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805B1 -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1805B1 KR950001805B1 KR1019910021359A KR910021359A KR950001805B1 KR 950001805 B1 KR950001805 B1 KR 950001805B1 KR 1019910021359 A KR1019910021359 A KR 1019910021359A KR 910021359 A KR910021359 A KR 910021359A KR 950001805 B1 KR950001805 B1 KR 9500018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dge drop
- amount
- plate width
- stand
- devi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40—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axial shifting of the ro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cold-rolling, e.g. Steckel cold mi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21B27/021—Rolls for sheets or strips
- B21B2027/022—Rolls having tapered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에지드롭 제어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제어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쪽형 작업로울에 의한 에지드롭의 개선개념도.
제3도는 에지드롭계의 출력의 일예를 나타낸 선도.
제4도는 에지드롭 개선량과 한쪽형 작업로울의 테이퍼견부로부터 판폭끝까지 거리와의 관계를 나타낸 선도.
제5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탠덤 압연기열의 배열도.
제6도~제8도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에지드롭 개선효과늘 나타내는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대 10 : 에지드롭 제어장치
11 : 에지드롭 연산장치 12 : 이동위치 연산장치,
20 : 냉간탠덤 압연기열 21, 22 : 압연기
21A, 21B : 한쪽형 작업로울 23 : 에지드롭계
24 : 판폭 측정기 25 : 이동장치
30 : 테이퍼부 31 : 테이퍼견부
32 : 판폭 끝
본 발명은 냉간탠덤 압연기열을 사용하여 강대를 냉간압연할때 발생하는 에지드롭(edge drop)을 제어하기 위한 냉간압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강대를 냉간압연하는 단계에서 강대의 판폭 방향의 판 두께 편차중 특히 양판폭 끝부분에서 급격한 판두께 감소(이하, 에지드롭이라 한다)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강대 양쪽 끝부분의 축방향 메탈플로우(metal flow) 및 강대와의 접촉하에서의 작업로울의 표면 편평상태에 기인하고, 냉간압연 조건에 지배된다.
이 에지드롭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상하 1쌍의 각 작업로울이 적어도 한쪽 끝부분에 끝이 뾰족하게 연삭한 테이퍼부를 갖춘 소위 한쪽형 작업로울(single-sided work roll)부를 강대의 양쪽 끝부분에 위치시키고 로울갭의 기하학적 형상의 개량에 따라 에지드롭이 경감되는 성과를 들 수 있다.
또, 냉간 탠덤 압연기열의 적어도 제1스탠드에 전술한 한쪽형 작업로울을 설치한 압연기를 배치함과 동시에 적어도 출구쪽 최종 스탠드에 플랫(flat) 작업로울을 설치한 압연기를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공평 2-4364).
또한, 상기 냉간탠덤 압연기에서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판 에지드롭양을 측정하여 이 측정 에지드롭양과 목표 에지드롭양을 비교 연산하고, 이 값에 기초하여 전기한 테이퍼부를 설치한 작업로울의 판폭 방향의 이동량과 로울벤더압을 제어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소 60-12213).
그러나, 전술한 한쪽형 작업로울을 이동하여 에지드롭을 제어하는 방법은, 실하의 작업로울을 같은 양만큼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열간압연에서 발생한 강대의 에지드롭양이 양판폭 끝부분에서 서로 다른 경우에는 에지드롭계로 측정한 에지드롭양을 목표 에지드롭양에 일치시키기 위해 한쪽 작업로울의 이동량을 변경해도 양판폭 끝부분에서 같은 에지드롭양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열간압연에서 발생한 에지드롭양이 양판폭 끝부분에서 서로 상당히 다른 경우에는 한쪽 판폭 끝부분에서의 에지드롭이 크고, 반대쪽 판폭 끝부분에서는 에지업(edge-up)하는 경우도 있어, 이 경우 종래 방법으로는 잘 처리할 수 없다.
또, 상하의 한쪽형 작업로울을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 강대는 그 방향으로 끌려 들어가기 때문에 압연기 입구쪽에서 꾸불꾸불한 모양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어 적절하게 제어할 수 없다.
한편, 냉간압연전의 산세 공정에서 강대의 에지를 절단하지 않는 경우 열간압연에서 발생한 판폭 변동이 그대로 남는다.
이 때문에 냉간압연 공정에서 판폭 끝으로부터의 거리로 규정된 에지드롭양을 측정하고 이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한쪽형 작업로울을 이동제어해도, 냉간압연 후 에지를 절단하여 최종제품이 얻어질 때 판폭 변동때문에 상기 냉간압연 공정에서의 제어를 위한 에지드롭양 측정위치와 최종 제품의 판폭 끝부분으로부터의 거리로 규정된 에지드롭양 점검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냉간압연 공정에서의 제어에 의해서도 반드시 긴쪽 방향으로 균일한 에지드롭을 갖는 제품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판폭 변동은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 거동 자체로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기 냉간압연 공정에서의 제어를 실행해도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의 변동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한쪽형 작업로울을 갖춘 압연기를 배치하는 스탠드수가 적은 경우, 그 압연기로 에지드롭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쪽형 작업로울의 이동량을 변경해도 피압연재의 피제어부분이 최종 스탠드 출구쪽으로 이송되기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어를 행한 결과의 반응성이 낮다.
이 때문에, 강대의 판폭 끝부분의 판두께 분포나 압연기의 가감속에 의한 조업변화 등 냉간압연시의 에지드롭 형성에 영향을 주는 외란의 번화에 따를 수 없다.
따라서, 강대의 긴쪽 방향에서 에지드롭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고, 에지드롭양이 너무크거나 에지업하는 일도 존재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쪽 끝부분에 끝이 뾰족하게 연삭을 한 테이퍼부를 강대의 양판폭 끝부분에 위치시킨 상하 1쌍의 한쪽형 작업로울과 판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를, 적어도 제1스탠드를 포함하는 1이상의 스탠드에 순차 배열시키고 적어도 최종 스탠드에 상하 1쌍의 플랫로울을 배열시킨 냉간탠덤 압연기열에 있어서, 전기한 한쪽형 작업로울을 이동시킬 수 있는 압연기의 이동위치를 조정하고, 강대의 판폭 방향의 판두께 편차를 제어하는 냉간압연을 할 때, 최종 스탠드 출구쪽에서 강대의 각 양판폭 끝부분의 에지드롭양을 측정하고, 그 측정 에지드롭양과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목표 에지드롭양과의 에지드롭 편차량을 식(1)로 구하고, 그 양판폭 끝부분의 에지드롭 편차량에 기초하여 전기의 상하 각 한쪽형 작업로울의 이동위치를 각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 제어방법이다.
△hed: 판폭 끝부분 에지드롭 편차량(mm)
tce: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중앙부 측정 판두께(mm)
tcd: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끝부분 측정 판두께(mm)
toce: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중앙부 목표 판두께(mm)
toed: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끝부분 측정 판두께(mm)
그 외의 본 발명의 구성은 그 변형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 진다.
제1도에 본 발명에 따른 에지드롭 제어방법 1실시예에 사용되는 에지드롭 제어장치(10)의 제어계통도를 나타낸다.
냉간탠덤 압연기열(20)은,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쪽 끝부분에 끝이 뾰족하게 연삭한 테이퍼부(30)를 강대(1)의 양쪽 끝부분에 위치시켜 배열한 상하 1쌍의 한쪽형 작업로울(21A)(21B)과 판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21)를, 적어도 제1스탠드를 포함하는 1이상의 스탠드에 순차 배열함과 동시에 편평한 형상의 상하 1쌍의 작업로울(22A)(22B)을 설치한 압연기(22)를 적어도 출구쪽 최종 스탠드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압연기열(20)은 최종 스탠드의 압연기(22)의 출구쪽에 강대(1)의 조작쪽과 구동쪽의 양판폭 끝부분 각각의 에지드롭양을 측정하는 에지드롭계(23)가 설치되어 있다.
에지드롭계(23)는 판폭 방향에 작은 피치로 판두께 측정기를 배열한 구조로 되어 있고, 급격히 판드께가 감소하는 위치를 판끝부분으로 인식하며, 판폭 끝에서 판폭 안쪽으로의 설정 판두께에 대한 판두께 편차를 그 위치에서의 에지드롭양으로 출력한다.
제3도는 조작쪽의 에지드롭(23)의 출력값이다. 또, 냉간탠덤 압연기열(20)은 상하 1쌍의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위한 이동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에지드롭 제어장치(10)는 에지드롭 연산장치(11)와 이동위치 연산장치(12)를 갖는 압연기(21)의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의 이동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에지드롭 연산장치(11)는 에지드롭계(23)의 측정결과에 따라 에지드롭 제어장치(10)로 제어해야 할 에지드롭 편차량 △hed를 (1)식으로 연산한다.
△hed: 판폭 끝부분 에지드롭 편차량(mm)
tce: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중앙부 측정 판두께(mm)
ted: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끝부분 측정 판두께(mm)
toce: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중앙부 목표 판두께(mm)
toed: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끝부분 목표 판두께(mm)
이 (1)식으로 조작쪽 및 구동쪽의 각 에지드롭 편차량 △hedOp, △hedDr을 구하고, 각에지드롭 편차량 △hedOp, △hedDr에 따라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의 이동위치를 각각 변경하기 위하여 상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A)의 이동량 △Sju, 하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B)의 이동량 △Sjd를 구한다.
여기에서, 조작쪽의 에지드롭 편차량 △hedOp에 대해서, 스탠드(j)의 상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A)이 조작쪽에 끝이 뾰족하게 연삭할 경우에는 상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A)의 이동량 △Sju를 하기 (2)식에 따라 연산할 수 있다.
(주. 이동량은 에지드롭을 개선하는 방향을 양으로 한다.)
αju : 스탠드(j)의 상부의 한쪽형 작업로울의 테이퍼 각도
j : 탠덤 압연기열의 출구쪽에서의 에지드롭양에 대하여 스탠드(j)의 에지부의 기하학적 갭양(EH : 제2도 참조)의 영향계수.
또한, 스탠드(j)의 상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A)이 구동쪽에 끝이 뽀족하게 연삭한 경우에는 (2)식에서 △hedOp를 △hedDr로 연산할 수 있다.
또, 스탠드(j)의 하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B)의 이동량 △Sjd도 같으 방법으로 연산할 수 있다. 한쪽형 작업로울의 끝이 뾰족하게 하는 연삭은, 조작쪽과 구동쪽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 방향으로 에지드롭을 개선하는 경우에는 이동량은 양이지만, 이동되는 방향은 음이 된다.
또한, (2)식은 스탠드(j) 단독의 이동량 변경으로 에지드롭양을 수정하고자 할때의 이동량을 나타낸 것이다. 복수 스탠드의 이동 변경량으로 에지드롭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 에지드롭 편차량의 △hedOp, △hedDr을 각 이동량 변경 스탠드에 임의의 분배율로 분배하고, (2)식의 연산을 할 필요가 있다.
또, 이동위치 연산장치(12)는 에지드롭 연산장치(11)의 연산결과를 하기 (a)(b)와 같이 판별하여 이동장치(25)를 제어한다.
(a)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의 이동하는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Sju, △Sjd0 또는 △Sju, △Sjd0)에는, 상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A)을 △Sju로 이동하고 하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B)을 △Sjd로 이동한다.
(b)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의 이동하는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Sju>0, △Sjd<0 또는 △Sju<0, △Sjd>0)에는, ①│△Sju││△Sjd│이면, 먼저 상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A)만을 이동하고, 그 후 하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B)을 이동하는 것으로 하고, ②│△Sjd│>│△Sju│이면, 먼저 하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B)만을 이동하고, 그 후 상부의 한쪽형 작업로울(21A)을 이동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동위치 연산값(12)에 따라 상기의 판별을 함으로써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은, 상하로울이 동시에 반대반향으로 이동하거나 한쪽방향의 로울을 정지하고 다른 방향만을 이동하며, 계속해서 다른 방향의 로울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어를 한다.
강대(1)는 상하 각 한쪽형 작업로울(21A)(21B)로부터 같은 방향에 힘을 가할 수 없고, 강대(1)가 판폭방향으로 꾸불꾸불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쪽형 작업로울중 어느 하나만을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하는 속도를 줄여 강대가 한쪽형 작업로울로부터 폭방향으로 받는 힘을 줄인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다음에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탠덤압연기(20)의 입구쪽에 판두께 측정기(24)를 설치해도 좋다.
에지드롭 연산장치(11)는 에지드롭계(23)와 판두께 측정기(24)의 측정결과에 따라 에지드롭 제어장치(10)에서 제어해야 하는 에지드롭 편차량 △hed를 전기한 식(1)로 연산한다.
이때, 당초 에지드롭 관리위치로서 설정한 판폭 끝으로부터의 거리를 xo로 하면 판폭이 설정 판폭으로부터 △W만큼 넓은 경우에는 에지드롭 측정위치 x를 하기 (3)식으로 구한 위치로 변경한다.
x : 에지드롭 측정위치 (판폭 끝으로부터의 거리)
xo : 에지드롭 관리위치의 설정값
△W : 판폭 편차량 (설정 판폭으로부터의 편차량)
그리고, 상기 에지드롭 측정위치 X에서의 측정 에지드롭양과 목표 에지드롭양과의 차를, 제3도에서와 같이 에지드롭 편차량 △hed로 출력한다.
이동위치 연산장치(12)는 에지드롭 연산장치(11)가 연산한 에지드롭 편차량 △hed를 0으로 유지하기 위해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의 이동변경량 △Sj를 전기한 (2)식으로 구하고, 이 △Sj에 기초하여 이동장치(25)를 제어한다.
제2도에 나타난 단 스탠드에서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21)에서의 한쪽형 작업로울의 테이퍼견부(31)와 판폭 끝(32)과의 거리와 에지드롭 개선량과의 관계를 제4도에 나타낸다.
한쪽형 작업로울을 고정한 상태하에서 판폭이 변동하는 경우, 예를 들면 당초 a점에서 에지드롭이 개선되었던 것이 판폭 편차량 △W만큼 커지면 한쪽형 작업로울의 테이퍼견부(31)와 판폭 끝(32)과의 거리가 △W/2만큼 커지게 되어 그 결과 개선량에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판폭 편차량 △W의 반만큼 한쪽형 작업로울을 이동함에 따라 테이퍼견부(31)와 판폭 끝(32)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에지드롭 개선량의 변동을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량 △Sj은 (4)식으로 나타낸다.
즉, 판폭 측정기(24)로 측정된 판폭 변동에 따라 상류 스탠드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로울을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의 이동량을 피이드, 포워드방식(feed, forward method)으로 변경하면 알맞다. 또한 상기 2개의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2)식 및 (3)식의 값을 더하여 이동량 △Sj을 구한다.
다음에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간탠덤 압연기열(20)에는 상하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21)를 갖는 스탠드 중 마지막 스탠드(스탠드(i))의 출구쪽에 강대(1)의 조작쪽과 구동쪽의 양판폭 끝부분 각각의 에지드롭양을 측정하는 에지드롭계(23')을 배치해도 좋다.
에지드롭 제어장치(10)는 스탠드(i) 출구쪽 목표 에지드롭 연산장치(11)와 이동위치 연산장치(12)를 갖는다.
즉, 이동위치 연산장치(12)에서는 에지드롭계(23')의 측정결과에 따라 스탠드(i) 출구쪽의 측정 에지드롭 양과 그 스탠드(i) 출구쪽의 목표 에지드롭양과의 에지드롭 편차량 △hedi을 구하고, 그 △hedi에 기초하여 스탠드(i) 출구쪽에서의 에지드롭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1)~(i)스탠드의 각 이동장치(25)에 주어야 할 이동변경량 △Sj를 하기 (5)식으로 출력한다.
αj : 스탠드(j)의 작업로울의 테이퍼부의 테이퍼 각도.
ji : 스탠드(i) 출구쪽 스탠드 사이 에지드롭양에 대한 스탠드(j)의 에지부의 기하학적 갭(EH : 제2도 참조)의 영향계수.
이 경우 이동장치(25)와 에지드롭계(23')가 근접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응답성이 높고, 강대의 판폭 끝부분의 판두께 분포나 압연기의 가감속 조업변화등에 대하여 충분히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한 (5)식에 의한 제어는 스탠드(i) 출구쪽 스탠드 사이의 에지드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는데 불과하다.
강대(1)는 통상의 플랫로울 형상을 갖는 압연기군을 통과하여 전술한 탠덤 출구쪽에서 에지드롭계(23)에 의해서 냉연제품으로서의 에지드롭양이 측정된다.
그리고, 스탠드(i) 출구쪽 목표 에지드롭 연산장치(11)에서는 냉연제품의 에지드롭양을 목표 에지드롭양에 일치시키기 위해 에지드롭계(23')의 측정결과에 따라 탠덤 출구쪽의 측정 에지드롭양과 냉연제품의 목표 에지드롭양과의 에지드롭 편차량 △hedn을 구하고, △hedn에 기초하여 스탠드(i) 출구쪽 스탠드 사이에 해당하는 에지드롭 제어계에 대하여 스탠드(i) 출구쪽 스탠드 사이의 목표 에지드롭 변경량 △hedi를 출력한다.
여기서, 목표 에지드롭 변경량 △hedi는 하기(6)으로 연산할 수 있다.
i : 탠덤 출구쪽의 에지드롭양에 미치는 스탠드(i) 출구쪽 스탠드 사이의 에지드롭양의 영향계수.
이상과 같이 스탠드(i) 출구쪽의 에지드롭계(23')의 존재에 의해서 응답성이 높은 에지드롭 제어가 될 수 있으며, 탠덤 출구쪽의 에지드롭계(23)의 존재에 의해서 냉연제품으로서의 에지드롭양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실시예 1]
판폭 1100mm, 판두께 2.6mm의 강대를 제5도에 나타낸 5스탠드의 냉간탠덤 압연기열에서 0.3mm까지 냉간압연하였다.
No.1 스탠드에 한쪽형 작업로울을 판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를 설치하고 최종 스탠드 출구쪽에 에지드롭계를 설치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의 한쪽형 작업로울은 조작쪽에 끝이 뾰족하게 연삭되어 있고, 하부의 한쪽형 작업로울은 구동쪽에 끝이 뾰족하게 연삭되어 있다.
조작쪽과 구동쪽의 양판폭 끝부분의 에지드롭양의 평균값을 목표값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No.1 스탠드의 상하 한쪽형 작업로울을 같은 양만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어하는 경우(종래법), 조작쪽과 구동쪽의 에지드롭양을 각각 목표값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No.1 스탠드의 한쪽형 작업로울을 각각 이동하며,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하 로울의 어느쪽이던지 한쪽만을 먼저 이동하고, 그 후 다른쪽을 이동하도록 한 경우 (본 발명법)의 각각에 대해서 압연을 하였다.
제6도에 탠덤 압연기열 출구쪽에서의 조작쪽과 구동쪽의 에지드롭 편차량, 한쪽형 작업로울 이동량(구동쪽에 이동하는 경우를로 한다), 강대의 No.1 스탠드 출구쪽의 편심량(구동쪽에 편심하는 경우를로 한다)를 나타낸다.
종래법에서는 양판폭 끝부분의 에지드롭양의 평균값을 목표값에 일치시키는 제어밖에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쪽에서 +3~+5㎛, 구동쪽에서 -3~-5㎛의 에지드롭 편차량이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법에서는 이 편차를 없애기 위해서 상하 한쪽형 작업로울 모두 구동쪽 방향으로 변경시키나, 상하 어느 한쪽만의 한쪽형 작업로울을 먼저 이동하고, 그 후 다른쪽을 이동하기 때문에 강대가 편심되지 않고 이동함으로써 조작쪽과 구동쪽의 에지드롭의 차가 없게 되고, 조작쪽과 구동쪽도 목표값으로 제어되어 편차가 거의 0으로 되었다.
[실시예 2]
판폭 1100mm, 판두께 2.6mm의 강대를 제5도에 나타낸 5스탠드의 냉간탠덤 압연기열에서 0.3mm까지 냉간압연하였다.
No.1 스탠드에 한쪽형 작업로울을 판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를 설치하고 최종 스탠드 출구쪽에 에지드롭계 및 탠덤 압연기 입구쪽에 판폭계를 설치하였다.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에지드롭계의 출력만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종래법), 판폭계로 측정한 판폭 편차에 따라 에지드롭의 측정위치를 변경하고, 그 에지드롭계의 출력을 사용해서 제어하고, 탠덤 압연기 입구쪽의 판폭계로 측정한 판폭 편차에 따라 한쪽형 작업로울의 테이퍼견부와 판폭 끝부분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판폭 편차에 대응시켜 이동량을 변경하는 경우(본 발명법) 각각에 대하여 압연을 하였다.
제7도에 압연시의 에지드롭 편차량, 판폭 편차량 및 에지를 절단한 후의 에지드롭 편차량(상기 압연시와 같은 판속도로 이동하여 각 위치가 일치되도록 한다)를 나타낸다.
종래법에서는 판폭 편차가 있어도 항상 판폭 끝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서 에지드롭을 측정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판폭이 넓게 되면 최종 제품에 대하여는 지정한 관리위치보다 판폭 끝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의 에지드롭양을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지정한 관리위치에서는 목표값 보다 작은 에지드롭양으로 되어 그 편차량은쪽으로 크게 벗어나게 된다(판두께에 관해서는 두꺼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판폭 편차에 따라 에지드롭 측정위치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판폭 변경에 따라 한쪽형 작업로울의 테이퍼견부의 위치를 미리 변경하기 때문에 냉간압연기 출구쪽에서의 에지드롭양도 작아질 수 있다.
또, 냉간압연기 출구쪽과 에지를 절단한 후 같은 위치의 에지드롭양을 측정하기 때문에 에지드롭 편차량은 같게 되며, 그 결과 에지를 절단한 후의 에지드롭 편차량도 작아질수 있다.
[실시예 3]
판폭 1100mm, 판두께 2.6mm의 강대를 제5도에 나타낸 5스탠드의 냉간탠덤 압연기열에서 0.3mm까지 냉간압연하였다. No.1 스탠드에, 한쪽형 작업로울을 판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를 설치하고, No.1 스탠드의 출구쪽과 최종 스탠드의 출구쪽에 각각 에지드롭계를 설치하였다.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에지드롭계만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종래법)와 최종 스탠드 출구쪽 및 No.1 스탠드의 출구쪽의 2대의 에지드롭계를 사용하여 No.1 스탠드 출구쪽 스탠드 사이의 에지드롭양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최종 스탠드 출구쪽에서의 에지드롭양이 벗어나지 않도록 보정하는 방법으로 제어하는 경우 (본 발명법) 각각에 대하여 압연을 하였다. 압연속도 및 No.1 스탠드, 최종 스탠드의 각 에지드롭계의 출력 및 목표값의 시간적 변화를 제8도에 나타낸다.
종래법인 경우 용접점 통과직후의 강대(열연판의 앞끝부분에 해당한다)에서 에지드롭양이 상당히 증가하지만, 제어응답이 늦기 때문에 No.5 스탠드 출구쪽의 에지드롭양은 쉽게 목표값에 도달할 수 없다.
또, 가감속 지역에서의 마찰계수와 압연하중의 변화에 의한 에지드롭양의 변화도 커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용접점 통과직후의 에지드롭양 변화도 빠르게 개선되고 편차는 작아진다. 또한, No.5 스탠드 출구쪽의 에지드롭계에 의한 No.1 스탠드 출구쪽의 목표 에지드롭양이 변화되면 No.5 스탠드 출구쪽의 에지드롭양이 목표값에 들어가게 된다.
다음의 용접점에서는 No.1 스탠드 출구쪽의 목표 에지드롭양이 적당하기 때문에 No.1 스탠드 출구쪽의 에지드롭양이 목표값에 도달한 시점에서 No.5 스탠드 출구쪽의 목표 에지드롭양도 목표값에 도달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양판폭 끝부분의 에지드롭의 편차를 제거하고, 에지드롭양을 긴쪽 방향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판폭 방향의 판두께 편차가 적은 냉연제품을 피압연재의 수축등과 같은 조업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5)
- 한쪽 끝부분에 끝이 뾰족하게 연삭한 테이퍼부(30)를 강대(1)의 양판폭 끝부분에 위치시킨 상하 1쌍의 한쪽형 작업로울(21A)(21B)과 판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21)를, 적어도 제1스탠드를 포함하는 1이상의 스탠드에 순차배열시키고, 적어도 최종 스탠드에 상하 1쌍의 플랫로울을 배열시킨 냉간탠덤 압연기열(20)에 있어서,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이동할 수 있는 압연기(21)의 이동위치를 조정하고, 강대(1)의 판폭 방향의 판두께 편차를 제어하는 냉간압연을 할때에 최종 스탠드 출구쪽에서 강대(1)의 양판폭 끝부분 각각의 에지드롭(edge drop)양을 측정함과 동시에, 그 측정 에지드롭양과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목표 에지드롭양과의 에지드롭 편차량을 식(1)로 구하고, 그 양판폭 끝부분의 에지드롭 편차량에 기초하여 상하 각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의 이동위치를 각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 제어방법.△hed= (tce-ted)-(toce-toed) (1)△hed: 판폭 끝부분 에지드롭 편차량(mm)tce: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중앙부 측정 판두께(mm)ted: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끝부분 측정 판두께(mm)toce: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중앙부 목표 판두께(mm)toed: 최종 스탠드 출구쪽의 강대판폭 끝부분 목표 판두께(mm)
- 제1항에 있어서, 양판폭 끝부분의 각 에지드롭 편차량이 양 방향 모두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상하 각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각 에지드롭 편차량에 기초하여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에지드롭 편차량의 한쪽이 플러스이고, 다른쪽이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마이너스의 에지드롭 편차량쪽에 상하 어느것중 하나의 한쪽형 작업로울을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다른 한쪽형 작업로울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 제어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간탠덤 압연기(20) 입구쪽에서 강대(1)의 판폭을 측정하고, 측정된 판폭 변동에 대하여 판폭 끝부분과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의 테이퍼부(30)와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 측정 판폭과 최종 목표 판폭의 차에 따라 양판폭 끝부분의 에지드롭양의 측정위치를 판폭 방향으로 이동한 후, 양판폭 끝부분의 각 에지드롭 편차량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 제어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잇어서,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갖는 마지막 스탠드(i) 출구쪽에서 양판폭 끝부분의 에지드롭양을 측정하고, 그 측정 에지드롭양과 그 스탠드(i) 출구쪽의 목표 에지드롭양의 각 에지드롭 편차량을 구하고, 그 각 에지드롭 편차량에 기초하여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의 이동위치를 변경하는데 있어, 최종 스탠드(i)의 출구쪽의 에지드롭 편차량에 기초해,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갖는 마지막 스탠드(i)의 출구쪽에서의 목표 에지드롭양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압연에서 에지드롭 제어방법.
- 제3항에 있어서,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갖는 마지막 스탠드(i) 출구쪽에서 양판폭 끝부분의 에지드롭양을 측정하고, 그 측정 에지드롭양과 그 스탠드(i) 출구쪽의 목표 에지드롭양의 각 에지드롭 편차량을 구하고, 그 각 에지드롭 편차량에 기초하여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의 이동위치를 변경하는데 있어, 최종 스탠드(i) 출구쪽의 에지드롭 편차량에 기초해, 한쪽형 작업로울(21A)(21B)을 갖는 마지막 스태드(i)의 출구쪽에서의 목표 에지드롭양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압연에서 에지드롭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330010A JP2919061B2 (ja) | 1990-11-30 | 1990-11-30 | 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
JP33001190 | 1990-11-30 | ||
JP2330012A JPH04200814A (ja) | 1990-11-30 | 1990-11-30 | 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
JP90-330011 | 1990-11-30 | ||
JP90-330012 | 1990-11-30 | ||
JP90-330010 | 1990-11-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9468A KR920009468A (ko) | 1992-06-25 |
KR950001805B1 true KR950001805B1 (ko) | 1995-03-03 |
Family
ID=2734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21359A KR950001805B1 (ko) | 1990-11-30 | 1991-11-27 |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231858A (ko) |
EP (1) | EP0488367B1 (ko) |
KR (1) | KR950001805B1 (ko) |
AU (1) | AU632719B2 (ko) |
DE (1) | DE69104169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48901A (en) * | 1994-05-03 | 1995-09-12 | The University Of Toledo | Method for controlling axial shifting of rolls |
US5901591A (en) * | 1996-04-29 | 1999-05-11 | Tippins Incorporated | Pinch roll shapemetering apparatus |
DE19625442B4 (de) * | 1996-06-26 | 2005-02-03 | Siemens Ag |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Verringerung der Kantenanschärfung eines Walzbandes |
DE69710817T2 (de) * | 1996-07-18 | 2002-11-14 | Kawasaki Steel Corp., Kobe | Walzverfahren und Walzwerk für Band zur Reduzierung der Kantenanschärfung |
IT1310880B1 (it) * | 1999-07-20 | 2002-02-22 | Danieli Off Mecc | Metodo per il controllo statico e dinamico della planarita'di prodotti piani laminati |
IT1310879B1 (it) | 1999-07-20 | 2002-02-22 | Danieli Off Mecc | Gabbia di laminazione per prodotti piani e metodo peril controllo della planarita' di detti prodotti |
JP4389136B2 (ja) * | 2000-02-24 | 2009-12-24 | 株式会社Ihi | 油圧ピンチロールの制御方法とその制御装置 |
JP3747786B2 (ja) † | 2001-02-05 | 2006-02-2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板材用圧延機の圧延方法及び板材用圧延設備 |
KR100453608B1 (ko) * | 2002-06-12 | 2004-10-20 | 주식회사 지엔에프 | 도토리를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
US20050275160A1 (en) * | 2004-06-07 | 2005-12-15 | Reslow Leif F | Transport assembly with driven split nip rollers |
JP5905322B2 (ja) | 2012-04-25 | 2016-04-20 | Primetals Technologies Japan株式会社 | 作業ロールシフト機能を具備した圧延機 |
CN103949475B (zh) * | 2014-05-12 | 2017-01-04 | 北京科技大学 | 一种兼顾带钢边降控制和凸度控制的工作辊 |
CN105414206A (zh) * | 2014-09-19 | 2016-03-23 | 鞍钢股份有限公司 | 一种冷轧带钢边部在线快速定位方法 |
CN105057424B (zh) * | 2015-08-12 | 2017-05-31 | 北京首钢股份有限公司 | 一种加工带钢的方法及装置 |
KR101713093B1 (ko) * | 2016-04-18 | 2017-03-07 | 임형빈 | 코어의 적층 높이 제어장치 |
CN113290050A (zh) * | 2021-05-21 | 2021-08-24 | 新余钢铁股份有限公司 | 一种控制无取向电工钢横向同板差的装置及方法 |
CN114042760B (zh) * | 2021-10-28 | 2023-11-10 | 北京科技大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通过下工作辊窜辊补偿值改善带钢截面楔形的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500795B2 (en) * | 1975-08-27 | 1979-05-31 | General Electric Company, Plc, The | Strip thickness control |
GB2081151B (en) * | 1980-08-08 | 1985-03-20 | Sumitomo Metal Ind | Tandem mill |
JPS59110401A (ja) * | 1982-12-14 | 1984-06-26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圧延方法 |
JPS59113904A (ja) * | 1982-12-20 | 1984-06-30 | Kawasaki Steel Corp | 冷間タンデム圧延機列 |
JPS6012213A (ja) * | 1983-07-04 | 1985-01-22 | Kawasaki Steel Corp | 鋼板の冷間圧延方法 |
JPS6068101A (ja) * | 1983-09-22 | 1985-04-18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圧延方法 |
JPS60148610A (ja) * | 1984-01-12 | 1985-08-05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圧延機の制御装置 |
DE3435232C2 (de) * | 1984-09-26 | 1987-02-26 | Hoesch Stahl AG, 4600 Dortmund | Mehrgerüstige Warmbandwalzstraße mit Korrekturmöglichkeit des Dickenprofils des zu walzenden Bandes |
JPS6186015A (ja) * | 1984-10-02 | 1986-05-01 | Nippon Steel Corp | 圧延材の板幅制御方法 |
JPS61154709A (ja) * | 1984-12-26 | 1986-07-14 | Kawasaki Steel Corp | 板材の厚さプロフイル制御装置 |
JPH0618651B2 (ja) * | 1985-01-17 | 1994-03-16 | 川崎製鉄株式会社 | 薄鋼板の長手方向にわたる、幅方向板厚差制御方法と制御装置 |
JPS61193714A (ja) * | 1985-02-22 | 1986-08-28 | Nippon Steel Corp | 板圧延におけるウエツジ制御法 |
EP0255714B1 (de) * | 1986-08-05 | 1992-05-06 | SUNDWIGER EISENHÜTTE MASCHINENFABRIK GmbH & CO. | Vielwalzen-Walzgerüst mit paarweise gegensinnig verschiebbaren, verjüngte Enden aufweisenden Zwischenwalzen |
GB2202174B (en) * | 1987-01-09 | 1991-07-03 | Nippon Steel Corp | Method for rolling metal sheets |
JP2616917B2 (ja) * | 1987-01-24 | 1997-06-0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ロールシフト圧延機による圧延方法 |
-
1991
- 1991-11-26 US US07/797,905 patent/US523185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11-27 KR KR1019910021359A patent/KR9500018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11-28 AU AU88268/91A patent/AU632719B2/en not_active Expired
- 1991-11-29 DE DE69104169T patent/DE69104169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11-29 EP EP91120510A patent/EP048836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9104169D1 (de) | 1994-10-27 |
AU8826891A (en) | 1992-06-04 |
KR920009468A (ko) | 1992-06-25 |
AU632719B2 (en) | 1993-01-07 |
US5231858A (en) | 1993-08-03 |
EP0488367A1 (en) | 1992-06-03 |
DE69104169T2 (de) | 1995-02-23 |
EP0488367B1 (en) | 1994-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01805B1 (ko) | 냉간압연에서의 에지드롭 제어방법 | |
CN102451838B (zh) | 一种消除钢板热轧过程镰刀弯缺陷的方法 | |
JPH0448521B2 (ko) | ||
CN101134207A (zh) | 冷轧板形设定计算中热轧来料凸度的处理方法 | |
CN101683659A (zh) | 冷轧带钢平直度横向厚差综合控制方法 | |
EP0738548A1 (en) | Hot-rolling method of steel piece joint during continuous hot-rolling | |
WO2020255863A1 (ja) | 熱間圧延鋼帯の蛇行制御方法、蛇行制御装置及び熱間圧延設備 | |
JP2000280015A (ja) | 熱延薄鋼帯の蛇行制御方法および装置 | |
JPS6277110A (ja) | 熱間圧延鋼板の寸法及び形状矯正設備 | |
JP2767508B2 (ja) | 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 |
JPH01233005A (ja) | 薄鋳片の熱間圧延における板幅制御方法 | |
JP7078020B2 (ja) | 熱間圧延鋼帯の蛇行制御方法、蛇行制御装置及び熱間圧延設備 | |
JP3771781B2 (ja) | 厚鋼板圧延設備および厚鋼板圧延方法 | |
JP3664067B2 (ja) | 熱間圧延鋼板の製造方法 | |
JPH10263654A (ja) | タンデム圧延機のルーパー制御方法 | |
JPH0616890B2 (ja) | 圧延材板形状の調整装置 | |
JP2919061B2 (ja) | 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 |
JPH1034220A (ja) | 板圧延における蛇行制御方法 | |
JPS60247407A (ja) | 帯鋼圧延における絞り込み防止方法 | |
JPS5926367B2 (ja) | 板キヤンバ制御方法 | |
JPH0839123A (ja) | 熱間圧延における絞り込み防止方法 | |
JPS62192205A (ja) | ストリツプの圧延形状制御方法 | |
JPH08132115A (ja) | 冷間圧延における薄鋼板の圧延方法 | |
JP2021016888A (ja) | 熱間圧延鋼帯の蛇行制御方法、蛇行制御装置及び熱間圧延設備 | |
JPH06142731A (ja) | 圧延における反り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