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580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580A
KR20120053580A KR1020100114762A KR20100114762A KR20120053580A KR 20120053580 A KR20120053580 A KR 20120053580A KR 1020100114762 A KR1020100114762 A KR 1020100114762A KR 20100114762 A KR20100114762 A KR 20100114762A KR 20120053580 A KR20120053580 A KR 2012005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ink
main body
feed cassette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8626B1 (ko
Inventor
신동협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626B1/ko
Priority to US13/317,732 priority patent/US8695965B2/en
Priority to EP11187241.2A priority patent/EP2455312B1/en
Publication of KR2012005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23Retainers of the pad-type, e.g. frict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4Cam mechanisms involving eccen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65H2404/1442Trip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 B65H2404/1521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3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2Distance
    • B65H2511/224Nip between rollers, between belts or between rollers and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65H2511/514Particular portion of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1Clearing faulty handling, e.g. j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잔류용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쇄불량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장치를 가지는 본체;와, 용지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로부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부재;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픽업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픽업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복수의 링크를 가지는 용지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분리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에 의해 가압되는 제1링크;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의해 가압된 상기 제1링크가 상기 제2링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픽업부재를 가압하여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분리유닛을 가지는 제2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가 급지되는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인쇄매체를 편의상 '용지'라 칭하나, 인쇄매체가 일반적인 용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상형성장치는 그 내부에 마련된 인쇄장치로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장치를 구비한다. 급지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용지는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되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인쇄장치로 이송된다.
정상적인 경우 픽업유닛은 한 번의 동작으로 한 장의 용지를 픽업하나, 두 장 이상의 용지가 픽업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두 장 이상의 용지가 픽업되어 인쇄장치로 이송될 경우, 인쇄 불량 또는 잼(Jam)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인쇄 불량 또는 잼(Jam)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유닛이 마련되는데, 분리유닛은 픽업유닛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픽업유닛 쪽으로 용지를 가압하여 픽업유닛에 의해 두 장 이상의 용지가 픽업된 경우에 한 장의 용지만 인쇄장치로 이송될 수 있도록 용지를 분리하게 된다.
이 때, 인쇄장치로 이송되지 못한 용지는 급지카세트로 역이송되지 못하고 분리유닛과 픽업유닛 사이에 걸릴 수 있는데(이하 '잔류용지'라 한다.), 용지가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급지카세트에 용지 등을 추가로 넣기 위해 본체에서 급지카세트를 분리한 후, 급지카세트에 용지를 넣고 본체에 장착시키게 되면, 잔류용지가 급지장치에 의해 구겨지면서 급지카세트가 본체에 불완전하게 결합되거나, 인쇄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잔류용지의 발생을 인지하고 잔류용지를 제거하려고 하더라도 분리유닛과 픽업유닛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용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없으며, 무리하게 용지를 잡아 당기는 경우에는 분리유닛이나 픽업유닛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간단한 구조로 잔류용지를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장치를 가지는 본체;와, 용지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로부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부재;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픽업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픽업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복수의 링크를 가지는 용지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분리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에 의해 가압되는 제1링크;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의해 가압된 상기 제1링크가 상기 제2링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픽업부재를 가압하여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분리유닛을 가지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지카세트는, 용지를 수용하는 카세트본체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에 수용된 용지를 지지하는 녹업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면에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링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가압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면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접촉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링크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링크를 회동시켜 상기 분리유닛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픽업부재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분리유닛와 접촉하는 포워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포워드롤러는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용지의 중송을 방지한다.
상기 픽업부재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토크리미터를 포함하는 분리롤러일 수 있다.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패드부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장치를 포함하는 본체;와, 용지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로부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분리유닛과 접촉하는 포워드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분리하는 용지분리부재;을 포함하고, 상기 용지분리부재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복수의 링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분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용지분리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급지카세트는, 용지를 수용하는 카세트본체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에 수용된 용지를 지지하는 녹업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면에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용지분리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크는 탄성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1링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2링크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은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상기 분리유닛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링크를 회동시켜 상기 포워드롤러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거나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서 탈착될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서 탈착될 때, 상기 제1링크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토크리미터를 포함하는 분리롤러일 수 있다.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패드부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장치가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인쇄장치로 이송될 인쇄매체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로부터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분리유닛와 접촉하는 포워드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분리하는 용지분리부재;을 포함하고, 상기 용지분리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 결합되는 분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포워드롤러를 가압하는 제1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포워드롤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제2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토크리미터를 포함하는 분리롤러일 수 있다.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패드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잔류용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쇄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급지카세트를 탈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급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급지장치의 일부분과 용지분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분리유닛으로 패드부재를 사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는 도 6에서 급지카세트를 탈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픽업부재가 하나의 픽업롤러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분리유닛으로 분리롤러를 사용한 경우).
도 9는 픽업부재가 하나의 픽업롤러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분리유닛으로 패드부재를 사용한 경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급지장치(20), 인쇄장치(30) 및 배지장치(10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장치(20)는 인쇄장치(30)로 용지를 공급한다. 급지장치(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인쇄장치(30)는 급지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본 실시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장치(30)는 감광체들(40K, 40C, 40M, 40Y), 대전장치(50), 광주사장치(60), 현상장치(70), 전사장치(80)와 정착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전장치(50)는 감광체들(40K, 40C, 40M, 40Y)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광주사장치(60)는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대전된 감광체들(40K, 40C, 40M, 40Y)에 조사하여 감광체들(40K, 40C, 40M, 40Y)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장치(70)는 감광체들(40K, 40C, 40M, 40Y)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장치(7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70K, 70C, 70M, 70Y)로 구성된다.
각각의 현상기(70K, 70C, 70M, 70Y)는 공급롤러(71)와 현상롤러(72)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급롤러(71)는 현상롤러(72)에 토너를 공급하고, 현상롤러(72)는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한다.
전사장치(80)는 전사벨트(81), 제1전사롤러들(82), 제2전사롤러(83), 지지롤러들(8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사벨트(81)는 감광체들(40K, 40C, 40M, 40Y)과 접촉하고, 지지롤러들(8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한다.
감광체들(40K, 40C, 40M, 40Y)에 형성된 각각의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들(82)에 의해 전사벨트(81)로 전사되어 중첩되고, 전사벨트(81)의 화상은 급지장치(20)로부터 공급되어 제2전사롤러(83)와 전사벨트(81)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된다.
전사장치(80)를 통과한 용지는 정착장치(90)로 진입한다. 정착장치(90)는 가열롤러(91)와 가압롤러(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용지는 가열롤러(91)와 가압롤러(92)의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정착장치(90)를 통과한 용지는 배지장치(100)로 안내되고, 배지롤러(101)에 의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도 1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급지카세트를 탈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급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가이드프레임와 급지카세트를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장치(20)는 급지카세트(200), 픽업부재(300)와 용지분리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카세트(200)는 용지(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급지카세트(200)는 용지(S)를 수용하는 카세트본체(210)와, 수용된 용지(S)를 지지하는 녹업플레이트(220)와, 용지분리부재(400)의 제1링크(41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230)를 구비한다.
녹업플레이트(220)는 카세트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녹업플레이트(220)는 그 후단부에 마련된 힌지축(221)을 통해 카세트본체(210)에 결합됨으로써, 녹업플레이트(220)의 선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가압부재(230)는 카세트본체(2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가압면(232)과, 제1경사면(234)을 포함한다. 가압면(232)은 급지카세트(200)가 본체(10)에 장착될 때, 제1링크(410)에 마련되는 접촉면(416)을 가압하여 제1링크(410)를 회동시키며, 제1경사면(234)은 가압부재(230)가 제1링크(410)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가압면(232)이 접촉면(416)의 상부로 자연스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녹업플레이트(220)의 선단부 위에는 픽업부재(300)가 배치된다. 픽업부재(300)는 급지카세트(200)의 용지(S)를 픽업하여 이송롤러(110) 쪽으로 이송하는 구성으로 지지프레임(320)과, 지지프레임(3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픽업롤러(330) 및 포워드롤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프레임(320)은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샤프트(310) 및 포워드샤프트(314)와 포함한다. 픽업샤프트(310) 및 포워드샤프트(314)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된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픽업롤러(330)는 픽업샤프트(310)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녹업플레이트(220)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포워드롤러(340)로 이송하고, 포워드롤러(340)는 포워드샤프트(314)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분리유닛(450)과 함께 픽업롤러(330)로부터 이송된 용지를 이송롤러(110)로 전달한다.
포워드롤러(340)는 분리유닛(450)에 의해 소정 압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한 장의 용지만이 포워드롤러(340) 및 분리유닛(450) 사이를 지나 이송롤러(110)로 이송된다.
이송롤러(110)는 픽업부재(300)로부터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여 제2전사롤러(83, 도 1 참조) 쪽으로 이송한다.
급지장치(20)는 녹업플레이트(220)를 승강하기 위한 승강장치(500)를 구비한다. 승강장치(500)는 녹업플레이트(220)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510)과, 픽업롤러(330)을 사이에 두고 픽업샤프트(310)의 양측에 결합되어 픽업롤러(300)와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캠(520)을 포함한다.
캠(520)은 픽업샤프트(310)의 회전 시에 특정 구간에서 녹업플레이트(220)의 양 측벽을 가압하여 녹업플레이트(220)를 아래쪽으로 회동시킨다. 녹업플레이트(220)의 양 측벽에는 캠(520)이 녹업플레이트(220)를 가압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530)가 설치될 수 있다.
캠(520)이 회전하여 녹업플레이트(220)로부터 이격되면 녹업플레이트(220)는 스프링(510)에 의해 위쪽으로 회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급지장치의 일부분과 용지분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도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200)의 전방에는 용지분리부재(400)가 배치된다. 용지분리부재(400)는 포워드롤러(340)를 가압하여 픽업롤러(330)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이송롤러(110)로 이송한다.
용지분리부재(400)는 급지카세트(200)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제1링크(410)와, 제1링크(410)와 연결되는 제2링크(420)와, 제1링크(410)와 제2링크(420)를 연결시키는 탄성부재(430)와, 제2링크(420)에 결합되어 픽업부재(300)를 가압하는 분리유닛(450)과, 제1링크(410) 및 제2링크(420)를 결합시키는 가이드프레임(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프레임(440)은 급지카세트(200)의 전방에 마련되며, 용지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441)가 형성된 가이드면(442)을 구비하여 픽업롤러(330)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이송롤러(110)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프레임(440)에는 제1링크(410) 및 제2링크(420)를 수용하는 수용부(449)가 마련되며, 수용부(449)에는 제1링크(410)를 가이드프레임(4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홀(448)과, 제2링크(420)를 가이드프레임(4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홈(446)이 마련된다. 힌지홈(446)은 제2링크(420)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449)의 일측에는 지지리브(443)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리브(443)는 급지카세트(210)가 본체(10)에서 탈착될 때 제1링크(410)의 일면을 지지함으로써 제1링크(410)의 회동각을 제한하게 된다.
제1링크(410)는 가이드프레임(440)의 수용부(449)에 배치되며 제1링크(410)를 수용부(449)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힌지돌기(412)와, 탄성부재(43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414)와, 가압부재(230)와 접촉하는 접촉면(416)과, 제2경사면(418)을 포함한다.
제1힌지돌기(412)는 제1링크(41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 수용부(449)에 마련된 힌지홀(448)과 결합된다.
제1지지부(414)는 제1링크(410)의 상부에 마련되며, 그 내측으로는 탄성부재(430)의 일단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홈(415)이 형성된다.
접촉면(416)은 제1링크(410)의 상부에 마련되어, 급지카세트(210)가 본체(10)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가압면(232)과 접촉하여 제1링크(410)가 하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며, 제2경사면(418)은 접촉면(416)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링크(410)가 가압부재(230)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접촉면(416)이 가압면(232)의 하부에 자연스럽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링크(420)는 가이드프레임(440)의 수용부(449) 및 제1링크(4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2링크(420)를 수용부(449)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힌지돌기(422)와, 탄성부재(430)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424)와, 분리유닛(45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426)를 포함한다.
제2힌지돌기(422)는 제1링크(41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 수용부(449)에 마련된 힌지홈(446)과 결합된다.
제2지지부(424)는 제2링크(420)의 하부에 마련되며, 그 내측으로는 탄성부재(430)의 타단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제2지지홈(425)이 형성된다.
결합부(426)는 제2링크(420)의 일측에 마련되며, 분리유닛(450)으로 분리롤러(460)가 사용될 경우 분리롤러(460)가 결합부(426)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홀(Hole) 형태로 마련되고, 분리유닛(450)으로 패드부재(560)가 사용될 경우 패드부재(560)가 결합부(426)에 고정될 수 있도록 홈 형태(도 6 및 도 7 참조)로 마련된다.
탄성부재(430)는 제1링크(410)와 제2링크(420)가 서로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제1링크(410)와 제2링크(420)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 탄성부재(430)의 일측은 제1지지부(414)에 형성된 제1지지홈(415)에 수용, 지지되며, 탄성부재(430)의 타측은 제2지지부(424)에 형성된 제2지지홈(425)에 수용, 지지된다.
탄성부재(430)는 제1링크(410)의 움직임에 따라 가압되거나 가압이 해제되며, 제1링크(410)에 의해 가압된 힘을 제2링크(420)에 전달하여 제2링크(4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분리유닛(450)은 제2링크(420)에 형성된 결합부(426)에 결합되어 픽업부재(300)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분리유닛(450)으로는 분리롤러(460) 또는 패드부재(560)가 사용될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롤러(460)가 사용될 경우 분리롤러(460)는 결합부(42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분리롤러(460)는 픽업부재(300)를 가압한 상태에서 용지가 두 장 이상 이송된 경우 용지를 분리하여 한 장의 용지만 인쇄장치(30)로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분리롤러(460)는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마찰저항력을 가하는 토크리미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서 분리유닛으로 패드부재를 사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는 도 6에서 급지카세트를 탈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유닛(450)으로 패드부재(560)가 사용될 수도 있다.
패드부재(560)는 홈 형태(도 6 및 도 7 참조)로 마련된 결합부(426)에 고정되어 제2링크(420)의 움직임에 따라 픽업부재(300)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패드부재(560)는 분리롤러(460)와 마찬가지로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마찰저항력을 가하여 픽업부재(300)를 가압한 상태에서 용지가 두 장 이상 이송된 경우 용지를 분리하여 한 장의 용지만 인쇄장치(30)로 이송되도록 한다.
도 8은 및 도 9는 픽업부재가 하나의 픽업롤러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도 8은 분리유닛으로 분리롤러를 사용한 경우이고, 도 9는 분리유닛으로 패드부재를 사용한 경우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330)의 용지를 픽업하는 기능과 포워드롤러(340)의 용지를 분리, 전달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픽업롤러(330')를 지지프레임(320)에 결합시켜 픽업부재(3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픽업롤러(330')의 지름은 픽업롤러(330) 또는 포워드롤러(340)의 지름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의 나머지 구성은 픽업부재(300)가 픽업롤러(330)와 포워드롤러(340)로 구성된 경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동작과 잔류용지가 제거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2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급지카세트(200)에 마련되는 가압부재(230)는 제1링크(410)를 가압하여 회동시키고, 제1링크(410)는 제1힌지돌기(41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탄성부재(430)를 가압하여 상부로 밀어 올린다.
제1링크(410)에 의해 가압된 탄성부재(430)는 압축된 상태에서 제2링크(420)를 가압하여 제1링크(410)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제2링크(420)에 결합된 분리유닛(450)(분리롤러(460) 또는 패드부재(560)는 상부로 이동하여 포워드롤러(340)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분리유닛(450)과 포워드롤러(340)는 탄성부재(430)가 압축되어 발생시키는 탄성력 만큼의 접촉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접촉압력은 분리유닛(450)과 포워드롤러(340)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급지카세트(200)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롤러(330)에 의해 픽업되어 분리유닛(450)과 포워드롤러(340) 사이에 진입할 경우 상기 마찰력은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으로 작용하여 용지를 이송롤러(110)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230)와 제1링크(410)는 각각 가압면(232)과 접촉면(416)을 통해 면접촉을 하게 되므로, 용지가 인쇄되는 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인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에 의해 급지카세트(200)가 원래의 결합 위치에서 일정 정도 벗어나더라도 가압면(232)과 접촉면(416)이 완전히 분리되기 전까지는 분리유닛(450)과 포워드롤러(340) 사이의 접촉압력이 유지되므로 안정적으로 인쇄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인쇄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픽업롤러(330)에 의해 용지가 두 장 이상 픽업되어 동시에 분리유닛(450)과 포워드롤러(340) 사이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포워드롤러(340)와 직접 접촉한 용지만이 분리되어 이송된다. 이는 용지와 용지간의 마찰력보다 포워드롤러(340)와 용지간 또는 분리유닛(450)과 용지간의 마찰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
분리된 용지는 분리유닛(450)과 포워드롤러(340) 사이에 잔류하게 되고, 다음 인쇄가 이루어질 경우 이 위치에서 출발하게 된다.
만일 다음 인쇄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용자가 분리유닛(450)과 포워드롤러(340) 사이에 잔류된 용지를 인지하지 못하고 급지카세트(200)을 제거할 경우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230)는 제1링크(410)와 분리되면서 제1링크(410)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게 되고,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430)는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면서 제1링크(410)를 가압하게 된다.
제1링크(410)는 탄성부재(430)이 상기 복원력과 자체 하중에 의해 가압부재(230)에 의해 가압될 때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2링크(420) 또한 자체 하중에 의해 회동하여 분리유닛(450)과 포워드롤러(340)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 때, 잔류된 용지의 일단은 분리유닛(450)과 접촉하고, 타단은 급지카세트(200)에 적재된 용지와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된다. 잔류된 용지에는 잔류된 용지와 급지카세트(200)에 적재된 용지 사이의 마찰력 만이 작용하게 되므로, 잔류된 용지는 급지카세트(20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마찰력에 의해 급지카세트(200)와 함께 본체(10) 밖으로 나올 수 있다.
10: 본체, 20: 급지장치,
30: 인쇄장치, 40K, 40C, 40M, 40Y: 감광체들,
50: 대전장치, 60: 광주사장치,
70: 현상장치, 80: 전사장치,
90: 전사장치, 100: 배지장치,
200: 급지카세트, 230: 가압부재,
300: 픽업부재, 320: 지지프레임,
330: 픽업롤러, 340: 포워드롤러,
400: 용지분리부재, 410: 제1링크,
420: 제2링크, 430: 탄성부재,
440: 가이드프레임, 450: 분리유닛
460: 분리롤러, 560: 패드부재.

Claims (24)

  1. 인쇄장치를 가지는 본체;와,
    용지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로부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부재;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픽업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픽업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복수의 링크를 가지는 용지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분리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에 의해 가압되는 제1링크;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의해 가압된 상기 제1링크가 상기 제2링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픽업부재를 가압하여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분리유닛을 가지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용지를 수용하는 카세트본체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에 수용된 용지를 지지하는 녹업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면에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링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성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가압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면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접촉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링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링크를 회동시켜 상기 분리유닛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분리유닛과 접촉하는 포워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포워드롤러는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토크리미터를 포함하는 분리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패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인쇄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용지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로부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분리유닛과 접촉하는 포워드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분리하는 용지분리부재;을 포함하고,
    상기 용지분리부재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복수의 링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분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용지분리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용지를 수용하는 카세트본체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에 수용된 용지를 지지하는 녹업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면에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용지분리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성형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탄성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1링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2링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은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상기 분리유닛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링크를 회동시켜 상기 포워드롤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거나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서 탈착될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서 탈착될 때, 상기 제1링크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토크리미터를 포함하는 분리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패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인쇄장치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인쇄장치로 이송될 인쇄매체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로부터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분리유닛와 접촉하는 포워드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분리하는 용지분리부재;을 포함하고,
    상기 용지분리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 결합되는 분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포워드롤러를 가압하는 제1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포워드롤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제2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토크리미터를 포함하는 분리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가하는 패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114762A 2010-11-18 2010-11-18 화상형성장치 KR10175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762A KR101758626B1 (ko) 2010-11-18 2010-11-18 화상형성장치
US13/317,732 US8695965B2 (en) 2010-11-18 2011-10-27 Image forming apparatus
EP11187241.2A EP2455312B1 (en) 2010-11-18 2011-10-31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762A KR101758626B1 (ko) 2010-11-18 2010-11-18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580A true KR20120053580A (ko) 2012-05-29
KR101758626B1 KR101758626B1 (ko) 2017-07-17

Family

ID=4486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762A KR101758626B1 (ko) 2010-11-18 2010-11-1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95965B2 (ko)
EP (1) EP2455312B1 (ko)
KR (1) KR101758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0933B2 (en) 2011-12-14 201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9152B2 (ja) * 2011-06-24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30062682A (ko) * 2011-12-05 2013-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1850276B1 (ko) * 2012-01-03 2018-04-1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5701814B2 (ja) * 2012-04-26 2015-04-15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6070361B2 (ja) * 2013-03-29 2017-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76977B2 (ja) * 2013-04-02 2017-08-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73848B2 (ja) * 2013-07-25 2016-03-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2047904B1 (ko) 2013-09-26 2019-11-2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5941892B2 (ja) * 2013-10-28 2016-06-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350894B2 (ja) * 2013-11-08 2018-07-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035312B2 (ja) * 2014-11-27 2016-1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618265B2 (ja) * 2015-03-25 2019-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44300B2 (ja) * 2015-04-28 2018-06-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35854B2 (ja) * 2015-09-02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834397B2 (en) 2015-09-18 2017-12-0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6890954B2 (ja) * 2016-11-18 2021-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16503B2 (ja) * 2016-12-27 2021-0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7019355B2 (ja) * 2017-09-14 202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85189A (ja) * 2017-11-01 2019-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895099B2 (ja) * 2018-02-19 2021-06-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423209B2 (ja) * 2019-07-10 202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30047745A (ko) * 2021-10-01 2023-04-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2350A (en) * 1980-03-19 1981-10-16 Minolta Camera Co Ltd Copying machine
JPS61238620A (ja) * 1985-04-12 1986-10-23 Hitachi Ltd 画像記録装置
JPS63218437A (ja) * 1987-03-03 1988-09-12 Seikosha Co Ltd プリンタ用給紙装置
JP2740215B2 (ja) * 1988-12-20 1998-04-15 三洋電機株式会社 熱転写記録装置
US5451043A (en) * 1991-07-24 1995-09-19 Mita Industrial Co., Ltd. Sheet feeding mechanism for feeding sheets and sheet guiding equipment for conveying sheets
JPH0661846U (ja) 1993-02-05 1994-09-02 株式会社東芝 紙葉分離装置
US20060255528A1 (en) * 2005-05-13 2006-11-16 Kyocera Mita Corporation Sheet separating/conveying mechanism and sheet conveying apparatus therewith
US7922167B2 (en) * 2006-10-04 2011-04-12 Ricoh Company, Limited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1521076B1 (ko) 2008-12-19 2015-05-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0933B2 (en) 2011-12-14 201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5312B1 (en) 2015-02-25
US8695965B2 (en) 2014-04-15
EP2455312A3 (en) 2013-12-04
KR101758626B1 (ko) 2017-07-17
US20120126475A1 (en) 2012-05-24
EP2455312A2 (en)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626B1 (ko) 화상형성장치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JP551798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798483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611118B2 (en) Medium eje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248270A (ja) 画像形成装置
US9310752B2 (en) Unit mo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30736B1 (ko) 화상형성장치
EP2887630B1 (en)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vey a document
CN109715537B (zh) 供纸设备、应用该供纸设备的纸张处理设备以及成像设备
EP2733541B1 (en) Sheet feed apparatus, and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561432B1 (ko)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080199241A1 (en) Printing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16880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42841B2 (ja) 用紙搬送部材、これを用いた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543997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164239B1 (ko)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8641041B2 (en) Printing medium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75466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30701A (ja) 剥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3244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83310A (ja) シート送出装置、画像形成装置
KR20190140649A (ko) 픽업롤러 구동을 위한 화상형성장치
JP2019099307A (ja) 画像形成装置
US201001573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