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753B1 - 화상형성용지위에 분체상(toner image)을 정착시키기 위한 롤러들을 사용하는 화상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용지위에 분체상(toner image)을 정착시키기 위한 롤러들을 사용하는 화상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753B1
KR920008753B1 KR1019890003140A KR890003140A KR920008753B1 KR 920008753 B1 KR920008753 B1 KR 920008753B1 KR 1019890003140 A KR1019890003140 A KR 1019890003140A KR 890003140 A KR890003140 A KR 890003140A KR 920008753 B1 KR920008753 B1 KR 92000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image
fuse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085A (ko
Inventor
신이찌 와따라이
마고또 이노우에
게이찌 오야부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용지위에 분체상(toner image)을 정착시키기 위한 롤러들을 사용하는 화상형성 장치
제1도는 화상형성장치가 사용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구조도.
제2a도는 제1도의 전자사진 기록장치 구조에서 정착기와 전사기(trans cription unit)가 분리되는 하부의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분리되는 상부의 프레임 구성 사시도.
제2b도는 정착기를 제2a도와 동일한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전자사진 기록장치 구조의 상부 프레임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정착기 측들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정착기 측들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6도는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과 맞물려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정착기 상태 설명도.
제7도는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때의 본 발명의 정착기 상태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정착기에 사용되는 청소용 케이스와 버퍼 부재의 구성 설명도.
제9도는 본발명의 정착기에서 펠트 케이스, 버퍼부재 및 롤러들의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10a도는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정착기와 시트 가이드의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10b도는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정착기와 시트 가이드의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11a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제11b도는 제11a도에 사용된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
본 발명은 한장의 용지위에 분체상(toner image)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프린터 또는 복사기용등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 위에 분체상을 정착시키는 용지를 죄기 위한 롤러들을 포함하는 정착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기록장치에서는 공지된 수단에 따라, 기록되는 화상에 대응하는 분체상이 회전하는 감광성 드럼 위에 현상된다. 한장의 용지가 현상된 분체상의 정면으로 공급되어, 용지공급 속도가 회전하는 감광성 드럼의 회전속도가 동기되면 분체상이 용지위에 전사된다. 그후에, 분체상이 형성된 용지는 정착기의 평행한 두회전롤러들에 공급된다. 상기 두 롤러중의 하나는 열롤러이고, 다른 하나는 백업(backup)롤러이다. 두 롤러는 서로 횡으로 압착되며, 이에 따라 토너가 용지위에서 장착되도록 용융된다. 롤러들을 통하여 공급되는 용지가 롤러들에 의하여 끼워져 움직이지 않는(jammed) 일반적인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롤러들의 교환을 쉽게 하기 위한, 즉 낀 용지를 쉽게 제거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구들이 제안되었다.
E. G. 에드워드 등에 의하여 등에 의하여 1077년 9월 1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번호 4,145,18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롤러를 갖는 정착기는 장치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서비싱을 위해 프레임으로부터 정착기를 제거하는 동작이 비능률적이며, 2개의 롤러들이 그 사이에 압착되어 낀 용지를 빼내지 않고 제거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용지의 제거동작이 번거롭고, 롤러들을 서로 압착하기 위한 기구가 정착기에 설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비용, 즉 서비싱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대신에, 후꾸시마 등에 의한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 번호 61-176964, 또는 가와시마에 의한 미국특허 번호 89905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롤러들 각각이 분리된 프레임들 위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서비싱을 위해 프레임들을 유리시키면 롤러들 간의 압력이 없어진다. 이러한 구조들은, 롤러들을 효율적으로 서비싱하기 위해 각 프레임들 위에 설치된 롤러들을 제거하는 동작이 번거로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마시따 등에 의한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 번호 62-29998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러들중에 하나는 상부 샤시(chassis)가 그의 하부 샤시에 맞물릴 때에만 다른 롤러에 압착된다. 이 구조는 정착기가 샤시들로부터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롤러들의 서비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프레임이 쉽게 장진될 수 있는 간단한 정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낀 용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간단한 분리형 정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것의 첫 번째 프레임 위에서 분리될 수 있게 설치된 장착기에는 열롤러, 가압롤러, 및 두번째 프레임이 첫번째 프레임과 맞물릴때에 두번째 프레임에 의하여 밀리는 레버(lever)가 설치된다. 따라서, 레버의 다른 측은 그 위에 분체상이 형성된 용지를 가열하고 압축하기 위해 그의 축 양끝에서의 가압롤러를 열롤러로 향하도록 압력을 가한다. 두번째 프레임이 첫번째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때, 레버위의 압력이 없어진다. 결과적으로, 가압롤러는 용지를 쉽게 제거하기 위해 용지상의 압력이 없어지도록 열롤러로부터 떨어진다.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과 함께, 본 발명의 상술된 특징들과 장점들은 수반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지금부터보다 상세히 서술하므로써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예를 들면 레이저프리터의 일반적인 구성이 제1도에 도식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프리터를 구성하는 각부의 사시도들은 제2a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광학계 장치 14는 반도체레이저, 회전다면경, f-o렌즈(어느것도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레이저광이 발생되어 기록된 정보에 따라 변조되며, 감광성 드럼 11A위에 주사되어 집광되며, 이에 따라 잠상(latent image)이 그 위에 정전기적으로 형성된다. 광학계 장치 14는 배드 41a에 놓인다. 레이저 광은 슬릿 41b를 통하여 드럼 11A에 사출된다. 현상기 15는 토너분말을 감광성 드럼 11A에 공급하며, 이에 따라 그 위에 잠상에 현상된다. 전산기 13은 재전기(electro charger)와 AC(교류)분리기를 포함하며, 스프링 22와 가이드 부재 23에 의하여 감광성 드럼 11A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감광성 드럼 11A의 상을 형성하지 않는 영역에 접한 2쌍의 롤러 21이 설치되어 있다. 전사기 13은 공지된 바와 같이 드럼 11A위에 현상된 분체 상을 거기에 공급되어 전전기력 의하여 드럼 11A로 인도된 용지에 정전기적으로 전사한다. 정착기 16은 용지위에 토너가 영구적으로 정착되도록 분체상이 형성된 용지를 용융점까지 가열하고 압력을 가하기 위한 열롤러 101과 가압롤러 1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정착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지금부터는 정착기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화상이 기록될 용지들이 적재되어 있는 용지 카세트 17은 적재된 용지(도시되지 않았음, 즉 카세트가 비어 있음)를 윗쪽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용지 카세트 17은 다른 용지 카세트(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의 용지가 그를 통하여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가이드 슬릿 45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 카세트 17은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하부 프레임 39로부터 제1도의 좌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롤러 27은 적재된 용지들중의 제일 상단에 있는 용지를 두번째 피드 롤러(feed roller)28로 밀어올리기 위해 회전한다. 두번째 피드 롤러로부터의 용지는 두번째 가이드 슬릿 29를 통하여 세번째 롤러 30과 47에 공급한다. 대신에, 수동 슬릿 42를 통하여 세번째 롤러 30과 47에 용지가 수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센서 43과 44는 들어오는 용지를 검출한다. 롤러 30은 감광성 드럼 11A, 전대전기(precharger)11B, 및 드럼 11A위의 잔류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크리너(cleaner)46과 함께 감광성 드럼 장치 50에 설치된 롤러 47로 푸시된다. 세번째 롤러 30과 47에 의하여 끼인 용지는 감광성 드럼 11A의 화전과 동기화된 롤러 30의 회전에 의하여 용지 가이드 12를 따라 전사기 13의 화상전사영역 31로 공급된다. 용지 가이드 12는 축 19에 대하여 회전하는 아암 20에 의하여 지지되며, 전사기 13의 모서리 26위에 놓인다.
두번째 용지 가이드 32는 전사된 토너가 있는 용지를 정착기 16으로 안내한다. 정착기 16으로부터 나온 용지는 네번째, 다섯번째, 및 여섯번째 피드 롤러 쌍 35, 36 및 37에 의하여 운반되며, 세번째 가이드 슬릿 34를 통하여 인쇄된 용지들의 스태커(stacker) 38로 안내된다.
감광성 드럼 장치 50은 가이드 레일 51a와 51b(제 3도)를 따라 축방향으로 삽입하여 나사구멍 52b에 나사 52a를 고정하므로써 상부 프레임 41에 설치되며, 따라서 그의 서비싱으로 쉽게 하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 41로부터 분리된다. 현상기 15는 상부 프레임 41에 설치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며, 레일 53등을 따라 안내되며, 가이드 핀 54b와 54c를 측판 15a(제3a도)위에 설치된 구멍 15a2, 15a3와 결합하므로써 위치된다. 따라서, 현상기 15는 2성분 현상제의 캐리어 분말을 쉽게 공급하기 위해서 그들로부터 분리 될 수 있다. 토너의 공급은 현상기 15가 상부 프레임 41에 설치되어 있는 동안에 공지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 구멍 15에 토너 카트리지를 대체하므로써 행해진다. 상부 프레임 41은 하부 프레임 39를 행하도록 세트되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hinge)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축 40에 대해 상부 프레임 41이 회전함으로써 그들로부터 분리, 즉 개방될 수 있다. 축 40은 하부 프레임 39(제2a도)의 리셉터클 40'에 지지된다. 롤러 47, 감광성 드럼 11A, 네번째 롤러쌍 35중에 하나,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롤러쌍 36과 37은 상부 프레임 41위에 설치된다. 세번째 롤러 30, 두번째 용지 가이드 32, 네번째 롤러쌍 35중에 다른 하나는 하부 프레임 39위에 설치된다.
정착기 16은 하부 프레임 39위에 분리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정착기 16의 케이스 16c하부에 있는 2개의 구멍 16f에는 정착기 16의 위치를 하부 프레임 39에 정하기 위하여 하부 프레임 39위에 설치되는 핀 39y가 끼워지며, 정착기 16상의 두개의 나사 55a와 55b(제2b도)는 정착기 16을 하부 프레임 39에 고정하기 위해 탭(tap)구멍 39x(제2a도)에 고정된다. 플러그 106d는 하부 프레임 39위에 설치된 접점(도시되지 않았음)을 갖는 전기적 연결을 하며, 이에 따라 정착기 16에서의 발열램프 111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공급이 수신되며, 또한 열센서 16e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된다. 열센서 16e는 그의 온도 제어를 위해 열롤러의 온도를 측정한다. 정착기 16의 하부에 설치된 2개의 가이드 플러그 16a와 16b(제4도)와 하부 프레임 39위에 설치된 그의 리셉터클 구멍들(도시되지 않았음)은 플러그 106d를 하부 프레임 39위의 접점들로 가이드 한다.
제4도와 제5도에 의거하여, 정착기 16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지금부터 서술하기로 한다. 가열롤러 101은 베어링 113과 113'를 각각 거쳐 가이드 판 107a와 107a'에 의하여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30mm의 직경과 230mm의 길이를 갖는 슬리브 110, 슬리브 끝에 설치된 기어 112, 및 110에 닿지 않고, 슬리브 110에 끼워진 발열램프 111을 포함한다. 슬리브 110의 끝에 설치된 스프링 링 114와 114'는 슬리브 110이 베어링 113 또는 113'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리브 110은 하부 프레임 39위에 설치된 기어 112a(제2a도)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어 112와 함께 회전한다. 슬리브 110은 발열램프 111에 의하여 전형적으로 190℃까지 가열되어 1-1.5mm의 축방향 확장을 일으킨다. 따라서, 베어링 113과 113'는 슬리브 110을 그 안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하며, 또한 기어 112a의 너비 L1이 슬리브위의 기어 112 너비 L2보다 더 넓어지게 되며, 이에 의하여 기어 112와 112a의 완전한 결합이 기어들의 파손을 피하기 위해 어떠한 온도조건에서도 보장된다.
가압롤러 102는 축 102f와 그 위에 설치된 고무튜브 102g로 구성된다. 실리콘 고무는 그의 열저항과 알맞은 탄성성질 때문에 고무튜브 102g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가압롤러 102의 축 102f양끝읕 베어링 102d를 거쳐 가이드판 107a위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 107c에서 지지된다. 가이드 구멍 107c의 너비가 짧으면 베어링 102d의 외경에 미끄러지도록 꼭 맞으며, 가이드 구멍 107c의 너비가 길면 열롤러 101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확장한다. 다른쌍의 베어링 102e는 각각 전자의 베어링 102d안쪽의 축 102f위에 더 설치된다. 따라서, 가압롤러 102는 2개의 베어링 102e를 거쳐 2개의 레버부재 102a에 의하여 열롤러 101을 향해 푸시된다. 가압롤러 102의 상술된 구조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소형으로 할 수 있게 하며, 그 위에 고무튜브가 있는 중공 실린더 사이의 베어링들과 그의 축은 중공 실린더 안쪽에 설치되고, 그 축은 열롤러 쪽으로 푸시된다. 만일 이 종래의 가압롤러를 소형으로 하기 위해 그의 직경을 작게 하려면, 고무튜브와 축의 두께를 얇게 해야만 하며, 이에 따라서 구조가 취약해져서, 그의 소형화에 한계가 존재한다.
레버부재 102a의 각각은 핀 107al을 거쳐 가이드 판 107a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지지부재 107a2위에 설치된다. 상부 프레임 41이 제6도에서와 같이 하부 프레임 39와 결합되면 상부 프레임 41에 있는 2개의 돌기부 41 각각은 각 레버부재 102a에 대해 아래쪽으로, 즉 제4도에 도시된 화살표 Z방향으로 가압하며, 지지부재 107a2는 축 102f를 열롤러 101을 향하여 측면으로 가압하기 위해, 즉 상부 프레임의 압력을 축 102f에 전하기 위해서 핀 107al에 대하여 회전한다. 레버부재 102a의 재료와 크기가 판 스프링 작용을 갖도록 결정됨에 따라, 적당한 압력이 열롤러 101과 가압롤러 102 사이에 발생된다. 열롤러 101을 둘러싼 용지를 분리하기 위하여, 다수의 분리 네일(nail)101a가 정착기 16의 케이스 10c에 핀 101b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각 분리 네일 101a의 선단이 항상 코일 스프링 101c에 의하여 열롤러 101의 표면에 압착된다.
슬리브 110의 표면이 전형적인 실리콘 수지로 덮히더라도, 용지 위의 토너가 그 위에서 정착되었을때의 열롤러의 표면위에 바람직하지 못한 토너가 달라붙는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펠트(felt)도 이루어지고, 펠트 케이스 104의 채널에 설치되는 청소용 펠트 103은 열롤러 101을 따라 세로로 확장하며, 열롤러 101에 압착되어 제공된다. 제8도와 제9도에 의거하여, 펠트 케이스 104의 구조와 그와 관련된 부분들에 대해서 지금부터 서술하기로 한다. 펠트 103이 있는 채널의 반대면에서, 펠트 케이스 104는 그의 길이 중앙에 있는 핸들 141과 2개의 포켓 140이 설치된다. 포켓 140은 각각 양끝으로부터 청소용 케이스의
Figure kpo00001
길이에 위치된다. 포켓 140의 각각은 버퍼부재 106에 있는 각 결합 후크 162와 결합되며, 동시에 핸들 141은 압력 버팀판, 즉 2개의 확장부 106'사이의 갭 163에 조립되며, 핸들 141로부터의 직각 돌출부 141a는 갭 163의 중앙 모서리 위에 놓이며, 핸들 141을 단지 잡아당기므로써 그의 축 방향 위치가 결정되는 것은 물론 펠트 케이스 104가 그곳에 쉽게 설치되거나 분리된다. 버퍼부재 106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회전하는 버퍼부재에 대해 축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 세로 끝의 하부에 있는 2개의 핀 160, 펠트 케이스 104의 뒤를 가압하기 위한 4개의 가압용 돌기 161, 및 핀 160의 반대 끝에 있는 2개의 압력 버팀판 106'가 더 설치된다.
상부 프레임 41에서, 2개의 판 스프링 105는 상부 프레임 39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에 결합될때에 버퍼부재 106의 압력 버티판 106'을 각각 아래로 가압하기 위해 제공된다. 다음에, 버퍼부재 106의 길이를 따라 압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시 위한 4개의 가압용 돌기 161은 펠트 케이스 104의 뒤에 있는 빗금 부분들(제8도)의 벨트 케이스 104를 가압한다. 따라서, 청소용 펠트 103은 세로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열롤러 101에 가압된다.
정착기는 장치를 작동하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정착기의 구성은 용지를 압축하기 위한 어떤 값 비싼 기구를 포함하지 않고 매우 간단히 이루어진다.
용지가 열롤러 101과 가압롤러 102 사이에 끼이면, 상부 프레임 41을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 39로부터 분리시켜 개방하며, 돌기부 41f를 통한 레버부재 102a의 압력이 해체된다. 결과적으로, 레버부재 102a를 통한 가압롤러 102의 압력이 해제된다. 가압롤러 102의 압력은 그 자신의 중량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떨어지므로써 해제된다. 다음에, 끼인용지는 손으로 쉽게 제거된다.
청소용 펠트 103의 교환절차는 다음과 같다. 상부 프레임 41이 축 40에 대해서 회전하므로써 하부 프레임 39로부터 개방된 후에, 즉 압력 버팀판 106'이 판 스프링 105로부터 자유롭게 된 후에, 버퍼부재 106은 열롤러 101로부터 청소용 펠트 103을 분리하게 위하여 핀 160에 대해 회전되며, 펠트 케이스 104는 한 손으로 핸들 141를 간단히 잡아당김에 따라 버퍼부재 160으로부터 제거된다. 다음에, 교환을 위해 펠트 케이스 104의 채널이 있는 청소용 펠트 103을 손가락으로 잡아당긴다. 청소용 펠트의 교환이 간단하다는 것은 청소용 펠트의 동작수명이 정착기 16에서의 다른 부분들보다 더 짧게 때문에 그의 효율적인 서비싱을 위해 바람직하다.
정착기 16의 다른 부분을 서비싱할때, 정착기 16은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2개의 나사 55a와 55b를 제거하고, 가이드 핀 39y 16a 및 16b가 케이스 16c위의 구멍 16f와 하부 프레임 39위의 리셉터를 구멍으로부터 각각 분리될때까지 손으로 정착기 16을 잡아당김에 의하여 하부 프레임 39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의 가이드 플러그 16a와 16b는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의 잡아당김 동작에서, 정착기 16은 두번째 용지 가이드 32에 연결된 판 스프링 32b위의 압력을 제거한다. 다음에, 두번째 용지 가이드 32의 무게 중심과 정착기 16사이에 위치되는 축 32a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두번째 용지 가이드 32는 정착기 16이 올라가는 자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자신의 무게에 의하여 떨어진다.
정착기 16이 하부 프레임 39위에 설치될때, 케이스 16c의 모서리는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판 스프링 32b를 아래로 밀며, 그의 맞닿음 모서리 32c가 케이스 16c의 스테이지 16g위에 위치될때까지 두번째 용지 가이드 32를 위로 밀어올린다. 판 스프링 32b의 스프링 작용에 의하여, 스테이지 16g에 적당히 압착된 맞닿음 모서리 32c는 정착기 케이스 16c의 모양과 위치를 정확히 서술하지 않고, 열롤러 101에 관하여 두번째 용지 가이드 32의 정확한 위치 선정을 허가한다. 따라서, 세팅 조절이 필요없는 두번째 용지 가이드 32의 상술된 구조는 하부 프레임 39에 정착기 16을 효율적으로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판 스프링이 레버부재 102a에 대해 사용되었지만, 이 대신에 제11b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 102a'가 사용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 102a'는 제1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기 16의 케이스 16c에 설치되는 축핀 102a"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코일 스프링 102a'의 한끝은 상부 프레임 41로부터의 돌기부 41f에 의하여 가압되며, 코일 스프링 102a'의 다른 끝은 베어링 102e(제11a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음)을 통하여 가압롤러 102를 위쪽으로 가압한다. 코일 스프링은 적당한 압력을 가압롤러에 전달하기에 알맞다.
비록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열롤러 101을 윗쪽에, 가압롤러 102를 아래쪽에 설치된 것으로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열롤러와 가압롤러의 위치를 상호 변경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두 롤러가 모두 가압롤러, 즉 정착기가 열롤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압롤러가, 상부 프레임이 열릴때에 그 자신의 무게에 의하여 떨어졌지만, 롤러들중에 하나를 다른 롤러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프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프링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롤러의 압력이 해제될때에 롤러들중의 하나가 다른 롤러로부터 윗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기의 장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끼인(jammed) 용지를 정착기로부터 쉽게 제거하는 것은 물론, 정착기의 용지 압착기구가 단지 횡압을 받는 롤러만으로 고안되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 즉 저렴한 가격의 구조는 장치의 사용자와 같은 미숙련자가 정착기를 프레임에 쉽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설치하거나 분리 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장치의 경제성이 좋아진다.
본 발명의 많은 특징들과 장점들은 상세히 서술된 명세서로부터 명백해지며, 첨부된 청구항에 의하여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속하는 시스템의 모든 특징들과 장점들이 커버될 것이다. 더욱이, 많은 수정과 변화들은 기술에 있어서의 숙련된 사람들에게서 급속히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상기에 도시되고 서술된 정확한 구성과 동작으로 제한하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적절한 수정과 변화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한지 부재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프레임(39) 및 상부 프레임(41); 두번째 롤러(102)가 첫번째 롤러(101)를 향해 측면으로 작용하는 첫번째 입력하에서, 화상기록 용지에 분체상이 정착되고 분체상을 가진 화상기록 용지를 잡는 상호 평행인 첫번째 롤러(101)와 두번째 롤러(102)가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41)(39)중 하나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된 정착기(16); 정착기(16)에 제공되는 레버 부재(102a)(102a); 두번째 끝에 측면으로 작용하는 두번째 압력에 반응하는 첫번째 압력을 적용하는 레버 부재의 첫번째 끝; 상기 프레임들이 상호 결합하기 위해 닫힐때 레버부재(102a)(102a)의 두번째 끝에 두번째 압력이 측면으로 가하도록 정착기(16)가 설치되지 않는 상기 프레임중 하나에 제공되는 푸싱 수단(41f)을 포함하는 화강 기록 용지 위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첫번째 롤러(101)는 상기 분체상이 형성된 화상 형성 용지를 가열하는 가열롤러이며, 두번째 로러(102)는 첫번째 압력이 인가되는 가압롤러인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102)를 강축(rigid axle)(102f)둘레에 장착된 탄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롤러(102)의 축(102f)양단은 첫번째 롤러(101)에 대해 측면으로 전, 후활주가 가능하며, 두번째 롤러(102)에는 축(102f)의 각 끝 부근에 베어링(102e)이 설치되고, 첫번째 압력이 상기 베어링들에 각각 가해지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102a)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102a)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16)는; 토너가 용지에 정착된 후 열롤러(101)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하고, 상기 열롤러의 표면을 따라 측방으로 확장하거나, 그 표면과 접촉하는 청소용 펠트(103)와; 반대 측면에 최소한 2개의 포켓수단(140)을 가지며 채널이 형성된 측면에 대면하고, 각각의 포켓 수단은 청소용 펠트(103)에 대해 열롤러(101)의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개구를 가지며 청소용 펠트 (103)를 포함하기 위해 그 내부에 채널을 갖는 펠트 케이스(104); 프레임이 상호 결속하기 위해 닫힐때 정착기(16)가 설치되지 않은 프레임(41)중 하나에 제공되는 두번째 푸싱수단(105)에 의해 후크 수단(162)을 갖는 면에 대면되는 반대면에서 밀리고 펠트케이스(104)의 반대쪽위에 있는 베어링에 대해 다수의 양각을 가지며, 상기 포켓소단을 지지하고 결속하기 위해 후크수단(162)을 가지며, 축(160)둘레의 열롤러(101)를 향해 측면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정착기의 케이스 위에 지지되는 버퍼 부재(106); 펠트 길이에 따라 균일하게 열롤러(101)에 압력을 가하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버퍼부재(106)의 상기 한 측면의 반대되는 다른 측면에서 두번째 푸싱부재(105)에 의해 각각 압력을 받는 두개의 확장된 부위를 갖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펠트 케이스(104)위의 핸들 부재(141)는 상기 포켓수단(140)이 상기 후크수단(1620과 결합될 때, 펠트 케이스(104)의 세로 위치가 결정되는 버퍼부재(106)의 상기 두 확장부들 사이에 형성된 갭에 결합되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분체상이 형성된 용지를 첫번째와 두번째 롤러(101)(102)들 사이로 안내하면서 지지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32)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 가이드(32)가 상기 롤러들에 평행한 용지 가이드 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용지 가이드 축이 용지 가이드의 무게중심과 정착기(16)사이에, 상기 무게 중심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정착기가 상기 하부 프레임(39)에 설치되기 전에 용지 가이드(32)가 정착기에 대한 공간으로부터의 반대쪽으로 떨어짐에 따라 하부 프레임에 설치될 정착기에 대한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정착기가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동안에 정착기의 저부가 용지 가이드(32)의 축보다 더 낮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간으로 확장하는 스프링 부재(326)를 가압함에 따라, 용지 가이드가 정착기를 회전시키며, 상기 정착기가 상기 하부 프레임 위에 있을때 스프링 부재(326)의 스프링 작용에 따라 용지 가이드(32)가 정착기(16)의 상기 케이스 맞닿음 모서리 위에 위치하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장치.
KR1019890003140A 1988-03-14 1989-03-14 화상형성용지위에 분체상(toner image)을 정착시키기 위한 롤러들을 사용하는 화상형성 장치 KR920008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60146A JPH01233471A (ja) 1988-03-14 1988-03-14 画像形成装置
JP62-060146 1988-03-14
JP?63-60146 198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085A KR890015085A (ko) 1989-10-28
KR920008753B1 true KR920008753B1 (ko) 1992-10-09

Family

ID=1313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140A KR920008753B1 (ko) 1988-03-14 1989-03-14 화상형성용지위에 분체상(toner image)을 정착시키기 위한 롤러들을 사용하는 화상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65640A (ko)
EP (1) EP0333106B1 (ko)
JP (1) JPH01233471A (ko)
KR (1) KR920008753B1 (ko)
CA (1) CA1325240C (ko)
DE (1) DE68907960T2 (ko)
ES (1) ES204391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4179A (ja) * 1989-03-07 1990-09-17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DE4018462C2 (de) * 1989-06-09 1999-03-25 Asahi Optical Co Ltd Elektrofotografische Druckeinrichtung
US5168308A (en) * 1989-07-29 1992-12-01 Konica Corporation Clamshell-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0425227A3 (en) * 1989-10-24 1992-09-02 Konica Corporatio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H0810379B2 (ja) * 1989-10-31 1996-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H0369153U (ko) * 1989-11-09 1991-07-09
JPH03174550A (ja) * 1989-12-04 1991-07-2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3177870A (ja) * 1989-12-07 1991-08-01 Toshiba Corp 定着装置
JP2801409B2 (ja) * 1989-12-26 1998-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装置及び記録系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
JPH0452677A (ja) * 1990-06-20 1992-02-20 Fujitsu Ltd 定着装置
US5206681A (en) * 1990-09-16 1993-04-27 Konica Corporation Arrangement for facilitating opening and closing a clamshell type of copying machine
EP0487040B1 (en) * 1990-11-23 1996-01-2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DE69219915T2 (de) * 1991-01-25 1997-11-20 Canon Kk Elektrophotographisches Bilderzeugungsgerät mit einer Montieranordnung für die Arbeitseinheit
JP2701552B2 (ja) * 1991-02-18 1998-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515049U (ja) * 1991-08-05 1993-02-26 コニ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排紙トレー
US5191381A (en) * 1991-08-12 1993-03-02 Jie Yuan PTC ceramic heat roller for fixing toner image
US5239349A (en) * 1992-01-31 1993-08-24 Eastman Kodak Company Fuser and a fuser roller cartridge having fusing roller skive
US5191380A (en) * 1992-01-31 1993-03-02 Eastman Kodak Company Image-forming apparatus and fusing roller cartridge with oil-applying means
EP0578813B1 (en) * 1992-01-31 1996-09-18 Eastman Kodak Company Fuser and fusing roller cartridge therefor
US5200785A (en) * 1992-01-31 1993-04-06 Eastman Kodak Company Image-forming apparatus fuser and customer replaceable fusing roller cartridge therefor
US5605777A (en) * 1992-08-31 1997-02-25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image holding member
JP3247960B2 (ja) * 1992-09-07 2002-01-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像除去装置
JP3340200B2 (ja) * 1992-09-07 2002-11-0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像担持体の繰り返し使用方法及び該方法用のトナー
JPH06317953A (ja) * 1993-04-28 1994-11-15 Canon Inc フレーム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0144B2 (ja) * 1993-04-2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5431783A (en) * 1993-07-19 1995-07-11 Cytec Technology Corp.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during separation of solids from liquid particulate dispersions
US5534063A (en) * 1993-07-21 1996-07-09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removing image forming substance from sheet and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2691512B2 (ja) * 1993-09-22 1997-12-17 株式会社リコー 像保持体からの像形成物質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40704A (ja) * 1993-09-22 1995-06-02 Ricoh Co Ltd 像保持体の繰り返し使用方法
US5642550A (en) * 1994-02-28 1997-07-01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removing image forming substance from image holding member
JPH08166747A (ja) 1994-10-14 1996-06-25 Ricoh Co Ltd シート材からの付着物除去装置
KR100196570B1 (ko) * 1996-09-02 1999-06-15 윤종용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JP3404453B2 (ja) * 1997-08-18 2003-05-06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270041Y1 (ko) * 1997-11-27 200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착기의도어장치
JP2000010376A (ja) * 1998-06-26 2000-01-14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DE19918540C1 (de) * 1999-04-23 2001-01-11 Eastman Kodak Co Vorrichtung zur Freigabe eines Zugangs zum Innenraum eines Druck-, Kopier- oder Sortier-Gerätes
DE60035333T2 (de) * 1999-12-22 2008-02-28 Casio Computer Co., Ltd. Druckvorrichtung mit geteiltem Gehäuse und Verriegelung der Achsen einer Vielzahl von Bildformungseinrichtungen
US6697589B1 (en) 2001-03-12 2004-02-24 Lexmark International, Inc. Fuser latch system
US20040266550A1 (en) * 2003-06-25 2004-12-30 Gilbert Peter J. Hollow golf club with composite core
KR100601645B1 (ko) * 2003-11-19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137903B2 (en) * 2004-04-21 2006-11-21 Acushnet Company Transitioning hollow golf clubs
JP4498076B2 (ja) * 2004-09-07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1970768B1 (en) * 2007-03-15 2014-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TW201347723A (zh) * 2012-05-30 2013-12-01 Univ Nat Central 可替換式微型手術器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359A (en) * 1975-11-18 1988-11-01 Mita Industrial Co. Ltd. Fixing unit for shell-type image formation apparatuses and a process for the placement and removal of the same
JPS5476234A (en) * 1977-11-30 1979-06-18 Ricoh Co Ltd Oil feeder of copier
GB2110651B (en) * 1981-04-17 1985-01-30 Sanyo Electric Co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JPS5814872A (ja) * 1981-07-20 1983-01-27 Fuji Xerox Co Ltd 複写機のロ−ラ型定着装置
JPS6190182A (ja) * 1984-10-09 1986-05-08 Olympus Optical Co Ltd 加圧ロ−ラ−の圧接解除機構
DE3536588A1 (de) * 1984-10-15 1986-04-17 Sharp K.K., Osaka Andruckeinrichtung fuer fixierwalzen
JPS62299982A (ja) * 1986-06-20 1987-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S63146086A (ja) * 1986-12-10 1988-06-18 Toshiba Corp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3106A3 (en) 1990-06-06
KR890015085A (ko) 1989-10-28
CA1325240C (en) 1993-12-14
DE68907960T2 (de) 1993-11-11
EP0333106A2 (en) 1989-09-20
EP0333106B1 (en) 1993-08-04
US4965640A (en) 1990-10-23
ES2043918T3 (es) 1994-01-01
JPH01233471A (ja) 1989-09-19
DE68907960D1 (de) 199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753B1 (ko) 화상형성용지위에 분체상(toner image)을 정착시키기 위한 롤러들을 사용하는 화상형성 장치
JP3923670B2 (ja) 定着装置
KR20120053580A (ko) 화상형성장치
JPH0244734B2 (ko)
US74152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S6223073A (ja) 色選択装置
JP2634431B2 (ja) 複写機用の給紙装置
JPH1165350A (ja) 画像記録装置
US4717937A (en) Pressure device of fixing roller
EP0431617B1 (en) Fixing device
JPH09236993A (ja) 画像形成装置
JP5989244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4870464A (en) Separating/guiding device for an electronic copying machine
WO2011000285A1 (zh) 一种成像设备上的定影装置
JP3138365B2 (ja) 画像読取印画装置
JP2005189309A (ja) 画像形成装置
JPS6383781A (ja) 電子写真装置
JPH0326832B2 (ko)
EP0833224A2 (en) Toner fixing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KR200148864Y1 (ko) 기록용지의 크기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카세트 장치
JP6821350B2 (ja) 画像形成装置
JP2977928B2 (ja) 電子写真装置の定着器
JPH0475506B2 (ko)
JP2666995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CN114967389A (zh) 成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