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813B1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813B1
KR960002813B1 KR1019930003944A KR930003944A KR960002813B1 KR 960002813 B1 KR960002813 B1 KR 960002813B1 KR 1019930003944 A KR1019930003944 A KR 1019930003944A KR 930003944 A KR930003944 A KR 930003944A KR 960002813 B1 KR960002813 B1 KR 96000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sensor
iron plate
cook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095A (ko
Inventor
가즈노리 이시이
히사오 가노우
노부이치 니시무라
마사유키 아오키
유키오 스즈키
다카미치 스자쿠
요시오 오카무라
마사히코 와다
다쿠미 오노
류호 나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3002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05B6/645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the sensors being infrar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64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weight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렌지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구체화된 전자렌지의 종단정면도.
제2도는 전자렌지의 개략적인 횡단평면도.
제3도는 회전판 및 그 구동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종단정면도.
제4도는 토크센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마이크로파 조리에 사용하는 유리접시의 사시도.
제6도는 마이크로파 조리에 사용하는 해동석쇠의 사시도.
제7도는 마이크로파 조리에 사용하는 남비 및 이것에 부속하는 내용기, 금속뚜껑, 유리뚜껑의 사시도.
제8도는 오븐조리에 사용하는 사각철판.
제9도는 오븐조리에 사용하는 다리부착 사각철판의 사시도.
제10도는 오븐조리 및 그릴조리에 사용하는 석쇠.
제11도는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2도는 삶기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종단정면도.
제13도는 찌는 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종단정면도.
제14도는 찌는 조리에 있어서 식품별 알콜농도 특성도.
제15도는 데우기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종단 정면도.
제16도는 데우기조리에 있어 술과 그 이외의 식품과의 알콜 검출농도 변화도.
제17도는 데우기조리외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종단정면도.
제18도는 데우기조리에 있어 가열후의 식품별 습도 변화도.
제19도는 데욱기조리에 있어 가열후의 식품별 습도 변화도.
제20도는 생해동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종단정면도.
제21도는 그릴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종단정면도.
제22도는 그릴조리에 대한 식품별 크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3도는 상하 양 철판 사용의 오븐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종단정면도.
제24도는 아래쪽 철판 사용의 오븐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종단정면도.
제25도는 다리 부착 철판 사용의 오븐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종단정면도.
제26도는 개수센서와 함께 나타내는 다리부착 철판의 평면도.
제27도는 조리모드 선택을 위한 플로우챠트.
제28도는 마이크로파 가열조리모드의 플로우챠트.
제29도는 그릴조리모드의 플로우챠트.
제30도는 오븐조리모드의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외부상자
3 : 내부상자 4 : 가열실
5 : 마그네트론 6 : 오븐용히터
7 : 그릴용히터 9 : 팬모터
10 : 팬 12 : 덕트
14 : 배기덕트 15 : 간막이
17 : 원심형팬 18 : 순환용팬
20 : 조작패널 21 : 하우징
22 : 베어링 23 : 회전축
26 : 회전판 27 : 지지부재
30 : 유리접시 31 : 해동석쇠
32 : 남비 34 : 금속뚜껑
35 : 유리뚜껑 37 : 교반축
38 : 교반날개 39 : 중량센서
40 : 토크센서 41 : 가동전극판
43 : 왜곡게이지 44,45 : 사각철판
46 : 다리부착 사각철판 47 : 석쇠
51a∼58a : 투광소자 51b∼58b : 수광소자
51∼58 : 광센서 60 : 알콜센서
61 : 습도센서 62 : CCD 카메라
63 : 칼라센서 64 : 적외선센서
65,66 : 온도센서 67 : 마이크로컴퓨터
70 : 구동회로
본 발명은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원으로서 마그네트론외에 히터를 구비한 전자렌지, 특히 가열실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을 판별하는 것에 의해 조리모드를 판단하고, 또한 조기용부속품에 놓여지거나 담긴 식품을 판별해서 그 식품에 응한 제어내용에서 자동적으로 가열조리를 행하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렌지에서는 최근 마그네트론의, 오븐용히터, 그릴용히터를 구비한 다기능형의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 다기능형 전자렌지에서는 다수의 조리모드로 조리할 수 있다.
이 조리모드는 크게나눠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조리하는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와, 히터에 의해 가열조리하는 히터조리모드로 나누어진다. 더우기 마이크로파 조리모드는 데우기조리모드, 냉동보존된 날음식의 해동을 행하는 생해동 조리모드, 혹은 전용남비를 이용한 남비조리모드 등으로 나누어지고 또 히터조리모드는 가열실내를 고온분위기로 해서 가열조리하는 오븐조리모드, 히터의 복사열로 가열조리하는 그릴조리모드로 나누어진다.
한편 이 종류의 다기능형 전자렌지는 자동조리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자동조리는 사용자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중 원하는 스위치를 조작해서 조리내용에 응한 조리모드를 선택하고 그위에, 같은 스위칭 조작에 의해 다수의 조리품목중 원하는 조리품목을 선택하면 마이크로컴퓨터가 선택된 조리모드 및 조리품목에 응한 조리 메뉴프로그램에 의해 조리를 자동적으로 진행시켜간다고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다기능형 전자렌지에서는 사용자가 다수의 스위치중 한개의 스위치를 선택조작해서 다수의 조리모드중에서 원하는 조리모드를 선택하고 더우기 다수있는 조리품목중에서 원하는 조리 품목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스위치가 여러개 있기 때문에 선택을 잘못할 우려가 있다. 조리모드의 선택을 잘못 하면 조리모드마다 사용하는 조리용 부속품이 정해져 있으므로, 예를들면 금속제의 사각철판을 이용해서 오븐조리를 행할 경우에 잘못해서 마이크로파 조리모드를 선택해 버리면 가열실내에 마이크로파가 공급되고 불꽃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 플라스틱 용기내에 넣어져 있는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따뜻하게 할 경우에 잘못해서 오븐조리모드를 선택하면 그 플라스틱 용기가 히터의 열로 녹아버리기도 한다고 하는 불리함이 발생한다. 더우기 조리품목의 선택을 잘못할 경우도 있고, 이 경우에는 원하는 조리를 할수 없게 된다. 이와같은 조리모드의 선택잘못을 방지하는 기술은 일본실개소 63-6080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가열실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이 그릴 조리시에 사용되는 조리석쇠 및 해동조리시에 사용되는 해동석쇠중 어느 쪽인가를 판별하고, 조리석쇠일때 잘못해서 해동조리모드를 선택하고, 혹은 해동석쇠인때 잘못해서 그릴조리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스피커에 의해 잘못을 알려준다. 그렇지만 이것은 조리모드의 선택을 잘못한 때, 이것을 알려주는 것으로 스위치의 수를 줄여서 선택조작의 잘못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은 아니다.
스위치수를 줄이기 위한 공지의 기술로서는 일본국 특허공보 제91-49006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보 제92-38116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것들은 그릴조리의 대표적 조리메뉴인 그라탕과 생선소금구이를 용기 검지센서의 출력변화에 의해 판별하고 자동적으로 각 메뉴의 최적의 완성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공지기술로는 일본국 특허공고 제86-6151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중 데우는 조리모드에 있어서 조리종류마다 설정키를 생략하기 위하여 가스센서와 감열소자를 설치하고, 제어장치가 가열개시후의 가스센서의 출력신호의 시간적 변화율에 의해 식품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리고 가스센서와 감열소자 양쪽의 출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에 도달한때, 마그네트론을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그렇지만 이것들은 그릴조리모드중에 있어서, 혹은 마이크로파에 의한 데우는 조리모드중에 있어서, 구체적 조리메뉴를 판별하는 것이다. 따라서 데우는 조리모드, 날해동조리모드, 남비조리모드, 오븐조리모드, 그릴조리모드 등의 다양한 조리모드를 갖는 다기능형 전자렌지에 있어서, 이들 조리모드를 자동판별하는 것은 아니고, 조리모드의 선택조리의 번잡함, 조작실수를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조리모드 자동판별의 한가지 방법으로서 가열실내에 설치시킨 조리용 부속품을 판별하는 것에 의해 조리모드를 자동적으로 선택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다기능형의 전자렌지에 조리용 부속품으로 구비된 기구중에는 사각철판이 있다. 이 사각철판은 위쪽 사각철판과 아래쪽 사각철판의 2종류가 있고, 아래쪽 사각철판은 오븐조리전용으로 사용되지만, 위쪽사각철판은 오븐조리에는 그릴조리에도 사용된다. 이 때문에 사각철판을 검출할 때에는 오븐조리라고 한결같이 결정할 것은 못된다. 따라서 스타트 조작을 한후 전체 조리모드를 작동설정하는데는 조리용 부속품의 검출에 의해 방법은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가열원으로서 마그네트론위에 히터를 구비한 전자렌지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시하려는 조리모드를 착오없이 자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조리모드에 반응한 가열원을 선택한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는 개량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조리모드를 선택한 후 조리하는 식품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판별하고, 조리프로그램중에서 판별한 식품에 대응하는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해서 그 식품에 맞는 내용의 가열조리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개량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원으로서 마그네트론, 오븐용히터 및 그릴용히터를 갖고, 식품은 가열실내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에 배치되거나 넣어진다. 조리용 부속품은 가열실내에 상하 위치관계를 갖고 배치되는 위쪽 사각철판, 아래쪽 사각철판, 및 위쪽 사각철판을 받침대로 해서 그 위쪽 사각형철판에 설치된 식품놓는 기구를 포함해서 복수개가 있고, 조리하는 내용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된다. 가열실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은 부속품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결과에 의해 조리모드 선택수단이 조리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조리모드선택수단은 부속품검출수단의 검출결과가 위 및 아래 양쪽 사각철판이 없을때 마이크로파 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상하 양 사각철판중 어느쪽인가가 있을 경우 히터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선택결과 위쪽 사각철판이 있고 히터조리모드인 경우에는 다시 위쪽 사각철판에 설치된 식품 놓는 기구의 유무에 따라 오븐조리모드 및 그릴조리모드의 어느쪽을 선택한다. 가열원의 직접적인 제어는 제어수단에 의해 행해지지만 제어수단은 상기 마그네트론, 오븐용히터 및 그릴용히터중 조리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조리모드에 응한 가열원을 상기 선택된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조리모드에 응해서 사용된 조리용 부속품, 조합해서 사용되는 조리용 부속품을 검출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파 조리모드, 오븐조리모드 및 그릴조리모드의 3종류의 조리모드가 있는 것, 오븐조리모드 및 그릴조리모드 어느쪽에도 위쪽 사각철판이 사용되는 것이라고 하는 배경사정이 있어도, 가열실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을 판별하는 것에 의해 조리모드를 착오없이 선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가열원을 착오없이 선택가능하고 식품을 사용자가 소망하는 조리내용에서 가열조리 가능하다.
이 경우 위쪽 사각철판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을 석쇠로 하고, 석쇠가 없는때 오븐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석쇠가 있는때 그릴조리모드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렌지는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원으로써 마그네트론 및 히터를 갖고, 식품은 가열실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에 놓여지거나 혹은 조리용 부속품에 넣어진다. 조리용 부속품은 복수개가 있고 조리하는 내용에 따라서 선택해서 사용된다. 가열실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은 부속품검출수단에 의해 판별되고 이 판별결과에 따라 조리모드 선택수단이 조리모드를 판별한다. 이때 조리모드 선택수단은 부속품검출수단의 판별결과에 의해 마이크로파 조리모드 및 히터조리모드중 한쪽을 선택하고, 이 선택결과가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인 경우에는 또 부속품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 해동조리모드, 데우는 조리모드 및 남비조리모드중 어느쪽을 선택한다. 가열원의 직접적인 제어는 제어수단에 의해 행해지지만, 제어수단은 상기 마그네트론 및 히터중 조리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조리모드에 따른 가열원을 상기 선택된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해서 식품을 가열조리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에 해동조리모드, 데우는 조리모드 및 남비조리모드 3종류의 조리모드가 있어도 각 조리모드에 따라서 사용하는 조리용 부속품이 다르기 때문에 가열실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을 판별하는 것에 의해 조리모드를 착오없이 선택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마그네트론에 의해 식품을 가열하는 경우, 해동조리, 데우는 조리, 남비조리에 따른 내용에서 마그네트론을 제어 가능하다.
데우는 조리모드에 있어서 식품이 정종인가 우유인가를 착오없이 판별하기 위한 가열실내의 알콜을 검출하는 알콜센서와, 식품을 수용한 수용높이를 검출하는 높이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어수단은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중 데우는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에 있어서 마그네트론에 의한 가열전에 상기 알콜이 있다고 검출된때 상기 용기내의 식품을 정종으로 판정하고, 알콜이 없다고 검출됨과 동시에 상기 높이센서에 의해 용기가 소정 높이 이상이라고 검출된때 그 용기내의 식품을 우유로 판정하고, 데우는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그 판정결과에 따른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한다.
또 사각철판의 주벽높이를 기준으로 식품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센서를 설치하고, 오븐조리모드에 있어서 그 높이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 식품종류를 판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가열실내의 알콜을 검출하는 알콜센서, 식품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센서, 식품을 위쪽에서 촬영하는 촬영수단, 이 촬영수단의 화상정보에서 식품의 면적을 연산하는 화상처리수단을 설치하고, 그릴조리모드에 있어서 가열전에 알콜센서가 알콜을 검출했을때 식품이 특정조리 그룹의 식품으로 판정하고, 특정의 조리그룹 이외의 식품으로 판정했을때는 그 식품의 종류를 가열후의 알콜센서의 알콜 검출농도와 식품의 중량과 면적으로부터 판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전자렌지 기능외에, 오븐기능 및 그릴기능을 구비한 다기능형 전자렌지에 적용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자렌지의 전체구성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1)는 외부상자(2)와 내부상자(3)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상자(3)의 내부는 가열실(4)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자렌지에서는 가열실(4)내에 수납된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으로서 마그네트론(5), 오븐용히터(6) 및 그릴용히터(7)가 설치되어 있다. 이중 그릴용히터(7)는 내부상자(3)의 상면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그릴용히터(7)의 열은 가열실(4)내에 상면측에서 복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내에 있어서 내부상자(2)의 우측공간을 기계실(8)로 되고,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기계실(8)내에 상기 마그네트론(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마그네트론(5)에서 방사된 마이크로파는 도시하지 않은 도파관을 거쳐서 가열실(4)내에 공급된다. 또 기계실(8)내에는 팬모터(9)에 프로펠라형 팬(10)을 부착해서 구성된 냉각팬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팬장치(11)는 외기를 흡인해서 마그네트론(5)에 냉각풍을 보내는 것으로 마그네트론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덕트(12)를 통해서 가열실(40)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가열실(4)내에 공급된 공기는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내부상자(3)의 배면부에 형성된 배기구(13)에서 배기덕트(14)를 거쳐 외부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부상자(3)의 배면부를 구성하는 간막이판(15)의 후측에는 상기 오븐용히터(6) 및 팬모터(16)에 원심형팬(17)을 부착해서 구성시킨 순환용팬장치(18)가 배치되어 있다. 그 순환용 팬장치(18)는 가열실(4)내의 공기를 간막이판(15)에 형성시킨 통기구멍(15a)을 통해 흡인해서 오븐용히터(6)에 보내고, 가열후의 공기를 통기구멍(15a)을 통해서 가열실(4)내에 공급한다. 또한 제2도에 있어서, "19"는 가열실(4)의 전면을 개폐하는 문, "20"은 조작패널이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내부상자(3)의 저부하측에는 하우징(21)의 고정되어 있고, 이 하우징(21) 및 내부상자(3)의 저부에는 베어링(2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양 베어링(22)에는 중공의 회전축(23)이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고, 이 회전축(23)은 내부상자(3)의 저부에 설치된 모터(24)에 벨트전동기구(25)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실(4)의 안쪽저부에 돌출한 회전축(23)의 상단부에는 회전판(26)이 부착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모터(24)가 기동하면 회전판(26)이 회전한다.
상기 하우징(21)의 저부에는 한쌍의 지지부재(27)가 대향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부재(27)의 내측에 부착판(28)가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판(28)에는 정지축(29)이 직립상태로 해서 고정되어 있고 이 정지축(29)은 상기 회전축(23)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다기능형 전자렌지에서는 상기한 가열원의 종류에서도 명백한 것처럼 마이크로파 조리외에 오븐조리 및 그릴조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파 조리는 밥이나 반찬을 데우는 조리, 냉동보존된 식품 예를들어 고기나 생선회를 해동하는 해동조리, 남비조리로 구별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각의 조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식품을 그 조리에 응해서 조리용 부속품에 넣어서 가열실(4)내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조리에 사용되는 조리용 부속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마이크로파 조리중 데우는 조리는 제5도에 나타낸 유리접시(30)가 사용되고, 해동조리에는 제6도에 나타낸 해동석쇠(31)가 사용된다. 또한 남비조리에는 제7도에 나타낸 유리제의 남비(32)가 사용된다. 데우는 조리에서는, 유리접시(30)이 상기 회전판(26)에 놓여지고, 이 유리접시(30)위에 데울 「밥」이나 「반찬」등을 넣은 용기가 놓여진다. 해동석쇠(31)는 예를들어 플라스틱제이고 주위에 복수개의 다리(3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해동조리를 행하는데는 회전판(26)에 놓여진 유리접시(30)위에 해동석쇠(31)를 얹고 이 해동석쇠(31)위에 해동될 고기나 생선회를 놓는다.
또한 남비조리의 경우에는 남비(32)가 회전판(26)에 놓여진다. 남비(32)는 내부에 수납된 금속제의 내부용기(33)와 상부에 덮는 2종류의 뚜껑 즉 금속뚜껑(34) 및 유리뚜껑(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남비(32)의 저부중앙에는 제13도에 나타낸 것처럼 베어링(36)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베어링(36)에는 교반축(37)이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 교반축(37)에는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교반체로써의 교반날개(38)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남비조리의 종류로서는 찌는 조리, 끓이는 조리, 밥 짓고 반찬을 만드는 조리 등이다. 찌는 조리의 경우에는 남비(32)에 소요량의 물을 넣어서 내부용기(33)를 제13도에 나타낸 것처럼 큰 상태로 수납하고 그 내부용기(33)내에 식품을 넣은 용기를 넣어서 금속뚜껑을 덮는다. 그리고 남비(32)를 회전판(26)위의 유리접시(30)에 놓고 마그네트론(5)에 통전하면 남비(32)내의 물이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비등해서 증기를 발생한다. 이 증기는 내부용기(33)의 저부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구멍(33a)을 통과해서 내부용기(33)내에 공급되어 내부의 식품을 찐다. 이 경우 식품은 금속제의 내부용기(33)내에 넣어지는 동시에 금속제뚜껑(34)가 덮여있기 때문에 식품이 직접 마이크로파를 받아서 가열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끊이는 조리 및 취사조리는 남비(32)내에 재료를 넣고(내부용기(33)는 사용하지 않음)유리뚜껑(35)를 덮는다. 이때 끓이는 조리는 가열조리중에 재료를 교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12도에 도시한 것처럼 교반축(37)에 교반날개(38)를 부착시켜 놓은 것이다. 그리고 회전판(26)위에 남비(32)가 놓여지면 교반축(37)의 하단에 돌출되어 설치된 계합(係合)돌출부(37a)가 정지축(29)상단부에 형성되어 계합 오목부(29a)에 서로 걸리고 이렇게해서 교반축(37)가 정지축(29)에 연결일체화되게 되어있다. 따라서 교반축(37)에 교반날개(38)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판(26)의 회전에 의해 남비(32)가 회전하면 남비(32)내의 재료는 정지상태인 교반날개(38)에 의해 교반되게 된다.
이와같이 회전판(26)위에는 각종의 조리용 부속품이 놓여지지만 이 조리용 부속품에 놓여진 식품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중량센서(39) 및 남비조리시에 남비(32)내의 교반날개(38)가 설치되어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교반체 검출수단으로써 토크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량센서(39)는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팬날개로된 가동전극판(41)과 프린트 배선기판(42)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전극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가동전극판(41)과 프린트 배선기판(42)은 상기 지지부재(27)에 상하에 대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가동전극판(41)과 고정전극판으로 콘덴서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기판(42)에는 센서회로로써 가동전극판(41)과 고정전극판 사이의 정전용량에 따라 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중량센서(39)는 회전축(23)에 작용하는 중량을 검출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축(23)은 상하 구동가능하게 가동전극판(4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전극판(41)은 회전축(23)에 작용하는 중량을 받고 이 중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아래쪽으로 휘어져서 변형해서 고정전극판과의 대향거리가 변화한다. 이와함께 양전극에서 구성된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중량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회전축(23)에 작용하는 중량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토크센서(40)는 상기 부착판(28)에 장치된 왜곡게이지(43)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28)은 상기 정지축(29)이 고정부착된 원형중심부의 양측에서 돌출한 원호상 아암(28a)을 갖고 이 양아암(28a)의 선단부가 한쌍의 지지부재(27)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아암(28a)에 상기 왜곡 게이지(43)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토크센서(40)에 있어서 회전판(26)상에 놓여진 남비(32)의 교반축(37)에 교반날개(38)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판(26)이 회전하면 이 교반날개(38)에 식품의 교반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정지축(29)에 토크가 작용한다. 부착판(28)의 아암(28a)은 정지축(29)에 작용하는 토크에 응해서 비틀음 변형이 되기 때문에 왜곡 게이지(43)도 왜곡되어서 그 전기저항이 변화한다. 그리고 왜곡 게이지(43)의 전기저항은 도시한 센서회로에 의해 회로신호로써 출력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토크센서(40)의 전압신호의 대소에 의해 교반날개(38)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 전자렌지에서는 오븐조리 및 그릴조리용으로 제8도에 도시한 금속제인 2장의 사각철판(44) (45) (제8도에는 1장만 도시), 제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금속제다리가 있는 사각철판(46) 및 제10도에 나타낸 금속선제의 석쇠(4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중 양 사각철판(44) (45)은 동일한 것이고 바닥이 얕은 사각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사각철판(44) (45)은 가열실(4)의 벽면에 지지되도록 되어있고 이 지지용으로 가열실(4) (내부상자(3))의 좌우양벽면에는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전후방향에 늘어나있는 블록부로 된 위쪽 사각철판받침(48a) 및 아래쪽 사각철판받침(48b)이 상하이단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사각철판(44) (45)는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상단 및 하단 어느쪽인가의 사각철판 받침(48a) (48b)에도 걸어서 지지가능하지만 여기서는 사각철판(44)는 상단전용 철판으로하고 사각철판(45)은 하단전용의 아래쪽 사각철판으로 해서 이하 설명한다.
상기 다리가 부착된 사각철판(46)은 바닥이 얕고 둥근 접시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다리(46a)에는 복수개의 구멍(4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은 상기 회전판(26)상에 놓아서 사용한다. 또한 석쇠(47)는 양측에 복수개의 다리(47a)를 구비하고 사각철판(44) (45)에 놓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븐조리에는 통상은 양사각철판(44) (45)이 사용되거나 둘중 하나가 사용된다. 또 오븐조리하는 식품에 따라서는 다리가 부착된 사각철판(46)이나 석쇠(47)도 사용된다. 이 경우 석쇠(47)는 아래쪽 사각철판(45)만을 가열실(4)내에 배치해서 그위에 놓도록 되어있다.
또한 그릴조리의 경우는 통상 식품 담는 기구로써의 석쇠(47)가 사용된다. 이때 석쇠(47)는 식품을 그릴용히터(7)에 가깝게 대놓으면 그릴조리하는 생선 등의 식품에서 방울로 떨어진 기름을 받는 의미에서 위쪽 사각철판(44)을 받침으로써 사용해서 그위에 얹어두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렌지에서는 다수의 조리용 부속품을 구비하고 있지만 가열실(4)내에 배치된 부속품을 그 배치상태, 예를들어 배치위치, 높이 등에 따라 검출하기 위하여 각종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우선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상하 사각철판 받침(48a) (48b)에는 사각철판(44) (45)이 배치되어 있고, 사각철판(44) (45)에 가해진 식품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중량센서(49) (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 양중량센서(49) (50)는 사각철판받침(48a) (48b)의 내측에 설치된 검출판(49a)(50a)과, 이 검출판(49a) (50b)에 돌출설치된 사각철판받침(48a) (48b)의 위쪽면에서 돌출한 돌기(49b) (50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판(49a) (50a)에는 왜곡 게이지(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고 철판받침(48a) (48b)에 사각철판(44) (45)이 걸리면 그 중량이 돌기(49b) (50b)를 거쳐 검출판(49a) (50a)에 작용한다. 그러면 검출판(49a) (50a) 더 나아가서는 왜곡 게이지가 비뚤어져서 그 전기저항치가 변화한다. 이 왜곡 게이지의 저항은 도시하지 않은 센서회로에 의해 전압신호로써 출력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그 전압신호에 따른 중량은 검출가능한 것이다. 또한 내부상자(3)의 우측 바깥쪽에는 예를들어 적외선을 방사하는 발광다이오드로 된 투광소자(51a∼58a)가 상하다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내부상자(3)의 좌측 바깥쪽에서 각 투광소자(51a∼58a)로 쌍을 이루어 포토트랜지스터로 된 수광소자(51b∼58b)가 상하다단(8단)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쌍을 이룬 투광소자(51a∼58a)와 수광소자(51b∼58b)로 제1∼제8도의 투광형광센서(51∼58)가 구성된다.
투광소자(51a∼58a)에서의 빛이 가열실내를 통과해서 수광소자(51b∼58b)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내부상자(3)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3a) (3b)가 상하다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제8도의 광센서(51∼58)중, 위에서부터 제5단째에 위치하는 제5도의 광센서(55)를 제외한 다른 센서(51∼54, 56∼58)는 조리용 부속품을 그 배치높이에 의해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우선 최상단의 제1광센서(51)와 2단째의 제2의 광센서(52)는 그릴조리용으로 배치된 석쇠(47)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그릴조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21도에 나타낸 것처럼 위쪽 사각철판받침(48a)에 배치된 위쪽 사각철판(44) 위에 석쇠(47)가 놓여지고 그 석쇠(47) 위에 조리하는 식품이 놓여진다. 이에 대해 최상단의 제1광센서(51)의 광로는 석쇠(47)의 조름 윗쪽으로 되도록 설정하고 2단째의 제2의 광센서(52)의 광축은 석쇠(47)의 조금 아래쪽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위쪽 사각철판(44) 위의 석쇠(47)에 식품이 놓여지면 제1의 광센서(51)의 광로가 식품에 의해 차단되게 되지만 제2의 광센서(52)의 광로중에는 차광물이 없기 때문에 제2의 광센서(52)만이 ON신호를 출력한다. 또 위쪽 사각철판(44)에 석쇠(47)가 아니고 높이가 높은 식품이 놓여질 경우에는 식품의 높이에 의해 제2의 광센서(52)의 광로만 차단되거나 제1 및 제2의 양광센서(51) (52)의 광로가 차단되도록 된다. 따라서 제1의 광센서(51)가 비수광(이하 OFF라 한다), 제2의 광센서(52)가 수광(이하 ON이라 한다)인때 그릴조리용 석쇠(47)가 있는 것이 된다.
제3단째의 제3의 광센서(53)와 제4단째의 제4광센서(54)는 회전판(26)상에 남비(32)가 놓여진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판(26)에 놓여진 남비(32)에 금속뚜껑(34)가 놓여져 있으면 이 금속뚜껑(34)는 제13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3 및 제4양광센서(53) (54)의 광로중에 위치한다. 또한 남비(32)에 유리뚜껑(35)가 덮여지면 이 유리뚜껑(35)는 금속뚜껑(34) 보다도 높이가 낮기 때문에,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4의 광센서(54)의 광로중에 위치해도 제3의 광센서(53)의 광로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서 제3 및 제4 양 광센서(53) (54)가 모두 OFF 또는 제3의 광센서(53)가 ON이고 제4의 광센서(54)가 OFF인때 남비(32)가 있는 것으로 검출된다. 또 이 양광센서(53) (54)가 ON, OFF인 상태에 의해 동시에 남비(32)에 덮여있는 뚜껑이 금속뚜껑(34)인가 유리뚜껑(35)인가를 검출가능하 것이다. 따라서 이들 제3 및 제4의 양광센서(53) (54)는 뚜껑의 종류를 검출하는 뚜껑 검출수단으로써도 기능하는 것이다.
제4단째의 제4광센서(54)와 제6단째의 제6광센서(54)는 오븐조리용으로 배치된 석쇠(47)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오븐조리에서 석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4도에 나타낸 것처럼 아래쪽 사각철판받침(48b)에 배치된 아래쪽 사각철판(45) 위에 석쇠(47)가 놓이고 이 석쇠(47) 위에 조리할 식품이 담긴다. 이에 대해 제4의 광센서(54)의 광로는 석쇠(47)의 약간 위쪽이 되도록 설정되고 제6의 광센서(56)의 광로는 석쇠(47)의 약간 아래쪽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아래쪽 사각철판(45)상의 석쇠(47)에 식품에 담겨있으면 제4의 광센서(54)의 광로속이 식품에 의해 차단되지만, 제6의 광센서(56)의 광로중에는 차광물이 없기 때문에 제6의 광센서(54)만이 ON된다. 또한 아래쪽 사각철판(45)에 석쇠(47)가 아닌 높이가 높은 식품이 담겨있는 경우에는 그 식품의 높이에 따라 제6의 광센서(56)만이 OFF되던가 또는 제4 및 제6의 광센서(54) (56)가 함께 OFF된다. 따라서 제4의 광센서(54)가 OFF, 제6의 광센서(56)가 ON인때, 오븐조리용 석쇠(47)가 있다고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7단째의 제7의 광센서(56)와 제8단째의 제8의 광센서(58)는 회전판(26) 위에 놓인 조리용 부속품이 해동석쇠(31)이나 다리가 부착된 사각철판(46)중 어느 쪽인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제20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회전판(26)에 해동석쇠(31)이 놓여지면 그 다리(31a)가 제7 및 제8의 양광센서(57) (58)의 광로중에 위치한다. 또한 제25도에 나타낸 것처럼 다리가 부착된 사각철판(46)이 놓이면 그 구멍(46b)이 없는 부분이 제7의 광센서(57)의 광로중에 위치하고 구멍(46b)가 있는 부분이 제8의 광센서(58)의 광로중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회전판(26)의 1회전 이상하면 해동석쇠(31)의 경우에는 제7 및 제8의 양광센서(57) 및 (58)은 다리(31a)가 그 광로를 간헐적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함께 ONㆍOFF를 반복한다. 한편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인 경우에는 제7의 광센서(57)는 상시 OFF상태가 되어도 제8의 광센서(58)는 구멍(46b)이 그 광로를 간헐적으로 통과하므로 ONㆍOFF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제7 및 제8의 양광센서(57) 및 (58)이 함께 ONㆍOFF를 반복할때는 해동석쇠(31), 제7의 광센서(57)가 OFF상태인채로 제8의 광센서(58)가 ONㆍOFF를 반복할 경우에는 다리부착 사각철판(46)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이 전자렌지에는 조리용 부속품에 넣어진 식품을 판별하기 위해 각종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에는 우선 해동석쇠(31)에 실린 냉동생물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그 두께를 검출하는 두께센서이다. 이 두께센서는 제5단째의 제5의 광센서(55)와 제6의 광센서(5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의 광센서(55)의 광로는 유리접시(30)상의 해동석쇠(31)의 상면에서 2㎝ 위에 설정되고, 제6의 광센서(56)는 해동석쇠(31)의 상면에서 1㎝ 위에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자의 조사에 따르면 소매되고 있는 고기류는 두께 2㎝ 이상이고 회는 두께 1㎝ 이하가 일반적이었다. 그래서 양광센서(55) 및 (56)이 함께 OFF인 경우에는 고기류라고 판정하고 양광센서(55) 및 (56)이 함께 ON인 경우에는 회라고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 조리용 부속품에 놓여진 식품을 분류하기 위해 그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센서가 있다. 이 높이센서에는 제2, 제4 및 제6의 광센서(52, 54) 및 (56)이 겸용되고 있다. 이중, 제2의 광센서(52)는 위쪽 사각철판(44)에 놓여진 식품의 높이검출을 하기 위한 것으로 그 광로는 제23도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사각철판(44)의 상면보다 불과 조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4 및 제6의 광센서(54) 및 (56)는 아래쪽 사각철판(45)과 다리부착 사각철판(46)에 놓여진 식품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6의 광센서(56)의 광로는 제24도 및 제2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 사각철판(45) 및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의 상면보다 불과 조금높게 설정되어 있다. 물론 제4의 광센서(54)의 광로는 제6의 광센서(56)보다도 높게되어 있다. 더욱이 제4의 광센서(54)는 유리접시(30)상에 놓여진 용기의 높이 검출에도 이용되고 있다.
안상자(3)의 좌외측에는 다리부착 사각철판(46)에 넣어진 식품을 별류하기 위해, 그 개수를 검출하는 개수센서로서 반사형의 광센서(5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광센서(59)는 제2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들면 적외선을 방사하는 발광다이오드로 되는 투광소자(59a)와 포토트랜지스터로 되는 수광소자(59b)로 구성되고, 제5 및 제6의 광센서(55) 및 (56)의 수광소자(55b) 및 (56b)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광센서(59)는 수광소자(59b)가 반사광을 받는 회수에 의해서 식품수를 검출한다. 또 이 광센서(59)는 수광광도에 의해서 출력신호의 크기가 변화하도록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출력신호의 크기에 의해서 식품의 형태를 판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안상자(3)의 좌측면에는 투광소자(59a)로부터의 광이 가열실(4)내로 방사되고, 그 반사광이 수광소자(59b)에 닿도록 하기 위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외의 식품판별을 위한 센서로서, 알콜센서(60), 습도센서(61), 촬영수단 및 개수센서겸용의 CCD카메라(62), 칼라센서(63)가 설치되어 있다. 그중, 알콜센서(60) 및 습도센서(61)는 도면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덕트(14)내의 배기구(13)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고 가열실(4)내의 알콜 및 습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CCD카메라(62) 및 칼라센서(63)는 내부상자(3)의 상부외측에 배치되고 내부상자(3)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3a,3b)을 통해서 가열실(4)내를 시야내에 두도록 되어 있다. 또한 CCD카메라(62) 및 칼라센서(63)는 조리운전중, 가열실(4)내를 조명하는 실내등(도시안함)을 광원으로 하고 있다. 또, 식품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로서의 적외선센서(64)가 내부상자(3)의 상부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적외선센서(64)는 내부상자(3)의 상면에 형성된 작은 구멍(3c)을 통해서 가열실(4)내의 식품으로부터의 적외선을 검출한다.
더욱이 오븐조리시 및 그릴조리시에 가열실(4)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65) (66)이 설치되어 있다. 그중, 오븐용 온도센서(65)는 가열실(4) 상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릴용 온도센서(65)는 위쪽 사각철판(44)의 하면 가까이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11도는 이 전자렌지의 전기적 구성을 블록에 의해서 나타내고 있다. 동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광센서(51∼59)의 투광소자(51a∼59a)는 제어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67)에 의해 제어되고, 이 수광소자(51b∼59b)의 검출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67)에 입력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67)에는 각 중량센서(39,49,50), 토크센서(40), 알콜센서(60), 습도센서(61), CCD카메라(62), 적외선센서(64), 각 온도센서(65,66)의 검출신호가 입력되는 외, 상기 조작패널(20)에 설치된 스타트스위치(68) 및 문(19)의 개폐에 응해서 ONㆍOFF하는 문스위치(69)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67)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화하는 A/D변환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68)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신호 및 미리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해, 구동회로(70)를 통해서 상기 마이네트론(5), 각 히터(6,7), 각 팬모터(9,16), 회전판(26)의 구동용 모터(24)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렌지에 있어서 각종 조리를 행하는 경우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이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으로는 조리해야 하는 식품을 판별해서 그 식품에 응한 조리메뉴프로그램에 의해 가열조리를 제어한다. 그 식품판별을 위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우선 가열실(4)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에 의해 조리모드(가열조리의 종류)를 판별한다. 그후, 각종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식품판별을 행하고, 가열실(4)내에 수납된 식품에 응한 가열조리내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조리모드선택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67)에 의해 선택된 조리모드는 조작패널(20)에 설치된 표시기(71) (제11도 참조)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한편, 조리모드로서는, 이상의 설명에서 이해되도록 마이크로파 조리모드 및 히터조리모드의 2개로 대별되고, 더욱이 히터조리모드는 오븐조리모드와 그릴조리모드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마이크로파 조리모드는 사용하는 조리용 부속품에 데우는 조리모드, 남비조리모드 및 생해동 조리모드로 나누어지고, 또 오븐 조리모드는 사용하는 조리용 부속품에 의해 위쪽 사각철판사용, 아래쪽 사각철판사용, 상하양 사각철판사용 및 다리부착 사각철판사용의 각 조리모드로 나누어진다.
이상의 조리모드를 사용하는 조리용 부속품과 함께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이 된다.
[표 1]
이렇게해서 전자렌지의 도시하지 않은 플라그가 전원콘덴서에 꼽히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초기화되고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타트수위치(68)가 조작(ON)되었는가 여부를 감시하는 상태로 된다(제27도의 스텝 1(S1)). 한편 가열조리를 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리하는 식품을 그 조리내용에 따른 소망의 조리용 부속품에 넣고 그 조리용 부속품을 가열실(4)내에 배치하고 스타트스위치(68)를 조작한다. 스타트스위치(68)가 조작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우선 가열실(4)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을 판별해서 조리모드를 선택하는 조리모드 선택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조리모드 선택프로그램의 내용을 조리용 부속품마다 나눠서 제27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위쪽 사각철판(44)의 유무검출]
스타트스위치(68)가 조작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위쪽 사각철판(44)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2(S2)에 이행한다. 이 판단은 위쪽 중량센서(49)의 검출중량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즉 위쪽 사가철판(44) 단독의 중량을 약 1㎏(아래쪽 사각철판(45)도 동일)이기 때문에 식품이 담긴 위쪽 사각철판(44)의 총중량은 1㎏을 넘게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위쪽 중량센서(49)의 검출중량이 1㎏을 넘는 경우에는 위쪽 사각철판(44)이 있다고 판단하고 1㎏ 이하인때는 위쪽 사각철판(44)은 없다고 판단한다.
[아래쪽 사각철판(45)의 유무검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2(S2)에서 위쪽 사각철판(44)이 없다(No)고 판단되면 스텝 3(S3)에 이행된다. 이 스텝 3(S3)에서는 아래쪽 사각철판(45)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지만 그 판단은 아래쪽 중량센서(56)의 검출중량에 기초해서 행해지고 상기 스텝 2(S2)과 같은 형태로 아래쪽 중량센서(50)의 검출중량이 1㎏을 넘는 경우에는 아래쪽 사각철판(45)이 있다고 판단하고, 1㎏ 이하이면 아래쪽 철판이 없다고 판단한다.
아래쪽 사각철판(45)이 배치된 경우에는 아래쪽 사각철판(45)이 방해가 되어 회전판(26) 위에 해동석쇠(31), 남비(32), 다리부착 사각철판(46) 등은 배치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스텝 3(S3)에서 아래쪽 사각철파(45)이 있다(Yes)고 판단한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아래쪽 사각철판(45)만 사용한 조리가 된다.
이 조리는 아래쪽 사각철판(45)을 사용하는 오븐조리모드 이외에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67)는 해당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스텝 4(S4)에 이행해서 표시기(71)에 아래쪽 사각철판사용의 오븐조리를 실시하는 뜻을 표시한다.
[남비(32)의 유무검출]
스텝 3(S3)에서 아래쪽 시각철판(45) (No)이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남비(32)의 유무를 뚜껑의 유무에 의해 판단하는 스텝 5(S5)에 이행한다. 이 뚜껑의 유무는 제3 및 제4의 광센서(53) (54)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남비(32)가 회전판(26) 위에 배치된 경우, 그 남비(32)에는 금속뚜껑(34) 및 유리뚜껑(35)의 어느쪽인가가 덮여있다. 제13도에 나타낸 것처럼 금속뚜껑(34)가 덮여져 있을때는 제3 및 제4의 양센서(53,54)의 광로가 차단되고,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유리뚜껑(35)가 덮여있을때에는 제4의 광센서(54)만이 차단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제3 및 4의 광센서 (53) (54)가 모두 OFF되고 혹은 제4의 광센서(54)만이 OFF되어 있는 경우에는 남비(32)가 있다고 파단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남비(32)가 없다고 판단한다.
스텝 5(S5)에서 뚜껑이 있다고(Yes) 판단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에 중량센서(39)의 검출중량이 소정중량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스텝 6(S6)에 이행한다.
제3 및 제4의 광센서(53) (54)의 광로는 뚜껑이외의 것 예를들어 다리부착 사각철판(46) 위에 놓여진 높이가 높은 식품에 의해 가려진 경우이기 때문에 양광센서(53) (54)의 OFFㆍOFF만으로 남비(32)가 있다고 하는 것은 조리용 부속품의 판별을 잘못하는 것이 된다. 스텝 6(S6)은 그와 같은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남비(32)는 유리제이고 그 단체의 중량은 약 1.5㎏으로 상당히 무겁고 그 납비(32)내의 식품을 포함한 전체중량은 그 이상이 된다. 이것에 대해 예를들어 다리가 부착된 사각철판(46)은 사용하는 조리식품중 가장 중량이 커진 것에 미트로프(meat loaf)가 있지만 그 크기는 가열실(4)의 높이등에서 제약을 받기 때문에 1.5㎏을 넘는 큰 것을 조리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중량센서(39)의 검출중량이 1.5㎏을 넘는 경우에는 남비(32)가 배치되어 있다(Yes)고 판단하고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중 남비조리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다음 스텝 7(S7)에 이행해서 표시기(71)에 남비조리모드를 실행하는 의미를 표시한다.
[해동석쇠(31)의 유무검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5(S5)에서 뚜껑이 없다고(No) 판단한 경우 및 상기 스텝 6(S6)에서 중량센서(39)의 검출중량이 1.5㎏ 이하(No)로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8(S8)에 이행해서 모터(24)을 기동시켜 회전판(26)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9(S9)에 이행해서 해동석쇠(31)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제7 및 제8 광센서(57) (58)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즉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판(26) 위에 해동석쇠(31)가 놓여있는 경우에는 양광센서(57) (58)의 광로와 함께 회전하고 있는 해동석쇠(31)의 다리(31a)에 의해 간헐적으로 차단된다. 그러나 제25도에 나타낸 것처럼 다리가 부착된 사각철판(46)이 얹혀있는 경우에는 제7의 광센서(57)의 광로는 항상 차단되고, 제8의 광센서(58)의 광로만이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이 구멍(46b)이 있는 원통상 다리(46a)에 의해 간헐적으로 차단된다.
그래서 이 스텝 9(S9)에서는 양광센서(57) (58)이 함께 간헐적으로 ON하는 경우에는 해동석쇠(31)가 있다(Yes)고 판단해서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중 날것해동조리모드를 선택하고 다음 스텝 10(S10)에 이행해서 표시기(71)에 날것해동조리를 실행하는 의미를 표시한다.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의 유무검출 및 유리접시(30)의 유무판단]
상기 스텝 9(S9)에서 해동석쇠(31)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11(S11)에 이행한다. 이 스텝 11(S11)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상기한 해동석쇠(31)와 같은 식으로 제7 및 제8 광센서(57) (58)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행해지고 제7의 광센서(57)가 OFF를 유지하고 제8의 광센서(58)가 간헐적으로 ON하는 경우에는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이 있다(Yes)고 판단한다.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을 사용하는 조리모드는 오븐조리모드 이외에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리부착 사각철판사용의 오븐조리모드를 선택하고 다음 스텝 12(S12)에 이행해서 표시기(71)에 다리부착 사각철판 사용오븐 조리를 실용하는 의미를 표시한다.
또 제7의 광센서(57)가 OFF, 제8의 광센서(58)가 간헐적으로 ON 이외인 경우에는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이 없다(No)고 판단한다. 이 경우 거기까지의 스텝의 실행에 의해 상하의 사각철판(44) (45)이 없고, 남비(32)가 없고, 해동석쇠(31)가 없다고 판단되고 더욱이 이 스텝 11(S11)에서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이 없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조리용 부속품으로써는 유리접시(30)가 남아있을 뿐이다(석쇠(47)는 보통 위쪽 사각철판(44), 아래쪽 사각철판(45)과 셋트로 해서 사용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9(S9)에서 해동석쇠(31)가 없다(No)고 판단한 경우에는 유리접시(30)가 있다고 해서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중 데우는 모드를 선택하고 스텝 13(S13)에 이행해서 표시기(71)에 데우는 조리를 행하는 의미를 표시한다.
또한 스텝 9(S9)에서 해동석쇠(31)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 그후에 중량센서(3a)의 중량을 검출해서 회전판(26)만의 중량인 경우에는 유리접시(30)없음 또는 조리용 부속품 없음으로 표시기(71)에 경보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위쪽 사각철판(44)을 사용하는 히터조리모드에 석쇠(47)의 유무검출]
그래서, 상기 스텝 2(S2)에서 위쪽 사각철판(44)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67)는 히터조리모드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조리프로그램에서는 우선 스텝 S14에서 석쇠(47)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제1 및 제2의 광센서(51) 및 (52)의 출력신호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을 올려놓은 석쇠(47)가 위쪽 사각철판(44)에 놓여지고 있는 경우에는 제1의 광센서(51)의 광로는 석쇠(47)상의 식품에 의해 차단되지만 제2의 광센서(52)의 광로중에는 차광물은 없기 때문에 제1의 광센서(51)가 OFF하고, 제2의 광센서(52)가 ON하고 있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위쪽 사각철판(44)에 석쇠(47)있음(Yes)이라고 판단하고 그릴조리모드를 선택해 스텝 15(S15)으로 이행해서 표시기(71)에 그릴조리를 행하는 표시를 한다.
[위쪽 사각철판(44)사용의 히터조리모드에서의 아래쪽 사각철판(45)검출]
상기 스텝 14(S14)에서 석쇠(47)없음(No)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의 스텝 16(S16)에서 아래쪽 사각철판(45)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상기 스텝 3(S3)에서의 판단과 같이 행해지고 아래쪽 사각철판(45)없음(No)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윗쪽 사각철판사용의 오븐조리모드를 선택하고(스텝 16(S16)에서 「YES」), 스텝 17(S17)에 이행해서 윗쪽 시각철판사용의 오븐조리를 행하는 뜻을 표시한다. 또 스텝 16(S16)에서 아래쪽 사각철판(45)있음(YES)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하 양 사각철판사용의 오븐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스텝 18(S18)에 이행해서 상하 양 사각철판사용의 오븐조리를 실행하는 뜻을 표시한다.
[조리용 부속품 판별후의 처리]
이상과 같이 해서 조리용 부속품을 판별하는 것에 의해 조리모드를 선택하면 다음에 마이크로컴퓨터(67)는 선택한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리고 조리프로그램을 행하면 우선 조리해야 하는 식품의 종류를 판별한다.
이하, 조리모드마다 항을 나눠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조리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식품명을 들어서 설명하지만 각 조리는 그 식품에 한정받는 것은 아니고 해당식품에 같은 종류의 식품도 포함하는 것이다.
[남비조리모드]
[찌는 음식조리]
남비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제28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것처럼, 우선 스텝 19(S19)에서 남비(32)의 뚜껑이 금속뚜껑(34)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제3의 광센서(53)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찌는 조리는 제13도에 나타낸 것처럼 금속뚜껑(34)를 사용해서 행한다. 그리고 그 금속뚜껑(34)는 제3의 광센서(53)의 광로중에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67)는 해당 광센서(53)가 OFF해 있는 경우에는 금속뚜껑(34)가 있다(Yes)고 판단하고 남비조리프로그램중 찌는 조리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찌는 조리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우선 스텝 20(S20)에서 모터(24)에 통전해서 회전판(26)을 구동함과 동시에 마그네트론(5)에 통전한다. 그러면 남비(32)내의 물이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되어 끊는다. 이 비등에 의해 발생한 증기는 내용기(33)내로 그 작은 구멍(33a)을 통해서 공급되어 식품이 쪄지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전자렌지에서는 찌는 조리는 「슈마이(중국만두)류의 찜」, 「계란찜 」, 「돼지고기등의 찜」의 3종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67)는 마그네트론(5)으로의 통전개시에서 소정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알콜센서(60)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내용기(33)내의 식품이 상기 3종류의 어느쪽인가의 식품종류인가를 판별한다. 즉 제14에는 마그네트론(5)의 통전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과 알콜센서(60)의 알콜검출농도와의 관계를 실험결과에 기초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본 도면에서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마그네트론(5)의 통전후 예를들어 5∼10분 경과한 시점에서의 알콜농도는 슈마이류와 계란찜과 돼지고기류에서는 명확히 다르며, 돼지고기류가 가장 많고 계란찜에서 중간이고, 만두류가 가장 적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마그네트론(5)으로의 통전에서 예를들어 5분 경과한 시점에서 스텝 21(S21)으로 이행하고 알콜센서(60)의 알콜검출농도가 고기준농도치보다 높은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높은 경우(Yes)에는 찜조리대상식품은 돼지고기류로 판단하고 스텝 22(S22)에서 「돼지고기찜」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스텝 21(S21)에서「 No」로 판단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23(S23)으로 이행하고, 알콜센서(60)의 알콜검출농도를 저기준농도치보다 낮은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저기준농도치 보다도 낮은 경우(Yes)에는 찌는 조리대상식품은 슈마이나 만두류로 판단해서 스텝 24(S24)에서 「슈마이ㆍ만두찌기」의 조리메뉴를 선택하고 높은 경우(No)에서 찌는 조리대상식품은 계란찜으로 판단해서 스텝 25(S25)에서 「계란찜」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조리메뉴 선택이 완료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26(S26)에 이행해서 그 메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메뉴 프로그램은 예를들어 습도센서(61)가 소정습도를 검출할때까지의 시간과 중량센서(39)의 검출중량과 조리메뉴 마다에 정해진 수를 연산식에 대입해서 소정온도 검출시점까지의 남은 가열시간을 구하고 그 잔여 가열시간의 경과와 함께 찌는 조리를 종료한다라고 하는 것이다. 이경우 선택한 조리메뉴마다에 정해진 수를 다르게 한 것에서 각각의 선택한 조리내용에 적당한 가열상태에서 조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삶는 조리]
한편, 상기 스텝 19(S19)에서 금속뚜껑(34)가 없다(No)고 판단하면, 상기 스텝 5(S5)에서의 뚜껑이 있다는 판단결과와 아울러 남비(32)의 뚜껑은 유리뚜껑(35)으로 되기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27(S27)로 이행해 모터(24)를 구동시켜서 회전판(26)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다음 스텝 28(S28)에서 교반날개(38)가 설치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은 토크센서(40)의 검출토크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즉 교반날개(38)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남비(32)의 회전과 함께 교반날개(38)가 식품을 교반하게 되기 때문에, 교반축(37)에 토크가 가해져서 토크센서(49)가 토크를 출력하다. 마이크로컴퓨터(67)는 토크센서(49)가 토크를 검출한 경우, 교반날개(38)가 있다(Yes)라고 판단하고 교반날개(38)를 설치해서 행하는 조리는 스튜등의 삶는 조리이기 때문에 스텝 29(S29)에 이행해서 「삶음」조리메뉴를 선택한다. 한편 스텝 28(S28)에서 토크센서(49)에서의 토크검출 신호가 없고 교반날개(38)가 없다(No)고 판단한 경우에는 유리뚜껑(35)를 덮은 교반날개(38)없이 행하는 조리는 반찬류의 삶는 조리 또는 취사이기 때문에 스텝 30(S30)으로 이행해서 밥 짓는 조리로 되는 「밥」조리메뉴를 선택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삶음」 또는 「밥」의 조리메뉴를 선택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31(S31)에 이행하고 여기서 마그네트론(5)에 통전해서 가열 개시하고, 그후, 상기 스텝 26(S26)에 이행하고 찌는 조리의 경우와 같은 조리메뉴를 실행한다. 이 경우도 선택한 조리메뉴 마다에 정해진 수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 선택한 조리내용에 적당한 가열상태로 조리할 수 있다.
[데우는 조리모드]
이 데우는 조리모드에서는 각종 식품이 데우는 대상이 된다. 이 조리모드가 대상으로 하는 데우는 조리는 「술」, 「우유」, 「인스턴트 된장국」, 「카레」, 「인스턴트 데워먹는 밥ㆍ반찬」, 「냉동된 인스턴트 밥ㆍ반찬」이다. 냉동보존된 밥, 반찬에서는 건조를 피하기 위해 이것을 넣은 용기는 보통 플라스틱 필름등에 의해 랩봉지되어 있다.
데우는 조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제28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것처럼 마이크로컴퓨터(67)는 우선 스텝 32(S32)에서 알콜센서(60)에 의해 알콜이 검출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술은 상온에서도 알콜이 증발되기 때문에 제15도에 나타낸 것처럼 술이 들어있는 술병(72)등을 가열실(4)내에 넣으면 제16도에 나타낸 것처럼 알콜센서(60)는 곧 알콜을 검출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32(S32)에서 알콜이 있다(Yes)고 판단하면 식품은 술로 판정해서 스텝 33(S33)에 이행하고 「술」데우는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스텝 32(S32)에서 알콜이 없는 (No)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34(S34)으로 이행하고 유리접시(30)에 담긴 식품의 높이가 높은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제4의 광센서(54)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즉, 데우는 식품을 넣은 용기중 키가 큰 용기는 술병과 우유병으로 생각할 수 있다. 술병의 경우에는 스텝 32(S32)에서 「Yes」로 되어 술로 판정되기 때문에 스텝 34(S34)에서의 판단은 우유병인가 그외의 키가 낮은 용기인가를 판단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7도에 나타낸 것처럼 유리접시(30)에 얹혀있는 용기가 키가 큰 우유병(73)인 경우, 제4의 광센서(54)의 광로는 차단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제4의 광센서(54)가 OFF되어 있는 경우, 키가 크다(Yes)고 판단하고 스텝 35(S35)에 이행해서 「우유」 데우는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또 제4의 광센서(54)가 ON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유병이 아니라고 해서 다음 스텝 36(S36)으로 이행하고 칼라센서(63)의 검출색이 백색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칼라센서(63)가 백색(Yes)인 경우에는 제17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키가 낮은 컵(74)에 들어있는 백색음료, 예를들어 우유라고 판단하고 상기 스텝 35(S35)에 이행해서 「우유」 데우는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술」 또는 「우유」의 조리메뉴를 선택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37(S37)에 이행해서 마그네트론(5)에 통전하고 가열을 시작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중량센서(39)의 검출중량을 읽는(스텝 38(S38))것과 동시에 이 중량에서 술 또는 우유의 중량을 연산해서 그양에 응하는 가열시간을 설정한다(스텝 39(S39)). 이때 술과 우유의 중량이 같아도 실행하는 조리메뉴에 의해 가열시간이 달라지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술과 우유는 중량이 같아도 실행하는 조리메뉴에 의해 가열시간이 달라지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술과 우유는 각각 적당한 온도로 데워진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에 스텝 40(S40)에 이행해서 설정된 가열시간을 측정하고 이 설정시간의 경과와 동시에 데우는 조리는 종료한다. 스텝 40(S40)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소정의 시간간격에서 적외선 센서(64)의 검출신호로부터 식품의 온도를 검출하고 있고, 상기 설정시간의 경과전에도 조리메뉴에 응한 소정온도의 온도에 달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가열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텝 36(S36)에 있어서 칼라센서(63)의 검출색이 백색이외(No)인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 스텝 41(S41)에 이행해서 마그네트론(5)에 통전하고 식품을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하기 시작한다. 이 가열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마이크로컴퓨터(67)는 알콜센서(60)의 알콜검출농도가 소정농도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42(S42)에 이행한다. 제18도는 가열시작으로 부터의 경과시간과 알콜농도와의 관계를 인스턴트 된장국 및 카레와 그외 식품에 있어서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동도면으로 알수 있는 것처럼 인스턴트 된장국 및 카레는 그외의 식품에 비해 가열개시후 빠른 시간에 알콜 농도가 높아진다. 그래서 스텝 42(S42)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알콜 농도가 소정 기준 농도치 이상(Yes)인 경우에는 인스턴트 된장국이나 카레라고 판정하고 스텝 43(S43)에 이행해서 「인스턴트 된장국ㆍ카레」의 데우는 메뉴를 선택한다.
또한 스텝 42(S42)에서 알콜농도가 소정기준 농도치이하(No)인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랩의 유무를 판단하는 스텝 44(S44)으로 이행한다. 이 판단은 습도센서(61)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즉 제19도에 나타낸 것처럼 랩으로 쌓여있는 냉동밥이나 냉동반찬에서는 가열개시해도 가열실(4) 내에서의 증기방산은 거의 없기 때문에 가열개시 당초는 습도센서(61)는 습기를 거의 검출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랩으로 싸여있지 않은 냉장 밥ㆍ반찬과 같은 것에서는 가열개시초부터 증기 발생이 비교적 많다. 그래서 스텝 44(S44)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습도센서(61)의 검출습도가 기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랩이 없다(No)고 판단해서 식품은 냉장된 밥ㆍ반찬으로 판정되어 스텝 45(S45)에 이행하고 「냉장된 밥ㆍ반찬」 데우는 조리를 선택한다. 또 습도센서(61)의 검출습도가 기준치보다 적은 경우에는 랩이 있다(Yes)로 판단하고 식품은 냉동된 밥ㆍ반찬으로 판정해서 스텝 46(S46)으로 이행하고 「냉동밥ㆍ반찬」 데우는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냉장된 밥ㆍ반찬」의 조리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40(S40)에 이행해서 적외선 센서(64)에 의해 식품의 온도를 검출하면서 소정온도에 달한 시점에서 가열을 종료한다. 이때도 종료온도를 선택한 조리메뉴 즉 「냉장된 밥ㆍ반찬」에 적당한 온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냉동된 밥ㆍ반찬」의 조리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26(S26)에 이행하고 상기한 것처럼 습도센서(61)의 검출습도, 중량센서(39)의 검출중량에 기초해서 남은 가열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 설정시간의 경과와 함께 데우는 조리를 종료한다. 냉동된 밥이나 반찬의 경우 가열초기에는 랩의 존재에 의하여 증기는 가열실(4)내에 거의 방산되지 않지만 발생증기량의 증가와 함께 랩이 파손되어 증기가 가열실(4)내에 방산되기 때문에 이때 습도센서(61)는 습도검출을 하게 된다.
[날것 해동조리모드]
날것 해동조리는 냉동보존한 고기 및 회의 해동을 위한 것이다.
이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제28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것처럼 우선 해동석쇠(31)에 놓인 식품의 두께를 판단하는 스텝 47(S47)을 실행한다. 이 판단은 제5도 및 제6도의 광센서(55) (56)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해동석쇠(31)에 얹혀있는 식품의 두께를 판별한다.
상기한 것처럼 통상 고기의 두께는 2㎝ 이상, 회는 1㎝ 미만이고, 양광센서(55) (56)는 식품의 두께가 2㎝ 이상인가 1㎝ 미만인가를 검출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양광센서(55) (56)가 함께 OFF한 경우에는 두께(2㎝ 이상)이라고 판단해서 스텝 48(S48)에 이행하고 「고기」의 해동조리 메뉴를 선택하다. 양광센서(55) (56)가 함께 ON된 경우에는 얇다(1㎝ 미만)고 판단해서 스텝 49(S49)에 이행하고 「회」의 해동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또 제5의 광센서(55)가 OFF하고 제6의 광센서(56)가 ON한 경우에는 두께가 중간(1㎝ 이상 2㎝ 미만)으로 판단해서 스텝 50(S50)에 이행하고 「고기 또는 회」의 해동조리 메뉴를 선택한다.
「고기」, 「회」, 「고기 또는 회」의 해동조리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에 상기 스텝 37(S37)에 이행해서 마그네트론(5)에 통전하고 해동용 가열을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한 것과 같이 스텝 38(S38)에서 중량센서(39)의 검출중량에서 식품의 중량을 연산하고 다음의 스텝 39(S39)에서 그 중량에 따른 가열시간을 설정한다. 그후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40(S40)에 이행해서 설정된 가열시간을 측정하고 그 설정시간의 종료와 함께 가열을 종료한다. 이때도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한 것과 같은 적외선센서(64)의 검출신호에서 식품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설정시간의 경과전이어도 소정온도에 달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가열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해동의 경우에는 마그네트론(5)은 저출력으로 해서 식품이 삶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행한다. 이 경우 고기는 해동후 가열조리하기 때문에 다소 삶아져도 좋지만 회의 경우에는 삶는 것은 절대 피해야 한다. 이 때문에 고기의 경우에는 마그네트론(5)의 출력은 회의 경우보다도 다소 많아도 좋다.
「고기 또는 회」의 조리메뉴에서는 실제로 해동석쇠(31)에 놓여있는 식품이 고기인 경우도 있으며 회의 경우도 있기 때문에 회의 경우인 가열상태에서 마그네트론(5)의 제어가 행해지는 것이다.
[그릴조리모드]
이 전자렌지에서는 그릴조리모드가 대상으로 하는 조리는 「간장을 발라서 굽는 요리」, 「꽁치」, 「새우」, 「자반」, 「닭다리」, 「간장소스」이다. 「간장을 발라서 굽는 요리」를 하는 구체적인 식품으로써는 방어구이, 닭꼬치, 오징어간장구이, 삼치구이, 고등어 구이등이다.
[간장을 발라서 굽는 요리]
그릴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제29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것처럼 우선 알콜센서(60)의해 알콜이 검출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51(S51)을 실행한다.
이 식품은 알콜분을 함유하는 간장이나 맛술등에 담가놓기 때문에, 간장을 발라서 구울식품이 가열실(4)내에 넣어지면 알콜센서(60)는 즉시 알콜을 검출하게 되지만 그이외의 식품에서는 알콜이 검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51(S51)에서 알콜검출된(Yes)으로 판단하면 석쇠(47)상의 식품은 간장을 발라서 굽는 식품으로 판정되어 「간장을 발라서 굽는 요리」 조리메뉴를 선택하고(스텝 52(S52)), 다음에 그릴용 히터(7)에 통전한다(스텝 53(S53)). 그후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54(S54)에 이행하고 여기서 그릴온도센서(66)의 검출온도에 기초해서 온도의 변화율(예를들어 가열개시 시점의 온도와 5분 경과후의 온도)를 연산하고 이 변화율에 기초해서 가열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가열시간은 소정의 연산식에 의해 설정되도록 되어 있고 이 연산식중의 정해진 수를 선택한 조리메뉴에 따라서 변화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그 식품의 조리에 최적인 가열시간이 설정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는 「간장을 발라서 굽는 요리」의 조리메뉴를 선택한 것이므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연산식의 정해진수를 「간장을 발라서 굽는 요리」의 조리메뉴의 정해진 수로 결정해서 가열시간을 연산하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그릴용 히터를 단전하고 조리를 종료하는 것이다.
[간장조림, 닭다리]
상기 스텝 51(S51)에서 알콜이 없다(No)고 판단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 스텝 55(S55)에 이행해서 그릴용 히터(7)에 통전하고 식품의 가열을 개시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67)는 소정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알콜센서(60)에 의해 알콜이 검출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56(S56)).
실험에 따르면 꽁치, 새우, 자반은 가열되면 알콜이 증발하도록 되어있고 간장조림, 닭다리 고기는 가열되어도 알콜분의 증발은 적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56(S56)에 있어서 알콜검출이 없다(No)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음에 식품이 간장조림이나 닭다리 고기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스텝 57(S57)에 이행한다.
이 스텝 57(S57)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CCD카메라(62)의 화상정보에 기초해서 식품의 면적(S)을 연산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화상 처리수단으로써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67)는 식품의 면적(S)과 상중량센서(49)의 검출중량에 기초한 식품중량(W)과의 비를 연산하고 이 S/W가 기준치보다 큰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간장조림는 밀도가 작기 때문에 S/W는 크고, 역으로 닭다리 고기는 밀도가 크기 때문에 S/W는 작다 여기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S/W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Yes), 식품은 간장조린背 판정해서 스텝 58(S58)에 이행하고 「간장조림」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또 S/W가 기준치보다도 작은 경우(No)에는 식품은 닭다리 고기로 판정해서 스텝 59(S59)에 이행하고 「닭다리」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간장조림」 또는 「닭다리」의 조리메뉴를 선택한후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54(S54)의 실행에 옮긴다.
[자반]
상기 스텝 56(S56)에서 알콜이 없다(No)고 판단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에 상기 스텝 57(S57)과 같은 식으로 식품의 면적(S)과 중량(W)과의 비를 연산하고 그 S/W가 기준치보다 큰가 여부를 판단한다. 제22도에 나타낸 것처럼 같은생선에서도 배를 갈라서 말린 자반(75) (도면에서 실선으로 나타냄)은 평평하기 때문에 날 생선(76) (도면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에 비해 중량에 비해 면적이 넓다. 여기서 같은 스텝 60(S60)에서 S/W가 기준치보다도 큰(Yes) 경우에는 식품을 자반으로 판정해서 스텝 61(S61)에 이행하고 「자반」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54(S54)의 실행에 옮긴다.
[꽁치, 새우]
상기 스텝 60(S60)에서 S/W가 작다고 판단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62(S62)에서 습도센서(61)의 검출습도가 기준치보다 큰가여부를 판단한다. 새우는 가열되면 비교적 많은 증기를 발생하지만 꽁치에서는 그 정도로 많은 증기는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62(S62)에서 습도센서(61)의 검출습도가 적은(No) 경우, 식품은 꽁치라고 판정해서 스텝 63(S63)에 이행하고 「꽁치」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또한 습도센서(61)의 검출습도가 많은 경우에는 식품을 새우로 판정되어 스텝 64(S64)에 이행하고 「새우」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꽁치」 또는 「새우」의 조리메뉴를 선택한 후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54(S54)를 실행에 옮긴다.
이상과 같이해서 조리메뉴의 선택후 스텝 54(S54)를 실행에 옮기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여기서 상기한 것과 같이 선택한 조리메뉴에 응한 가열시간을 설정하고 이 설정시간의 경과와 함께 그릴용 히터(7)를 단전해서 그릴조리를 종료한다. 또한 그릴조리에서 가열온도는 선택된 조리메뉴와는 무관하게 일정온도에 설정되어 있고, 그릴조리중 마이크로컴퓨터(67)는 그릴용 히터(67)를 그릴용 온도센서(66)의 검출온도에 기초해서 그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위쪽 사각철판(44)사용 오븐조리모드]
이 조리모드에서 대상이 되는 조리는 「피자」, 「버터롤」, 「슈크림」, 「쿠키」, 「햄버거 스테이크」로 되어있다. 이중 「햄버거 스테이크」를 제외한 4가지 조리는 아래쪽 사각철판(45)만을 사용해서 조리할 수 있고 또 양이 많을때에는 상하양 사각철판(44) (45)을 사용해서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햄버거 스테이크」의 경우는 위쪽 사각철판만 사용하는 조리에 한정되고 있다.
이 조리모드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제30도에 나타낸 것처럼 우선 스텝 65(S65)에서 식품의 높이가 위쪽 사각철판(44)의 주벽보다도 높은가 여부를 판단하다. 이 판단은 제2의 광센서(52)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피자, 버터롤, 슈크림, 햄버거스테이크중 위쪽 사각철판(44)의 주벽높이보다 높은 식품은 버터롤뿐이고 버터롤은 제2의 광센서(52)이 광로를 차단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65(S65)에서 제2의 광센서(52)가 OFF인 경우에는 식품은 위쪽 사각철판(44)의 주벽보다 높다(Yes)고 판단하고 그 식품은 버터롤이라고 판단해서 다음의 스텝 66(S66)에서 「버터롤」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후 스텝 67(S67)로 이행해서 오븐용 히터(6) 및 순환용 팬장치(18)의 팬모터(16)에 통전해서 열품을 가열실(4)내로 보내고 식품의 가열을 시작한다.
가열개시후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68(S68)로 이행한다. 이 스텝 68(S68)에서는 예를들어 조리메뉴마다 설정되어 있는 온도 및 시간의 데이타중에서 선택한 조리메뉴, 여기서는 「버터롤」의 설정온도 및 시간을 선택한다. 그리고 가열실(4)내의 온도가 해당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오븐용 온도센서(65)의 검출온도에 기초해서 오븐용 히터(6)를 통단전 제어하고 설정시간의 경과와 함께 오븐용 히터(6) 및 팬모터(16)를 단전해서 조리를 완료한다.
[햄버거와 피자]
상기 스텝 65(S65)에서 식품이 윗쪽 사각철판(44)의 주벽보다 낮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69(S69)로 이행해서 오븐용 히터(6) 및 팬모터(16)에 통전해서 식품의 가열을 개시한다.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스텝 70(S70)에 이행해서 알콜센서(60)가 알콜을 검출했다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실험에 의하면 햄버거스테이크 및 피자는 가열되면 알콜성분을 방출한다. 이때의 알콜방출량은 피자쪽이 많다. 또 슈크림 및 쿠키는 알콜을 거의 방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스텝 70(S70)에서 알콜검출 및 있음(Yes)이라고 판단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에 스텝 71(S71)에 이행해서 이 알콜 방출량이 많은가 여부를 판단한다. 알콜량이 기준값 이하(No)이면 식품을 햄버거스테이크라고 판정하고 스텝 72(S72)에서 「햄버거스테이크」의 조리메뉴를 선택하고, 기준값 이상이면 식품은 피자라고 판정해서 스텝 73(S73)에서 「피자」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햄버거스테이크」혹은 「피자」의 조리메뉴를 선택한후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68(S68)의 실행으로 옮긴다.
[슈크림]
상기 스텝 70(S70)에서 알콜없음(No)이라고 판단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식품이 윗쪽 사각철판(44)의 주벽보다도 높은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74(S74)에 이행한다. 슈크림은 가열되면 부풀어져서 윗쪽 사각철판(44)의 주벽보다 높아진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65(S65)에서 윗쪽 사각철판보다도 낮다(No)라고 판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스텝 74(S74)에서 높다(Yes)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식품은 슈크림이라고 판정하고 다음의 스텝 75(S75)으로 이행해서 「슈크림」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쿠키]
상기 스텝 74(S74)에서 윗쪽 사각철판(44)보다도 낮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식품의 수가 기준수보다도 많은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스텝 76(S76)으로 이행한다. 이 판단은 CCD카메라(62)의 화상정보에 기초해서 행해지고 식품수가 많은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77(S77)에 이행해서 상중량센서(49)의 검출중량으로부터 구해지는 식품의 중량이 400g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쿠키는 개수는 많아도 가벼우므로 400g 미만이고,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77(S77)에서 중량 400g 미만(No)인 경우, 식품은 쿠키라고 판정하고 스텝 78(S78)에 이행해서 「쿠키」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다음에 상기 스텝 68(S68)을 실행에 옮긴다. 또한 이 스텝 76(S76), 스텝 77(S77)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아래쪽 사각철판(45) 사용의 경우에 있어서, 쿠키, 마드레느, 롤케이크의 구분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해서 윗쪽 사각철판(44)상의 식품에 응한 조리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스텝 68(S68)에 이행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같이 선택한 조리메뉴에 응한 가열온도 및 시간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조리를 종료한다.
[아래쪽 사각철판(45)을 사용하는 오븐 조리모드]
이 조리모드에서의 대상조리는 「피자」, 「버터롤」, 「슈크림」, 「쿠키」, 및 「로스트치킨」, 「그라탕」, 「마드레느」, 「스페어립」, 「롤케익」으로 하고 있다. 이중 「피자」에서 「쿠키」까지의 식품을 상기한 바와같이 윗쪽 사각철판(44)만을 사용해서 조리할 수도 있고 또 양에 따라서는 상하 양사각철판(44) (45)을 사용해서 조리하는 것도 할수 있지만 「로스트치킨」에서 「롤케익」까지의 식품은 아래쪽 사각철판(45)사용의 조리에 한정되어 있고 더우기 「스페어립」의 경우는 아래쪽 사각철판(45)에 석쇠(47)를 얹어서 조리하게 되어있다.
[스페어립]
이 조리모드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우선 스텝 79(S79)에서 석쇠(47)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제4 및 제5의 광센서(54) 및 (55)의 출력신호에 기초해서 판단한다. 즉, 석쇠(47)위에 스페어립이 얹혀있는 경우에는 제2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4의 광센서(54)가 OFF하고 제5의 광센서(55)가 ON하므로 이 경우(Yes)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식품은 스페어립이라고 판정하고, 스텝 80(S80)에 이행해서 「스페어립」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계속해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한 스텝 67(S67) 및 스텝 68(S68)을 순서대로 실행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한 곳에서 조리를 종료한다.
[로스트치킨]
상기 스텝 79(S79)에서 석쇠(47) 없음(No)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에 제6의 광센서(56)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식품이 아래쪽 사각철판(45)의 주벽보다도 높은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81(S81)에 이행한다. 제6의 광센서(56)가 OFF인 경우(Yes)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제4의 광센서(54)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식품의 높이가 대단히 높은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스텝 82(S82)에 이행한다. 로스트치킨은 닭한마리를 통구이하기 때문에 다른 식품에 비해서 높이가 높아서 제4의 광센서(54)의 광로를 차단한다. 그래서 제4의 광센서(54)가 OFF인 경우(Yes)에는 식품은 로스트치킨이라고 판정하고 다음 스텝 83(S83)에 이행해서 「로스트치킨」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한 스텝 67(S67), 스텝 68(S68)을 순서대로 실행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한 곳에서 조리를 종료한다.
[버터롤과 그라탕의 판별]
아래쪽 사각철판(45)의 주벽보다도 높지만, 그러나 로스트치킨 정도 높지 않은 식품은 상기 스텝 82(S82)에 있어서 「No」라고 판단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84(S84)에 이행하고 오븐용 히터(6) 및 팬모터(16)에 통전해서 식품의 가열을 개시한다.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스텝 85(S85)에 이행해서 알콜센서(60)가 알콜을 검출했나 안했나를 판단한다. 실험에 따르면 버터롤은 가열되면 알콜성분을 방출하지만 그라탕은 알콜성분을 거의 방출하지 않는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 스텝 84(S84)에서 알콜양이 기준값 이상(Yes)인 경우, 식품은 버터롤이라고 판정하고 스텝 86(S86)에 이행해서 「버터롤」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또 알콜량이 기준값 이하(No)이라면 식품은 그라탕이라고 판정하고 스텝 87(S87)에 이행해서 「그라탕」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피자, 슈크림, 쿠키, 마드레느, 롤케익의 판별]
아래쪽 사각철판(45)의 주벽보다도 높이가 낮은 식품은 상기 스텝 81(S81)에서 「No」로 판단된다. 이 아래쪽 사각철판(45)의 주벽보다도 높이가 낮은 식품으로써는 피자, 슈크림, 쿠키, 마드레느, 롤케익의 5가지 식품이 있다. 롤케익은 아직 둥굴게 말지않고 높이가 낮은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스텝 81(S81)에서 「No」로 판단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88(S88)로 이행하고 오븐용 히터 및 팬모터(16)에 통전해서 식품의 가열을 시작한다.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스텝 89(S89)로 이행해서 알콜센서(60)가 알콜을 검출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5가지 식품중 피자 이외에는 가열되면 알콜분을 방출한다. 그래서 스텝 89(S89)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알콜량이 기준치 이하(No)인 경우, 식품은 피자라고 판정하고 상기 스텝 89(S89)에 이행해서 「피자」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다음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스텝 89(S89)에서 알콜량이 기준치 이상(Yes)인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74(S74)에 이행한다. 여기에서 「Yes」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슈크림 이외에 없으므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75(S75)에 이행해서 「슈크림」의 조리메뉴를 선택하고 다음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스텝 74(S74)에서 식품이 아래쪽 사각철판(45)의 주벽보다 낮다(No)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CCD센서(62)로부터의 화상정보를 기초로 식품의 수를 판단하는 상기 스텝 76(S76)에 이행한다. 롤케익은 아래쪽 사각철판(54)에 밀가루반죽을 흘려넣어 굽기 때문에 그 수는 1장이므로 스텝 76(S76)에서 소수(Yes)라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식품은 롤케익이라고 판정해서 스텝 90(S90)에 이행하고 「롤케익」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스텝 76(S76)에서 소수가 아니다(No)라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식품중량이 400g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스텝 77(S77)에 이행한다. 마드레느는 케익에 비해서 무겁고 400g 이상이다. 이때문에 스텝 77(S77)에서 식품중량 400g 이상(Yes)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식품은 마드레느라도 판정해서 스텝 91(S91)에서 「마드레느」의 조리메뉴를 선택하고 400g 미만(No)인때, 식품은 쿠키라고 판정해서 상기 스텝 78(S78)에서 「쿠키」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마드레느」 혹은 「쿠키」의 조리메뉴를 선택한후 상기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이상과 같이 해서 아래쪽 사각철판(45)상의 식품에 대응한 조리메뉴를 선택해, 상기 스텝 68(S68)에 이행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같이 선택한 조리메뉴의 설정온도 및 시간으로 조리를 제어하고 그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조리를 종료한다.
[상하 양사각철판(44,45)사용의 오븐조리모드]
이 조리모드에서 대상으로 하는 조리는 「피자」, 「버터롤」, 「슈크림」, 「쿠키」의 4가지 이다.
[버터롤]
이 조리모드가 실행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제30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우선 제6의 광센서(56)의 검출신호에 의해 식품의 높이를 판별하는 상기 스텝 81(S81)과 같은 스텝 92(S92)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6의 광센서(56)가 OFF인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높은 식품(Yes)이라고 판단하고 식품은 버터롤이라고 판정해서 상기 스텝 66(S66)에서 「버터롤」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피자, 쿠키, 슈크림]
또 스텝 92(S92)에 있어서, 제6의 광센서(56)가 수광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에는 낮은 식품이라고 판단하고, 이하, 상기 스텝 89(S89), (S87), (S76), (S77)을 실행하고 판정한 식품에 응해서 「피자」, 「쿠키」, 「슈크림」의 어느쪽인가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상기 스텝 73(S73), (S75), (S78)). 또한 스텝 74(S74) 및 (S77)에서는 상하양사각철판(44, 45)상의 식품의 높이 및 중량이 검출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해서 조리메뉴를 판별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68(S68)에 이행하고 상기한 것과 같이 선택한 조리메뉴의 설정온도 및 시간에서 조리를 제어하고 그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조리를 완료한다.
[다리부착 사각철판(46) 사용의 오븐조리모드]
이 조리모드에서 대상으로 하는 조리는, 「파운드케익」, 「푸딩」, 「식빵」, 「미트로프」, 「키슈ㆍ로렌스」, 「스폰지케이크ㆍ파운드케이크」, 「애플파이」, 「로스트비프」, 「로스트포크」의 9가지 조리이다. 또한 「식빵」은 밀가루 반죽에서 빵을 굽는 조리를 말한다.
[키슈ㆍ로렌스 및 애플파이의 판별]
이 조리모드가 실행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제30도의 프로챠트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우선 제6의 광센서(56)의 검출신호에 의해 식품의 높이를 판별하는 상기 스텝 93(S93)을 실행한다. 또한 이때 상기 스텝 8(S8)의 실행에 의해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은 회전하고 있다.
상기 9가지 조리의 식품중 높이가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의 주벽보다도 낮은 식품은 키슈로렌스 및 애플파이 2품목이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93(S93)에서 제6의 광센서(56)가 ON하고 있는 경우에는 높이가 낮은 식품(No)이라고 판단해 스텝 94(S94)에 이행해서 오븐용 히터(6) 및 팬모터(16)에 통전해서 가열실(4)내를 가열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마이크로컴퓨터알콜센서(60)가 알콜을 검출했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95(S95)를 실행한다. 키슈로렌스 및 애플파이중 애플파이는 가열되면 알콜분을 방출하지만 키슈로렌스는 알콜분을 거의 방출하지 않는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95(S95)에 있어서, 알콜농도가 기준치이하(NO)인 경우에는 식품은 키슈로렌스이라고 판정해서 스텝 96(S96)에 이행하고 「키슈로렌스」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또 알콜농도가 기준치이상(Yes)인 경우에는, 식품은 애플파이라고 판정해서 스텝 97(S97)로 이행하고, 「애플파이」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키슈로렌스」 혹은 「애플파이」의 조리메뉴를 선택한후, 마이크로컴퓨터(67)는 상기 스텝 68(S68)의 실행으로 옮긴다.
[식빵의 판정]
식품의 높이를 판단하는 상기 스텝 93(S93)에 있어서, 제6의 광센서(56)가 OFF하고 있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높은 식품(Yes)이라고 판단해 제4의 광센서(54)에 의해 식품이 대단히 높은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98(S98)에 이행한다. 높이가 대단히 높은 식품으로서는 식빵이 있다. 식빵은 키가 높은 금속용기내에 밀가루반죽을 넣어서 발효시킨 후 구워내는 조리이기 때문에 그 금속용기가 제4의 광센서(54)의 광로를 차단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98(S98)에 있어서, 제4의 광센서(54)가 OFF하고 있을 경우, 키가 높은 식품(Yes)이라고 판단해, 식품은 식빵이라고 판정해서 스텝 99(S99)에서 「식빵」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67(S67)에 이행해서 가열을 개시한후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푸딩의 판정]
상기 스텝 98(S98)에 있어서, 제4의 광센서(54)가 ON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그렇게 높지 않은 식품(NO)이라고 판단해, 다음 스텝 100(S100)에 이행한다. 이 스텝 100(S100)에서는 반사형 광센서(59)의 출력신호에 기초해서 식품의 개수가 5개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제26b도에서 이해되는 것과 같이, 반사형 광센서(59)는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의 1회전에 식품수에 응한 회수만큼 반사광을 받기 때문에 그 1회전중에 대한 광센서(59)의 수광량신호의 피크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해 식품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푸딩」에 관해서는 한번에 5개 이상을 굽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광의 광도에 응해서 크기가 변하는 광센서(59)에 수광량신호의 피크회수가 5회 이상인때, 마이크로컴퓨터(67)는 식품수가 5 이상(Yes)이라고 판단하고 식품은 「푸딩」이라고 판정해서 스텝 101(S101)에서 「푸딩」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67(S67)에 이행해서 가열을 개시한후,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파운드 케이크의 판정]
상기 스텝 100(S100)에서 식품수가 5개 미만(NO)이라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다음에 스텝 102(S102)에 이행해, 반사형 광센서(59)의 수광량신호의 피크회수로부터 식품(이 실시예에서는 식품을 넣은 용기)의 외주형태를 검출한다.
파운드케이크를 굽는 경우 제26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사각의 금속제케이크형(77)에 밀가루 반죽을 넣어서 굽는다. 이 때문에, 반사형 광센서(59)는 카운드케이크에서는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의 1회전에 해당하고 케이크형(77)의 4측면에서 반사광을 받아서, 수광량신호의 피크를 4회 출력하게 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102(S102)에 있어서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이 1회전하는 사이에 반사형 광센서(59)의 수광량 피크회수가 4회인 경우(Yes)에는 식품은 파운드케이크라고 판정해서 스텝 103(S103)에서 「파운드케이크ㆍ스폰지케이크」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67(S67)에 이행해서 가열을 개시한후,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미트로프의 판정]
상기 스텝 102(S102)에서 반사형 광센서(59)의 수광량 피크회수가 다리부착 사각철판(46)의 1회전당 4회이외(NO)인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104(S104)에 이행한다. 이 스텝 104(S104)에서는 중량센서(39)의 검출중량에서 구해지는 식품중량이 1㎏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미트로프」의 중량은 통상 1㎏ 이상이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104(S104)에 있어서, 식품중량이 1㎏ 이상인때(Yes)에는 식품은 미트로프라고 판정하고 스텝 105(S105)에 이행해서 「미트로프」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67(S67)에 이행해서 가열을 개시한후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스폰지케이크의 판정]
상기 스텝 104(S104)에서 식품중량이 1㎏ 미만(NO)인때,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106(S106)에 이행한다. 이 스텝 106(S106)에서는 상기 스텝 102(S102)와 같이 반사형 광센서(59)의 수광량신호에 의해 식품의 외주형태, 여기에서는 원통형의 금속용기가 사용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폰지케이크를 굽는 경우, 그 반죽은 원통형의 금속제케이크형에 넣어진다. 이 원형금속 케이크형의 경우에는, 반사형 광센서(59)가 받는 반사광의 광도는 높고 그것도 광도변화는 거의 없기 때문에 그 수광량신호는 크고 또한 일정하게 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반사형 광센서(59)의 수광량신호가 기준치보다 크고 대략 일정한 경우 원통형 금속용기가 사용되고 있다(Yes)고 판단해서 식품은 스폰지케이크라고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스텝 103(S103)에 이행해서 「카운드케이크ㆍ스폰지케이크」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스텝 67(S67)에 이행해서 가열을 개시하고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로스트비프와 로스트포크의 판별]
상기 스텝 106(S106)에 있어서 반사형 광센서(59)의 수광량신호에 기초해서 금속용기가 아니다(NO)라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108(S108)에 이행한다. 이 스텝 107(S107)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67)는 알콜센서(60)가 알콜을 검출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소고기는 알콜분을 방산하지만 돼지고기는 거의 방산하지 않는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67)는 스텝 107(S107)에 있어서 알콜이 검출되고 있는 경우(Yes), 식품은 비프라고 판단해서 스텝 108(S108)에 이행하고, 「로스트비트」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또, 알콜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NO), 식품은 포크라고 판정해서 스텝 109(S109)에 이행해서 「로스트포크」의 조리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로스트비프」 혹은 「로스트포크」의 조리메뉴를 선택한, 상기 스텝 67(S67)에 이행해서 가열을 개시하고 스텝 68(S68)의 실행에 옮긴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해서 식품판별 결과에 기초해서 조리메뉴를 선택하고 가열개시후, 상기 스텝 S68에 이행하면 마이크로컴퓨터(67)는 여기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선택한 조리메뉴의 가열온도 및 시간을 설정하고 그 설정시간의 경과에 동반해 조리를 종료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모드에 의해서 사용되는 조리용 부속품이 다른 것에 착안해서 우선 가열실(4)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을 판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의도하고 있는 조리모드를 자동적으로 판별하기 때문에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있던 종래와는 달리 조리모드의 설정이 자동적으로 착오없이 행해지고 하나하나 사용자가 조리모드를 선택설정하는 번잡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사각철판으로서는, 위쪽 사각철판(44)와 아래쪽 사각철판(45)의 2종류이고 아래쪽 사각철판(45)은 오븐조리 전용으로 되지만 위쪽 사각철판(44)은 오븐조리에도 그릴조리에도 사용된다고 하는 사정이 있어도 상하 양사각철판(44,45)중 어느쪽인가 한쪽, 혹은 쌍방의 검출에 의해 우선 히터 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위쪽 사각철판(45)의 검출에 의해 히터조리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더우기 석쇠(47)의 유무에 의해서 오븐조리모드 및 그릴조리모드의 어느쪽인가를 선택하므로 조리모드의 선택을 착오없이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조리모드의 설정후 가열실(4)내에 수납된 식품을 각종의 센서의 검출정보에 기초해 자동적으로 판별해서 그 식품에 응한 가열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조리메뉴를 선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수의 조리메뉴로부터 원하는 것을 선택설정하는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그것도 그 식품판별은, 조리모드 설정후에 행해지므로 이 조리모드에서 조리되는 식품군, 즉 어떤 범위에 한정되는 식품군에서 구체적 식품을 판별하면 좋으므로 식품판별 나아가서는 조리메뉴의 선택을 착오없이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1회의 조리개시조작에 의해 조리모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고 또한 식품을 자동적으로 판별해서 그 식품에 응한 가열조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오븐조리 혹은 그릴조리의 가열원으로서는 가스버너등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내에 상하의 위치관계를 가지고 배치되는 윗쪽 사각철판, 아래쪽 사각철판 및 윗쪽 사각철판을 받침으로 해서 그 윗쪽 사각철판에 설치된 식품 담아놓는 기구를 포함하고 가열실내에 조리내용에 응해서 선택하고 탈착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리용 부속품과, 이 조리용 부속품에 담겨지거나, 조리용 부속품에 넣어진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원으로서의 마그네트론, 오븐용 히터 및 그릴용 히터와, 상기 가열실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을 검출하는 부속품 검출수단과, 이 부속품 검출수단의 검출결과가 상기 상 및 하의 양사각철판이 없을때 마이크로파 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상하 양사각철판의 어느쪽인가가 있을때 히터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이 선택결과가 윗쪽 사각철판이 있고 히터조리모드인 경우에는 더욱 상기 식품재치구의 유무에 의해 오븐조리모드 및 그릴조리모드의 어느쪽인가를 선택하는 조리모드 선택수단과, 상기 마그네트론, 오븐용 히터 및 그릴용 히터중 상기 조리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조리모드에 응한 가열원을 그 선택원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부속품 검출수단의 검출결과가 상 및 하의 양사각철판이 있는 경우, 윗쪽 사각철판만 있는 경우 및, 아래쪽 사각철판만 있을때, 조리모드 선택수단은 각각 상하 사각철판 사용의 오븐조리모드, 윗쪽 사각철판사용의 오븐조리모드, 아래쪽 사각철판 사용의 오븐조리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1항에 있어서, 윗쪽 사각철판에 설치되는 식품담는 기구는 석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3항에 있어서, 부속품 검출수단의 검출결과가 석쇠가 있을때 조리모드 선택수단은 그릴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석쇠가 없을때 오븐조리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가열실과, 이 가열실내에 조리내용에 응해서 선택해서 탈착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리용 부속품과, 이 조리용 부속품에 올려지거나 조리용 부속품에 담겨진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원으로서의 마그네트론 및 히터와, 상기 가열실내에 배치된 조리용 부속품을 검출하는 부속품 검출수단과, 이 부속품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의해 마이크로파 조리모드 및 히터조리모드의 어느쪽을 선택해서 이 선택결과가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이었던 경우에는 더욱 해동조리모드, 데우기조리모드 및 남비조리모드중에서 부속품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응한 조리모드를 선택하는 조리모드 선택수단과, 상기 마그네트론 및 히터중 상기 조리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조리모드에 응한 가열원을 그 선택된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5항에 있어서, 가열실내의 알콜을 검출하는 알콜센서와, 식품을 수용한 용기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센서를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중 데우기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에 있어서, 마그네트론에 의한 가열전에 상기 알콜센서에 의해 알콜이 있다고 검출된때 상기 용기내의 식품을 정종이라고 판정하고 알콜이 없다고 검출되어 또한 상기 높이센서에 의해 용기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검출된때 그 용기내의 식품을 우유라고 판정하고 데우기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이것들 판정결과에 응한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6항에 있어서, 식품이 백색인 것을 검출하는 칼러센서를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알콜센서에 의해 알콜이 없다고 검출되고 또한 높이센서에 의해 용기가 소정높이 이하로 검출된때 칼라센서에 의해 용기내의 식품을 백색음료와 그 이외의 식품으로 분류하고 데우기 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그 분류결과에 응한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사각철판은 접시형을 이룸과 동시에 사각철판에 올려진 식품의 높이를 그 사각철판의 주벽높이를 기준으로 검출하는 높이센서를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상기 높이센서에 의한 식품높이의 검출결과에 응해서 식품의 종류를 판별하고 오븐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그 판별결과에 응한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9. 제8항에 있어서, 가열실내의 알콜을 검출하는 알콜센서를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높이센서에 의해 식품이 사각철판의 주벽높이보다 높다고 검출된때 그 높이정도에 응해서 식품의 종류를 판별하고 낮다고 검출된때에는 가열후의 알콜센서의 알콜검출농도에 의해 식품의 종류를 판별하고 오븐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그 판별결과에 응한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0.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열실내의 알콜을 검출하는 알콜센서와, 사각철판에 놓여진 식품의 갯수를 검출하는 갯수센서와, 사각철판에 놓여진 식품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센서를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알콜센서의 알콜검출농도와 갯수센서의 검출갯수에 응해서 특정종류의 식품과 그 이외의 종류의 식품으로 판별하고 그것이외의 종류의 식품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중량센서의 검출중량에 응해서 식품의 종류를 판별하고 오븐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각각의 판별결과에 응한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1. 제1항, 제3항 및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열실내의 알콜을 검출하는 알콜센서를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그릴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의 실행에 들어간후 식품의 가열전에 상기 알콜센서가 알콜을 검출한때 특정의 조리그룹의 식품이라고 판정하고 그릴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그 특정조리그룹의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가열전에 알콜이 검출되지 않았던 것에 의해서 특정의 조리그룹이외의 식품이라고 판정한때 가열후의 알콜센서의 알콜검출농도에 의해서 식품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릴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그 판별결과에 응한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식품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센서와, 식품을 윗쪽에서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이 촬영수단의 화상정보로 식품의 면적을 연산하는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특정의 조리그룹이외의 식품이라고 판정한때 그 식품의 종류를 중량과 면적으로 판별하고 그릴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그 판별결과에 응한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4. 제12항에 있어서, 식품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센서와, 식품을 윗쪽에서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이 촬영수단의 화상정보에서 식품의 면적을 연산하는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특정의 조리그룹이외의 식품이라고 판정한때 그 식품의 종류를 가열후의 알콜센서의 알콜검출농도와 중량과 면적으로 판별하고 그릴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그 판별결과에 응답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5. 제14항에 있어서, 가열실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를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가열후의 알콜센서의 알콜검출농도와 중량과 면적과 가열후의 습도센서의 검출습도에 의해 식품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릴조리모드의 조리프로그램중에서 그 판별결과에 응한 조리메뉴를 선택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19930003944A 1992-03-13 1993-03-13 전자렌지 KR960002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55460 1992-03-13
JP4055460A JPH05256458A (ja) 1992-03-13 1992-03-13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095A KR930020095A (ko) 1993-10-19
KR960002813B1 true KR960002813B1 (ko) 1996-02-26

Family

ID=1299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944A KR960002813B1 (ko) 1992-03-13 1993-03-13 전자렌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60965A (ko)
EP (1) EP0562741B1 (ko)
JP (1) JPH05256458A (ko)
KR (1) KR960002813B1 (ko)
DE (1) DE69310794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557A (ko) * 2017-06-09 2018-12-19 이진희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252B2 (ja) * 1993-08-30 2000-10-30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2627730B2 (ja) * 1993-09-23 1997-07-09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電子レンジの自動整合装置
KR0160406B1 (ko) * 1993-12-15 1998-12-15 김광호 유도가열기능부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270747B1 (ko) * 1994-10-20 2000-11-01 모리시타 요이찌 고주파 가열장치
US5591261A (en) * 1994-11-30 1997-01-07 Too Sweet, Ltd. Electromechanical cake decorating apparatus
JPH0933054A (ja) * 1995-07-19 1997-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KR100218958B1 (ko) * 1996-02-23 1999-09-01 윤종용 전자렌지의 트레이 구동 제어방법
US6133558A (en) * 1996-06-24 2000-10-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crowave steam heater with microwave and steam generators controlled to equalize workpiece inner and surface temperatures
FR2768588B1 (fr) * 1997-09-18 2000-09-15 Moulinex Sa Four a micro ondes et procede de rechauffage automatique d'un aliment place dans ce four a micro ondes
US6850861B1 (en) * 1999-05-21 2005-02-01 Syracuse University System for monitoring sensing device data such as food sensing device data
GB2364227B (en) * 1999-09-22 2002-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oven
KR100709324B1 (ko) * 2000-03-31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EP1346181A4 (en) * 2000-11-21 2007-12-12 Lg Electronics Inc BOLOMETRIC HUMIDITY DETECTOR AND OVEN INTEGRATING THIS DET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OVEN
KR20030013181A (ko) * 2001-08-07 200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취반기능을 갖는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478455B1 (ko) * 2002-08-19 2005-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0500984B1 (ko) * 2002-12-02 2005-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494575B1 (ko) * 2003-03-10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습도센서를 이용한 건조 장치 및 방법
EP1458220B1 (en) 2003-03-12 2006-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having a steam generating function
US20050184066A1 (en) * 2003-05-22 2005-08-25 Brooks Joseph R. Susceptor cooking trays and kits for microwavable food products
US20050265423A1 (en) * 2004-05-26 2005-12-01 Mahowald Peter H Monitoring system for cooking station
US7235762B2 (en) * 2004-06-14 2007-06-26 Western Industries, Inc. Factory preset temperature warming appliance
US7488919B2 (en) * 2004-09-01 2009-02-10 Western Industries, Inc. Warming apparatus
US20060151490A1 (en) * 2005-01-07 2006-07-13 Dodge Angela N Combination microwave oven pedestal and support cooking sheets for microwavable dough products
FR2885005B1 (fr) * 2005-04-22 2007-06-29 Premark Feg Llc Four a micro-ondes avec au moins une plaque d'adaptation
KR20070005808A (ko) * 2005-07-06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코드를 이용하는 조리 장치와 조리 시스템 및 조리 제어방법
US7973642B2 (en) * 2006-04-28 2011-07-05 Restaurant Technology, Inc. RFID food production, inventory and delivery management method for a restaurant
JP2008283665A (ja) * 2007-04-10 2008-11-20 Epson Toyocom Corp 輪郭振動子
JP5044339B2 (ja) * 2007-09-11 2012-10-10 株式会社ハーマン グリル付き加熱調理器
JP2010054173A (ja) * 2008-08-29 2010-03-11 Sharp Corp 加熱調理器
JP5318200B2 (ja) * 2009-04-28 2013-10-16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EP2958399B1 (en) 2010-07-01 2019-10-09 Goji Limited Processing objects by radio frequency (rf) energy
US9992824B2 (en) * 2010-10-29 2018-06-05 Goji Limited Time estimation for energy application in an RF energy transfer device
US9161395B2 (en) * 2011-06-30 2015-10-13 Cem Corporation Instrument for performing microwave-assisted reactions
ITMI20120037A1 (it) * 2012-01-17 2013-07-18 C B S R L Metodo per la somministrazione di calore all'interno di un ambiente di cottura.
EP2618634A1 (en) * 2012-01-23 2013-07-24 Whirlpool Corporatio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US9429920B2 (en) 2012-04-16 2016-08-30 Eugenio Minvielle Instructions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US20140069838A1 (en) 2012-04-16 2014-03-13 Eugenio Minvielle Nutritional Substance Label System For Adaptive Conditioning
US9460633B2 (en) 2012-04-16 2016-10-04 Eugenio Minvielle Conditioner with sensor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9702858B1 (en) 2012-04-16 2017-07-11 Iceberg Luxembourg S.A.R.L. Dynamic recipe control
US9538880B2 (en) * 2012-05-09 2017-01-10 Convotherm Elektrogeraete Gmbh Optical quality control system
US10065278B2 (en) 2013-01-22 2018-09-04 Western Industries Incorporated Spill resistant warming drawer
US9420641B2 (en) 2013-01-23 2016-08-16 Whirlpool Corporation Microwave oven multiview silhouette volume calculation for mass estimation
US10119708B2 (en) * 2013-04-23 2018-11-06 Alto-Shaam, Inc. Oven with automatic open/closed system mode control
JP5853155B2 (ja) * 2013-10-24 2016-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調理システム、演算装置及び調理支援方法
JP6586274B2 (ja) * 2014-01-24 2019-10-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調理装置、調理方法、調理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調理情報提供方法
EP2930433B1 (en) * 2014-04-07 2022-01-12 Whirlpool EMEA S.p.A. Oven comprising a scanning system
JP6503161B2 (ja) * 2014-07-11 2019-04-1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火力制御装置、火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194853B1 (en) * 2014-09-03 2018-07-1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Domestic appliance, in particular cooking oven, with a camera
US11229095B2 (en) * 2014-12-17 2022-01-18 Campbell Soup Company Electromagnetic wave foo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US10708987B2 (en) * 2015-04-10 2020-07-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oking apparatus for targeted thermal management
EP3085285B1 (en) * 2015-04-23 2019-06-12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system particularly for pasta, rice and bread
US10739013B2 (en) 2015-05-05 2020-08-11 June Life, Inc. Tailored food preparation with an oven
US9644847B2 (en) 2015-05-05 2017-05-09 June Life, Inc. Connected food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IN2015CH02730A (ko) * 2015-05-30 2015-07-10 Wipro Ltd
US11388788B2 (en) 2015-09-10 2022-07-12 Brava Home, Inc. In-oven camera and computer vision systems and methods
US11156366B2 (en) 2015-09-10 2021-10-26 Brava Home, Inc. Dynamic heat adjustment of a spectral power distribution configurable cooking instrument
US10760794B2 (en) * 2015-09-10 2020-09-01 Brava Home, Inc. In-oven camera
US20170103676A1 (en) * 2015-10-08 2017-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Personalized Nutrition Analysis Based on Image and Sensor Driven Data
JP2018531049A (ja) 2015-10-23 2018-10-25 トレガー・ペレット・グリルズ,エルエルシー 煙発生料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708409B2 (en) 2015-10-23 2020-07-07 Traeger Pellet Grills, Llc Mobil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US10785363B2 (en) 2015-10-23 2020-09-22 Traeger Pellet Grills, Llc Cloud system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with mobile application
US11765261B2 (en) 2015-10-23 2023-09-19 Traeger Pellet Grills, LLC. Mobil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US10757244B2 (en) 2015-10-23 2020-08-25 Traeger Pellet Grills, Llc Cloud system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with mobile application
US10735575B2 (en) 2015-10-23 2020-08-04 Traeger Pellet Grills, Llc Mobil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AU2016329040B2 (en) 2015-10-23 2021-07-29 Traeger Pellet Grills, Llc Cloud system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with mobile application
US10701199B2 (en) 2015-10-23 2020-06-30 Traeger Pellet Grills, Llc Cloud system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with mobile application
US10791208B2 (en) 2015-10-23 2020-09-29 Traeger Pellet Grills, Llc Mobil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US10491738B2 (en) 2015-10-23 2019-11-26 Traeger Pellet Grills, Llc Cloud system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with mobile application
US10455022B2 (en) 2015-10-23 2019-10-22 Traeger Pellet Grills, Llc Cloud system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with mobile application
NZ739399A (en) 2015-10-23 2022-10-28 Traeger Pellet Grills Llc Mobil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outdoor grill
USD827356S1 (en) 2016-02-11 2018-09-04 Whirlpool Corporation Oven
USD819386S1 (en) 2016-02-11 2018-06-05 Whirlpool Corporation Oven
DE202016103464U1 (de) * 2016-06-29 2016-07-19 SMR Patents S.à.r.l. Heizung,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r Heizung und Außenrückblickspiegel mit einer Heizung
WO2018056977A1 (en) 2016-09-22 2018-03-2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 electromagnetic energy delivery
WO2018075026A1 (en) 2016-10-19 2018-04-2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magnetic cooking using closed loop control
US10993294B2 (en) 2016-10-19 2021-04-27 Whirlpool Corporation Food load cooking time modulation
US11041629B2 (en) 2016-10-19 2021-06-22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ood preparation utilizing a multi-layer model
WO2018118066A1 (en) 2016-12-22 2018-06-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magnetic cooking using non-centered loads management through spectromodal axis rotation
WO2018118065A1 (en) 2016-12-22 2018-06-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magnetic cooking using non-centered loads
WO2018125149A1 (en) 2016-12-29 2018-07-05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ith automatic melt oper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in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CN109792809B (zh) 2016-12-29 2021-03-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磁烹饪装置和控制电磁烹饪装置中的烹饪的方法
EP3563632B1 (en) 2016-12-29 2023-01-18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ith automatic popcorn popping feat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in the electromagnetic device
JP6853876B2 (ja) 2016-12-29 2021-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磁調理装置及び電磁調理装置における調理を制御する方法
US11343883B2 (en) 2016-12-29 2022-05-24 Whirlpool Corporation Detecting changes in food load characteristics using Q-factor
US11432379B2 (en) 2016-12-29 2022-08-30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ith automatic liquid he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in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US11184960B2 (en) 2016-12-29 2021-11-23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for a cooking device
US11412585B2 (en) 2016-12-29 2022-08-09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ith automatic anti-splatter operation
WO2018125137A1 (en) 2016-12-29 2018-07-05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frequency response of a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US11102854B2 (en) 2016-12-29 2021-08-24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ing distribution in a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US11483906B2 (en) 2016-12-29 2022-10-25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oking level of food load
USD909811S1 (en) 2016-12-30 2021-02-09 Whirlpool Corporation Panel for an oven
CN109924391B (zh) * 2017-12-18 2022-10-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基于食物状况的微波炉自适应解冻方法及自适应解冻系统
US11116050B1 (en) 2018-02-08 2021-09-07 June Life, Inc. High heat in-situ camera systems and operation methods
US11333364B2 (en) * 2018-04-05 2022-05-17 Rockwell Collins, Inc. Adaptive cooking system
JP2020183839A (ja) * 2019-05-09 2020-11-12 東京瓦斯株式会社 調理管理の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
DE102019213485A1 (de) * 2019-09-05 2021-03-1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Mikrowellengerät mit Mikrowellendom
EP4061187A4 (en) 2019-11-20 2023-12-06 June Life,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COMPLETION TIME OF FOOD PRODUCTS
US11754292B2 (en) * 2020-02-14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ing cooker and heating cooking method
WO2021184003A1 (en) 2020-03-13 2021-09-16 June Life, Inc. Method and system for sensor maintenance
WO2021195622A1 (en) 2020-03-27 2021-09-30 June Life, Inc.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ambiguous objects
RU199820U1 (ru) * 2020-04-13 2020-09-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РКУТСКОЕ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Устройство с нагреватель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инфракрас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различных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USD1007224S1 (en) 2021-06-11 2023-12-12 June Life, Inc. Cooking vessel
USD978600S1 (en) 2021-06-11 2023-02-21 June Life, Inc. Cooking vessel
KR20240052461A (ko) * 2022-10-14 2024-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9845A (en) * 1979-09-05 1980-04-10 Hitachi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lour picture tube
JPS5733733A (en) * 1980-08-07 1982-02-23 Toshiba Corp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CA1169495A (en) * 1980-09-24 1984-06-19 Wesley W. Teich Microwave oven control system
US4447692A (en) * 1981-05-18 1984-05-08 Essex Group, Inc. Control system with interactive display
JPS60253738A (ja) * 1984-05-29 1985-12-14 Toshiba Corp 加熱調理装置
JPS6161514A (ja) * 1984-09-03 1986-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イジタルフイルタ回路
JPH0753525B2 (ja) * 1986-09-02 1995-06-07 日立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子部品搬送用バケット
JPH0349006A (ja) * 1989-07-17 1991-03-01 Nec Kansai Ltd 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JP2598831B2 (ja) * 1990-04-26 1997-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
JP2536666B2 (ja) * 1990-05-31 1996-09-18 松下電工株式会社 漏電遮断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557A (ko) * 2017-06-09 2018-12-19 이진희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10794D1 (de) 1997-06-26
JPH05256458A (ja) 1993-10-05
KR930020095A (ko) 1993-10-19
EP0562741B1 (en) 1997-05-21
EP0562741A1 (en) 1993-09-29
US5360965A (en) 199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813B1 (ko) 전자렌지
EP2704526B2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2368782U (zh) 烹饪设备
KR101120397B1 (ko) 가열조리기와 비타민 c를 증가시키는 조리 방법
US7005614B2 (en) Cooking apparatus equipped with heat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960002806B1 (ko) 가열조리기
EP2728966A1 (en) High-frequency heating cooker
JP2024010154A (ja) 加熱調理器
JP3023264B2 (ja) 加熱調理器
JP2011153780A (ja) 高周波加熱調理装置
JPH07318080A (ja) 加熱調理器
JP3762594B2 (ja) 加熱調理器
KR20050081371A (ko) 조리용 오븐의 히터 제어 방법
JP2020143847A (ja) オーブンレンジ
KR101901937B1 (ko) 조리장치
KR20000013635A (ko) 히터 위치 감지 수단을 가지는 전자 레인지
JPH06281151A (ja) 加熱調理器
KR20050081663A (ko) 조리용 오븐의 온도 제어 방법
JPH07174344A (ja) 電子レンジ
JPH05164328A (ja) 加熱調理器
JPH05240445A (ja) 加熱調理器
JPH05302723A (ja) 加熱調理器
JPH05172336A (ja) 加熱調理器の被調理物判別装置
JPH05312333A (ja) 加熱調理器
JPH05312332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