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745A -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 - Google Patents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745A
KR20230047745A KR1020210130957A KR20210130957A KR20230047745A KR 20230047745 A KR20230047745 A KR 20230047745A KR 1020210130957 A KR1020210130957 A KR 1020210130957A KR 20210130957 A KR20210130957 A KR 20210130957A KR 20230047745 A KR20230047745 A KR 20230047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lder
pair
paper feed
feed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현
우지훈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13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7745A/ko
Priority to PCT/US2022/020306 priority patent/WO2023055424A1/en
Publication of KR2023004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5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 B65H2404/1521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1Clearing faulty handling, e.g. j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1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4Removability or inter-changeability of machine parts, e.g. f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Separat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 포워드 롤러, 급지 카세트의 착탈동작에 연동하여 포워드 롤러와 맞물린 위치와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가능한 분리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structure to move separation roller with respect to forward roller}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부와, 인쇄 매체가 적재되는 급지 카세트와, 급지 카세트로부터 인쇄 매체를 인출하여 인쇄부로 공급하는 급지부를 구비한다. 급지부는 인쇄 매체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급지부는 인쇄 매체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지 카세트로부터 픽업된 인쇄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인쇄부로 이송시키는 종송 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급지 과정에서 급지 에러, 예를 들어 인쇄 매체 잼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인쇄 매체의 잼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중송 방지부를 형성하는 부품 중 일부는 소모성 부품으로서, 수명이 다하면 교체될 필요가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급지 카세트의 착탈동작에 연동하여 분리 롤러를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롤러 홀더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롤러 홀더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롤러 홀더가 가압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롤러 홀더가 가압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프레임으로부터 롤러 홀더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매체가 적재되는 급지 카세트로부터 인쇄 매체를 인출하여 인쇄부로 공급하는 급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급지부는 급지 카세트로부터 인쇄 매체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와, 서로 맞물려 중송 방지를 위한 분리 닙을 형성하는 포워드 롤러와 분리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포워드 롤러와 분리 롤러는 픽업된 인쇄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인쇄부로 공급한다. 급지 과정에서의 인쇄 매체의 잼이 발생될 수 있다. 인쇄 매체 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 롤러는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분리 롤러는 수명이 다하면 교체되는 소모성 부품으로서, 분리 롤러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와, 포워드 롤러와, 급지 카세트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포워드 롤러와 맞물린 위치와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 예를 들어 회동가능한 분리 롤러를 구비한다. 분리 롤러는 포워드 롤러와 맞물려 급지 카세트로부터 픽업된 인쇄 매체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닙을 형성한다. 급지 카세트를 탈거하면 분리 롤러가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되므로, 급지 과정에서 발생된 인쇄 매체 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급지 카세트를 본체에 장착하면, 분리 롤러가 포워드 롤러와 맞물려서 급지 가능한 상태가 된다. 급지 카세트의 착탈 동작에 의하여 분리 롤러가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되므로,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레버 등이 필요치 않다.
일 예로서, 분리 롤러는 롤러 홀더에 지지될 수 있다. 롤러 홀더는 분리 롤러가 포워드 롤러에 맞물린 가압 위치와 분리 롤러가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는 롤러 홀더와 연결된다. 제1탄성 부재는 롤러 홀더가 가압 위치로 회동도록 스프링 홀더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동 부재는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제1위치는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롤러 홀더가 가압 위치로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위치이며, 제2위치는 롤러 홀더를 해제 위치로 회동시키는 위치이다. 예를 들어, 스프링 홀더에 제1간섭부가 마련되고, 이동 부재에 제2간섭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부재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되면, 제2간섭부가 제1간섭부와 간섭되어 스프링 홀더를 제1탄성 부재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끌어당겨서 롤러 홀더를 가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동 부재가 제2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되면, 제2간섭부가 제1간섭부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 홀더가 제1탄성 부재의 탄성력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롤러 홀더가 해제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회동되도록 허용한다. 이동 부재는 급지 카세트가 본체에 장착될 때에 급지 카세트에 밀려서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탄성 부재는 이동 부재에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급지 카세트가 본체로부터 탈거되면 이동 부재는 제2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롤러 홀더는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에 가압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롤러 홀더는 개구부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는 롤러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홀더에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제1걸림부가 마련되고, 롤러 홀더에 제1걸림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제1걸림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탄성 부재와 스프링 홀더는 본체에 남기고 롤러 홀더와 분리 롤러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소모품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에서 분리 롤러와 롤러 홀더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분리 롤러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 일 예로서, 프레임의 개구부의 내측벽으로부터 한 쌍의 피벗 핀이 돌출될 수 있다. 롤러 홀더는 수축 가능한 한 쌍의 탄력 아암과, 한 쌍의 피벗 핀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탄력 아암에 마련되는 한 쌍의 피벗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하여 한 쌍의 탄력 아암에 액세스하여 한 쌍의 탄력 아암을 수축시켜 한 쌍의 피벗 핀을 한 쌍의 피벗 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롤러 홀더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 쌍의 탄력 아암은 개구부로부터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화상형성장치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4), 포워드 롤러(5), 및 급지 카세트(4)의 착탈동작에 연동하여 포워드 롤러(101)와 맞물린 위치(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포워드 롤러(101)로부터 이격된 위치(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가능한 분리 롤러(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픽업 롤러(103)는 급지 카세트(4)에 적재된 인쇄 매체(P)를 픽업한다. 픽업된 인쇄 매체(P)는 포워드 롤러(101)와 분리 롤러(102)에 의하여 경로(291)를 따라 인쇄부(3)로 공급된다.
본체(1)에 인쇄부(3)가 마련된다. 인쇄부(3)는 전자사진방식, 잉크젯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화상을 인쇄한다. 본 예의 인쇄부(3)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칼라 화상을 인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현상기(210), 노광기(250), 중간 전사 벨트(260), 전사 롤러(270), 정착기(280)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현상기(210)는 옐로우(Y: Yellow), 마젠타(M:magenta), 시안(C:cyan),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4개의 현상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현상기(210)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제 카트리지(220)로부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4개의 현상기(210)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제는 예를 들어 토너, 또는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기(210)는 표면에 감광 드럼(212)와 현상 롤러(211)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215)는 감광 드럼(212)을 균일한 표면 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킨다. 노광기(2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212)에 조사하여 감광 드럼(212)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211)는 현상기(210)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 드럼(212)과 대향된 현상 영역으로 공급한다. 현상 롤러(211)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가 현상 영역을 가로질러 정전잠상으로 공급되며,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중간 전사 벨트(260)는 복수의 지지 롤러들(262, 263, 264, 265)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 벨트(260)를 사이에 두고 4개의 현상기(210)의 감광 드럼(212)과 마주보는 위치에 4개의 중간 전사 롤러(261)가 배치된다. 중간 전사 롤러(261)에 인가되는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감광 드럼(212)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260)로 중간전사된다. 클리닝 부재(217)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 드럼(212)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전사롤러(270)는 중간 전사 벨트(260)와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한다. 인쇄 매체(P)는 픽업 롤러(103)에 의하여 급지 카세트(4)로부터 픽업되어 포워드 롤러(101)와 분리 롤러(102) 사이로 공급된다. 포워드 롤러(101)와 분리 롤러(102)는 픽업된 인쇄 매체(P)를 한 장씩 분리하여 경로(291)를 따라 전사닙으로 공급된다. 전사롤러(2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260) 상의 토너화상이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280)는 인쇄 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인쇄가 완료된 인쇄 매체(P)는 배출 롤러(292)에 의하여 배출된다.
인쇄 매체(P)를 급지 카세트(4)로부터 인출하여 인쇄부(3)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잼이 발생될 수 있다. 분리 롤러(102)는 포워드 롤러(101)와 맞물려 급지 카세트(4)로부터 픽업된 인쇄 매체(P)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닙(104)을 형성한다. 분리 닙(104)에 두 장 이상의 인쇄 매체(P)가 진입되면 그 중에서 한 장이 분리되어 인쇄부(3)로 공급된다. 분리 롤러(102)가 포워드 롤러(101)로부터 이격되면 분리 닙(104)이 해제된다. 본 예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분리 롤러(102)는 포워드 롤러(101)와 맞물린 위치와 포워드 롤러(101)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 예를 들어 회동될 수 있다.
본 예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분리 롤러(102)의 이동은 급지 카세트(4)의 본체(1)에의 착탈 동작에 연동된다. 급지 카세트(4)가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되어 본체(1)에 장착되면 분리 롤러(102)는 포워드 롤러(101)에 맞물려 분리 닙(104)을 형성한다. 급지 카세트(4)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하면, 분리 롤러(102)가 포워드 롤러(101)로부터 이격되어 분리 닙(104)이 해제된다. 급지 과정에서 인쇄 매체(P)의 잼이 발생되면 잼을 제거하기 위하여 급지 카세트(4)를 본체(1)로부터 탈거한다. 급지 카세트(4)의 탈거 동작에 의하여 분리 롤러(102)가 분리 닙(104)을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분리 닙(104)이 해제되어 포워드 롤러(101)와 분리 롤러(102) 사이의 인쇄 매체(P)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잼 제거 후 급지 카세트(4)를 본체(1)에 장착하는 동작에 의하여 분리 롤러(102)가 분리 닙(104)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잼 제거 및 그 후 인쇄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간소화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분리 롤러(102)의 위치 이동을 위한 액추에이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품, 또는 분리 롤러(10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레버 등이 필요없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
급지 카세트(4)의 착탈동작에 연동하여 분리 롤러(102)을 이동시키는 구조는 다양한 메카니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급지 카세트(4)의 착탈동작에 연동하여 분리 롤러(102)의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롤러 홀더(12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롤러 홀더(120)가 가압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6에서 프레임(190)은 생략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분리 롤러(102)는 롤러 홀더(12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홀더(120)에 회전축(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분리 롤러(102)는 토오크 리미터(105)를 개재하여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다. 분리 롤러(102)는 포워드 롤러(101)에 종동된다. 포워드 롤러(101)의 회전에 의하여 분리 롤러(102)에 작용되는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105)의 역치 토오크보다 크면 분리 롤러(102)는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된다. 포워드 롤러(101)의 회전에 의하여 분리 롤러(102)에 작용되는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105)의 역치 토오크보다 작으면 분리 롤러(102)는 회전되지 않는다.
롤러 홀더(120)는 분리 롤러(102)가 포워드 롤러(101)와 맞물린 가압 위치(도 5, 도 6)와 포워드 롤러(101)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도 3, 도 4)로 회동 가능하다. 롤러 홀더(120)는 프레임(190)에 가압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90)에 한 쌍의 피벗 핀(193)이 마련될 수 있다. 롤러 홀더(120)에 피벗 핀(193)이 삽입되는 한 쌍의 피벗 홀(122)이 마련될 수 있다. 롤러 홀더(120)는 한 쌍의 피벗 핀(193)을 축으로 하여 가압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는 않았지만, 프레임(190)에 피벗 홀(122)이 마련되고 롤러 홀더(120)에 피벗 핀(193)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1탄성 부재(140)는 가압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롤러 홀더(120)에 탄성력을 가한다. 예를 들어, 제1탄성 부재(140)는 스프링 홀더(130)를 개재하여 롤러 홀더(12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스프링 홀더(130)는 롤러 홀더(120)와 연결된다. 스프링 홀더(130)는 롤러 홀더(1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130)는 프레임(19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130)의 스토퍼(133)가 프레임(190)의 걸림턱(196)에 걸려서 스프링 홀더(130)가 프레임(19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제1탄성 부재(140)는 스프링 홀더(130)에 상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예를 들어 제1탄성 부재(14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스프링 홀더(130)와 프레임(190)에 각각 지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롤러 홀더(120)는 급지 카세트(4)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가압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된다. 롤러 홀더(120)는 급지 카세트(4)가 본체(1)에 장착될 때에 제1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 위치로 회동되며, 급지 카세트(4)가 본체(1)로부터 탈거될 때에 해제 위치로 회동된다. 스프링 홀더(130)를 제1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하거나 스프링 홀더(130)를 제1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롤러 홀더(120)를 가압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스프링 홀더(130)에 제1간섭부(131)가 마련된다. 화상형성장치는 이동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50)는 제2간섭부(151)를 구비한다. 이동 부재(150)는 급지 카세트(4)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롤러 홀더(120)를 가압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1위치(도 5, 도 6)와 롤러 홀더(120)를 해제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2위치(도 3, 도 4)로 이동된다. 이동 부재(150)의 이동 방향은 급지 카세트(4)의 착탈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제1위치에서, 제2간섭부(151)는 롤러 홀더(120)가 제1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간섭부(131)로부터 이격된다. 제2위치에서, 제2간섭부(151)는 롤러 홀더(120)가 해제 위치로 회동되도록 제1간섭부(131)와 간섭된다.
이동 부재(150)는 프레임(190)에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90)에 가이드 레일(194)이 마련되고, 이동 부재(150)에 가이드 레일(194)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15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부재(150)가 제2위치를 넘어서 프레임(19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190)과 이동 부재(150)에 스토퍼(195)와 걸림홈(152)이 각각 마련된다. 이동 부재(150)가 제2위치에 도달되면 스토퍼(195)가 걸림홈(152)의 단부에 걸려서 이동 부재(150)가 제2위치에 유지된다. 이동 부재(150)는 본체(1)에 장착되는 급지 카세트(4)에 밀려서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탄성 부재(160)는 이동 부재(150)에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급지 카세트(4)가 본체(1)로부터 탈거되면 이동 부재(150)는 제2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탄성 부재(16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이동 부재(150)와 프레임(190)에 각각 지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간섭부(131)는 예를 들어 스프링 홀더(130)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제2간섭부(151)는 이동 부재(150)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간섭부(131)와 간섭되어 스프링 홀더(130)를 제1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제1부분(151-1)과, 이동 부재(150)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될 때에 제1간섭부(131)와 간섭되어 제1간섭부(131)를 제1부분(151-1)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제2부분(1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151-2)은 제1부분(151-1)으로부터 탈거 방향(A2)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분리 롤러(102)의 이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급지 카세트(4)가 본체(1)로부터 탈거된 상태이다. 이동 부재(150)는 제2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위치에 위치된다. 스토퍼(195)가 걸림홈(152)의 단부에 걸려서 이동 부재(150)는 제2위치에 유지된다. 제1간섭부(131)는 제2간섭부(151)의 제1부분(151-1)에 걸려 있다. 제1탄성 부재(140)가 압축되어 스프링 홀더(130)가 롤러 홀더(120)를 당겨서 롤러 홀더(12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다. 분리 롤러(102)는 포워드 롤러(101)로부터 이격되고, 분리 닙(104)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급지 카세트(4)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본체(1)에 장착한다. 급지 카세트(4)의 선단부(41)가 이동 부재(150)에 접촉된다. 급지 카세트(4)가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이동 부재(150)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된다. 제1간섭부(131)는 제2간섭부(151)의 제2부분(151-2)에 안내되고 스프링 홀더(130)는 제1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된다. 스프링 홀더(130)가 롤러 홀더(120)를 밀어 해제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회동시킨다. 급지 카세트(4)가 장착 위치에 도달되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150)가 제1위치에 도달된다. 제1간섭부(131)와 제2간섭부(151)의 간섭이 종료되고, 롤러 홀더(120)가 가압 위치에 도달된다. 분리 롤러(102)가 포워드 롤러(101)에 접촉되고, 제1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분리 롤러(102)가 포워드 롤러(101)에 가압되어 분리 닙(104)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롤러(103)는 급지 카세트(4)에 적재된 인쇄 매체(P)를 픽업하여 분리 닙(104)으로 공급한다. 분리 닙(104)에 한 장의 인쇄 매체(P)가 진입된 경우, 포워드 롤러(101)에 의하여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인쇄 매체(P)에 의하여 분리 롤러(102)에 작용되는 정방향의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105)의 역치 토오크보다 크다. 분리 롤러(102)는 포워드 롤러(101)와 함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된다. 한 장의 인쇄 매체(P)는 경로(291)를 따라 인쇄부(3)로 공급된다. 분리 닙(104)에 다수의 인쇄 매체(P), 예를 들어 두 장의 인쇄 매체(P)가 진입된 경우, 두 장의 인쇄 매체(P)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분리 롤러(102)에 작용되는 정방향의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105)의 역치 토오크보다 작다. 분리 롤러(102)는 회전되지 않는다. 두 장의 인쇄 매체(P) 중에서 분리 롤러(102)에 접촉된 인쇄 매체(P)는 이송되지 않으며, 포워드 롤러(101)에 접촉된 인쇄 매체(P)는 경로(291)를 따라 인쇄부(3)로 공급된다. 인쇄부(3)는 인쇄 매체(P)에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가 완료된 인쇄 매체(P)는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급지 과정에서 인쇄 매체(P)의 잼이 발생된 경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인쇄 작업을 중지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잼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한다. 잼이 난 인쇄 매체(P)를 제거하기 위하여, 급지 카세트(4)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한다. 급지 카세트(4)가 장착 위치로부터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2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 부재(150)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된다. 제2간섭부(151)의 제2부분(151-2)이 제1간섭부(131)와 간섭되면서 스프링 홀더(130)를 제1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당긴다. 스프링 홀더(130)와 연결된 롤러 홀더(120)는 가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회동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150)가 제2위치에 도달되면, 제1간섭부(131)가 제2간섭부(151)의 제1부분(151-1)에 걸린다. 롤러 홀더(120)가 해제 위치에 도달되고, 분리 닙(104)이 해제된다. 포워드 롤러(101)과 분리 롤러(102)가 서로 이격되므로, 잼이 난 인쇄 매체(P)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잼이 난 인쇄 매체(P)를 제거한 후에 급지 카세트(4)를 본체(1)에 장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150)가 제1위치로, 롤러 홀더(120)가 가압 위치로 이동되어 분리 닙(10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102)는 수명이 다하면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본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분리 롤러(102)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분리 롤러(102)가 지지된 롤러 홀더(120)를 본체(1)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롤러 홀더(120)와 분리 롤러(102)를 본체(1)에 장착할 수 있다. 물론, 롤러 홀더(12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한 후에 롤러 홀더(120)로부터 분리 롤러(102)를 탈거하고, 새로운 분리 롤러(102)를 롤러 홀더(120)에 조립한 후에 롤러 홀더(120)를 본체(1)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급지 카세트(4)의 반대 방향에서 분리 롤러(102)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분리 롤러(102)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90)에 급지 카세트(4)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191)가 마련될 수 있다. 롤러 홀더(120)는 개구부(191)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프레임(190)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개구부(191)의 내측벽(192)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피벗 핀(193)이 마련된다. 롤러 홀더(120)에는 내측으로, 다시 말하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한 쌍의 탄력 아암(121)이 마련된다. 한 쌍의 탄력 아암(121)에는 한 쌍의 피벗 핀(193)이 삽입되는 한 쌍의 피벗 홀(122)이 마련된다. 한 쌍의 탄력 아암(121)을 수축시켜 한 쌍의 피벗 홀(122)과 한 쌍의 피벗 핀(193)을 정렬시킨 후에 한 쌍의 탄력 아암(121)을 수축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한 쌍의 피벗 홀(122)에 한 쌍의 피벗 핀(193)이 삽입된다. 롤러 홀더(120)는 한 쌍의 피벗 핀(193)을 축으로 하여 가압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프레임(190)에 지지된다. 롤러 홀더(120)를 프레임(190)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한 쌍의 탄력 아암(121)을 수축시켜 한 쌍의 피벗 홀(122)을 한 쌍의 피벗 핀(19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1탄성 부재(140)가 롤러 홀더(120)에 직접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의 경우, 롤러 홀더(120)를 탈거하기가 어렵다. 이 경우 제1탄성 부재(140)도 함께 탈거하여 교체할 수 있는데, 이는 소모품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예에 따르면, 제1탄성 부재(140)는 스프링 홀더(130)를 개재하여 롤러 홀더(120)에 탄성력을 가한다. 스프링 홀더(130)는 롤러 홀더(12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스프링 홀더(130)에는 급지 카세트(4)의 반대 방향, 즉 장착 방향(A1)으로 개구된 제1걸림부(132)가 마련된다. 롤러 홀더(120)에는 제2걸림부(123)가 마련된다. 제2걸림부(123)는 제1걸림부(132)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2걸림부(123)는 급지 카세트(4) 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이다. 따라서, 제2걸림부(123)는 급지 카세트(4)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걸림부(1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탄성 부재(140)와 스프링 홀더(130)는 본체(1)에 남기고 분리 롤러(102)가 지지된 롤러 홀더(120)를 프레임(19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소모품 교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프레임(190)으로부터 롤러 홀더(120)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분리 롤러(102)를 교체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2)는 본체(1)의 일부를 개폐한다. 예를 들어, 도어(2)는 프레임(190)에 마련된 개구부(191)가 노출되도록 본체(1)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2)를 개방하고 프레임(190)의 개구부(191)를 통하여 롤러 홀더(120)를 프레임(190)에/으로부터 장착/탈거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를 연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90)의 개구부(191)가 노출된다. 롤러 홀더(120)의 한 쌍의 탄력 아암(121)은 개구부(191)를 통하여 프레임(190)의 후방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쌍의 탄력 아암(121)을 내측으로, 예를 들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축시킨다. 한 쌍의 피벗 핀(193)이 한 쌍의 탄력 아암(121)에 마련된 한 쌍의 피벗 홀(122)로부터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홀더(120)를 급지 카세트(4)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개구부(191)를 통하여 프레임(19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홀더(130)의 제1걸림부(132)는 급지 카세트(4)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이므로, 롤러 홀더(120)의 제2걸림부(123)가 제1걸림부(132)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다.
새로운 분리 롤러(102)가 지지된 롤러 홀더(120)를 프레임(190)에 장착하기 위하여, 롤러 홀더(120)를 개구부(191)에 삽입한다. 한 쌍의 탄력 아암(121)을 수축시켜 한 쌍의 피벗 홀(122)과 한 쌍의 피벗 핀(193)을 정렬시킨다. 그런 다음, 한 쌍의 탄력 아암(121)을 수축시키는 힘을 제거한다. 한 쌍의 피벗 홀(122)에 한 쌍의 피벗 핀(193)이 삽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홀더(130)의 제1걸림부(132)는 급지 카세트(4)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이므로, 롤러 홀더(120)의 제2걸림부(123)가 제1걸림부(132)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롤러 홀더(120)는 한 쌍의 피벗 핀(193)을 축으로 하여 가압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프레임(190)에 지지된다.
본 예에 따르면, 분리 롤러(102)를 교체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1)를 들거나 부분적으로 분해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도어(2)는 본체(1)의 후면을 개폐할 수 있으며, 본체(1)의 후방으로부터 분리 롤러(102)에 액세스하여 교체할 수 있다. 분리 롤러(102)의 교체는, 롤러 홀더(12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리 롤러(102)를 교체하기 전에 급지 카세트(4)를 장착 위치로부터 탈거 방향(A2)으로 이동시켜, 이동 부재(150)를 제2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스프링 홀더(130)의 제1간섭부(131)는 이동 부재(150)에 마련된 제2간섭부(151)의 제1부분(151-1)에 걸린다. 제1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은 스프링 홀더(130)에 작용되며, 해제 위치에 위치된 롤러 홀더(120)에는 작용되지 않는다. 또한, 분리 롤러(102)가 포워드 롤러(10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 홀더(120)의 교체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
    포워드 롤러;
    상기 급지 카세트의 착탈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포워드 롤러와 맞물린 위치와 상기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가능한 분리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롤러는 상기 포워드 롤러와 맞물려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픽업된 인쇄 매체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닙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롤러가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며, 상기 분리 롤러가 상기 포워드 롤러와 맞물린 가압 위치와 상기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로 회동 가능한 롤러 홀더;
    상기 급지 카세트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롤러 홀더를 상기 가압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롤러 홀더를 상기 해제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홀더와 연결되며, 제1간섭부를 구비하는 스프링 홀더;
    상기 롤러 홀더가 상기 가압 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스프링 홀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간섭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롤러 홀더가 상기 가압 위치로 회동되도록 허용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간섭부와 간섭되어 상기 롤러 홀더를 상기 해제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2간섭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상기 급지 카세트에 밀려서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 부재에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분리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분리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 롤러가 상기 포워드 롤러와 맞물린 가압 위치와 상기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로 회동가능한 롤러 홀더;
    상기 롤러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스프링 홀더;
    상기 롤러 홀더가 상기 가압 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스프링 홀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벽으로부터 한 쌍의 피벗 핀이 돌출되며,
    상기 롤러 홀더는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한 쌍의 탄력 아암과, 상기 한 쌍의 피벗 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탄력 아암에 마련되는 한 쌍의 피벗 홀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탄력 아암을 수축시켜 상기 한 쌍의 피벗 핀을 상기 한 쌍의 피벗 홀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롤러 홀더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홀더에는 상기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제1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롤러 홀더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걸림부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걸리는 제2걸림부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9.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인쇄 매체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포워드 롤러;
    상기 포워드 롤러와 맞물려 인쇄 매체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닙을 형성하는 분리 롤러;
    상기 분리 롤러가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며, 상기 분리 닙을 형성하는 가압 위치와 상기 분리 닙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회동가능한 롤러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홀더는 상기 급지 카세트의 착탈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 회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간섭부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 홀더와 연결된 스프링 홀더;
    상기 롤러 홀더가 상기 해제 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스프링 홀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
    상기 제2간섭부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 홀더가 상기 제1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간섭부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롤러 홀더가 상기 해제 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2간섭부가 상기 제1간섭부와 간섭되는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상기 급지 카세트에 밀려서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에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급지 카세트;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인쇄 매체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포워드 롤러;
    상기 포워드 롤러와 맞물려 인쇄 매체의 중송을 방지하게 위한 분리 닙을 형성하는 분리 롤러;
    상기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분리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분리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 홀더;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스프링 홀더;
    상기 롤러 홀더가 상기 가압 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스프링 홀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제1걸림부가 마련된 스프링 홀더;
    상기 롤러 홀더가 상기 가압 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스프링 홀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홀더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걸림부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걸리는 제2걸림부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벽으로부터 한 쌍의 피벗 핀이 돌출되며,
    상기 롤러 홀더는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한 쌍의 탄력 아암과, 상기 한 쌍의 피벗 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탄력 아암에 마련되는 한 쌍의 피벗 홀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탄력 아암을 수축시켜 상기 한 쌍의 피벗 핀을 상기 한 쌍의 피벗 홀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롤러 홀더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20210130957A 2021-10-01 2021-10-01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 KR20230047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957A KR20230047745A (ko) 2021-10-01 2021-10-01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
PCT/US2022/020306 WO2023055424A1 (en) 2021-10-01 2022-03-15 Structure to move separation roller with respect to forward 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957A KR20230047745A (ko) 2021-10-01 2021-10-01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45A true KR20230047745A (ko) 2023-04-10

Family

ID=8132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957A KR20230047745A (ko) 2021-10-01 2021-10-01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7745A (ko)
WO (1) WO20230554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6358A (en) * 1981-06-09 1985-07-02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Paper feeding mechanism
JPH0661846U (ja) * 1993-02-05 1994-09-02 株式会社東芝 紙葉分離装置
KR101758626B1 (ko) * 2010-11-18 2017-07-1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5424A1 (en)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4625B2 (en) Developing cartridge including a member configured to be pressed by a memb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5004870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1085268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16523B2 (ja) 画像形成装置
US9348308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force receiving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KR20060052608A (ko) 화상 형성 장치
US11493878B2 (en) Cartridge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developing roll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KR20170077594A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215052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590577B2 (ja) 画像形成装置
US93777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age bearing member protection
JP4484647B2 (ja) 画像形成装置
JP5533085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30047745A (ko) 분리 롤러를 포워드 롤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
JP2003241616A (ja) 画像形成装置
JP7091916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805942B (zh) 卡匣及影像形成裝置
JP2011059182A (ja) 画像形成装置
CN110941167B (zh) 成像设备和显影盒
JP440151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302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48496A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84143A (ko) 화상형성장치
JP2000305376A (ja) 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