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741Y1 -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741Y1
KR960006741Y1 KR2019950007784U KR19950007784U KR960006741Y1 KR 960006741 Y1 KR960006741 Y1 KR 960006741Y1 KR 2019950007784 U KR2019950007784 U KR 2019950007784U KR 19950007784 U KR19950007784 U KR 19950007784U KR 960006741 Y1 KR960006741 Y1 KR 960006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case
coil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센고 사와사키
마사아키 다루야
미치루 고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01054U external-priority patent/JP254274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0105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4818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0519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5911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0539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5911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01055U external-priority patent/JP2542746Y2/ja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10015803U external-priority patent/KR930008271Y1/ko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19950007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7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제1도~제10도는 이 고안의 각 실시예를 표시한 측단면도 또는 케이스내에 절연수지가 충전되기전의 좌측면도
제11도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의 전기회로도
제12도는 종래의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의 측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케이스내에 절연수지가 충전되기전의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워트랜지스터 2 : 1차 코일
4 : 전류제한회로부 7 : 2차 코일
8 : 철심 8a : 철심캡
30, 40, 50 : 방열판 31 : 케이스
32 : IC패키지체
이 고안은 점화코일의 1차 전류를 단속통전하는 파워스위치와 점화코일을 일체화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1도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의 전기회로도이며, 1은 점화코일의 1차 코일(2)에 1차 전류를 통전차단하는 파워트랜지스터, 3은 1차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위차를 검출하고 전류제한회로부(4)에 1차전류를 제어하기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전류검출부이다.
제12도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의 측단면도, 제13도는 케이스내에 절연수지가 충전되기전의 제12도의 좌측면도이며, 5는 케이스, 7은 케이스(5)내 설치되고 철심(8)에 감겨진 1차 코일(2)의 외주에 감겨진 2차 코일, 9는 케이스(5)에 설치된 알루미늄제의 방열관으로 이 방열판(9)에는 절연판(10)을 통하여 파워트랜지스터(1), 전류제한회로(4)가 접착되어 있다.
11은 파워트랜지스터(1) 및 전류제한회로부(4)를 코팅하여서 보호, 방열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실리콘계수기, 12 는 케이스(5)와 일체 성형된 커넥터, 13은 파워트랜지스터(1) 및 전류제한회로부(4)로 파워스위치의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파워스위치 공간부(14)를 밀폐시키는 커버, 15는 케이스(5)내에 충전된 절연수지이다.
16은 제1 커넥터단자(17)와 2차 코일(7)의 일단부를 접속하는 2차 코일 어스선, 18은 제2 커넥터단자(19)와 1차 코일(2)의 일단부를 접속하는 전원선, 20은 제3커넥터단자(21)와 파워트랜지스터(1)의 베이스단자(22)를 접속하는 제어신호선, 23은 제4커넥터(24)와 전류제한회로부(4)의 제한회로단자(25)를 접속하는 어스선, 26은 파워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단자(27)와 1차 코일(2)의 타단부를 접속하는 콜렉터선이며, 제어신호선(20), 어스선(23) 및 콜렉터선(26)은 케이스(5)를 관통하여서 파워스위치 공간부(14)내에서 베이스단자(22), 제한회로단자(25) 및 콜렉터단자(2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의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 있어서는, 1차 코일(2)의 1차 전류가 전류점출부(3)에 흐르게 됨으로써 전류검출부(30에서는 전위차로서 그 값을 검출하고, 이 전위차의 값에 의하여 전류제한회로부(4)에는 제어신호가 입력된다.
전류제한회로부(4)는 이 신호에 기준하여 점화코일의 1차 코일(2)에 흐르는 1차전류를 제어한다. 점화코일의 2차 코일(7)에는 이 1차 코일(2)에 흐르는 1차 전류에 따라서 고전압이 발생하고, 이 고전압은 배전기로 송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서는 방열판(9)에 전열판(10)을 통하여 파워트랜지스터(1), 전류제한회로부(4)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파워트랜지스터(1), 전류제한회로부(4)가 전자부품이므로 특히 접착작업에는 주의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파워트랜지스터(1), 전류제한회로부(4)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 표면을 수지(11)로 피복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한 파워스위치공간부(14)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소형화에 지장이되어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서는 단면 ㄷ자형의 한쌍의 철심반체의 단면끼리 대향시켜 외측에 위치한 단면간을 용접하여서 1차 코일(2), 2차 코일(7)에 철심(8)을 부착하고 있는 관계로 철심(8)의 캡(8a)의 바로 위에 파워스위치가 위치하여 파워스위치와 캡간의 거리가 짧으므로 파워스위치는 철심(8)의 자로중, 자기저항이 크며 발열량이 큰 캡(8a)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서는 점화코일로부터의 누설자속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투자물이 매우 크고 강자성체인 철심(8)을 사용하였지만, 누설자속이 파워스위치에 미치므로 파워스위치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소형화할 수 있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소형화할 수 있으며 IC 패키지체에서 발생한 열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고안은 상기 목적에 부가하여 파워스위치에 대한 점화코일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고안은 철심캡에서 발생한 열이 파워스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고안은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소형화할 수 있고 점화코일로부터의 파워스위치에 대한 열의 영향을 낮게 억제시킨 내열기관용 점화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고안은 점화코일에서 발생한 자속이 파워스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고안에 의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점화코일을 수납한 케이스내에 파워스위치를 수지로 고체밀봉한 IC 패키지체를 설치하는 동시에 IC 패키지체에 설치된 방열판을 외기에 노출시킨 것이다. 또 이 고안에 의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점화코일을 수납한 케이스내에 파워스위치를 수지로 고체 밀봉한 IC 패키지체를 설치하는 동시에 IC 패키지체에 설치된 방열판을 외기에 노출시키고 이 방열판을 철심에 접속한 것이다. 이 고안에 의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철심의 캡과 파워스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거리가 큰 값이 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이 고안에 의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점화코일이 수납된 케이스내에 파워스위치를 수지로 고체 밀봉한 IC 패키지체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IC 패키지체를 점화코일에서 이격된 케이스의 벽면측에 설치한 것이다.
이 고안에 의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파워스위치에 방열관을 파워스위치와 점화코일간에 설치하고 이 방열판을 투자율이 갖은 비자성체로 구성한 것이다.
이고안은 파워스위치를 고체밀봉함으로써 제조도중 취급이 용이하고 또 절연수지가 충전되는 케이스내에 점화코일과 함께 IC 패키지체를 설치한 것이다.
이 고안은 파워스위치를 고체밀봉함으로써 제조도중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절연수지가 충전되는 케이스내에 점화코일과 함께 IC 패키지체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IC 패키지체에 발생한 열은 방열판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이 고안은 상기 작용에 더하여 방열판이 전기적으로 안정된 철심에 접속되어 있어, 파워스위치가 점화코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영향은 저감시킨다.
이 고안은 철심의 캡과 파워스위치의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갭에 발생한 열이 파워스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 IC 패키지체를 점화코일에서 떨어진 케이스의 벽면측에 설치함으로써 파워스위치는 점화코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는다.
이 고안은 점화코일로부터 파워스위치로 향하는 자속은 투자율이 작고 비자성체의 방열판에 의하여 차단된다. 다음은 이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케이스내에 절연수지가 충전되기전의 좌측면도이며,
제11도내지 제13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30은 케이스(31)내에 설치된 방열판, 32는 방열판(30)에 접착된 IC 패키지체이며, IC 패키지체(32) 및 방열판(30)은 케이스(31)내에 압입되여 고정되어 있다.
이 IC 패키지체(30)은 트랜스퍼 성형에 의하여 파워트랜지스터(1) 및 전류제한회로부(4)가 수지로 고체밀봉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 있어서는 파워트랜지스터(1) 및 전류제한회로부(4)로 된 파워스위치를 고체밀봉함으로써 파워스위치를 단일품으로 취급할 수 있으며 제조도중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파워스위치를 고체밀봉함으로써 절연수지(15)가 충전되는 케이스(31)내에 점화코일과 함께 IC 패키지체(32)를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파워스위치 공간부(14)가 불필요하게 되고 장치 전체가 소형화된다.
또 케이스(31)과 커넥터(12)는 일체이며 케이스(31)의 공간부과 커넥터(12)의 공간부는 연통하고 있으므로 제3 커넥터단자(21)와 파워트랜지스터(1)의 베이스단자(22)를 제어신호선(20)을 사용하여서 접속하는 것과, 제4커넥터단자(24)와 전류제한회로부(4)의 제한회로단자(25)를 어스선(23)을 사용하여서 접속하는것 그리고 파워트랜지스터(1)의 콜렉터단자(27)와 1차 코일(2)의 타단부를 콜렉터선(26)을 사용하여서 접속하는 것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은 이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이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케이스내에 절연수기가 충전되기전의 좌측면도이며,
제11도 내지 제13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40은 케이스(31)내에 설치되어 있는 단면 L자상의 방열판이며, 이 방열판(40)의 단편부(40a)는 외기에 노출되어 있는 동시에 표면은 파형상으로 되어 있다.
32는 방열판(40)에 접착된 IC 패키지체이며, IC 패키지체(32) 및 방열판(40)은 케이스(31)내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IC 패키지체(32)는 트랜스퍼 성형에 의하여 파워트랜지스터(1) 및 전류제한회로부(4)가 수지로 고체밀봉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술한 고안과 동일하게 작용하는 외에 방열판(40)의 단편부(40a)가 외기에 노출되어 있으며 파워스위치에서 발생한 열은 방열판(40)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외기로 방출된다.
제5도는 이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레이스내에 절연수지가 충전되기전의 좌측면도이며 이 경우에는 방열판(50)의 선단부가 철심(8)에 접속되어 있는 개소가 상기 제3도와 상이한 점이고 기타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서는, 방열판(50)은 엔진에 설치되고 접지된 철심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므로 방열판(50)에 설치된 파워스위치가 점화코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영향은 저감된다. 다음은 이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고안은 제5도와 같으며 캡(8a)와 파워스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거리가 큰 값이 되는 위치에 철심(8)의 캡(8a)을 설치한 것이 위의 고안과 다르며 기타구성은 동일하다.
이 고안에 의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철심(8)의 캡(8a)와 파워스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거리가 큰 값이 되는 위치에 철심(8)의 캡(8a)를 설치하였으므로 캡(8a)에서 발생한 열이 파워스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축소시킬 수 있다.
다음은 이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이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케이스내에 절연수지가 충전되기전의 좌측면도이며, 제11도 내지 제13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32는 케이스(31)내에 점화코일에서 떨어지고 또한 벽면측에 위치시켜 설치된 IC 패키지체이며, 이 IC 패키지체(32)와 점화코일은 케이스(31)내에 절연수지(15)를 충전하여 동시에 고정된다. IC 패키지체(32)는 트랜스퍼 성형에 의하여 파워트랜지스터(1) 및 전류제한회로부(4)가 수지로 고체밀봉되어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 있어서는 파워트랜지스터(1) 및 전류제한회로부(4)로 된 파워스위치를 고체밀봉함으로써 파워스위치를 단일품으로 취급할 수 있고 제조도중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파워스위치를 고체밀봉함으로써 절연수지(15)가 충전되는 케이스(31)내에 점화코일과 함께 IC 패키지체(32)를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파워스위치 공간부(14)가 불필요하게 되며 장치전체가 소형화된다.
또한 IC 패키지체(32)를 점화코일에서 떨어진 케이스(31)의 벽면측에 설치함으로써 파워스위치는 점화코일로부터의 열을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는다.
그리고 케이스(31)와 커넥터(12)는 일체이며, 케이스(31)의 공간부와 커넥터(12)의 공간부가 연통되고 있으므로, 제3커넥터단자(21)와 파워트랜지스터(1)의 베이스단자(22)를 제어신호선(20)을 사용하여서 접속하는것, 제4커넥터단자(24)와 전류제한회로부(4)의 제한회로단자(25)를 어스선(23)을 사용하여서 접속하는것 그리고 파워트랜지스터(1)의 커넥터단자(27)와 1차 코일(2)의 타단부를 콜렉터선(26)을 사용하여서 접속하는 것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9도는 이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케이스내에 절연수지가 충전되기전의 좌측면도이며, 30은 케이스(31)내에 설치되고 파워스위치의 발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으로, 이 방열판(30)에 IC 패키지체(32)가 접착되어 있다. IC 패키지체(32) 및 방열판(30)은 케이스(31)내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다음은 이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고안은 제5도와 대략 같으며 단지 방열판(50)을 투자율이 작고 비자성체인 알루미늄체로 구성된 것이 다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파워스위치에 방열판(50)을 파워스위치와 점화코일간에 설치하며 이 방열판(50)을 투자율이 작은 비자성체인 알루미늄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점화코일로부터 파워스위치로 향하는 자속은 방열판(50)에 의하여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체의 방열판(5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방열판의 재질은 투자율이 작고 열전도율이 큰 비자성체이면 되며, 예컨대 동이라도 괜찮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 의하면 점화코일이 수납된 케이스내에 파워스위치를 수지로 고체밀봉한 IC 패키지체를 설치함으로써, IC 패키지체를 단일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제조도중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절연수지가 충전되는 케이스내에 점화코일과 함께 IC 패키지체를 설치할 수 있어 종래의 파워스위치 공간부가 불필요하게 되고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코일공간부와 스위치공간부를 간막이하는 설치함으로써, IC 패키지체를 기점으로, 절연수지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 IC 패키지체측의 크랙이 이 내벽에 의해 저지되어 2차 코일의 절연이 확보되고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방열판 일부가 외기에 노출되고 있어 파워스위치에서 발생한 열은 효율적으로 외기로 방출되므로 방열판의 용적으로 작게할 수 있어 장치전체의 소형화에 공헌하게 된다는 효과도 있다.
IC 패키지체와 방열판이 파워스위치공간부에 압입되어 설치됨으로써, IC 패키지체와 방열판을 압입하는 것만으로 이들이 밀착하여 나사조임등의 조립작업을 하지 않아도 방열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효과에 더하여 방열판이 전기적으로 안정된 철심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방열판에 설치된 파워스위치가 점화코일로부터의 전기적인 영향을 받기 어렵고 따라서 그로 인한 파워스위치의 오동작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철심의 캡과 파워스위치의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캡에서 발생한 열이 파워스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할수 있어, 파워스위치의 열로 인한 오동작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IC 패키지체를 점화코일에서 떨어진 케이스의 벽면측에 설치함으로써 파워스위치는 동일 케이스내에 있는 점화코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으며 파워스위치의 열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파워스위치에 방열판을 파워스위치와 점화코일간에 위치시켜 설치하고 이 방열판을 투자율이 작은 비자성체로 구성하였으므로 점화코일에서 파워스위치로 향하는 자속은 방열판에 의하여 차단되어 파워스위치간의 자속에 의한 오동작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철심(8)과, 상기 철심(8)에 감겨진 1차 코일(2)과,
    상기 1차 코일(2)와 전기적으로 결합관계에 있는 상기 철심(8)에 감겨진 2차 코일(7)을 가지는 점화코일과, 상기 1차 코일(2)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상기 점화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소자(1)과, 스위치소자(1)이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소자(4)를 트랜스퍼 성형법에 의해 몰드 수지로 고체밀봉하여 일체화한 IC 패키지체(32)와,
    충전수기(15)와,
    상기 점화코일과 상기 IC 패키지체(32)과를 밀폐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 케이스지지체와,
    상기 충전수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케이스(31)를 일체화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31)은 내부에 점화코일을 수용한 코일공간부와, IC 패키지체(32)를 수용한 스위치 공간부와를 서로분할하는 외벽과 내부간막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방열판(30)(40)(50)의 그 일단이 IC 패키지체(32)와 고체밀봉되어 열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31)의 외부로 노출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방열판(30)(40)(50)의 타단이 상기 철심(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방열판(30)(40)(50)의 일단이 점화코일과 IC 패키지체(32)사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방열판(30)(40)(50)이 비자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방열판(30)(40)(50)의 타단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IC 패키지체(32)가 케이스(31)내의 점화코일로부터 떨어진 벽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C 패키지체(32)와 상기 방열판(30)(40)(50)의 일단이 케이스(31)내의 분할된 파워스위치공간부에 압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철심(8)이 IC 패키지체(32)의 파워스위치(1)(4)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 캡(8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KR2019950007784U 1990-09-28 1995-04-17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KR960006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784U KR960006741Y1 (ko) 1990-09-28 1995-04-17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01053 1990-09-28
JP1990101054U JP2542745Y2 (ja) 1990-09-28 1990-09-28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1990101052U JP2548184Y2 (ja) 1990-09-28 1990-09-28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10105190U JPH0459115U (ko) 1990-09-28 1990-09-28
JP10105390U JPH0459117U (ko) 1990-09-28 1990-09-28
JP90-101052 1990-09-28
JP90-101055 1990-09-28
JP90-101051 1990-09-28
JP90-101054 1990-09-28
JP1990101055U JP2542746Y2 (ja) 1990-09-28 1990-09-28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2019910015803U KR930008271Y1 (ko) 1991-09-26 1991-09-26 보조구멍을 사용하여 급수통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세탁기 급수밸브
KR2019950007784U KR960006741Y1 (ko) 1990-09-28 1995-04-17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803A Division KR920006638A (ko) 1990-09-28 1991-09-10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741Y1 true KR960006741Y1 (ko) 1996-08-05

Family

ID=275260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803A KR920006638A (ko) 1990-09-28 1991-09-10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KR2019950007784U KR960006741Y1 (ko) 1990-09-28 1995-04-17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803A KR920006638A (ko) 1990-09-28 1991-09-10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72302A (ko)
KR (2) KR920006638A (ko)
DE (1) DE413215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158B1 (ko) * 1992-06-15 1997-03-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JP2851491B2 (ja) * 1992-08-13 1999-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H0666239A (ja) * 1992-08-21 1994-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用点火装置の製造方法
JPH0729746A (ja) * 1993-07-09 1995-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JPH0729751A (ja) * 1993-07-09 1995-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522793B2 (ja) * 1993-07-09 2004-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453792B2 (ja) * 1993-07-09 2003-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412194B2 (ja) * 1993-07-09 2003-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3126864B2 (ja) * 1994-02-25 2001-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点火コイル
JP3102993B2 (ja) * 1994-07-19 2000-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165000B2 (ja) * 1995-04-21 2001-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H08293421A (ja) * 1995-04-24 1996-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3264791B2 (ja) * 1995-04-24 2002-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3229515B2 (ja) * 1995-05-08 2001-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3229514B2 (ja) * 1995-05-08 2001-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DE19918084B4 (de) * 1999-04-21 2004-07-15 Robert Bosch Gmbh Hochlastfähige Steuerungsanordnung für elektrische Komponenten
FR2801347B1 (fr) * 1999-11-19 2002-02-15 Ectricfil Industire L Dispositif d'allumage pour au moins deux bougies d'un moteur thermique a combustion interne
US6359439B1 (en) * 2000-03-13 2002-03-19 Delphi Technologies, Inc. Compression sense ignition system with fault mode detection and having improved capacitive sensing
DE10224762A1 (de) * 2002-06-04 2003-12-18 Delphi Tech Inc Zündspulenmodul
DE102010039587A1 (de) * 2010-08-20 2012-02-23 Robert Bosch Gmbh Zündvorrichtung mit verbessertem Wärmeverhalten
DE102018219004B4 (de) 2017-11-29 2021-11-04 Prüfrex engineering e motion gmbh & co. kg Zündvorrichtung
CN108198712B (zh) * 2017-12-18 2019-06-14 宁波英格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发动机点火开关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9563A (en) * 1973-09-27 1975-03-04 Motorola Inc Encapsulation housing for electronic circuit boards or the like and method of encapsulating
JPS5829612B2 (ja) * 1977-09-16 1983-06-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S5450733A (en) * 1977-09-30 1979-04-20 Hitachi Ltd Igni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222089A (en) * 1977-11-10 1980-09-09 The Scott & Fetzer Company Oil burner ignition and control package
DE2812029C2 (de) * 1978-03-18 1986-11-1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ünd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DE2929255A1 (de) * 1979-07-17 1981-01-22 Becker Ulf Zuendeinheit fuer ottomotoren,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motoren
DE3020902A1 (de) * 1980-06-02 1981-12-1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nisches steuergeraet,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3214866A1 (de) * 1982-04-22 1983-10-2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uendanlage fuer brennkraftmaschinen
US4872102A (en) * 1986-04-28 1989-10-03 Dimensions Unlimited, Inc. D.C. to A.C. inverter having improved structure providing improved thermal dissipation
US4899256A (en) * 1988-06-01 1990-02-06 Chrysler Motors Corporation Power module
KR900006664A (ko) * 1988-10-07 1990-05-08 시끼 모리야 내연기관 점화 코일장치
DE3906973A1 (de) * 1989-03-04 1990-09-13 Telefunken Electronic Gmbh Gehaeuse fuer kfz-elektron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72302A (en) 1992-12-15
KR920006638A (ko) 1992-04-27
DE4132153A1 (de) 1992-04-09
DE4132153C2 (de) 199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741Y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5144935A (en) Ignition coil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48780B2 (en) Twin spark pencil coil
US5003959A (en) Ignition coil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927259A (en)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70001127B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70003158B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5915367A (en) Igni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outer packing case equipped with coil and igniter unit
US5359982A (en) Igni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55930B1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79740B2 (en) Automotive alternator voltage control apparatus
JP2004006506A (ja) 点火コイル
JP7462674B2 (ja) 電気絶縁材料製のフレームを備える容量性ブロックおよび電気機器
US6909351B2 (en) Ignition coil module
KR970011038B1 (ko) 내연기관용 배전기
US5697352A (en)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297654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6064833B2 (ja) 点火装置
JP2006108630A (ja) 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438971A (en) Ignition coi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1237125A (ja) コイルボビン及びトランス
JP2001254661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および点火制御回路装置
JPH07153636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JP4021132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7204807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5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