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33759A1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33759A1
WO2015133759A1 PCT/KR2015/001825 KR2015001825W WO2015133759A1 WO 2015133759 A1 WO2015133759 A1 WO 2015133759A1 KR 2015001825 W KR2015001825 W KR 2015001825W WO 2015133759 A1 WO2015133759 A1 WO 20151337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gnet
bobbin
sensing
len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18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상옥
손병욱
이성민
이준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2606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0125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5536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096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084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19554B1/ko
Priority to US16/655,943 priority Critical patent/USRE48667E1/en
Priority to CN201910661265.9A priority patent/CN110568578B/zh
Priority to EP15758167.9A priority patent/EP3115819B1/en
Priority to CN201910661282.2A priority patent/CN110531480B/zh
Priority to CN201580024027.7A priority patent/CN106461908B/zh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주)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주)
Priority to US15/123,906 priority patent/US10295781B2/en
Priority to EP20168004.8A priority patent/EP3706298A1/en
Priority to JP2016555679A priority patent/JP6615770B2/ja
Publication of WO20151337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33759A1/ko
Priority to US16/289,466 priority patent/US11353679B2/en
Priority to US17/661,686 priority patent/US11698509B2/en
Priority to US18/322,272 priority patent/US2023029685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된 이동부와, 이동부를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대면되어 상호 작용하는 제1 코일 및 구동용 마그네트와, 이동부의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또는 위치 센서가 포함된 드라이버 및 위치 센서 또는 드라이버와 대향하여 배치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양극 착자 마그네트는 위치 센서와 마주하며 제1 극성을 갖는 제1 측면 및 위치 센서와 마주하며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1 측면과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되고, 제1 측면과 반대의 제2 극성을 갖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제1 측면의 광축 방향의 길이는 제2 측면의 광축 방향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실시 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카메라 모듈은 자동 초점(auto focusing), 셔터, 흔들림 개선 또는 줌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것이 요구되는 한편 고화소화, 소형화 추세에 있다.
한편, 기존의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보이스 코일 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보이스 코일 유닛 모터는 하우징에 고정된 마그네트와 렌즈배럴이 결합된 보빈의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유닛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동작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액츄에이터 모듈은 상하 이동하는 보빈이 하부 및 상부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기존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되는 IT제품의 경우,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렌즈 구동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는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자동 초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자동 초점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나, 전자기력의 불안정화, 자기력에 의한 렌즈 배럴의 편심 등으로 렌즈 구동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카메라 모듈의 경우 렌즈의 초점 위치를 알기 위해, 렌즈의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홀 센서(Hall sensor)(미도시)와 센서용 마그네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홀 센서는 센서용 마그네트의 자기장을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통해 광축 방향으로의 렌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지만, 광축 방향으로의 렌즈의 이동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홀 센서가 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어 렌즈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일 실시 예는 보빈의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는 렌즈의 자동 초점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렌즈를 렌즈의 초점거리에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위치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자동 초점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공간 효율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렌즈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제어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코일유닛이 배치되는 보빈; 상기 코일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동용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렌즈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부재의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내측 면에 위치감지센서가 배치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하우징 부재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면에 마련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빈은 상기 센싱 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마그네트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2개 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는 대면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홀 센서이고, 상기 회로기판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일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구동용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의 하우징 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재의 내부에서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보빈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부재에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변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부재의 마주하는 양측면에는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가 각각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에서 상기 양측면에 직각인 일측면 또는 상기 양측면 이외의 면에는 상기 변위 감지부가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부재의 마주하는 양측면 각각에는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가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에서 상기 양측면에 직각인 일측면 또는 상기 양측면 이외의 면에는 제3 구동용 마그네트 및 상기 제3 구동용 마그네트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변위 감지부가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부재에서 상기 일측면에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제4 구동용 마그네트가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구동용 마그네트와 상기 제4 구동용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빈은 상기 센싱 마그네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일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의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일면이 지지되는 내측면과 상기 코일이 설치되는 상기 외주면 사이의 깊이가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보빈의 하부면 및 상부면 중 하나의 면에서 상기 수용홈에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일면이 지지되는 내측면; 및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면보다 소정 깊이 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접착용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접착용 홈으로부터 연장된 제1 추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용 홈과 상기 제1 추가홈이 함께 형성하는 길이는 상기 보빈의 상하 두께방향으로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보빈의 하부면 및 상부면 중 하나의 면에서 상기 수용홈에 연통되는 개구; 및 상기 접착용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보빈의 내측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된 제2 추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빈은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서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과 대칭된 위치에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추가 수용홈; 및 상기 추가 수용홈 내에 수용되며, 상기 센싱 메그네트와 동일한 중량을 가지는 중량균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측 탄성 부재; 및 하측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 각각의 내측 프레임은 상기 보빈과 결합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 각각의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대면되어 상호 작용하는 제1 코일 및 구동용 마그네트; 상기 이동부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또는 상기 위치 센서가 포함된 드라이버; 및 상기 위치 센서 또는 상기 드라이버와 대향하여 배치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착자 마그네트는 상기 위치 센서와 마주하며 제1 극성을 갖는 제1 측면; 및 상기 위치 센서와 마주하며 상기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과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과 반대의 제2 극성을 갖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광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측면의 상기 광축 방향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극성은 S극이고, 상기 제2 극성은 N극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극성은 N극이고, 상기 제2 극성은 S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 착자 마그네트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및 제 센싱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는 비자성체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착자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제1 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착자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에,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착자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의 제1 지점과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에,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착자 방향으로 상기 비자성체 격벽과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에,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착자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점보다 높은 제2 지점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1 지점간의 차이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CTKR2015001825-appb-I000001
여기서, H2는 상기 제2 지점의 높이이고, H1은 상기 제1 지점의 높이이고, ΔD는 상기 이동부의 상측 변위폭으로부타 하측 변위폭을 감산한 값이고, D는 상기 이동부의 변위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에,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제2 측면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가장 높이 이동시킨 위치에서,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제2 측면의 하단부 아래 지점과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1 측면의 중간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은 상기 위치 센서와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의 측면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은 상기 위치 센서와 마주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센싱 마그네트의 측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자성체 격벽은 공극 또는 비자성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는 상기 광축의 일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광축의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이동부에 결합, 접촉, 지지, 고정, 가고정, 삽입 또는 안착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 접촉, 지지, 가고정, 삽입 또는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 접촉, 지지, 고정, 가고정, 삽입 또는 안착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이동부에 결합, 접촉, 지지, 고정, 가고정, 삽입 또는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기장의 세기는 7 비트 내지 12비트로 코드화될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 격벽의 길이는 상기 양극 착자 마그네트의 상기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길이의 10% 이상 또는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양극 착자 마그네트의 상기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 가능한 폭의 1.5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한 쪽에 치우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회로 기판; 및 상기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보빈의 외측면에 센싱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센싱 마그네트의 위치를 홀 센서와 같은 변위 감지부로 감지할 수 있어, 오토 포커싱 동작 중의 보빈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짝수 개의 마그네트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보빈의 광축 방향 움직임을 제어하므로, 제1 코일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맞출 수 있고,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부분의 커버부재에 윈도우를 형성하여 센싱 마그네트와 커버부재 사이의 인력에 의한 보빈의 선행 운동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의 광축 방향 변위량을 피드백하여 광축 방향으로의 렌즈의 위치를 재조절함으로써 렌즈의 초점 정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센싱 마그네트와 변위 감지부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의 광축 방향 변위량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를 렌즈의 초점거리에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위치시킬 수 있고, 센싱 마그네트를 보빈의 외측면에 설치하므로 조립 공정이 간단하고, 특히, 이동체인 보빈에 센싱 마그네트를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결합, 지지 또는 배치하고 고정체인 하우징 부재에 변위 감지부를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결합, 지지 또는 배치함으로써, 센싱 마그네트와 변위 감지부의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결합, 지지 또는 배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카메라 모듈(특히 보빈)의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형적으로 변하는 세기를 갖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위치 센서와 양극 착자 마그네트를 배치함으로써,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을 I-I’선을 따라 절개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서 회로 기판을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7에서 커버 캔을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용 마그네트, 하우징 부재, 제1 회로 기판 및 변위 감지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의한 상측 탄성 부재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의한 하측 탄성 부재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보빈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보빈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 제1 코일, 변위 감지부 및 센싱 마그네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 제1 코일,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 변위 감지부 및 센싱 마그네트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9 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마그네트, 하우징 부재 및 변위 감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과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구동 마그네트, 하우징 부재 및 제1 회로 기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마그네트, 하우징 부재 및 제1 회로 기판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마그네트, 하우징 부재, 제1 회로 기판 및 변위 감지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측 탄성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측 탄성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 및 센싱 마그네트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과 제1 코일과 센싱 마그네트 간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실시 예에 의한 보빈과 센싱 마그네트가 결합된 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3은 실시 예에 의한 보빈과 센싱 마그네트가 결합된 후의 부분 확대 저면도이다.
도 34는 실시 예에 따른 보빈의 수용홈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 제1 코일 및 센싱 마그네트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제4-1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7a 및 도 37b는 도 36에 도시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의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8은 도 3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9는 도 3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0은 제4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에서 제1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른 이동부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1은 제4-2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2는 제4-3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3a 및 도 43b는 도 42에 도시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의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4는 제4-4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5는 제4-5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6은 제4-6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7은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에서 제1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른 이동부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8은 이동부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에 따라 위치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위치 센서와 양극 착자 마그네트의 대향하는 모습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9a 및 도 49b는 위치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별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0은 비교 례의 렌즈 구동 장치의 이동부의 이동 거리에 따른 자기장이 세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1은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에서 이동부의 이동에 따른 위치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 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1에 예시된 실시 예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되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실시 예는 다른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은 제1 방향, x축 방향은 제2 방향, y축 방향은 제3 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제2 및 제3 방향 각각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제1 실시 예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빈(3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0)을 I-I’선을 따라 절개한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0)에서 회로 기판(80)을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1000-1)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 구동 장치(1000-1), 인쇄 회로 기판(10), 이미지 센서(11) 및 렌즈(32a)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00-1)는 베이스(20), 보빈(30), 코일 유닛(또는, 코일)(31), 렌즈 베럴(32), 하우징 부재(또는, 하우징)(40), 구동용 마그네트(41), 상부 탄성 부재(51)(또는, 상측 탄성 부재), 하부 탄성 부재(또는, 하측 탄성 부재)(52), 커버부재(또는, 커버 캔)(60), 감지 유닛 및 회로 기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 배럴(32)은 카메라 모듈(1000)의 구성부품으로서 렌즈 구동 장치(1000-1)의 필수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커버부재(60)가 카메라 모듈(1000)의 외곽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구동용 마그네트(41)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재(40)가 커버부재(60)의 안쪽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20)는 커버부재(6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빈(30)은 커버부재(60)의 내부 공간에 광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30)의 외주면에 코일 유닛(31)이 설치될 수 있다.
보빈(3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32a)가 설치되는 렌즈배럴(32)을 포함할 수 있는데, 렌즈배럴(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30)의 내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렌즈배럴(32)이 보빈(3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렌즈배럴(32) 없이 한 장 이상의 렌즈(32a)가 보빈(3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32a)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빈(30)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 및 하부 탄성 부재(51, 5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탄성 부재(51)의 일단은 보빈(30)과 연결되고, 상부 탄성 부재(51)의 타단은 커버부재(60) 또는 하우징 부재(4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탄성 부재(51)는 하우징 부재(4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탄성 부재(52)의 일단은 보빈(30)과 연결되고, 하부 탄성 부재(52)의 타단은 베이스(20)의 상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에는 하부 탄성 부재(52)와 결합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탄성 부재(52)에서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홀(hole) 또는 홈(recess)이 형성됨으로써, 돌기와 홀 또는 홈의 결합으로 하부 탄성 부재(52)가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단단한 고정을 위해 접착제 등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탄성 부재(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몸으로 구성되고, 하부 탄성 부재(52)는 2분할 구조로 2개의 스프링으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즉, 터미널(또는, 터미널 부재)(미도시)을 통해 인가된 전원은 하부 탄성 부재(52)의 2개의 스프링에 전달되고, 이 전원은 보빈(30)에 권선된 코일유닛(31)에 인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탄성 부재(52)와 코일유닛(31)은 솔더링 등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부 탄성 부재(52)의 2개의 스프링과 코일유닛(31)의 양끝단이 솔더링 등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상부 탄성 부재(51)가 2분할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 탄성 부재(52)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및 하부 탄성 부재(51, 52)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보빈(30)의 양방향 이동이 지지될 수 있다. 즉, 보빈(30)은 베이스(2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 보빈(30)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보빈(30)의 초기위치가 베이스(20)의 상면이 되어, 보빈(30)의 초기위치를 중심으로 상측으로만 이동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코일유닛(31)은 보빈(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이 직접 보빈(30)의 외주면에 권선됨으로써 코일유닛(31)이 구현될 수도 있다. 코일유닛(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30)의 하부면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빈(30)의 형상에 따라 직선면과 곡선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코일블록으로 형성된 코일유닛(31)은 각진 형상일수 있으며, 예를 들어 8각 형상 일 수 있다. 코일 유닛(31)은 곡선면 없이 모두 직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향되게 배치되는 구동용 마그네트(41)와의 전자기작용을 고려한 것인데, 구동용 마그네트(41)에서 코일유닛(31)과 대향하는 면이 평면이면, 구동용 마그네트(41)와 대향하는 코일유닛(31)의 면도 평면일 경우에 전자기력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사양에 따라 구동용 마그네트(41)의 면과 코일유닛(31)의 면은 모두 곡면, 모두 평면 또는 하나는 곡면 다른 하나는 평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빈(30)은 코일유닛(31)이 그(3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직선면과 대응되는 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제1 면과 곡선면과 대응되는 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2 면도 평평하게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이때, 제2 면의 상측에는 후술할 이너요크(61)와 대응되는 요홈(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유닛(31)은 요홈(33)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코일유닛(31)의 일부가 요홈(33) 부근에까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너요크(61) 대신 별도의 요크가 마련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 부재(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4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탄성 부재(51, 52)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 면에는 구동용 마그네트(4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구동용 마그네트(41)가 설치되는 장착공(또는, 마그네트용 관통공)(42a)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장착공(42a) 없이 하우징 부재(40)의 내주면에 구동용 마그네트(41)가 직접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구동용 마그네트(41)가 하우징 부재(40)에 직접 고정될 경우, 구동용 마그네트(41)는 하우징 부재(4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 부재(40)는 장착공(42a) 외에 통공(42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통공(4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후술할 센싱 마그네트(70)와 마주보는 하우징 부재(40)의 벽면에 센싱 마그네트(70)의 크기보다 크게 통공(42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통공(42b)은 사각형일 수도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기존에 4개의 장착공(42a)을 가지는 하우징 부재(40)를 그대로 사용하여 2개의 장착공(42a)에는 구동용 마그네트(41)를 설치하고, 나머지 2개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공(42b)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와 달리, 렌즈 구동 장치(1000-1)는 하우징 부재(40)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고 커버부재(6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60)는 철과 같은 강자성체인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60)는 보빈(30)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상측에서 보았을 때 각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60)는 도 1과 같이 사각형상일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8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측에서 보았을 때 커버부재(60)가 8각형상일 경우, 하우징 부재(4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구동용 마그네트(41)의 형상이 상측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이라면 하우징 부재(40)의 모서리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커버부재(60)는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너 요크(6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이너 요크(61)의 일측 면은 코일유닛(31)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이너 요크(61)의 타측 면은 보빈(30)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요크(61)는 하우징 부재(40)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요크(61)는 하우징 부재(40)의 상부면에서 안쪽으로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요크(6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절곡된 부분과 근접한 위치에 도피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피 홈은 한 쌍으로 또는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피 홈이 형성된 절곡부는 병목구간을 형성하는데, 이 도피 홈 형성 구간으로 인해, 보빈(30)의 상하 이동시 이너 요크(61)와 보빈(30)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보빈(30)의 상방향 이동시 이너 요크(61)의 모서리 부분의 간섭에 의한 보빈(30) 일부 파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 요크(61)의 끝단은 기준 위치에서 요홈(33)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는 보빈(30)의 왕복 이동 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이너 요크(61)의 끝단이 요홈(33)의 바닥면과 접촉 및 간섭 되지 않도록 하지 위함이다. 또한, 이너 요크(61)의 끝단은 보빈(30)이 설계사양(design specification) 이외의 구간까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하우징 부재(40)가 없는 경우, 구동용 마그네트(41)는 커버부재(6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용 마그네트(41)의 자화방향은 보빈(30)을 바라보는 쪽과 커버부재(60)를 바라보는 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자화 방향이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0-1)의 감지 유닛은 보빈(3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 유닛은 센싱 마그네트(70) 및 위치 감지 센서(또는, 변위 감지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감지 센서(82)는 회로기판(8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0)는 구동용 마그네트(41)에 비해 작고 얇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센싱 마그네트(70)는 보빈(3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르면, 보빈(30)에 마련된 마그네트 장착부(72)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 장착부(72)는 보빈(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리브 형상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싱 마그네트(70)가 배치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리브 형상의 가이드는 도 3과 같이, 하측에 개구부를 가질 수 있으며, 센싱 마그네트(70)의 적어도 3개 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 장착부(72)의 가이드의 돌출 높이는 센싱 마그네트(70)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낮거나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등으로 센싱 마그네트(70)를 마그네트 장착부(72)에 고정하면, 가이드 바깥으로 센싱 마그네트(70)가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센싱 마그네트(70)는 코일유닛(31)과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보빈(30)의 하측에 코일유닛(31)이 설치되면, 센싱 마그네트(70)는 코일유닛(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코일유닛(31)이 보빈(30)의 광축방향 승강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센싱 마그네트(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용 마그네트(41)와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용 마그네트(41)는 2개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평행하면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하우징 부재(40)가 사각형으로 마련될 경우, 구동용 마그네트(41)가 설치되는 2개의 면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센싱 마그네트(70)가 설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구동용 마그네트(41)는 제2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센싱 마그네트(70)는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싱 마그네트(70)를 구동용 마그네트(41)와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센싱 마그네트(70)의 자기력의 변화가 구동용 마그네트(41)의 자기력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치 감지 센서(82)가 정확하게 보빈(30)의 움직임을 피드백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로 기판(8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30), 하우징 부재(40) 또는 커버부재(60) 중 적어도 하나의 각 측벽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의 경우, 쉴드 캔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는데, 회로 기판(80)은 커버부재(60)의 측벽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80)은 커버부재(6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접촉 고정될수 있으며, 커버부재(60)의 윈도우(90)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80)은 후술할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 끝단에 배치된 단자(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80)을 통하여 코일유닛(31)에 전류가 인가되기 위하여, 코일유닛(31)이 회로 기판(8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코일유닛(31)이 하부 탄성 부재(52)의 2분할된 2개의 스프링에 연결된 후 그 2개 스프링이 회로 기판(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유닛(31)은 회로 기판(80)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솔더링, 전도성에폭시, Ag에폭시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이때, 회로 기판(80)의 안쪽 면에 홀 센서(Hall sensor)와 같은 위치 감지 센서(82)가 배치되므로, 위치 감지 센서(82)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 센서(82)와 대응되는 커버부재(60)의 측벽에는 윈도우(90)가 마련되고, 하우징 부재(40)에도 통공(4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감지 센서(82)는 윈도우(90)를 통과하여, 센싱 마그네트(70)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부재(40)에 형성된 통공(42b)은 구동용 마그네트(41)가 설치되기 위한 장착부(4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센싱 마그네트(70)보다 큰 폭과 높이를 가지는 통공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회로 기판(80)에는 복수 개의 단자(8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단자(81)는 위치 감지 센서(82)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면서 코일유닛(31)에 전류를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1000) 또는 렌즈 구동 장치(1000-1)의 경우, 보빈(30)의 광축 방향 움직임을 센싱 마그네트(70)를 이용하여 피드백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오토 포커싱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보빈(30)에 코일유닛(31)이 권선된 상태로 동작하며, 보빈(30)의 외벽에 얇고 가벼운 센싱 마그네트(70)를 부착하고, 센싱 마그네트(70)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 센서(82)를 카메라 모듈(1000)의 일측 벽면에 밀착 배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응답 특성의 저하 우려 없이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 센서(82)의 중심과 센싱 마그네트(70)의 중심은 일치될 수 있으며, 센싱 마그네트(70)의 세로길이(두 개로 자화된 부분)는 위치 감지 센서(82)의 감지 부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 센서(82)와 대향하는 센싱 마그네트(70)의 면이 두 개의 부분으로 자화됨으로써, 위치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통공(42b) 및/또는 윈도우(90)의 세로 길이는 보빈(30)의 상하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센싱 마그네트(70)의 공간 및/또는 위치 감지 센서(8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 센서(82)는 자이로센서, 각속도센서, 가속도센서, 포토리플렉터 등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10)에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10)은 카메라 모듈(10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하우징 부재(40)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20)에는 인쇄 회로 기판(10)과의 통전을 위해 터미널 부재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터미널 부재는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실시 예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200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도 7에서 커버 캔(102)을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미도시)와 이미지 센서(미도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가 렌즈의 초점 거리에 위치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7 내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커버 캔(102), 보빈(110A), 제1 코일(120), 구동용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140), 상측 탄성 부재(150A), 하측 탄성 부재(160A), 제1 회로 기판(170A), 변위 감지부(또는, 위치 감지 센서)(180), 센싱 마그네트(182A) 및 베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캔(102), 보빈(110A), 제1 코일(120), 구동용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140), 상측 탄성 부재(150A), 하측 탄성 부재(160A), 제1 회로 기판(170A), 변위 감지부(180), 센싱 마그네트(182A) 및 베이스(190)는 도 2에 도시된 커버부재(60), 보빈(30), 코일유닛(31), 구동용 마그네트(41), 하우징 부재(40), 상부 탄성 부재(51), 하부 탄성 부재(52), 회로 기판(80), 위치 감지 센서(82), 센싱 마그네트(70) 및 베이스(20)와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예에 의한 구성 요소(60, 30, 31, 41, 40, 51, 52, 80, 82, 70, 20)에 대한 설명은 제2 실시 예에 의한 구성 요소(102, 110A, 120, 130, 140, 150A, 160A, 170A, 180, 182A, 19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의한 구성 요소(102, 110A, 120, 130, 140, 150A, 160A, 170A, 180, 182A, 190)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 예에 의한 구성 요소(60, 30, 31, 41, 40, 51, 52, 80, 82, 70, 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커버 캔(102)은 전체적으로 상자 형태일 수 있으며, 베이스(190)의 상부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지지, 결합 또는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 캔(102)이 베이스(190)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지지, 결합 또는 배치되어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 보빈(110A), 제1 코일(120), 구동용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140), 상측 탄성 부재(150A), 하측 탄성 부재(160A), 제1 회로 기판(170A), 변위 감지부(180) 및 센싱 마그네트(182A)가 수용될 수 있다.
커버 캔(102)은 상부면에 보빈(110A)에 결합되는 렌즈(미도시)가 외부광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개구부(101)에는 광투과성 물질로 구성된 윈도우가 마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 캔(102)은 하부에 형성된 제1 홈부(104)를 포함하고, 베이스(190)는 상부에 형성된 제2 홈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커버 캔(102)이 베이스(190)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지지, 결합 또는 배치될 때, 제1 홈부(104)와 맞닿는 부분(즉, 제1 홈부(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홈부(19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04)와 제2 홈부(192)의 접촉 또는 배치 또는 결합을 통해 일정 면적의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요홈부에는 점도를 갖는 접착부재 예를 들어 에폭시가 주입되어 도포될 수 있다. 즉, 요홈부에 도포된 접착부재는 요홈부를 통해 커버 캔(102)과 베이스(19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갭(gap)을 메우어, 커버 캔(102)이 베이스(190)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지지, 결합 또는 배치되면서 커버 캔(102)과 베이스(19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 캔(102)이 베이스(190)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지지, 결합 또는 배치되면서 측면이 밀폐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캔(102)은 제3 홈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홈부(106)는 제1 회로 기판(170A)의 단자면과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며, 단자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자(171)와 커버 캔(102)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제3 홈부(106)는 제1 회로 기판(170A)의 단자면과 마주보는 면 전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3 홈부(106) 안쪽으로 접착부재를 도포하여 커버 캔(102)과 베이스(190) 및 제1 회로 기판(170A)을 밀봉 또는 결합할 수 있다.
제1 홈부(104) 및 제3 홈부(106)는 커버 캔(102)에 형성되고, 제2 홈부(192)는 베이스(190)에 형성되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홈부(104, 192, 106)는 베이스(190)에만 형성되거나, 커버 캔(102)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커버 캔(102)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커버 캔(102)의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 캔을 자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19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190)의 하부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외측방향으로 소정 두께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부는 연속된 띠 형태 또는 중간에 일부 단속적인 띠 형태일 수도 있다. 단턱부의 소정 두께는 커버 캔(102)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며, 커버 캔(102)이 베이스(190)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지지, 결합 또는 배치될 때, 커버 캔(102)의 측면은 베이스(190)의 단턱부의 상부 또는 측면에 장착,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턱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캔(102)이 단턱부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 캔(102)의 단부가 단턱부에 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캔(102)의 단부는 밑면 또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턱부와 커버 캔(102)의 단부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 또는 결합 또는 밀봉될 수 있다.
단턱부에는 커버 캔(102)의 제1 홈부(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홈부(192)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홈부(192)는 커버 캔(102)의 제1 홈부(104)와 결합하여 요홈부를 형성하며, 접착부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캔(102)과 마찬가지로 베이스(190)는 중앙부근에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는 카메라 모듈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90)는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직각으로 돌출된 네 개의 가이드 부재(19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94)는 다각기둥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94)는 후술할 하우징 부재(140)의 하부 가이드홈(148)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 부재(194)와 하부 가이드홈(148)으로 인해, 베이스(190)의 상부에 하우징 부재(140)가 장착,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때, 베이스(190) 상의 하우징 부재(140)의 결합 등의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고, 결합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 부재(140)가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작동 과정 중 진동 등의 사유로 인해 또는 결합과정 중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장착 등이 되어야 할 기준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140)의 개략적인 평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140)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용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140), 제1 회로 기판(170A) 및 변위 감지부(18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3은 상측 탄성 부재(150A)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4는 하측 탄성 부재(160A)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 부재(140)는 전체적으로 중공기둥 형상(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 부재(14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제1 회로 기판(170A)을 지지하는 형상을 갖고, 내부에 보빈(110A)이 하우징 부재(140)에 대해 제1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보빈(110A)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140)는 네 개의 평평한 측면(14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140)의 측면(141)은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또는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마주하는 제1 양측면 각각에는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는 마그네트용 관통공(또는, 홈)(141a, 141a’)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141a’)은 구동용 마그네트(130)에 대응되는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구동용 마그네트(130)를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141a') 각각에는 구동용 마그네트(130) 중 하나(이하,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및 다른 하나(이하,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2)')가 각각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의 경우, 총 2개의 구동용 마그네트(13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4개의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종류는 페라이트(ferrite), 알리코(alnico), 희토류 자석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자기 회로의 형태에 의하여 내자형(Ptype)과 외자형(F-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이러한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하우징 부재(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제1 양측면에 직각인 일측면 또는 제1 양측면 이외의 면에는 후술할 변위 감지부(180)가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용 관통공(141b)은 후술할 변위 감지부(18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제1 및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141a')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용 관통공(141b)은 하우징 부재(140)의 측면(141) 중에서 제1 회로 기판(170A)이 장착,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부재(140)의 일측면에서는, 제1 회로 기판(170A)이 장착,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용 돌출부(149)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용 돌출부(149)는 제1 회로 기판(170A)에 형성된 장착용 관통구(173)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착용 관통구(173)와 장착용 돌출부(149)는 형상끼워 맞춤 방식 또는 억지끼워 맞춤 방식으로 접촉 또는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들(173, 149)은 제1 회로 기판(170A)이 하우징 부재(140)에 장착,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됨을 단순 가이드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우징 부재(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은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 부재(140)의 제1 양측면에 직각인 제2 양측면에는 제3 및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및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갖고, 하우징 부재(140)의 제1 양측면의 측방향 길이 전체에 (거의) 동일한 측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제3 마그네트용 관통공 및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은 서로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갖되, 제1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및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보다 측방향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3 또는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 양측면에 센서용 관통공(141b)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센서용 관통공(141b)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2)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고, 하우징 부재(140)의 제1 양측면의 측방향 길이 전체에 거의 동일한 측방향 길이를 가짐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제3 및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미도시)에 각각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는 제3 및 제4 구동용 마그네트(미도시)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2)보다 측방향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마그네트 관통공(141a, 141a')과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마그네트 관통공은 하우징 부재(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및 제4 구동용 마그네트(미도시)는 하우징 부재(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또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1, 132) 또는 제3 및 제4 구동용 마그네트가 하우징 부재(140)의 중심과 무관하게 일측에 편향된 채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경우 보빈(110A)의 제1 코일(120)에 전자기력이 일측에 편향되게 작용하므로 보빈(110A)이 틸트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1, 132)와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구동용 마그네트를 하우징 부재(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보빈(110A) 및 제1 코일(120)에 편향되지 않은 전자기력을 가할 수 있어, 보빈(110A)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1, 132)만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제3 및 제4 구동용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경우에도 아래의 설명은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140)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제1 스토퍼(1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43)는 커버 캔(102)과 하우징 부재(140) 몸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충격 발생 시 하우징 부재(140)의 상부면이 커버 캔(102)의 상부 내측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143)는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측 탄성 부재(150A)에서 제1 스토퍼(143)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 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부재(140)의 상측에는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외측 프레임(152)이 삽입,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결합, 지지 또는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와 대응되는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외측 프레임(15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통공(또는, 홈)(1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는 제1 통공(152a)에 삽입,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결합, 지지 또는 배치된 후 접착제 또는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융착은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부재(140)의 하측에는 하측 탄성 부재(160A)의 외측 프레임(16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는 하우징 부재(140)의 하측의 네 귀퉁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측 탄성 부재(160A)의 외측 프레임(162)에는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는 체결부(또는, 삽입홈, 또는 홀)(16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곳은 접착제 또는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융착은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부재(140)는 요크 기능을 할 수 있는 요크 하우징 부재일 수 있다. 요크 하우징 부재 구조에서는, 상부 탄성 부재(150A)와 요크 상면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구조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보빈(110A)의 상부 방향으로의 움직임과 요크와의 간섭이 없게 하기 위함이다.
또는, 요크(미도시) 자체가 하우징 부재(14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요크가 베이스(19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 탄성 부재(150A)는 요크 하부에 또는 요크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요크 상부에 별도의 커버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 탄성 부재(150A)는 요크 상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요크와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탄성 부재(150A)는 커버 또는 요크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구동용 마그네트(130: 131, 132)는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141a')에 각각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변형 실시 예로서,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및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141a') 대신 하우징 부재(140)의 내측면에는 요홈 형상의 마그네트 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마그네트 안착부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보빈(110A)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제1 코일(120)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보빈(110A)의 제1 코일(120)을 마주보는 면을 N극, 바깥쪽 면은 S극이 되도록 구동용 마그네트(130)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2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로서,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비자성체 격벽(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며 배치된 제1 마그네트(미도시) 및 제2 마그네트(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자성체 격벽은 공기일 수도 있고 비자성 물질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서로 반대 극성을 띠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양극 착자 마그네트에 대해서는 도 37a, 도 37b, 도 43a 및 도 43b에서 상세하게 후술된다.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1, 132)는 일정 폭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141a')에 각각 안착되어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1, 132)의 넓은 면 또는 일부 면이 하우징 부재(140)의 측면(외측면 또는 내측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1, 132)는 하우징 부재(140)의 측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전술한 요크의 내측면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 부재(140)없이 요크의 내측면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구동용 마그네트(131, 132)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보빈(110A)의 제1 코일(1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서로 평행이 되도록 평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보빈(110A)의 제1 코일(120) 중 어느 하나만이 평면이고, 다른 한 쪽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보빈(110A)의 제1 코일(120)과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마주보는 면은 모두가 곡면일 수도 있으며, 이때, 보빈(110A)의 제1 코일(120)과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마주보는 면의 곡률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140)의 일측면에는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이 마련되고,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에는 변위 감지부(180)가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며, 변위 감지부(180)는 솔더링 또는 납땜 방식으로 제1 회로 기판(170A)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회로 기판(170A)은 하우징 부재(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이 마련된 일측면의 외측면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감지 유닛은 보빈(110A)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감지/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 유닛은 변위 감지부(180) 및 센싱 마그네트(182A)를 포함할 수 있다. 변위 감지부(180) 및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은 센싱 마그네트(18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마그네트(182A)는 자장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위와 아래로 2개로 분할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로 구현될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변위 감지부(180)는 보빈(110A)의 센싱 마그네트(182A)에서 방출되는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위 감지부(180)는 홀센서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홀 센서 이외에 어떠한 것이든 변위 감지부(180)로 이용될 수 있으며, 자기력 이외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포토리플렉터 등을 이용한 방식도 가능하다. 변위 감지부(180)가 홀 센서로 구현될 경우, 홀 센서에 의해 탐지된 마그넷플럭스(즉, 자속밀도) 변화에 대한 홀전압차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 구동거리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위 감지부(180)가 홀 센서로 구현될 경우, 홀 센서(180)는 복수의 핀들을 가질 수 있디. 예를 들어, 복수의 핀은 제1 및 제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은 전압과 접지에 각각 연결되는 제1-1 및 제1-2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핀은 센싱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2-1 및 제2-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1 및 제2-2 핀을 통해 출력되는 센싱된 결과는 전류 형태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신호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회로 기판(170A)은 홀 센서(180)에 연결되어 제1-1 및 제1-2 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2-1 및 제2-2 핀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회로 기판(170A)은 하우징 부재(140)의 일측면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로 기판(170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용 관통구(173) 또는 홈을 구비함으로 인해 하우징 부재(140)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용 돌출부(149)에 의해 설치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장착용 돌출부(149)는 한 개 또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 제1 회로기판(170A)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 하기가 더 쉬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로 기판(170A)은 복수 개의 단자(17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보빈(110A)의 제1 코일(120) 및 변위 감지부(180)에서 필요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70A)에 형성된 단자(171)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 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로 기판(170A)의 복수의 단자(171)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 및 I2C 통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단자 중 하나는 공급 전압과 연결되는 단자이고 전원 단자 중 다른 하나는 접지와 연결되는 단자일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회로 기판(170A)에는 적어도 하나의 핀(172)이 마련될 수 있다. 핀(172)의 개수는 4개일 수도 있고 4개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핀(172)은 테스트 핀, 홀(hole) 핀, VCM+ 핀 및 VCM- 핀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러한 핀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테스트 핀은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핀일 수 있다. 홀 핀은 변위 감지부(18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핀일 수 있다. VCM+ 핀 및 VCM- 핀은 변위 감지부(180)로부터 피드백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핀들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회로 기판(170A)은 FPCB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렌즈 구동 장치(2000)가 변위 감지부(18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변위 감지부(18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 제1 회로 기판(170A)은 하우징 부재(140)의 외측면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렌즈 구동 장치(2000)가 변위 감지부(180)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제1 회로 기판(170A)은 하우징 부재(140)의 외측면 대신에 하우징 부재(140)의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 8에 도시된 보빈(110A)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 8에 도시된 보빈(110A)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측 탄성 부재(150A) 및 하측 탄성 부재(160A)는 보빈(110A)의 광축 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150A)와 하측 탄성 부재(160A)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150A, 160A) 각각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측 탄성 부재(150A)는 보빈(110A)과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151)과 하우징 부재(140)와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52) 및 내측 프레임(151)과 외측 프레임(152)을 연결하는 연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측 탄성 부재(160A)는 보빈(110A)과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161)과 하우징 부재(140)와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62) 및 내측 프레임(161)과 외측 프레임(162)을 연결하는 연결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53, 163)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53, 16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A)은 광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또는 탄성적으로) 지지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 부재(150A)는 외측 프레임(152)에 복수 개의 제1 통공(152a)을 포함하고, 내측 프레임(151)에 복수 개의 제2 통공(15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공(152a)은 하우징 부재(1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와 결합하고, 제2 통공(151a)은 보빈(110A)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측 지지돌기(113)와 결합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113)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된다. 즉, 외측 프레임(152)은 제1 통공(152a)을 통하여 하우징 부재(140)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지지, 배치 또는 결합되고, 내측 프레임(151)은 제2 통공(151a)을 통하여 보빈(110A)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지지,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연결부(153)는 내측 프레임(151)이 외측 프레임(15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내측 프레임(151)과 외측 프레임(152)을 연결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 또는 외측 프레임(15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빈(110A)의 제1 코일(120) 또는 제1 회로 기판(170A)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측 탄성 부재(160A)는 외측 프레임(162)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부(162a)를 포함하고, 내측 프레임(16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통공(또는, 홈)(161a)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162a)는 하우징 부재(140)의 하부면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고, 제3 통공(161a)은 도 16에 도시된 보빈(110A)의 하부면에 형성된 하측 지지돌기(114)와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될 수 있다. 즉, 외측 프레임(162)은 체결부(162a)를 통하여 하우징 부재(140)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고, 내측 프레임(161)은 제3 통공(161a)을 통하여 보빈(110A)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160A)의 연결부(163)는 내측 프레임(161)이 외측 프레임(16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내측 프레임(161)과 외측 프레임(162)을 연결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160A)는 서로 분리된 제1 하측 탄성 부재(160a)와 제2 하측 탄성 부재(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분할 구조를 통해 하측 탄성 부재(160A)의 제1 하측 탄성 부재(160a)와 제2 하측 탄성 부재(160b)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 또는 서로 다른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즉, 내측 프레임(161)과 외측 프레임(162)이 각각 보빈(110A)과 하우징 부재(140)에 결합된 후, 보빈(110A)에 배치된 제1 코일(120)의 양 끝선과 대응되는 내측 프레임(161)의 위치에 솔더부를 마련하여, 솔더부에서 납땜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 또는 서로 다른 전류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하측 탄성 부재(160a)가 제1 코일(120)의 양끝선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코일(120)의 양끝선 중 다른 하나와 제2 하측 탄성 부재(16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 및/또는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측 탄성 부재(160A)의 내측 프레임(161) 및 외측 프레임(16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보빈(110A)의 제1 코일(120) 또는 제1 회로 기판(170A)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20)의 양 끝선은 보빈(110A)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할 수 있으며 또는 서로 같은 편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측 탄성 부재(150A) 및 하측 탄성 부재(160A)와 보빈(110A) 및 하우징 부재(140)는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조립 순서에 따라 열 융착 고정 후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으로 고정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측 탄성 부재(150A)가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2분할 구조로 구성되고, 하측 탄성 부재(160A)가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A), 제1 코일(120), 변위 감지부(180) 및 센싱 마그네트(182A)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A), 제1 코일(120),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1, 132), 변위 감지부(180) 및 센싱 마그네트(182A)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보빈(110A)은 하우징 부재(140)의 내부 공간에 광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A)의 외주면에는 제1 코일(120)이 설치되어 하우징 부재(140)의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하여 보빈(110A)을 제1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보빈(110A)이 광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측 탄성 부재(150A) 및 하측 탄성 부재(160A)에 의해 보빈(110A)은 탄력적으로(또는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보빈(110A)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10A)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은 후술할 카메라 모듈의 구성부품으로서 렌즈 구동 장치의 필수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렌즈 배럴을 보빈(110A)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예컨대, 보빈(110A)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렌즈 배럴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 배럴을 보빈(110A)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빈(110A)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렌즈 배럴을 보빈(110A)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 배럴없이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A)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 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빈(110A)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113)와 복수 개의 하측 지지돌기(114)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11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과 보빈(110A)을 결합, 고정, 가고정, 접촉 또는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의 상측 지지돌기(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통공(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지지돌기(113)와 제2 통공(151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측 지지돌기(113)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들(113)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A)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들(113)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이들의 간격이 일정하지는 않으나, 보빈(110A)의 중심을 지나는 특정 가상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하측 지지돌기(11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지지돌기(113)처럼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 부재(160A)의 내측 프레임(161)과 보빈(110A)을 결합, 고정, 가고정, 접촉 또는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하측 탄성 부재(160A)의 내측 프레임(161)에서 보빈(110A)의 하측 지지돌기(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 통공(16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지지돌기(114)와 제3 통공(161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측 지지돌기(11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114)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A)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114)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빈(110A)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연결부(153) 및 하측 탄성 부재(160A)의 연결부(16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 도피홈(112) 및 하측 도피홈(11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도피홈(112)과 하측 도피홈(118)이 마련됨으로써, 보빈(110A)이 하우징 부재(14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연결부(153, 163)와 보빈(110A)과의 공간적 간섭이 제거되어 연결부(153, 163)의 탄성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도피홈(112) 또는 하측 도피홈(118)의 위치는 도 15 또는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탄성 부재의 연결부 형상 및/또는 위치에 따라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보빈(110A)의 외주면에는, 제1 코일(120)이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코일용 안착홈(또는, 코일용 안착부)(116)이 마련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코일(120)은 보빈(110A)에 외주면에 직접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대신에, 보빈(110A)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코일 링(미도시)이 보빈(110A)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고, 제1 코일(120)은 코일 링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코일(120)은 보빈(110A)의 외주면 또는 코일용 안착홈(116)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링 형상의 코일 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코일(120)을 직접 보빈(110A)의 외주면 또는 코일용 안착홈(116)에 권선할 수도 있다. 미리 권선된 제1 코일(120)을 장착 또는 삽입 또는 배치하는 경우, 보빈(110A)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장착 또는 삽입 또는 배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코일(12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8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빈(110A)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보빈(110A) 또한 8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120)에서 적어도 4면(또는, 적어도 22면)은 직선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들 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또는 직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직선으로 형성된 부분은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일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120)과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제1 코일(120)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코일(120)이 직선이면,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직선일 수 있으며, 제1 코일(120)이 곡선이면,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곡선일 수 있으며, 또한, 같은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코일(120)이 곡선이더라도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직선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제1 코일(120)은 보빈(110A)을 광축 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전자기력이 보빈(110A)을 움직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제1 코일(120)은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단일 몸체로 구성되어 제1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 전체가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면, 제1 코일(120) 또한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만일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광축에 수직한 면으로 2분할 되어 제1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이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될 경우, 제1 코일(120) 역시 분할된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센싱 마그네트(18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182A)는 보빈(110A)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싱 마그네트(182A)는 보빈(110A)의 제1 방향 이동시에 보빈(110A)과 동일한 변위량만큼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마그네트(182A)는 보빈(110A)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빈(110A)의 상부 방향이 N극, 보빈(110A)의 하부 방향이 S극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센싱 마그네트(182A)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2분할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양극 착자 마그네트에 대해서는 도 37a 및 도 37b와 도 43a 및 도 43b에서 상세히 후술된다.
도 15 내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A)은 보빈(110A)의 외주면에서 센싱 마그네트(182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17)은 보빈(110A)의 외부면에서부터 소정 깊이 보빈(110A)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홈(117)은 수용홈(117)의 적어도 일부 이상이 제1 코일(1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보빈(110A)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117)은 적어도 일부 이상이 코일용 안착홈(116)보다 더 보빈(110A)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수용홈(117)을 보빈(110A)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센싱 마그네트(182A)를 보빈(110A)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센싱 마그네트(182A)를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빈(110A)의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수용홈(117)은 하우징 부재(140)의 변위 감지부(18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변위 감지부(18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변위 감지부(180)와 센싱 마그네트(182A)는 동일 축 상에 정렬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182A)와 변위 감지부(180) 사이의 거리(d)가 제1 코일(120)의 두께와 제1 코일(120)과 변위 감지부(180) 사이의 이격거리로서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변위 감지부(180)의 자력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 내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7)은 센싱 마그네트(182A)의 일면이 지지되는 내측면과,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내측면보다 소정 깊이 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접착용 홈(117b)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17)의 내측면은 보빈(110A)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일면으로서, 센싱 마그네트(182A)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센싱 마그네트(182A)의 넓은 면이 접촉 또는 안착되는 면이다.
수용홈(117)의 접착용 홈(117b)은 내측면 중 일부분을 보빈(110A)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더 깊게 오목하게 파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접착용 홈(117b)은 센싱 마그네트(182A)의 일면이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보빈(110A)의 내부 일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수용홈(117)에서 센싱 마그네트(182A)의 일면(즉, 넓은 면)이 지지되는 내측면으로부터 제1 코일(120)이 마련되는 외주면(즉, 코일용 안착홈(116) 표면) 사이의 깊이가 센싱 마그네트(182A)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싱 마그네트(182A)는 제1 코일(120)의 권취로 인한 제1 코일(120)의 내측 가압력으로 수용홈(117)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추가 실시 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빈(110A)은 수용홈(117)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서 보빈(11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용홈(117)과 대칭된 위치에 보빈(110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추가 수용홈(117)과, 추가 수용홈(117)에 수용되는 중량균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센싱 마그네트(182A)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용 마그네트(130)를 센싱 마그네트(182A)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변위 감지부(180)를 통해 감지한 결과를 이용하여, 실시 예는 렌즈의 광축 방향 변위량을 피드백하여 광축 방향으로의 렌즈의 위치를 재조절함으로써 렌즈의 초점 정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이동부(또는, 이동체)인 보빈(110A)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결합, 지지 또는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182A)와 고정부(또는, 고정체)인 하우징 부재(140)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결합, 지지 또는 배치되는 변위 감지부(18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의 광축 방향 변위량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렌즈를 렌즈의 초점거리에 보다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센싱 마그네트(182A)를 보빈(110A) 내부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결합, 지지 또는 배치시키고, 변위 감지부(180)를 하우징 부재(140) 내부에 장착, 안착, 접촉, 고정, 가고정, 결합, 지지 또는 배치시킴으로써, 센싱 마그네트(182A) 또는 변위 감지부(18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카메라 모듈(특히, 보빈)의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예
도 19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30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30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9에서 커버부재(또는, 커버 캔)(102)를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30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또는, 하우징)(140) 및 변위 감지부(18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과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구동 마그네트(180), 하우징 부재(140) 및 제1 회로 기판(170B)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140) 및 제1 회로 기판(170B)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2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140), 제1 회로 기판(170B) 및 변위 감지부(18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측 탄성 부재(150B)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측 탄성 부재(160B)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3000)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2000)와 마찬가지로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3000)는 커버부재(102), 보빈(110B), 제1 코일(120), 구동용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140), 상측 탄성 부재(150B), 하측 탄성 부재(160B), 제1 회로기판(또는, 인쇄회로기판)(170B), 보빈(110B)의 광축 방향(즉, 제1 방향)의 변위량을 판단하는 감지유닛 및 베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유닛은 변위 감지부(또는, 위치 감지 센서)(180) 및 센싱 마그네트(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102), 보빈(110B), 제1 코일(120), 구동용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140), 상측 탄성 부재(150B), 하측 탄성 부재(160B), 제1 회로기판(170B), 변위 감지부(180), 센싱 마그네트(182B) 및 베이스(190)는 제2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커버캔(102), 보빈(110A), 제1 코일(120), 구동용 마그네트(130), 하우징 부재(140), 상측 탄성 부재(150A), 하측 탄성 부재(160A), 제1 회로기판(170A), 변위 감지부(180), 센싱 마그네트(182B) 및 베이스(190)에 각각 해당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27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내측 프레임(151)에 형성된 제2 통공(151a)의 개수가 다름을 제외하면, 상측 탄성 부재(150B)는 상측 탄성 부재(150A)와 동일하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하측 탄성 부재(160A)의 경우 전기적으로 2분할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의 내측 프레임(161)이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부재(16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는,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가 공간적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부재(165)는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 각각의 재질이 전도성 물질일 경우,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는 전기적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반면에, 도 28에 도시된 하측 탄성 부재(160B)의 경우 전기적으로 2분할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의 내측 프레임(161)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를 제외하면, 하측 탄성 부재(160B)는 하측 탄성 부재(160A)와 동일하다.
또한, 도 9와 도 21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핀(172)의 위치 및 상호 연결 모습이 다름을 제외하면, 제1 회로 기판(170B)은 제1 회로 기판(170A)과 동일하며, 실시 예는 이러한 핀(172)의 위치 및 연결 모습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도 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핀(172)의 위치 및 연결 모습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센싱 마그네트(182A)는 위와 아래로 2개로 분할된 구조를 갖는 반면, 도 20에 도시된 센싱 마그네트(182B)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 이를 제외하면 센싱 마그네트(182B)는 센싱 마그네트(182A)와 동일하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B)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B) 및 센싱 마그네트(182B)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3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B)과 제1 코일(120)과 센싱 마그네트(182B) 간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2는 보빈(110B)과 센싱 마그네트(182B)가 결합된 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3은 보빈(110B)과 센싱 마그네트(182B)가 결합된 후의 부분 확대 저면도이고, 도 34는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B)의 수용홈(117)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B), 제1 코일(120) 및 센싱 마그네트(182B)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과 도 29 및 도 30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상부 구조의 일부 모습에 차이가 있음을 제외하면, 보빈(110B)은 보빈(110A)과 동일하다. 또한, 렌즈 배럴(미도시)이 보빈(110A)에 결합되는 전술한 설명은 렌즈 배럴(미도시)이 보빈(110B)에 결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1 내지 도 35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수용홈(117)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하,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수용홈(117)을 보다 상세히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이때,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수용홈(117) 및 접착용 홈(117b)에 대해 전술한 설명은 도 31 내지 도 35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도 31 내지 도 35는 보빈(110B) 위주로 설명하지만, 도 31 및 도 35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보빈(110A)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용홈(117)은 보빈(110B)의 하부면 및 상부면 중 하나의 면에서 수용홈(117)에 연통되는 개구(11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B)의 하부면 중 일부가 개방되어 개구(119)를 형성하고, 개구(119)는 수용홈(117)의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119)를 통하여 센싱 마그네트(182B)가 삽입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될 수 있으며, 개구(119)를 통하여 센싱 마그네트(182B)가 분리될 수도 있다.
접착용 홈(117b)은 바람직하게는 개구(119)에서부터 센싱 마그네트(182B)의 일면이 접촉 또는 안착 또는 배치되는 보빈(110B)의 내부 일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7)은 제1 추가홈(117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가홈(117c)은 센싱 마그네트(182B)의 이면이 접촉, 안착 또는 배치되는 보빈(110B)의 내부 일면보다 더 깊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접착용 홈(117b)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다. 접착용 홈(117b)과 제1 추가홈(117c)이 함께 형성하는 길이는 보빈(110B)의 상하 두께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센싱 마그네트(182B)의 길이보다 길다. 제1 추가홈(117c)이 형성됨으로써, 접착제가 개구(119)를 통하여 접착용 홈(117b)에 주입될 때 제1 추가홈(117c)에서부터 접착제가 충진되어 접착용 홈(117b) 내부를 충진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가 접착용 홈(117b)에서 오버 플로우되어 센싱 마그네트(182B)와 수용홈(117) 사이의 틈새를 따라 제1 코일(120)에까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싱 마그네트(182B)의 결합과정 중 렌즈 구동 장치(2000, 3000)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홈(117)은 제2 추가홈(117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추가홈(117a)은 개구(119)로부터 보빈(110B)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되며, 접착용 홈(117b)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추가홈(117a)은 개구(119)의 부근에서 내측면보다 보빈(110B)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더 깊게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추가홈(117a)은 접착용 홈(117b)과 연통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추가홈(117a)은 접착용 홈(117b)의 연장부이다. 이렇게, 제2 추가홈(117a)이 배치됨으로써, 접착제가 제2 추가홈(117a)를 통하여 접착용 홈(117b)에 주입될 수 있으므로, 개구(119) 근처에서 접착제가 오버 플로우되어 제1 코일(120) 등 보빈(110B)의 다른 구성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싱 마그네트(182B)의 결합과정 중 렌즈 구동 장치(2000, 3000)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 실시예로서, 제2 추가홈(117a)은 접착용 홈(117b) 없이 단독으로 보빈(110B)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를 제2 추가홈(117a)에 주입하여 보빈(110B)과 센싱 마그네트(182B)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추가홈(117c) 또는 제2 추가홈(117a) 중 적어도 하나가 접착용 홈(117b)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추가 홈(117c)만이 접착용 홈(117b)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제2 추가홈(117a)만이 접착용 홈(117b)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빈(110B)의 수용홈(117)은 접착용 홈(117b), 제1 추가홈(117c) 또는 제2 추가홈(117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 예로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빈(110B)은 수용홈(117)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서 보빈(110B)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용홈(117)과 대칭된 위치에 보빈(110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추가 수용홈(117)과, 추가 수용홈(117)에 수용되는 중량균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추가 수용홈(117)은 수용홈(117)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서 보빈(110B)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용홈(117)과 일직선으로 대칭된 위치에서 소정 깊이 보빈(110B)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균형부재는 추가 수용홈(117) 내에 고정 및 결합되며, 자력 센싱 부재(예를 들어, 센싱 마그네트(182B))와 동일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추가 수용홈(117)과 중량균형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수용홈(117)과 센싱 마그네트(182B)의 구비로 인한 보빈(110B)의 수평방향 무게 불균형을 중량균형부재의 장착으로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수용홈(117)은 접착용 홈(117b), 제1 추가홈(117c) 또는 제2 추가홈(117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0, 3000)에 의하면, 렌즈의 광축 방향 변위량을 피드백하여 광축 방향으로의 렌즈의 위치를 재조절함으로써 렌즈의 초점 정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0, 3000)에 의하면, 이동체인 보빈(110A, 110B)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182A, 182B)와 고정체인 하우징 부재(140)에 구비되는 변위 감지부(18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의 광축 방향 변위량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렌즈를 렌즈의 초점거리에 보다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0, 3000)에 의하면, 센싱 마그네트(182A, 182B)를 보빈(110A, 110B) 내부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하고 변위 감지부(180)를 하우징 부재(140)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감지 유닛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카메라 모듈(특히, 보빈)의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실시 예의 렌즈 구동 장치(2000, 3000)에 렌즈를 결합하고, 하부에 이미지센서 및 이미지센서가 배치된 제2 회로 기판(또는,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여 카메라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렌즈 구동 장치(2000, 3000)의 베이스(190)와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제2 회로기판이 결합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
이하, 제4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A ~ 200F)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제4-1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A)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는 고정부(210), 이동부(220), 하부 및 상부 스프링(230, 240), 양극 착자 마그네트(또는, 2극 착자 마그네트)(250) 및 위치 센서(260)(또는, 위치 검출 내지 위치 검출 센서를 포함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0)는 하부(212), 측부(214) 및 상부(216)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A)의 이동부(220)가 광축의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고정부(210)의 하부(212)는 초기의 정지 상태에 있는 이동부(2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또는 상부 및/또는 하부 스프링(240, 230)에 의해 고정부(210)의 하부(21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초기의 정지 상태에서 이동부(220)가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210)의 측부(214)는 하부 스프링(230)과 상부 스프링(2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나, 고정부(210)의 하부(212) 및/또는 상부(216)가 하부 및/또는 상부 스프링(230, 240)을 지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10)는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에서 구동용 마그네트(41, 130)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재(40, 140)에 해당할 수도 있고, 요크에 해당할 수도 있고, 커버 캔(60, 102)에 해당할 수도 있고, 베이스(20, 190)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동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220)는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에서 보빈(30, 110A, 110B)에 해당할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렌즈 구동 장치(200A)는 제1 코일 및 구동용 마그네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A)에 포함되는 제1 코일과 구동용 마그네트는 이동부(220)를 렌즈의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대면되어 배치되어 상호 작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코일 및 구동용 마그네트는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의 제1 코일(31, 120) 및 구동용 마그네트(41, 130)에 각각 해당할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36의 경우, 이동부(220)는 광축의 일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동부(220)는 광축의 양 방향(즉, +z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 모두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센서(260)는 이동부(220)의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감지할 수 있다. 위치 센서(260)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자기장을 센싱하고, 센싱된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는 레벨을 갖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선형적으로 변하는 세기의 자기장을 위치 센서(260)가 감지할 수 있도록,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착자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위치 센서(260)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260)는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의 변위 감지부(82, 180)에 해당하고,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는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의 센싱 마그네트(70, 182A, 182B)에 해당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종류는 페라이트(ferrite), 알리코(alnico), 희토류 자석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자기 회로의 형태에 의하여 내자형(Ptype)과 외자형(F-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이러한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의하면,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는 위치 센서(260)와 마주하는 측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부면은 제1 측면(252) 및 제2 측면(2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252)은 제1 극성을 갖는 면이고, 제2 측면(254)은 제1 극성과 반대의 제2 극성을 갖는 면일 수 있다. 제2 측면(254)은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제1 측면(252)과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252)의 광축 방향의 제1 길이(L1)는 제2 측면(254)의 광축 방향의 제2 길이(L2) 이상이거나 제2 측면(254)의 광축 방향의 제2 길이(L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에서, 제1 극성을 갖는 제1 측면(252)의 제1 자속 밀도가 제2 극성을 갖는 제2 측면(254)의 제2 자속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제1 극성은 S극이고 제2 극성은 N극일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제1 극성은 N극이고 제2 극성은 S극일 수도 있다.
도 37a 및 도 37b는 도 36에 도시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실시 예(250A, 250B)에 의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7a를 참조하면,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A)는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A-1, 250A-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비자성체 격벽(250A-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7b를 참조하면,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B)는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B-1, 250B-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비자성체 격벽(250B-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7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A-1, 250A-2)는 서로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도 37b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B-1, 250B-2)도 서로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 3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A-1, 250A-2)는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B-1, 250B-2)는 착자 방향(즉, y축 방향)으로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6에 도시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는 도 37a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마그네트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37b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마그네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7a에 도시된 비자성체 격벽(250A-3)은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A-1, 250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7b에 도시된 비자성체 격벽(250B-3)은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B-1, 250B-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비자성체 격벽(250A-3, 250B-3)은 실질적으로 자성을 갖지 않은 부분으로서 극성이 거의 없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로 채워지거나 비자성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자성체 격벽(250A-3, 250B-3)의 제3 길이(L3)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A, 250B)의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전체 총 길이(LT)의 5% 이상 또는 50% 이하일 수 있다.
도 38은 도 3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횡축은 광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동부(220)가 이동한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종축은 위치 센서(260)에서 센싱된 자기장을 나타낼 수도 있고 위치 센서(26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나타낼 수도 있다. 위치 센서(260)는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는 레벨을 갖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즉, 렌즈를 장착한 이동부(220)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초기 상태에서,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제1 측면(252)의 상단부(251)로부터 착자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면(HS1)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가상의 수평면(HS1)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8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될 수 있는 자기장의 세기는 '0'에 거의 가깝지만 '0'이 아닌 값(BO)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렌즈를 장착하며 단방향인 +z축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이동부(220)는 가장 낮게 위치한다.
도 39는 도 3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0은 제4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에서 제1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른 이동부(220)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횡축은 제1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나타내고 종축은 변위를 나타낸다.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킴에 따라,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20)는 +z축 방향으로 거리(z=z1)까지 승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8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될 수 있는 자기장의 세기는 B1일 수 있다.
이후, 제1 코일에 제공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키거나 제1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할 경우, 이동부(220)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의 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이동부(220)가 도 36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9에 도시된 위치로 승강 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부(220)의 전기력(electric force)이 하부 및 상부 스프링(230, 240)의 스프링 력(mechanical force)보다 커야 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20)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로 높이 승강한 지점으로부터 도 36에 도시된 원래의 초기 위치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전기력이 하부 및 상부 스프링(230, 240)의 스프링 력과 같거나 보다 작아야 한다. 즉, 이동부(220)가 +z축 방향으로 승강한 이후, 하부 및 상부 스프링(230, 24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스프링(230)은 제1 및 제2 하부 스프링(232, 234)을 포함하고, 상부 스프링(240)은 제1 및 제2 상부 스프링(242, 2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스프링(230)은 제1 및 제2 하부 스프링(232, 234)으로 2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 하부 스프링(232, 23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스프링(240)은 제1 및 제2 상부 스프링(242, 244)으로 2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 상부 스프링(242, 24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스프링(230)은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의 하측 탄성 부재(52, 160A, 160B)에 해당하고, 상부 스프링(240)은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의 상측 탄성 부재(51, 150A, 150B)에 해당할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36 및 도 3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가 제1 및 제2 측면(252, 254) 중 어느 한 쪽에 치우질 경우,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은 제1 및 제2 극성 중 어느 하나의 극성만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 극성의 자기장의 세기가 선형적으로 변할 경우, 위치 센서(260)는 선형적으로 변하는 제1 또는 제2 극성을 갖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1 이동부(220)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지점으로부터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 변화는 선형적임을 알 수 있다.
도 38 및 도 40을 참조하면, 도 3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의 이동부(220)가 이동 가능한 최대 변위(D1)는 z1임을 알 수 있다.
도 41은 제4-2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B)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와 달리, 도 4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B)의 경우,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가 착자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제1 측면(252)의 제1 지점을 바라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은 제1 측면(252)의 상단부(251)와 하단부 사이의 어느 지점 예를 들어, 제1 측면(252)의 중간 높이일 수 있다.
이동부(220)가 이동하기 이전 상태에서, 도 4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B)의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는 도 3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의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보다 일정 거리(z2-zh)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8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제1 극성을 갖는 자기장의 가장 낮은 값은 B0보다 큰 B2일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B)에서 제1 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이동부(220)는 도 39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 처럼 최대의 높이(z1)까지 승강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220)의 최대 승강 높이는 하부 스프링(230)과 상부 스프링(240)의 탄성 계수를 조절하여 변경시킬 수도 있다.
도 4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B)의 경우에도 도 36 및 도 39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와 마찬가지로, 위치 센서(260)에서 센싱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B2부터 B1까지 선형적으로 변함을 알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도 4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B)의 이동부(220)가 이동 가능한 최대 변위(D1)는 z1-z2임을 알 수 있다.
도 42는 제4-3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C)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6, 도 39 또는 도 4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 200B)의 경우, 제1 측면(252)은 제2 측면(254) 위에 위치한다. 반면에, 도 42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C)의 경우 제2 측면(254)은 제1 측면(252)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측부면에서 길이가 긴 제2 측면(252)이 길이가 짧은 제1 측면(254)보다 아래에 배치됨을 제외하면, 도 42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C)는 도 36 또는 도 4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 200B)와 동일하므로, 동일함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3a 및 도 43b는 도 42에 도시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실시 예(250C, 250D)에 의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3a를 참조하면,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C)는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C-1, 250C-2)를 포함하며 또는, 비자성체 격벽(250C-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3b를 참조하면,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D)는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D-1, 250D-2)를 포함하며 또는 비자성체 격벽(250D-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3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C-1, 250C-2)는 서로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도 43b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D-1, 250D-2)는 서로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 4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C-1, 250C-2)는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4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D-1, 250D-2)는 착자 방향(즉, y축 방향)으로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2에 도시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는 도 43a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마그네트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43b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마그네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자성체 격벽(250C-3)은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C-1, 250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4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자성체 격벽(250D-3)은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D-1, 250D-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비자성체 격벽(250C-3, 250D-3)은 실질적으로 자성을 갖지 않은 부분으로서 극성이 거의 없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로 채워지거나 비자성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자성체 격벽(250C-3, 250C-3)의 제3 길이(L3)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C, 250C)의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전체 총 길이(LT)의 5% 이상 또는 50% 이하일 수 있다.
도 38 및 도 42를 참조하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착자 방향인 y축 방향으로 비자성체 격벽(250C-3)(또는, 제1 측면(252)과 제2 측면(254)의 사이의 공간)과 대향 또는 일치할 수 있다. 이는,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로부터 착자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면(HS2) 상에 제1 측면(252)의 상단부(253)가 위치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상단부(253)와 제2 측면(254) 사이의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220)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와 위치 센서(260)가 배치될 경우,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제1 극성을 갖는 자기장의 세기는 '0'일 수 있다.
도 37a 및 도 43a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252)은 위치 센서(260)를 마주하는 제1 센싱 마그네트(250A-1, 250C-1)의 측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37a 및 도 43a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254)은 위치 센서(260)를 마주하는 제2 센싱 마그네트(250A-2, 250C-2)의 측면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도 37b 또는 도 43b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측면(252, 254)은 위치 센서(260)를 마주하는 제1 센싱 마그네트(250B-1, 250D-1)의 측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4는 제4-4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D)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4를 참조하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착자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제1 측면(252)의 제1 지점을 바라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은 제1 측면(252)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어느 지점 예를 들어, 제1 측면(252)의 중간 높이일 수 있다.
이동부(220)가 이동하기 이전 상태에서, 도 44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D)의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는 도 42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C)의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보다 거리(z2-zh)만큼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8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제1 극성을 갖는 자기장의 가장 낮은 세기는 B2일 수 있다.
도 44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D)의 제1 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이동부(220)는 렌즈 구동 장치(200A)처럼 최대의 높이(z1)까지 올라갈 수 있다. 이때, 이동부(220)의 승강 최대 높이는 기구적인 스토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또는, 이동부(220)의 승강 최대 높이는 하부 스프링(230)과 상부 스프링(240)의 탄성 계수를 조절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도 44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D)의 경우에도 도 36 및 도 39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와 마찬가지로,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제1 극성을 자기장의 세기의 변화는 B2부터 B1까지 선형적임을 알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도 44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D)의 이동부(220)가 이동 가능한 최대 변위(D1)는 z1-z2임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도 36, 도 39, 도 41, 도 42, 도 44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A, 200B, 200C, 200D)에서 이동부(220)는 광축의 일 방향 즉, 초기위치로부터 +z축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렌즈 구동 장치는 제1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광축의 양 방향 즉, 초기 위치로부터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5는 제4-5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E)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렌즈 구동 장치(200A, 200B)와 달리 도 45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E)는 초기위치로부터 +z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및 상부 스프링(230, 240)에 의해 이동부(220)가 공중에 떠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를 제외하면, 도 45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E)의 구성 요소는 전술한 렌즈 구동 장치(200A, 200B) 각각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5를 참조하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즉, 이동부(220)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착자 방향으로 제1 측면(252)의 제1 지점을 바라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은 제1 측면(252)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어느 지점 예를 들어, 제1 측면(252)의 중간 높이일 수 있다.
도 46은 제4-6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F)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2 및 도 44에 도시된 전술한 렌즈 구동 장치(200C, 200D)와 달리 도 4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F)는 +z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및 상부 스프링(230, 240)에 의해 이동부(220)가 공중에 떠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를 제외하면, 도 4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F)의 구성 요소는 전술한 렌즈 구동 장치(200C, 200D) 각각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6을 참조하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착자 방향으로 제1 측면(252)의 제1 지점을 바라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은 제1 측면(252)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어느 지점 예를 들어, 제1 측면(252)의 중간 높이일 수 있다.
도 45 또는 도 4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E, 200F)에서 이동부(220)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은 도 38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8을 참조하여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E, 200F)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 구동 장치(200E, 200F)에서,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즉, 이동부(220)가 승강이나 하강 이동을 하지 않고 멈춘 상태 또는 초기 위치에서, 위치 센서(260)와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가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경우,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제1 극성의 자기장은 B3가 될 수 있다. 이동부(220)가 승강이나 하강 이동을 하지 않고 멈춘 상태 또는 초기 위치에서,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초기 자기장 값은 위치 센서(260)와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 간의 이격 거리 등 이들(260, 250)의 설계치에 따라 변경 또는 조정될 수 있다.
도 47은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E, 200F)에서 제1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른 이동부(220)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횡축은 제1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나타내고 종축은 변위를 나타낸다. 또한, 종축을 기준으로 횡축의 오른쪽은 정전류 또는 정방향 전류 또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고, 횡축의 왼쪽은 역전류 또는 역방향 전류 또는 -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부(220)가 도 45 또는 도 46에서와 같이 이동하지 않고 멈춘 상태 또는 초기 위치에서, 제1 코일로 인가되는 정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킴에 따라 이동부(220)는 +z축 방향으로 거리(z=z4)까지 승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8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B3로부터 B4까지 증가할 수 있다.
또는, 이동부(220)가 도 45 또는 도 46에서와 같이 이동하지 않고 멈춘 상태 또는 초기 위치에서, 제1 코일로 인가되는 역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1 코일로 공급되는 정전류를 감소시킬 경우, 이동부(220)는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8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B3으로부터 B5까지 감소하거나 B4로부터 B3를 향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5 또는 도 46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E, 200F)의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제1 극성을 갖는 자기장의 세기는 B5로부터 B4 사이에서 선형으로 변함을 알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이동부(2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황에서, 이동부(220)의 상측 변위폭(D3)과 하측 변위폭(D2)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측 변위폭(D3)이 하측 변위폭(D2)보다 클 수도 있다.
만일, 상측 변위폭(D3)이 하측 변위폭(D2)과 동일할 경우,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착자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전술한 제1 지점과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상측 변위폭(D3)이 하측 변위폭(D2)보다 클 경우,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 또는 초기 위치에서,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착자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전술한 제1 지점보다 높은 제2 지점을 바라볼 수 있다. 즉, 상측 변위폭(D3)이 하측 변위폭(D2)과 동일한 경우보다 상측 변위폭(D3)이 하측 변위폭(D2)보다 클 경우,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에 대한 위치 센서(260)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더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점과 제1 지점간의 차이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을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5001825-appb-M000001
여기서, H2는 제2 지점의 높이이고, H1은 제1 지점의 높이이고, ΔD는 이동부(220)의 상측 변위폭(D3)으로부터 하측 변위폭(D2)을 감산한 값이고, D는 이동부(220)의 변위폭(D2+D3)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8은 이동부(22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에 따라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또는, 출력 전압)의 세기를 위치 센서(260)와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1, 250-2)의 대향하는 모습별로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종축은 자기장(또는, 출력 전압)의 세기를 나타내고, 횡축은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부(220)의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도 48에 도시된 그래프의 경우, 위치 센서(260)와 대향하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구조는 도 37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A-1, 250A-2)에 해당한다. 그러나, 도 37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A-1, 250A-2) 대신에 도 37b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B-1, 250B-2) 또는 도 43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C-1, 250C-2) 또는 도 43b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250D-1, 250D-2)를 위치 센서(260)와 대향시켜 배치할 경우에도, 도 48에 대한 하기의 설명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며 선형적으로 변하는 세기를 갖는 자기장은 제1 극성 예를 들어 S극의 자기장(272)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며 선형적으로 변하는 세기를 갖는 자기장은 제2 극성 예를 들어 N극의 자기장(274)일 수도 있다.
만일,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선형적으로 변하는 세기를 갖는 자기장이 제1 극성이 아니라 제2 극성인 N극의 자기장(274)일 경우, 도 48을 참조하면, 렌즈를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 또는 초기 위치에서,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제2 측면(254)의 제1 지점을 바라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은 제2 측면(254)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어느 지점 예를 들어 제2 측면(254)의 중간 높이일 수 있다. 이후, 렌즈를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 가장 높이 이동시킬 때,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제2 측면(254)의 하단부 보다 낮은 지점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S극의 자기장(272)이 선형인 제1 구간(BP1)이 N극의 자기장(274)이 선형인 제2 구간(BP2)보다 더 크다. 이는, S극성을 갖는 제1 측면(252)의 제1 길이(L1)가 N극성을 갖는 제2 측면(254)의 제2 길이(L2)보다 더 길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2 길이(L2)보다 더 긴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측면(252)이 N극성을 갖고, 제1 길이(L1)보다 더 짧은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측면(254)이 S극성을 가질 경우, 도 48에 도시된 참조부호 272는 N극성의 자기장에 해당하고, 274는 S극성의 자기장에 해당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극이 변경될 경우 Y축의 극성은 반대가 될 수 있다.
도 49a 및 도 49b는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별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각 그래프에서 횡축은 자기장을 나타내고, 종축은 변위를 나타낸다.
만일, 도 48에 도시된 제2 구간(BP2)보다 더 큰 선형 구간을 갖는 제1 구간(BP1)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위치 센서(260)와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를 배치시킬 경우, 도 4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자기장의 변화가 미세할 경우에도 변위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도 48에 도시된 제1 구간(BP1)보다 더 작은 선형 구간을 갖는 제2 구간(BP2)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위치 센서(260)와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를 배치할 경우, 도 4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자기장의 변화가 미세할 경우 미세한 변위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가 도 49a의 경우보다 작다. 즉, 도 49a의 경우와 도 49b는 기울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도 4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간(BP2)보다 큰 제1 구간(BP1)의 자기장을 위치 센서(260)가 감지하도록, 위치 센서(260)와 양자 착자 마그네트(250)를 배치할 경우, 훨씬 높은 해상도로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는 선형 구간이 넓을수록 코드화된 자기장에 대한 변위의 변화를 정확히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며 선형적으로 변하는 크기를 갖는 자기장의 세기는 7비트 내지 12비트로 코드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룩 업 테이블(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동부(220)의 변위를 위치 센서(260)를 통해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룩 업 테이블에는, 자기장의 세기별 코드값들을 변위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을 참조하면, 최소 자기장(B0)부터 최대 자기장(B1)까지의 자기장의 세기는 변위(z)와 매칭되어 7비트 내지 12비트로 코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220)의 변위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 해당하는 코드값을 찾고, 제어부는 찾아진 코드값에 매칭되는 위치로 이동부(2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 내에 배치 또는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제1 회로 기판에 배치 또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렌즈 구동 장치(200A 내지 200F)에서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광축 방향과 나란한 z축 방향으로의 길이(LT)는 이동부(220)의 이동 가능한 폭 즉, 최대 변위의 1.5배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 및 도 39를 참조하면, 이동부(220)의 이동 가능한 폭인 최대 변위가 z1이므로,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길이(LT)는 1.5*z1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렌즈 구동 장치(200A 내지 200F)에서 고정부(210)에 위치 센서(260)가 결합, 접촉, 지지, 가고정, 삽입 또는 안착되고, 이동부(220)에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가 결합, 접촉, 지지, 고정, 가고정, 삽입 또는 안착될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동부(220)에 위치 센서(260)가 결합, 접촉, 지지, 가고정, 삽입 또는 안착되고, 고정부(210)에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가 결합, 접촉, 지지, 고정, 가고정, 삽입 또는 안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0은 비교 례의 렌즈 구동 장치의 이동부(220)의 이동 거리에 따른 자기장이 세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횡축은 이동 거리를 나타내고, 종축은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만일,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제1 및 제2 측면(252, 254)의 어느 한쪽에 가깝도록 위치 센서(260)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광축 방향으로의 제1 및 제2 길이(L1, L2)가 서로 동일할 경우, 이동부(220)를 이동함에 따라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변화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때, 도 50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은 상호 영역(MZ:mutual zone)을 중심으로 극성이 반대가 된다. 이때, 상호 영역(MZ)이란, 이동부(220)가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가 '0'으로 고정된 영역이다. 이러한 상호 영역(MZ)은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처리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위치 센서(260)는 상호 영역(MZ)에서 자기장의 세기를 '0'으로만 감지할 수 밖에 없어, 이 구간(MZ)에서 이동하는 이동부(220)의 이동 거리를 정확히 측정 및 제어할 수 없다.
그러나, 실시 예에 의하면,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제1 길이(L1)를 제2 길이(L2)보다 길게 형성하고, 선형적으로 변하는 세기의 제1 극성의 자기장을 위치 센서(260)가 감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전술한 비교 례에서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 구동 장치(200A 내지 200F)의 설계 마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1은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에서 이동부(220)의 이동에 따른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횡축은 이동 거리를 나타내고 종축은 자기장을 나타낸다.
만일, 전술한 비자성체 격벽(250A-1, 250C-1)의 제3 길이(L3)를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총 길이(LT)의 50% 이하로 줄일 경우,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영역(MZ)이 거의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센서(260)의 중간 높이(z=zh)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중간 높이에 일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극성의 자기장(282)의 세기 변화와 제2 극성의 자기장(284)이 세기 변화는 거의 선형적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센서(260)는 이동부(220)의 이동에 따라 선형적으로 세기가 변하는 제1 극성의 자기장(282)과 제2 극성의 자기장(284)을 모두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극성 중 하나의 극성만을 갖는 선형적으로 변하는 세기를 갖는 자기장을 위치 센서(260)가 감지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자성체 격벽(250A-1, 250C-1)의 제3 길이(L3)를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총 길이(LT)의 10% 이상으로 할 경우, 자기장의 상호 영역(MZ)과 선형 구간이 명확히 분리되어, 위치 센서(260)가 제1 및 제2 극성 중 하나의 극성을 갖고 선형적으로 변하는 세기를 갖는 자기장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 200A 내지 200F)는 다양한 분야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의 카메라 모듈(예를 들어, 제1 실시 예의 경우 참조부호 ‘1000’)에 적용 가능하다.
제2 내지 제4 실시 예의 카메라 모듈은, 전술한 제2 내지 제4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2000, 3000, 200A 내지 200F)와, 제2 내지 제4 렌즈 구동 장치(2000, 3000, 200A 내지 200F)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된 렌즈와, 하부에 이미지 센서(미도시),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제2 회로 기판(미도시)(또는, 메인 회로 기판) 및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내지 제4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10A, 110B) 또는 이동부(220)와 결합되는 렌즈 배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은 전술한 바와 같고, 제2 회로 기판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 제어부(또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변위 감지부(82, 180) 또는 위치 센서(260)에서 감지된 전류 변화값 내지 코드값에 기초하여 계산된 제1 변위값과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른 렌즈의 초점 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 모듈 제어부는 제1 변위값 또는 렌즈의 현재위치와 렌즈의 초점거리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 보빈(30, 110A, 110B) 또는 이동부(220)의 제1 코일(31, 120)에 인가되는 전류량 내지 코드값을 재조절하여, 보빈(30, 110A, 110B) 또는 이동부(220)를 제1 방향으로 제2 변위량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체인 하우징 부재(40, 140) 또는 고정부(210)에 고정 결합된 변위 감지부(82, 180) 또는 위치 센서(260)가 이동체인 보빈(30, 110A, 110B) 또는 이동부(220)에 고정 결합된 센싱 마그네트(70, 182A, 182B) 또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의 제1 방향 이동에 따라 센싱 마그네트(70, 182A, 182B) 또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250)에서 방출되는 자기장(또는, 자기력)의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전류 변화량 내지 맵핑되어 있는 코드값에 근거하여 별도의 드라이버 IC 또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에서 보빈(30, 110A, 110B) 또는 이동부(220)의 현재위치 또는 제1 변위량을 계산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변위 감지부(82, 180) 또는 위치 센서(260)를 이용하여 계산 또는 판단된 보빈(30, 110A, 110B) 또는 이동부(220)의 현재위치 또는 제1 변위량은 제1 회로 기판(80, 170A, 170B)의 카메라 모듈 제어부로 전달되어, 카메로 모듈 제어부가 오토 포커싱을 위한 보빈(30, 110A, 110B) 또는 이동부(220)의 위치를 재결정하여 제1 코일(31, 120)의 인가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코드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인가된 전류량은 자세 및 상황에 따라 다른 값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1 코일(31, 120)의 인가 전류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 제어부는 제1 회로 기판(170A)에 포함되어, 변위 감지부(180)에서 감지된 제1 변위값에 기초하여 제1 코일(120)의 인가전류량을 재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 제어부는 홀 센서(180)의 제2-1 및 제2-2 핀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제어부는 제1 회로 기판(170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 제어부는 제1 회로 기판(170A)에 실장되지 않고 별도의 다른 기판에 실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별도의 다른 기판이란,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실장되는 제2 회로 기판(미도시)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 다른 기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로 기판은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10)일 수 있다.
한편,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보이스 코일 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 200A 내지 200F)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에만 국한되지 않고,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 200A 내지 200F)에 제2 코일(미도시), 지지부재(미도시) 및 복수의 감지부(미도시)를 추가할 경우,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 200A 내지 200F)는 오토 포커싱 기능뿐만 아니라 손떨림 보정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용 마그네트(41, 130)의 바닥면이 제2 코일과 직접 마주보도록 제2 코일을 배치하고, 복수의 감지부 각각은 예를 들어 홀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감지부 각각과 제2 코일과 구동용 마그네트(41, 130)는 서로 동일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코일은 구동용 마그네트(41, 130)와 상호 작용을 통해 제2 및/또는 제3 방향으로 하우징 부재(40, 140)를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20, 190)의 상부면에는 지지 부재가 배치되어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우징 부재(40, 140)의 수평 동작을 탄력적으로(또는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 190)는 하우징 부재(40, 14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의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베이스(19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90)는 홀더 부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내지 제4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190)에는 제2 회로 기판(미도시)과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이러한 터미널 부재는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19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 200A 내지 200F)의 베이스(20, 19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어, 제1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경우 참조부호 ‘11’에 해당)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0, 19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0, 19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1000-1, 2000, 3000, 200A 내지 200F)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의 설명과 배치되지 않은 한, 그 다른 실시 예에도 준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는 전술한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충분히 설명되었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또는, 핸드폰),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될 수도 있고,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PC,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Claims (20)

  1.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코일유닛이 배치되는 보빈;
    상기 코일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동용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렌즈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부재의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내측 면에 위치감지센서가 배치된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센싱 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마그네트 장착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2개 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는 대면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6. 구동용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의 하우징 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재의 내부에서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보빈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가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부재에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변위 감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의 마주하는 양측면에는 제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가 각각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에서 상기 양측면에 직각인 일측면 또는 상기 양측면 이외의 면에는 상기 변위 감지부가 장착, 삽입, 안착, 접촉, 결합, 고정, 지지 또는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센싱 마그네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일면이 지지되는 내측면; 및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면보다 소정 깊이 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접착용 홈을 더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접착용 홈으로부터 연장된 제1 추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용 홈과 상기 제1 추가홈이 함께 형성하는 길이는 상기 보빈의 상하 두께방향으로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길이보다 긴 렌즈 구동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보빈의 하부면 및 상부면 중 하나의 면에서 상기 수용홈에 연통되는 개구; 및
    상기 접착용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보빈의 내측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된 제2 추가홈을 더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서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과 대칭된 위치에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추가 수용홈; 및
    상기 추가 수용홈 내에 수용되며, 상기 센싱 메그네트와 동일한 중량을 가지는 중량균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렌즈 구동 장치.
  14.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대면되어 상호 작용하는 제1 코일 및 구동용 마그네트;
    상기 이동부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또는 상기 위치 센서가 포함된 드라이버; 및
    상기 위치 센서 또는 상기 드라이버와 대향하여 배치된 양극 착자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착자 마그네트는
    상기 위치 센서와 마주하며 제1 극성을 갖는 제1 측면; 및
    상기 위치 센서와 마주하며 상기 광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과 이격되거나 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과 반대의 제2 극성을 갖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광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측면의 상기 광축 방향의 길이 이상인 렌즈 구동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착자 마그네트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및 제 센싱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는 비자성체 격벽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 위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제1 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착자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면 상에 위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에,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착자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의 제1 지점과 일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초기에, 상기 위치 센서의 중간 높이는 상기 착자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점보다 높은 제2 지점과 일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1 지점간의 차이는 아래와 같은 렌즈 구동 장치.
    Figure PCTKR2015001825-appb-I000002
    (여기서, H2는 상기 제2 지점의 높이이고, H1은 상기 제1 지점의 높이이고, ΔD는 상기 이동부의 상측 변위폭으로부타 하측 변위폭을 감산한 값이고, D는 상기 이동부의 변위폭을 의미한다.)
  20.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회로 기판; 및
    제1 항에 기재된 상기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CT/KR2015/001825 2014-03-05 2015-02-25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513375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55679A JP6615770B2 (ja) 2014-03-05 2015-02-25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EP20168004.8A EP3706298A1 (en) 2014-03-05 2015-02-25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15/123,906 US10295781B2 (en) 2014-03-05 2015-02-25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201910661265.9A CN110568578B (zh) 2014-03-05 2015-02-25 透镜移动单元、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智能电话
EP15758167.9A EP3115819B1 (en) 2014-03-05 2015-02-25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201910661282.2A CN110531480B (zh) 2014-03-05 2015-02-25 透镜移动单元和包含该透镜移动单元的摄像头模块
CN201580024027.7A CN106461908B (zh) 2014-03-05 2015-02-25 透镜驱动装置和包含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头模块
US16/655,943 USRE48667E1 (en) 2014-03-05 2015-02-25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16/289,466 US11353679B2 (en) 2014-03-05 2019-02-28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17/661,686 US11698509B2 (en) 2014-03-05 2022-05-02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18/322,272 US20230296858A1 (en) 2014-03-05 2023-05-23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62 2014-03-05
KR1020140026062A KR102201258B1 (ko) 2014-03-05 2014-03-05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014-0055364 2014-05-09
KR1020140055364A KR102230966B1 (ko) 2014-05-09 2014-05-09 렌즈 구동장치
KR1020140108487A KR102319554B1 (ko) 2014-08-20 2014-08-20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108487 2014-08-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123,906 A-371-Of-International US10295781B2 (en) 2014-03-05 2015-02-25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16/289,466 Continuation US11353679B2 (en) 2014-03-05 2019-02-28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3759A1 true WO2015133759A1 (ko) 2015-09-11

Family

ID=5405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1825 WO2015133759A1 (ko) 2014-03-05 2015-02-25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RE48667E1 (ko)
EP (2) EP3706298A1 (ko)
JP (4) JP6615770B2 (ko)
CN (3) CN106461908B (ko)
WO (1) WO2015133759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67908A (ja) * 2015-09-29 2017-04-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20180045239A (ko) * 2016-10-25 2018-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장치
CN108072959A (zh) * 2016-08-04 2018-05-25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组件驱动机构
US20180188527A1 (en) * 2017-01-03 2018-07-05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CN108627947A (zh) * 2018-06-26 2018-10-09 惠州大亚湾三美达光学技术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CN109073852A (zh) * 2016-04-12 2018-12-2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KR20190091719A (ko) * 2018-01-29 2019-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9530899A (ja) * 2016-09-26 2019-10-24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レンズバレ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
WO2022075680A1 (ko) * 2020-10-05 2022-04-14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WO2022092798A1 (ko) * 2020-10-27 2022-05-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거리 측정 카메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3061509T (pt) 2011-08-10 2019-09-10 New Health Sciences Inc Depleção de leucócito, oxigénio e/ou co2 integrada e dispositivo de filtro de separação de plasma
KR102117107B1 (ko) * 2013-07-12 2020-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32029B1 (ko) 2014-03-17 2021-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9791713B2 (en) 2014-07-24 2017-10-1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N204068636U (zh) * 2014-07-28 2014-12-31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电磁驱动模块及应用该电磁驱动模块的镜头装置
EP3040753B1 (en) * 2014-12-30 2024-02-21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N112363295B (zh) 2015-02-04 2022-11-2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装置模块
CA2978940C (en) 2015-03-10 2023-10-17 New Health Sciences, Inc. Oxygen reduction disposable kits,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311663B1 (ko) 2015-03-18 2021-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3086154B1 (en) * 2015-04-24 2022-08-31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EP3355113B1 (en) 2015-09-24 2020-08-1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JP6679143B2 (ja) * 2016-05-16 2020-04-1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6852432B2 (ja) * 2017-02-09 2021-03-3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電磁駆動ユニット
JP6852433B2 (ja) * 2017-02-09 2021-03-3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電磁駆動ユニット
KR102250447B1 (ko) * 2017-03-15 202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650582B (zh) * 2017-03-30 2019-02-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
KR102071925B1 (ko) * 2017-03-31 2020-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61051B1 (ko) * 2017-04-21 2022-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1886361B1 (ko) * 2017-05-26 2018-08-09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액츄에이터 이동감지 소자의 슬레이브 식별정보 설정방법
KR102402617B1 (ko) * 2017-05-26 2022-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07045175B (zh) * 2017-06-15 2023-08-08 惠州萨至德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闭环透镜驱动装置
CN107070169B (zh) * 2017-06-21 2019-07-16 新沂经济开发区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红外测距的音圈马达
KR102029953B1 (ko) * 2017-09-18 2019-10-08 (주)아이엠 카메라 모듈
KR102435025B1 (ko) * 2017-09-25 202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자기장의 방향을 갖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I663462B (zh) 2017-10-18 2019-06-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裝置、攝影模組與電子裝置
USD902981S1 (en) * 2018-01-12 2020-11-24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KR102527790B1 (ko) * 2018-01-30 2023-04-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021434B2 (ja) * 2018-02-05 2022-02-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186010B2 (ja) * 2018-04-16 2022-12-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CN209858825U (zh) * 2018-05-11 2019-12-27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US11314037B2 (en) * 2018-05-11 2022-04-26 Tdk Taiwan Corp.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US11796348B2 (en) 2018-05-11 2023-10-24 Tdk Taiwan Corp. Optical driving mechanism
CN110750024B (zh) * 2018-07-24 2021-09-07 铭异科技股份有限公司 单轴光学致动器的悬吊系统
US10670948B2 (en) * 2018-07-26 2020-06-02 Min Aik Technology Co., Ltd. Suspension system of biaxial optical actuator
EP3879327A4 (en) * 2018-11-06 2022-08-17 LG Innotek Co., Ltd. LENS DRIVER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THEM
KR102645131B1 (ko) * 2018-12-17 2024-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제어 방법
EP4130836A3 (en) * 2018-12-27 2023-05-24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US11586006B2 (en) * 2018-12-27 2023-02-21 Tdk Taiwan Corp. Reflective element driving module
US11513308B2 (en) * 2019-04-01 2022-1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N110049192B (zh) * 2019-04-22 2021-08-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检测方法及移动终端
CN114258505B (zh) * 2019-08-30 2023-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光学装置、成像装置及电子设备
TWI718900B (zh) 2019-09-19 2021-02-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模組與電子裝置
TW202129361A (zh) * 2019-10-09 2021-08-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光學元件驅動機構
TW202115476A (zh) 2019-10-09 2021-04-16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光學系統
KR20210073906A (ko) * 2019-12-11 2021-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구조체 및 카메라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393196B2 (ja) 2019-12-17 2023-12-0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7242593B2 (ja) * 2020-02-12 2023-03-20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7242592B2 (ja) * 2020-02-12 2023-03-20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7242591B2 (ja) * 2020-02-12 2023-03-20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CN113359311B (zh) * 2020-03-06 2024-01-12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光学系统、以及组装光学系统的方法
CN111405157B (zh) * 2020-03-24 2022-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102356804B1 (ko) * 2020-04-23 2022-0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1556237A (zh) * 2020-05-22 2020-08-18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以及电子设备调整方法
CN112492165B (zh) * 2020-11-30 2022-03-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成像方法和电子设备
CN112702484B (zh) * 2020-12-23 2022-0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TWI770806B (zh) * 2021-02-04 2022-07-11 台灣創意分析股份有限公司 音圈馬達的基座
CN217546538U (zh) * 2022-02-15 2022-10-04 诚瑞光学(南宁)有限公司 摄像模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743A (ja) * 1998-04-01 1999-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とこれを用いたレンズ駆動装置及びレンズ鏡筒
KR20120012086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20090379A (ko) * 2011-02-07 2012-08-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88052A (ko) * 2012-01-30 2013-08-07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렌즈구동장치
KR101343197B1 (ko) * 2012-09-07 2013-12-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2040A (en) 1935-10-14 1939-03-28 Bendix Prod Corp Brake
US2598925A (en) 1946-06-25 1952-06-03 Rca Corp Method and mean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rom a radioactive source
JPS61211846A (ja) 1985-03-18 1986-09-19 Pioneer Electronic Corp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ピツクアツプ装置
US5289318A (en) 1990-07-31 1994-02-22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for moving a lens
JPH04119306A (ja) 1990-09-10 1992-04-20 Sony Corp カメラ用レンズ鏡筒
KR100282055B1 (ko) 1993-03-30 2001-02-15 이데이 노부유끼 전자구동장치 및 전자구동장치를 이용한 포커스 제어장치
JP3387173B2 (ja) * 1993-10-27 2003-03-17 ソニー株式会社 電磁駆動装置
JPH08234677A (ja) 1994-10-06 1996-09-13 Ncr Internatl Inc 電子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TW421763B (en) * 1996-05-31 2001-02-11 Mustek Systems Inc Holographic optical scanner
JP3750251B2 (ja) 1997-02-10 2006-03-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と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
GB2323716B (en) * 1997-02-10 2001-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near actuator and optical equipment using the same
AT410382B (de) 2000-06-28 2003-04-25 Fronius Schweissmasch Prod Elektronische schaltung für ein energieversorgungsgerät, insbesondere für ein ladegerät für akkumulatoren
JP4094497B2 (ja) * 2003-06-25 2008-06-04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非接触型位置センサ
KR100522232B1 (ko) * 2003-12-24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림형 광 픽업 액츄에이터
US7053514B2 (en) 2004-02-03 2006-05-30 Sony Corporation Image apparatus and drive motor
US20070177279A1 (en) 2004-02-27 2007-08-02 Ct Electronics Co., Ltd. Mini camera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JP4923535B2 (ja) 2005-01-27 2012-04-2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ユニット
KR100674833B1 (ko) * 2005-02-16 2007-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4525430B2 (ja) * 2005-04-06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JP4455407B2 (ja) 2005-05-31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
CN101614940B (zh) * 2005-06-15 2013-01-23 宾得理光映像有限公司 台架设备和利用该台架设备的照相机图像移动校正设备
TWI302629B (en) * 2005-08-25 2008-11-01 Powergate Optical Inc A vcm auto-focusing device having position feedback and an auto-focusing method
JP2007121734A (ja) * 2005-10-28 2007-05-17 Sony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7121850A (ja) * 2005-10-31 2007-05-17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
US20070097530A1 (en) * 2005-11-03 2007-05-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ptical devices
US20070097532A1 (en) 2005-11-03 2007-05-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ptical devices
JP2007156352A (ja) * 2005-12-08 2007-06-21 Sony Corp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CN101055342A (zh) 2006-04-12 2007-10-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对焦镜头模组
JP2008058391A (ja) * 2006-08-29 2008-03-13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撮像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WO2008072892A1 (en) * 2006-12-13 2008-06-1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KR101506254B1 (ko) * 2007-04-02 2015-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 장치 및 시스템 보호 방법
CN101038361A (zh) * 2007-04-27 2007-09-19 金仁召 透镜驱动装置
KR100880672B1 (ko) 2007-07-18 2009-02-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41436B1 (ko) * 2008-04-16 2010-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WO2009133691A1 (ja) * 2008-04-30 2009-11-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WO2009133690A1 (ja) 2008-04-30 2009-11-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及び撮影用光学装置
JP2010008446A (ja) * 2008-06-24 2010-01-14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CN201233466Y (zh) * 2008-07-31 2009-05-06 宁波金诚泰电子有限公司 一种照相机透镜驱动机构用簧片
JP2010096803A (ja) * 2008-10-14 2010-04-30 Nidec Sankyo Corp 撮影用光学装置
JP5465500B2 (ja) * 2008-10-20 2014-04-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および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における振れ補正制御方法
KR101643771B1 (ko) * 2008-10-30 2016-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2010112978A (ja) * 2008-11-04 2010-05-20 Nikon Corp レンズ駆動装置、レンズ位置検出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撮像装置
JP2010160435A (ja) * 2009-01-09 2010-07-22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の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
JP5373432B2 (ja) * 2009-02-27 2013-12-1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光学装置
TWI426683B (zh) 2009-03-17 2014-02-11 Vasstek Int Corp A voice coil motor with a flat coil
KR101022859B1 (ko) * 2009-07-27 2011-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홀 오프셋이 제거된 자동초점 모듈 및 그 제어 장치
JP5846346B2 (ja) *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WO2011027685A1 (ja) * 2009-09-02 2011-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の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
JP5449988B2 (ja) * 2009-11-10 2014-03-1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079049B2 (ja) 2009-11-17 2012-11-21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US8254046B2 (en) * 2009-11-19 2012-08-28 Mcnex Co., Ltd. Camera module with autofocus function
JPWO2011105470A1 (ja) * 2010-02-26 2013-06-20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5556429B2 (ja) * 2010-06-24 2014-07-23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US8638510B2 (en) 2010-07-06 2014-01-28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coil block for voice coil mo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il block, and voice coil motor having the coil block
JP5617408B2 (ja) 2010-07-20 2014-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TWI427350B (zh) * 2010-07-27 2014-02-21 Tdk Taiwan Corp 電磁式鏡頭驅動裝置
CN102870043B (zh) 2010-07-29 2015-07-08 日本电产科宝株式会社 倾斜修正单元
KR101721263B1 (ko) 2010-09-08 2017-04-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2012068339A (ja) 2010-09-22 2012-04-05 Ps-Tokki Inc 位置検出センサ及びレンズ駆動装置
TWI491161B (zh) * 2010-12-09 2015-07-01 Hon Hai Prec Ind Co Ltd 致動器及具有該致動器之相機模組
KR101875552B1 (ko) 2011-01-03 2018-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및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 방법
US9035502B2 (en) 2011-02-07 2015-05-19 Lg Innotek Co., Ltd. Multifunctional voice coil motor
KR101197077B1 (ko) 2011-02-24 2012-11-07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JP2012177753A (ja)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US8670195B2 (en) 2011-06-09 2014-03-11 Panasonic Corporation Lens actuator
JP2013127492A (ja) 2011-06-09 2013-06-27 Panasonic Corp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2013003246A (ja) * 2011-06-14 2013-01-07 Alps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13033179A (ja) * 2011-07-29 2013-02-14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101853346B1 (ko) 2011-08-04 2018-05-02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조절장치
JP5512783B2 (ja) 2011-08-12 2014-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9151963B2 (en) 2011-08-24 2015-10-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JP5821120B2 (ja) 2011-10-07 2015-11-24 株式会社タムロン 防振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US8817116B2 (en) * 2011-10-28 2014-08-2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WO2013062309A1 (en) * 2011-10-28 2013-05-0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1931183B1 (ko) 2011-12-23 2018-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01621B1 (ko) 2011-11-30 2019-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3166415B (zh) * 2011-12-08 2017-03-01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以及包括该马达的数字光处理式投影机
CN103166417A (zh) * 2011-12-09 2013-06-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圈马达及使用该音圈马达的相机模组
KR101285412B1 (ko) 2011-12-21 2013-07-19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 장치
KR101300353B1 (ko) 2011-12-22 2013-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JP2013190705A (ja) 2012-03-15 2013-09-26 Ps-Tokki Inc 絞り羽根駆動装置
KR101991860B1 (ko) 2012-05-07 201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서 액추에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678121B (zh) * 2012-05-09 2021-08-03 Lg伊诺特有限公司 音圈电机
JP2014021397A (ja) 2012-07-20 2014-02-03 Iwatani Internatl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101314178B1 (ko) * 2012-08-06 2013-10-02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JP2014035367A (ja) 2012-08-07 2014-02-24 Iwatani Internatl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3179634U (ja) * 2012-08-30 2012-11-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102054493B1 (ko) 2012-11-07 2020-01-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79758B1 (ko) * 2012-12-14 2020-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3183101U (ja) * 2013-02-13 2013-04-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TWM457901U (zh) * 2013-03-04 2013-07-21 yan-jun Chen 一種嵌入式紅外線阻斷鏡頭
KR102148988B1 (ko) * 2013-07-12 2020-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5034912A (ja) * 2013-08-09 2015-02-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9310584B2 (en) * 2013-09-11 2016-04-12 Sunming Technologies (Hk) Limited Lens driving apparatus
TWI544723B (zh) 2013-11-29 2016-08-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電磁驅動模組及應用該電磁驅動模組之鏡頭裝置
EP2887514B1 (en) * 2013-12-23 2020-06-24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N106575025B (zh) * 2014-07-03 2020-01-3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JP6414400B2 (ja) * 2014-07-04 2018-10-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CN105807538B (zh) * 2015-01-20 2020-10-0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影机模块及光学设备
EP3457188A4 (en) * 2016-05-09 2020-01-29 LG Innotek Co., Ltd.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JP2020052238A (ja) * 2018-09-27 2020-04-02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2020154254A (ja) * 2019-03-22 2020-09-2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743A (ja) * 1998-04-01 1999-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とこれを用いたレンズ駆動装置及びレンズ鏡筒
KR20120012086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20090379A (ko) * 2011-02-07 2012-08-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88052A (ko) * 2012-01-30 2013-08-07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렌즈구동장치
KR101343197B1 (ko) * 2012-09-07 2013-12-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67908A (ja) * 2015-09-29 2017-04-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9073852B (zh) * 2016-04-12 2021-12-3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US11899275B2 (en) 2016-04-12 2024-02-1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CN109073852A (zh) * 2016-04-12 2018-12-2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US11378773B2 (en) 2016-04-12 2022-07-0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CN108072959A (zh) * 2016-08-04 2018-05-25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组件驱动机构
US11808948B2 (en) 2016-08-04 2023-11-07 Tdk Taiwan Corp.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JP2023040050A (ja) * 2016-09-26 2023-03-22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レンズバレ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
JP7200094B2 (ja) 2016-09-26 2023-01-06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レンズバレ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
JP7478220B2 (ja) 2016-09-26 2024-05-02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レンズバレ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
JP2019530899A (ja) * 2016-09-26 2019-10-24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レンズバレ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
US11789338B2 (en) 2016-09-26 2023-10-17 Lg Innotek Co., Ltd. Camera lens barre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638687B1 (ko) * 2016-10-25 2024-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장치
KR20180045239A (ko) * 2016-10-25 2018-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장치
US20180188527A1 (en) * 2017-01-03 2018-07-05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11294172B2 (en) * 2017-01-03 2022-04-05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102471186B1 (ko) * 2018-01-29 2022-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90091719A (ko) * 2018-01-29 2019-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8627947A (zh) * 2018-06-26 2018-10-09 惠州大亚湾三美达光学技术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CN108627947B (zh) * 2018-06-26 2024-01-30 惠州萨至德光电科技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WO2022075680A1 (ko) * 2020-10-05 2022-04-14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WO2022092798A1 (ko) * 2020-10-27 2022-05-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거리 측정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0803A1 (en) 2022-08-18
JP6615770B2 (ja) 2019-12-04
EP3115819A4 (en) 2017-03-01
CN110531480A (zh) 2019-12-03
CN106461908B (zh) 2019-08-16
EP3115819A1 (en) 2017-01-11
US20170017056A1 (en) 2017-01-19
EP3115819B1 (en) 2020-05-13
CN110531480B (zh) 2022-10-11
JP2023162242A (ja) 2023-11-08
EP3706298A1 (en) 2020-09-09
JP7331046B2 (ja) 2023-08-22
CN110568578B (zh) 2022-09-13
US10295781B2 (en) 2019-05-21
US20190196136A1 (en) 2019-06-27
USRE48667E1 (en) 2021-08-03
JP6910411B2 (ja) 2021-07-28
US20230296858A1 (en) 2023-09-21
US11698509B2 (en) 2023-07-11
CN110568578A (zh) 2019-12-13
US11353679B2 (en) 2022-06-07
CN106461908A (zh) 2017-02-22
JP2021167969A (ja) 2021-10-21
JP2017510841A (ja) 2017-04-13
JP2020021100A (ja)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33759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6099051A1 (ko) 렌즈 구동장치
WO2017043884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7160094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7196045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WO2017196047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007249A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6003103A1 (ko) 렌즈 구동 장치
WO2015102382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8084584A1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광학기기 및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WO2017126842A2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018727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8062809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6126061A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8216955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7155296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21015545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WO2017078393A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9004765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20076029A1 (ko) 카메라모듈
WO2018147697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9039804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22203412A1 (ko) 액추에이터 장치
WO2019177390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8186673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581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5567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123906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7581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758167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