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706B1 -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들 또는 그 토우토머(tautomer)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들 또는 그 토우토머(tautomer)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706B1
KR950004706B1 KR1019910701671A KR910701671A KR950004706B1 KR 950004706 B1 KR950004706 B1 KR 950004706B1 KR 1019910701671 A KR1019910701671 A KR 1019910701671A KR 910701671 A KR910701671 A KR 910701671A KR 950004706 B1 KR950004706 B1 KR 95000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morpholino
sin
sidnonimin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183A (ko
Inventor
비크몬 마리아
스제이틀리 조즈세프
스젠테 라조스
갈 조즈세프
헤르멕즈 이스트반
호르바트 아그네스
마르마로시 카탈린
호르바트 가보르
문칵시 이렌
Original Assignee
치노인 기오기스제르-에스 베기에스제티 테르메케크 기아라 알티
기울라 스쥬크, 타마스 스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노인 기오기스제르-에스 베기에스제티 테르메케크 기아라 알티, 기울라 스쥬크, 타마스 스주트 filed Critical 치노인 기오기스제르-에스 베기에스제티 테르메케크 기아라 알티
Publication of KR920701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2Cyclodextrin [CD], e.g. cycle with 6 units (alpha), with 7 units (beta) and with 8 units (gamma), large-ring cyclodextrin or cycloamylose with 9 units or more;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5Inclusion compounds, i.e. host-guest compounds, e.g. polyrota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1/041,2,3-Oxadiazoles; Hydrogenated 1,2,3-oxadiaz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들 또는 그 토우토머(toutomer)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 3-모노폴리노-시드노니민(3-morpho lino-sydnonimine)(SIN-1)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개환 ″A″형 토우토머 (Tau tomer)(SIN-1A : N-니트로소-N-모르폴리노-아미노아세토니트릴)를 함유하는 복합체들 및 그 제조방법과 활성제로서 이들을 함유하고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개환 ″A″형은 중요한 기능을 하며, ″A″형의 형성은 주로 NO(산화질소)기를 유리시키는데 있다. 몰시도민(N-에톡시카르보닐-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SIN-10)은 항협심증 및 빈혈증 치료약제로 잘 알려져 있다. 치료요법에 있어서 몰시도민은 심장 경색 상태에 있는 심장기능부전의 경우에 협심증 치료 및 예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몰시도민의 치료효과는 주로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SIN-1)으로의 첫번째 활성 대사물에 기인하며, 이 대사물은 주로 간속에서 효소성 가수분해와 그후의 카르복실기 분해효소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SIN-1은 몰시도민에 비교해 볼때 치료학상 유리한 점이 있는데, 즉 보다 더 빠르고 확실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시드노니민 유도체들은 빛에 매우 민감하다. 아주 짧은 시간동안 인위적 또는 자연적광에 노출되만 해도 그들은 쉽게 분해된다. 빛에 의한 분해작용이 일어나는 경우에 약리학적으로 불화성이면서 무해한 분해생성물, 즉 모르폴리노, 암모니아, 에틸알콜, 이산화탄소 등이 생성된다. 때문에, 시드노니민 유도체들이 빛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가지 첨가제가 가하여 지기도 한다(유럽 특허 명세서 제206219호 및 독일 특허 명세서 제3,326,638호 참조).
전조상태 및 용액에서의 빛에 대한 민감성은 검은 종이로 감싼 밀폐가 잘된 어두운 플라스크에 저장하는 것과 같이 적절히 저장시킴으로서 상당히 방지될 수 있다.
시드노니민 유도체들은 pH의 극한치에서 민감하며 또한 재빨리 분해된다. 몰시도민의 화학적 및 대사적 분해과정의 최종 생성물은 불활성 대사물, 즉 SIN 1C(시아노메틸렌-아미노-모르플린)이다. SIN 1을 약제로 사용하는 경우, 화학적인 안정성 문제가 대두된다. 상기 물질은 중성의 수용액에서 빨리 분해되고, pH치에 민감하며, 강한 매체(pH 1-2)에서만 일정하다. SIN 1은 pH 2 이상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불활성 대사물 SIN 1C가 되어 치료학적 활성을 상실하게 된다.
SIN 1에서 SIN 1C로의 변환은 염기를 촉매로 하는 가수분해의 결과이다. 상기 과정은 절대적으로 pH에 의존한다. 즉, 10%의 분해(SIN 1C)에 도달하는데 pH 8에서는 53초, pH 6에서는 15시간, pH 4에서는 67일 및 pH 1~2에서는 13년이 걸린다 (Chem. Pham. Bull. 19/6 1079, 1971). 또한 SIN 1은 이미 1~3일동안 확산된 조명하에 저장되어 있던 희석시킨 수용액에서도 분해된다. 상기 분해작용은 UV스펙트럼으로 직접 추적할 수 있다. 흡수치가 계속 증가하는 동안 최대흡수치는 291± 1mm에서 278±1mm로 점점 변하게 되고, 이것은 문헌상의 값과 일치하고 있다. 즉, SIN 1의 λ max 값은 291±1mm, 비 흡수 계수 A1%=520인데, SIN 1C λ max 값은 278±1mm, 그것의 몰 흡수계수 ε=17000, A1%=1220이다.
경구에 투여한 SIN 1은 비효율적이며, pH 1-2 사이에서 SIN 1은 화학적인 안정성이 큰 강한 이온화상태이지만, 반면 이것은 G1 관으로부터의 재 흡수를 위하여는 그리 좋지 못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점에서 볼때 위(stomach)로 부터 보다 염기성이 강한 pH로 이동하면, SIN 1은 재빨리 불활성한 SIN 1C 대사물로 변환하게 된다. 저농도(μ/ml정도)에서 가수분해 작용이 아주 현저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SIN 1을 소량 사용하면 상기 변환이 더욱 용이하게 일어난다.
SIN 1은 2mg의 활성제와 40mg의 소르비트(sorbite)를 함유하고 있는 동결건조시킨 분말의 앰풀(ampule) 형태로 정매내로 투입시키기 위하여 염산염의 형태로 시장에 나와 있다. 앰풀의 내용물은 사용전에 증류수 1ml에 용해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성 수용액 및 생리적 pH값에서도 각가 SIN 1에서 SIN 1C로의 변환을 저해할 수 있는 새로운 약제(agent)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약제들이 시클로 덱스트린과 복합화(complexation)됨으로써 열, 빛 및 염기성 또는 산성 가수분해에 대하여 안정하게 된다고 알려졌다(스제이틀리 ; 시클로 덱스트린 기술, 클루웨르, 도르드레이히트, 1988, p211~217).
본 발명자들은 본 연구과정에서 시클로덱스트린들이 SIN 1 주사용 조성물로 부터 얻은 희석 수용액을 안정화시키는데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SIN 1 및 시클로덱스트린들 간의 상호작용은 다음의 일련의 실험들을 통해 입증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주사용 SIN 1 조성물로 부터 약 10μg/ml의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이 용액에 20~40mg의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들을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액들은 확산된 조명하에 실온(20-22℃)에 저장되었으며, 매일 일정 주기로 용액에 200~350mm의 간격에서 UV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실험 대조용으로는 각각 물과 0.05N 염산 용액을 사용하였다. 시클로덱스트린 용액들의 pH값을 측정함으로써, 사용된 시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가 각각 수용액의 pH값을 중대하게 변화시키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실험된 것 중 농도가 가장 큰 시클로덱스트린 용액들의 pH값도 증류수의 pH값과 단지 ±0.2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본 발명자들은 UV스펙트럼의 이동이 이온성 가용성 β-시클로덱스트린 중합체(CDPSI)(평균분자량 3500, β-CD 함량 54%, COO-함량 4.2%)에 의해 매우 현저하게 저해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헝가리 특허 명세서 제191.101호). 심지어 2주 동안 저장한 이후에도 스펙트럼의 이동은 관찰되지 않았고, 반면 이와 비슷하게 저장된 수용액은 2-3일내에 SIN 1C로 변환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분해작용을 저해하거나 감속시키는 디멥(DIMEB)(2,6-디-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2,6-di-O-methyl-βcyclodextrine)의 효과는 확실하다. 20mg/ml의 디멥 존재하 용액의 스펙트럼은 6일 저장 후에도 단지 1mm 이내에서만 이동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트리멥(TRIMEB) (2,3,6-트리-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γ-시클로덱스트린(γ-CD)와 β-시클로덱스트린(β-CD) 및 히드록시프로필 β-CD(HP-β-CD)의 안정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UV스펙트럼에서 본 효율성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CDPSI 》 디멥〉트리멥〉βCD≥HP-β-CD
여러 시클로덱스트린들, 특히 CDPSI가 SIN 1의 가수분해에 끼치는 영향으로 부터 복합체 상호작용에 관한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일련의 실험들에서 시클로덱스트린들과 이들의 유도체들을 각각 극히 과량 사용하였다(10μg/ml의 SIN 1에 대하여 ~20mg/ml의 시클로덱스트린).
10배 20배의 과량의 CDPSI을 사용하여 상기의 일련의 실험을 반복하였는데, 그 양은 활성제를 각각 10%, 5% 포함하는 복합체의 SIN 1 : CDPSI 무게비에 상당한 것이다. 치료를ㄹ 위한 소량의 SIN 1은 5% 미만의 활성제를 포함하는 복합체의 적용을 허용하는데 이는 SIN 1 : CDPSI의 몰비가 대략 1 : 2일때이다. 그와 같은 농도범위에서 분광측정법에 의한 측정은 분해에 의한 특징을 잘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분해정도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
용액중 10μl을 취하여 키젤겔(Kieselgel) 60 F254판(10×10cm, Merck)위에 적가하였다. 전개혼합물(running mixture)은 시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가 1 : 1로 혼합된 것이고 런닝 텁(running tub)은 30분동안 방치하여 포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판 위에 SIN 1C 참조 용액을 적가하였다. 적가 지점에서 판은 빛으로 부터 보호하면서 찬공기를 흐르게하여 건조시켰으며, 그 높이가 15cm가 될 때까지 하였다. 실험하는 동안 실험용기를 어두운 장소에 위치시켰다. 용매가 증발한 후, 그 판은 254mm 자외선하에서 육안으로 평가되었다. SIN 1은 0.005Rf에서, SIN 1C는 0.36Rf에서 나타났다.
본 발명자들은 모든 경우에 CDPSI을 함유하는 용액들에서 SIN 1C 부위의 강도는 수용액에서 같이 뚜렷하게 작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SIN 1의 불활성한 대사물로의 변환은 상당히 pH에 의존하므로, 약전에 따라 pH 6., 7.0 및 7.6인 인산염 완충용액에서 측정을 하였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완충용액과 완충용액을 함유하는 20mg/ml의 CDPSI를 비교하였고, 그들 모두를 적절하게 수용액-알콜 희석 후 UV 분광측정을 하였으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SIN 1의 분해작용의 생성물도 강도를 실험하였다. 분광측정법에 의한 측정결과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1]
UV의 최대 파장값이 대략 13nm정도 감소(291nm에서 278nm로)하는 것은 SIN 1C 전체가 분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6일 경과후 CDPSI 존재하 pH 6.4의 완충용액에서는 Δλ값은 12nm이다. 주어진 환경하에서 UV 최대의 재현성은 ±0.5nm이내이므로 사실 그 차이는 상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일 저장 후 Δλ 차이를 측정할 수 있지만, 대조적으로 pH 7.6에서는 CDPSI의 안정화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실험 용액에서 SIN 1 : CDPSI 몰비는 대략 1 : 2이며, 이는 용액에서 복합화를 하는데 필요한 최소양이다. 10배 과량(10mg/ml)(단, 이는 1 :1 몰비를 가진 혼합물에 상당함)의 CDPSI을 사용할 때에는, 용액의 안정화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분해정도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프로 측정할 수 있다.
pH 6.4 완층용액에서 0.36Rf에서 나타나는 SIN 1C 지점의 강도는 1주를 저장한 후에까지 확실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SIN 1 지점의 강도는 pH 7 및 7.6의 완충용액 0.04Rf에서 하루만 저장해도 인식할 수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pH 7의 완충용액에서는 SIN 1이 여전히 불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pH 7.6에서는 그러한 사실을 관찰할 수 없었다.
용액에서 복합체의 해리 평형은 시클로로덱스트린을 과량 사용하였을 때 이동 될 수 있다. 매우 과량의 CDPSI(각가 1000배, 2000배)을 사용하였을 때 주사용 조성물은 1주 경과 후 증류수에서 스펙트럼 이동이 단지 Δλ±1mm만을 보이는 동안에 대조용 용액은 분해된다.
분해정도의 정량분석은 또한 HLPC 방법으로도 할 수 있다.
· SIN 1-SIN 1C 분리를 위한 HPPLC 측정 조건
장치 : 베흐만(Bechman) 114M 용매 전달 모듈.
165 가변 파장 검출기, 휴레트-패 커드 사.
3396A 적분기
컬럼 : 초구제(ultrasphere) ODS 분석컬럼(column) 4.6×150mn, 5μ
용출물 : 0.05M 나트륨 아세테이트 700ml
아세토니트릴 300ml
테트라히드로퓨란 2ml
유출 속도 1.0ml/분
압력 120바(bar)
측정한 파장 278,290nm
견본의 부피 20μl
감도 0.1AU
도표(chart) 속도 0.5cm/분
정체시간(tR) tRSIN 1=2.9분
tRSIN 1C=4.2분
결과
1. 빛으로부터 보호하면서 pH 6.3의 인산염 완충용액에서 제조된 0.5mg/ml의 SIN 1 용액을 실온에 저장하였다. 50mg/ml(100배의 양)의 CDPSI과 함께 복합체가 형성되었고, 5주 후에는 HPLC 크로마토그램의 값을 구하였다.
[표 2]
(x표 : 대조용 측정치는 완충용액이 아닌 증류수에 관한 것임)
100배의 과량의 무게(몰비는 약 10 : 1임)을 사용한 CDPSI 은 SIN 1의 분해작용을 상당히 저해한다. 그 결과는 박층 크로마토그래ㅡ 실험의 결과와 동일하다.
2. 상기 실험 1과 동일한 농도 조건하(0.05mg/ml SIN 1 및 50mg/ml의 CDPSI)에서 pH 7의 인산염 완충용액에서 실험을 하였다.
4일 저장후 수득한 크로마토그램의 값을 구하였다.
[표 3]
저장후 용액의 pH값
실험대조용 6.57
CDPSI 6.2
상기의 농도에서 CDPSI는 pH 7에서도 SIN 1이 불활성 대사물인 SIN 1C로 변환하는 것을 저해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희석시킨 수용액에서 SIN 1 주입액의 안정성을 실험하였다.
동결건조시킨 SIN 1 분말 앰풀로 부터 50μg/ml 농도의 수용액을 제조한 후, 20mg/ml의 CDPSI을 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저장시키고 때때로 SIN 1C 분해작용의 생성물양을 검사하였다. 1일, 4일 및 11일 이후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의 값을 구하였다.
[표 4]
본 발명의 목적은 SIN 1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및 그것의 제조방법이며, 이것은 수용액계(system)에서 생리적인 pH에서도 안정하며, 이때,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서 불활성한 대사물인 SIN 1C로의 변환이 저해되는 것이다.
놀랍게도 시클로덱스트린들, 특히 CDPSI와 함께 복합된 SIN 1은 복합체 제조후 상당량의 중간 생성물의 SIN 1A를 포함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시클로덱스트린들 존재하 SIN 1SIN 1ASIN 1C로의 변환과정을 pH 5.5에서 0.02M 아세테이트 완충용액에서도 실험하였다. 놀랍게도 β-CD의 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β-CD 존재하에서는 실험 대조용보다 7배나 더 많은 SIN 1A가 발견되었다(SIN 1A 검출방법은 HLPC에 의함).
생체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생물학적 효과를 실험 해 본 결과, 1mg/kg양이 투여된 SIN-1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는데(쥐에서 심장보호 활성은 11%), 동일한 활성제 이외에 투여된 SIN 1-CDPSI의 심장보호활성은 42.2%임을 발견하였다.
경구에 투여한 이후 심장보호 실험에서 SIN 1-CDPSI 복합체의 생물학적 효과는 뛰어났는데, 이는 고형상 복합체에 있는 SIN 1A 때문이다. 생물학적 효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A″형은 위(stomach)의 pH 매질에서는 형성될 수 없고, 실험실에서 알칼리 pH에서 인큐베이션(incubation)하여 SIN 1으로 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반면, 증류수에서 CDPSI 복합체를 용해시키면, 상당량의 SIN 1A를 수용액으로 부터 검출할 수 있다. SIN 1-SIN 1A의 변이는 시클로덱스트린에 의해 촉진되고, 동시에 매우 불안정하며, 산소에 민감한 SIN 1A는 복합체 형성과정을 통해 안정하게되고, 그 결과 SIN 1A→SIN 1C로의 변화는 보다 천천히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개시는 부드러우면서도 지속기간이 보다 길어지는 이유는 복합된 SIN 1으로 부터 산화질소의 방출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다음의 표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서로 다른 시클로덱스트린들과 함께 형성된 SIN 1 복합체들의 SIN 1A 함량을 제조후 곧바로 HPLC로 측정한 것이다. 유당(lactose)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성의 SIN 1 물리적 혼합물을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 참조물질로 사용하였다.
[표 5]
결과 및 결론
SIN 1-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들 및 정상적인 SIN 1의 지연효과를 1 또는 2μM농도에서 실험하였다. 4가지의 모든 복합체들은 칼륨의 편광을 없앤 스트립스 (strips)의 계속된 수축현상을 최대 43%에서 53% 완하시켰다. SIN 1(1μM)은 완화율이 58%인 경우에 다소 보다 효율적이다.
SIN 1 복합체에서 일어난 최대 완화도는 투여후 23분에서 32분 이내에 발생하였지만, SIN 1의 T/max는 18분에서 일어났다. 상기의 차이점은 수치적으로 중요성을 가진다. T/2로 측정한 작용지속기간은 SIN 1(47분)보다는 시클로덱스트린 -복합 체들(62분에서 88분)에서 더 길다. 상기의 차이 역시 수치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SIN 1-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들은 정상적인 SIN 1 보다 개시는 더 부드러우면서도 작용시간은 더 길다.
SIN 1의 완화효과는 산화적 분해과정에 의해 방출된 산화질소 때문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시클로덱스트린과 SIN 1의 복합체 형성은 상기의 분해과정의 속도를 낮추게 한다고 결론지을 수 이싸. 따라서 개시가 보다 부드러우면서도 작용시간이 긴 이유는 아마 SIN 1-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들로 부터 산화질소의 방출이 지연되기 때문일 것이다.
상기의 사실들에 의하여 본 발명은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들과 함께 형성된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것의 ㅣ염 또는 개환 ″A″형 토우토머(tautomer) 이성질체의 함유복합체(inclusion complex)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함유 복합체들은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로서 이온성이면서 수용성인 시클로덱스트린 중합체(CDPSI)(분자량〈10,000), 헵타키스-2,6-디메틸-β-시클로덱스트린(디멥(Dimeb), 헵타키스-2,3,6-트리-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트리멥(Trimeb) 및 β- 또는γ-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고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형상의 함유 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히드록시 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체들은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들을 용매속에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탈수과정에 의하여 용액으로부터 복합체를 얻을 수 있고, 또는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이나 그 염들 및 시클로덱스트린의 유도체를 밀링(milling)함으로서 용액으로 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복합체는 동결 건조, 스프레이-건조, 저온인 진공상태에서의 증발 및 진공건조방법을 이용하여 용액으로 부터 유리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SIN 1을 1mmol의 활성성분에 대해 계산된 1-500ml의 증류수에서 1-40mmol의 CDPSI 또는 디멥과 함께 용해시킨 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조과정을 행한다. CDPSI 중합체의 몰비를 β-CD에 대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대략 50% β-CD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분자량이 3500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복합체의 조성물비가 1 : 1이면 대략 8% 정도, 2 : 1이면 대략 4.5%에 상당한다.
용액에서의 복합체의 상호작용은 막 투과실험에 의해 측정되었다. 비스킹 (Visking)유형의 셀로판 막(구멍의 평균직경은 24Å)을 사용하였다. 1mg/ml 농도의 SIN 1의 수용액을 공여세포에 놓고, 증류수는 막투과 세포장치의 수용체 실(receptor compartment)에 위치시켰다. 마그네틱 교반기로 용액을 교반하고 온도는 37±1℃로 하였다. 적절한 시간 간격마다 수용체 실으로 부터 견본을 취하였고, 공여세포로 부터 SIN 1의 농도는 UV-분광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공여세포 실에서 다양한 농도의 서로 다른 시클로덱스트린들 존재하에 상기 실험을 반복하였다.
서로 다른 농도의 CDPSI 존재하여 50% SIN 1을 확산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T50%)이 다음의 표에 기재되어 있다.
[표 6]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복합체들은 안정한 주사용, 경구용 또는 국부용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화합물들의 생산에 각각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들의 투여량은 그 대상의 연령, 몸무게 및 건강 상태, 투여경로, 투여횟수등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매일 6-800mg 정도, 바람직하게는 매일 10-400mg을 투여하는 것이다.
지연효과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하루 한번씩 적용하는 정제, 소캡슐 및 특히 경피(percutaneous) 사용에 적합한 연고의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 주로 쓰인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조약 및 담체는 약제학적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다.
본 발명은 몇가지 비제한적 실시예들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1. 동결건조과정에 의한 SIN 1-CDPSI 복합체의 제조
15g(6.6mmol)의 CDPSI(이온성가용성 β-시클로덱스트린)(평균분자량 35 00, β-CD함량 54%, COO-함량 4.2%) 중합체를 200ml의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에 1.1g(5.3mmol)의 SIN 1-HCl을 가한다. 상기 물질은 거의 즉각적으로 용해되어 순수하고 맑은 용액이 얻어진다. 이 용액을 동결건조과정에 의하여 즉시 동결건조시키는데, 이때 상기의 전 공정 중 가능한 빛에 대한 노출을 최소로 한다. 예를들어, 용해과정중 증류기를 검은 종이로 싸주는 것이 좋다. 수득된 생성물은 매우 가볍고 정밀치 못한 분말이며, 분광측정법으로 측정한 활성제 함량은 대략 1 :몰비에 해당하는 6.5±0.5%이다.
복합체를 형성하는 사실을 증명하는 실험, 즉 열비중 측정(TG), 미분열량측정 (differential-scanning calorimetric, DSC) 및 열방출 분석(Tjermal-Evolution Analysis ; TEA) 실험들은 SIN 1, SIN 1과 ㄴ\SIN 1-CDPSI의 물리적 혼합물과 SIN 1-CDPSI 복합체 사이에 특징적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60-110℃에서는 SIN 1 활성제로 부터 무기물질 중 대략 8%가 제거되는데, 이 무기물질은 물일 수도 있다. 반응물질들이 녹는 동안, 분해작용은 170-180℃에서 폭발적으로 시작하며, 도입된 약제(agent)의 70%가 이 좁은 온도간격에서 반응계(system)로부터 제공된다.
분해작용은 220-230℃ 사이에서 완화되어서, 그후 350℃ 가 될 때까지 질량의 87%을 상실한다.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은 활성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190-200℃ 사이에서는 DSC 피크(peak)가, 190℃ 에서는 아르곤 대기에서도 발열반응의 엔탈피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TEA 피크가 사용될 수 있다.
측정하기 바로 전에 제조된 SIN 1-CDPSI 물리적 혼합물의 열곡선들은 출발물질의 결과들이라 할 수 있다.
복합체의 곡선들은 상기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체, SIN 1의 분해의 피크들이 나타나지 않아서, SIN 1이 CDPSI과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말 X-선 희절 실험
SIN 1-CDPSI를 X-선 회절실험 해 보면, 그 구조는 무정형임을 알 수 있다. SIN 1의 특징적 반사 정점(peak)은 사라지고 있으며, CDPSI의 무정형 구조가 밝혀지게 된다. CDPSI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하게 처리한 SIN 1의 ㅣ결정화 정도가 점차로 감소하고 있지만, 동결과정만으로 전체가 무정형 구조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유리된(복합체를 형성하지 않는) SIN 1의 특정인, 약간의 결정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2~반사 정점들이 복합체의 다이어그램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2. 동결건조과정에 의한 SIN 1-CDPSI 복합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공정후 수득한 고형 생성물을 두번째 건조시켜 복합체에 결합된 물을 제거한다. 생성물을 진공상태로 3시간 동안 60℃ 에서 건조시킨다(일정한 무게를 가지도록 한다). 건조시 손실율은 4.5±0.2%이다.
SIN 1A 함량은 가열시키는 동안 약 5배 증가, 즉 1.08%에서 5.1%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SIN 1A/SIN 1C 비율도 또한 변화하게 된다(10에서 17로 변화한다). 건조시킨 복합체를 3개월 이상동안 빛으로 부터 보호된 실온에서 저장한 경우, 견본 중 SIN 1A 함량 및 SIN 1A/SIN 1C 비율은 실제로 변화가 없었다.
저장하는 동안 실험대조용(열처리가 안된) 견본에서 SIN 1A 함량은 1.08%에서 1.9%로 증가하며, 동시에 SIN 1A/SIN 1C 비율은 감소(10에서 3으로)한다. 높은 함량의 SIN 1A 및 조절된 조성물을 가지는 SIN 1-CDPSI 복합체 생성물을 제조하는 것은 동결건조시킨 SIN 1-CDPSI 복합체를 단기간동안 열처리함으로서 가능하다.
4. SIN 1 디멥 복합체의 제조
14g의 디멥(2,6-디-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10.3mmol)(습도함량 2 %)을 100ml의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에 1.03g(5mmol)의 SIN 1을 교반하면서 가한다. 얻어진 맑은 용액을 빛으로 부터 보호하면서 실시예 1에 따라 처리한다. 생성물은 정밀치 못한 백색분말이며, 활성제 함량은 SIN 1 : 디멥의 몰비가 대략 1 : 2가 해당하는 6.5±0.2%이다.
5. 10mg의 SIN 1과 1/2g의 연고로 제조된 경피 사용을 위한 연고의 제조
상기 실시예 3(활성제 함량은 6.5%임)에 의하여 제조된 SIN 1-디멥 복합체로 부터 취한 151mg을 20ml의 증류수에 용해시킨다. 빛으로 부터 보호하면서 상기 용액에 50mg의 클루첼-HF(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가하며 격렬하게 교반한다. 더 이상 섞일 수 없을 정도의 점성을 가진 용액을 얻은 후, 이를 실온에서 만 1일동안 방치시킨다. 결국 투명한 젤리를 얻었고, 그것의 2g중에는 10mg의 SIN 1을 포함하고 있다.
6. 정제당 2mg의 활성제 함량을 가진 SIN 1 정제
80mg의 SIN 1-CDPSI 복합체, 활성 성분 함량 2.5%
40mg의 옥수수 전분
128mg의 유당
2mg의 마그네슘 스테아린산염
정제의 총무게 : 250mg
정제들은 잘 알려진 방법 즉, 직접 압축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Claims (13)

  1.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우토머(toutomer) 이성질체로 부터 형성된 함유복합체(inclusion complex).
  2. 이온성이고 수용성인 시클로덱스트린 중합체(CDPSI)(분자량〈10,000)와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우토머 이성질체로 부터 형성된 함유복합체.
  3.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HP-β-CD)과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우토머 이성질체로 부터 형성된 함유복합체.
  4. 헵타키스-2,6-디메틸-O-β-시클로덱스트린(디멥)과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우토머 이성질체로 부터 형성된 함유복합체.
  5. 헵타키스-2,3,6-트리-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트리멥)과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우토머 이성질체로부터 형성된 함유복합체.
  6. β-시클로덱스트린(β-CD)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토우토머 이성질체로 부터 형성된 함유복합체.
  7.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염 또는 그 토우토머 이성질체를 수용액 매질중에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 반응시키고, 그 복합체를 건조과정에 의하여 용액으로 부터 분리함으로써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우토머 이성질체의 함유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로서 이온성이고 수용성 시클로덱스트린 중합체(분자량〈10,000),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6-O-디메틸-β-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동결건조, 스프레이 건조, 저온에서 전공농축 및 진공상태에서 건조 방법에 의하여 시클로덱스트린과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우토머 이성질체로부터 형성된 함유복합체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활성제로서 시클로덱스트린과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오토머 이성질체로부터 형성된 함유복합체를 포함하고, 종래의 제약적 담체들 기타 보조 물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협심증 및 빈혈증세 치료용의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경구용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협심증 및 빈혈증세 치료용의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로서 이온성 수용성 중하베 (분 자량〈10,000).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6-O- 디메틸 -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3,6-트리-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협심증 및 빈혈증세 치료용의 약제학적 조성물.
  13.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우토머 이성질체를 밀링(milling)하여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토오토머 이성질체의 함유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10701671A 1990-03-28 1991-03-28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들 또는 그 토우토머(tautomer)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950004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901869A HU212730B (en) 1990-03-28 1990-03-28 Process for producing inclusion complexes of cyclodextrine or its derivative and 3-morpholino-sydnonimine or its salt or its tautome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HU1869/90(MODIFICATION) 1990-06-27
HU1869/90 1990-06-27
HU1869/90MODIFICATION 1990-06-27
PCT/HU1991/000013 WO1991014681A1 (en) 1990-03-28 1991-03-28 Inclusion complexes of 3-morpholino-sydnonimine or its salts or its tautomer isomer,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183A KR920701183A (ko) 1992-08-11
KR950004706B1 true KR950004706B1 (ko) 1995-05-04

Family

ID=1095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671A KR950004706B1 (ko) 1990-03-28 1991-03-28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들 또는 그 토우토머(tautomer)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33)

Country Link
US (1) US5298496A (ko)
EP (1) EP0478732B1 (ko)
JP (1) JP2549961B2 (ko)
KR (1) KR950004706B1 (ko)
CN (1) CN1051081C (ko)
AT (1) ATE170849T1 (ko)
AU (1) AU635835B2 (ko)
BG (1) BG61812B1 (ko)
BR (1) BR9105137A (ko)
CA (1) CA2054213C (ko)
CZ (1) CZ285695B6 (ko)
DE (1) DE69130146T2 (ko)
DK (1) DK0478732T3 (ko)
ES (1) ES2121780T3 (ko)
FI (1) FI104882B (ko)
GE (1) GEP19991743B (ko)
HK (1) HK1011688A1 (ko)
HR (1) HRP920560B1 (ko)
HU (2) HU211648A9 (ko)
LT (1) LT3257B (ko)
LV (1) LV10087B (ko)
MC (1) MC2186A1 (ko)
MD (1) MD776C2 (ko)
MW (1) MW6891A1 (ko)
NO (1) NO303634B1 (ko)
OA (1) OA09522A (ko)
PL (1) PL165866B1 (ko)
RO (1) RO109336B1 (ko)
RU (1) RU2107695C1 (ko)
SI (1) SI9110909B (ko)
TJ (1) TJ189R3 (ko)
UA (1) UA27242C2 (ko)
WO (1) WO1991014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10921B (en) * 1990-03-28 1995-09-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Process for preparing inclusion complexes of n-ethoxycarbonyl-3-morpholino-sydnonimine formed with cyclodextrin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4117249C2 (de) * 1991-05-27 1998-05-14 Christian Dr Stief Linsidomin zur Behandlung erektiler Dysfunktionen
HU213200B (en) 1993-05-12 1997-03-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The cyclodextrin or cyclodextrin derivative cluster complexes of taxol, taxotere, or taxus,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HU218280B (en) * 1994-04-26 2000-07-28 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es containing sin-1a which are stable intheir solid state,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comlexes
GB9915231D0 (en) 1999-06-29 1999-09-01 Pfizer Ltd Pharmaceutical complex
FR2805462B1 (fr) * 2000-02-24 2003-08-15 Therabel Res Nouvelle forme galenique orale a liberation prolongee de la molsidomine
US20020025946A1 (en) * 2000-05-11 2002-02-28 Buchanan Charles M. Acylated cyclodextrin: guest molecule inclusion complex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96056A (fr) * 1964-06-08 1967-09-29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Nouveaux composés chimiques du type sydnonimine
DE3221425A1 (de) * 1982-06-07 1983-12-08 Boehringer Ingelheim KG, 6507 Ingelheim Hydrolyseempfindlichen wirkstoff enthaltende, lagerstabile tablette
DE3346638A1 (de) * 1983-12-23 1985-07-04 Cassella Ag, 6000 Frankfurt Photostabilisierung von molsidomin
GB8506792D0 (en) * 1985-03-15 1985-04-17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tives of y-cyclodextrin
DE3522191A1 (de) * 1985-06-21 1987-01-15 Cassella Ag Photostabilisierung von sydnoniminen
GB8613688D0 (en) * 1986-06-05 1986-07-09 Euro Celtique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H0819004B2 (ja) * 1986-12-26 1996-02-28 日清製粉株式会社 徐放性医薬製剤
IT1204725B (it) * 1987-06-17 1989-03-10 Edmond Pharma Srl Complessi di inclusione del dipiridamolo con ciclodestrine
SE8904296D0 (sv) * 1989-12-21 1989-12-21 Pharmacia Ab Transdermal system
AU7574391A (en) * 1990-04-06 1991-10-30 Gerhard Blatt Installation for conditioning concrete blo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W6891A1 (en) 1993-07-14
HU901869D0 (en) 1990-07-28
MD940334A (en) 1996-10-31
RO109336B1 (ro) 1995-01-30
HU212730B (en) 1996-10-28
BG61812B1 (bg) 1998-06-30
CZ285695B6 (cs) 1999-10-13
HU211648A9 (en) 1995-12-28
PL293020A1 (en) 1992-12-28
TJ189R3 (en) 1998-10-28
EP0478732A1 (en) 1992-04-08
CZ85291A3 (en) 1993-11-17
FI915570A0 (fi) 1991-11-26
CA2054213A1 (en) 1991-09-29
NO914650L (no) 1991-11-27
NO303634B1 (no) 1998-08-10
ES2121780T3 (es) 1998-12-16
MD776B2 (en) 1997-07-31
MC2186A1 (fr) 1992-09-16
OA09522A (en) 1992-11-15
CN1055928A (zh) 1991-11-06
MD776C2 (ro) 1998-05-31
US5298496A (en) 1994-03-29
SI9110909A (sl) 1998-06-30
SI9110909B (sl) 1999-02-28
RU2107695C1 (ru) 1998-03-27
UA27242C2 (uk) 2000-08-15
CN1051081C (zh) 2000-04-05
HRP920560A2 (hr) 1994-04-30
FI104882B (fi) 2000-04-28
JPH04506221A (ja) 1992-10-29
JP2549961B2 (ja) 1996-10-30
HRP920560B1 (en) 1999-12-31
LV10087B (en) 1995-02-20
HUT58110A (en) 1992-01-28
GEP19991743B (en) 1999-09-10
WO1991014681A1 (en) 1991-10-03
BR9105137A (pt) 1992-08-04
EP0478732B1 (en) 1998-09-09
KR920701183A (ko) 1992-08-11
HK1011688A1 (en) 1999-07-16
LV10087A (lv) 1994-05-10
DK0478732T3 (da) 1999-06-07
CA2054213C (en) 1998-12-01
NO914650D0 (no) 1991-11-27
ATE170849T1 (de) 1998-09-15
PL165866B1 (pl) 1995-02-28
DE69130146T2 (de) 1999-04-01
DE69130146D1 (de) 1998-10-15
AU7549391A (en) 1991-10-21
LTIP387A (en) 1994-09-25
LT3257B (en) 1995-05-25
AU635835B2 (en) 199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03077A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により形成された7−イソプロポキシ−イソフラボンの包接複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活性成分として該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US20050222086A1 (en) Alprazolam inclusion complex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KR950004706B1 (ko) 3-모르폴리노-시드노니민 또는 그 염들 또는 그 토우토머(tautomer)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Zeng et al. Formulation and in vivo evaluation of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of clozapine/hydroxypropyl-β-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es
AU638824B2 (en) Inclusion complexes of n-ethoxycarbonyl-3-morpholino-sydnonimine or salts formed with cyclodextrin derivatives,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rora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elmisartan: hydroxypropyl-βcyclodextrin: Tween 80 inclusion complex
Burga-Sánchez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cytotoxicity of articaine-2-hydroxypropyl-β-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
Aigner et al. Investigation of tenoxicam and γ-cyclodextrin binary and ternary complexes
Kreaz et al. Freeze-dried complexes of furosemide with β-cyclodextrin derivatives
SK278809B6 (sk) Inklúzny komplex 3-morfolinosydnonimínu alebo jeho
Hadžiabdić et al. Inclusion complexes of 3-(3-(2-chlorophenyl) prop-2-enoyl)-4-hydroxycoumarin with 2-hydroxypropyl-(-cyclodextrin: solu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orthington Nifedipine-cyclodextrin Binary Systems: Solid-state Photostability and Dissolution Behaviour
Cappello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Cyclodextrins on Physic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Etodolac
KR20050105005A (ko) 란소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사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