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5557A -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5557A
KR880005557A KR870011161A KR870011161A KR880005557A KR 880005557 A KR880005557 A KR 880005557A KR 870011161 A KR870011161 A KR 870011161A KR 870011161 A KR870011161 A KR 870011161A KR 880005557 A KR880005557 A KR 880005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ass
electronic musical
musical instrument
keyboard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7001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795B1 (ko
Inventor
신지 구마노
게이스께 와다나베
스스무 오오이
Original Assignee
가와까미 히로시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388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916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502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80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6131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67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60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52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180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7648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303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57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7647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303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80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82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599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04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7159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95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49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026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까미 히로시,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까미 히로시
Publication of KR88000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7Electric key switch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악기의 건반장치의 1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키이를 눌렀을 때에 각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노치부 단면도.

Claims (51)

  1. 제 1의 회동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키이와, 제 2의 회동지점을 중심으로하여 요동가능한 질량체(MASS MEMBER)와, 적어도 이 질량체에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스프링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키이는 키이를 눌렀을 때에 상기 질량체를 키이를 누른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작용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회동지점은 상기 제 1의 회동지점 보다도 키이의 프론트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회동지점과 상기 제 2의 회동지점은 하나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에 설치된 스위치 구동부와, 이 스위치 구동부와 관련하여 설치된 탓치레스 폰스형의 스위치와, 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제어되어 발음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키이의 압건동작과 관련하여 질량체가 회동하면, 상기 스위치 구동부가 상기 스위치를 작동하여 상기 제어회로를 제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 내용 없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2메이크 스위치 (2MAKE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기판상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과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가동 부재는 가요성 재료에 의하여 구성된 누름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기판상에 형성된 2개의 고정접점과, 이들의 고정접점과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되는 2개의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부재를 가지며, 상기 가동 부재는 가요성 재료에 의하여 구성된 2개의 원통상 누름부와 이들의 원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시간차를 두고 닫히는 2메이크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2개의 스위치부 중 먼저 닫히는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누름부의 내부에 용착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방지수단은 오목하거나 또는 돌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의 작용점과 상기 질량체 사이에는 쿠션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는 키이를 누를 때에 최초에 탄성변형하는 제 1의 액튜에이터와, 이 제1의 액튜에이터부가 소정량 변형한 후에 탄성변형하고, 또한 제 1의 액투에이터부 보다도 탄성계수가 큰 제2의 액튜에이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액튜에이터부의 적어도 한쪽은 탄성계수가 다른 복수의 탄성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는 압건초기에는 키이로부터 질량체로의 작용력 중 소정의 것을 탄성 에너지로서 축적하고, 타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에는 키이로부터 질량체로의 작용력 중 압건초기 보다도 작은 작용력을 탄성에너지로서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는 키이 또는 질량체의 한쪽에 고정되고, 나머지의 다른쪽에 맞닿는 액튜에이터를 가지며, 이 액튜에이터는 굽힘 변형함으로써 상기 탄성에너지를 축적하여 액튜에이터에 작용하는 굽힘 모우멘트는 압건초기에는 크게,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에는 압건초기 보다도 작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압건초기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의 굽힘강성이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의 맞닿는 부분의 굽힘강성 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압건초기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의 단면적이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의 맞닿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압건초기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의 탄성계수가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의 맞닿는 부분의 탄성계수 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는 키이 또는 질량체의 한쪽에 고정되고 나머지의 다른쪽의 맞닿는 액튜에이터를 가지며, 이 액튜에이터는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고, 압건초기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의 탄성계수가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의 맞닿는 부분의 탄성계수 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는 키이의 긴쪽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기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들의 돌기는 키이의 요동에 따라 차례로 맞닿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질량체에 더하여 키이와도 걸어맞추고 있고, 더우기 압건시의 키이와 질량체의 요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질량체 및 키이의 양쪽에 작용하는 단일한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및 상기 질량체의 회동지점은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키이의 회동지점과 질량체의 호동지점쪽의 단부와의 사이에 걸쳐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와 질량체의 지점과의 사이의 프레임에는 키이의 회동지점 방향으로 돌출된 탄력성있는 돌출부를 가진 스토퍼 부재가 배치되고, 키이를 조립할 때 키이를 회동지점에 걸어맞춘 상태로 상기 돌출부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키이를 누르는 방향으로 밀어넣어 이후 키이의 회동지점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이 스토퍼 부재는 프레임에 대하여 아우트서어트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다시 질량체의 회동지점 방향으로 돌출한 제 2의 돌출부를 가지며, 키이를 조립할 때 질량체를 회동지점에 걸어맞춘 상태로 제 2의 돌출부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질량체를 키이의 누르는 방향으로 밀어넣어, 이후 질량체의 회동지점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는 중공체 (中空體)이고, 상기 키이의 지점과 질량체의 회동지점과의 사이의 프레임에는 탄성부재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스터퍼부재가 키이의 중공체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의 지점가 질량체의 회동지점과의 사이의 프레임에는 탄성부재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스토퍼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비압건시 또는 압건시에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가 키이의 회동지점으로부터 벗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키이의 기단부 또는 회동지점부에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단이 헐겁게 끼워지는 홈과, 이 홈의 일단벽에 맞닿아서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탄성 부재에 형성된 이동규제부에 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는 상기 키이의 일부에 걸어맞추어 키이를 상기 회동지점에 밀어붙이도록 작용하며, 이 탄성부재의 키이의 회동지점쪽의 일단부는 상기 회동지점에 형성된 홈을 미끄러져 움직일수 있고, 도한 이 탄성부재의 일단부에는 다시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가 질량체의 회동지점으로부터 벗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키이의 기단부 또는 회동지점부에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단이 헐겁게 끼워지는 홈과, 이 홈의 일단벽에 맞닿아서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탄성부재에 형성된 이동규제부에 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는 금속이고, 그 표면의 일부는 수지에 의하여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질량체의 스프링바이어스에 의한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갖추고, 상기 질량체는 이 스토포부와 걸어맞추는 스토퍼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키이로부터의 힘을 받는 액튜에이터부와 상기 스토퍼 걸어맞춤부는 상기 금속체의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에 설치된 스위치 구동부와, 이 스위치 구동부와 관련하여 설치된 탓치레스 폰스형의 스위치와, 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제어되어 발음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를 갖추고, 키이의 압건동작과 관련되어 질량체가 회동하면, 상기 스위치 구동부가 상기 스위치를 작동하여, 상기 제어회로를 제어하고, 적어도 상기 질량체의 회동지점과 걸어맞추는 단부와 키이로부터의 힘을 받는 액튜에이터부와 상기 스위치 구동부는 상기 금속체에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는 압건시에 프레임을 가로질러 회동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이 가이드부도 상기 금속체의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9. 제23항에 있어서, 질량체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한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갖추고, 상기 질량체는 금속이고, 이 질량체의 상기 스토퍼와 걸어맞추는 스토퍼 걸어맞춤부와, 키이로부터의 힘을 받는 액튜에이터부와, 상기 탄성재가 걸어맞추는 질량체의 단부는 상기 금속에의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0. 제36항에 있어서, 조립시에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에의 삽입을 안내하는 질량체의 삽입유도부도 상기 금속체의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에는 질량이 큰 다른 재료가 묻어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2. 제 1항에 있어서, 이건시에 질량체가 스프링 방이어스에 의하의 초기상태로 복귀할 때, 질량체와 키이가 충돌한 경우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키이의 아래면에 아래쪽을 향하여 서서히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돌출설치된 돌출편을 가지며, 이들의 내벽에 상기 질량체의 일부가 맞닿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키이의 긴쪽방향을 따라 복수쌍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키이보다도 탄성계수가 작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사이에 이들의 돌출편보다 짧은 소편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의 앞쪽에 있어서, 키이의 횡단방향으로의 키이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키이의 양쪽벽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뻗어있는 스토퍼에 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기를 가지며, 상기 키이 및 상기 질량체의 회동지점은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돌기와 접촉가능하게 설치된 부재 탈락방지부가 설치되며, 이 부재 탈락방지부는 결과적으로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어, 이에 의하여 키이가 회동지점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가 상기 부재 탈락방지부에 걸어맞추어 키이 또는 질량체가 회동지점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탈락방지부는 상기 질량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방지부는 키이가 맞닿는 질량체의 액튜에이터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70011161A 1986-10-06 1987-10-06 전자 악기의 건반장치 KR920000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7159 1981-11-06
JP61238828A JPS6391694A (ja) 1986-10-06 1986-10-06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38828 1986-10-06
JP238828 1986-10-06
JP1986161312U JPH071679Y2 (ja) 1986-10-20 1986-10-20 電子楽器のスイツチ装置
JP61250216A JP2508028B2 (ja) 1986-10-20 1986-10-20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50216 1986-10-20
JP???61-161312 1986-10-20
JP250216 1986-10-20
JP61260091A JP2725253B2 (ja) 1986-10-30 1986-10-30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60091 1986-10-30
JP161312 1986-10-30
JP61273228A JP2718024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5A JP2518232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6 1986-11-17
JP61273230A JPS63125996A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7A JP2720432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6A JP2508033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9 1986-11-17
JP1986176479U JPH0713035Y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5 1986-11-17
JP???61-273227 1986-11-17
JP???61-176480 1986-11-17
JP???61-273230 1986-11-17
JP260091 1986-11-17
JP1986176480U JPH0713034Y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176479 1986-11-17
JP61273229A JP2775729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8 1986-11-17
JP273229 1986-11-18
JP176480 1986-11-18
JP273230 1986-11-18
JP273226 1986-11-18
JP17715986U JPH05954Y2 (ko) 1986-11-18 1986-11-18
JP273227 1986-11-18
JP???61-177159 1986-11-18
JP273228 1986-11-18
JP???61-274940 1986-11-18
JP274940 1986-11-18
JP273225 1986-11-18
JP176479 1986-11-18
JP61274940A JPH0640261B2 (ja) 1986-11-18 1986-11-18 電子楽器の鍵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557A true KR880005557A (ko) 1988-06-29
KR920000795B1 KR920000795B1 (ko) 1992-01-23

Family

ID=2758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161A KR920000795B1 (ko) 1986-10-06 1987-10-06 전자 악기의 건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01614A (ko)
EP (1) EP0263494B1 (ko)
KR (1) KR920000795B1 (ko)
CN (1) CN1014941B (ko)
DE (1) DE3788919T2 (ko)
HK (1) HK133995A (ko)
SG (1) SG2129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374A (ko) * 1988-09-19 1990-04-14 이효익 전자 악기용 건반
JPH02149893A (ja) * 1988-11-30 1990-06-0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楽器の鍵盤装置
DE3905646C1 (ko) * 1989-02-24 1990-08-02 Wersi Gmbh & Co, 5401 Halsenbach, De
US5243125A (en) * 1991-03-22 1993-09-07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board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cooperating jacks and hammers
JP2528588Y2 (ja) * 1991-04-24 1997-03-1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891080B2 (ja) * 1993-12-24 1999-05-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US5895875A (en) * 1994-03-24 1999-04-20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ssembly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6005178A (en) * 1994-03-24 1999-12-21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simulating acoustic piano keytouch characteristics
IT235571Y1 (it) * 1995-02-20 2000-07-12 Fatar Srl Perfezionamenti alle tastiere per pianoforti elettronici e simili.
JP2917859B2 (ja) * 1995-05-22 1999-07-1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3221283B2 (ja) * 1995-05-22 2001-10-2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2917863B2 (ja) * 1995-06-20 1999-07-1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鍵盤装置およびその質量体製造方法
US5821443A (en) * 1996-01-29 1998-10-13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pparatus with an improved mass member support system
JP3104611B2 (ja) * 1996-03-07 2000-10-3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2929994B2 (ja) * 1996-03-12 1999-08-03 ヤマハ株式会社 楽器用鍵盤装置
JPH10171443A (ja) * 1996-12-16 1998-06-26 Yamaha Corp 鍵盤装置
JP2003248482A (ja) * 2002-02-25 2003-09-0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操作検出スイッチ、楽器およびパラメータ決定用プログラム
US6930234B2 (en) 2002-06-19 2005-08-16 Lanny Davis Adjustable keyboard apparatus and method
US6875913B2 (en) 2002-10-30 2005-04-05 David N. Bubar Collapsible musical keyboard
JP4396664B2 (ja) * 2005-07-21 2010-01-1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及び該鍵盤装置の製造方法
US7678989B2 (en) * 2006-10-26 2010-03-16 Magnekey Use of constant force spring in keyboard assembly
JP5168968B2 (ja) * 2007-03-23 2013-03-27 ヤマハ株式会社 鍵駆動装置付き電子鍵盤楽器
JP4946629B2 (ja) * 2007-05-28 2012-06-0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鍵盤装置
US7750222B2 (en) * 2007-09-21 2010-07-06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pparatus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7825312B2 (en) * 2008-02-27 2010-11-02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20090282962A1 (en) * 2008-05-13 2009-11-19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With Key Movement Detection System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JP5624772B2 (ja) * 2010-01-25 2014-11-1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5974553B2 (ja) 2012-03-12 2016-08-2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6747134B2 (ja) * 2016-07-22 2020-08-26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FR3106017B1 (fr) 2020-01-07 2024-02-09 Adele H Piano électronique
CN212750341U (zh) * 2020-07-24 2021-03-19 得理乐器(珠海)有限公司 一种弹簧键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6942A (en) * 1956-05-15 1961-08-22 Harold A Jewett Keyboards and accessories
US3251923A (en) * 1962-05-29 1966-05-17 Pratt Read & Co Inc Keyboard operated electrical switches
JPS4815866B1 (ko) * 1968-08-13 1973-05-17
US4079651A (en) * 1976-01-30 1978-03-21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Touch response sensor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375179A (en) * 1980-10-27 1983-03-01 The Wurlitzer Company Action for electronic piano
GB2112197B (en) * 1981-12-24 1985-12-04 Casio Computer Co Ltd Providing touch response in electronic instruments
US4562764A (en) * 1984-06-08 1986-01-07 Kurzweil Music Systems, Inc. Electronic musical performance
CN86101312A (zh) * 1985-02-12 1986-10-22 日本乐器制造株式会社 电子乐器键板开关装置
US4679477A (en) * 1985-06-20 1987-07-14 Charles Monte Percussive action silent electronic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33995A (en) 1995-09-01
DE3788919T2 (de) 1994-05-26
CN87107833A (zh) 1988-09-21
EP0263494B1 (en) 1994-01-26
SG21295G (en) 1995-08-18
EP0263494A3 (en) 1990-02-07
KR920000795B1 (ko) 1992-01-23
CN1014941B (zh) 1991-11-27
US4901614A (en) 1990-02-20
EP0263494A2 (en) 1988-04-13
DE3788919D1 (de) 199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5557A (ko)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US5144103A (en) Key switch
KR930007787B1 (ko) 전자건반악기의 피아노액션장치
US5247143A (en) Key switch
US6147290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eyboard apparatus
US5821443A (en) Keyboard apparatus with an improved mass member support system
US5249497A (en) Keyborad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920010441B1 (ko) 키이보오드 스위치
US11562718B2 (en) Keyboar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KR100384248B1 (ko) 건반장치 및 전자악기
US4181834A (en) Pedal stopper parking brake switch
US5942705A (en) Leaf spring and mounting construction of the same
JP4006865B2 (ja) 段押しスイッチ機構
JPH0922288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716994U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229880B2 (ja) 鍵盤装置及び鍵盤楽器
JPH0590571U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601113B2 (ja) 鍵盤装置
US5028751A (en) Leaf switch
JPH11242476A (ja) 鍵盤装置
JP2567761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713034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100207205B1 (ko) 클러치 페달 스토퍼 구조
JP2718024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S62413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