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988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988B1
KR102148988B1 KR1020130082022A KR20130082022A KR102148988B1 KR 102148988 B1 KR102148988 B1 KR 102148988B1 KR 1020130082022 A KR1020130082022 A KR 1020130082022A KR 20130082022 A KR20130082022 A KR 20130082022A KR 102148988 B1 KR102148988 B1 KR 102148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il
magnet
disposed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699A (ko
Inventor
여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82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98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35199.XA priority patent/CN105324711B/zh
Priority to US14/904,595 priority patent/US9766476B2/en
Priority to PCT/KR2014/006235 priority patent/WO2015005711A1/ko
Priority to CN202010397221.2A priority patent/CN111562682B/zh
Priority to CN202310083873.2A priority patent/CN116027610A/zh
Priority to CN202310083684.5A priority patent/CN116047834A/zh
Publication of KR2015000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699A/ko
Priority to US15/679,795 priority patent/US10353217B2/en
Priority to KR1020200105457A priority patent/KR102295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Abstract

실시예는, 상측은 렌즈가 노출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측은 전부 개방된 개방면이 형성된 커버캔과, 상기 커버캔의 하측에 체결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며 광축에 수직한 면에서 상호 직교하는 제1 방향,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광축 방향인 광축으로 이동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보빈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1 코일 패턴부와, 상기 보빈이 수용된 하우징을 제1 방향,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제2 코일부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코일 패턴부와 제2 코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을 각각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2 코일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손떨림보정기능과 오토 포커싱기능을 고려하여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촬영 장치를 손에 들고 촬영을 할 때는 불가피하게 손떨림을 겪게 된다. 이러한 손떨림으로 인해 촬영 장치까지 떨리게 된다. 이러한 손떨림으로 인하여 촬영된 이미지는 흐릿하게 보이게 되고, 대상물의 근거리 포커싱 시에는 초점을 맞추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손떨림에 의한 진동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촬영 장치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손으로 들고 촬영할 때, 손떨림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키고자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er) 모듈이 구비된다. 이러한 OIS 모듈은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 등을 보정하는 역할을 하는 이미지 안정화 모듈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자동초점(AF: Autofocus) 조정이 가능하고, 손떨림 보정이 가능한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OIS 모듈은 통상 X, Y축으로 이동시키는 대상에 따라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시프트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렌즈 시프트 방식의 경우는 AF 모듈에 의해 Z축으로 이동하는 렌즈부를 추가적으로 X, Y축으로 흔드는 방식으로서, AF 모듈 내부에 렌즈부를 X, Y축으로 흔들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구조적 특성상 카메라 모듈의 폭이 넓어지게 되어 촬영 장치의 소형화, 박형화에 역행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AF 모듈 내부에서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흔들게 되므로 광학계의 광축이 흔들리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해 AF 기능과 OIS 기능에 대해 신속하고 우수한 신뢰성을 갖으며 소형화 및 경량화 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시예는, 상측은 렌즈가 노출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측은 전부 개방된 개방면이 형성된 커버캔과, 상기 커버캔의 하측에 체결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며 광축에 수직한 면에서 상호 직교하는 제1 방향,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광축 방향인 광축으로 이동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보빈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1 코일 패턴부와, 상기 보빈이 수용된 하우징을 제1 방향,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제2 코일부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코일 패턴부와 제2 코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을 각각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2 코일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코일 패턴부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하나의 코일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코일 패턴부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두 개의 코일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코일 패턴부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네 개의 코일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과 면접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하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하측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체결부는 상기 하측 스토퍼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방 이동과 제1 방향, 제2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빈은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수직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측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캔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측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코일 패턴부는 상기 마그넷부의 내측면과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마그넷부의 하측면과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넷부는 중앙에 광축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중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코일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솔더링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의 몸체에는 상기 제2 코일 패턴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방식으로 결합시 생성된 솔더볼을 수용하기 위한 솔더볼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코일부는 네 개의 코일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인가된 전원을 상기 제1 코일 패턴부에 전달하며, 상기 보빈의 광축 방향,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측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측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측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스프링 중 두 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측면 스프링은 상측 스프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측 스프링은 상기 제1 코일 패턴의 권선된 코일의 일단과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홀센서부를 수용하기 위한 홀센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와 광축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넷부는 90°의 각도로 일정 간격 형성된 네 개의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홀센서부는 상호 인접한 마그넷에 대해 구비되는 두 개의 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오토 포커싱을 위해 구비되는 마그넷부에 상호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액추에이터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방지기능에 대해 신속하고 우수한 신뢰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측면 스프링을 구비하여 내충격성 및 손떨림방지기능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제2 코일부와 마그넷부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호 인력에 의해 제품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보빈의 외주면에 패턴 코일을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측면 스프링의 변형 사시도.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대각선 방향 측단면도.
도 10a는 보빈의 z축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의 구동구조.
도 10b는 하우징의 x, y축 이동을 위한 액추에이터의 구동구조.
도 11a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 패턴부.
도 1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 패턴부.
도 11c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 패턴부.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실시예는 오토 포커싱(AF) 기능과 손떨림보정(OIS) 기능에 대해 신속하고 우수한 신뢰성을 갖으며, 내구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며,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z축은 광축 방향을 의미하며, x축은 상기 z축 방향과 직교된 제1 방향, y축은 상기 z축과 x축에 각각 직교된 제2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크게 커버캔(100), 베이스(200), 보빈(300), 하우징(400), 액추에이터(500), 인쇄회로기판(600) 및 탄성유닛(70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캔(100)의 상측은 렌즈가 노출되기 위한 중공부(110)가 형성되고, 하측은 전부 개방된 개방면(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개방면을 밀폐하며 상기 커버캔(100)의 하측에 체결된다. 이러한 커버캔(100)과 베이스(200)의 체결 방법은 후술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위치하여 x, y축으로 이동되며, 상기 보빈(300)은 상기 하우징(400)에 수용되어 광축 방향인 z축으로 이동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렌즈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400) 및/또는 보빈(30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500)는 하우징(4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마그넷부((510)와, 상기 보빈(30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보빈(300)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1 코일 패턴부(520)와, 상기 보빈(300)이 수용된 하우징(400)을 x,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제2 코일부(5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은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와 제2 코일부(530)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을 각각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2 코일부(530)와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유닛(700)은 상기 하우징(4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측 스프링(710)과, 상기 하우징(4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측 스프링(720)과, 상기 하우징(40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측면 스프링(730)을 포함하여 보빈(300) 또는 하우징(400)에 복귀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에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요소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캔(100)은 상측에 렌즈가 노출되기 위한 중공부(110)가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면(미도시)을 갖는다.
이러한 커버캔(100)은 후술할 베이스(200)의 체결부(220)와 내측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나, 더욱 견고한 체결을 위해 상기 커버캔(100) 측면 하단부에는 후술할 베이스(200)의 체결돌기(221)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캔(100)은 육면체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커버캔(100)의 개방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200)는 상기 커버캔(100)의 하측에 체결되어 이하 설명할 상기 커버캔(100)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을 밑에서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210)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210a)와, 상기 베이스 몸체(210)의 상측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면접하는 체결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캔(100)과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상기 베이스 몸체(210) 또는 상기 체결부(220)의 측면에는 상기 커버캔(100)에 형성된 체결홀(120)에 대응되는 체결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커버캔(100)에 측면 내측으로 체결돌기(22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00)에 체결홀(120)이 형성될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210)의 각 변에는 후술할 측면 스프링(730)의 제2 체결부(732)가 삽입되는 슬릿 형상의 측면 스프링 삽입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210)의 상면에는 후술할 제2 코일부(530)와 인쇄회로기판(600)이 솔더링 방식으로 결합시 생성되는 솔더볼(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솔더볼 수용홈(213)과, 후술할 홀센서부를 수용하기 위한 홀센서 수용홈(212)이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의 전반적인 부피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솔더볼 수용홈(213)은 일정 간격으로 상기 베이스 몸체(2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센서 수용홈(212)은 후술할 마그넷부와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된다(도 9 참조).
상기 체결부(220)의 자유단에는 후술할 하우징(400)의 하측 스토퍼(420)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하우징(400)의 하측 이동과 x, y축 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리세스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부(222)는 상기 체결부(220)의 자유단에 반원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밑면은 후술할 하우징(400)의 하측 스토퍼(420)와 함께 하방 이동을 제한하고, 측면은 하우징의 회전(x, y축) 운동을 제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보빈(3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빈(300)은 후술할 하우징(400)에 수용되며,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배럴은 하나 이상의 렌즈(미도시)를 고정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보빈(300)의 내측에 나사산(301)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으나, 무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보빈(300)은 후술할 액추에이터(500)에 의해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한편, 상기 보빈(300)은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310)는 후술할 하우징(400)의 안착부(410)에 안착되며, 이러한 구조는 상기 보빈(30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보빈(30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제1 코일 패턴부(5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고정리브(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리브(320)는 보빈(300)의 외주면 중 상기 플랜지부(3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300)의 상측면에는 후술할 상측 스프링(710)의 제2 지지부(712)에 형성된 상면 체결홀(712a)에 대응되는 상면 체결돌기(33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캔(10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예비 스토퍼(34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40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베이스(200)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보빈(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베이스(200) 상에 부상하여 위치한다(도 9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베이스(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200) 및 하우징(400)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400)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측면 스프링(730)의 제1 체결부(731)를 체결하기 위한 측면 체결돌기(433)가 각각의 측면마다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후술할 측면 스프링(730)의 제1 체결부(731)에는 상기 측면 체결돌기(433)에 대응되는 제1 체결홀(731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의 상측면에는 후술할 상측 스프링(710)을 체결하기 위한 상측 체결돌기(431)가 각각의 상면마다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스프링(710)의 제1 지지부(711)에는 상기 상측 체결돌기(431)에 대응되는 상면 체결홀(71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에는 상측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캔(100)의 상측 내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측 스토퍼(430)를 포함하며, 하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00)의 리세스부(222)에 부상한 상태로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하측 스토퍼(420)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스토퍼(430) 및 하측 스토퍼(420)는 z축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할 마그넷부(510)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마그넷부(510)의 자중에 의한 굽힘 응력으로부터 하우징(4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에는 측면의 내측으로 안착부(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410)에 상기 보빈(300)의 플랜지부(310)가 안착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보빈(30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안착부(410)는 림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400)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500)는 마그넷부(510)에 두 개의 코일부(520, 530)가 작용하여 손떨림기능과 오토포커싱 기능을 구현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500)는 하우징(4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마그넷부((510)와, 상기 보빈(30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보빈(300)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1 코일 패턴부(520)와, 상기 보빈(300)이 수용된 하우징(400)을 x,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제2 코일부(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는 상기 마그넷부(510)의 내측면과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코일부(530)는 상기 마그넷부(510)의 하측면과 대향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는 상기 보빈(30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할 인쇄회로기판(60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는 권선된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로써 전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마그넷부(510)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상기 보빈(300)을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에서 상, 하 이동시킨다. 이러한 보빈(300)의 상, 하 운동은 상측 스프링(710)과 하측 스프링(720)으로써 제한된다.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에 인가되는 전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600), 상기 인쇄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대향되는 측면 스프링(730),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측면 스프링(7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측 스프링(710)을 순차적으로 지나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전기적 결합관계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2 코일부(530)는 상기 하우징(400)을 x, y 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코일부(53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0) 상에 실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마그넷부(510)의 마그넷의 갯수대로 인쇄회로기판(6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마그넷부(510)가 90°의 각도로 네 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 코일부(530) 또한 90°의 각도로 네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네 개의 제2 코일부(530)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600)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코일부(530)는 상기 하우징(400)을 x, y 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마그넷부(510)와 z축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해야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을 통하여 인가된 전류는 상기 제2 코일부의 권선된 코일에 흘러 전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마그넷부(510)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하우징(400)을 x, y축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구체적으로,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제2 코일부(530)는 패턴 코일(patterned coil)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코일부(530)의 하측면은 인쇄회로기판(600)의 측면에서 솔더링되어 인쇄회로기판(600)에 실장되며, 상기 솔더링시 형성되는 솔더볼은 카메라 모듈의 z축 방향의 높이를 형성하게 하므로, 본 발명의 베이스(200)에는 이러한 솔더볼을 수용하기 위한 솔더링 수용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상관관계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0a는 보빈(300)의 z축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의 구동구조이며, 도 10b는 하우징(400)의 x, y축 이동을 위한 액추에이터의 구동구조이다.
도 6,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는 환형부(521)와 상기 환형부(521)의 중앙에 형성된 슬릿부(522)가 형성된다. 상기 환형부(521)의 상측면에는 인쇄회로기판(6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입, 출력을 위해 일단(520a)과 타단(520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환형부(521)는 인가된 전류가 일정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환형의 패턴 코일이며, 슬릿부(522)는 상기 환형부(521)의 기판을 형성하거나,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는 부분이다. 기판은 보빈(300)의 외주면에 감길 수 있도록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PCB)으로 형성된다.
이하, 보빈(300)이 z축을 기준으로 상, 하 이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마그넷부(510)의 상측은 좌측(바깥측)에서 S극, 우측(내측)에서 N극을 띄게 되며, 하측은 극성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코일 패턴부의 상측에서 입력(O)된 전류가 흘려 하측으로 유동하여 출력(X)되면, 보빈(300)은 상기 마그넷부(510)의 자기장과 제1 코일 패턴부(520)의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인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보빈(300)의 하측 이동은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에 전류를 역방향으로 인가하면 구현되며, 상기 마그넷부(510)의 극성은 역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하우징(400)이 x, y축을 기준으로 좌, 우 이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마그넷부(510)의 상측은 좌측(바깥측)에서 S극, 우측(내측)에서 N극을 띄게 되며, 하측은 극성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코일부(530)의 좌측에서 입력(O)된 전류가 흘려 우측으로 유동하여 출력(X)되면, 하우징(400)은 상기 마그넷부(510)의 자기장과 제2 코일부(530)의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인해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우징(400)의 좌측 이동은 상기 제2 코일부(530)에 전류를 역방향으로 인가하면 구현되며, 상기 마그넷부(510)의 극성은 역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와 제2 코일부(530)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마그넷부(510)는 중앙에 z축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중립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의 정도는 전류, 자속 밀도 및 코일과 마그넷 간격에 반비례하므로, 인쇄회로기판(600)에 의한 전류 조절로써 카메라 모듈의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코일 패턴부(520)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a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 패턴부이며, 도 1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 패턴부이며, 도 11c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 패턴부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코일 패턴부(520)는 보빈(300)의 외주면에 감싸져야 하므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상에 패턴 코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 11a 내지 도 11c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환형부가 1개, 2개 또는 4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다른 다양한 갯수로써 형성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환형부로 형성되는 제1 코일 패턴부(520)는 각각의 환형부 사이의 공간(S)을 제거 가능하므로, 카메라 모듈 내부의 구성요소를 더욱 집약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유닛(700)은 상측 스프링(710), 하측 스프링(820) 및 측면 스프링(730)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스프링(710), 하측 스프링(820) 및 측면 스프링(730)은 하우징(400)의 각각의 면에 배치되며,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생산의 효율성을 위하여 단일의 판재가 절곡 및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스프링(710)은 상기 하우징(400)의 상면 및 보빈(300)의 상면에 체결되어 보빈(300)을 지지하며, 상기 보빈(300)의 상방 이동시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40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 스프링(71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유입되는 전원입력부재(710a)와, 인가된 전원이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에 통전되어 유출되는 전원출력부재(710b)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입력부재(710a)와 전원출력부재(710b)는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판스프링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원의 입출력을 위해 별도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스프링(710)의 전원입력부재(710a)와 전원출력부재(710b) 각각은, 상기 하우징(400)에 체결되는 제1 지지부(711)와, 상기 보빈(300)에 체결되는 제2 지지부(712)와, 상기 제1 지지부(711)와 제2 지지부(7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적어도 하나의 벤딩부가 형성된 상측 탄성부(713)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측 탄성부(713)는 상기 제1 지지부(711)와 제2 지지부(712) 사이에 형성된 두 개의 벤딩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400)의 상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면 체결돌기(43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711)에는 상기 상면 체결돌기(431)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면 체결홀(71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711)에는 후술할 두 개의 측면 스프링(7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돌기부(711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빈(300)의 상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면 체결돌기(33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부(712)에는 상기 상면 체결돌기(330)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면 체결홀(7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스프링(710)의 전원입력부재(710a)와 전원출력부재(710b) 각각의 제2 지지부(712)에는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에 권선된 코일의 일단(520a)과 타단(52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돌기부(712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돌기부(711b)와 측면 스프링(730), 상기 제2 돌기부(712b)와 코일의 일단(520a)과 타단(520b)은 솔더링으로써 전기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 스프링(720)은 상기 보빈(30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40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인쇄회로기판(600)의 전원이 입, 출력되지 아니하므로, 단일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측 스프링(720) 또한, 상기 보빈(300)의 하측면에 형성된 돌기(미도시)에 체결되는 하면 체결홀(720a, 720b)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스프링(730)은 상기 x, y축의 진동 감쇄를 위해 상기 하우징(400)의 측면에 일측이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에 타측이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측면 스프링(730)은 90°의 각도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는 네 개의 측면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스프링(730)은 각각 상기 하우징(400)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731)와,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732)와, 상기 제1 체결부(731)와 제2 체결부(732)에 수직하게 형성된 탄성부(73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733)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733)는 하나의 측면 스프링(730)에 상호 대향되는 형상으로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스프링(730)의 제1 체결부(731)에는 상기 하우징(400)에 형성된 측면 체결돌기(433)에 대응되는 제1 체결홀(731a)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체결부(732)는 상기 제1 체결부(731)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200)에 체결되거나, 전술한 것과 같이 베이스(200)에 상기 제2 체결부(732)의 폭과 동일한 슬릿 형상의 측면 스프링 삽입홈(211)을 형성하여 상기 제2 체결부(732)를 슬라이드 결합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측면 스프링(73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400)과 베이스(200) 측면에 구비되며, 효율적인 진동 감쇄를 위해 상기 하우징(400)의 네 개의 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스프링(730) 중 두 개의 측면 스프링(730a, 730b)의 제2 체결부(732)는 각각 인쇄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측면 스프링(730a, 730b)의 제1 체결부(731)는 각각 상측 스프링(7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측 스프링(710)은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의 권선된 코일의 일단(520a)과 타단(52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전원 공급선등이 불요하여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은 상기 두 개의 측면 스프링(730a, 730b)의 제2 체결부(732)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형성된 두 개의 솔더링 포인트(610a, 610b, 도 2 참조)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2 체결부(73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의 솔더링 포인트(610a, 610b)에 솔더링되기 위한 솔더링부(732a)가 각각 형성된다.
도 8은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측면 스프링의 변형 사시도이다.
도 8을 기준으로 볼 때, 측면 스프링(730)은 좌측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여기서, 양 측의 측면 스프링(730a)은 fx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고, 앞, 뒤의 측면 스프링(730b)은 fy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모든 측면 스프링(730)의 각각의 탄성부(733)의 일단과 타단은 수평하게 형성된 상기 제1 체결부(731) 및 제2 체결부(732)에 대해 수직선상에 위치하기만 하면 되고,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733)인 벤딩부가 형성되면 되나,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식>
Kx = 0.5~2.0Ky
Kz = 5~100Kx
여기서, K는 스프링 상수를 나타낸다.
요컨대, x축 방향의 스프링 상수와 y축 방향의 스프링 상수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z축 방향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x축 또는 y축 방향의 스프링 상수에 비해 5배 내지 100배의 스프링 상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식을 만족하면 바람직한 이유는, f=Kx의 공식에서 비롯된다. 여기서 f는 마그넷, 코일의 힘이고, x는 이동거리이다. 즉, K값이 작아야 f 값에 의해 보빈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K 값인 스프링 상수는 x, y, z, 방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x, y 축 이동에 대한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한 측면 스프링(730)에 z축 이동을 고려한 이유는, 렌즈가 수용된 보빈(300) 자체의 무게를 고려하기 위함이며, 또한, 카메라 촬영 방향이 지면 또는 하늘을 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은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체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5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00) 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600)에는 렌즈를 통해 유입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각종 소자(미도시)들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은 상기 제1 코일 패턴부(52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측면 스프링(730)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두 군데에 솔더링 포인트(610a, 610b)를 두고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솔더링 포인트(610a, 610b)는 상기 측면 스프링(730)의 제2 체결부(732)에 형성된 솔더링부(732a)와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실시예는 상기 두 개의 코일부(520, 530), 즉,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 보빈(300)을 이동시키는 제1 코일 패턴부(520)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보빈(300)이 수용된 하우징(400)을 이동시키는 제2 코일부(530)를 개별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우수하면서 신속한 오토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방지기능을 구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 및 결합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대각선 방향 측단면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A-A 방향의 절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400) 및 베이스(200)는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하우징(400) 및 베이스(200) 또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00) 내에 위치하는 원형의 보빈(300)을 고려할 때, 상기 액추에이터(500)의 마그넷부(510)는 상기 하우징(400)의 빈 공간인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상기 커버캔(10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그넷부(510)는 상기 하우징(400)의 내측면에 90°의 각도로 일정 간격 구비된 네 개의 마그넷(511, 512, 513, 5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에 구비되며 상기 마그넷부(51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부(900)는 인가되는 전압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및 위상을 센싱하며, 인쇄회로기판(600)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액추에이터(500)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홀센서부(900)는 상기 마그넷부(510)와 일직선상에 구비되며, x축 및 y축의 변위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홀센서부(9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의 모서리 중 인접한 두 개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하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의 홀센서 수용홈(212)에 실장된다.
이러한 홀센서부(900)는 마그넷부(510) 보다 제2 코일부(530)에 인접하게 구비되나, 마그넷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코일에서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보다 몇 백배 큰 것을 감안하면, 마그넷부(510)의 이동 감지에 있어 제2 코일부(530)의 영향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커버캔 110: 중공부
120: 체결홀 200: 베이스
210: 베이스 몸체 210a: 개구부
211: 측면 스프링 삽입홈 212: 홀센서 수용홈
213: 솔더링 수용홈 220: 체결부
221: 체결돌기 222: 리세스부
300: 보빈 301: 나사산
310: 플랜지부 320: 고정리브
330: 상면 체결돌기 340: 예비 스토퍼
400: 하우징 410: 안착부
420: 하측 스토퍼 430: 상측 스토퍼
431: 상면 체결돌기 433: 측면 체결돌기
500: 액추에이터 510: 마그넷부
520: 제1 코일 패턴부 530: 제2 코일부
600: 인쇄회로기판 700: 탄성유닛
710: 상측 스프링 710a: 전원입력부재
710b: 전원출력부재 711: 제1 지지부
711a: 상면 체결홀 711b: 제1 돌기부
712: 제2 지지부 712a: 상면 체결홀
712b: 제2 돌기부 720: 하측 스프링
730: 측면 스프링 731: 제1 체결부
731a: 제1 체결홀 732: 제2 체결부
732a: 솔더링부 733: 탄성부
900: 홀센서부

Claims (1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코일;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의 상기 제1면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기판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제2기판에 형성되는 제1코일 패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코일 패턴부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2부분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2부분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2연결부와 이격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1코일 패턴부의 상기 제1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코일 패턴부의 상기 제2부분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마그네트의 상기 제2부분의 극성과 다른 극성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은 렌즈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마그네트의 상기 제2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중립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패턴부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코일 패턴부의 상기 제2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제1코일 패턴부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기 중립부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한 렌즈 구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의 상기 제1면과 접촉되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측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측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상기 홈은 상기 체결부의 상기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1면과, 상기 체결부의 상기 홈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체결부의 상기 상면을 연결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측 스토퍼는 상기 체결부의 상기 홈의 상기 제1면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측 스토퍼는 상기 체결부의 상기 홈의 상기 제2면과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측판과 제2측판과, 상기 제1 및 제2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코너부에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의 상기 제1면은 상기 마그네트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제1기판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솔더링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스프링의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솔더링 포인트와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 구동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측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측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제1코일로부터 돌출되는 일단과, 상기 제1코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일단과 이격되는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스프링은 복수의 측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스프링 중 2개의 측면 스프링은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측면 스프링은 상기 상측 스프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측 스프링은 상기 제1코일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 구동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의 내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2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의 하면과 대향하는 렌즈 구동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은 플렌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하나의 코일 패턴 및 두개의 코일 패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기판과 솔더링에 의해 통전되는 렌즈 구동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홀센서가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홈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렌즈 구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서로 이격되는 4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는 상호 인접한 마그네트에 대해 구비되는 2개의 홀센서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은 4개의 코일 패턴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18. 이미지 센서;
    제1항의 렌즈 구동 장치; 및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상기 보빈 내에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KR1020130082022A 2013-07-12 2013-07-12 카메라 모듈 KR102148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022A KR102148988B1 (ko) 2013-07-12 2013-07-12 카메라 모듈
US14/904,595 US9766476B2 (en) 2013-07-12 2014-07-11 Camera module
PCT/KR2014/006235 WO2015005711A1 (ko) 2013-07-12 2014-07-11 카메라 모듈
CN202010397221.2A CN111562682B (zh) 2013-07-12 2014-07-11 相机模块
CN201480035199.XA CN105324711B (zh) 2013-07-12 2014-07-11 相机模块
CN202310083873.2A CN116027610A (zh) 2013-07-12 2014-07-11 透镜驱动马达、相机模块和摄像装置
CN202310083684.5A CN116047834A (zh) 2013-07-12 2014-07-11 透镜驱动马达、相机模块和摄像装置
US15/679,795 US10353217B2 (en) 2013-07-12 2017-08-17 Camera module
KR1020200105457A KR102295713B1 (ko) 2013-07-12 2020-08-21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022A KR102148988B1 (ko) 2013-07-12 2013-07-12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457A Division KR102295713B1 (ko) 2013-07-12 2020-08-21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스마트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699A KR20150007699A (ko) 2015-01-21
KR102148988B1 true KR102148988B1 (ko) 2020-08-27

Family

ID=5228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022A KR102148988B1 (ko) 2013-07-12 2013-07-1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766476B2 (ko)
KR (1) KR102148988B1 (ko)
CN (4) CN116047834A (ko)
WO (1) WO2015005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1256A (zh) * 2013-05-29 2022-09-16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照相机模块和移动电话
KR102117107B1 (ko) * 2013-07-12 2020-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48988B1 (ko) * 2013-07-12 2020-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0531480B (zh) 2014-03-05 2022-10-1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单元和包含该透镜移动单元的摄像头模块
KR102296767B1 (ko) 2014-05-09 2021-09-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US9360653B2 (en) * 2014-05-09 2016-06-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102262676B1 (ko) * 2014-09-23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US10830985B2 (en) * 2014-12-19 2020-11-1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EP3913416A1 (en) * 2015-01-16 2021-11-2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N112114467B (zh) * 2015-01-20 2022-06-1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影机模块及光学设备
CN105988181B (zh) 2015-03-19 2021-07-23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光学设备
JP6500540B2 (ja) * 2015-03-24 2019-04-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US10520700B2 (en) 2015-04-29 2019-12-31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59545B1 (ko) * 2015-08-06 2023-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KR20160016732A (ko) * 2015-12-22 2016-02-15 유니크 (주) 손떨림 보정용 ois 액츄에이터
JP2017161609A (ja) * 2016-03-07 2017-09-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513408B1 (ko) * 2016-03-17 2023-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EP3958054A1 (en) * 2016-03-17 2022-02-2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102348365B1 (ko) * 2016-05-03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415316A (zh) * 2016-05-10 2022-04-2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设备、摄像机模块和便携式设备
US9958756B2 (en) * 2016-05-20 2018-05-01 Tdk Taiwan Corp. Camera module and image capturing unit thereof
US10578886B1 (en) * 2016-05-31 2020-03-03 Apple Inc. Lens position adjustment using compresse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oils having bi-concave shape
KR102575584B1 (ko) * 2016-07-21 2023-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8015762A1 (en) * 2016-07-22 2018-01-25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Pwm shielding in a camera
CN106772902B (zh) * 2017-01-10 2023-03-31 惠州萨至德光电科技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CN108319093B (zh) * 2017-01-18 2021-08-06 三美电机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以及摄像机搭载装置
DE102017000889A1 (de) * 2017-01-27 2018-08-02 Christian Overmann Modulares optisches Aufnahmesystem
JP6947969B2 (ja) * 2017-06-19 2021-10-1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US11561363B2 (en) 2017-08-01 2023-01-2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435025B1 (ko) 2017-09-25 202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자기장의 방향을 갖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045579A (ko) * 2017-10-24 2019-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102139765B1 (ko) * 2017-11-24 2020-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USD902980S1 (en) * 2018-01-12 2020-11-24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USD908775S1 (en) * 2018-01-12 2021-01-26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JP6999435B2 (ja) * 2018-01-29 2022-01-1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US11953703B2 (en) 2018-02-23 2024-04-09 Lg Innotek Co., Ltd.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8681030B (zh) * 2018-05-15 2024-02-02 惠州萨至德光电科技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其底座
KR102575585B1 (ko) * 2018-09-20 2023-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JP7321686B2 (ja) * 2018-09-04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カメラシステム
KR102575586B1 (ko) * 2018-09-21 2023-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616778B1 (ko) * 2018-11-09 2023-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츄에이터
CN113170041B (zh) * 2018-11-26 2023-08-0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机模块和光学设备
US11693208B2 (en) * 2019-02-01 2023-07-04 Tdk Taiwan Corp. Optical sensing system
CN111817529A (zh) * 2019-04-11 2020-10-23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复合镜座的制作方法、音圈马达及电子产品
KR102357533B1 (ko) * 2019-04-30 2022-02-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902643B2 (en) 2019-06-04 2024-02-1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102334157B1 (ko) * 2019-07-17 2021-12-03 자화전자(주)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CN111123490B (zh) * 2019-12-30 2022-08-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变焦镜头、成像模组和电子设备
KR102302461B1 (ko) * 2020-06-11 2021-09-16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2637455B (zh) * 2020-12-08 2022-07-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马达、摄像头和电子装置
GB2603121A (en) 2021-01-21 2022-08-03 Thermoteknix Systems Ltd Camera with flexure focus mechanism
KR20230014459A (ko) * 2021-07-21 202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6427A1 (en) * 2011-07-15 2013-01-17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capable of avoiding deleterious effect on hall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075B1 (ko) * 1998-11-05 2001-03-02 이계철 수동정렬법을 이용한 광소자-플라나 광파회로-광섬유의 광축 정렬방법
JP2007155886A (ja) * 2005-12-01 2007-06-21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KR100952488B1 (ko) * 2008-06-11 2010-04-13 (주)아이엠 카메라모듈용 자동초점 액추에이터
CN101860165B (zh) * 2009-04-07 2012-11-21 吉佳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平面线圈的音圈马达
WO2010134706A2 (ko) * 2009-05-18 2010-11-25 (주)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모듈
JP5846346B2 (ja) *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WO2011062123A1 (ja) * 2009-11-18 2011-05-2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1118259A (ja) * 2009-12-07 2011-06-16 Canon Inc 鏡筒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TW201134062A (en) 2010-03-26 2011-10-01 Hon Hai Prec Ind Co Ltd Voice coil motor actuator and camera module
JP5063739B2 (ja) * 2010-05-21 2012-10-3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101184864B1 (ko) 2010-11-01 2012-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듈
JP2012113186A (ja) * 2010-11-26 2012-06-14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208599B1 (ko) 2010-12-03 2012-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214708B1 (ko) * 2010-12-14 2012-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2570762B (zh) * 2010-12-29 2015-09-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圈马达
US9151963B2 (en) * 2011-08-24 2015-10-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KR101892298B1 (ko) * 2011-10-24 2018-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US8817116B2 (en) * 2011-10-28 2014-08-2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2047378B1 (ko) * 2012-11-30 2019-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079758B1 (ko) * 2012-12-14 2020-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498356B1 (ko) * 2013-03-14 2015-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액츄에이터
CN115061256A (zh) * 2013-05-29 2022-09-16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照相机模块和移动电话
KR102148988B1 (ko) * 2013-07-12 2020-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1399247B (zh) * 2014-07-03 2022-06-03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US9977219B2 (en) * 2014-07-11 2018-05-22 Lg Innotek Co., Ltd. Unit for actuating lens,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6427A1 (en) * 2011-07-15 2013-01-17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capable of avoiding deleterious effect on hall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699A (ko) 2015-01-21
US10353217B2 (en) 2019-07-16
CN116027610A (zh) 2023-04-28
WO2015005711A1 (ko) 2015-01-15
CN116047834A (zh) 2023-05-02
CN111562682A (zh) 2020-08-21
CN111562682B (zh) 2023-04-07
CN105324711A (zh) 2016-02-10
US20170343832A1 (en) 2017-11-30
US9766476B2 (en) 2017-09-19
US20160154249A1 (en) 2016-06-02
CN105324711B (zh)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988B1 (ko) 카메라 모듈
KR102144490B1 (ko) 카메라 모듈
KR102128937B1 (ko) 카메라 모듈
KR102128839B1 (ko) 카메라 모듈
JP6080321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2421070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159746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555904B1 (ko) 카메라 모듈
KR20160121298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64907B1 (ko) 카메라 모듈
KR20150142196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596542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111657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521104B1 (ko) 카메라 모듈
KR10229571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스마트폰
KR102305046B1 (ko) 카메라 모듈
KR102217569B1 (ko) 카메라 모듈
KR20160095803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