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030A - 화물 하역/선적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하역/선적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030A
KR19980045030A KR1019960063187A KR19960063187A KR19980045030A KR 19980045030 A KR19980045030 A KR 19980045030A KR 1019960063187 A KR1019960063187 A KR 1019960063187A KR 19960063187 A KR19960063187 A KR 19960063187A KR 19980045030 A KR19980045030 A KR 19980045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ailer
ship
transfe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0144B1 (ko
Inventor
김경한
Original Assignee
김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한 filed Critical 김경한
Priority to KR101996006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14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항만에 설치된 컨테이너 크레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화물(컨테이너) 하역 또는 선적시에 작업이 지연되는 일이 없게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 및 장치에서는 선박(50)과 트레일러(60) 양측으로 구분된 적어도 2대의 크레인(20,30)과, 양측 이재장소(71,72)를 갖는 이송장치(70)를 사용하여, 선박과 트레일러에서 이송장치의 양측 이재장소로 또는 그 역으로 각각 화물을 이재하고, 그 이송장치에서 양측 이재장소의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재된 화물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화물을 하역 또는 선적한다. 화물을 하역하거나 선적하는 작업이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분업화되어 있으므로, 선박이나 트레일러중 일측이 타측의 사정에 의하여 필요이상으로 대기하는 시간이 줄고, 전체적인 작업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항만의 화물 하역/선적효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화물 하역/선적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항만에 정박한 선박에서 컨데이터 트레일러(container trailer)로 또는 그 역으로 컨테이너를(화물을) 옮겨싣는 화물 하역/선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 하역작업 또는 그 선적작업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분업화한 화물 하역/선적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요 항만시설의 하나로서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이 잘 알려져 있다. 컨테이너 크레인은 일정한 규격으로 된 대형 화물운반용기인 컨테이너를 동력을 이용해 달아 올리고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여 옮겨놓을 수 장치이다.
컨테이너 하역/선적을 위한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은, 그 개요를 보인 도 1과 같이, 철골구조물(1)과 크레인(5) 한 대로 구성되어 있다. 철골구조물(1)은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2,3)와 이 지주(2,3)를 의지하여 횡으로 길게 가설된 가이드 레일(4)로 이루어져 있다. 크레인(5)은 철골구조물(1)의 가이드 레일(4)을 이동하는 동시에 그 가이드 레일(5)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한 2축 이동제어가능한 것으로서, 컨테이너(7)를 달아올릴 수 있는 컨데이터 홀더(6)를 가지며 이밖에 도시되지 않은 윈치(winch)와 조정(운전)실 등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크레인(5)은 정박해 있는 선박(8) 위치로 이동하여 그 위치에서 컨테이너 홀더(6)를 내려서 선박(8)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7)중 하나를 달아올리며, 가이드 레일(4)을 따라 달아올린 컨테이너(7)와 함께 트레일러(9) 위치로 이동하여 그 컨테이너(7)를 트레일러(9) 위에 가만히 내려놓는다. 그런 다음 크레인(5)은 그 컨테이너 홀더(6)를 되감아올린 후 다음의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반복하기 위해 선박위치로 되돌아 간다. 크레인(5)이 선박(8)을 향해 복귀하는 동안 컨테이너(7)를 탑재한 트레일러(9)는 그 위치를 떠나고 다음 트레일러가 그 위치로 진입하여 대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선박(8)에 적재된 컨테이너(7)들의 하역작업이 이루어진다. 컨테이너 선적작업은 그 하역작업의 역순으로 행해진다. 참고로 도 1에서 화살표 A와 B는 크레인(5)이, 정확하게는 컨테이너 홀더(6)가 이동하는 하역시의 경로와 선적시의 경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컨테이너 하역 또는 선적을 위하여 도 1과 같이 한 대의 크레인(5)이 화살표 A,B의 전(全) 구간을 왕복하게 되는데, 선박(8)에서 트레일러(9)까지의 거리가 꽤 멀고 크레인(5)의 이동속도는 느리므로 그 구간을 1회 왕복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컨테이너 한 대당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또는 그 역으로 옮겨싣는데 긴 시간이 소비되는 것은 물론, 특히 선박과 트레일러 및 크레인중 어느 일측의 작업준비가 지연되는 경우에 그 작업준비가 완료되기까지 나머지들이 작업을 중단한 채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은 항만의 전체적인 하역/선적 효율을 크게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항만의 하역/선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있는 크레인 이동속도를 높여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컨데이터의 하중과 그 운반중 안전을 감안할 때, 크레인의 이동속도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선박과 트레일러 및 크레인중 어느 일측의 작업준비 지연으로 인해 타측들이 기다림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시간 지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에서 트레일러로의 컨테이너 하역작업 또는 그 역으로의 선적작업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구분하여 분업화하는 컨데이터 하역/선적 방법과 이를 구현하여 항만의 하역/선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데이터 하역/선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물 하역/선적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컨테이너 크레인의 개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컨테이너 크레인의 개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장치에 적용된 승강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장치에 적용된 콘베이어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장치에 적용된 콘베이어의 정면도.
도 7은 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철골구조물 13,14 : 가이드 레일
20,30,230,230' : 크레인 40,40' : 컨테이너
50 : 선박 60,60' : 트레일러
100 : 선박화물 이재부 200,200' : 이송부
210,210' : 승강기 211 : 팔레트
220,220' : 컨베이어 223 : 대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컨테이너)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선박과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선박화물을 이재하는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트레일러화물을 이재하는 트레일러화물 이재단계,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단계를 포함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에서 각각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화물 하역 또는 선적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하는 각 단계별로 분업화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방법에 있어서의 또다른 특징은,
선박과 트레일러 각각으로부터 그 사이에 위치된 동일장소로 또는 그 역으로 각각의 운반기구를(크레인을) 사용하여 화물을 이재하는 이재단계를 포함하여, 그 동일장소를 경유하여 화물을 하역 또는 선적케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컨테이너)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박과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선박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과,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트레일러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에서 각각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화물 하역 또는 선적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즉 각 부위별로 분업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장치에 있어서의 또다른 특징은,
선박과 트레일러 각각으로부터 그 사이의 위치된 동일장소로 또는 그 역으로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각각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이재수단을 포함하여, 그 동일장소를 경유하여 화물을 하역 또는 선적케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화물은 모든 유형의 포장 또는 비포장 물품은 물론, 그러한 물품을 담고 있는 규격 또는 비규격의 모든 화물용기를 포함한다. 규격 화물용기로서는 컨테이너가 대표적이다. 한편, 선박화물은 선박에 선적할 또는 그로부터 하역할 화물을, 그리고 트레일러화물은 트레일러에 탑재할 또는 그로부터 내릴 화물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트레일러는 화물 수송을 위한 모든 동력 또는 비동력 차량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또는 그 역으로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선적하는 방법 또는 그러한 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하나의 운반기구를(크레인을) 사용하던 것과 달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구분된 둘 이상의 운반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하역과 선적작업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에서 분업화하여 각각 병행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을 위한 장치로서, 항만에 시설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크레인에는 철골구조물(10)로서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11,12)와 이 지주(11,12)를 의지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 횡으로 길게 가설된 상하측 가이드 레일(13,14)로 이루어지고, 그 상하측 가이드 레일(13,14)에 선박화물용 크레인(20)과 트레일러화물용 크레인(30)이 설치되어 있다. 크레인(20,30)은 통상과 같이 각각 컨테이너(40)를 달아올릴 수 있는 컨데이터 홀더(21,31)를 가진다. 한편, 선박(50)과 트레일러(60) 사이에 이송장치(70)가 설치된다. 이 이송장치(70)는 선박(50)과 가까이 위치된 이재장소(71)와 트레일러(60)와 가까이 위치된 이재장소(72)를 가지며, 컨테이너(40)를 그 이재장소(71,7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이 이송장치(70)의 구동기구는 예를 들면 수직이송용 승강기와 수평이송용 컨베이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장치(70)의 일측 이재장소(71)는 선박(50)의 규모나 거기에 쌓인 화물적재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단계인 선박화물 이재단계는, 도 2에서 철골구조물(10)의 상측 가이드 레일(13)에 설치되어 컨테이너(40)를 달아올리는 선박화물용 크레인(20)을 사용하며, 가역적인 경로 A1 또는 B3를 따라 컨테이너(40)를 선박(50)에서 이송장치(70)의 선박측 이재장소(71)로 하역이재(경로 A1)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선적(경로 B3)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단계인 트레일러화물 이재단계는, 도 2에서 철골구조물(10)의 하측 가이드 레일(14)에 설치된 트레일러화물용 크레인(30)을 사용하며, 역시 가역적인 경로 A3 또는 B1를 따라 컨테이너(40)를 이송장치(70)의 트레일러측 이재장소(71)에서 트레일러(60)로 탑재(경로 A3)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선적이재(경로 B1)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 번째 단계인 이송단계는, 도 2에서 선박(50)과 트레일러(60) 사이에 설치된 이송장치(70)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가역적인 경로 A2 또는 B2를 따라 컨테이너(40)를 그 선박측 이재장소(71)에서 트레일러측 이재장소(72)로 하역이송(경로 A2)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선적이송(경로 B2)하는 것이다.
즉, 컨테이너 하역작업은 선박(50)에 적재된 컨테이너(40)를 경로 A1,A2,A3을 따라서 하역이재와 하역이송하는 과정을 거친 후 트레일러(60)에 탑재하는 것으로 행하며, 컨테이너 선적작업은 트레일러(60)에 탑재된 컨테이너(40)를 경로 B1, B2,B3을 따라서 선적이재와 선적이송하는 과정을 거친 후 선박(50)에 적재하는 것으로 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선박화물용 크레인(20)은 필요에 따라 상측 가이드 레일(14) 상의 이동 경로 A',B'를 더 확보하여 선박(50)에서 트레일러(60)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컨테이너(40)를 달아서 직접 하역 또는 선적하는, 즉 종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 1에 표시된 경로 A와 B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역/선적방법에 따르면,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화물 이재단계의 일측에서 작업이 지연될 경우에도 타측의 작업은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선박이나 트레일러가 필요이상으로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은 도 2에서 이송장치(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보조이송장치를 더 사용함으로써 그 작업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이 경우에 화물의 하역과 선적작업을 동시에 진행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 2의 이송장치(70)를 사용하지 않고 그 이송장치(70)의 이재장소(71,72)를 포함한 넓은 동일장소를 확보하는 동시에 선박화물과 트레일러화물 각각의 크레인(20,30)이 그 동일장소를 각각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박(50)과 트레일러(60) 각각으로부터 그 동일장소로 컨테이너(40)를 이재하고 거기에 이재된 컨테이너(40)를 역시 각각의 크레인(20,30)으로 선박(50)과 트레일러(60) 각각으로 옮기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의 하역작업 또는 선적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항만에 시설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크레인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철골구조물(10)로서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11,21)와 이 지주(11,12)에 다른 높이로 가설된 가이드 레일(13,14)과 함께, 선박(50)으로부터 하역이재될 또는 그에 적재될 컨테이너의 이재수단을 위한 선박화물 이재부(100), 선박(50)과 트레일러(60) 사이에서 이재된 컨테이너(40)의 이송을 위한 이송부(200), 그리고 트레일러(60)에 탑재될 또는 그로부터 선적이재될 컨테이너의 이재수단을 위한 트레일러화물 이재부(300)로 구성된다.
선박화물 이재부(100)는 철골구조물(10)의 상측 가이드 레일(13)을 포함하여, 이 가이드 레일(13)을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선박화물용 크레인(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크레인(20)은 컨테이너를 집기 위한 컨테이너 홀더(21)와 이 컨테이너 홀더(21)에 집힌 컨테이너를 달아올리기 위한 윈치(22) 및 조정실(23) 등으로 구성되며, 가이드 레일(13)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2축 위치제어되는 것이다.
이송부(200)는, 앞에 설명된 바 있는 도 2의 이송장치(70)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컨테이너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기(210)와 컨테이너를 수평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220), 그리고 스 승강기(210)와 컨베이어(220) 사이의 컨테이너 중간이재용 크레인(230)으로 이루어진다.
이송부(200)의 승강기(210)는 전술한 선박측 이재장소를 제공하는 팔레트(211)를 포함하며, 도 4와 같이 팔레트(211)를 승강시키기 위한 팬터그래프 잭(212), 이 팬터그래프 잭(212)을 작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작동기(213), 그리고 팔레트(211)의 승강작동을 똑바로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 지주(2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으로는 자세히 예시되지 않았으나, 선박(50)의 규모(높이) 또는 거기에 쌓여있는 컨테이너(40)들의 적재높이가 계속되는 선적과 하역에 의하여 달라지는데 따라서 팔레트(211)의 그 상승높이를 단계적으로 가변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송부(200)의 컨베이어(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승강기(210)의 팔레트(211)가 하강한 위치에서 그 높이와 맞춰 상기한 철골구조물(10)의 지주(11,12)를 의지하여 일정간격으로 가설된 골조(221), 이 골조(221) 위에 설치된 레일(222), 레일(222) 위를 구룰 수 있고 컨테이너가 안착될 수 있게 복수조 설치된 바퀴달린 대차(223), 양 옆에서 대차(223)들을 무한 궤도상으로 연결하는 체인(224), 체인(224)의 전후 양측을 걸고 있는 한 쌍의 체인스프로켓(225), 체인구동을 위한 모터(226), 모터(226)의 동력을 일측 스프로켓(225) 축(225a)에 전달하는 웜(227)과 웜휠(228)로 구성된다. 여기서 대차(223)들은 각각 전술한 트레일러(60)측 이재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5에서 미설명된 부호 229는 동력을 반대편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니버설 조인트이다.
이송부(200)의 중간이재용 크레인(230)은 컨테이너를 집기 위한 컨테이너 홀더(231)와 이 컨테이너 홀더(231)에 집힌 컨테이너를 달아올리기 위한 윈치(232)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철골구조물(10)의 하측 가이드 레일(14) 일측에 지지되어 그 가이드 레일(14) 방향으로만 1축 위치제어됨으로써, 승강기(210)의 팔레트(211)가 하강한 상태에서 그 팔레트(211)에서 가까이 있는 컨베이어(220)의 대차(223)로 또는 그 역으로 컨테이너(40)를 이재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이 중간이재용 크레인(230)은 다음에 설명되는 트레일러화물용 크레인 조정실에서 함께 운전제어된다.
트레일러화물 이재부(300)는 철골구조물(10)의 하측 가이드 레일(14)을 포함하여, 이 가이드 레일(14)을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트레일러화물용 크레인(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크레인(30)은 컨테이너를 집기 위한 컨테이너 홀더(31)와 이 컨테이너 홀더(31)에 집힌 컨테이너를 달아올리기 위한 윈치(32) 및 조정실(33) 등으로 구성되며, 가이드 레일(14)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2축 위치제어되는 것이다. 조정실(33)은 그 크레인(30)과 분리되어 철골구조물(10)의 한쪽 지주(14)에 설치된 것이다. 이 조정실(33)에는 그 크레인(30)뿐 아니라 전술한 이송부(200)의 승강기(210)와 컨베이어(220) 및 중간이재용 크레인(230)을 모두 조정할 수 있게 배려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서, 선박(50)에 선적되어 있는 컨테이너(40)를 하역하는 과정은, 선박화물 이재부(100)의 컨테이너(20)가 선박(50) 위치로 이동하고 그 위치에서 윈치(22)로 컨테이너 홀더(21)를 내려서 하역할 컨테이너(40) 하나를 달아올린 후 이송부(200)에 구비된 승강기(210)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승강기(210)의 팔레트(211)는 상승해 있는데, 크레인(20)은 그 팔레트(211)에 달아올린 컨테이너(40)를 내려놓고 다음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선박(50)측으로 되돌아 간다.
이와 동시에 이송부(200)에서는 승강기(210)의 도 4에 나타난 작동기(213)와 핀터그래프 잭(212)이 작동하여 컨테이너(40)가 이재되어 있는 팔레트(211)를 하강시킨다. 팔레트(211)가 하강하면, 중간이재용 크레인(230)이 거기에 이재된 컨테이너(40) 위로 이동하여 그 컨테이너(40)를 달아올려서 컨베이어(220) 상의 가까이 위치된 대차(223)로 중간이재한다. 물론 이때에 컨베이어(220)의 상기한 모터(226)는 정지해 있다. 컨테이너(40)가 옮겨지면, 그 하강한 위치의 팔레트(211)가 위로 올려짐과 동시에 컨베이어(220)의 모터(226)가 구동되어 체인(224)이 움직이며 이에 따라 대차(223)가 거기에 실린 컨테이너(40)와 함께 트레일러(60)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컨베이어(220)는 거기에 먼저 중간이재된 컨테이너들이 일정간격으로 실려 있는데, 그중 최선의 컨테이너(40)가 트레일러(60)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컨베이어(220) 끝부분에서 멈추도록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다음, 컨베이어(220) 끝에 컨테이너(40)가 이송되면, 트레일러화물 이재부(300)의 크레인(30)이 그 컨테이너(40)를 달아올려서 대기중에 있는 트레일러(60)에 탑재함으로써, 비로소 컨테이너(40) 하나에 대한 하역작업이 이뤄지는 것이다.
컨테이너(40)가 탑재된 트레일러(60)가 목적지를 향하고 다음 대기하고 있던 트레일러가 진입하는 동안 위와같은 선박화물 이재, 하강, 및 수평이송과정이 반복되므로, 컨테이너(40)들의 하역작업은 꾸준히 진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컨테이너 하역작업 도중, 트레일러 진입이 지연된 경우에, 상기한 승강기(210)의 팔레트(211)와 컨베이어(40)의 위쪽에 있는 대차(223)들 모두가 컨테이너로 채워질 때까지 선박(50)측 크레인(20)에 의한 컨테이너 하역이재작업은 계속될 수 있다. 또한 선적할 선박보다도 트레일러들이 먼저 진입한 경우나, 선적작업 도중의 선박측 크레인(20)의 선적작업이 지연되는 경우에도, 역시 승강기(210)의 팔레트(211)와 컨베이어(40)의 위쪽에 있는 대차(223)들 모두가 컨테이너로 채워질 때까지 그 트레일러(60)에 탑재된 컨테이너의 하역이송 작업이 계속될 수 있으므로, 트레일러들이 필요이상으로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컨테이너의 하역/선적작업 효율이 증대되며, 이러한 작업효율은 컨베이어 이재용량, 바꿔 말하여 항만시설의 규모에 따라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컨테이너 하역/선적작업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킨 컨테이너 크레인을 보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의 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은 같고, 부가적으로, 이송부(200')에 전술한 바 있는 승강기(210)와 컨베이어(220) 및 중간이재용 크레인(230)에 대하여 똑같은 형식의 보조승강기(210')와 보조컨베이어(220') 및 보조 중간이재용 크레인(230)이 나란히 갖춰져 있으며, 2대의 트레일러(60,60')를 동시에 진입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규격의 항만시설에서 컨베이어(220,220') 등의 중간 이재영역을 2배이상 확보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하역/선적 작업효율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크레인에서는 이송부(200')의 승강기(210)와 컨베이어(220) 및 중간이재용 크레인(230) 그리고 보조 승강기(210')와 보조컨베이어(220') 및 보조중간이재용 크레인(230')을 각각 구분하여 경유함으로써 일측 트레일러(60)에 대한 컨테이너(40) 하역작업과 타측 트레일러(60')에 대한 컨테이너(40') 선적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선박화물용 크레인(20)을 필요에 따라 이송부(200 또는 200')의 승강기(210 및/또는 210') 위를 지나서 트레일러(60 또는 60') 위치로 더 이동시켜 컨테이너(40 또는 40')를 직접 하역 또는 선적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실시예의 이재부(200,200')의 승강기(210,210')와 컨베이어(220,220') 대신 넓은 영역의 동일한 이재장소를 만들고 그 위를 양측의 크레인(20,30)이 이동하게 하는 것으로도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으로 예시된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선박과 트레일러 사이의 컨테이너 하역/선적 뿐 아니라 대형 컨테이너 창고에 시설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에 기재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거운 컨테이너(화물)을 달아올리는 크레인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구분하여 그 양측에서의 하역 및/또는 선적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분업화하는 컨테이너 하역/선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항만의 주요시설인 컨테이너 크레인에 적용하면, 컨테이너의 운반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특히 선박이나 트레일러 어느 일측의 사정으로 인하여 타측의 작업이 지연되는 일, 대체적인 예로서 트레일러들이 필요이상으로 대기하게 되는 일이 없이 그 입고와 출고가 원할해지므로 하역 및 선적작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만에서의 컨테이너 하역/선적작업 시간 단축 및 작업효율 증대를 통한 물류비를 절감에 기여하고, 또한 항만의 용역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Claims (20)

  1.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선박과 이에 가까운 이재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는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이재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는 트레일러화물 이재단계,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하는 이재화물 이송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화물 이재단계가 화물을 달아올려서 이동하는 각각의 크레인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단계가,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에 이재된 화물을 상기한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와 같은 높이로 또는 그 역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이송과정과,
    상기한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에 이재된 화물을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로부터 하강한 위치쪽으로 이송하는 수평이송과정과,
    상기한 승강이송과정에서 수평이송과정으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을 이재하는 중간이재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이재과정이 화물을 달아올려서 이동하는 크레인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평이송과정에서 화물을 일정간격으로 띄워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트레일러 위치로 더 움직여서 화물을 직접 하역 또는 선적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상기한 트레일러화물 이재단계 사이에서 상기한 이송단계와 병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이송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이송단계에 대응하여 하나의 선박에 대해 두 대 이상의 트레일러를 동시 진입시켜서 화물의 하역과 선적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9.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박과 트레일러 각각으로부터 그 사이에 위치된 동일장소로 또는 그 역으로 각각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화물을 이재하는 이재단계를 포함하여, 그 동일장소를 경유하여 화물을 하역 또는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방법.
  10.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박과 이에 가까운 이재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과,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이재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박화물 이재수단의 운반기구와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의 운반기구가 화물을 달아올려서 이동하는 각각의 크레인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수단이,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를 제공하는 팔레트를 가지며, 이 팔레트를 상기한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와 같은 높이로 또는 그 역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기와,
    상기한 트레일러측 이재장소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차를 가지며, 이 적어도 하나의 대차를 상기한 팔레트가 하강한 위치쪽으로 또는 그 역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한 승강기의 하강한 팔레트에서 상기한 컨베이어의 대차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을 중간이재하는 운반기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이재를 위한 운반기구가 화물을 달아올려서 이동하는 크레인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컨베이어가 일정간격으로 띄워 배치된 복수의 대차를 가지며, 그 대차가 차례로 위치되게 간헐적으로 구동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가 화물을 직접 하역 또는 선적하도록 상기한 트레일러 위치로 더 움직일 수 있는 이동구간을 더 갖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박화물 이재수단과 상기한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사이에서 상기한 이송수단과 병행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이송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이송수단에 대응하여 하나의 선박에 대해 두 대 이상의 트레일러를 동시 진입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포함되고, 화물의 하역과 선적작업을 동시에 진행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18.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박과 트레일러 사이에 위치된 동일 이재장소를 가지며 선박화물과 트레일러화물을 그 동일 이재장소로 이재하기 위한 각각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이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19.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와 이 지주에 다른 높이로 가설된 가이드 레일을 가지는 철골구조물과,
    화물을 싣기 위한 팔레트를 가지며 그 팔레트가 승강되도록 작동되는 승강기와,
    상기한 팔레트의 하강 위치와 상기한 트레일러 사이에 가설된 레일, 이 레일을 이동하는 바퀴달린 복수의 화물용 대차, 복수의 대차들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는 무한궤도상의 체인, 이 체인의 전후 양측을 걸어지지하는 체인스프로켓,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이 모터의 동력 그 체인스프로켓축에 전달하는 기어군을 포함하여, 대차들이 간헐적으로 이송되게 작동되는 콘베이어와,
    상기한 철골구조물의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한 선박위치와 상기한 승강기의 팔레트 상승위치를 오가며 화물을 달아올려서 이재하는 선박화물 전용 크레인과,
    상기한 철골구조물의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한 트레일러위치와 상기한 컨베이어의 대차 위치를 오가며 화물을 달아올려서 이재하는 트레일러화물 전용 크레인과,
    상기한 철골구조물의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한 승강기의 팔레트 하강 위치와 상기한 컨베이어의 대차 위치를 오가며 화물을 달아올려서 이재하는 중간이재용 크레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기와 컨베이어 및 중간이재용 크레인이 각각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장치.
KR1019960063187A 1996-12-09 1996-12-09 화물 하역/선적 장치 KR100230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187A KR100230144B1 (ko) 1996-12-09 1996-12-09 화물 하역/선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187A KR100230144B1 (ko) 1996-12-09 1996-12-09 화물 하역/선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030A true KR19980045030A (ko) 1998-09-15
KR100230144B1 KR100230144B1 (ko) 1999-11-15

Family

ID=1948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187A KR100230144B1 (ko) 1996-12-09 1996-12-09 화물 하역/선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1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076B1 (ko) * 2001-01-15 2003-06-2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컨테이너 터미널의 최적화된 배차 방법
KR100554688B1 (ko) * 2004-05-21 2006-02-24 정경자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683583B1 (ko) * 2005-03-29 2007-02-15 (주)해우지엘에스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에 두개의 이동수단이 설치된 크레인
KR101426456B1 (ko) * 2012-09-17 2014-08-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궤도식 컨테이너 자동 환적 장치 관제 시스템
CN116812592A (zh) * 2023-03-20 2023-09-29 江苏驭芯传感器科技有限公司 港口用货物进出口的搬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39080A (zh) * 2003-08-07 2006-09-27 东亚大学校 货物装载和卸载设备
KR101702815B1 (ko) 2015-11-17 2017-02-03 에스케이해운 주식회사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076B1 (ko) * 2001-01-15 2003-06-2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컨테이너 터미널의 최적화된 배차 방법
KR100554688B1 (ko) * 2004-05-21 2006-02-24 정경자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683583B1 (ko) * 2005-03-29 2007-02-15 (주)해우지엘에스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에 두개의 이동수단이 설치된 크레인
KR101426456B1 (ko) * 2012-09-17 2014-08-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궤도식 컨테이너 자동 환적 장치 관제 시스템
CN116812592A (zh) * 2023-03-20 2023-09-29 江苏驭芯传感器科技有限公司 港口用货物进出口的搬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0144B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7582A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ship containers
SU1711666A3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грузов из судов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KR960003528Y1 (ko) 셔틀식콘베이어
KR20000023671A (ko) 상품 출하 시스템
JP2003517983A (ja) 貨物荷揚げ/船積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230144B1 (ko) 화물 하역/선적 장치
KR100507988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JPH07215665A (ja) パレタイザーおよび空パレット供給装置
JPH0225779Y2 (ko)
JPH065281Y2 (ja) 立体倉庫
CN209905643U (zh) 一种自动化仓储系统
JPH06345397A (ja) 移載装置付無人搬送車
EP0462938B1 (en) A system for loading trucks or containers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with freight units of palletizable or at least regular shape and size
JP3013216B2 (ja) コンテナの水平荷役方式
JPH079156B2 (ja) セグメント搬送装置
JPH09150918A (ja) コンテナの立体格納設備
CN221295917U (zh) 一种集装箱起吊用吊装设备
CN219751259U (zh) 一种货物装载机
JP3629092B2 (ja) コンテナ格納庫のコンテナ搬出入設備
US20230192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transport unit
JPH09301681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JP3117642B2 (ja) パレットの昇降装置
JP3608677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H05213442A (ja) パレット積み被搬送物の積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