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570B1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570B1
KR100196570B1 KR1019960037911A KR19960037911A KR100196570B1 KR 100196570 B1 KR100196570 B1 KR 100196570B1 KR 1019960037911 A KR1019960037911 A KR 1019960037911A KR 19960037911 A KR19960037911 A KR 19960037911A KR 100196570 B1 KR100196570 B1 KR 10019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xing
heating roller
brack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703A (ko
Inventor
황태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570B1/ko
Priority to EP97306705A priority patent/EP0833224B1/en
Priority to DE69717228T priority patent/DE69717228T2/de
Priority to US08/922,307 priority patent/US5923927A/en
Publication of KR19980019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Abstract

본 발명은 히팅롤러와 정착롤러를 각각 분리시켜 정착기 프레임에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유니트로 정착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착장치 프레임의 치수 불안정 및 경시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록용지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고온의 열로 용융시키는 히팅롤러와, 상기 기록용지상의 토너화상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고착시키는 압축롤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에 있어서, 정착장치는 상기 히팅롤러와 압축롤러를 일체형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이 고정 설치되는 정착기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FUS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팅롤러와 정착롤러를 각각 분리시켜 정착기 프레임(frame)에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유니트(unit)로 정착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74)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7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7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76)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70)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7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기(78)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급지카세트(82)에 장착된 기록용지(84)는 픽업롤러(86)에 의해 이송롤러(80) 측으로 급지되어진다. 그후, 상기 급지된 기록용지(84)는 이송롤러(80)의 회전에 의해 전사롤러(88) 측으로 이송되어지며, 그후 상기 기록용지(84)상에는 전사롤러(88)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70)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어 진다.
그후, 화상이 형성된 기록용지(84)는 이송되어져 정착장치(50)의 히팅롤러와 압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상(image)이 정착되어진다. 그후, 인쇄된 기록용지(84)는 배지롤러(90)의 회전에 의해 받침대(92) 측으로 이송되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사롤러(88)를 지난 감광드럼(70)의 표면에는 잔여분의 토너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토너는 청소기(72)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잔류 전하는 전하제거램프에 의해 제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기록용지의 토너화상을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시키기 위한 종래의 정착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종래의 정착장치(50)는 상부프레임(52)과 하부프레임(54)으로 구성되어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를 고정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52)에는 상기 기록용지(84)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고온의 열로 용융시키는 히팅롤러(heating roller)(26)가 설치된다. 상기 히팅롤러(26)의 내부에는 상기 히팅롤러(26)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도시하지 않은 할로겐 램프(halogen lamp)가 설치된다. 상기 히팅롤러(26)의 양측에는 히팅롤러(26)가 회전할 때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제2부싱(bushing)(28)이 각각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정착장치의 하부프레임(54)에는 상기 기록용지(84)상의 토너화상을 일정한 압력으로 고착시키는 압축롤러(22)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롤러(22)의 양측에는 압축롤러(22)가 회전할 때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제1부싱(bushing)(24)이 각각 끼워진다. 이때, 상기 압축롤러(22)의 하단부에는 상기 히팅롤러(26)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압축롤러(22)를 가압하는 가압스프링(2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 정착 장치의 결합 방법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히팅롤러(26)의 양측에 각각의 제2부싱(28)을 끼운 후, 상기 히팅롤러(26)를 상부프레임(52)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부싱(28)은 상기 히팅롤러(26)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기 위하여 상부프레임(52)의 양측에 고정되어진다.
그후, 상기 가압스프링(20)을 하부프레임(54)의 내측 하단부에 설치한 후, 상기 압축롤러(22)의 양측에 각각의 제1부싱(24)을 끼운다. 그후, 상기 압축롤러(22)를 하부프레임(54)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부싱(24)은 상기 압축롤러(22)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기 위하여 하부프레임(54)의 양측에 고정되어진다.
그후, 상기 상부프레임(52)과 하부프레임(54)의 양측을 각각의 나사(56)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가압스프링(20)은 상기 나사(56)의 체결력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되어지면서, 이에 따른 탄성력으로 상기 압축롤러(22)를 히팅롤러(26) 측으로 밀착시킨다.
그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록용지(84)상에 토너화상이 정착되어지면, 상기 기록용지(84)는 용지가이드의 안내로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 사이로 이송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84)는 히팅롤러(26)의 고온의 열과 압축롤러(22)의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정착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84)는 상기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의 회전에 의해 배지롤러(90) 측으로 이송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84)는 배지롤러(90)의 회전에 의해 받침대(92) 측으로 이송되어진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에서 다수개의 나사(56)로 서로 체결된 상부프레임(52)과 하부프레임(54)에는 가압스프링(20)이 상부 방향으로 미는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착장치(50)의 장기간 사용에 의한 경시 변화가 발생하며,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52)과 하부프레임(54)의 치수 정밀도에 따라 상기 압축롤러(22)에 가해지는 가압스프링(20)의 가압력이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기록용지상(84)의 토너화상을 균일하게 고착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정착화상의 화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착장치 프레임의 치수 불안정 및 경시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착장치의 프레임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분리시키지 않고, 일체화로 형성된 정착장치의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방법의 단순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착장치는 기록용지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고온의 열로 용융시키는 히팅롤러와, 상기 기록용지상의 토너화상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고착시키는 압축롤러가 일체형으로 정착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용지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고온의 열로 용융시키는 히팅롤러와, 상기 기록용지상의 토너화상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고착시키는 압축롤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에 있어서, 정착장치는 상기 히팅롤러와 압축롤러를 일체형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이 고정 설치되는 정착기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의 프레임에 히팅롤러와 압축롤러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착장치 12: 정착기 프레임
14: 개구부 16: 홈
18: 브라켓 20: 가압스프링
22: 압축롤러 24: 제1부싱
26: 히팅롤러 28: 제2부싱
30: 상부홈 32: 하부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의 프레임에 히팅롤러와 압축롤러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장치(10)는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를 서로 분리시키지 않고, 일체형으로 정착기 프레임(12)에 고정시키기 위해 브라켓(18)이 사용된다. 즉, 상기 브라켓(18)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상부홈(30)에는 상기 기록용지(84)상의 토너화상을 일정한 압력으로 고착시키는 압축롤러(22)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롤러(22)의 양측에는 압축롤러(22)가 회전할 때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제1부싱(24)이 각각 끼워진다. 상기 압축롤러(22)의 상단부에는 히팅롤러(26)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압축롤러(22)를 가압하는 가압스프링(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8)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하부홈(32)에는 상기 기록용지(84)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고온의 열로 용융시키는 히팅롤러(26)가 설치된다. 상기 히팅롤러(26)의 내부에는 상기 히팅롤러(26)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도시하지 않은 할로겐 램프가 설치된다. 상기 히팅롤러(26)의 양측에는 히팅롤러(26)가 회전할 때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제2부싱(28)이 각각 끼워진다.
이때, 상기 히팅롤러(26)의 일부분은 상기 브라켓(18)의 하부홈(32)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브라켓(18)의 상부홈(30)과 하부홈(32)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가 일체형으로 설치된 브라켓(18)이 결합되어지는 정착기 프레임(12)의 내측 상단부에는 상기 브라켓(18)의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개구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착기 프레임(12)의 내측 하단부에는 상기 브라켓(18)이 내측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안내하고, 동시에 상기 히팅롤러(26)의 양측에 형성된 제2부싱(28)이 안착되어 고정되기 위한 홈(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정착기 프레임(12)은 브라켓(18)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탄성력을 구비한 디귿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의 결합 방법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가압스프링(20)을 브라켓(18)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상부홈(30)에 설치한 후, 상기 압축롤러(22)의 양측에 각각의 제1부싱(24)을 끼운다. 그후, 상기 압축롤러(22)를 브라켓(18)의 상부홈(3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1부싱(24)은 상기 압축롤러(22)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기 위하여 브라켓(18)의 양측에 고정되어진다.
그후, 상기 히팅롤러(26)의 양측에 각각의 제2부싱(28)을 끼운 후, 상기 히팅롤러(26)를 브라켓(18)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하부홈(32)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2부싱(28)은 상기 히팅롤러(26)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기 위하여 브라켓(18)의 양측에 고정되어진다. 동시에, 상기 가압스프링(20)은 상기 히팅롤러(26)가 상부방향으로 밀면서 하부홈(32)에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되어지며, 이에 따른 탄성력으로 상기 압축롤러(22)를 히팅롤러(26) 측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시킨다.
그후, 상기 브라켓(18)을 정착기 프레임(12)의 내측면으로 밀면, 상기 히팅롤러(26)의 제2부싱(28)은 상기 홈(16)을 따라 안내됨과 동시에 안착되어지며, 동시에 상기 브라켓(18)의 상단부는 개구부(14)에 고정되어진다.
그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록용지(84)상에 토너화상이 정착되어지면, 상기 기록용지(84)는 용지가이드의 안내로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 사이로 이송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84)는 히팅롤러(26)의 고온의 열과 압축롤러(22)의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정착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84)는 상기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의 회전에 의해 배지롤러(90) 측으로 이송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84)는 배지롤러(90)의 회전에 의해 받침대(92) 측으로 이송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분리시키지 않고 일체화로 형성된 정착기 프레임과 상기 히팅롤러와 압축롤러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지는 브라켓을 사용하므로서 상기 정착기 프레임의 치수 불안정에 따른 정착장치의 경시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히팅롤러와 압축롤러를 브라켓에 고정시킨 후 상기 브라켓을 정착기 브라켓에 끼워 고정시키기 때문에 조립 방법의 단순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정착장치는 항상 균일한 압력으로 기록용지상의 토너화상을 정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기록용지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고온의 열로 용융시키는 히팅롤러와, 상기 기록용지상의 토너화상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고착시키는 압축롤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에 있어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정착기 프레임(12)과,
    상기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가 상기 정착기 프레임(12)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 프레임(12)은 상기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를 일체형으로 고정시키도록 그 일측 단면형상을 디귿자 모양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
  3. 기록용지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고온의 열로 용융시키는 히팅롤러와, 상기 기록용지상의 토너화상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고착시키는 압축롤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에 있어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정착기 프레임(1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히팅롤러(26)와 압축롤러(22)가 장착되는 브라켓(18)과;
    상기 브라켓(18)이 상기 정착기 프레임(12)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8)의 상부에는 상기 압축롤러(22)가 고정 결합되는 상부홈(3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홈(30)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롤러(22)가 고정 결합되는 하부홈(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30)과 하부홈(32)은 상기 브라켓(18)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 프레임(12)은 상기 브라켓(18)이 끼워져 고정되기 위해 디귿자 모양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착기 프레임(12)의 내측에는 상기 브라켓(18)의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개구부(14)와, 상기 브라켓(18)을 내측 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히팅롤러(26)가 안착되는 홈(16)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 장치.
KR1019960037911A 1996-09-02 1996-09-0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KR10019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911A KR100196570B1 (ko) 1996-09-02 1996-09-0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EP97306705A EP0833224B1 (en) 1996-09-02 1997-09-01 Toner fixing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DE69717228T DE69717228T2 (de) 1996-09-02 1997-09-01 Tonerfixiervorrichtung für ein elektrophotographisches Gerät
US08/922,307 US5923927A (en) 1996-09-02 1997-09-02 Brackets and one piece frames for a toner fixing device in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911A KR100196570B1 (ko) 1996-09-02 1996-09-0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703A KR19980019703A (ko) 1998-06-25
KR100196570B1 true KR100196570B1 (ko) 1999-06-15

Family

ID=1947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911A KR100196570B1 (ko) 1996-09-02 1996-09-0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23927A (ko)
EP (1) EP0833224B1 (ko)
KR (1) KR100196570B1 (ko)
DE (1) DE6971722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577B1 (ko) 2004-12-23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KR100608022B1 (ko) * 2005-01-03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11128B1 (ko) * 2005-01-21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의 정착기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359A (en) * 1975-11-18 1988-11-01 Mita Industrial Co. Ltd. Fixing unit for shell-type image formation apparatuses and a process for the placement and removal of the same
US4121089A (en) * 1977-07-29 1978-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reversal of a hot roll in a fusing assembly
CA1106902A (en) * 1977-08-05 1981-08-11 Yoshitaka Sasaki Toner image pressure-fixing device
US4812873A (en) * 1986-09-09 1989-03-1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Heat fix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JPH01233471A (ja) * 1988-03-14 1989-09-19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0369981A (ja) * 1989-08-09 1991-03-26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JP2868541B2 (ja) * 1989-09-16 1999-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器
US5578098A (en) * 1990-10-09 1996-11-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ated abrasive containing erodible agglomerates
JPH04342284A (ja) * 1991-05-20 1992-11-27 Sharp Corp 定着装置
JPH05197305A (ja) * 1991-10-22 1993-08-06 Minolta Camera Co Ltd 定着装置
JPH0519658A (ja) * 1991-12-20 1993-01-29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US5191380A (en) * 1992-01-31 1993-03-02 Eastman Kodak Company Image-forming apparatus and fusing roller cartridge with oil-applying means
JP3223628B2 (ja) * 1993-02-08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US5528345A (en) * 1994-06-16 1996-06-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having heat roller and pressure roller for us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7228T2 (de) 2003-09-04
EP0833224B1 (en) 2002-11-20
US5923927A (en) 1999-07-13
KR19980019703A (ko) 1998-06-25
EP0833224A3 (en) 1998-10-07
EP0833224A2 (en) 1998-04-01
DE69717228D1 (de) 200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6209B2 (en) Hous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014898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200965B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보조 급지장치
KR100196570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US5614997A (en) Transfer device configuration in an image-reproducing station
US5689775A (en) Transfer device configuration in an image-reproducing station
KR920002742Y1 (ko) 복사기의 용지 이송 안내장치
JP719034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23219B1 (ko)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의 급지카세트 착탈장치
KR200162135Y1 (ko) 정착기의 정착 압력 가변 장치
KR100242125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KR20014468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KR920008876Y1 (ko)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장치
KR012619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히트롤러 장치
KR950003315B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전사부 용지 가이드 장치
KR200157543Y1 (ko) 대전롤러의 대전전압 인가장치
KR100208788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KR980009301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히팅롤러장치
KR100191201B1 (ko) 소모품에 장착된 전사장치
KR20014468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카세트 장착장치
KR20000000485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JP3048943B2 (ja) 電子写真装置
KR100211836B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기록용지안내장치
KR0122126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잠상 제거 장치
KR20032122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