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973B1 -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973B1
KR910001973B1 KR1019870001170A KR870001170A KR910001973B1 KR 910001973 B1 KR910001973 B1 KR 910001973B1 KR 1019870001170 A KR1019870001170 A KR 1019870001170A KR 870001170 A KR870001170 A KR 870001170A KR 910001973 B1 KR910001973 B1 KR 910001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prom
data
counter
image forming
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231A (ko
Inventor
시즈오 쯔지야
도시오 나가사까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가이샤
가시오 다다오
가시오 덴시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가이샤, 가시오 다다오, 가시오 덴시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2Counting the number of copies; Bi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9/00Counting of objects in a stack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40Monitoring; Error detection; Preventing or correcting improper counter operation
    • H03K21/403Arrangements for storing the counting state in case of power supply interrup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
제1도는 전자사진 복사기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용지 카세트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카운터장치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블럭 다이어그램.
제4도는 제3도에 표시한 CPU의 어드레스 맵을 표시하는 도면.
제5도는 제3도에 표시한 EEPROM의 어드레스 맵을 표시하는 도면.
제6도는 제3도에 표시한 RAM의 어드레스 맵을 표시하는 도면.
제7a도 내지 제7c도는 전원 투입시의 EEPROM에 기억된 카운트 데이터를 RAM의 카운트 에리어에 독출하기 위한 CPU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아트.
제8a도 및 제8b도는 RAM의 카운트 업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아트.
제9a도 및 제9b도는 RAM의 데이터를 EEPROM에 기입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ROM
3 : RAM 4 : EEPROM
6 : 어드레스 디코더 14 : 센서
22a-22c : 자석 23a-23c : 리드 스위치
본 발명은 전자사진 복사기 등의 프린트 매수의 계수에 적합한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류의 장치로서는, 전자(電磁) 카운터와 캠을 조합한 기계적인 카운터를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전자 카운터가 보급되고 있다. 예를들면 선행기술로서 특개소 60-133465호가 있다. 이것은 전자 메모리수단으로서 RAM을 사용하여, 복사의 총계매수를 기억한다. 특개소 59-61854호에서는 화상형성 유닛의 개별 사용량을 불휘발성 RAM에 기억시킨다. 이들 메모리수단은 모두 전원을 차단한 경우에 기억된 데이터가 소실되기 때문에 버퍼전원을 필요로 한다. 또 특개소 57-163276호에서는 화상형성 유닛마다 개별 프린트 매수를 카운트회로에 적산하여 기억시키나, 이 카운트회로에는 백업용 전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백업용 전원으로, 예를들면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지가 수명을 가지므로 정기적인 교환이 필요하게 되어 복잡하게 되며, 교환을 잊어버리면 불량상태가 발생한다. 또 주전원의 차단시에는, 메모리수단으로서의 RAM에의 액세스를 금지하거나, 이 RAM을 CPU에 내장하고 있을경우 CPU가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RAM만이 백업되고 CPU는 동작하지 않는 슬립상태로 하지 않으면 안되며, 주전원의 차단, 투입에 시이퀸스를 필요로 한다. 즉 주전원이 차단되어 백업용 전원에 이행할때, RAM에의 데이터 이전처리를 하는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주전원의 전압을 감시하고, 주전원이 완전하게 차단되어 CPU의 동작이 정지하기전에 CPU에서 처리중인 데이터를 RAM에 격납하는 이전처리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단가도 상승한다. 이에 대하여 전원을 부속시키지 않는 EEPROM의 사용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일단 기억된 데이터를 소거하는데 자외선을 대체로 5분 정도 조사(照射)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사용빈도가 높은 기기에 있어서는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EEPROM을 채용함으로써 백업용 전지가 필요없게 됨과 동시에, 장치의 구성도 간단하게 될수 있을뿐 아니라, 데이터의 소실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운터장치는 데이터를 독출/기입 가능한 EEPROM와, 1용지에 대하여 1화상을 형성하는 1화상형성 사이클동작의 실행종료마다 1화상형성동작의 실행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신호 발생수단으로 부터의 신호에 맞추어 상기 EEPROM에 독출된 데이터를 초기치로 하여 화상형성동작에 대응한 연산동작을 반복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EEPROM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지령 및 상기 연산수단에서 얻어진 연산결과를 상기 EEPROM에 기입하는 지령을 부여하는 처리수단과, 상기 EEPROM에의 소정회의 데이터 기입마다에 상기 복수 에리어의 지정영역을 변경하여 어드레스하는 어드레스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는, 계수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 EEPROM을 사용함으로 백업용 전지나, 전원이행에 수반되는 전원 시이켄스를 필요없게 하여 구성도 극히 간단하게 할수 있다. 또 백업용 전지가 필요없이 되면서도 어떠한 사태에 있어서도 데이터의 소실은 없고 확실하게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카운터장치가 전자사진 복사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전자사진 복사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101)의 주위에는 대전기(102), 화상 노광장치(103), 현상기(104), 전사기(105) 및 크리닝(Cleaning)장치(106)가 배설된다. 감광체(101)와 크리닝장치(106)는 교환 가능하게 유닛구성으로 되며(이하 이 유닛을 드럼세트라 칭함), 전자사진 복사기의 본체(20)에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현상기(104)에 사용되는 현상제도 소모재이므로 교환의 필요상 상기 드럼세트의 구성요소에 가하여, 현상기(104)를 일체화하는 구성으로서, 본체(20)에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사용자는 소망한 크기의 용지를 수납할 용지 카세트(21)를 본체(20)에 장착한다. 용지 카세트(21)의 외벽면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지크기를 구별하기 위하여 자석(22a,22b,22c)이 취부되는 자석고정부가 3개소 형성된다. 예를들면, 이들 자석고정부 전부에 자석(22a,22b,22c)이 각각 취부되면, 그 카세트에는 B4 사이즈의 용지가 수납되는 것으로 하고 3개소의 자석고정부내의 2개부의 자석(22a,22b)이 각각 취부되면, A4 사이즈의 용지가 수납되는 것으로 한다. 이 자석고정부에 선택적으로 취부된 자석의 자기를 검지하기 위하여, 본체(20)내에는 각 자석고정부에 대응한 위치에 리드 스위치(23a,23b,23c)가 형성된다. 따라서 자석과 리드 스위치에 의하여 용지 사이즈를 검지하고, 이 검지신호는 CPU(1)에 송출된다.
다음에 이 전자사진 복사기의 화상형성 공정을 설명한다.
상기 감광체(101)의 표면에는 미리 대전기(102)에서 일률적으로 전하가 부여된다. 이 표면에는 광학계를 포함한 화상노광장치(103)에 의하여 화상정보를 포함한 화상광이 조사되므로서, 화상에 대응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은 현상기(104)에 의하여, 토너에 이하여 현상된다. 이 현상된 토너상은 용지 카세트(21)에서 송출되어 급지롤러(107), 레지스트 롤러(108)를 통하여 공급된 용지위에, 전사기(105)에서 타이밍을 취하면서 잔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장치(109)에 보내져, 여기서 토너상이 용지에 정착된다. 정착된 용지는 배지(排紙)롤러(110)에 의하여 복사기 외부에 배지 트레이(111)에 배출된다. 상기 배지롤러(110)의 직전 용지 반송기(112)의 근방에는 용지통과를 검지하는 배지센서(113)가 배설된다. 이에 의하여 1용지에 대한 화상형성동작의 완료됨이 검출된다.
상기한 전자사진 복사기의 카운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며, ROM(Read Only Memory)(2)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전자사진 복사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3)은 RAM(Random Access Memory), (4)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이며,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소거, 기입을 할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후술하는 바와같이, RAM(3), EEPROM(4)과 CPU(1)로 데이터버스(5)를 통하여 데이터의 수수를 함으로써, 전자사진 복사기의 프린트 매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장치를 구성한다. CPU(1)는 내부에 프로그램 카운터(PC), 스태크(S), 레지스터(A), 레지스터(B), 레지스터(X), 플래그(F), 연상논리 유닛(ALU)을 가지며, 상기와 같은 프린트 매수의 계수 등의 전자사진 복사기의 제어를 한다.
또 (6)은 어드레스 디코더로서, 어드레스 버스(7)를 통하여 출력래치(8,9) 및 입력버퍼(10,11)에 접속된다. 출력래치(8)의 출력신호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세그먼트의 표시기(12)에 입력되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CPU(1)의 지령에 따라 프린트 매수를 표시한다. 출력래치(9)의 출력은 부하(13), 즉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감광체의 구동장치, 현상기 등의 각 부품에 출력된다. 또 입력버퍼(10,11)에는 각종 센서(14)와, 조작패널위의 키보드로 되는 입력부(15)에는 센서출력 및 프린트 매수가 입력된다. CPU(1)는 이 입력에 의거하여 설정매수의 프린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센서 출력에 의하여 동작조건을 제어한다.
제4도는 CPU(1)의 어드레스 맵을 표시한 것이고, RAM(3)은 어드레스(0000-0080)에, EEPROM(4)은 어드레스(4000-4800)에 위치하고 있다. 또 I/O는 어드레스(8000-8020)에, ROM(2)은 어드레스(COOO-FFFF)에 위치하며, 기타 어드레스는 미사용이다.
제5도는 EEPROM(4)의 어드레스 맵을 표시한 것으로, 도시와 같이 그 1단위의 에리어에는 TOTLCNT, DRMCNT, LiFCNT, DRALCNT, CNTCTW로서 표시한 데이터 기억 에리어를 갖는다. TOTLCNT(Total Counter)는 전자사직 복사기의 전체 프린트 매수를 기억하는 것으로, 3바이트로 된다. DRMCNT(Drum Counter)는 새로운 감광체가 장치에 장착된후 프린트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수명에 도달하고, 다음의 새로운 감광체로 교환작업이 필요하게 되기까지의 사이에 실시되는 프린트 매수를 계수 기억하는 것으로, 2바이트로 된다. 전자사진 복사기는 제1도에서와 같이, 감광체(101)가 수명을 가지며, 또 크리닝장치(106), 현상기(104)도, 보수점검에 의하여 교환이 필요가 발생하게 되며, 이들을 일체로 하여 화상형성 유닛으로 하고 복사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광체(101)와 크리닝장치(106)를 일체화하여 드럼세트로 하고, 이 드럼세트의 사용량을 드럼 카운터로 계수하여,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하면 새로운 드럼세트와 교환한다. 따라서 DRMCNT에 드럼세트의 프린트 매수를 기억시켜서 수명관리를 한다. LiFCNT(Life Counter)는 메인 티넌스(Maintenance)시기를 관리하기 위한 플래그를 격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1바이트로 된다. DRALCNT(Drum Alarm Counter)는 상술한 드럼세트가 수명에 도달하기 전에 예고를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1바이트이다. CNTCTW(Counter Conrol Word)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으나, 용지의 사이즈에 따라 카운트방법을 바꾸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1바이트). 이와같이 EEPROM(4)은 8바이트 용량으로된 1단위 에리어에 TOTLCNT 등의 5종 데이터의 기억 에리어를 갖게 되나, EEPROM(4)의 개서(改書)회수는 현재 1만회 정도로 한정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전자사진 복사기의 사용 가능한 프린트 매수는 30만매이며 1프린동작마다 카운트 데이터를 EEPROM으로 개서한 경우 30만회의 개서회수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EEPROM(4)이 전 기억 에리어를 256에리어로 구분하고 1회의 프린트동작마다 순차 이 기억 에리어를 이동하는 것으로, 전체로 256만회의 개서, 즉 256만매까지 가능하다.
제6도는 RAM(3)의 어드레스 맵을 표시한 것이다. RAM(3)은 동 도면에서와 같이 ADDRMEM(Adress Memory), AREACNT(Area Counter), EEPCTW (EEPROM의 카운트 라이트)로서 표시한 에리어를 가지며, 이들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전자사진 복사기의 프린트 매수를 계수할때에 일시적으로 기억수단으로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또 TMPREG(Temporary Register)(1-5)도 동일하며, 다시 TOTLCNT, DRMCNT, LiFCNT, DRALCNT, CNTCTW는 상술한 EEPROM(4)의 동일기호를 부여한 데이터에 대응하고, 실제 카운터동작은 이 카운터 에리어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다음에 전원 투입시의 EEPROM(4)내에 격납된 전회까지의 카운트 데이터를 RAM(3)의 카운터 에리어에 독출하기 위한 CPU(1)의 동작을 제7a도 내지 제7c도에 표시한 플로우 챠아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제7a도 내지 제7c도는 카운터의 초기 설정동작을 표시한 것으로, EEPROM(4)에 기억된 현재 카운트치를 검색하는 작업(ST1-ST3), 검색한 EEPROM(1)의 에리어의 각 데이터를 RAM(3)에 전송하는 작업(ST10-ST12), RAM(3)에서 카운트 업한 다음의 신 데이터를 재차 기입하는 EEPROM(4)의 어드레스를 세트하는 작업(ST8-ST9)으로 된다.
상술하면, 먼저 AREACHK로 초기 설정을 하고, ST1에서 EEPROM(4)의 톱 어드레스를 RAM(3)의 ADDRMEM 및 CPU(1)의 레지스터(X)에 기입하고, 이어서 EEPROM(4)의 전 에리어 수에서 1를 뺀 값(즉 255)을 RAM(3)의 AREACNT에 기입한다. 이어서 ST2에서 CNTREAD로 EEPROM(4)의 톱 어드레스에 격납된 TOTLCNT 데이터(에리어 1)를 판독하여 TMPREG(1,2,3)에 수납한 다음, ST3에서 다음의 에리어(2)의 TOTLCNT의 데이터를 CPU(1)의 A 레지스터에 독출하고, 이 데이터와, 상기 ST2에서 RAM(3)의 TMPREG(1,2,3)에 격납한 데이터(에리어(1)의 TOTLCNT 데이터)와를 비교한다. 이때 에리어(1)의 TOTLCNT 데이터가 크면, 에리어(1)의 데이터를 현재의 카운트치로 판단하고, FOUND(ST9)로 진행한다. 한편, 에리어(2)의 TOTLCNT 데이터가 크면, 그 에리어(2)가 TOTLCNT 데이터와 다음의 에리어(3)의 TOTLCNT 데이터를 비교하는 작업을 한다. ST2-ST7은 루우프로되어 있으며, 에리어(2와 3)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에리어(3)의 데이터가 크면, 다시 에리어(3과 4)의 데이터를 비교한다. 이와같이 에리어(n)와 에리어(n+1)의 TOTLCNT 데이터의 비교를 에리어(n)의 TOTLCNT 데이터가 커질때까지 만복하고, EEPROM(4)에 기억된 프린트 매수의 현재값(최대치)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ST5에서 AREACNT의 값에서 1을 감산하고, ST6에서 그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AREACNT의 값이 0이 아니면, ST7,ST2에서 어드레스용 레지스터(X)에 기입한 EEPROM의 다음 에리어의 어드레스를 RAM(3)의 ADDRMEM에 기입한후 ST2에 되돌아 온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처리를 반복한 결과 AREACNT의 값이 0로 된 경우에는, ST8에서 EEPROM(4)의 톱 어드레스를 RAM(3)의 ADDRMEM에 기입하고, 전 에리어 수에서 1을 감산한 값을 AREACNT에 기입한다. 이 경우는, 다음에 새로운 카운트 데이터를 기입할 에리어는 에리어(1)가 되며 ST10에 진행한다.
즉, 에리어(n와 n+1)의 TOTLCNT 데이터를 순차 비교하여 가며, 최종적으로 에리어(255)와 최종 에리어(256)를 비교하여 에리어(256)의 TOTLCNT 데이터측이 클때에는 에리어(256)의 값이 현재값이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EEPROM(4)에 기억된 프린트 매수의 현재값을 최대치인가 아닌가로 검색했으나, 감산 카운트에 의하여 최소치인가 아닌가를 검색함으로써 프린트 매수의 현재값을 알수도 있다.
한편, ST4에서 Y의 경우, ST9에 진행하게 되나, 여기서는 ADDRMEM의 내용을 CPU(1)의 스태크에 세이브하여 현재의 어드레스용 레지스터(X)의 값을 ADDRMEM에 기입하고 스태크의 내용을 어드레스용 레지스터(X)에 복귀시키는 등의 처리를 하여, 다음에 기입할 EEPROM(4)의 어드레스 준비를 한다. 어드레스(n)가 현재값일 경우에는 에리어(n+1)가 이 어드레스로 된다. 이와같이 하여 검색된 프린트 매수의 현재값은 ST10-12에서 RAM(3)의 카운터 에리어에 전송된다. 즉 ST10에서 어드레스용 레지스터(X)의 값(즉, 현재 프린트 매수를 수납한 EEPROM(4)의 어드레스)을 RMA(3)의 TMPREG(1,2)에 수납하고, RMA(3)의 TOTLCNT의 어드레스를 TMPREG(3,4)에 수납하여 시프트 바이트수(8)를 CPU(1)의 B 레지스터에 세트하여 전송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다음의 ST11에서는 TMPREG(1,2)의 내용으로 어드레스될 EEPROM(4)의 내용을 A 레지스터에 로드하고, 이 A 레지스터의 내용을 RMA(3)의 TMPREG(3,4)로 어드레스되는 어드레스에 수납하고, TMPREG(1,2)의 내용 및 TMPREG(3,4)의 내용에 각각 1을 가산하고, B 레지스터의 내용에서 1을 감산하는 처리를 한다음, ST12에서 B 레지스터가 0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0이면 종료, 0이 아니면 ST11에 되돌아가 0이 될때까지 반복한다. 이와같이 하여 EEPROM(4)의 현재치 기억 에리어에 있는 TOTLCNT, DRMCNT, LiFCNT, DRALCNT, CNTCTW의 데이터는 각각 RMA(3)의 동일기호를 부여한 카운터 에리어에 전송되고, 전자사진 복사기의 전원 투입시의 프린트 매수의 계수 대기상태로 된다.
제8a도 제8b도는 RMA(3)의 카운터 에리어에 격납된 데이터를 프린트동작에 맞추어 개서하는 카운트 업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 챠아트이다. 이하 동도면을 참조하면서 동작을 설명한다.
1매의 프린트동작이 끝나면, 도시없는 제어 루우틴에 의하여 RMA(3)내에 카운트 요구 플래그(Fc)가 세트된 다음, 제8a도 및 제8b도에 표시한 데이터 카운트 루우틴(DTCNT)이 실행된다. 먼저 ST1에서 카운트 요구 플래그(Fc)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세트되어 있으면, ST2에서 그 플래그(Fc)를 되돌리기 위하여 0크리어 한다. 다음에 ST3에서 RMA(3)내의 DRMCNT 데이터를 +1증대하고, 또 ST4에서 TOTLCNT 데이터를 +1증대하고, 다시 ST5에서 DRALCNT 데이터가 0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DRALCNT는 상술한 바와같이 드럼세트 교환시기에 도달했을때에 경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들면 드럼세트의 수명이 8000매일경우, DRALCNT 데이터가 7900매를 넘으면, DRALCNT가 카운트를 개시하고, 그 카운트치가 100매에 도달하면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DRALCNT는 초기상태에서는 0이므로, ST5에서 Y로 되고 ST7에 진행한다. ST7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DRALCNT의 카운트치가 7900매를 넘었는가, 아닌가를 확인하고 넘어있지 않으면 ST9에 진행한다. 또 7900매를 넘었으면, DRALCNT에 초기치(신호 플래그 비트(100)의 값)를 세트하고, 이에따라 이후 ST5를 처리할때에 ST5는 N으로 되고, ST6에서 DRALCNT의 데이터는 +1씩 증대되게 된다. DRALCNT가 카운트 업하여 100카운트하면 DRALCNT의 신호 플래그 비트에 1이 세트되고, 이 플래그를 별도 루우틴으로 확인함에 따라 드럼세트 교환의 경고를 발생할 수가 있다. 또 DRALCNT의 내용이 0이 아닌 경우는, DRALCNT는 7900카운트를 넘은 것으로 되므로, DRALCNT를 확인함으로서 드럼세트의 수명에 가까와진것을 예고할 수가 있다.
ST9에서는 TOTLCNT 데이터가 소정의 메인티넌스 시기매수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예를들면 6만 카운트). 소정매수를 넘었으면, RMA(3)내의 CNTCW 데이터내에 있는 MAiNTRQ(Maintenance Request) 플래그를 세트하고, 이 플래그를 확인하는 것으로, 보수 점검이 필요함을 알리는 표시를 할수가 있다. 다음에, 사용되는 용지가 기준 사이즈의 용지와 상이할 경우에, 양자의 용지 사이즈의 비율이 정수가 아닌 경우에, 소정의 주기로, 또 그 주기내에서 상기 비율에 맞추어 카운트함에 따라 합계 카운터로서 용지의 사이즈에 맞추어 정확하게 장치의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제8a도 및 제8b도의 플로우 챠아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ST11에서 CNTCTW내의 CNTMORE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CNTCTW내에는 상술한 MAiNTRQ 플래그 외에 2개의 플래그 에리어를 가진다. 즉 B4 사이즈 등의 큰 사이즈의 용지를 카운트할 경우에는, 소사이즈 용지를 카운트하는 경우와 용지 사이즈의 비율에 따라 카운트치에 차이를 부여하기 위해 1매의 카운트동작마다 카운트 업하는 값을 1카운트, 2카운트, 1카운트, 2카운트 순으로 교호로 변화시켜 카운트 처리하고, 전체로서 평균하면 용지 1매당 1.5카운트한 것으로 되는 카운트동작을 수행시킨다. 그리고 이 특수한 카운트 처리를 하기 위해 카운트 데이터를 2회 증대하는 것을 지시하는 CNTMORE 플래그와, 실행중의 B4 사이즈용지에 대한 프린트동작이 홀수매인가 짝수매인가를 구별하기 위한 B4WCNTF 플래그가 CNTCTW내에 형성되어 있다. B4 사이즈 등의 큰 사이즈의 용지에 프린트를 하는 경우, 기타의 B5, A4 등의 적은 사이즈의 용지에 프린트할때와 비교하여, 감광체의 사용범위도 변하게 된다. 감광체의 사용범위가 변하면, 드럼세트의 수명도 변함으로, 용지의 사이즈에 맞추어 카운트도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B4 사이즈의 용지를 프린트하는 경우에는 카운트를 50% 증가하여 1.5카운트로 하고, 기타의 작은 사이즈는 1카운트로 하는 것이다. 이경우, 용지의 길이 혹은 용지면적의 비율에서 1 프린트동작마다 1.5카운트해도 되나, 연산처리가 복잡해지므로, B4 사이즈인 경우 1프린트동작 건너서 2카운트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1,2,1,2로 교호로 1카운트와 2카운트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전체적으로 1프린트당 1.5카운트하는 것이다. 또 RMA(3)의 CNTCTW내의 B4WCTF 플래그는, 상술한 바와같이 B4 프린트의 경우의 홀수매측과 짝수매측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이나, 이 플래그는 1프린트마다에 0,1,0,1로 변화하고 0일때에는 TOTLCNT 및 DRALCNT는 1증대, 1일때는 2증대하는 것으로, 상술한 1카운트와 2카운트를 교호로 하게 하는 것이다. 또 이 B4WCTF 플래그는 B4 사이즈의 프린트일때만 변화하고, 기타 소사이즈의 용지 프린트서는 변화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B4 프린트시만 변칙 카운트를 한다. 이하 그 변칙 카운트에 대하여 제8a도 및 제8b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ST11에서 CNTMORE 플래그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나, 초기상태에서는 플래그는 세트하고 있지 않으므로, ST11는 N로 되고, ST13에 진행한다. 여기서 제1도에 표시한 리드 스위치(23a 내지 23c)에서 CPU(1)에 입력한 용지 사이즈신호에 따라 용지가 B4 사이즈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B4사이즈가 아닌 경우는 ST17에 진행한다. B4 사이즈인 경우에는 ST14에서 CNTCTW 내의 B4WCTF 플래그를 상기와 같이 0,1,0,1로 교호로 반전한다. 이때 B4WCTF 플래그가 0일 경우에는 ST15에서 N로 되고, ST17에 진행한다. 1일 경우는 ST15에서 Y로 되고, ST16에서 CNTCTW내의 CNTMORE 플래그가 세트되어 재차 ST3에 되돌아가 DRALCNT를 +1증대하고, ST4에서 TOTLCNT를 +1증대한다. 이에 의하여 B4 사이즈의 경우 1프린트동작마다 1,2,1,2카운트하고 전체적으로 1프린트당 1.5카운트한다.
그후 동일하게 ST5-10을 거쳐 ST11에 재차 진입하고, 이때는 상술한 바와같이 ST16에서 CNTMORE 플래그를 세트하므로서(B4의 변칙 카운트를 실행하였다), ST11에서 Y로 되고 ST12에 진행한다. 여기서 CNTMORE 플래그를 크리어하여 ST17에 진행한다. ST17에서는 RMA내의 EEPCTW에 수치(8)를 세트하고, EEPROM(4)에의 기입요구를 표시한다.
제9a도 및 제9b도는 상기 RMA(3)의 데이터를 EEPROM(4)에 기입할때의 플로우 챠아트를 표시한 것이다.
RMA(3)의 EEPCTW에는 상기와 같이 1프린트동작이 끝나면 EEPROM(4)에의 기입요구를 표시한 수치(8)를 세트한다. 따라서 EEPCTW의 내용을 체크하고(ST1), 수치(8)을 기입한 경우는, 기입요구가 있음으로 판정하고, ST2에 진입한다. 한편, 0일 경우는 기입요구는 없는 것으로 판정한다. ST2에서는 EEPROM의 성능상, 1바이트의 데이터 기입에 있어서 약 10-20ms의 시간을 요하므로, 1바이트의 데이터를 기입한후의 기입동작을 늦추기 위한 타이머동작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따라서, 타이머가 동작중이 아닐때에 ST3에서 EEPROM(4)에 프린트 매수의 기입을 한다. 이 기입으로서는, 1바이트의 데이터 기입으로서, EEPCTW의 내용에서 1을 감산한 값을 B 레지스터에 세트하고 ADDRMEM의 내용을 X 레지스터에 로드하고, X 레지스터와 B 레지스터를 가산하여 EEPROM의 수납선 어드레스를 구하고 스태크에 세이브하고, RMA의 TOTLCNT 어드레스와 B 레지스터의 값을 가산하여 RAM의 로드측 어드레스를 구하여, 이 어드레스내의 데이터를 A 레지스터에 로드하고, A 레지스터의 내용을 스태크내의 데이터로 지시되는 EEPROM의 어드레스에 조사함으로서 기입된다.
ST4,5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1바이트마다 데이터를 순차 기입한다. ST6에서는, 1바이트의 데이터 기입마다 EEPCTW의 내용에서 1이 감산되고, 이어서 ST7에서 EEPCTW의 내용이 0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때 0이면(ST7에서 Y), AREACNT의 내용에서 1을 감산하고(ST8), 다음 그 AREACNT의 내용이 0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T9). 그리고 AREACNT의 내용이 0이 아니면(ST9에서 N), ST10에서 다음 기입 어드레스를 지지하도록 ADDRMEM의 내용을 개선한다. 한편 AREACNT의 내용이 0이면(ST9에서 Y), 에리어 256에 기입하게 되므로, ST11에서 EEPROM의 톱 어드레스를 ADDRMEM에 수납하고, 전 에리어수에서 1을 감산한 값을 AREACNT에 수납하고 재차 에리어(1)에서 기입하도록 ADDRMEM 및 AREACNT를 세트한다.
이상으로 카운트된 데이터는 조작패널위의 표시기(12)에 표시된다. 또 실시예에서는, TOTLCNT, DRMCNT, LiFCNT, DRALCNT, CNTCTW의 5개의 내용을 표시하고 있으나, EEPROM(4)의 에리어 검색에 대하여는, TOTLCNT의 비교만을 하고 있다. 즉 기타의 4개의 데이터는 TOTLCNT의 보조적 데이터이므로, TOTLCNT의 값을 현재치로서 대표하여 관리하고 있다. 또 EEPROM(4)에의 기입시에는, TOTLCNT 데이터를 최후에 기입하고, 또 TOTLCNT의 데이터는 3바이트로 되나, 이 최하의 바이트에서 기입하도록 되어 이다. 이것은 데이터 기입중의 전원차단에 대비한 것으로, 예를들면 8바이트 전체의 카운트 데이터를 EEPROM에 기입하지 않은중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 다음 전원 투입시에 EEPROM(4)의 최후 기입처리를 한 에리어의 1개 앞 에리어에 기억된 카운트 데이터가 현재치로 되고, 여하한 경우에도 오차를 용지 1매분으로 하여 오차를 최소로 한 것이다. 이경우 상술한 바와같이 1매의 프린트에 2카운트할때는 오차는 용지 2매분이다.
또 EEPROM는 신품일때는 16진으로 FF의 값이 들어간 상태이나, 이 상태를 00가 기입된 상태와 등가로 할 필요가 있으나, 이것은 데이터 검색, 데이터의 독출, 데이터의 기입시에 비트반전 하므로서 이루어진다.
EEPROM에 프린트 매수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하여, 백업용 전지나, 전원 시이퀸스는 필요없게 되며, 구성을 간단하게 할수 있을뿐 아니라, 어떤 사태에서도 데이터의 소실이 없다. 또 EEPROM을 소켓등을 사용하여 기판에 설치해 놓으면, 그 기판이 고장났을 경우 기판을 교환하고 EEPROM를 새로운 기판으로 바꾸면 되므로 그만큼 카운트된 데이터를 소실하지 않게 된다.
또 B4 사이즈용지에 프린트할 경우, 그 카운트를 1,2,1,2카운트로 교호로 상이한 카운트를 하고, 전체적으로는 1.5카운트로 함으로써, 드럼세트의 수명관리를 감광체의 사용범위에 맞추어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카운트를 다르게 변칙 카운트에 따라 계수하게 되므로 복잡한 연산처리 등이 불필요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계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 EEPROM의 기억 에리어를 256으로 구분하고, 1프린트동작 실행마다 순차 그 에리어를 시프트하는 구성이므로, EEPROM에 기입회수의 수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EEPROM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전자사진 복사기에 사용해도 충분하게 수명매수까지 바꾸어 쓸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지 사이즈를 일본 기준용지 사이즈로서 A4(210×297(mm))를 사용, 비기준 용지 사이즈로서, B4(257×364(mm))를 사용한 경우의 변칙 카운트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즉 B4사이즈는 A4 사이즈에 비하여 그 면적비는 1.5배이다. 이때의 카운트방법은 카운트 수를 1프린트동작에 대응하여 순차 1,2,1,2,…로 하면 되고 이경우에 4프린트로 6카운트이다.
이것을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지 (LETTER type)을 기준으로 한 경우, 그 용지 크기는 8 1/2×11(inch)(215.9×279.4(mm))이며, 비기준 용지(LEGAL type)의 크기인 8 1/2×14(inch)(215.9×355.6(mm))와의 면적비는 약 1.3배이다. 따라서 이때의 카운트방법은 카운트 수를 1프린트동작에 대응하여 순차 1,1,1,2,1,2, 1,2,1,1…로 변칙적으로 카운트하면 되고, 이경우 10프린트동작에 13카운트로 된다.
유럽내에서는 기준용지로서 A4(210×297(mm))를 사용하며, 비기준 용지로서 LEGAL type(215.9×355.6(mm))를 사용하고 있다. 이경우 양 용지의 면적비는 약 1.2배이다. 따라서 이때의 카운트방법은 카운트 수를 1프린트동작에 대응하여 순차 1,1,2,1,1,…로 변칙적으로 카운트하면 되며, 이경우 5프린트로 6카운트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기준용지와 비기준 용지와의 사이즈의 비율이 정수가 아닌 경우에, 상기 비율에 맞춘 주기로, 또 그 주기내에서 변칙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전체적으로 기준 사이즈의 용지를 기준으로 하여 기타의 사이즈의 용지를 정확한 비율로 카운트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전자 메모리수단으로 RAM을 사용한 카운터를 사용한 경우는, 소수점 이하의 수치 데이터를 연산처리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카운터장치는 계수를 유효하게 하여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용지의 사이즈 비율에 맞추어 계수하도록 된 것이므로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수 있어 단가도 저렴해진다.

Claims (13)

  1. 데이터를 독출하고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복수 에리어로 분할된 기억영역을 갖는 EEPROM(4)와; 1용지에 대하여 1화상을 형성하는 1화상형성 사이클동작의 실행종료마다 1화상형성동작의 실행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수단(14)과; 상기 신호 발생수단에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EEPROM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초기치로 하여, 화상형성동작에 대응한 소정수의 연산동작을 반복하는 연산수단(1,2,3)과; 상기 EEPROM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지령 및 상기 연산수단으로 얻어진 연산 결과를 상기 EEPROM에 기입하는 지령을 부여하는 처리수단(1)과; 상기 EEPROM에의 소정회의 데이터 기입마다에 상기 복수 에리어의 기억영역을 변경하여 어드레스하는 어드레스 제어수단(1,6)으로 구성되는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1)은 전원 투입시에 상기 EEPROM에 최후에 기입된 최대치 데이터 및 최소치 데이터중 어느 일방을 검색하여 독출하는 카운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1)은 상기 신호 발생수단(14)에서 신호가 발생될때마다 상기 연산수단에서 얻어진 연산결과 데이터를 상기 EEPROM(4)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입하는 카운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1)은 상기 연산수단으로 얻어진 연산결과 데이터를 상기 EEPROM(4)에 기입할때마다, EEPROM의 상이한 기입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지정수단을 갖는 카운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EPROM(4)는 전화상 형성 동작수를 표시하는 합계 카운트 데이터와, 교환 가능한 드럼세트의 화상형성 동작수를 표시하는 유닛 카운트 데이터 및 보수 점검시기를 관리하는 메인티넌스 카운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방 데이터등을 기입/독출하는 카운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세트는 적어도 감광체(101)와 크리닝장치(106)로된 카운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EPROM(4)는 합계 카운트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여 일괄하여 관리되는 복수의 카운트 데이터를 1단위로 하는 카운트 데이터가 기입/독출되는 1단위 에리어를 복수 배열하여된 카운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EPROM(4)의 상기 복수의 단위 에리어에의 데이터의 기입은 어드레스 지정수단에 의하여, 각 단위 에리어의 어드레스를 순차 절환하면서 어드레스 지정하여 실행되는 카운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EPROM(4)는, 상기 1단위 에리어에 상기 복수의 카운트 데이터를 1단위로 하는 카운트 데이터가 기입될때, 상기 복수의 카운트 데이터중 검색의 기본이 되는 합계 카운트 데이터를 최후에 기입하는 카운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EPROM(4)에 기입/독출되는 복수의 카운트 데이터를 1단위로 하는 카운트 데이터는 상기 연산수단이 1화상 형성할때마다 연산하는 값을 제어하기 위한 플래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카운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1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용지의 사이즈를 검색하여, 기준 사이즈의 용지 이외의 용지 사이즈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연산수단의 1화상형성동작에 필요한 연산치를 변화시키는 검지수단(22a-22c,23a-23c)을 또한 구비하는 카운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이 어느 용지의 특정 사이즈를 검지한 경우, 상기 연산수단은 1화상형성동작을 위한 카운터치를 "1"또는 "2"로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는 카운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1화상형성동작을 위한 연산치로서 "1"과 "2"등을 교호로 반복하여 연산하는 카운터장치.
KR1019870001170A 1986-02-28 1987-02-12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 KR910001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44330 1986-02-28
JP61044330A JPS62202294A (ja) 1986-02-28 1986-02-28 カウンタ装置
JP44330 1986-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231A KR870008231A (ko) 1987-09-25
KR910001973B1 true KR910001973B1 (ko) 1991-03-30

Family

ID=1268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170A KR910001973B1 (ko) 1986-02-28 1987-02-12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74544A (ko)
JP (1) JPS62202294A (ko)
KR (1) KR910001973B1 (ko)
DE (1) DE3706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6610A (en) 1986-12-25 1989-10-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 binarization-error dispersal
JPH02146038A (ja) * 1987-11-04 1990-06-05 Fuji Photo Film Co Ltd 処理補充液の補充方法及び装置
JPH02144641A (ja) * 1988-11-25 1990-06-04 Nec Corp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5016171A (en) * 1989-04-20 1991-05-14 Xerox Corporation Copy cartridge warranty and billing system
US4961088A (en) * 1989-04-20 1990-10-02 Xerox Corporation Monitor/warranty system for electrostatographic reproducing machines using replaceable cartridges
DE4021242C2 (de) * 1989-07-04 1996-10-17 Ricoh Kk Elektrofotografisches Druck- oder Kopiergerät mit austauschbarer Prozeßeinheit
JPH0779000B2 (ja) * 1989-09-06 1995-08-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計数装置
JPH03250499A (ja) * 1990-02-27 1991-11-08 Nec Corp データ記憶回路
FR2667192A1 (fr) * 1990-09-20 1992-03-27 Gemplus Card Int Procede de comptage en memoire eeprom et son utilisation pour la realisation d'un compteur securise.
US5133048A (en) * 1990-09-28 1992-07-21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printing ordered stock
US6230233B1 (en) * 1991-09-13 2001-05-08 Sandisk Corporation Wear leveling techniques for flash EEPROM systems
JPH05324489A (ja) * 1992-05-15 1993-12-07 Toshiba Corp 記憶装置
JPH0675442A (ja) * 1992-08-27 1994-03-18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283613A (en) * 1993-02-19 1994-02-01 Xerox Corporation Monitoring system with dual memory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s using replaceable cartridges
KR960010475B1 (ko) * 1993-05-25 1996-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사진 기록 시스템내의 부품 교환 주기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US5659845A (en) * 1996-05-30 1997-08-19 Xerox Corporation Accounting system for use with document processing system
JP3311248B2 (ja) * 1996-07-26 2002-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950038A (en) * 1997-02-27 1999-09-07 Kyocera Corporation Image formation apparatus
US6016409A (en) * 1997-04-11 2000-01-18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fuser modules in a digital printing apparatus
US6940613B1 (en) * 1997-04-11 2005-09-06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replaceable modules in a digital printing apparatus
US5995774A (en) * 1998-09-11 1999-11-30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data in a non-volatile memory circuit mounted on a printer's process cartridge
US6173128B1 (en) 1999-08-27 2001-01-09 Xerox Corporation Remanufacturing system for replaceable modules in a digital printing apparatus
US6263170B1 (en) 1999-12-08 2001-07-17 Xerox Corporation Consumable component identification and detection
US20010043365A1 (en) * 2000-05-17 2001-11-22 Heidelberg Digital L.L.C. Late binding of tab image contents to ordered tab stock
US6628121B1 (en) 2000-10-13 2003-09-30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Tools for measuring electrometer dispenser response
US20020048041A1 (en) * 2000-10-23 2002-04-25 Housel Edward M. Directing pages to a selected output destination of a printing system
US6971809B1 (en) 2000-10-23 2005-12-06 Eastman Kodak Company Directing pages to a selected output destination of a printing system
US6539181B2 (en) 2001-01-29 2003-03-25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Jam recovery when using ordered media
US20020101607A1 (en) * 2001-01-29 2002-08-01 Heidelberg Digital, L.L.C. Method and apparatus of disposing of unused ordered media within a print job
DE10201553A1 (de) * 2001-09-10 2003-03-27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Anordnung zum Speichern eines Zählerstandes
US7031622B2 (en) * 2002-06-07 2006-04-18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stor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condition of 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having such memory
US7454146B2 (en) * 2005-03-07 2008-11-18 Lexmark International, Inc. Fuser assembly including memory
EP2030145A2 (de) * 2006-05-30 2009-03-04 Nxp B.V. Verfahren zu kryptographischen authentikation
EP1950629B1 (en) 2007-01-24 2011-07-20 Océ-Technologies B.V. Image forming apparatus adapted for counting images formed by the apparatus
ATE517372T1 (de) * 2007-01-24 2011-08-15 Oce Tech Bv Bilderzeugungsvorrichtung mit funktion zum zählen der von der vorrichtung angezeigten bilder
US7526215B2 (en) * 2007-01-25 2009-04-28 Xerox Corporation Reserve life run-on feature for customer replaceable units
JP2009198735A (ja) * 2008-02-21 2009-09-0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5746501B2 (ja) * 2010-12-20 2015-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643A (en) * 1977-08-09 1979-03-05 Ricoh Co Ltd Service life detecting and display method of parts of copying machines
JPS57163276A (en) * 1981-04-01 1982-10-07 Canon Inc Picture forming device
EP0092416B1 (en) * 1982-04-19 1988-08-24 Mita Industrial Co. Ltd. Card-operated copying machine
US4531826A (en) * 1982-04-30 1985-07-30 Danyl Corporation Event counter and access controller
JPS5961854A (ja) * 1982-09-30 1984-04-09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ツジ及びこのカ−トリツジ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
JPS60133465A (ja) * 1983-12-21 1985-07-16 Sharp Corp 電子写真複写機の表示方式
JPS60229047A (ja) * 1984-04-27 1985-11-14 Toshiba Corp 像形成装置
JPS615257A (ja) * 1984-07-17 1986-01-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61147267A (ja) * 1984-12-20 1986-07-04 Minolta Camera Co Ltd プロセス・ユニツト寿命算出機構
JPS6227757A (ja) * 1985-07-30 1987-02-05 Toshiba Corp 計数積算装置
JPS6227759A (ja) * 1985-07-30 1987-02-05 Toshiba Corp 計数積算装置
JPS6227758A (ja) * 1985-07-30 1987-02-05 Toshiba Corp 計数積算装置
DE4213514A1 (de) * 1992-04-24 1993-10-28 Basf Ag Verwendung von wasserlöslichen oder wasserdispergierbaren Suspensionspolymerisaten als Textilfaserschlichte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02294A (ja) 1987-09-05
KR870008231A (ko) 1987-09-25
JPH0550788B2 (ko) 1993-07-29
US4774544A (en) 1988-09-27
DE3706295A1 (de) 1987-09-03
DE3706295C2 (ko) 1991-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973B1 (ko) 화상형성 동작량을 계수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카운터장치
KR0131958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교환시기 경보방법 및 장치
JPH0243636B2 (ko)
EP0612001B1 (en) Monitoring system with dual memory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s using replaceable cartridges
US4442505A (en) Control device of copying machine
KR960010475B1 (ko) 전자 사진 기록 시스템내의 부품 교환 주기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CN100582958C (zh) 图像形成装置
US691236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an amount of developer contained in a developer container, a memory for storing the amount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and control means for updat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JP3133314B2 (ja) 画像形成装置
KR0156978B1 (ko) 분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 유니트를 가진 화상 형성 장치
KR920018537A (ko) 감광체등을 구비한 전자사진 장치의 보수장치
KR20050076850A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소모품 및소모품의 상태 관리 방법
JP521521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758867B2 (ja) 画像形成装置用寿命管理装置
JP2000098826A (ja) 画像形成装置
JPH06353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56967A (ja) 不揮発性メモリの書込制御方法
JPH0550787B2 (ko)
JPS6330867A (ja) カウンタ装置
JP3342115B2 (ja) 印刷装置
JPH01271767A (ja) 複写機の制御装置
JPH03237472A (ja) 電子写真プリンタのページカウント装置
JPH0281056A (ja) 電子写真装置
KR100497385B1 (ko)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방식화상 형성 장치
JPH0717079Y2 (ja) 現像剤残量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