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32Y1 - 화물 적재용 운반차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용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232Y1
KR200277232Y1 KR2020020003515U KR20020003515U KR200277232Y1 KR 200277232 Y1 KR200277232 Y1 KR 200277232Y1 KR 2020020003515 U KR2020020003515 U KR 2020020003515U KR 20020003515 U KR20020003515 U KR 20020003515U KR 200277232 Y1 KR200277232 Y1 KR 200277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ifter
longitudinal direction
cylinde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to KR2020020003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232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장치와 좌,우로 움직이며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 리프트 장치가 이송장치에 장착되게 구성되어 팔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트럭에 1대분의 화물을 동시에 또는 팔레트 단위로 각각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트럭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재함의 높이와 넓이를 감지하여 적절한 적재 규격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운반차는 트럭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운반차가 적절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되어 화물을 유동성 있게 운반하므로 화물칸의 크기와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능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적재용 운반차{CART FOR STACKING FREIGHT}
본 고안은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장치와 좌,우로 움직이며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 리프트 장치가 이송장치에 장착되게 구성되어 팔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트럭에 1대분의 화물을 동시에 또는 팔레트 단위로 각각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트럭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재함의 높이와 넓이를 감지하여 적절한 적재 규격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적재 시스템은 생산 공정을 거쳐 완성된 물품을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장치를 통해 밖으로 배출한 후 사람이 수작업으로 물품을 운반하여 화물 운반을 위하여 차량에 적재하고 있다.
즉, 완성된 물품이 컨베이어에 의해 생산라인 밖으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물품은 포장 단위로 포장되어 다시 컨베이어에 의해 적재 장소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화물은 다른 적재 장소 또는 물건을 다른 장소로 배송하기 위해 트럭 등의 화물차량에 의해 운송되며, 이러한 운송을 위해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 화물을 작업자가 화물차량에 직접 날라 차량에 적재를 하고 있다.
근래에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동화 장비의 개발이 이루어져 이송장치에 의해 배출된 화물을 로봇을 이용하여 적당한 위치에 적재하고, 그 후에 작업자들이수작업을 통해 화물을 화물차량에 적재하거나, 또는 화물차량이 멀리 있는 경우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여 화물차량에 적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화물을 이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여러 단계에 거쳐 다수의 작업자가 직접 화물을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도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또한 작업자의 인력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로봇이나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통해 일부 해소하고 있으나, 로봇과 같은 장비는 고가의 장비일 뿐 아니라 정밀 기계이기 때문에 실외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게 되면, 잦은 고장과 장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게 되면, 필수적으로 화물 운반을 위해 팔레트를 사용하여야 하고, 차량의 크기에 따른 각각의 다른 크기의 팔레트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 크기에 맞는 팔레트를 따로 구비하여 따로따로 적재해 놓아야 하는 문제로 인해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게차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화물차량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화물을 직접 운반하여 적재해야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 고안은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장치와 좌,우로 움직이며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 리프트 장치가 이송장치에 장착되게 구성되어 팔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트럭에 1대분의 화물을 동시에 또는 팔레트 단위로 각각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트럭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재함의 높이와 넓이를 감지하여 적절한 적재 규격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차에 적재되는 화물이 얹혀진 팔레트의 폭을 센서로 감지하여 이송차량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화물차량의 정차위치에 따라 적재되는 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터를 상하로 유동되게 하는 실린더의 위치를 변경하여 운반차에 장착되는 리프트장치의 모멘트를 감소되게 하고, 리프터의 연결 수단을 변경하여 화물이 적재되는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일 특징은 상기 시스템은 화물을 화물차량의 적재칸과 근접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 측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모노레일 및 상기 모노레일에 장착되는 운반차로 구성되는 화물 적재 시스템에 이용되는 운반차에 있어서, 운반차는 양 측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하부면 네 귀퉁이에 장착되는 가이드를 갖는 바퀴;와 하부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나선이 형성된 구멍을 갖는 슬라이더;와 가이드 홈에 장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리프터;와 베이스의 전방 상단부면에 장착되어 리프터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및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장착되고, 하부면 네 귀통이에 바퀴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스크류바;와 베이스 프레임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 또는 밸트에 의해 스크류바의 일 측 단부와 연결되는 모터;와 길이방향의 양 측 바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하부면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장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로드의 맞은 편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장착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상기 리프터는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며, 상부가 연결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일 측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집게;와 상기 고정판의 후면부에는 형성되는 거치대;와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와 고정판의 상부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도그;와 거치대에 장착어 도그의 다른 일 측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는 실린더의 로드 단부가 상기 리프터의 집게의 후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폭(또는 직경)이 가이드 홈의 폭 보다 약간 적게 형성되며, 또한 측면판의 뒷면에 하중 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뒤쪽에 센서 지지대가 형성되어 리프터가 실린더의 로드 단부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며, 리프터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는 화물차량과 리프트 장치의 거리를 조절을 위해 상기 스크류바에 연결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리프트 장치의 전면부에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이송장치가 구부러진 모노레일 상에서 움직일때 그 움직임이 용이하고, 안정되도록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연결구와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위치 감지센서갖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가 설치된 적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운반차의 일 구성요소인 리프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부분 절개된 정단면도 이고,
도 3b는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c는 리프트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운반차의 일 구성요소인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이송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5a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운반차의 하부면에 장착된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클램프가 레일에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본 고안에 다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운반차 110 ... 리프트장치
111 ... 베이스 112 ... 측면판
113 ... 가이드홈 114 ... 센서 지지대
115 ... 센서 116 ... 가이드
117 ... 바퀴 118 ... 슬라이더
119 ... 구멍 120 ... 리프터
121 ... 고정판 122 ... 가이드 돌기
123 ... 집게 124 ... 힌지
125 ... 하중 감지센서 130 ... 도그
131 ... 힌지 132 ... 걸림턱
141,142,143 ... 실린더 150 ... 이송장치
151 ... 베이스 프레임 152 ... 레일
153 ... 스크류 바 154 ... 바퀴
155 ... 기어박스 156 ... 구동모터
157 ... 연결구 158 ... 위치 감지센서
161,162 ... 실린더 170 ... 모터
180 ... 클램프 181 ... 베이스
182 ... 구멍 183 ... 고정발
200 ... 컨베이어 300 ... 모노레일
400 ... 화물차량 500 ... 화물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가 설치된 화물 적재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화물(500)을 화물차량(400)의 적재칸과 근접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200)의 양 측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모노레일(300) 및 상기 모노레일(300)에 장착되는 운반차(1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화물 적재 시스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화물차량(400)이 화물(500)의 상차 또는 하차를 위하여 상기 양 측으로 설치된 모노레일(300)의 사이에 정차하게 된다.
그 후에 상기 컨베이어(200)에 의해 화물(500)이 이송되면, 상기 모노레일(300)에 장착된 운반차(100)가 상기 화물(500)을 들어 상기 모노레일(300)을 따라 이동되어 화물차량(400)의 적재칸에 화물(500)을 싣게 된다.
이와 같이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켄베이어(200)는 종래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이하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에 따른 운반차(100)에 대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차(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운반차(100)는 모노레일(300)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이송장치(150)와 상기 이송장치(15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후로 움직이며, 화물(500)을 상차 또는 하차하게 되는 리프트 장치(110)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11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111)의 양 측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면판(112)이 장착되는데, 상기 측면판(112)은 그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 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113)의 뒤쪽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홈(113)과 평행하게 센서 지지대(114)가 형성되어 이하 설명되는 리프터(120)에 장착되는 하중 감지센서(125)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의 하부면에는 네 귀퉁이에 가이드(116)에 감싸여지는 형태로 바퀴(117)가 장착되는데, 상기 바퀴(117)는 이하 설명되는 이송장치(150)의 레일(152)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미끄러지도록 작동되며, 상기 가이드(116)는 상기 바퀴(117)가 레일 상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152)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의 하부면 중앙부에는 슬라이더(118)가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118)는 이송장치(150) 레일(152)의 길이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으로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구멍(119)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더(118)는 이하 설명되는 이송장치(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장착되는 스크류바(153)에 연결되어 운반차(100)를 이송장치(150)의 레일(15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상기 리프트 장치(110)의 측면판(112)에 형성된 가이드 홈(113)에는 실린더(141)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리프터(120)가 장착되는데, 상기 리프터(120)는 세로로 형성되어 상부가 연결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의 일 측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집게(123)를 가지며, 상기 고정판(121)의 후면부에는 거치대(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21)의 측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113)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돌기(122)의 폭(또는 직경)은 상기 가이드 홈(113)의 폭 보다 약간 적게 형성되어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프터(120)가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를 중심으로 약간의 각도(약 2 내지 5도)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는 상기 리프터(120)의 집게(123)의 후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141)의 로드에 연결된 리프터(12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정확하게 말하면 틴들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리프터(120)가 화물(500)을 하차하기 위하여 하강하는 경우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중 감지센서(125)의 작동에 의해 멈추게 되지만, 실제 작동에 있어서는 동작에 있어 오차가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오차에 의해 리프터(120)의 하강에 의해 화물차량(500)의 적재칸이 눌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를 리프터(120)의 집게(123) 후단부에 근접되게 연결하는 것은 집게(123) 위에 얹혀지는 화물(500)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를 최소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집게(123)의 상부면에는 화물(500)이 적절한 위치로 적재되도록 밀어 넣기 위하여 도그(130)가 위치되는데, 상기 도그(130)는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의 일 측에 힌지(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그(130)의 전방 단부에는 걸림턱(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그(130)의 다른 일 측 단부에는 각 실린더(142,143)의 로드가 연결되는데, 상기 실린더(142,143)는 고정판(121)의 후방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된 거치대(115)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의 전방 상단부면에는 실린더(141)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141)의 로드는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중앙 하부면에 힌지(12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설명된 하중 감지센서(125)의 장착 위치는 변경될 수 있고, 단지 리프터(120)의 집게(123)에 얹혀지는 화물(50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프트 장치(110)의 전면부에는 센서(115)가 장착되어 화물(500)이 적재되는 화물차량(400)과 리프트 장치(110)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즉, 리프트 장치(110)가 이하 설명되는 이송장치(150)의 레일(152)을 따라 적재칸을 이동될 때, 적재칸과 리프트 장치(110) 간의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하 설명되는 스크류바(153)에 연결되는 모터(17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리프트 장치(110)가 이송장치(150)의 레일(152) 상에서 이동되는 정도를 제어하지 않는다면, 화물차량(400)이 모노레일(300) 사이에 정차하는 경우 보통은 일정하게 정차되지 않고, 항상 약간 삐딱한 상태로 정차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운반차(100)와 화물차량(400)의 측면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센서(115)를 이용하여 화물차량(400)과 리프트 장치(110)의 거리를 조절하는 이유는 화물(500)을 적재하는 경우 적재되는 화물(500)이 적절한 위치에 적재되지 않으므로 각 운반차(100)에 장착된 리프트 장치(110)가 상기 이송장치(150)의 레일(152) 상에서 움직이는 거리를 별도로 조절하여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115)는 도 3a에서는 베이스(111)의 전면부에 장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팔레트의 폭을 감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150)는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152)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15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52)의 상부에 얹혀지는 운반차(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바(15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스크류바(153)에는 상기 설명된 리프트 장치(110)의 하부에 장착된 슬라이더(118)가 연결되고, 스크류바(153)의 일 측 단부에는 베이스 프레임(151)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170)가 기어 또는 밸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터(170)의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바(153)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여 상기 운반차(1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송장치(150)가 모노레일(300)에 얹혀져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바퀴(154)가 장착되고, 이들 바퀴(154) 중 길이방향의 양 측 바퀴(154)에는 기어박스(155)를 갖는 구동모터(156)가 연결된다.
상기 기어박스(155)와 구동모터(156)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기어박스(155)는 상기 이송장치(150)의 속도를 변속하기 위한 기어박스로 이송장치(150)가 구부러진 모노레일(300) 상에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이 용이하고, 안정되도록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기어박스(155)와 구동모터(156)는 종래에 공지된 변속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중앙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실린더(161)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161)의 로드와 반대 방향의 베이스 프레임(151) 측면에는 연결구(157)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구(157)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 감지센서(158)가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하부에 장착되는 실린더(161)의 로드는 다른 이송장치(150)의 베이스 프레임(151) 측면에 장착되는 연결구(157)에 연결되어 이송장치(150)간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위치 감지센서(158)는 이와 같은 이송장치(150)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작동되는데, 이와 같은 이송장치(150) 간의 거리 조절은 다른 이송장치(150)의 베이스 프레임(151)과의 간격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158)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미도시)에서 실린더(161)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장치(15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이유는 기존에 사용되는 팔레트의 폭이 적재되는 화물의 양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트 장치(110)의집게(123)가 사용되는 팔레트의 폭에 따라 적절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을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그(130)가 세워진 상태에서 컨베이어(200)에 의해 화물(500)이 이송되어 운반차(100)가 위치된 곳으로 멈추게 되면, 상기 이송장치(150)는 팔레트의 폭을 감지하여 실린더(161)를 작동하므로 각 이송장치(150) 간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 장치(110)가 앞으로 전진하여 집게(123)를 팔레트에 삽입하게 되는 데 이때, 이송장치(150)의 일 측(베이스 프레임(151)뒤쪽 하부)에 장착된 플램프(180)가 실린더(162)의 작동에 의해 모노레일(300)에 맞물려 리프터 장치(110)가 화물(500)을 들어올릴 때 화물(500)의 하중에 의해 운반차(100)가 일 측(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프터 장치(110)가 화물(50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뒤로 후진하여 하중의 배분을 안정되게 하면, 상기 클램프(180)가 모노레일(300)에서 해제되고, 이송장치(150)는 화물차량(400)의 적재칸 위치로 움직인다.
상기 위치에서 다시 상기 클램프(180)가 모노레일(300)에 맞물리고, 상기 리프트 장치(110)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적재칸 위치에 멈추게 되는데, 이때 상기 리프트 장치(110)가 이동하는 거리는 미리 설정된 값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110)가 하강하여 상기 화물(500)을 화물차량(400)의 적재칸에 올려놓게 되는데, 이때 상기 리프트 장치(110)의 고정판(121) 뒤쪽에 장착된 하중 감지센서(125)에 의해 화물(500)의 하중을 감지하여 화물(500)의 하중이 "0"이 되는 순간 실린더(141)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하강을 멈춘 리프트 장치(110)는 미리 설정된 일정한 값 만큼의 거리를 후진하여 멈추고, 그 후에 실린더(142,143)를 작동시켜 도그(130)를 상기 집게(123)와 접하도록 회전시키고 나서, 다시 리프타 장치(110)를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리프트 장치(110)의 전면에 장착된 센서(115)에 의해 화물차량(400)의 적재칸 위치와 리프트 장치(110)의 거리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의 간격을 유지할 때 까지 상기 리프트 장치(110)를 전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화물(500)이 화물차량(400)의 적재칸을 벗어나지 않게 적재된다.
이후에 상기 이송장치(150)는 리프트 장치(110)가 뒤로 후진하고, 상기 도그(130)는 세워지며, 클램프(180)가 모노레일(300)에서 해제된 후에 컨베이어(200)가 위치된 곳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는 하나의 단계로 별도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도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인력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팔레트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화물차량에 1대분의 화물을 동시에 또는 팔레트 단위로 각각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으며, 또한 리프터의 작동을 센서에 의해 제어하고, 또한 일정한 각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므로 트럭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절한 적재 규격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리프터를 상하로 유동되게 하는 실린더의 위치를 화물이 적재되는 위치에 가깝게 연결하므로 리프트장치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되게 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상기 시스템은 화물을 화물차량의 적재칸과 근접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 측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모노레일(300) 및 상기 모노레일에 장착되는 운반차로 구성되는 화물 적재 시스템에 이용되는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운반차(500)는 양 측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113);과 하부면 네 귀퉁이에 장착되는 가이드(116)를 갖는 바퀴(117);와 하부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나선이 형성된 구멍(119)을 갖는 슬라이더(118);와 상기 가이드 홈(113)에 장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리프터(120);와 상기 베이스(111)의 전방 상단부면에 장착되어 리프터(120)와 힌지(124)에 의해 연결되는 실린더(141);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110) 및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152)이 장착되고, 하부면 네 귀통이에 바퀴(154)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5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스크류바(153);와 베이스 프레임(151)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 또는 밸트에 의해 스크류바(153)의 일 측 단부와 연결되는 모터(170);와 상기 길이방향의 양 측 바퀴(154)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56);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중앙 하부면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장착되는 실린더(161); 및 상기 실린더(161)의 로드의 맞은 편 베이스 프레임(151) 측면에 장착되는 연결구(157);를 포함하는 이송장치(1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120)는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며, 상부가 연결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의 일 측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집게(123);와 상기 고정판(121)의 후면부에는 형성되는 거치대(115);와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122);와 고정판(121)의 상부에 힌지(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 단부에 걸림턱(132)이 형성되는 도그(130);와 상기 거치대(115)에 장착어 상기 도그(130)의 다른 일 측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142,1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120)는 상기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가 상기 리프터(120)의 집게(123)의 후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22)의 폭(또는 직경)이 가이드 홈(113)의 폭 보다 약간 적게 형성되며, 또한 측면판(112)의 뒷면에 하중 감지센서(125)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홈(113)의 뒤쪽에 센서 지지대(114)가 형성되어 리프터(120)가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며, 리프터(120)에 적재되는 화물(500)의 하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110)는 화물차량(400)과 리프트 장치(110)의 거리를 조절을 위해 상기 스크류바(153)에 연결되는 모터(17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리프트 장치(110)의 전면부에 센서(115)를 더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56)는 이송장치(150)가 구부러진 모노레일(300) 상에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이 용이하고, 안정되도록 기어박스(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50)는 연결구(157)와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위치 감지센서(1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
KR2020020003515U 2002-02-04 2002-02-04 화물 적재용 운반차 KR200277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515U KR200277232Y1 (ko) 2002-02-04 2002-02-04 화물 적재용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515U KR200277232Y1 (ko) 2002-02-04 2002-02-04 화물 적재용 운반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241A Division KR100426052B1 (ko) 2002-02-04 2002-02-04 화물 적재용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232Y1 true KR200277232Y1 (ko) 2002-06-03

Family

ID=7307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515U KR200277232Y1 (ko) 2002-02-04 2002-02-04 화물 적재용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2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855B1 (ko) 2011-05-17 2011-10-19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소화물 운반장치
KR101517605B1 (ko) * 2013-05-10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랙기어 설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855B1 (ko) 2011-05-17 2011-10-19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소화물 운반장치
KR101517605B1 (ko) * 2013-05-10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랙기어 설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183B2 (en) Multilevel vertical conveyor platform guides
KR101717447B1 (ko)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CN107826786B (zh) 物流设备
US6655893B2 (en) Extensible conveyor and frame for vehicle load transfer
US3986620A (en) Palletizing apparatus for piece goods
CN112299047B (zh) 一种货物自动装卸的方法
JP2006521260A (ja) マルチトロリー型コンテナークレーン
CN112009597A (zh) 汽车行李架与天线基座混合排序及自动对接上下线系统
KR200277232Y1 (ko) 화물 적재용 운반차
CN115605419A (zh) 用于装载和卸载卡车的装载系统
KR100426052B1 (ko) 화물 적재용 운반차
CN115535649A (zh) 适用于配有托盘的箱货集装箱快速卸货装置
CN211643472U (zh) 一种左右开合的货物堆叠校正系统
KR100416383B1 (ko) 적재화물 이송 시스템
JP7193351B2 (ja) 工場内荷搬送装置
JPH09315520A (ja) 物品保管棚用の物品搬送装置
JP3194350B2 (ja) 搬送用分割パレットおよびこのパレットへの車の移載装置
CN111845962A (zh) 装卸货车和装卸货车的货物装卸方法
CN112499297A (zh) 自动装卸设备及自动装卸货方法
CN115605421A (zh) 用于使用横向的托盘装载和卸载卡车的装载系统
JP3612806B2 (ja) 巻取ロール縦積みパレタイザ及びパレットへの巻取ロール縦積み方法
JPH032485Y2 (ko)
JPH0312012B2 (ko)
JP3002935B2 (ja) 積付装置
KR200334624Y1 (ko)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