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814B1 - 무선전화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814B1
KR920003814B1 KR1019890011149A KR890011149A KR920003814B1 KR 920003814 B1 KR920003814 B1 KR 920003814B1 KR 1019890011149 A KR1019890011149 A KR 1019890011149A KR 890011149 A KR890011149 A KR 890011149A KR 920003814 B1 KR920003814 B1 KR 920003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
state
radiotelephone
mentioned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125A (ko
Inventor
아키노 토기
고이찌 이또
마사노리 토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0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3On hold, intercom or transfer communica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유선회선에서 착호가 있었을 경우의 메인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공정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무선전화장치에서 발호한 경우의 메인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공정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자기보류상태, 완전보류상태로 설정하기 위해서의 메인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공정도.
제 8 도, 제 9 도는 자기보류상태에서의 보류해제에 관해서 메인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공정도.
제 10 도, 제 11 도는 완전보류상태에서의 보류해제에 관한 메인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공정도.
제 12 도, 제 13 도는 완전보류상태에서 자기보류상태에로 변환에 관한 메인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공정도.
제 14 도, 제 15 도는 자기보류상태에서 완전보류상태, 대기상태로의 자동적변환에 관한 메인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장치 2 : 무선전화기
3 : 유선전화회선가입자선 4 : 하이브릿드회로
5 : 송신기 6 : 안테나공용기
8 : 수신기 9 : 신서싸이저
10, 11 : 검출회로 12 : 제어회로
13 : 보류음발생회로 14 : 자동보류제어회로
29 : 착호검출회로 30 : 표시기
본 발명은 유선회선에 접속된 메인장치와 이 메인장치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된 무선전화기로 된 무선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의 보류기능을 갖는 것에 관한 것이다.
유선회선에 접속된 메인장치와 이 메인장치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된 무선전화기로 되는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보류기능을 갖는 것이 있다.
보류기능은 무선전화기에서의 통화자가 상대를 조금 기다리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면 보류보턴을 누르고 유선회선을 통하는 통화를 보류함과 동시에 유선회선을 통해서 상대에게 소정의 보류음을 송출하는 기능이다.
보류상태의 해제는 보류보턴을 다시한번 누르거나 따는 메인장치에 병설되어 있는 병설전화기를 오프훅함으로서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무선전화기의 통화자(A)가 그 통화상대(C)에게 조금 기다리게 하기 위해 보류보턴을 누르고 보류상태로 했다고 하자.
여기서 통화자(A)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해서 다시 "C"와 통화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 이것을 모르는 다른 사람 (B)이 메인장치에 병설되어 있는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고 오프훅했다고 하자.
이 경우 전술한 보류상태는 자동적으로 해제되어"B"로서는 갑자기 "C"가 나오게 되어 혼란을 초래할 위험이 있고 또 통화자(A)에 있어서는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다른 사람(B)이 통화에 관계하게 되어 불쾌감이 생긴다.
또한 보류상태에서 메인장치와 무선전화기와의 사이의 무선회선은 접속된 상태로 있는데 예를 들면 무선전화기의 통화자(A)가 보류보턴을 눌러서 보류상태로 하고 그후 병설전화기로 통화를 재개하고 싶은 경우(이 경우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해서 다시 통화할 의지는 없다) 불필요한 무선회선을 지속하기 위해 쓸모없는 전력을 필요로 하고 특히 무선전화기의 전원이 전지인 것을 고려하면 전지의 소모가 큰 문제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의 통화자에게 의지를 존중한 보류해제를 행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생기지 않는 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전화기의 통화자가 무선전화기에서의 통화재개의사를 가지고 보류조작한 경우는 병설전화기의 오프훅에 의해서는 보류해제할 수 없도록한 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전화기에 있어서의 보류해제조작에 의해서 밖에 보류해제할 수 없는 자기보류상태와, 무선전화기에 있어서의 보류해제조작, 병설전화기의 보류해제조작의 어느것에 의해서도 보류해제할 수 있는 완전보류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보류상태에서 보류해제되는 일없이 일정시간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완전 보류상태로 변환하도록 해서 절전을 도모한 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완전보류상태에서 자기보류상태로 변환할 수 있는 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병설의 전화기의 오프훅에 의해 보류상태의 해제기능을 무선전화기측에서의 조작에 의해 유효 또는 무효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의 보류해제조작에 의해서만 보류해제할 수 있는 자기보류상태와 무선전화기와 병설전화기의 어느것의 보류해제조작에 의해서도 보류해제할 수 있는 완전보류상태를 변환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완전보류상태에 있어서의 메인장치와 무선전화기와의 사이의 무선회선은 단절된다.
따라서 완전보류상태에서 무선전화기로 보류해제조작이 있었을 경우 또는 완전보류상태에서 자기보류상태로 돌아오는 경우는 메인장치와 무선전화기와의 사이에 다시 무선회선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장치에 병설의 전화기의 오프훅에 의해 보류상태의 해제기능을 무선전화기측에서부터 유효 또는 무효로 억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무선전화기의 통화자의 의지에 반대로 병설전화측에서 보류해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유선회선측의 대화자에게 혼란을 주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통화중에 무선전화기의 전지가 소모한 때에, 완전보류로 한 상태에서 전지를 교환하고 다시 무선회선을 접속하여 통화를 계속하거나, 병설전화기로 통화를 계속할 수도 있어서, 전지구동의 숙제인 전지가 떨어졌을때의 대책의 하나로서도 대단히 유효한 것으로 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의 한 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 1 도에서 메인장치(1)는 무선전화기(2)와 무선회선을 끼워서 접속됨과 동시에 유선전화회선가입자선(3)과 접속되어 있다.
유선전화회선(3)에서 보내져온 신호는 하이브릿드회로(4)를 통해서 송신기(5)의 변조입력으로 된다.
송신기(5)에서 변조된 전파는 안테나 공용기(6)를 통해서 안테나(7)에서 무선전화기(2)로 송신된다.
한편 무선전화기(2)에서 송신된 전파는 안테나(7)에서 수신되어 안테나공용기(6)를 통해서 수신기(8)에서 복조된다.
복조된 신호는 하이브릿드회로(4)를 통해서 유선전화회선(3)으로 송출된다.
신서싸이저(9)는 무선채널(통화채널 및 제어채널)에 따라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기(5) 및 수신기(8)로 출력한다.
수신기(8)의 출력의 하나는 수신전계검출회로(10)로 입력되어 전계강도의 판정을 위해 사용된다.
이 회로(10)는 보통 캐리어스켈치회로 혹은 노이즈스켈치회로 등으로 불린다.
또한 수신기(8)의 또 하나의 출력은 수신복조파에 포함되는 데이터신호로서 출력되어 메인장치(1)와 무선 전화기(2)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식별신호를 대조하는 식별신호검출회로(11)로 입력된다.
이 식별신호는 보통 ID코드라고 불린다.
이들 검출회로(10)(11)의 출력 및 데이터신호의 복조출력은 제어회로(12)로 입력되어 접속제어에 이용된다.
제어회로(12)는 신서싸이저(9)를 제어함에 따라 무선채널의 변환제어를 행하거나 송신기(5)로 송신데이터 신호를 변조입력으로서 송출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보류음발생회로(13)는 하이브릿드회로(4)를 통해 유선전화회선(3)으로 보류음을 송출한 또 자동보류 제어회로(14)는 메인장치(1)에 병설된 전화기(27)의 오프축을 검출하여, 그 검출출력을 제어회로(12)로 입력함에 따라 보류상태를 해제시킨다.
착호검출회로(29)는 유선회선에서의 착호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착호검출회로(29)의 검출출력도 제어회로로 입력된다.
표시기(30)는 이 장치가 통화상태인가 보류상태인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표시기(30)는 예를들면 LED로 구성되어 통화상태 또는 자기보류상태에 있으면 연속점등하고, 완전보류상태에 있으면 점멸하고, 대기상태의 때는 소등한다.
한편 무선전화기(2)에도 동일하게 안테나(15) 안테나공용기(16), 수신기(17)가 설치되어 있고, 수신기(17)의 복조출력은 수화기(18)로 출력된다.
또 송화기(19)에서 입력된 음성은 송신기(20)의 변조입력으로 되어 안테나(15)로 송신된다.
신서싸이저(21), 수신전계, 검출회로(22), 식별신호검출회로(23)는 메인장치(1)내의 것과 동등한 것으로 제어회로(24)가 무선전화기(2)의 제어를 행한다.
스피커(25)는 착호시 호출음을 발하는 발성기이다.
다이얼유니트(26)는 발호, 대화의 종료조작 및 다이얼번호를 입력하거나 보류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표시기(31)는 이 장치가 통화상태인가, 보류상태인가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표시기(31)는 예를들면 LED로 구성되어 통화상태에 있으면 연속점등하고, 자기보류상태 또는 완전보류상태에 있으면 점멸한다.
다음에 이 장치에 동작을 제 2 도에서 제 15 도의 공정도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이 장치가 통화상태에 있을때까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장치가 통화상태로 되는데에는 유선회선(3)에서 착호가 있었을 경우와 무선전화기(2)에서 발효가 있는 경우가 있다.
유선회선(3)에서 착호가 있을 경우의 메인장치(1)의 동작이 제 2 도에 나타나고 무선전화기(2)의 동작이 제 3 도에 나타난다.
유선회선(3)에서 16Hz의 착호신호가 오면 이 착호신호는 메인장치(1)의 착호검출회로(29)에서 검출되고, 이 검출출력은 제어회로(12)로 가해진다.
따라서 제어회로(12)는 착호가 있었다고 판단해서(스텝 101) 송신기(5)를 제어해서 착호신호를 안테나공용기(6), 안테나(7)를 통해서 송출한다(스텝 102).
이 착호신호의 송출은 제어채널에서 행해진다.
이 착호신호에는 ID코드와 통화채널을 지정하기 위해서의 채널지정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무선전화기(2)는 안테나(15), 안테나공용기(16)를 통해서 수신기(17)에서 이 착호신호를 수신한다. 제어회로(24)는 수신전계검출회로(22)의 출력에 의한 착호신호수신을 검출한다(스텝 111)
이어서 식별신호검출회로(23)의 출력에 입각해서 착호신호에 포함되는 ID코드가 자기의 ID코드와 일치하는가를 조사하고(스텝 112), 일치하면 송신기(20)를 제어해서 착호응답신호를 안테나공용기(16), 안테나(15)를 통해서 송출한다(스텝 113).
이 착호응답신호에도 ID코드가 포함된다.
그후 제어회로(24)는 신서싸이저(21)를 제어해서 송신기(20), 수신기(17)의 무선채널을 전술한 착호신호에 포함되는 채널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된 통화채널로 변환한다(스텝 114).
그래서 소등해 있었던 표시기(31)의 램프를 연속점등시킨다(스텝 115).
메인장치(1)의 제어회로(12)는 무선전화기(2)에서의 착호응답신호의 수신을 수신전계검출회로(10)의 출력에 입각해서 검출하면(스텝 103) 식별신호검출회로(11)의 출력에 입각해서 이 착호응답신호에 포함되는 ID코드가 자기의 ID코드와 일치하는가를 조사하고(스텝 104), 일치하면 제어회로(12)는 신서싸이저(9)를 제어해서 송신기(5) 수신기(8)의 무선채널을 착호신호와 동시에 송출한 채널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통화채널로 변환한다(스텝 105).
그래서 표시기(30)의 램프를 연속점등시켜(스텝 106), 통화채널에서 호출하는 신호를 송출한다(스텝107).
무선전화기(2)는 호출한 신호를 수신하면(스텝 116) 발성기(25)를 제어해서 호출음을 울린다(스텝107).
이 호출음에 응답해서 다이얼유니트(26)의 통화키(26c)가 눌려지면(스텝 118) 메인장치(1)에 대해서 오프훅신호를 송출하고(스텝 119), 발성기(25)에서의 호출음발성을 정지시킨다(스텝 120).
메인장치(1)는 오프훅신호를 수신하면(스텝 108) 호출신호의 송출을 정지한다(스텝 109).
따라서 메인장치(1)와 무선전화기(2)는 통화상태로 된다.
무선전화기 (2)에서의 발호가 있었을 경우의 메인장치(1)의 동작이 제 4 도에 나타나고 무선전화기(2)의 동작이 제 5 도에 나타낸다.
무선전화기(2)에서 통화키(26c)가 눌러지면(스텝 211) 무선전화기(2)에서 발호신호가 송출된다(스텝 212).
여기서 이 발호신호에는 ID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메인장치(1)는 이 발호신호를 수신하면(스텝 201). 발호신호에 포함되는 ID코드가 자기의 것과 일치하는가 어떤가를 조사한다(스텝 202).
일치하면 발호응답신호를 무선선전화기(2)에 대해서 송출한다(스텝203).
이 발호응답신호에는 ID코드 및 통화채널은 지정하기 위해서의 채널지정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이후 메인장치(1)는 채널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되 통화채널로의 변환을 행해서(스텝 204) 표시기(30)의 램프를 연속점등시킨다.(스텝 205).
무선전화기(2)는 메인장치(1)에서의 발호응답신호를 수신하여(스텝 213)거기에 포함되는 ID코드가 자기의 것과 일치하면(스텝 214) 발호응답신호에 포함되는 채널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된 통화채널로의 변환을 행하여(스텝215) 표시기(31)의 램프를 연속점등시킨다(스텝 216).
이어서 무선전화기(2)의 다이얼유니트(26)에서 상대쪽에 대한 다이얼조작이 되면(스텝 217)이 다이얼 신호를 메인장치(1)로 송출한다(스텝 218).
메인장치(1)는 다이얼신호를 수신하면(스텝206) 유선회선(3)의 통화루프를 형성하고, 유선회선(3)에 대해서 다이얼신호를 송출해서 상대쪽을 호출하는 소정의 발호처리를 실행한다(스텝 207).
따라서 상대쪽이 응답하면 메인장치(1) 및 무선전화기(2)는 통화상태로 된다.
이어서 통화상태에서 회선을 일시 보류하는 경우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의 메인장치(1)의 동작이 제 6 도에 표시되고 무선전화기(2)의 동작이 제 7 도에 표시된다.
무선전화기(2)의 통화자가 회선을 일시보류하기 위해서 다이얼유니트(26)의 보류키(311)를 누르면(스텝 311) 무선전화기(2)에서 메인장치(1)로 보류신호를 송출한다(스텝 311).
이 보류신호의 송출은 무선상태에서 통화채널을 이용해서 행해진다.
메인장치(1)는 이 보류신호를 수신하면(스텝 301) 송신기(5) 및 수신기(8)의 오디오회로를 오프해서 회선을 접속한 채로 보류하는 소정의 보류처리를 실행한다(스텝 302).
이어서 보류음발생회로(13)를 구동해서 보류음을 발생시켜(스텝 303)이 보류음을 하이브릿드회로(4) 유선회선(3)을 통해서 상대쪽으로 송출한다.
무선전화기(2)는 보류음의 송출후 표시기(31)의 램프를 점멸시킨다(스텝 313).
또 이경우에 메인장치(1)의 표시기(30)의 램프는 연속점등한채이다.
이 상태가 자기보류상태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명백하게 되는 것처럼 이 자기보류상태에 있어서는 무선전화기(2)의 보류키(26a)를 다시 누르면 보류해제가 가능하나 메인장치(1)의 병설전화기(28) 오프훅에 의해서는 보류해제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무선전화기(2)의 통화자가 다시 무선전화기(2)를 이용한 통화로 돌아가고 싶은 경우는 보류키만을 눌러서 전술한 자기보류상태로 설정하면 좋다.
자기보류상태에 있어서 무선전화기(2)의 다이얼유니트의 대화종료키(26b)를 누르면 완전보류상태로 변환한다.
즉 자기보류상태에 있어서 대화종료키(26b)가 눌려지면(스텝 314) 무선전화기(2)에서 메인장치(1)에 완전보류신호가 송출된다(스텝315).
그후 무선전화기(2)는 메인장치(1)와의 사이의 무선회선(통화채널)을 차단한다(스텝 305).
메인장치(1)도 무선전화기(2)에서의 완전보류신호를 수신하면 동일하게 무선전화기(2)와의 사이의 무선회선(통화채널)을 차단하고(스텝 305), 표시기(30)의 램프를 연속점등에서 점멸로 변환한다(스텝 306).
따라서 완전보류상태로 된다.
완전보류상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밝혀지는 것처럼 무선전화기(2)의 보류키(26a)의 다시 누름 및 메인장치(1)의 병설전화기(28)의 오프훅의 어느것에 의해서도 보류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제 8 도, 제 9 도는 자기보류상태에서의 보류해제동작을 메인장치(1) 및 무선전화기(2)에 대해서 각각 나타낸 것이다.
자기보류상태에 있어서 메인장치(1)의 표시기(30)의 램프는 연속점등하고, 무선전화기(2)의 표시기(31)의 램프는 점멸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무선전화기(2)의 다이얼유니트(26)의 보류키가 눌려지면(스텝 411) 무선전화기(2)에서 메인장치로 보류해제신호가 송출된다(스텝 412).
여기서 메인장치(1)와 무선전화기(2)와의 사이의 무선회선은 통화채널에서 접속된 채로 보류해제신호는 통화채널에서 송출된다.
메인장치(1)는 보류해제신호를 수신하면(스텝 401) 보류음발생회로(13)를 제어해서 보류음의 발생을 정지하고(스텝 402) 송신기(5) 및 수신기(8)의 오디오회로를 온으로하는 등의 소정의 보류해제처리를 실행하고(스텝 403) 그후 표시기(30)의 램프를 점멸에서 연속점등으로 변환한다(스텝 404).
또한 무선 전화기(2)는 보류해제 신호 송출후 표시기(31)의 램프를 점멸에서 연속점등으로 변환한다(스텝 413). 따라서 자기 보류상태가 해제되어 다시 통화 상태로 돌아온다.
제 10 도, 제 11 도는 완전 보류상태에 있어서 메인장치(1)의 표시기(30)의 램프 및 무선 전화기(2)의 표시기(31)의 램프는 같이 점멸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무선 전화기(2)의 보류키(26a)를 누르면(스텝 511) 무선전화기(2)에서 메인장치(1)로 보류해제신호가 송출된다.
여기서 메인 장치(1)와 무선 전화기(2)와의 사이에 무선 회선(통화채널)은 차단되어 있어서, 이 보류해제 신호의 송출은 제어채널에 의해 행해지고, 이 보류해제 신호에는 ID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메인장치(1)는 이 보류해제 신호를 수신하여(스텝 501)여기에 포함되는 ID코드가 자기의 것과 일치하면 (스텝 503) 보류음 발생회로(13)를 제어해서 보류음을 정지한(스텝 505)후, ZD코드를 포함한 채널 지정신호를 송출한다(스텝 506).
무선 전화기(2)는 이 채널 지정 신호를 수신하면(스텝 513) ID코드가 자기의 것과 일치하는가를 조사하여(스텝 514) 일치하면 채널 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통화채널로의 변환을 행한다(스텝 515).
메인 장치(1)는 전술한 채널 지정신호의 송출후, 채널 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통화채널로의 변환을 행하고(스텝 507) 표시기(30)의 램프를 점멸해서 연속점등으로 변환한다(스텝 508).
또한 무선 전화기(2)의 표시기(31)의 램프도 통화 채널로의 변환후 점멸에서 연속점등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메인장치(1)와 무선 전화기(2)와의 사이에는 무선회선(통화채널)이 형성되어, 메인장치(1)와 무선전화기는 통화상태로 된다.
또한 완전 보류 상태에서 메인장치(1)의 병설전화기(20)가 오프훅 된 경우의 보류해제 동작은 다음과 같이된다.
병설 전화기(20)의 오프훅은 자동 보류해제 회로(14)의 오프 훅의 판정은 유선전화회선(3)의 전압변화 및 전류의 변화에 의해 판정하고 있다.
완전보류 상태에 있어서 병설 전화기의 오프훅에 검출되면(스텝 502)로 이행한다. 이후의 동작은 무선 전화기(2)에서 보류키(26a)를 누른 경우와 같다.
즉 보류음을 정지하고(스텝 504), 소정의 보류해제 처리를 실행한(스텝 505)후 채널지정신호를 송출하여(스텝 506), 그후 통화 채널의 변환을 행하여(스텝 507) 표시기(30)의 램프를 연속점등시킨다(스텝 508).
또한 무선 전화기(2)는 채널 지정 신호를 수신하여(스텝 513) ID코드가 일치하면 (스텝 514) 통화 채널로의 변환을 행하고(스텝 515) 표시기(31)의 램프를 연속 점등시킨다.
따라서 완전 보류상태는 해제되고 통화상태로 된다. 그런데 병설 전화기(28)에 의한 보류 해제를 가능하게하는 완전 보류 상태로 변환한 후, 사정에 의해 다시 자기 보류 상태로 돌아오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무선 전화기(2)의 다이얼 유니트의 통화키(26c)를 누름으로서 행할 수 있다.
제 12 도, 제 13 도는 통화키(26c)의 누름에 따라 완전 보류 상태에서 자기 보류상태로 변환할때의 메인장치(1) 및 무선 전화기(2)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완전 보류 상태에서 무선 전화기(2)의 통화키(26c)가 눌려지면(스텝 611) 무선 전화기(2)에서 메인장치(1)로 상태 변환 신호가 송출된다.
여기서 메인장치(1)와 무선 전화기(2)와의 사이의 무선 회선(통화 채널)은 차단되어있고, 이 상태 변환신호의 송출은 제어채널에서 행해지고 이 상태 변환신호에는 ID코드가 포함되어있다.
메인장치(1)는 이 초기 변환신호를 수신하여(스텝 601)여기에 포함되는 ID코드가 자기의 것과 일치하면(스텝 602) ID코드를 포함한 채널 지정신호를 송출한다(스텝 603).
무선 전화기(2)는 채널 지정신호를 수신하면(스텝 613)ID코드가 자기의 것과 일치하는가를 조사하여(스텝 614) 일치하면 이 채널 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통화 채널로의 변환을 행한다(스텝 615).
메인장치(1)에 전술한 채널 지정신호의 송출후, 이 채널 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통화 채널에의 변환을 행하고(스텝 604), 표시기(30)의 램프를 점멸에서 연속점등으로 변환한다(스텝 605).
이에따라 메인장치(1) 및 무선 전화기(2)는 자기 보류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보류상태에 있어서 보류해제되는 일없이 일정시간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완전 보류상태로 변환하고, 완전보류 상태에서 보류해제 되는 일없이 일정시간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대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4 도, 제 15 도는 전술한 자기 보류 상태에서 완전 보류상태, 완전 보류 상태에서 대기상태로의 자동 변환에 대해 메인 장치(1) 및 무선 전화기(2)의 각각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자기 보류 상태로 되면 메인장치(1)는 타이머를 스타트 시켜(스텝 701) 보류 해제가 없는가를 감시한다(스텝 702).
보류 해제가 없는 경우는 시간(t1)이 경과했는가 아닌가를 조사하고(스텝 703) 또 시간(t1)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완전 대기상태로의 변환을 위해 완전 보류신호를 수신해 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하여(스텝 705) 완전 보류 신호를 수신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702"로 돌아간다.
이같이 해서 보류해제도 없이, 완전 보류 신호를 수신하지도 않고 시간(t1)이 경과하면 메인장치(1)는 무선 전화기(2)로 통화채널에서 상태 변환신호를 송출한다(스텝 704). 한편 무선 전화기(2)도 보류해제를 감시하고 있어서(스텝 711) 보류해제가 없고, 또 메인장치(1)에서 상태 변환신호를 수신하면(스텝 712)메인장치(1)와의 사이의 무선회선(통화채널)을 차단한다(스텝 713).
또 메인장치(1)도 상태 변환 신호를 송출한 후 무선 전화기(2)와의 사이의 무선회선(통화채널)을 차단하고(스텝 713), 표시기(30)의 램프를 연속점등에서 점멸로 변환한다(스텝 707)
이에따라 메인장치(1) 및 무선 전화기(2)는 완전보류 상태로 된다. 또 메인장치(1)는 "스텝 702"에서 보류 해제라고 판단한 경우는 소정의 보류 해제 처리로 이행하고, 또 무선 전화기(2)도 "스텝 11"에서 보류해제라고 판단하면 소정의 보류 해제 처리로 이행한다.
또 메인장치(1)는 완전보류 신호를 수신하면(스텝 705)자기보류 상태의 경과 시간에 관계없이 완전 보류상태로 이행한다. 메인장치(1)는 완전 보류상태로 되면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스텝 708).
그래서 보류 해제 되는 일 없이(스텝 209), 시간(t2)이 경과하면(스텝 710) 유선회선(3)을 차단해서 대기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무선 전화기(2)도 완전 보류 상태로 되면 타이머를 스타트 시켜(스텝 714) 보류 해제 되는 일없이(스텝 715) 시간(t2)이 경과하면(스텝 716) 대기상태로 돌아온다. 또 "스텝 708", "715"에서 보류해제라고 판단된 경우는 소정의 해제 처리를 실행한다.

Claims (27)

  1. 유선회선에 접속되는 메인장치와, 메인장치에 무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무선 전화기와, 전술한 메인장치에 병설되는 병설 전화기를 갖춘 무선 전화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무선 전화기는 유선 회선을 통하여 통화를 자기 보류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서의 자기 보류상태 설정장치와, 유선회선을 통하여 통화를 완전 보류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서의 완전 보류 설정장치를 갖추고, 전술한 메인장치는 유선회선을 통하는 통화를 보류하는 보류 제어장치와, 전술한 자기 보류 상태 설정장치에 의해 자기 보류 상태로 설정된 때는 전술한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의 보류 해제 조작에 의해서만 전술한 보류 제어장치에 의한 보류의 해제를 가능하게하고, 전술한 완전 보류 상태 설정 장치에 의해 완전 보류 상태로 설정된 때는, 전술한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의 보류 해제조작 또는 전술한 병설 전화기에 있어서의 보류 해제 조작에 의해 전술한 보류제어장치에 의한 보류의 해제를 가능하게하는 보류 해제 제어장치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자기 보류 상태 설정 장치는 보류키를 포함하고 이 키가 조작되어야만 자기보류 상태로 설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완전 보류 상태 설정장치는 보류키와 대화종료키를 포함하는 보류키가 조작된 후에 대화끝남키가 조작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보류 제어장치는 전술한 유선회선을 통하는 통화를 접속상태로 보류하는 보류장치와, 전술한 보류 장치에 의해 전술한 유선 회선을 통하는 통화가 보류되어 있을때에는 전술한 유선회선에 대해서 보류음을 송출하는 보류음 발생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완전 보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갖추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전술한 표시장치는 통화시에 점등하는 램프로서, 이 램프의 점멸에 의해 전술한 완전 보류 상태를 표시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무선 전화기는 자기보류 상태 및 완전 보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전술한 표시장치는 통화시에 점등하는 램프로서, 이 램프의 점멸에 의해 전술한 자기 보류 상태 및 전술한 완전 보류 상태를 표시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완전 보류장치에서 전술한 메인장치와 전술한 무선 전화기를 접속하는 무선회선을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자기보류상태에 있어서, 보류 해제 되는 일 없이 일정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완전 보류 상태로 변환하는 상태 변환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완전 보류 상태에 있어서, 보류 해제 되는 일 없이 일정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회선이 차단되어 대기상태로 변환하는 상태 변환장치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자기 보류 상태에 있어서 보류 해제 되는 일 없이 제 1의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완전 보류상태로 바뀌고, 전술한 완전 보류상태에 있어서 보류해제 되는 일없이 제 2의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회선이 차단되어 대기 상태로 변환하는 상태 변환장치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보류 해제 제어장치는 전술한 병설 전화기의 오프훅을 검출하는 오프훅 검출장치를 갖추고, 전술한 자기 보류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오프훅 검출장치에 의해 전술한 병설전화기의 오프훅이 검출된 경우는 검출출력을 무시하고, 전술한 완전 보류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오프훅 검출장치에 의해 전술한 병설 전화기의 오프훅이 검출된 경우는 이 검출출력에 의해 전술한 보류를 해제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14. 유선 회선에 접속되는 메인장치와, 이 메인장치에 무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무선 전화기와, 전술한 메인장치에 병설되는 병설전화기를 갖춘 무선 전화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무선 전화기는 전술한 유선회선을 통하는 통화를 자기 보류상태로 설정하기 위해서의 제 1의 키장치와, 전술한 유선 회선을 통해서 통화를 완전 보류상태로 설정하기 위해서의 제 2의 키 장치를 갖추고, 전술한 메인 장치는 전술한 병설 전화기의 오프훅을 검출하는 오프훅 검출장치와, 보류음을 발생하는 보류음 발생장치와, 전술한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의 전술한 제 1의 키의 조작에 응답해서 전술한 유선회선을 통하는 통화를 보류함과 동시에 전술한 보류음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보류음을 전술한 유선 회선으로 송출하는 보류 제어 장치와, 전술한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의 전술한 제 1의 키의 조작에 의해 자기 보류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는 전술한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의 보류 해제 조작만으로 전술한 보류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의 전술한 제 1의 키의 조작 및 이것에 이은 제 2의 키의 조작에 의해 완전 보류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는 전술한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의 보류 해제조작 또는 오프 훅 검출장치에 의해 병설 전화기의 오프훅이 검출된 때 보류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보류해제 제어장치와, 전술한 완전보류 상태에 있어서 메인장치와 무선 전화기를 접속하는 무선회선을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 1의 키장치는 보류 키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 2의 키장치는 대화종료키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전술한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의 보류해제 조작은 전술한 제 1의 키를 다시 조작함으로서 행해지도록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전화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전술한 완전 보류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전술한 표시장치는 통화시에 점등하는 램프이고, 이 램프의 점멸에 의해 전술한 완전 보류상태를 표시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전화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전술한 무선 전화기는 자기보류상태 및 완전 보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갖춘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전화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전술한 표시장치는 통화시에 점등하는 램프이고, 이 램프의 점멸에 의해 전술한 자기 보류 상태 및 전술한 완전 보류상태를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전화장치.
  22. 제 14 항에 있어서, 전술한 완전 보류상태에 있어서 보류해제되는 일없이 일정의 설정 시간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완전 보류상태로 변환하는 상태 변환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23. 제 14 항에 있어서, 전술한 완전 보류상태에 있어서 보류해제되는 일없이 일정 시간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회선이 절단되어 대기 상태로 변환하는 상태 변환장치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24. 제 14 항에 있어서, 전술한 자기 보류장치에 있어서 보류해제 되는 일없이 제 1의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완전 보류 상태로 변환하고, 전술한 완전 보류 상태에 있어서 보류 해제 되는 일없이 제 2의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회선이 절단되어 대기 상태로 변환되는 상태 변환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25. 제 14 항에 있어서, 전술한 무선 전화기는 제 3의 키장치를 갖추고, 완전 보류상태에 있어서 제 3의 키장치를 조작하면 자기 보류 상태로 변환하는 상태 변환장치를 갖춘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전화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3의 키장치는 통화키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27. 유선회선에 접속된 메인장치와, 이 메인장치에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무선 전화기로 되고, 전술한 유선 회선에는 메인장치로 병설의 전화기가 접속되고, 전술한 무선 회선전화기 측에서 설정한 유선회선으로의 보류 상태를 무선 전화기측의 보류해제 조작 또는 전술한 무선 회선전화기 측에서 설정한 유선회선으로의 보류 상태를 무선 전화기측의 보류해제 조작 또는 전술한 병설의 전화기의 오프훅에 의해 해제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화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병설의 전화기의 오프훅에 의한 보류상태의 해제 기능을 무선 전화기측에서 유효 또는 무효로 제어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KR1019890011149A 1988-08-04 1989-08-04 무선전화장치 KR920003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94850A JPH0243855A (ja) 1988-08-04 1988-08-04 無線電話装置
JP88-194850 1988-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125A KR900004125A (ko) 1990-03-27
KR920003814B1 true KR920003814B1 (ko) 1992-05-15

Family

ID=1633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149A KR920003814B1 (ko) 1988-08-04 1989-08-04 무선전화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72454A (ko)
EP (1) EP0354049B1 (ko)
JP (1) JPH0243855A (ko)
KR (1) KR920003814B1 (ko)
AU (1) AU617503B2 (ko)
DE (1) DE689261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3855A (ja) * 1988-08-04 1990-02-14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US5247565A (en) * 1989-05-10 1993-09-21 Motorola, Inc. Cellular telephone with keypad controller
JPH0344222A (ja) * 1989-07-12 1991-02-26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US5148471A (en) * 1989-11-20 1992-09-15 Motorola, Inc.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EP0435775B1 (en) * 1989-12-27 1998-12-09 Sony Corporation Cordless telephone
JP2806589B2 (ja) * 1990-01-23 1998-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電話装置
KR940001430B1 (ko) * 1991-04-23 1994-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전화기에서 정전대피 회로 및 방법
US5285495A (en) * 1991-08-27 1994-02-08 Winbond Electronic Corp. Push-button telephone dialing device with telephone hold function circuit
JP2846815B2 (ja) * 1994-05-18 1999-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話装置
TWI254237B (en) * 2003-06-11 2006-05-01 Benq Corp Telepho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 source of a telephone keypad
US20060068852A1 (en) * 2004-09-30 2006-03-30 Doyle Matthew J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terminal and increasing capacit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987A (en) * 1984-04-23 1987-02-03 Keizo Tsukada Cordless telephone
AU4221785A (en) * 1984-05-10 1985-11-14 Nitsuko Ltd. Office line holding circuit
JPS6182560A (ja) * 1984-09-28 1986-04-26 Aisin Seiki Co Ltd 電話装置
JPS6248131A (ja) * 1985-08-27 1987-03-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電話方式
JPH0624337B2 (ja) * 1985-09-30 1994-03-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の着呼信号送出方式
JPS6281133A (ja) * 1985-10-03 1987-04-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電話装置の連続送信禁止方式
JPS62257228A (ja) * 1986-04-30 1987-11-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保留方式
JPH0815353B2 (ja) * 1986-10-30 1996-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ドレス電話装置
US4803718A (en) * 1987-03-06 1989-02-07 Tree Technologies Corporation Hold detecting and control circuit for a key telephone system
JPH0738744B2 (ja) * 1987-03-23 1995-04-26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装置
JPH0243855A (ja) * 1988-08-04 1990-02-14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928189A (en) 1990-08-02
DE68926196D1 (de) 1996-05-15
EP0354049B1 (en) 1996-04-10
KR900004125A (ko) 1990-03-27
JPH0243855A (ja) 1990-02-14
DE68926196T2 (de) 1996-10-02
EP0354049A2 (en) 1990-02-07
AU617503B2 (en) 1991-11-28
EP0354049A3 (en) 1991-11-21
US4972454A (en) 199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548A (en) Out-of-range warning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US4650931A (en) Cordless telephone
KR920003814B1 (ko) 무선전화장치
US5086452A (en) Radio telepho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JPH03108931A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機
EP0298749B2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JPS63222527A (ja) コ−ドレス電話機
JP2563179B2 (ja) コ−ドレス電話機
JP3052568B2 (ja) 無線電話装置
JP2004180087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H11275263A (ja) 回線接続装置
JP348731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0173074B1 (ko) 구내전화 사용시 시외통화 방지장치
JPH0416519Y2 (ko)
JPS63203024A (ja) コ−ドレス電話機
KR940009770B1 (ko)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KR970006780B1 (ko) 무선전화기 핸디의 발신음 포착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KR19980023371U (ko) 벨 및 수신메세지 오프/온 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JPH01245752A (ja) データ端末装置
JPS5937762A (ja) 多機能電話機
KR19980048187A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수신 통화 방법
JP200001347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612088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5236163A (ja) 電話回線自動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