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900Y1 -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900Y1
KR900000900Y1 KR2019860019932U KR860019932U KR900000900Y1 KR 900000900 Y1 KR900000900 Y1 KR 900000900Y1 KR 2019860019932 U KR2019860019932 U KR 2019860019932U KR 860019932 U KR860019932 U KR 860019932U KR 900000900 Y1 KR900000900 Y1 KR 900000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pair
arm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9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158U (ko
Inventor
요시아키 타카츠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01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1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3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r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가 설치된 차량과. 화물이 적재된 고정 하대의 전체적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보인 차량과 고정 하대의 부분 절제 정면도.
제3a-3e도는 이 고안의 장치에 의해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작동을 보이기 위한 평면도들.
제4a-4e도는 제3a-제3e도 각각에 상응하는 정면도들.
제5도는 이 고안에 따른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에 사용되는 화물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식적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 : 차체
3 : 차륜 4 : 하대(荷臺)
5 : 직립 벽 부재 6 : 바닥 표면 부분
7 : 안내 슬롯 8 : 화물 안내 부재
10 : 아암 부재 11 : 화물 지지 유니트
12 : 하우징 13 : 핑거(finger)
30 : 고정하대 31 : 안내 슬롯
32 : 화물 안내 부재 33 : 보빈
34 : 플랜지 35 : 구멍
36 : 요홈부 40 : 요홈부
41 : 커플링 42 : 돌출부
이 고안은 예를들어. 대차(臺車), 왜건(wagon), 보우기(bogie), 수레 등과 같이, 처리될 재료나 완성제품등의 화물을 공장이나 창고의 구내에서 운반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물을 차량의 하대(荷坮)에 싣고 부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차체에 위아래로 선회할 수 있게끔 장착되어 있는 화물 지지 아암을 가지는 종류의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화물을 싣고 부리는 이와같은 종래의 장치는 그의 아암으로 화물을 지지한 다음에 아암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화물을 차체에 올려놓거나 내려 놓게 되어 있다.
아암들이 화물을 지지한채 상하로 이동되기 때문에, 아암과 차체에 장착되는 아암 부분들은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또한 아암을 움직이는데 큰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모터와 같이 아암을 구동하는 원동기에 의한 에너지 소모가 증가한다.
또한, 화물을 차량에 올려놓은때 화물은 아암에 의해 윗부분이 보유된채 차량상에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화물이 차체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위치에 놓이고, 따라서 차량은 상부가 무겁고 그의 주행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시 화물이 상하로 요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항상 위험이 따른다.
이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큰 하중을 받지 않게끔 설치된 비교적 간단한 화물 지지 유니트를 가진 차량에 사용되고 화물의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소모가 적은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전하고 용이하게 화물을 차량에 실을 수도 부릴 수도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이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화물올 싣고 부릴 수 있으며,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운전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고안에 따른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는, 하대로 작용하는 직사각형의 평탄한 바닥 표면 부분과 이 바닥 표면 부분의 2개의 길이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단부로부터 위로 뻗으며 서로 마주보고 나란한 한쌍의 직립 벽 부재로 이루어진 U자형 본체와, 양 직립 벽 부재들의 내측 표면상의 대향하는 상부 위치들에서 수평으로 뻗고 직립 벽 부재를 따라서 수평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들에서 양 직립 벽 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된 한쌍의 아암 부재와, 상기 아암 부재의 2개의 길이방향 단부들에 장착되고 화물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화물 지지 부재를 각각 가진 화물 지지 유니트와, 양 아암 부재를 미끄럼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아암 작동기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안에 따르면,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의 본체는 그의 바닥 표면 부분에 고착되고 직립 벽 부재들에 인접하여 그 벽 부재들에 나란히 뻗어있는 한쌍의 화물 안내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화물 지지 유니트는 화물 지지 부재를 수용하도록 각각의 아암 부재에 고착되어 있는 하우징을 가지며, 각각의 하우징에는 화물 지지 부재를 아암 부재의 미끄럼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서로에 가까이 혹은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작동기 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아암 작동기 수단은, 각 아암부재의 하부에 고착되어 아암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랙(rack)과, 각각의 직립 벽부재에 예정된 간격으로 지지된 한쌍의 지지축에 장착되고 각각의 대응하는 랙과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양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쌍의 피니언과, 그 피니언들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의 대응하는 피니언 지지축에 고착된 한쌍의 풀리와,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의 본체와 바닥 표면 부분 아래에서 그리고 양 직립 벽 부재 사이에서 뻗는 구동축과, 그 구동축에 고착되어 전동수단을 통하여 상기 한쌍의 풀리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풀리로 구성된다.
이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화물 안내 부재는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뻗으며 위쪽으로 트인 슬롯을 가진다.
이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화물 안내 슬롯은 그의 양쪽 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게끔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거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는 원호 형태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원호 형태의 요홈부는 그의 최하 지점쪽으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끔 형성되어 있다.
이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화물 지지 부재는 화물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요홈부에 맞물리기에 적합한 핑거(finger)로 되어 있다.
이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화물 지지 부재는 화물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돌출부가 결합되기에 적합한 요홈부를 지닌 커플링으로 되어 있다.
이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동력을 구동풀리에서 1쌍의 피니언의 풀리들에 전달하는 전동 수단은 그들 3개의 풀리에 감겨진 최소한 하나의 단일체 벨트로 되어 있다.
이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든 구동 풀리와 1쌍의 피니언의 각 풀리가 기어이고, 3개의 기어를 위한 전동 수단은 그 기어들에 감겨진 최소한 하나의 단일체 체인으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고안에 따라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일 실시예가 제1도 및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이 실시예에서는, 양쪽 끝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의 화물을 운반하고, 싣고 부리는 차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나, 이 차량에 의해 취급될 화물은 그러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플랜지가 없는 원통모양의 화물이나, 기다란 옷감, 테이프, 종이, 로우프, 철사, 판금 따위가 감겨있는 보빈(bobbin), 또는 선택적으로 둥그런 단면의 운반 수단에 사용되는 원통 모양의 기계 부품이나 휘일도 적절히 싣고, 부리고 운반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다수의 차륜(3)이 설치된 차체(2)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럭보다 높이가 낮은 하대(荷臺)(4)를 가진 차량(1)이 도시되어 있다.
그 하대(4)에는 이하 상세히 기술될 본 고안에 따른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화물을 싣고 부리는 이 장치는, 하대로서 작용하는 평단한 수평의 바닥 표면 부분(6)과, 그 바닥 표면부분(6)과 일체로 형성되고 차량(1)의 전후 주행 방향에 대하여 바닥 표면부분(6)의 두 전후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서로 나란히 마주본 채 뻗는 한쌍의 직립 벽 부재(5),(5)로 이루어진 U자형 종단면의 본체를 가진다.
바닥 표면 부분(6)에는, 차량(1)의 전후 주행 방향에 대하여 예정된 간격을 두고 직립 벽 부재(5),(5)에 고정되고 직립 벽 부재(5),(5)에 나란하게 인접히 뻗는 한쌍의 화물 안내부재(8),(8)가 있다.
각각의 화물 안내부재(8),(8)의 전체 길이는 바닥 표면 부분(6)의 횡방향폭과 동일하다.
또한, 각 화물 안내부재(8)의 중앙 부분에는, 위쪽으로 트여 있으며 화물 안내부재(8)의 전길이에 걸쳐 각각의 직립 벽 부재(5),(5)와 나란하게 뻗는 안내 슬롯(7)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33)이 차량(1)에 실릴때 보빈(33)의 플랜지들(34)이 안내 슬롯(7)안에 원활하게 도입될 수 있도록 안내슬롯(7)의 양쪽 단부(7a),(7a)는 위에서 보아 외측으로 벌어져 있다.
또한, 안내 슬롯(7)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는,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원호형 요홈부(36)가 형성되어있으며, 그 요홈부(36)의 높이는 보빈(33)이 하대(4)에 안정되게 얹혀질 수 있도록 그의 최하지점 쪽으로 점차 낮게 되어 있다.
각 직립 벽 부재(5),(5)의 양쪽 내측 표면의 상부에는, 그의전체 횡 방향 폭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뻗는요홈부, 즉 슬롯(9)이 형성되어 있다.
각 직립 벽 부재(5),(5)의 전체 횡 방향 폭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가지는 아암부재(10)가 차량(1)의 전후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자유스립게 왕복 운동하거나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끔 상기 슬롯(9)안에 삽입되어 있다.
각 아암 부재(10),(10)의 양쪽 단부에는 화물 지지유니트(11),(11)가 설치되어 있다.
각 화물 지지 유니트(11),(11)는 아암 부재(10)에 고착되어 있는 하우징 (12)과, 예를들어 차량(1)의 전후 주행 방향에 대하여 하우징(12)에 상대적으로 작동기 유니트(모터)(14)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움직이기에 적합한 핑거(13)와 같은 화물 지지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하,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의 한쌍의 대향한 직립 벽 부재(5),(5)중 하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벽부재도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두 직립 벽 부재(5),(5)상의 대향 위치에 배치된 아암 부재(10),(10)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작업 도중에 서로 동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끔 배치된다.
한편, 아암 부재(10),(10)의 두끝에 각기 장착된 대향한 핑거들(13),(13)은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작업 도중에 작동기 유니트(14)에 의해 서로 등기하여 서로에게 가까이 혹은 서로로부터 멀리 움직일 수 있게끔. 돌출 및 후퇴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다음, 아암 부재(10),(10)를 미끄럼 운동시키는 아암 작동기 유니트에 대하여 제2도를 참고하여 기술한다.
각 아암 부재(10),(10)의 하부에는 아암부재(10),(10)의 거의 전 길이를 따라서 랙(rack)(15)이 고정되어있다.
최소한 한개의 피니언(16)이 직립 벽 부재(5)에 지지된 최소한 한개의 지지축(18)(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에 장착되어 있고, 랙(15)과 맞물려 있게끔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16)은 양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풀리(17)가 각각의 지지축(18)에 장착되어 있고 피니언(16)에 연결되어 피니언(16)을 동기 회전시킨다.
한편, 차체(2)에 지지되고 회전 구동 동력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구동축(21)이 하대(4)밑에 장착되어있다.
구동 풀리(20)가 구동축(21)에 장착된다.
그리하여, 구동축(21)의 회전이. 예를들어 피니언(16)에 연결된 풀리(17)와 구동 풀리(20)에 감긴 최소한 하나의 벨트(19)와 같은 전동 수단을 통하여 피니언(16)에 전달됨으로써 아암 부재(10),(10)가 미끄럼 운동할수 있게된다.
상기 아암 작동기 유니트에서는 풀리와 벨트의 조합체가 사용되지만, 풀리 대신에 기어가, 벨트 대신에 체인이 사용될 수도 있다.
기어와 체인의 조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신뢰성이고 안전한 동력 전달이 달성될 수 있다.
참조 번호(30)은 공장 구내에 설치된 플랫포옴, 즉, 고정 하대를 나타낸다.
이 고정하대(30)의 상부에는, 화물 안내부재(32)와 안내 슬롯(31)이 차량(1)에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의 화물 안내 부재(8)와 안내 슬롯(7)을 마주보게 그들과 똑같은 간격과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급될 화물인 보빈(33)의 플랜지들(34)각각의 외측 중앙 부분에는, 화물 지지 부재로서 작용하는 핑거(13)가 맞물리게 적합한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제3a-3e도와 제4a-4e도를 참조하여설명한다.
또한, 제3a-3e도와 제4a-4e도 각각은 서로 상응하는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제3a도와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아암 부재(10),(10)각각이 직립 벽 부재(5),(5)안으로 후퇴되어 있는 차량(1)이 고정 하대(30)에 인접히 마주본채 소정 위치에 정지된다.
그다음. 제3b도와 제4b도에 보인 바와 같이, 우측 화물 지지 유니트(11)의 핑거(13)들이 그들 각각의 하우징(12) 안으로 후퇴된 체 한쌍의 아암 부재(10) 는 우측핑거(13) 가 보빈(33)의 플랜지(34) 가 외측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35)에 마주보는 위치까지 보빈(33)을 향하여 미끄러져 이동된다.
아암 부재(10)가 이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3c도 및 제4c도에 보인 바와 같이, 작동기 유니트(모터)(14)가 작동하여 우측 핑거들(13).(13)을 돌출시켜 보빈(33)의 구멍(35),(35)안에 꼭 끼워지게 하므로써 보빈(33)이 1쌍의 아암 부재(10).(10)에 의해 지지된다.
그때. 구멍(35)의 직경이 핑거(13)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핑거(13)는 약간의 위치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구멍(35)안으로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다.
그후. 제3d도 및 제4d도에 보인 바와 같이, 보빈(33)을 지지한 아암 부재(10)는 좌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며. 그동안 보빈(33)의 1쌍의 플랜지(34),(34)는 하대(4)상에 얹혀있는 위치까지 안내 슬롯(31),(7)올 따라서 구르거나 미끄러진다.
보빈(33)이 하대(4)상에 얹혀진후. 제3e도와 제4e도에 보인 바와 같이, 튀어나온 우즉 핑거(13)는 그들 각각의 하우징(12)안으로 후퇴하여 보빈(33)을 놓아주고. 그 다음 아암부재(10),(10)가 우측으토 미끄러져 처음 위치로 복귀한다.
아암 부재(10).(10)가 그의 원래 위치로 복귀한 후 우측 핑거들(13),(13)은 그들의 하우징(12).(12)에서 다시 튀어나와 보빈(33)이 차량(1)에 의해 운반되는 도중에 하대(4)로부터 떨어지지 못하게 한다.
또한, 차체(2)에서 보빈(33)을 내리고자할때는 단지 상기한 작동을 역으로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할 수 있는 이 고안의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가 설치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와같은 작동효과 외에도, 화물 지지 유니트들(11)이 1쌍의 아암부재들(10),(10)의 좌우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기때문에, 차체(2)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보빈(33)을 고정하대(30)의 과측 또는 우측 어느쪽으로 부터도 차량(1)에 실을 수 있고 차량(1)에서 고정 하대(30)상으로 내릴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예를들어 보빈(33)이 제3e도 및 제4e도에 보인 바와같이 하대(4)위에 얹혀있는 상태애서 좌측 화물 지지 유니트(11)의 핑거(13)를 구멍(35)에 끼운다음. 아암부재(10)를 왼쪽으로 미끄러지게하므로써. 차체(2)의 방향을 바꿀 필요없이 우측으로부터 차량(1)의 하대(4)에 실린 보빈(33)을 차량(1)의 좌측으로 내릴 수 있다.
또한, 보빈(33)이 하대(4)상에 얹혀있는 상태에서 아암 부재(10)의 좌우측에 있는 화물 지지유니트(11)의 핑거들(13)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는 경우, 보빈(33)은 좌우측 핑거들(13)사이에 끼이게 되어 차량 주행시 하대(4)에서 떨어지지 못한다.
더욱이 화물 지지 유니트(11)는 핑거들(13)이 유압 실린더에 의해 튀어나오거나 후퇴하게끔 구성될 수도있고. 다르게는 랙 및 피니언과 조합하여 모터를 사용하여 핑거(13)를 튀어 나오게 하거나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화물 지지 부재는 요홈부(40)가 형성되어 있는 거플링(41)의 형태로 구성될수도 있으며, 보빈(33)의 플랜지(34) 각각의 외측 중앙부에 돌출부(42)를 형성하여 그 돌출부(42)가 해당 커플링(41)에 끼이게 하므로써 보빈(33)을 정위치에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은 사람이 타고 있거나 타고 있지 않을수도 있으며. 혹은 미는 손수레 형태일 수도 있다.
더욱이, 로울러와 같은 구르는 수단을 화물안내 부분에 설치항으로써, 각이 진 화물이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화물도 이 고안에 따른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로 쉽게 싣고 내릴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하대로 작용하는 평탄한 직사각형 바닥 표면부분(6)과 그 바닥 표면 부분의 두 길이방향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단부로부터 위쪽으토 서로 마주보면서 나란하게 뻗는 한쌍의 직립벽 부재(5,5)로 이루어진 U자형본체와, 직립 벽 부재들(5,5)의 내측 표면상의 대향하는 상부 워치들에서 수평으로 뻗으며 상기 직립 벽 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끔 상기 위치에서 양 직립 벽 부재에 의해 지지된 한쌍의 아암부재(10.10)와. 화물과 결합할 수 있고 또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화물 지지 부재를 각각 가지며 각각의 아암 부재의 각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장착된 화물 지지 니트(11.11)와, 양 아암 부재(10,10)를 미끄럼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아암 작동기 수단으토 구성된,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양 직립 벽 부재(5,5)에 인접하여 그 벽 부재들에 나란하게 뻗고 상기바닥 표면 부분(6)에 고착되어 있는 한쌍의 화물 안내 부재(8.8)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화물 지지 유니트(11.11)가 각각의 상기 아암부재(10.10)에 고착되어 상기 화물지지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12)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하우징(12)에는, 상기 화물 지지 부재들을 상기아암 부재(10.10)의 미끄럼 이동방향에 직각인 방향으토 서로의 쪽으로 돌출시키고 또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후퇴시키기에 적합한 작동기 유니트(14)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작동기 수단은, 각 아암부재(10)의 하부에 고착되어 그 아암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랙(15)과. 상기 각각의 직립 벽 부재(5)에 예정된 간격으로 지지된 한쌍의 지지축(18.18)에 장착되고 각각의 대응하는 랙(15)과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양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쌍의 피니언(16.16)과. 그 피니언들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의 대응하는 피니언 지지축(18,18)에 장착된 한쌍의 풀리(17,17)와,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의 상기 본체의 바닥 표면 부분(6)아래에서 그리고 양 직립 벽 부재 (5.5)사이에서 뻗는 구동축(21)과, 그 구동축에 고착되어 전동 수단을 통하여 상기 한쌍의 풀리(17,17)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풀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화물 안내 부재들(8.8) 각각이. 그의 전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뻗으며 위쪽으로 트인 안내 슬롯(7)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슬릇들(7) 각각의 양쪽단부(7a.7a)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며, 그 안내슬롯의 거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는 원호 형태의 요홈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원호 형태의 요홈부(36)는 그의 최하 지점쪽으토 높이가 점차 낮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지지부재는. 화물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35)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핑거(13)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지지부재는. 화물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돌출부(42)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요홈부(40)를 지닌 커플링(41)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수단이 상기 3개의 풀리들(17.17.20)에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단일체벨트(19)토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모든 3개의 풀리들(17,17,20)이 기어들로 되어 있고, 상기 전동수단이 3개의 기어들에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단일체 체인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KR2019860019932U 1985-12-13 1986-12-12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KR90000090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190969U JPH0242691Y2 (ko) 1985-12-13 1985-12-13
JP60-190969 1985-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158U KR870010158U (ko) 1987-07-10
KR900000900Y1 true KR900000900Y1 (ko) 1990-01-31

Family

ID=1626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9932U KR900000900Y1 (ko) 1985-12-13 1986-12-12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43157A (ko)
JP (1) JPH0242691Y2 (ko)
KR (1) KR900000900Y1 (ko)
AU (1) AU582722B2 (ko)
DE (1) DE3642561A1 (ko)
ES (1) ES2003969A6 (ko)
FR (1) FR2597419B1 (ko)
GB (1) GB2190648B (ko)
IT (2) IT8654188V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61B2 (ja) * 1989-03-20 1995-03-08 前田工業株式会社 ロール状資材の格納装置
FI82667C (fi) * 1989-07-04 1991-04-10 Maillefer Nokia Holding Vagn foer transport av en cylinderformad kropp.
US5320295A (en) * 1991-09-03 1994-06-14 Nokia-Maillefer Holding S.A. Device for a displacing carriage for displacing a cylindrical body into a winding machine
US5413450A (en) * 1993-03-31 1995-05-09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load
JP2889077B2 (ja) * 1993-04-16 1999-05-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無人搬送車
US5433576A (en) * 1994-04-01 1995-07-18 Moore Business Forms, Inc. Low profile dolly and ramp assembly for a roll
US7360740B2 (en) * 2005-03-25 2008-04-22 Reagan Scott A Telescopic carpet conveyor
JP4528250B2 (ja) * 2005-11-07 2010-08-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ロール体用無人搬送台車
EP2246282B1 (en) * 2009-04-29 2015-11-2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thod for moving a reel of packaging material from a storage station to a supply station of a packaging unit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of food product, and clamping unit for clamping such reel
CN103303747B (zh) * 2013-07-08 2017-01-18 国家电网公司 自动装载式重型电缆绕线机
FI128153B (fi) 2018-06-29 2019-11-15 Actiw Oy Lastauskehikko, laitteisto ja menetelmä tuotteiden lastaamiseksi
EP3960656A1 (en) * 2020-08-24 2022-03-02 Dematic GmbH System for storage of goods carriers
CN113246839B (zh) * 2021-06-24 2021-09-17 徐州华邦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管桩轨道专用运输车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55600A (ko) *
US2613827A (en) * 1947-09-06 1952-10-14 Hubertus Josephus Van Doorne Self-loading and unloading vehicle
US3175718A (en) * 1963-02-01 1965-03-30 Dempster Brothers Inc Apparatus for handling containers
DE1455670A1 (de) * 1964-09-30 1969-05-08 Ohio Brass Co Vorrichtung zum Aufladen und Entladen von Kabeltrommeln u.dgl.
US3892324A (en) * 1973-09-07 1975-07-01 Conco Inc Shuttle fork mechanism with probe means
JPS50128445U (ko) * 1974-04-16 1975-10-22
US4338059A (en) * 1980-07-24 1982-07-06 Mid-America Body & Equipment Co. Cable reel handling apparatus for a vehicle
JPS5939660A (ja) * 1982-08-25 1984-03-05 Nishikawa Tekkosho:Kk 線材自動巻取装置におけるボビン自動供給取出装置
SE441172B (sv) * 1982-12-08 1985-09-16 Bengt Lindell Anordning for transport och hantering av cylindriska enheter
SE448294B (sv) * 1983-11-17 1987-02-09 Mecanum Ab Transportanordning
JPS60137728U (ja) * 1984-02-22 1985-09-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線ドラム巻取・積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90648A (en) 1987-11-25
KR870010158U (ko) 1987-07-10
FR2597419A1 (fr) 1987-10-23
GB2190648B (en) 1988-12-07
DE3642561C2 (ko) 1991-10-02
IT8667923A0 (it) 1986-12-12
FR2597419B1 (fr) 1991-08-16
DE3642561A1 (de) 1987-06-25
AU582722B2 (en) 1989-04-06
JPH0242691Y2 (ko) 1990-11-14
ES2003969A6 (es) 1988-12-01
AU6636986A (en) 1987-06-18
IT1196835B (it) 1988-11-25
JPS6298625U (ko) 1987-06-23
IT8654188V0 (it) 1986-12-12
GB8629777D0 (en) 1987-01-21
US4743157A (en) 198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900Y1 (ko)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KR0163352B1 (ko) 원통형 물체의 수송용 운반대
CN112125205B (zh) 一种拆叠盘装置及拆叠盘设备
KR100231888B1 (ko) 물품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저장구조물
JP3375061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US5211527A (en) Load-handling device
JP2000044016A (ja) スタッカクレーン、自動倉庫用建屋及び自動倉庫
JP2002114314A (ja) 立体自動倉庫
JPH10324425A (ja) 荷役装置及び荷役方法
JP3360805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スライドフォーク
JP2003146422A (ja) センタリング装置
JPH032485Y2 (ko)
JP2002173224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設備
JPS6234656B2 (ko)
JPH0419132B2 (ko)
CN218878469U (zh) 可伸缩的地空转载装卸平台
KR100200979B1 (ko) 원통형 중량물 반입, 출이 가능한 이송용 대차
JP3494267B2 (ja) 荷受け台装置
KR200277232Y1 (ko) 화물 적재용 운반차
KR0133931Y1 (ko) 플로팅 테이블을 갖춘 원주형상물 반송차
JP3149153B2 (ja) 保管装置
US3942665A (en) Loading apparatus in motor truck
JP2000327110A (ja) 搬送設備
JPH01203105A (ja) コンテナ移送装置
JP3046163U (ja) 物品収納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