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888B1 - 물품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저장구조물 - Google Patents

물품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저장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888B1
KR100231888B1 KR1019970039201A KR19970039201A KR100231888B1 KR 100231888 B1 KR100231888 B1 KR 100231888B1 KR 1019970039201 A KR1019970039201 A KR 1019970039201A KR 19970039201 A KR19970039201 A KR 19970039201A KR 100231888 B1 KR100231888 B1 KR 100231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movable
storage
vehic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736A (ko
Inventor
카츠요시 야토우
와카오 마미야
Original Assignee
고 무쓰카즈
후지 헨소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 무쓰카즈, 후지 헨소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 무쓰카즈
Publication of KR1998001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 E04H6/287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주차구조물과 같은 저장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구조물은 물품(65)들을 수용하기 위한 인입부(2), 물품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8), 인입부(2)와 저장부(18)를 연결하기 위한 리프트통로(17), 및 출입소(2)와 저장부(18)간을 리프트통로(17)를 통해 물품들을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20)를 갖고 있다. 저장구조물은 인입소(2)로부터 이격되게 제공되어 있고, 리프트통로(17)에 연결되어 물품의 배치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회전장소(8)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장치(56)는 리프트통로(17)내에 리프트(20)로부터 물품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물품을 리프트(20)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장소(8)내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장치(56)는 회전가능한 운반면(51)과 2개의 보조지지대(52,53)들을 포함하고 있다. 1개의 보조지지대가 운반면(51)이 회전할 때에, 운반면(51)을 지지하기 위해 회전장치(56)의 2개의 대향 측면들 각각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운반면(51)은 리프트통로(17) 내측위치와 리프트통로(17) 외측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저장구조물
본 발명은 주차구조물과 같은 저장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모터 운송기기들과 같이 저장물들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들을 구비한 저장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차구조물(일본국 미심사 특허 공보 제8-60887호 참조)은 인입부, 저장구획부들, 승강기샤프트, 및 승강기를 포함하고 있다. 인입부는 차량들이 주차구조물 외부로/내부로 출입되는 장소이고, 1층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저장구획부들은 차량들을 저장하는데에 사용되고, 1층을 제외한 상부층이나 지하층상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기샤프트는 인입부와 저장구획부를 연결한다. 승강기는 인입부 및 저장구획부들사이에서 차량을 운반할 수 있도록 승강기샤프트를 통해 주행한다.
승강기는 승강기샤프트를 통해 차량을 운반하도록 빗형상의 리프트승강대를 포함하고 있다. 리프트승강대는 차량 운반시 승강기샤프트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게 된다. 빗형상의 운반부를 갖는 회전테이블은 인입부내에 제공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tray)상에 정렬되어 있다. 인입부에서, 회전테이블은 차량들이 운반부와 리프트승강대 사이에서 운반되게 하는 제1위치 및 차량들이 주차구조물 외부로/내부로 출입되게 하는 적재위치간에 그 운반부를 이동하도록 회전되게 된다. 또한, 회전테이블은 차량들이 주차구조물 외부로/내부로 출입할 때에 항상 전방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차량들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동한다.
하지만,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특히 차량을 운반할 때에 주레일이 특히 차량운반시에 회전하는 동안 회전테이블을 지지하도록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상에 제공되어져야 한다. 한쌍의 보조레일들 또한 회전테이블의 대향측면들상에 제공되어져야 한다. 더우기, 지층의 승강기의 리프트승강대를 하강할 때에 중심트레이, 회전테이블, 및 보조레일들은 인입부의 중심부로부터 이탈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에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는 한쌍의 보조레일들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리프트승강대를 하강할 때에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 회전테이블, 및 보조레일들중 하나가 인입부의 일측면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리프트승강대가 하강하는데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회전테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큰 공간이 인입부내에 제공되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회전장치를 인입부 외부에 정렬함에 의해 인입부내의 공간을 줄이도록 한 저장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도1의 2-2선을 따라 절단된 개략적인 단면도,
도3은 소정 위치에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 회전테이블, 측면트레이들, 보조레일들, 및 이동가능한 저장트레이들을 도시하기 위해, 도2의 3-3선을 따라 절단된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회전부분내로 이동된 회전테이블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5(a) 및 도5(b)는 소정 위치들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 회전트레이, 측면트레이, 보조레일들, 및 이동가능한 저장트레이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6은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 회전트레이, 측면트레이, 보조레일들, 및 이동가능한 저장트레이들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2에 대응하고 있고,
도8은 소정 위치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 회전트레이, 측면트레이, 보조레일들, 및 이동가능한 저장트레이들을 도시하기 위해, 도7의 8-8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회전부분내로 이동된 회전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10(a) 및 도10(b)는 소정 위치들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 회전테이블, 측면트레이, 보조레일들, 및 이동가능한 저장트레이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11은 도10의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 회전테이블, 측면트레이, 보조레일들 및 이동가능한 저장트레이들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5,6,7: 저장블럭 2: 인입부
3,9,10,11: 저장부 8: 회전부
12,29,63: 운반부 13,14,15,16: 안내레일
17: 승강기샤프트 18: 저장구획부
19: 저장부분 20: 승강기
21: 윈치 22,23,24,25: 체인
26,27: 리프트승강대 28: 구동부
30: 지지아암 31,35,43,47,60,64: 포크
32,45: 레일 33,48: 롤러
34,39,40,41,42,54,55: 트레이 36: 로터
37,49: 상부레일 38,50: 하부레일
44: 이동통로 46: 운송기
51: 중심트레이 52,53: 측면트레이
56: 회전테이블 61,62: 보조레일
65: 차량
위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인입공간, 물품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인입장소와 저장부를 연결하기 위한 리프트통로, 및 인입장소와 저장부간을 리프트통로를 통해 물품들을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를 갖는 저장구조물에 있어서, 인입장소로부터 이격되게 제공되어 있고, 물품의 배치방향을 변환하기 위해 리프트통로에 연결된 회전장소; 리프트통로내에 리프트로부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물품을 리프트쪽으로 운반하기 위해 회전장소내에 지지되고, 회전가능한 운반면과 2개의 보조지지대들을 포함하고 있는 회전가능한 장치를 구비하고, 하나의 보조지지대가 운반면의 회전시에 운반면을 지지하도록 회전가능한 장치의 2개의 대향 측면들 각각 상면에 배치되게 하고, 운반면이 리프트통로내의 위치와 리프트통로의 외측 위치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된 저장구조물에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저장구조물로서 역할을 하는 주차구조물의 제1실시예가 도1내지 도6에 참조부호가 붙여져 도시될 것이다.
제1, 제2, 제3, 제4, 및 제5저장블럭(1,4,5,6,7)들을 갖는 지하층의 주차구조물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제1저장블럭(1)은 1층 또는 최상층 면상에 배치된 인입부(2)와 지하층의 저장부(3)(도2를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제3, 제4, 및 제5저장블럭(4,5,6,7)들은 제1저장블럭(1)과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
회전부(8)(또한 차량 저장부로서 역할을 함)는 제1저장블럭(1)의 지하1층 부분에 구성되어 있다. 차량 저장부(9,10,11)들은 지하2층, 3층, 및 4층에 각각 구성되어 있다. 운반부(12)는 제1, 제2, 제3, 제4, 및 제5저장블럭(1,4,5,6,7,)들의 지하5층(최저층) 부분에 구성되어 있다. 상호간에 소정의 거리를 갖는 4개의 안내레일(13,14,15,16)들은 인입부(2)와 운반부(12)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3과 도4를 참조). 인입부(2), 회전부(8), 저장부(9,10,11)들, 및 운반부(12)를 통해 연장된 안내레일(13,14,15,16)들간의 공간에는 리프트통로, 또는 승강기샤프트(17)가 구성되어 있다. 저장구획부(18)들은 회전부(8)와 저장부분(9,10,11)들내에 승강기샤프트(17)의 각 측면상에 제공되어져 있다. 인입부(2)는 승강기샤프트(17)를 통해 각 저장구획부(18)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제3, 제4, 및 제5저장블럭(4,5,6,7)들은 회전부(8)가 지하1층에 제공되어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도2에 도시된 제1저장블럭(1)과는 다르다. 제2, 제3, 제4, 및 제5저장블럭(4,5,6,7)들의 지하1층 내지 4층에 이르는 구조물은 제1저장블럭(1)의 지하2층 내지 4층에 이르는 구조물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리하여, 저장블럭(4,5,6,7)들은 저장부분(19)들, 승강기샤프트(17)들, 및 리프트들, 또는 승강기(20)들와 함께 각각 제공되어져 있다.
승강기(20)들의 구조
윈치(winch)(21)는 각 승강기샤프트(17) 상측에 제공되어져 있다. 윈치(21)는 안내레일(13,14,15,16)들을 통해 각각 연장된 4개의 체인(22,23,24,25)들에 연결되어 있다. 안내레일(13,14,15,16)들 및 결합된 체인(22,23,24,25)들 이외에, 각 승강기(20)는 한쌍의 리프트승강대(26,27)들을 포함하고 있다.
각 리프트승강대(26,27)는 구동부(28)와 운반부(29)를 포함하고 있다. 죄측 리프트승강대(26)의 구동부(28)는 한쌍의 안내레일(13,14)들에 연결된 지지아암(30)을 포함하고 있다(도3에 도시). 우측 리프트승강대(27)의 구동부(28)는 안내레일(15,16)들에 연결된 지지아암(30)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아암(30)들의 끝단들은 아암(30)들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안내레일(13,14,15,16)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체인(22,23,24,25)들의 저부끝단들은 지지아암(30)들의 결합된 끝단들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아암(30)들은 윈치(21)에 의해 서로 연계하여 이동되게 된다. 각 운반부(29)에는 지지아암(30)들에 고착된 빗형상의 포크(31)들이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28)들은 윈치(21)가 체인(22,23,24,25)들을 상승 및 하강할 때에 결합된 운반부(29)들과 함께 승강기샤프트(17)를 통해 상호 연계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저장블럭(4,5,6,7)들을 위해 제공된 승강기(20)의 구동원(미도시)은 지하5층 위치에 이동통로(44)에 대응되게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풀리들은 지하1층의 천장에 제공되어져, 구동원을 체인들과 함께 승강기(20)에 연결하게 한다.
인입부(2)의 구조
다수의 롤러(33)들과 함께 제공되어 있는 한쌍의 레일(32)들은 회전부(8)와 인입부(2)의 바닥면내에 좌측 저장구획부(18)의 천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도2에 도시). 레일(32)들은 그들간에 소정 거리를 갖고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그리고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트레이(34)는 인입부(2) 외부로/내부로 출입하는 차량들을 이동하도록 레일(32)들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롤러(33)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4)를 인입부(2) 내부로 그리고 인입부(2) 외부로 이동시킨다.
리프트승강대(26,27)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포크(35)들을 갖는 빗형상의 운반부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4)의 좌측 및 우측면들에 제공되어져 있다. 승강기(20)의 리프트승강대(26,27)들이 인입부(2)내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트레이(34)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될 때에,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운반부(29)들의 포크(31)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4)의 포크(35)들간에 정렬되거나 그 포크들을 통해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저장물품들, 또는 차량(65)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4)의 포크(35)들과 인입부(2)내의 리프트승강대(26,27)들 사이에서 운반되게 된다.
차량 저장부분(9,10,11)들의 구조
각각에 다수의 롤러(36)들이 제공된 한쌍의 상부레일(37)들과 한쌍의 하부레일(38)들은 저장구획부(18)들의 바닥면을 따라, 그리고 지하2층, 3층, 및 4층에서 승강기샤프트(17)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상부레일(37)들과 하부레일(38)들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쌍의 레일들은 그들간에 소정 거리를 갖고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트레이(39,40)들은 차량을 저장구획부(18)들과 승강기샤프트(17)간에 운반하도록 상부레일(37)들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비슷한 이동가능한 트레이(41,42)들은 또한 하부레일(38)들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6)들의 회전은 결합된 트레이(39,40,41,42)들을 승강기샤프트(17)와 저장구획부(18)들간에서 이동하게 한다. 다수의 롤러(36)들은 구동롤러들과 피구동롤러들을 포함하고 있다.
포크(43)들을 갖는 빗형상의 운반부들은 각 이동가능한 트레이(39,40,41,42)의 좌측 및 우측면들에 제공되어져 있다. 포크(43)들의 구조는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포크(31)들과 동일하다. 리프트승강대(26,27)들이 승강기샤프트(17)내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트레이(39,40,41,42)들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될 때에,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포크(31)들은 포크(43)들간에 정렬되거나 포크들을 통해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65)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9,40,41,42)들의 포크(43)들과 승강기샤프트(17)내의 리프트승강대(26,27)들간에서 운반되게 된다.
운반부(12)의 구조
이동통로(44)는 운반부(12)의 중간부분을 통해 연장된 각 저장블럭(1,4,5,6,7)의 지하5층 위치에 제공되어져 있다. 레일(45)들은 이동통로(44)의 바닥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운송기(46)는 레일(45)들상에 지지되어 있다.
포크(47)들을 갖는 운반부들은 운반기(46)의 좌측 및 우측면들에 제공되어져 있다. 포크(47)들은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운반부(29)들에 구성된 포크(31)들과 동일하다. 승강기(20)들중 어느 하나의 승강기의 리프트승강대(26,27)들이 결합된 이동통로(44)에 배치된 운송기(46)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될 때에,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포크(31)들은 운송기(46)의 포크(47)들간에 정렬되거나 포크들을 통해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65)들은 운송기(46)의 포크(47)들과 승강기샤프트(17)들내의 리프트승강대(26,27)들간에 운반되게 된다.
회전부(8)의 구조
다수의 롤러(48)들이 제공된 한쌍의 상부레일(49)들은 저장구획부(18)들의 바닥면을 따라, 그리고 지하1층에 구성된 승강기샤프트(17)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 다수의 롤러(48)들이 제공된 한쌍의 하부레일(50)들은 좌측 저장구획부(18)를 따라, 그리고 승강기샤프트(17)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도2에 도시). 한쌍의 상부레일(49)들과 하부레일(50)들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쌍의 레일들은 그들간에 소정 거리를 갖고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와 한쌍의 측면트레이(52,53)들은 하부레일(50)들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은 상부레일(49)들상에 지지되어 있다. 롤러(48)들의 회전은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를 승강기샤프트(17)(도3 참조)내의 제1위치 및 결합된 저장구획부(18)(도4 참조)내의 제2위치간에 이동시킨다. 회전테이블(56)은 중심트레이(51)상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테이블(56)은 샤프트(57)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휠(미도시)들은 회전테이블 하측에 제공되어져 있고, 아크형상의 주레일(미도시)에 의해 중심트레이(51)상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테이블(56)은 포크(60)들에 의해 각 측면상에 구성된 운반부(59)들과 원형끝단들을 갖는다. 포크(60)들은 리프트승강대(26)들의 포크(31)들과 동일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테이블(56)의 회전은 지지아암(30)들과 평행한 회전테이블(56)의 각 측면상에서 열로 지어선 포크(60)들을 정렬한다.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제1위치P에서 승강기샤프트(17)내에 배치된 중심트레이(51)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될 때에(도3 참조),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포크(31)들은 회전테이블(56)의 포크(60)들간에 정렬되거나 포크들을 통해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65)들은 회전테이블(56)의 포크(60)들과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포크(31)들간에 승강기샤프트(17)내에서 운반되게 된다.
한쌍의 측면트레이(52,53)들은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의 각 측면상에 제공되어져 있고 중심트레이(51)로부터 이격되어져 있다. 좌측면트레이(52)(도3에 도시)는 하부레일(52)들상에 지지되어 D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우측면트레이(53)는 결합된 저장구획부(18)내의 승강기샤프트(17)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아크형상의 보조레일(61,62)들은 회전테이블(56)의 회전시 회전테이블(56)의 휠들(미도시)을 지지하도록 측면트레이(52,53)들상에 제공되어져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은 상부레일(49)들상에 지지되어 있고 D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48)들의 회전은 이동가능한 트레일(54)들을 승강기샤프트(17)내의 위치Q(도4 참조)와 결합된 저장구획부(18)들내의 위치(도3 참조)간에서 이동하게 한다.
포크(64)들에 의해 구성된 운반부(63)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의 각 측면상에 제공되어져 있다. 포크(64)들은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포크(31)들과 동일하다. 리프트승강대(26,27)들이 승강기샤프트(17)내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될 때에(도4 참조),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포크(31)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의 포크(64)들간에 정렬되거나 포크들을 통해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65)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의 포크(64)들와 리프트승강대(26,27)들의 포크(31)들간에 승강기샤프트내에서 운반되게 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트레이(51)상의 회전테이블이 이동하게 되는 이동면E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이 이동하게 되는 이동면F보다 저부에 있다. 따라서,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은 회전테이블(56)이 어디에 배치되든 간에 회전테이블(56)에 대해 충돌하지 않게 된다.
중심트레이(51), 측면트레이(52), 및 보조레일(61)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의 이동면F보다 하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된 측면트레이(53)과 보조레일(62)은 또한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의 이동면F보다 하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은 측면트레이(52,53)들과 보조레일(61,62)들에 대해 충돌하지 않게 된다. 더우기, 도5(b)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테이블(56)의 휠들(미도시)은 주레일(미도시)과 보조레일(61,62)들상의 동일면G를 따라 구름이동한다.
지하 주차구조물내에서의 주차
다음의 1단계 및 2단계는 제1저장블럭(1)의 지하1층에서 회전부(8)의 저장구획부(18)들내에 차량(65)을 저장하도록 수행하게 된다.
1단계; 인입부(2)로부터의 차량(65) 운반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가능한 트레이(34)는 먼저 인입부(2)내로 이동된다. 승강기(20)는 이동가능한 트레이(34)보다 하측 위치에서 리프트승강대(26,27)들을 지지한다. 차량(65)은 인입부(2) 내측으로, 그리고 이동가능한 트레이(34)의 포크(35)들상에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차량(65)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4)로부터 리프트승강대(26,27)들을 상승시킴에 의해 리프트승강대(26,27)들쪽으로 운반되게 된다. 그런 다음. 이동가능한 트레이(34)는 인입부(2) 외부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런 후에, 리프트승강대(26,27)들상에 지지된 차량(65)은 회전부(8) 쪽으로 하강되게 된다.
2단계; 회전부(8) 내측으로의 차량 이동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도2에서의 좌측트레이 참조)들중 하나가 승강기샤프트(17)내로 이동된다. 리프트승강대(26,27)들상에 운반된 차량(65)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 상측 위치쪽으로 하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 회전테이블(56), 이동가능한 측면트레이(52), 및 보조레일(61)은 승강기샤프트(17)의 외측 위치쪽으로 이동된다. 리프트승강대(26,27)들이 하강될 때에, 차량(65)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 상측으로 운반되게 된다. 그런 다음, 이동가능한 트레이(54)는 차량(65)을 승강기샤프트(17)의 외부 좌측방향으로 그리고 지하 1층에서의 결합된 저장구획부(18) 내측으로 운반한다. 도2에 도시된 우측 이동가능한 트레이(55)는 좌측 이동가능한 트레이(54)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다음의 1단계 및 2단계는 차량(65)을 저장부분(9,10,11)(지하 2층, 3층, 및 4층)들내로 저장하도록 수행되게 된다.
1단계; 인입부(2)로부터의 차량 운반
차량(65)은 차량(65)을 회전부(8)내로 이동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입부(2)로부터 운반되게 된다. 차량(65)을 운반하는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회전부(8)를 지나 지정된 저장부분(9,10,11)쪽으로 하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 회전테이블(56), 좌측면트레이(52), 및 보조레일(61)은 회전부(8)에서 승강기샤프트(17) 외측 위치로 이동된다.
2단계; 저장부분(9,10,11)들내로의 차량 운반
이동가능한 트레이(39,40,41,42)들중, 예를 들어, 지하 2층에서의 이동가능한 트레이(39)는 승강기샤프트(17)내로 이동된다. 차량(65)을 지지하는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9) 상측 위치쪽으로 이동된다.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차량(65)을 이동가능한 트레이(39) 상측으로 운반하도록 더욱 하강하게 된다. 차량(65)을 운반하는 이동가능한 트레이(39)는 승강기샤프트(17) 외측 좌측방향으로 그리고 저장구획부(18) 내측으로 이동된다. 차량(65)은 타 이동가능한 트레이(40,41,42)들을 사용한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운반된다. 하지만, 저장부분(9,10,11)들중 하나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차량(65)이 새로운 차량(65)의 저장을 방해한다면, 방해하는 차량(65)은 임시로 다른 층으로 이동되고, 그런 다음 새 차량(65)이 지정된 저장구획부(18)내에 저장된 후에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차량(65)을 제1저장블럭(1) 이외의 타 저장블럭(4,5,6,7)들중 하나에 저장하기 위해, 리프트승강대(26,27)들상에 지지된 차량(65)은 먼저 제1저장블럭(1)내의 지하5층쪽으로 하강되고 운반부분(12)의 이동통로(44)내의 운송기(46)의 포크(47)들 상측으로 운반된다. 운송기(46)는 차량(65)을 타 저장블럭(4,5,6,7)들의 운반부분(12)(지하 5층)들을 통해 운반한다. 운송기(46)가 지정된 저장블럭(4,5,6,7)들에 도달할 때에, 차량(65)은 결합된 승강기(20)의 리프트승강대(26,27)들쪽으로 운반된다. 그런 후에, 차량(65)은 상승되어 지정된 저장구획부(18)내에 저장된다.
다음의 1단계내지 3단계는 제1저장블럭(1)중 지하 1층의 블럭에 배치된 회전부(8)의 저장구획부(18)로부터 차량(65)을 회수할 때에 수행되게 된다.
1단계; 회전부(8)내에서의 차량 회전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중, 예를 들어, 차량(65)을 운반하는 좌측 이동가능한 트레이(54)는 승강기샤프트(17)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 회전테이블(56), 좌측면트레이(52) 및 보조레일(61)은 승강기샤프트(17) 외측 위치로 이동된다. 승강기(20)의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보다 하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리프트승강대(26,27)들이 상승될 때에, 차량(65)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로부터 리프트승강대(26,27)들쪽으로 이동된다. 그런 후에, 이동가능한 트레이(54)는 승강기샤프트(17) 외측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 회전테이블(56), 측면트레이(52), 및 보조레일(61)은 승강기샤프트(17)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은 이동가능한 보조레일(61)과 고정된 보조레일(62)을 회전테이블(56)의 각 측면상에 정렬하게 한다. 차량(65)을 운반하는 리프트승강대(26,27)들이 하강될 때에, 차량(65)은 회전테이블(56) 상측으로 운반된다.
차량(65)을 운반하는 회전테이블(56)은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의 주레일(미도시)과 결합된 측면트레이(52,53)들의 보조레일(61,62)들을 따라 180。각도로 회전된다. 이것은 차량(65)이 주차구조물로 진입할 때에 차량(65)의 위치로부터 차량을 180。각도로 회전시킨다.
2단계; 회전부(8)로부터의 차량(65) 운반
승강기(20)의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차량(65)을 운반하고 있는 회전테이블(56)보다 하측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그런 후에,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차량(65)을 회전테이블(56)로부터 회수하도록 상승되게 된다. 그런 다음, 차량(65)을 운반하는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인입부(2)쪽으로 상승된다. 우측 이동가능한 트레이(55)는 좌측 이동가능한 트레이(54)와 사용방식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3단계; 인입부(2)쪽으로의 차량(65) 운반
이동가능한 트레이(34)는 차량(65)을 운반하는 리프트승강대(26,27)들이 인입부(2) 내측으로 상승되기 전에 인입부(2) 외측으로 이동된다. 차량(65)이 인입부(2) 내측으로 상승될 때에,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4) 상측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이동가능한 트레이(34)는 인입부(2) 내측으로 이동하고,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4) 상측으로 차량(65)을 운반하도록 하강된다. 그런 후에, 차량(65)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4) 상측으로, 그리고 인입부(2) 외측으로 구동되게 된다.
다음의 1단계내지 3단계는 제1저장블럭(1)의 결합된 지하 2층내지 4층의 저장부분(9,10,11)들로부터 차량(65)을 회수할 때에 수행되게 된다.
1단계; 저장부분(9,10,11)들로부터의 차량(65) 운반
저장부분(10,11)내의 다른 트레이(40,41,42)들과 유사한, 저장부분(9)내의 이동가능한 트레이(39)는 그 상면에 지지된 차량(65)과 함께 승강기샤프트(17) 내측으로 이동된다. 승강기(20)의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39)보다 하측 위치에 미리 정렬된다. 그런 다음,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65)로부터 차량(65)을 회수하도록 상승된다.
2단계; 회전부(8)내에서의 차량(65) 회전
차량(65)을 운반하는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회전부(8)내로 상승되고, 반면에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 회전테이블(56), 측면트레이(52) 및 보조레일(61)은 승강기샤프트(17) 외측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에, 차량(65)은 주차구조물에 진입할 때에 그 위치로부터 180。각도로 회전된다. 차량(65)의 회전은 앞서 설명된 회전부(8)의 저장구획부(18)들로부터 차량(65)을 회수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게 된다.
3단계; 회전부(8)로부터 그리고 인입부(1)로부터의 차량(65)의 운반은 회전부(8)의 저장구획부(18)들로부터 차량(65)을 회수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게 된다.
차량(65)을 제2, 제3, 제4 및 제5저장블럭(4,5,6,7)들로부터 회수하기 위해, 차량(65)은 먼저 결합된 저장블럭(4,5,6,7)의 리프트승강대(26,27)들 상측으로 운반된다. 그런 다음, 리프트승강대(26,27)들은 운송기(46)의 포크(47)들 상측으로 차량(65)을 운반하도록 운반부분(12)(지하 5층)에서의 이동통로(44) 내측으로 하강된다. 지하 5층에서, 운송기(46)는 차량(65)을 저장블럭(4,5,6,7)들을 지나 제1저장블럭(1)의 운반부분(12)내의 이동통로(44)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후에, 차량(65)은 운송기(46)로부터 제1저장블럭(1)의 리프트승강대(26,27)들 상측으로 운반된다. 그런 다음에, 차량(65)은 주차구조물에 진입할 때에, 차량(65)의 위치에 대해 180。 각도로 회전되고 회전부(8)쪽으로 운반된다. 차량(65)의 회전은 회전부(8)의 저장구획부(18)들로부터 차량(65)을 회수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게 된다. 그런 후에, 회전된 차량(65)은 인입부(2)로부터 주차구조물 외부로 이동된다.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갖는다.
승강기샤프트(17)를 포함하는 회전부(8)는 인입부(2) 이외의 위치에 제공되어져 있다. 회전부(8)에서, 회전테이블(56)은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에 회전가능하게 커플결합되어 있다. 회전테이블(56)의 회전은 회전테이블(56)을 위치P에 정렬하게 한다. 차량(65)들은 회전테이블(56)의 운반부(59)와 승강기샤프트(17)내의 승강기(20)의 리프트승강대(26,27)들간에 운반된다. 차량(65)들을 위한 회전장치로서 역할을 하게 되는 회전테이블(56)은 인입부(2) 외측에 정렬되어 있다. 그리하여, 회전테이블(56)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승강기샤프트(17) 외부로 이동될 때에 인입부(2)내에 제공될 필요가 없게 된다. 이것은 지면 상측에 노출된 인입부(2)를 위한 필요 공간을 줄여준다.
회전부(8)에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는 승강기샤프트(17)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되게 된다. 이것은 차량(65)를 운반하는 리프트승강대(26,27)들이 승강기샤프트(17)를 통해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차량(65)은 인입부(2) 및 저장구획부(18)들간에 원활하게 운반되게 된다.
회전테이블(56)의 회전시에 회전테이블(56)을 지지하는 보조레일(61,62)들은 각각의 측면트레이(52,53)들상에, 그리고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의 각 측면상에 제공되어져 있다. 이것은 차량(56)을 운반할 때에 회전테이블(56)의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부(8), 승강기샤프트(17), 및 저장구획부(18)들은 인입부(2)의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어져 있다.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은 회전부(8)내에 제공되어져 있고,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와 동일한 이동방향D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이 승강기샤프트(17)과 저장구획부(18)들간에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의 운반부(63)들은 차량(65)이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과 승강기샤프트(17)내의 승강기(20)의 리프트승강대(26,27)들간에 운반되게 하는 위치Q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회전부(8)의 구조는 차량(65)들이 그 내부에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주차구조물의 저장효율을 향상시킨다.
측면트레이(52,53)들과 보조레일(61,62)들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보다 하측 면에 회전테이블(56) 및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쪽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도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가능한 테이블(54,55)들은 회전테이블(56)에 대해 충돌없이, 결합된 저장구획부(18)들과 승강기샤프트(17)간에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65)들은 이동가능한 테이블(54,55)들상에서 원활하게 이동되게 된다.
차량(65)들을 주차구조물에 계속 보유하고 있을 때에,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 회전테이블(56), 측면트레이(52), 및 보조레일(61)은 도5(b)에 도시된 위치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차량(65)을 운반하는 회전테이블(56)은 측면트레이(52,53)들의 보조레일(61,62)들과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게 된다. 이것은 차량(65)이 회전부(8) 내부 주위를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은 회전테이블(56)이 배치된 장소에 상관없이 회전테이블(56)에 대해 충돌없이, 결합된 저장구획부(18)들과 승강기샤프트(17)간에 이동된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테이블(56)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을 이동할 때에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하여,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의 각 측면상에 정렬된 2개의 측면트레이(51)들중, 측면트레이(53)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측면트레이(53)를 위한 구동미케니즘이 제공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의 각 측면상에 정렬된 2개의 측면트레이(52,53)들중, 좌측면트레이(52)는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와 동일한 이동방향D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부(8)는 인입부(2)에 인접하게 제공되어져 있다. 그리하여, 차량 저장부분들은 회전부(8)와 인입부(2)간에 제공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차량(65)들이 회전부(8) 내측으로 운반되고, 그런 후에 차량(65)이 회전되자마자 인입부(2)쪽으로 운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차량(65)은 주차구조물로부터 차량(65)을 회수할 때에 효과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제2실시예가 도1 및 도7내지 도11에 참조부호가 붙여져 설명될 것이다.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1, 2, 3, 4, 5(a), 5(b), 및 도6은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1, 7, 8, 9, 10(a), 10(b), 및 11에 대응하고 있다.
이제, 제1실시예의 특징과는 다른 제2실시예의 특징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5(a), 5(b), 및 6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1실시예의 상부레일(49)들과 하부레일(50)들간의 거리L은 도10(a), 10(b), 및 11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2실시예의 상부레일(49)들과 하부레일(50)들간의 거리L보다 길이가 더 길다. 그리하여, 제1실시예에서, 이것은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 측면트레이(52,53))들, 및 보조레일(61,62)들과 더불어 회전테이블(56)이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의 이동면F보다 하측 위치에 정렬될 수 있게 한다. 대조적으로, 제2실시예에서 회전테이블(56)의 이동면E는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의 이동면F와 일치한다.
제2실시예에서, 결합된 보조레일(61,62)들을 지지하는 한쌍의 측면트레이(52,53)들은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와 동일한 이동방향D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단지 좌측면트레이(52)만이 이동가능하게 된다. 우측면트레이(53)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도10(a) 및 도10(b)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된 저장구획부(18)들과 승강기샤프트(17)간에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을 이동시킬 때 회전테이블(56)과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와 회전테이블(56)은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과 함께 이동된다. 측면트레이(52,53)들과 보조레일(61,62)들은 또한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가 이동될 수 있게 이동된다.
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지금까지 단지 2개만이 설명되어져 있지만, 본 발명이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특정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그 기술분야에 종사한 당업자라면 명백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이 다음과 같은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음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회전테이블이 승강기샤프트(17) 외부로 이동될 때에, 회전부(8)에는 저장구획부(18)들이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회전테이블(5)을 수용하도록 독점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측면트레이(52,53)들은 중심트레이(51)의 각 측면에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이동가능한 중심트레이(51)를 측면트레이(52,53)들과 함께 이동시키게 한다.
다수의 회전부(8)들이 제공되어져 있다. 예를 들어, 제1저장블럭(1)에서 지하 1층에서의 회전부(8)와 더불어, 유사한 회전부분이 지하 1층이하에서 저장부분(9,10,11)들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져 있다.
저장블럭들은 지하에 건설되지 않고 지면 상측에 건설되게 된다.
저장물품들은 차량(65)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장물품들로는 박스나 나무상자일 수 있다.
포크들을 갖는 리프트승강대들은 차량(65)들을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반면에, 파레트 및 파레트들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갈퀴(prong)들은 승강기(20)내에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파레트와 그 상면에 운반된 차량(65)은 저장물품에 대응한다. 차량(65)은 파레트를 지지하는 승강기(20)의 갈퀴들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된다. 저장물품은 승강기(20)의 갈퀴들과 회전테이블(56) 또는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들간에 운반된다.
그러므로, 본 적용예들과 실시예들은 실례를 들면서도 한정적이지 않도록 고려되게 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주어진 상세한 사항들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 이내라면 달리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구조물은 물품이 출입되는 인입부(2) 외측의 회전부(8)에 운반면(51) 및 보조지지대(52,53)들을 갖는 회전장치(56)가 장착되어 사용되게 함으로써, 저장구조물의 인입부내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물품(65)들을 수용하기 위한 인입공간(2), 물품(65)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8), 인입장소(2)와 저장부(18)를 연결하기 위한 리프트통로(17), 및 인입장소(2)와 저장부(18)간을 리프트통로(17)를 통해 물품(65)들을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20)를 갖는 저장구조물에 있어서,
    인입장소(2)로부터 이격되게 제공되어 있고, 물품(65)의 배치방향을 변환하기 위해 리프트통로(17)에 연결된 회전장소(8);
    리프트통로(17)내에 리프트(20)로부터 물품(65)을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물품(65)을 리프트(20)쪽으로 운반하기 위해 회전장소(8)내에 지지되고, 회전가능한 운반면(51)과 2개의 보조지지대(52,53)들을 포함하고 있는 회전가능한 장치(56)를 구비하고,
    하나의 보조지지대가 운반면의 회전시에 운반면을 지지하도록 회전가능한 장치(56)의 2개의 대향 측면들 각각 상면에 배치되게 하고, 상기 운반면이 리프트통로(17)내의 위치와 리프트통로(17)의 외측 위치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된 저장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리프트(20)는 물품을 지지하는 동안에 리프트통로(17)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물품결합부(26,27)를 갖고,
    운반면이 리프트(20)의 물품결합부(26,27)로부터 물품들을 수용하여, 물품(65)들이 리프트(20)로부터 리프트통로(17)내에 회전가능한 장치(56)쪽으로 운송되도록 한 저장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52,53)들중 하나가 타 보조지지대와 상대적으로 수평방향쪽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저장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소(8)는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리프트통로(17)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를 더 갖고,
    상기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가 운반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리프트통로(17)내의 위치 그리고 리프트통로(17)의 외측 위치쪽으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이동가능한 트레이(54,55)의 물품결합부(63)가 리프트통로(17)내에 리프트(20)의 물품결합부(63)로부터 물품들을 수용하도록 한 저장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52,53)들중 하나가 분리될 수 있고, 회전가능한 장치(56)의 부속장치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저장구조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52,53)들중 제1지지대가 운반면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보조지지대(52,53)들중 제2지지대가 고정되도록 한 저장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면(51), 상기 보조지지대들중 제1지지대, 및 상기 보조지지대들중 제2지지대는 각각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보조지지대(52)가 운반면(5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운반면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저장구조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52,53)들이 상기 운반면(51)이 내부로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저장구조물.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운반면(51), 상기 보조지지대들중 제1지지대, 및 상기 보조지지대들중 제2지지대가 각각 이격되어 있고 각각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저장구조물.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소(8)가 상기 인입장소(2)에 인접하여 배치된 저장구조물.
KR1019970039201A 1996-08-19 1997-08-18 물품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저장구조물 KR100231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367996 1996-08-19
JP8-253679 1996-08-19
JP9-097304 1997-04-15
JP09730497A JP3363058B2 (ja) 1996-08-19 1997-04-15 格納場における格納物方向転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736A KR19980018736A (ko) 1998-06-05
KR100231888B1 true KR100231888B1 (ko) 1999-12-01

Family

ID=2643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201A KR100231888B1 (ko) 1996-08-19 1997-08-18 물품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저장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15907A (ko)
JP (1) JP3363058B2 (ko)
KR (1) KR100231888B1 (ko)
CN (1) CN1110613C (ko)
HK (1) HK1009119A1 (ko)
MY (1) MY116954A (ko)
TW (1) TW3572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8893B (de) * 1997-03-06 2002-03-25 Ltw Lagertechnik Gmbh Einrichtung zum raumsparenden abstellen von kraftfahrzeugen
TW448260B (en) * 1997-11-06 2001-08-01 Lg Ind Systems Co Ltd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US6325586B1 (en) 1999-12-08 2001-12-04 Protosight, Inc.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20020146305A1 (en) * 2001-03-27 2002-10-10 Gerhard Haag Automated parking tower
KR100452858B1 (ko) * 2002-09-13 2004-10-20 이완영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
EP1687500B1 (en) * 2003-09-25 2009-11-11 Dion Stuart Frank lift for a multi-level storage system
US20050074314A1 (en) * 2003-10-02 2005-04-07 Hart Charles A. Automated automobile parking
CN102745575A (zh) * 2011-04-20 2012-10-24 李志民 一种用于住宅楼的带有转动圆盘的汽车电梯
US9186799B2 (en) 2011-07-13 2015-11-17 Brooks Automation, Inc. Compact direct drive spindle
ITAR20130018A1 (it) * 2013-04-18 2014-10-19 Raffaela Vasapollo Piattaforma mobile ad azionamento elettrico-meccanico per hangar interrato per elicotteri con sistema automatizzato di chiusura elettro-meccanica del piano di copertura
IL230538A (en) * 2014-01-20 2016-11-30 Israel Aerospace Ind Ltd Container Storage System and Method
KR101606422B1 (ko) * 2014-01-20 2016-03-25 이완영 자동화주차장의 턴테이블
SG11201909500YA (en) * 2017-04-11 2019-11-28 Kappe Intermediair B V Compact multi-tier parking garage and method for storing vehicles in such a parking garage
CN207483123U (zh) * 2017-06-19 2018-06-12 郑海艳 一种梳齿交换多轿厢电梯
JP6937179B2 (ja) * 2017-07-03 2021-09-22 日精株式会社 中間免震層対応パレット式機械駐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1333C (ko) * 1960-11-04
GB1023991A (en) * 1961-08-01 1966-03-30 King Ltd Geo W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arking or storage of vehicles
US3896955A (en) * 1974-10-03 1975-07-29 California Inst Of Techn Automated multi-level vehicle parking system
JPH0668225B2 (ja) * 1988-02-26 1994-08-31 富士変速機株式会社 ストッパを取付けた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2533366B2 (ja) * 1988-12-26 1996-09-11 富士変速機株式会社 ホ―ク式自動車駐車場用タ―ンテ―ブル装置
JPH039572A (ja) * 1989-06-07 1991-01-17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3228974A (ja) * 1990-02-05 1991-10-09 Shin Meiwa Ind Co Ltd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WO1991012397A1 (en) * 1990-02-14 1991-08-22 Maasind B.V. Automatic multistorey parking building structure
US5116182A (en) * 1990-10-17 1992-05-26 Lin Bao N Automatic car parking system
JPH0533251A (ja) * 1991-07-19 1993-02-09 Mitsubishi Paper Mills Ltd 水流交絡用ウエブ搬送装置および水流交絡不織布の製造法
JPH05149017A (ja) * 1991-11-26 1993-06-15 Daifuku Co Ltd 立体駐車場
JP3051000B2 (ja) * 1992-09-30 2000-06-12 登志郎 平松 立体駐車装置
JPH0742399A (ja) * 1993-07-28 1995-02-10 Daifuku Co Ltd 立体駐車場
JP3194027B2 (ja) * 1994-08-19 2001-07-30 富士変速機株式会社 ターンテーブ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15118A (ja) 1998-05-06
TW357218B (en) 1999-05-01
US5915907A (en) 1999-06-29
JP3363058B2 (ja) 2003-01-07
CN1174165A (zh) 1998-02-25
MY116954A (en) 2004-04-30
CN1110613C (zh) 2003-06-04
KR19980018736A (ko) 1998-06-05
HK1009119A1 (en) 199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888B1 (ko) 물품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저장구조물
KR100215271B1 (ko) 격납 시스템
KR100453147B1 (ko) 이동식 발을 이용한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JP6291228B2 (ja) 自動保管設備及び自動倉庫
KR101677497B1 (ko)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JP3375061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2778359B2 (ja) 自動倉庫設備
JP4249406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01270606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3051000B2 (ja) 立体駐車装置
JPH08128221A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2002173224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設備
JP2001019116A (ja) 走行台車
JP4065633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649183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H0419132B2 (ko)
JPH06183513A (ja) 荷保管設備
JP2935160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20153138A (ja) 機械式駐車装置
JPH07119333A (ja) 立体格納庫の縦行型搬送移載設備
JP3295064B2 (ja) 駐車設備及び駐車設備の隙間塞ぎ装置
JP2002240909A (ja) 荷受け渡し装置
JPH06156621A (ja) 自動倉庫
JP2003182813A (ja) 自動倉庫の入出庫装置
JP2000272710A (ja) 倉庫設備における入出庫台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