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703399A - 락트산으로부터 제조한 포장용 열가소성 수지 - Google Patents

락트산으로부터 제조한 포장용 열가소성 수지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703399A
KR930703399A KR1019930700677A KR930700677A KR930703399A KR 930703399 A KR930703399 A KR 930703399A KR 1019930700677 A KR1019930700677 A KR 1019930700677A KR 930700677 A KR930700677 A KR 930700677A KR 930703399 A KR930703399 A KR 930703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de
lactic acid
plasticizer
composition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 싱클레어 리챠드
알. 프레스톤 죠셉
Original Assignee
댄 더블유. 버저
바이오팩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579,005 external-priority patent/US5180765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579,000 external-priority patent/US5216050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579,460 external-priority patent/US5252642A/en
Application filed by 댄 더블유. 버저, 바이오팩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댄 더블유. 버저
Publication of KR93070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39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3Polyethers; 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2Compostable, hydrosoluble or hydrodegradabl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19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 B01J2219/194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round
    • B01J2219/1941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round circular or disk-shaped
    • B01J2219/1942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round circular or disk-shaped spher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28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제1일반양태는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또는 락트산과 같은 혼합물로 밀접하게 가소화시킨 폴리(락트산)의 환경적으로 생분해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제2일반양태는 락트산 반복단위수 n이 450 내지 10,000이며 α-탄소가 D- 또는 L-단위중 하나가 우세한 L-및 D-배위 혼화물인 중합된 락트산을 포함하는 생분해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제3의 일반양태는 폴리(락스산)의 물리적 혼화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이의 물리적 혼합물의 환경적으로 분해가능한 조성물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제4의 일반 양태는 조성물 약 1 내지 99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의 물리적 혼합물 및 탄성중합체성 블렌드 혼화성의 중합체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환경적으로 분해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락트산으로부터 제조한 포장용 열가소성 수지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조성물 중에 가소제로서 락타이드%(가로좌표X)와 PSI에 의해 측정한 인장강도(세로좌표Y)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2도는 조성물의 가소제로서 락타이드의 중량%(가로좌표X)와 1000PSI에서 측정한 탄성 묘뮬러스 (세로좌표Y)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제3도는 조성물 중에 가소제로 올리고머%(가로좌표X)와 PSI로 측정한 인장강도(세로좌표Y)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인데 곡선A는 90/10공중합체에 대한 곡선이고 곡선B는 92.5/7.5공중합체에 대한 곡선이다.

Claims (134)

  1. (a) 폴리(락트산) 및 (b)하기 일반식으로 부터 선택된, 락트산의 하나 이상의 올리고머 유도체인 가소제(여기서, 가소제는 중합체내에 밀접하게 분산된다)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대체물로서 유용한 환경적으로 생분해가능한 조성물.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아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아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q는 2이상 10이하의 정수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폴리(락트산)이 일반식
    (여기서, n은 반복단위의 수로서 150이상 20,000이하의 정수이다)의 중합체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비배향되며 인장강도가 약300 내지 약20,000psi이고 파단신도가 약 50내지 약1,000%이고 탄젠트 모듈러스가 약20,000 내지 250,000psi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비배향되며 인장강도가 약1200 내지 약4,000psi이고 파단신도가 약 100내지 약800%이고 탄젠트 모듈러스가 약20,000 내지 75,000psi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비배향되며 인장강도가 약4,500 내지 약10,000psi이고 파단신도가 약 100내지 약600%이고 탄젠트 모듈러스가 약165,000 내지 225,000psi이고 융점이 약 150 내지 약190°F인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락타이드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약 2내지 약 60%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락트산,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 라세미D, L-락타이드, 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가소제가 조성물에 분산되어 있는 조성물.
  10. (a)폴리(락트산)을 제공하고, (b)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를 폴리(락트산)에 혼입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대체물로서 유용한 생분해가능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11. 제1항에 있어서, q는 2이상 10이하의 정수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약 2 내지 약 60중량%의 가소제 함량을 수득하는 양으로 가소제를 가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락트산,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 라세미D, L-락타이드, 락트산의 올이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가소제를 혼입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중합체내에 가소제의 밀접한 분산액을 수득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가소제를 혼입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가소화된 폴리(락트산)을 취입 필름으로서 압출시키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취입필름을 압출하는 동안 가소제의 밀접한 분산액을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중합체내의 밀접한 분산액으로서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조성물을 최종제품으로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중합체내에 밀접한 분산액으로서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속도로 조성물을 급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단량체를 중합체내에 밀접한 분산액으로서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속도로 조성물을 용융가공시키고 급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의 반복단위
    (여기서, n은 반복단위의 수로서 150이상 20,000이하의 정수이다)를 갖는 폴리(락트산)을 제공하고, 폴리(락트산)을 가소화시켜, 비배향시의 인장강도가 약1,200 내지 약4,000psi이고 파단신도가 약 100내지 약800%이고 탄젠트 모듈러스가 약20,000 내지 75,000psi인 조성물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의 반복단위
    (여기서, n은 반복단위의 수로서 150이상 20,000이하의 정수이다)를 갖는 폴리(락트산)을 제공하고, 폴리(락트산)을 가소화시켜, 비배향시의 인장강도가 약4,500 내지 약10,000psi이고 파단신도가 약 100내지 약600%이고 탄젠트 모듈러스가 약165,000 내지 225,000psi이고 융점이 약 150내지 190°C 인 조성물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a)락트산이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1가소제를 제1온도에서 폴리(락트산)과 용융 블렌딩하고, (b)수득한 블렌드를 제1온도보다 낮은 제2온도에서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와 용융 블렌딩하여 가소제의 밀접한 분산액을 수득함을 특징으로하여, 가소제를 폴리(락트산)에 혼입시켜 블렌드 조성물을 수득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중합체내에 밀접한 분산액으로서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속도로 조성물을 급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a)폴리(락트산)을 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와 제1오도에서 용융 블렌딩하고, (b)수득한 블렌드를 제1온도보다 낮은 제2온도에서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와 용융 블렌딩하여 가소제의 밀접한 분산액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여, 가소제를 폴리(락트산)에 혼입시켜 블렌드 조성물을 수득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25. 제24항에 있어서, q가 2이상 10이하의 정수인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중합체내의 밀접한 분산액으로서 유지하기에 적합한 속도로 조성물을 급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폴리(락프산)(여기서, 반복단위는 L-또는 D-에만 티오머이며,이중 한 에난티오머가 우세하다)을 포하하며 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 약 0.1중량%이상이 밀접하게 분산되며 비배향된 조성물은 인장강도가 약5,000psi이상 이고 탄젠트 모뮬러스가 약200,000psi이상이며 실질적으로 무색인, 결정 폴리스티렌의 대체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환경적으로 분해가능한 중합체성 조성물.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28. 제27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a)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 (여기서, 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다) 및/또는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3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29. 제27항에 있어서, 약70°C이상에서 안정한 형태인 조성물.
  30.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폴리락타이드가 일반식
    (여기서, n은 약450이상 10,000이하의 정수이다)이고, 반복 단위는 L- 또는 D-에난티오머이며 그중의 어느 하나가 우세한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D-에난티오머에 대한 L-에난티오머의 비가 약 1/99 내지 약 99/1인 조성물.
  32. 제30항에 있어서, D-에난티오머에 대한 L-에난티오머의 비가 약 2.5/97.5 내지 약 7.5/92.5이거나 약 92.5/7.5내지 97.5/2.5인 조성물.
  33. 제30항에 있어서, 락테이트염, 벤조에이트염, 폴리(L-락타이드),폴리(D-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핵형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34. 제30항에 있어서, 상당한 투명도를 제공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35. 제28항에 있어서, 락트산의 올러고머 및 락타이드의 올라고머의 수평균 분자량이 약720미만인 조성물.
  36. 제30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37. 제36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약 5중량%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38. (a)D- 또는 L-에난티오머 중의 하나가 우세한 제1폴리(락트산),(b)폴리(D-락트산) 및 폴리(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폴리 (락트산)(여기서, 제2폴리(락트산)에 대한 제1폴리(락트산)의 중량%비는 약1/99 내지 99/1이다)및 (c)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약 0.1중량%의 가소제의 물리적 혼합물(여기서,가소제 폴리(락트산)(들)에 밀접하게 분산되며 비배향된 조성물은 인장강도가 약5,000psi 이상이고 탄젠트 묘뮬러스가 약 200,000psi이상이다)을 포함하는, 결정 폴리스티렌의 대체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환경적으로 분해가능한 중합체성 조성물.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39. 제28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a)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 (여기서, 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다) 및/또는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3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40. 제39항에 있어서, 약70°C이상에서 안정한 형태인 조성물.
  41. 제39항에 있어서,제2폴리(락트산)에 대한 제1폴리(락트산)의 비가 약98/2 내지 약 75/25인 조성물.
  42. 제39항에 있어서, (a)제1폴리(락트산)이 일반식
    (여기서, n은 약450 내지 10,000이하의 정수이다)이고, (b)제2폴리(락트산)이 일반식
    (여기서, p은 약450 내지 10,000이하의 정수이다)인 조성물.
  43. 제42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44. 제43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약 5중량%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45. 제42항에 있어서, 락테이트염, 벤조에이트염, 폴리(L-락타이드),폴리(D-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핵형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46. 제46항에 있어서, 인잔강도가 7,500을 초과하고 탄젠트 묘뮬러스가 350,000을 초과하고 약750°C이상의 온도에서 치수 열안전성을 갖는 배향되고 필름 또는 시트 제품을 포함하는 조성물.
  47. 제46항에 있어서, 쌍측으로 배향된 제품.
  48. 제46항에 있어서, 제2폴리(락트산)에 대한 제1폴리(락스탄)이 비가 약 98/2 내지 약 75/25인 조성물.
  49. 제27항, 제28항, 제38항, 제39항,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발포제품으로 가공되는 조성물.
  50. 제27항, 제28항, 제38항, 제39항, 제42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폴리9락트산)의 수평균 분자량(Mn)이 약 50.000 내지 400,000이고, 제품의 인장강도가 약 7500psi이상이고 탄젠트 모뮬러스가 350,000이상이고, 약 70°C이상에서 성형 안전성을 가지며 제품으로 가공된 후에도 실질적으로 무색인 제품으로 가공되는 조성물.
  51. (a)D- 또는 L-에난티오머 중의 하나가 우세한 D- 및 L-에난티오머를 갖는 포리(락트산)을 제공하고, (b)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를 혼입함으로써, 비배향된 조성물은 인장강도가 약5,000psi 이상이고 탄젠트 묘뮬러스가 200,000psi이상이고 실질적으로 무색이며 가소제가 조성물내에 밀접하게 블렌딩된 조성물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여,결정 폴리스티렌의 대체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체성 조성물을 성형시켜 환경적으로 분해가능한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52. 제51항에 있어서, 폴리락타이드의 D-에난티오머에 대한 L-에난티오머의 비가 약 1/99 내지 약 99/1인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폴리락타이드의 D-에난티오머에 대한 L-에난티오머의 비가 약 2.5/97.5 내지 약 7.5/92.5이거나 약 92.5/7.5 내지 97.5/2.5인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추가로 가공하기전에 필름 또는 시트의 분해 및 변색을 방지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가소제를 가하는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a)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 (여기서,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다) 및/또는 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3가소제를 포함하는 방법.
  56. 제51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조성물을 필름 또는 시트로 압출하고물리적으로 배향시키고/시키거나 어닐링하여, 인장강도가 7,500psi이상이고 탄젠트 모뮬러스가 350,000psi이상인 중합체성 필름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방법.
  57. 제51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필름 또는 시트가 쌍축으로 배향되는 방법.
  58. 제51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필름 또는 시트를 배향하고 배향을 유지하기 위해 열고정하는 방법.
  59. 제51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을 제공하는 단계(a)가 (1)D- 또는 L-에난티오머 중의 하나가 우세한 제1폴리(락트산)을 제공하고,(2)폴리(D-락트산) 및 폴리(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폴리 락트산(여기서, 제2폴리(락트산)에 대한 제1폴리(락스탄)의 중량% 비는 약 1/99 내지 99/1이다)을 제공함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가하는 방법.
  61. 제59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혼입하는 단계가 (a)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 (여기서,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다)를 혼입하고/하거나,(b) 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3가소제를 포함하는 방법.
  62. 제59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70°C이상에서 안정한 형태인 방법.
  63. 제59항에 있어서, 제2폴리(락트산)에 대한 제1폴리(락스탄)의 비가 약 98/2 내지 약 75/25인 방법.
  64. 제59항에 있어서, (a)제1폴리(락트산)이 일반식
    (여기서, n은 약450 내지 약 10,000의 정수이다)이고, (b)제2폴리(락트산)이 일반식
    (여기서, p은 약450 내지 약 10,000의 정수이다)인 방법.
  65. 제55항에 있어서, (a)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을 제1온도에서 블렌딩하고,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를 제1온도보다 낮은 제2온도에서 블렌딩함으로써 용융 블랜딩에 의해 가소제를 차례로 첨가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66. 제61항에 있어서, (a)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을 제1온도에서 블렌딩하고, (b)락트산,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를 제1온도보다 낮은 제2온도에서 블렌딩함으로써 용융 블랜딩에 의해 가소제를 차례로 첨가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67. 제55항에 있어서, (a)락트산의 올리고머,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리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1가소제를 제1온도에서 용융 블렌딩하고, (b)락트산,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를 제1온도보다 낮은 제2온도에서 블렌딩함으로써 가소제를 차례로 첨가하는 방법.
  68. 제61항에 있어서, (a)락트산의 올리고머,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리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1가소제를 제1온도에서 용융 블렌딩하고, (b)락트산,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를 제1온도보다 낮은 제2온도에서 블렌딩함으로써 가소제를 차례로 첨가하는 방법.
  69. 제55항에 있어서, 환경적 분해 속도가 조절되도록 첨가되는 가소제를 선택하는 방법.
  70. 제55항에 있어서, 수득된 중합체의 다분산성 Mw/Mn이 약 1.8 내지 약 2.6인 방법.
  71. 제55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점도가 약 100,000포이즈 미만인 방법.
  72. 제55항에 있어서, 필름 또는 시이트가 70℃이상에서 성형 안전성을 가질때 약 80 내지 약140℃의 온도에서 어닐이시키는 방법.
  73. (a)폴리(락트산),(b)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물리적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및 (c)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부터 선택된 가소제(여기서,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 5400 미만 이며, 가소제는 적어도 폴리(락트산)에 밀접하게 분산된다)의 물리적 혼합물의 용융 블렌드를 포함하는 환경적으로 분해 가능한 조성물.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74. 제73항에 있어서, q는 2이상 10이하의 정수인 조성물.
  75. 제 7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폴리(락트산)이 하기 일반식을 갖는 조성물:
    상기식에서,n은 75 내지 1000이 정수이다.
  76. 제73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a)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 (여기서,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다) 및/또는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3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77. 제76항에 있어서, 용융 블렌드 성분의 혼화성화를 제공하기에 유요한 양으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78. 제76항에 있어서, 습기에 의한 분해에 대한 감수성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79. 제73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가하는 조성물.
  80. 제73항에 있어서, 약 1 내지 약 99중량의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81. 제73항에 있어서, 약 5 내지 약 50중량의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82. 제73항에 있어서, 약 10 내지 약 20중량의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83. 제73항에 있어서, 약 80 내지 약 99중량의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84. (a)폴리(락트산)을 제공하고,(b)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물리적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중합체를 선택하고 (c)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부터 선택된 가소제를 제공하고 (d)단계(a)및(b)의 중합체를 단계 (c)의 가소제와 블렌딩시킴을 특징으로하여, 제 73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85. 제84항에 있어서, 용융 블렌드 성분의 혼화성화를 제공하기에 유요한 양으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제공하는 방법.
  86. 제76항에 있어서, 습기에 의한 분해에 대한 감수성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제공하는 방법.
  87. 제84항에 있어서, (a)락트산의 올리고머 및 락타이드의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를 제공하고/하거나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3가소제를 제공하는 방법.
  88. 제87항에 있어서, 올리고머의 수평균 분자량이 약 720미만인 방법.
  89. 제84항에 있어서, q는 2이상 10이하의 정수인 방법.
  90. 제84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가하는 조성물.
  91. 제84항에 있어서, 용융 블렌딩에 의해서 블렌딩시키는 방법.
  92. 제84항에 있어서, 밀 로울 블렌딩(mill roll blending)에 의해 블렌딩 시키는 방법.
  93. (a)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를 제공하고, (b)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단독중합체 도는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물리적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중합체를 선택하고, (c)단계(a)에서 선택한 락타이트 및 단계(b)에서 선택한 중합체를, 락타이드를 용융시키고 중합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시키기 위한 선택된 조건에서 혼합 및 가열하고, (d)단계(c)와 혼합물에서 락타이드를 중합시켜 폴리락타이드와 중합체의 블렌드를 수득하고,(e)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를 중합시킨후 블렌드에 가하여 가소제가 적어도 폴리9락트산0에 밀저하게 분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여, 환경적으로 분해가능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94. 제93항에 있어서, (f)블렌드를 자체 지지 구조물로 성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5. 제93항에 있어서, 단량체의 잔류량을 모니터하고 단계(d)의 중합반응을 조절하여 잔류 단량체를 함유하는 블렌드를 수득하는 방법.
  96. 제93항의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조성물.
  97. 제93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용융블렌드의 성분의 혼화성하를 제공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가하는 방법.
  98. 제93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습기에 의한 분해에 대해 감수성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가하는 방법.
  99. 제93항에 있어서, 수평균 분자량이 약720미만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락트산의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를 제공하는 방법.
  100. 제93항에 있어서, q는 2이상 10이하의 정수인 방법.
  101. 제93항에 있어서, (a)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 (여기서,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다)를 제공하고/하거나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3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02. 제100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가하는 방법.
  103. 제93항의 방법으로 부터 수득된 조성물.
  104. (a)폴리(락트산),(b)내충격성이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탄성중합체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 (이는 분리되어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및 (c)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 (이는 적어도 폴리(락트산)에 밀접하게 분산된다)의 물리적 혼합물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환경적으로 분해가능한 조성물.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105. 제104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원하는 강성을 제공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06. 제104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과 탄성중합체성 충격 조절제의 보다 밀접한 혼화성화를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07. 제104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a)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 (여기서,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 5,400미만이다) 및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3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08. 제107항에 있어서, 올리고머의 수평균 분자량이 약 720미만인 조성물.
  109. 제104항에 있어서, q는 2이상 10이하의 정수인 조성물.
  110. 제104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11. 제104항에 있어서, 약 1 내지 약 99중량%의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12. 제104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성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가 폴리이소프렌〔쿠타 페르카(gutta percha)〕,스티렌-이소프렌- 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프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
  113. 제104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성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가 상당히 수팽윤성이거나 수용성이 아닌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4. 제104항에 있어서,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가 세그먼팅시킨 중합체인 조성물.
  115. 제114항에 있어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 결징 결정성 세스먼트와 폴리(에테르 글리콜)의 연질 장쇄 세그먼트의 블럭 공중합체,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탄성중합체성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16. (a)폴리(락트산)을 제공하고,(b)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를 제공하고 (c)내충격이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탄성중합체성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이는 분리되어 밀접하게 결합하게 되어있다)를 제공하고, (d)단계(a)및(c)의 중합체를 단계 (d)의 가소제와 블렌딩시킴을 특징으로하여, 제 104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117. 제104항에 있어서, (a)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 (여기서,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다)를 및/또는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3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18. 제116항에 있어서, 수평균 분자량이 약 720미만인 조성물.
  119. 제117항에 있어서, 제1가소제를 제1온도에서 혼입시키고 제2가소제를 제1온도보다 낮은 제2온도에서 혼입시키는 방법.
  120. 제116항에 있어서, (1)단계(b)에서 제공된 가소제 단계(d)의 제1온도에서 블렌딩시키고,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를 제1온도보다 낮은 제2온도에서 블렌딩시키는 방법.
  121. 제116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가하는 방법.
  122. (a)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락타이드를 내충격이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탄성중합체성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와 혼합하고, (b)단계(a)의 락타이드(들)에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를 가열 및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고,(c)용액에서 락타이드 (들)를 중합시킨 다음,(d)조성물에 가소제에 혼입시켜 가소제(이는 하기일반식이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가 적어도 폴리(락트산)에 밀접하게 분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여,제104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 및 R′는 모두 H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123. 제122항에 있어서, 용융가공에 의해 조성물을 유용한 형태로 가공시키는 단계를 포함시키는 방법.
  124. 제122항에 있어서, 세그먼팅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를 선택하는 방법.
  125. 제122항에 있어서, 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락트산 올리고머,락타이드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여기서,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다)를 혼입시키는 방법.
  126. (a)폴리(락트산)및 (b)폴리 락트산)에 개선된 내충격성을 제공하고, 폴리이소프렌(쿠타 페르카),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프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탄성중합체성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의 물리적 혼합물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분해가능한 조성물.
  127. (a)폴리(락트산)을 제공하고, (b)폴리 (락트산)에 개선된 내충격성을 제공하는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를 폴리이소프렌(쿠타 페르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프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하고, (c)단계(a) 및 (b)이 중합체를 블렌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126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28. (a)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락타이드를 폴리이소프렌(쿠타 페르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프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조성물에 개선된 내충격성을 제공하는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와 혼합하고, (b)단계(a)의 락타이드(들)에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를 용해 및 가열시켜 용액을 형성하고, (c)용액에서 락타이드(들)를 중합시킴을 특징으로하여, 제126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29. (a)폴리(락트산), (b)폴리이소프렌(쿠타 페르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프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내충격성이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탄성중합체성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 및 (c)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락트산 올리고머, 락타이드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여기서,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고, 가소제는 적어도 폴리(락트산)에 밀접하게 분산된다)의 물리적 혼합물의 블렌드를 마한는 환경적으로 분해가능한 조성물.
  130. 제129항에 있어서, (a)하기 일반식의 락트산의 올리고머 유도체 하나 이상으로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1가소제 및 (b)락트산, D-락타이드, L-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식에서, R은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는 H, 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세틸이고 포화되며, R및 R′는 모두 H 일수 없으며, q는 2이상 75이하의 정수이다.
  131. 제129항에 있어서,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32. 제129항에 있어서, 약 1 내지 약 99중량%의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33. (a)폴리(락트산)을 제공하고, (b)락트산,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D, L-락타이드, 라세미D, L-락타이드, 락트산의 올리고머, 락타이드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여기서,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은 약5,400미만이다)를 제공하고, (c)내충격성이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며 분리되어 밀접하게 결합 되어 있는 탄성중합체성 블렌드 혼화성 중합체를 제공하고,(d)단계 (a) 및 (c)의 중합체를 단계 (b)의 가소제와 블렌딩시킴을 특징으로하여, 제 129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34. 제133항에 있어서, 수평균 분자량이 약 720미만인 올리고머를 제공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700677A 1990-09-06 1991-09-04 락트산으로부터 제조한 포장용 열가소성 수지 KR9307033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946590A 1990-09-06 1990-09-06
US07/579,005 US5180765A (en) 1988-08-08 1990-09-06 Biodegradable packaging thermoplastics from lactides
US07/579,465 1990-09-06
US07/579,000 US5216050A (en) 1988-08-08 1990-09-06 Blends of polyactic acid
US07/579,000 1990-09-06
US07/579,005 1990-09-06
US07/579,460 US5252642A (en) 1989-03-01 1990-09-06 Degradable impact modified polyactic acid
US07/579,460 1990-09-06
PCT/US1991/006327 WO1992004413A1 (en) 1990-09-06 1991-09-04 Packaging thermoplastics from lactic ac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399A true KR930703399A (ko) 1993-11-30

Family

ID=2750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677A KR930703399A (ko) 1990-09-06 1991-09-04 락트산으로부터 제조한 포장용 열가소성 수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548284A1 (ko)
JP (1) JPH06504799A (ko)
KR (1) KR930703399A (ko)
CN (1) CN1061421A (ko)
AU (1) AU8660191A (ko)
BR (1) BR9106821A (ko)
CA (1) CA2091185A1 (ko)
FI (1) FI930992A (ko)
WO (1) WO1992004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3307B1 (en) 1988-08-08 2001-11-27 Cargill Dow Polymers, Llc Degradation control of environmentally degradable disposable materials
US5076983A (en) * 1990-07-16 1991-12-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hydroxy acid films
CA2067451A1 (en) * 1991-05-24 1993-10-29 Gregory B. Kharas Polylactide blends
US5142023A (en) * 1992-01-24 1992-08-25 Cargill, Incorporated Continuous process for manufacture of lactide polymers with controlled optical purity
US5258488A (en) * 1992-01-24 1993-11-02 Cargill, Incorporated Continuous process for manufacture of lactide polymers with controlled optical purity
US6005067A (en) 1992-01-24 1999-12-21 Cargill Incorporated Continuous process for manufacture of lactide polymers with controlled optical purity
US5247059A (en) * 1992-01-24 1993-09-21 Cargill, Incorporated Continuous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purified lactide from esters of lactic acid
US6326458B1 (en) 1992-01-24 2001-12-04 Cargill, Inc. Continuous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lactide and lactide polymers
US5247058A (en) * 1992-01-24 1993-09-21 Cargill, Incorporated Continuous process for manufacture of lactide polymers with controlled optical purity
US5409751A (en) * 1992-03-27 1995-04-25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Degradable container
EP0585747B2 (en) 1992-08-24 2002-10-30 MITSUI TOATSU CHEMICALS, Inc. Formed product of L-lactic acid base polymer and preparation process of the product
AU667048B2 (en) * 1992-09-07 1996-03-07 Guidor Ab Bioresorbable material and an article of manufacture made of such material for medical use
WO1994006866A1 (en) * 1992-09-22 1994-03-31 Biopak Technology, Ltd. Degradation control of environmentally degradable disposable materials
JPH06330001A (ja) * 1992-09-28 1994-11-29 Mitsui Toatsu Chem Inc 分解性粘着フィルム
US5338822A (en) * 1992-10-02 1994-08-16 Cargill, Incorporated Melt-stable lactide 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US6005068A (en) 1992-10-02 1999-12-21 Cargill Incorporated Melt-stable amorphous lactide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DK0615555T3 (da) 1992-10-02 2001-07-09 Cargill Inc Tekstilmateriale af smeltestabil lactidpolymer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deraf
ES2123668T3 (es) * 1992-10-02 1999-01-16 Cargill Inc Papel que tiene un recubrimiento de polimero de lactida estable en estado fundido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GB9223350D0 (en) * 1992-11-06 1992-12-23 Ici Plc Polymer composition
US5359026A (en) * 1993-07-30 1994-10-25 Cargill, Incorporated Poly(lactide) copolymer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JP3301506B2 (ja) * 1993-09-20 2002-07-15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ラクタイド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H07205278A (ja) * 1994-01-11 1995-08-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ポリ乳酸系重合体延伸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3330712B2 (ja) * 1994-01-11 2002-09-30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乳酸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5763513A (en) * 1994-05-19 1998-06-09 Mitsui Toatsu Chemicals, Inc. L-lactic acid polymer composition, molded product and film
SE503906C2 (sv) * 1994-12-13 1996-09-30 Moelnlycke Ab Mjölksyrautsöndrande polylaktidskikt för användning i absorberande alster
US5714573A (en) * 1995-01-19 1998-02-03 Cargill, Incorporated Impact modified melt-stable lactide polymer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thereof
US5984888A (en) * 1995-06-07 1999-11-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licator and coating
US5795320A (en) * 1995-06-07 1998-08-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per applicator containing a compostable coating
WO1996040031A2 (en) * 1995-06-07 1996-1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 paper applicator containing a compostable coating and the article itself
US5849401A (en) 1995-09-28 1998-12-15 Cargill, Incorporated Compostable multilayer structures, methods for manufacture,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US5849374A (en) * 1995-09-28 1998-12-15 Cargill, Incorporated Compostable multilayer structures, methods for manufacture,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DE69623214T2 (de) * 1995-09-29 2003-04-30 Dainippon Ink & Chemical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mischungen auf Basis von Polylactiden
JP3330273B2 (ja) * 1996-01-11 2002-09-30 三菱樹脂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乳酸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742248B2 (en) 1997-05-02 2001-12-20 Cargill Incorporated Degradable polymer fibers; preperation; product; and methods of use
US6183814B1 (en) 1997-05-23 2001-02-06 Cargill, Incorporated Coating grade polylactide and coated pape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GB9802612D0 (en) * 1998-02-06 1998-04-01 Kobe Steel Ltd Biodegradable moulding compond
US6114495A (en) 1998-04-01 2000-09-05 Cargill Incorporated Lactic acid residue 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and product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JP2001294737A (ja) * 2000-04-12 2001-10-23 Musashino Chemical Laboratory Ltd 改善された物性を有する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DE10127314A1 (de) * 2001-06-06 2002-12-19 Trespaphan Gmbh Biologisch abbaubare biaxial verstreckte Folie mit kontrolliertem Weiterreißverhalten
WO2003066733A1 (fr) * 2002-02-05 2003-08-14 Mitsui Chemicals, Inc. Composition de resine biodegradable et objet moule a base de cette composition
JP2003002984A (ja) * 2002-06-14 2003-01-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ポリ乳酸系フィルム
WO2004087812A1 (ja) 2003-03-28 2004-10-14 Toray Industries, Inc.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ポリ乳酸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CN1320044C (zh) 2003-04-25 2007-06-06 株式会社艾迪科 聚乳酸类树脂组合物、成型品及其制备方法
CN100443541C (zh) * 2004-02-16 2008-12-17 三井化学株式会社 含有共聚物的脂肪族聚酯树脂组合物
JP2005226056A (ja) * 2004-02-16 2005-08-25 Asahi Kasei Chemicals Corp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の成形体
JP2005226055A (ja) * 2004-02-16 2005-08-25 Asahi Kasei Chemicals Corp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成形体
JP4640765B2 (ja) 2004-09-03 2011-03-02 株式会社Adek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622397B2 (ja) * 2004-09-06 2011-02-0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カレンダー成形用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ト
JP4901106B2 (ja) * 2005-01-27 2012-03-21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車両モールディング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付きガラス板
JP4820569B2 (ja) * 2005-04-08 2011-11-24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付きガラス板
KR20080039890A (ko) 2005-08-04 2008-05-07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수지조성물 및 이것으로 이루어진 성형품
JP5223076B2 (ja) * 2006-03-24 2013-06-26 和歌山県 樹脂組成物の物理的性質制御方法
GB2445747B (en) 2007-01-22 2012-08-08 Tate & Lyle Plc New lactic acid polymers
EP1975201A1 (en) 2007-03-30 2008-10-01 Total Petrochemicals France Monovinylaromatic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as a dispersed phase
CN101970547A (zh) * 2008-01-25 2011-02-09 马尔科·保罗·阿拉 乳酸聚合物的塑化方法
JP5583912B2 (ja) * 2008-04-28 2014-09-03 花王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の製造法
EP2147934A1 (en) 2008-07-25 2010-01-27 Total Petrochemicals France Process to make a composition comprising a monovinylaromatic polymer and a polymer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JP4574701B2 (ja) * 2008-08-25 2010-11-04 富士通株式会社 生分解性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樹脂筐体
CN101362853B (zh) * 2008-09-12 2011-03-30 浙江海正生物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全生物降解聚乳酸片材及其制备方法
WO2010053592A1 (en) * 2008-11-07 2010-05-14 Colgate-Palmolive Company Blends of polylactic acid and thermo-plastic polymers for packaging applications
CN102079852A (zh) * 2010-12-16 2011-06-01 昆明学院 环保型茶具及其制备方法
GB201105455D0 (en) 2011-03-31 2011-05-18 British American Tobacco Co Blends of a polylactic acid and a water soluble polymer
US9045630B2 (en) * 2011-06-29 2015-06-02 Fina Technology, Inc. Epoxy functional polystyrene for enhanced PLA miscibility
GB201112402D0 (en) 2011-07-19 2011-08-3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Cellulose acetate compositions
IN2014DN06727A (ko) 2012-03-07 2015-05-22 Huhtamäki Oyj
GB2509177A (en) 2012-12-24 2014-06-25 Innovia Films Ltd Packaging and labelling films
ES2570655T3 (es) * 2013-04-04 2016-05-19 Inst Tecnologico Del Embalaje Transp Y Logistica Itene Composición para preparar un material polimérico biodegradable nanoestructurado, el material obtenido y sus usos
EP2952543B1 (en) 2014-06-05 2017-11-01 Omya International AG Polymer composition filled with an inorganic filler material mixture
WO2016105998A1 (en) 2014-12-22 2016-06-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ions and film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olymer, polyvinyl acetate polymer and plasticizer
EP3291960B1 (en) * 2015-05-07 2021-09-29 Fina Technology, Inc. Method for sheet extrusion thermoforming of polyethylene
CN105061478B (zh) * 2015-08-07 2017-05-10 常州大学 一种热稳定锌金属有机骨架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066551B2 (en) 2016-05-20 2021-07-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iented polylactic acid polymer based film
EP3835361B1 (en) * 2016-06-21 2023-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 comprising semicrystalline polylactic acid polymer based film and method of forming it
CN109312096B (zh) * 2016-06-21 2022-05-24 3M创新有限公司 包含聚乳酸聚合物、聚乙酸乙烯酯聚合物和增塑剂的泡沫组合物、制品及其制备和使用方法
EP3581608A1 (en) * 2018-06-14 2019-12-18 Stichting Wageningen Research Polymeric products
FR3083544B1 (fr) * 2018-07-06 2020-09-11 Carbiolice Matiere plastique à haute teneur en pla comprenant des oligomeres d’acide lactique
CN109777053B (zh) * 2019-01-11 2021-10-29 海南三碳科技有限公司 一种含乳酸钙可控生物降解速率的材料
CN113614152A (zh) 2019-03-29 2021-11-05 3M创新有限公司 适用于图形制品的包含聚乳酸聚合物的膜
CN113748157B (zh) * 2019-05-17 2022-08-19 北方技术国际公司 用于商业可行的一步式模内退火注塑工艺的聚乳酸基母料
CA3142475A1 (en) * 2019-06-13 2020-12-17 Natureworks Llc Fast-hydrolyzing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756B2 (ja) * 1985-05-07 1996-11-06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ポリオキシカルボン酸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法
EP0428620B1 (en) * 1988-08-08 1999-03-03 Biopak Technology, Ltd. A method of plasticizing lactide 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421A (zh) 1992-05-27
FI930992A0 (fi) 1993-03-05
FI930992A (fi) 1993-03-05
BR9106821A (pt) 1993-07-13
JPH06504799A (ja) 1994-06-02
AU8660191A (en) 1992-03-30
CA2091185A1 (en) 1992-03-07
WO1992004413A1 (en) 1992-03-19
EP0548284A1 (en) 199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703399A (ko) 락트산으로부터 제조한 포장용 열가소성 수지
US5908918A (en) Impact modified polylactide
KR900701934A (ko) 락티드로부터 분해성 열가소성 수지
US5502158A (en) 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JPH11302521A (ja) ポリ乳酸組成物およびその成型品
CN113956630A (zh) 一种完全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KR20140047598A (ko) 높은 변형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
JP3707240B2 (ja) ポリ乳酸系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物、フィルム、繊維及び成型品
WO2011085058A1 (en) Polylactide molding compositions and molding process
US5464878A (en) Degradable polymeric form and process for making
JP2002037987A (ja) ポリ乳酸系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034596B2 (ja) 射出成形体
CN102007182B (zh) 由乙烯丙烯酸烷基酯韧化的聚(羟基链烷酸)组合物
EP3341425B1 (en) Polyvinyl butyral-g-polylactide copolymer
JP3348752B2 (ja) 可塑化されたポリ乳酸組成物及びその成型品
JP2001064379A (ja) 相溶性脂肪族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組成物
JP2961135B2 (ja)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10842A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
JPH1135808A (ja) 乳酸系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型品
JP2006143829A (ja) ポリ乳酸系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36300A (ja) 可塑化された乳酸系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型品
CN114106419A (zh) 一种可生物降解的片材及其制备方法
JP2001031853A (ja) ポリ乳酸系重合体組成物
JP2005154524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CA2057668A1 (en) Degradable fo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