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382B1 -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382B1
KR930009382B1 KR1019900007773A KR900007773A KR930009382B1 KR 930009382 B1 KR930009382 B1 KR 930009382B1 KR 1019900007773 A KR1019900007773 A KR 1019900007773A KR 900007773 A KR900007773 A KR 900007773A KR 930009382 B1 KR930009382 B1 KR 930009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vibration
suspension
outpu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821A (ko
Inventor
준이치 와다
요시히로 쓰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7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60G2400/102Acceleration; Deceleration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60G2400/104Acceleration; Deceleration lateral or transversal with regard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6Body oscillation speed; Body vibration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 B60G2400/412Steering angle of steering 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90Other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91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2Spring con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4Means for informing, instructing or displ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따른 서스펜션 및 스테이빌라이저의 제어장치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서스펜션 및 스테이빌라이저의 제어장치의 부재를 차량에 탑재시킨 경우의 배전관계를 보이는 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제 2 도 및 제 3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 6 도 및 제 7 도는 제 2 도 및 제 3 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간에 대한 차체의 상하진동을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가속도검출수단
3a, 3b : 차륜 4 : 감쇠력가변수단
5 : 스프링정수가변수단 6 : 스테이빌라이저의 비틀림힘가변수단
7 : 제어장치
본 발명은 차체의 현가(懸架)장치특성을 최적으로 제어하기위한 현가장치의 제어장치 즉 차체가 상하진동함에 따라 서스펜션장치의 감쇠력이나 스프링정수 또는 스테이빌라이저의 비틀림힘을 최적치로 자동조정하는 서스펜션 또는 스테이빌라이저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중 승차감을 개선하려면 차체현가장치의 특성을 소프트(SOFT)로 하는것이 좋다. 즉, 서스펜션의 감쇠력을 작게하고 그 스프링정수를 작게 소프트하며 스테이빌라이저의 비틀림힘을 작게하는 것이 좋다. 한편 조향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차체현가장치의 특성을 하드(HARD)로 하는것이 좋다. 즉 서스펜션의 감쇠력을 증가시키고 그 스프링정수를 크게하도록하며 스테이빌라이저의 비틀림힘을 증가시키는것이 좋다. 종래, 차체의 상하진동에 따라 서스펜션장치의 감쇠력이나 스프링정수를 최적치로 자동제어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관해서는, 그 예로서, 일본국 특개소 61-1835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내용의 것은, 차체의 상하진동을 상하진동 검출기로 검출하고, 이 상하진동에 따른 검출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출력하고, 제어수단은 이 검출신호를 받아 차체의 상하진동이 소정진폭 이상이고 또 소정주파수일때 서스펜션장치의 감쇠력 또는 스프링정수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를 높히기 위하여 이 서스펜션장치에 출력하도록 한것이다.
그런데, 차량이 주행중에 생기는 상하진동은, 예를들면 제 6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변화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저주파이고 진폭일 큰 파형은 스프링상부진동에 대응하고, 반면 진폭이 작은 고주파의 파형은 스프링하부 진동의 영향에 인한 것이다. 상기 차체의 상하진동의 검출은 가속도센서(이후, G센서라함)의 출력파형을 주기적으로 판정함으로써 검출되고, 이 검출결과에 따라 차체의 자세변화를 억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소정의 판정레벨 이상의 스프링상부진동이 발생한 경우 또는 스프링하부 진동이 발생한 경우 차체의 자세변화를 억제하는 제어내용이 다르면, G센서의 출력파형을 주기 판정하는 것만으로는, 스프링상부진동과 스프링하부진동을 구별짓기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차량용서스펜션제어장치로서는, 일본국 특원소 61-18513호 공보에 기재된 내용이 있다.
이 공보의 내용에 따르면, 차체의 상하진동을 상하진동검출기로써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따라 제어수단으로써 차체의 상하진동이 소정진폭 이상이고 또 소정진동주파수역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는 상하진동이 연속되는 것으로 판정하여, 소정시간 서스펜션장치의 감쇠력 또는 스프링정수를 높이는 제어신호를 서스펜션장치로 출력하고, 이에따라 기복이 심한 도로 주행시의 연속진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이 주행중에 차량의 상하진동은 예를들어 제 7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변화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저주파의 파형은 스프링상부진동에 대응하고, 반면 고주파수의 파형은 스프링하부진동의 영향에 의한 것이다.
이 제 7 도에 나타내어진 가속도 검출파형은, 어느 설정가속도 이상의 것을 검출한 경우의 주파수이고, 이것이 소정레벨이상의 스프링상부진동이라 판정되면 차체의 자세변화를 억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검출진동이 저주파수일 겨우, 주기판정을 하기위해서는, 아무래도 판정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차체의 자세변화가 작도록 억제하기에는 시간적으로 늦어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또 가속도(G)센서의 출력신호의 샘플링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예로서 8msec), 고주파의 주기판정은, 판정시간을 반주기로 하면 샘플링의 분해능(分解能)이 나쁘게되고, 고주파로 될수록 주파수판정에 오차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스프링상부진동과 스프링하부진동을 구별해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차체의 진동에 대해 적절한 서스펜션 또는 스테이빌라이저의 제어를 가능케 하는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고주파측정시의 계측타이머의 분해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저주파측정시에 주파수의 조기판정이 가능하고, 차체의 자세변화에 대한 적절한 억제력을 발휘하고, 고주파에서는 주파수측정오차를 없앨수 있는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는 가속도의 크기의 판정레벨을 구별함과 함께, 가속도의 진동주기의 판정을 행하고, 이 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쇽어브소버의 감쇠력, 스프링정수, 스테이빌라이저의 비틀림힘 중 어느것인가를 소망치로 변경시키는 지령을 말하는 제어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는, 차체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중 적어도 한쪽의 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고주파의 주파수를 1주기의 경과시간에 의해 계측함과 함께, 저주파의 주파수를 반주기의 경과시간에 의해 계측하여 서스펜션의 감쇠력, 스프링정수 또는 스테이빌라이저의 비틀림힘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를 소망레벨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장치는, G센서의 출력신호의 판정레벨을 구별하여, 이 출력신호의 주기를 계측하고 이 진폭이 작고 고주파인 스프링하부진동과, 진폭이 크고 저주파인 스프링상부진동을 구별해서 주기판정을 행하고, 차체의 진동에 대해 서스펜션 또는 스테이빌라이저를 제어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장치는, 가속도검출수단의 출력신호의 소망기준점을 경계로 하여 이 출력신호가 한쪽 방향으로 판정레벨이상으로 되는 시점으로부터 일단 전회와는 반대방향이고 판정레벨 이상인 가속도를 검출하기까지의 반주기, 그리고 재차 주기계측을 개시한 것과 같은 방향으로 판정레벨 이상인 가속도를 검출하기까지의 1주경과 시간의 계측중에, 반주기를 계측한 시점에서 설정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이면 반주기의 경과시간으로써 주파수를 판정하고, 반대로 설정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인 경우에는 다음 반주기 계속해서 계측하여 1주기의 경과시간으로써 주파수를 판정하여 이 판정주파수에 따라 서스펜션의 감쇠력, 스프링정수 또는 스테이빌라이저의 비틀림힘을 유지하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의 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과 같이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제 1 도에서 차체(1)에는 차체(1)의 가로 및/또는 상하 가속도를 검출하여 이 검출신호를 제어장치(7)로 출력하는 가속도검출수단(2)이 설치되어 있다. 차륜(3a)(3b)과 차체(1)간에는 지지장치로서 서스펜션이 배치되고 차륜(3a)와 (3b)간에는 지지장치로서 스테이빌라이저가 배치된다. 이 서스펜션의 감쇠력은 감쇠력가변수단(4)에 의하여 하드(HARD), 미디엄(MEDIUM) 및, 소프트(SOFT)의 3단계중 한단계로 변경된다. 서스펜션의 스프링정수는 스프링정수가변수단(5)에 의하여 하드, 미디엄, 소프트의 3단계중 한단계로 변경된다. 또, 스테이빌라이저의 비틀림힘은 스테이빌라이저 비틀림힘가변수단(6)에 의하여 하드, 미디엄 및 소프트의 3단계중 한단계로 변경된다. 감쇠력가변수단(4)에, 스프링정수가변수단(5) 및 비틀림힘가변수단(6)은 모든 제어장치(7)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하여 그에 대응한 차체현가장치의 특성을 변경한다. 제어장치(7)는 가속도검출수단(2)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가속도의 가소량은 진동주파수를 결정하고 이에 의하여 각 가변수단으로 특성변경을 위한 지령신호를 출력한다. 감쇠력가변수단(4) 및 스프링정수단가변수단(5)은 일본국 특개소 60-47709 또는 60-240511로 공개된 장치를 사용한다. 비틀림가변수단(6)은 일본국특개소 63-25119 또는 63-28709에 공개된 것과 같다.
제 2 도 및 제 3 도는 이 발명의 제어장치를 서스펜션의 감쇠력변경에 적용한 한예를 표시하며, 이 도면에서 제어장치(7)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핸들의 조작상황을 검출하는 조향센서(11), 차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센서(12), 차체(1)의 가감속조작을 검출하는 액셀러레이터개도센서(13), 브레이크 작동을 검출하는 브레이크스위치(14), 차체(1)의 상하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검출수단인 G센서(2), 감쇠력의 특성을 선택하기 위한 표준을 설정하는 선택스위치(15)로부터의 출력을 받는다.
G센서(2)는 상하가속도를 검출하며, 예를들어 압전체로 구성된 가속도픽업(pickup), 차동트랜스형센서 또는 차량용반도체변형게이지형 가속도센서가 사용되고 제로가속도시의 출력레벨에 기준하여 아날로그 전압에 의한 상하가속도를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G센서(2)의 출력은 다지탈로 변환된후 제어장치(7)에 입력되고 이 제어장치에서 신호 레벨의 변화와 진동주기가 각각연산된다. 또 제 2 도에서는 차체(1)의 중심(重心)에 설치되었으나 이 설치위치는 차체(1)의 선단일수도 있으며, 또 전후에 1개씩 2개의 센서를 장착할 수도 있고 각 차륜(3a)(3b)의 서스펜션마다 하나의 센서를 장착하여도 된다.
다음은 제 4 도의 플로차트와 제 6 도의 G센서(2)의 출력파형에 의하여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7)의 처리수순을 설명한다.
제 6a 도는 스프링하부진동시의 G센서(2)의 출력파형이고, 제 6b 도는 스프링상부진동시의 G센서(2)의 출력파형을 표시한다.
먼저 제 6a 도에 표시된 진폭이 작고 주기가 짧은 진동주파수의 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기계측은 시점(t2)에서 개시하고 시점(t5)에서 종료하며, 시점(t2)에서 시점(t5)까지의 경과시간(t11)에 의하여 주기가 계측되고, 이 계측된 1주기에 의하여 주파수를 판정한다.
시점(t5)에서의 수순을 설명한다.
스템(S1)에서 G센서(2)의 출력을 판독한 다음 스텝(S2)로 진행한다. 스텝(S2)에서는 G센서(2)의 출력이 고주파에 대한 정(+)의 소정레벨(판정치)(+gL)이상이므로 스텝(S3)으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는 G센서(2)의 전회출력(시점 t4에서)이 (+gL)이하이므로 스텝(S4)로 진행한다. 스텝(S4)에서는 주기계측개시후 시점(t3)에서 고주파에대한부의 소정레벨(판정치) (-gL)이하이므로 스텝(S5)으로 진행한다. 스텝(S5)에서는 계측된 주기(T11)에 의하여 주파수를 판정한다.
또 G센서(2)의 출력이 제 6a 도에서 고주파진동중 저주파에 대한 소정레벨(+gH) (-gH)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저주파진동에 관한 반주기계측은 실시하지 않는다.
이와같인 고주파진동에 있어서 주파수는 계측된 1주기에 기준하여 판정한다. 따라서 샘플링의 분해능(resolution)의 악회로인한 주파수의 판정착오 우려는 없다.
다음은 제 6b 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진폭이 크고 주기가 긴 진동에 대한 주파수판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주기계측은 시점(t7)전에 개시하여 시점(t13)종료하며, 시점(t7)에서 시점(t13)까지의 경과시간을 계측한 후 다음계측은 다시 개시한다. 이 경우 G센서(2)의 출력이 저주파에 대한 소정레벨(+gH,-gH)을 초과하므로 저주파진동에 대하여 반주기계측이 실시되고 주파수는 계측된 반주기에 의하여 판정된다. 저주파의 반주기(T12)계측은 시점(t9)에서 개시하여 시점(t11)에서 종료하고, 반주기계측을 다시 개시한다. 다음은 제어장치(7)의 수순을 시점(t11)에서 설명한다. 스텝(S1)에서, G센서(2)의 출력을 판독하고 스텝(S2)로 진행한다. 스텝(S2)에서 그 출력이(+gL)보다 작으므로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스텝(S6)에서는 저주파수에 대한 정(+)의 소정레벨(+gH)보다 출력이 작으므로 스텝(S10)으로 진행한다. 스텝(S10)에서는 저주파수에 대한 부(-)의 소정레벨(-gH)보다 출력이 작으므로 스텝(S11)로 진행한다.
스텝(S11)에서는 전회출력(시점 : T10에서)(-gH)이상이므로 스텝(S12)로 진행한다. 스텝(S12)에서는 반주기계측개시후 출력이(+gH)이상으로 검출되므로(예를들면 시점 t9에서) 스텝(S13)으로 진행한다. 스텝(S13)에서는 시점( t9)에서 시점(t11)까지의 경과 시간이 반주기(T12)로 부터 주파수를 판정하고 스텝(S14)로 진행한다.
또 스텝(S10)에서 출력이(-gH)보다 크고, 스텝(S11)에서 전회출력이 (-gH)보다 작으며, 스텝(S12)에서 계측개시후(+gH)이상의 출력을 얻지 못하면 어떤 경우도 반주기에 의한 주파수판정이 실시되지 않고 스텝(S14)로 진행한다.
다음은 시점(t15)에서 제어장치(7)의 수순을 설명한다.
스텝(S1)에서 가속도센서(2)의 출력을 판독하고 스텝(S2)로 진행한다. 스텝(S2)에서 그 출력이(+gL)이상이므로 스텝(S3)으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 전회출력(시점(t14)에서)이 (+gL)이상이므로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스텝(S6)에서 그 출력이(+gH)이상이므로 스텝(S7)으로 진행한다. 스텝(S7)에서 전회출력(시점 t14에서)이 (+gH)이하이므로 스텝(S9)로 진행한다. 스텝(S8)에서 (-gH)이하 출력이 검출되므로(예를들어 시점 t11에서) 스텝(S9)로 진행한다. 스텝(S9)에서는 시점(t11)에서 시점(t15)까지의 경과시간인 반주기(T22)에 의하여 주파수를 판정하고 스텝(S14)로 진행한다.
또 스텝(S6)에서 출력이 (+gH)이하이거나, 스텝(S7)에서 전회출력이 (+gH)보다 크거나, 스텝(S8)에서 계측개시후 (-gH)이하의 출력을 얻지못하면 스텝(S10)으로 진행한다. 이와같이 G센서(2)의 출력파형의 주파수를 판정후 스텝(S14) 및 (S15)에서 서스펜션의 감쇠력 최적특성을 판정하고 스텝(S16)(S17) 및 (S18)에서 감쇠력이 최적특성이 되도록 제어된다.
스텝(S14)에서 판정된 주파수 및 가속도센서(2)의 출력레벨에 기준하여 감쇠력을 하드로 설정할 조건의 성립여부를 판단한다. 감쇠력을 하드로 설정하는 조건이 성립되면 스텝(S16)로 진행하며, 성립안되면 스텝(S15)로 진행한다. 스텝(S15)에서 감쇠력은 미디엄으로 설정할 조건의 성립여부를 판단하고 그 조건이 성립되면 스텝(S17)에서 감쇠력을 미디엄으로 설정하고, 성립안되면 스텝(S18)에서 감쇠력을 소프트로 설정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체(1)의 상하진동(가속도)에 기준하여 설명하였으나 마찬가지로 서스펜션의 감쇠력은 차체(1)의 가로진동에 기준하여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은 이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제 1 도, 제 2 도 및 제 3 도에 표시한 상기 한 실시예의 구성과 같다.
다음은 제 5 도의 플로차트와 제 7 도의 가속도센서(2)의 출력파형에 의하여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7)의 처리수순을 설명한다.
제 7a 도는 차체가 고주파에서 진동한 경우의 출력파형이며 제 7b 도는 차체가 저주파에서 진동한 경우의 출력파형이다.
제 7 도에서, 시점(t1)이전은 소정레벨이상의 가속도를 검출하지 않으므로 주기계측은 실시하지 않는다.
시점(t2)에서는 제 5 도의 스텝(S1)에서 G센서(2)의 출력을 판독한후 스텝(S2)에서 G센서(2) 출력소정레벨(판정치)(+g)이상여부를 판정한다.
가속도가 소정레벨이상(스텝 S2에서 YES)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S3)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 G센서(2)의 전회출력(이경우 시점 t1)이 소정레벨(+g)이하인 경우 주기계측용 타이머(Fc)를 프리세트하여 주기계측을 개시하고 Fco∼Fcs로 계측한다.
다음 시점(t4)에서는 가속도센서의 출력이 소정레벨(판정치)(-g)이하이므로 스텝(S1)-(S2)-(S8)-(S9)으로 진행한다. 스텝(S9)에서 전회의 G센서(2) 출력의(-g) 이상여부를 판정한다.
제 7a 도에서, G센서(2)의 전회출력(시점 t3에서)이 (-g)이상이므로 스텝(S10)으로 진행한다. 스텝(S10)에서 주기계측 개시후(+g)이상의 출력여부를 판정한다. 제 7a 도에서는 시점(t2)에서 G센서(2)의 출력이(+g)이상이므로 스텝(S11)로 진행한다. 스텝(S11)에서 반주기(T)를 계측하고 이 값을 소정치(T0)와 비교한다. T0〈T(스텝 S11에서 YES)이면 스텝(S12)로 진행하고 주파수를 계측된 반주기(T)에 의하여 판정하게 된다.
제 7a 도에서는 반주기(T)는 시점(t2)에서 (t4)까지 경과시간(T11)이 되면 T0〉T11(스텝 S11에서 NO)이 되기 때문에 스텝(S1)으로 복귀한다.
또 스텝(S3)에서 G센서(2)의 전회출력이(+g)이하의 경우 스텝(S4)로 진행한다. 스텝(S4)에서, 주기계측개시후(-g) 이하의 출력여부를 판정한다. 시점(t4)에서 G센서(2)의 출력이(-g)이하이므로 스텝(55)로 진행한다. 스텝(55)에서 반주기(T)를 계측하고 소정치(T0)와 비교한다. T0〈T(스텝 S5에서 YES)이면 스텝(S7)으로 진행하고 계측된 반주기(T)에 의하여 주파수를 판정한다. 아니면(스텝 S5에서 NO)계측된 1주기에 의하여 주파수를 판정하게 된다. 제 7a 도에서는 반주기(T)는 시점(t4)에서 (t6)까지의 경과시간(T12)이며 T0〉T12이므로 스텝(S6)로 진행하여 시점(t2)에서 (t6)까지 경과시간인 1주기(T13)에 의하여 주파수를 판정한다.
이와같이 고주파전동의 경우에는 주파수를 1주기로 판정한다.
따라서 샘플링의 분해능(resolufion)의 악화로 인한 주파수의 판정착오 우려는 없다.
다음은 제 7b 도에 표시한 저주파진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점(t7)(t8)는 제 7a 도에서 시점(t1)(t2)와 같다.
이 경우 주기계측은 시점(t8)에서 개시한다. 시점(t10)에서 출력은 제 7a 도의 시점(t4)와 같으므로 스텝(S11)로 진행하여 반주기(T)를 계측한다. 이 경우 계측된 반주기(T)는 T21이 된다. T0〈T21이므로 스텝(S12)로 진행하여 계측된 반주기(t21)에 의하여 주파수를 판정한다.
이와같이 저주파진동의 경우는 반주기에 의하여 주파수를 판정한다. 따라서 진동이 소정레벨이상 발생시 그 주파수는 단시간내에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G센서(2)의 파형주파수를 판정후 스텝(S13)(S14)에서, 서스펜션의 감쇠력이 최적특성이 결정되고 스텝(S15)(S15)(S17)에서 감쇠력이 최적특성으로 제어된다.
스텝(S13)에서 판정된 주파수와 가속도센서(2)의 출력레벨에 기준하여 감쇠력을 하드(HARD)로 설정하는 조건의 성립여부를 판정한다. 감쇠력을 하드로 설정하는 조건이 성립되면(스텝 S13에서 YES) 스텝(S15)로 진행하여 서스펜션의 감쇠력을 하드로 설정한다.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스텝 S13에서 NO) 스텝(S14)로 진행한다. 스텝(S14)에서 감쇠력을 미디엄으로 설정할 조건의 성립여부를 판정한다.
미디엄으로 설정할 조건이 성립하면(스텝 S14에서 YES) 스텝(S16)에서 감쇠력을 미디엄에 설정하고 성립 않되면(스텝 S14에서 NO) 스텝(S17)에서 감쇠력을 소프트(SOFT)로 설정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체(1)의 상하진동(가속도)에 기준하여 설명하였으나 서스펜션의 감쇠력은 마찬가지로 차체(1)의 가로진동에 기준하여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스펜션의 감쇠력 제어에를 설명하였으나 서스펜션의 스프링정수 및 스테이빌라이저의 비틀림힘도 아주 동일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모두를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또, 특성을 소프트, 미디엄 및 하드의 3단계로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발명은 그 특성을 2단계 또는 4단계이상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의 진동을 검출하기위해 G센서의 출력신호의 주기를 계측함에 있어서, G센서와 출력신호의 판정레벨을 제어장치에 의하여 구별하고 판정해서 차체의 자세변화를 억제하도록 제어장치를 구성하였으므로, 진폭이 작고 고주파인 스프링하부진동과, 진폭이 크고 저주파인 스프링상부진동을 구별하여 주기판정할 수 있고, 차체의 진동에 대해 적절한 서스펜션제어가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의 진동을 검출함에 있어서, 가속도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제어장치에 입력하여, 고주파의 주파수는 1주기의 경과시간에 의해 계측을 행하고, 저주파의 반주기의 경과시간에 의해 계측을 행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저주파 측정시 반주기 경과시점에서 주파수를 검출함으로써 일주기경과 시간 계측시보다도 검출지연시간 및 제어지연시간을 반감 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반주기 경과시점에서 반주기 경과 시간이 짧고 고주파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반주기를 더 기다린 다음 제어함으로써 주기계측정도를 향상시켜 차체의 자세의 변화를 적절하게 억제하기 위해 동작지연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주파수측정의 오차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현가(懸架)를 위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진동을 검출하고 이 진동을 가속도로서 출력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현가장치의 특성을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다수단계중 한단계로 절환하는 가변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가속도신호의 반주기와 1주기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값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가속도의 주파수를 판정하여 이 주파수와 증폭된 가속도신호에 기준하여 상기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제어수단은 상기 측정된 반주기가 소정시간보다도 긴 경우는 상기 측정된 반주기에 의하여 상기 가속도신호의 상기 주파수를 판정하고, 상기 측정된 반주기가 소정시간보다 길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다음 반주기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1주기에 의하여 상기 가속도신호의 주파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
KR1019900007773A 1989-05-29 1990-05-29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 KR930009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522489 1989-05-29
JP1-135224 1989-05-29
JP13795889 1989-05-31
JP1-137958 198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21A KR900017821A (ko) 1990-12-20
KR930009382B1 true KR930009382B1 (ko) 1993-10-02

Family

ID=2646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773A KR930009382B1 (ko) 1989-05-29 1990-05-29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01355A (ko)
JP (1) JP2616141B2 (ko)
KR (1) KR930009382B1 (ko)
DE (1) DE4017256C2 (ko)
GB (1) GB22342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6224A1 (de) * 1991-01-31 1992-08-06 Fichtel & Sachs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teuerung eines schwingungsdaempfers
US5235529A (en) * 1991-05-06 1993-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al time suspension control with digital all-pass, high-pass filter
JP2560564B2 (ja) * 1991-05-17 1996-1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H0585124A (ja) * 1991-09-25 1993-04-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DE4140270A1 (de) * 1991-12-06 1993-06-0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hrwerkregelung
JPH05201228A (ja) * 1992-01-29 1993-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FR2687201B1 (fr) * 1992-02-10 1995-07-07 Siemens Automotive Sa Procede de commande d'un amortisseur et son utilisation dans un dispositif de suspen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KR970011089B1 (ko) * 1992-02-14 1997-07-07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노면상태의 식별방법 및 써스펜션의 제어 장치
DE69312371T2 (de) * 1992-04-17 1998-01-15 Toyota Motor Co Ltd Radaufhängungs-Regelsystem mit variablem Dämpfungskoeffizient, abhängig von der Frequenz der Erregerkraft
DE19705948A1 (de) * 1997-02-17 1998-08-20 Itt Mfg Enterprises Inc Verfahren zum Dämpfen von Antriebsstrangschwingungen
DE19823093C2 (de) * 1998-05-22 2000-06-08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Bestimmung von fahrzeugspezifischen Größen eines Fahrzeuges während der Fahrt
JP4200404B2 (ja) * 1999-03-31 2008-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WO2003072376A2 (en) * 2002-02-21 2003-09-04 Dana Corporation Vehicle dynamics control system
US6816764B2 (en) 2002-05-02 2004-1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coordinator subsystem and method
US7120529B2 (en) * 2002-05-29 2006-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rive train and brakes coordinator subsystem and method
US6622074B1 (en) 2002-05-29 2003-09-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motion control subsystem and method
US6856877B2 (en) * 2002-05-29 2005-0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ion of active assist and vehicle dynamics control and method
US7212896B2 (en) * 2002-05-29 2007-05-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trol
JP4348934B2 (ja) * 2002-09-25 2009-10-2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7085636B2 (en) * 2003-10-17 2006-08-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ransmissibility shaping control for active vehicle suspension systems
JP4877240B2 (ja) * 2008-01-29 201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US7991529B2 (en) * 2008-06-23 2011-08-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vibration level of a wheel within a resonating frequency range of a vehicle suspension
CN107554229B (zh) * 2017-09-04 2019-08-23 吉林大学 一种整车悬架的分频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715A (ja) * 1982-07-29 1984-02-06 Kinugawa Rubber Ind Co Ltd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ツプの注入成形金型
JPS6047709A (ja) * 1983-08-24 1985-03-15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の懸架装置
US4770438A (en) * 1984-01-20 1988-09-13 Nissan Motor Co., Ltd. Automotive suspension control system with road-condition-dependent damping characteristics
KR910000883B1 (ko) * 1984-04-25 1991-02-12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현수 장치
JPS60248417A (ja) * 1984-05-21 1985-12-09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アクテイブ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S6118513A (ja) * 1984-07-04 1986-01-2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JPS61163011A (ja) * 1985-01-14 1986-07-23 Nissan Motor Co Ltd 電子制御ショックアブソ−バ装置
DE3667767D1 (de) * 1985-02-06 1990-02-01 Toyota Motor Co Ltd Aktives fahrzeug-aufhaengungssystem mit eingebauten beschleunigungsmessern.
JPS6220709A (ja) * 1985-07-22 1987-01-29 Nissan Motor Co Ltd 路面状態検出装置
JP2589067B2 (ja) * 1985-10-01 1997-03-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JPS62194921A (ja) * 1986-02-21 1987-08-27 Honda Motor Co Ltd 緩衝器の減衰力制御方法
GB8610842D0 (en) * 1986-05-02 1986-06-11 Bl Tech Ltd Suspension system
EP0255720B2 (en) * 1986-08-05 1992-10-14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suspension system
JPS6357308A (ja) * 1986-08-27 1988-03-12 Kayaba Ind Co Ltd 車輌における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DE3632919A1 (de) * 1986-09-27 1988-03-3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daempfkraftverstellung von kraftfahrzeugen
JPH0799488B2 (ja) * 1986-10-31 1995-10-2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振動制御装置
JPH0755609B2 (ja) * 1987-08-31 1995-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JPS6467412A (en) * 1987-09-07 1989-03-14 Toyota Motor Corp Stabilizer control device
JPH01150431U (ko) * 1988-04-04 1989-10-18
JPH01293705A (ja) * 1988-05-23 1989-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fm復調装置
JPH0284707U (ko) * 1988-12-20 1990-07-02
JPH06118351A (ja) * 1992-10-06 1994-04-28 Seiko Epson Corp 眼鏡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16141B2 (ja) 1997-06-04
GB2234210A (en) 1991-01-30
DE4017256C2 (de) 1995-06-22
JPH0374214A (ja) 1991-03-28
US5101355A (en) 1992-03-31
GB2234210B (en) 1993-02-17
DE4017256A1 (de) 1990-12-06
GB9011952D0 (en) 1990-07-18
KR900017821A (ko) 199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382B1 (ko) 차체현가장치의 제어장치
KR920007861B1 (ko) 서스펜션제어장치
KR940000332B1 (ko) 서스펜션(Suspension) 제어장치
JP3970874B2 (ja) 電子制御懸架装置の減衰力制御方法
US6412788B1 (en) Suspension control system
US5884921A (en) Electric control apparatus for damper device in suspension system of automotive vehicle
JP2560564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5163704A (en) Control apparatus of support unit
KR930009380B1 (ko) 현가제어장치
US5338058A (en) Damping force control system for vehicle suspension
JPH02225118A (ja) サスペンション又はスタビライザの制御装置
JPH0569718A (ja) 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JP3122573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2687704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H0319085B2 (ko)
JP2733420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2506221Y2 (ja) 車両制御装置
KR100726600B1 (ko) 전자제어 현가장치와 그 제어 방법
JPS6255209A (ja) 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JPH0459408A (ja) 車両用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940003519Y1 (ko) 서스팬션 또는 안정기의 제어 장치
KR19980050622A (ko) 차량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및 그 방법
JPH0614396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ための電気制御装置
JPS63195078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KR970034284A (ko) 차량용 현가의 댐퍼 감쇠력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