지폐 카세트(12)로부터의 지폐로 종별 박스(8,9)를 보충한다. 즉, 지폐 카세트(12)가 착탈가능하므로, 담당 행원이 지폐 카세트(12)에 지폐를 보급할 수 있다. 분리기(13)가 철수된 후, 지폐가 도시하지 않은 분리 기구에 의해 카세트(12)에서 꺼내지고, 반송로(6)을 거쳐 감식부(3)으로 반송되고, 지폐의 금액 및 수량이 감식된다. 그후, 다른 금액의 지폐가 각 종별 박스에 따로따로 보충되거나 채워진다. 일시 축적 장치(5), 지폐 카세트(12) 및 분리기(13)을 예를 들면, JP-A-62-4229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종별 박스(8,9)중의 어느 하나가 완전히 채워질 때, 지폐는 채워진 종별 박스(8) 또는 (9)에서 내보내지고, 감식부(3)이 다른 금액 지폐의 계수 및 감식을 완료한 후, 지폐 카세트(12)로 회수된다. 또는, 기계에 남아있는 지폐의 양을 면밀히 검사 하기 위해 모든 지폐가 종별 박스(8,9)에서 회수되어 감식부(3)에 의해 계수될 수 있다. 또한, 지폐가 종별 박스(8,9) 또는 지폐 카세트(12)로 반송될 때 감식부(3)을 거쳐 지폐를 순차 이동시킴으로써, 기계에 남아 있는 지폐의 양을 계수하여 면밀히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를 위한 회수에 있어서도, 반송로(2)의 게이트(10)을 전환함으로써 지폐를 살균 또는 소독할 수 있다.
제6도는 살균/소독 유니트(11)이 반송로(2)에 있어 종별 박스(8,9)의 상류쪽에 제공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6도의 구성에서는 입금 거래 또는 지폐 보충 또는 장전 동작중에 지폐를 살균 또는 소독할 수 있다. 제6도의 구성에서는 살균 또는 소독 처리가 출금 거래시에 실행되지 않는다.
입금 거래는 이용자가 입출금구(1)에 넣은 지폐를 일시 축적 장치(5)에 축적하는 입금 수납 처리 및 일시 축적 장치(5)로부터의 지폐를 종별 박스(8,9)에 저장하는 입금 계수 처리를 포함한다. 입금 수납 처리에 있어서, 입출금구(1)에 투입된 지폐는 반송로(2)로 한 장씩 송출되고, 반송로(2), 감식부(3) 및 반송로(4)를 통과한 후, 일시 축적 장치(5)에 축적된다. 입금 계수 처리는 입금 수납 처리의 결과, 사용자의 확인을 얻어서 거래가 성립할 때 시작한다. 일시 축적 장치(5)에 축적된 지폐는 반송로(6)으로 한 장씩 송출되고, 감식부(3) 및 반송로(4,7,2)를 통과한다. 반송로(2)로부터, 지폐는 게이트(10)을 거쳐 살균/소독 유니트(11)로 송출된다. 살균 또는 소독된 후, 지폐는 반송로(2)로 다시 송출되고, 반송로(2)의 하류쪽에 제공된 종별 박스(8,9)에 저장된다.
이하, 제2도에 따라 제1도 및 제6도에 도시한 현금 거래 기계내의 살균/소독 유니트(1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지폐 살균/소독 유니트(1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4)는 지폐를 가열 살균하는 금속 가열 롤러로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모터(16)에 의해 회전하도록 타이밍 벨트에 의해 가열 롤러 구동 모터(16)에 접속되어 있다. 가열 롤러 구동 모터(16)은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스텝핑 모터이다. 센서(14a)는 가열 롤러(14)가 회전하고 있는가 않는가를 검출한다. 전원이 턴온될 때, 가열 롤러(14)는 회전해야 하지만, 가열 롤러가 회전하지 않으면,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열에 대한 예방책이 취해지고, 이를 위해, 센서(14a)는 가열 롤러(14)가 회전하는가 하지 않는가를 검출한다.
(17)은 가열 롤러(14)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이고, 전기 히터(17)은 가열 롤러(14)의 표면 온도를 살균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열량을 발생한다. 설명의 편의상, 전기 히터(17)을 가열 롤러(114)에서 분리하여 도시하지만, 실제로 전기 히터(17)은 가열 롤러의 축(shaft)에 가깝에 장착되어 있다.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18)이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라인상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어기(19)에 의해 전기 히터(17)를 온 오프할 수 있다. 전기 히터(17)이 특정 온도 이상으로 되더라도 스위치(18)의 고장으로 인해 전기 히터(17)을 오프할 수 없을 때 열 보호기(18a)는 퓨즈로서 기능한다.
(20)은 가열 롤러(14)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열 검출기로서, 검출된 온도는 제어기(19)에 입력된다. 제어기(19)는 온도 검출기(20)에 의해 공급된 온도 데이타에 따라, 가열 롤러(14)의 표면 온도를 관리하기 위해 스위치(18)을 제어한다.
(21)은 가열 롤러(14)에 감겨 있는 내열 벨트로서, 지폐 살균에 필요한 장력, 즉 16㎏f 이상의 장력하에 있다. 내열 벨트(21) 및 가열 롤러(14)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부분(22)는 가열 롤러(14)에 대하여 소정 각도 이상으로 지폐를 누름에 의해 지폐를 보내도록 내열 벨트(21)을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가 회전함에 따라, 가열부(22)로 들어간 지폐는 반송되면서 가열 살균된다.
(23,24)는 살균/소독 유니트(11)이 가열 롤러(14)에 의해 가열될 때 주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 및 흡기 팬이다.
(25,26)은 솔레노이드(27) 및 기어 모터(28)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내열 벨트(21)을 위한 로크(lock)이다. 센서(25a)는 로크(25)가 오픈인가 클로즈인가를 감지한다. 제2도에 도시한 상태의 로크(25)가 센서(25a)를 덮고 있지 않으므로, 센서(25a)는 로크(25)가 클로즈인 것을 감지하고 있다. 센서(26b)는 로크(26)가 오픈인가 클로즈인가를 감지한다. 제2도에 도시한 상태의 로크(26)이 센서(26b)를 덮고 있지 않으므로, 센서(26b)는 로크(26)이 클로즈인 것을 감지하고 있다. (29)는 비상시 가열 롤러(14)를 냉각하는 팬이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부(22)에서 지폐를 가열하는 시간은 0.05초이고, 이 기간의 시간에 필요한 살균 온도는 160℃ 내지 240℃이다.
내열 벨트(21) 및 가열 롤러(14)의 표면 온도는 살균용 전기 히터(17)에 의해 상승하고, 살균에 필요한 온도는 히터(17)의 온/오프 제어에 의해 예를 들면, 160℃와 240℃ 사이로 유지된다.
지폐 살균 처리에 있어서, 지폐가 가열부를 통과할 때,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의 열이 지폐로 옮겨지므로 표면 온도가 내려간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 1회 거래의 입금 또는 출금의 한도 매수(예를 들면, 100장)의 지폐가 연속하여도 예를 들어, 첫번째 지폐가 살균부를 통과할 때, 가열 롤러(14)의 표면 온도가 예를 들면 240℃ 부근에 도달하고 있으면, 한도 매수의 지폐가 모두 연속하여 통과한 시점에서도 가열 롤러(14)와 내열 벨트(21)의 표면 온도가 살균 온도하한, 예를 들면 160℃ 이하로 떨어지는 않도록 하는 어떤 대책을 취해야 한다. 전기 히터(17)의 용량이 증가하면, 연속해서 살균할 수 있는 지폐의 수가 증가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약 2000장의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지폐가 장착 또는 보충시 살균될 때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의 표면 온도가 살균 온도의 하한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전기 히터가 필요하지만, 그러한 히터는 전력 소비 및 실장의 어려움면에서 문제가 있다.
살균 온도의 상한에 대하여, 상한이 높을수록, 가열 롤러(14), 내열 벨트(21) 및 다른 재료의 살균부에 더 큰 응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살균 온도의 상한은 가열 온도가 0.05초일 때 연속 살균을 위해 최소로 필요한 온도차, 예를 들면 80℃를 살균 온도의 하한, 예를 들면 160℃에 더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240℃로 설정한다. 내열 벨트는 지폐 살균에 필요한 16㎏f 이상의 장력을 받는다.
이하, 제4도에 따라 지폐 살균 처리를 간단히 설명한다.
지폐 살균부의 내열 벨트(21) 및 가열 롤러(14)를 실온에서 특정 살균 온도로 가열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므로, 사전에 어느 정도 가열해둘 필요가 있다. 현금 자동 취급 장치로의 전원이 온(스텝 32)된 후, 전기 히터(17)이 온(스텝 33)되어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특정 살균 온도보다 낮은 온도, 즉 약 100℃로 설정된다.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은 예열 온도로 가열될 때까지 대기 상태이다(스텝 35). 예열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예열 온도 유지 제어가 시작되어 예열 온도 부근에서 전기 히터를 온 오프하는 것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의 표면 온도를 유지한다(스텝 36). 상술한 대기 상태 중 예열을 위해 내열 벨트(21)이 정지하고 있으면, 내열 벨트(21)의 일부에만 열이 인가되어 그 부분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은 대기 상태일 때 항상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 때문에, 전기 히터를 온(스텝 33)시킨 후,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을 저속으로 계속 회전시킨다(스텝 34). 이 때, 가열 롤러(14)는 내열 벨트(2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만 회전하므로, 가열 롤러(14)는 정상보다 저속으로 구동되기만 하면 된다.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회전하는 동안, 실패없이 회전하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회전하고 있지 않으면, 비정상으로 간주하고, 전기 히터(17)을 오프하여 스텝외 조건에서 내열 벨트(2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예열 온도 유지 제어가 실행되는 동안,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 이외의 반송로는 휴지 상태에 있다.
살균부는 이 상태에서 지폐 살균을 수반하는 거래가 시작되기를 기다린다(스텝 37). 지폐 살균을 수반하는 거래, 예를 들면, 출금 거래가 선택되면,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살균 온도로 가열되고, 가열 롤러(14)의 구동 속도가 지폐 반송가능 속도로 가속되는 것에 의해, 지폐를 살균하는 살균 반송 제어가 실행된다(스텝 38). 살균 반송 제어(스텝 38)가 완료될 때, 예열 온도 유지 제어가 다시 시작되어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의 표면 온도가 내려가서 예열 온도로 유지되고(스텝 39), 장치는 지폐 살균을 수반하는 거래가 시작되기를 기다린다(스텝 37). 지폐 살균이 없는 거래가 선택되면,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는 저속으로 회전하고 표면 온도는 예열 온도로 유지된다.
이하, 제5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살균 반송 제어(스텝 38)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폐 살균을 수반하는 거래가 선택될 때, 예열 온도로 유지어 있는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살균 온도로 상승할 수 있도록, 전기 히터(17)이 온되고(스텝 40), 장치는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살균 온도의 상한에 도달하기를 기다린다(스텝 41). 살균 온도의 상한에 도달하면,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은 지폐를 살균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가열 롤러(14)의 회전 속도는 지폐 살균가능 상태로 되도록 증가한다(스텝 42). 이와 동시에, 제1도에 도시한 지폐 반송로(2,4,6,7)이 구동된다(스텝 43). 이때,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은 이미 살균 온도의 상한에 있다. 본래는 전기 히터(17)을 오프시켜야 하지만,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살균 온도의 하한으로 떨어질 때는 전기 히터(17)을 온시켜야 한다. 그러나, 지폐가 살균부를 통과할 때,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통과하는 지폐에 대량의 열을 빼앗겨서 온도가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 히터(17)을 온 상태로 하여 둔다. 살균 온도의 상한을 넘으면 전기 히터(17)이 오프되는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상태하에서, 게이트(10)이 온되고(스텝 44), 종별 박스(8 또는 9)의 도시하지 않은 분리 기구가 구동되어 지폐가 분리된다(스텝 45). 분리 기구에 의해 한 장씩 분리된 지폐는 반송로(2)로 한 장씩 일정한 간격으로 보내지고 지폐 살균 유니트(11)로 반송된다. 반송로(2)로 반송된 지폐는 반송로(2)에 제공된 게이트(10)에 의해 살균 경로가 전환되어 살균 유니트(11)로 보내진다. 지폐는 살균 유니트(11)의 반송로(30)에 의해 가열 롤러(14)와 내열 벨트(21) 사이의 가열부(22)로 보내진다. 예를 들면, 160℃ 내지 240℃의 온도로 가열된 가열 롤러(14)와 내열 벨트(21) 사이에 유지된 지폐는 가열되고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회전에 의해 가열부(22)를 통과하여 반송로(31)로 보내지고, 반송로(2)로 되돌아가고, 감식부(3)을 통과하고, 반송로(4,7)로 반송되고, 입출금구(1)에 넣어지며, 이용자에 의해 인출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지폐는 한 장씩 분리되어 살균되고, 특정수의 지폐가 분리되었을 때, 종료 처리가 실행되고(스텝 46), 이동안, 가열 롤러의 온도가 살균 온도의 하한으로 떨어지는지를 알기 위해 모니터된다(스텝 47). 선택된 거래가 100장 이하 지폐의 출금 거래인 경우, 가열 롤러가 살균 온도의 하한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처리가 스텝(46)에서 종료 처리로 진행하여, 분리 동장이 정지되고(스텝 54), 장치는 최종적으로 분리된 지폐가 살균 유니트에 도착하기를 기다려서(스텝 55), 지폐가 도착할 때, 게이트(10)은 오프한다(스텝 56). 장치는 마지막 지폐가 살균 유니트를 통과하여 제1도에 도시한 입출금구(1)에 도착하기를 기다리고(스텝 57), 마지막 지폐가 도착할 때, 반송로(2,4,6,7)를 정지시킨다(스텝 59). 또한, 가열 롤러(14)가 저속 구동으로 전환되고(스텝 58), 전기 히터(17)이 오프(스텝 60)됨으로써,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의 온도가 떨어진다. 상기 동작이 종료된 후, 제4도의 흐름도에 도시한 예열 온도 유지 제어가 시작되고(스텝 39), 거래가 끝난다.
출금 거래에 있어서, 살균 유니트는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의 온도가 살균 온도의 하한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회수 거래 등에 있어서, 특정 수 이상의 지폐가 가열 롤러(14)와 내열 벨트(21) 사이의 살균부를 연속해서 통과할 때, 살균부는 종종 살균 온도의 하한 이하로 떨어진다. 따라서, 스텝(47)에서, 살균 처리중 가열 롤러가 살균 온도의 하한 이하로 떨어질 때, 분리기에 의한 분리 동작이 일시 정지되고(스텝 48), 장치는 최종적으로 분리된 지폐가 살균 유니트에 도착하기를 기다리고(스텝 49), 지폐가 도착하면, 게이트(10)을 오프하고(스텝 50), 최종 지폐가 살균 유니트를 통과하여 카세트(12)에 저장되기를 기다려서(스텝 51), 지폐가 저장될 때, 반송로(2,4,6,7)를 정지시킨다(스텝 53). 이때, 가열 롤러(14)는 저속 구동으로 전환되고(스텝 52), 지폐 살균 처리는 종료된다. 이 상태하에서, 전기 히터(17)이 온이고, 장치는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살균 온도의 상한으로 복원하는 것을 기다리고(스텝 41), 상한에 도달하면, 지폐 살균 처리가 시작된다. 모든 지폐에 대하여 살균 처리가 실행되었을 때, 처리는 스텝(46)에서 종료 처리로 진행한다. 살균해야할 지폐가 많으면, 상기 처리가 반복된다.
상기 처리에 있어서, 분리 동작은 완전히 정지된다. 그러나, 분리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가열 롤러(14)와 내열 벨트(21) 사이에 들어오는 단위 시간당 지폐수를 줄임에 의해, 또는 분리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반송로(2)의 반송 속도 및 가열 롤러(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의 온도 하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4도의 스텝(37)에서의 입금 거래의 입금 계수 처리는 상술한 동일한 제어에 이해 지폐 살균을 수반하는 처리로서 실행된다.
제2도에 따라, 살균 처리중 살균부에서 이상이 발생할 때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폐가 가열부(22)에서 반송되지 않고 남아 있을 때, 지폐가 가열 롤러(14)와 장시간 접촉하면 지폐가 손상될 수 있다. 지폐가 반송되지 않고 남아 있을 때, 로크 솔레노이드(27)로의 전원이 오프되고, 로크(25)가 해제되어, 내열 벨트(21)이 벗겨지므로, 가열부(22)에 꽂혀있던 지폐가 해방된다. 내열 벨트(21)의 로크(25)가 해제될 때, 가열 롤러(14)위에 설치된 팬(29)는 가열 롤러(14)를 재빨리 냉각시키기 위해 긴급하게 회전한다. 팬(29) 회전의 다른 효과는 가열부(22)주위에 반송되지 않고 남아있는 지폐를 불어내는 것이다. 오픈 상태의 내열 벨트(21)은 자동적으로 잠금 상태로 되어 초기 상태로 복원하도록 설계된다. 이하 제7도에 따라 내열 벨트(21)의 오픈/클로즈 제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로크 메가니즘은 통상 대기 모드에 있고, 로크(25)는 로크 스톱퍼(26)에 의해 고정되고, 내열 벨트(21)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 로크 레버(26a)는 로크 레버(26a)가 내열 벨트(21)을 지지하는 동안 로크(25)에 의해 유지된다(대기 모드).
출금 거래가 시작할 때, 로크 솔레노이드(27)은 로크(25)를 유지하기 위해 온됨과 동시에, 로크 스톱퍼(26)은 스톱퍼 모터에 의해 오픈 위치로 움직인다. 그 결과, 로크(25)는 로크 솔레노이드(27)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클로즈 또는 오픈 상태로 된다(동작 모드).
이 상태에서 이상이 발생할 때, 로크 솔레노이드(27)이 오프되므로, 로크(25)는 오픈 상태로 된다. 따라서, 로크 레버(26a)는 풀리고, 내열 벨트(21)이 오픈된다(오픈 상태).
이 상태에서,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은 특정수만큼 계속 회전하고, 게이트(10)에 의해 살균부로 보내진 모든 지폐가 해방된후 정지한다.
클로즈 동작은 다음과 같이 발생한다. 반송로가 정지될 때, 나머지 지폐가 제거된 후, 내열 벨트(21)이 클로즈된다(클로즈 처리).
로크 스톱퍼 모터(28)이 특정수만큼 회전될 때, 리프팅 브라켓(28a)는 내열 벨트(21)이 클로즈 위치로 움직이도록 되고, 로크 레버(26a)는 로크 레버가 내열 벨트(21)을 지지하는 위치로 움직인다. 이 상태에서, 로크 솔레노이드(27)이 온되므로, 로크(25)는 로크 레버(26a)를 잠근다. 이 상태에서, 스톱퍼 모터(28)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로크 스톱퍼가 클로즈 위치로 되어 로크(25)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로크 솔레노이드(27)이 오프되면, 로크(25)는 로크 스톱퍼(26)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로크 메카니즘은 대기 모드로 된다(대기 모드).
상기 설명에 있어서, 지폐를 살균하는 살균/소독 유니트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롤러(14)를 둘러싸는 것처럼 배치된 내열 벨트(21) 및 가열 롤러(14)에 의해 형성된다. 가열/살균 유니트가 가열 롤러(14)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롤러(14)의 둘레에 배치된 여러개의 롤러(61a 내지 61g)에 의해 형성되면, 가열부(22)를 통과하는 지폐가 가열 롤러(14) 둘레에 충분히 감겨서 가열되므로,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에 의해 형성된 가열/살균 유니트에서 얻은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즉, 지폐는 어떤 각도 이상으로 가열 롤러(14)에 대하여 눌려지면서 반송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지폐에 부착되는 균에는 많은 것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살균해야 할 균의 종류를 정의하고, 이를 위해, 효과적인 살균 조건을 설정한다. 지폐에 부착하는 균중에서, 황색 포도상 구균은 식중독의 원인으로 병원 감염을 일으키는 균으로서 주의해야 하므로 살균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식중독을 직접 일으키는 대장균과 같은 병리성이 높은 균은 열에 대한 내성이 황색 포도상 구균과 같거나 그보다 약하다. 황색 포도상 구균에 살균 노력을 기울이면, 다른 균을 죽일 수 있다. 바실루스 서브틸리스는 효소와 같은 특성을 갖는 균으로 일반적으로 해가 없으므로, 그 균을 살균 대상에서 배제하여도 문제가 없다. 상술한 이유 때문에, 살균 대상은 황색 포도상 구균 및 열에 대한 내성이 낮은 다른 균을 포함한다. 살균 대상으로서의 균에 대한 살균 효과에 대하여, 장치가 일상 생활에서 이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균을 살균하는데 사용되므로, 균을 약 십분의 일로 줄이는 것이 즉, 약 90%의 살균률이 상당히 효과적이다. 상술한 Principal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in Practice-revised edition에 따르면, 살균 처리에 의해 90%를 죽이는(세균수를 1/10으로 줄이는) 가열 시간을 D값(Decimal reduction value)이라고 하고, 이것이 살균법에 있어서의 공통 개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를 얻었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험 결과는 지폐 살균 또는 소독 수단이 지폐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 롤러 및 가열 롤러에 대하여 눌리면서 가열 롤러와 접촉하여 감겨 회전하는 벨트를 포함할 때, 황색 포도상 구균의 경우의 살균 효과와 가열 시간 및 가열 온도 사이의 관계이다. 제9도는 가열 시간이 0.08초일 때, 가열 온도와 살균률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약 150℃에서 균의 90%를 죽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제10도는 가열 온도가 190℃일 때의 가열 시간과 살균률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가열 시간이 0.05초일 때 균의 90%를 죽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제11도는 가열 시간 및 온도를 파라미터로서 사용한 실험 결과에 따라 살균률 90%의 목표값을 만족하는 가열 조건을 도시한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가열 시간이 약 0.15초 일때 살균 대상인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약 90%의 살균률을 얻기 위해서는 약 140℃ 이상의 가열 온도가 필요하고, 가열 시간이 0.05초일 때는 약 90%의 살균률을 달성하기 위해서 약 185℃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따라서,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있어서, 황색 포도상 구균 및 황색 포도상 구균보다 열에 대한 내성이 약한 다른 균을 살균 대상으로 설정하고, 가열 롤러의 직경 및 회전 속도를,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140℃로 되도록 또는 140℃ 이상의 특정 온도 범위로 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지폐가 가열 롤러 및 가열 롤러 둘레에 감긴 벨트 사이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0.05초 이상 0.15초 이하로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롤러에 의해 지폐를 가열 살균하는 건기 살균(dry air sterilizodion)에 의해, 지폐는 반송되면서 0.05초 내지 0.15초의 D값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140℃ 이상의 가열 온도로 가열된다. 세균을 1/10로 줄이는 D값을 통상의 현금 거래 장치에 적용할 수 있고, 통상의 현금 자동 취급 장치의 처리 시간 및 반송 속도에 적합하며, 처리 시간을 늘리는 일없이 보장할 수 있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조건을 사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는 제6도에 도시한 구성이고, 제2도에 도시한 지폐 살균 유니트(11)이 사용된다.
가열 롤러(14)는 직경 60㎜의 알루미늄 롤러이고, 온도는 온도 검출기(20)로 부터의 정보에 따라 제어기(19)에 의해 항상 약 185℃ 내지 190℃로 되도록 제어된다. 가열 롤러(14)는 6.5회전/초의 속도로 회전한다. 이 회전 롤러 속도는 반송 메카니즘(2,4,7)의 반송 속도 1.2m/s가 가열 롤러(14)의 주변 속도와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내열 벨트(21)은 가열 롤러(14)의 둘레 주위에 약 180도의 각도로 감겨있으므로, 가열 롤러(14)와 내열 벨트(21) 사이에 반송되는 지폐는 약 0.08초 동안 가열 롤러(14)와 접촉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100℃에서 예열 온도 유지 제어가 실행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살균 처리의 재빠른 개시에 대비하도록 항상 180℃ 내지 190℃로 제어된다.
또한, 이 경우의 장치는 최대 100장의 지폐를 일괄하여 취급하고 초당 8장의 속도로 지폐를 처리한다. 살균/소독 유니트(11)은 동일한 속도로 지폐를 취급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 지폐가 받는 열의 양이 전기 히터(17)에 의해 공급된 열의 양보다 크면, 가열 롤러(14)의 온도는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최대 전력 소비의 제약 때문에, 가열 롤러(14)의 온도가 점차로 내려가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최대 100장의 지폐를 연속하여 처리한 후, 가열 롤러(14)가 측정에 의해 약 150℃의 온도를 갖는다는 것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최대 100장의 지폐를 연속해서 처리할 때, 제11도에 따라 설명한 바와 같이 황색 포도상 구균의 90%를 죽이기 위한 마지막 지폐에 대한 가열 조건이 충분히 만족되므로, 적절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속해서 살균해야 할 지폐의 수를 100장 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가열 롤러(14)의 초기 설정 온도를 더 높이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고무 또는 수지부의 내열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기술 및 가격 때문에, 약 250℃가 한계로 고려된다.
제12A도 및 제12B도는 동작 제어의 흐름도이다.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스텝 100)후, 전기 히터(17)이 온되고 온도 유지 제어가 시작되어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이 185℃ 내지 190℃의 범위로 유지된다(스텝 101).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은 저속으로 구동된다(스텝 102). 가열 롤러(14) 및 내열 벨트(21) 이외의 반송로는 정지한 채이다.
살균 유니트는 지폐 살균을 수반하는 거래가 시작되기를 기다리는 대기 상태이다(스텝 103). 지폐 살균을 수반하는 거래, 즉 예를 들면 입금 거래가 선택될 때, 가열 롤러(14)가 온도 185℃ 내지 190℃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결정한다(스텝 104). 가열 롤러(14)가 185℃ 내지 190℃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면, 살균 유니트는 살균 처리에 대비하고, 가열 롤러(14)의 회전 속도는 지폐의 반송이 가능하도록 증가되고(스텝 105), 그와 동시에 제6도에 도시한 지폐 반송로(2,4,6,7)이 구동된다(스텝 106). 이 상태에서, 게이트(10)은 온되고(스텝 107), 일시 축적장치(5)의 도시하지 않은 분리 기구는 지폐 분리가 시작되도록 구동된다(스텝 108). 분리 기구에 의해 분리된 지폐는 일정한 간격으로 한 장씩 반송로(6)으로 보내지고, 지폐는 감식부(3), 반송로(4,7,2)를 거쳐 지폐 살균 유니트(11)로 반송된다. 반송로(2)를 통해 보내진 지폐는 반송로(2)에 제공된 게이트(10)에 의해 살균 루트가 전환되고, 살균 유니트(11)로 보내진다. 지폐는 살균 유니트(11)의 반송로(30)에서 가열 롤러(14)와 내열 벨트(21) 사이의 가열부(22)로 반송된다. 가열 롤러(14)와 내열 벨트(21) 사이에 놓인 지폐는 가열 롤러(14)와 내열 벨트(21)의 회전에 의해 가열부(22)를 통과하고, 반송로(31)로 반송되고, 반송로(2)로 되돌아가고, 종별 박스(8) 또는 (9)에 최종적으로 저장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지폐가 한 장씩 분리되어 살균되므로, 100장의 지폐가 연속해서 분리되었는가를 결정한다(스텝 109). 100장의 지폐가 연속해서 분리되었으면, 분리 동작이 일시 정지되고(스텝 110), 가열 롤러(14)의 온도가 185℃ 내지 190℃로 된다. 모든 지폐가 분리되었을 때(스텝 111), 분리 동작이 정지되고(스텝 112), 장치는 최종적으로 분리된 지폐가 살균 유니트에 도착하기를 기다려서(스텝 113), 게이트(10)을 오프로 하고(스텝 114), 마지막 지폐가 살균 유니트를 통과하여 종별 박스에 저장되는 것을 기다리고(스텝 115), 그후 반송로(2,4,6,7)를 정지시킨다(스텝 116).
이 실시예에서 채택한 가열 온도 조건으로서의 185℃ 내지 190℃의 온도 범위는 현재의 복사기 또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열고착부와 레벨이 대략 같다. 따라서, 내열성이 증명된 열 또는 화재에 대한 안전 장치 등의 부분을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전용할 수 있으면, 신뢰성 향상 및 장치 가격 저감에 크게 기여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황색 포도상 구균 및 열에 대한 내성이 약한 균을 살균 대상으로 설정하고, 초당 8장의 속도로 반송된 100장의 지폐의 연속 처리에 대하여 약 90%의 살균률을 보장하기 위해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185℃ 내지 190℃의 범위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가열 롤러와 가열 롤러 둘레에 감긴 내열 벨트 사이에 지폐가 있는 시간이 0.08초가 되도록 가열 롤러의 직경 및 회전 속도를 설정한다. 연속 살균 처리가 완료한 후라도, 전기 히터의 출력이 증가하여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 표면 온도가 약 150℃인 가열 롤러도 충분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 롤러(14)의 직경이 60㎜보다 작을 때, 또는 이 실시예에서 반송 속도가 1.2m/s보다 빠를 때, 또는 이 실시예에서 가열 롤러(14)의 둘레에 감긴 내열 벨트(21)의 감긴 각도가 180도보다 작을 때는, 이 실시예에서 가열 시간을 0.08초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장치가 예를 들면, 0.05초의 가열 시간을 갖고,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예를 들면, 215℃ 내지 220℃로 설정되면, 이 실시예와 동일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살균되는 균은 황색 포도상 구균 및 황색 포도상 구균보다 열에 대한 내성이 약한 다른 균이지만, 황색 포도상 구균보다 내열성이 높은 바실루스 서브틸리스가 살균 대상에 포함되면, 상술한 경우와 같은 실험에 의한 살균효과 검사에 의해 충분한 가열 조건을 설정해야 한다.

Claims (10)

  1.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폐의 입금 또는 지급 거래를 실행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폐를 인입 및 인출하는 입출금구; 상기 지폐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입출금구와 상기 저당 수단 사이에서 상기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 상기 반송 수단으로 그리고 상기 반송 수단으로부터 상기 지폐의 반송을 실행하고 상기 지폐를 가열 살균하는 살균 수단; 상기 살균 수단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반응하여 상기 살균 수단의 지폐 가열 온도를 특정 온도 범위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에 따라 거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수단은 가열 롤러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상기 가열 롤러에 대하여 상기 지폐를 누름으로써 상기 지폐를 반송하는 가열 반송 수단과, 상기 가열 롤러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열 반송 수단을 상기 살균 수단이 살균을 실행하지 않을 때에도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열 반송 수단을 상기 살균 수단이 살균을 실행하지 않을 때에도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연속해서 살균되는 지폐의 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이상이 검출될 때 상기 가열 반송 수단을 상기 가열 롤러에서 떨어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살균 수단의 가열 온도를 140℃ 이상이 되도록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수단은 가열 온도가 140℃이고 D값(Decimal reduction value)이 0.05초 내지 0.15초일 때, D값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열 반송 수단에 의해 지폐가 반송되는 동안 지폐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폐에 부착된 황색 포도상 구균의 90% 이상을 살균하기위해 가열 온도가 140℃ 이상이고 가열 시간이 0.05초 내지 0.15초로 되도록 상기 살균 수단의 가열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9.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폐의 입금 또는 지급 거래를 실행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를 인입 및 인출하는 입출금구; 상기 지폐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입출금구와 상기 저장 수단 사이에서 상기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 및 90% 이상의 살균률로 상기 지폐에 부착된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는 살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수단은 상기 황색 포도상 구균의 90% 이상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
KR1019940021160A 1993-08-27 1994-08-26 현금 자동 취급 장치 KR0131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12487 1993-08-27
JP21248793A JP3301174B2 (ja) 1993-08-27 1993-08-27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93-316267 1993-12-16
JP31626793A JP3336709B2 (ja) 1993-12-16 1993-12-16 紙幣自動取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658A KR950006658A (ko) 1995-03-21
KR0131426B1 true KR0131426B1 (ko) 1998-10-01

Family

ID=2651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160A KR0131426B1 (ko) 1993-08-27 1994-08-26 현금 자동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78281A (ko)
EP (1) EP0643370B1 (ko)
KR (1) KR0131426B1 (ko)
DE (1) DE6942235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960B1 (ko) * 2008-10-22 2011-05-17 엘지엔시스(주) 매체인식센서의 출력값 보상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4860B1 (en) * 1997-10-03 2001-10-16 Joseph B. Martin, Jr. Automated debt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TM network
KR100342211B1 (ko) * 1997-12-29 2002-11-29 주식회사 한네트 각종티켓서비스겸용현금자동지급장치
NL1023317C2 (nl) * 2003-05-01 2004-11-02 Syntech Holdings Bv Werkwijze voor het desinfecteren van bankbiljetten en/of munten.
WO2005098763A2 (de) * 2004-04-06 2005-10-20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banknoten
DE102004016961A1 (de) * 2004-04-06 2005-10-27 Giesecke & Devrient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Banknoten
US20090301679A1 (en) * 2008-06-09 2009-12-10 Thermal Sterilization Specialties, Inc. Paper currency cleansing/reconditioning/sanitizing system and method
US9262785B1 (en) * 2013-08-06 2016-02-16 Ralph E. Jocke Automated banking machine in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mputer that generates an alert message when a calculated number of transactions exceeds a threshold
KR101545608B1 (ko) * 2014-06-16 2015-08-19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계수기 수납형 지폐 소독기
US20210289958A1 (en) * 2020-03-23 2021-09-23 Rxsafe Llc Point of sale barrier
CN113284287B (zh) * 2020-08-05 2023-03-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消毒型存钞箱结构及其使用方法、金融机
WO2022028155A1 (zh) * 2020-08-06 2022-02-10 中钞长城金融设备控股有限公司 基于横波的有价证券微波处理装置
JP2022037708A (ja) * 2020-08-25 2022-03-0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自動釣銭機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24A (en) * 1897-03-23 Electroplating-hook
DE1761775A1 (de) * 1968-07-05 1971-10-14 Feldmuehle Ag Gegen hohe Temperatur bestaendige Flaechengebilde
JPS4924194A (ko) * 1972-06-26 1974-03-04
JPS58124873A (ja) * 1982-01-20 1983-07-25 Hitachi Ltd 水中チエツク弁
US4449050A (en) * 1982-03-25 1984-05-15 Ralph Kamhi Device for processing paper money
JPS60117391A (ja) * 1983-11-29 1985-06-24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循環式自動入出金機
JPS6242296A (ja) * 1985-08-20 1987-0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取扱装置
JPS6347260A (ja) * 1986-08-15 1988-02-29 Hitachi Ltd 入出金装置
JPS6366059A (ja) * 1986-09-05 1988-03-24 Yoshimori Katou シワになつた紙幣を殺菌消毒しピンサツにさせる方法
JP2776805B2 (ja) * 1986-10-06 1998-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金自動取扱い装置
JPH085566B2 (ja) * 1986-10-29 1996-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取扱い装置の障害復旧方法
JPS6464091A (en) * 1987-09-04 1989-03-09 Laurel Bank Machine Co Transaction inlet collection controller for paper money teller machine
JP2752087B2 (ja) * 1988-06-30 1998-05-18 株式会社東芝 自動取引装置
JP2993690B2 (ja) * 1990-01-12 1999-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貨幣取引処理装置
JP3024186B2 (ja) * 1990-09-03 2000-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金自動取引装置
US5374814A (en) * 1990-01-12 1994-12-20 Hitachi, Ltd. Cash transaction machine and method with money disinfection
US5326542A (en) * 1992-10-01 1994-07-0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cartons
JPH07320116A (ja) * 1994-05-25 1995-12-08 Hitachi Ltd 紙幣取引装置
JP3413959B2 (ja) * 1994-06-15 2003-06-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取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960B1 (ko) * 2008-10-22 2011-05-17 엘지엔시스(주) 매체인식센서의 출력값 보상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43370B1 (en) 1999-12-29
DE69422356D1 (de) 2000-02-03
EP0643370A2 (en) 1995-03-15
EP0643370A3 (en) 1997-11-05
KR950006658A (ko) 1995-03-21
US5578281A (en) 1996-11-26
DE69422356T2 (de) 200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822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and method therefor
KR0131426B1 (ko) 현금 자동 취급 장치
KR930011097B1 (ko) 화폐 거래장치 및 거래방법
US5626821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JP3301174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993690B2 (ja) 貨幣取引処理装置
JP3331714B2 (ja) 紙幣取引装置
JP3801846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3413959B2 (ja) 紙幣取引装置
JP3336709B2 (ja) 紙幣自動取引装置
US11587409B2 (en) Sanitizing self-service terminal
JP3379664B2 (ja) 紙幣取引装置
JPH09231440A (ja) 紙葉類取扱装置
JPH0585948B2 (ko)
JP2002298190A (ja) 紙幣取引装置
JP3056235U (ja) 通貨の滅菌装置
JPH07320116A (ja) 紙幣取引装置
JPH07200916A (ja) 紙葉類取扱装置
CN1090555C (zh) 纸张处理装置
JPH04114652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H099152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JPH09128594A (ja) 紙幣取引装置
JPH0927059A (ja) 紙幣処理装置
JP3225989B2 (ja) 紙幣処理装置
JPH0773355A (ja) 貨幣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