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833B1 - 광학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833B1
KR950014833B1 KR1019860006711A KR860006711A KR950014833B1 KR 950014833 B1 KR950014833 B1 KR 950014833B1 KR 1019860006711 A KR1019860006711 A KR 1019860006711A KR 860006711 A KR860006711 A KR 860006711A KR 950014833 B1 KR950014833 B1 KR 950014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hinge
movable body
optical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558A (ko
Inventor
히로시 오우노우에
요시마사 고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2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558A/ko
Priority to KR101995000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Die Bonding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Laser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Head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학 픽업 장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광학 픽업 장치의 제1실시예로서,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
제3도는 확대 사시도.
제4도는 확대 분해 사시도.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광학 픽업 장치의 제2실시예로서,
제5도는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을 따른 단면도.
제7도는 확대 사시도.
제8도는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제9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광학 픽업 장치의 제3실시예로서,
제9도는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X-X선을 따른 단면도.
제11도는 확대 사시도.
제12도는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제13도는 종래의 광학 픽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의 개략 사시도.
제14도는 종래의 광학 픽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의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픽업 장치 2 : 베이스 기판
13 : 평행링크 15 : 힌지
15a : 힌지부재 15b : 힌지부재
19 : 가동체 23 : 대물렌즈
1A : 광학 픽업 장치 1B : 광학 픽업 장치
33 : 평행링크 37 : 가동체
39 : 평행링크.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광학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에 빔광을 조사하여 기록을 행하거나, 기록체의 기록면에 빔광을 조사하고 그 되돌아오는 광을 검출하므로써 상기 신호를 판독하는 광학 픽업 장치에 있어서, 특히, 빔광을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를 그 광축 방향 즉, 포커싱 방향과 상기 포커싱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충격 특히, 트랙킹 방향에서의 충격이나 가속이 가해져도 대물렌즈가 용이하게 트랙킹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는 새로운 광학 픽업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빔광을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를 그 광축 방향인 포커싱 방향과 상기 포커싱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인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광학 픽업 장치에 있어서, 대물렌즈의 트랙킹 방향으로의 회전 중심을 대물렌즈를 지지하는 가동부재의 거의 중심 위치에 설치하므로써 장치에 충격 등이 가해져도 대물렌즈의 트렉킹 방향으로의 위치나 자세가 쉽게 어긋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
[일반적 배경]
광학 디스크를 사용한 기록은, 기록할 신호를 0과 1의 조합에 의한 디지탈 신호로 변조하는 동시에 상기 디지탈 신호에 대응한 피트(pit)를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에 형성하므로써 행해지고, 상기 피트는 예컨대, "나선형"으로 연속한 1개의 트랙을 그리도록 하면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된 신호의 재생은, 반도체 레이저 등의 레이저 발진기에서 발진된 빔광을 광학 디스크의 기록 트랙 위에 조사하는 동시에 되돌아오는 광을 검출하므로써 실행된다.
따라서, 광학 디스크에 기록된 음악이나 영상을 재생하는 소위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등에 있어서는, 빔광을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를 구비한 광학 픽업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재생할 때는 광학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대물렌즈를 그 광축이 기록 트랙을 따라가는 것처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광학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하기 위해서는, 빔광이 기록면에 소정 직경을 갖는 스포트로서 집광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대물렌즈와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 사이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지지될 필요가 있다. 이 거리를 일정하게 지지시키는 경우의 정밀도는, 적어도 상기 피트의 깊이 즉, 약 0.1미크론 이하의 오차로 수납될 정도이어야 한다. 그러나,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을 이와 같은 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은 곤란하며, 더우기 광학 디스크가 장착되는 스핀들 기구의 정밀도 여하에 따라서도 상기 거리는 현저하게 변화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광학 픽업 장치에 있어서는, 그 대물렌즈와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값에서 벗어났을때 이것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물렌즈를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광학 픽업 장치에 있어서 대물렌즈는 통상적으로 그 광축 방향인 포커싱 방향과 상기 포커싱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인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종래 광학 픽업 장치의 제1실시예(제13도)]
제13도는 대물렌즈가 포커싱 방향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종래의 광학 픽업 장치의 실시예(a)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3도에서 b는 렌즈 지지부재이며, 상기 렌즈 지지부재(b)에는 대물렌즈(c)가 고정되어 있다. d는 도시않은 지지부재에 상기 대물렌즈(c)의 광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된 미끄럼부재이며, 상기 미끄럼부재(d)의 렌즈 지지부재(b)는 상기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는 판 스프링재료 등으로 구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평행아암(e)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대물렌즈(c)는 포커싱 방향과 상기 포커싱 방향에 직교하는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종래의 광학 픽업 장치의 제2실시예]
제14도는 종래의 광학 픽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f)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4도에서 g는 거리 원주형으로 형성된 렌즈 지지부재이며, 상기 렌즈 지지부재(g)는 그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구멍(h)에 지지축(i)이 삽입되므로써, 상기 지지축(i)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또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도면부호 j는 렌즈 지지부재(g)에 고정된 대물렌즈이며, 상기 대물렌즈(j)는 그 광축이 렌즈 지지부재(g)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k는 렌즈 지지부재(g)에 지지축(i)을 끼우고 거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이다.
따라서, 대물렌즈(j)는 포커싱 방향과 상기 포커싱 방향에 직교하는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종래의 광학 픽업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c 및 j)가 포커싱 방향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지만, 대물렌즈(c 및 j)가 이와같은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면, 광학 픽업 장치(a 및 f)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가속, 특히, 트랙킹 방향에서의 충격이나 가속이 가해지면, 트랙킹 어긋남을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제13도에 도시한 광학 픽업 장치(a)에서는 대물렌즈(c)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재(b)가 판 스프링재료로 구성된 평행아암(e)의 요동 단부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은 방향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충격 등의 가해지면 그 충격 등에 의해 렌즈 지지부재(b)에 모멘트가 발생되기 때문에, 그 충격력에 의해 거리(x)만큼 트랙킹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므로 대물렌즈(c)의 기록 트랙에 대한 위치가 트랙킹 방향으로 어긋나게 된다.
또한, 제14도에 도시한 광학 픽업 장치(f)에서는 밸런스 웨이트(k)를 설치하므로써 충격이나 가속에 의한 지지부재(g)의 회전 모멘트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으나, 대물렌즈(j)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재(g)는 그 삽입 구멍(h)에 지지축(i)을 삽입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렌즈 지지부재(g)의 지지축(i)의 사이에는 상기 렌즈 지지부재(g)가 지지축(i)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또한, 미끄럼가능하게 되기 위해 필요한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상술한 바와같은 충격등이 가해지면, 그 충격등에 의해 렌즈 지지부재(g)가 최대로 상기 간극의 거리만큼 트랙킹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며, 이에 의해 대물렌즈(j)의 기록 트랙에 대한 위치가 트랙킹 방향으로 어긋나게 된다.
공지된 바와같이 광학 디스크에 있어서 기록 트랙은 그 폭 즉, 각각의 피트의 폭이 0.5 내지 0.8미크론 정도이며, 또한 그 트랙간의 피치가 약 1.6미크론 정도로 형성되고, 더우기, 빔광은 최소한 그 집광된 빔 스포트의 중심이 기록 트랙의 폭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조사될 필요가 있다. 즉, 대물렌즈(c 및 j)의 기록 트랙에 대한 위치는 적어도 0.5미크론 내지 0.8미크론 이하의 정밀도로 제어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대물렌즈가 상술한 바와같은 지지구조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가속에 의해 용이하게 트랙킹 어긋남을 일으키게 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픽업 장치는 상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포커싱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평행 링크의 기단부를 베이스 기판에 지지하는 동시에,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힌지의 한쪽 힌지부재를 상기 평행링크의 선단부에 지지하고 또한 다른쪽의 힌지부재를 대물렌즈가 설치된 가동부재에 고정하고,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축이 상기 가동부재의 거의 중심위치를 통과하도록 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픽업 장치에 외부로부터의 가속이 가해져도, 그 충격이나 가속이 가동부재에 대한 모멘트 즉, 한지축을 회전중심으로하여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대물렌즈가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실시예]
[제1실시예(제1도 내지 제4도)]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광학 픽업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부호(2)는 광학 픽업 장치(1)의 베이스 기판이며, 상기 베이스 기판(2)은 전후방향, 즉, 제1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제1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측"으로 하고,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방측"으로 한다. 또한 위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좌측"으로 하고, 아래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우측"으로 한다. 후술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도시할때는 이 방향에 의한 것으로 한다 )으로 약간 긴 장방향으로서 한쪽 모서리가 경사 절단된 형태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3개의 모서리부는 약간 두껍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두껍게 형성된 부분에 긴 구명(3)이 형성된다.
(4)는 베이스 기판(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개구부이며, 그 폭은 베이스 기판(2)의 좌우측 길이의 거의 절반 정도로 하고, 그 전단부는 반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5)는 베이스 기판(2)의 윗면중 그 후단 가장자리와 상기 개구부(4)의 후단 사이에 돌출된 베이스이며, 좌우 양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부의 상면에 나사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7, 7', 8, 8'는 베이스 기판(2)의 윗면에서 직립형으로 형성된 요크이다. 상기 요크(7,7')는 베이스 기판(2)의 윗면중 상기 개구부(4)의 옆가장자리중 전후 방향에서 거의 중앙부를 따르는 부분에서 직립으로 형성되고, 또한, 외측에 위치되는 요크(8,8')는 베이스 기판(2)의 상면중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분에서 요크(7,7')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요크(7,7',8,8')는 상하 방향으로 긴 거의 장방형의 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2)은 도시하지 않은 광학 블럭상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광학 블럭에는 예컨대 레이저 빔을 발진하는 반도체 레이저와, 상기 빔을 후술하는 대물렌즈로 유도하는 코리미터 렌즈 및 1/4 파장판과, 상기 반도체 레이저에서 발진된 레이저 빔과 광학 디스크에서 반사된 복구된 광을 분리하는 편광 빔 스프리터와, 상기 복귀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 등의 광학 제품, 예를들어, 상기 광검출기가 검출한 복귀된 광으로부터 포커스 오차 신호 및 트랙킹 오차 신호를 연산하고 또한 상기 오차 신호에 의하여 보정 전류를 후술하는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로 공급하는 제어 회로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학 디스크에 설치된 반도체 레이저에서 발진된 레이저 빔은 제2도에서 2점쇄선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같은 평행광속의 상태로 베이스 기판(2)에 형성된 개구부(4)의 전단부를 통해서 상방을 향해서 출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9, 9'는 마그네트이다. 상기 마그네트(9,9')는 그 형성이 상기 요크(7,7',8,8')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 위치한 요크(8,8') 및 내측에 위치한 요크(7,7')와 대향하는 쪽의 면에 접착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요크(7,7')와 마그네트(9,9')와 요크(8,81) 이에는 지력선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로(磁路)로 형성된다.
또한, 이와같이 형성된 자로중에 후술하는 코일이 위치된다.
도면부호 10은 후술하는 가동체를 상향방향인 포커싱 방향과 수평 방향인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아암이며, 상기 지지아암(10)은 베이스 기판(2)에 고정되는 기부와 평행링크 및 힌지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도면부호 11은 지지아암(10)의 기부이며, 상기 기부(11)는 평면형상으로 베이스 기판(2)에 형성된 상기 베이스(5)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좌우 양단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3은 평행링크이다. 상기 평행링크(13)는 상방에서 투시하였을 때 전후 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또한, 좌우 방향에서 보아 전후 방향으로 긴 대(台)형상을 이루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행링크(13)의 후단 가장자리와 상기 기부(11)의 상하 양단부 중의 전단부는 극히 얇은 가요부(14)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도면부호 15는 힌지이다. 상기 힌지(15)는 서로 전방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2개의 힌지부재(15a,5b)의 상기 힌지부재(15a,15b)의 각 중앙부를 연결하는 가요부(15c)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방에서 투시하였을 때 거의 H형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힌지부재(15a,15b)는 전후방향에서 보아 거의 정방형상을 이루는 판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높이는 상기 기부(11)의 높이와 거의 같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힌지부재(15a,15b)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중앙부 사이는, 상방에서 투시한 상태에서 2개의 원호가 서로 좌우 방향으부터 외접하는 형상을 취하는 가요부(15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가요부(15c)의 중앙부는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얇게 형성된 부분이 힌지(15)의 축, 즉, 힌지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힌지부재(15,15b)중의 뒷쪽의 힌지부재(15b)의 상하양단면의 후단부의 평행링크(13)의 각 전단 가장자리는 매우 얇은 가요부(16)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아암(10)은, 그 힌지(15)가 베이스 기판(2)에 형성된 개구부(4)의 거의 중앙부의 상방에 위치되며, 그 기부(11)가 베이스 기판(2)에 형성된 베이스(5)위에 적재되는 동시에, 그 삽입구멍(12)을 통과하는 볼트(17)의 하부가 베이스(5)에 형성된 나사구멍(6)에 결합되므로써 베이스 기판(2)에 설치된다. 또한, 도면부호 18은 기부(11)와 볼트(17)의 헤드 사이에 삽입된 와셔이다.
이렇게 하여, 힌지(15)는 평행링크(13) 및 기부(11)를 거쳐서 베이스 기판(2)에 지지된다.
따라서, 힌지(15)에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력이 가해지면, 상기 힌지(15)는 평행링크(13)가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태대로 회전하기 때문에 형상, 그 힌지부재(15b)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자세를 유지한채로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힌지(15)의 앞쪽의 힌지부재(15a)에 트랙킹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가해지면, 상기 힌지부재(15a)는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면부호 19는 후술의 대물렌즈가 설치된 가동체이다.
상기 가동체(19)의 높이는 상기 힌지(15)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이며, 또한, 상방에서 투시하였을 때 외형이 베이스 기판(2)에 형성된 개구부(4)에서 1회전 정도 적은 유사한 형태를 취하는 동시에, 축심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직경 렌즈 부착구멍(20)이 형성된 기부(19a)와 상기 기부(19a)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암(19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19a)의 후단부의 렌즈 부착구멍(20)사이의 부분에는, 힌지(15)의 힌지부재(15a)의 두께와 거의 같은 정도의 폭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 부착홈(21)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19b)의 후단부에는 서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동일축상에 위치되는 부착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19a)에 형성된 렌즈 부착구멍(20)의 상하 방향에서 거의 중앙의 부분에는 환상의 돌출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같이 형성된 가동체(19)는, 그 힌지 부착홈(21)에 상기 지지아암(10)의 힌지(15)중의 앞쪽의 힌지부재(15a)의 양측단부가 결합되고, 또한, 상기 힌지부재(15a)가 기부(19a)의 후면에 접착되므로써, 힌지(15)를 거쳐서 지지아암(10)에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가동체(19)는 지지아암(10)의 평행링크(13)에 의해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힌지(15)에 의해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면부호 23은 대물렌즈이다. 상기 대물렌즈(23)는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렌즈 홀더(24)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렌즈 홀더(24)의 하부가 상기 가동체(19)의 기부(19a)에 형성된 렌즈 부착 구멍(20)의 상부에 압입 고정되므로써, 그 광축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에서 가동체(19)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도면 부호 25 및 26은 상기 가동체(19)에 설치된 밸런스이다. 이들 밸런스(25,26)는 가동체(19)중 상기 힌지(5)의 힌지축을 끼우고 그 전후로 위치되는 부분과 상하로 위치되는 부분이 중량적으로 평형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밸런스(25,26)중 전방의 밸런스(25)는 축방향으로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가동체(19)의 기부(19a)에 형성된 렌즈 부착구멍(20)중의 환상의 돌출부(20a)로부터 아래쪽의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써 가동체(19)의 전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후방의 밸런스(26)는 거의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좌우 양단면에 돌기(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돌기(26a)가 가동체(19)의 아암(19b)에 형성된 설치구멍(22)에 삽입되므로써 가동체(19)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가동체(19)의 중심은 지지아암(10)의 힌지(15)의 힌지축과 같은 위치에 위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힌지(15)의 힌지축은 가동체(19)의 중심을 통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가동체(19)가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가동체(19)의 중심위치로부터 대물렌즈(23)측으로 기울어진 위치 또는 대물렌즈(23)의 반대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대해서 트랙킹 방향으로부터 이동력이 가해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외부로부터 광학 픽업 장치(1)에 트랙킹 방향의 충격 등이 가해지면, 가동체(19)에 트랙킹 방향으로 흔드는 것과 같은 이동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가동체(19)의 힌지(15)의 힌지축에 대한 전후의 중심 배분이 다르면, 무거운 쪽의 부분에 보다 큰 모멘트가 야기되기 때문에, 가동체(19)가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을 끼우고 전후 양측으로 위치되는 부분의 중량적 평형이 유지되기 때문에 그 전후 양측에 위치되는 부분에서 야기되는 모멘트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광학 픽업 장치(1)에 장치를 일정한 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므로써 발생되는 일정방향의 중력이나 충돌이 가해져도, 가동체(19)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대물렌즈(23)가 트랙킹 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은 없다.
도면부호 27, 27'은 가동체(19)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된 구동 코일이다.
상기 구동코일(27,27')은 상방에서 투시하였을 때 전후 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을 이루는 각이 진 통형상의 제1코일 베이스(28,28')와 상기 제1코일 베이스(28,28')중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고정되고 거의 정방향의 판형태로 형성된 제2코일 베이스(29,29')를 가지며, 상기 제1코일 베이스(28,28')의 외주에는 포커싱 코일(30, 30')이 설치되고, 또한, 제2코일 베이스(29,29')에는 트랙킹 코일(31,31')[도면에서는 좌측의 제2코일 베이스(29)에 형성된 것은 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코일(27,27')은 제1코일 베이스(28,28')가 그 내부에 상기 요크(7)가 삽입되는 상태에서 위치되는 상태로 가동체(19)의 좌우 양측면에 접착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코일(27,27')은, 상술한 자로 즉, 요크(7,7')와 마그네트(9,9')와 요크(8, 8')에 의해 형성되는 자로에 위치된다.
그러나, 구동코일(27,27')은, 포커싱 코일(30 또는 30')에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력이 부가되고, 또한, 트랙킹 코일(31 또는 31')에 전류가 공급되므로써 좌우방향으로 이동력이 부가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광학 픽업 장치(1)에 의한 포커싱[즉, 대물렌즈(23)와 도시하지 아니한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어]및 트랙킹[즉, 대물렌즈(23)의 광축을 디스크위의 기록트랙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어]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즉, 대물렌즈(23)을 통하여 광학 디스크에 조사된 빔광은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에서 반사되는 동시에, 그 일부가 대물렌즈(23)를 통해서 광학 블럭측으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광학블럭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회로는 광검출기가 검출한 복귀된 광으로부터 포커싱 오차신호 및 트랙킹 오차신호를 판독하는 동시에, 그 오차량에 대응한 값의 보정 전류를 포커싱 코일(30,30')과 트랙킹 코일(31,31')에 각각 공급한다.
이에 의해, 포커싱 코일(30,30')을 통하는 전류의 방향과 상기 자로의 자속 방향과의 관계에 의해 포커싱 코일(30,30')에 포커싱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동체(19)가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되어 포커싱이 실행된다. 또한, 이와 함께, 트랙킹 코일(31,31')을 통하는 전류의 방향과 상기 자로의 자속 방향과의 관계에 의해 트랙킹 코일(31,31')에 트랙킹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동체(19)가 힌지(15)의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서, 대물렌즈(23)의 트랙킹이 실행된다.
[제2실시예(제5도 내지 제8도)]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픽업 장치의 제2실시예(1A)를 도시하고 있다.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다른 점은 평행링크를 판 스프링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부분과 독립된 부재로 형성한 점 뿐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것은 후술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면에 있어서, (32)는 지지아암이다. 도면부호 33은 판 스프링 재료로 형성된 평행링크이며, 상기 평행링크(33)는 그 전단부가 힌지(15)의 후방측 힌지부재(15b)의 상하 양단면에 각각 별도로 점착 고정되고, 또한, 그 후단부가 지지아암(32)의 기부(11)의 상하 양단면에 각각 별도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도면부호 34는 와셔이다.
가동체(19)는 힌지(15), 평행링크(33), 및 가부(11)를 거쳐서 베이스 기판(2)에 지지되므로, 평행링크(33)의 가요성에 의해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힌지(15)에 의해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9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광학 픽업 장치의 제3실시예(1B)를 도시하고 있다.
제3실시예와 제1실시예가 서로 다른 점은 힌지의 한쪽의 힌지부재를 베이스 기판에 고정하는 동시에 평행링크의 기단부를 상기 힌지의 다른쪽의 힌지부재에 고정하고, 그 평행링크의 선단부에 가동부재중의 대물렌즈 반대측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한 점이다.
(35)는 베이스 기판(2)의 중앙부와 전단 가장자리와의 거의 중간에 위치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이며, (36)은 베이스 기판(2)의 상면중 상기 개구(35)에서 약간 뒤로 경사진 위치에서 직립형으로 형성된 힌지 부착판이다.
힌지부재(15a)는 상기 힌지 부착판(36)의 후면에 접착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도면부호 37은 가동체이다. 상기 가동체(37)은 그 전단부(37a)의 형상이 상기 제1실시예에 도시한 가동체(19)의 기부(19a)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방부(37b)는 상방에서 투시하였을 때 전후 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틀을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후단의 틀부재(38)는 다른 부분보다 상당히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39는 판 스프링 재료에 의해 형성된 평행링크이며, 그 전단부는 힌지부재(15b)의 상하 양단면에 각각 별도로 접착 고정되고, 또한, 그 후단부는 상기 가동체(37)의 후단 틀부재(38)의 상하 단면에 각각 별도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가동체(37)는 그 전단부에 설치된 대물렌즈(23)의 광축이 베이스 기판(2)에 형성된 개구부(35)의 축심위에 위치되는 동시에 평행링크(39) 및 힌지(15)를 거쳐서 베이스 기판(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동체(37)는, 그 전단부에 대물렌즈(23) 및 밸런스(25)가 설치되고, 그 후단부가 상당히 두껍게 형성되므로써, 그 전후 방향에서의 거의 중앙부 즉, 힌지(15)의 힌지축이 통하는 부분을 끼워 전후로 위치되는 부분의 중량이 평행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 픽업 장치(1B)에 트랙킹 방향으로 충격등이 가해지면, 가동체(37)에 트랙킹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가되지만, 가동체(37)의 회전 중심인 힌지축이 가동체(37)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가동체(37)에 대물렌즈(23)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따라서, 대물렌즈(23)가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되는 일은 없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광학 픽업 장치는, 빔광을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를 그 광축방향인 포커싱 방향과 상기 포커싱 방향에 직교하는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광학 픽업 장치에 있어서, 포커싱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평행링크의 기단부를 베이스 기판에 지지하는 동시에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힌지의 한쪽 힌지부재를 상기 평행링크의 선단부에 지지하고 다른쪽의 힌지부재를 대물렌즈가 설치된 가동체에 고정하고,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축이 상기 가동체의 거의 중심위치를 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대물렌즈는 그 설치된 가동체에 그 중심 방향으로부터 대물렌즈 혹은 대물렌즈 반대측으로 기울어진 부분에 대해서 이동력이 가해진 경우만,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광학 픽업 장치에 외부로부터 충격 등이 가해져도, 그 충격은 통상 가동부재의 전체에 대해서 가해지게 되므로 가동부재가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광학 픽업 장치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이 가해져도, 대물렌즈가 용이하게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Claims (1)

  1. 빔광을 광학 디스크의 기록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23)와, 상기 대물렌즈(23)가 부착되는 가동체(19)와, 상기 가동체(19)를 상기 대물렌즈(23)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힌지(15)와, 상기 가동체(19)를 대물렌즈(23)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아암(10)을 구비하며, 자유단측에 상기 가동체(19)가 배치디도록 상기 가동체(19)와 지지아암(10)을 상기 힌지(15)를 거쳐 서로 연결시키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기단측이 부착되는 베이스 기판(2)을 포함하며, 상기 대물렌즈(23)는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대물렌즈(23)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과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힌지(15)는 가동체(19)의 거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픽업 장치.
KR1019860006711A 1985-08-16 1986-08-14 광학 픽업 장치 KR950014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574A KR950014829B1 (ko) 1985-08-16 1995-04-07 광학 픽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80145A JPH0668843B2 (ja) 1985-08-16 1985-08-16 光学ピツクアツプ装置
JP180145 1985-08-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574A Division KR950014829B1 (ko) 1985-08-16 1995-04-07 광학 픽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558A KR870002558A (ko) 1987-03-31
KR950014833B1 true KR950014833B1 (ko) 1995-12-15

Family

ID=1607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711A KR950014833B1 (ko) 1985-08-16 1986-08-14 광학 픽업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66583A (ko)
EP (1) EP0212941B1 (ko)
JP (1) JPH0668843B2 (ko)
KR (1) KR950014833B1 (ko)
AT (1) ATE74681T1 (ko)
CA (1) CA1268369A (ko)
DE (1) DE3684734D1 (ko)
HK (1) HK1602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963B2 (ja) * 1987-02-27 1996-10-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3257927A (ja) * 1987-04-15 1988-10-25 Pioneer Electronic Corp ピツクアツプアクチユエ−タ
US4922477A (en) * 1987-05-30 1990-05-01 Nec Home Electronics Ltd. Optical head unit
JPS6459647A (en) * 1987-08-31 1989-03-07 Nippon Denki Home Electronics Objective lens actuator for optical head
JPS6442520U (ko) * 1987-09-08 1989-03-14
DE3831425C2 (de) * 1987-09-16 1998-01-22 Sankyo Seiki Seisakusho Kk Optische Abnehmervorrichtung
JPH01128238A (ja) * 1987-11-13 1989-05-19 Toshiba Corp 光学手段支持装置
US5073883A (en) * 1988-01-27 1991-12-17 Sony Corporation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including parallalogram structure
JP2529876Y2 (ja) * 1988-03-17 1997-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支持装置
JP2536436Y2 (ja) * 1988-05-25 1997-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050964A (en) * 1988-06-25 1991-09-24 Nec Home Electronics Ltd. Objective lens supporting mechanism for use in an optical head of an optical disc apparatus
JPH0266739A (ja) * 1988-09-01 1990-03-06 Pioneer Electron Corp 光学式ビックアップ装置
US5132944A (en) * 1988-09-20 1992-07-21 Hewlett-Packard Company Half-height magneto-optic disk drive
JPH0679384B2 (ja) * 1988-09-30 1994-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206762A (en) * 1988-12-01 1993-04-27 Kabushiki Kaisha Toshiba Viscoelastic substance and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H0758553B2 (ja) * 1989-01-12 1995-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140471A (en) * 1989-02-10 1992-08-18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driving objective lens
JP2684762B2 (ja) * 1989-04-20 1997-12-03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734495Y2 (ja) * 1989-05-09 1995-08-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ピックアップ
US5265079A (en) 1991-02-15 1993-11-23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Seek actuator for optical recording
US6141300A (en) 1989-06-20 2000-10-31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actuator including lens assembly with optical axis having symmetric suspensory forces acting thereon and optical disc system including same
US5150343A (en) * 1989-07-19 1992-09-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niaturized low-power-consumption optical head provided with a state transformation mechanism
US5253402A (en) * 1989-07-25 1993-10-19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f spring mechanism
JPH03104027A (ja) * 1989-09-18 1991-05-01 Sony Corp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293363A (en) * 1989-10-13 1994-03-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Optical head apparatus with light weight movable lens holder
JP2765633B2 (ja) * 1989-11-02 1998-06-1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系支持装置
US5182738A (en) * 1989-11-10 1993-01-26 Canon Kabushiki Kaisha Objective lens actuator using a balance weight therein
JP2757891B2 (ja) * 1989-11-10 1998-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H077522B2 (ja) * 1990-01-31 1995-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ンズ駆動用支持体
US5046819A (en) * 1990-04-16 1991-09-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bjective lens support having rotary and axial motions for use in an optical disk apparatus
NL9001492A (nl) * 1990-06-29 1992-01-16 Philips Nv Electro-optische aftastinrichting, alsmede optische speler voorzien van de aftastinrichting.
KR920015291A (ko) * 1991-01-31 1992-08-26 강진구 광학기록 및 재생장치의 대물렌즈 구동수단
US6236625B1 (en) 1991-02-15 2001-05-22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current monitoring circuit with controller for laser driv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6069857A (en) 1991-02-15 2000-05-30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improved circuitry for performing blank sector check on readable disc
US5677899A (en) 1991-02-15 1997-10-14 Discovision Associates Method for moving carriage assembly from initial position to target position relative to storage medium
US5729511A (en) 1991-02-15 1998-03-17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servo motor and servo error detection assembly operated relative to monitored quad sum signal
JPH0534617A (ja) * 1991-07-26 1993-02-12 Minolta Camera Co Ltd レーザビーム走査光学装置
US5313334A (en) * 1991-07-29 1994-05-17 Sony Corporation Objective lens moving actuator
DE69219856T2 (de) * 1991-11-07 1997-12-18 Philips Electronics Nv Elektrooptische Abtasteinrichtung, Gelenkelement zum Gebrauch in der Abtasteinrichtung sowie optischer Plattenspieler mit der Abtasteinrichtung
KR950004797B1 (ko) * 1991-12-31 1995-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장치
JPH05258325A (ja) * 1992-01-13 1993-10-08 Sharp Corp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461598A (en) * 1992-09-18 1995-10-24 Eastman Kodak Company Balanced focus actuator for an optical storage system
US5432763A (en) * 1993-03-15 1995-07-11 Hewlett-Packard Company Subminiature rotary actuator optical head
US5519677A (en) * 1993-03-22 1996-05-21 Sony Corporation Biaxial actuator for driving an objective lens in both focusing and tracking directions
US5428589A (en) * 1993-08-17 1995-06-27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two orthogonal axes of motion
JP3279024B2 (ja) * 1993-10-30 2002-04-30 ソニー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3246140B2 (ja) * 1993-11-16 2002-01-15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319481B2 (ja) * 1993-12-22 2002-09-03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光ディスク装置
US5898652A (en) * 1994-07-08 1999-04-27 Seiko Epson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an optical pickup
JPH0830991A (ja) * 1994-07-08 1996-02-02 Seiko Epson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6434087B1 (en) 1995-01-25 2002-08-13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as coil and light source to process information on a storage medium
JP2572081Y2 (ja) * 1995-04-05 1998-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支持装置
JPH0954969A (ja) * 1995-08-11 1997-02-25 Minebea Co Ltd 対物レンズ支持装置
JP3881634B2 (ja) * 2002-09-20 2007-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GB0315273D0 (en) * 2003-07-01 2003-08-06 1 Ltd Lens suspension and actuation apparatus
EP1783757A1 (de) * 2005-11-07 2007-05-0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Gerät zum Lesen und/oder Beschreib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EP1783760B1 (en) * 2005-11-07 2009-05-06 Thomson Licensing S.A. Appliance for reading from and/or writing to optical recording media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1533A (en) * 1980-10-22 1982-05-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scanner
JPS57103131A (en) * 1980-12-18 1982-06-26 Sony Corp Biaxial driver
JPS57120240A (en) * 1981-01-16 1982-07-27 Sony Corp Optical disk player
JPS57178233A (en) * 1981-04-27 1982-11-02 Sony Corp Supporting structure of optical system
US4475179A (en) * 1982-06-30 1984-10-02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disc write/read methods and apparatus with improved focus and tracking control
JPS5914134U (ja) * 1982-07-19 1984-01-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可動体の支持構造
JPS5920438U (ja) * 1982-07-27 1984-02-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情報読取装置における光学系駆動装置
JPS59168839U (ja) * 1983-04-28 1984-11-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情報読取装置における光学部品の駆動機構
DE3469814D1 (en) * 1983-05-31 1988-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objective lens of optical disc player
US4615355A (en) * 1983-09-26 1986-10-07 Garcia Gervasio B Automobile anti-theft device
US4633456A (en) * 1984-01-23 1986-12-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wo axis electromagnetic actuator
JPS60160032A (ja) * 1984-01-30 1985-08-21 Canon Inc 光学的記録再生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0182028A (ja) * 1984-02-29 1985-09-17 Toshiba Corp 光情報処理装置
JPH064415Y2 (ja) * 1984-04-23 1994-02-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NL8403052A (nl) * 1984-10-08 1986-05-01 Philips Nv Optische inrichting.
JPH0750526B2 (ja) * 1986-03-15 1995-05-31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プレ−ヤの光学ヘツ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84734D1 (de) 1992-05-14
JPS6240627A (ja) 1987-02-21
KR870002558A (ko) 1987-03-31
JPH0668843B2 (ja) 1994-08-31
HK160295A (en) 1995-10-20
ATE74681T1 (de) 1992-04-15
EP0212941A3 (en) 1989-01-18
US4766583A (en) 1988-08-23
CA1268369A (en) 1990-05-01
EP0212941B1 (en) 1992-04-08
EP0212941A2 (en) 1987-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833B1 (ko) 광학 픽업 장치
EP0959464B1 (en) Optical pickup
EP0440196B1 (en) Supporting unit for lens drive
EP0398395B1 (en) Driving apparatus suitable for optical disc player or recorder and player or recorder including such apparatus
KR0185972B1 (ko) 광 픽업 헤드 장치
US5220459A (en) Optical disk driving with inertial damping spring supporting lens holder
JPWO2005112012A1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467378B1 (ko) 광학픽업및디스크플레이어
US4653856A (en) Support construction for optical systems
KR950014829B1 (ko) 광학 픽업 장치
JPH0917005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601181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H056222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500797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H0154781B2 (ko)
JP3651138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442756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0155102B1 (ko) 힌지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이중 대물렌즈
JPH0750024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KR940007285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JP2001126286A (ja) 光学ピックアップ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7149302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562226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11110777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H046162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3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