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4594A -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4594A
KR20230084594A KR1020237017978A KR20237017978A KR20230084594A KR 20230084594 A KR20230084594 A KR 20230084594A KR 1020237017978 A KR1020237017978 A KR 1020237017978A KR 20237017978 A KR20237017978 A KR 20237017978A KR 20230084594 A KR20230084594 A KR 20230084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cover body
elastic
clos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타 다니구치
가오리 미노우라
미마 나라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48835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3008459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나
Publication of KR2023008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구조가 간략하고 개폐 조작이 용이하며, 수납물의 취출 조작이 하기 쉬운 밀폐 용기를 제공한다.
밀폐 용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선단에 개폐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는 덮개체와, 링 형상의 탄성재제 틀체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 내에 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상기 탄성재제 틀체의 선단부에,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선단에 마련된 절결부 내에 끼워 넣어져어 걸려지고, 또한 폐개 상태에서 내방으로 U자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발 설편을, 일체로 마련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 용기{AIRTIGHT CONTAINER}
본 개시는, 다양한 수납품, 특히 식품을 수납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료, 혹은 설탕, 소금 등의 분말 입자 모양의 조미료를 수납하는 용기에 있어서는, 식품 등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밀폐성이 요구되고, 그 때문에 용기 본체와 덮개체와의 사이에 탄성재제의 씰재를 배치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밀폐성을 확보하려고 하면 용기 본체와 덮개체와의 감합(嵌合, 끼워 맞춤)이 힘들어지고, 덮개체에 걸쳐진 손가락이 미끄러져 열기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다.
이 점을 배려하여, 용기 본체에 덮개체를 피봇 장착하여 레버를 밀어 여는 구성의 제품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용기는 그 전형이다. 도 12에서, (a)는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에 덮개체(2)가 감합된 용기의 폐개(閉蓋, 덮개체가 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세워 올려져 상부 개구가 열린 개개(開蓋, 덮개체가 열림)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용기는, 용기 본체(1)의 기단(基端)(손잡이)에 피봇 장착된 덮개체(2)를, 손잡이(3)를 파지하여 레버(4)를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 원터치로 열리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구성에서는, 수납물을 취출(取出)할 때에 항상 개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레버(4)를 지속적으로 눌러 내리지 않으면 안되고, 또 덮개체(2)가 앞쪽측으로 세워져 열려 있으므로 덮개체(2)가 취출 조작의 방해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의 대처로서 종래 이하와 같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16198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131930호
특허 문헌 1의 발명 「개폐 가능 용기」및 특허 문헌 2의 발명 「원터치 개폐 캡」은, 모두 용기 본체의 선단측(안쪽측)에 피봇 장착된 덮개체를 기단인 앞쪽측의 레버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탄발력(彈發力)을 통해서 여는 것이고, 개폐가 용이하고 개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탄발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그 때문에, 식품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청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인 세정 메인터넌스가 어렵다는 등의 불만이 있다.
본 개시는,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구조가 간략하고 개폐 조작이 용이하며, 수납물의 취출 조작이 하기 쉬운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에 관한 밀폐 용기의 제1 실시 형태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선단에 개폐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는 덮개체와, 링 형상의 탄성재제 틀체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 내에 밀(密)하게 끼워 넣어지는 상기 탄성재제 틀체의 선단부에,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선단에 마련된 절결부(切缺部, 잘라 내어진 부분) 내에 끼워 넣어져 걸려지고, 또한 폐개 상태에서 내방(內方)으로 U자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발 설편(舌片)을, 일체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이다.
본 개시에 관한 밀폐 용기의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별체의 상부 및 하부가 씰체를 매개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탄성재제 틀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밀하게 끼워 넣어지고, 폐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면에 마련된 단통(短筒)의 하단이 상기 탄성재제 틀체에 밀하게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에 관한 밀폐 용기의 제3 실시 형태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선단에 개폐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는 덮개체와, 이 덮개체의 내면에 마련된 단통의 외주에 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링 형상의 탄성재제 틀체를 가지고, 폐개 상태에서 상기한 용기 본체 상부 내에 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상기한 탄성재제 틀체의 선단부에, 상기한 용기 본체 선단 상단에 마련된 절결부 내에 끼워 넣어져 걸려지고, 또한 폐개 상태에서 U자 형상으로 내방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발 설편을, 일체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 상기 밀폐 용기의 제4 실시 형태는, 제1 또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탄발 설편의 외면에, 개개 상태에서 덮개체의 선단면이 탄접(彈接, 탄성 접촉)하는 스토퍼부를 팽설(膨設, 돌출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밀폐 용기의 제5 실시 형태는, 제1 또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기단 상단 외면에, 선단부가 폐개 상태의 덮개체의 기단부 내면에 걸려지는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에 관한 밀폐 용기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폐개 상태로부터 덮개체를 열면 폐개 상태에서 용기 본체 선단 상단의 절결부 내에 내방으로 U자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고 있던 탄성재제 틀체의 탄발 설편이 탄성 복귀하고, 그 탄발력에 의해 덮개체가 열릴 수 있어, 용이하게 덮개체를 열 수 있다.
여기에서는 덮개체를 열기 위한 탄발 설편은 탄성재제 틀체의 선단 부분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부재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밀폐 용기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본체는, 별체의 상부 및 하부가 씰체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탄성재제 틀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밀하게 끼워 넣어지며, 폐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면에 마련된 단통의 하단이 상기 탄성재제 틀체에 밀하게 접하도록 했으므로, 용기 본체의 밀폐가 확실하게 달성된다.
본 개시에 관한 밀폐 용기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피봇 장착된 덮개체의 폐개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의 상부 내면에, 덮개체의 내면에 마련된 단통에 외장(外裝)된 탄성재제 틀체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용기 본체의 밀폐가 확실하게 달성된다.
그리고 폐개 상태에서 덮개체의 앞쪽측인 기단을 밀어 올리면, 용기 본체의 상부 내면과 탄성재제 틀체의 외주면과의 밀착이 풀려지므로, 용기 본체 선단 상단의 절결부 내에 내방으로 U자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여 있던 탄성재제 틀체의 탄발 설편이 탄성 복귀하고, 그 탄발력에 의해 덮개체가 열리게 된다.
또, 상기 밀폐 용기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발 설편의 외면에는 스토퍼부가 팽설되어 있고, 개개 상태에서는 덮개체의 선단면이 이 스토퍼부에 탄접하여, 그 이상의 개개 회동이 막혀진다. 즉 덮개체는, 탄발 설편의 탄성 복귀의 탄발력에 의해 완만하게 또한 스무스하게 개개 동작을 소정의 개구량(開口量)까지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용기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기단 상단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장착된 레버는, 그 선단부가 폐개 상태의 덮개체의 기단부 내면에 면접촉하고 있으므로, 이 레버의 선단부를 눌러 내리도록 회동시키면, 폐개 상태의 덮개체를 간단하게 밀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밀폐 용기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용기의 밀폐가 확실하게 달성되면서도 개폐 조작이 원활하고 또한 용이하며, 부재가 적기 때문에 취급이 편리하고 경제적이고, 분해할 수 있으므로 청소가 용이한 등, 많은 뛰어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명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밀폐 용기의 사시도로서, (a)는 분해한 개개 상태, (b)는 조립한 개개 상태이다.
도 3은 도 1의 밀폐 용기의 설명도로서, (a)는 폐개 상태의 사시도, (b)는 폐개 상태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밀폐 용기의 개개 상태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밀폐 용기의 폐개 상태의 부분 확대 중앙 단면도로서, (a)는 기단부, (b)는 선단부이다.
도 6은 도 1의 밀폐 용기의 개개 상태의 부분 확대 중앙 단면도로서, (a)는 기단부, (b)는 선단부이다.
도 7은 도 1의 밀폐 용기의 부분 설명도로서, (a)는 덮개체 선단부의 부분 확대 중앙 단면도, (b)는 용기 본체 선단부의 부분 확대 중앙 단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 용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밀폐 용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밀폐 용기의 폐개 상태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밀폐 용기의 개개 상태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12는 밀폐 용기의 종래예의 사시도로서, (a)는 폐개 상태, (b)는 개개 상태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1은 밀폐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밀폐 용기의 사시도로서, (a)가 분해한 개개 상태, (b)가 조립한 개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밀폐 용기의 폐개 상태를 나타내고, (a)가 사시도, (b)가 중앙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밀폐 용기의 개개 상태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5는 폐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개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부분 설명도이다.
도 1,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밀폐 용기는, 용기 본체(10)와, 이 용기 본체(10)의 선단에 개폐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는 덮개체(20)와, 이 덮개체(20)의 내면에 마련된 단통(短筒)(21)의 외주에 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링 형상의 탄성재제 틀체(30)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10)의 선단 상단에는 절결부(11)가 마련된다. 탄성재제 틀체(30)의 선단부에는, 상기한 절결부(11) 내에 끼워 넣어져 걸려지고, 또한 폐개 상태에서 U자 형상으로 내방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발 설편(31)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탄발 설편(31)의 외면에, 개개 상태에서 덮개체(20)의 선단면이 탄접하는 스토퍼부(32)를 팽설(膨設)한다(도 1, 도 3 참조).
용기 본체(10)의 기단 상단 외면에, 선단부가 폐개 상태의 덮개체(20)의 기단부 내면에 면접촉하는 레버(40)를, 회동 가능하게 피봇 장착한다(도 2~도 4 참조).
도 3~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밀폐 용기에 있어서, 식품이나 설탕, 소금 등의 분말 입자 모양의 조미료를 수납하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10)는, 통벽(12)의 하단에 저벽(13)을 연속하여 마련한 유저(有底, 바닥이 있는) 통형상이고, 평면시에서는 기단측 및 선단측을 단변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통벽(12)의 단변에 상당하는 앞쪽측인 기단면에는 손잡이(14)가 연속하여 마련된다. 기단 상단의 중앙부에 삽입 오목부(15)가 절결(切缺, 잘라 내어짐)된다. 또한 이 삽입 오목부(15)에 대응하는 상기한 손잡이(14)의 상단면에는 축핀(16)이 횡으로 걸쳐져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삽입 오목부(15)에 대향하고, 통벽(12)의 단변에 상당하는 안쪽인 선단 상단에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절결부(11)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절결부(11) 양단의 통벽(12) 외면에는 한쌍의 블레이드(17)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또한 이 양 블레이드(17) 사이 중 하단 사이는 절결부(11)의 저면부가 연장되어 있어 차양 모양으로 되어 있다(도 1, 도 4, 도 7의 (b) 참조).
도 1~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합성 수지제의 덮개체(20)는 용기 본체(10)의 상단에 놓여지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한 것과 같이 그 내면에는 폐개 상태에서 용기 본체(10) 내에 놀 수 있게 끼워지는 단통(21)이 마련되어 있다.
도 3, 도 7의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덮개체(20)의 선단측에는 용기 본체(10)의 선단보다도 돌출하는 형태로 조립 벽(22)이 하부로 늘어 뜨려 마련되고, 또한 이 조립 벽(22)의 중앙에는 조립 오목부(23)가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 덮개체(20)의 조립 오목부(23)의 양단면을 용기 본체(10)의 한쌍의 블레이드(17)의 외면에 각각 면접촉시켜 끼워 넣고, 이 조립 오목부(23)의 단면과 블레이드(17)를 각각 축연결(도시 생략)하는 것에 의해 피봇 장착하여, 용기 본체(10)와 덮개체(20)를 개폐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이다(도 3의 (a), 도 5의 (b) 참조).
도 1, 도 2,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탄성재제 틀체(30)는 실리콘 등의 탄력성이 풍부한 부재로 성형되고, 덮개체(20)의 내면에 마련된 단통(21)의 외주에 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링 형상으로, 탄성재제 틀체(30)의 외주에는 돌조(突條)(33)가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폐개 상태에서는 이 돌조(33)의 외주면이 용기 본체(10)의 상부 내면에 밀접(密接)되어 밀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지만, 개폐시에 이 돌조(33)이 적당히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개폐 동작의 원활성을 확보하고 또한 밀폐성을 달성하는 것이다(도 3, 도 5 참조).
탄성재제 틀체(30)의 선단부에는 전술한 것처럼 탄발 설편(31)이 연장되어 일체로 마련된다. 탄성재제 틀체(30)를 덮개체(20)의 단통(21)의 외주에 밀하게 끼워 넣고, 용기 본체(10)와 덮개체(20)를 피봇 장착 조립한 상태에서는, 탄발 설편(31)은 그 선단부가 용기 본체(10)의 통벽(12)의 상기한 차양 모양의 절결부(11) 내에 끼워 넣어져 걸려 위치하고, 선단이 용기 본체(10)의 기단 방향으로 탄성 굴곡되어 있다(도 5의 (b), 도 6의 (b) 참조). 따라서, 폐개 상태에서는, 탄발 설편(31)은 도 5의 (b)에서 분명한 것과 같이 U자 형상으로 내방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덮개체(20)의 기단부를 밀어 올려 용기 본체(10)와의 밀착을 풀면 탄발 설편(31)은 탄성 복귀하고, 개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덮개체(20)가 너무 열리지 않기(적당한 개개 자세로 하기) 위해서, 탄발 설편(31)의 외면에 스토퍼부(32)를 팽설한다. 즉, 개개 상태에서 덮개체(20)의 선단면이 이 스토퍼부(32)에 탄접하는 것이다(도 6의 (b) 참조). 이 탄접을 부드럽게 또한 쿠션성도 갖게하기 위해, 덮개체(20)의 선단면을 테이퍼벽(24)으로 해두면 좋을 것이다(도 5의 (b), 도 7의 (a) 참조).
도 1, 도 4, 도 5의 (a), 도 6의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0)의 기단 상단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는 레버(40)는, 상기한 용기 본체(10)의 축핀(16)의 양단에 축지지되는 압하(押下, 눌러 내림)부(41)의 선단에 단차를 통해서 두께가 얇은 압상(押上, 밀어 올림)부(42)를 연속하여 마련한 구조이다.
압상부(42)는, 용기 본체(10)의 통벽(12)의 기단 상단 중앙부에 잘려 내어진 삽입 오목부(15) 내에 삽입되고, 폐개 상태의 덮개체(20)의 기단부 내면에 면접촉한다(도 5의 (a) 참조).
따라서, 폐개 상태에서 압하부(41)를 눌러 내려 회동시키면, 압상부(42)는 덮개체(20)의 기단부를 밀어 올리고, 덮개체(20)는 개개 상태가 된다(도 2의 (b), 도 4, 도 6의 (a) 참조).
본 개시에 관한 밀폐 용기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8과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 용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 10,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 용기의 폐개 상태, 개개 상태를 중앙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 용기는, 용기 본체(100)와, 이 용기 본체(100)의 선단에 개폐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는 덮개체(120)와, 이 덮개체(120)의 내면에 마련된 단통(121)과, 링 형상의 탄성재제 틀체(130)를 가져 구성된다.
용기 본체(100)의 상부(110) 및 하부(105)는 씰체(108)를 매개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된다. 씰체(108)는 상부(110) 및 하부(105) 사이를 밀폐하는 탄성재이면 탄성재제 틀체(130)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재질로 할 수 있다.
탄성재제 틀체(130)는, 용기 본체의 상부(110)에 밀하게 끼워 넣어지고, 폐개 상태에서 덮개체(120)의 내면에 마련된 단통(121)의 하단이 탄성재제 틀체(130)의 상면에 밀하게 접하도록 한 것이다.
용기 본체(100)의 상부(110) 선단 상단에는 절결부(111)가 마련된다. 탄성재제 틀체(130)의 선단부에는, 상기한 절결부(111) 내에 끼워 넣어져 걸려지고, 또한 폐개 상태에서 U자 형상으로 내방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발 설편(131)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탄발 설편(131)의 외면에, 개개 상태에서 덮개체(120)의 선단면이 탄접하는 스토퍼부(132)를 팽설한다(도 10, 도 11 참조).
용기 본체(100)의 상부(110)의 기단 상단 외면에, 선단부가 폐개 상태의 덮개체(120)의 기단부 내면에 맞물리는 레버(140)가,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도 10~도 11 참조).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밀폐 용기에 있어서, 식품이나 설탕, 소금 등의 분말 입자 모양의 조미료를 수납하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100)는, 통벽(112)의 하단에 저벽(113)을 연속하여 마련한 유저 통형상으로, 평면시에서는 기단측 및 선단측을 단변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8,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00)의 통벽(112)의 단변에 상당하는 앞쪽측인, 상부(110)의 기단 상단의 중앙부에 삽입 오목부(115)가 잘라 내어진다. 또한 이 삽입 오목부(115)에 레버(140)가 배치되어 있다. 레버(140)는 도시하지 않지만 박판을 매개로 하여 상부(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오목부(115)에 대향하고, 통벽(112)의 단변에 상당하는 안쪽인 선단 상단에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절결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또, 삽입 오목부(115) 내에 배치되어 마련된 레버(140)는 상부(110)의 기단 상단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덮개체(120)의 기단부에는, 돌기(140a)가 있는 벽부가 늘어 뜨려져 형성되고, 레버(140)에 폐개 상태의 덮개체(120)의 돌기(140a)가 걸려지는 오목부(140b)가 형성되어 있다(도 10, 도 11 참조).
폐개 상태에서 레버(140)를 눌러 내리면 돌기(140a)와 오목부(140b)의 걸림이 떨어지고, 덮개체(120)가 탄발 설편(131)의 탄발력에 의해 개개된다. 반대로 개개 상태에서 덮개체(120)를 탄발 설편(131)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폐개하고, 돌기(140a)를 오목부(140b)에 걸리게 하여 확실하게 폐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걸림 구조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돌기와 오목부를 반대로 하거나 다른 구조로 하거나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도 8,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투명 등의 합성 수지제의 덮개체(120)는 용기 본체(100)의 상부(110) 상단에 놓이는 용기 본체(100)에 대응한 평면시 형상의 평판 형상의 것이다. 덮개체(120)의 내면에는, 폐개 상태에서 용기 본체(100) 내에 놀 수 있게 끼워져 탄성재제 틀체에 맞닿아 밀하게 접하는 단통(121)이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 덮개체(120)의 선단측의 조립부(도시 생략)를 용기 본체(100)의 상부(110)의 절결부(111) 내에 끼워 넣고, 이 조립부의 단면과 절결부(111)의 내벽을 적절한 축연결(도시 생략)하는 것에 의해 피봇 장착하여, 용기 본체의 상부(110)와 덮개체(120)를 개폐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이다. 또한 조립부에 인접하게 테이퍼부(124)가 연재(延在)되어 있다.
도 8,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탄성재제 틀체(130)는 실리콘 등의 탄력성이 풍부한 부재로 성형되고, 용기 본체(100)의 상부(110)의 내주에 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링 형상이다. 자세한 것은,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부(110) 내주의 전체 둘레에 횡단면 L자 형상의 걸림벽(110a)이 내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걸림벽(110a)이 탄성재 틀체(130)의 외주의 홈(135)에 끼워 넣어져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폐개 상태에서는 덮개체(120)의 단통(121) 하단이 탄성재제 틀체(130)의 상면에 밀접되어, 밀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탄성재제 틀체(130)의 선단부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탄발 설편(131)이 연장되어 일체로 마련된다. 탄성재제 틀체(130)를 용기 본체(100)의 상부(110)의 내주에 밀하게 끼워 넣고, 용기 본체(100)와 덮개체(120)를 피봇 장착하여 조립한 상태에서는, 탄발 설편(131)은 그 선단부가 용기 본체(100)의 상부(110)의 절결부(111) 내에 끼워 넣어져 걸려 위치하고, 선단이 용기 본체(100)의 기단 방향으로 탄성 굴곡되어 있다(도 8, 도 10 참조). 따라서, 폐개 상태에서는, 도 10에서 분명한 것 같이, 탄발 설편(131)은 U자 형상으로 내방으로 탄성 변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140)에 의해서 덮개체(120)의 기단부를 밀어 올려 용기 본체(100)의 상부(110)의 밀착을 풀면 탄발 설편(131)은 탄성 복귀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개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덮개체(120)가 너무 열리지 않도록 하기 (적당한 개개 자세로 하기) 위해서, 탄발 설편(131)의 외면에 스토퍼부(132)를 팽설한다.
즉, 개개 상태에서 덮개체(120)의 선단면이 이 스토퍼부(132)에 탄접한다(도 11 참조). 이 탄접을 부드럽게 또한 쿠션성도 갖게 하기 위해서, 덮개체(120)의 선단면을 테이퍼벽(124)으로 해두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 용기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관한 밀폐 용기는, 용기 본체가 유저의 통 모양이면, 평면시에서 대략 직사각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는, 평면시에서 대략 정사각 형상, 대략 다각 형상, 대략 원 형상, 대략 타원 형상, 이(異)형상으로 하거나, 상단과 하단이 다른 형상으로 하거나, 측벽에 요철을 마련하거나 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밀폐 용기는, 식품외 다양한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10 : 용기 본체 11 : 절결부
12 : 통벽 13 : 저벽
14 : 손잡이 15 삽입 오목부
16 : 축 핀 17 : 블레이드
20 : 덮개체 21 : 단통
22 : 조립 벽 23 : 조립 오목부
24 : 테이퍼벽 30 : 탄성재제 틀체
31 : 탄발 설편 32 : 스토퍼부
33 : 돌조 40 : 레버
41 : 압하부 42 : 압상부
100 : 용기 본체 105 : 하부
108 : 씰체 110 : 상부
111 : 절결부 112 : 통벽
113 : 저벽 115 : 삽입 오목부
120 : 덮개체 121 : 단통
130 : 탄성재제 틀체 131 : 탄발 설편
132 : 스토퍼부 140 : 레버

Claims (3)

  1. 조미료를 수납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의 내면에 마련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밀착하는 탄발력을 가진 탄성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되어 폐개(閉蓋) 상태에서 굴곡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편과,
    상기 용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내면에 밀착하는 것만에 의해서, 상기 탄성편이 굴곡 형상으로부터 탄성 복귀하여 개개(開蓋) 동작을 행하는 탄발력에 저항하여,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체와의 폐개 상태 및 밀폐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레버는, 유저가 개개 조작에 이용하는 압하부(押下部)와, 폐개 상태의 상기 덮개체를 밀어 올리는 압상부(押上部)를 가지고,
    상기 압하부가 밀어 내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레버가 회동하여 상기 압상부가 상기 덮개체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탄성 부재와의 상기 밀착이 풀리고, 개개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외면에, 개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선단부가 탄접하는 스토퍼부를 팽설(膨設)하고, 상기 탄접을 부드럽게 또한 쿠션성을 갖게 하도록 상기 덮개체의 선단면을 테이퍼벽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이,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탄성 부재와의 밀착이 풀려진 경우에, 상기 굴곡 형상으로부터 탄성 복귀하는 탄발력에 의해 상기 덮개체의 개개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237017978A 2019-09-18 2020-09-18 밀폐 용기 KR20230084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68944 2019-09-18
JP2019168944 2019-09-18
PCT/JP2020/035490 WO2021054447A1 (ja) 2019-09-18 2020-09-18 密閉容器
KR1020227009940A KR20220066900A (ko) 2019-09-18 2020-09-18 밀폐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940A Division KR20220066900A (ko) 2019-09-18 2020-09-18 밀폐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594A true KR20230084594A (ko) 2023-06-13

Family

ID=748835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978A KR20230084594A (ko) 2019-09-18 2020-09-18 밀폐 용기
KR1020227009940A KR20220066900A (ko) 2019-09-18 2020-09-18 밀폐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940A KR20220066900A (ko) 2019-09-18 2020-09-18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7032710B2 (ko)
KR (2) KR20230084594A (ko)
CN (1) CN114466801B (ko)
WO (1) WO202105444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198A (ko) 2008-03-26 2010-10-2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31930A (ko) 2010-06-01 2011-1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6646U (ko) * 1978-04-03 1979-10-12
JPH0547088Y2 (ko) * 1986-05-30 1993-12-10
JPH0640130Y2 (ja) * 1987-12-25 1994-10-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振出容器
JP3308099B2 (ja) * 1993-06-16 2002-07-29 花王株式会社 キャップ
JPH0826314A (ja) * 1994-07-15 1996-01-30 Japan Crown Cork Co Ltd 密閉容器
JPH0966954A (ja) * 1995-08-29 1997-03-11 Kao Corp キャップ
JPH10117866A (ja) * 1996-10-18 1998-05-12 Sumitomo Forestry Co Ltd キッチン補助ユニット
JP3746901B2 (ja) * 1997-10-15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JP3336495B2 (ja) * 1998-09-07 2002-10-21 株式会社アライ化成 容器用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
JP3062266U (ja) * 1999-03-18 1999-09-28 タケヤ化学工業株式会社 密封容器
JP2002053157A (ja) * 2000-08-10 2002-02-19 Kamaya Kagaku Kogyo Co Ltd 密閉蓋容器
US7243816B2 (en) * 2003-02-13 2007-07-17 Dart Industries Inc. Container with one-piece seal and lid spring
JP4864644B2 (ja) 2006-10-31 2012-02-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JP5160905B2 (ja) 2008-01-08 2013-03-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外機
JP5349916B2 (ja) * 2008-11-14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JP5487435B2 (ja) * 2010-05-13 2014-05-07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水加熱容器
JP2011240951A (ja) 2010-05-17 2011-12-01 Lion Corp 粉粒物用容器
JP5520775B2 (ja) * 2010-10-14 2014-06-11 ライオン株式会社 粉粒物用容器
JP2013220842A (ja) * 2012-04-18 2013-10-28 Shinichi Yano 簡易液体用サーバー
CN105358444B (zh) * 2013-07-01 2017-04-05 大王制纸株式会社 湿片包装体用盖体以及湿片包装体
JP6159755B2 (ja) 2015-05-11 2017-07-05 タケヤ化学工業株式会社 収納容器
JP6124948B2 (ja) * 2015-05-13 2017-05-10 タケヤ化学工業株式会社 収納容器
JP1660576S (ko) 2019-09-09 2020-06-01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198A (ko) 2008-03-26 2010-10-2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31930A (ko) 2010-06-01 2011-1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32552A (ja) 2022-09-08
WO2021054447A1 (ja) 2021-03-25
JP2022059628A (ja) 2022-04-13
CN114466801A (zh) 2022-05-10
JP7233134B2 (ja) 2023-03-06
JPWO2021054447A1 (ko) 2021-03-25
JP7032710B2 (ja) 2022-03-09
JP7305853B2 (ja) 2023-07-10
KR20220066900A (ko) 2022-05-24
CN114466801B (zh)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38B2 (en) Drinking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s
US8807370B2 (en) Preservation container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2005289426A (ja) 自開式キャップ機構
KR101564981B1 (ko) 화장품 케이스
JP7002784B2 (ja) 嵌合式組合せ容器
WO2019171931A1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11261020B2 (en) Container for housing household tissue paper
KR101336014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215203B1 (ko) 슬라이드 개폐식 식품용기
KR101803794B1 (ko)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30084594A (ko) 밀폐 용기
JP4977709B2 (ja) 貯蔵容器用容器蓋
US5497898A (en) Container/closure assembly
KR20140002515U (ko) 밀폐뚜껑
JP3224146U (ja) 調味料用容器
KR100808542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JP2018175035A (ja) 粉末容器
KR20180004415A (ko) 저장용기
JP6886709B2 (ja) 収納容器のロック構造
JP6686573B2 (ja) 容器蓋
KR200478569Y1 (ko) 화장품 케이스
JP2021098523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包装容器
JP5220336B2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5721999B2 (ja) 合成樹脂製の開閉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