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795B1 - 전자 악기의 건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악기의 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795B1
KR920000795B1 KR1019870011161A KR870011161A KR920000795B1 KR 920000795 B1 KR920000795 B1 KR 920000795B1 KR 1019870011161 A KR1019870011161 A KR 1019870011161A KR 870011161 A KR870011161 A KR 870011161A KR 920000795 B1 KR920000795 B1 KR 92000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ass
hammer
musical instrument
electronic mu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557A (ko
Inventor
신지 구마노
게이스께 와다나베
스스무 오오이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가와까미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388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916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502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80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6131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67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60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52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180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7648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303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57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7647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303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80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82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599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2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04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7159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95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49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0261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가와까미 히로시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7Electric key switch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악기의 건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악기의 건반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사용되는 키이(key)의 하나인 백건(白鍵)의 노치부 단면도,
제4도는 제2,3도에 도시된 키이의 리어포오션(rear potion)의 이면(裏面)을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키이를 눌렸을 때의 각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노치부 단면도,
제6,7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건반장치를 분해할 때의 각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제3도에 사용되는 스위치의 가동접점의 확대 사시도,
제9도는 제3도에 사용되는 판스프링의 평면도,
제10도는 건반장치의 조립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제11도는 프레임 및 스토퍼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Ⅶ-Ⅶ 단면도,
제13,14,15,16도는 해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17,18,19,20,21도는 해머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22,23,24도는 건반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5도는 제22도 내지 제24도에 관련된 키이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6,27,28,29도는 키이와 프레임과의 관계를 도시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30도 내지 제34도는 스위치의 가동접점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35도 내지 제38도는 키이와 해머의 걸어맞춘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 해머의 지점 P2: 키이의 지점
S1,S2: 복귀용 스프링 31 : 프레임
32 : 키이(흑건) 33 : 키이(백건)
34,42,142 : 기단부 35,45 : 핀
36 : 원호형상의 오목부 37,47,60,66,67 : 슬릿
38 : 압건부 39 : 오목부(해머구동부)
40 : 돌기 41,141,241 : 해머
41Aa : 가이드부 41Ab : 스토퍼부
43 : 걸어맞춤면 44,144,244 : 심재(해머프레임)
47,147 : 액튜에이터부 50,243 : 스위치구동부
48 : 무게조정용투공 52 : 수위치
53 : 호울더 54 : 프린트기판
56,58 : 스위치부 61 : 판스프링
63 : 수지제의 맞닿음부 64 : 고무제의 흡진부
65 : 부재탈락방지부 68 : 가장자리부분
70 : 맞닿음부 71,72 : 스토퍼 또는 댐퍼(펠트)
77 : 나사구멍부 83 : 스토퍼부재
87 : 천정부
본 발명은 예컨대 전자피아노, 전자오르간등의 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악기의 건반장치에 있어서는, 키이조작에 의하여 키이 스위치를 개폐할 뿐이므로, 연주자는 이 키이를 회동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이 키이스위치를 닫히게하는데 필요한 힘과의 합친힘을 키이에 부여하면, 악음(樂音)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자연 악기, 예컨대 피아노에 있어서는 누르는 키이에 의거하여 타현용의 해머(키이를 누를때에 관성 효과를 발휘하는 질량체)를 구동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키이를 누를때의 가해지는 부하가 크고, 연주자는 상기 전자악기의 건반장치에 비하여 그 키이조작을 무겁게 느끼고 있었다.
그런데, 전자악기에서도 피아노에서 발생되는 악음에 근사한 악음을 발생할 수 있게 되어, 그 건반장치에 있어서도 피아노의 건반과 동일한 키이 탓치가 요구되게 되었다.
이러한 요망에 의거한 종래의 전자악기의 건반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57-14769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키이를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키이의 아래쪽에서 키이와는 별체로 키이와 협동하는 해머도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해머는 보통의 피아노와 똑같은 키이 탓치감을 얻기위하여 부설된 것으로서 소정의 중량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해머의 중심은 키이의 후단쪽의 끝에 배치되어, 키이의 요동에 대응하여 해머를 요동시키기 위한 해머의 역점(力點)은 그 중심(重心)과는 반대쪽의 키이의 전단쪽의 끝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키이를 누를때에는 역점을 통하여 해머도 요동하는 한편, 키이를 놓으면 해머의 중량에 의하여 해머 및 키이는 시계바늘이 돌아가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키이를 누를때에는 해머의 중량에 대항하여 키이를 요동시킴으로써 키이 탓치감을 얻고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해머는 키이를 누를때에 있어서 관성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건반장치에 있어서는 해머의 지점이 그 긴쪽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키이를 누를때에 해머는 그 중심이 들어올려지는 방향, 즉 키이의 회동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중심이 들어올려지는 높이(상기 이동거리)는 짧게 되어있었다. 이것은 중심이 소정의 높이만큼 들어올려지면 하강하는 키이에 맞닿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그 해머자체의 중량을 일정하게 한 경우, 그 이동하기 위한 높이를 확보하여 바라는 키이 탓치감을 얻으려면 건반장치의 높이 자체를 상당히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고, 건반장치의 소형화에 더욱 개량을 필요로 하였다. 그런까닭에 본 발명의 주목적은 탓치감이 양호한 전자악기의 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팩트에 간추릴 수 있는 전자악기의 건반악기의 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아노와 유사한 탓치감을 얻고, 특히 다이나믹한 탓치감이 뛰어난 전자악기의 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아노 탓치감을 얻으면서 탓치감 전체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악기의 건반장치는 제1의 회동지점을 중심으로하여 요동 가능한 키이와, 제2의 회동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한 질량체와, 적어도 이 질량체에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스프링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키이는 눌렸을때에 상기 질량체를 키이를 누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작용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도에 도시된 건반장치에 있어서는 해머(즉, mass member H)의 지점(P1)을 키이(K)의 지점(P2)의 아래쪽에 있는 도면중 우단에 배치하고, 키이를 누를 때 해머(H)의 중심W)은 키이(K)의 요동방향(도면중 화살표(C)방향)과 동일방향(D)으로 요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키이(K)에 힘(F)을 가하면, 키이(K)는 스스로 키이지점(P2)을 중심으로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전달점(T)에 있어서 힘(F′)을 해머(H)에 전달하며, 해머(H)를 해머지점(P1)을 중심으로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힘(F)이 제거되면 스프링(S1,S2)에 의하여 해머(H)와 키이(K)는 원위치에 복귀한다.
이것은 키이를 누를때의 해머(H)의 중심(W)의 이동거리(높이)를 크게 잡는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 해머(H)의 중심(W)으로 부터 지점(P1)까지의 길이를 길게한 것이다.
이 결과, 해머(H)의 요동에 의하여 그 중심(W)의 이동거리를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피아노 탓치감을 전체적으로 가볍게하여, 이로 인하여 해머를 가볍게함과 동시에, 건반장치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었다. 즉, 장치의 박형화(薄型化),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었다.
이 원리도에서는 키이(K) 및 해머(H)는 키이를 누를때, 해머(H)의 중량(W)이 작용하는 방향(도면중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요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원리상은 해머(H) 및 키이(K)의 각각에 복귀용의 스프링(S1,S2)이 필요하게 되나, 이 스프링(S1,S2)의 기능을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한개의 스프링으로 양쪽의 기능을 갖게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 키이(K) 및 해머(H)의 회동지점은 끝에 설치하였으나, 완전한 끝이 아니더라도 똑같은 동작이 가능한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다음에 키이(K)와 해머(H)와의 간격(d)에 대하여 고착한다.
제1도의 모델도면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해머(H)는 키이(K)와 동일방향으로 회동하므로, 키이(K)의 회동에 따라 키이(K)가 전달점(T)이외에서 해머(H)에 맞닿을 수 있는 위치는 해머지점(P1)이고, 따라서 해머지점(P1)을 키이(K)의 회동범위밖에 설치하면 키이(K)는 전달점(T)이외에서 해머(H)에 맞닿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해머(H)의 회동범위와는 관계없이 키이(K)와 해머(H)의 간격(d)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키이(K)와 해머(H)의 간격(d)를 종래의 모델보다 감소시킬 수 있고, 건반장치의 박형화, 나아가서는 전자악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예에서는 이 해머(H)의 지점(P1)은 키이(K)의 지점(P2)보다도 앞쪽에 있으며, 이로인하여 지점(P1)을 키이(K)의 회동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있다. 또, 키이(K)의 내부에 약간의 공동(空洞)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동일평면상에 키이와 해머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은 이러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하여, 좁은 공간에서 피아노와 유사한 탓치감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전자악기의 건반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31은 건반장치의 프레임이고, 33은 이 프레임(31)에 그 기단부(34)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제3도중 상하 방향으로)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키이(백건)이다. 또, 32은 흑건이다. 프레임(31)은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예컨대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고 한편 키이(33)는 예컨대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키이(33)는 그 기단부(34)(제3도중 우측의 단부 제4도 참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1)에 고착된 원형단면의 핀(35)에 걸어맞추고(이 기단부(34)에는 원호형상의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이 오목부(36)면이 핀(35)에 회동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이 핀(키이의 지점부)(35)를 중심으로 수직면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키이(33)의 선단부(도면중 좌측의 단부)의 윗면이 압건부(押鍵部)(38)가 된다.
여기서, 핀(35)은 상기 프레임(31)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슬릿(37)의 가장자리부분에 이른바 아우트 서어트 가공을 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 이 핀(35)에는 소정폭의 노치홈이 형성되고, 이 홈은 슬릿(37)이 뻗은 방향(키이(33)의 긴쪽 방향)에 따라 뻗어 있다.
키이(33)는 제3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아래면은 개구하고 있다. 또한, 이 키이(33)의 양쪽벽 중앙쪽에는 오목부(39)(해머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오목부(39)의 기단부(34)에 가까운 쪽의 측벽은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래쪽을 향하여 소정길이 만큼 돌출하여 돌기(40)를 형성하고 있다.
또, 키이(33)의 아래쪽에는 키이(33)에 따라 해머(41)가 배설되어 있고, 이 해머(4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크랭크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해머(41)의 일부는 상자형상의 키이(33)의 내부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또한, 이 해머(41)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슬릿(37)에 있어서 상기 핀(35)에 대하여 반대쪽의 가장자리부에 고착된 핀(45)(이 핀(45)은 상기의 핀(35)과 똑같이 원형단면의 아우트서어트 가공에 의한 것이다)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직면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즉, 해머(41)는 핀(45)을 지점으로 하여(환언하면 해머(41)의 기단부(42)를 지점으로 하여)상기 키이(33)와 동일한 수직면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기단부(42)는 아래쪽으로 뻗어있어서, 제3도중 좌측의 측면에는 반원형상의 걸어맞춤면(43)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면(43)이 핀(45)에 걸어맞추어져 있다(후술하는 판스프링에 가세되어 압점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핀(45)이 해머 지점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된다.
또,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해머(41)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도록 소정의 금속으로 된 심재(해머프레임)(44)을 가지며, 그 심재(44)의 대부분의 가장자리부분(도면에서 지점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부분에서 후방으로 향하여)은 아우트서어트 가공에 의하여 수지에 의한 가장자리부(41A)가 이루어져 있다.
이 가장자리부(41A)는 중앙부분의 해머(41)의 가이드부(41Aa)와 키이의 앞쪽의 스토퍼부(41Ab)로 나누어진다.이 가장자리부(41A)의 일부를 구성하는 해머의 가이드부(41Aa)를 스토퍼부(41Ab)와 일체적으로 아우트서어트 가공한 것이고, 이 가이드부(41Aa)는 해머(41)의 회동시에 프레임(31)과의 접촉에 의한 저항의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다. 즉, 해머(41)의 지점부(45)는 해머(41) 후부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머(41)의 후단부(42)는 프레임(31)의 윗면 윗쪽에서 회동한다.
키이를 누를때에 이 해머(41)는 키이와 동일방향으로 회동하므로, 키이와 해머(41)의 간격을 될 수 있는대로 좁게하여 건반장치의 박형화를 꾀하려면 해머(41)의 전단부를 프레임(31)의 이면에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31)에 슬릿(47)을 형성하여 해머(41)의 중간부로하여금 이 슬릿(60)을 통과시키고 있다. 슬릿(60)의 폭은 해머(41)의 폭보다 넓으므로 해머(41)가 일정한 궤도상을 회동하는 이상, 프레임(31)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해머(41)는 회동시에 반드시 일정한 궤도를 통과하는 것은 아니고, 진동 그밖의 원인에 의하여 그폭 방향으로 궤도가 변화한다. 이러한 궤도의 변화에 의하여 해머(41)가 프레임(31)에 접촉하여도 프레임(31)은 금속체(44)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고, 연질의 수지로 성형된 가이드부(41Aa)에 접촉하므로, 마찰에 의한 저항치는 작고, 키이의 탓치감 및 그 복귀특성에 거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구조는 해머(41)위 제조원자의 저하와 함께 키이의 탓치감과 복귀 특성의 설정을 용이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 해머(41)의 중심은 그 긴쪽방향의 선단부(46)쪽(제32도중 좌측의 단부, 즉 키이의 바로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해머(41)는 키이를 누를때에 관성효과를 발휘하는 질량체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48은 해머(41)에 형성된 무게 조정용 투공(透孔)이다.
또, 이 해머(41)의 기단부(42)에 근접하여 한개의 돌기 또는 두갈래(도면에서는 두갈래)의 스위치 구동부(50)가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즉, 해머(41)의 요동에 의하여 스위치 구동부(50)가 하강하면, 스위치(52)에 맞닿는 것이다. 이 스위치(52)는 프레임(31)의 하면에 수직으로 내린 호울더(53)에 지지된 프린트 기판(54)상에 배설되어 있고, 제7도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원형단면에서 서로 연결된 1쌍의 도전고무제의 스위치부(56,58)를 가지고 있다. 즉, 각 스위치부(56,58)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리콘 고무에 의하여 1쌍의 원형단면 누름부(Pu)와 이들을 맞는 연결부(Co)와, 누름부의 양쪽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PD)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각 원형단면의 하단에 도전고무 부재가 배치되어 접점의 하나, 즉 가동접점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전부재가 기판(54)위의 고정접점과 스페이서의 구멍을 통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키이를 누를때에는 프레임(31)에 형성된 슬릿(60)을 통하여 이 스위치 구동부(50)가 맞닿아서 그 스위치(52)를 닫게(ON)하는 것이다. 이 스위치(52)는 이른바 탓치레스 폰스형의 것으로서, 두개의 스위치부(56,58)를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열게하는 이른바 2메이크 스위치(2make switch)이고, 간차(間差)를 검출하여 제어회로(CC)에 의하여 악음의 음량, 엔베로우프 변화, 음색등의 발음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해머(41)의 스위치 구동부(50)의 윗쪽에는 상기 키이(33)의 오목부(39)가 맞닿아서 이 해머(41)를 밀어내리는 액튜에이터부(47)가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제3도 참조) 즉, 키이(33)의 오목부(39)(해머구동부)의 하면이 해머(41)의 액튜에이터부(47)에 맞닿고 있는 것이다.
이 액튜에이터부(47)는 수지제의 기부(62)와 똑같이 수지제의 맞닿음부(63)와의 사이에 고무제의 흡진부(64)를 개재시킨 것으로서, 이 흡진부(64)에 의하여 키이(33)와 해머(41)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완화시키고 있다. 또, 이 액튜에이터부(47)의 제4도중 우측의 측면은 동도에 도시한 키이를 누를때에 있어서 상기 키이(33)의 돌기(40)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이 흡진부(64) 및 그 기부(62), 맞닿음부(63)는 돌기(40)에 맞닿아서 키이(33)이 도면중 좌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 탈락방지부(65)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된다.
즉, 이 부재 탈락방지부(65)는 프레임(31)에 지지된 해머(41)를 통하여 이른바 프레임(31)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부재탈락방지부(65)는 프레임(31)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또, 해머(41)의 각 부분은 제3도 이하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31)에 형성된 슬릿(66,67)내에도 헐겁게 관통되고 있다. 즉, 프레임(31)에는 복수의 슬릿(37,60,66,67…)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슬릿(66)내에 헐겁게 관통되는 해머(41)의 일부(아우트서어트 가공부), 즉 키이를 누를 때 슬릿(66)의 도면중 우측의 가장자리부분(68)에 대향하는 부분에는(제4도참조), 도면중 우측을 향하여 돌출한 맞닿음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70)는 동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이를 누를때에 있어서 슬릿(66)의 가장자리부분(68)으로 부터 소정거리(근소한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돌출설치되어 있다. 즉, 가장자리부분(68)이 맞닿음부(70)에 맞닿아서 해머(41)의 우측으로의 이동(빠짐)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31)에는 해머(41)의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를 각각 규제하는 스토퍼 또는 댐퍼(펠트)(71,72)가 고착되어 있다. 또, 프레임(31)의 키이를 앞쪽 소정위치에는 똑같이 키이(33)의 상한위치와 하한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펠트)(57,59)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또한, 74는 백건(33)의 가이드부를, 75는 흑건(32)의 가이드부를, 76은 흑건(32)의 키이의 측벽하단의 하한을 규제하는 하한스토퍼(펠트)를, 또 77은 프레임(31)을 악기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구멍부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다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61은 금속제에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진 단책상(短冊上)의 판스프링이고, 이 판스프링(61)의 다른끝(80)은 해머(41)의 기단부(일단부)(42)로서 그 해머지점부(핀)(45)보다도 일단측(상기 걸어맞춤면(43)의 반대쪽)에 형성한 걸림홈(63)에 맞닿아 걸려있다.
또, 이 판스프링(61)의 일단부(81)는 그폭이 타단부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상기 키이(33)의 요동의 지점부인 핀(35)의 사이에 형성한 홈(39)에 삽입됨과 동시에, 그 일단부(81)의 윗면에서 키이(33)의 일단부(기단부)(34)하면을 밀어올리고 있다.
즉, 이 판스프링(61)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폭이 좁게 형성된 일단부(81)가 상기 핀(35)의 홈(39)에 헐겁게 끼워짐과 동시에, 그 일단부(81)의 윗면에서 키이(33)의 기단부(34)의 하면에 미끄럽게 접하여 그 오목면(36)이 핀(35)에 눌리도록 배설되어 있다. 환원하면, 판스프링(61)은 일단부(81)가 기단부(34)에 걸어맞추어지고, 다른끝(80)이 걸림홈(63)에 맞닿아걸림으로써 키이를 누를때에 해머(41)가 아래쪽으로 요동하면 판스프링(61)의 긴쪽방향의 이동이 일단부(81)에서의 마찰력에 의하여 규제되어(좌굴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여)그 두께방향으로 탄성(만곡)변형한다. 그결과, 판스프링(61)은 해머(41)를 제3도중 시계바늘 돌아가는 방향으로 상시 가세한다(복귀 습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하여 판스프링(61)의 일단부(81)는 그 긴쪽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끝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홈(39)보다도 그 폭이 넓은 폭광부(8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폭광부(81A)가 판스프링(61)을 붙잡기위한 파지부로 되는 것이다. 또, 이 폭광부(파지부)(81A)는 일단부(81)가 헐겁게 끼워진홈(39)의 일단벽에 맞닿아서 판스프링(61)의 과도한 만곡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즉, 이 폭광부(81A)와 홈(39)은 판스프링(61)의 만곡변형을 규제함으로써 그 일단부(81)가 키이(33)의 기단부(34)로부터 이탈하여 판스프링(61)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또한 그 탈락에 의하여 키이(33)의 기단부(34)가 핀(35)으로부터 탈합하는 것, 및 해머(41E)의 기단부(42)가 핀(45)으로부터 탈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수단은 상기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키이의 기단부에 판스프링에 해머를 해머의 회동지점에 밀어붙이듯이 하여 스프링의 다른 끝을 걸어맞추는 홈을 설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해머(41)는 걸림홈(63)의 위치와 판스프링(61)의 키이(33)와의 걸림부(34p)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화살표시된 P1·r1의 모우멘트로, 키이(33)는 P2·r2의 모우멘트로 시계바늘 돌아가는 방향으로 복귀습성이 부여된다.
상기 모우멘트는 키이(33) 및 해머(41)의 회동에 따라 그 요소 P1,P2,r1,r2가 모두 미묘하게 변화하는 것이나, 요는 키이를 누르지 않는때 부터 키이를 누르는 종료시까지, P1,r1+P2·r2>0이고, 또한 그 벡터방향이 시계바늘 회전방향이면 키이(33) 및 해머(41)가 전체적으로 시계바늘회전방향의 복귀 습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 프레임(31)의 슬릿(37)의 측벽부에는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우트 서어트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스토퍼부재(83)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재(83)는 키이를 누르지 않을때에 상기 판스프링(61)의 윗쪽에 소정간격으로 떨어져 배설되고, 그 판스프링(61)이 좌굴변형할 경우 그 두께 방향으로의 만곡 변형이 과도하게 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스토퍼부재(83)는 판스프링(61)의 일단부(81)가 키이(33)의 기단부(34)로부터 이탈하여 판스프링(61)이 탈락하여, 상기 각 기단부(34,42)가 핀(35,45)으로 부터 각각 탈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스토퍼부재(83)와 판스프링과의 간격은 키이를 누를때를 기준으로 하여 정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 스토퍼부재(83)는 제3도에 더하여 제11도.제12도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슬릿(37)의 폭방향으로 이에 걸치는 문형상으로 되어있고, 프레임(31)에서 세워설치된 1쌍의 다리부(84)와, 이들의 다리부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는 천정부(87)와, 이 천정부(87)로부터 경사진 돌출부(86)를 가지고 있다.
이 돌출부(85,86)는 키이(33) 및 해머(41)의 프레임(31)에의 조립시에 각각 그 기단부(34), 기단부(42)에 걸려서 이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즉, 돌출부(85,86)는 이들의 임시 고정용 부재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 스토퍼부재(83)는 키이가 눌려서 판스프링(61)이 만곡변형되었을때에, 그 변형량이 커지는 수가 있다. 이 변형량이 커지면, 스토퍼부재(83)의 화면에 판스프링(61)이 맞닿아서 판스프링(61)의 과도한 변형을 저지한다. 이때 판스프링(61)의 변형은 판스프링(61)의 폭광부(81A)(제9도 참조)가 홈(39)의 일단에 맞닿아서, 아울러 저지하도록 작용하며, 키이(33)가 핀(35)으로부터 벗어지는 것, 즉 키이(3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동시에 판스프링(61)의 일단부(91)가 키이(33)의 기단부(3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판스프링(61)자체의 탈락, 그리고 해머(41)의 기단부(42)가 핀(45)으로 부터 탈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판스프링(61)의 이탈 방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 수단(85,86)은 어느 그 한쪽을 선택하여 채용하여도, 상기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판스프링의 굽힘 강성을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키이 탓치감을 단단하게 또는 부드럽게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건반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키이가 떨어진 상태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하여 키이(33)와 해머(41)는 원위치에 복귀한 상태로 되어있고, 해머(41)에 설치된 액튜에이터부(47)는 키이(33)에 대응하는 스위치 구동부(50)를 밀어내리지 않고 스위치(52)를 오프(OFF)시키고 있다.
여기서, 연주자가 키이(33)를 누르면 키이(33)는 키이 지점(35)의 둘레를 회동한다. 키이(33)는 오목부(39)의 하면은 해머(41)의 액튜에이터부(47)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키이(33)에 부여된 누르는힘은 해머(41)에 전달된다. 그결과, 해머(41)는 해머지점(45)의 둘레를 회동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키이를 눌러 소정중량의 해머(41)를 회동시키기 않으면 안되고, 이 해머(41)에 소정의 운동 에너지를 부여하는데 필요한 운동량이 탓치감으로서 연주자에 체감된다.
해머(41)의 회동에 따라 판스프링(61)은 눌러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키이가 떨어질때에 대비한다. 키이를 누름으로서 스위치구동부(50)가 해머(41)에 의하여 눌리면, 스위치(52)는 온(ON)이 된다. 그리고, 이 키이(33)에 대응하는 음높이의 악음을 소정의 악음 형성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예컨대 스피커 등을 통하여 발음한다. 드디어 키이(33)가 하한에 달하면, 해머(41)는 스토퍼(72)에 맞닿아 운동에너지가 스토퍼의 변형에 의해 흡수된다. 그후, 키이(33)에 부여되어 있던 힘을 제거하면, 키이(33)와 해머(41)는 판스프링(61)에 축적되어 있던 탄성 굽힘 에너지에 의하여 복귀 특성이 부여되어, 원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스위치(52)도 다시 OFF로 된다.
그리고, 판스프링(61)은 미리 휘어져 정착되어 있으나, 키이를 누르는 동작에 따르는 해머(41)의 요동에 의하여 다시 좌굴변형되어 그 두께방향으로 휘어져, 소정의 복원력을 해머(41)에 부여한다. 약간의 하중의 증가에 의해 이 평판상의 판스프링(61)의 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요동에 대한 저항력이 키이 탓치감, 즉 다이나믹한 탓치감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경우, 키이(33)와 해머(41)의 회동에 의하여 판스프링(61)의 변형량이 증가하여도, 이 변형에 요하는 외력은 근소하므로, 연주자는 해머(41)의 운동에 기인하는 탓치감을 느껴도 판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한 저항을 느끼는 일은 없다. 또, 이 경우 판스프링(61)의 일단부(81)는 키이(33)의 기단부(34,36)를 핀(35)에 밀어붙이고 있으며, 그 다른끝(80)은 해머(41)의 기단부(42,43)를 핀(45)에 밀어붙이고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61)의 일단부(81)는 키이(33)의 기단부(34)의 하면에 압접되고 있기 때문에 소정의 만곡 변형을 하나, 그 변형량이 커지면 스토퍼부재(83)의 돌출부(85,86)의 하면에 판스프링(61)의 상면이 맞닿아서 그 과도한 변형을 저지하여, 키이(33)가 핀(35)으로 벗어지는 것, 즉 키이(33)가 그 긴쪽 방향의 선단쪽으로 당겨진 경우에도 그 이탈방지가 되는 것이다. 동시에, 이것은 판스프링(61)의 일단부(81)가 키이(33)의 기단부(3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판스프링(61) 자체의 탈락, 그리고 해머(41)의 기단부(42)가 핀(해머지점부)(45)로부터 탈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키이(33) 및 해머(41)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키이(33)를 놓으면 키이(33) 및 해머(41)는 함께 1장의 판스프링(61)에 의하여 복귀 습성이 주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 판스프링(61)의 가세력에 의해 이들은 반대방향을 향하여 요동한다. 그리고, 이들의 키이(33) 및 해머(41)는 각각 스토퍼(펠트)(57,71)에 맞닿아서 그 상한 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컨대 당해 건반장치를 조립, 포장한 후의 운반시에 있어서 키이(33) 및 해머(41)가 그 긴쪽방향이 상하(수직)방향이 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낙하등에 의하여 그 수직방향에 큰 충격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이들의 키이(33) 및 해머(41)는 그 조립상태로부터 벗어지거나하는 일은 없다. 즉, 상기 상태에서의 충격력의 작용에 의하여 키이(33)가 그 긴쪽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면, 키이(33)의 돌기(40)가 흡진고무(64) 또는 그 기부(62)의 측면(부재 탈락방지부(65))에 맞닿기 때문에, 그 긴쪽 방향으로의 과도한 이동은 규제되는 것이다. 또, 동시에 해머(41)에 있어서도, 해머(41)가 해머지점부(45)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면, 그 맞닿음부(70)가 슬릿(60)의 가장자리부분(68)에 맞닿는 결과, 해머(41)의 탈락도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키이(33) 및 해머(41)의 다른방향(예컨대, 제2도중 상하 방향)으로의 이들의 이동(벗어짐)은 포장부재등에 의하여 방지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에,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포장으로 부터의 해제후에 있어서의 키이(33) 및 해머(41)를 빼낼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이(33)를 밀어내리고, 이어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판스프링(61)을 빼낸다. 그결과, 해머(41)는 자중에 의하여 스토퍼(72)에 맞닿는다. 그리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X)방향으로 끼이(33)를 움직인후(돌기(40)는 부재탈락방지부(65)에 맞닿음과 동시에, 기단부(34)는 돌출부(85)의 선단에 맞닿는다), 화살표(Y)방향으로 키이(33)의 기단부(34)를 들어올린다(이 상태에서는 윗쪽으로만 키이(33)의 기단부(34)가 이동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키이(33)를 떼어낸후, 해머(41)를 슬릿(66,67)으로 부터 빼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돌기(40)를 오목부(39)의 측벽에서 그리고 부재탈락방지부(85)를 액튜에이터부(47)에서 각각 구성하였으므로, 이들의 부재와의 겸용을 꾀할 수 있고, 제작상 간단하며, 더구나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건반장치의 조립작업에 대하여 제10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건반장치의 조립에 있어서는 아우트서어트가공에 의하여 키이 지점(35)과 해머지점(45)과 스토퍼부재(83)가 부설된 프레임(31)을 준비한 후, 먼저 해머(41)를 해머지점45)에 걸어맞춘다.
이때 해머임시 고정기능을 갖는 돌출부(86)의 선단과 해머지점(45)과의 간격을 해머(41)기단부의 긴쪽방향의 거리(L1) 보다 좁으므로, 해머(41)를 프레임(31)의 제10도중 윗쪽으로 부터 접근시키면, 해머(41)의 아래쪽경사면(42a)이 스토퍼부재(83)에 맞닿는다.
그후, 해머(41)를 다시 제10도중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부재(83)는 해머(41)에 눌려서 제10도중 아래쪽으로 탄성변형하면서 해머지점(45)과의 간격을 넓혀, 해머(41)의 기단부(42)의 통과를 허용한다.
그 결과, 해머(41)는 해머지점(45)에 걸어맞추고 해머(41)의 통과후 스토퍼부재(83)는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이렇게하여 해머(41)가 해머지점(45)에 일단 걸어 맞추어진후, 해머(41)가 해머지점(45)으로부터 떨어지려고 하면 스토퍼부재(83)가 해머(41)의 기단부(42)의 윗쪽경사면에 맞닿으므로, 해머(41)가 쉽게 빠져나가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해머(41)가 해머지점(45)에 걸어맞추어지면, 다음에 키이(33)가 조립된다. 즉 키이(33)도 해머(41)와 동일방향으로부터 프레임(31)에 접근시켜지나, 키이 임시 고정기능을 갖는 스토퍼부재(83)의 돌출부(85)와 키이 지점(35)과의 간격도 키이(33)의 후단부(34)의 긴쪽 방향 거리(L2)보다 좁으므로, 돌출부(85)도 키이(33)의 아래쪽 경사면(34a)에 맞닿는다. 키이(33)를 다시 아래쪽으로 누르면 스토퍼부재(83)의 돌출부(85)는 키이(33)에 눌려서 제1도중 아래쪽으로 탄성변형하여 키이(33)에 눌려서 제1도중 아래쪽으로 탄성변형하여 키이(33)의 통과를 허용한다.
그결과, 키이(33)는 키이 지점(35)에 걸어맞추어지고, 돌출부(85)는 키이(33)의 통과후에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키이(33)의 조립후에는 돌출부(85)와 키이(33)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생기고 있으나, 키이(33)를 앞쪽으로 또는 제10도중 윗쪽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면, 키이(33)는 키이 임시 고정기능을 갖는 스토퍼부재(83)의 돌출부(85)에 맞닿아서 쉽게 빠져나갈수 없다.
프레임(31)에 키이(33)와 해머(41)가 부착되면 프레임(31)은 뒤집어져서 복귀스프링(61)이 키이(33)와 해머(41)의 사이에 장착된다. 프레임(31)이 뒤집어지면 키이(33)와 해머(41)는 해머지점(45)과 키이지점(35)으로부터 빠지려고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해머임시 고정기능을 갖는 스토퍼부재(83)의 돌출부(86)와 키이 임시 고정기능을 갖는 돌출부(85)가 해머(41)와 키이(33)에 각각 맞닿으므로, 해머(41)와 키이(33)가 해머지점(45)과 키이지점(35)으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복귀스프링(61)이 키이(33)와 해머(41)의 사이에 장착된 후에는 키이(33)와 해머(41)는 키이지점(35)과 해머지점(45)에 각각 눌리므로, 키이(33)와 해머(41)는 돌출부(85)와 돌출부(86)와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기능한다.
본 실시예는 스토퍼부재(83)를 키이(33)와 별개로 형성하였으므로, 각부의 치수를 독자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특히 스토퍼부재(83)를 치수가 가까운 키이지점(35)등과 일체적으로 아우트서어트 가공하였으므로, 제작 및 프레임(31)에의 배설이 더욱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제13도 내지 제16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머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 해머는 해머(41)을 제외한 제3도의 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것에 조립해 넣어진다.
여기에 사용되는 해머(41)는 금속성심재(144)를 가지며, 이 심재(144)는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그 키이의 앞에 가까운 거의 반이 아우트서어트 가공에 의하여 수지에 의하여 가장자리부(144A)가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해머(141)의 일부분은 상자형의 키이(33)의 내부에 헐겁게 끼워져 있는 점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다. 또한, 이 해머(141)는 제3도에 도시된 프레임(31)에 고착된 핀(45)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직면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해머(141)에는 그 지점부에 근접하여 두갈래의 스위치 구동부(143)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해머(141)의 스위치 구동부(143)의 윗쪽에는 제3도에 도시된 상기 키이(33)의 오목부(39)(해머구동부)가 맞닿아서, 이 해머(141)를 밀어내리는 액튜에이터부(145)가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액튜에이터부(145)는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타원형 단면의 중앙부에 빈틈을 가지며, 상기 키이(33)의 오목부(39)가 맞닿는 제1액튜에이터부(147)와 이 제1액튜에이터부(147)의 바로 아래에서 제1액튜에이터부(147)를 지지하는 대략 타원형의 단면의 제2액튜에이터부(149)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액튜에이터부(145)가 키이(33)와 해머(141)와의 접촉부에 설치되어서 키이(33)와 해머(141)와의 사이에 생기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쿠션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쿠션기구(145)에 있어서는 제1액튜에이터부(147)가 키이를 누를때에 최초로 탄성변형함과 동시에 이 제1액튜에이터부(147)가 소정량만큼 변형(빈틈이 없어진다)한후에, 제2액튜에이터부(149)가 탄성변형하게 된다.
즉, 제2액튜에이터부(149)는 그 탄성계수가 제1액튜에이터부(147)의 그것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키이(33) 및 해머(141)의 상한 위치 및 하한위치는 프레임(31)에 설치된 스토퍼로서의 펠트에 의하여 각각 규제되고 있다.
또, 해머(141)의 기단부(142)에는 판스프링(16)의 다른끝이 맞닿아 걸리는 걸림홈(15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으로된 건반장치에 있어서, 키이(33)의 압건부를 아래쪽을 향하여 누르면, 키이(33)는 기단부를, 즉 그 기단부가 걸어맞추는 핀(35)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한다.
여기서, 판스프링(16)에 가세된 키이(33)의 오목부(39)의 하면이 해머(141)의 액튜에이터부(145)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이 키이(33)의 요동에 따라 해머(141)도 하강한다. 그결과, 스위치 구동부(143)도 하강하여 스위치(50)를 ON으로 한다(닫힌다). 스위치(50)가 ON이 되면, 이 키이(33)에 대응하는 음높이의 악음을 소정의 악음 형성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예컨대 스피커등을 통하여 발음한다.
이상의 압건동작에 있어서, 약한 힘에 의한 압건시에는 제1액튜에이터부(147)가 그 일정의 범위내(탄성 한도내)에서 탄성변형하여, 키이(33)로부터 해머(141)에 힘을 전달함과 동시에, 2충격력을 흡수한다.
그리고, 이경우 키이 탓치감을 약화시킬 수 있다. 또, 강한힘에 의한 타건시에는 제1액튜에이터부(147)는 일정량만큼 탄성 변형하고(빈틈이 없어져 다시 탄성변형하고), 그후 제2액튜에이터부(149)가 탄성변형한다.
그결과 제1액튜에이터부(147)의 소정 변형은 방지되고, 충격력은 이들의 제1액튜에이터부(147) 및 제2액튜에이터부(149)에 의하여 흡수된다. 따라서 이경우는 키이 탓치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액튜에이터부(147) 및 제2액튜에이터부(149)의 쌍방 또는 어느 한쪽을 탄성계수가 다른 복수의 탄성체에 의하여 예컨대 키이(33)의 요동방향에 따라 적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결과, 상기 충격력의 완충작용에 있어서 임의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알맞는 키이 탓치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제1액튜에이터부 및 제2액튜에이터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이 경우 이른바 2색 성형법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압건시에는 키이의 일부가 해머에 맞닿아서 키이 맞 해머는 동시에 요동한다. 이 경우, 키이와 해머와의 접촉부에는 쿠션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쿠션기구가 이들의 맞닿음에 의하여 생기는 충격력을 흡수한다.
그결과, 키이 또는 해머가 바운드하거나 기계적인 잡음(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경우, 쿠션기구에 있어서 제1액튜에이터부는 제2액튜에이터부보다도 그 탄성게수가 작기 때문에 그 제1액튜에이터부는 압건에 의하여 최초로 탄성변형하여, 상기와 같이 충격력을 흡수하는 한편, 그 제2액튜에이터부는 제1액튜에이터부가 소정량만큼 탄성변형한후에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 그결과, 부드러운 제1액튜에이터부가 과도하게 변형하는것, 즉 소성변형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통상의 압건시에는 제1액튜에이터부에 있어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강타건시에는 제2액튜에이터부에 의하여 그 충격력을 흡수하고, 또한 제1액튜에이터부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타건력의 강약에 따라 알맞는 키이 탓치감을 얻으면서 기계적 잡음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다.
제17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머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해머는 해머(41)를 제외한 제3도의 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것에 조립해 넣는다.
여기에 사용되는 해머(241)는 금속제심재(244)를 가지며, 이 심재(244)는 크랭크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그 키이의 앞쪽에 가까운 거의 반이 아우트서어트 성형가공에 의해 수지에 의하여 가장자리부(244A)가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해머(241)의 일부분을 상자형의 키이(33)의 내부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또한 해머(241)는 프레임(31)에 고착된 핀(45)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직면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해머(241)에는 그 지점부에 근접하여 두갈래의 스위치 구동부(243)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해머(241)의 스위치구동부(243)의 윗쪽에는 상기 키이(33)의 오목부(39)(해머구동부)가 맞닿아서 이 해머(241)를 밀어내리는 액튜에이터(245)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액튜에이터(245)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합성수지에 의한 소정길이의 반원형 단면의 3개의 편지돌출들보(片持突出梁)(247,249,251)로 구성되고 있다. 돌출들보(247,249,251)는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으로부터 반경(즉,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또 그 탄성계수도 차례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키이(33)의 요동시에는 이들의 돌출들보(247,249,251)의 만곡한 윗면에 상기 키이(33)의 오목부(39)가 차례로 맞닿는 것이다.
따라서, 이 액튜에이터(245)가 키이(33)과 해머(241)와의 접촉부에 설치되어, 키이(33)와 해머(241)와의 사이에 생기는 충격력을 흡수하는(전달력의 일부를 탄성에너지로서 축적하는) 쿠션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쿠션기구(245)에 있어서는, 돌출들보(247)가 타건시에 최초로 키이(33)에 맞닿아서 탄성변형 및 굽힘 변형하고, 이어서 이 돌출들보(247)가 소정량만큼 굽힘변형한후에 돌출들보(249)가 탄성변형 및 굽힘 변형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돌출들보(251)가 똑같이 굽힘 변형한다.
즉, 돌출들보(249)는 그 탄성계수가 돌출들보(247)의 그것보다도 작게, 돌출들보(251)의 탄성계수는 돌출들보(249)의 그것보다도 작게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키이(33)의 일부가 쿠션기구(245)(액튜에이터)에 맞닿는경우, 당초에는(타건 초기에는) 돌출들보(247)에 의하여 큰 탄성에너지가, 최후에는(타건 종료시에는) 돌출들보(251)에 의하여 그보다 작은 탄성에너지가 축적되는 결과, 타건력의 강약에 따라 바라는 키이 탓치감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들의 키이(33) 및 해머(241)의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는 프레임(31)에 설치된 스토퍼로서의 펠트에 의하여 각각 규제되고 있다.
또, 해머(241)의 기단부에는 판스프링(61)의 한 끝이 걸리는 걸림홈(25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으로된 건반장치에 있어서, 키이(33)의 압건부를 아래쪽을 향하여 누르면, 키이(33)는 기단부(3a)를 즉 그 기단부가 걸어맞추는 핀(35)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여기서, 판스프링(16)에 가세되어 키이(33)의 오목부(39)의 아래면이 해머(241)의 액튜에이터(245)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이 키이(33)의 요동에 따라 해머(241)도 하강한다. 그결과 스위치 구동부(243)도 하강하여 스위치를 ON으로 한다(닫힌다). 스위치가 ON으로 되면, 이 키이(33)에 대응하는 음높이의 악음을 소정의 악음형성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예컨대 스피커등을 통하여 발음한다.
이상의 압건(타건)동작에 있어서, 약한힘에 의하여 타건초기(제18도의 LS의 상태에 키이의 오목부(39)가 놓여졌을때)에는 돌출들보(247)가 그 일정의 범위내에서 탄성변형하고, 또한 굽힘변형하여(휘어짐), 키이(33)로부터 해머(241)에 힘을 전달함과 동시에, 그 전달력의 일부인 충격력을 흡수한다(탄성에너지로서 축적한다).
그리고, 이경우 키이탓치감을 약화시킬 수 있다(이른바, 소프트 탓치). 또, 강한힘에 의한 타건시에는 돌출들보(247)는 일정량만큼 굽힘변형하고, 그후 돌출들보(249)가 똑같이 탄성 변형 및 굽힘변형한다. 또한 키이(33)의 요동에 따라 압건 종료시(제18도의 LE의 상태에 키이의 오목부(39)가 놓여졌을때)에 돌출들보(251)가 굽힘변형한다. 그결과, 전달력의 일부는 이들의 액튜에이터(245)에 의하여 탄성에너지로서 축적되어, 충격력은 흡수된다. 따라서, 이경우는 키이탓치감을 강화시키게 된다(이른바, 하아드 탓치).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동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쿠션기구인 액튜에이터(265)를 편지들보 (片持梁)로 하고 있다. 이 편지들보(265)는 키이의 긴쪽 방향에 따라 뻗어있고, 키이가 요동한경우, 그 선단부(265a)로부터 키이의 오목부(39)가 맞닿음으로써 굽힘변형하며, 그결과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편지들보(65)의 선단으로부터 기단(키이의 앞쪽방향)을 향하여 그 단면적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타건초기에는 선(LS)으로 표시되는 바와같이 들보(265)의 작은 단면적의 선단(265a)이 키이의 일부(오목 부(39))에 맞닿아, 큰 굽힘토우멘트가 작용하여, 그 굽힘의 양도 커져서, 큰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이다.
또, 타건종료시에는 선(LE)으로 표시되는 바와같이 들보(265)의 기단부(265b )에 키이의 일부(오목부(39))가 맞닿아서, 초기보다도 작은 모우멘트, 굽힘이 되어, 작은 탄성에너지를 축적한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실시예와 똑같다.
제20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액튜에이터(275)를 단면적이 균일한 편지들보로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도 상기 실시예와 같고, 들보(275)의 굽힘에 의하여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이다. 균일한 단면때문에 들보(75)에 키이의 일부가 맞닿는 접촉부가 키이의 요동에 따라 키이의 앞쪽 방향으로 이동하는(LS로부터 LE로) 결과로서, 그 기단부에 작용하는 굽힘모우멘트가 변화하므로,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양이 타건초기와 타건종료시에는 다른 것이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각 실시예와 똑같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타건시에는 키이의 일부가 해머에 맞닿아서 이들의 키이 및 해머는 동시에 요동한다. 이경우, 키이와 해머의 접촉부에는 쿠션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쿠션기구가 이들의 접촉에 의하여 생기는 충격력을 흡수한다(전달력의 일부를 탄성에너지로서 축적한다).
그결과, 키이 또는 해머가 바운드하거나, 기계적인 잡음(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경우 쿠션기구에 있어서 타건초기에는 비교적 큰 탄성에너지를 축적함과 동시에, 타건 종료시에는 초기보다도 작은 탄성에너지를 축적한다. 이에 의하여 타건력의 강약에 따라 알맞는 키이 탓치감을 얻으면서 기계적 잡음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다.
제21도는 해머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해머(341)는 갈고리 모양의 금속체(344)의 중간부에 연질의 수지를 피복하여 스토퍼부(325)를 형성하고, 금속체(344)의 후단부에는 스토퍼부(325)와 동질의 수지로 액튜에이터부(347)와 후술하는 키이 스위치의 구동부(350)와 지점부(3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튜에이터부(347)는 키이에 걸어맞추어 키이로부터 압건에 의한 힘의 전달을 받는다.
이에 대하여 키이 스위치의 구동부(350)는 해머(341)가 압건시에 키이와 함께 회동하면 해머(34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키이 스위치회로를 닫아서 압건의 검출에 사용된다.
한편, 지점부(331)는 프레임(31)에 설치된 지점축(35)에 접촉하여 압건시에 이 지점축상을 미끄러지듯 움직여서, 해머(341)의 원활한 회동에 도움이 된다.
상기 액튜에이터부(347)와 키이 스위치의 구동부(350)와 지점부(331)는 상기 스토퍼부(325)와 함께 아우트서어트 가공에 의하여 성형된다. 필요하다면 금속체(344)의 후단 가장자리(326)를 파선과 같이 수지로 덮어 씌워도 좋다.
따라서, 성형시에는 금속제(344)를 틀내에 얹어놓은후, 녹은 수지를 틀내에 주입하면 되고, 각각 다른 기능의 복수부품을 동시에 형성하고, 또한 금속체(344)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결과 해머(341)의 제조원가는 저하하여, 이러한 값싼 해머(341)를 다수 사용하는 건반장치의 제조원가도 대폭 저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머(341)에는 상기 각부와 더불어 평판스프링(61)의 받이부(335)가 금속체(344)의 후단에 나사(337)로 고정되어 있고, 이 평판스프링(61)이 휘어서 압건완료후에 해머(341)와 키이(33)에 복귀특성을 부여한다.
또, 해머의 도입부가 되는 금속체(344)의 후단 가장자리(326)를 아우트서어트 가공에 의하여 연질수지로 덮어 씌움으로써 해머(41)를 프레임(31)의 슬릿(66)에 삽입할때에 삽입도입부가 슬릿(66)을 구획하는 프레임(31)위를 미끄러져 움직여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이와같이 금속체(344)의 후단 가장자리(326)를 수지로 피복함으로써 해머(41)의 제조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는 이점에 더하여, 건반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는 이점도 있다.
제22도 내지 제2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키이와 해머와의 사이의 충격을 적게 하도록 한 것이다. 제3도의 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22도에 있어서, 키이(33)는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대략 상자형으로 되어있고, 그 아래면은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 키이(33)의 양쪽벽 하부에는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오목부(39)에 근접하여 그 하면에는 제24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역 V자형의 1쌍의 돌출편(521,523)이 3쌍 돌출편의 키이(33)의 긴쪽방향을 따라 배설되어 있다. 이들 돌출편(521,523)은 아래쪽을 향하여 그 내벽끼리가 서서히 벌어져서 그 내벽의 간격이 커지는 것으로서, 예컨대 합성수지에 의하여 키이(3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의 돌출편(521,523)의 사이의 하면에는 그 돌출길이가 이 돌출편( 521,523)보다도 작은 소편(525,527)이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키이(33)의 아래쪽에는 키이(33)에 따라 해머(41)가 배설되어있고, 이 해머(41)는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또,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해머(41)의 일부분은 상자형의 키이(33)의 내부에 헐겁게 꽂혀지고,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1쌍의 돌출편(521,523)사이에 삽입되어 그 내벽에 접촉(걸어맞춤)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 해머(41)는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슬릿(37)에 있어서 상기 핀(35)에 대하여 반대쪽의 가장자리부에 고착된 핀(45)(이핀(45)은 상기의 핀(35)과 똑같이 원형 단면의 아우트서어트 가공에 의한 것이다)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직면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즉, 해머(41)는 핀(45)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키이(33)와 동일한 수직면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즉, 해머(41)는 핀(45)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키이(33)와 동일한 수직면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기단부(42)의 제22도중 왼쪽의 측면에는 반원형상으로 오목한 걸어맞춤면(43)이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면(43)이 핀(45)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 이 해머(41)는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소정의 금속으로된 심재를 가지며, 그 심재의 외면의 대부분은 아우트서어트 가공에 의하여 수지에 의한 가장자리부(41A)가 이루어져 있다. 또, 해머(43)의 중심은 그 긴쪽 방향의 선단부(46)(제22도중 좌측의 단부)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3쌍의 돌출편(521,523)은 전체적으로 해머(41)의 배면의 일부가 키이(33)에 맞닿은 경우, 그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529)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된다. 또, 이 해머(41)에는 그 지점부(45)에 근접하여 두갈래의 스위치구동부(50)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설치 되어있다. 즉, 해머(41)의 요동에 의하여 스위치 구동부(50)가 하강하면, 프레임(31)에 배설된 스위치에 이 스위치 구동부(50)가 맞닿아서 그 스위치를 닫(ON)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해머(41)의 스위치 구동부(50)의 윗쪽에는 키이(33)의 상기 오목부(39)가 맞닿아서 이 해머(41)를 밀어내리는 액튜에이터부(47)가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제3도 참조).
즉, 키이(33)의 오목부(39)의 하면이 해머(41)의 액튜에이터부(47)에 맞닿아 있는 것이다. 또, 이들의 키이(33) 및 해머(4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31)에 형성된 슬릿(66)내에도 헐겁게 관통되어 있다. 즉, 프레임(31)에는 복수의 슬릿(37,66…)이 상기 수직면내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슬릿(37,66…)을 통하여 키이(33) 및 해머(43)는 요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프레임(31)에는 이 해머(41)의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를 각각 규제하는 펠트가 고착되어 있다. 또, 동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31)의 소정위치에는 똑같이 키이(33)의 상한위치와 하한위치를 규제하는 펠트(스토퍼)(57,59)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61은 금속제의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진 단책상의 판스프링이고, 이 판스프링(61)의 다른끝(80)은 해머(41)의 기단부(42)에서 그 지점부(45)보다도 한끝쪽(상기 걸어맞춤면(43)의 반대쪽)에 형성한 걸림홈(63)에 맞닿아 걸려있다.
또, 이 판스프링(61)의 일단부(81)는 그 폭이 타단부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상기 키이(33)의 요동의 지점부인 핀(35)의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과 동시에 그 일단부(81)의 윗면에서 키이(33)의 일단부(34)의 아래면을 밀어올리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된 건반장치에 있어서는, 키이(33)의 타단부(38)(앞쪽)를 아래쪽을 향하여 누르면, 키이(33)는 기단부(34)를 즉 핀(회동축)(35)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여기서, 키이(33)의 오목부(39)의 아래면이 해며(41)의 액튜에이터부(47)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이 키이(33)의 요동에 따라 해머(41)도 하강한다.
즉, 해머(41)는 핀지점(45)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며, 스위치구동부(50)가 스위치를 누른다. 결국, 스위치가 ON이 되어, 이 키이(38)에 대응하는 음높이의 악음을 소정의 악음 형성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예컨대 스피커등을 통하여 발음한다.
그리고, 키이(33)를 놓으면 키이(33) 및 해머(41)는 함께 1장의 판스프링(61)에 의하여 복귀습성이 부여되어있기 때문에, 그 판스프링(61)의 가세력에 의하여 이들은 반대방향을 향하여 요동한다. 그리고, 이들 키이(33) 및 해머(41)는 각각 스토퍼(57,71)에 맞닿아서 그상한 위치에 복귀한다.
이경우, 강한 타건으로 급히 키이(33)를 놓으면, 해머(41)는 그 배면의 일부가 역 V자형의 돌출편(521,523)의 내벽에 걸어맞추어 진다. 이결과, 돌출편(521,523)은 넓게 열려(탄성변형하여), 충격력을 흡수한다. 그리고, 해머(41)는 최종적으로는 소편(525,527)에 맞닿아서, 그충격력은 완전히 흡수되는 것이다. 또, 해머(41)가 그 내벽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는 역 V자형으로 돌출편(521,523)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원활히 이탈할 수 있다.
또한, 해머(41)의 요동에 대하여 그 키이(33)와의 접촉부는 그 해머(41)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하나, 상기 3쌍의 돌출편(521,523)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충격력은 각 돌출편(521,523)이 흡수할 수 있어서 알맞게 된다.
제25도는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도시한 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이(33)의 아래면에는 그측벽으로부터 역 V자형으로 돌출설치된 돌출편(505,507)을 설치하고 있다. 이 1쌍의 돌출편(505,507)사이에 해머(43)의 일부가 삽입되어 걸어맞추어지는 것이다. 이들의 돌출편(505,507)은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키이(33)보다도 탄성계수가 작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실시예와 똑같으므로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쌍의 돌출편은 각각 그 간격을 단계적으로 좁혀서 그 해머가 충돌한 경우의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하여도좋다. 또, 상기 돌출편은 V자형에 한하지 않고, U자형 등으로 하여도 좋으며, 또한 펠트등의 충격력을 흡수하는 재료를 붙여도 좋다.
제26도 내지 제2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키이의 앞쪽에 키이의 폭방향의 이동규제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제3도와 동일한 것은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키이(33)의 긴쪽 방향의 타단부(앞쪽 압건부)(38)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그 측벽(612)의 일부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그 돌출부(641)의 하단은 제3도의 좌측을 향하여 굴곡하여 돌출하고 있다. 이 굴곡부(643)는 제2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프레임(31)에 세워 설치된 소정폭의 복수의 스토퍼부(645)사이에 형성된 슬릿(647)내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이 스토퍼부(645)사이의 간격은 키이(33)의 조립부 착오차, 제조오차등을 고려하여 최소값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 이 굴곡부(643)는 상기 스토퍼(펠트)(571)에 그 윗면이 맞닿음으로써 키이(33)의 요동시의 상한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이들 스토퍼부(645)는 또 소정간격 떨어져서 프레임(31)에 세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단부간에는 소정폭의 홈(649)이 형성되어 이 홈(649)내에 압건시의 키이(33)의 타단부(38)의 양쪽벽(612)이 헐겁게 끼워지게 된다. 즉, 키이(33)의 긴쪽 방향의 타단부(38)에는 키이(33)의 폭방향의(짧은쪽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수단(651)으로서의 상기 스토퍼부(645)가 배설되어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키이(33)의 요동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그키이(33)의 상부는 측벽(612)의 내벽면이 스토퍼부(645)의 상부의 홈(649)의 측벽면에 걸어맞추어 맞닿게 함으로써, 또 그하부는 굴곡부(643)가 슬릿(647)의 내벽면에 거의 동시에 걸어맞추어 맞닿게 함으로써, 그 키이(33)의 폭방향의 이동과 함께 키이(33)의 상부가 예컨대 오른쪽으로, 그 하부가 왼쪽으로 변위하도록 하는 이른바 키이(33)의 축선 둘레의 뒤틀림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8도, 제2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들 스토퍼부(645)의 표면의 대부분은 아우트서어트 가공에 의하여 수지로 피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된 건반장치에 있어서는 키이(33)의 타단부(38)의 아래쪽을향하여 누르면, 키이(33)는 일단부를 즉 그일단부가 걸어맞추어지는 핀(7)을 지점으로 하여 수직면내에서 요동한다.
이 압건시에 있어서, 연주자가 압건부(3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정확히 누르지 않는 경우라도, 키이(33)는 근소한 폭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하여 홈(649) 및(또는) 슬릿(647)의 각 내벽면에 압건부(38)의 측벽(612) 및(또는) 굴곡부(643)가 맞닿아서, 그 이동은 규제된다.
즉, 압건부(38)의 요동은 거의 수직면내에 있어서 이루어지고, 비틀림이나 폭방향으로의 어긋남등이 과도하게 되는일은 없는 것이다. 이결과, 이들의 과도한 비틀림등에 의한 키이(33)의 부착부분의 부적당등은 미연에 방지되게 된다.
제30도 및 제3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위치(52) 특히 가동접점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제의 가동접점(677)은 스페이서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의 윗면에는 소정패턴의 고정접점 및 그 주변회로가 인쇄되어 있다. 스페이서에는 이 고정접점 부분이 윗쪽으로 노출하도록 소정의 창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창의 바로 위에는 가동접점(677)의 1쌍의 원통상부분(685)이 배설되고, 또한 이 원통상부분(685)의 윗쪽에는 상기 스위치 구동부(50)의 다리가 배치되고 있다.
가동접점(677)은 1쌍의 원통상부분(685)의 하반부분에 각각 띠모양의 도통부(687)를 가지며, 이 도통부(687)를 가지며, 이 도통부(687)는 도전성 고무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 하반부분에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이것을 닫는(ON) 접촉부(698)를, 상반부분이 스위치구동부(50)에 의하여 눌려서 접촉부(689)에 밀착하는 누름부(691)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서로 대향하는 누름부(691)와 접촉부(689)와의 사이에는 원형의 빈틈(69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원통상부분(685)의 누름부(691)의 아래면(접촉부(689)와의 대향면)에는 띠모양의 돌기(695)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695)가 누름부(691)가 접촉부(689)에 밀착되었을때 그 용착을 방지하는 용착방지수단(697)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된 스위치를 제3도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키이(33)의 타단부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키이(33)는 기단부를 즉 그 기단부가 걸어맞추어지는 핀(35)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여기서, 판스프링(61)에 가세되어 키이(33)의 오목부의 아래면이 해머(41)의 액튜에이터부(47)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이 키이(33)의 요동에 따라 해머(41)도 하강한다. 즉, 해머(41)는 핀지점(45)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스위치구동부(50)가 가동접점(677)의 누름부(691)에 맞닿아서 이를 눌러 뭉갠다. 누름부(691)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그 돌기(695)는 접촉부(689)의 대향면에 접촉하며, 접촉부(689)도 이에 따라 탄성변형하여 창을 통하여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이를 단락한다. 즉, 스위치를 ON으로 하는 것이다.
이경우, 누름부(689)는 돌기(695)때문에, 접촉부(689)에 완전히 밀착하는 일은 없고, 결국 돌기(695)의 옆쪽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밀착하는 표면적이 감소하므로, 누름부(691)와 접촉부(689)는 용착하는 일이 없어지고, 키이(33)를 놓으면 누름부(691)는 그 고무에 의한 복원력(탄성력)에 의하여 먼저 순간적으로 복원하고, 또 거의 동시에 접촉부(689)도 똑같이 하여 복원한다.
즉, 스위치가 OFF 될때의 응답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접촉부(689)의 진동, 이른바 ON, OFF의 반복인 채터링(chattering)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가동접점(677)이 1쌍의 원통상부분(685)를 갖게한 것은 2개의 스위치를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닫게 함으로써, 그시간차를 검출하여 악음의 음량, 엔베로우프변화, 음색등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이다.
제31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접점(677)의 원통상부분(685)의 내면에 단면이 톱니모양의 많은 소돌기(701)를 형성한 것이다. 이 소돌기(701)는 누름부(691)와 접촉부(689)와의 쌍방의 대향면에(요철)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들의 밀착시 밀착면적을 작게하여, 그 밀착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소돌기(701)는 용착방지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제32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접촉부(689)의 대향면에 2개의 돌기(711,71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와 똑같이 이들의 돌기(711,713)가 밀착면적을 작게하여 밀착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즉, 돌기(711,713)는 용착방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33도 및 제34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누름부(691)의 대향면에 1개의 돌기(721)를, 접촉부(689)의 대향면에 2개의 돌기(723,725)를 형성하고, 이들의 돌기(721,72 3,725)를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제3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형시에 옆쪽에 상당히 큰공간(727)을 형성시킨다. 또, 각 돌기(721,723,725)의 내부에도 기포상의 작은 밀폐된 공간(729)을 각각 형성하여 밀착변형시의 각 돌기(721,723,725)의 탄성복원력을 더욱 높이는 것이다.
이결과, 누름부(691), 접촉부(689) 쌍방의 복원력을 더욱 높일 수 있어서, 이들의 용착을 거의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돌기(721,723,725) 및 그들의 밀폐공간(729)이 전체적으로 용착방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접점을 원통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그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용착방지수단으로서는, 상기 각 실시예의 돌기 또는 오목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누름부 및 접촉부의 각 대향면의 적어도 한쪽에 테프론등에 의한 코오팅을 할 수도 있다. 고무가 갖는 점착력을 저감함으로써 용착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난점착성 재료로서는 테프론에 한하지 않고, 그밖의 수지등을 사용하여도 좋은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밖에 상기 띠모양의 돌기자체를 고무이외의 재료, 예컨대 금속와이어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응용, 변형을 생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35도 및 제3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와 같은 것은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해머(41)에 형성한 액튜에이터부(47)의 고무제의 흡진부(79 7)를 그 오른쪽의 단부가 수지제의 기부(62) 및 접촉부(63)의 옆쪽까지 미치도록, 즉 상하로 뻗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결과, 부재탈락방지부(798)는 이 흡진부(97)에 의하여 구성되고, 키이(33)의 지점부로부터의 이탈시에 그 돌기가 강하게 부재탈락방지부(798)에 맞닿아도 그 충격력을 흡수 완화할 수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키이(33)의 돌기(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제3도의 실시예와 똑같다.
제37도 및 제38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와 같은것은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해머(41)의 스위치 구동부(50)의 돌기(40)쪽의 측벽을 아우트서어트 가공에 의한 수지로 성형하여, 이 측벽을 접촉부(790)로 한것이다. 즉, 해머(41)가 제37도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면, 프레임(31)의 슬릿(60)의 오른쪽의 가장자리부분(791)에 맞닿아서 그 해머(41)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가장자리부분(791)이 규제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결과, 상기 효과에 더하여 부재의 겸용에 의한 부품개수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실시예와 똑같다.
또한, 제3도에 있어서, 해머(41)의 적당한 개소, 예컨대 Q에 심재의 금속보다 질량이 큰 금속을 묻어넣음으로써, 해머의 형상을 더욱 작게할 수 있다.
또, 제27도에 있어서, 키이의 횡단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키이의 측벽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스토퍼부를 설치하였으나, 키이로부터 아래쪽으로 가이드부재를 뻗어서, 이들의 양쪽에 키이의 횡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56)

  1. 제1의 회동지점(35)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키이(32,33)와, 제2의 회동지점(45)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질량체(MASS MEMBER)(41,141,241,341)와, 적어도 이 질량체에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스프링(61)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키이는 키이를 눌렀을때에 상기 질량체를 키이를 누를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작용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회동지점(45)은 상기 제1의 회동지점(35)보다도 키이(32,33)의 앞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회동지점(35)과 상기 제2의 회동지점(45)은 하나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점은 상기 질량체(41,141,241,341)의 제2의 회동지점(45)에 대하여 질량체의 중심과 같은 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41,141,241,341)에 설치된 스위치 구동부(50)와, 이 스위치 구동부와 관련하여 설치된 탓치 레스폰스형의 스위치(52)와, 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제어되는 발음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CC)를 갖추고 있으며, 키이의 압건동작과 관련하여 질량체가 회동하면, 상기 스위치 구동부가 상기 스위치를 작동하여 상기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2)는 2 메이크 스위치(2 MAKE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2)는 기판(54)상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과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가동접점(677)을 갖는 가동부재를 가지며, 상기 가동부재는 가요성 재료에 의하여 구성된 누름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2)는 기판(54)상에 형성된 2개의 고정접점과, 이들의 고정접점과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하는 2개의 스위치부(56,58)를 구성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부재를 가지며, 상기 가동부재는 가요성 재료에 의하여 구성된 2개의 원통상 누름부와 이들의 원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2)는 시간차를 두고 닫히는 2 메이크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2개의 스위치부중 먼저 닫히는 스위치부(58)를 구성하는 누름부의 내부에 용착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방지수단은 오목하거나 또는 돌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의 작용점과 상기 질량체 사이에는 쿠션기구(14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건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145)는 키이를 누를때에 최초에 탄성변형하는 제1의 액튜에이터부(147)와, 이 제1의 액튜에이터부가 소정량 변형한 후에 탄성변형하고, 또한 제1의 액튜에이터부 보다도 탄성계수가 큰 제2의 액튜에이터부(149)를 갖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부(147,149)의 적어도 한쪽은 탄성계수가 다른 복수의 탄성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145)는 압건초기에는 키이로부터 질량체로의 작용력중 소정의 것을 탄성에너지로서 축적하고, 타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에는 키이로부터 질량체로의 작용력중 압건초기보다도 작은 작용력을 탄성에너지로서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145)는 키이 또는 질량체의 한쪽에 고정되고, 나머지의 다른쪽에 맞닿는 액튜에이터(265,275)를 가지며, 이 액튜에이터는 굽힘 변형함으로써 상기 탄성에너지를 축적하여 액튜에이터에 작용하는 굽힘 모우멘트는 압건초기에는 크게,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에는 압건초기보다도 작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265,275)는 압건초기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의 굽힘 강성이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의 맞닿는 부분의 굽힘 강성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265,275)는 압건초기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의 단면적이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의 맞닿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245)는 압건초기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의 탄성계수가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의 맞닿는 부분의 탄성계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145)는 키이 또는 질량체의 한쪽에 고정되고 나머지의 다른 쪽에 맛닿는 액튜에이터(245)를 가지며, 이 액튜에이터는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고, 압건초기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의 탄성계수가 압건도중 및/또는 종료시의 맞닿는 부분의 탄성계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구(145)는 키이의 긴쪽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기(207,249,251)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들의 돌기는 키이의 요동에 따라 차례로 맞닿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1)은 질량체에 더하여 키이(32,33)와도 걸어맞추고 있고, 더우기 압건시의 키이와 질량체의 요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질량체 및 키이의 양쪽에 작용하는 단일의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및 상기 질량체의 회동지점은 프레임(31)상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키이의 회동지점과 질량체의 회동지점쪽의 단부와의 사이에 걸쳐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와 질량체의 지점과의 사이의 프레임에는 키이의 회동지점 방향으로 돌출된 탄력성있는 돌출부(85)를 가진 스토퍼부재(83)가 배치되고, 키이를 조립할때 키이를 회동지점에 걸어맞춘 상태로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키이를 누르는 방향으로 밀어넣어 이후 키이의 회동지점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이 스토퍼부재(83)는 프레임에 대하여 아우트 서어트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83)는 다시 질량체의 회동지점 방향으로 돌출한 제2의 돌출부(86)를 가지며, 키이를 조립할때 질량체를 회동지점에 걸어맞춘 상태로 제2의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질량체를 키이의 누르는 방향으로 밀어넣어, 이후 질량체의 회동지점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는 중공체(中空體)이고, 상기 키이의 지점과 질량체의 회동지점과의 사이의 프레임에는 탄성부재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스토퍼부재(83)가 키이의 중공체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의 지점과 질량체의 회동지점과의 사이의 프레임에는 탄성부재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스토퍼부재(8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비압건시 또는 압건시에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가 키이의 회동지점으로부터 벗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39,81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9,81A)은 키이의 기단부(34) 또는 회동지점부에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단(80)이 헐겁게 끼워지는 홈(39)과, 이 홈의 일단벽에 맞닿아서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탄성부재에 형성된 이동규제부(81A)에 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는 상기 키이의 일부에 걸어맞추어 키이를 상기 회동지점에 밀어붙이도록 작용하며, 이 탄성부재의 키이의 회동지점쪽의 일단부(81)는 상기 회동지점에 형성된 홈(39)을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고, 또한 이 탄성부재의 일단부에는 다시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지부(8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가 질량체의 회동지점으로부터 벗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39,81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9,81A)은 키이의 기단부 또는 회동지점부에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단이 헐겁게 끼워지는 홈(39)과, 이 홈의 일단벽에 맞닿아서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탄성부재에 형성된 이동규제부(81A)에 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는 금속(44,344)이고, 그 표면의 일부는 수지(41A)에 의하여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질량체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한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71,72)를 갖추고, 상기 질량체는 이 스토퍼부와 걸어맞추는 스토퍼 걸어맞춤부(41Ab,325)를 가지며, 키이로부터의 힘을 받는 액튜에이터부(47)와 상기 스토퍼 걸어맞춤부는 상기 금속체의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에 설치된 스위치 구동부와, 이 스위치 구동부(50)와 관련하여 설치된 탓치 레스폰스형의 스위치(52)와, 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제어되어 발음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CC)를 갖추고, 키이의 압건동작과 관련되어 질량체가 회동하면, 상기 스위치 구도부(50)가 상기 스위치를 작동하여, 상기 제어회로를 제어하고, 적어도 상기 질량체의 회동지점(45)과 걸어맞추는 단부와 키이로부터의 힘을 받는 액튜에이터부와 상기 스위치 구동부는 상기 금속체의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는 압건시에 프레임을 가로질러 회동하는 가이드부(41Aa)를 가지며, 이 가이드부도 상기 금속체의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39. 제23항에 있어서, 질량체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한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71,72)를 갖추고, 상기 질량체는 금속(44,344)이고, 이 질량체의 상기 스토퍼와 걸어맞추는 스토퍼 걸어맞춤부(41Ab,325)와, 키이로부터의 힘을 받는 액튜에이터부(47)와, 상기 탄성체가 걸어맞추는 질량체의 단부(42)는 상기 금속체(44)의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41A)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0. 제36항에 있어서, 조립시에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에의 삽입을 안내하는 질량체의 삽입유도부도 상기 금속체의 바깥쪽에 피복된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에는 질량체에는 질량이 큰 다른 재료가 들어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2. 제1항에 있어서, 이 건시에 질량체가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하여 초기상태로 복귀할때, 질량체와 키이가 충돌한 경우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52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키이의 아래면에 아래쪽을 향하여 서서히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돌출설치된 돌출편(521,523,505,507)을 가지며, 이들의 내벽에 상기 질량체의 일부가 맞닿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521,523,505,507)은 키이의 긴쪽 방향을 따라 복수쌍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키이보다도 탄성계수가 작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사이에 이들의 돌출편보다 짧은 소편(525,5 27)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의 앞쪽에 있어서, 키이의 횡단 방향으로의 키이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키이의 양쪽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스토퍼에 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4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기(40)를 따라 가지며, 상기 키이 및 상기 질량체의 회동지점은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돌기와 접촉가능하게 설치된 부재 탈락방지부(65)가 설치되며, 이 부재 탈락방지부는 결과적으로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어, 이에 의하여 키이가 회동지점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때에 상기 돌기가 상기 부재 탈락방지부에 걸어맞추어 키이 또는 질량체가 회동지점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탈락방지부(65)는 상기 질량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방지부(65)는 키이가 맞닿는 질량체의 액튜에이터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2. 각각이 제1회동지점에 관하여 요동하는 다수의 키이(32,33) ; 해당 키이가 눌려질 때 해당 키이에 질량체의 관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키이와 협력하여 제2회동지점(91,45)에 관하여 각각이 요동하며 상기 키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질량체(41,141,241,341) ; 상기 해당 질량체와 상기 대응 키이를 초기상태로 바이어스하는 공통 스프링부재(61)에 의하여 구성되며 각각이 상기 키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바이어스수단(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3. 각각이 제1회동지점에 관하여 요동하는 다수의 키이(32,33) ; 해당 키이가 눌려질때 해당 키이에 질량체의 관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키이와 협력하여 제2회동지점(91,45)에 관하여 각각이 요동하며 상기 키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질량체(41,141,241,341) ; 및 상기 해당 키이를 초기상태로 바이어스하는 단일 스프링부재(61)에 의하여 각각이 구성되며 각각이 상기 키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바이어스수단(61)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질량체와 각각의 상기 바이어스수단은 해당 키이의 평면형상에 따라 한정되는 영역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스프링수단(61)이 상기 대응 질량체와 상기 해당 키이의 후단부(34,34a)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5. 제52항에 있어서, 길이방향부재(41,144,244,344)를 포함하는 각각의 상기 질량체(41,141,241,341)가 각각의 해당 키이의 밑에 위치하며 각각의 해당 키이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56. 각각이 제1회동지점에 관하여 요동하는 다수의 키이(32,33) ; 해당 키이가 눌려질때 해당 키이에 질량체의 관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키이와 협력하여 제2회동지점(91,45)에 관하여 각각이 요동하며 상기 키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질량체(41,141,241,341) ; 및 상기 해당 키이를 초기상태로 바이어스하는 단일 스프링부재(61)에 의하여 각각이 구성되며 각각이 상기 키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질량체는 상기 제2회동지점에 관하여 요동되며 수평방향으로 확장하는 제1부(42), 상기 제1부로부터 아래로 확장하는 제2부 및 상기 제2부로부터 수평으로 그리고 해당 키이를 따라서 더 확장하는 제3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키보드장치.
KR1019870011161A 1986-10-06 1987-10-06 전자 악기의 건반장치 KR920000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7159 1981-11-06
JP61238828A JPS6391694A (ja) 1986-10-06 1986-10-06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38828 1986-10-06
JP238828 1986-10-06
JP1986161312U JPH071679Y2 (ja) 1986-10-20 1986-10-20 電子楽器のスイツチ装置
JP61250216A JP2508028B2 (ja) 1986-10-20 1986-10-20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50216 1986-10-20
JP???61-161312 1986-10-20
JP250216 1986-10-20
JP61260091A JP2725253B2 (ja) 1986-10-30 1986-10-30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60091 1986-10-30
JP161312 1986-10-30
JP61273228A JP2718024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5A JP2518232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6 1986-11-17
JP61273230A JPS63125996A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7A JP2720432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6A JP2508033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9 1986-11-17
JP1986176479U JPH0713035Y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5 1986-11-17
JP???61-273227 1986-11-17
JP???61-176480 1986-11-17
JP???61-273230 1986-11-17
JP260091 1986-11-17
JP1986176480U JPH0713034Y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176479 1986-11-17
JP61273229A JP2775729B2 (ja) 1986-11-17 1986-11-17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61-273228 1986-11-17
JP273229 1986-11-18
JP176480 1986-11-18
JP273230 1986-11-18
JP273226 1986-11-18
JP17715986U JPH05954Y2 (ko) 1986-11-18 1986-11-18
JP273227 1986-11-18
JP???61-177159 1986-11-18
JP273228 1986-11-18
JP???61-274940 1986-11-18
JP274940 1986-11-18
JP273225 1986-11-18
JP176479 1986-11-18
JP61274940A JPH0640261B2 (ja) 1986-11-18 1986-11-18 電子楽器の鍵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557A KR880005557A (ko) 1988-06-29
KR920000795B1 true KR920000795B1 (ko) 1992-01-23

Family

ID=2758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161A KR920000795B1 (ko) 1986-10-06 1987-10-06 전자 악기의 건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01614A (ko)
EP (1) EP0263494B1 (ko)
KR (1) KR920000795B1 (ko)
CN (1) CN1014941B (ko)
DE (1) DE3788919T2 (ko)
HK (1) HK133995A (ko)
SG (1) SG2129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374A (ko) * 1988-09-19 1990-04-14 이효익 전자 악기용 건반
JPH02149893A (ja) * 1988-11-30 1990-06-0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楽器の鍵盤装置
DE3905646C1 (ko) * 1989-02-24 1990-08-02 Wersi Gmbh & Co, 5401 Halsenbach, De
US5243125A (en) * 1991-03-22 1993-09-07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board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cooperating jacks and hammers
JP2528588Y2 (ja) * 1991-04-24 1997-03-1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891080B2 (ja) * 1993-12-24 1999-05-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US5895875A (en) * 1994-03-24 1999-04-20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ssembly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6005178A (en) * 1994-03-24 1999-12-21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simulating acoustic piano keytouch characteristics
IT235571Y1 (it) * 1995-02-20 2000-07-12 Fatar Srl Perfezionamenti alle tastiere per pianoforti elettronici e simili.
JP2917859B2 (ja) * 1995-05-22 1999-07-1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3221283B2 (ja) * 1995-05-22 2001-10-2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2917863B2 (ja) * 1995-06-20 1999-07-1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鍵盤装置およびその質量体製造方法
US5821443A (en) * 1996-01-29 1998-10-13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pparatus with an improved mass member support system
JP3104611B2 (ja) * 1996-03-07 2000-10-3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2929994B2 (ja) * 1996-03-12 1999-08-03 ヤマハ株式会社 楽器用鍵盤装置
JPH10171443A (ja) * 1996-12-16 1998-06-26 Yamaha Corp 鍵盤装置
JP2003248482A (ja) * 2002-02-25 2003-09-0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操作検出スイッチ、楽器およびパラメータ決定用プログラム
US6930234B2 (en) 2002-06-19 2005-08-16 Lanny Davis Adjustable keyboard apparatus and method
US6875913B2 (en) 2002-10-30 2005-04-05 David N. Bubar Collapsible musical keyboard
JP4396664B2 (ja) * 2005-07-21 2010-01-1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及び該鍵盤装置の製造方法
US7678989B2 (en) * 2006-10-26 2010-03-16 Magnekey Use of constant force spring in keyboard assembly
JP5168968B2 (ja) * 2007-03-23 2013-03-27 ヤマハ株式会社 鍵駆動装置付き電子鍵盤楽器
JP4946629B2 (ja) * 2007-05-28 2012-06-0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鍵盤装置
US7750222B2 (en) * 2007-09-21 2010-07-06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pparatus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7825312B2 (en) * 2008-02-27 2010-11-02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20090282962A1 (en) * 2008-05-13 2009-11-19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With Key Movement Detection System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JP5624772B2 (ja) * 2010-01-25 2014-11-1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5974553B2 (ja) 2012-03-12 2016-08-2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6747134B2 (ja) * 2016-07-22 2020-08-26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FR3106017B1 (fr) 2020-01-07 2024-02-09 Adele H Piano électronique
CN212750341U (zh) * 2020-07-24 2021-03-19 得理乐器(珠海)有限公司 一种弹簧键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6942A (en) * 1956-05-15 1961-08-22 Harold A Jewett Keyboards and accessories
US3251923A (en) * 1962-05-29 1966-05-17 Pratt Read & Co Inc Keyboard operated electrical switches
JPS4815866B1 (ko) * 1968-08-13 1973-05-17
US4079651A (en) * 1976-01-30 1978-03-21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Touch response sensor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375179A (en) * 1980-10-27 1983-03-01 The Wurlitzer Company Action for electronic piano
GB2112197B (en) * 1981-12-24 1985-12-04 Casio Computer Co Ltd Providing touch response in electronic instruments
US4562764A (en) * 1984-06-08 1986-01-07 Kurzweil Music Systems, Inc. Electronic musical performance
CN86101312A (zh) * 1985-02-12 1986-10-22 日本乐器制造株式会社 电子乐器键板开关装置
US4679477A (en) * 1985-06-20 1987-07-14 Charles Monte Percussive action silent electronic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33995A (en) 1995-09-01
DE3788919T2 (de) 1994-05-26
KR880005557A (ko) 1988-06-29
CN87107833A (zh) 1988-09-21
EP0263494B1 (en) 1994-01-26
SG21295G (en) 1995-08-18
EP0263494A3 (en) 1990-02-07
CN1014941B (zh) 1991-11-27
US4901614A (en) 1990-02-20
EP0263494A2 (en) 1988-04-13
DE3788919D1 (de) 199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795B1 (ko) 전자 악기의 건반장치
US5144103A (en) Key switch
JP2891080B2 (ja) 鍵盤装置
US5247143A (en) Key switch
US5821443A (en) Keyboard apparatus with an improved mass member support system
US5004880A (en) Click-type push button switch with improved leaf spring
US5932825A (en) Keyboard apparatus with white keys and black key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action members
JP5186882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770284B2 (ja) 鍵盤装置
JP3624786B2 (ja) 鍵盤装置
JP3891440B2 (ja) 鍵盤装置
JP2718024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920010443B1 (ko)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JPH0922288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11219161A (ja) 鍵盤装置
JPH05954Y2 (ko)
JPH0713034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71679Y2 (ja) 電子楽器のスイツチ装置
JPH0640261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938157B2 (ja) 鍵盤装置
JPH0716994U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US4361738A (en) Key-actuated switch
JP2775729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S63125993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508028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