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815B1 -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 - Google Patents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815B1
KR101702815B1 KR1020160093966A KR20160093966A KR101702815B1 KR 101702815 B1 KR101702815 B1 KR 101702815B1 KR 1020160093966 A KR1020160093966 A KR 1020160093966A KR 20160093966 A KR20160093966 A KR 20160093966A KR 101702815 B1 KR101702815 B1 KR 10170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spreader bar
cargo
sl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훈
이종서
노진규
최자호
김해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해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해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해운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은, 선박을 안벽에 정박하고 선창의 창구를 오픈하는 선박 접안 단계; 굴삭기의 암 선단에 스프레더 바를 결합시키는 굴삭기 준비 단계; 상기 스프레더 바가 장착된 굴삭기를 상기 선창 내부로 투입시키는 굴삭기 투입 단계; 화물을 상기 선창 내부로 이동시키는 1차 선적 단계; 상기 스프레더 바가 장착된 굴삭기를 매개로 선창 내부의 상기 화물을 정렬하는 2차 정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Loading Method Using Spreader Bar for Excaveator}
본 발명은 화물과 굴삭기 간의 물리적 연동을 매개하는 신규한 장치인 스프레더 바를 이용하여 종래의 지게차 대신 굴삭기를 매개로 선창 내 화물을 안정적으로 선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전적으로 각 산업에서 철강재가 쓰이지 않는 곳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만큼, 철강 산업은 전반적인 산업 발전에 있어 필수적인 기반 산업으로 자리잡아 세계적으로 수출과 수입이 매우 활발한 산업분야 중 하나이다. 철강재는 기본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게도 매우 무거운 편이므로 철강재를 육로로 운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규모로 경제적인 운송이 가능한 선박 운송 방식으로 운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컨테이너에 실려 운송되는 일반적인 기타 화물과는 달리, 대부분의 철강재는 포장하지 않은 화물을 그대로 적재할 수 있는 화물전용선인 벌크선에 직접 실려 운송된다.
상술한 철강재를 포함한 화물의 선박 운송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운송하고자 하는 화물을 선적용 크레인 등을 이용해서 벌크선의 선창(화물창, hold) 내부에 1차적으로 선적하고, 그 후 선창 안에서 지게차(Forklift)를 이용하여 선적된 화물을 차례로 차곡차곡 쌓는 방식으로 2차 정렬을 진행하여 안정적인 선적이 마무리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 공개 특허 제 2014-0132927호 '위치정보를 이용한 크레인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후크가 하강시 도달하는 대상물의 운반 위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레이저빔을 수직하방으로 조사하여 확인하며 사전에 대상물의 운반 전후 위치를 설정하고, 그 운반 전후 위치 정보에 따라 실제로 대상물을 운반하도록 크레인을 제어하는 크레인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1차 선적 과정에 해당되는 선행 기술이다. 상기 선행 기술은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크레인을 제어함으로써 대상물 운반을 정확히 하겠다고는 하나, 일반적으로 선창의 바닥의 면적보다 창구(Hatch)의 면적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크레인만을 이용하여 선창의 바닥면, 특히 바닥면의 둘레 측 부위에 화물을 균일하게 정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2차 정렬이 필수적인바, 상술한 2차 정렬 과정은 선박의 해로 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압력에 의해 화물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물을 선창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하는 과정으로써 보통 지게차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지게차의 포크가 화물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들어올리고자 하는 대상 화물마다 하부에 별도의 목재 받침(Wooden Dunnage)을 받쳐 포크 삽입을 위한 이격 공간을 필수적으로 마련해야 했다. 이에 따라 선적지에서 많은 양의 목재 받침이 이용되어 선창의 크기에 따라 적게는 수백만원에서 많게는 수천만원까지 비용이 발생하였고, 또한 양하지에서는 사용한 목재 받침을 폐기하는 데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적인 소모가 매우 컸을 뿐만 아니라, 목재를 대량으로 사용 및 폐기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어 환경적으로도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포크의 승강높이, 각도 변경 및 본체로부터의 이격 거리 등에 제한이 있어 작업 효율이 매우 떨어졌으며, 또한 포크의 상부에 파이프나 코일 등 원통형의 화물이 적용되는 경우 포크가 상승된 상태에서 화물이 굴러 떨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화물의 선창 내 정렬 과정이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래 이용되던 지게차 대신 굴삭기를 매개로 선창 내 화물을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굴삭기를 이용한 선적 방법의 개발 및 상용화가 매우 필요하다.
한국 공개 특허 제 2014-0132927 호 한국 등록 특허 제 0230144 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창 내부에 무질서하게 배치된 화물을 정렬하는 과정에서 종래에 이용되던 지게차를 대체하여 상하, 전후 및 좌우 유동성이 매우 큰 굴삭기를 이용하여 선적을 진행함으로써 화물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켜 정렬하는 과정이 보다 수월해지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을 동일 거리로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종래의 지게차 대비 굴삭기를 이용할 때 본체의 주행 거리가 적어, 선창 내 작업자들의 작업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 효율성 및 안전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재 받침의 사용량 및 폐기량을 줄여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선적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화물 정렬 과정에서 화물이 장치로부터 이탈 및 낙하되는 경우를 효율적으로 예방함으로써 선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은, 스프레터 바를 이용하여 선적을 하되, 상기 스프레더 바는, 상부에서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 관통홀과 하부 중앙 부위에 형성된 바디 관통홀을 포함하는 패널로서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고정패널과, 양 끝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패널 각각의 관통홀에 평행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샤프트를 포함하여 굴삭기의 암 선단과 결착되는 굴삭기 결합부와, 상기 굴삭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된 원통형 바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동일 간격 이격된 각 지점에서 상방으로 수직 돌출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통공을 구비한 한 쌍의 걸이부와, 상기 바디의 양 단 부위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한 쌍의 슬링 연결부 및, 상기 바디에서 상기 슬링 연결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이격된 부위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슬링 안착 홈과, 상기 고정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한 쌍의 샤프트의 동일 측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앙부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와 연결되는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 상태에서, 선박을 안벽에 정박하고 선창의 창구를 오픈하는 선박 접안 단계; 굴삭기의 암 선단에 상기 스프레더 바의 굴삭기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굴삭기 준비 단계; 상기 스프레더 바가 장착된 굴삭기를 상기 선창 내부로 투입시키는 굴삭기 투입 단계; 화물을 상기 선창 내부로 이동시키는 1차 선적 단계; 상기 스프레더 바가 장착된 굴삭기를 매개로 상기 선창 내부의 상기 화물을 정렬하는 것으로서, 1차 선적된 상기 화물의 슬링을 상기 스프레더 바의 상기 슬링 연결부에 연결시킨 다음 상기 슬링 안착 홈에 상기 슬링의 일부를 삽입 안착시키는 스프레더 바 연결 단계와, 상기 굴삭기를 구동하여 상기 슬링을 매개로 상기 스프레더 바에 연결된 화물을 특정 지점까지 운반하는 화물 운반 단계 및, 특정 지점에서 상기 화물을 하강시켜 정렬하는 하강 배치 단계와, 상기 굴삭기의 암 선단을 회동시켜 상기 스프레더 바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슬링이 중력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는 스프레더 바 연결 해제 단계로 이루어진 2차 정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를 이용한 선적 방법은,
1) 지게차를 대체하여 상하, 전후 및 좌우 유동성이 매우 큰 굴삭기를 이용하여 선적을 진행함으로써 화물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켜 정렬하는 과정이 보다 수월해지고,
2) 굴삭기 본체의 유동이 적어 선창 내 작업자들의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 작업 효율성 및 안전성이 증가되며,
3) 목재 받침 사용량 및 폐기량을 줄여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4) 화물 정렬 과정에서 화물이 장치로부터 이탈 및 낙하되는 경우를 효율적으로 예방함으로써 선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5) 슬링을 매개로 화물을 연결하여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슬링이 스프레더 바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경우를 효율적으로 예방함으로써 선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6) 지지 프레임에 의하여 보다 내구성 있고 견고함을 보장하는 스프레더 바를 적용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선적 공정을 추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굴삭기를 이용한 선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a는 본 발명의 굴삭기를 이용한 선적 방법에 이용되는 스프레더 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도 2c는 도 2a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굴삭기 투입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1차 선적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2차 정렬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굴삭기를 이용한 선적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굴삭기에 적용되는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인은 상기 2차 선적 과정, 즉 선창(5) 내부에서의 선적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게차를 대신하여 굴삭기(Excavator)(1)를 이용하는 방식에 착안하여 그에 따른 굴삭기(1)를 이용한 선적 방법을 개발한 바, 상기 선적 방법은 도 1에서와 같이 선박 접안 단계(S100), 굴삭기 준비 단계(S200), 굴삭기 투입 단계(S300), 1차 선적 단계(S400) 및 2차 정렬 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선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화물(2) 선적에 굴삭기(1)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버켓(Bucket)을 대체하여 상기 굴삭기(1)의 암(Arm)(1a)의 선단과 결합됨으로써 대상 화물(2)의 운반을 매개할 수 있는 신규한 장치가 적용되어야 할 것인바, 본 발명인은 이를 위해 스프레더 바(100)를 개발하였다.
도 2a는 본 발명의 굴삭기를 이용한 선적 방법에 이용되는 스프레더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굴삭기를 이용한 선적 방법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는 굴삭기(1)와 결합되어 화물(2)의 운반을 매개하는 장치인 스프레더 바(100)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바,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스프레더 바(100)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프레더 바(100)는, 기본적으로 상부에서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 관통홀과 하부 중앙 부위에 형성된 바디 관통홀을 포함하는 패널로서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고정패널(11)과, 양 끝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패널(11) 각각의 관통홀에 평행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샤프트(12)를 포함하여 상기 굴삭기(1)의 암(1a) 선단과 결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굴삭기 결합부(10); 상기 굴삭기 결합부(10)를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된 원통형의 바 형상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동일 간격 이격된 각 지점에서 상방으로 수직 돌출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통공(30a)을 구비한 한 쌍의 보조 걸이부(30); 상기 바디(20)의 양 단 부위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되 특히 상기 보조 걸이부(3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40 내지 50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슬링 연결부(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특히 상기 바디(20)에는 상기 슬링 연결부(40)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소폭 이격된 부위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슬링 안착 홈(2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a 내지 도 2c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굴삭기에 적용되는 스프레더 바는, 굴삭기 결합부(10)와 바디(20), 걸이부(30), 슬링 연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레더 바는, 선창 내부에서의 선적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지게차가 아닌 굴삭기(1)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굴삭기(1)의 암(1a) 선단에 결착되어 화물(2)을 묶음 고정한 슬링(4)이 걸림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2)의 이송을 매개하여, 보다 다양한 각도로의 적재가 가능토록 하고, 굴삭기(1)의 이동거리를 줄여 작업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이며, 목재 받침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스프레더 바의 각각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굴삭기 결합부(10)는 굴삭기(1)의 암(1a) 선단과 결착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버켓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굴삭기(1)의 암(1a) 선단 부위에 상기 버켓을 대체하여 본 발명의 스프레더 바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굴삭기 결합부(10)는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샤프트(12)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을 통해 상기 암(1a) 선단과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 도면을 기준으로 세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고정패널(11)과 상기 각 고정패널(11)을 가로로 연결하는 샤프트(12)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고정패널(11)은 사각판형의 패널로,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샤프트(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면을 기준으로 사각판형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샤프트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 부위에 바디(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바디 관통홀을 포함한다. 이러한 한 쌍의 고정패널(11)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좌우 측벽을 형성한다.
샤프트(12)는, 상기 고정패널(11)을 연결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굴삭기(1)의 암(1a) 선단과 결착되는 직접적인 매개가 되는 것으로, 양 단이 각각 상기 샤프트 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가로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패널(11) 및 샤프트(1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굴삭기(1)의 암(1a) 선단에 일반적으로 형성된 걸림 돌기와 결착될 수 있는 구조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바디(20)는 상기 굴삭기 결합부(10)를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패널(11)에 각각 형성된 바디 관통홀을 연결하며 관통하는 원통형의 바 형상이다. 이러한 상기 바디(20)는 다양한 크기 및 무게의 화물(2)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과 그에 따른 실험을 반복해본 결과 4m의 길이를 갖도록 구현하는 것이 내구성 및 효용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걸이부(30)는, 본 발명의 스프레더 바와 굴삭기(1) 외 다양한 장치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다용도 커넥터로서, 상기 바디(20)의 중앙 부위, 즉 굴삭기 결합부(10)가 구비된 부위로부터 양 단측으로 동일 간격 이격된 각각의 지점에서 상방으로 수직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부위의 중앙 부위에 통공(30a)이 형성되어 고리, 걸쇠, 섀클(Shanckle), 스트링 등과 같은 보조 연결 매개 수단이 삽입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술한 걸이부(30)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스프레더 바 자체를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와 같이 굴삭기(1) 외 다른 장치를 이용할 때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슬링 연결부(40)는 상기 바디(20)의 양 단 부위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한 쌍의 돌기로, 상기 바디(20)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에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내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슬링 연결부(40)는 특히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 이유는 상기 굴삭기 접합부에 상기 굴삭기(1)의 암(1a)이 결착된 상태에서 굴삭기(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암(1a)의 선단 부위의 각도가 가변되어 유동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화물(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걸림식으로 매달려 연결된 슬링(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화물(2)을 하강시킨 이후 암(1a)의 선단을 회동시켜 상기 슬링 연결부(40)로부터 상기 슬링(4)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슬링 연결부(4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40 내지 50 도, 바람직하게는 45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기울어진 방향 측에 굴삭기(1)가 배치된 상태로 상기 암(1a)과 연결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보강부(50)는, 상기 바디(20)의 길이방향 외면을 따라 길게 덧대어진 것으로, 상기 바디(20)와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20)의 내구성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보강부(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재를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절곡한 형상이며, 절곡된 부위를 기준으로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 끝단이 각각 상기 바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20)와 길게 접합됨으로써 상기 바디(20)의 휨 현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50)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의 중간 높이를 따라 전후 부위를 커버하도록, 즉 상기 바디(20)가 원통형인 것으로 보았을 때, 바디(20)의 중심점을 잇는 축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 양 측을 따라, 즉 도면을 기준으로 앞쪽 가로라인과 뒤쪽 가로라인에 각각 덧대어지는 것이 내구성 보강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보강부(50)는 상기 바디(20)의 전체 길이 대비 40 내지 60 퍼센트의 길이를 갖도록 하며,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배치하여 상기 바디(20)의 중앙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내구성 향상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5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 관통홀은 상기 보강부(50)를 함께 관통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스프레더 바(100)는 철강재를 묶어 결속한 상태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슬링(4)이 상기 슬링 연결부에 걸림식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굴삭기(1)가 화물(2)을 매달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로서 활용된다. 상기 스프레더 바(100)의 바디의 길이는 다양한 사이즈로의 제작 및 실험을 거친 결과 다양한 크기의 철강재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4m로 형성한바, 이러한 상기 스프레더 바(100)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선적 방법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굴삭기(1)를 이용한 선적 방법에 관하여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스프레더 바(100)를 이용한 본 발명의 선적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박 접안 단계(S100)와 굴삭기 준비 단계(S200), 굴삭기 투입 단계(S300), 1차 선적 단계(S400), 2차 정렬 단계(S500)를 포함하며, 각 단계에 대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선박 접안 단계(S100)는, 화물(2)을 선적하기 위하여 선박을 안벽에 정박하고 선창(5)의 창구 덮개, 즉 해치 커버를 열어 창구를 오픈하는 단계로, 일반적으로 배를 이용한 화물(2) 운송 과정에서 준비 과정으로서 시행되는 단계이다.
굴삭기 준비 단계(S200)는, 굴삭기(1)와 상기 스프레더 바(100)를 장착시킴으로써 굴삭기(1)가 화물(2)을 운반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로, 상술한 스프레더 바(100)의 상기 굴삭기 결합부(10)를 상기 굴삭기(1)의 암(1a) 선단에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굴삭기(1)를 준비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굴삭기 투입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굴삭기 투입 단계(S300)는, 상기 굴삭기 준비 단계(S200)를 통해 상기 스프레더 바(100)와 결합된 굴삭기(1)를 상기 선창(5) 내부로 투입시키는 단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선적 및 정렬된 화물(2)이 있는 상태에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화물(2)이 1차 선적되기 이전에 투입되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굴삭기(1)는 별도로 구비된 선박 크레인(SHIP'S CRANE)이나, 육상 크레인(SHORE CRANE)(7)을 매개로 선창(5) 내부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굴삭기(1)의 주행 구동으로 인해 선창(5) 바닥 및 기 정렬된 화물(2)이 손상되지 않도록 바닥면을 보호하는 주행 판(Running Plate)(6)가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굴삭기(1)의 하부에 깔린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주행 판(6)은 후술할 2차 정렬 단계(S500)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굴삭기 투입 단계(S300)를 통해 선창(5) 내부에는 종래의 지게차 대신 상기 스프레더 바(100)가 장착된 굴삭기(1)가 투입된 상태로 대기함으로써, 추후 선창(5) 내부로 운반될 화물(2)을 안정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차 선적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1차 선적 단계(S400)는 대상 화물(2)을 1차적으로 상기 선창(5)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술한 선박 크레인, 육상 크레인(7) 등을 이용하여 선적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1차 선적 단계(S400)는 슬링 연결 단계(S410)와 초기 선적 단계(S420)로 이루어진다.
슬링 연결 단계(S410)는, 슬링(4)을 하나 이상의 화물(2)에 묶어 결속시키는 단계로, 상기 화물(2)과 연결 고정된 슬링(4)이 상기 크레인(7)의 걸림 고리 등과 걸림식으로 연결되어 화물(2)의 이송을 매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슬링(4)은 상기 화물(2)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물(2)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묶여 후술할 2차 정렬 단계(S500)에서도 동일한 슬링(4)이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초기 선적 단계(S420)는, 크레인(7)을 매개로 상기 슬링(4)이 연결된 화물(2)을 선창(5)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크레인(7)의 걸림 고리에 상기 화물(2)을 묶어 고정시킨 슬링(4)의 일부를 걸림식으로 연결시킨 후 상기 크레인(7)을 구동 조절하여 상기 화물(2)이 선창(5) 내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초기 선적 단계(S420)를 거침으로써 화물(2)은 슬링(4)이 연결된 상태로 선창(5) 내부에 선적되는데, 일반적으로 선창(5)은 바닥면의 면적보다 창구의 면적이 작도록 형성되어, 크레인(7)만으로는 화물(2)을 선창(5)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화물(2)은 선창(5) 내부에 비교적 불규칙적으로 배치되고 특히 바닥면의 둘레 부위에는 화물(2)이 정렬되지 못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2차 정렬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2차 정렬 단계(S500)는, 상술한 초기 선적 단계(S420)를 통해 선창(5) 내부에 선적된 화물(2)을 안정적인 형상으로 정렬하기 위한 단계로서, 특히 본 발명은 상기 2차 정렬 단계(S500)에서 상기 스프레더 바(100)가 장착된 굴삭기(1)를 이용하여 종래의 지게차로는 원활히 정렬시킬 수 없는 지점에까지 안정적으로 화물(2)을 정렬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차 정렬 단계(S500)는 1차 선적된 상기 화물(2)의 상기 슬링(4)을 상기 스프레더 바(100)에 연결하는 스프레더 바 연결 단계(S510)와, 상기 굴삭기(1)를 구동하여 상기 스프레더 바(100)에 연결된 화물(2)을 특정 지점까지 운반하는 화물 운반 단계(S530), 특정 지점에서 상기 화물(2)을 하강시켜 정렬하는 하강 배치 단계(S540) 및 상기 굴삭기(1)의 암(1a) 선단의 하강 및 회동으로 상기 스프레더 바(100)와 상기 슬링(4)을 분리시키는 스프레더 바 연결 해제 단계(S55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프레더 바 연결 단계(S510)는 상기 슬링(4)을 상기 스프레더 바(100)에 형성된 슬링 연결부에 거는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로서, 선창(5) 내부에서 화물(2)의 운반을 돕는 작업자가 상기 스프레더 바 연결 단계(S510)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굴삭기(1)가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 화물(2) 근처까지 주행해 온 상태에서 상기 굴삭기(1)의 암(1a)을 조절하여 상기 스프레더 바(100)와 화물(2)의 방향을 평행하게 조절하여 상기 슬링(4)과 상기 슬링 연결부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작업자가 슬링(4)을 들어 올려 상기 슬링 연결부에 걸게 된다.
특히 이 때 상기 스프레더 바 연결 단계(S510)는, 상기 스프레더 바(100)에서 상기 슬링 연결부의 주변 부위 둘레를 따라 함입 형성된 홈인 슬링 안착 홈(21)에 상기 슬링(4)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배치시켜 상기 슬링(4)의 좌우 위치를 고정하는 슬링 안착고정 단계(S520)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굴삭기(1)의 구동으로 상기 화물(2)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링(4)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스프레더 바(100)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슬링(4)이 상기 슬링 연결부에 걸린 상태에서 일 측이 상기 슬링 안착 홈(21)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화물(2)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큰 유동이 발생하여 혹여 상기 슬링(4)이 상기 슬링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어 인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화물 운반 단계(S530)에서는 상기 슬링(4)을 매개로 화물(2)이 상기 굴삭기(1)의 암(1a)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굴삭기(1)를 주행시켜 위치를 이동하거나 굴삭기(1)의 본체와 암(1a)의 접철 각도를 조절하여 화물(2)을 특정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종래의 지게차에 비해 굴삭기(1)는 본체 및 암(1a)의 접철 각도가 다양하여 보다 다양한 지점으로 화물(2)을 이동시킬 수 있고, 동일 거리를 이동시키는 경우 지게차 대비 주행 거리가 짧아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
하강 배치 단계(S540)는 화물 운반 단계(S530)를 통해 특정 지점까지 화물(2)이 이동되면 상기 암(1a)의 접철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화물(2)을 하강시키는 단계로, 보통의 경우 2절 링크로 형성된 암(1a)을 구동제어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스프레더 바 연결 해제 단계(S550)는 화물(2)을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슬링 연결부에 걸린 슬링(4)을 분리시키는 단계로, 상기 암(1a)의 선단의 회동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스프레더 바(100)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링 연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슬링(4)이 중력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여 분리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스프레더 바 연결 해제 단계(S550)는 시간적으로 상기 하강 배치 단계(S540)의 다음에 이루어지거나 혹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굴삭기에 적용되는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굴삭기를 이용한 선적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다시한번 설명하면, 선박을 안벽에 댄 상태에서 선창(5)의 창구를 열어 선적 준비를 하는 선박 접안 단계(S100)와, 굴삭기(1)를 화물(2) 이송이 가능한 스프레더 바(100)가 적용된 장치로 준비하는 굴삭기 준비 단계(S200)를 진행하여 기본적인 준비를 진행한다. 그 후 선창(5) 내부에 스프레더 바(100) 장착 굴삭기(1)를 투입시키는 굴삭기 투입 단계(S300)를 시행하여 굴삭기(1)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선박 외부에 비치되었던 화물(2)을 선창(5) 내부로 일단 1차적으로 선적하는 1차 선적 단계(S400)를 수행한다. 그 후, 1차 선적 단계(S400)에 의해 선창(5) 내부에 무질서하게 선적된 화물(2)을 굴삭기(1)를 이용하여 정렬 배치하는 2차 정렬 단계(S500)를 수행함으로써, 지게차 대비 높은 효율을 갖는 굴삭기(1)를 이용한 선적을 완료한다.
종래 지게차로만 수행되었던 상기 2차 정렬 과정을 굴삭기(1)를 이용하여 수행하면, 작업 효율이 최소 40 퍼센트 이상 상승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목재 받침 이용량이 대폭 감소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 안전성도 매우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를 이용한 선적 방법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굴삭기 1a: 암
2: 화물 4: 슬링
5: 선창 6: 주행 판
100: 스프레더 바 10: 굴삭기 결합부
11: 고정패널 12: 샤프트
20: 바디 21: 슬링 안착 홈
30: 보조 걸이부 30a: 통공
40: 슬링 연결부 50: 보강부
S100 : 선박 접안 단계 S200 :굴삭기 준비 단계
S300 : 굴삭기 투입 단계 S400 : 1차 선적 단계
S410 : 슬링 연결 단계 S420 : 초기 선적 단계
S500 : 2차 정렬 단계 S510 : 스프레더 바 연결 단계
S520 : 슬링 안착고정 단계 S530 : 화물 운반 단계
S540 : 하강 배치 단계 S550 : 스프레더 바 연결 해제 단계

Claims (1)

  1.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으로서,
    상기 스프레더 바는,
    상부에서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 관통홀과 하부 중앙 부위에 형성된 바디 관통홀을 포함하는 패널로서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고정패널과, 양 끝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패널 각각의 관통홀에 평행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샤프트를 포함하여 굴삭기의 암 선단과 결착되는 굴삭기 결합부와,
    상기 굴삭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된 원통형 바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동일 간격 이격된 각 지점에서 상방으로 수직 돌출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통공을 구비한 한 쌍의 걸이부와,
    상기 바디의 양 단 부위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한 쌍의 슬링 연결부 및,
    상기 바디에서 상기 슬링 연결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이격된 부위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슬링 안착 홈과,
    상기 고정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한 쌍의 샤프트의 동일 측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앙부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와 연결되는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 상태에서,
    선박을 안벽에 정박하고 선창의 창구를 오픈하는 선박 접안 단계;
    굴삭기의 암 선단에 상기 스프레더 바의 굴삭기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굴삭기 준비 단계;
    상기 스프레더 바가 장착된 굴삭기를 상기 선창 내부로 투입시키는 굴삭기 투입 단계;
    화물을 상기 선창 내부로 이동시키는 1차 선적 단계;
    상기 스프레더 바가 장착된 굴삭기를 매개로 상기 선창 내부의 상기 화물을 정렬하는 것으로서,
    1차 선적된 상기 화물의 슬링을 상기 스프레더 바의 상기 슬링 연결부에 연결시킨 다음 상기 슬링 안착 홈에 상기 슬링의 일부를 삽입 안착시키는 스프레더 바 연결 단계와, 상기 굴삭기를 구동하여 상기 슬링을 매개로 상기 스프레더 바에 연결된 화물을 특정 지점까지 운반하는 화물 운반 단계 및, 특정 지점에서 상기 화물을 하강시켜 정렬하는 하강 배치 단계와, 상기 굴삭기의 암 선단을 회동시켜 상기 스프레더 바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슬링이 중력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는 스프레더 바 연결 해제 단계로 이루어진 2차 정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
KR1020160093966A 2015-11-17 2016-07-25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 KR101702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61163 2015-11-17
KR1020150161163 2015-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815B1 true KR101702815B1 (ko) 2017-02-03

Family

ID=5815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966A KR101702815B1 (ko) 2015-11-17 2016-07-25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8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0392A (ja) * 1987-03-12 1988-05-02 シユラムバ−ガ− オ−バ−シ−ズ ソシエダ アノニマ 掘削孔調査装置及びその方法
JPH02500120A (ja) * 1987-06-22 1990-01-18 エスコ・コーポレーション ドラグラインバケット
KR100230144B1 (ko) 1996-12-09 1999-11-15 김경한 화물 하역/선적 장치
KR20140132927A (ko) 2013-05-09 2014-11-19 임도원 위치정보를 이용한 크레인의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0392A (ja) * 1987-03-12 1988-05-02 シユラムバ−ガ− オ−バ−シ−ズ ソシエダ アノニマ 掘削孔調査装置及びその方法
JPH02500120A (ja) * 1987-06-22 1990-01-18 エスコ・コーポレーション ドラグラインバケット
KR100230144B1 (ko) 1996-12-09 1999-11-15 김경한 화물 하역/선적 장치
KR20140132927A (ko) 2013-05-09 2014-11-19 임도원 위치정보를 이용한 크레인의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5302B (zh) 扭锁操作系统
EP2374743A1 (en) Quay-wall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mobile harbor and transporting device for use therein
EP2447188A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coil in a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therewith
EP1676792A1 (en) Rack for freight
NZ570328A (en)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moving securing fittings for twist-lock containers
EP3052426B1 (en) Trolley with articulated arm
CN102256892B (zh) 用于操纵风力涡轮机的机舱的系统和方法
US8272623B2 (en) Container lifting device
JP2007320727A (ja) コンテナ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コンテナ輸送用パレット、コンテナ搬送車、および、コンテナ輸送方法
KR101702815B1 (ko) 굴삭기에 적용된 스프레더 바를 이용한 선적 방법
JP7201629B2 (ja) 荷役用天秤および荷役方法
AU2013100395B4 (en) Structure for use with container-handling apparatus
KR20110041781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CN109399449B (zh) 一种折臂式吊装设备吊具
KR101908402B1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KR101630134B1 (ko) 굴삭기에 적용되는 스프레더 바
WO2017086655A1 (ko) 굴삭기에 적용되는 스프레더 바 및 이를 이용한 선적방법
JP2012001300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荷扱い方法
JP3999925B2 (ja) 積み重ね構造を有する金属材搬送用コンテナ
KR20120051414A (ko) 팔레트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반 방법
JP2007290732A (ja) 廃資材の収集積替用ボックス
KR200452416Y1 (ko) 선박용 크레인
JP2021020701A (ja) 重量物用パレット
US20220282447A1 (en) Material handler skip pan
CN212402205U (zh) 散料运输车及散料运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