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624Y1 -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 Google Patents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624Y1
KR200334624Y1 KR20-2003-0026461U KR20030026461U KR200334624Y1 KR 200334624 Y1 KR200334624 Y1 KR 200334624Y1 KR 20030026461 U KR20030026461 U KR 20030026461U KR 200334624 Y1 KR200334624 Y1 KR 200334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cargo
frame
transfer devic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6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출고측에 컨베이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입,출고 시스템에서도 화물의 이송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는 화물이 적재되도록 지지부재(110)상에 커버(120) 등이 결합 구성된 프레임(100)과, 이 프레임(100)상에 설치되어 주행레일(90)을 타고 주행되는 다수 개의 주행륜(210)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장치(200)가 구성되어 프레임(100)상에 적재된 화물을 해당 입,출고 컨베이어상에 로딩 및 언로딩 시키도록 구성된 무인대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130)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130)의 저면상에 상하방향으로 동작되게 설치되는 리프팅수단(300)과, 상기 리프팅수단(300)의 상면상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화물을 입,출고 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포개어진 복수 개의 적재대(이하 포크부라 칭함)가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400;telescopic conveyor)가 설치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AN AUTOMATIC VEHICLE HAVING FORK TYPE LOADING/UNLOADING APPARATUS}
본 고안은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의 입고 및 출고측에 컨베이어가 설치되지 않은 입,출고 시스템에서 무인대차상에 화물을 입고 및 출고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창고의 입,출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창고의 입,출고 시스템은 화물을 입출고하는 다수의 입고 컨베이어(10) 및 출고 컨베이어(20)와, 주행레일(30)을 타고 주행하면서 해당 입,출고 컨베이어(10)(20)상에 화물을 로딩 및 언로딩 시켜주는 궤도무인대차 (RTV, 이하 무인대차로 칭함,40)와, 화물을 출하시키는 스테커 크레인(Stacker crane,50)과, 화물이 적재 보관되는 랙(Rack,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창고의 입,출고 시스템은 입,출하장에서 지게차 등으로 파레트(Pallet)가 입고되면 무인대차(40)가 해당 입고 위치로 이동되어 파레트를 인입한 후 해당 입고 컨베이어(10)의 위치로 이동되어 특정 입고 컨베이어에 취출되는 한편 이와 같이 취출된 파레트는 입고 컨베이어(10) 및 스테커 크레인(50)을 거쳐 랙(60)에 저장되게 되고, 이와 같이 보관된 파레트가 출고되는 과정은 특정 파레트의 출고 명령이 내려지면 스테커 크레인(50)이 파레트를 특정 출고 컨베이어(20)로 취출시키고 이 출고 컨베이어(20)에 의해 주행레일(30)측으로 이동 대기하게 되면 무인대차(40)가 해당 출고 컨베이어의 출고위치에 고속으로 운행되어 파레트를 취출시키게 된다.
한편, 파레트를 입고컨베이어상으로 이송하거나 출고컨베이어로부터 파레트를 이송받는 무인대차는 파레트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체인 또는 롤러컨베이어장치가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출고 시스템에서 입,출고 컨베이어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예컨대 입고 및 출고측에 고정 다이나 고정 지그와 같은 화물적재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인대차상에 올려져 있는 파레트를 화물적재대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수작업 또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거나 별도의 이재장치가 설치되지 않으면 이송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입,출고측에 컨베이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입,출고 시스템에서도 화물의 이송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 개의 주행륜이 주행레일을 타고 주행되면서 프레임상에 적재된 화물을 해당 입,출고 컨베이어상에 로딩 및 언로딩 시키도록 구성된 무인대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의 저면상에 상하방향으로 동작되게 설치되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의 상면상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화물을 입,출고 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포개어진 복수 개의 적재대가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수단의 상면상에 설치되는 베이스몸체의 좌우측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구동모터, 감속기 및 구동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피니언이 회동되는 구동수단이 포함 구성된 베이스 포크부와; 상기 베이스 포크부의 상측에 포개어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중앙몸체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회전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휠이 설치되고 저면상에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이 형성되어 전후진되는 중앙 포크부와; 상기 중앙 포크부의 상측에 포개어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상부몸체상에 중앙 포크부의 전후진시에 연동되어 전후진 되도록 중앙 포크부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스프로켓에 걸림된 구동체인의 타단이 고정되어 작동되는 상부 포크부가 포함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 좌우측에는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입,출고되는 화물이 안착되도록 복수 개의 지지대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의 상면상에 안착판이 설치된 화물지지수단이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창고의 입,출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무인대차상에 구성되는 롤러컨베이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프레임, 200:드라이브장치,
300:리프팅수단, 400: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
410:베이스 포크부, 420:중앙 포크부,
430:상부 포크부, 500:화물지지수단,
510:지지대, 520:안착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이 적재되도록 지지부재(110)상에 커버(120) 등이 결합 구성된 프레임 (100)과, 이 프레임(100)상에 설치되어 주행레일(90)을 타고 주행되는 다수 개의 주행륜(210)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장치(200)가 구성되어 프레임 (100)상에 적재된 화물을 해당 입,출고 컨베이어상에 로딩 및 언로딩 시키도록 구성된 무인대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130)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130)의 저면상에 상하방향으로 동작되게 설치되는 리프팅수단 (300)과, 상기 리프팅수단(300)의 상면상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화물을 입,출고 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포개어진 복수 개의 적재대(이하 포크부라 칭함)가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400;telescopic conveyor)가 설치 구성된 것이다.
상기 리프팅수단(300)은 그 상측에 결합되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40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즉 리프팅수단(300)은 화물의 출고측으로부터 이송받아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상에 적재된 화물을 후술되는 화물적재수단(500)에 올려지게 하강 작동되거나, 프레임(100)의 화물적재수단(500)에 위치된 화물을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400)상에 안착시켜 이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입고측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승 작동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팅수단 (300)은 정해진 신호에 의해 승강동작이 가능하도록 유압모터, 유압실린더 등이 구비된 유압장치에 의해 구성되거나,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공압장치 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구동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고, 그 세부구성에 대하여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통상의 다양한 승강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의 개구부(130) 좌우측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400)에 의해 입,출고되는 화물이 안착되도록 복수 개의 지지대(510)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510)의 상면상에 안착판(520)이 설치된 화물지지수단(500)이 구성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서는 타이어제조공정에서 타이어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폭방향으로 각각 두 개의 지지대(510)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510) 상부에 원호형상을 갖는 안착판(520)이 결합 구성된 것이다.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400)는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포크부(410)와, 중앙 포크부(420) 및 상부 포크부(430)의 3단 구조로 서로 포개어지게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포크부(410)가 상기 리프팅수단(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포크부(410)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수단(300)의 상면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몸체(411)의 좌우측에 가이드레일(412)이 형성되고 구동모터(442) 및 감속기(444)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피니언(446)이 회동되는 구동수단(440)이 포함 구성된다.(도 6c 참조)
상기 중앙 포크부(420)는 베이스 포크부(410)의 상측에 포개어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중앙몸체(421)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레일(412)에 끼워져 회전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휠(422)이 설치되고 그 외측에 상부 포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휠(423)이 설치되는 한편 저면상에 상기 피니언(446)과 치합되는 랙(424)이 형성된 것으로 이 랙(424)은 베이스 포크부(410)의 피니언(446)과 치합되어 랙 엔 피니언(rack and pinion) 구동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포크부(420)의 전,후 부분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의 제1,2구동스프로켓(425)(426)이 설치되는 바, 전방의 제1구동스프로켓(425)에는 상부 포크부(430)의 후단(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중앙포크부 (420)의 중앙몸체(421) 앞쪽(b)에 고정되는 제1구동체인(427)이 걸림되고, 후방의 제2구동스프로켓(426)에는 일단이 베이스 포크부(410)의 전단(c)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포크부(430)의 전단(d)에 고정되는 제2구동체인(428)이 걸림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 포크부(430)는 중앙 포크부(420)의 상측에 포개어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상부몸체(431)상에 중앙 포크부(420)의 전후진시에 연동되어 전후진 되도록 중앙 포크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2구동스프로켓(425,426)에 걸림된 제1,2구동체인(427)(428)의 타단이 고정되어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인대차를 화물창고의 입,출 시스템에 설치한 상태에서 무인대차의 화물지지수단에 적재 위치된 화물을 입고측 적재대나 고정다이로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주행휠이 주행레일을 타고 이동되다가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입고측 적재대측에 정지하게 되고 이때 화물(80)은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지지수단(500)의 안착판(520)상에 위치된 상태로 적재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리프팅수단(300)을 구동시켜 상승시키게 되면 그 상측에 결합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400)가 연동되어 상승되면서 그 상부 포크부(430)상에 화물(80)이 적재(도 3의 좌측에 도시된 형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물(80)이 상부 포크부(430)이 올려지게 되면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400)의 구동수단(440)을 구동시켜 베이스 포크부(410), 중앙 포크부 (420) 및 상부 포크부(430)를 순차적으로 인출시켜 화물을 해당 입고측 화물 적재대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이송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즉 피니언(446)이 구동모터(442)의 구동력에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이에 치합된 중앙 포크부(420)의 랙(424)이 전진되므로 중앙 포크부(420)가 전진 이동되고, 이 중앙 포크부의 후방에 설치된 제2구동스프로켓(426)이 연동되어 전진 이동되므로 상부포크부(430)의 전방에 고정된 제2구동체인(428)이 제2구동스프로켓을 매개로 당겨져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부 포크부(43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부 포크부(430)가 완전히 배출되면 적재된 화물을 입고측 적재대로 이송 완료되게 된다.
반대로 출고측 적재대에 위치한 화물(80)을 출고하고자 할 때는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부 포크부(430)을 출고측 적재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상부 포크부의 상면에 화물(80)을 적재한 후 구동모터(442)를 역전시켜 피니언(44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랙(424)이 후진되므로 중앙 포크부(420)가 후진 이동되고, 이 중앙 포크부의 전방에 설치된 제1구동스프로켓(425)이 연동되어 후진 되면서 상부 포크부(430)의 후방에 고정된 제1구동체인(427)이 제1구동스프로켓을 매개로 당겨져 이동되므로 상부 포크부(430)가 당겨져 후진 이동되면서 베이스 포크부(410), 중앙 포크부(420) 및 상부 포크부(430)는 서로 겹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화물(80)은 프레임(100)의 상측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화물(80)은 화물지지수단(500)의 안착판(520)의 상측에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 상태에 위치되므로 리프팅수단(300)을 구동시켜 하강시키게 되면 그 상측에 결합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400)가 연동되어 하강되고 이에 따라 상부 포크부(420)에 안착된 화물(80)이 하강되면서 화물지지수단(500)의 안착판(520)상에 안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출고되는 화물이 무인대차의 화물지지수단(500)에 정위치되면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주행륜(210)이 주행레일(90)을 타고 정해진 위치로 이동되어 화물을 출고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에 의하면, 무인대차 자체에 화물을 입고 또는 출고측으로 이송할 수 있는 장치가 구성되어 입,출고 컨베이어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입,출고 시스템에서 화물의 입고 및 출고과정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 개의 주행륜이 주행레일을 타고 주행되면서 프레임상에 적재된 화물을 해당 입,출고 컨베이어상에 로딩 및 언로딩 시키도록 구성된 무인대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의 저면상에 상하방향으로 동작되게 설치되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의 상면상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화물을 입,출고 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포개어진 복수 개의 적재대가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수단의 상면상에 설치되는 베이스몸체의 좌우측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구동모터, 감속기 및 구동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피니언이 회동되는 구동수단이 포함 구성된 베이스 포크부와;
    상기 베이스 포크부의 상측에 포개어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중앙몸체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회전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휠이 설치되고 저면상에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이 형성되어 전후진되는 중앙포크부와;
    상기 중앙 포크부의 상측에 포개어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상부몸체상에 중앙 포크부의 전후진시에 연동되어 전후진 되도록 중앙 포크부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스프로켓에 걸림된 구동체인의 타단이 고정되어 작동되는 상부 포크부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 좌우측에는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입,출고되는 화물이 안착되도록 복수 개의 지지대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의 상면상에 안착판이 설치된 화물지지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KR20-2003-0026461U 2003-08-18 2003-08-18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KR200334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461U KR200334624Y1 (ko) 2003-08-18 2003-08-18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461U KR200334624Y1 (ko) 2003-08-18 2003-08-18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624Y1 true KR200334624Y1 (ko) 2003-11-28

Family

ID=4942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461U KR200334624Y1 (ko) 2003-08-18 2003-08-18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6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8591B2 (en) 2015-11-23 2018-01-16 Kia Motors Corporation Automated guided vehicle
KR20190126558A (ko)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엔티로봇 물류운반용 이동로봇 및 이를 포함한 운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8591B2 (en) 2015-11-23 2018-01-16 Kia Motors Corporation Automated guided vehicle
KR20190126558A (ko)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엔티로봇 물류운반용 이동로봇 및 이를 포함한 운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814B1 (ko) 물류 자동화 창고
CN112299047B (zh) 一种货物自动装卸的方法
JPH10212030A (ja) パレットの積み重ね装置
CN110002362B (zh) 自动装车设备及其装卸方法
US4027823A (en) Loading-unloading apparatus for a vehicle
CN108820668B (zh) 一种仓储自动取料机
KR200334624Y1 (ko)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CN115535649A (zh) 适用于配有托盘的箱货集装箱快速卸货装置
US66199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and reloading returnable shipping containers from a trailer
CN211643472U (zh) 一种左右开合的货物堆叠校正系统
CN210117040U (zh) 一种货物转运架
JP3902893B2 (ja) 車両方向転換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
KR19980045030A (ko) 화물 하역/선적방법 및 그 장치
CN112320393A (zh) 装车卸车系统
KR200277232Y1 (ko) 화물 적재용 운반차
JPH0733260A (ja) 自動バンニング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バンローダ
JPH032485Y2 (ko)
JP2020090212A (ja) 荷物の搬送装置
EP0462938B1 (en) A system for loading trucks or containers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with freight units of palletizable or at least regular shape and size
KR102459334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CN110683380B (zh) 自动装车系统及其装车方法
JPH09142348A (ja) 搬送用分割パレットおよびこのパレットへの車の移載装置
CN220765896U (zh) 一种带托盘的成垛物料整车装卸装置
KR100426052B1 (ko) 화물 적재용 운반차
US20230192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transpor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