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443B1 -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 Google Patents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443B1
KR920010443B1 KR1019890004768A KR890004768A KR920010443B1 KR 920010443 B1 KR920010443 B1 KR 920010443B1 KR 1019890004768 A KR1019890004768 A KR 1019890004768A KR 890004768 A KR890004768 A KR 890004768A KR 920010443 B1 KR920010443 B1 KR 92001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frame
pressing
switch
membran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460A (ko
Inventor
히데오 가또오
Original Assignee
후다바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호소야 레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다바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호소야 레이지 filed Critical 후다바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제1a,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키이시스템이 최상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서로가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단한 단면도.
제1c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 키이스템이 최하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3a~e도는 동실시예에 있어서 누름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키이스템
9 : 멤브레인 스위치 20,20a,20b : 누름부
21 : 기초부 22 : 돌기부로서의 클릭 돌기부
23 : 조작부
본 발명은, 예를들어 키이보오드등에 사용되는 키이보오드 스위치와 같이, 프레임에 설치된 키이스템의 상하운동에 의해서 프레임내의 맞닫는판 상에 있는 멤브레인 스위치를 개폐시키는 구조의 키이보오드 스위치에 관계되고, 특히 클릭감이 얻어지는 위치와 ON 위치와의 엇갈림을 적게 할 수가 있는 키이보오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키이보오드등에 이용되는 키이보오드 스위치의 구조로서는, 멤브레인 스위치를 내장하는 프레임에 키이스템을 상하운동 자유롭게 유지하고, 키이스템의 상하조작에 의해서 프레임내의 멤브레인 스위치를 개폐하는 것이 일본국 실개 58-168028호, 실개 62-165623호, 특개 62-809273호등에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기구에 있어서, 프레임내의 멤브레인 스위치에 직접 접촉하여 이것을 개폐하기 위한 누름부는, 멤브레인 스위치와 키이스템의 사이에 독립한 부품으로서 끼워 장치되든가(상기 인용예 공보), 또는 키이스템의 하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실개 61-133927호). 또, 이와 같은 키이보오드 스위치는, 상기 접점의 개폐기구와는 별도로, 조작자의 손가락에 클릭감을 주기 위한 기구를 갖고 있는 것도 있다(실개 60-193634호).
종래의 키이보오드 스위치에 의하면, 멤브레인 스위치를 눌러내리기 위한 기구와 클릭감을 내기 위한 기구와는 별도로 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에 키이스템을 눌렀을 때, 스위치가 ON으로 되는 위치와 클릭감이 얻어지는 위치와의 사이에, 제법 큰 엇갈림이 생기는 일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키이보오드 스위치중, 접점의 누름부를 키이스템의 하단에 일체성형한 키이보오드 스위치에 대해서는, 키이스템은 키이톱 측보다도 하단측 쪽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에 키이스템을 끼워 넣을때에는 개방된 프레임의 하면측부터 키이스템을 삽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는, 조립의 자동화에는 적합하기 어렵고, 레지스터와 같은 프리이 키이 레이아우트에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부품수가 적고, 클릭감의 위치와 ON위치의 오차가 극히 적은 키이보오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키이보오드 스위치는, 프레임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키이스템을 눌러내림으로서 프레임내에 있는 누름부를 통해서 멤브레인 스위치를 눌러 접촉시키는 키이보오드 스위치에 있어서, 프레임측으로 상단부를 편지량(片持粱)형상으로 고정시키고, 밀어내려진 키이스템에 걸어맞는 돌출부를 갖춘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상방으로 연장설치되고, 상기 기초부가 상기 키이스템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눌림조작됨으로써 멤브레인 스위치를 누르는 조작부로, 이루어진 누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키이스템을 밀어내리면, 이 키이스템은 프레임측으로 상단을 고정시킨 누름부의 기초부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에 걸어 맞는다. 더욱, 키이스템을 소정의 누르는 힘으로 눌러내려서 이 기초부의 돌출부를 누르고, 기초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기초부에 설치된 조작부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멤브레인 스위치를 닫고, 동시에 기초부를 누르는데 소요된 소정의 누르는 힘이 키이스템을 조작하는 조작력에 가하여지므로 손가락에 클릭감이 생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제3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예를들어 키오보오드등의 광주리체로된 프레임이다. 프레임(1)에는 키이스템(3)이 관통하는 구멍(2)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는 직사각형의 구멍(2)이다. 이 구멍에는 프레임(1)의 상면(1a)측에서 키이스템(3)이 상하운동을 자유롭게 끼워붙여져 있다. 키이스템(3)은, 상기 구멍(2)에 거의 합치하는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기둥형상부재라도 좋지만,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그 하반부분은 중앙의 오목부(4)를 끼운 2매의 편부(5,5)에 의해서 두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2매의 편부(5,5)중, 적어도 후술하는 누름부(20)에 걸어 맞는 쪽의 편부(5)는 강성을 갖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 편부(5)를 두갈래 형상으로 형성하고, 누름부(5)의 클릭용 돌출부(22)에 대응하도록 해도 좋다. 더욱 또, 오목부(4)가 한측면(3a,3a)의 상부에는 스텝가이드(6,6)가 하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스템가이드(6)는 판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옴고부(4) 측으로 향해서 휠 수 있다. 또, 이 스템가이드(6)의 하단부는, 첨단을 하방으로 향하게 한 쐐기형으로 되어 있다. 키이스템(3)은 이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 스템가이드(6,6)를 오목부(4)측으로 휘게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2)에서 키이스템(3)을 프레임(1)의 상면(1a)측으로부터 삽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2)내에 형성된 단부(2a)에 상기 스템가이드(6)의 하단부가 걸리게 되면 키이스템(3)은 상방으로 빠지지 않고, 프레임(1)의 구멍(2) 및 스템가이드(6)를 안내로하여 이것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할 수가 있도록 된다. 또, 프레임(1)의 상면(1a)측에 돌출하고 있는 키이스템(3)의 상단부에는 키이톱(7)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이 키이톱(7)과 프레임(1)의 상면(1a)과의 사이에는 복귀용 스프링(8)이 끼워 장치되어, 상기 키이스템(3)을 제1a,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원위치에 보호유지 시키고 있다.
다음에, 상기 프레임(1)의 하면(1b)에는, 접점부로써의 멤브레인 스위치(9)가 기초판(10) 프레임(1)에 의해서 끼워 넣어진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멤브레인 스위치(9)는, 상부접점(13)과 하부접점(14)이 각각 인쇄된 2매의 필름(11,12)을 양접점(13,14)이 대향하도록 공간(15)을 두고 배설한 구조의 접점부이다.
다음에, 상기 키이스템(3)과는 별체이며, 프레임(1)측에 설치되어 있는 멤브레인 스위치(9)의 누름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a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에 설치된 구멍(2)의 일내 측면이며, 키이스템(3)의 한쪽의 편부(5)에 인접하는 면에는, 거의 L자 형상의 누름부(20)가 프레임(1)의 대해서 일체로 배설되어 있다. 이 기초부(21)는, 상방의 일단부에 있어서 프레임(1)에 편지량 형상으로 일체화된 가요성을 갖는 판스프링 형상의 부재이며, 하방으로 연장설치 되어 있다. 또 기초부(21)의 하방의 타단부의 내면측에는 클릭용 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고, 눌러내려진 키이스템(3)의 편부(5)가 걸어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기초부(21)의 하단에는, 스프링성을 갖는 아암형상의 조작부(23 )가 거의 수평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23)는, 제1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거의 L자형을 하고 있다. 또, 이 조작부(23)의 선단의 하면에는 반구형상의 누름돌기(2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누름돌기(24)는 상기 멤브레인스위치(9)의 접점(16)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누르부(20)의 치수·형상·배설위치를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키이스템(3)의 편부(5)가 클릭용 돌출부(22)를 누를 때에 누름돌기(2 4)가 멤브레인 스위치(19)를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제1a,b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키이스템(3)은 최상위치에 있다. 여기에서 키이톱(7)을 누르고 키이스템(3)을 눌러내리면 키이스템(3)의 일편부(5)가 누름부(20)의 기초부(21)에 있는 클릭용 돌출부(22)에 걸어맞는다. 그리고, 더욱 키이스템(3)을 소정의 힘으로 눌러내리면, 일편부(5)는 강성이 있고, 누름부(20)의 기초부(21)는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편부(5)는 클릭돌기부(22)를 횡방향으로 밀어간다.
따라서 기초부(21)는 도면중 오른쪽으로 휘고, 프레임(1)에 연결된 상방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원운동을 한다. 그러자, 이 기초부(21)와 일체의 조작부(23)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돌기(24)가 멤브레인 스위치(9)를 눌러서 접점(16)을 닫는다.
여기에서, 키이스템(3)의 일편부(5)가 클릭용 돌출부(22)를 누를 때에는, 복귀용 스프링(8)을 누르는 힘에 더하여서 돌출부를 누르는 힘이 키이스템(3)에 가하여진다. 따라서 누르는 힘이 갑자기 커지므로, 조작자의 손가락에는 클릭감이 주어진다.
다음에 손가락에 의한 눌러내림을 그만두면, 복귀용 스프링(8)에 의해서 키이스템(3)이 상방의 원위치로 되돌려져, 누름부(20)는 원형상으로 회복하여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9)의 접점(16)은 OFF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일실시예에서는 멤브레인 스위치(9)가 ON 상태로 되는 위치와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위치를 합치시키고 있으나, 누름부(20)의 치수·형상·배설위치등을 조절함으로써, 의도적으로 멤브레인 스위치(9)의 ON 상태를 우선시킬 수도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 누름부(20)와 프레임(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누름부(20)를 프레임(1)측에 뒷붙임하도록 해도 좋다. 제3a도는 수지성형품인 독립의 누름부(20a)이며, 동 도면(b-e)은 금속판 프레스품인 독립된 누름부(20b)이다. 동도면중,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부분에는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독립부품으로서의 누름부(20a,20b)를 사용하여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접점부재에 멤브레인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키이보오드 스위치를 다른 접점구조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프레임 일체식의 키이보오드에 이용되는 키이보오드 스위치에도, 단일체구조의 키이보오드 스위치에도, 같이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키이보오드 스위치에 의하면, 프레임측에 설치된 누름부가 클릭감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접점의 ON 위치와 클릭감이 얻어지는 위치와의 엇갈림을 극히 적게 할 수가 있다.
(2) 접점의 누름기구와 클릭감의 발생기구를 단일의 부품으로 겸용하고 있으므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조립공정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3) 키이스템을 프레임의 상면측으로부터 삽입할 수가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자동화에 적합하기 쉽고, 레지스터의 키이보오드와 같은 프리이 키이 레이아우트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프레임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키이스템을 눌러내림으로써 프레임내에 있는 누름부를 통해서 멤브레인 스위치를 눌러 접촉시키는 키이보오드 스위치에 있어서, 프레임측에 상단부를 편지량 형상으로 고정시키고, 눌러내려진 키이스템에 걸어맞추는 돌출부는 구비한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상방으로 연장설치되고, 상기 기초부와 상기 키이스템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눌러 조작됨으로써 멤브레인 스위치를 누르는 조작부로 이루어진 누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KR1019890004768A 1988-04-11 1989-04-11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KR920010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47774 1988-04-11
JP1988047774U JPH01150337U (ko) 1988-04-11 1988-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60A KR890016460A (ko) 1989-11-29
KR920010443B1 true KR920010443B1 (ko) 1992-11-28

Family

ID=1278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768A KR920010443B1 (ko) 1988-04-11 1989-04-11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42276A (ko)
JP (1) JPH01150337U (ko)
KR (1) KR920010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674A (en) * 1992-01-31 1993-12-07 Apple Computer, Inc. Mechanically latching mouse button
US5372442A (en) * 1993-09-09 1994-12-13 Wang; Kun-Chu Key structure for computer keyboards
DE20305528U1 (de) * 2003-04-04 2003-08-14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Tastschalter
JP2013069640A (ja) * 2011-09-26 2013-04-18 Sony Corp スイッチ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501380B2 (ja) * 2014-07-01 2019-04-17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多段圧縮機システム、制御装置、異常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564A (en) * 1974-08-08 1975-09-30 Amp Inc Keyboard assembly with foldable printed circuit matrix switch array, and key actuator locking slide plate
US3982081A (en) * 1974-09-04 1976-09-21 Amp Incorporated Keyboard assembly with overlapped 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 switch
FR2475286A1 (fr) * 1980-01-31 1981-08-07 Sodex Magister Interrupteur electrique a poussoir incorpore
CA1188389A (en) * 1982-06-28 1985-06-04 Northern Telecom Limited Pushbutton switch assembly
US4553009A (en) * 1982-09-03 1985-11-12 Oak Industries Inc. Keyboard switch with pivotal actuator lever
DE3530050A1 (de) * 1985-08-22 1987-02-26 Cherry Mikroschalter Gmbh Tastenmodul fuer folientastaturen
US4831223A (en) * 1987-03-25 1989-05-16 Jelco Co. Ltd. Push-button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50337U (ko) 1989-10-18
KR890016460A (ko) 1989-11-29
US4942276A (en) 199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7359Y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EP0122128B1 (en) Stroke converting mechanism for a switch
US6118092A (en) Key switch for keyboard
US4818828A (en) Electronic keyboard
US5015811A (en) Snap-action pushbutton switch with click sound
US5555971A (en) Key switch
US6812421B2 (en) Key switch device, keyboard with the key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keyboard
US4417115A (en) Switch actuating assembly having improved cams and plural modes
US4492838A (en) Key switch having an actuator integral with the return spring
KR920010441B1 (ko) 키이보오드 스위치
US4990730A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CA1160269A (en) Pushbutton key switch
KR920010443B1 (ko)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US4935591A (en) Push button switch
EP1049119A2 (en) Keyswitch used in a keyboard
US6121563A (en) Large key covering several small key fields for a keyboard
US4386245A (en) Normally-closed switching means with over-stroke compensation
US5032695A (en) Membrane switch with movable and fixed flap contacts mounted on a common dielectric substrate
US4450331A (en) Key switch assembly having momentary closed interval
JP2512160Y2 (ja) 押釦スイツチ
JPH0334013Y2 (ko)
JPH05266755A (ja) 押釦スイッチ
JPH069396Y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H0755785Y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3441646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