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840B1 - 치환 7-옥소미토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환 7-옥소미토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840B1
KR900008840B1 KR1019900015952A KR900015952A KR900008840B1 KR 900008840 B1 KR900008840 B1 KR 900008840B1 KR 1019900015952 A KR1019900015952 A KR 1019900015952A KR 900015952 A KR900015952 A KR 900015952A KR 900008840 B1 KR900008840 B1 KR 90000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triazene
alkyl
mitomyci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한랄 바이아스 돌라트라이
윌리암 도일 테렌스
에이. 파티카 리차드
Original Assignee
브리스톨-마이어즈 스퀴브 컴페니
아이삭 자아코브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스톨-마이어즈 스퀴브 컴페니, 아이삭 자아코브스키 filed Critical 브리스톨-마이어즈 스퀴브 컴페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87/1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X)의 미토산을 일반식(XI)의 트리아젠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X)화합물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r-N=N-NH-R5XI
상기식중 치환기 R5및 R6은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Ar은 디아조화 수 있는 방향족 아민의 유기잔기임.

Description

치환 7-옥소미토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미토마이신 A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토마이신 A는 항생제로서의 용도를 지니며 7-0-치환 미토산 동족체는 이와 유사한 용도를 갖는다.
최근 개정된 명명법을 기초로한 미토마이신 A에 대한 체계적 화학초록명[Shirhata et al., J. Am. Chem. Soc., 105, 7199(1983)]은 아지리노피롤로인돌환계를 다음 구조식과 같이 번호를 정함으로써 [1aS-(1aβ, 8β, 8aα, 8bβ)]-8-[((아미노카르보닐)옥시)메틸]-6,8a-디메톡시-1,1a,2,8,8a,8b-헥사히드로-5-메틸아리지노[2',3'3,4]피롤로[1,2-a]인돌-4,7-디온으로 명명된다.
미토마이신 문헌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상 명칭은 미토산과 같은 특수한 미토마이신 치환제를 다수 포함하는 상기 환계물질임이 확인되었다.
미토산
이 방법에 따라서, 미토마이신 A는 7,9a-디메톡시미토산이고 미토마이신 C는 7-아미노-9a-메톡시미토산이다. 본 발명의 생성물의 입체화학적 형상으로 기본명 "미토산" 또는 구조식에 의하여 이들을 확인할때 미토마이신 A 또는 C와 동일한 입체형상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토마이신 A R=R1=OCH3
미토마이신 C R=NH2, R1=OCH3
미토마이신 C는 발효법에 의하여 생산되는 항생제이며 현재 시행하고 있는 기타 적합한 화학요법제와 혼합시켜서 위 또는 췌장에 감염된 선암(腺癌)을 치료하는데 있어 기타 요법이 실패했을 때 일시적 치료제로서 식품 및 의약국의 승인하에서 판매되고 있다(MutamycinBristol Laboratories, Syracuse, New York 13221, Physicians' Desk Reference 37th Edition, 1983, pp. 747 and 748). 미토마이신 C 및 발효법에 의한 생산방법은 1957년 4월 6일자 일본국에 출원된 것을 우선권을 주장하여 1972년 5월 2일자 특허등록된 미국 특허 제3,660,578호의 명칭이다.
미토마이신 A, B, C 및 포로피로마이신의 구조는 Lederle Laboratories Division American Cyanamid Company, J. Am. Chem. Soc., 84, 3185-3187(1962) 제이. 에스. 웨브외 공동연구자들에 의하여 최초로 공개되었다. 미토마이신 A와 미토마이신 C에 관련된 구조연구에 사용된 화학적 전위법중의 한가지는 전자인 7,9a-디메톡시미토산을 암모니아와 반응시켜서 후자인 7-아마노-9a-메톡시미토산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미토마이신 A의 7-메톡시기의 전이는 미토마이신 C의 종양활성 유도체를 제조하는 데에 상당히 흥미있는 반응이라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취근 위치 1, 1a, 8a 및 8b의 입체화학적 배치가 화학초록 명명법에 대하여 언급한 것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Shirhata et al., J. Am. Chem, Soc., 105, 7199-7200(1983)].이전의 문헌에는 에난티오머라고 기재하였다.
다음 자료들과 특허들은 미토마이신 A를 항종양 활성을 갖는 7-치환 아미노 미토마이신 C유도체로 전환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J. Antibiotics, XXI, 189-198(1968)의 마트수이외 공동연구보고, J. Med. Chem., 14, 103-109(1971)의 코니시타외 공동연구보고, J. Med. Chem., 24, 975-981(1981)의 이옌가외 공동연구보고,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가스에서 1982년 3월 미국 화학회 183차 연차회의의 논문초록지 No. MEDI 72의 이옌가, 사미, 레머스 및 브라드너씨의 논문초록, 코술리크외 공동발명자들에 의하여 1967년 7월 25일자 등록된 미국특허 제3,332,944호, 마트수이외 공동발명자들에 의하여 1969년 1월 7일자 등록된 미국특허 제3,420,846호, 마트수이외 공동발명자들에 의하여 1969년 7월 17일자 등록된 미국특허 제3,450,705호, 마트수이와 공동발명자들에 의하여 1970년 5월 26일자 등록된 미국특허 제3,514,452호, 마까노외 공동발명자들에 의하여 1980년 11월 4일자 등록된 미국특허 제4,231,936호, 레머스에 의하여 1981년 5월 19일자 등록된 미국특허 제4,268,676호.
다음의 특허출원들은 치환제가 이황화물 결합을 갖는 7-치환 아미노 미토마이신 C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노외 공동발명자의 유럽 특허출원 제116,208호(1984), 바이아스외 공동발명자의 영국 특허출원 제2,140,799호(1984).
미토마이신 A와 구조적으로 관계가 있는 7-알콕시 치환 미토산에 관해서는 J. Antibiotics, 23, 804-809(1980)에서 우라가와 외 공동연구자들의 논문에서 동물 종양시험에 활성을 지닌 유용한 항생제라고 기재되어 있다.
미토마이신 C는 발효법에 의하여 생산된 기본 미토마이신이며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미토마이신 C로부터 미토마이신 A로 전환시키는 현대의 기술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미토마이신 C를, 대응하는 7-히드록시-9a-메톡시-미토산으로 가수분해시켜 메틸화시키는 데는 디아조메탄이 필요하며 이것은 제조시에 취급하기가 매우 불편하며 7-히드록시 중간체는 매우 불안전하다[마트수이외 공동연구자 J. Antibiotics XXI, 189-198(1968)].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7-아실옥시미토산을 사용하였다(교와하꼬 도교 가부시끼가이사의 일본특허 제 J5 6073-085, Farmdoc No. 56227D/31). 참조). J. Antibiotics, 23, 804-809(1980)에 의하여 우라가와외 공동연구자들에 의하여 기술된 미토마이신 A의 알코올 분해반응은 알코올 출발물질의 이용성 및 반응성에 의하여 특수한 7-알콕시 구조형을 생산하는데 한정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하기 일반식(IX)을 가진 화합물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식중, R5는 수소, 또는 C1-6알킬기이곗, R6는 C1-12알킬 또는 치환 C1-12알킬, C3-12시클로알킬 또는 치환 C3-12시클로알킬기이다(여기서, 미토산 7-산소원자에 결합된 탄소원자는 1-2개의 수소원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치환체는 할로겐, C1-6알콕시, C1-6알카노일, C6-14아로일, 시아노, 트리할로메틸, 아미노, C1-6모노알킬아미노, C1-12디알킬아미노, C6-12아릴, C6-12아릴옥시, C1-6알칸오일옥시, C7-14아로일옥시, 1 또는 2개 고리를 갖고 질소, 상소 및 황에서 선정된 4개 미만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12개의 고리원자를 갖는 복소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정되며, 상기 각 알콕시, 알칸오일, 아로일 , 아릴 , 아릴옥시, 알카노일옥시, 아로일옥시, 및 복소환식 치환체들은 임의로 할로겐, C1-6알콕시, C1-6알카노일, 시아노, 트리할로메틸,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또는 C2-12디알킬아미노기에서 선정된 1-2개의 치환체를 포함한다).
일반식(IX)중의 여러가지 화합물은 생체내에서 실험적 동물종양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갖는 공지의 화합물들이다. 또한 일반식(IX)중의 많은 신규 화합물들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며 본 발명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특히 여기에 확인된 화합물들, 즉 실시예(14), (15), (16) 및 (18)의 화합물들은 신규물질이며, 또한 실험적 동물종양에 대하여 항종양 활성을 나타낸다. 이들 화합물은 본 발명의 일부분이다. 이들 화합물들은 미토마이신 C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투여량은 미토마이신 C의 독성에 따른 이들의 독성비율로 조절된다. 신규화합물들의 독성이 약한 경우에는 투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식(IX)의 화합물은 신규 제조방법은 하기 일반식(X)의 미토산을 하기 일반식(XI)의 트리아젠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r-N=N-NH-R6XI
상기 식중, R5및 R6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으며 Ar는 디아조화할 수 있는 방향족 아민의 유기잔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및 "저급알칸오일"이란 말은(문맥을 달리 표현하지 않는 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이밀, 헥실 등과 같은 탄소원자수가 1-6 개인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알콕시 또는 알카노일기들을 의미한다. 이들 기중에 바람직한 것은 탄소원자수가 1-4개인 것이며, 가장 적합한 것은 탄소원자수가 1 또는 2개인 것이다. 특수한 예를 제외하고 "할로겐"이란 염소, 불소, 브롬, 요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염"이란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산 도는 염기와 본 발명의 일반식(IX)의 화합물과 염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산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염산, 브롬산, 황산, 술팜산, 인산, 질산, 말레산, 푸마르산,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캠포술폰산, 레불린산 등이 있다. 상기 염기들도 공지되어 있는데 나트륨,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과 같은 비독성 금속염, 암모늄염 및 비독성 아민기를 가진 염, 예컨대, 트리알킬아민, 프로케인, 디벤질아민, 피리딘, N-메틸모르폴린, N-메틸피페리딘 등이다. 이들 염들은 공지의 기술에 의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반응식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기 일반식(X)의 미토산을 하기 일반식(XI)의 트리아젠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일반식(IX)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신규의 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상기 식중, R5및 R6는 위에서 정의한 것과 같으며, Ar는 디아조화할 수 있는 방향족아민의 유기잔기이다.
일반식(XI)의 1-치환-3-아릴트리아젠과 특히 1-알킬-3-아릴트리아젠류는 카르복실한과 반응시켜서 대응하는 저급알킬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공지된 시약의 일종이다. 1-메틸-3-(4-메틸페닐)트리아젠은 Org. Syn. 48, 102-105(1968) 및 여기서 기술된 방법 1에서 이.에치.화이트외 공동연구자들에 의하여 기술된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수용성 아민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Tetrahedron Letters, No. 21, 761(1961)의 이.에이치.화이트에 의하여 기재된 제2방법 및 또한 여기에 기재된 방법 2는 수불용성 아민의 트리아젠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시약 1-메틸-3-(4-메틸페닐)트리아젠은 2,4-디니트로벤조산[E.H White etal. Org. Syn., 48, 102-105(1968)] 및 2-이성체로 이성화시키지 않고 요망되는 3-화합물을 얻을 수 있는 세팔로스포란산[Mangia, Tetrahedron Letters, No. 52, pp. 5219-20(1978)]과 같은 카르복실산의 메틸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이 시약은 환류온도의 벤젠용액 중에서 대응하는 3-히드록시-3-세펨-4-카르복실산염과 반응시켜서 3-메톡시-세팔로스포린 유도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1978년 1월 17일자 등록된 워터커헤씨의 미국특허 제4,069,324호).
일반식(XI)의 기타 1-(저급알킬)-3-아릴트리아젠은 기타 저급알킬아민을 유사한 형태의 아릴디아조늄염과 반응시켜서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디아조늄염을 쉽게 형성하는 탄소원자수가 6-12개인 어떠한 아릴아민도 1,3-이치환트리아젠의 아릴부분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리아젠류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n-)-부틸-3-(4-메틸페닐)트리아젠 ; 1-(1-메틸에틸)-3-(4-메틸페닐)트리아젠 ; 1-(4-메틸페닐)-3-[2-(4-모르폴리닐)에틸]트리아젠 ; 1-(4-메틸페닐)-3-[2-(2-피리딜)에틸]트리아젠 ; 1-(2-벤질티오에틸)-3-(4-메틸페닐)트리아젠 ; 1-(4-클로로페닐)-3-(2-메톡시에틸)트리아젠 ; 1-(4-클로로페닐)-3-(1,3-다옥솔-2-일메틸)트리아젠 ; 1-(4-클로로페닐)-3-(테트릴히드로푸란-2-일메틸)트리아젠.
기타 트리아젠은 일반식(IX)의 7-(치환 알콕시미토산)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반응물질로서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티.에이.다니엘외 공동연구자에 의하여 Can. J. Chem., 55, 3751-3754(1977)에 기재된 화합물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 X=H, Y=CN
b X=NO2, Y=CN
c X=CO2Me, Y=CN
d X=Ac, Y=CN
e X=NO2, Y=CO2Et
f X=CO2Me, Y=CO2Et
g X=CO2Me, Y=COPh
h X=NO2, Y=-CH(OCH3)2
또한 다음 화합물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반식(XI)의 적합한 트리아젠 출발물질을 예시한 것이다.
1-(n-부틸)-3-(α-나프틸)트리아젠, 1-(n-헥실)-3-페닐트리아젠, 1-에틸-3-(2,4-디메틸페닐)트리아젠, 1-(1-메틸에틸)-3-(4-메톡시페닐)트리아젠,.
미토마이신 A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메틸화제로서 3-메틸-1-(4-메틸페닐)트리아젠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7-히드록시-9a-메톡시미토산 1몰 비율에 대하여 최소한 2몰 비율로 사용되며, 반응은 7-히드록시-9a-메톡시미토산 출발물질에 대한 액상 유기용매 중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는 저급알칸올, 저급알카노 저급알킬 에스테르 및 저급폴리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이다. 이들 용매는 탄소원자수가 6개 미만인 것이다. 그러나 100℃ 이하의 비점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적합한 화합물은 메틸클로라이드, 메탄올, 디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반응은 혼합물의 환류온도에서 또한 약 60℃ 미만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 온도를 초과하면 미토산 반응물질은 분해되어 환원반응 생성물이 생성된다. 실온 또는 그 이하의 온도(예, 0-25℃)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하는 적합한 방법은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이다. 미토마이신 A는 진홍색이며 출발물질 및 부산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용매계에서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90/10) 미토마이신 A는 Rf=0.36을 나타낸다. 중성 알루미나상의 크로마토그라피법은 생성물을 정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반응조건 및 예비조건은 일반식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일반식(IX)의 기타 7-R6O-미토산을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신생물 치료법에 일반식(IX)의 화합물의 유용성은 P-388 백혈병 상태가 유발되는 생쥐에 여러가지 투여량으로 화합물을 투여하는 생체내의 스크린법을 수행한 결과에 의하여 나타났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자연발생 미토마이신에 대하여 관찰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관찰한 결과 그람양성군 및 그람음성군에 대한 항균작용을 갖는다는 사실을 믿게 되었다. 그래서 인체 및 동물에 세균의 감염을 치료하는데 치료제로서 사용된다.
[P-388쥐의 백혈병에 대한 활성]
다음표(I)은 P388 쥐의 백혈병의 106복수증세포의 종양 접종물로써 복강내에 이식하고 시험화합물을 투여 처리한 CDF1생쥐에 대하여 실험실에서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화합물들은 복강내에 주사하여 투여하였다. 6마리의 쥐를 1군으로 하여 각 투여량 단위로 사용하였으며 접종한 일자에 상기 화합물의 단위 투여량을 처리하였다. 식염수를 투여한 생쥐 10마리로된 대조군을 실험에 포함시켰다. 미토마이신 C를 처리한 군을 정대조군으로 포함시켰다. 30일간의 병력기록표에는 각 생쥐건에 대하여 측정한 평균 생존일 수 및 상기 30일째 되는 날에 생존한 수를 기록하였다. 이 쥐들에 대하여 시험전과 시험후 6일째 되는날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체중의 변화를 약품의 독성치로서 나타내었다. 각 생쥐의 체중이 20g인 것을 이용하였으며 체중이 약 2g 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은 과도한 손실로 생각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 T/C(처리한 군의 평균생존기간과 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의 평균생존기간 100에 대한 비율) 기간으로 측정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염수처리 대조군 동물은 9일내에 죽었다, 다음표에서 "최대효과"는 % T/C로 표시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 투여량을 나타내었다. 괄호내의 값은 같은실험에서 정대조군으로 미토마이신 C로써 얻은 값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물질과 미토마이신 C의 상대 활성도의 값을 추정할 수 있다. % T/C의 관점에서 최저효과는 125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다음표에 나타낸 최저효과 투여량은 % T/C가 약 125인 투여량이다. "평균중량변화"란에 각각 주어진 2가지 값은 각각 최대효과 투여량 및 최저효과 투여량으로 각각 생쥐에 대한 평균체중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388 쥐의 백혈병의 억제]
[표 I]
1. ㎎/㎏ (체중)
2. 최대 및 최저효과를 위한 평균투여량(g/day)
3. 우라까와외 공동연구자, J. Antibiotics, 23, 804-809(1980)
4. 괄호내의 수치는 미토마이신 C에 대하여 같은 방법으로 시험한 것이다.
실험적 동물종양에 관찰된 항종양 활성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포유동물의 종양을 억제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비독성으로 항종양에 효과적인 투여량 종양을 가진 포유동물의 조직에 투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주로 미토마이신 C와 같은 방법 및 같은 목적으로 주사에 의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수한 종양의 감지도에 따라서 약간 더 양이 많거나 또는 양을 적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제약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희석제, 완충제, 안정제, 용해제 및 제약 특성을 부여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건성 의약 조성물로 조제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사용하기 바로전에 즉흥적으로 주사액 매질과 혼합한다. 적합한 주사액은 물, 등 침투성 염수등이 있다.
다음의 제조공정 및 실시예에서, 모든 온도는 섭씨 온도이며 융점은 부정확한 것이다. 양자핵자기 공명(1H NMR) 스펙트럼은 표시된 것과 같이 피리딘-d5또는 D2O에 바리안(Varian) XL100, 조엘(Joel) FX-90Q 또는 부루커 WM360 분광기에 기록하였다. 피리딘-d을 용매로 사용할 경우 δ=8.57에서의 피리딘 공명을 자체 참고자료로 사용되며 용매로서 D2O를 사용하면 TSP를 자체 참고자료로 사용된다. 화학적 변화는 헤르츠(Hertz)의 δ단위 및 카플링 항수에 기록되어 있다. 분열형태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s : 단일, d : 2중, t : 3중, q : 4중, m : 다중, bs : 광범위신호, dd : 2중의 2중, dt : 3중의 2중. 적외선 스펙트럼은 벡크만 모델 4240 분광기 또는 니콜레트 5DX FT-IR 분광기로 측정하여 역 ㎝로 나타내었다. 자외선 스펙트럼(UV)는 멀티다이오드 장치 검출기를 설치한 휴리트 팩카드 8450A 분광기 또는 캐리모델 290 분광기로 측정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는 0.25 아날테크 실리카겔 GF 판상에서 수행되었다. 플래쉬크로마토 그래피법은 웰름 중성 알루미나(DCC급) 또는 웰름 실리카겔(32-63㎛) 및 지적된 용매로서 실시하였다. 감압하의 40℃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를 모두 증발시켰다.
1-알킬-3-아릴트리아젠은 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서 반응하는 저급알킬 에스테르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공지의 시약을 만든다.
방법 1[Org. Syn., 48, 102-195(1968)에서 이.에이치.화이트외 공동연구자의 방법]
[1-메틸-3-p-토릴트리아젠]
p-톨루이딘(50.2g, 0.47몰)을 20㎖들이 적가 깔때기와 교반기를 설치한 2L들이 플라스크에 가하고 이 깔때기를 약 -10℃의 얼음-소금조에 침지시켰다. 물 150㎖중에 아질산칼륨 46.8g(0.55몰)의 용액을 적가깔때기에 넣고 분쇄한 얼음 250g과 진한 염산 140㎖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아질산칼륨 용액을 양성 전분-요오드화 칼륨이 생성될 때까지 (주의 1) 1-2시간동안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첨가시키고, 이 혼합물을 모든 톨루이딘이 반응할 수 있도록 1시간 더 교반하였다.
그 다음 p-톨루엔디아조늄 클로라이드 용액을 냉각 농축시킨 탄산나트륨액으로 pH 6.8-7.2로 조절하면 이 용액은 적색 내지 오렌지색으로 변화되며 소량의 적색물질이 침전된다. 냉각 중성용액을 적가 깔때기에 옮기고 3L들이 플라스크에서 탄산나트륨 150g, 30-35% 메틸아민액(주위 2) 및 분쇄한 얼음(100g)의 혼합물을 격렬하게 혼합시킨 것에 서서히 가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약 45분간(주의 3) 첨가시키는 동안 약 -10℃로 유지시켰다. 이 용액을 에테르 1L로써 3차례 추출하였다. 에테르 추출물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써 건조시키고 실온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증발시켜 조생성물 1-메틸-3-p-토릴트리아젠 565g(주의 4)을 얻었다.
이것을 물-냉각 승화기에 넣고 트리아젠을 50℃(1㎜)에서 승화시켰다. 황색 결정성 승화물질 43.3g(0.29몰, 62%)(융점 77-80℃)이 생성되었다(주의 5). 이 승화물질을 헥산중에서 재결정시켜 백색 침상 결정체인 트리아젠(융점 80.5-81.5℃)을 얻었다. 더 편리하게 소량의 에테르에 용해시켜 그 용액을 헥산 2배 용적으로 희석시키고 0℃로 냉각시켜 약간 황색조를 띈 판상결정체를 얻었다(융점, 79-81℃). 순수한 트리아젠의 수율은 33-37g(47-53%)였다(주의 6).
[주의]
1. 전분-요오드화 칼륨지로써 행하는 각 개의 시험은 아질산 칼륨을 첨가시킨 후 1-2분내에 행한다.
2. 40% 메틸아민 수용액으로 대체시킬 수 있다.
3. 탄산나트륨액 중의 β-나프톨의 용액을 1방울 적가했을때 더이상 적색을 띄지 않으면 반응이 완결된 것이다.
4. 불순물의 주성분 1,5-디-p-토릴-3-메틸-1,4-펜타자디엔(융점 148℃). 이것은 분류 결정화에 의하여 제거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반응혼합물로부터 트리아젠을 승화시키는 것이 더 쉽다.
5. 승화물은 반응 크로마토그래피에 나타난 것과 같이 미량의 1,3-디-p-토릴트리아젠을 포함한다.
6. 이 방법에는 수용성 아민만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방법(2)는 수불용성 아민의 트리아젠을 제조하는데에 더 적합하다.
방법 2 [Tetrahederon Letters No. 21, p.761(1961)의 이.에이치.화이트외 공동연구자의 방법]
[1-n-부틸-3-p-클로로페닐트리아젠]
디메틸포름아미드(디메틸아민-없음)중의 p-클로로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인산염(아세톤-메탄올), (2.87g, 10.1밀리몰)의 용액을 n-부틸아민(0.73g, 10.0밀리몰), 탄산나트륨 분말(15g) 및 디메틸포름아미드(30㎖)을 교반한 혼합물에 서서히 가하고 -5℃로 유지시켰다. 디아조늄염 용액은 실온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디아조늄염 용액을 제조하여 약 -50℃로 유지되는 냉각분리 깔때기로부터 이송시킨다면 더 순수한 생성물이 얻어진다. 이 혼합물을 0℃로 가온하고 2-나프톨로써 음성반응 시험물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단 몇분이 소요됨). 에테르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여과하여 여과물을 물로써 수세하여 건조하였다(트리아젠은 이 시험에서 단리시켜 저온의 펜탄중에서 재결정시킨다).
[방법 3]
[7-히드록시-9a-메톡시미토산]
미토마이신(2.2g, 6.6밀리몰)을 0.1N 메탄올 NaOH액(50%) 140㎖중에 용해시키고,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이 용액을 1N HCl로써 약 pH 4.0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4×500㎖)로써 추출하였다. 혼합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건조시키고(Na2SO4) 약 30°- 35℃에서 감압하여 증발시켜 고상의 잔사를 얻었는데 이것을 용해시키고 과잉량의 헥산을 처리하여 진홍색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수집하여 공기 건조시킨 결과 진홍색 분말의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1.4g, 63%).
1H NMR(피리딘-, δ) : 2.05(s, 3H), 2.14(bs, 1H), 2.74(bs, 1H), 3.13(d, 1H), 3.24(s, 3H), 3.56(d, 1H), 4.00(dd, 1H), 4.37(d, 1H), 5.05(t, 1H), 5.40(dd, 1H), 5.90(bs, 2H).
[방법 4]
[미토마이신 A]
7-히드록시 9a-메톡시미토산 100㎎(0.30밀리몰)과 3-메틸-1-p-토릴트리아젠의 100㎎(0.67밀리몰)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2㎖와 디에틸에테르 10㎖중에 용해시켰다. 6시간동안 약하게 환류시킨 후 이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TLC[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90 : 10)]은 Rf=0.36에서 진홍색 반점과 Rf=0.41에서 극소량의 불순물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 건조시키고 용출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30 : 1)을 사용하여 웰름 중성 알루미나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Rf=0.36에서 그 성분을 함유하는 유분을 붓고 농축 건조시켰다.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헥산으로부터 고상의 잔사를 침전시켜 미세 무정형 진홍색 분말인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25㎎, 24%), 융점 161℃.
C16H19N3O6에 대한 분석치 :
계산치 : C ; 54.96, H ; 5.44, N ; 12.02
실측치 : C ; 53.96, H ; 5.37, N ; 11.99
IR(KBr), υmax, ㎝-1: 3400, 3300, 2950, 1700, 1630, 1575, 1200, 1060.
1H NMR(피리딘-, δ) : 1.82(s, 3H), 2.74(dd, 1H), 3.12(d, 1H), 3.24(s, 3H), 3.54(dd, 1H), 3.96(dd, 1H), 4.02(s, 3H), 4.22(d, 1H), 4.84(bs, 2H), 5.02(t, 1H), 5.38(dd, 1H).
방법(4)의 수율은 방응용매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실온에서 24시간동안 수행하면 63%로 상승된다.
[방법 5]
250㎖들이 1몰 둥근 플라스크에 고상 Na2CO3, 아민 35% 수용액(방법 1에서와 같은 양)과 얼음을 넣고 이 현탁액을 -5℃(얼음-소금조)에서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에 얼음, 물, Na2CO3중의 p-클로로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Aldrich Chemical Co.)의 냉각 현탁액(용액의 pH 약 4)을 적가하였다. 완전히 가한다음 이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에테르로써 추출하였다. 혼합 디에틸에테르 추출물을 물로써 재 수세하고 건조(Na2SO4)하여 농축시켰다. 황색고체 잔사는 용출액으로서 헥산-메틸렌 클로라이드(1 : 1)을 사용하여 웰름 알루미나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1H NMR기록).
[실시예 1-10]
다음의 표(II)의 트리아젠 1-7은 실시예 1의 트리아젠을 예를 들어 설명된 일반적인 방법(1)에 따라 제조한 것이다. 트리아젠은 웰름 알루미나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다음표(II)의 트리아젠(8-10)은 상기 일반적인 방법(5)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표 II]
[트리아젠]
[실시예 11]
[1-[2-(3-니트로-2-피리딜티오)-에틸]-3-(4-메틸페닐)-트리아젠]
4-메틸페닐디아조늄 클로라이드의 용액은 p-톨루이딘을 사용하여 방법(1)에서와 같이 제조하여 그 방법에서 같이 0℃에서 pH 6.8-7.2로 조절하였다. 용액 45㎖중에 디아조늄염 21.15밀리몰을 함유하는 용액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2-(3-니트로-2-피리딜디티오)에틸아민 5.34f(20.0밀리몰), 탄산나트륨 7g 및 디옥산 150㎖(같은 종류의 플라스크내에 들어 있었음)가 들어있는 적가 깔때기를 장치한 250㎖들이 3목 둥근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 플라스크를 얼음조에서 냉각시켜 내용물을 기계적으로 교반하였다. 그후 디아조늄염 용액을 적가 깔때기를 사용하여 1시간동안 적가하였다. 완전히 첨가시킨다음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에테르 400㎖로써 3차례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 및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얻은 다음 알루미나 충전칼럼(지름 1인치, 길이 10인치)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이때 헥산 : 메틸렌 클로라이드(4 : 1), 헥산-메틸렌 클로라이드(3 : 2), 헥산-메틸렌 클로라이드(1 : 4) 및 1% 메탄올을 함유하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칼럼의 전개 및 용출용으로 사용하였다. 적합한 유분(TLC에 의해 확인됨)을 수집하여 증발시킨 결과 표제의 화합물 2.5g이 얻어졌다.
[실시예 12-18]
[7-알콕시-9a-메톡시미토산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12-18)]
CH2Cl2: 메탄올(4 : 1)중의 트리아젠(2.4당량)의 용액을 CH2Cl2: 메탄올(4 : 1)중의 7-히드록시-9a-메톡시미토산(방법 3에서 제조한 것)의 용액에 첨가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반응의 진행상태를 박층크로마토그래피(TCL), (CH2Cl2중의 10% MeOH)에 의하여 검사하였다. 7-알콕시-9a-메톡시미토산 생성물은 TLC상에서 진홍색 반점으로 나타난다. 이 반응 혼합물은 반응이 TLC를 기초로하여 완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웰름 알루미나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무정형 고체인 7-알콕시-9a-메톡시미토산을 얻었다. 이 생성물을 표(III)의 실시예 12-18과 같이 확인되었다.
[표 III]
[7-알콕시-9a-메톡시미토산]
a) T=계산치, F=실측치
b) 우라까와외 공동연구자, J.Antibiotics, 23, 804-809(1980)
c) (+) 및 (-) CIMS에서 관찰된 분자이온
d) 또한 미토마이신 A의 알코올 분해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음(우라까와외 공동연구자,loc.cit.)

Claims (12)

  1. 하기 일반식(X)의 미토산을 하기 일반식(XI)의 트리아젠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하는 하기 일반식(IX)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Ar-N=N-NH-R6XI
    상기 식중, R5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R6는 C1-12알킬 또는 치환C1-12알킬, C3-12시클로알킬 또는 치환 C3-12시클로알킬이고(여기서, 미토산 7-산소원자에 결합된 탄소원자는 1-2개의 수소원자를 갖고 있으며, 상기 치환제는 할로겐, C1-6알콕시, C1-6알카노일, C6-14아로일, 시아노, 트리할로메틸, 아미노, C1-6모노알킬아미노, C2-12디알킬아미노, C6-12아릴, C6-12아릴옥시, C1-6알카노일옥시, C7-14아로일옥시, 1 또는 2개의 고리와 질소, 산소 및 황에서 선정된 4개 미만의 헤테로 원자가 포함된 5-12개의 고리원자를 갖는 복소환 중에서 선정되며, 상기 각 알콕시, 알카노일, 아로일, 아릴, 아릴옥시, 알카노일옥시, 아로일옥시, 및 복소환 치환체들을 할로겐, C1-6알콕시, C1-6알카노일, 시아노, 트리할로메틸, 아미노, C1-6알킬 아미노 또는 C2-12디알킬아미노기들을 임으로 포함함), Ar는 디아조화될 수 있는 방향족 아민의 유리잔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XI)의 트리아젠이 3-메틸-1-(4-메틸페닐)트리아젠인 것이 특징인 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일반식(X)의 미토산에 대하여 트리아젠의 분자비가 2배 이상되게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일반식(X)의 미토산에 대하여 비반응성 유기액상 용매를 반응매질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탄소원자수가 8개 미만인 저급알칸올, 저급알킬 알카노에스테르, 저급디알킬에테르, 저급 폴리할로겐화 비장족 탄화수소 또는 환식 지방족에테르를 반응매질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메틸렌클로라이드, 메탄올, 디에틸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1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을 반응매질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2항에 잇어서, 반응온도가 0℃-60℃인 것이 특징인 방법.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반응온도가 0℃-25℃인 것이 특징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R6가 2-(벤질티오)-에틸이고 R5가 수소인 것이 특징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R6가 2-(2-피리딜)-에틸이고 R5가 수소인 것이 특징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R6가 2-(4-모르포리닐)에틸이고 R5가 수소인 것이 특징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R6가 (1,3-디옥소란-2-일)메틸이고 R5가 수소인 것이 특징인 방법.
KR1019900015952A 1984-09-04 1990-10-06 치환 7-옥소미토산의 제조방법 KR900008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688884A 1984-09-04 1984-09-04
US646888 1984-09-04
US74457085A 1985-06-17 1985-06-17
US744570 1985-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40B1 true KR900008840B1 (ko) 1990-11-30

Family

ID=270950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404A KR900008570B1 (ko) 1984-09-04 1985-09-02 치환 7-옥소미토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00015952A KR900008840B1 (ko) 1984-09-04 1990-10-06 치환 7-옥소미토산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404A KR900008570B1 (ko) 1984-09-04 1985-09-02 치환 7-옥소미토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JP (1) JPS61112078A (ko)
KR (2) KR900008570B1 (ko)
AT (1) AT394723B (ko)
AU (1) AU581673B2 (ko)
BE (1) BE903169A (ko)
CA (2) CA1291293C (ko)
CH (2) CH667094A5 (ko)
CY (2) CY1586A (ko)
DE (1) DE3531453C2 (ko)
DK (1) DK169478B1 (ko)
ES (3) ES8702408A1 (ko)
FI (1) FI80700C (ko)
FR (1) FR2569696B1 (ko)
GB (2) GB2164038B (ko)
GR (1) GR852118B (ko)
HK (2) HK22491A (ko)
HU (1) HU195658B (ko)
IE (1) IE58720B1 (ko)
IT (1) IT1209660B (ko)
LU (1) LU86062A1 (ko)
NL (1) NL8502383A (ko)
NO (1) NO169441C (ko)
PT (1) PT81083B (ko)
SE (2) SE4659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3212A (en) * 1983-04-11 1989-02-07 Bristol-Myers Company Amino disulfides
US4888341A (en) * 1984-09-04 1989-12-19 University Patents, Inc. 6-substituted mitomycin analogs
IL86665A0 (en) * 1987-06-12 1988-11-30 Bristol Myers Co Mitomycin analogs
ZA886812B (en) * 1987-11-23 1989-07-26 Bristol Myers Co Anti-tumor prodrugs
US5023253A (en) * 1987-12-21 1991-06-11 University Patents, Inc. 6-substituted mitomycin analogs
US5175303A (en) * 1990-03-08 1992-12-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eparation of 7-(diphenylmethyl)oxy-9A-methoxymitosane
US5075454A (en) * 1990-03-08 1991-12-2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7-(diphenylmethyl)oxy-9a-methoxymitosa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6821A (en) * 1962-09-04 1967-02-28 Upjohn Co Porfiromycin derivativ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487769A (en) * 1982-06-04 1984-12-11 Bristol-Myers Company Amidines
JPS59175493A (ja) * 1983-03-25 1984-10-04 Kyowa Hakko Kogyo Co Ltd マイトマイシン誘導体
DE3376114D1 (en) * 1982-12-07 1988-05-05 Kyowa Hakko Kogyo Kk Mitomycin analogues
US4803212A (en) * 1983-04-11 1989-02-07 Bristol-Myers Company Amino disulfides
KR840008362A (ko) * 1983-04-11 1984-12-14 사무엘 제이. 두보프 아미노 이황산염
US4888341A (en) * 1984-09-04 1989-12-19 University Patents, Inc. 6-substituted mitomycin analo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67457A5 (de) 1988-10-14
FR2569696B1 (fr) 1991-12-20
ES8702408A1 (es) 1986-12-16
FR2569696A1 (fr) 1986-03-07
SE9004157L (sv) 1992-06-28
HK22391A (en) 1991-04-04
FI80700B (fi) 1990-03-30
CA1254892A (en) 1989-05-30
HK22491A (en) 1991-04-04
NO169441B (no) 1992-03-16
CY1585A (en) 1992-04-03
AU581673B2 (en) 1989-03-02
ES553548A0 (es) 1987-06-16
IT1209660B (it) 1989-08-30
IT8522059A0 (it) 1985-09-03
HU195658B (en) 1988-06-28
CY1586A (en) 1992-04-03
GB2196006A (en) 1988-04-20
SE9004157D0 (sv) 1990-12-27
NL8502383A (nl) 1986-04-01
NO853435L (no) 1986-03-05
FI853338A0 (fi) 1985-08-30
ES8706326A1 (es) 1987-06-16
IE852174L (en) 1986-03-04
BE903169A (fr) 1986-03-03
DK401385A (da) 1986-03-05
GB8521816D0 (en) 1985-10-09
SE8504093D0 (sv) 1985-09-03
SE465929B (sv) 1991-11-18
IE58720B1 (en) 1993-11-03
LU86062A1 (fr) 1986-03-03
CH667094A5 (de) 1988-09-15
DE3531453A1 (de) 1986-03-13
ES546687A0 (es) 1986-12-16
GB8726516D0 (en) 1987-12-16
FI80700C (fi) 1990-07-10
PT81083B (pt) 1988-01-22
GB2164038A (en) 1986-03-12
AT394723B (de) 1992-06-10
AU4571685A (en) 1986-03-13
ES8706327A1 (es) 1987-06-16
CA1291293C (en) 1991-10-22
GR852118B (ko) 1986-01-07
ES553549A0 (es) 1987-06-16
KR900008570B1 (ko) 1990-11-24
NO169441C (no) 1992-06-24
GB2164038B (en) 1988-11-09
PT81083A (en) 1985-10-01
DE3531453C2 (de) 1996-07-18
GB2196006B (en) 1988-11-09
DK169478B1 (da) 1994-11-07
FI853338L (fi) 1986-03-05
HUT38942A (en) 1986-07-28
KR860002507A (ko) 1986-04-26
JPH0560469B2 (ko) 1993-09-02
ATA258985A (de) 1991-11-15
DK401385D0 (da) 1985-09-03
JPS61112078A (ja) 1986-05-30
SE8504093L (sv) 1986-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23171B1 (en) Novel K-252 derivatives having anti-tumor activit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K161327B (da) Substituerede 2-piperazinopteridiner,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deraf samt laegemidler indeholdende forbindelserne
US4866180A (en) Amino disulfide thiol exchange products
US984532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ubstituted 6,7,8,9-tetrahydropyrimido[5,4-b]indolizine, substituted 7,8,9,10-tetrahydro-6H-pyrimido[5′,4′:4,5]pyrrolo[1,2-a]azepine and substituted 6,7,8,9,10,11-hexahydropyrimido[5′,4′:4,5]pyrrolo[1,2-a]azocine
EP0129846B1 (en) (3-amino-1h-pyrazol-4-yl)(aryl)methanones
KR900008840B1 (ko) 치환 7-옥소미토산의 제조방법
US6166016A (en) Amide derivatives
PL160044B1 (pl) Sposób wytwarzania pochodnych imidazopirydazyny PL PL PL
US4814445A (en) Process for preparing mitomycin analogs
USRE31429E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9-(dihalobenzyl)adenines
US4495187A (en) Method of using [1,2,4]triazolo[4,3-a]quinoxaline-4-amine derivatives as antidepressant and antifatigue agents
US4927943A (en) Substituted 7-oxomitosanes
Eldin Cyanothioacetamide and its derivatives in heterocyclic synthesis: a new route for the synthesis of several pyridine and thieno [2, 3-b] pyridine derivatives and their biological evaluation
US5352798A (en) Process for preparing dithio-ethylanino 9A-methoxymitosanes
CA3135449A1 (en) Triazolopyrimidines based on thymine nucleobas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US4567256A (en) Amidine process
US5097036A (en) Substituted 7-oxomitosanes
KR20010042240A (ko) 트리아조로푸린 유도체,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의약조성물, 아데노신 에이3 수용체 친화제 및 천식치료제
US5099016A (en) Substituted 7-oxomitosanes
PL225349B1 (pl) Pochodne 2’,5’-dideoksy-5-fluorourydyny o działaniu cytotoksycznym, sposób ich wytwarzania i zastosowanie
EP0035881B1 (en) 2,3,4,5,6,7-hexahydro-10-hydroxy-2-methyl-8-phenyl-8h-furo(3,2-g)-3-benzazepin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3017564A1 (de) Geminale dihalogenderivate kondensierter pyrimidin-4-on-verbindung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pharmazeutische kompositionen
EP0049928B1 (en) Water soluble derivatives of cephalexin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IE910464A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¹7-amino-3-methoxymethylceph-3-em-4-carboxylic acid
EP0433678A1 (en) Alkoxymethylidene epipodophyllotoxin glucos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