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595B1 -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595B1
KR0149595B1 KR1019950010161A KR19950010161A KR0149595B1 KR 0149595 B1 KR0149595 B1 KR 0149595B1 KR 1019950010161 A KR1019950010161 A KR 1019950010161A KR 19950010161 A KR19950010161 A KR 19950010161A KR 0149595 B1 KR0149595 B1 KR 0149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ssage
processing means
controlling
mi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791A (ko
Inventor
강병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595B1/ko
Publication of KR96003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04M1/645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with speech synth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응답전화기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응답전화기에서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효율적으로 서비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이, 착신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착신시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부재 상태 및 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설정시간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안내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세지 송출 후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수신되는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고 수신되는 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설정시간을 저장하는 과정과, 통화로를 단절하고 설정시간까지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설정시간일 시 상기 저장중인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 가입자가 응답시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부재중 상태임을 통보하고 통화로를 단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응답전화기에서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송출할 시 호출측 가입자가 설정한 시간에 응답전화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통보함.

Description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응답전화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응답전화기에서 부재중 안내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응답전화기의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부재중 상태일 시 발신자가 원하는 시간에 사용자의 응답 상태를 통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답전화기는 음성처리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응답전화기는 사용자가 부재중 상태일 시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착신되는 호에 대해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송출하고, 또한 상대방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성메세지를 녹음하여, 나중에 사용자가 요구할 시 이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응답전화기는 사용자의 원격조작에 의해 부재중인 상태에서 녹음된 내용을 재생하여 전화라인 상으로 송출한다. 또한 응답전화기의 다른 기능으로서 페이징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응답전화기에 자신의 페이저수신기의 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부재중인 상태에서 호출되면, 상기 응답전화기는 페이징 기능의 수행 유무를 문의하고 호출한 상대방 가입자 페이징 기능을 요구하면 응답전화기는 저장 중인 페이저번호를 자동 다이알링하여 페이저수신기를 호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응답전화기의 사용자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호출한 상대방은 응답전화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메시지를 통보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응답전화기에서 발신자 측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답전화기에서 발신자의 메세지를 저장하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해당하는 발신자를 호출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이, 착신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착신시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부재 상태 및 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설정시간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안내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세지 송출 후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수신되는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고 수신되는 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설정시간을 저장하는 과정과, 통화로를 단절하고 설정시간까지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설정시간일 시 상기 저장중인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 가입자가 응답시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부재중 상태임을 통보하고 통화로를 단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응답전화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어부111은 응답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1은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및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 등을 구비한다. 시계회로부112는 현재의 시간 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상기 시계회로부112는 상기 제어부111에서 구현할 수도 있다. 키입력부113은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표시부114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응답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링검출부115는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온-후크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11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한다. 릴레이부116은 훅크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전화라인과 응답전화기의 통화로를 연결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화회로부117은 상기 릴레이부116과 송수화부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통화회로부117은 음성회로(speech IC)로서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각종 톤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송수화부는 마이크 및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응답전화기인 경우에는 RF신호를 처리하는 수단이 상기 송수화부와 병렬 연결된다. DTMF발생부118은 상기 제어부11과 통화회로부117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117로 출력한다. DTMF수신부119는 통화회로부117과 제어부111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통화회로부117에서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20은 통화회로부117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통화회로부117에서 수신되는 음성메세지를 녹음하거나 녹음한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통화회로부117에 출력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응답전화기에서 사용자의 부재중 상태를 호출한 상대 가입자로 통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외출하거나 부재중 상태에서 응답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키입력부113을 통해 자동 응답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데이타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111은 키입력부113에서 자동 응답설정키를 입력하면, 이를 감지하고 내부의 메모리에 자동 응답모드를 세트한다. 이후 제어부111은 211단계에서 현재 자동 응답 기능의 설정되었는가 검사하며, 아닌 경우에는 리턴하여 일반적인 발신 기능 또는 착신 기능을 서비스한다.
그러나 자동응답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211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착신유무를 검사한다. 이때 링검출부115는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외부 전화라인 상의 링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전화라인 상에 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링검출부115는 이를 상기 제어부111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링검출부115에서 링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212단계에서 착신 상태임을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릴레이부116을 제어하여 전화라인과 통화회로부117을 연결하므로서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1은 214단계에서 음성처리부120을 제어하여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송출시킨다. 이때 상기 음성처리부120은 데크 로직(deck logic)이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성처리부120이 DSP인 경우 음성메모리에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미리 녹음시켜 놓는다. 이때 상기 부재중 안내메세지는 부재중 상태정보를 호출측의 상대방 가입자에게 다시 통보하기 위하여 상대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통보시간의 입력을 요구하는 음성 메시지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음성처리부120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재생하여 송출하면, 통화회로부117은 이를 전화라인 상으로 출력한다.
상기 안내메세지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111은 215단계에서 음성처리부120을 제어하여 녹음 모드로 세트한다. 이때 전화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호출측의 상대방 가입자가 상기 안내메세지를 청취한 후 음성 메시지를 발생하면, 음성처리부120은 통화회로부117을 통해 이를 수신하며 수신된 음성메세지를 디지탈 변환 및 압축하여 내부의 음성메모리에 녹음한다.
상기 메시지를 출력한 후 상대방 가입자가 자신의 전화번호나 페이저번호 및 통보설정시간 정보를 발생하면 통화회로부117은 이를 DTMF수신부119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DTMF수신부119는 수신되는 DTMF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 후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11은 217단계에서 상기 DTMF수신부119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시계회로부112로부터 현재의 시간정보를 읽어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1은 릴레이부116을 스위칭제어하여 전화라인과 통화회로부117의 연결을 차단한다. 따라서 응답전화기는 통화 종료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통화 종료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219단계에서 상기 시계뢰로부112에서 변화되는 시간 정보를 읽어 호출한 상대 가입자에게 통보할 시간이 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231단계로 되돌아가 전화기가 훅크오프되었는가 검사한다. 즉, 부재중인 사용자가 응답전화기를 훅크오프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발신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219단계로 되돌아가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231단계에서 훅크오프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111은 232단계로 되돌아가 발신 통화서비스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219단계에서 통보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220단계에서 다시 릴레이부116을 제어하여 전화라인과 통화회로부117을 연결하여 통화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1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 중인 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리드하여 DTMF발생부118에 출력한다. 그러면 DTMF발생부118은 상기 제어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117로 출력하며, 통화회로부117을 이를 전화라인으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다이알링을 한 후 상기 제어부111은 통화회로117을 통해 상대 가입자가 응답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상대 가입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221단계에서 음성처리부120을 재생모드로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처리부120은 음성메모리에 저장 중인 음성메세지를 신장하고 이를 다시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응답전화기의 사용자가 아직 부재중 상태임을 통보한다. 상기 음성처리부117에서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를 통화회로부117을 통해 전화라인으로 송출되며, 상대 가입자는 자신이 설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응답전화기의 사용자가 아직 부배중 상태에 있음을 통보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재중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 후, 제어부111은 222단계에서 릴레이부116을 제어하여 통화로를 차단하고 대기상태로 천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응답전화기에서 부재중 상태일 시 상대방 가입자가 설정한 시간에 응답전화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방 가입자는 응답전화기에서 자동으로 자신이 설정한 시간에 송출되는 음성메세지를 청취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빈번한 통화 시도를 하지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에 있어서, 착신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착신시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부재 상태 및 호출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설정시간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안내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세지 송출 후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수신되는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고 수신되는 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설정시간을 저장하는 과정과, 통화로를 단절하고 설정시간까지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설정시간일 시 상기 저장중인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 가입자가 응답시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부재중 상태임을 통보하고 통화로를 단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2. 부재중 안내메세지를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에 있어서, 착신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착신시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부재 상태 및 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설정시간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안내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세지 송출 후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수신되는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고 수신되는 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설정시간을 저장하는 과정과, 통화로를 단절하고 설정시간까지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설정시간일 시 상기 저장중인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 가입자가 응답시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부재중 상태임을 통보하고 통화로를 단절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훅크오프 상태 감지시 발신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KR1019950010161A 1995-04-27 1995-04-27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KR0149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161A KR0149595B1 (ko) 1995-04-27 1995-04-27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161A KR0149595B1 (ko) 1995-04-27 1995-04-27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791A KR960039791A (ko) 1996-11-25
KR0149595B1 true KR0149595B1 (ko) 1998-11-02

Family

ID=1941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161A KR0149595B1 (ko) 1995-04-27 1995-04-27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5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791A (ko)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08783A (en) Announcing CLI
KR016437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EP0927484B1 (en) On hold call waiting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0155633B1 (ko) 자동응답시스템에서 전화수신 시 인사메세지 자동송출방법
KR0149595B1 (ko) 응답전화기의 부재중 안내 방법
KR0155635B1 (ko) 3인통화 서비스가 가입된 자동 응답 전화기에서 착신신호를 외출지로 자동연결하는 방법
KR0155634B1 (ko) 전화기의 호 대기 방법
KR100268672B1 (ko) 부재중발신자정보알림장치및방법
JP3801799B2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着信報知方法
KR100506277B1 (ko) 사설교환기에서착신호전환상태통보방법
KR100212742B1 (ko) 자동 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에서 무선호출기로 녹음 갯수를 송출하는 방법
KR100273631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의 착신거부상태 알림방법
KR100320303B1 (ko) 셀룰라폰의발신자메세지저장방법
KR100400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답신호를 이용한 통화 연결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JP3473270B2 (ja) 電話装置
JP3349980B2 (ja) 電話装置
KR100232787B1 (ko) 자동응답시스템에서 메모 확인 정보 전송 방법
KR0136938B1 (ko) 자동 응답 장치의 고정 응답 메세지 자동 변경 송출 방법
KR940009770B1 (ko)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KR100247197B1 (ko)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메모녹음 확인방법
JPH04215355A (ja) 割込呼出応答方式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KR19990004051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