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6741A - 처리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처리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6741A
KR970066741A KR1019970009774A KR19970009774A KR970066741A KR 970066741 A KR970066741 A KR 970066741A KR 1019970009774 A KR1019970009774 A KR 1019970009774A KR 19970009774 A KR19970009774 A KR 19970009774A KR 970066741 A KR970066741 A KR 970066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recess
main assembly
protru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시 와따나베
요시히로 이또
도시하루 가와이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0641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52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752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5048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7006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7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1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without axial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감광 드럼상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 수단과, 토너 화상을 기록재 상으로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토너 화상을 기록재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모터와,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와,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리세스와,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은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기어로부터 리세스와 돌출부를 통하여 감광 드럼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돌출부의 자유단과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감광 드럼의 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돌출부와 리세스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리세스와 돌출부를 서로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처리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 카트리지의 단면도.

Claims (163)

  1.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 수단과,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재 상으로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재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리세스와,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 부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구멍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회전 축으로부터 돌출된 제1칼럼의 한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축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축의 한 단부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감광 드럼의 기어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 기어가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와 드럼 기어가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구멍과 상기 돌출부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 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며, 삼각형 형상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그리고 상기 대전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중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리세스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그리고 상기 리세스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트위스트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다각형인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4. 모터, 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 및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면 횡단면이 다각형인 리세스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트위스트된 다각형 프리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축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축의 한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축은 카트리지 프레임의 감광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구멍은 트위스트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7.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8.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 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9.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며, 삼각형 형상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한 주 조립체의 부분에 의해서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22. 제14항에 있어서, 리세스가 트위스트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다각형인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23. 처리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리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구멍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 및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처리 카트리지 장착 수단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멍과 상기 돌출부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과, 기록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와 드럼 기어는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8. 제23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리세스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리세스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트위스트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다각형인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3.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 수단과, 상기 토너 화상을 기록재 상으로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재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트위스트 리세스와,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 부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트위스트된 프리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결합시키게 하기 위하여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회전 축으로부터 돌출된 제1칼럼의 한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축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축의 한 단부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감광 드럼의 드럼 기어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 기어가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와 드럼 기어가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7. 제33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8.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 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9.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0. 제33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1. 제33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2. 제33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며, 삼각형 형상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그리고 상기 대전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중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리세스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그리고 상기 리세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5. 모터, 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 및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면 횡단면이 다각형인 트위스트 리세스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트위스트된 다각형 프리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으로부터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된 축의 단부로 부터 돌출되고, 상기 축이 상기 감광 드럼을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48. 제45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구멍과 상기 돌출부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49. 제45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 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50. 제45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며, 삼각형 형상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한 주 조립체의 부분에 의해서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53. 처리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트위스트 리세스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 및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리세소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처리 카트리지 장착 수단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과, 기록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5. 제53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와 드럼 기어는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8. 제53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9.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60.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61.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구멍을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구멍을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62. 모터, 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헬리컬 기어, 및 상기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면 횡단면이 다각형인 트위스트 리세스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되고 또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기 위하여 드럼의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감광 드럼을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안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트위스트된 프리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 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구멍과 상기 돌출부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65. 제62항 또는 제63항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66.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67. 제62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68. 제62항에 있어서, 대전 롤러와 소제 블레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69. 처리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리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삼각형인 트위스트 리세스와, 카트리지 프레임,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 및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되고, 또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기 위하여 드럼의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감광 드럼을 카트리지 프레임 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트위스트된 프리즘 돌출부를 포함하는 처리 카트리지 장착 수단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구멍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과, 기록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0.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상 형성 장치.
  71. 제69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2.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3. 제69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4.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5.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6.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리세스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리세스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7. 모터, 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헬리컬 기어, 및 상기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면 횡단면이 다각형인 트위스트 리세스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소제 블레이드와,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트위스트 삼각형 프리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고, 또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기 위하여 드럼의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감광 드럼을 카트리지 프레임 안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 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79.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80.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81. 제77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82. 처리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리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원형 컬럼의 한 단부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삼각형인 트위스트 라세스와, 카트리지 프레임,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 및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노터를 제거하기 위한 소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처리 카트리지 장착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트위스트 삼각형 프리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고, 또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기 위하여 드럼의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감광 드럼을 카트리지 프레임 안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며,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 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리세스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세스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기록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도 포함하며, 상기 감광 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는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4.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 수단과, 상기 토너 화상을 기록재 상으로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재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돌출부와,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은 상기 돌출부와 구멍과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 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리세스를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와 리세스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추부가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회전 축으로부터 돌출된 제1칼럼의 한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축을부터 종방항으로 외향 돌출된 축의 한 단부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6.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감광 드럼의 드럼 기어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 기어가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와 드럼 기어가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8. 제84항 또는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9.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0.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 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1. 제84항 또는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2.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3. 제84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며, 삼각형 형상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4.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그리고 상기 대전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처리 카르리지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구멍을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6. 모터, 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 및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돌출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리세스가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축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축의 한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감광 드럼을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구멍과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99. 제96항 또는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돌출부와 리세스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00. 제96항 또는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 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01. 제96항 또는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며, 삼각형 형상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02. 제96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한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03.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04. 처리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리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트위스트 돌출부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 및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감광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리세스는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처리 카트리지 장착 수단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구멍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과, 기록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리세스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6.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7.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8. 제2107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와 드럼 기어는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9. 제105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0.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1.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2.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구멍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3.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 수단과, 상기 토너 화상을 기록재 상으로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재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트위스트 돌출부와멍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와 리세스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 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리세스가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트위스트된 다각형 구멍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4.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회전 축으로부터 돌출된 제1칼럼의 한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축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축의 한 단부로부터 돌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5. 제113항 또는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감광 드럼의 기어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 기어가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6.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와 드럼 기어가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7. 제113항 또는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8. 제113항 또는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 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9. 제113항 또는 제114항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0. 제113항 또는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1. 제113항 또는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2. 제113항 또는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며, 삼각형 형상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3.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그리고 상기 대전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중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4.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구멍을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125. 모터, 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 및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트위스트 돌출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리세스가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26.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축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축의 한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축이 상기 감광 드럼을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27.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와 마련되고, 상기 구멍과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28. 제125항 또는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29. 제125항 또는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 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30. 제125항 또는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단면을 구비하며, 삼각형 형상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31.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한 주 조립체의 부분에 의해서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32.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33. 처리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리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인 트위스트 돌출부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 및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감광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리세스가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트위스트 다각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처리 카트리지 장착 수단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과, 기록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리세스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5. 제133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6.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7. 제136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와 드럼 기어는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8. 제134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9.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40.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41.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구멍을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142. 모터, 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헬리컬 기어, 및 상기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면 횡단면이 삼각형인 트위스트 돌출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리세스가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게 구성되고 또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기 위하여 드럼의 헬리켈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감광 드럼을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안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트위스트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43.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 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구멍과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44.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45. 제142항 또는 제143항에 있어서,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46.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47. 제142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48. 제142항에 있어서, 대전 롤러와 소제 블레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49. 처리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삼각형인 트위스트 돌출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 및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감광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리세스가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게 구성되고 또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기 위하여 드럼의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감광 드럼을 카트리지 프레임 안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구성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트위스트 리세스를 포함하는 처리 카트리지 장착 수단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서로 상기 감광 드럼의종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가동 수단과, 기록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0. 제149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구멍과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구동력을 처리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1. 제149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2. 제149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과,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소제 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3. 제149에 있어서, 외경 F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직경 C와 상기 감광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가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4. 제149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L이 1.0XD1≤L≤5.0XD1인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5. 제149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6. 제14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구멍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구멍을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7. 모터, 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립체측 헬리컬 기어, 및 상기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삼각형인 트위스트 돌출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소제 블레이드와,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트위스트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돌출부와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리세스가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고, 또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기 위하여 드럼의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감광 드럼을 카트리지 프레임 안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돌출부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58.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반대쪽에는 상기 감광 드럼의 내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리세스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59.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또는 아치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와의 상기 구멍 간의 결합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60.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모서리가 모떼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61. 제157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하여 주 조립체의 일부에 가압되는 부분과 주 조립체의 고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카트리지.
  162. 처리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주 조리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원형 컬럼의 한 단부에 형성되며 횡단면이 삼각형인 트위스트 돌출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 및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노터를 제거하기 위한 소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처리 카트리지 장착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의 종단부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트위스트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와 돌출부와 함께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상기 리세스는 상기 돌출부 안으로 당겨지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서로 접촉하여서 상기 처리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종방향으로 제위치에 위치되고, 또한 상기 리세스가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 롤러로 전달하기 위하여 드럼의 헬리컬 기어의 실질적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감광 드럼을 카트리지 프레임 안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리레스와 헬리컬 기어와 결합부와 축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외경 D1과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상기 프리즘의 외접원의 외경 F와 직경 C가 D1>F≥C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며, 상기 처리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 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커버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개방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구멍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커버의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기록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도 포함하며, 상기 감광 드럼의 기어의 이뿌리원 직경 G와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 D2는 G>D2와 G>F≥C인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3. 제16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는 약 0.4 내지 0.7의 모듈을 가지고 약 30 내지 150mm의 이뿌리원 직경 L을 가지며 그리고 잇수가 40 내지 4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9774A 1996-03-21 1997-03-21 처리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9700667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64105 1996-03-21
JP8064105A JP2875203B2 (ja) 1995-03-27 1996-03-21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駆動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
JP96-277528 1996-09-26
JP27752896A JP3745048B2 (ja) 1996-09-26 1996-09-26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741A true KR970066741A (ko) 1997-10-13

Family

ID=2640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774A KR970066741A (ko) 1996-03-21 1997-03-21 처리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226478B1 (ko)
KR (1) KR970066741A (ko)
CN (1) CN11354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932B2 (ja) *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US6240266B1 (en) * 1996-03-21 2001-05-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drum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US6226478B1 (en) * 1996-03-21 2001-05-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drive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JP2001281996A (ja) 2000-04-03 2001-10-10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5A (ja) 2000-04-06 2001-10-1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06609A (ja) 2000-06-26 2002-01-11 Canon Inc トナーシール部材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23476A (ja) 2000-07-07 2002-01-23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182446A (ja) 2000-10-04 2002-06-26 Canon Inc 駆動力伝達部品およ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829455B2 (en) * 2000-10-20 2004-12-07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a mechanism, and process unit of such an apparatus
JP3652246B2 (ja) 2000-12-21 2005-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196647A (ja) 2000-12-22 2002-07-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58720A (ja) 2001-03-05 2002-09-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819232B2 (ja) 2001-03-0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95798B2 (ja) 2002-01-31 2004-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34807B2 (ja) * 2002-02-20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58372B2 (ja) 2002-02-22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の離間保持部材
JP3907496B2 (ja) 2002-02-27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現像剤収納容器とその組立て方法
US6907205B2 (en) * 2002-05-31 2005-06-14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Coupling arrangement including drum and flange
US6788909B2 (en) 2002-05-31 2004-09-07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Coupling arrangement including drum, flange, and connector
JP3684209B2 (ja) 2002-05-31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74380B2 (ja) * 2002-07-04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48564B2 (ja) * 2002-11-08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ー組立方法
JP4717455B2 (ja) * 2004-02-27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043180B2 (en) * 2004-03-26 2006-05-09 Lexmark International, Inc. Gear and shaft arrangement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3885074B2 (ja) 2004-05-11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04550B2 (ja) * 2004-05-24 2011-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1610188B1 (en) * 2004-06-22 2012-03-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EP2365396B1 (en) * 2004-08-06 2013-01-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JP4630688B2 (ja) * 2004-08-30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4850427B2 (ja) * 2005-03-28 2012-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236722B2 (en) * 2005-08-25 2007-06-26 Lexmark International, Inc. Helically splined drive membe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US7433631B2 (en) * 2005-12-20 2008-10-07 Xerox Corporation Material supply module drive shaft
JP4378374B2 (ja) * 2006-03-1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5092528B2 (ja) * 2007-05-01 2012-12-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導通構造、及びこの導通構造を備えた電気機器
US9063506B2 (en) 2007-07-05 2015-06-23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anufacturing imaging components
US7813676B2 (en) 2007-07-05 2010-10-12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anufacturing imaging components
US9261821B2 (en) * 2007-10-30 2016-0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16864A (ja) * 2008-03-10 2009-09-24 Brother Ind Ltd 電子写真感光体
JP2009216863A (ja) * 2008-03-10 2009-09-24 Brother Ind Ltd 電子写真感光体
JP2009216865A (ja) * 2008-03-10 2009-09-24 Brother Ind Ltd 電子写真感光体
JP5004870B2 (ja) 2008-05-23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27565B2 (ja) * 2008-05-23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06050B2 (ja)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JP5288900B2 (ja) * 2008-06-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71627B2 (ja) * 2008-08-27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DE602008005629D1 (de) * 2008-12-23 2011-04-28 Sagemcom Broadband Sas Druckeinheit
JP4592113B2 (ja) * 2009-03-02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62054B2 (ja) * 2010-03-16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050089B2 (ja) 2010-09-29 2012-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回転駆動力伝達部材、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39826B2 (ja) 2011-04-22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628269B2 (en) * 2011-09-02 2014-01-14 Roy Fan Rotating drive shaft coupling
JP5460824B2 (ja) 2011-12-09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3183618U (ja) 2012-03-22 2013-05-30 三菱化学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回転部材、画像形成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182741B2 (en) 2012-08-10 2015-11-10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nd portion member, photosensitive drum unit and process cartridge
US9058007B2 (en) 2012-09-07 2015-06-1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orque transmitting member disposed at an end of a photosensitive drum, photosensitive drum unit, and process cartridge
US8903269B2 (en) 2012-09-11 2014-12-02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Toner drum gear projection
US9164474B2 (en) 2013-01-08 2015-10-20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Toner drum gear projection
JP2016014850A (ja) 2014-06-09 2016-01-28 三菱化学株式会社 軸部材、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現像ローラ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265080B2 (ja) 2014-07-10 2018-01-2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現像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598472B2 (ja) * 2015-02-27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6204246A1 (ja) 2015-06-17 2016-12-22 三菱化学株式会社 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3444681B1 (en) * 2016-04-13 2021-11-10 Ninestar Corporation Process cartridge
US9857755B2 (en) * 2016-05-31 2018-01-02 Lexmark International, Inc. Axially shifting photoconductive drum
US9904230B2 (en) 2016-05-31 2018-02-27 Lexmark International, Inc. Axially shifting a photoconductive drum using a cam
US11221584B2 (en) * 2017-04-12 2022-01-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with a coupling member that contacts another coupling member by an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JP6971959B2 (ja) 2017-12-13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WO2022124422A1 (ja) 2020-12-07 2022-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3719A (en) 1962-11-01 1965-10-26 Robert C Kloack Rotary driving tool with universal action
US3536397A (en) * 1967-10-13 1970-10-27 Xerox Corp Xerographic apparatus
US3815386A (en) * 1971-02-02 1974-06-11 Kamyr Ab Device for bleaching of cellulosic pulp
US3734548A (en) * 1971-12-20 1973-05-22 K Tel International Shaft connection mechanism
US4025210A (en) * 1975-07-10 1977-05-24 Pontiac Furniture Industries, Inc. Shaft assembly
US4454922A (en) 1982-05-27 1984-06-19 Consolidation Coal Company Drill rod and drilling apparatus
US4621919A (en) * 1983-07-13 1986-11-11 Canon Kabushiki Kaisha Metal drum and image holding member using the same
JPS634252A (ja) 1986-06-24 1988-01-09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ツジ及びこのカ−トリツジ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
JP2575759B2 (ja) * 1987-11-30 1997-01-29 三田工業株式会社 感光ドラムの取付け構造
GB2214609B (en) 1988-01-20 1991-12-11 Xerox Corp Drive coupling
JPH027663U (ko) * 1988-06-30 1990-01-18
JPH02304459A (ja) * 1989-05-19 1990-12-18 Hitachi Ltd 電子写真プリンタのドラム駆動装置
US4975743A (en) 1989-08-21 1990-12-04 Surti Tyrone N Process cartridge having removable drive means
JPH03101751A (ja) 1989-09-16 1991-04-2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095335A (en) 1989-09-19 1992-03-10 Canon Kabushiki Kaisha Copier with retractable charging unit to prevent damage to drum when removing process cartridge
US5019861A (en) 1989-10-11 1991-05-28 Surti Tyrone N Drive apparatus for a process cartridge of an image-forming apparatus
EP0466173B1 (en) 1990-07-13 1998-10-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H05119551A (ja) 1991-05-14 1993-05-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駆動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67508A (ja) 1991-11-22 1994-03-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6282122A (ja)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EP0577893B1 (en) 1992-06-30 1997-04-1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DE69330145T2 (de) 1992-06-30 2001-08-30 Canon Kk Prozesskassette und Bildaufzeichnungssystem
JP2537305Y2 (ja) * 1992-08-21 1997-05-28 株式会社ケイセブン 軸継手
JP2576462Y2 (ja) * 1992-12-01 1998-07-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操作レバー装置の継手
EP0625729B1 (en) 1993-05-20 1998-11-04 Canon Kabushiki Kaisha A process cartridge
US5402207A (en) * 1993-12-30 1995-03-28 Michlin; Steven B. Long-life and improved photoreceptor drum gear
JP2875203B2 (ja) 1995-03-27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駆動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
JPH08292704A (ja) * 1995-04-21 1996-11-0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768658A (en) * 1995-07-21 1998-06-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member,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226478B1 (en) * 1996-03-21 2001-05-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drive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US6240266B1 (en) * 1996-03-21 2001-05-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drum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US5749028A (en) * 1996-06-26 1998-05-05 Xerox Corporation Multi-size photoreceptor flange be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01926B1 (en) 2002-12-31
CN1176410A (zh) 1998-03-18
CN1135441C (zh) 2004-01-21
US6226478B1 (en) 200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6741A (ko) 처리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970066740A (ko) 처리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355724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구동력전달 부재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
KR10027067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구동력 전달 부재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
KR930001239B1 (ko) 분리가능하게 장착이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0288971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EP0604991B1 (en) Mechanism for opening/closing a toner falling aperture
KR100290584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27022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2773056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417149B1 (ko) 구동력 전송부, 전자사진 감광성 드럼, 프로세스 카트리지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EP0843238A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980010647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980010648A (ko) 감광 드럼 장착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2005055544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0736819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toner
EP0822467B1 (en) Ton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GB2397136A (en) A toner cartridge
KR20210035573A (ko) 토너 자동 주입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CN214375854U (zh) 一种处理盒
JPH0844247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78971A (ja) 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現像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及びそれらが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1020602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7358814B2 (ja) トナーコンテナの着脱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11963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