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79839A1 -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79839A1
WO2017179839A1 PCT/KR2017/003470 KR2017003470W WO2017179839A1 WO 2017179839 A1 WO2017179839 A1 WO 2017179839A1 KR 2017003470 W KR2017003470 W KR 2017003470W WO 2017179839 A1 WO2017179839 A1 WO 20171798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far side
side airbag
airbag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34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태익
산딩예팔
벤쵼마츄
변종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JP201855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9511414A/ja
Priority to US16/092,250 priority patent/US11066036B2/en
Priority to EP17782594.0A priority patent/EP3444148B1/en
Publication of WO20171798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798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9Obliqu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r side airbag device for a vehicle deployed between two seats arranged in the vehicle's width direction during a vehicle collision to prevent a passenger from moving toward the vehicle cent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 an airbag device In an automobile provided with at least two seats in the width direc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ide of the vehicle by a side collision, it is generally performed to protect a passenger seated in a seat closer to the impact portion by an airbag device.
  • This type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side airbag device and is arranged with an inflator for supplying gas to the airbag and the airbag inside the portion of the seat back which is the collision side of the passenger.
  • the inflator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in the airbag while the airbag is inflated, and the inflator is fastened to the seat frame in the backrest while connected to the airbag.
  • the airbag is fixed to the seat frame at the inflator fastening site.
  • the gas for expansion is supplied from the inflator to the airbag.
  • the side airbag begins to inflate by the gas for inflation, and the side airbag pops forward from the seat back with a portion of the side airbag left in the seat back.
  • the side airbag then inflate forwards between the passenger and the side of the vehicle. Therefore, even if the passenger tries to move to the impact side due to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the passenger is accepted by the inflated side airbag.
  • a far side airbag device is known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seat back toward the center of the ca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to prevent the collision between passengers when the car crashes.
  • the far side airbag device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passengers seat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collision side from moving toward the collision side when the side collision occurs from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vehicle seat (far side). That is, the far side airbag device is configured to restrain the passenger from the crash side during side impact.
  • the passenger se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llision side moves to the interior center and front of the vehicle.
  • the passenger is out of the protection range of the far side airbag,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wo passengers se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cannot be eliminated.
  • Patent Document 1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09-035114
  •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5-110373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r side airba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can prevent a passenger seated in an opposite direc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side from moving forward and inward of the vehicle collision side in the event of a side slope collision of the vehicle.
  • a far side airbag apparatus for a vehicle includes a far side airbag configured to support the passenge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prevent one passenger from moving towards the interior center and front of the vehicle.
  • the inner side of the far side airbag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 the inner side of the far side airbag may be formed with a fron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far side airbag toward the outside.
  • the inward portion of the far side airbag when inflated, inclined to be close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t the front of the inclined portion may include a front projec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t the same time.
  • the far side airbag apparatus of the vehicle includes a reinforcement panel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ar side airbag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frame of the backrest; And at least one tether member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far side airbag,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ar side airba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located near the rear side fixing portion of the far side airbag.
  • the other end of the tether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backrest.
  • the other end of the tether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panel.
  • the far side airbag device further comprises an inflator fixed to the frame via a fastening member to supply gas to the far side airbag, the other end of the tether member being connected to the frame with the inflator by the fastening member.
  • the far side airbag may have a corresponding inflation thickness depending on the width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 the far side airbag in a car collision, such as an inclination collis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assenger se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passenger moves toward the collision side so that the interior center side of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ision between the passengers occurr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y preventing the front to be tilted forward.
  • a reinforcement panel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ar side air bag,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far side air bag, a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far side air bag, and a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backrest.
  • a fixed at least one tether member may be provided to increase the support strength of the far side airbag.
  • FIG.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vehicle to which an inflated far side airbag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flated far-side air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along arrow III of FIG. 1.
  • FIG. 4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inflated far side airbag having a reinforcement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ther member of the far 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c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tether member of the far 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d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tether member of the far 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vehicle to which an inflated far side airbag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vehicle to which an inflated far side airbag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ence numeral F denotes the front of the vehicle to which the side curtain air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reference numeral R denotes the rear of the automobile
  • reference numeral U denotes the upper side of the automobile
  • reference numeral D denotes the lower side of the automobile.
  • Reference I denotes the interior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 reference relief O denotes the exterior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 FIG.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n automobile to which an inflated far side airbag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flated far side air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ar side airba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back of a vehicle seat.
  • the seat for a vehicle can be arranged, for exampl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er C of the vehicl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 the driver's seat 1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front passenger's seat 3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based on the inner center C of the vehicle.
  • the far side airbag device 1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ckrest 31 of the passenger seat 30. In another embodiment, the far side airba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at an inner side of the backrest 11 of the driver's seat 10 facing the center of the vehicle. In another embodiment, the far side airba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10 and the passenger seat 30 to be sele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side or inclined side collision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far side airbag device 100 is configured to operate in a seat opposite to the vehicle crash side to prevent passengers se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crash side moving toward the crash side.
  • the far side airba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senger side sit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mpact side in the inclined side collision with the collision object collid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vehicle moves to the inner center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configured to prevent.
  • the far side airbag device 100 includes an inflator 101 and a far side airbag 110 that is expanded and received by a gas supply from the inflator 101 as a gas generator.
  • the inflator 101 is mounted to the frame 13 of the backrest 31 of the passenger seat 3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5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ar side airbag 110.
  • the far side airbag 110 is accommodated in a folded state inside the backrest 31 together with the inflator 101.
  • the rear end of the far side airbag 110 connected to the inflator 101 is supported inside the backrest 31.
  • the far side airbag 110 has a cantilever shape in which the rear end is supported by the frame 13 of the backrest 31 and the front e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when inflated.
  • the far side airbag 110 includes an inner portion 111 facing the passenger and an outer portion 113 facing the inner center of the vehicle when inflated.
  • the inner portion 111 and the outer portion 113 may be made of a separate fabri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wing line.
  • the inner side 111 and the outer side 113 of the far side airbag 110 may be formed of a single fabric.
  • the far side airbag 110 includes a main inflation 115 that protects the passenger's shoulders, chest and abdomen, and an upper inflation 117 that extends over the main inflation 115 to protect the head of the passenger. do.
  • the far side airbag 110 may further include a pelvic inflation to protect the pelvis of the passenger.
  • the main expansion unit 115 and the upper expansion unit 117 may be formed of separate fabric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expansion unit 115 and the upper expansion unit 117 may be composed of a single fabric.
  • the inner side 111 of the far side airbag 110 is inclined to be closer to the side of the vehicle when inflated, toward the front F of the vehicle, so that the passenger se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tratified side when the side of the vehicle is inclined. It moves to the front F and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for example, slides along the front end of the far side airbag 110 to prevent it from outside the protection range of the far side airbag 110.
  • the passenger 02 who sits in the passenger seat 30 is It can effectively prevent moving forward and toward the interior center of the vehicle.
  • the passenger O2 seated in the passenger seat 30 moves to the front F of the car and toward the inner center C of the car.
  • the inner side 111 of the far side airbag 11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F) and the outside (O) of the vehicle so that the passenger (O2) seated in the passenger seat 30 is the front (F)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When obliquely toward the center (C) of the passenger (O2) to support the outside of the vehicle.
  • the passenger O2 is prevented from moving out of the protection range of the far side airbag 110,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two passengers O1 and O2 seated in the driver's seat 10 and the passenger seat 30.
  • FIG. 3 is a front view along arrow III of FIG. 1.
  • the main inflation portion 115 of the far side airbag 110 is configured to have an inflation thickness T1 approximately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driver's seat 10 and the passenger seat 30, and the upper inflation portion 117 is configured to have an inflation thickness T2 that is less than the inflation thickness T1 of the main inflation portion 115. That is, the front of the far side airbag 110 may have a T-shape rotated approximately 180 degrees.
  • the passenger O1 seated in the driver's seat 10 as the inflation thickness T1 of the main inflating portion 115 of the far side airbag 110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gap between the driver's seat 10 and the passenger seat 30.
  • Shoulder and chest of the passenger O2 seated in the passenger seat 30 can be restrained at the early stage of the inflation of the far side airbag to prevent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two passengers O1 and O2 at an early stage.
  • the upper inflation portion 117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e inflation thickness T1 of the main inflation portion 115 because two passengers O1 and O2 may be constrained early by the main inflation portion 115.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expansion thickness T2 smaller than T1). This configuration improves airbag deployment speed and adequately protects the head, shoulders, chest, and abdomen of the passenger.
  • Far side airbag 11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support strength.
  • FIG. 4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inflated far side airbag having a reinforcement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ar side airbag 10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ement panel 118 connected to a rear side of the far side airbag 100.
  • One end of the reinforcement panel 118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ar side airbag 100,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frame 13 in the passenger seat 30 and the backrest 31.
  • the reinforcement panel 118 may have a length extending forward F to partially surround the rear chamber 115 of the far side airbag 110.
  • the reinforcement panel 118 may be configured to partially overlap the rear outer surface of the inner side 111 or the outer side 113 of the far side airbag 110.
  • 4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ther member of the far 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ar side airbag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tether member 130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far side airbag 110.
  • the tether member 130 may include a first tether member 131 having one end 131a fixed to the frame 13 and the other end 131b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far side airbag 110.
  • the other end 131b of the first tether member 131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far side airbag 110 by the sewing line S1.
  • the first tether member 131 is disposed to cros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ar side airbag 110 so that when the far side airbag 110 is inflated and deployed, the front end of the far side airbag 110 is moved from the backrest 11. It can be induced to develop forward (F).
  • Figure 4c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tether member of the far 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ther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13 by a fastening member 5 having one end 133a coupling the inflator 101 to the frame 13 in addition to the first tether member 131 of FIG. 4B. 13, the other end 133b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ether member 133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ar side airbag 110, for example, the far side airbag 110. The other end 133b of the second tether member 133 may be connected to the far side airbag 110 by the sewing line S2.
  • Figure 4d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tether member of the far 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ther member 130 is fixed to the frame 13 together with the inflator 101 by a fastening member 5 for coupling one end 135a to the frame 13.
  • the other end 135b may include a third tether member 135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panel 118.
  • the other end 135b of the third tether member 135 may be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panel 118 by a bar line S3.
  • the far side airbag 110 has a cantilever shape during deployment because its rear portion is fixed to the frame 13 in plan view.
  • the far side airbag 1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vicinity where the far side airbag 110 is fixed to the frame 13 so that the passenger restraining force is increased. May be degraded (see FIG. 1).
  • the reinforcement panel 118 and the tether member 130 may increase the support strength of the far side airbag 110 to increase the passenger protection effect.
  • the reinforcement panel 118 and the tether member 130 has one side supported by the frame 13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far side airbag 110 so that the passenger O1 collides with the far side airbag 110 so that the frame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far side airbag 110 by applying a tension that is opposit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ar side airbag 110 to rotate around the fixed position 13). Thus, the passenger restraint effect can be enhanced.
  • one end of the reinforcement panel 118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ar side airbag 118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rame 13, and the first to third tether members
  • One end side 131a, 133a, 135b of 131, 133, 135 is fixed to the frame 13, and the other end side 131b, 133b, 135a is fixed to the far side airbag 110.
  • the rear portion of the far side airbag 110 is pushed toward the frame 13 by the first to third tether members 131, 133, and 135, and the rear end of the far side airbag 110 is restrained by the reinforcement panel 118.
  • the passenger O2 is based on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118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first to third tether members 131, 133, and 135.
  • the passenger O2 is based on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118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first to third tether members 131, 133, and 135.
  • Moment in the direction to cancel the moment due to the load of ac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limit the rotation of the far side airbag 110 about the vicinity of the fastening member 5 is connected.
  • the passeng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moving toward the center C of the vehic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tether member 1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ar side airbag 110.
  • the coupling may follow a similar manner as the tether members 131, 133, 15 described above.
  •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vehicle to which an inflated far side airbag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far side airbag 110 includes a front protrusion 116 protruding toward the outer side O of the vehicle at its front end.
  • the inflator 101 installed in the backrest 31 of the passenger seat 30 is operated to generate gas, and the far side airbag 110 is generated by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101.
  • the front protrusion 116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ar side airbag 110 further supports the front of the passenger O2 as it protrudes further toward the outside O of the vehicle.
  • the passenger O2 seated in the passenger seat 30 is constrained by the inner side 111 and the front protrusion 116 of the far side airbag 110 to prevent movement toward the front F and center C sides of the vehicle. .
  •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vehicle to which an inflated far side airbag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far side airbag 110 is formed at a front end thereof with a front protrusion 116 supporting the front of the passenger seat 30 and the passenger O2, and the front protrusion 116 and the inflator 10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n inclined portion 112 formed by inclining the inner portion 111 of the far side airbag 110 corresponding to the portions.
  • the far side airbag device 100 shown in FIGS. 5 and 6 may further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ement panel 118 and the tether member 130 as described ab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은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등받이의 사이에서 팽창 전개되도록 상기 자동차의 내부 중앙을 향하는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 측부에 설치된다. 에어백은 자동차 충돌 시, 충돌측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을 향하는 내측부 및 상기 자동차의 내부 중앙을 향하는 외측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자동차 충돌, 예를 들면, 자동차 측면 경사 충돌 시, 충돌측과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이 자동차의 전방 및 내부 중앙을 향하여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백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에 앉은 승객간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 시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두 좌석 사이에서 전개되어 승객이 자동차 폭 방향의 자동차 중앙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폭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좌석이 설치된 자동차에서, 측면 충돌에 의해 자동차의 측면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그 충격 부분에 가까운 쪽의 좌석에 착좌한 승객을 에어백 장치에 의해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타입은 일반적으로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 불리며 좌석의 등받이에 대해서 승객의 충돌측이 되는 부분의 내부에 에어백과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가 배치된다. 인플레이터는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에서 에어백 내의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인플레이터는 에어백에 연결된 상태로 등받이 내 시트 프레임에 체결된다. 에어백은 인플레이터 체결 부위에서 시트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러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자동차의 측면에 충격이 가해지면, 인플레이터로부터 팽창용 가스가 에어백에 공급된다. 팽창용 가스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을 시작하며, 사이드 에어백은 그 일부를 좌석 등받이 내에 남겨둔 상태에서 사이드 에어백이 좌석 등받이로부터 전방으로 튀어나온다. 그 후 사이드 에어백은 승객과 자동차의 측면 사이를 통해 전방으로 팽창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측면 충격에 의해 승객이 충격 측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승객은 팽창한 사이드 에어백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종래기술을 따르면, 좌석 등받이 내에서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자동차 중앙을 향하는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충돌 시 승객간 충돌을 방지하는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폭 방향에서 자동차 좌석의 설치측과 반대측(파 사이드)에의 측면 충돌 시, 충돌측과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이 충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측면 충돌 시에 승객을 충돌측으로부터 구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자동차의 측면 충돌 시 충돌측과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은 자동차의 충돌측을 향하여 자동차의 측면으로 이동한다.
자동차의 경사 측면 충돌 시, 예를 들면, 충돌 대상물이 정지한 자동차의 측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충돌하는 경우, 충돌측과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은 자동차의 내부 중앙 및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승객은 파 사이드 에어백의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착좌한 두 승객간 충돌 위험을 해소할 수 없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국제공개번호 WO2009-035114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번호 2015-110373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측면 경사 충돌 시, 자동차 충돌측의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이 자동차의 내부 중앙 및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 구속력을 증대시키도록 지지강도가 개선된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등받이의 사이에서 팽창 전개되도록 상기 자동차의 내부 중앙을 향하는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 측부에 설치되고, 팽창 시, 상기 자동차의 충돌 측의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측을 향하는 내측부 및 상기 자동차의 내부 중앙을 향하는 외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는 상기 자동차 충돌 시, 상기 자동차의 충돌 측의 대향측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이 상기 자동차의 내부 중앙 및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승객을 상기 자동차의 외측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파 사이드 에어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내측부는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상기 자동차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면,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내측부에는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전방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전방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면,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상기 내측부는 팽창 시, 상기 자동차의 전방을 향할수록 상기 자동차의 외측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진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전방에서 상기 자동차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전방 돌출부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면, 상기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후방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등받이의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보강 패널; 및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후방측 고정부 부근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테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더부재의 상기 타단은 상기 등받이의 상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테더부재의 상기 타단은 상기 보강 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더부재의 상기 타단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와 함께 상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의 폭에 따라 대응된 팽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자동차 충돌, 예컨대 경사 충돌 시, 충돌측과 반대방향에 착좌한 승객을 자동차의 외측으로 지지하도록 파 사이드 에어백이 구성되어 승객이 충돌측으로 이동하여 자동차의 내부 중앙측 및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폭 방향에서 발생하는 승객간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파 사이드 에어백의 후방에 보강 패널을 구성하고, 파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고, 전단이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등받이의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테더 부재가 구비되어 파 사이드 에어백의 지지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팽창된 파 사이드 에어백이 적용된 자동차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팽창된 파 사이드 에어백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Ⅲ을 따른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보강패널을 갖는 파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테더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다른 테더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또 다른 테더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팽창된 파 사이드 에어백이 적용된 자동차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팽창된 파 사이드 에어백 이 적용된 자동차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참조부호 F는 본 발명의 사이드 커튼 에어백이 적용된 자동차의 전방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R은 자동차의 후방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U는 자동차의 상방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D는 자동차의 하방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I는 자동차의 폭 방향에서 자동차의 내부 방향을 나타내고, 참조부조 O는 자동차의 폭 방향에서 자동차의 외부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팽창된 파 사이드 에어백이 적용된 자동차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팽창된 파 사이드 에어백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자동차용 좌석의 등받이에 탑재되어 있다. 자동차용 좌석은 자동차 폭 방향에 있어서 자동차의 내부 중앙(C)에 대하여 예컨대 좌, 우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자동차의 내부 중앙(C)을 기준으로 좌측에 운전석(10)이 배치되고, 우측에 조수석(30)이 배치된 것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조수석(30)의 등받이(31)의 내측부에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설치된다. 다른 실시 예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운전석(10)의 등받이(11)의 자동차의 중앙측을 향하는 내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운전석(10) 및 조수석(30)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측면 또는 경사 측면 충돌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자동차 충돌측과 반대 방향 좌석에서 동작되어 충돌측과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이 충돌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을 따르는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자동차 측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충돌 대상물이 충돌하는 경사 측면 충돌 시, 충돌측과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이 자동차의 내부 중앙 및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가스 발생 장치로서 인플레이터(101), 인플레이터(101)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아 팽창 전개되는 파 사이드 에어백(110)을 포함한다.
인플레이터(101)는 조수석(30)의 등받이(31)의 프레임(13)에 체결부재(5)를 통하여 장착되고,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후방에 연결된다.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인플레이터(101)와 함께 등받이(31)의 내부에 접혀있는 상태로 수용된다.
인플레이터(101)에 연결된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후단부는 등받이(31)의 내부에 지지된다. 그리하여,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팽창 시, 후단부가 등받이(31)의 프레임(13)에 지지되고 전단부가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를 갖는다.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팽창 시, 승객을 향하는 내측부(111) 및 자동차의 내측 중앙을 향하는 외측부(113)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를 따르면, 내측부(111) 및 외측부(113)는 별도의 원단으로 제작되어 봉재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내측부(111) 및 외측부(113)는 단일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승객의 어깨부, 흉부 및 복부를 보호하는 메인 팽창부(115) 및 메인 팽창부(115)의 상부로 연장되어 승객의 두부를 보호하는 상부 팽창부(117)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로,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승객의 골반부를 보호하는 골반 팽창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메인 팽창부(115) 및 상부 팽창부(117)는 별도의 원단으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메인 팽창부(115) 및 상부 팽창부(117)는 단일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내측부(111)는 팽창 시, 자동차의 전방(F)을 향할수록 자동차의 측면과 근접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자동차 측면 경사 충돌 시, 층돌측과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이 자동차의 전방(F) 및 중앙으로 이동하여 예를 들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전단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석(10)측에서 차체(2)의 측면 외측에 경사충격(P)이 가해질 경우(이하, 좌측 경사 충돌이라 칭함), 조수석(30)에 앉은 승객(02)이 자동차의 전방 및 자동차의 내부 중앙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좌측 경사 충돌 시, 조수석(30)에 착좌한 승객(O2)은 자동차의 전방(F)으로 이동하고 자동차의 내부 중앙(C)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내측부(111)는 자동차의 전방(F) 및 외측(O)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조수석(30)에 착좌한 승객(O2)이 자동차의 전방(F) 및 자동차의 중앙(C)을 향하여 비스듬히 거동하는 경우 승객(O2)을 자동차의 외측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승객(O2)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석(10)과 조수석(30)에 착좌한 두 승객(O1, O2)간 충돌 위험을 감소시킨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Ⅲ를 따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메인 팽창부(115)는 운전석(10) 및 조수석(30) 사이의 간격과 대략 대응된 팽창 두께(T1)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부 팽창부(117)는 메인 팽창부(115)의 팽창 두께(T1)보다 작은 팽창 두께(T2)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정면은 대략 180도 회전된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메인 팽창부(115)의 팽창 두께(T1)가 운전석(10) 및 조수석(30)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대응됨에 따라 운전석(10)에 착좌한 승객(O1)과 조수석(30)에 착좌한 승객(O2)의 어깨부, 가슴부 등을 파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초기에 구속하여 두 승객(O1, O2)의 충돌 위험성을 조기에 저지할 수 있다.
상부 팽창부(117)는 메인 팽창부(115)에 의해 두 승객(O1, O2)이 조기에 구속될 수 있으므로 메인 팽창부(115)의 팽창 두께(T1)와 동일할 필요는 없으므로 팽창 두께(T1)보다 작은 팽창 두께(T2)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백 전개 속도 향상을 꾀하고 적절히 승객의 두부, 어깨부, 흉부, 및 복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지지 강도를 증대하기 위한 보강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명기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보강패널을 갖는 파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파 사이드 에어백(100)은 그 후방측에 연결된 보강패널(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패널(118)의 일단은 파 사이드 에어백(100)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조수석(30) 등받이(31) 내의 프레임(13)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보강패널(118)은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후방 챔버부(115)를 일부 감싸도록 전방(F)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보강패널(118)은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내측부(111) 또는 외측부(113)의 후방 외면에 일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테더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테더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테더부재(130)는 일단(131a)이 프레임(13)에 고정되고, 타단(131b)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전방부에 연결된 제1 테더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테더부재(131)의 타단(131b)은 봉재라인(S1)에 의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테더부재(131)는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전, 후 방향을 가로 지르도록 배치되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팽창 전개 시,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전단이 등받이(11)로부터 전방(F)으로 전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다른 테더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테더부재(130)는 도 4b의 제1 테더부재(131)에 더하여 일단(133a)이 인플레이터(101)를 프레임(13)에 결합하는 체결부재(5)에 의해 프레임(13)에 고정되고, 타단(133b)이 파 사이드 에어백(110), 예컨대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중앙에 연결된 제2 테더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테더부재(133)의 타단(133b)는 봉재라인(S2)에 의해 파 사이드 에어백(11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또 다른 테더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테더부재(130)는 일단(135a)이 인플레이터(101)를 프레임(13)에 결합하는 체결부재(5)에 의해 인플레이터(101)와 함께 프레임(13)에 고정되고, 타단(135b)이 보강패널(118)에 연결된 제3 테더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테더부재(135)의 타단(135b)은 봉재라인(S3)에 의해 보강패널(118)에 연결될 수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평면에서 볼 때, 그 후방부가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개 시 캔틸레버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파 사이드 에어백(110)에 예컨대 승객(O2)이 충돌 시 파 사이드 에어백(110)이 프레임(13)에 고정된 부근을 중심으로 파 사이드 에어백(110)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승객 구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도 1 참조)
이때, 본 발명의 일 실 시 예를 따르는 보강패널(118) 및 테더부재(130)는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지지 강도를 증대시켜 승객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보강 패널(118) 및 테더부재(130)는 일측이 프레임(13)에 지지되고 일측이 파 사이드 에어백(110)에 연결되어 승객(O1)이 파 사이드 에어백(110)에 충돌하여 프레임(13)이 고정된 부근을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회전력에 반하는 장력을 부여하여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승객 구속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강 패널(118)의 일단이 파 사이드 에어백(118)의 후방에 접속되고 타단이 프레임(13)에 고정되고, 제1 내지 제3 테더부재(131,133,135)의 일단부측(131a, 133a, 135b)들이 프레임(13)에 고정되고, 타단부측(131b, 133b, 135a)들이 파 사이드 에어백(1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후방부는 팽창 시, 제1 내지 제3 테더부재(131,133,135)에 의해 프레임(13)측으로 눌려지고, 후단이 보강패널(118)에 의해 구속된다. 이에 의해 파 사이드 에어백(110)에 예컨대, 승객(O2)의 하중에 기초하는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보강패널(118)의 구속력 및 제1 내지 제3 테더부재(131,133,135)의 반력에 기초하여 승객(O2)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상쇄하는 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한다. 따라서, 파 사이드 에어백(110)이 체결부재(5)가 연결된 부근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에서는 승객이 자동차의 폭 방향의 자동차 중앙(C)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테더부재(130)는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 결합은 상술한 테더 부재(131,133,15)와 유사한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팽창된 파 사이드 에어백이 적용된 자동차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그 전단에 자동차의 외측(O)을 향하여 돌출된 전방 돌출부(11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예컨대, 자동차의 좌측 경사 충돌 시 조수석(30)의 등받이(31)에 설치된 인플레이터(101)가 동작되어 가스가 발생되고, 인플레이터(101)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이 팽창한다. 이때,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전단에 구비된 전방 돌출부(116)는 자동차의 외측(O)을 향하여 추가로 돌출됨에 따라 승객(O2)의 전방을 지지한다. 그리하여 조수석(30)에 착좌한 승객(O2)은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내측부(111)와 전방 돌출부(116)에 구속되어 자동차의 전방(F) 및 중앙(C)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팽창된 파 사이드 에어백이 적용된 자동차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파 사이드 에어백(110)은 그 전단에 조수석(30) 승객(O2)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 돌출부(116)가 형성되고, 전방 돌출부(116) 및 인플레이터(101)가 연결된 부분의 사이에 해당하는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내측부(111)를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부(11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예를 들면, 자동차의 좌측 경사 충돌 시, 조수석(30)에 착좌한 승객(O2)이 자동차의 전방(F) 및 중앙(C)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 승객(O2)은 파 사이드 에어백(110)의 경사부(112) 및 전방 돌출부(116)에 의해 에워싸여 구속된다. 그 결과, 두 승객(O1, O2)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보강 패널(118) 및 테더부재(13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9)

  1.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등받이의 사이에서 팽창 전개되도록 상기 자동차의 내부 중앙을 향하는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 측부에 설치되고, 팽창 시, 상기 자동차의 충돌 측의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쪽으로 향하는 내측부 및 상기 자동차의 내부 중앙으로 향하는 외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는 상기 자동차 충돌 시, 상기 자동차의 충돌 측의 반대 방향에 착좌한 승객이 상기 자동차의 내부 중앙 및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승객을 상기 자동차의 외측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파 사이드 에어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상기 내측부는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상기 자동차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상기 내측부는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전방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전방 돌출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상기 내측부는 팽창 시, 상기 자동차의 전방을 향할수록 상기 자동차의 외측과 근접하게 기울어진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전방에서 상기 자동차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전방 돌출부를 동시에 포함하는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의 폭에 따라 대응된 팽창 두께를 갖는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후방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등받이의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보강 패널; 및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의 후방측 고정부 부근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테더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부재의 상기 타단은 상기 등받이의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부재의 상기 타단은 상기 보강 패널에 연결된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 사이드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더부재의 상기 타단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와 함께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PCT/KR2017/003470 2016-04-15 2017-03-30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WO20171798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550397A JP2019511414A (ja) 2016-04-15 2017-03-30 自動車の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6/092,250 US11066036B2 (en) 2016-04-15 2017-03-30 Far side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EP17782594.0A EP3444148B1 (en) 2016-04-15 2017-03-30 Far side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893 2016-04-15
KR1020160045893A KR101781387B1 (ko) 2016-04-15 2016-04-15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9839A1 true WO2017179839A1 (ko) 2017-10-19

Family

ID=6003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3470 WO2017179839A1 (ko) 2016-04-15 2017-03-30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66036B2 (ko)
EP (1) EP3444148B1 (ko)
JP (1) JP2019511414A (ko)
KR (1) KR101781387B1 (ko)
WO (1) WO2017179839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048A1 (ja) * 2018-08-14 2020-02-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0229242A1 (en) * 2019-05-10 2020-11-19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seat arrangement
EP3504089B1 (de) * 2016-08-26 2021-12-2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US11214222B2 (en) * 2020-01-22 2022-01-04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1242025B2 (en) * 2019-03-29 2022-02-08 Subaru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EP3741629B1 (en) * 2019-05-21 2022-06-2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US11440497B2 (en) 2019-03-29 2022-09-13 Subaru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DE102019103484B4 (de) 2018-02-14 2023-11-23 Toyoda Gosei Co., Ltd. Fernseitenairbagvor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6347A1 (de) * 2015-12-17 2017-06-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KR101807659B1 (ko) * 2016-07-28 2017-12-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530685B1 (ko) * 2017-08-18 2023-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KR102399622B1 (ko) 2017-08-24 2022-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452467B1 (ko) 2017-08-24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DE102017218338A1 (de) * 2017-10-13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irbag-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eines kraftfahrzeugs
WO2019107073A1 (ja) * 2017-11-30 2019-06-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KR102565349B1 (ko) 2018-03-19 202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KR102064842B1 (ko) * 2018-05-01 2020-0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N112236337B (zh) * 2018-06-26 2023-03-07 奥托立夫开发公司 远侧安全气囊
JP7271378B2 (ja) * 2018-10-24 2023-05-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643566B1 (en) * 2018-10-24 2021-06-09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US20200189513A1 (en) * 2018-12-14 2020-06-18 Key Safety Systems, Inc. Far side crash mitigation
FR3092296B1 (fr) * 2019-02-06 2021-01-08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retenue anti-basculement de siège, pour un véhicule
JP7372862B2 (ja) 2019-05-21 2023-11-0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EP3792119B1 (en) * 2019-09-16 2022-09-14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airbag system
JP7243552B2 (ja) * 2019-09-26 2023-03-22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210077539A (ko) * 2019-12-17 2021-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2021098495A (ja) * 2019-12-20 2021-07-0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838688A1 (en) * 2019-12-20 2021-06-23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JP7205500B2 (ja) * 2020-01-08 2023-01-17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203319B2 (en) * 2020-01-14 2021-1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inflation restraint with releasable extension
JP2021147033A (ja) * 2020-03-13 2021-09-2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21160375A (ja) * 2020-03-30 2021-10-11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387635B1 (ko) 2020-05-12 2022-04-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388323B1 (ko) 2020-05-22 2022-04-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396754B1 (ko) 2020-06-09 2022-05-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220020546A (ko) * 2020-08-12 2022-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454236B1 (ko) 2020-09-08 2022-10-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472829B1 (ko) 2020-09-09 2022-12-0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220036245A (ko) 2020-09-15 2022-03-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에어백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49882A (ko) 2020-10-15 2022-04-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130525A (ko) 2021-03-18 2022-09-2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22188683A (ja) 2021-06-09 2022-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搭載型エアバッグ装置
JP2022188684A (ja) 2021-06-09 2022-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搭載型エアバッグ装置
JP2023009411A (ja) 2021-07-07 2023-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2614108B1 (ko) 2021-07-08 2023-12-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KR102626944B1 (ko) 2021-08-11 2024-01-1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의 폴딩 방법
JP2023032981A (ja) 2021-08-27 2023-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0919A (ja) * 2006-09-27 2008-04-10 Takata Corp 乗員拘束装置
JP2010076640A (ja) * 2008-09-26 2010-04-08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20110012749A (ko) * 2009-07-31 2011-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JP5382585B2 (ja) * 2007-09-14 2014-01-08 トヨタ自動車東日本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2015189399A (ja) * 2014-03-28 2015-11-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9840A (en) * 1994-03-31 1996-03-19 Ikeda Bussan Co., Ltd. Automotive seat with air-bag
JP3456754B2 (ja) * 1994-06-14 2003-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の展開方法
US5730464A (en) * 1995-08-11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tether
GB2378424B (en) * 2001-08-07 2004-06-2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EP1470969A1 (en) * 2003-04-24 2004-10-27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arrangement
US7549672B2 (en) * 2004-05-27 2009-06-23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device
DE102005025553A1 (de) * 2005-06-01 2006-12-07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anordnung
DE102005059197B4 (de) * 2005-12-06 2008-04-10 Takata-Petri Ag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e mit einem in einem Fahrzeugsitz angeordneten aufblasbaren Gassack
US7971901B2 (en) 2007-09-14 2011-07-05 Kanto Auto Works, Ltd. Airbag apparatus
CN101801735B (zh) * 2007-09-16 2014-04-02 丰田自动车东日本株式会社 气囊装置
DE102010027401B4 (de) * 2010-07-15 2022-05-12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gassack mit seitlicher Abstützung
US8282126B2 (en) * 2010-10-13 2012-10-09 Tk Holding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KR101355594B1 (ko) * 2011-12-07 2014-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듀얼 챔버 사이드에어백 장치
US9056591B2 (en) * 2012-02-01 2015-06-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for vehicle
JP5853916B2 (ja) * 2012-09-13 2016-02-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4076702A (ja) * 2012-10-09 2014-05-01 Toyota Motor Corp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5803989B2 (ja) * 2013-06-25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ルーフ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EP3072751B1 (en) * 2013-11-21 2018-03-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ide airbag device
JP5949737B2 (ja) 2013-12-06 2016-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6232435B (zh) * 2014-04-22 2018-11-16 Tk控股公司 用于气囊模块的安装装置
CN106458132B (zh) * 2014-04-30 2022-01-04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用侧边安全气囊装置
JP6107749B2 (ja) * 2014-06-23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79469B2 (ja) * 2014-06-23 2017-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505369B2 (en) * 2014-09-12 2016-11-29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apparatus
JP6149840B2 (ja) * 2014-10-21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49849B2 (ja) * 2014-11-25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83342B2 (ja) * 2014-12-03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9428135B1 (en) * 2015-02-10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wo front center airbag
KR101708213B1 (ko) * 2015-07-22 2017-02-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충돌용 에어백
JP6447432B2 (ja) * 2015-09-11 2019-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6632354B2 (ja) * 2015-12-03 2020-01-22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015016347A1 (de) * 2015-12-17 2017-06-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JP6271622B2 (ja) * 2016-03-18 2018-01-31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装置
KR102547636B1 (ko) * 2016-05-20 2023-06-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1807659B1 (ko) * 2016-07-28 2017-12-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DE102016010249A1 (de) * 2016-08-26 2018-03-0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US10407015B2 (en) * 2017-06-27 2019-09-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traint system
JP6670510B2 (ja) * 2018-03-30 2020-03-25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US10752198B2 (en) * 2018-07-13 2020-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KR102505747B1 (ko) * 2018-08-07 2023-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US10773678B2 (en) * 2018-08-21 2020-09-15 Honda Motor Co., Ltd. Side impact occupant restraint airbag modu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0919A (ja) * 2006-09-27 2008-04-10 Takata Corp 乗員拘束装置
JP5382585B2 (ja) * 2007-09-14 2014-01-08 トヨタ自動車東日本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2010076640A (ja) * 2008-09-26 2010-04-08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20110012749A (ko) * 2009-07-31 2011-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JP2015189399A (ja) * 2014-03-28 2015-11-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4089B1 (de) * 2016-08-26 2021-12-2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DE102019103484B4 (de) 2018-02-14 2023-11-23 Toyoda Gosei Co., Ltd. Fernseitenairbagvorrichtung
WO2020036048A1 (ja) * 2018-08-14 2020-02-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WO2020036048A1 (ja) * 2018-08-14 2021-06-0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995210B2 (ja) 2018-08-14 2022-01-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242025B2 (en) * 2019-03-29 2022-02-08 Subaru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11440497B2 (en) 2019-03-29 2022-09-13 Subaru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WO2020229242A1 (en) * 2019-05-10 2020-11-19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seat arrangement
EP3741629B1 (en) * 2019-05-21 2022-06-2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US11214222B2 (en) * 2020-01-22 2022-01-04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66036B2 (en) 2021-07-20
EP3444148A1 (en) 2019-02-20
KR101781387B1 (ko) 2017-09-25
JP2019511414A (ja) 2019-04-25
EP3444148B1 (en) 2021-06-09
US20190161053A1 (en) 2019-05-30
EP3444148A4 (en)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9839A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WO2017014421A1 (ko) 측면 충돌용 에어백
WO2020141737A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WO2017086707A1 (ko) 측면 충돌용 에어백
WO2018021887A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WO2019235730A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WO2017073899A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WO2016153175A1 (en) Curtain airbag for vehicle
WO2016010233A1 (en) Side curtain airbag for vehicle
WO2020130427A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WO2018021831A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030096648A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WO2017171334A1 (ko) 자동차의 사이드 커튼 에어백
WO2011087160A1 (en) Airbag module
WO2019208947A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040079246A (ko) 자동차의 분리형 커튼에어백
KR20200047407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WO2022255516A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WO2022224992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0175771A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WO2017057850A1 (ko)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WO2017018652A1 (ko)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WO2022225264A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WO2023200032A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WO2022255515A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5039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825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825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1115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825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