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066B1 - 문(door)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문(door)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066B1
KR930000066B1 KR1019890006290A KR890006290A KR930000066B1 KR 930000066 B1 KR930000066 B1 KR 930000066B1 KR 1019890006290 A KR1019890006290 A KR 1019890006290A KR 890006290 A KR890006290 A KR 890006290A KR 930000066 B1 KR930000066 B1 KR 930000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latch
view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342A (ko
Inventor
요시오 이누이
마사요시 오오사까
미쓰오 다나까
마사오 미야모도
도오루 하세가와
마스오 가미다까
헤데가즈 가이
히로시 오오구보
Original Assignee
샤아프 가부시기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1424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857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936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135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9415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36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5835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892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07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36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0716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24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8259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543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5826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286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2993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715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6922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91877U/ja
Application filed by 샤아프 가부시기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아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342A/ko
Priority to KR101992001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676B1/ko
Publication of KR93000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6Devices for taking the weight of the wing, arranged away from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radial separation of the hing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axial separation of the hing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2Doors that can be pivoted either left-handed or right-han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door)의 개페장치
제1도∼제7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1도는 본 발명의 문의 개폐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냉장고의 문주변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문의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의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문 상부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문의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문 상부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문의 상하부를 나타낸 정면도.
제7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차폐판의 모습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
제8도는 문의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차폐판의 모습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
제9도는 문의 좌측의 차폐판 주변의 부분 정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문의 개폐장치가 배설된 문의 측단면도.
제11도는 같은 문의 개폐장치의 주요부분 측단면도.
제12도는 같은 문의 개폐장치의 맞물림쌍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
제13도는 같은 문의 개폐장치의 맞물림쌍의 한 예인 로울러부와 지지 부재의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문의 개폐장치의 주요부분 측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의 힌지부분의 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의 제16도 및 제17도에 각기 대응하는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의 본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1도는 간막이부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제22도는 제15도에 있어서의 IV-IV선에 잇따른 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본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냉장고용 문틀의 분해 사시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용 문틀의 분해 사시도.
제26도는 같은 문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냉장고용 문틀의 분해 사시도.
제28도는 문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냉장고용 문틀의 상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0도는 문틀의 상부에 있어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31도는 제1실시예의 록홈(locked groove)의 확대도.
제32도는 변형예의 록홈의 확대도.
제33도는 제1실시에의 스프링부분의 확대도.
제34도는 변형예의 스프링부분의 확대도.
제35도는 제34도의 정면도.
제36도는 제1실시예의 록핀부근의 단면도.
제37도∼제39도는 변형예의 록핀부근의 단면도.
제40도 및 제41도는 변형예와 힌지핀의 사시도.
제42도는 변형예의 본체 하부의 힌지부분의 확대도.
제43도는 본체 중앙부의 힌지부분의 단면도.
제44도는 변형예의 문의 분해 사시도.
제45도는 제44도의 정면도.
제46도는 변형예의 문의 분해 사시도.
제47도는 제46도의 맞무는 홈의 단면도.
제48도는 변형예의 문의 분해 사시도.
제49도는 변형예의 문의 분해 사시도.
제50도는 제49도의 절곡부의 형성 차례를 나타낸 도면.
제51도는 변형예의 문의 개폐장치의 평면도로서 폐쇄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2도는 제51도의 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3도~제56도는 제51도 및 제52도의 주요부분 확대도로서,
제53도는 제51도의 좌측부분의 확대도.
제54도는 제51도의 우측부분의 확대도.
제55도는 제52도의 좌측부분의 확대도.
제56도는 제52도의 우측부분의 확대도.
제57도는 제51도의 분해 사시도.
제5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문의 개폐장치가 부착된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
제59도~제6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59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0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1도는 분해 사시도.
제62도는 제2실시예의 록홈의 확대도.
제63도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의 록홈의 확대도.
제64도-제6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64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5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6도는 분해 사시도.
제67도∼제6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67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8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9도는 분해 사시도.
제70도∼제7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70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1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2도는 분해 사시도.
제73도∼제75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73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4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5도는 분해 사시도.
제76도∼제78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76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7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8도는 분해 사시도.
제79도∼제8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79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0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1도는 분해 사시도.
제82도∼제8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82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3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4도는 분해 사시도.
제85도∼제8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85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6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7도는 분해 사시도.
제88도∼제90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88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9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0도는 분해 사시도.
제91도∼제9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91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2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3도는 분해 사시도.
제94도∼제9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94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5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6도는 분해 사시도.
제97도∼제9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97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8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9도는 분해 사시도.
제100도~제10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00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1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2도는 분해 사시도.
제103도∼제10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I03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4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5도는 분해 사시도.
제106도∼제10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06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7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8도는 분해 사시도.
제109도∼제1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09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0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1도는 분해 사시도.
제112도∼제11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12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3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4도는 분해 사시도.
제115도∼제11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15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6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7도는 분해 사시도.
제118도∼제12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18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9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0도는 분해 사시도.
제121도∼제123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21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2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3도는 분해 사시도.
제124도∼제12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24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5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6도는 분해 사시도.
제127도~제12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27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8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9도는 분해 사시도.
제130도∼제13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30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1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2도는 분해 사시도.
제133도~제135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33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4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5도는 분해 사시도.
제136도∼제13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136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7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8도는 평면도.
제139도는 분해 사시도.
제140도는 제1실시예의 문의 패킹의 단면도.
제141도는 종래예의 단면도.
제142도는 다른 종래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 2A,2B : 힌지핀(hinge pin) 3 : 본체
4B : 고정판 5A,5B : 래치판(lacth 板)
6 : 연결부재 6A,6B : 링크(link)
6C : 연결링크 7A,7B : 맞무는 흠
10A,10B,107A,107B : 스프링 14A1,14B1: 슬라이드 안내부
14A2,14B2스토퍼부 14A,14B : 록홈(lock 溝)
15A,15B : 록핀 102A,102B : 힌지핀
402A,402B : 새시쌍 403A,403B : 새시쌍
본 발명은 주로 냉장고의 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문을 좌우 임의의 측에서 개페 조작할 수 있는 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문은 좌우 한편쪽으로만 개폐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문을 제조하는 초기시점에서 이른바, 우측개방 그렇지 않으면 좌측개방의 어느 것으로 결정하게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사용자들은 냉장고를 구입하는 시점에서 사용장소를 고려하여 문의 우측개방 그렇지 않으면 좌측개방중 어느 한가지를 선택하지 않으면 아니되었다.
또, 구입한 다음 부엌모양 개선등으로 냉장고 설치장소를 변경하면, 냉장고의 문은 한편쪽으로만 열게 되어 있기 때문에 문이 벽에 닿아서 개폐하기 불편하다던가, 그렇지 않으면 설치장소가 한정되는 등의 불합리가 있었다.
또,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중의 잘 듣는 쪽의 팔이 냉장고 문의 여느쪽과 다른 사람에게 있어서는 문의 개폐가 고통스러위진다고 하는 불편도 있었다.
이와같은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좌우 임의의 측에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문의 개폐 장치, 이른바 양쪽으로 열리는 장치가 다수 제안되었다.
제141도 및 제142도는 각기 종래의 양쪽으로 열리는 개폐장치의 대표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141도의 장치의 문에는 문(10)의 상하 양부의 좌우위치에 각기 힌지핀(20), (20)을 상하 돌출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는 한편, 본체에는 문(10)의 상하부에 대응하는 본체(30)의 일부에 힌지핀(20), (20)의 베어링요부(40), (40)를 설치한다. 문(10)에 설치한 조작핸들(50), (50)의 어느 한편쪽의 회전운동 조작에 따라 좌우 한편의 힌지핀(20)이 대응하는 베어링요부(40)로 부터 뽑아내어서 문(10)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 제142도의 장치는 본체(60)와 문(70)사이에 중앙부분이 개방된 중간틀(80)을 설치하여, 중간틀(80)의 좌우 한쪽변을 본체(60)에 피벗하고, 중간들(80)의 다른쪽 변을 문(70)에 피벗한 것이다. 문(70)에 설치한 조작핸들의 어느 한편쪽의 회전 조작함에 따라 한편쪽으로 문(70)만을 열 수 있게 하는 한편, 다른편쪽으로 문(70)과 중간틀(80)을 함께 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제141도의 장치의 경우 오른쪽으로 열기와 왼쪽으로 열기를 바꾸기 위한 가동의 조작핸들(50)이 좌우 한쌍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또, 본체(30)의 내부에 유아들이 갇혔을 경우 안쪽으로 부터 문(10)을 열 수 없기 때문에 안에 가두어지는 사고가 일어날 위험성이 있었다. 또, 문(10)의 내부에 조작핸들(50)과 힌지핀(20)의 연동 기구를 짜서 넣기 때문에 문의 단열성능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제142도의 장치에서는 패킹이 본체(60)와 중간틀(8)의 사이 및 중간틀(80)과 문(70)사이에 필요하게되어, 패킹이 2중으로 되어 문부분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진다거나 단열성능이 나빠진다던가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 놓은 것으로, 가동의 조작 핸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핸들을 돌린다고 하는 조작을 하지 않고도 문을 좌우 임의의 측으로부터 개폐할 수 있을 뿐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뛰어난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는 문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 또는 그 문이 부착되는 본체의 어느 한편의 좌우 양단에 힌지핀을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 편에 힌지핀이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 수 있는 맞무는 홈을 지닌 고정판을 설치하여, 이 고정판의 좌우 양부에는 각기 바깥 지름쪽으로 열린 래치홈에 의하여 힌지핀에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려서 그 힌지핀을 맞무는 홈 안으로 구속하는 래치판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함과 동시에, 이것들 래치판이 힌지핀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 해제하는 위치의 양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이것들 양 래치판 사이에는 한편의 래치판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에 연관하여 다른편의 래치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므로써 문의 개폐장치를 구성하였다.
연결부재는 좌우 각 래치판의 근방의 고정판에 각기 피벗이 된 한쌍의 링크와, 이것들 링크의 일단부끼리를 결합하는 연결링크 등으로 구성하여, 각 링크와 대응하는 측의 래치판을 굴곡한 형상의 록홈과, 이 록흠에 맞무는 록핀 등으로 연관시켰다.
그렇지 않으면, 연결부재를 단일의 레버형상으로 하여 고정판의 좌우 중간부에 피벗하고, 연결부재의 좌우 각 단부와 대응하는 측의 래치판 등을 굴곡한 형상의 록홈과, 이것과 맞무는 록핀 등을 개재하여 연관시켰다.
그렇지 않으면, 연결부재를 단일한 레버형상으로 하여 좌우 각 단부에 록핀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록핀과 맞무는 고정판에 설치한 굴곡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 및 래치판에 설치한 록흠등을 개재하여 연관시켰다.
또한, 연결부재를 한쌍의 연결레버로 구성하여 각 연결레버의 일단부를 좌우 서로 상이한 쪽의 래치판의 둘레에 피벗하고, 각 연결레버의 타단부에는 고정판에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홈에 따라 안내되는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록핀이 각 래치판에 형성된 록흠에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문 그렇지 않으면 문이 부착되는 본체의 어느 한편의 좌우 양단부에 힌지핀을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 편에 힌지핀이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 수 있는 맞무는 홈을 지닌 고정판을 설치하고, 고정판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지 바깥 지름쪽으로 열린 래치흠에 따라 힌지핀에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려서 그 힌지핀을 맞무는 흠내에 구속하는 래치판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함과 동시에, 이것들 래치판이 힌지핀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해제하는 위치의 양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또 이것들 양 판 사이에는 한편의 래치판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에 연관하여 다른편의 래치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연결부재는 좌우 각 래치판의 근방에서 고정판에 각기 피벗이 된 한쌍의 링크와 이것들 링크의 일단부끼리를 결합하는 연결링크 등으로 구성하여, 각 링크 그렇지 않으면 각 래치판의 어느 한편에 슬라이드 안내부와 스토퍼부가 굴곡상으로 형성된 록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편에는 록홈에 맞물려서 래치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지금 하나의 실시 예로서, 문이 부착되는 본체의 좌우 양단부에 힌지핀을 돌출 설치함과 동시에, 문에 힌지핀이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 수 있는 맞무는 홈을 지닌 고정판을 설치하여, 고정판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기 바깥지름측으로 열린 래치홈에 따라 힌지핀에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어서 그 힌지핀을 맞무는 홈내에 구속하는 래치판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함과 동시에, 이것들 양 래치판 사이에는 한쪽 래치판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에 연관하여 다른쪽 래치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한 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문이 개방상태에 있을 때 개방측의 래치 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안전장치를 각각 다른편쪽의 래치판의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개폐장치를 장착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는, 문 그렇지 않으면 문이 부착되는 본체의 어느 한편의 좌우 단부에 수직방향의 힌지핀을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문 또는 본체의 어느 것인가 다른편에 문 폐쇄시에 힌지핀의 선단과 맞닿아서 문을 지지하는 하중받침부재가 설치되어 문이 좌우 어느쪽인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서 되는 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문이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에 맞물어서 힌지핀이 하중받침부재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문을 들어올리는 맞물림쌍을 문 또는 본체의 각각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지름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본체의 좌우 양단부에는 힌지판 및 힌지판에 돌출되게 설치된 힌지핀으로 된 힌지가 힌지용 부착판을 개재하여 부착되었으며, 문에는 힌지핀이 그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무는 홈이 설치되어 문을 좌우 임의의 측으로 부터 개폐할 수 있는 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본체 외각의 내벽부분에 그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잇따라서 뻗은 보강부재를 부착하여 그 보강부재에 힌지용 부착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본체의 좌우 양단부에 힌지핀을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문에는 힌지핀이 그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 수 있는 맞무는 홈이 설치되었으며, 문을 좌우 임의의 측으로 부터 폐쇄할 수 있는 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문을 각기 대향하는 2쌍의 새시(sash)로 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새시쌍이 각기 연결고정부재를 개재하여 굳게 부착된 틀로 구성됨과 동시에, 3개 이상의 새시가 1개의 연결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일체적으로 굳게 부착되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문 개폐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제2도는 문의 힌지의 부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제1실시예에서는 좌우 양쪽 개방의 냉장고이며, 본체(3)의 좌우 양단부에는 힌지판(102A), (102B) 및 힌지판(102A), (102B)에 돌출되게 설치된 힌지핀(2A), (2B)으로 된 힌지가 힌지용 부착판을 개재하여 부착되었으며, 문(1)에는 힌지핀(2A), (2B)이 그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걸어맞 출 수 있는 걸어맞춤 홈이 설치되어 있다.
제3도∼제9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문의 개폐장치는 문(1)이 부착되는 본체(3) (냉장고등에서는 캐비넷에 상당)의 좌우 양부의 상하 모두 4개소에 구비하는 힌지판(102A),(102B) (제6도 참조)에 돌출되게 설치된 힌지핀(2A),(2B)과, 문(1)의 상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장방형상의 고정판(4B) (제6도 참조)과, 고정판(4B)의 좌우위치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래치판(5A), (5B)과, 한쌍의 래치판(5A), (5B)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서, 고정판(4B)과 래치판(5A),(5B) 사이에는 래치판(5A),(5B)이 힌지핀(2A),(2B)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해제하는 위치의 양 위치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0A), (10B)이 설치되어 있다.
문(1)의 상하부의 각 좌우위치의 합계 4개소에는 문 개폐시에 있어서 힌지핀(2A), (2B)에 출입하는 노치부(101A), (101B) (제4도, 제5도에서 상측만을 나타내고 있다)가 설치되어 있다. 노치부(101A), (101B)는 문(1)의 상부에 있어서는 상면으로 부터 내측면으로 걸쳐서 형성되었으며, 하부에 있어서는 하면으로 부터 내측면으로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4B)은 그 좌우 양부에 단차부(103A), (103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차부(103A), (103B)상에 각기 맞무는 홈(7A), (7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맞무는 홈(7A),(7B)은 본체(3)측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으며, 대응하는 쪽의 힌지핀(2A),(2B)에 대하여 개구측으로 부터 끼워넣어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4B) 중에서 문(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에 대하여는 상기 단차부(103A), (103B)의 상면에 각기 대략 3학 형상의 차폐판(106A),(106B)이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차폐판(106A), (106B)의 한 구석에 각기 하향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는 연결고정핀(108A), (108B)이 단차부(103A), (103B)의 상면에서 맞무는 홈(7A),(7B)의 개구측과 단차벽(104A), (104B) 사이에 각기 천설하고 있는 원형이 관통구멍(105A), (105B)에 걸려 있다.
그리고, 연결고정핀(108A), (108B)에는 스프링(107A), (107B)이 감겨져 있어서 이 스프링(107A), (107B)의 일단이 차폐판(106A), (106B)에 각기 돌출되게 설치한 수납오목부(109A), (109B)에 연결 삽입되고, 타단은 고정판(4B)의 단차벽(104A), (104B)에 맞물리어져 있으며, 양단이 항상 넓어지려는 쪽으로 압축되어 있다. 결국, 스프링(107A), (107B)은 그의 신장력으로 차폐판(106A), (106B)을 한번 요동방향으로 가압하여, 그리하여 맞무는 홈(7A),(7B) 및 문(1)의 노치부(101A), (101B)를 폐쇄시킨다,
래치판(5A),(5B)은 힌지핀(2A),(2B)이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호상부의 외경측에 개구한 래치흠(8A),(8B)을 지니고, 맞무는 홈(7A), (7B)의 내측 위치에서 축(9A),(9B)에 의하여 고정판(4A),(4B)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피벗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홈(8A),(B)이 좌우 바깥쪽으로 향한 각도위치에 있어서는 래치홈(8A),(8B)이 맞무는 홈(7A),(7B)과 교차하여 그 교차부내에 힌지핀(2A), (2B)을 구속하는 한편, 그 각도위치로 부터 일정 각도만큼 구속해제방향(도면의 좌측의 래치판(5B)이라 하면 시계방향, 우측의 래치판(5A)이라 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치흠(8A), (8B)의 개구가 맞무는 홈(7A). (7B)의 개구와 합치하여 힌지판(2A), (2B)의 맞무는 홈(7A), (7B)으로 부터의 탈출을 허용하도록 된다.
스프링(10A),(10B)의 일단은 래치판(5A),(5B)의 래치홈(8A),(8B)과 반대측의 단부에 돌출되게 설치한 부착핀(11A),(11B)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피벗되고, 또 타단은 고정판(4A)에 돌출 설치된 부착핀(12A), (12B)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피벗이 되어 있다. 부착핀(12A), (12B)은 래치판(5A),(5B)이 힌지핀(2A),(2B)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해제하는 위치사이를 회전하는 경우에 부착핀(11A),(11B)과 래치판(5A),(5B)의 지지축(9A), (9B)으로 이루는 각도범위의 대략 중간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0A),(10B)은 그양단이 항상 넓어지려하는 방향으로 힘이 걸려있어, 문(1)의 폐쇄시에 문(1)을 본체(3)에 밀착시키는 기능도 지니고 있다.
연결부재(6)는 한편의 래치판[5A(5B)]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시에 다른편의 래치판[5B(5A)]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으로 I자 형상을 한 한쌍의 요동링크와, 이것들 요동링크(6A), (6B)의 일단부끼리를 결합하는 연결링크(6C)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요동링크(6A), (6B)는 타단부가 고정판(4A), (4B)에 돌출되게 설치한 축(13A), (13B)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피벗이 되어 있다. 또, 요동링크(6A), (6B)에는, 대략 L자 형상의 록홈(14A),(14B)은 요동링크(6A), (6B)의 지지축(13A),(13B)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와 지지축(13A), (13B)을 중심으로 한 원호에 잇따라서 설치한 스토퍼부(14A2), (14B2)등으로 되어 있다. 록홈(14A),(14B)에는 래치판(5A),(5B)에 돌출되게 설치된 록핀(15A),(15B)이 맞물려 있다.
그런데,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1)의 하부에 설치하는 문의 개폐장치에는 차폐판(106A),(106B)을 부착하지 않고, 문 상부에 설치한 문의 개폐장치를 고정판(4B)이 아래에 위치하도록 뒤집어서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판(4B)의 단차부(103A), (013B)에 의하여 힌지판(102A), (102B)과 문(1)의 하면을 면이 하나와 같이 되어서 보는 감정을 좋게 할 수 있는 등, 디자인의 자유도가 증대하게 된다 여기에서 문(1)의 하부측의 노치부(101A), (101B)에 차폐판(106A),(106B)을 설치하고 있지 않다고 하지만, 말할것도 없이 문(1)의 하부측에 차폐판(106A),(106B)을 설치하여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함 문(1)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문(1)의 상부에 설치되는 개폐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제4도 및 제5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래치판(5A),(5B)의 래치홈(8A),(8B)의 개구가 좌우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래치홈(8A),(8B)이 맞무는 홈(7A),(7B)이 교차하고 있고, 교차부내에 힌지핀(2A),(2B)이 구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상태는 스프링 (10A),(1OB)의 넓어지려하는 힘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으므로 문(1)은 폐쇄상태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힌지핀(2A),(2B)이 맞무는 홈(7A),(7B)의 속부분에 위치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힌지핀(2A),(2B)에 의하여 차폐판(106A),(106B)이 제7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스프링(107A),(107B)을 압축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끝난 위치에 밀어주어서 문(1)의 노치부(101A), (101B)를 개방하고 있으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문(1)의 노치부(101A),(101B)가 힌지판(102A),(102B)에 의하여 덮여져 있기 때문에 진애등의 이물이 노치부(101A), (101B)로 부터 섞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문(1)을 왼쪽으로 부터 여는 경우, 문(1)의 좌측의 개폐 조작용의 오목부(여기에서는 도해가 없으나, 제2도중의 손잡이(16) 참조)를 끌어당긴다. 그러하면 부동이던 좌측의 힌지핀(2B)으로 부터 맞무는 홈(7B)이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끌리게 되고, 이에 따라서 좌측의 래치판(5B)에 시계방향, 즉 구속해제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한다. 이때, 래치판(5B)에 설치한 록핀(15B)은 록홈(14B)의 각부에 위치하게 된다.
계속하여, 록핀(15B)이 슬라이드 안내부(14B1)를 슬라이드 안내하면서 래치판(5B)이 다시금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래치판(5B)이 그 회전각도의 반분을 지나면 스프링 (lOB)이 넓어지려하므로, 그 부가력에 의하여 래치판(5B)이 힘차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래치홈(8B)의 개구가 맞무는 홈(7B)의 개구와 합치하여 그로 부터 좌측의 힌지핀(2B)이 빠져나을 수 있게 된다.
그 한편으로, 래치판(5B)의 록핀(15B)이 슬라이드 안내부(14B1를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서 연결링크(6C)를 개재하여 우측의 요동링크(6A)가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그 록홈(14A)의 스토퍼부(14A2)의 단부에 록핀(15A)이 맞닿게 된다. 이것으로 우측의 래치판(5A)은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우측의 힌지핀(2A)의 구속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우측의 힌지핀(2A)을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문(1)의 좌측으로 부터 개방하게 된다(제5도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 (lOB)의 넓어지려하는 힘의 좌측의 래치판(5B)에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래치판(5B)의 그대로의 상태에서 유지된다.
그뿐아니라, 힌지핀(2B)으로 부터 맞무는 홈(7B)이 벗어지는 동작과 동시에, 스프링(107B)의 넓어지려 하는 힘에 의하여 차폐판(106B)이 그 지지축인 연결고정 핀(108B)을 회전운동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끝날 때까지 이동이 되어서 문(1)의 노치부(101B)를 완전히 폐쇄한다(제8도 참조). 따라서, 문(1)의 개방상태에 있어서도 노치부(101B)로 부터의 이물이 섞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은 연속적으로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개방된 문(1)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문(1)의 좌측부분을 본체(3)측으로 밀면된다.
그런다음, 힌지핀(2B)에 맞무는 홈(7B) 및 래치홈(8B)이 끼워들어가 힌지핀(2B)에 대한 래치판(5B)의 가압력으로 래치판(5B)이 스프링(1OB)을 위치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런 다음, 좌측의 요동링크(6B)의 록홈(14B)의 슬라이드 안내부(14B1)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래치판(5B)의 록핀(15B)이 래치판(5B)의 회전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안내부(l4B2)의 각부에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래치판(5B)이 그 회전운동 각도의 반분을 지나면, 스프링(1OB)이 넓어지려 하므로, 그 가압력에 의하여 래치판(5B)이 힘차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끝내는 래치흠(8B)이 맞무는 홈(7B)에 교차하여 힌지핀(2B)을 맞무는 홈(7B)의 속부분에서 구속한다. 따라서, 문(1)이 폐쇄되어 제5도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 위에, 맞무는 홈(7B)이 힌지핀(2B)에 맞물릴 때에 힌지핀(2B)에 차폐판(106B)이 맞닿아서 힌지핀(2B)의 맞무는 홈(7B) 안쪽으로 이동함에.따라, 차폐판(106B)이 스프링(107B)에 저항하여 고정판(4B)의 단차벽(104B)측으로 밀어치워지므로, 맞무는 홈(7B) 및 문(1)의 노치부(101B)가 개방된다(제7도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도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 (102A),(102B)에 의하여 노치부(101B),(101A)로 부터의 이물이 섞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문(1)을 우측으로 부터 개폐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것과는 좌우반대의 동작에 따라 실현되므로, 그 동작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체(3)에 힌지핀(2A),(2B)을 문(1)에 고정판(4A),(4B)을 설치한 예를 들고 있으나, 그 반대의 형태로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그 예는 상기한 실시예로 부터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더욱이, 문(1)의 좌우 양부를 동시에 개방방향으로 당기면, 좌우 양측의 힌지핀(2A),(2B), 래치판(5A),(5B), 록핀(15A),(158) 및 록홈(14A),(14B)을 재재하여 링크(6A),(6B)에 반시계방향의 요동력과 시계방향의 요동력이 작용하게 되어, 이 좌우의 링크(6A),(6B)는 연결링크(6C)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들 연결부재(6)는 어느 방향으로도 요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각 래치판(5A), (5B)의 회전이 저지되어, 그결과 각 힌지핀(2A),(2B)은 맞무는 홈(7A),(78)이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문(1)은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문(1)을 떼어내고 싶을 때에는 문(1)의 좌우 한편을 개방한 다음, 개방한 측의 래치판[5A(5B)]을 드라이버와 같은 막대기로 구속해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개방한 쪽의 래치판[5A(5B)]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다른편의 래치판[5B(5A)]의 회전 저지상태가 해제되고, 다른편의 힌지핀[2B(2A)]의 맞무는 홈[7B(7A)]으로 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문(1)의 폐쇄시에 래치판(5A),(5B)이 완전히 구속위치, 즉 연결부재(6)가 중립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록핀(15A),(15B)이 록홈(14A),(14B)의 스토퍼부(14A2), (14B2)로 부터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A2)에 원활하게 이동해 갈 수 없기 때문에, 좌우의 개폐방향의 전환이 홀륭히 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으나, 스프링(10A),(10B)으로 래치판(5A),(5B)이 구속위치를 유지하도록 가압되기 때문에 연결부재(6)가 항상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좌우의 개폐방향의 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문(1)의 한편으로 부터 열었을 때 개방한 쪽의 래치판[5A(5B)]이 문(1)의 개폐시의 반동등으로 부주의하게 구속방향으로 회전하면, 다름편의 래치판[5B(5A)]의 회전 저지상태가 해제되어 문(1)이 떼어져 버릴 염려가 있으나, 스프링(10A),(10B)에 따라 래치판(5A),(5B)이 구속해제위치를 유지하도록 가압되기 때문에 문(1)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6A),(6B)를 고정판(4A),(4B)의 배면측에 피벗하여 연결링크(6C)를 고정판(4A),(4B)의 전면측에 설치하였으나, 이것과 반대로 링크(6A), (6B)를 고정판(4A),(4B)의 전면측에 피벗하고 연결링크(6C)를 고정판(4A),(4B)의 배면측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록흠(14A),(14B)의 슬라이드 안내부(14A1),(14B1)는 스토퍼부(14A2),(14B2)의 단부로 부터 회전축(13A),(13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한 형상이다. 연결링크(6C)를 어느쪽에 설치하느냐 하는 것은, 문(1)의 디자인(문(1)의 상면 바로 앞쪽에 손잡이(16)를 설치하는 경우등) 그렇지 않으면 부착부분의 구조등에 따라 연결링크(6C)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79도∼제81도에 나타내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제79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0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1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 스프링(10A), (lOB)은 생략되어 있다. 또, 변형예에서는 힌지핀(2A), (2B)을 문(1)측에, 고정판(4)을 본체(3)측에 설치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82포∼제84도에 나타내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이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82도는 문의 저지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3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4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85도∼제87도에 나타내었다. 본 변형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85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6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7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lOB)은 생략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동작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차폐판(106A), (106B)을 고정판(4B)에 부착한 예를 들고 있으나, 예컨대 문(1)의 내면에 차폐판(106A), (106B)을 부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고정판(4B)의 좌우 양단에 단차부(103A), (103B)를 설치하여 차폐판(106A),(106B)을 설치한 구조라하여도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도록 연구하고 있으나, 평활한 고정판(4B)을 사용하여 거기에 차폐판(106A), (106B)을 부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예시한 구조의 문의 개줴장치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특히 스프링(10A), (lOB)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구조의 것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차폐판(106A), (106B)을 문(1)의 개폐동작에 연관하여 요동하므로써 문(1)의 노치부(101A), (101B)를 개방, 폐쇄하도록 하고 있으나, 문(1)의 개폐동작에 다른 힌지핀(2A), (2B)과 맞무는 흠(7A), (7B)의 상대이동방향과 평행으로 차폐판(106A), (106B)을 진퇴동작시킴에 따라서 문(1)의 노치부(101A), (101B)를 개방, 폐쇄하도록 하여도 관계없다는 등 여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이 개방되면 개방된 측에서 문 또는 본체에 형성한 노치부가 차폐판으로 폐쇄되기 때문에, 이 노치부로 부터 진애등의 이물이 섞여들어오는 것을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문 또는 본체 내부의 개폐장치의 가동부로의 이물이 끼어드는 것을 없앨 수 있고, 장기간에 걸친 원활한 개폐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제1실시예에서는 제10도∼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1)이 완전폐쇄되기 직전에 맞물어서 문(1)을 들어올리는 맞무는 쌍(202)이 문(1) 및 본체(3)의 냉장실(20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바 맞무는 쌍(202)은 그 한편의 한 예인 로울러부(204)가 문 폐쇄시에 냉장고의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문(1)의 하단부 대략 중앙위치, 즉 좌우 양힌지핀(2A),(2B)의 대략 중간위치 근방에 문 폐쇄방향(화살표 A)에 향하여 돌출 설치됨과 함께, 다른편의 한 예인 지지부재(205)가 냉장실(203)의 저부에서 문 폐쇄시에 상기한 로울러부(204)와 맞무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부재(205)는 측면이 대략 사다리꼴의 주체로, 그 상면의 문측에 문 개방방향(화살표 B)으로 향하여 하강하는 사면(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 로울러부(204)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 폐쇄시에 문(1)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한 지지부재(205)의 상면을 전동하는 로울러(206)와, 평면으로 대략 ⊃자 형상의 틀로서, 문(1)의 이면에 비스(207)로 고정 부착된 부착앵글(208)과, 평명으로 ⊃자 형상의 판체로서 일단이 상기한 로울러(206)를 끼워두도록 축받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한 부착앵글(208)의 하부에 설치된 핀(209)에 축받침된 로울러호울더(210)와, 상기한 부착앵글(208)의 중앙부에 본체측에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기판(211)과, 상기한 로울러호울더(210)의 상면에 천설된 나사 구멍에 걸려서, 그 나사진행방향 선단이 상기한 고정기판(211)의 선단부에 맞닿도록 설치된 비스(212)와, 상기한 고정기판에 천설된 나사구멍에 걸리고, 그 두부가 상기한 로울러호울더(210)를 지지하는 비스(213)등으로 되는 높이위치 조정용 비스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의 개폐장치(291)에 있어서, 개방된 문(1)의 문 폐쇄방향(화살표 A)에 향하여 폐쇄한다. 그때, 먼저 로울러부(204)의 선단에 위치하는 로울러(206)가 지지부재(205)의 사면(F)에 맞닿는다.
나아가서, 상기한 문(1)이 밀어움직여지면 로울러(206)가 상기한 사면(F)을 로울링함에 따라 로울러부(204)가 고정부착된 문(1)은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로울러(206)가 상기한 지지부재(205)의 높은 대면에 도달하였을때 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측에 설치된 힌지핀(2A)에 대하여 문(1)의 하중받침부재(4A)는 상방에 있어 각각은 맞닿는 일은없다.
나아가서, 문(1)의 밀어움직임을 속행하면,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로울러(206)가 상기한 지지부재(205)의 사면(G)을 하강한다. 그에 따라서, 상기한 문(1)도 하강하여 완전폐쇄에 이른다. 이때, 상기한 힌지핀(2A)은 상기한 하중받침부재(4A)와 맞닿아서 문(1)의 하중을 받음과 함께, 문 개방시의 축으로 될 수 있다. 또, 문(1)은 폐쇄방향(화살표 A)으로 향하여 가압된다.
또, 완전폐쇄의 상태로 부터 문(1)을 개방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로울러(206)가 상기한 지지부재(205)의 사면(G)을 상승하여 문(1)을 들어 올리기 때문에,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힌지핀(2A)과 상기한 하중받침부재(4A)가 맞닿는 일이 없고 문(1)의 개폐가 원활하게 된다.
여기에서, 문(1)의 개폐에 있어 상기한 힌지핀(2A)과 상기한 힌지핀(2A)과 상기한 하중받침부재 (4A)가 맞닿지 않도록 문(1)의 상방으로의 대피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상기한 고정기판(211)에 대하여 로울러호울더(210)를 변위시킬 수 있는 높이위치 조정용 비스쌍(212), (213)으로 하게 된다. 즉, 한편의 비스 문의 대피정도를 조정한 다음에 다른편의 비스로 그 조정위치를 고정한다.
더욱이. 사면(G)은 문 폐쇄시에 문 하중을 좌우 양힌지핀(2A), (2B)으로 받아서 문 하중을 분산시켜 문(1) 및 맞무는 쌍(202)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및 문 폐쇄시에 문(1)이 부주의로 열리지 않도록 문(1)을 폐쇄방향(화살표 A)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며, 그 사면(G)을 생략하여 지지부재(205)를 사면(F) 및 고대(H)로 구성하므로써 문(1)을 완전폐쇄하였을 때에 있어서도 문 하중을 로울러(206)로 받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로울러(206)를 문(1)의 안쪽으로 문 폐쇄방향(화살표 A)으로 향하게 돌출되게 설치시키고 있으나, 이렇게 함에 따라서 로울러(206)를 문(1)의 하면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문자수를 크게 할 수 있고, 여러개의 문을 겹쳐서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문 사이의 치수가 넓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는 맞무는 쌍(202)으로서 문(1)에 로울러부(204)를 설치하고, 본체(3)에 지지부재(205)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변형예로서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1)에 지지부재(205A)를 설치하고, 본체(4)에 로울러부(204A)를 설치한 맞무는 쌍(202A)의 예를 나타내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로울러부(204A)는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의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05)가 배설된 위치에 대좌(215)가 설치되어 있고, 대좌위에 돌출되게 설치된 베어링부(216)에 의하여 로울러(206A)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되어 있다. 지지부재(205A)는 밑면에 폐쇄방향으로 직행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문 폐쇄시에 로울러(206A)가 걸리게 되는 측면이 대략 원호상의 감합홈(217)을 지닌 기동형상체이다. 상기한 지지부재(205A)는 그 단부가 문(1)의 이면에 고정 부착되는 부착앵글(126)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되어 있다. 나아가서, 상기한 지지부재(205A)의 높이위치 조정은 상기한 바 부착앵글(126)에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기판(211)에 대하여 상기한 높이위치 조정용 비스쌍(212A),(213A)으로 마찬가지로 된다.
본 변형예에 관한 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는 문(1)을 폐쇄시키면, 우선 본체측의 로울러 (206A)의 상부에 문측의 지지부재(205A)의 선단하부(T)가 맞닿는다. 나아가서, 문(1)을 밀어움직임에 따라 상기한 지지부재(205A)의 선단부 밑면이 상기한 로울러위에 올라간다. 그에 따라 지지부재(205A)가 연결된 문(1)은 그 하중받침부재(4A)가 본체측에 설치된 힌지핀(2A)에 돌출 설치하지 않는 위치까지 들어올려진다.
이어서, 상기한 로울러 (206A)가 상기한 지지부재(205A)의 감합홈(217)에 헐겁게 끼워졌을 때, 즉 문 완전폐쇄시에 문(1)이 하강하여 그 하중받침부재(A)가 힌지핀(2A)가 상단부에서 지지된다. 이와 같이 문(1)의 폐쇄시에 원활한 폐쇄조작을 할 수 있다.
또, 폐쇄시의 문(1)을 개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로울러(206A)가 감합홈(217)으로 부터 탈출하는 경우에 문(1)을 들어올리므로 상기한 힌지핀(2A)에 문(1)의 일부가 맞닿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문(1)의 개폐시에는 원활한 개폐조작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각각의 실시예에 열거한 문의 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임의의 축으로 부터 문(1)의 개폐 조작이 이루어져도 불필요하게 부재끼리 맞닿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맞물림쌍(202),(202A)에 의하여 문(1)을 상방으로 대피시키는 정도를 조정할 구 있으므로, 힌지핀(2A),(2B) 이라거나 로울러부(204),(204A)의 부착위치에 불균형이 발생하여도 일정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조립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하여 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맞무는 쌍은 냉장고 각 문의 내부 대략 중앙위치 하단부에 배설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상기한 맞무는 쌍의 배설위치는 상기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문의 상단부에 흑은 좌우 양단부, 또 좌우 임의의 측에만 배설하여도 그 작용, 효과는 상기한 실시예와 바꾸어지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 그렇지 않으면 그 문이 부착되는 본체의 어느 한편의 좌우 단부에 수직방향의 힌지핀을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문 또는 본체의 다른편에 문 폐쇄기에 힌지핀의 선단과 맞닿아서 문을 지지하는 하중받침부재가 설치되어 상기한 문이 상기한 좌우 어느편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서 되는 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문이 완전폐쇄되기 직전에 맞물리어서 힌지핀이 하중받침부재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문을 들어올리는 맞무는 쌍을 상기한 문 및 본체의 각각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개폐장치이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좌우 임의의 방향으로 부터 문을 개폐하여도 힌지핀과 하중받침부재가 맞닿지 않는다. 따라서, 문의 개폐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나아가서, 힌지핀 등의 부착위치에 불균형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조립할 때 등의 작업성이 좋아짐과 동시에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문의 개폐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본체(3)의 외관 사시도이며, 제16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힌지의 부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제17도는 힌지의 부착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제1실시예는 좌우 양측 개방 냉장고이며, 본체(3)의 좌우 양단부에는 힌지판(102A),(102B) 및 그 힌지판(102A),(102B)에 돌출되기 설치된 힌지핀(2A), (2B)으로 된 힌지가 힌지용 부착판(305)을 개재하여 부착되었으며, 도면에 없는 문에는 힌지핀(2A),(2B)이 그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릴 수 있는 맞무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힌지부분의 강도를 높여서 문의 하중에 의한 변위를 저감하고, 문의 원활한 개폐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의 외각(320)의 좌우의 이른자 플랜지부의 내벽부분에 보강부재로서의 알루미늄새시(306)를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잇따라서 끼워놓고, 이 알루미늄새시(306)에 힌지용 부착판(305)을 비스(307)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보강부재로서의 알루미늄새시(306)는 본체(3)의 외각(320)의 단부(311A)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연결고정부품(306A)을 지닌 형상으로 압축성형으로 형성된다.
힌지용 부착판(306)은 상기한 알루미늄새시(306)에 비스(307)로 고정됨과 동시에, 냉동실, 냉장실 등의 각 실을 간막이하는 분할부(340)에 비스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힌지용 부착판(305)이 고정된 분할부(340)를 덮도록 센터플레이트(360)가 부착되었으며, 이 센터플레이트(360)의 위로부터 힌지가 비스(310)에 의하여 힌지용 부착판(305)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힌지용 부착판(306)을 분할부(340)에 고정함과 동시에, 본체(3)의 외각(320)의 내벽부분에 부착된 보강부재로서의 알루미늄새시(306)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힌지용 부착판(305)에 걸리는 문의 하중이 상하로 뻗은 알루미늄새시(306)에도 분산하게 되어 힌지부분의 강도가 높아져서 문하중에 의한 변위가 저감되어 문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의 제16도 및 제17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보강부재를 프레스 가공으로 「〈」자 형상으로 절곡된 철판(312)으로 하고, 이 철판(312)을 리벳(313)으로 본체(3)의 외각(320)의 내벽부분에 부착하고, 힌지용 부착판(305)을 판체(314)를 개재하여 철판(312)에 비스(307)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밖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 다른 변형예를 제20도∼제23도에 나타내었다. 제20도는 변형예의 본체(3)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1도는 분할부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제15도는 조립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 제22도는 제15도에 있어서 IV-IV선에 잇따른 단면도를 각기 나타내고 있다.
제20도에 있어서, 본체(3)는 상면판(321), 하면판(322) (제15도 참조), 우측판(323), 좌측판(324) 및 배연판(도해없음) 등으로 구성된 앞면에 개구부를 지닌 외각(320)과 합성섬유 등으로 일체로 성형된 마찬가지로 앞면에 개구부를 지닌 내상(330)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내상(330)의 내부공간을 상하방향으로 분할하여 여러개의 수납실을 형성하기 위한 분할부(340)와, 이 분할부(340)의 앞면에 부착된 분할보강판(350)과,이 분할보강판(350)의 앞면에 부착된 센터플레이트(360)(제21도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보강판(350)과 센터플레이트(360) 사이에 발로방지용의 단열재(330) (제21도참조)를 개재 삽입하고 있다. 상면판(321), 하면판(322), 우측판(323), 좌측판(324) 및 배면판으로 구성된 외각(320)의 앞면개구부의 주연에는 그 개구면에 잇따른 안쪽방향으로 돌출한 2줄기의 2중 플랜지부(326A), (326B)가 앞 ㆍ뒷면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의 상단가장자리 및 하단가장자리에는 안쪽방향으로의 대략 수평한 위쪽플랜지(323A) 및 아래쪽 플랜지(326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후단가장자리에는 배면판의 좌우 옆가장자리를 각기 맞물기 위한 뒤쪽플랜지(326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술한 2중 플랜지부(326A), (326B)는 예컨대 외각(320)을 형성하는 상면판(321), 하면판(322),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의 각각의 선단가장자리를 접어굽으려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가장자리를 개구면에 잇따른 안쪽방향으로 굴곡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접어서 앞면쪽플랜지부(326A)를 형성하고, 또한 그 선단부를 각 판면에 잇따라서 후방으로 연설함과 동시에, 안쪽으로 기립시켜서 후면쪽플랜지부(326B)를 형성한 것으로 전체로서 횡단면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즉, 앞면쪽플랜지부(326A)와 됫면쪽플랜지부(326B)에 의하여 끼워넣은 홈(327)을 형성하고 있다.
또, 우측판(323)과 좌측판(324)에 형성된 뒷면쪽플랜지부(326B)는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의 그 한쪽조각이 비스 등에 의하여 고정된 횡단면 L자 형상의 플랜지 보강판(31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플랜지 보강판(312)는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의 높이방향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 보강판(312)의 적당한 장소(나중에 설명한다)에 안쪽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여러개의 분할 고정판(329)(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이 비스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분할고정판(329)에는 비스 등을 나사식으로 넣기 위한 비스구멍(32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비스구멍(329A)의 형성위치는 우측판(323) 및 좌측판(334)의 각 판면으로 부터 일정거리(ℓ3)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분할고정판(329)을 개재하여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을 내상(330)에 부착하였을 때,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이 본체(3)의 중심선 L선(제15도 참조)으로 부터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반씩 나누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내상(330)에는 그 개구부의 주연에 개구면에 잇따르는 바깥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331)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측이 개구한 횡단면 역 U자상으로 굴곡형성되어 있다. 또, 내상(330)에는 그 상방부에 분할부(340)의 앞면을 제외한 3방면의 주연을 삽입 지지하기 위한 분할부 삽입홈(332)이 형성됨과 동시에 하방부에는 다른 분할부(340)의 좌우 양측부를 맞끼워 지지하기 위한 분할부 감합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부 삽입홈(332)의 전단부와 분할부 감합부(333)에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에 부착된 분할고정판(329)의 선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334)가 형성되여 있다.
전술한 분할부(340)의 앞면에는 외각(320)이을 구성하는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의 위치결정(즉, 본체(3)의 폭결정), 본체(3)의 변형방지 및 강성의 강화 등을 목적으로 한 분할보강판(350) 및 센터플레이트(360)가 비스(351) 등으로 부착되어 있다.
분할보강판(350)의 좌우 양단부에는 전술한 분할고정판(329)과 비스 등에 의하여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352)의 적당한 장소에 비스구멍(3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비스구멍(352A)의 형성위치는 분할부(340)를 내상에 부착하였을 때, 내상(330), 즉 본체(3)의 중심선 L선으로 부터 폭방향으로 같은 거리(ℓ1)의 위치가 되도록 설정한다(제22도 참조).
그리고, 상기한 분할보강판(350)의 연결부(352)에 분할고정판(329)을 중합시킴에 따라 분할고정판(329)에형성된 비스구멍 (329A)과 연결부(352)에 형성된 비스구멍 (352A)을 일치시켜, 이것들 비스구멍 (329A), (352A)을 비스(307) 등으로 나사 고정함에 따라 우측관(323)과 좌측판(324) 사이의 치수가 본체(3)의 필요폭치수 │2│=2×(ℓ1+ℓ2)]이 되도록 설정한다. 즉, 분할고정판(329)의 비스구멍(329A) 및 연결부(352)의 비스구멍(352A)의 형성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정확히 결정함에 따라, 이것들 분할고정판(329) 및 분할보강판(350)을 개재하여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을 내상(330)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좌우측판(324), (323)을 중심선 L선으로 부터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는 동시에, 본체(3)로서의 필요폭 치수(ℓ2)의 치수내기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센터플레이트(360)의 좌우 양단부에는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에 형성된 양측 플랜지부(326A)와 비스 등에 의하여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6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 연결부(362)의 적당한 장소에 비스구멍(3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연결부(362)와 대응하는 앞면쪽플랜지부(326A)에도 비스구멍 (326A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연결부(362)와 대응하는 앞면쪽플랜지부(326A)에도 비스구멍(326A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냉장고를 조립하는 차례를 설명한다. 먼저, 전면에 분할보강판(350)을 비스(351),(351) 등으로 부착된 분할부(340)를 내상(330)의 분할부 삽입흠(332)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내상(330)의 전면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31)에 상면판(321), 하면판(322), 우측판(323), 좌측판(324) 및 배면판에 형성된 2중 플랜지부에 의한 끼워넣는 찰(327)을 끼워넣음에 따라 내상(330)을 내포하는 형태로 외각(320)을 형성한다. 이때,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에 부착한 분할고정판(329)의 선단부가 내상(330)의 분할부 삽입흠(332) 및 분할부 감합부(333)에 형성된 개구부(334)를 통하여 내상(330) 안으로 침입하여 분할부(340)의 전면에 부착된 분할보강판(350)의 연결부(352)와 겹치도록 위치되게 되므로, 상기한 분할고정판(350)의 연결부(352)와 겹치도록 위치되게 되므로, 상기한 분할고정판(329)에 형성된 비스구멍(329A)과 연결부(352)에 형성된 비스구멍(352A)을 일치시켜, 이것들 비스구멍 (329A), (352A)에 비스(370) 등을 나사 고정함에 따라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을 내상(330)의 좌우 야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은 본체(3)의 중심선 L선으로 부터 폭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 ℓ 1+ ℓ 3)를 유지함과 동시에 본체(3)의 필요폭 치수 ℓ2[=2x(ℓ1+ℓ3)]를 유지하여 부착하게 된다. 그런 다음, 분할부(340)의 전면에 부착된 분할보강판(350)의 전면에 단열재(390)를 개재함에 파라 센서플레이트(360)를 비스(351), (351) 등으로 부착한다. 이때, 센터플레이트(360)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362)는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에 형성된 끼워넣는 흠(327)에 끼워넣음에 따라 안면쪽플랜지부(326A)와 겹치므로, 이 연결부(362)에 형성된 비스구멍(362A)과 안면쪽플랜지부(326A)의 겹친부분에 형성된 비스구멍(326A1)을 일치시켜, 이것들 비스구멍(326A), (326A1)에 비스(380) 등을 나사 고정함에 따라 센터플레이트(360)를 외 각(320)에 고정한다.
즉, 외각(320)(여기에서는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은 플랜지 보강판(312), 분할고정판(329) 및 분할 보강판(350)을 개재하여 내상(330)에 고정된 분할부(340)에 고정함과 동시에 센터플레이트(360) 및 분할보강판(350)을 개재하여도 분할부(340)에 고정하게 되고, 이것들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본체(3)의 전체가 강고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3)를 형성한 다음, 내상(330)과 외각(320) 사이의 간극에 반포단열재(310)를 충전발포함에 따라 냉장고 본체의 제조를 완료한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체(3)의 조립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 센터플레이트(360)에 형성하는 연결부(362)는 오른쪽 그렇지 않으면 왼쪽의 어느 일단부만(본 실시예에서는 우단부)으로 하고, 타단부는 외각(320)의 전면측플랜지부(326A)와 맞붙이는 형태로 한다. 그 대신에 분할보강판(350)의 좌단부를 더욱 연장해서 앞면쪽플랜지부(326A)와 겹치도록 설치하여 겹치는 부분(K)을 비스(391) 등으로 나사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따라 센터플레이트(360)의 양단에 연결부(362)를 형성하여, 우측판(323) 및 좌측판(324)의 각 안면쪽플랜지부(326A)와 비스 결합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외각(320)을 구성한는 우측판 및 좌측판의 앞쪽가장자리에 형성된 2줄기의 2중 플랜지부중의 후부측의 플랜지부를 우측판 및 좌측판에 그 한쪽 부품을 고정한 횡단면 대략 L자 형상의 긴자꼴의 플랜지 보강판에 의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그 플랜지 보강판의 분할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그 선단부가 내상의 측판부분을 관통하여 본체 내부에 돌출한 분할고정판을 부착하고, 그 분할고정판의 양단부와 분할고강판의 양단부를 비스 등으로 일체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센터플레이트의 일단 그렇지 않으면 양단에 연결부를 비스 등으로 일체적으로 고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본체로서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문의 맞붙이미나 개폐에 의한 하중부담 및 고리포장시나 운반시의 충격 등에 의하여도 변형하는 일이 없이 와관을 의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양쪽 개방형의 문인 경우, 좌우의 힌지핀(2A),(2B) 사이의 피치 및 맞무는 홈(7A),(7B) 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또 상하 좌우의 4개서의 힌지핀이 일장한 위치관계에 있지 않으면 원할하게 개폐를 할 수 없게 되지만, 분 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원할하게 개폐를 할 수 있다.
또, 분할고정판의 선단과 분할보강판의 연결부에 설치된 각 비스구멍의 형성위치를 충분히 고려하여 정확하게 결정함에 따라, 이것들 분할고정판을 개재하여 우측판 및 좌측판을 내상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우측판을 본체의 중심선에서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잇음과 동시에, 본체로서의 필요폭 치수의 치수내기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본체의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본체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 본체내에 반포단열재를 충전하기 위한 발포지에 관한 부담이 적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발포지의 경시변화가 극히 적고, 따라서 발포 충전후의 본체로서의 완성도가 향사된다.
여기서는 제24도 및 2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내장고용 문의 분해 사시도, 제26도는 문을 구성하는 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냉장고용 문틀의 분해 사시도, 제28도는 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념도, 제29도는 본 발명 또 하나의 변형예에 관한 냉장고용 문틀의 상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0도는 틀의 상부에 있어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문(1)은 외판(400)을 틀(401)에 끼워넣고, 와관(400)과 틀(401)로 형성되는 공간에 발포단열재(도면에 없음)를 충전한 다음 내판(420)을 틀(401)에 고정하고, 그런 다음에 문(1)과 본체(3) 사이의 냉기시일을 하는 패킹(430)을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틀(401)은 제24도, 제25도 및 제2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시(402A),(402B)와 새시(403A),(403B)는 보강앵글(404)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보강앵글(404)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길이방향의 길이가 새시(403A),(403B)와 마찬가지로 평판부(405)의 양단을 잘곡하여 형성된 측판부(406) 등으로 되어 있다.
다라서, 냉장고 문의 틀(403)을 조립하는 경우에, 먼저 새시(403A)는 그 양단의 위치가 보강앵글(404)의 평판부(405)의 단부와 합치되도록 평판부(405)의 외측면에 배치된 다음에 보울트(407) 및 너트(408)로 서로 굳게 부착된다. 이어서, 보강앵글(404)의 양쪽의 측판부(406)에 새시(402A),(402B)의 일단부가 배치되어서 각각이 서로 굳게 부착된다. 그에 따라, 3개의 새시(403A),(402A),(402B)가 1개의 보강앵글(404)을 사여하여 일체적으로 굳게 부착된다. 나아가서, 새시(402A), (402B)의 타단부는 새시(403B)가 평판부(405)의 일정위치에 굳게 부착된 보강앵글(404)의 각각의 측판부(406)에 배설된다.
이와 같이, 각기 대향하는 2쌍의 새시(402A), (402B), (403A), (403B)는 일정치수 또는 일정형상을 지닌 2개의 보강앵글(404),(404)을 개재하여 그 보강앵글(404)의 바깥쪽 형상에 잇따라서 일체적으로 굳게 부착되어서 틀(401)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간단한 조립 조정작업에 따라 치수 정밀도가 좋고, 강성이 높은 문을 안정하게 제작할 수 있게되므로 좌우로 부터 원활하게 개폐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변형예로서 전체가 일체로 틀에 형성된 연결고정부재의 한 예인 보강앵글(404A)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제27도 및 제28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보강앵글(404A)은 ㅁ자 형상으로서 모든 각은 직각을 이루고, 대향하는 2쌍의 변의 길이가 각기 상하의 새시 (403A), (403B) 사이의 일정치수와 좌우의 새시 (402A), (402B) 사이의 일정치수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앵글(404A)의 4변에 2쌍의 새시 (402A), (402B), (403A), (403B)가 각기 일정한 위치에 일체적으로 굳게 고정되어서 문의 틀(401A)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틀(401A)은 먼저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틀(401) 보다도 한층 강성이 큰것이 됨과 동시에 조립시의 수고가 보다 경감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변형예로서 제25도 및 제2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강앵글(404)이 변형한것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제29도 및 제3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자 형상의 보강앵글 (404B)의 상면에 냉장고 문을 좌우 임의의 측으로 부터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장치(409)가 재치되도록 한 예이다.
이와 같은 보강앵글(404B)이 제25도 및 제26도의 실시예의 보강앵글(404)과 상이한 것은, 그 평판부(405B)의 상면에 보스(410)가 상방으로 향하여 새시(403B)의 폭 보다도 약간 높게 돌출하여 형성된 점이다. 이때, 합성수지제의 새시 (403A)에는 보스(410)가 삽통되는 구멍 (4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 문의 틀(401)은 보강앵글(404B)의 평판부(405B)의 상면에서 새시(403D)의 구멍(411)에 보스(410)가 삽통되어서 새시 (403D)가 재치되어 있다. 이어서, 새시 (403D)의 상면에 걸리거나 벗기는 장치 (409)가 재치되어서 각기 일체적으로 굳게 부착되어 있다.
나아가서, 하측의 보강앵글(404)에 의하여 굳게 부착된 새시(402A), (402B)가 보강앵글(404B)에 일체적으로 부설되어서 틀(401B)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틀(401B)은 전술한 걸리거나 벗기는 장치(409)가 보강앵글(404B)에 직접 맞닿아서 굳게 부착되기 때문에, 새시(403B)의 성형치수의 불균형 혹은 열팽창 열수축에 의한 변형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폐장치(409)의 부착치수 정밀도를 보다 한층 높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좌우 임의의 측으로 부터 개폐 조작할 수 있는 냉장고 문에서는, 문의 개폐 축으로 되는 문의 개폐축이 되는 힌지핀(2A), (2B)의 통과하기 위한 맞무는 홈(412)을 각 새시 (403A), (403B), (403D)의 단부에 형성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어느 경우에도 3개 이상의 새시가 1개의 보강앵글을 사용하여 일체적으로 굳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맞무는 홈(412), (413), (414)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시 상호의 결합 부가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임의의 측으로 부터 개폐 조작이 가능하고 각기 대향하는 2쌍의 새시로 되어 있는 동시에, 인접하는 새시쌍이 각기 연결고정부재를 개재하여 굳게 부착된 틀로 구성되어 있는 정면이 대략 구형의 형상인 냉장고 문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새시가 1개의 연결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일체적으로 굳게 부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문이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좌우 임의의 측으로부터 개폐 조작할 수 있는 냉장고 문을 조립하는 경우에, 간단한 조립작업으로 치수 정밀도의 좋은 틀을 조립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한층 강성이 높은 냉장고 문을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새시의 치수상의 불균형 혹은 변형 등에 의한 냉장고 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31도는 상술한 실시예의 좌측의 링크(6B)의 록홈(14B)의 확대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링크(6A), (6B)에서는 각기 록흠(14A), (14B)은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록홈(14A), (14B)의 슬라이드 안내부(14B1), (14A1)와 스토퍼부(14B2), (14A2)의 사이는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문(1)을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기 위하여는 문(1)의 폐쇄시에 래치판(5B), (5A)의 록핀(15A),(15B)이 록홈(14A), (14B)의 굴곡 각부에 위치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문(1) 혹은 본체(3)의 조립 정밀도가 나쁠 경우에는 문(1)의 상하에서 서로 비틀린 위치관계로 되는 경우가 있어, 그러한 경우에는 문(1)의 상하의 어느쪽인가에 있어서는 록핀(15B)이 제31도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홈(14B)의 굴곡 각부에 위치하지 않고 이른바 반쯤 열린상태로 되고, 반대측으로부터 개방하려 하여도 록핀(15B)이 슬라이드 안내부(l4B1)의 측벽에 맞닿아버려서 스토퍼부(14B2)에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문(1)을 원활하게 개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3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6B)의 록홈(14B)의 슬라이드안내부(14B1)와 스토퍼부(14B2)의 굴곡부의 안쪽부분(14B3)을 곡선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 록핀(15B)이 제32도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홈(14B)의 굴곡 각부에 위치하지 않고 이른바 반쯤 열린상태로 되어도 반대쪽으로 부터 개방하려 하면 록핀(15B)이 곡선상의 부분(14B3)에 안내되어서 스토퍼부(14B2)에 원활하게 이동하여 가게 되어 문(1)을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제32도에서 좌측의 링크(6B)에 대하여 나타내었지만, 우측의 링크(6A)도 마찬가지이다.
제33도는 제1실시예의 우측의 스프링(10A)의 고정판(4A) 또는 래치판(5A)에의 부착부를 나타내고 있으며, 좌측의 스프링(10B)도 마찬가지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10B), (10A)의 단부를 원호상으로 절곡하여 이 원호상부분을 고정판(4A) 또는 래치판(5A), (5B)의 부착판(11A), (11B), (12A), (12B)에 끼워넣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착된 스프링(10A), (10B)이 부착핀(11A), (11B), (12A), (12B)으로 부터 용이하게 벗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10A), (10B)이 끼워들어간 부착핀(11A), (11B), (12A), (12B)의 단부에 E링을 끼워넣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E링은 슬라이드 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그다지 강하지 않기 때문에 문의 개폐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E링이 벗어져버릴 염려가 있다. 그래서, 부착핀(11A), (11B), (12A), (12B)을 머리달린 부착핀으로 하여 스프링(10A), (10B)을 머리달린 부착핀에 끼워넣은 다음에 고정판(4A) 또는 래치판(5A), (5B)의 부착구멍에 삽입하여 뒷면으로 부터 코오킹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스프링(10A), (10B)은 문(1)의 개폐에 있어서 래치판(5A), (5B)이 회전할 때마다 그 부착부가 회전하고, 또 스프링(10A), (10B)에는 항상 넓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나아가서 원호상의 스프링(10A), (10B)과 부착핀(11A), (11B), (12A), (12B)은 점접촉이기 때문에 집중하중에 의하여 마모되기 쉽고, 스 프링(10A). (10B)의 부착부가 꺽여 손상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제1실시예의 또 하나의 변형예로서 제34도의 평면도 및 제35도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0A), (10B)의 단부를 부싱(bushing) (110)에 감고, 이 부싱(110)을 개재하여 부착핀(11A), (11B), (12A), (12B)에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원호상의 부싱(110)의 외경은 스프링(10A), (10B)의 단부의 원호상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선택함에 따라 스프링(10A), (10B)이 부싱(110)을 조여붙여서 스프링(10A), (10B) 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서 부착핀(11A), (11B), (12A), (12B)과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마모하기 어렵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10A), (10B) 자체는 마모하지 않으므로, 스프링(10A), (10B)이 꺽여서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 스프링 (10A), (10B)의 부싱(110)에의 감는 회수를 2회 이상으로 함에 따라 스프링(10A), (10B)을 보다 안정하게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예에서는 부착핀(11A), (11B), (12A), (12B)은 머리달린 부착핀으로 하였다. 더욱이, 제34도 및 제35도에서는 우측의 스프링(10A)만을 도해하고 있으나, 좌측의 스프링(10B)도 마찬가지이다.
제36도는 제1실시예의 록핀(15A), (15B)의 부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36도에 있어서, (111)은 탈출방지용의 멈춤링 (retaing ring), (112)는 와셔이다. 문의 개폐시에 있어서 록핀(15A), (15B)이 링크(6A),(6B)의 록홈(14A), (14B) 속을 미끄러져 움직이므로 록핀(15A), (15B)이 마모하여 록핀(15A), (15B)이 꺽여 손상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3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핀(15A), (15B)에 회전이 자유로운 원통상의 슬리이브(113)를 헐겁게 끼워도 좋다. 이에 따라서 문의 개폐시에 있어서 슬리이브(113)가 회전하기때문에 록핀(15A), (15B)의 마모가 방지된다. 더욱이, 록핀(I5A), (15B)을 제3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달린 부착핀으로 하여도 좋고, 이러한 경우에는 멈춤링(111) 및 와서(112)를 생략할 수 있다.
제1실시예는 본체(3)측에 힌지전(2A), (25)을 설치하고, 문(1)쪽으로 고정핀(4) 등을 설치한 것이며,힌지핀(2A), (2B)은 통상 등근막대부재를 일정한 길이로 그 축선방향으로 직각되게 절단하고, 그 형상의 그대로를 본체(3)에 부착되어 있는 힌지판(102A)에 압입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1)을 개방하였을 때에 힌지판(2A), (2B)의 절단면이 노출하게 되어 사용자가 잘못하여 힌지핀(2A), (2B)에 부딪히는 경우 등 위험이 있다.
그래서, 본 변형 예로서 제4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핀(2A), (2B)의 선단부분을 반구면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렇지 않으면, 제4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측에 굴곡시킨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그렇지 않으면 제42도 및 제4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제43도는 본체 중앙부의 힌지부분의 단면도이다. 힌지핀(2A), (2B)의 양단부를 힌지판(102A), (102B)으로 지지하여 절단면이 노출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서 문(1)을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44도는 문의 분해 사시도, 제45도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실시예에서는 좌우의 힌지핀(2A), (2B)은 각기 개별의 힌지판(102A), (102B)에 의하여 본체(3)측에 부착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좌우 개별로 부착하는 구조에서는 힌지핀(2A), (2B) 사이의 거리를 일정한 치수공차(예컨대 ±0.2mm)이내에 설치하는 것은 대단히 수고가 들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힌지핀(2A), (2B)이 부착되는 힌지판(114)을 판금 프레스 가공 등으로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의 힌지핀(2A), (2B)이 부착된 힌지판(114)을 일체로 함에 따라 제4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핀(2A), (2B) 사이의 거리 (ℓ)를 일정한 치수로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6도는 제3도, 제4도 및 제5도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제3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통상, 힌지핀(2A), (2B)과 고정판(4B)은 금속제이며, 문(1)의 개폐시에 있어서는 힌지핀(2A), (2B)과 고정판(4B)의 맞무는 홈(7A), (7B)의 속부분이 충돌하여 그때에 소음을 발생하게 된다. 그 충돌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힌지핀(2A), (2B) 및 고정판(4B)의 양자를 수지제로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한편을 수지제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힌지핀(2A), (2B)을 수지제로 하는것은 문 하중을 지지하려면 강도가 부족할 염려가 있고, 또 고정판(4B)을 수지제로 하는 것은 성형할 때의 수축때문에 치수정밀도가 나오기 어렵고, 좌우의 힌지핀(2A), (2B)과 맞무는 홈(7A), (7B)의 피치가 맞지않아서 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될 수 없는 염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한 변형 예에서는 힌지핀(2A), (2B) 및 고정판(4B)은 금속제로 함과 동시에 고정판(4B)의 맞무는 홈(7A), (7B)의 부분에 제4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제의 완충부재(115A), (115B)를 부설하고있다. 이 완충부재(115A), (115B)로서는 폴리아미드수지나 폴리아세탈수지 등의 내마모성에 뛰어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완충부재(115A), (115B)는 별도로 성형한 것을 고정판(4B)의 맞무는 홈(7A), (7B)에 끼워넣어도 좋고 그렇지 않으면 고정판(4B)의 맞무는 홈(7A), (7B)에 수지를 아우트서어트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힌지핀(2A), (2B) 및 고정판(4B)을 금속제로 하고 고정판(4B)의 맞무는 홈(7A), (7B)에 완충부재(115A), (115B)를 설치함에 따라 강도나 치수 정밀도를 희생함이 없이 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8도는 제3도,제4도 및 제5도의 또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제3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힌지핀(2A), (2B)과 래치판(5A), (5B)을 함께 금속제로 하면, 문(1)의 개폐시에 있어서는 힌지된(2A), (2B)과 래치판(5A), (5B)의 래치홈(8A), (8B)이 충돌하여 그때에 소음을 발생하게 되고, 또 힌지핀(2A), (2B) 및 래치판(5A), (5B)이 마모하여 금속가루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에 의한 소음을 저감함과 동시에 힌지핀(2A), (2B) 및 래치판(5A), (5B)의 마모를 방지하기위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힌지핀(2A), (2B)은 금속제로 함과 동시에 래치판(5A), (5B)의 래치홈(8A), (8B)부분을 수지제로 하고 있다. 즉, 래치판(5A), (5B)의 회전축부(9A), (9B)로부터 록핀(15A), (15B)의 돌출설치부, 나아가서 스프링(10A), (10B)의 피벗부에 걸쳐서는 금속 잔으로 형성하고, 회전축부(9A), (9B)로부터 래치홈(8A), (8B)에 걸쳐서는 수지 (116A), (116B)로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지 (116A), (116B)속에 금속판을 삽입한다. 이른바, 인서어트(insert)성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서, 록핀(15A), (15B)의 돌출 설치부의 강도가 확보될 수 있음과 동시에, 또 래치판(5A), (5B)의 위치가압용의 스프링(10A), (l0B)의 힘에 의하여 스프링(10A), (10B)의 선회축 부착부가 늘어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래치홈(8A), (8B)부분에 사용하는 수지(116A), (116B)로서는, 예컨대 폴리아세탈수지등의 강도가 높고 내마모성에 뛰어난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래치홈(8A), (8B)의 부분을 수지제로 함에 따라 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 힌지핀(2A), (2B)과 래치판(5A), (5B)의 마모에 의하여 금속가루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더욱이, 록핀(I5A), (15B)의 돌출설치부 및 스프링(10A), (10B)의 선회축부축부에 너무 강도를 필요로하지 않을 경우에는 래치판(5A), (5B) 전체를 수지제로 하여도 좋다.
제49도는 제3도, 제4도 및 제5도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제3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문의 개폐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판(4)의 맞무는 홈(7A), (7B)과 래치판(5A), (5B)의 래치홈(8A), (8B)에 의하여 힌지핀(2A), (2B)을 연결 고정하기 위하여 문(1)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문(1)의 자체의 무게 등으로 개방측과는 반대측의 고정판(4)의 맞무는 홈(7A), (7B)에, 그 맞무는 홈(7A), (7B)을 밀어 넓히려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또, 문(1)을 개방하였을 때에 문(1)이 본체(3)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하여 좌우의 힌지핀(2A), (2B)의 위치는 가급적 좌우의 양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며, 고정판(4B)의 각 맞무는 홈(7A), (7B)과 좌우 단부와의 치수가 작아져서 그 부분에 응력을 집중함에 따라 문(1)에 커다란 하중을 준다던가 하면 맞무는 홈(7A), (7B)이 변형하여 홈이 넓어져 버려서 힌지핀(2A), (2B)이 래치판(5A), (5B)의 래치홈(8A), (8B)으로부터 벗어나 버리기도 하고 그렇지 않으면 문(1)의 개폐 조작이 원활하게 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는 등의 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한 변형예에 있어서는 고정판(4B)의 맞무는 홈(7A), (7B)의 둘레부분 및 고정판(4B)의 좌우의 외주부를 접어굽으려서 이 절곡부(117A), (117B)에 의하여 단면계수가 크게 되어서 강도가 향상하고, 문(1)의 개방시에 문(1)에 하중이 걸려도 고정판(4B)의 맞무는 홈(7A), (7B) 및 고정판(4B)의 단부가 용이하게 변형하는 일은 없다.
고정판(4B)의 절곡부(117A), (117B)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여 형성한다. 즉, 제5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맞무는 홈(7A), (7B)의 둘레 부분 및 고정판(4B)의 외주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한번 프레스 성형하여 계단상으로 한 다음 홈부분 및 외연부를 따내기 함에 따라 홈부가 변형하는 일이 없고, 또 치수 정밀도가 좋은 절곡부(117A), (117B)가 형성된다.
제51도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문의 개폐장치의 평면도로서 폐쇄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52도는 제51도의 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53도∼제56도는 제51도 및 제52도의 주요부분 확대도로서, 제53도가 제51도의 좌측부분의 확대도, 제54도가 제51도의 우측부분의 확대도, 제55도가 제52도의 좌측부분의 확대도, 제56도는 우축부분의 확대도이다. 제57도는 제51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링크(6A), (6B)와 연결링크(6C)의 선회축 부착부분을 링크의 단부가 아니라 링크의 중간부분으로서 반대측의 링크에 가까운 단부로 하고 있다.
또, 록홈(14A), (14B)의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를 직선이 아니라 고정판(4B)의 중앙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상으로 하고 있다. 또, 문 개방시의 래치판(5A), (5B)의 잘못된 동작방지를 위한 안전판(29A), (29B)을 추가하고 있다. 링크(6A), (6B)와 연결링크(6C)의 선회축 부착부분을 링크의 단부가 아니라 링크 의 중간부분에서 반대측의 링크에 가까운 단부로 한 것은, 고정판을 문에 부착할 때의 구조상의 제약 때문 이다.
또, 록홈(14A), (14B)의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를 곡선으로 하고, 스토퍼부(14A2), (14B2)와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와의 굴곡 각부의 교차각을 작게 함에 따라 문(1)의 좌우를 동시에 끌어당겨서 개방하려 할때에 문(1)이 앞으로 열리는 덜컹거림(록홈(14A), (14B)과 록핀(15A), (15B)의 엇물림 (backlash)으로 발생하는 덜컹거림)을 작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문의 개방시에 개방한쪽의 래치판(5A), (5B)을 구속 해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문(1)을 떼어낼 수 있으나. 이러한 조작을 잘못(문을 떼어낼 작정이 아닌데) 하였을 경우. 그렇지 않으면 어린이가 장난을 하였을 경우 등, 문이 떨어져 버릴 위험성이 있다. 이 때문에 문을 떼어낼 경우에는 안전장치를 조작하고, 그런 다음 래치판을 돌리지 않으면 문이 떼어지지 않도록 한 안전장치는, 개방한측과 반대측의 래치판(5A), (5B)의 근방에 각각 설치하여 문으로부터 본체(3)측으로 나온 안전판(29A), (29B)과 안전판이 본체쪽으로 돌출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 (31A). (31B) 등으로 구성하여 안전판에 설치한 굴곡상으로 형성된 안전흠(32A)〈32A1,32A2〉, (32B)〈32B1,32B2〉과 좌우 각 링크에 설치한 안전핀(33A),(33B) 등에 따라 좌우 각 래치판 사이의 연결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36도∼제139도에 나타내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36도는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7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8도는 정면도, 제139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변형 예에서는 안전판(29A), (29B)은 좌우 각 래치판의 근방에서 고정판(4)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피벗하고, 스프링(31A), (31B)에서 안전판이 본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안전홈(32A), (32B)은전술한 안전판의 선회축(30A), (30B)을 중심으로 한 스토퍼부(32A2), (32B2)와 스토퍼부의 단부로부터 좌우양단부측으로 연장한 슬라이드 안내부(32A1), (32B1)로 되어 있다. 안전핀(33A), (33B)은 안전홈에 대응하여 좌우 각 링크에 돌출하여 설치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6A), (6B)와 링크(6C)의 선회축과 겸용으로 하고 있으나 따로따로 설치하여도 좋다.
문(1)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안전핀(33A), (33B)은 슬라이드 안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문을 개방함에 따라 개방한쪽의 래치판(5A), (5B)은 회전하고, 안전핀은 안전홈의 슬라이드 안내부를 미끄러져 움직여 나간다.
연결링크(6C)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반대측의 링크에서는 안전핀이 안전홈의 굴곡 각부에 오므로 스프링의 작용으로 안전판이 회전하여 안전판이 본체쪽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안전핀이 안전홈의 스토퍼부에 꼭끼어 들어가기 때문에 연결부재(6)가 요동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문(1)을 개방한 상태에서 개방한쪽 이래치판을 회전시키려 해도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문을 폐쇄할 경우에는 문이 닫히고 안전판(29A), (29B)의 촉수부(觸手部) (29A1), (29B1)가 본체(3)에 닿아서 문(1)안으로 밀려서 되돌아오기 때문에 안전핀(33A), (33B)이 안전홈의 굴곡 각부에 되돌아오게 되므로 연결링크(6C)는 재차 요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래치판(5A), (5B)이 회전하여 힌지핀을 맞아들이되도록 된다
더욱이, 문이 완전히 닫히는 조금 앞에서 안전홈의 스토퍼부와 슬라이드 안내부의 굴곡 간부의 안쪽으로 안전핀의 구속을 해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얼마쯤의 노치, 유동을 설치하여는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장치를 개방한쪽의 래치판과 반대쪽의 래치판의 근방에 설치하여, 양자를 떨어지게 함에 따라 양자를 동시에 닿게 될 가능성은 대단히 적어지게 되고, 잘못하여 문이 떼어져 버릴 위험성은 대단히 적어진다. 또, 문 개방시에는 항상 경우 양쪽의 래치판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개폐시의 진동동으로 래치판이 뜻하지않게 회전하는 일은 없으므로 문의 조작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실시예 2]
제58도는 제2실시예의 문의 개폐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것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의 문의 개방장치는 문(1)의 좌우 양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좌우 한쌍의 힌지핀(2A), (2B)과, 문(1)의 상하부에 대향하는 본체(3) (제1도에 도해하였음)에 설치된 고정판(4)과, 고정판(4)의 좌우위치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좌우 한쌍의 래치판(5A), (5B)과, 한쌍의 래치판(5A), (5B)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문(1)의 바깥쪽에는 문 개폐 조작용 손잡이(16)를 설치하였다.
제59도∼제61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59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0도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1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제 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 예로서,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로홈(14A), (14B)을 래치한(5A), (5B)측에 설치하여 록핀(15A),(15B)을 링크(6A), (6B)측에 돌출되게 설치한 점이다. 본 실시예의 록홈(14A), (14B)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와 스토퍼부(14A2), (14B2) 등으로 되어 있고, 대략 「L」자 형으로 굴곡한 형상이다.
그리고, 스토퍼부(14A2), (14B2)는 링크(6A), (6B)의 선회축(13A), (13B)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이며,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는 스토퍼부(14A2), (14B2)의 단부로부터 래치판(5A), (5B)의 회전축(9A), (9B)에 가까와지고, 링크(6A), (6B)의 선회축(13A), (13B)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비스듬히 연장한 현상이다상기한 구성의 동작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이, 본실시예에서는 룩홈(14A), (14B)의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를 스토퍼부(14A2), (14B2)의 단부로부터 래치판(5A), (5B)의 회전축(9A), (9B)에 가까와지고, 링크(6A), (6B)의 선회축(13A), (13B)에 가까와지도록 비스듬히 연장한 형상으로 하였으나, 반대로 슬라이드 안내부(14A1), (l4B1)를 스토퍼부(14A2), (14B2)의 외경측의 단부로부터 래치판(5A), (5B)의 회전축(9A), (9B)으로부터 멀어져 링크(6A), (6B)의 선회축(13A), (13B)에 가까와지도록 비스듬히 연장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링크(6A), (6B)의 회전방향은 본 실시예의 반대가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6A), (6B)를 고정판(4)의 전면측에 피벗하고, 연결링크(6C)를 고정판(4)의 배면측에 설치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링크(6A), (6B)를 고정판(4)의 배면측에 피벗한 다음 연결링크(6C)를 고정판(4)의 전면측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62도는 동 제2실시예의 록홈(14A)의 확대도이며, 이 록홈(14A)은 슬라이드 안내부(14A1)과 스토퍼부 (14A2)의 사이가 굴곡되었으나,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6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홈(14A)의 슬라이드 안내부(14A1과 스토퍼부(14A2)의 굴곡부의 안쪽부분(14A3)을 곡선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 록핀(15A)이 제63도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록흠(14A)의 굴곡 각부에 위치하지 않고, 이른바 반쯤 열린 상태로 되어도 반대측으로부터 개방하려 하면 록핀(15A)이 곡선상의 부분 (14A3)에 안내되어서 스토퍼부(14A2)에 원활하게 이동하여 나아가게 되어 문(1)을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제63도에 있어서는 우측의 록홈(14A)에 대하여서만 나타내었지만 좌측의 록홈(14B)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88도∼제90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2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88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89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0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91도-제93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2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91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2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3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94도∼제96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2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94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5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6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의 스프링 (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3]
제64도∼제66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64도는 문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5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6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이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링크(6A), (6B)가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고, 록홈(14A), (14B)이 선회축(13A), (13B)을 사이에 두고, 연결링크(6C)와의 연결부와 반대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 이에 대응하여 래치판(5A), (5B)의 록핀(15A), (15B)은 고정판(4)의 전면측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록홈(14A), (14B)의 스토퍼부(14A2), (14B2)와 링크(6A), (6B)의 선회축(13A), (13B)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이며,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는 스토퍼부(14A2), (l4B2)의 단부로부터 선회축(13A), (13B)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연장한 형상이다. 상기한 구성의 동작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였다.
더욱이, 본 실시 예에서는 링크(6A), (6B)를 고정판(4)의 전면측에 피벗하고 연결링크(6C)를 고정판(4)의 배면측에 설치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링크(6A), (6B)를 고정판(4)의 배면측에 피벗하고 연결링크(6C)를 고정판(4)의 전면측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런 경우, 록흠(14A), (14B)의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2)는 스토퍼부(14A2), (14B2)의 단부로부터 링크(6A), (6B)의 선회축(13A), (13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 형상으로 되어 링크(6A), (6B)의 회전방향은 본 실시예의 반대로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97도∼제99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3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97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8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9도는 분해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l0B)은 생략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00도∼제102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3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00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1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2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l0B)은 생략되어 있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03도∼제105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의 변형 예로서 제3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03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4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5도는 분해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lOB)은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4]
제67도∼제69도는 제4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67도는 문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8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9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4실시예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3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이 실시예가 제3실시예와 다른 점은, 링크(6A), (6B)를 고정판(4)의 배면측에서 고정판(4)에 피벗하고, 또 록홈(14A), (14B)을 래치판(5A), (5B)측에 설치하고, 록핀(15A), (155)을 링크(6A), (6B)측에 돌출되게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록홈(14A), (14B)의 스토퍼부(14A2), (14B2)는 링크(6A), (6B)의 선회축(13A), (13B)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이며,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는 스토퍼부(14A2), (14B2)의 단부로부터 래치판(5A),(5B)의 회전축(9A), (9B) 및 링크(6A), (6B)의 선회축(13A), (13B)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한 형상이다.
상기한 구성의 동작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였다. 더욱이,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링크(6C)를 고정판(4)의 배면측 또는 전면측에 설치하던가 그렇지 않으면 록홈(14A), (14B)의 슬라이드 안내부(14A1), (14B1)를 스토퍼부(14A2), (14B2)의 단부로부터 래치판(5A), (5B)의 회전축(9A), (9B)에 가까와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할 것인가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나, 문(1)의 디자인 그렇지 않으면 부착부의 구조등의 조건과 함께 문(1)의 좌우로부터 동시에 개폐하려 하였을 때에 연결링크(6C)에 끌어당기는 방향의 힘이 걸리는 것과 같은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연결 링크(6C)의 변형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06도∼제108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4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4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06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7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8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09도∼제111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제4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4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09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0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1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12도∼제114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제4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4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12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3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4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제4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서, 록홈(18A), (18B)의 슬라이드 안내부(18A1), (18B1)가 래치한(5A), (5B)의 회전축(9A), (9B)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연장한 것, 즉 제4실시예와 연결링크의 요동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15도∼제117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제4실시예의 변형예로 제4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15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6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7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18도∼제120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제 4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4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18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19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0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21도∼제123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제4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4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21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2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3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또, 나아가서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24도∼제126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제4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4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24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5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6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5]
제70도∼제72도는 제5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70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1도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2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문의 개폐장치가 문(1)의 좌우 양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좌우 한쌍의 힌지핀(2A), (2B)과, 맞무는 홈(7A), (7B)을 지닌 고정판(4)과, 래치홈(8A), (8B)을 지닌 좌우 한쌍의 래치판(5A), (5B)과, 이것들 래치판(5A), (5B)이 힌지핀(2A), (2B)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해제하는 위치의 양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 (10A), (10B)을 구비하고 있는 점은 제1실시예의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의 장치가 제1실시예의 장치와 다른 점은, 한편의 래치판[5A(5B)]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에 연관하여 다른편의 래치판[5B(5A)]의 회전을 저지하는 연결부재(17)가 1개의 레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래치판(5A), (5B)의 좌우 중간위치에서 지축(18)에 의하여 고정판(4)에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도록 피벗되어 있다.
연결부재(17)의 양단부에는 각기 록홈(19A), (19B)에는 래치판(5A), (5B)에 돌출되게 설치된 록핀(20A),(20B)이 맞물고 있다. 록홈(19A), (19B)은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한 형상으로 연결부재(17)의 지축(18) 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 슬라이드 안내부(19A1), (19B1)과 지축(18)을 중심으로 한 원호에 잇따라서 설치한 스토퍼부(19A2), (19B2)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문(1)을 오른쪽으로 부터 열면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힌지핀(2A)이 맞무는 홈(7A)으로 부터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끌려서 우측의 래치판(5A)이 시계방향, 즉 구속해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래치판(5A)에 설치된 록핀(20A)은 록홈(19A)의 슬라이드 안내부(19A1)를 슬라이드하고 연결부재(17)를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 연결부재(17)의 요동에 따라 다른편의, 즉 왼쪽의 래치판(5B)의 쪽에서는 연결부재 (17)의 단부가 래치판(5B)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 단부의 록홈(19B)의 스토퍼부(19B2)에 록핀(20B)을 끼워넣는다. 이것으로, 래치판(5B)의 회전이 저지되므로써 좌측의 힌지핀(2B)의 구속상태가 유지된다.
문(1)을 좌측으로 부터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것과는 좌우 반대의 동작에 따라 문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연결부재(17)를 고정판(4)의 전면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록홈(19A), (19B)의 스토퍼부(19A2), (19B2)는 지축(18)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으로 되어 슬라이드 안내부(19Al), (19A2)는 스토퍼부(19A2), (19B2)의 배면측의 단부로 부터 지축(18)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한형상으로 된다. 또, 록핀(20A), (20B)은 래치판(5A), (5B)의 전면측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27도∼제129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제5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5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27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8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9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10A), (10B)은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6]
제73도∼제75도는 제6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73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4도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5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문의 개폐장치는 문(1)의 좌우 양부에 돌출되게 설치한 좌우 한쌍의 힌지핀(2A), (2B)과,맞무는 홈(7A), (7B)을 지닌 고정판(4)과, 래치홈(8A), (8B)을 지닌 좌우 한쌍의 래치판(5A), (5B)과, 이것들 래치판(5A), (5B)이 힌지핀(2A), (2B)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해제하는 위치의 양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 (10A), (l0B)을 구비하고 있는 점은 제1실시예의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의 장치가 제1실시예의 장치와 다른 점은, 한편의 래치판[5A(5B)]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에 연관하여 다른편의 래치판[5B(5A)]의 회전을 저지하는 연결부재 (21)가 한개의 레버로 구성되었으며, 그양단부에는 각기 록핀(22A), (22B)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록핀(22A), (22B)은 고정판(4)에 설치된 슬라이드 홈(23A), (23B)에 맞물려 있어 슬라이드 홈(23A), (23B)속을 록핀(22A), (22B)이 슬라이드함에따라 연결부재(21)는 좌우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홈(23A), (23B)은 대략 「L」자 형으로 굴곡한 형상으로 좌우 각각의 반대의 슬라이드 홈(23A),(23B)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 슬라이드 안내부(23A1), (23B1)와, 래치판(5A), (5B)의 회전축(9A), (9B)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한 스토퍼부(23A2), (23B2)등으로 되어 있다.
또, 각 래치판(5A), (5B)에는 스토퍼부(23A2), (23B2)와 대응한 위치에 록홈(24A), (24B)이 설치되어 있어 연결부재(21)의 록핀(22A), (22B)의 타단부가 맞물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문(1)을 오른쪽으로 부터 열면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의 힌지핀(2A)이 맞무는 홈(7A)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끌리게 되어 오른쪽의 래치판(5A)이 시계방향, 즉 구속해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연결부재(21)에 설치한 록핀(22A)은 록홈(24A)의 안쪽의 단부 및 슬라이드 홈(23A)의 각부에 위치하고 있어 록홈(24A)에 따라 오른쪽 방향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홈(23A)의 슬라이드 안내부(23A1)를 슬라이드하여 연결부재(21)를 오른쪽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 연결부재(21)의 요동에 따라 다른편의, 즉 왼쪽의 래치판(5B)의 쪽에서는 연결부재(21)의 단부에 돌출되게 설치한 록핀(22B)이 래치판(5B)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록홈(24B)의 외경측의 단부 및 슬라이드 홈(23B)의 스토퍼부(23B2)에 록핀(22B)이 끼워들어간다. 이것으로 래치판(5B)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왼쪽의 힌지핀(23)의 구속상태가 유지된다.
문(1)을 왼쪽으로 부터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는 좌우 반대의 동작에 의하여 문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경우도 연결부재(21)를 고정판(4)의 전면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드 홈(23A), (23B)의 슬라이드 안내부(23A1), (23B1)는 좌우 각각의 반대의 슬라이드 홈(23B), (23A)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연장한 형상이고, 스토퍼부(23A2), (23B2)는 슬라이드 안내부(23A1), (23B1)의 바깥쪽 단부로 부터 래치판(5A), (5B)의 회전축(9A), (9B)으로 부퍼 멀어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한 형상으로 된다. 또, 래치판(5A), (5B)의 록홈(24A), (24B)은 전면측에서 스토퍼부(23A2), (23B2)가 위치한 위치 에 설치 한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30도∼제132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 6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6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30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1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2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l0B)은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7]
제76도∼제78도는 제7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76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7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78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문의 개폐장치는, 문(1)의 좌우 양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힌지핀(2A), (2B)과, 맞무는 홈(7A), (7B)을 지닌 고정판(4)과, 래치흠(8A), (8B)을 지닌 좌우 한쌍의 래치판(5A), (5B)과, 이것들 래치판(5A), (5B)이 힌지핀(2A), (2B)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해제하는 위치의 양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0A), (10B)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은 제1실시예의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의 장치가 제1실시예의 장치와 다른 점은, 한편의 래치판[5A(5B)]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에 연관하여 다른편의 래치판[5B(5A)]의 회전을 저지하는 연결부재(25)가 2개의 1쌍의 연결레버 (25A), (25B)로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2개의 연결레버 (25A), (25B)중에서 도면에 있어 래치판(5A), (5B)의 상위에 위치하는 한편의 연결레버 (25A)는 그 좌단부가 좌측의 래치잔(5B)의 둘레부분에 피벗이 되었으며, 우단부에는 록핀(26A)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록핀(26A)은 고정판(4)에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홈(27A)에 끼워들어갔고, 슬라이드 안내홈(27A)에 의하여 래치판(5A)의 반지름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안내홈(27A)에 대응하여 래치판(5A)에는 외경측으로 열린 록홈(28A)은 래치판(5A)이 힌지핀(2A)의 구속 각도위치에 있을 때에는 슬라이드 안내홈(27A)과 합치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편의, 즉 도면에서 래치판(5A), (5B)의 하위에 위치하는 연결레버 (25B)는 전술한 연결레버 (25A)와 좌우 반대의 구조로서, 우단부는 우측의 래치판(5A)의 둘레부분에 피벗이 되어 있고, 좌단부에는 록핀(26B)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4)의 좌측부에는 록핀(26B)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홈(27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의 래치판(5B)에는 외경측으로 열린 록홈(2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문(1)의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연결레버 (25A), (25B)의 록핀(26A), (26B)은 록홈(28A), (28B)으로 부터 벗어나 있어 각 래치판(5A), (5B)은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1)을 오른쪽으로 부터 열면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힌지핀(2A)이 맞무는 흠(7A)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끌려서 우측의 래치판(5A)이 시계방향, 즉 구속해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래치판(5A)의 회전에 따라 하위의 연결레버(25B)가 우측으로 끌려서 그 연결레버(25B)의 좌단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록핀(26B)이 좌측의 래치판(5B)의 록홈(38B)에 끼워들어간다. 이에 따라서 좌측의 래치판(5B)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런 경우, 상위의 연결레버(25A)는 그 록핀(26A)이 록홈(28A)으로 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우측의 래치판(5A)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변위하지 않으며 원래의 상태를 유지한다.
문(1)을 좌측으로 부터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는 좌우 반대의 동작에 따라 문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경우도 연결레버 (25A), (25B)를 래치판(5A), (5B)에 배면측에서 피벗하였으나, 이것을 전면측에서 피 벗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고정판(4)의 슬라이드 안내홈(27A), (27B) 및 래치판(5A), (5B)의 록홈(28A), (28B)을 고정판(4)의 중앙으로 부터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제133도∼제135도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7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7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제133도는 문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4도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5도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면중에서 스프링 (10A), (l0B)은 생략되어 있다.
[그밖의 실시예]
상기한 각 실시 예에는 문(1)에 힌지핀(2A), (2B)을 설치하고 본체(3)에 고정판(4)을 설치하였으나, 이것과는 반대로 본체(3)에 힌지핀(2A), (2B)을 설치하고 문(1)에 고정판(4)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고정판(4)은 반드시 1장의 판체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왼쪽부분과 오른쪽부분으로 분할하여도 좋으며, 또 래치판(5A), (5B)이나 연결부재(6), (7), (21), (25)를 상하로 부터 끼우는 2장의 판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그밖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냉장고 이외의 일반의 문 장치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등,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스프링 (10A), (10B)은 래치판(5A), (5B)과 고정판(4) 사이에 설치한 것으로, 래치판(5A), (5B)이 힌지핀(2A), (2B)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해제하는 위치의 양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한다. 스프링 (10A), (10B)의 일단은 래치판(5A), (5B)의 래치홈(8A), (8B)과 반대측의 단부에 돌출되게 설치한 부착핀(11A), (11B)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피벗이 되었으며, 또 타단은 고정판(4)에 돌출되게 설치된 부착핀(12A),(12B)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퍼벗이 되어 있다.
부착핀(12A), (12B)은 래치판(5A), (5B)이 힌지핀(2A), (2B)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해제하는 위치의사이를 회전하는 경우에, 부착핀(11A), (11B)과 회전축(9A), (9B)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범위의 대략 중간이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스프링 (10A), (10B)은 그 양단이 항상 넓어지려하는 방향으로 힘이 걸리도록 되어있으며, 이 스프링 (10A), (10B)은 문(1)의 폐쇄시에 있어서 문(1)을 본체(3)에 밀착시키는 기능도 지니고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프링 (10A), (10B)에 의하여 문(1)이 본체(3)에 압착되므로 제140도에나타낸 바와 같이 문(1)의 패킹(430)에는 자석을 넣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종래에 자석이 들어있던 공간을 여러개의 구획으로 분할하여 내부의 공기로 단열하도록하고 있으며, 또 본체(3)에 닿는 부분을 약간 볼록형상으로 하여 문(1)을 폐쇄하였을 때에 이 부분이 짜부러져서 냉기시일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패킹(430)에 열전도운이 높은 자석을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단열성이 향상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의 좌우 임의의 측을 끌어당기는 것만으로 문의 개폐에 있어 핸들을 회동한다고 하는 조작은 필요없고, 문의 손잡이의 부착위치등의 디자인을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다. 또, 냉장고등의 내부로 부터 문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안에 가두어 지는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장치는 문의 상하가장자리 그렇지 않으면 이에 대응하는 본체 부분에 짜넣을 수가있어, 문의 내부에는 하등의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문의 내부 구조는 종래의 그대로의 상태에서좋고, 단열성이 손감되는 일이 없다.

Claims (10)

  1. 문이나, 또는 문이 부착되는 본체의 어느 한편의 좌우 양단부에 힌지핀을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편에 힌지핀이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릴 수 있는 맞무는 흠을 지닌 고정판을 설치하고, 그 고정판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기 외경측(外涇測)으로 열린 래치홈에 따라 힌지핀에 걸거 나 벗기기 자류롭게 맞물어서 힌지핀을 맞무는 홈 안으로 구속하는 래치판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함과동시에, 이들 양 래치판 사이에는 한편의 래치판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에 연관하여 다른편의 래치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였으며, 연결부재는 좌우 각 래치판의 근방에서 고정판에 각기 퍼벗이 된 한쌍의 링크와 이들 링크의 일단부끼리를 결합하는 연결링크로 구성하여 각 링크 또는 각 래치판의 어느 한 편에 슬라이드 안내부와 스토퍼부가 굴곡형상으로 형성된 록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편에는 록홈에 맞물 려서 래치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레버형상으로 하여 고정판의 좌우 중간부에 피벗하고, 연결부재의 양단부 또는 각 래치판의 어느 한편에 슬라이드홈 안내부와 스토퍼부가 굴곡형상으로 형성된 록홈을 설치함과동시에, 다른편에 록홈에 맞물려서 래치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문의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레버형상으로 하고 연결부재의 좌우 양단부에 래치판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하는 한편, 고정판에 록핀이 맞무는 슬라이드 안내부와 스토퍼부가 굴곡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설치하며, 또 각 래치판에도 록핀이 맞무는 록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문의 개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한쌍의 연결레버로 구성하고, 각 연결레버의 일단부를 좌우 서로 다른측의 래치판의 둘레부분에 피벗하며, 각 연결레버의 타단부에는 고정판의 다른편의 래치판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홈에 따라 안내되는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한 다음, 각 래치판에는 슬라이드 안내홍안의 록핀이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무는 록홈을 형성한 문의 개폐장치.
  5. 문이나, 또는 문이 부착되는 본체의 어느 한편의 좌우 양단부에 힌지핀을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다른편에 힌지핀이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 수 있는 맞무는 흠을 지닌 고정판을 설치하고, 고정판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기 외경측으로 열린 래치홈에 따라 힌지핀에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리어서 그 힌지힌을 맞무는 홈내에 구속하는 래치핀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함과 동시에, 이들 래치판이 힌지핀을 구속하는 위치 및 구속해제하는 위치의 양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하였으며, 또 이들 양 래치판 사이에는 한편의 래치판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에 연관하여 다른편의 래치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였으며, 연결부재는 좌우 각 래치판의 근방에서 고정판에 각기 피벗한 한쌍의 링크와, 이들 링크의 일단부끼리를 결합하는 연결링크로 구성하여 각 링크 또는 각 래치판중의어느 한편에 슬라이드 안내부와 스토퍼부가 굴곡형상으로 형성된 록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편에는 록홈에 맞물리어서 래치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레버형상으로 하여 고정판의 좌우 중간부에 피벗하고, 연결부재의 양단부 또는 각 래치판의 어느 한편에 슬라이드홈 안내부와 스토퍼부가 굴곡상으로 형성된 록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편에 록홈에 맞물러어서 래치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문의 개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레버형상으로 하여 연결부재의 좌우 양단부에 래치판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하는 한편, 고정판에 록핀에 맞무는 슬라이드 안내부와 스토퍼부가 굴곡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설치하고, 또 각 래치판에도 록핀이 맞무는 록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문의 개폐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한쌍의 연결레버로 구성하고, 각 연결레버의 일단부를 좌우 서로 다른측의 래치판의 둘레부분에 피벗하며, 각 연결레버의 타단부에는 고정판의 다른편의 래치판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홈에 따라서 안내되는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한 다음, 각 래치판에는 슬라이드 안내홈내의 록핀이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무는 록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개폐장치
  9. 문이 부착되는 본체의 좌우 양단부에 힌지핀을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문에 힌지핀이 문의 개방측으로 부터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 수 있는 맞무는 홈을 지닌 고정판을 설치하고, 이 고정판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기 외경측으로 열린 래치홈에 따라 힌지핀에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맞물리어서 힌지핀을 맞무는 홈내에 구속하는 래치판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함과 동시에, 이들 양 래치판 사이에는 한편의래치판의 구속해제방향의 회전에 연관하여 다른편의 래치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한 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문이 개폐상태에 있을 때 개방측의 래치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안전장치를 각각 다른편측의래치판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좌우 가 래치판의 근방에서 고정판에 각기 피벗이 된 한쌍의 링크와,이들 링크의 일단부끼리를 결합하는 연결링크로 구성하고, 각 링크 또는 각 래치판의 어느 한편에 슬라이드안내부와 스토퍼부가 굴곡형상으로 형성된 록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편에는 록홈에 맞물리어서 래치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록핀을 돌출되게 설치하였으며, 또 안전장치를 좌우 각 래치판의 근방에서 고정판에 피벗한 안전판과, 안전판을 본체측에 돌출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안전판에 슬라이드 안내부와스토퍼부가 굴곡형상으로 형성된 안전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 각 링크에는 안전홈에 맞물리어서 링크의요동을 규제하는 안전핀을 돌출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개폐장치.
KR1019890006290A 1988-05-10 1989-05-10 문(door)의 개폐장치 KR930000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655A KR930005676B1 (ko) 1988-05-10 1992-07-30 문(door)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14248 1988-05-10
JP63114248A JPH01285772A (ja) 1988-05-10 1988-05-10 扉の開閉装置
JP15405588 1988-06-22
JP88-154055 1988-06-22
JP88-239362 1988-09-24
JP63239362A JPH07113510B2 (ja) 1988-06-22 1988-09-24 扉の開閉装置
JP63294150A JPH0663694B2 (ja) 1988-11-21 1988-11-21 扉の開閉装置
JP88-294150 1988-11-21
JP88-307168 1988-12-05
JP88-158260(U) 1988-12-05
JP88-158259(U) 1988-12-05
JP63307118A JPH0663695B2 (ja) 1988-12-05 1988-12-05 扉の開閉装置
JP1988158352U JPH0748927Y2 (ja) 1988-12-05 1988-12-05 扉の開閉装置
JP63307168A JPH0762419B2 (ja) 1988-12-05 1988-12-05 扉の開閉装置
JP15825988U JPH055431Y2 (ko) 1988-12-05 1988-12-05
JP88-158352(U) 1988-12-05
JP88-307118 1988-12-05
JP1988158260U JPH0712864Y2 (ja) 1988-12-05 1988-12-05 扉の開閉装置
JP63329930A JPH02171577A (ja) 1988-12-26 1988-12-26 冷蔵庫
JP88-329930 1988-12-26
JP1988169228U JPH0291877U (ko) 1988-12-29 1988-12-29
JP88-169228(U) 1988-12-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655A Division KR930005676B1 (ko) 1988-05-10 1992-07-30 문(door)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342A KR900010342A (ko) 1990-07-07
KR930000066B1 true KR930000066B1 (ko) 1993-01-08

Family

ID=2758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290A KR930000066B1 (ko) 1988-05-10 1989-05-10 문(door)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4947583A (ko)
EP (3) EP0342479B1 (ko)
KR (1) KR930000066B1 (ko)
AU (1) AU606281B2 (ko)
CA (1) CA1338215C (ko)
DE (3) DE68917202T2 (ko)
ES (3) ES209071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4255A (en) * 1988-05-10 1991-11-12 Sharp Kabushiki Kaisha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US5222792A (en) * 1988-05-10 1993-06-29 Sharp Kabushiki Kaisha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KR910008691Y1 (ko) * 1989-06-20 199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좌, 우 자유개폐식 도어
JP3120340B2 (ja) * 1990-12-17 2000-12-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蓋の開閉装置
JP2521395Y2 (ja) * 1991-02-25 1996-12-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蓋の開閉装置
US5407263A (en) * 1991-11-27 1995-04-18 Federal-Hoffman, Inc. Restructurable enclosure with multi-purpose mounting blocks
DE4328821C2 (de) * 1993-08-27 1998-06-04 Eckhard Baermann Beidseitig einsetzbare Scharnieranordnung
EP0678147A1 (en) * 1993-10-18 1995-10-25 Byung Ki Park Device capable of opening/closing a door member at either side thereof
JP3479410B2 (ja) 1996-05-14 2003-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扉開閉機構
US5829197A (en) * 1995-12-02 1998-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ually actuable apparatus enabling a door to be selectively hinged at either side
BE1010772A5 (nl) * 1996-11-26 1999-01-05 Alcatel Cabling Systems S A N Kast voor elektrische apparatuur.
DK173013B1 (da) * 1998-03-02 1999-11-08 Ivan Hansen Stabilisator til døre,låger,vinduer m.m.
US6710725B1 (en) * 1999-04-12 2004-03-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Acoustic noise suppressing circuit by selective enablement of an interpolator
TW536613B (en) * 1999-10-25 2003-06-11 Sharp Kk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688657B2 (en) 2001-10-30 2004-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able door and panel access mechanism
DE10205590A1 (de) * 2002-02-11 2003-08-2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Türschließvorrichtung
WO2006048975A1 (ja) * 2004-11-01 2006-05-11 Sharp Kabushiki Kaisha 扉開閉機構
DE102006001249B4 (de) * 2006-01-10 2016-02-11 BSH Hausgeräte GmbH Gerätetür und Haushaltsgerät mit der Gerätetür
US7516515B2 (en) * 2006-04-13 2009-04-14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dual swing door
US20070273260A1 (en) * 2006-05-25 2007-11-29 Thomas Graham Hinge assembly
US20080048539A1 (en) * 2006-08-24 2008-02-28 Beek Jacco V Refrigerator capable of being opened from opposite sides
KR101424554B1 (ko) * 2007-01-23 2014-07-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개폐 가능한 도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1603761B (zh) * 2008-06-12 2014-04-02 海尔集团公司 制冷设备及其箱体制造方法
KR20100037764A (ko)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08044131A1 (de) * 2008-11-27 2010-06-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zweiseitig anschlagbarer Tür
KR101462181B1 (ko) * 2008-12-05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
JP5547898B2 (ja) * 2009-03-04 2014-07-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蓋開閉装置
CA2688000A1 (en) * 2009-12-04 2011-06-04 A. Richard Dupuis Anti idl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ed engine shutdown
CN102393119A (zh) * 2011-10-25 2012-03-28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底梁装饰罩和具有该底梁装饰罩的冰箱
DE102012003004A1 (de) * 2012-01-25 2013-07-25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Verschlusselement
KR20140008597A (ko) * 2012-07-09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래치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3593911A (zh) * 2012-08-15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支撑装置
US8966821B2 (en) * 2012-09-14 2015-03-03 Panduit Corp. Dual hinged door mechanism
KR20140094115A (ko) 2013-01-21 201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R3004153B1 (fr) * 2013-04-09 2017-01-13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ralentissement et de blocage d'un element par rapport a un autre element de vehicule
CN103557668B (zh) * 2013-11-12 2016-01-20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大单门冰箱防门体倾斜装置
US9303440B2 (en) * 2014-06-13 2016-04-05 Ortronics, Inc. Door assembly
CN105484591A (zh) * 2014-10-10 2016-04-13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冰箱门铰链机构
CN106016927B (zh) * 2016-05-31 2018-07-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左右开门机构及冰箱
CN106014055A (zh) * 2016-07-29 2016-10-12 任才银 一种仪表门固定支架
CN106761118B (zh) * 2016-11-12 2019-03-01 上海天灵开关厂有限公司 一种成套开关设备柜门的滑轮矫正结构
DE102017004335A1 (de) * 2017-03-15 2018-09-20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N107546598A (zh) * 2017-10-25 2018-01-05 林开笔 一种带门体辅助固定防变形功能的电力柜
US10731287B2 (en) * 2017-11-16 2020-08-04 Whirlpool Corporation Bi-directional door for an appliance
DE102018000060A1 (de) 2018-01-05 2019-07-11 Moritz Bürck Möbel mit beidseitig angeschlagener Tür
DE102018000046B3 (de) 2018-01-05 2019-07-04 Moritz Bürck Elektro-Haushaltsgerät mit beidseitig angeschlagener Tür
WO2019134926A1 (de) 2018-01-05 2019-07-11 Buerck Moritz Haushaltsgerät mit beidseitig angeschlagener tür
CN108562104A (zh) * 2018-04-25 2018-09-2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208312809U (zh) * 2018-04-27 2019-01-01 睿思特国际有限公司 一种双向开门的移动冰箱
CN110486088B (zh) * 2019-08-24 2020-11-17 河南省金鑫民防(集团)有限公司 一种地铁区间防淹防护密闭隔断门
CN115559626B (zh) * 2022-09-14 2024-05-14 澳柯玛股份有限公司 冰箱铰链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224A (en) * 1903-10-16 1905-05-09 Swift & Co Apparatus for handling eggs.
US2114880A (en) * 1934-12-27 1938-04-19 Gen Electric Refrigerator cabinet
GB789224A (en) * 1953-09-25 1958-01-15 Philco Corp Cabinets having combined door latching and hinging means
US3048898A (en) * 1960-01-13 1962-08-14 Rivard Brothers Inc Door assembly
GB1065211A (en) * 1964-03-25 1967-04-12 Ass Elect Ind Improvements in thermally insulated storage cabinets
ES155717Y (es) * 1970-01-28 1971-02-16 Pere Parera Dispositivo para la articulacion de puertas.
BR7200626D0 (pt) * 1972-02-04 1973-07-03 W Haymood Uma composicao de moldagem termofixa processo para sua preparacao e estrutura em sanduiche compreendendo tal composicao como nucleo
US3889419A (en) * 1973-08-29 1975-06-17 Admiral Corp Two-way opening door for household refrigerator
IT1045496B (it) * 1975-10-30 1980-05-10 Ire Ind Riunite Eurodome Stici Mobile per frigorifero domestico verticale con due porte sovrapposte
US4170391A (en) * 1978-09-21 1979-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cabinet construction
GB2107768B (en) * 1981-10-02 1985-05-22 Thorn Domestic Appliances Ltd Refrigerator and door mounting arrangement
US4503584A (en) * 1982-09-29 1985-03-12 Whirlpool Corporation Enclosure structure with double-acting hinge mechanism having interlocking pivotal latch
US4503582A (en) * 1982-09-29 1985-03-12 Whirlpool Corporation Double-acting refrigerator door hinge and sliding lock-bolt
US4503583A (en) * 1982-09-29 1985-03-12 Whirlpool Corporation Enclosure with double acting hinge mechanism having overcenter latch
JPS60105878A (ja) * 1983-11-15 1985-06-11 株式会社東芝 断熱箱体の製造方法
US4632470A (en) * 1985-06-28 1986-12-30 General Electric Refrigerator cabinet and method of assembly
US4744127A (en) * 1986-08-11 1988-05-17 Itt Corporation Door hinge
US4811518A (en) * 1986-11-28 1989-03-14 Ladisa Nicholas F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26968D1 (de) 1996-09-19
AU3461689A (en) 1989-11-23
KR900010342A (ko) 1990-07-07
DE68926967D1 (de) 1996-09-19
EP0542714B1 (en) 1996-08-14
DE68917202D1 (de) 1994-09-08
DE68926968T2 (de) 1996-12-19
ES2090715T3 (es) 1996-10-16
EP0342479B1 (en) 1994-08-03
US4947583A (en) 1990-08-14
DE68926967T2 (de) 1996-12-19
EP0542715B1 (en) 1996-08-14
AU606281B2 (en) 1991-01-31
EP0542715A1 (en) 1993-05-19
US5133153A (en) 1992-07-28
EP0342479A2 (en) 1989-11-23
ES2057012T3 (es) 1994-10-16
CA1338215C (en) 1996-04-02
EP0342479A3 (en) 1990-04-11
DE68917202T2 (de) 1994-12-15
EP0542714A1 (en) 1993-05-19
ES2090716T3 (es) 199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066B1 (ko) 문(door)의 개폐장치
US5064255A (en)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US5881585A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unlocking a door lock and a dead bolt
US5222792A (en)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US7506474B2 (en) CAM mechanism for shifting a rotary member supported on a base member when the rotary member is opened and closed
US6131337A (en) Vehicle door closing apparatus
KR20070078077A (ko) 도어록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
US5046341A (en) Car locking device
US20070246946A1 (en) Latchbolt for a door lock assembly
US5052151A (en)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CA1332617C (en) Fitting with a handle for operating the lock follower of a lock fitted in a door or the like
KR930005676B1 (ko) 문(door)의 개폐장치
JP4265727B2 (ja) 扉開閉機構
KR20040045345A (ko) 터치 스위치 및 터치 스위치를 구비한 냉장고
JP2002195741A (ja) 扉開閉機構
JP2004068595A (ja) 扉開閉機構
JPH08312225A (ja) 耐震ラッチ錠
JP4477175B2 (ja) 扉錠
KR200267213Y1 (ko) 냉장고의 홈바용 도어
JPH02154972A (ja) 扉の開閉装置
JP3769511B2 (ja) 合成樹脂製扉へのシリンダ錠の取付構造
JP3636115B2 (ja) ドアロックユニット
CN217841170U (zh) 门组件及冰箱
JPH0528459Y2 (ko)
JP2002147939A (ja) 扉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