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770B1 -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9770B1 KR940009770B1 KR1019920000222A KR920000222A KR940009770B1 KR 940009770 B1 KR940009770 B1 KR 940009770B1 KR 1019920000222 A KR1019920000222 A KR 1019920000222A KR 920000222 A KR920000222 A KR 920000222A KR 940009770 B1 KR940009770 B1 KR 9400097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
- signal
- audio
- portable device
- receiv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a 도 및 제 1b 도는 무선전화기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장치의 구성도.
제 4a 도 및 제 4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알 톤 정보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톤 신호를 검출하여 스피커로 경보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는 서로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고정장치와 교환기간에는 유선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발신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키 정보를 발생하고, 고정장치는 상기 키 명령에 의해 통회로를 형성한다. 이때 종래의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통해 통화를 시도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키 패드에 있는 통화 버튼을 눌러 통화로를 연결한후, 연결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수화부를 귀에 갖다대어 다이알톤(dial tone)을 인지한후 다이알링을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휴대장치에 송수화부 및 커패드가 모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하는 매번 통화시마다 통화 버튼을 누르고 난후 계속해서 휴대장치를 자신의 귀에 대고 다이알 톤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가 톤신호 검출시 이를 휴대장치로 송출하며, 휴대장치가 수신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상대방 응답시 수화 유니트로 자동 전환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a 도는 고정장치(50)의 블럭구성도로서, 전화기 접속부(10)는 가입자 선로(60)를 통해 교환기와 연결된다. 상기 전화기 접속부(10)는 상기 교환기와 무선전화기간의 각종 톤신호 및 음성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한다.
로직 및 오디오부(20)는 마이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logic unit) 및 송 수신 오디오 처리부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로직 및 오디오부(20)는 전화기 접속부(10)와 무선부(30) 사이에 연결되어 통화로 형성을 위한 신호 및 톤데이타를 검출 및 처리하고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통로를 형성한다.
무선부(30)는 무선송신부, 무선수신부 및 듀플레서등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무선부(30)는 상기 로직 및 오디오 부(20)의 제어하에 휴대장치(170)의 무선부(80)와 음성 및 데이타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한다. 전원공급부(40)는 교류전원(70)을 수신하여 레귤레이팅 한후 고정장치(50)의 각부로 공급한다.
제 1b 도는 휴대장치(170)의 블럭구성도로서, 무선부(80)는 무전송신부 및 무선수신부와 송수분리용 듀플렉서 등을 대장한다. 상기 무선부(80)는 고정장치(50)의 무선부(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듀플렉서는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고, 무선송신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며, 무선수신부는 수신신호를 본래의 신호로 복조한다. 로직 및 오디오부(90)는 상기 무선부(80)와 연결되며, 제어부와 송, 수신 오디오 처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직 및 오디오부(80)는 음성신호 및 각종 신호들을 무선부(80)의 무선송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무선부(80)의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시되는 각종 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표시부(100)는 상기 로직 및 오디오부(90)의 제어하에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키패드(110)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각종 키 데이타를 상기 로직 및 오디오부 (90)로 출력한다. 송화부(120)는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로직 및 오디오부(90)로 출력한다. 수화부(120)는 상기 로직 및 오디오부(90)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및 각종 톤 신호를 가청신호로 재생한다. 스피커(140)는 상기 로직 및 오디오부(90)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및 각종 톤 신호를 가청신호로 재생한다. 신호전환부(150)는 상기 로직 및 오디오부(90)의 제어하에 스위칭되어 오디오 신호 및 각종 톤 신호를 수화부(130) 또는 스피커(140)로 스위칭 연결한다. 베터리 팩(160)로 상기 휴대장치(170)의 각 구성요소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 1 도의 구성에 의거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170)에 스피커(Speaker)(140)를 내장하고 고정장치(150)에 각종 톤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를 구성하며,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고자 할때 다이알 톤, 다이알링 신호음(MTMF tone), 비지톤(busy tone) 또는 링백톤(Ring back tone) 등을 휴대장치(170)의 스피커(140)를 통해 자연스럽게 감시(monltoring)하며, 상대방 응답시는 자동적으로 스피커(140)에서 수화부(130)로 신호를 전환시켜 주게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140)는 기존의 부저(Bugger)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용 사용이 가능하다.
무선전화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장치(50)와 휴대장치(170)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장치(170)는 2차 전자인 Ni-Cd바테리(160)로 DC전압을 발생하여 각 구성요소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고정장치(50)는 상용 교류전원(70)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부(40)를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화기의 발신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휴대장치(170)의 커패드(110)내에 설치된 통화버튼(talk switch)을 누르면, 로직 및 오디오부(90)에 있는 제어부가 이를 인지하고 발신 처리 데이타를 발생하며, 무선부(80)의 무선송신부를 통해 고정장치(50)에 무선으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고정장치(50)에서는 휴대장치(170)의 발신신호를 무선부(30)를 통해 수신한후 로직 및 오디오부(20)내의 제어부에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전화기 접속부(10)를 제어하여 가입자 선로(60)를 통해 교환기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교환기에서는 가입자 선로 (60)를 통해 다이알 톤(dial tone)신호를 송출하며, 이때 고정장치(50) 및 휴대장치(170)는 이 신호기 휴대장치(170)의 스피커(140)를 통해 올려지도록 각 회로부를 제어한다. 그러면 사용되는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발신음을 듣게되며, 이후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면 상기 송출되는 다이알 신호 역시 스피커(140)를 통해 감시(monltoring)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다이알링을 마치게 되면 교환기는 이를 인지하고 상대방을 호출함과 동시에 링백톤(Ring back tone)을 올려주게되며, 이는 계속해서 휴대장치(170)의 스피커(140)를 통해 울려지게 된다. 이때 상대 착신가입자가 응답하는 순간 교환기는 링백톤을 멈추게되며, 고정장치(50)에서는 이를 인지하여 휴대장치에 알리고 휴대장치(170)는 신호전환부(150)을 제어하여 수신신호를 수화부(130)측으로 연결하여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라 고정장치(50)에서 각종 통을 검출하여 휴대장치(170)로 송출하는 고정장치의 구성도로서, 훅크스위치(201)는 제1가입자 선로 a에 연결되며 마이콤(208)의 제어하에 온/오프 스위칭되어 통화로를 형성한다. 브리지 다이오드(202)는 상기 훅크 스위치(201)과 제2가입자 선로 b사이에 연결되어 가입자 선로의 출력을 정류한다.
수신 오디오 회로(203)는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202)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며 무선부(30)의 송신부로 인가된다. 송신오디오 회로(204)는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202)와 연결되며, 상기 무선부(30)의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202)로 인가한다. 대역 통과 필터(208) 및 A/D변환기(206)는 브리지 다이오드(202)와 마이콤(208)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다이알 톤을 검출하여 마이콤(208)으로 출력한다.트랜지스터(207)는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202)와 마이콤(208) 사이에 연결되며, 다이알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트랜지스터(207)는 펄스식 다이알링시 사용되며, DTMF방식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DTMF발생기(Dual Tone Multi Frequency generator)를 사용하면 된다. 제너 다이오드(209) 및 캐패시터(210)는 상기 제2가입자 선로 b와 마이콤(208)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마이콤 (208)으로 인가한다. 상기 마이콤(208)은 무선부(30)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170)와 데이타 통신 을 수행하며,교환기와 각종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장치(170)의 구성도로서, 송신오디오 회로(301)는 송화부(305)와 연결되며 상기 송화부(305)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부(80)의 무선송신부로 인가한다. 신호전환부(302)는 제1 및 제2 수신오디오 회로(303,304)와 연결되며, 상기 무선부(80)의 무선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마이콤(308)의 제어하에 스위칭시켜 상기 제1 또는 제2수신 오디오 회로 (303,304)로 연결한다.
제1수신 오디오 회로(303)는 수화부(306)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수화부(306)로 연결한다. 제2수신 오디오회로(304)는 스피커(307)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307)로 연결한다. 마이컴(308)은 도시하지 않은 커패드(110)의 출력키 데이타에 의해 휴대장치(1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통화시작시 상기 신호전환부(302)를 제어하여 제2수신 오디오 회로(304)와 수신 통로를 형성하고, 상대방 응답시 상기신호전환부(302)를 제어하여 제2수신 오디오 회로(304)와 수신통로를 형성하고, 상대방 응답시 상기 신호 전환부(302)를 제어하여 제1수신 오디오 회로(303)와 수신통로를 형성한다.
제 4a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170)의 동작 흐름도이고, 제 4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50)의 동작흐름도이다.
상술한 제 2 도 및 제 3 도의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 4a 도 및 제 4b 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전화기가 수신대기 상태일때 고정장치(50)는 훅크 스위치(201)에 의해서 가입자 선로와 분리되어 있으며, 단지 제2가입자 선로 b에 의해 연결된 링 검출 회로인 제너다이오드(209) 및 캐패시터(210)를 통해 착신링(Incoming call)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신대기 상태에서 휴대장치(170)에 의해 고정장치(50)가 훅크오프(HOOK OFF)를 인지하게 되면 마이콤(208)에서는 훅크스위치(201)를 온(ON)시켜 가입자 서로는 브리지 다이오드(202) 양단을 통해 송,수신 오디오 회로(203,204)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170)로부터 다이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콤(208)에서는 휴대장치(170)의 다이알 정보를 트랜지스터(207)를 통해 다이알링 한다. 그러나 DTMF방식인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DTMF발생기를 통해 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톤 검출회로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면, 휴대장치 (170)의 발신 신호에 따라 고정장치(50)의 훅크스위치(201)가 "온"되면 발신음 신호가 브리지 다이오드(202)를 통해 톤 검출회로로 인입된다. 상기 톤 검출 회로는 대역 통과 필터(205)와 A/D변환기(206)로 구성되는데, 상기 대역 통과 필터(205)는 정해진 ㅈ파수 이외의 신호성분을 제거하며, 상기 A/D 변환기(206)는 다이알 톤 몇 횡백손을 정확히 분석하여 디지탈 신호로 재생하여 마이콤(208)으로 전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다잉라 톤 신호는 400±40㎐이며, 링백톤은 460±20㎐로서, 마이콤(208)에서는 A/D변환기(206)를 통해 들어오는 디지탈 신호의 주기를 확인하여 입력된 신호의 상태 및 유무를 판독하고 그 내용을 휴대장치(170)에 보내어 준다.
또한 무선 전화기가 수신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신을 하게되면, 휴대장치(170)의 마이콤(308)에서는 신호전환부(302)를 제어하여 수신 오디오 신호를 제2수신 오디오 회로(304)로 인가함으로서 스피커(307)로 연결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307)를 통해 다이알 톤을 듣게되며, 이로인해 휴대장치(170)의 수화부(306)를 귀에 댈 필요없이 계속해서 다이알링을 하게된다. 이후 다이알링이 완료되면 상대 전화기가 응답할때까지의 링백톤이 올리게 된다.
이때 상대방의 착신가입자가 응답하며 마이콤(308)에서는 신호전환부(302)를 제어하여 수신 오디오 신호를 제1수신 오디오 회로(303)을 통해 수화부(306)로 연결하여 정상적인 통화조건을 제공한다.
상기 과정을 제 4a 도 및 제 4b 도를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한다.
먼저 휴대장치(170)이 마이콤(308)의 (401)단계에서 커패드(110)를 통해 통화버튼(talk switch)의 발생을 감지하면, (402)단계에서 발신 사작인을 알리는 데이타를 발생하고, 신호전환부(302)를 제어하여 수신 오디오 신호의 통로를 제2수신 오디오 회로(304)에 연결한다. 그러면, 상기 발신 시작데이타는 상기 무선부(80)의 무선송신부를 통해 송출된다.
또한 상기 마이콤(308)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스피커(307)로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경보 모드로 천이한다. 이때 고정장치(50)의 마이콤(208)은 무선부(30)의 무선수신부를 통해 이를 수신하여 (451)단계에서 통화 시작임을 인지하고, (452)단계에서 훅크 스위치(201)를 온시켜 교환기와 통화루프를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다이알 톤 신호가 수신되므로, 상기 마이콤(208)은 대역 통과 필터(205) 및 A/D변환기(206)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탈 신호를 분석하는데, (453)단계에서 다이알 톤 신호로 감지하면 그 내용을 휴대장치(70)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휴대 장치(170)의 마이콤(308)은 (403)단계에서 스피커(307)의 구동 모드인 경보모드(alert mode)로 구성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신호 전환부(302) 및 제2수신 오디오 회로(304)를 통해 스피커(307)로 인가되어, 스피커(307)를 통해 가청음으로 재생된다.
따라서 휴대장치(70)의 사용자는 통화버튼 조작후, 수화부(306)를 귀에 대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이알 톤을 수신할 수 있게 되며, 다이알 톤 신호를 들은 후 바로 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110)를 통해 다이알 키 정보를 발생하면, 상기 마이컴(308)은 (404)단계에서 수신되는 다이알 정보를 고정장치(50)로 송출한다.
그러면 고정장치(50)의 마이콤(208)은 상기 다이알 정보를 수신한후, (454)단계에서 상기 교환기로 다이알링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펄스 다이알링 방식인 경우에는 트랜지스터(207)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다이알 펄스를 발생하고, DTMF다이알링 방식이면 DTMF 발생기를 구동하여 DTMF신호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다이알링을 완료하면, 교환기는 해당 다이알링 번호에 대응하는 착신가입자 측으로 링신호를 공급하여 착신이 발생됐음을 알리는 동시에 발신가입자 측으로 링백톤을 공급한다. 또한 착신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이면 비지톤을 공급한다. 그러면 마이콤(208)은 대역 통과 필터(205) 및 A/D변환기(206)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탈 신호를 분석하면, (455)단계에서 링백톤 또는 비지톤임을 감지하면, 휴대장치도 그 내용을 송출한다.
이때 상기 휴대 장치(170)의 마이콤(308)은 (455)단계에서 경보모드를 계속 수행하고 있으므로, 수신되는 링백톤 신호 또는 비지톤 신호는 신호 전화부(302) 및 제 2 수신 오디오 회로(304)를 통해 스피커(307)로 재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링백톤 또는 비지톤이 수신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링백톤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착신가입자가 응답을 하면(hook off), 교환기는 상기 공급중인 링백톤신호를 단절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장치(50)의 마이콤(208)은 링백통의 단절을 인지하고 (456)단계에서 상대방이 응답했음을 알리는 데이타를 휴대장치(170)로 송출한다.
그러면 휴대장치(170)의 마이콤(308)은 (406)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신호전환부(302)를 제어하여 수신 오디오 통로를 제1수신 오디오 회로(303)와 연결한다. 따라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신호전환부(302) 및 제1수신 오디오 회로(303)를 통해 수화부(306)로 인가되므로,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휴대장치(170)의 송화부(305) 및 수화부(306)를 통해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에서 발신 통화 시도시, 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톤신호를 휴대장치의 스피커로 재생하므로, 사용자는 휴대장치를 귀에 대지 않고 발신통화를 시도할 수 있으며, 착신가입자 응답시 자동적으로 수신 오디오 신호통로를 휴대장치의 수화부로 연결하므로서 이후의 통화 기능을 휴대장치를 통해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장치와 교환기간에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전화기의 톤 경보 회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톤신호들을 검출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출력하는 톤검출 수단과, 상기 디지탈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톤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출력할 수 있도록 오디오 신호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및 데이타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장치가, 수화부와 연결되는 제1수신 오디오 회로와,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2수신 오디오 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수신 오디오 회로와 연결되는 신호전환부와, 통화버튼 수신시 상기 신호전환부를 제어하여 제2수신 오디오 회로로 수신통로를 형성하여 경보모드를 세트하고 응답데이타 수신시 상기 신호 전환부를 제어하여 제1수신 오디오 회로로 수신통로를 형성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발신 통화 시도시 상기 신호기 스피커를 통해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다이알 톤 및 링백톤을 경보하고, 착신가입자 응답시 스위칭되어 수화부 정상적인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방법에 있어서, 휴대장치가 통화 버튼의 수신인지시 발신시작 데이타를 고정장치로 송출하고 오디오 수신 경로를 스피커 측으로 전환하여 경보를 세트하고 과정과,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발신 시작 데이타 수신시 교환기와 유선 통화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다이알톤을 검출하여 상기 휴대 장치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다이알톤을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수신되는 다이알 정보를 상기 고정장치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장치가 다이알 정보 수신시 상기 교환기로 다이알링하며, 상기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링백톤을 검출하여 상기 휴대장치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링백톤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장치가 링백톤의 중지유무를 검사하며, 상기 링백톤 단절시 상기 휴대장치로 착신 가입자의 응답 데이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응답데이타 수신기, 상기 오디오 수신 경로를 수화부측으로 절환하여 경보 모드를 해제하고 통화모드를 세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00222A KR940009770B1 (ko) | 1992-01-09 | 1992-01-09 |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00222A KR940009770B1 (ko) | 1992-01-09 | 1992-01-09 |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7352A KR930017352A (ko) | 1993-08-30 |
KR940009770B1 true KR940009770B1 (ko) | 1994-10-17 |
Family
ID=1932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00222A KR940009770B1 (ko) | 1992-01-09 | 1992-01-09 |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9770B1 (ko) |
-
1992
- 1992-01-09 KR KR1019920000222A patent/KR94000977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7352A (ko) | 1993-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61806A (en) | Method and circuit for setting dialing data in a wireless telephone | |
US5602900A (en) |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 |
JPH09149120A (ja) | 発信電話番号表示コードレス電話機 | |
JPH03289824A (ja) | 通信装置 | |
KR940009770B1 (ko) |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 |
JP2744294B2 (ja) |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 |
JP2563179B2 (ja) | コ−ドレス電話機 | |
US8948349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0438137A2 (en) |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 |
JPS6394748A (ja) | コ−ドレス通話装置 | |
JPS63119350A (ja) | コ−ドレス通話装置 | |
JPS6079860A (ja) | 自動受信方式 | |
KR0122449B1 (ko) | 룸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전화장치 | |
JP2563178B2 (ja) | コ−ドレス電話機 | |
KR20010090057A (ko) |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 |
KR200254223Y1 (ko) |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 |
KR0149595B1 (ko) |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 |
JP3286521B2 (ja) | 電話装置 | |
JP2648128B2 (ja) | Mca用交換機接続装置 | |
JP2899444B2 (ja) | 無線電話装置 | |
JPH06197159A (ja) | 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装置 | |
JPS63296551A (ja) | 端末制御装置 | |
JPH07303129A (ja) | コードレス電話装置 | |
JPH05183613A (ja) | コ−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通話中デ−タ伝送方法 | |
JPS61242146A (ja) | ダイヤルト−ンの可視表示方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