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914A -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의 저감제 - Google Patents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의 저감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914A
KR20220061914A KR1020217037505A KR20217037505A KR20220061914A KR 20220061914 A KR20220061914 A KR 20220061914A KR 1020217037505 A KR1020217037505 A KR 1020217037505A KR 20217037505 A KR20217037505 A KR 20217037505A KR 20220061914 A KR20220061914 A KR 20220061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um
fine particles
odor
feces
f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세이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유세이 미야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세이 미야모토 filed Critical 유세이 미야모토
Publication of KR2022006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9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4Flavour masking or 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23L5/27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using adsorption or absorption agents, resins, synthetic polymers, or ion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23L5/276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43Platin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5Nanoparticles, nano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22Platin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동물 등을 대상으로, 예를 들면 무기 물질 등의 경구 섭취 가능한 재료로 방귀 및/또는 대변의 독특한 악취의 효과적인 저감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나노사이즈화된 콜로이드 형태의 백금 미립자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경구 섭취용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 저감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의 저감제
본 발명은 방귀 및/또는 대변의 독특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악취 저감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동물 등의 방귀와 대변에는 사람에게 강한 불쾌감을 주는 독특한 악취가 있고, 미용적인 관점이나 간호의 용이화 등의 관점, 혹은 반려동물의 위생적 사육 용이성이란 관점에서 악취를 경감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 악취는 황화물(황화수소, 이산화황, 황화탄산수소), 인돌, 스카톨, 아연, 암모니아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상상되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비피더스 균에 의해 암모니아나 인돌 등을 저감하여 대변의 악취를 경감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1). 그러나 비피더스균 등을 제외하면, 경구 섭취 가능한, 예를 들어 무기물 등의 재료로 방귀나 대변의 독특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은 지금껏 없었다.
외기에 향수를 분무하여 변취 등을 없애는 것은 있었지만(특허문헌1), 버섯에서 추출되는 기능성식품소재로 하는 샹피뇽 추출물은 구취, 체취, 변취 소거에 효과적이라고 여겨졌으나 그 근거가 인정되지 않아, 헤이세이 21년(2009년)에 공정거래위원회에 의해 배제명령이 제출되었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안전하게 경구투여가 가능하고, 효과적으로 사람을 포함한 표유류 동물 등의 방귀와 대변의 악취를 저감하는 수단의 제공이 요구되어왔다.
한편, 나노 크기의 백금 미립자를 포함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분해제가 알려져 있으며,(특허문헌2), 이러한 백금 미립자를 포함한 구강 내 세정제 등도 알려져 있으나,(특허문헌3), 백금 미립자가 방귀 및/또는 대변의 독특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8-130565호 특허문헌2: 일본등록특허공보 4058072호 특허문헌3: 국제공개공보 WO2006/064788A1
비특허문헌1: Ogata T,. et al, Microbial Ecology in Health and Disease 11:41(1999)
본 발명의 과제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동물 등을 대상으로, 예를 들면 무기 물질 등의 경구 섭취 가능한 재료로 방귀 및/또는 대변의 독특한 악취의 효과적인 저감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백금 미립자를 경구 섭취시키면, 놀랍게도 방귀와 대변의 독특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백금 미립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구 섭취용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저감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는 방귀 및/대변 중의 황화수소 저감용 악취제거제인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는, 나노 사이즈화된 콜로이드 형태의 백금 미립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취 저감제인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는, 상기 백금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nm이하인 악취 저감제인 경우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는, 물 1000ml 당 1nmole~100mmole의 백금미립자를 포함한 악취 저감제인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금 미립자를 유효성분으로 경구 섭취하는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를 저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를 저감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백금 미립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금미립자는, 방귀 및/또는 대변 중의 황화수소의 저감용 악취 저감제로 사용하기 위한 백금 미립자인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금미립자는, 나노사이즈화된 콜로이드 형태의 백금 미립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취 저감제로 사용하기 위한 백금 미립자인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금미립자는, 전술한 백금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nm이하인 악취 저감제로 사용하기 위한 백금 미립자인 경우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백금 미립자는 물 1000ml 당 1nmole ~ 100mmole 의 백금 미립자를 포함한 악취 저감제로 사용하기 위한 백금 미립자인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 저감제의 제조 시 백금 미립자의 사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동물 등에게 경구 섭취를 시킬 수 있으며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거의 전량이 그대로 배설되므로 안전하다. 예를 들어 구연산으로 환연되어 구연산을 그대로 보호재로 하는 나노사이즈화된 백금 미립자를 포함한 현탁액으로 복용시킬 수 있으며, 방귀 및/또는 대변의 독특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금미립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구섭취용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저감제이다.
본 명세서에서, [백금미립자]는 백금의 미립자를 말하며, 백금흑과 같은 가루 상태의 백금미립자, 보호제를 사용한 백금미립자, 보호재를 사용하지 않고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백금미립자, 보호제나 계면활성제 어느것도 사용하지 않은 백금미립자 및 단일원자입자가 포함된다.
백금미립자의 제조방법은 여러가지가 알려져 있으며(예를들어, 일본등록특허공보 특공소57-4312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소59-12024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225317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76207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7938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22723호 등), 당업자는 이러한 방법을 참조함으로써 미립자를 용이하게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귀금속미립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침전법 또는 금속염 환원반응법 이라고 불리는 화학적 방법, 혹은 연소법으로 불리는 물리적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액상 레이저 어블레이션법이나 보호재를 사용하지 않고 계면활성제로 현탁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로는 어느 방법으로 조제된 미립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미립자화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등록특허 제4058072호의 명세서에 설명되어있으므로, 이 공보의 개시를 참조로서 본 명세서의 개시에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보호제를 사용한 백금 미립자의 경우 미세 금속 입자끼리 응집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물질로서 금속보호제를 사용하여, 백금 나노 입자가 수중에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미세 금속 입자의 보호제의 예로는 폴리비닐필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펙틴, 구연산 등을 들 수 있으며, 펙틴과 구연산은 식품 중의 성분이므로, 펙틴이나 구연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에 있어서 백금은 백금을 포함하는 합금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한 것은 백금 자체이다. 합금을 형성하는 금속으로는 예를들면 금,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등을 들 수 있다. 백금 미립자와 함께 이들 다른 금속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금속의 콜로이드 상태의 미립자 현탁물을 사용해도 좋다.
백금 미립자로서는, 비 표면적이 크고, 표면 반응성이 뛰어난 콜로이드 상태를 형성 가능한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미터 레벨 입경의 미립자나 나노 레벨 입경의 미립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립자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0nm이하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이 20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 10nm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이 1~6nm 정도의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립자를 수성 매체 중에 안정한 현탁 상태로 포함하는 분산액도 바람직하다. 수성매체로는, 물 이외에 생체에 대한 독성이 낮고 물과 임의의 비율로 혼합되는 유기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것은 수성매체로서 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는 예를들어 물 1000ml 당 1nmole~100mmole, 바람직하게는 물 1000ml 당 10nmole~50mmole 정도의 백금 미립자를 콜로이드 상태로 포함하도록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금 농도가 100ppm 내지 300pp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0ppm 정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농도로 콜로이드 상의 백금 미립자를 포함하는 악취 저감제를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동물의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ppm의 콜로이드 형태의 백금 미립자를 포함한 악취 저감제를 하루 50 내지 5000μl 정도, 바람직하게는 하루 당 200μl 정도 경구 섭취함으로서, 장관 내에서 원하는 작용이 발현된 결과, 배설되는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가 현저하게 저감된다. 즉 본 발명의 백금 미립자의 경구 섭취량은, 하루 당 최대 1×10 - 3 g에 해당한다.
백금 미립자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정맥 내 투여에서의 간 장해에 관한 보고가 있다(Y.Yamagishi, A. et al.,Pharmazie 68:178-182, 2013). 구체적으로는 쥐에게, 입경 1nm이하와 15nm의 백금 나노 입자(sub-nanosized platinum particles; 이하 각각 snPt, nPt로 기재)를 정맥 내 투여 하고 24시간 후, 간 장해 유무를 피 내에 누출된 알라닌 아미노기 전이효소alanine transaminase; ALT) 아스파라긴산 아미노기 전이 효소(aspartate transaminase)로 측정한 결과, 투여량이 15~20mg/kg인snPt 만이 간 장해를 보였다. 한편, 입경 15nm의 nPt에서는 동일한 투여량에서도 간 장해는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 15~20mg/kg의 정맥 내 투여는 체중 60kg인 사람에서는 약 1g이 된다. 경구 섭취로부터 이 정도의 백금 미립자의 양이 체내에 들어가려면, 소장으로부터의 흡수율이 최대 0.1%(하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백금 미립자를 사람이 경구섭취한 경우, 99.96%가 대변의 안에서 회수된 것이 나와있다) 라고 가정한다면, 1,000g을 경구 섭취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의 경구 섭취량은 안정성이 높다고 이해된다.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는, 건강식품으로서 음용할 수 있으며, 그 자체를 의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건강식품으로서는, 예를들어 상기의 200ppm의 콜로이드상 백금 미립자를 포함하는 악취 저감제를 차, 주스, 청량음료수, 음료에 첨가하여, 이들 형태로 음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취 저감제를 의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200ppm의 콜로이드 형태의 백금 미립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액제뿐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의약품 첨가제를 첨가하여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등의 고형제제로서 의약제제를 제조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의약제제의 조제에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의약품 첨가제는, 예를 들어 당업자에 잘 알려진 안정화제, 항산화제, pH조절제, 완충제, 현탁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이들 의약품 첨가제의 종류 및 그 용법, 용량은 의약품첨가물 사전2016(일본 의약품 첨가제 협회편, 약사일보사, 2016년2월)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기재에 따라 의약제제를 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백금 나노입자의 제조
백금 나노입자는, 구연산 환원법으로 제작했다. 43.8ml의 물에 16.6mM 염화백금산(H2PtCl6) 을 4ml 첨가하여, 유욕(오일바스)으로 가열했다. 온도가 100°C에 이른 시점에서, 77.21mM의 구연산 나트륨(trisodium Citrate; C6H5Na3O7)을 8.6ml 첨가하여, 그대로 100°C에서 반응액이 검은색으로 변할 때까지 대략 1시간 30분 정도 가열을 계속하였다. 반응액이 검은색으로 변하자 가열을 중지하고, 반응액의 온도를 실온까지 낮추고, 마지막으로 물 10ml를 더해, 백금 농도 1mM의 백금 나노콜로이드액 66.4ml를 얻었다. 백금 미립자의 입경은 4.7±1.5 nm였다.
2. 백금 나노 입자의 방귀 냄새와 대변 냄새에 대한 저감 효과 평가
나노사이즈화 된 백금미립자를 제작하여, 경구섭취를 통해 대변 속에서 백금 금속을 회수하고 방귀와 대변의 독특한 악취의 감소를 정량화 하였다.
백금 나노콜로이드로는, 1ml당 평균 입경 6nm 이하의 백금 미립자를 백금으로 하여 180μg을 함유하고, 응집한 백금 입자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백금 나노콜로이드수를 경구섭취용 액으로 사용했다. 백금 나노콜로이드0.9560%(백금 ; 0.00019%, 구연산 삼나트륨 0.0028%), 구연산 0.0045% 및 물 99.0395%를 포함하여, 백금 함유량은  172±1.5ppm, pH는 3.71이었다.
구연산으로 환원되어 구연산을 그대로 보호제로 하는 나노사이즈화 된 백금미립자(4.7±1.5nm)는, 경구섭취로 소화관으로부터 거의 흡수되지 않고 대장까지 도달하여 대변으로 99.96%는 배설된다는 안전성이 확보되며,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연기, 냄새 등 특히 암모니아, 톨루엔, 황화수소를 예민하게 검지하고 신선한 공기를 1로 하여, 공기 중 냄새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서 CIAQ(Composite Index of Air Quality)로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냄새 모니터 GT300-VOC(판매원 : 주식회사 엠케이 사이언티픽)을 사용하여 나노사이즈화된 백금 금속 입자의 경구섭취 전과 경구섭취 3주 후의 방귀와 대변의 악취를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 사람 체중 60KG 당 40μg/일의 비율로 나노사이즈화된 백금 미립자를 3주간 경구섭취한 결과, 냄새 모니터에서 계측된 수치가 나노사이즈화된 백금 미립자를 3주간 경구섭취 후 위험율(P) 0.01% 미만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방귀와 대변의 악취가 나노사이즈화된 백금 미립자의 경구 섭취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 또한 통계학적인 해석은, Student의 t-test 검정법을 사용하였다.
실험군 측정치 통계학적 유의 차
방귀 냄새 경구 섭취 전 79.3 ± 64.0 (n=27) p<0.01
경구 섭취 3주 후 10.9 ± 10.2 (n=12)
대변 냄새 경구 섭취 전 7.43 ± 1.18 (n=7) p<0.01
경구 섭취 3주 후 0.57 ± 0.49 (n=7)
3. 대변 중의 황화수소 저감효과의 평가
(주) 가스텍사 제조의 기체 채취기 세트(형식 GV100S) 를 이용하여, 나노사이즈화된 백금 미립자의 경구섭취 전과 후의 대변에서 비산하는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를 측정한 후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대변, 100~200g을 법랑제 변기에 나누어 채취 후, 무게를 측정해 빠르게 프레시온 실(GLAD사 제조)로 덮고,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대략 3분 후 각각의 검지관을 사용하여 변기 상공에 유지된 기체의 농도(ppm)을 정량하였다.
사람 체중 60kg 당 40μg/일의 비율로 나노사이즈화된 백금 미립자를 경구 섭취하여 1주일 후 측정한 결과, 암모니아 농도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황화수소농도는 위험율(p) 0.01% 미만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나노사이즈화된 백금 미립자의 경구 섭취에서 대변의 악취의 감소는 적어도 황화수소의 감소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이 나타났다(표 2). 또한 통계학적인 해석은, Student의 t-test 검정법을 사용하였다.
대변으로부터 비산하는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농도의 측정결과
암모니아(ppm/g) 황화수소(ppm/g)
경구 섭취 전 1.69 ± 0.48 (n=6) 5.88 ± 0.96 (n=6)
경구 섭취 후 2.47 ± 1.16 (n=9) **1.77 ± 0.69 (n=10)
** p<0.01

Claims (5)

  1. 백금 미립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구 섭취용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 저감제.
  2. 제1항에 있어서, 방귀 및/또는 대변 중의 황화수소 저감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저감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노사이즈화 된 콜로이드 상태의 백금 미립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저감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저감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 1000ml당 1nmole ~ 100mmole의 백금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저감제.
KR1020217037505A 2019-08-20 2020-08-11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의 저감제 KR20220061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62429 2019-08-20
JP2019162429 2019-08-20
PCT/JP2020/030546 WO2021033590A1 (ja) 2019-08-20 2020-08-11 屁及び/又は大便の悪臭の低減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914A true KR20220061914A (ko) 2022-05-13

Family

ID=7466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505A KR20220061914A (ko) 2019-08-20 2020-08-11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의 저감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18742A1 (ko)
EP (1) EP4019087A4 (ko)
JP (1) JPWO2021033590A1 (ko)
KR (1) KR20220061914A (ko)
CN (1) CN113795260A (ko)
WO (1) WO202103359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072A (en) 1975-11-25 1977-11-1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xtension table for sewing machines
WO2006064788A1 (ja) 2004-12-13 2006-06-22 Apt Co., Ltd. 口腔内洗浄液
KR20180130565A (ko) 2016-04-14 2018-12-07 4에스체 악티엔게젤샤프트 아시아 환자에서의 레스미노스타트의 의학적 적용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9878A (en) 1977-03-09 1978-09-26 Hidefumi Hirai Manufacture of rare metal colloid
JPS53134665A (en) * 1977-04-25 1978-11-24 Ijiji Shugeizo Co Lt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fertilizers
JPS59120249A (ja) 1982-12-27 1984-07-1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貴金属触媒の製造方法
JP3422762B2 (ja) * 1992-05-08 2003-06-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悪臭抑制ペットフード
JP3253242B2 (ja) * 1995-12-28 2002-02-04 株式会社アイ・エイチ・アイ・エアロスペース 汚物乾燥処理装置
JPH09225317A (ja) 1996-02-26 1997-09-02 Kemipuro Kasei Kk ニッケル/貴金属二元金属クラスター、それよりなる触媒およびその製法
JPH10176207A (ja) 1996-12-18 1998-06-30 I Betsukusu:Kk 高活性貴金属クラスター
JPH11346715A (ja) * 1998-06-09 1999-12-21 Otsuka Yakuhin Kogyo Kk 白金族コロイド溶液を配合した食品の製造方法
JP4505084B2 (ja) 1999-09-13 2010-07-14 アイノベックス株式会社 金属コロイド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金属コロイド
JP4926312B2 (ja) 1999-10-27 2012-05-09 アイノベックス株式会社 白金コロイド含有化粧品
JP2001352913A (ja) * 2000-06-14 2001-12-25 Taisei Shokai:Kk 消臭用飲料水
JP2002142779A (ja) * 2000-11-15 2002-05-21 Shigeki Kobayashi 悪臭を低減する作用を有する組換え微生物
JP2002212102A (ja) * 2001-01-23 2002-07-31 Ainobekkusu Kk 電気化学的生理活性微粒子
EP1598071A4 (en) 2003-02-20 2006-04-26 Shetech Co Ltd DECOMPOSING AGENT OF SUPEROXIDE ANION
JP2004093555A (ja) * 2003-06-23 2004-03-25 Hideo Ueda 腸内ガス成分測定装置、放屁検知装置
CN1805786A (zh) * 2003-07-16 2006-07-19 信浓绢糸株式会社 有害物质分解体及其制造方法
US7452554B2 (en) * 2003-09-03 2008-11-18 Apt Co, Ltd. Platinum nanocolloid solu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drink containing platinum nanocolloid
JP4653945B2 (ja) * 2003-10-24 2011-03-16 ミズ株式会社 薬理機能水、およびその用途
JP2007297281A (ja) * 2004-07-29 2007-11-15 Ainobekkusu Kk 体内活性酸素消去剤
JP2007038087A (ja) * 2005-08-02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臭装置
JP2007204423A (ja) * 2006-02-01 2007-08-16 Toyo Ink Mfg Co Ltd ササ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該抽出物の利用
JP2009155281A (ja) * 2007-12-27 2009-07-16 Univ Of Tokyo 細胞透過性白金微粒子
CN101518301A (zh) * 2008-02-25 2009-09-02 宏炬德企业股份有限公司 白金复合水溶液及其用途
WO2013018805A1 (ja) 2011-08-01 2013-02-07 山本香料株式会社 糞便臭抑制用フレグランス、それを用いたマイクロカプセル化フレグランス、糞便臭抑制機能付き繊維製品、糞便臭抑制用ペレット、マイクロカプセル化フレグランス噴霧スプレー及び糞便臭抑制用スプレー
JP2015202136A (ja) * 2014-04-11 2015-11-16 株式会社ネイブヒート 空気浄化装置
JP6536997B2 (ja) * 2016-09-02 2019-07-03 株式会社サンテック 白金ナノコロイドの製造方法と粒度分布幅の狭く安定性の高いシングルナノ白金コロイド水溶液
JP2018100344A (ja) *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ニットーテック 石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072A (en) 1975-11-25 1977-11-1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xtension table for sewing machines
WO2006064788A1 (ja) 2004-12-13 2006-06-22 Apt Co., Ltd. 口腔内洗浄液
KR20180130565A (ko) 2016-04-14 2018-12-07 4에스체 악티엔게젤샤프트 아시아 환자에서의 레스미노스타트의 의학적 적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Ogata T,. et al, Microbial Ecology in Health and Disease 11:41(19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033590A1 (ko) 2021-02-25
US20220218742A1 (en) 2022-07-14
WO2021033590A1 (ja) 2021-02-25
EP4019087A4 (en) 2023-09-13
EP4019087A1 (en) 2022-06-29
CN113795260A (zh)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2856B2 (ja) トシル酸トスフロキサシンを含有する粒状固形製剤
JP2009529561A5 (ko)
EP1938814A1 (en) Pharmaceutical for protection of motor nerve in patient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EP3006048A1 (en) Oral cavity patch
JPWO2005084703A1 (ja) 徐放性の口腔用組成物
JP2020117486A (ja) 難聴の予防又は治療剤
JP6088151B2 (ja) 医薬組成物
JP2005132801A (ja) 口腔内崩壊錠
AU776587B2 (en) Ciclesonide-containing aqueous pharmaceutical composition
EP2170348B1 (en) Effervescent tablets for inhalatory use
KR20220061914A (ko) 방귀 및/또는 대변의 악취의 저감제
US11213505B2 (en) Product based on iron bis-glycinate chelate and alginic acid and/or water-soluble salts thereof, formulations thereof, and pharmaceutical uses thereof
JP7461008B2 (ja) 脊髄損傷後の障害もしくは症状の予防又は治療剤
JP7461010B2 (ja) 虚血性脳血管障害に伴う障害の予防又は治療剤
JP7461005B2 (ja) 自閉スペクトラム症の予防又は治療剤
JP7345824B2 (ja) うつ病又はうつ状態の予防又は治療剤
JP2003089638A (ja) 医薬組成物
JPWO2009054432A1 (ja) 口腔内速崩壊性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92672B2 (ja) 口腔内速崩壊性錠剤
WO2003063856A1 (fr) Preparation de gelee contenant des acides amines ramifies
JP2009505992A (ja) ヒアルロン酸と活性炭とを含む酒酔い軽減用組成物
JP6635319B1 (ja) ナチュラルキラー細胞活性化剤
JP2006271267A (ja) 消臭機能を有する栄養補助食品
JP2012213357A (ja) 経口消臭組成物
JP5823131B2 (ja) 防風通聖散含有組成物